민주주의vs공산주의 분단국가가 된 독일! 끝없는 회담과 독일 재건을 위한 노력

Ойын-сауық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벌거벗은 세계사}
[화] 저녁 8:40 tvN 방송
#벌거벗은세계사 #은지원 #규현 #이혜성
#티빙에서스트리밍

Пікірлер: 167

  • @user-mt5qs7xm6m
    @user-mt5qs7xm6m2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이야기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gamevideochannel1550
    @gamevideochannel1550 Жыл бұрын

    좋은 지식 잘 얻구 갑니다!

  • @user-hd4jp9ys6v
    @user-hd4jp9ys6v Жыл бұрын

    제목이 잘못됐네요. 공산주의의 반대말은 자본주의이지,민주주의가 아니지요. 민주주의의 반대말은,전제정치체제나 전체주의라고 봐야 되고, 민주니,전체니 하는 건 정치체제를, 자본이니 공산이니 하는 건 경제체제를 나타내는데, 방송사부터 잘 모르고 용어도 제대로 안 쓰니, 많은 사람들을 오도하는 역할을 하지요. 좌파,우파에 대한 용어 사용도 그렇고, 우리나라 언론들,문제가 너무 많음.

  • @BreadFeel
    @BreadFeel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vs공산주의가 아니라 자본주의vs공산주의 입니다

  • @moningcafe
    @moningcafe Жыл бұрын

    왜 민주주의와 공산주의라고 하죠? 자유를 빼면 안돼죠. 북한도 인민민주주의 입니다.

  • @user-qu5vn1vx2i
    @user-qu5vn1vx2i Жыл бұрын

    20:42 소름 돋는게 지금 우리나라 상황이 딱 그거네요. 다른 이유도 많지만 너무 커진 경제격차 때문에 오히려 분단갈등이 심화되기도 했죠.

  • @user-dw7ym7vt1c
    @user-dw7ym7vt1c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는 독재의(정치)반대/공산주의는 자본주의(경제) 반대말입니다

  • @user-xb6cq8il9q

    @user-xb6cq8il9q

    2 жыл бұрын

    그니까 ... 북한도 민주주의라고 이름을 붙이는데 뭐지 그생각함

  • @existingbigriver4076

    @existingbigriver4076

    Жыл бұрын

    @@user-xb6cq8il9q 그거는 민주주의가 국가 체제에 정통성을 주는 식으로 사용해서 그렇죠

  • @j_yxxn.k
    @j_yxxn.k Жыл бұрын

    0:40 지도가 현대 국경선이네요. 1939년 당시에는 오스트리아와 체코가 독일에 합병된 상태였고,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그리고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에 독일의 월경지 동프로이센이 있었습니다

  • @geeendoe
    @geeendoe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 대 독재 자본주의 대 공산주의라고 해야 맞지 않나요

  • @user-cz8eu2uz3w

    @user-cz8eu2uz3w

    Жыл бұрын

    ㄹㅇ

  • @Ceohw

    @Ceohw

    Жыл бұрын

    자유주의vs사회주의, 자본주의 vs 공산주의

  • @BreadFeel

    @BreadFeel

    Жыл бұрын

    @@Ceohw 사회주의도 경제체제의 한 종류 입니다 독재, 전제주의 혹은 엘리트 주의와 대립하는게 맞습니다

  • @Ceohw

    @Ceohw

    Жыл бұрын

    @@BreadFeel 사회주의는 정치개념

  • @hawkman8596
    @hawkman8596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와 공산주의는 서로 다른 차원의 개념이다. 민주주의는 전체주의와 비교할 수 있는 개념이고 공산주의는 자본주의와 비교할 수 있는 개념이다.

