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한지붕 세가족이 갑자기 늘고 있는 이유 (해담경제연구소 어예진 소장)

👉언더스탠딩 문의: to.understanding.official@gmail.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멤버십 가입
/ @understanding.

Пікірлер: 293

  • @Whatdoyouknow307
    @Whatdoyouknow3073 күн бұрын

    어질고,예의 바르고,진실이 묻어나는 어 소장님 참으로 선하신 분 같아요. 모질고,대차고, 한가할틈 없으며,민초들만 고초 겪으며, 국물도 없는 인심 속에 오늘도 보여지는 어 소장님의 선한 음성과 성품이 보여져 영상 볼때마다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될듯하여 기쁘게 영상 보게 됩니다. 늘 잘 되시고 가족에게 행복함이 내려 보호 하길 기원 합니다.

  • @user-st5nn7yb7o
    @user-st5nn7yb7o6 күн бұрын

    임신과 출산은 1년이지만 양육은 적어도 20년 입니다

  • @user-td6ln9od6t

    @user-td6ln9od6t

    6 күн бұрын

    둘이벌어도 사교육비를 될수가없다

  • @grx1988

    @grx1988

    5 күн бұрын

    ​@@user-td6ln9od6t왜그럴까요? 수준보다 과소비하니 그런거에요

  • @ec3462

    @ec3462

    5 күн бұрын

    양육이 더 문제이고 돈도 돈이지만 자유와 쉼이 없어요. 끊임없이 노동이예요. 아이가 스스로 자기 일을 시간 맞춰 지내는 습관이 생기기까지

  • @rosedear674

    @rosedear674

    4 күн бұрын

    북유럽 거주 경험으로 적습니다. 그쪽 동네하고 한국을 비교하면 안됩니다. 임신 출산 육아 환경이 한국과 너무 다릅니다. 이른 퇴근, 아이 컨디션에 따라 자유롭게 회사 나서는게 가능한 분위기, 육아를 위해 근무시간을 줄일 수 있는 나라고 육아휴직도 아빠도 당연하게 쓰며 집안일 가사 육아 참여도가 엄빠가 같이 한다는 생각과 실행이 디폴트로 되어있습니다. 시대가 많이 변했다고 해도 한국 40대 전후 부부, 주변에 들어보면 맞벌이 해도 엄마의 가사 육아 비중이 높아요. 그리고 그쪽 육아 스타일은 한국과 달라요. 한국은 더 깐깐하고 깔끔하고 신경 많이 써서 키웁니다. 유치원 유아원도 그렇구요. 그쪽 동네 애들은 유아원 유치원 하원 때 보면 머리 엉망이어도 예쁘게 묶어주고 빗어주고 그런거 없어요. 전체적으로 육아에 쓰는 정성이 달라요. 일단 북유럽처럼 4-5시 퇴근하고, 아빠도 육아휴직, 육아 부모는 근무시간 마음대로 줄여서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이 되면 차차 변해갈 수 있다고 생각해요. 변하기 전까지 임신 출산 맞벌이인 집의 엄마는 죽어나니 북유럽 경우를 한국과 같게 보기는 힘들지만, 어쨌거나 이런 것들이 북유럽과 같은 제도적 사회적 기반이 마련되면 편견일 뿐 불가능한게 아니라는 점에서는 의미있는 시간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어예진 소장님의 울컥하는 마음 워킹 맘들이면 다 이해할 겁니다. 덧붙이자면 북유럽도 그래도 엄마가 아빠보다 육아나 교육등에 더 열심이고 리드하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제도가 차이를 없애려 잘 되어있어도 여자가 몸에서 키워 낳다보니 본능적으로 자연스러운건가 하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사회생활 아웃풋과는 별개로요.

  • @user-xs8vi6ts7y

    @user-xs8vi6ts7y

    2 күн бұрын

    ​@@rosedear674그런데 북유럽도 차이만 있지 출산율은 줄어들고 있지 않나요? 근본적인 해결책이 있을까요?ᆢ

  • @user-dungsil
    @user-dungsil5 күн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울컥하시는 거 보니 저도 아이 가진 엄마로 마음이 아프네요. 잘해오셨고 앞으로도 잘하시리라 생각합니다. 어 소장님이 언더스탠딩에서 전해주시는 지식 잘 듣고 있어요. 감사드리고 응원 보냅니다!!!

