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K-드라마가 전세계 저출산의 원인일까? (법무법인 율촌 최준영 전문위원)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Пікірлер: 2 400

  • @globelab
    @globelab2 ай бұрын

    🌎세상의 모든 일이 궁금한 호기심대마왕 최준영 박사와 함께 떠나보는 지구본 여행🌎 안녕하세요 언더스탠딩 구독자 여러분✨✨ 구독자님들이 궁금하신 전세계 저출산에 대한 이야기! 최준영 박사님이 심층 분석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bit.ly/3WkyOQb

  • @user-zn2kv7oq9l

    @user-zn2kv7oq9l

    Ай бұрын

    K드라마, SNS 등 악영향 분명히 있다고 봅니다. 지금 드라마, 틱톡 등에선 출산율에 악영향 요소들 즉, 명품 과소비 잘난취향 등 차츰 사라지고 있는게 보이고, 슈카 한방언니 이름모를 분들 등 유명유투버들 의도적 결과적이든 노력많이 하는것 보입니다.

  • @user-vr1tz6mz8n

    @user-vr1tz6mz8n

    29 күн бұрын

    내생각엔 결혼한면 10평대 주고 애 하나 있음 20평대 애 둘이면 30평대 집주면 출산율 집값 다 해결할수있을꺼 같은데요

  • @sonshine8918
    @sonshine89182 ай бұрын

    적게 태어날 것을 각오하고 적게 태어난 사람을 귀하게 쓰자! 라는 말씀이 가장 와닿네요.

  • @kcastnet

    @kcastnet

    2 ай бұрын

    인구수가 적게 태어나면 구성원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귀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 함정이 되겠습니다.. ^(^

  • @dlsrksguadhX

    @dlsrksguadhX

    2 ай бұрын

    @@kcastnet사람보고 품질 운운 에라이 😂 이러니깐 이렇게 됐지 ㅋ

  • @liamkim5724

    @liamkim5724

    2 ай бұрын

    국민연금 월급 30퍼 넘게 내야하는 세대인데 당연귀하게 써야쥬

  • @deltax9471

    @deltax9471

    2 ай бұрын

    @@kcastnet현실은 뷰자집들은 애 나름 그래도 낳고 있어서 좋은유전자+빠방한재산의 아이들이 많이 나오고 있어요^^

  • @Ulsanman3

    @Ulsanman3

    2 ай бұрын

    @@kcastnet 작은 소국 네덜란드 북유럽 국가들처럼 하면 됨

  • @user-xk1ny2wf5n
    @user-xk1ny2wf5n2 ай бұрын

    너무현명하세요 교육기간을 짧게하면 부모도 일찍 육아에 해방될수있으니 부담을 덜고 아이스스로도 일찍부터 부담없이 이것저것 해볼수 있으니 실패의 부담이 적고 너무 좋은 의견이세요!! 교육도 효율적으로 줄여서 환경도 바꾸는 아이디어도 너무좋아요!!

  • @user-xk1ny2wf5n

    @user-xk1ny2wf5n

    2 ай бұрын

    그리고 아이들이 경제활동을 일찍시작하면 결혼을 더 일찍할수도 있겠어요!!

  • @Gimosalamet

    @Gimosalamet

    2 ай бұрын

    그냥 인생의 공식을 다변화하는게 맞다. 니들 개념구조에서부터.

  • @joycewohlgemuth

    @joycewohlgemuth

    2 ай бұрын

    교육, 입사가 효율적이어야 된다는 것에 열렬히 동감합니다.

  • @doslrnt

    @doslrnt

    2 ай бұрын

    대학을 극소수만 가도 되는 사회가 좋다고 온 국민이 받아들이면 되지만 그걸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는 많이 없지. 특히 아시아에선

  • @user-pi3ti3wt6z

    @user-pi3ti3wt6z

    2 ай бұрын

    예전에 안철수가 이렇게 교육과정 줄이자고 주장했다가 가루가 되도록 까였었음. 정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함.

  • @jamesahn6241
    @jamesahn62412 ай бұрын

    이프로님 말씀 극 공감 군대가기 싫은 이유로 맛없는 식사 등을 들지만, 그렇다고 맛있는 밥을 제공해봐야 군대가기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 @kkaggaJuseyo

    @kkaggaJuseyo

    Ай бұрын

    군대가기 싫은 이유가 아직도 12가지나 남아 있으니까요.

  • @Universe_of_Mobius

    @Universe_of_Mobius

    18 күн бұрын

    위생요인과 만족요인 중 위생요인에 애쓰기보다는 만족요인 향상이 더 중요함

  • @qjam3104
    @qjam31042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출산율에 대한 논의 중 가장 현실적이고 유익했네요. 정치권에서 이런 내용을 알아야 하는데.. 현 세대들이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맞는 완충지대를 만드는 역할을 해야한다는 말이 제일 인상깊습니다

  • @namja2yagi
    @namja2yagi2 ай бұрын

    이게 맞음.... 저출산 분석중 가장 수긍하게 되는 방송이네요. 👍 👍 👍 👍 👍 그리고 전에 10대 20대들이랑 댓글 토론을 했는데 아이를 낳으면 부모는 당연하게 공부를 과외까지는 아니더라도 학원은 몇십몇백 들여서 공부를 시켜야한다고 생각을 하더군요. 그게 기본 값이라 생각하고 안하면 부모로써 해준게 없는게 된다고 생각하더라구요. 이러면 그들이 결혼하고 애들을 낳을까요?

  • @user-fs9er7jl1i2

    @user-fs9er7jl1i2

    2 ай бұрын

    요즘 3040 부모들도 학원1도 안보내는거 이상하게 생각해요

  • @ssyz7862

    @ssyz7862

    2 ай бұрын

    30대인데 학교 학원 뺑뺑이 돌고 밤 늦게 돌아오던 학창시절이 너무 숨막혔습니다. 물론 약간의 추억이 있기도 했지만요. 그렇다고 대학 가면 끝인 게 아니라 또다른 새로운 시작에 불과하더라구요. 더군다나 원치 않은 군대도 가야했구요. 만약 제가 2세에게 노력과 경쟁을 강요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성공했다면 몰라도 제가 지나온 삶을 대물림한다면 아니 어쩌면 훨씬 더 힘든 경쟁을 해야된다면 이건 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부모는 부모대로 미래에 쓰지도 않을 지식들 자식 머리에 집어넣는 사교육 시키느라 등골 휘고 그걸 원해서 하면 다행이지만 하고 싶지도 않는 공부 억지로 해야하는 애도 고생이고 과연 이게 다 누굴 위하는 걸까요.

  • @arini4906

    @arini4906

    2 ай бұрын

    수근이 아니라 수긍입니다.

  • @namja2yagi

    @namja2yagi

    2 ай бұрын

    @@arini4906 오타난겁니다

  • @namja2yagi

    @namja2yagi

    2 ай бұрын

    @@arini4906 오타난겁니다

  • @user-wc3ei7ht2q
    @user-wc3ei7ht2q2 ай бұрын

    최박사님 이런 방식의 대화에서 능력이 더 빛나시네요

  • @user-myyoub
    @user-myyoubАй бұрын

    사람의 능력은 대학 입학으로 결정되는 것보다 언제든지 자신의 능력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는 최준영 님의 의견에 동의 합니다.

  • @shouryukou8622
    @shouryukou8622Ай бұрын

    얼마전 저출산 백분토론 보고 그냥 한 숨만 나왔습니다. 그런 저출산 토론 보면 언제나 왜 핵심을 안 건드리지 라는 생각을 했는데 그나마 방송을 보고 갈증을 해소 했습니다. 문화적인 부분 너무나 공감하고, 특히 왜 젊은 남녀가 파트너가 되서 많이 만나고 사랑하지 않을까 라는 의문에서 젠더갈등 또한 생각하게 되네요. 더욱 날것으로 핵심을 과감하게 말할 수 있는 분들이 관련 토론에 많이 나왔으면 합니다.

  • @user-kl4qi1ii7r

    @user-kl4qi1ii7r

    Ай бұрын

    더 적나라한 핵심 이야기할 수 있는 젊은이는 586pd가 출연 안 시킴 최준영 등 586만 출연시킴

  • @azeoy
    @azeoy2 ай бұрын

    완벽한 결혼을 꿈꾸다 이혼율 폭등 완벽한 육아를 꿈꾸다 출산율 폭락

  • @bigboyb3961

    @bigboyb3961

    2 ай бұрын

    출산율도 돈이랑 경제에 밀접하니 문제가 되는거지.. 이혼처럼 영향력이 없으면 아무도 신경안썻을문제임

  • @user-sv4bj4bl3m

    @user-sv4bj4bl3m

    2 ай бұрын

    완벽한 댓글

  • @kcastnet

    @kcastnet

    2 ай бұрын

    출산율도 돈... 이혼율도 돈.... 돈만 많으면 ~~

  • @peachpityu3307

    @peachpityu3307

    2 ай бұрын

    생활 양식이 바뀐거지 완벽을 바라다가 못하는게 아님 혼자서도 충분히 행복할 수 있다고 느끼고 그 사회적 비용을 고려했을때 비혼주의로 돌아서는 사람이 훨 많음 완벽한 결혼 배우자 육아 이런거 안바라고 자기들도 그런건 비현실적이라고 알고 있음 사회에서 제공되는 기회와 비용의 차이 때문이지 꼰대 어르신들이나 그런 생각하는거고. 그런 어르신들 실상은 비난만 할 줄 알지 현상에 대해서 제대로 사고하지 않고 관심도 없음 이해없이 비난만 하는 사람들이 결국엔 사회적 갈등과 갈라치기 최선봉에 서있는 사람들임 맨날 이래서 문제 저래서 문제 문제만 제기하면 뭐가 달라지나요

  • @liamkim5724

    @liamkim5724

    2 ай бұрын

    너진똑 채널에 물질주의 팽배해진게 원인이라고 하는 영상있음

  • @real3243
    @real32432 ай бұрын

    30대 초 남성 직장인으로서 이제까지 나오신 나름 인구, 출산율 전문가라고 하시는 분들 중에 제일 와닿는 이야기를 하시는거 같아요! 주변 또래 지인들 보면 보통 경제적 문제보단 사람들의 인식/문화의 변화, 교육열 때문인거 같아요.