  • @user-eo6uk9ww2i

    @user-eo6uk9ww2i

    Жыл бұрын

    탈북민들도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로 구분하는데 .. 민주국가에서 교육 받는 사람들이 민주주의 반대인 독재를 구분 못합니다. ( 민주주의 와 독재를 상대적 개념으로 가르치는것도 골때리는 방식이죠 .. 어렵게 가르쳐서 잊게 만들죠 ) 대한민국 독재자들이 세뇌를 시킨 결과물이고 , 독재자들의 승리죠 ~~ (세뇌 당한척 하면서 세뇌 시키는 놈 =진짜 나쁜놈) 이상한 주장을 하는 세뇌당한 중국인 , 한국인,북한 사람들 별 차이 없습니다. 정부까는 소리를 할수 있다 ,없다 차이입니다. 주변에 물어보세요 .. 자본주의 , 사회주의 , 공산주의 개념이 뭔지 ~` ㅎㅎ 1분이상 대답 못합니다. 그런데 .. 우리는 뭔가 중국 , 북한 사람보다 열라 많이 알고 있는듯이 자신감이 넘치죠 ~~ ㅎㅎㅎ; 일본의 역사, 문학, 드라마,경제도 모르는것들이 일뽕에 빠져서 자국민에게 돌을 던지것들이 세상에 널린 나라가 대한민국 입니다. 투표할땐 x갱이 타령, 경제를 발전 시켰기 때문에 독재자를 존경하면서 북한 경제를 발전 시켜 한때 20여년 정도 제 3세계의 롤모델이였던 김일성은 악마랍니다. ㅋㅋㅋ 둘다 독재자인데 .. ㅋㅋㅋ 나이 들어 이것저것 알아 보니 그 경제 발전 시켰다는것은 세계에서 알아 주지도 않았습니다. 혹시 몰라 그 당시 아시아 타국가의 발전 과정을 봤더니 그 당시 , 거의 비슷하게 발전 했더군요 .. 18년 동안 1인당 국민소득 1780달러 만들어 놓고 신으로 추앙 받는거 보면 코메디가 따로 없습니다. 그런 논리가 맞을려면 현재 세계 2위국가인 중국 공산당이 대한민국 보수의 존경을 받아야 하죠 .. ㅋㅋ 뭐 .. 논리와 상식이 대한민국에 얼마나 있겠습니까~~ 대충 그렇게 살아오고 살아가는 거라고 자위하며 살지만 . 주변에서 헛소릴 지껄이면 속에서 울화통이 터져서 거짓과 세뇌로 국민을 농락하며 향락을 즐기는것들과 세뇌 당하는 줄 알면서 인내하며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들로 구분되는 거~ 아 ~ 열받네..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는 전체주의에 대립되는 개념이 아닌데요. 당장 전체주의의 대표인 나치당이 민주주의로 전체주의를 확립한 나라인데 ㅋㅋ 민주주의의 대립개념은 전제주의죠.

  • @user-lh8cz6bw4n

    @user-lh8cz6bw4n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 vs 사회주의 그리고 자본주의 vs 공산주의 그리고 자본주의가 극도로 발전하면 영국.미국.일본. 독일등 자신의 몸을 확장하는 전제주의로 괴물화 되어감 주변 먹잇감들 웬갓 핑게 들이밀며 때려잡음.

  •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user-ok4zf6hj7h 전체주의와 민주주의를 대립 관계로 놓는 것도 문제는 없습니다. 전체주의는 각 사회 구성원들의 자유(좁게는 기본권)에 대하여, 사회의 이익을 근거로 침해하는 행위를 정당화하는 체제입니다. 그러나 민주주의에선(그 사회가 진정으로 '민주주의'라는 전제 아래에서) 사회의 이익을 근거로 하더라도 각 사회 구성원들에 대한 자유(좁게는 기본권)가 침해될 수 없죠. 이런 측면에선 대립 관계에 놓여있습니다.