  • @user-fu1qi2do3b

    @user-fu1qi2do3b

    2 сағат бұрын

    이상한데 감정 동조하지마세요 어예진 소장은 재벌2세에요 ㅎㅎ

  • @kimjch7508
    @kimjch75086 күн бұрын

    나이가 든다고 성숙해지지 않아요

  • @user-ub3wd4nx3g

    @user-ub3wd4nx3g

    5 күн бұрын

    제가 건설노동자로 일합니다. 지난 겨울에 65세 노동자와 숙소 함께 썼어요. 한겨울에 숙소에서 웃통 벗고 팬티만 입어요. 온돌 난방 79도까지 최대로 올려요. 유리창 열고 자더군요. 회사 비용으로 숙소 난방한다고 경우없이 살더군요.

  • @user-nr6bg7oj9p

    @user-nr6bg7oj9p

    Күн бұрын

    늙은 남자중 어른들 참 없더라 철없는 사춘기 애들 같은 인간들 많다

  • @SKCCP
    @SKCCP6 күн бұрын

    단독주택에서 쾌적하게 살다가 좁은 주택/닭장에서 못지냅니다. 그리고, 저만 그럴수 있지만, 시끄러운거 견디기 어렵습니다.

  • @user-et9fw9of8l
    @user-et9fw9of8l6 күн бұрын

    갱년기 남자들 수다와 변덕을 이기는게 최대 난제

  • @ReuquenBakemanfeesf

    @ReuquenBakemanfeesf

    6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봐

  • @user-hi9uj2wd7s

    @user-hi9uj2wd7s

    6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 @doit3592

    @doit3592

    4 күн бұрын

    남자들은 수다 좀 떨면 안되나? 고정관념으로 보지 맙시다~~~

  • @KSU852
    @KSU8526 күн бұрын

    소규모 중소기업 보면 애초에 출산 휴가 이후 복직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은거 같던데 이걸 해결하려고 남성 여성 강제로 똑같이 출산휴가를 줘야 하는데 그러면 부작용으로 유부남 유부녀들의 진급에 문제가 생기면서 독신, 딩크 선호가 늘어나 출산율이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으니 해결은 참 힘들거 같음

  • @user-zr2po3dk7r

    @user-zr2po3dk7r

    6 күн бұрын

    그쵸...우리나라는 소규모 고용형태의 좆소기업 자영업이 너무 많은게 문제입니다...이런기업나 사업장은 나라가 지원해도 힘드니깐요....대기업 고용비중이 우리나라 2,3배나 되는 유럽 일본이랑 다른문제죠

  • @ReuquenBakemanfeesf

    @ReuquenBakemanfeesf

    6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봐

  • @deathfielder

    @deathfielder

    6 күн бұрын

    출산휴가 비용을 국가가 대줘야지 국가의 문제를 회사와 개인에게 돌리는게 문제 쓸모없는 여가부

  • @KSU852

    @KSU852

    6 күн бұрын

    @@deathfielder 꼭 휴가 비용 뿐만 아니라 영세 기업은 한명이 빠지면 한명을 더 고용해야 하는데 출산 휴가 간 사람 복귀 했다고 새로 고용한 사람 짜를 수는 없으니 그냥 퇴직금 받고 나가달라는 분위기가 된거 같아요 몇개월 일할 사람 비정규직으로 뽑으라고 하면 대학 시간강사분들 같은 문제점이 생길거 같고 짤릴걸 알고 들어오려는 사람도 적을거 같고요 고용유연화를 주장하기에는 정부도 기업도 신뢰를 잃은거 같고요

  • @user-yy7ku6lh7f
    @user-yy7ku6lh7f6 күн бұрын

    어예진 소장님 아기키우시면서 주변에 도움 많이 못 받으시면서 키우셧나 아니면 일과 육아를 병행하고 싶으셨는데 잘 안 되서 아이는 좋지만 너무 힘드셨나 그 인생. 삶을 알 수 없지만 덕분에 92년생 애둘맘으로 저는 군인인데 양립하려고 노력하면서 제도도 되고 지금 하고 있어요.(6개월만에 복직해서 보수교육 받고 2년간 빡세게 야전에서 구르다가... 사람없고 일은 그대로니 가끔 부대에서 잣어요 ㅠ.ㅠ 지금 전보다는 괜찮은 보직이라 잠깐 숨시면서 육아시간 쓰고 잇어요) 워킹맘대디의 노고를 알아주셔서 감사하고 그냥 응원하고 싶어서 나중에 아드님이 엄마를 자랑스러워하고 소장님도 아드님을 자랑스러워하는 순간이 오는 걸 기도하겠습니다(종교없어요 제 마음의 신에게 기도하는 거랍니다 토요일 오전인데 주말 좋은 기운 소장님께 가득하길❤❤❤) 그리고 딸둘을 낳고 나니까 세상이 또 달라보이더라고요. 참 배우는 게 많습니다.ㅎㅎ 화이팅팅