  • @nyq12

    @nyq12

    2 ай бұрын

    옛날처럼 자식이 크면 효도할거라는 사회적 확신이나 합의가 있으면 당장 힘들어도 어떻게든 낳아서 기르게됨 ㅋㅋㅋ근데 금쪽이가 나올까봐 겁나서 못낳는거지

  • @user-dz2ut1tl3w

    @user-dz2ut1tl3w

    2 ай бұрын

    경제 얘기도 많이 하셨는데용.. 교육열도 결국 경제문제 입니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2 ай бұрын

    여성들은 결혼 , 출산 안하겠다고 통계에 나와 있음 싫다는 사람에게 아무리 지원해준다고 애 낳지 않습니다. 대신 모로코 , 터키 , 그리스 , 폴란드 같은 나라는 한국인에게 관심 많고 한국 남자와 결혼 원하는 여자들 많다고 한다. 정부가 싱글 남성들에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는게 인구 감소 , 저출산 해결에 100 배는 더 도움 될겁니다. 장담합니다. 평범한 남자가 이런 나라들에 가서 국제결혼하기 어려우니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어서 쉽게 외국 여성을 사귈수 있게 도와 주어야 합니다. 터키 여행 가서 터키 여자 만나서 결혼하는 사례를 많이 보네요. 한국은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일본인 사유리는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합법적으로 출산.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축구선수 호날두는 총각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짐. 싱글 남자 아나운서나 , 싱글 남성 , 싱글 남자 연예인 중에 결혼은 싫은데 자기 애는 갔고 싶다고 말하는 남자들 많이 봤습니다. 근데 할수가 없죠. 한국은 모든게 불법이고 성과 핏줄에 대해서 옹졸, 편협 , 지독 , 경직된 나라.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법이 완전 남자를 노예화 하는 법이죠. 이혼시 재산분할이 남자에게 너무 불리 하구요. 그래서 남자들이 결혼 안하는 겁니다. 프랑스 팍스(동거 등록 제도)와 똑같은 법이 있어야 남자들도 아무 부담없이 그냥 느낌 가는 대로 동거 할수 있죠. (한쪽이 동록 해제 하면 되고 재산 분할 없음) 한국의 결혼을 생각하면 법 뿐만 아니라 그 어마어마한 의무 , 책임 , 희생 , 눈치 , 시댁 - 처가 인간관계 부담감 ........ 아무도 결혼 안합니다. 팍스가 도입되어야 부담 없이 동거 하는 사람 많아지고 출산은 둘째치고 인간답게 ,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많아질겁니다. 그럼 출산은 자연스럽게 높아지구요.

  • @hellohoney5283

    @hellohoney5283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큰맘 먹고 몇 년 동안 피임약을 비롯한 일체의 피임 기구 등을 판매 중단하면 어떻게 될까요? 중요한 것은 출산율입니다. 나라가 존망 위기에 있습니다. 때론 목적을 달성하고 얻기 위해서 잃는 것도 감수해야 합니다. 😂

  • @ninggengjapchae

    @ninggengjapchae

    2 ай бұрын

    @@hellohoney5283 동유럽에 루마니아라는 나라가 30여년전에 그랬다가 불법낙태, 영아유기, 인신매매가 너무 심해서 난리남. 한번 나무위키에 찾아보셈. 여자가 애를 안낳겠다는데 그렇게 꼼수부려봐야 아무 소용없고 사회 비용만 폭증함. 애낳으면 모성애가 생겨서 애 기를거라는건 개소리임

  • @user-oc9wj7dv1y
    @user-oc9wj7dv1y2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우리 사회는 승자와 패자를 수능을 기점으로 정해버리죠. 학습능력이 인간이 가진 능력의 전부인거마냥 착각해서 30대,40대에도 사회적 학습을 할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것도 중요한듯 합니다. 지금의 교육시스템을 통째로 뜯어고치면 좋겠지만 그건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있으니 힘들겠지요 아이들에게 너무 일찍 패배자가 되는 감정을 주지 않는 교육과정이 되었으면 하네요. 인생을 깨우치는 시기는 다들 다르니까요.

  • @choisoyun1

    @choisoyun1

    Ай бұрын

    맞아요. 내가 20대 초에 뭘 전공하고 어떤 진로를 선택해서 그 길을 간 게, 다 100프로 맞지 않을 수도 있고 중간에 생각이 바뀔 수도 있거든요. 북유럽 국가들이 교육 시스템에서 그래도 인간적이어 보이는 건 나이가 든 분들도 다시 대학 교육을 받아 진로를 틀 수 있다는 점이죠. 한국은 20 초반 최초 대학 교육을 받을 기회를 놓치면 재교육의 기회가 거의 전무해요. 심지어 재취업을 통해 일선 현장에서 도제식으로 뭘 배우려고 해도, 30 중후반만 되어도 나이가 많다고 안 쓰려고 하죠. 너무 답답한 현실입니다.

  • @ljs2358
    @ljs2358Ай бұрын

    유튜브에서 봤던 저출산 관련 컨탠츠 중에서 가장 통찰력 있는 분석인 것 같습니다. 후반부에 언급하셨던 교육개혁의 필요성, 그중에서도 특히 대학의 개혁 필요성에 대해 백번 공감합니다. 훌륭한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 @user-ss2om3rq6e
    @user-ss2om3rq6e2 ай бұрын

    들어봤던 저출산 분석중에 가장 정확, 명확하신거 같네요

  • @user-le3mz9dp3k
    @user-le3mz9dp3k2 ай бұрын

    저출산 대책에 대한 그많은 방송중에 최고!!! 인 내용이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들으면 좋겠습니다. 최준영 박사님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 @user-ot5ii6if6i
    @user-ot5ii6if6i2 ай бұрын

    특별한 저출산 대책은 필요없어요. 지금 살아있는 사람이 행복하게 사는 사회를 만드는게 더 중요합니다. 그게 대책인듯 합니다.

  • @watermellon3

    @watermellon3

    Ай бұрын

    선후관계 인과관계가 모두 잘못됬죠. 동물들도 겨울엔 번식하지 않습니다. 어른들이 지금 사회는 겨울이다.자살하고 싶다 생각하는데, 출산을 할 리가요ㅋ

  • @anbayo1

    @anbayo1

    Ай бұрын

    지금 살아있는사람이 가난해질 미래가 뻔하니까 큰일이다 큰일이다 하는거에요..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Ай бұрын

    @@anbayo1 가난한 거지국가 못살고 못배운 여자들이 출산률 높은거지. 북구 선진국들 물고 빠는데, 그나라들도 원주민인 백인 여자들은 출산률 낮고, 이민온 후진국 출신들 여자들만 출산률이 높은거지.

  • @user-rv5wv3je9p

    @user-rv5wv3je9p

    Ай бұрын

    @@anbayo1 결국 기성세대가 써먹기위해 낳아야 하는거라면 애 입장에선 안태어나는게 맞습니다.

  • @kimri123

    @kimri123

    Ай бұрын

    @@user-rv5wv3je9p 아니 다 같이 가난해진다고요 GDP가 줄어들고 인력이 힘인 나라에 인재들이 줄어들면 나라가 망하는건데 뭔 기성세대를 따지고 있어요. 남녀노소 다 같이 한배에 타고 있는데. 이민이라도 갈거임?

  • @KritikaZero
    @KritikaZero2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나라가 사회적 문화적으로 해야 될 숙제가 많으면서도 뭔가 희망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항상 많이 배워갑니다.😄

  • @user-ce8bj4wd1z
    @user-ce8bj4wd1z2 ай бұрын

    이프로가 정말 훌륭한 일 한 거 맞아요. 초야에 최박사님이 머물러 있었으면 어쩔뻔.. 댓글보면 대부분 진짜 원인이 뭔지 본능적으로 감지하고 있었던 것 같은데 왜 전문가연 하는 사람들은 헛소리만 작렬하고 듣고 나면 시간 아깝다는 생각들게 했나요?

  • @user-ir7dc9qt6v

    @user-ir7dc9qt6v

    2 ай бұрын

    전문가라고 떠드는 종자들이 바로 이익단체의 앞잡이로 어떻게든지 혈세 빼먹을 궁리만 하기 때문입니다. 다들 지들 이익이 되는데로 선택하기 때문에 뭐라하기는 뭐하지만 만약 당신에게 아이가 있다면 이 나라는 아이의 미래에 지옥이 될 것 입니다.

  • @watermellon3

    @watermellon3

    Ай бұрын

    달달한 버팔해야. 담에 또 강연초청오니까ㅎ

  • @kaiserreich8412

    @kaiserreich8412

    Ай бұрын

    그사람들도 다 사업가임 ㅋㅋㅋ 사람들 입맛에 맞는소릴해야 다음에도 돈주고 부르지

  • @layssaltvinegar6280

    @layssaltvinegar6280

    Ай бұрын

    왜냐, 그걸 몰라서가 아니라 그걸 고치려면 누군가에게 큰 희생을 강요해야하는데, 그걸 강요할 정치력을 가진 주체가 없었으니까. 의석 수를 몰아줬어도 그 해결엔 관심 없었으니까

  • @borapark626

    @borapark626

    Ай бұрын

    이프로 “최준영 박사 발굴인” 동상 세워줘야 겠어요. 매우 감사합니다! 진심이에요

  • @sdkfgnrjdi
    @sdkfgnrjdi2 ай бұрын

    공감이 많이 됩니다 미국에서 사는데 한국에 사는 지인들과 비교해보면 한국이 지원이 훠어어어얼씬 좋거든요 근데 미국 사람들은 셋 넷 씩 낳는게 기본이라서 신기했는데 회사에서 아이들 라이드다 픽업이다 학교 무슨행사다 다 양해해주고 눈치보거나 압박감 느낄 일도 없고 위아래 서로 조심하고 문화적으로 그런 분위기가 있으니까 많이 낳는거 같애요 우리 동네에서 데이케어 종일 보내려면 한달에 2000불 넘게 듭니다 나라에서 세금보조 제외하면 나오는거 없구요 한국처럼 학원은 안보내도 애 셋넷있으면 주말에 스포츠팀 라이드해주면서 시간 다 보내는데 가족끼리 북적거리면서 사는걸 미덕으로 알고 서로 이해하는 문화가 중요한거 같애요

  • @jungmeeyoun9512

    @jungmeeyoun9512

    2 ай бұрын

    많은 부분에서 공감되는 말씀이네요 저도 미국 사는데 둘째가 5살 될때까지는 셋째를 낳을까말까 엄청 고민했었어요 주변 친구들 중에 아이 셋인 집이 많았거든요. 공부는 정말 우리 가준으로 봤을 때 이게 공부? 싶은데 운동은 정말 많이 하죠 이제 봄 되어서 저희도 애들 둘 각각 2-3개 스포츠 라이드 하면서 주말이 훌쩍 가네요

  •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 ай бұрын

    미국에서아이키우면 받는 양욱비 인당 얼마나빋는지요?? 세금 감면한다고 옛날 에~ 듣엇는데

  • @kes7704

    @kes7704

    2 ай бұрын

    한국남자와 결혼한 미국여자도 아이 많이 낳는 편임

  • @sdkfgnrjdi

    @sdkfgnrjdi

    2 ай бұрын

    @@user-xs7eu2xe4s 정확한 액수는 모르겠는데 아이당 tax 감면 금액이 일년에 2000불 정도 될거에요 근데 말그대로 tax 감면이라 그냥 나눠주는 돈이 아니라 자기가 낸 거에서 나중에 돌려받는거예요 킨더 들어가기 전까지 양육비 어마어마함 한국처럼 부모님이 가까이서 도와줄 수 있는 경우도 많이 없고 시터 고용해야되고

  • @seankim263

    @seankim263

    2 ай бұрын

    미국이랑 한국이랑 비교하면…한국에 사는 사람들 싫어해요.