  •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user-lh8cz6bw4n 정확하게는 제국주의입니다. 제국주의는 '자본주의의 기초적인 생산력(유효수요에 변동이 없다는 전제 아래, 부르주아의 과잉 공급이 발생할 수 있는 정도의 노동생산성)을 전제한 상태에서, 자본의 집적ᆞ집중의 고도화의 결과로서 발생한 독점자본(레닌의 분석에 의하면 산업자본과 은행자본의 유착인 금융자본)이 부르주아의 과잉 공급 해소에 필요한 유효 수요 상승을 위해 비자본주의적 영역 또는 미약한 자본주의 국가로 진출하는, 자본주의 국가의 행위 또는 체제'로, 자본주의 사회의 한 진화 단계입니다.

  • @kimyoungkyu958
    @kimyoungkyu9582 жыл бұрын

    아데나워가 할슈타인 안하고 스탈린 말들었다면 통일 더 빨리 하지 않았을까요??

  • @TheCrystopherKIM
    @TheCrystopherKIM Жыл бұрын

    타이틀 보고 깜짝.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자본주의 공산주의 .. 민주주의와 독재 봉권 전체주의 .. 정치제도와 경제제도를 섞어서 이야기 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행위 입니다. 아직도 아이들은 민주주의의 반댓말이 공산주의 라 말 하는데. 일단 타이틀 보고 몇자 적어요.

  • @dkdkdk898
    @dkdkdk898 Жыл бұрын

    한반도 문제랑 다른건 한반도는 북한은 의도적으로 공산주의를 추종해서 나눠져서 지금까지 탈북하면 개 ㅈㄹ발광했지만 독일은 서로 원하지 않는데 연합국에 의해 나눠짐 그래서 나중에는 경계도 허물어짐

  • @yskim7827
    @yskim7827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의 반대 개념는 전제주의(독재주의) 입니다. 공산주의의 반대 개념이 자본주의 이고요. 정치체제랑 경제체제를 전혀 구분 못하는듯.

  • @ykimkr

    @ykimkr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방송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기본적인 개념도 이해못하고 제목을 이렇게 쓰다니...한심합니다.

  • @user-dg7yy5jn4m
    @user-dg7yy5jn4m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 vs 공산주의가 아니라, 자본주의 vs 공산주의라고 해야되는거 아닌가요??

  • @dewjade4897

    @dewjade4897

    2 жыл бұрын

    당시 제1세계 국가들을 '자본주의'로만 규정하기에는 부족합니다. 그래서 '자유주의'가 더 적절하다고 봅니다.

  • @user-xb6cq8il9q

    @user-xb6cq8il9q

    2 жыл бұрын

    @@dewjade4897 그럼 자본주의 공산주의 맞음 만약 자유주의를 쓰려면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로 해야됨

  •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국가자본주의 vs 순수국가자본주의'가 좋겠군요.

  • @House_of_Min

    @House_of_Min

    Жыл бұрын

    수준에 맞춰주는거지

  •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Жыл бұрын

    사회주의 vs 공산주의 쪽이 훨씬 더해보여요 트럼프-자본주의 바이든-사회주의 유럽은 자본주의

  • @user-ig7zh8ju7x
    @user-ig7zh8ju7x2 жыл бұрын

    저 여성분이 누군진 모르는데 프로그램을 보면서 계속 이쁘단 생각을 하게되네 ㅋㅋㅋ 이쁘닷^^

  • @user-rc7qo9cl4d
    @user-rc7qo9cl4d2 жыл бұрын

    13:46 지금 기준으로 환산하면 140조원이 아니라 14조원이 맞는 거 아닐까요?

  • @minsooseo3102

    @minsooseo3102

    2 жыл бұрын

    당시 140억 달러가 1000원으로 계산해서 14조원이긴 한데 화폐가치가 현재 가치로 따지면 140조원 정도라고 말하는 것 같아요.