  • @ljs2358
    @ljs23585 күн бұрын

    훌륭한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 @mistermea7665

    @mistermea7665

    5 күн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 @lupin9305
    @lupin93054 күн бұрын

    오늘은 두 주제가 모두 너무 중요한데 순서랑 분량상 두번째가 제목에 못올라온것 같아 아쉽네요 어예진 소장님과 대한민국의 모든 워킹맘 분들 존경하고 화이팅입니다!!😊

  • @tolexus
    @tolexus6 күн бұрын

    어소장님..애 키우시면서 고생 많이 하셨나봐요..훌륭하셔요. 화이팅

  • @jaeyonglee296
    @jaeyonglee2966 күн бұрын

    미국 노인들이 집관리하는 것을 보면 안쓰러울 정도입니다. 6월부터 마당 풀들이 미친듯이 자라는데 주말마다 풀깎기가 고역입니다.

  • @ReuquenBakemanfeesf

    @ReuquenBakemanfeesf

    6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봐

  • @user-gz5bv9ok9z

    @user-gz5bv9ok9z

    6 күн бұрын

    @@ReuquenBakemanfeesf붕신

  • @YongHuh-eg5dn

    @YongHuh-eg5dn

    6 күн бұрын

    예 공감합니다 혼자사는데 뒷마당이 600평 관리부실 작년에 자연발화로 큰불로 창고 건축자재소실로 다행. 감당할수없는 재물은 오히려 화가되는구요. 좋은 아이디어 감사.

  • @oilf5333

    @oilf5333

    6 күн бұрын

    100%공감 합니다 집 관리 해야죠 집 세금에 보험에 오래된 집은 항상 고쳐야 하고 늙어보니 작은 집과 작은 마당이 최고 입니다 집 가지고 있으면 돈 많이 듭니다

  • @user-zw3uu2uy7j

    @user-zw3uu2uy7j

    6 күн бұрын

    집 자체도 단독주택은 관리 겁나 힘들텐데 정원같은건 돈줘서 없애야함

  • @user-qt8sh8df8z
    @user-qt8sh8df8z6 күн бұрын

    노인이면 이미 10년 다 넘었지. 10년 안댔으면 역서권 가격 상승 노리고 들어온건데 무슨 양도세 10년 타령. 팩트는 노인들도 역세권 살고싶어해서 안나가는건데 이프로 억지좀 적당히 부리자

  • @user-xo8rw1we9b
    @user-xo8rw1we9b6 күн бұрын

    한국의 주택정책은 어떠한 정책을 펴도 정답이 없음...다들 똑똑한척 하지만 막상 그런 정책을 시행하면 다른 엉뚱한 문제가 발생함

  • @SL-mc8jv

    @SL-mc8jv

    6 күн бұрын

    👍 👍 👍

  • @deathfielder

    @deathfielder

    6 күн бұрын

    멍청한척 다 알고 하는거입니다

  • @agga3339

    @agga3339

    6 күн бұрын

    자비로하냐 ? 풍부한 지원금 을 제공하냐 ? 차이를 모르면 . . . .

  • @Cokeflavorgummy

    @Cokeflavorgummy

    5 күн бұрын

    참주정치 모르나요? 대중을 가난에 묶어둬야 편하잖아요~ ㅋㅋㅋㅋ

  • @user-vf5lk6pl1d
    @user-vf5lk6pl1d6 күн бұрын

    저는 예전부터 이렇게노후를준비하려는데...

  • @user-pr1te4zg1i
    @user-pr1te4zg1i6 күн бұрын

    어소장님 마지막에 너무 웃겼어요 😂😂😂😂

  • @user-gh9jc4ui7w
    @user-gh9jc4ui7w6 күн бұрын

    오늘 내용은 정말 생각이 많아지는 내용입니다~~ 사위 며느리가 결국 남보다 불편하다는 생각이 드는게 슬프네요 ㅠ ㅠ

  • @ReuquenBakemanfeesf

    @ReuquenBakemanfeesf

    6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봐

  • @hkim6721

    @hkim6721

    6 күн бұрын

    당연하죠 뭐가 슬퍼요. 며느리를 남처럼 존중안하고 하녀로 생각하는 어른들이 문제죠

  • @user-bu2dk1lm3b
    @user-bu2dk1lm3b6 күн бұрын

    진짜 인생 훅 갑니다. 출산과 육아 쉽지 않았지만, 지지고 볶은 지난날 직장27년세월의 보상보다는 내새끼 대학마치고 사회의 일원으로 당당할 때 정말 뿌듯했네요!