  • @user-ry1tx5ow9k
    @user-ry1tx5ow9k2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봤던 인구문제중에 가장 설득력있게 말씀해주시네요.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imchibaguette
    @kimchibaguette2 ай бұрын

    다른 저출산 관련한 컨텐츠 볼 때마다 헛다리 짚는거 같다는 생각 진짜 많이 들고 답답했는데 이번 최준영 박사님 영상 보면서 속이 뻥 뚤린 사람 여기 있습니다.. 🙋‍♀️🙋‍♀️ 아오 속시원해 ㅎㅎ

  • @user-zk9ud8og2w
    @user-zk9ud8og2w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너무 공감하는 견해입니다. 저는 몇 년 전부터 출산율 저하의 원인에 대해 다들 이렇게 생각할 줄 알았는데, 대부분 부동산 사교육비 때문이라고 말해서 답답했습니다. 이 연구가 좀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습니다. 저출산은 사회문제가 아니라 사회 현상이란 생각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여성의 사회 진출, 아이와 학생 처우 개선, 여가 문화의 발달을 사회문제라고 하는 사람은 없는데 사실 저출산은 위의 사회 현상과 동전의 양면 같은 현상인데 왜 갑자기 나타난 질병처럼 단순한 제도로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 @user-hw4bv7sk5f

    @user-hw4bv7sk5f

    Ай бұрын

    그런 생각을 해봐요. 인간의 노동력이 필요치 않은 시대로 가고있다. AI가 대신해줄때 인구는 더이상 유용한 노동력이 아니라 부담일 수 있어요.

  •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Ай бұрын

    ​​@@user-hw4bv7sk5f 이것도 의아한게 정작 AI원천기술 다 선점하고 있는 미국은 출산율 2명대 가뿐히 넘고 있으며 인구 4억명까지 도달할것으로 보임. 만일 사실이었으면 미국은 진작에 산아제한정책 펼치고도 남았어야지. 한국? 기술도 없어 자원도 없어 AI시대 온다는데 정작 가장 중요한 AI기술은 모조리 미국이 가지고있음. 지난 수십년간 미국하청받던 나라가 또다른 미국 하청받을 운명인 나라에서 뭔 인구가 부담 ㅋㅋㅋㅋ

  • @JHLee-qd9ks

    @JHLee-qd9ks

    Ай бұрын

    저도 저출산이 재앙이 아니라 일종의 자정현상일수 있다고도 봅니다 지구의 가장 큰 문제는 인류의 개체수 폭증 아니었는지요 노동력이 자동화로 대체된다면 저출산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은 사회현상이라는거고 그 사회현상은 미디어가 선동해온 결과로 생각해왔습니다

  • @user-nh1jw4ev2l

    @user-nh1jw4ev2l

    Ай бұрын

    여자군대가게ㅎ하자 그러면 가기싫어서 애낳으니 불이익주게하자

  •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2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저출산보다 저혼인임. 얹혀살며 노는 애들이 많아서.

  • @ykmobilehealth
    @ykmobilehealth2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이 되는 이야기 입니다. 저는 호주에 살고 있는데 호주가 그나마 선진국들 중에 출생률이 높은 이유라고 생각되어지는건 재취업의 자유도와 평준화된 임금 수준이라 생각됩니다. 제가 아는 사람 중에 잘 나가는 변호사 였다가 애들이랑 보내는 시간을 더 늘리고 싶다고 갑자기 일 그만두고 학원하는 사람도 있고 잘 나가는 회사 중역이었다가 회사내 정치싸움이 지겨워서 그일 그만두고 건설 노동자로 일하던 분도 계시고 합니다. 그래도 그 사람들의 수입이 확 떨어지는게 아니라 어느정도 수준에서 유지가 됩니다. 그리고 일반 회사들은 대부분이 일년 연봉계산식이지만 건설부분은 대부분이 시간당 챠지 개념이라 시간당으로 따지게 되면 별 차이가 없어지게 됩니다. 가끔 착각들 하시는게 호주에서 노동 시간이 9-5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사무직들은 그것보다 길게 일하는 경우가 굉장히 빈번하고 특히 변호사같은 직업은 시간으로 따지면 엄청 길게 일하고 돈을 많이 버는 직업입니다. 그런 직업 일수록 일하는 시간과 돈을 버는게 그에 비례해서 올라가게 됩니다. 그러니 나의 인생목표가 가족구성원들과 행복하게 사는 것이면 굳이 열심히 일을 하지 않고 그만그만하게 살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2010년 넘어가면서 호주에 아시아계 이민자들이 많이 늘어나면서 경쟁이 좀 심해지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기는 합니다. 집가격도 많이 올라가고... 그래도 아직까지 열심히 일을 하면 그게 뭐든지 간에 집을 사고 가족들이랑 어느정도의 생활수준을 유지하는건 문제가 없습니다. 돈을 많이 벌고 싶으면 죽어라 일하고 그게 아니고 가족이랑 시간 보내면서 잘 살고 싶으면 그것도 그 나름대로 좋은 생활수준을 유지하게끔 해주는 게... 사실 호주는 사장이 일을 제일 열심히 해야 하는 구조 입니다. 왜냐면 돈을 제일 많이 버니까....

  • @paulsaint2366

    @paulsaint2366

    22 күн бұрын

    그놈의 출생률이란 단어부터 쓰지 말고 '출산율' 이라고 정확한 단어부터 쓰시죠? 둘이 애초의 단어의 정의 자체가 다른데

  • @paulsaint2366

    @paulsaint2366

    22 күн бұрын

    언제부턴가 출'산'율의 산 자 가지고 여성계에서 불편하다고 출생률 ㅇㅈㄹ하고 있는거 자체가 코미디입니다

  • @paper217scraps
    @paper217scrapsАй бұрын

    한사람 한사람 소중함...인구감소에 대한 걱정은 크지만 사실 지구 입장에서는 좋은거 아닌가 했어요. 유익하고 실질적인 내용이 많았고 최준영 위원님 자주 초대해 주세요.

  • @user-sy7ts4hi9r
    @user-sy7ts4hi9r2 ай бұрын

    그간 들어온 저출산의 원인 중 가장 정확한듯합니다. 최박사님 영상 늘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프로님도 감사합니다^^

  • @kna716
    @kna7162 ай бұрын

    지금의 2~30대가 어릴때 IMF를 겪으면서 가정의 불화나 가난 같은 어려움의 경험을 갖은 사람들이 많은것도 원인일거 같아요. 게다가 그 세대들의 학창시절엔 인구가 성장하던 시기라 경쟁이 참 치열했거든요. 말씀하신대로 이 틈에서 성공하려면, 살아남으려면 열심히 살아야한다는 압박감이 강한데 출산은 사치죠. 그리고 여러 손해를 감수하면서 출산해도 오는 보상도 적고요... 아무래도 여유가 있어야 더 행복할텐데 무리하면서 낳은 아이에게 얼마나 사랑을 줄수있을지 자신도 없고요. 거기에 나 자신의 행복이 더 중요하다는 말에도 공감하고요. 그냥 현재의 나에게 충실하자는 생각이 강해요. 노후는 내가 준비하자는 마음으로 있으니 더 출산에 대한 마음이 줄어드네요.

  • @paulsaint2366

    @paulsaint2366

    22 күн бұрын

    어릴때 IMF후유증, 가정의 불화와 가난의 어려움 ㄹㅇ 공감

  • @bryandaniel2350
    @bryandaniel23502 ай бұрын

    최근에 삼프로에서 저출산관련 컨텐츠 봤는데 냉정하게 전문가랍시고 나와서 말하는 내용이 10년15년전이랑 똑같은 소리하고있습니다. 최박사님의 분석이야말로 2023년0.7명 나아가서 전세계전인 저출산 기조에 맞는 시선이라고 봅니다.

  • @user-ji8gb4rr4b

    @user-ji8gb4rr4b

    2 ай бұрын

    동의

  •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Ай бұрын

    ​@@user-rl5ds8ht3s 허구한날 여성인권 이야기, 부동산 이야기, 10대20대에 치중은 못하고 늙은 30대들 결혼관 이야기 이 소리만 하죠

  • @user-kt8dn9me1u
    @user-kt8dn9me1u2 ай бұрын

    가장 와 닿은게 학년 축소 어차피 대학갈려고 난리이니 초등5년, 중2년 고2년 대학2년 이렇게 5년 축소해서 빨리 사회에 나가서 일하게 만드는 시스템 개혁이 해답인것 같네요. 쓸데없이 학교에서 나이 먹는것 없애버리는게 가장 중요한것 같습니다.

  • @user-hb9qy9rq7n

    @user-hb9qy9rq7n

    Ай бұрын

    사실 이제 배울것이 너무 많아진 거죠. 어쩔 수 없는 사회가 되어버린거죠. 배울것은 산더미 인데 시간과 비용은 증가 하니 문제죠. 그리고 이것을 해결할 방법도 없죠. 당장 초등학교 수학만 배우고 대학교 미분방정식 풀수는 없죠. 사람이 배우는 것은 단계가 있기 때문에

  • @user-be2jf3rm5z

    @user-be2jf3rm5z

    Ай бұрын

    @@user-hb9qy9rq7n ai를 이용하여 푸는 방법과 활용하는 법만 알면 됩니다.그리고 진짜 공부 할 사람만 석.박사를 하게 하면 됩니다. 모든 애들이 미적을 습득 할 필요는 없죠

  • @user-ox7ys4jg4b36

    @user-ox7ys4jg4b36

    Ай бұрын

    교과 과정보면 학교에서 너무 많은것을 가르치려 하긴함. 간소화 하고 시험에는 안 나오지만 추가로 더 배우고 싶은 사람들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동영상강의 같은거 접근 할수 있게 하는게 나을 듯.