  • @user-rc7qo9cl4d

    @user-rc7qo9cl4d

    2 жыл бұрын

    @@minsooseo3102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 @oribudsk

    @oribudsk

    Жыл бұрын

    @@minsooseo3102 지금 현재가치가 50년대 현재가치 10배밖에 안되겠냐

  • @user-fs1ee4fe8y
    @user-fs1ee4fe8y2 жыл бұрын

    제목이 잘못됐음, 민주주의와 공산주의가 반대 개념 인가요? 자본주의 대 공산주의 아닌가요? 민주주의 이념은 어느 국가나 목표로 하고 있는 정치 이념 입니다

  • @user-ky6rg8mx9v
    @user-ky6rg8mx9v Жыл бұрын

    지도 고증좀 지켜라

  • @ddd-wn4ij
    @ddd-wn4ij Жыл бұрын

    근데 솔직히 뷱한도 간간히 목숨이어가는게 조총련이나 기타 암묵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본주의식 시장경제로 살아가는거아닌가 등소평처럼 시장개방해서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그냥 조선이 21세기까지 왕만 바꿔서 유지중인 나라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ㅋㅋ

  • @user-js5rq3bp8m

    @user-js5rq3bp8m

    Жыл бұрын

    @@user-ok4zf6hj7h 조선시대 왕도 연산군 제외하면 저따위로 통치하지 않았는데 ㅉㅉ 북한이 조선의 연장선? ㅋㅋㅋㅋㅋ

  • @hwankani
    @hwankani Жыл бұрын

    저기는 최소한 사살하지는 않았네

  • @justicejung2
    @justicejung2 Жыл бұрын

    난 이 프로가 과연 정확한지 의문이 든다 민주주의라...그 반대는 공산주의가 맞나..?

  • @BSjung1
    @BSjung12 жыл бұрын

    유엠에 아시아 국가들 가입이 늘어나야한다..

  • @XiJinPingNoMother

    @XiJinPingNoMother

    2 жыл бұрын

    이미 다 가입해있는데 뭘 더 원하시는거임?

  • @rationalconservative7792
    @rationalconservative77922 жыл бұрын

    북한이 일단 사상자체가 바뀌어야 흡수통일을 하던 뭘 하던 하겄는데..지금상황으로 볼 때는 그닥 그냥 이대로 남남처럼지냈으면 좋겠음 쟤네도 돈이 저렇게 많이 들어가는데 우리나라는 그럴 돈도 없음

  • @NodaYojiroSan

    @NodaYojiroSan

    2 жыл бұрын

    북한도 동독마냥 그나마 정상국가였다면 가능한 일인데 지금은 주체니 뭐니 거의 김씨 사이비국가라... 아무리 대북평화정책을 펼쳐도 효과를 보긴 어렵죠 그렇다고 옥죄어가지고 스스로 붕괴하게 만들자니 저놈들이 끝에 다다르면 핵무기라는 카드를 쓸놈들이니... 너무 퍼주는것도 안되고 너무 옥죄는것도 안되는게 맞는것같아요

  • @user-pe2yc3ht1f

    @user-pe2yc3ht1f

    2 жыл бұрын

    걍 북한은 김씨왕가 독재체재를 위해 존재하는곳임 쟤네가 진짜로 뭘 해보고싶었으면 이미 통일됐겠지 근데 갈수록 안좋아지는거보면 그낭 북한이라는 땅에서 독재를 이어나갈려고 하는걸로밖에 안보임

  • @existingbigriver4076

    @existingbigriver4076

    Жыл бұрын

    사실 말이 공산주의지 그 미친놈들 세습권위주의라 답도없음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정상국가로 자립할 의지만 있으면 돈이야 서로 경제적 이익을 취하며 천천히 경제성장 시켜주고 이후에 통일을 논하는 게 불가능하진 않습니다. 그럴 생각이 없는 게 문제죠.