  •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는 안 맞을듯 대부분 아파트라서 같이 여러명 사는거 자체가 고역임 미국은 전원주택이라서 가능한듯

  • @user-lv6kt1di5z
    @user-lv6kt1di5z5 күн бұрын

    붐 메이츠~~ 굿~😊😊잘듣고 갑니다~~❤

  • @user-wd3sk9nb1k
    @user-wd3sk9nb1k6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주택이 크고 보통 지하 포함 3층이라서 같이 살아도 사생활이 어느정도 보호 되어서 좋을듯해요 나이들어서 집이 뚝뚝 떨어져 있어서 외로움과 불안도 어느정도 해소할 수도 있구 장점이 많을 듯 해요

  • @lalala9981
    @lalala99815 күн бұрын

    10년이 문제가 아니라 노인 일수록 병원때문에 외곽으로 못나가요..

  • @cheesycheddar7530
    @cheesycheddar75304 күн бұрын

    어소장 눈물 찔끔 이해합니다 ㅠㅠㅠ

  • @user-yc1pt5tp7c
    @user-yc1pt5tp7c6 күн бұрын

    어소장님 화이팅!!!

  • @ReuquenBakemanfeesf

    @ReuquenBakemanfeesf

    6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봐

  • @user-vt1ll1ru1b
    @user-vt1ll1ru1b3 күн бұрын

    양도소득세 좀 없애주세요. 가격폭락하게

  • @user-sl8xz2lr6x
    @user-sl8xz2lr6x6 күн бұрын

    어소장님 사랑해요💕💕💕💖🥰

  • @dalliimkim9427
    @dalliimkim94275 күн бұрын

    어예진소장님 얘기 늘 흥미로워요 옆에 사람이 있다는게 딱히 같이 하는게없어도 외롭지않아요 그리고 가족이 아니니까 오히려 선을 지킬터이니 더 좋을듯

  • @BackGoo109
    @BackGoo1095 күн бұрын

    하하하 이 세명 조합 좋아유

  • @mmercury25
    @mmercury253 күн бұрын

    파이팅 엄마아빠들

  • @souldjin
    @souldjin5 күн бұрын

    새로운 트렌드 잘 들었습니다.

  • @martin85choi
    @martin85choi4 күн бұрын

    5:42 아재 둘의 짧은 만담 시간을 이제는 능숙하게 대처하게 된 어 소장님😂

  • @user-cb5qv4bp1q
    @user-cb5qv4bp1q6 күн бұрын

    돈 있어도 외로운게 더 무서워요

  • @ReuquenBakemanfeesf

    @ReuquenBakemanfeesf

    6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봐

  • @gogo-rk1je

    @gogo-rk1je

    5 күн бұрын

    이 친구 안 아파봤구만 아파보면 외로움? 푸핫 코메디하노

  • @user-cb5qv4bp1q

    @user-cb5qv4bp1q

    4 күн бұрын

    나 70대 혼자 아픈게 얼마나 슬프고 무서운지앎?

  • @yaletowngirl
    @yaletowngirlКүн бұрын

    맞아요 맞아 옛날에는 한지붕 두가족 그랬어요 다시 그 시절이 돌아왔네요. 이민자 나라에서는 남이라도 식구처럼 살아가요. 다 홀로와있으니까요.

  • @SamJangFan50
    @SamJangFan505 күн бұрын

    이 조합 의외로 케미가 좋습니다. 내용도 흥미롭고... 😊

  • @ddjaksiwo6788
    @ddjaksiwo67884 күн бұрын

    예진소장님...은근 묘한 중독성 있음...ㅎㅎ

  • @user-et9fw9of8l
    @user-et9fw9of8l6 күн бұрын

    후반부엔 각자 다른 마음 다른 얘기!😊ㅋㅋㅋㅋㅋ

  • @fruitwhite2877
    @fruitwhite28776 күн бұрын

    모성애 관련 연구 재밌네요 ㅎㅎ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게 아니라 조금 걸러 들어야겠지만,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 @deathfielder