  • @wjkim9592

    @wjkim9592

    Ай бұрын

    이상한 대학 없애고 재수하면 안뽑아주고 그러면 사교육 확줄겠죠 대학안가면 기술배우는것도 꺼려하지 않늘꺼고 미용 헤어 조리 실용음악 이런 전문대학도 4년제도 없어져야합니다. 기술학원에서 배워야지 대학에서 배울껀 아니거든요. 그렇게 학력 인풀레 없애야 합니다.

  • @user-zi1dv1bj9x

    @user-zi1dv1bj9x

    29 күн бұрын

    학년을 축소할게 아니고 대학정원을 수험생 대비 30% 수준으로 줄이는 게 맞다고 봅니다.

  • @user-zx8uo4ro2e
    @user-zx8uo4ro2e2 ай бұрын

    진짜 방송 보면서 무릎을 탁 침. 왜 가난했던 시절에 비해 훨씬 부유해진 요즘 출산율이 더 낮을까, 도시 집중도가 높은 나라가 왜 출산율이 더 낮을까에 대한 답은 사회의 경쟁 압력 때문이었음. 결국 출산 대상자들에게 자원을 투여할게 아니라 삶의 다양성을 높여서 사회와 문화의 분산을 높여야 했던 것.

  • @FIRE_BAMBI
    @FIRE_BAMBI2 ай бұрын

    교육과정 단축해야 한다는 게 실질적 대안 같네요 사회 진출 나이를 더 젊게 해주면 양육 부담도 줄고 출산 나이도 빨라져 확실히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저출산 토론 보면 아직도 십년 전 이야기 재방송인데 정확한 진단에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보입니다 공중파에도 이런 이야기가 논의되어야 할 것입니다

  • @watermellon3

    @watermellon3

    Ай бұрын

    괴한 대학진출태문에 사회비용 손해가 막심하죠

  • @chan87241

    @chan87241

    Ай бұрын

    진짜 교육부터 갈아엎어야함.. 지금 태어난아이나 학생이 너무불쌍함 세상은 급변하는데..ㅜㅜ

  • @i-smr8468
    @i-smr84682 ай бұрын

    주변에..서울살며 아이하나키우다 안양으로 이사가더니 아이 둘더낳드라고요.물론, 직장은 십분내로 가까워지고 사교육적인부분은 어느정도 살림규모에맞게 조절하고 여행과 캠핑을 자주다니더라고요..

  • @yeongseokkim2193

    @yeongseokkim2193

    2 ай бұрын

    요즘세상에 사교육하는거 하수구에 돈버리는거라

  • @bwhan3099
    @bwhan30992 ай бұрын

    최근에 시청한 시사 콘텐츠 중에 최고 입니다. 최박사님 통찰력이 존경스럽네요.

  • @ianchung713
    @ianchung7132 ай бұрын

    호주에 이민온지 2ㅇ년 정도 되구요 지금은 안정된 생활을 하고 있는 상태이고 호주는 대학진학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고등학교때부터 직업학교와 직장에서 견습사원으로 경험을 사는데 특히 기술직이 왠만한 대학생들 임금보다 높기 때문에 굳이 대학에 갈필요가 없는것이 한국과. 큰 다른점이죠 그학생들이 내가 다니는 직장에서 기술을 배우는데 시간당 2만원 좀넘게 받습니다 주 3일정도 오고 2일은 전문기술학교에서 이론과. 다른 실습 이학생들은 20전에 직장생활을 히니까 65세가 되면 45년근무 기술직은 제직장기준 1억초반은 됩니다 20세중반부터는 잔업 주에 6시간씩 두번만 하면 40년넘게 1억이 넘는거죠 이들의 삶의 목표도 한국과는 달라요 가족과 즐거운 생활. 휴가때 여행가고 큰집 좋은집 이런거 대부분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국은 사회구조적 변화가 필요한듯 합니다. 블루칼러 기술직이 사무직보다 임금이 높은게 정상이 아닐까요

  • @pottenjamey9321

    @pottenjamey9321

    2 ай бұрын

    호주는 그게 가능한게 풍부한 자원과 인력이 고급이라는 인식이 깔려있어서 가능합니다 한국처럼 인적자원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회는 초고숙련으로 생산성이 매우 뛰어난 인력이 아니고서는 기술직이 사무직의 임금을 이길 수가 없습니다

  • @user-sn2th9tm7q

    @user-sn2th9tm7q

    2 ай бұрын

    ​@@pottenjamey9321 핑계입니다. 하청 임금 중간착취, 임금체불등 부패한 업계관행만 없애도 가능합니다. 임금체불 액수가 미국의 7배, 일본의 18배예요. 이미 이것만으로도 얘기가 끝난겁니다. 미국의 1/3밖에 안되는 월급, 이것도 제대로 지급못해서 임금체불한다면 문제가 있는게 맞습니다.

  • @ianchung713

    @ianchung713

    2 ай бұрын

    @@pottenjamey9321 한국도 인식을 바꿔야 겠네요 시간이 얼마가 걸리든 결국 영국서 발표한것처럼 인공지능시대에도 필요한 직업군은 기술직종이 될 가능성이 높듯이

  • @SerenaJohnson-tg6bj

    @SerenaJohnson-tg6bj

    Ай бұрын

    저도 호주에 살고 있는데 님이 말씀하신거의 함정이… 한국 이민자들은 절대 자식이 기술 배우길 원하지 않고 결국 입시경쟁을 통해 좋은 대학 전문직 트랙을 원한다는거. 한국의 교육이 싫어서 호주에 와서도 한국식 마인드는 못 버리더라고요. 2-3세나 되어야 달라지려나.

  • @ianchung713

    @ianchung713

    Ай бұрын

    @@SerenaJohnson-tg6bj 깨어있는 부모들도 많아요 애들이 하고싶은 것 하도록 지켜봐주는 결국 부모가 호주에 온 이유를 이해하는가 호주에 왔으면 문화를 받아들이고 노럭하는가의 차이 한국의 삶을 고집하면 그것 또한 우리가 뭐랄것도 없고

  • @seungheelee7544
    @seungheelee75442 ай бұрын

    행복하려면 비교하지 말아야하는데 현대사회는 최상위층부터 하위층까지 삶의 질과 상태를 너무나 명확하게 알기 때문에 비교 프레임에서 벗어날 수 없는것 같음

  • @83nobleman

    @83nobleman

    2 ай бұрын

    철학이 필요한 이유죠 노자 장자의 철학이 아주 좋더라고요

  • @user-tt8lo2gx4p

    @user-tt8lo2gx4p

    Ай бұрын

    소셜 네트워크에 발달로 많은 나라에 사람들이 나하고 다른 계층의 삶을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게 돼 가지고 세계 평균 출산율이 줄은 건가 하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 @ByungJinKim1
    @ByungJinKim12 ай бұрын

    황금티켓 증후군이 원인임. 정규직에 특권을 부여하고,,모두들 정규직이 되기위해서 유치원부터 경쟁하고 실패하면 낙오자 취급하니까.. 망하는거임.....그리고 전세계적 공통으로는 SNS때문에 기대수준이 높아져서 인생의 고통이 높아짐...우리나라는 두가지가 다 합쳐져서 0.7찍은거고

  • @Junie-R
    @Junie-RАй бұрын

    항상 해오던 생각을 최박사님의 인사이트와 함께 자료로 보니 정말 감탄을 금치못했습니다... 정말 정말 이제 의미없는 저출산대책의 포커스를 바꾸기를..

  • @ju0115
    @ju01152 ай бұрын

    저도 엄마가 저와 동생 키웠던 경험담 듣다가 요새 애엄마들 애 키우는 얘기 들으면 진짜 왜 이렇게 개호들갑이지? 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무슨 이유식 들어가는 고기는 무조건 한우고 무슨 육아용품이 좋다고 직구하고 그거 구하려고 별 생쇼를 하고 정말 유난떤다라는 생각만 들더라구요 주변에 아이가 셋인 지인들이 여럿 있는데 공통점이 부부가 다 성격이 무난하고 애들 사교육 이런데 극성적이지 않고 약간 방임형이더라구요 그러면서 부부가 어느 정도 애들없이 즐기는 취미생활이나 자기들만의 시간 혹은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타입들 이더라구요

  • @soykang7190

    @soykang7190

    Ай бұрын

    진짜 극성인 사람이 너무 많아요. 심지어 학원 하나 안보낸다고 아동학대라 여기는 사람도 있어요. 희안한 세상...

  • @user-uz7uy4dd6r

    @user-uz7uy4dd6r

    Ай бұрын

    ​@@soykang7190너무 잘 하려는 부모...아이도 힘들고 부모도 힘듭니다.

  • @watermellon3

    @watermellon3

    Ай бұрын

    요즘 부모놈들한테 자식은 현실판 게임케릭터야. 현질해서 꼭 랭킹1등 장비 맞춰줘야하고, 누구보다 쎄야하지. 아이의 인격같은건 필요없어.아이의 생각따윈 생각하지않아. 왜냐하면 내가 키우는 케릭터니까 ㅋㅋㅋ

  • @TT-vh2zk

    @TT-vh2zk

    Ай бұрын

    근데 이렇게 생각하고 동의하는사람들 대부분이 막상 낳고다면 극성으로 변하는게 현실인듯ㅋㅋ

  • @volvo3496

    @volvo3496

    Ай бұрын

    ​@@TT-vh2zk 그래서 결혼안하고 같이살아도 캐릭터같은 자녀 안만들죠. 출산율은 당연하고요

  • @notek9425
    @notek94252 ай бұрын

    출산율에 관한 프로중 핵심에 근접한 프로그램인거 같네요.

  • @user-xi3il6xy6g
    @user-xi3il6xy6g2 ай бұрын

    입이 있어도 감히 말하지 못했던 진실 ㅋㅋ 이제까지 그 수많은 개소리 다 뚫고 이제 겨우 제대로 된 분석 겨우 나왔네.