  • @SJKIMMILK
    @SJKIMMILK Жыл бұрын

    영상제목에 낚여서 들어왔습니다. 제발 바꿔주세요

  • @user-uu3rv3bm3v

    @user-uu3rv3bm3v

    Жыл бұрын

  • @BSjung1
    @BSjung12 жыл бұрын

    유엔이 정말 제얃활도 못해.. 유엔은 의미가 없는 집단이야..현대사에 등장한 유엠은 늘..돈에맘휘둘리는 집단

  • @user-po9gs1zc4o
    @user-po9gs1zc4o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운도좋아 일본이 분단돼어야지 왜한국이 분단

  • @taeseongjo4506
    @taeseongjo4506 Жыл бұрын

    독일은 민주주의 국가가 아닙니다. 사민주의 국가입니다. 독일 친구에게 물어봄요. 대부분 잘못알고 계시는데 독일은 엄연히 사민주의 국가입니다.

  • @user-by7ol9wo2d
    @user-by7ol9wo2d2 жыл бұрын

  • @user-cg5bv1ow2u
    @user-cg5bv1ow2u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 vs 자본주의가 정확한 대비인데..뭔 개소리여

  • @hisayukikamado7311
    @hisayukikamado7311 Жыл бұрын

    ドイツが統一出来て朝鮮半島ができないのは、民度の差だと思います。 どちらの国も責任を相手に押し付けるからです

  • @watarun64

    @watarun64

    Жыл бұрын

    ドイツと日本両国が戦犯国家でしたが.。戦後ドイツは分割されて44年間反省する機会があったと思いますが、日本の代わりに韓国が分割されということと日本が原子爆弾の被害者になってしまったということでほとんどの日本人の方々はあなたのような考え方を持っていらっしゃるんじゃないかと思います。少なくとも日本人として歴史のことを言及する時に民度云々するのはありえないことだと私は信じております。

  • @agustvonhayek5523
    @agustvonhayek5523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좋아해서 한번 보다가 구역질 나서 무조건 거르는 프로그램인데,... 뭐?? 민주주의vs공산주의 ㅋㅋㅋ 자본주의 vs 공산주의 면 모를까?? 정치와 경제제도 마져 구분 못하는 인간들이 역사를 논 하신다,... 독약이 따로 없다 ㅉㅉ^^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도 사회주의의 분파로서 정치체제로 분류되기도 하니 아예 틀린 말은 아닙니다. 민주주의라기보단 자유민주주의라고 하는 게 더 옳았겠지만 민주주의에 세상 모든 좋은 가치가 다 들어있다고 생각하는 40대 특성상 그럴 수도 있죠 ㅋㅋ

  • @user-wf1yz4lj3q

    @user-wf1yz4lj3q

    Жыл бұрын

    맞춤법 조차도 못지키는 니부터 거른다 ㅅㄱ

  • @CristianoRonaldoByoungsin

    @CristianoRonaldoByoungsin

    Жыл бұрын

    지도랍시고 보여준 화면도 레전드임 ㅋㅋ 현대판도는 그러려니 하는데 오스트리아는 독립국이노 ㅋㅋ

  • @user-zf7hi7vm2m

    @user-zf7hi7vm2m

    Жыл бұрын

    @@CristianoRonaldoByoungsin 체코슬로바키아가 체코/슬로바키아 된것도 그렇고 39년에 체코가 남아있는것도 그렇고

  • @yelli_930
    @yelli_9302 жыл бұрын

    예나 지금리나 공산주의 사회주의는 패망 뿐이다 진짜...

  • @existingbigriver4076

    @existingbigriver4076

    Жыл бұрын

    순수 공산-사회주의는 멀은듯

  • @yoosteve1885
    @yoosteve18852 жыл бұрын

    뭔소리야.. 민주주의도 공산주의 일부인데 중화인민민주주의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모르나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Жыл бұрын

    현실은 딱히 걔네가 민주주의는 아님. 파시즘 독재국가지.