    @deathfielder

    6 күн бұрын

    아마 논문을 보시면 다 고려해서 작성했을꺼에요

  • @ramen603
    @ramen6036 күн бұрын

    멕시칸들이 그렇게 살고 있음 이민와서 집 모기지를 붇기 위해서 그런거 같은데 백인들이 그렇게 사는거 보질 못함

  • @moonster1632

    @moonster1632

    6 күн бұрын

    인도 애들은 한지붕 10가족은 살죠~ㅎㅋ

  • @ReuquenBakemanfeesf

    @ReuquenBakemanfeesf

    6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봐

  • @BigDipper3881
    @BigDipper38812 күн бұрын

    가족은 서로 기대를 안 하면 된다 그러면 불화가 생기지 얗는다

  • @user-ey1qg4pe4m
    @user-ey1qg4pe4m6 күн бұрын

    예진소장님 팬이예용

  • @joobo1875
    @joobo18756 күн бұрын

    이프로님...시각과 말이 옳아요.

  • @jaisonyan3597
    @jaisonyan35976 күн бұрын

    아파트 인기가 없는 미국은 총기난사 조심해서 그런듯 합니다 ㅎㅎ

  • @strangerland9791
    @strangerland97916 күн бұрын

    체외수정 경우엔 성공하면 그만 시도 할꺼니 직장에 더 일찍부터 몰두할수 있고 실패 한 경우엔 자꾸 시도하니 직장일에 좀 덜 신경을 쓰게 되서 그런거 아닐까요?

  • @user-xr9iq3nx9q
    @user-xr9iq3nx9q6 күн бұрын

    이젠 충청도 사투리만 들려도 웃김

  • @peppy3100
    @peppy31006 күн бұрын

    여기가 내가 태어난 곳이고 고향인데 떠나라고? 라는 어르신들도 있습니다. 추석을 좋아하는 저 또한 수도권이 여유있게 비어서 좋습니다.

  • @ohjinmyoung7350
    @ohjinmyoung73506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몇년전부터 그러더라고요.

  • @gogo-rk1je
    @gogo-rk1je5 күн бұрын

    서양에도 예전부터 많았음.. 반지하 1층 2층.. 집주인한테 월세내고.. 집주인이 모기지 이자내고.. 보기엔 그럴듯해보여도 알고보면 세입자랑 같이 살고 참...

  • @minee3274
    @minee32742 күн бұрын

    캬~이프로님~사이다~시원~~하네요~~^^애낳는거 진짜 24/7~그 90%에 못자고 못먹고 먹다 체하고 뼈는 물러지고 손목은 다 나가 팔뚝으로 애 받쳐들고 큰일도 그 팔뚝으로 애 안고 해결했던거 생각하면 아 진짜...출산, 육아라는게 거의 인간이길 포기하는 희생이 동반되어야 가능하죠.. 소장님 울컥하시는거 백분 공감임다~이프로님 이해해주시는 것 같은 멘트에 좀 치유가 되네요..

  • @vsy56
    @vsy566 күн бұрын

    논문을 직접 읽어보진 않았지만 대리모를 통해 아이를 가진 부모는 본인이 출산한 부모에 비해 출산 휴가를 남녀 상관없이 더 비슷하게 받는지 볼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 @user-qb2vh4ep7m
    @user-qb2vh4ep7m6 күн бұрын

    Uh yeah!

  • @jongyoonoh6721
    @jongyoonoh67216 күн бұрын

    가족이 싫은게 아니고 살고있는 위치가 다른거지요.

  • @kiweejam
    @kiweejam6 күн бұрын

    뱃속에 10달이 쉽진 않음.

  • @user-vk7od9wm3f
    @user-vk7od9wm3f4 күн бұрын

    혼자 사는 게 젤 편한데...

  • @claudiayun5675
    @claudiayun56756 күн бұрын

    뉴질랜드도 ‘그래니 플랫’이라고 그런 독립된공간이 있는 집들이 있는데, 보통 렌트 소득이 나오는 집이라고 .. 인기가 있습니다.

  • @mansoo2256
    @mansoo22565 күн бұрын

    특히 인구가 많은 베이비붐세대들이 사망하게 되면 인구분포가 재조정이 되지 않을까요?

  • @vnfma7
    @vnfma75 күн бұрын

    어소장님 마지막에 귀엽 ㅋㅋㅋㅋ

  • @user-gd7tw1pd7l
    @user-gd7tw1pd7l6 күн бұрын

    상황이 다 다른데 실험했다고 그 내용이 다 일반화되지는 않을것같습니다 사람이 다 다르고 상황이 다 다릅니다 출산과 육아에서 배우는점이 많아요 한인간으로 성숙하게 되는 계기도 되고

  • @ChrisTennis
    @ChrisTennis6 күн бұрын

    평생 사셨고 자녀들 키워낸 정든 큰 집 쉽게 떠나지 못하시는 어르신들 많더라구요, 그리고 지역학교들이 수용할 수 있는 학생숫자가 제한되 있어서, 다세대 주택 허가 잘 안 내줄겁니다.