  • @hawk9938

    @hawk9938

    2 ай бұрын

    진짜 최준영 위원님은 다르다 ㅋㅋㅋㅋㅋㅋㅋㅋ 속이 뻥~

  • @universe_earth

    @universe_earth

    2 ай бұрын

    다들 생각하던....가족의 가치가 떨어진 시대, 인간 유전자 거기서 거긴데 꼭 나까지 존재를 남겨야 하나에 대한 의문, 고대 유물 발굴하듯 부모가 애써도 죄인 된 듯한 분위기 😢

  • @hder9

    @hder9

    2 ай бұрын

    @@universe_earth 가족의 가치가 떨어졌단건, 나혼자서도 살아갈 수 있는 시대라는거죠. 어떻게 보면 좋은 의미도 있습니다.

  • @user-md6wg8zj6o

    @user-md6wg8zj6o

    2 ай бұрын

    @@hder9 근데 인간은 결코 혼자 살 수 없는 게 문제죠. 경제적으로 문제가 없더라도 감정적으로는 가족이나 친구가 필요한 게 인간.

  • @hder9

    @hder9

    2 ай бұрын

    @@user-md6wg8zj6o 그건 두고봐야죠. 애초에 혼자라는 개념도 애매하구요.

  • @nobodysome6009
    @nobodysome6009Ай бұрын

    저출산 분석한 내용 중 가장 정확한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정책이 아니라 문화의 문제…

  • @user-nk8wm6gv5e
    @user-nk8wm6gv5eАй бұрын

    K 드라마가 출산율 저하 및 사회병리 확산과 집단적 갈등의 원인을 상당히 많이 제공하고 있지요. 매일 새파란 젊은이가 대기업본부장으로 나오고 거기에 한탕주의 기회잡아 신분상승을 꿈꾸는 여자들이 나오고 갈등에서 지면 인생 실패한 거로 나오니...일반 젊은이의 삶의 의욕을 꺽는 역할을 충실히 하는 드라마들.

  • @user-fz9ps6bd1g
    @user-fz9ps6bd1g2 ай бұрын

    이런분이 장관하셔야지 매우매우 옳으신 말씀 잘 들었습니다 극 공감합니다 정부 정책 항상 답답하기만 했는데 속이 뚫리네요

  • @user-nr7yt3vu4z
    @user-nr7yt3vu4z2 ай бұрын

    여태분석한 내용중에 가장 공감됩니다bb 솔직히 그전에 나오신분들(공기관) 얘기하는거 보면 답답 그자체였는데 이정도 얘기는 나와줘야죠

  • @nextValueP
    @nextValueP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많은 부분에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doltwe4891
    @doltwe4891Ай бұрын

    이분을 저출산 정책위원장으로 추진합시다~ 진짜 나는 문화로 접근해야 할 저출산을 무슨.. 부동산이 비싸서.. 남자들이 육아에 참여 안해서 돈이 없어서, 경력단절이 되어서 등등등 별애별 얘길 다하지만 그것 그냥 단순 돈의 문제로만 보면 안된다 생각했는데 이분처럼 진짜 문화적환경의 차이가 더 큰 문제다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통계적 분석을 하신분은 대단한거 같아요

  • @hder9
    @hder92 ай бұрын

    아이가 생산재가 아니라 소비재가 된 지점에서 저출산은 거의 필연이라고 봐야지. 예전에 아이를 많이 낳았던건 마냥 사랑스럽게 세상이 너무나 분홍빛 유토피아가 아니라, 아이가 우리가정과 나의 노후를 책임져주는 노동력이었기 때문임.

  • @masterkara

    @masterkara

    2 ай бұрын

    지금도 마찬가지임 노동인구가 줄어들고 연금낼 사람이 없어 국민연금이 개박살남.. 똑같은 상황인데 결과가 다름

  • @hder9

    @hder9

    2 ай бұрын

    @@masterkara 미래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죠. 개인은 국가를 위해 사는게 아니니까.

  • @masterkara

    @masterkara

    2 ай бұрын

    @@hder9 현재가 미래를 반영합니다. 당장죽으면 미래는 없죠. 출산율 0.6대면 이건 답이 없는겁니다. 3년후 0.3일수도 있죠

  • @hder9

    @hder9

    2 ай бұрын

    @@masterkara 현재가 미래를 반영한다는게, 현재가 미래에도 유지된다는건지요. 베이비붐시대에는 그게 현재였는데 말이죠. 물론 지금 출산율이 낮은건 사실이고 그건 미래에 반영이 되겠지만, 미래는 가보지 않은 곳입니다.

  • @hder9

    @hder9

    2 ай бұрын

    @@masterkara 미래는 모른다. 이게 다입니다.

  • @user-gy6qw7ew9y
    @user-gy6qw7ew9y2 ай бұрын

    최준영 박사를 저출산 대책 책임자로 보냅시다. 다들 서명하세요.

  • @nordscum

    @nordscum

    2 ай бұрын

    박사님 가도 해결 안됨ㅋㅋ

  • @user-dr7di8lz8j

    @user-dr7di8lz8j

    2 ай бұрын

    책임지세요.

  • @user-zr2po3dk7r

    @user-zr2po3dk7r

    2 ай бұрын

    저분 말은 저출산 해결보단 저출산자체를 대비하자는거임

  • @user-qy8nm9zr7j

    @user-qy8nm9zr7j

    2 ай бұрын

    책임자가 방법론을 제시해도 행정수장이 맘이 없으면 예산붙 아무것도 제대로 되질 않음... 우리 위정자분들은 자기 세대 일아니라고 관심이 없으세요

  • @bong_gae

    @bong_gae

    2 ай бұрын

    저출산 책임자로 뽑혀 가도 원로 국회의원들의 얼굴마담이 되어 어느 정당의 간판으로 이리저리 굴려지다가 팽당하거나 흑화해서 어디 국회의원으로 입당 ㅋㅋㅋㅋㅋ

  • @user-vl5ol1gq5p
    @user-vl5ol1gq5p2 ай бұрын

    여자가 월세방 살고 마트알바인데 재벌 2세 실장님이 갑자기 나타나서 사랑한다고 결혼 하자고 하고 재벌 2세 엄마가 여자 카페에서 만나서 여자 얼굴에 물뿌리고 얼마면 돼? 얼마면 되겠냐고 하면서 반대를 하지만 아들 이기는 엄마 없다고 둘은 나중에 결혼 하게 되어 여자는 재벌 사모님이 되고....

  • @NOName-id3di

    @NOName-id3di

    Ай бұрын

    그걸 본 사람들이 애를 안 놓고?

  • @sueiam7162

    @sueiam7162

    Ай бұрын

    학창시절에 드라마에 좋아하고 환상있던 친구들은 다 결혼했고요. 저 같이 드라마, 예능프로 등 안보고 관심없던 사람은 눈이 높아서 연애도 못하고 있네요 ㅎ

  • @knocker3t

    @knocker3t

    Ай бұрын

    난 아해가 안 가는 게 왜 여자만 저렇게 가난한지 모르겠어요 ㅋ

  • @user-eh9mu2hh4n
    @user-eh9mu2hh4n2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봤던 출산율 관련 컨텐츠 중 가장 공감이 잘 되네요

  • @user-cl4zx4ct1v
    @user-cl4zx4ct1v2 ай бұрын

    박사님 말씀 들어니 속이 뻥 뚤린듯한 시원함을 느낍니다 말씀이 꿈이 아니고 현실이 됐음 좋겠습니다~

  • @user-gr6qs8fr3q
    @user-gr6qs8fr3q2 ай бұрын

    정부 지원금이 애들 학원비로 간다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ㅠ

  • @jaehongjeon4325

    @jaehongjeon4325

    2 ай бұрын

    학원 운영하고있습니다. 제 돈은 선생님들 월급주고 내 월급없이 남는거없이 한전이랑 건물주가 가져가는데요? 참고로 시간당 교습비는 각 지역 교육지원청에서 정하고 있고 더 받고 싶어도 더 못받습니다. 심지어 교육지원청에서 매월 돌아다니면서 민간사찰(?)돕니다 ㅋㅋ 책값받는게 불법이라는데 애들이 책을 안사오거나 엉뚱한거 사오면 돌려보낼수도없고ㅋㅋ(돌려보내면 님애 보충해줘야하잖아요 따로 시간이 어딧어요? 선생님들 월급제인데) 귀찮아하는 학부모도있고 마진붙여받는것도 아닌데 주변 동네서점에서 태클들어오면 범죄자 취급합니다. 무슨 학원업을 음지 카르텔 범죄자 취급하는데 사사건건 다 규제걸어넣고 감시하고있는데 동네북마냥 돌던지는건 이해가 안갑니다.

  • @bong_gae

    @bong_gae

    2 ай бұрын

    ​@@jaehongjeon4325그래도계속 학원 굴리시는거보니 할만하다고 판단해서 운영하시는거 아닌가요? 잘 모르겠네 아닌가..

  • @XV73

    @XV73

    2 ай бұрын

    ​@@jaehongjeon4325여기 아무도 음지 카르텔이라 한 사람 없습니다

  • @bambam-jq8vm

    @bambam-jq8vm

    2 ай бұрын

    ​@@jaehongjeon4325ㅋㅋㅋ 그렇게 따지면 건물주도 대출이자 은행주고 종소세에 각종재산세 나라에 주고 나면 남는거 없어요ㅋㅋㅋ

  • @tjdwn85

    @tjdwn85

    2 ай бұрын

    @@bambam-jq8vm 거기에 한전도 누적적자가 47조원이라니 남는게 없네요.

  • @raiparbat7108
    @raiparbat71082 ай бұрын

    저출산 원인 관련해서 수많은 프로그램 본 것중에 제일 낫네요. 이제까지 부동산, 가정친화같은 뻔한 소리만 하고 효과 미미한 대책들 반복만 했는데 이번 분석은 가장 현실적이네요. 사람들의 인식변화가 가장 큰건데 그거를 무시하고 무조건 주변환경만 이야기 하고 있어요. 북유럽 가정친화정책 환상이라는 거 깨닫고 국민들 인식교육하거나 아니면 저출산 받아들이고 미래에 버틸수 있는 정책들로 바꿔나가야함.

  • @user-tt8lo2gx4p

    @user-tt8lo2gx4p

    Ай бұрын

    그동안 한국의 미디어가 서구 선진국들에 대해서 지나친 환상을 심어주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걔네들도 결국 똑같은 인간인 건지 한국이랑 점점 비슷해져 가고 있는데

  • @dongwookpark8919
    @dongwookpark89192 ай бұрын

    저출산 관련 영상중 가장 마음에 와 닿습니다. 두번째 시청합니다.