  • @user-js5rq3bp8m

    @user-js5rq3bp8m

    Жыл бұрын

    🇨🇳는 중화인민공화국인데;;

  • @BSjung1
    @BSjung12 жыл бұрын

    에전에는 자본주의 와 공산주의 지금은 자본주의와 세습독재 양쪽다 문제가 많은 체제..민주주의? 민주주의는 환상이지.부르조아 착취가 없지않아. 둘다 이젠 끝물

  • @info_biz

    @info_biz

    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는.... 현존 하는 체제 중 가장 덜 나쁜... 체제여서 인정되는거죠 강력한 장점은 없지만 그렇다고 사회가 한 번에 무너질 수도 있는 불안정한 체제는 아니니까

  •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info_biz 민주주의는 현존하질 않습니다...

  • @info_biz

    @info_biz

    Жыл бұрын

    @@user-oz3wj7sh3g 님이 추구하는 민주주의는 없을지 몰라도 제가 추구하는 민주주의는 미흡하나마 있습니다.

  •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info_biz 당신이 추구하는 민주주의는 무엇입니까?

  • @info_biz

    @info_biz

    Жыл бұрын

    @@user-oz3wj7sh3g 현재 존재하는 민주주의 체제죠 굉장히 미흡하고 부족하지만, 모든 인간을 만족시킬 수는 없기에 현 체제를 발전시켜야 하는 겁니다.

  • @user-vv2lw1zn7d
    @user-vv2lw1zn7d2 жыл бұрын

    그만 쳐다봐라 나라도 읽겠다

  • @user-br7hd7no7f
    @user-br7hd7no7f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 이념도 이해 못 하면서 저기서 강의하고 있는 거 되게 웃기네 민주주의 vs 엘리트주의이고 자본주의 vs 공산주의다 단어 뜻도 모르면서 어떻게 교수는 됬는지 디게 궁금하네 ㅋㅋㅋ

  • @user-bf4tc2qs2u
    @user-bf4tc2qs2u2 жыл бұрын

    저 시대 서방세계는 자유주의 소련은 민주주의를 지향햇다. 왜 이런 기본적인 개념도 맘대로 조작하지? 근대에 민주주의 주장한건 소련이엿다.

  • @anthony2444

    @anthony2444

    Жыл бұрын

    초반에 민주주의를 주장하면 뭐함? 밑낯은 일당독재였는데

  •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Жыл бұрын

    이건 또 뭔 헛소리지 소련이 민주 지향?ㅋㅋㅋㅋ 공산주의 기본 이념 자체가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당으로의 권력집중인데. 초창기 운운하지만 그 초창기 볼셰비키 구호가 "모든 권력을 당에게로"였어.

  •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ignisilluminati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혁명적인 프롤레타리아에 의해 부르주아적 요소들이 철저하게 분쇄된 국가 기구'에 권력이 집중된 상태인데, 이를 구체적으로 해석하는데에 있어 '프롤레타리아 전체의 공통적인 이익을 충분히 대변할 수 있는 이들'(달리말하면, '혁명적인 프롤레타리아가 사회주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휘')로 이루어진 국가 기구에 권력이 집중된 상태로 해석한게 레닌주의적 전위당론이었습니다. 이외에는 사실 대부분 더 민주적인 체계를 주장했습니다만, 혁명 자체는 볼셰비키만 성공했습니다. 헌데 여기서 적백 내전을 거쳤기 때문에 지나치게 중앙집권화 되었다가 스탈린의 집권까지 겹치며 더는 대의민주주의적일 수도 없게 되었죠.