  • @VanessaSung
    @VanessaSung6 күн бұрын

    이프로님 진짜 똑똑하심!

  • @HongNarella
    @HongNarella6 күн бұрын

    부모 모시면 다주택 중과 됩니다

  • @Yang-hu1mr
    @Yang-hu1mr6 күн бұрын

    이 아짐 너무 재밌어유

  • @jihongmin0616
    @jihongmin06165 күн бұрын

    역시 부동산은 이프로

  • @japchae
    @japchae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는 이 정권에서는 홈스테이 정책은 안됨. 집값떨어질까봐

  • @bca280
    @bca2804 күн бұрын

    평소에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오늘 주제도 정말 흥미로웠어요!! 체외수정을 어떤 경우에 하는진 잘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상식으론 대리모를 쓸 정도로 부유한 가정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한국보다 복지도 좋고 가부장적이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나라에서 상류층인 사람들의 임신출산은 별로 커리어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정도로 보는게 더 맞을것같네요! 우리나라도 말씀하신대로 의학적인 기술이 많이 발전해서 체외수정으로 애기를 갖는게 일반화될 정도라면, 복지나 사람들의 인식도 많이 상승되어 그때되면 여성들의 커리어가 임신과 출산의 영향은 덜 받지 않을까요? 현재의 대한민국에 적용하기에는 조금.. 성급한 일반화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ㅎㅎ

  • @user-ve3mw9no5g
    @user-ve3mw9no5g4 күн бұрын

    시험관실패한 사람들이 게으를 수도 있다는 걸로 들려서 좀 그렇네요. 말씀하실 때 한 번만 더 생각하시면 좋겠네요

  • @user-kn8oo7yb6i
    @user-kn8oo7yb6i2 күн бұрын

    대부분의 미국주택은 방마다 화장실이 딸려있고, 층마다 작은부엌을 만들수 있는 구조가 충분해서, 여러가구가 살더라도 사생활 침해가 덜하니, 붐메이트 바람직한거 같네요

  • @milesjo4070
    @milesjo40702 күн бұрын

    공변량을 무엇으로 두었냐가 중요한 연구일 것 같군요. 지능의 영향력(지능=(정신)건강이해력=치료순응도)을 배제한 연구를 보면 좋겠습니다. 지능이 소득에 영향을 주었는지, 아니면 지능을 공변량으로 둬도 차이가 없을지 궁금하네요.

  • @user-bi9rt4kg6x
    @user-bi9rt4kg6x6 күн бұрын

    어예진 ❤

  • @yundee716
    @yundee7166 күн бұрын

    캐나다 (적어도 비씨주)에서는 한가정집을 두집이 함께 살도록 레노베이션 하는데 5만불을 지원 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렌털을 포함해서 공급이 부족하여, 자녀들이 돌아와 부모와 갈등이 생기면서 문제가 많이 발생을 하다보니, 아예 집을 개조해서 별도 스위트를 만들어서 함께 살지만 독립적으로 살 수 있는 시세보다 저렴한 렌트를 허용하는.....

  • @user-xg1rx2tf4j
    @user-xg1rx2tf4j6 күн бұрын

    😅ㅋㅋㅋ ㅋㅋㅋ이 프로님짱🎉🎉🎉

  • @SHKim-uv4wo
    @SHKim-uv4wo5 күн бұрын

    연령에 관계없이 비슷한 규모로 지출하는 것이 주거비임을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 @user-po7mv8rj4l
    @user-po7mv8rj4l22 сағат бұрын

    때로는 의사소통이나 기본 예의를 지키는 부분에서 가족ㆍ친족보다 남이 편할수도 있지요 ㅎㅎ

  • @schang3095
    @schang30956 күн бұрын

    당해보면 안다. 생각해 볼 문제가 아니라 닥쳐서 환경에 따라 선택한다. 그래서 가장 중요햔 것이 인성이고 사회적 교육과 제도가 충분히 뒷바침뒤어야 한다.