  • @user-xb8je3wb1r
    @user-xb8je3wb1r2 ай бұрын

    이 채널 정말 좋아요 유투브 각종 정보랍시고 전문가도 아닌사람들이 수박 겉핧기식 몇분짜리 짧은 영상 올리는거 지쳤는데 언더스탠딩은 달라요 전문가분들이 성의있게 준비한 자료에 수준높은 진행자분들이 파고드게 알차고 재밌고 도움이 많이 됩니다 !!!

  • @prankim2163
    @prankim21632 ай бұрын

    오 무척이나 흥미진진한 섬네일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 @3qvcmpVIxwgu
    @3qvcmpVIxwgu2 ай бұрын

    무슨 일이든지 가볍게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어려워지는데, 완벽주의를 추구하면 시작이 안되니 아무 것도 할 수 없게 되죠. 완벽한 연인을 꿈꾸니 연애를 시작하지 못하고, 완벽한 결혼을 꿈꾸니 혼인이라는 시작을 못하게 되고, 완벽한 육아를 꿈꾸니 출산이라는 시작을 못하게 되는 것이군요. 과거에는 그 누구도 완벽하지 않았고, 기대하지 않았으니 괜찮았는데, 이제는 완벽한 연애, 결혼, 육아를 하는 사람이 어딘가에 있고 보게 되니 나도 해야 겠다는 생각이 깔리면서 머뭇거리게 되는 것도 있겠네요.

  • @hwkang2120
    @hwkang21202 ай бұрын

    저출산 대한 프로그램중 최고다! 이프로님 고생하셨습니다! 듣고 싶었던 저출산 이야기입니다. 언더스탠딩 화이팅!

  • @polylifecreater
    @polylifecreater2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들었던 가장 설득력 있는 인사이트 와 해결책 너무 잘 들었습니다 👍👍👍👍👍👍

  • @seongkwonhan4035
    @seongkwonhan40352 ай бұрын

    다른것은 몰라도 중국 이혼율은 이바지했다.

  • @user-oe4uh5mz1o

    @user-oe4uh5mz1o

    2 ай бұрын

    전반적으로 동남아 비롯해서 아시아권에 큰 역할했음 ㅋㅋㅋㅋ

  • @marinesoundstage9986

    @marinesoundstage9986

    2 ай бұрын

    시진핑이 괜히 한한령 때리는게 아니야 😂

  • @user-jo7xh7br7l

    @user-jo7xh7br7l

    2 ай бұрын

    ​@@marinesoundstage9986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JesusChristEvangelicalism

    @JesusChristEvangelicalism

    2 ай бұрын

    @@marinesoundstage9986 착한 한한령

  • @user-jn8ox1gl6p

    @user-jn8ox1gl6p

    2 ай бұрын

    일본도 아이 러브 유 일본에서 인기끌었다는데 비슷한 드라마 양산될거라 이제 일본도 시작

  • @provider1963
    @provider1963Ай бұрын

    역시 최고입니다. 최박사님 얘기가 저출산 문제를 가장 잘 분석한 것 같습니다. 경쟁이 너무 심해, 애들도 힘들고 나도 힘들고, 전부 힘든 것 같습니다. 사회 분위기를 바꿔야 합니다. 행복하기 위해 경쟁하는 건데, 경쟁 때문에 불행해 하는 답이 안 나오는 상황입니다;;;;.

  • @user-gv5uw1gj1r
    @user-gv5uw1gj1rАй бұрын

    역시 FT와 이코노미스트의 심층분석 날카롭고 그런 분석들을 융합해서 풀어내는 최준영박사의 통찰력 또한 훌륭하다.

  •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2 ай бұрын

    교육열이 엄청나게 높아서 전국민이 그냥 눈높이가 하늘 꼭대기에 가있음 지금 2030세대 90프로 이상이 고등교육을 받고 자란 세대임 지금 세대들 대부분 외동이나 두명일텐데 아버지 어머니 세대가 우리 자식세대는 나처럼 힘들게 살지 말라고 어릴때부터 물심양면으로 교육에 투자도 많이하고 자식들 엄청 귀하게 키운 세대라서 그 자녀들이 자기 자식들을 내 부모가 해준거처럼 희생할 자신이 없는거죠 자신부터가 이미 그렇게 물심양면으로 지원받고 고학력인데도 극소수의 전문직 대기업 공무원 등 제외한 대부분의 근로자들이 가성비가 안 나오거든요 그러니 내 자식이 거기에 취업해서 붙으리라는 보장도 없은데 어마어마한 사교육 그 지원을 해줄 엄두가 안 나는겁니다 부모라는 이름의 책임감이 너무 큽니다 내 아이가 내 자식이 제도권에서 도태되면 어떤 삶을 살아갈지 뻔히 보이니까 두려운거죠 그러니까 대기업 전문직 자녀로 키울 자신이 없는 사람들은 애들 안 낳아버림

  • @평범한초딩

    @평범한초딩

    Ай бұрын

    중국 보면 그 현상이 뭔지 딱 보이죠. 대학들 열심히 나왔는데 깨끗하고 월급 좋고 복지 좋은 직장에 자리는 늘 모자라니까요ᆢ대학나와서 스스로 생산성을 가지는 사람들이 직장 다니지않아도 되는거죠.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Ай бұрын

    @@평범한초딩 한국 교육의 문제는, 고등교육 받지 말하야할 돌대가리들 까지 지잡대 도 모잘라 지잡대학원 까지 나온다는데 있씀. 또 저출산도 여자들이 쓸데 없는 대학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임. 옛날엔 머리좋은데 돈이 없서 공부 못한게 문제였다면, 지금은 그 정 반대의 문제임. 여자들이 대학 가면, 학문을 배우는게 아니고, 페미니즘에 세뇌되어 나옴.

  • @user-yo9fl7np5v

    @user-yo9fl7np5v

    Ай бұрын

    교육열이 높은 게 아님

  • @Mysunshine-zz9qi

    @Mysunshine-zz9qi

    22 күн бұрын

    그렇지, 제도권 카르텔이 철옹성 같으니까 ㅋ 거기서 바로 out되면 완전 인간은 하층민 , 패배자 취급 당하니 게다가 어떠한 목적으로 만들어서 유통시킨 신조어들... 한남충, 개저씨, 찌질하다, 루저, 도태 한남.... 부카니스탄의 소행인지 , 극좌파의 소행인지 인터넷을 악용해서 사회분열 갈등을 연출중. 게다가 한국민의 유전자인 허세 & 허영심이 완전히 뭐 SNS를 만나 날개를 달았다고 보여짐 ㅋ 요즘 mz 젊은 것 다수가 연예인병, 관종, 허언증,리플리 증후군 걸린 상태 ㅋ 꼴에 ㅋ

  • @on2young
    @on2young2 ай бұрын

    정말 최준영님의 말씀이 정말 와 닫습니다 ~ 저도 직장 생활하고 여러가지 생각을 많이 하지만 정말 삶의 의미 부여 와 삶에 행복감 질 높은 수준은 무엇일까? 정말 돈으로 다 해결 되는건가! 큰 부의 축척에는 나를 정말 갈아 넣어야 하고 큰 부의 축척이 이루어 질때면 나 그동안 뭐했지 다양한 삶에 갈망하게 되고 자꾸 삶에 질 > ? 던지게 되는게 아닐까 생각해요 사회가 계층간에 삶의 질을 높일수 있도록 사회 현상이 중요해용 꼭 돈을 많이 벌어야지만 행복을 만족 시켜준다는 신념을 깨고 각자의 삶에 수준에 맞게 행복을 설계 할수 있도록 사람들의 의식 수준이 변해야 지금의 경쟁 사회를 완화 시키고 서로의 삶을 존중 할수있지 않을까 ~ 생각해요 최준영님 말씀대로 정책적 지원만 많이 해준다고 되는건 아니다 효율성과 ~ 사람들의 경쟁 문화에서 서로 인정하는 문화로 변모 해야 될것 같아요 정치권도 그냥 표만 살려고 정책적 지원보다 정말 여러 의견과 토론으로 올바른 정책지원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노력 했으면 좋겠습니다

  • @user-tt5un9yp3q
    @user-tt5un9yp3q2 ай бұрын

    09:12 역시 최준형 박사님. 현재 저출산 정책이 무쓸모 눈먼돈 세금 돈 뿌리기에 불과하다는걸 증명해 주시네요. 저출산은 돈 뿌린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님. 사회가 적응해 나가야 하는 문제임.

  • @user-ig4xy2fq3v
    @user-ig4xy2fq3vАй бұрын

    "그냥 혼자 살아도 불편함 없는 세상 배우자와 아기를 위해 희생하고 스트레스 받고 살고 싶지 않다"라는게 저출산의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헬조선이니 뭐니 이유를 대면서 결혼, 출산할 여건이 안된다라는 분 그거 대부분 핑계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나의 "즐거워야할 인생에 배우자와 아기는 도움이 안된다라는 생각" 그게 저출산의 이유입니다. 여건이 갖춰져야 결혼하고 출산할 것같으면, 그것 잘 갖춰진 부자들은 아이 2명 이상씩 낳고 살아야 하는데 요즘은 부자들도 요즘 혼인률 높지 않습니다. 우리 조부님, 부모님 세대가 뭐가 있어서 아이를 그렇게 낳진 않았습니다. 열악한 살림에도 어느 정도 헌신적인 자기 희생이 있었기에 아이를 낳은 거죠. 하지만 요즘은 심하게 얘기해서 아이 한명에 1억 지원한다고 해도 안낳을거에요. 그 1억에 본인의 자유로운 삶을 바꾸고 싶지는 않으니까. 본인이 결혼하고 배우자 자식을 위해 헌신하려는 맘이 없다면 출산률 결코 올라가지 않습니다. 지금의 비혼자들이 노년이 됐을때 고독사 하고 본인 시신을 가족 친지가 아닌 공무원들이 치우는 모습을 봐야 자각 할려나요. 본인의 의지가 중요한거지 국가의 경제적 지원 필요 없습니다. 경제적 안정이 있어야 애 낳을 수 있다라고 하는데, 어차피 인생 즐겁게 사는게 목표인 사람들은 경제적 지원해줘도 절대 애 안낳습니다. 밑빠진 독에 물붓기 입니다. 북한이 부러웠던 적은 전혀 없는데 그거 하나는 부럽네요 출산률 1.8명(한국3배 그것도 다문화도 없고, 귀화자도 없고 순혈로만). 물론 북한도 저출산이 될 뻔했지만 돈을 쓰지 않고 강압적인 그말 한마디에 출산률이 올라갔다고 합니다. 아이를 2명 이상 낳지 않으면 공산당에 입당하지 못한다. 우리가 그런 정책을 쓴다면 바로 표로 심판하겠죠. 이민도 녹녹치 않습니다. 철없는 양반들은 선진국 위주로 이민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선진국이 미쳤다고 인종차별 심하고 극악한 난이도의 한국어를 쓰는 이나라에 왜 이민을 올까요? 가끔 국뽕 유튜브 땜에 한국이 뭐 대단한 나라라 생각 하는 분들 계시는데 선진국 사람들에겐 그렇지 않습니다. 후진국 사람들도 한국은 잠시 돈벌고 고국으로 가야할 나라라고 생각하지 정착할 나라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후진국사람에 대한 업신여김에 인종차별, 인종차별 후진국 사람에게도 한국은 정착하기 쉬운나라 아닙니다. 답글