  • @IsKANTAR-gu1kz

    @IsKANTAR-gu1kz

    Жыл бұрын

    @@ignisilluminati 프롤레타리아 독재란 것도 독재라는 말때문에 민주의 반대처럼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프롤레타리아 즉 노동자 계급이 권력을 나눠 가져 다스린다는거죠 국민들이 나라의 권력을 쥔다는 민주 정신과 다를바 없죠 그런데 님 말처럼 소련은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당으로의 권력집중을 했다라는 말대로라면 소련은 일당독재와 민주주의를 동시에 지향 했다는 말처럼 되는데 그런 모순적인 말이 어딨나요 애초에 공산주의 기본 이념에 일당 독재라는 내용도 없고요 ㅎ 그리고 볼셰비키의 구호는 모든 권력을 당에게로가 아니라 소비에트로 였습니다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 제국이 무너지고 백군(왕실세력, 자본가 등)과 적군(공산주의)의 내전 중인 상태였고 이에 공산주의 혁명가인 레닌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적군)로 라는 구호를 내세워 백군과 적군의 이중권력을 해소하려 했던것이지 모든 권력을 당에게 주어 독재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위에 댓글 다신 분 말 처럼 소련은 세워지고 초기에 공산주의를 지향했기에 민주주의 또한 지향했습니다 애초에 사회주의 안에 공산주의와 민주주의가 있는거기도 했고 실제 레닌도 자신의 후계자 스탈린에 의한 공산당 일당독재를 우려해 유서를 남겼지만 이는 스탈린에 의해 숨겨져 알려지지 못했죠 소련은 스탈린에 의해 일당독재를 한 "독재 국가"는 맞지만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하지도 않았구요ㅋㅋ 공산주의는 더더욱 아니었습니다 지구상에 공산주의를 실현한 나라는 존재치도 않았아요 모두 표방한 나라들 뿐이었죠 조금만 공부해도 다 알 수 있어요

  • @ignisilluminati

    @ignisilluminati

    Жыл бұрын

    @@IsKANTAR-gu1kz 흔히 소련을 옹호하려는 사람들이 소련 공산주의가 원래 그런 게 아닌데 혁명의 배반자 스탈린이 모든 걸 망쳤다는 식으로 서술하곤 하는데, 그건 거짓입니다. 레닌 시대에도 이미 비밀경찰을 이용해 반대파, 그것도 복고주의자뿐 아니라 의회주의자들까지 탄압했던 전례가 있고, 이미 민주집중제와 당 중앙의 무류성("인민의 의사가 각급 단계를 거쳐 모인 당 중앙은 무오류"라는 이론)을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시다시피 전자는 훗날 엔카베데로 발전하여 경찰국가이자 일당독재국가인 소련을 만들었고, 후자는 권력 중심부에서의 권력 견제와 분립을 원천적으로 무력화하면서 한 사람 - 설사 스탈린이 아니었더라도 트로츠키나 다른 누구든 - 이 절대권력을 쥘 수 있는 환경을 갖춰 주었지요. "레닌이 스탈린만큼 폭압적인 공산주의를 추구하지는 않았다", 혹은 "소련 시대가 적어도 그 이전의 러시아 제정보다는 나았다"까지는 동의할 수 있지만, 설사 스탈린이 1922년쯤에 사고사로 죽고 레닌이 몇 년 더 살거나 트로츠키 부하린 지메네프 카노비예프 혹은 다른 누가 권력을 잡았더라도 그 태생부터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결여되었던 소련의 퇴보와 역사적 결말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겁니다. 반대항의 미국이 비록 건국 시점 기준으로 사상적 진보성(흑백차별하던 미국 vs 여성참정권 부여한 소련..)에서는 소련보다 밀렸을지언정, 민주주의를 영속시키기 위한 제도적 권력 견제와 분립 장치만큼은 확실하게 갖춰놓으면서 느리지만 꾸준하게 전진했던 것과 대비되는 부분이기도 하지요. +) '소비에트'는 '적군'이 아니라 '평의회'라는 뜻입니다. (적군은 '크라스나야 아르미야') 소비에트로 권력을 집중시킨다는 것은 곧 최고평의회가 권력을 독점하겠다는 구호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