  • @blessings2u826
    @blessings2u8266 күн бұрын

    미국뿐 아니라, 우리나라도 그런 문제를 안고 있는 동네가 많을겁니다. 노인들이 많이 주거하는 서울 "ㅇㅇㄷ"의 아파트들도 보세요. 그 교통 편하고 서울의 중심지인데 노인들이 그 큰 집에서 사십니다. 아파트 단지 걸어보면 80% 이상이 70-80대 이상이라는 것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을겁니다. 여전히 라디오 듣고, 여전히 종이신문 보죠. 폰 다룰줄도 모르고, 새로운 테크놀로지는 사용하기 힘들어해요. 그렇다면, 자식들하고 좀 잘 지내야하는데, 부와 나이라는 권력을 가지고 있으니 여전히 "내 나이가 어때서~" 마인드 안 버리시죠. 그 분들의 자녀세대인 낀세대들은 너무 힘듭니다.

  • @user-justdoit79
    @user-justdoit796 күн бұрын

    안기자님 유독 황혼이혼을 강조하는 이유가? ㅋㅋㅋ

  • @user-ux6kk2li2p
    @user-ux6kk2li2p17 сағат бұрын

    맞습니다 이상한법 만드는데는 선수들입니다

  • @namse-back-account
    @namse-back-account3 күн бұрын

    토론 컨텐츠 있어도 재밌을듯

  • @kimsink3007
    @kimsink30074 сағат бұрын

    병원이 가까이 있어야 하는 곳에 노인이 살아야하는데 외곽지역 에 병원이 없잖아요.

  • @kimsink3007
    @kimsink30074 сағат бұрын

    Babyboomer 인데 큰 집을 multiple family 로 만든 집을 사서 사는데. 도움이 필요하면 아파트 한채 공짜로 살게하고 간단한 집 관리 시키려고 해요.

  • @The911909
    @The9119093 күн бұрын

    겪은바로 임신과 출산은 크게 어려운 문제가 아니었어요. 명백히 양육이 문제입니다.

  • @user-hk9mg5ru4g
    @user-hk9mg5ru4g6 күн бұрын

    여자 경력단절 문제는 남녀 둘 다 강제로 출산휴가를 쓰도록 하면 좀 공정해질 듯.

  • @user-vs6pm2wu9d
    @user-vs6pm2wu9d6 күн бұрын

    덴마크는 애들 공부를 안시키잖아요 ㅋㅋ

  • @julieahnkoala
    @julieahnkoalaКүн бұрын

    입양도 좋아요.

  • @vivilove8743
    @vivilove87436 күн бұрын

    감정이 섞이니까 그런가봐요...

  • @user-lh7uc3gz2t
    @user-lh7uc3gz2t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나이로 서열을 따지는 문화 때문에 붐메이트는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나이로 서열 정리하는 것도 부족해서 경로우대를 당연시하고 텃세 습성까지 여전하니 누가 자신보다 나이 많은 노인과 함께 살고 싶어 하겠는가 싶네요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10 сағат бұрын

    한국인은, 주종관계, 상하관계, 군신관계, 선후배관계, 갑을관계 가 있을뿐, 평등관계 라는게 있을수 없는 민족임. 존댓말이 없어지지 않는한, 민주와 평등은 요원한것.

  • @jinyoungyu4921
    @jinyoungyu49216 күн бұрын

    이프로님 드라마 "며느라기"추천드려요. 단순히 임신 출산만의 문제가 아니에요..현실적인 문제가 잘 드러난 드라마라고 생각해요

  • @user-ln7eo1sz5u
    @user-ln7eo1sz5u6 күн бұрын

    케바케지만 저희 사무실에 육아휴직 6개월 하고 온 직원은 복직 10일지나서 급여올려달라고 하고, 육아휴직기간에 월차 안쓴거 당당히 쓰겠다합니다. 모든 권리 너무 당연히 요구합니다. 당근 수유타령하며 짬만 나면 쉬고요. 걸씬하면 고용노동부 타령합니다. 생산성 떨어지고요. 소규모회사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합니다. 저도 겪어보지 않았을땐 저출산땜시 그런 제도 필요하다 생각했지만요. 아~인성탓인가요.

  • @user-qw2pm9tr9q

    @user-qw2pm9tr9q

    5 күн бұрын

    케바케라고 하기엔 요즘 진짜 많아요. ㅜㅜ 제주변 작은 기업체들은 한두번씩 당하고 그뒤로 신입은 젋은 여자 안뽑더라고요.