  • @loveyoumaxin
    @loveyoumaxin2 ай бұрын

    이미 있는 사람들을 귀하게 여기자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 @DavidLee-mq4fl
    @DavidLee-mq4fl2 ай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본질을 제대로 꿰뚫어 보셨군요..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user-jt8uz2wh8r
    @user-jt8uz2wh8r2 ай бұрын

    다소 충격적이네요. 사회적 신분제가 공고한국가일수록 오히려 출산율이 높다는것이. 몇몇을 위한 나라가 될것인가.. 아니면 좁은문을 통과한 몇몇의 사람들을 위한 나라가 될것인가..

  •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Ай бұрын

    그만큼 경쟁하지 않아도 되니까요. 어처피 사다리가없어서 노력하지않아도 되서 그런거 같네요

  • @chan87241

    @chan87241

    Ай бұрын

    사다리로 올라가는데 경쟁으로 낭비가심하고 희생도 생기니까 그런것같네요 ㄷㄷ 애초에 사다리를 걷어차버리니 끼리끼리 잘만나고 사는걸수도 있겟네요 ㄷㄷ

  • @delightinyou125
    @delightinyou125Ай бұрын

    저랑 제 파트너가 (개인적으로는 웬만한건 다 갖췄다고 생각하는데) 애를 낳고싶지 않은 이유를 이 방송을 보고 드디어 언어화할 수 있었어요ㅎㅎ; 주위에 sky나와서 잘먹고 잘사는 딩크커플들도 이제 정말 이해가 되네요...(우리안낳는건 이해되도 타인들이 왜 안낳는지는 또 따로궁금했거든요) 감사합니다!

  • @Aechante513
    @Aechante5132 ай бұрын

    최박사님은 어떤 토론도 격을 높이신다는.최박사님을 뵐때마다(말씀 들을때마다) 참 저분이야말로 perfect gentleman 이란 생각이...

  • @zet6515
    @zet65152 ай бұрын

    비용의 문제가 아니라,개인의 생활 이 중요한 시대인것 같아요. 프랑스여인들처럼..,

  • @user-wm4dh8jz7b

    @user-wm4dh8jz7b

    2 ай бұрын

    프랑스출산율 1.5요...

  •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2 ай бұрын

    풉~~ 프랑스여자랑 한국여자랑 비교한다고? 걔네는 여자라도 제대로 된 직장 없으면 인간취급 못받음 출산하고 하루뒤에 남편이 잠자리 요구하는데 안받아들이면 바로 내집에서 나가임 의무는 안하고 권리만 챙기려하는 한국여자가 뭐? 프랑스? ㅋㅋ

  • @IlIilILiliILiIliI

    @IlIilILiliILiIliI

    2 ай бұрын

    @@user-wm4dh8jz7b 개높자너

  • @earthday798

    @earthday798

    2 ай бұрын

    @@user-wm4dh8jz7b1.5 너무나 대단한 수자죠! 😂

  • @TraderX888

    @TraderX888

    Ай бұрын

    그거 프랑스백인들이 낳는거 아닌데..

  • @user-ex4ne4uv5x
    @user-ex4ne4uv5x2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사회가 기본적으로 가지게되는 딜레마임.. 교육의 차이는 임금의 차이를 만들고 이것은 남들보다 우월해지는 계급으로 올라가는 수단이됨 결국 이걸 경험한 세대는 자식세대들에게 집중적인 교육을 강요하게되고 자식 세대들도 이러한것이 옳다는것으로 받아들임 이건 실질적인 행복을 감소시킴 강요된 교육을 받은 세대는 실질 행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가게되고 이것의 답은 비혼이나 아이를 가지지않는 방향임 출산이 늘어나는 시대가 될려면 경쟁이 없어도 먹고살수있고 배우지않아도 기죽지않는 그런 세상이 되어야함 진짜 태평성대는 이런 시대라 생각함

  • @user-dn1dl1yr3l
    @user-dn1dl1yr3l2 ай бұрын

    각종 자료를 통한. 근거제시로. 현재. 대한민국과. 전세계의. 인구 절벽문제의. 원인과. 대책을 공유 할수 있게. 해준. 정말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 @3D_logicaldesign
    @3D_logicaldesign2 ай бұрын

    저출산의 원인 두번째는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가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인류는 자식이 부모를 부양하는 관계에서 최근 100년 노동의 가치가 자본의 가치를 따라가지 못하다보니 예전처럼 자식이 재산이 아니고 짐이 되었습니다 부모세대보다 가난한 유일한 자식세대이기때문에 더이상 자식을 많이 낳는것이 자신의 증식이 아니게 된것입니다~!

  • @jinhanchang
    @jinhanchang2 ай бұрын

    간단한 원리임. 내가 이미 자식으로서 다 경험했고, 그렇게 쎄 빠지게 해서 안된다는걸 알았음. 같은 실패를 두번 반복하면 그건 미련한거임.

  • @nigimibbonm
    @nigimibbonm2 ай бұрын

    오옷..최박사님 말들으니 꿀벌생각나네요. 꿀벌을 연구하면 60프로는 열심히 일하고 40프로는 놉니다..그래서 놀고있는 꿀벌 40프로를 제거하고 일잘하는 꿀벌 60프로만으로 있게 만들면 또다시 그중 60프로는 열심히 일하고 40프로는 논다고 합니다..그래서 저도 회사에서 놀고있는 녀석을 봐도 그러려니합니다..ㅋ

  • @user-tn4dn9tn7k
    @user-tn4dn9tn7kАй бұрын

    격하게 공감되고 수긍되네요. 훌륭하신 의견이십니다

  • @TimiNick-ji2fd
    @TimiNick-ji2fd2 ай бұрын

    여성들의 교육 수준과 출산율의 상관 관계도 높습니다. 그네들이 깨닫는 것이죠. 출산은 과연 누굴 위한 일인가?

  • @user-bn3qk1kk1k

    @user-bn3qk1kk1k

    Ай бұрын

    깨닫는게 아니라 망상하는 건데 마치 엄청난 깨달음을 얻은 것처럼 착각하는 거죠. 그래서 븅shin같은 성별인겁니다.

  • @user-zv7fn3jz5y

    @user-zv7fn3jz5y

    Ай бұрын

    먹고 살기 위해 일하고 잘 살기 위해 노력하고 노력의 결과는 행복인데 노력해도 불행하다면 축소 지향적으로 노력의 대가를 찾으려 한다.

  • @huckle127

    @huckle127

    Ай бұрын

    출산하는 주체가 된 여성이 출산이 불리한 사회에서 아이를 낳는건 바보같은 일이죠 사회적 문화적 인식변화와 제도개선이 필요합니다.

  • @user-tr9qq4cg2o

    @user-tr9qq4cg2o

    Ай бұрын

    ​@@huckle127여성들에게 유리하게 해달라??그럼 벌어먹이는 남성은?? 얼마나 더 여성들에게 해줘야합니까?? 그 진절머리 나는 여성들의 "해줘 해줘"

  • @tiffanyyyoon

    @tiffanyyyoon

    Ай бұрын

    그래서 해줘 대신 출산 안하는걸 택한거죠…. 그럼 애낳으란말을 말던가요

  • @user-fw3wg5bd9l
    @user-fw3wg5bd9l2 ай бұрын

    K드라마가 지구환경을 위해서 좋은일 하고 있네!

  • @freshper88
    @freshper882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명쾌하네요.

  • @odinkim2767
    @odinkim27672 ай бұрын

    애기르려면 시간의 규칙성,여유와 금전여유입니다 한국회사에서는 특히 중소기업은 모든게 완벽히 불가능한 일이죠

  • @johnpx4541
    @johnpx45412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 분석이다 역시 박사님

  • @Fgjfddhhcgh4553
    @Fgjfddhhcgh45532 ай бұрын

    그냥 인터넷과 스마트폰 때문이 아닐까. 예전에는 한창 20대때 도파민 분비되는 경로는 짝을 찾아나서고 연애를 하고 사람 만나고 직장에서 작은 보람을 느끼고 회식하고 술 마시고 그런 거였어서..1정도의 작은 기쁨을 위해서 10개의 노력을 마다치 않았는데 요즘은 하루 종일 스마트폰만 끼고 있으면 사실 도파민이 풀 충전되니까..사랑을 하는 기쁨, 육아를 하는 기쁨같은 작은 도파민을 위해서 10개의 노력을 쏟아부을 생각들을 안하는것 아닐까. 노력에 비해 얻는 기쁨이 겁나 작은걸 아는거지, ㅜㅜ 우리나라가 스마트폰 강국이 제일 먼저 된 것이(인터넷이 가장 빠름. 노키아의 핀란드도 인터넷 빠르지 않음?) 저출산 1위의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함.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먹통되면 사람들 심심해서 엄청 열심히 연애하고 애 낳을거임.