  • @designshare
    @designshare6 күн бұрын

    외로운게 제일 괴롭다던데 ㅠ

  • @user-zm9lu8hn9k
    @user-zm9lu8hn9k6 күн бұрын

    혼자 살며 나이가 들면, 외로움도 있지만, 누군가가 내가 혹시 집안에서 쓰러졌을때 움직이지 못할때 발견해 119에 전화해주는것. 내 생존을 주기적으로 확인해주는 것이 절실해 짐니다.

  • @user-rb4qb8jp1z
    @user-rb4qb8jp1z3 күн бұрын

    오... 전 30대 후반인데 주변에 워낙 미혼인 사람들이 많아서 우리 나중에 땅사서 각자 꼬마집 하나씩 짓고 마당만 공유하고 같이 살자~ 했는데 다... 생각하는게 비슷비슷 한가봐유

  • @hummingbird6264
    @hummingbird62642 күн бұрын

    언더스텐딩에 계신분들이 나이들어 누군가의 돌봄이 필요할때즈음은 AI와 로봇이 충분히 발달해 있어서 돌봄 걱정 안하셔도 될거 같아요. 저는 올해 만 60이 되었는데 요 몇년사이에 AI 와 로봇 발전을보고 10 뒤즈음에는 가정용 로봇 돌보미가 가능할거같아 늙어가는것이 더이상 걱정되지않아요. 저에게는 인공지능 로봇이 사람보다 편할거 같아요. 제는 어렸을때부터 우리의 노후는 로봇에 의지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현실로 성큼 다가오는것 같네요. 이제 나이들어가는거 걱정마세요. 우리에겐 AI 로봇이 있답니다. 😂 돈만 모아놓으세요.

  • @YongHuh-eg5dn
    @YongHuh-eg5dn6 күн бұрын

    기득권과의 투쟁입니다

  • @user-pf9sz9xm7w
    @user-pf9sz9xm7w3 күн бұрын

    경력단절은 성별 상관없이 연봉에 영향을 줍니다. 대표적인 예가 인본의 취업 빙하기 세대이죠. 결국 한참 일할시기에 경제위기나 투병생활 고시폐인 등으로 경력단절되면 인생이 꼬인다는 얘기.

  • @chales4
    @chales43 күн бұрын

    출산 육아휴직 없는 직장도 많아요. 10년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육아휴직이 사표 비슷하게 인식되는 직장이 아직도 많아요. 자녀 2명이지만 육아휴직 꿈도 못 꿉니다.😅

  • @user-eh9mu2hh4n
    @user-eh9mu2hh4n5 күн бұрын

    아니 이프로야 양도세는 주택 보유자들이 보유세를 안내려고 난리부르스를 추니까 아 그래그래 존버 하시고 팔때 세금 내세요 이렇게 된거 진짜 몰라서 그래? 걍 양도세 팍 줄이고 보유세 늘리라 그래 투기꾼 아닌 사람들은 그게 더 좋아~

  • @user-kg9nx9re2d
    @user-kg9nx9re2d6 күн бұрын

    임신 출산으로 인한 단절이 임금을 덜 줘도 되는 이유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일 수도...

  • @user-ny5qd2zb2q
    @user-ny5qd2zb2q6 күн бұрын

    이프로 말 공감

  • @user-go6qy2jr2p
    @user-go6qy2jr2p6 күн бұрын

    그럼, 아빠된 모든 남성들은 임신,출산없이 엄마된 여성과 같은 케이스네, 하지만 경력단절된 여성들은 육아가 더 큰 요인이라고 생각함.

  • @user-jv4zw1te2z
    @user-jv4zw1te2z4 күн бұрын

    붐메이트 : 베이비붐세대의 홈쉐어링 (베이비붐세대: 미국인구의 21%) -> 혼자살면 수입이 적거나 집이 너무 크고 관리가 힘들어. 수입은 적고 혼자살면 외롭고 챙겨주기로 한 주택에 '모여'살아. 노인세대의 절반은 소득50%를 거주비용에 사용 / 미국은 단독주택 대지지분이 크게 규제되어있어 주택공급이 어려운상황 -> 같은 부지안에 집을짓고 공급하는것이 생겨남 / 덴마크도 출산.육아로 여성의 소득이 줄어듦 /

  • @user-iz1id1no9h
    @user-iz1id1no9h6 күн бұрын

    맞아요. 그냥 보유기간만으로 양소세 내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세법은 간단 명료하게!

  • @ReuquenBakemanfeesf

    @ReuquenBakemanfeesf

    6 күн бұрын

    ⏮인기여돌 므훗 라이브 시작했다구 지금 팬카페 난리난거 알지🥵 제보자한테 너무 고맙더라 빨리확인해봐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