  • @raiparbat7108

    @raiparbat7108

    2 ай бұрын

    인터넷 스마트폰 영향이 심화시킨 것은 맞죠. 그렇지만 그것이 없었거나 활성화되지 않았떤 시기부터 벌써 급격한 하락이 있었습니다. 1984년(1.74), 2002년(1.17)

  • @XV73

    @XV73

    2 ай бұрын

    연애는 1대1 매칭이 아닙니다 ㅎㅎ 스팬을 짧게 보건, 길게 보건

  • @volvo3496

    @volvo3496

    Ай бұрын

    모든 선진국은 해당되는이야기고 지금은 빈민국 제외한 모든나라에 폰 보급된상태인데.. 인도와 헝가리는 출산율 상승 중

  • @XeroShulaker

    @XeroShulaker

    Ай бұрын

    결국 시간과 돈, 내 자녀와 나 자신의 시간과 돈을 경쟁하게 만드는 경쟁사회가 문제이고, 그 경쟁사회의 근본 원인은 자본주의라고 봐야죠

  •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Ай бұрын

    ​@@XeroShulaker자본주의도 자본주의인데 특히 한국은 사람말곤 아무것도 없다보니 더욱 경쟁이 심한것도 크죠

  • @cover8632
    @cover8632Ай бұрын

    이 대담은 진짜 너무 설득력 있다… 저출생 관련 영상들 중에 제일 마음에 와닿았습니다..!😮

  • @user-jz3gi3zx5o
    @user-jz3gi3zx5oАй бұрын

    박사님 깊이 있는 말씀에 동의합니다.

  • @hawk9938
    @hawk99382 ай бұрын

    젊은 사람들끼리 이야기하면 나오지만 출산율 토론이니 이런 곳에선 절대 나오지 않던 내용들을 그래도 나이가 있으신 최박사님이 말씀해주시는게 참 뭐랄까 신기하면서 고맙습니다. 블라인드라는 앱이 있습니다. 젊은 직장인들이 주로 이용하고, 대한민국의 민낯도 많이 볼 수 있는 곳이죠. 송길영씨도 삼프로에서 언급했던 적이 있는 내용이긴 합니다. 아무튼 블라인드에 가면 딱 두개가 눈에 띕니다. 1. 셀소 2. 신혼생활 한탄 1. 셀소는 셀프 소개입니다. 이게 송길영씨가 다뤘던 내용이죠. 저는 학벌 어느정도에 소득은 원징 얼마구요 지역은 어디고 부모님은 노후준비 되어있어요 키체중은 얼마고 예쁘단 소리 많이 들었어요 이런 식이죠. 2. 신혼생활 한탄은 주로 남편이 이해가 안된다. 이런식으로 이야기하는데 이혼해야 하나? 와이프가 너무 극성이다. 진짜 도저히 못버티겠다. 이런 식이구요. 그리고 여기서 셀소 부분이 바로 11:10에서 말씀하신 and조건입니다. 셀소에선 자기 조건을 늘어놓고 상대에게 바라는 조건도 늘어놓습니다. 그 조건들이 and이죠. 그러다보니 블라나 해당 글을 퍼간 다른 커뮤니티에 가보면 그 and조건을 단순 계산해서 어느정도 확률일지 추정한 글들도 볼 수 있습니다. 대략 1%도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구요. 그리고 이런 조건을 만족한다 하더라도 결정적으로 최박사님 말처럼 먹어본 놈이 먹는다고 그 남자가 회사-운동-집 이거만 반복하는 사람이면 연애시장에 안풀리죠. 요즘엔 소개팅도 꺼리는 남자들이 등장합니다. 아무래도 사회적 젠더갈등도 하나의 요인이 아닐까 싶구요.

  • @user-ww1pg3rq6w

    @user-ww1pg3rq6w

    2 ай бұрын

    다 타버린 성냥들이 시장에서 빨간페인트 발르고 나옴......

  • @koguma_fries

    @koguma_fries

    2 ай бұрын

    ​@@user-ww1pg3rq6w 그 놈들이 다 쓴거야!!! 내 성냥!!!

  • @user-mc4gq6ko5d

    @user-mc4gq6ko5d

    Ай бұрын

    남자를 믿을수가 없음. 그 많고 많은 코피노 보면

  • @choisoyun1

    @choisoyun1

    Ай бұрын

    블라인드는 정말 눈팅해보면 얄팍한 프라이드와 자랑 허세, 욕망으로 드글드글한 커뮤니티 같아요. 물론 거기 가입된 분들 상당수가 공무원 공기업 대기업 등 이른바 좋은 일자리를 가진 분들이 많고, 개인으로서 성취가 높은 건 좋은 일인데 그놈의 셀소랑 결혼 생활 이야기들을 보면 파트너나 보유해야 할 자산 목표 등을 "인증"받으려는 느낌이 있더군요. "ㅇㅇ살 여자/남자ㅇㅇ기업 다니고 ㅇㅇ정도 자산 있어. 이 정도 모으면 중간은 가는 건가?" 같은 질문이 많아서 신기했어요. 아니 내가 내 인생 살고 내 생활하는데 남에게 인증을 왜 받아야 하는지...뭔가 강박같이 보이더군요.

  • @user-mp5dh5zz7c

    @user-mp5dh5zz7c

    Ай бұрын

    @@user-mc4gq6ko5d 코피노가 많겠니~ 원정 창년들이 많겠니~

  • @user-et2xr6mq8b
    @user-et2xr6mq8b2 ай бұрын

    비유가 좀 그렇지만, 제가 반려견을 키우고 싶으나 요즘 반려견 문화가 주인의 케어(산책,위생적인 환경, 정기적인 검진 등)와 시간투자가 강조되는 분위기라 섣불리 못 덤비겠습니다. 개도 자유롭고 저도 좀 얽매이지 않고 키우고 싶은데, 그러면 주위사람들이 매우 눈치주고 흉보겠죠 . 하물며 개도 아닌 사람을 잘 키워야하는 문제라면, 부모가 희생해서 잘 길러야한다는 사회적압박이 심한 현재 분위기에선 쉽게 출산에 덤빌 사람이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제가 느끼던 바를 역시 학문적으로 잘 정리해주시는 최준영박사님 존경합니다

  • @XV73

    @XV73

    2 ай бұрын

    개도 셋방살이 개는 꼬질꼬질하고, 행동이 방정하지 못 합니다

  • @iolalife8707

    @iolalife8707

    Ай бұрын

    오홋 정확한 파악인데요

  • @user-gj3zc5mq2c

    @user-gj3zc5mq2c

    Ай бұрын

    적절한 말씀이에요 제 직계가족은 반려견이 없어도, 주위에 워낙많으니 ᆢ그런 컨텐츠로 공부까지 하게 되더라구요. ᆢ 육아는 엄마로서 자괴감만 들구요. ㅎㅎㅎ 청소년기되니 학업때문에. 잘키워야되는 문화적 압박ㅠㅠ

  • @novascotian9

    @novascotian9

    Ай бұрын

    이프로보다 뛰어난 비유네요!

  • @nightkebi6544

    @nightkebi6544

    Ай бұрын

    그건 당연히 해야 하는거

  • @ghkrlqkr
    @ghkrlqkr2 ай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의 오늘 내용은 너무 공감이 가는 내용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ov4hg2us8u
    @user-ov4hg2us8u2 ай бұрын

    세계에 육각남 환상을 심어준 k드라마. ㅋㅋ

  • @doslrnt
    @doslrnt2 ай бұрын

    생각해보면 같은 동아시아이지만 일본의 출산율 하락이 그나마 둔화되어서 1명대를 유지하게 된 것도 사토리 세대 이후인 것 같음. 버블경제 끝나고 계층이동은 사라졌지만 치열한 경쟁 또한 사라지고 선진국역사는 오래됐으니 그냥 주어진 환경대로 어찌어찌 먹고 사는데는 지장이 없는 상황. 일본보면 상류층이 아닌이상 자식교육에 투자 많이 안하고 전국민의 절반에서 60%가까이가 대학을 안 간다. 그나마 대학진학률에서 2년제를 빼면 4년제 진학은 더더욱 적다. 그러니까 다들 큰 욕심 없이 자기 조건에 맞게 결혼하고 출산을 한다. 그리고 그건 유럽도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결국 어느정도 소득은 높아졌으나 사회전반에 높은 교육열과 치열한 경쟁이 있는 존재하는 나라일수록 출산율이 낮다. 경쟁을 하면 국가가 성장해야되는데 오히려 국가경쟁력을 악화시킨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한국을 포함한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 조금씩 증명되는거 같음

  • @user-dk7gt5jw5t

    @user-dk7gt5jw5t

    2 ай бұрын

    일본은 그렇게 버블붕괴에 빠지기 전에 해외에다가 자본으로 투자를 많이 해와서 그거로 먹고사는것

  • @user-ql5mr1nd8j

    @user-ql5mr1nd8j

    Ай бұрын

    그것도 그렇고 일본 지방에서 조용히 살기 좋은것도 있음

  • @user-ld9zg4wm4m

    @user-ld9zg4wm4m

    Ай бұрын

    일본은 일단 페미랑 남녀갈등도 없음 ㅋㅋㅋㅋ 그리고 경쟁하면 떠오르는 미국은 계속 성장 중, 사회주의 복지하면 떠오르는 유럽은 골로 가는 중. 성장에 경쟁이 따라붙는 다는 건 사실임. 그걸 잘 알기에 현재 일본은 부의 차이가 생기는 걸 알면서도 미친듯이 법인세 감면 등으로 기업들을 밀어주고 국내로 투자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발악하는 중. 부자감세타령이나 하며 25만원에 목매는 우리나란 뭐 저물어가는 유럽 꼴 날거라 봄 ㅇㅇ 애초에 지금은 미국의 고금리로 인한 버티기 곡선 상에 있는거라 경쟁이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논리가 안먹힘. 사실상 에너지 부국이 아닌 이상 다 힘드니. 진짜 판가름은 이후 고금리가 지난 후에 드러나겠지. 어려운 시기를 어떻게 대비했는지에 따라

  • @user-td6ep5lu8x
    @user-td6ep5lu8x2 ай бұрын

    얼마나 집중해서 들었는지~ 이프로님 감사합니다. 🎉😊❤

  • @oneminite_bookintro
    @oneminite_bookintro18 күн бұрын

    저도 비슷하게 생각했습니다. 돈도 문제이지만 분명 정책으로 지원해주는 지원금,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 나서는 경쟁으로 인한 불안감, 경쟁에서 지면 안정된 삶을 살지 못한다는 불안감, 또 경쟁에서 이겨서 올라가면 커리어를 유지해야 하는 데서 오는 부담감, 즉 무엇이든 경쟁하는 문화가 결국 저출산을 야기하는 거라고 생각이 드네요. 패널분들 말처럼, 앞으로의 시대는 노동력에 관해서는, 20~70대 할 거 없이 모두 일하는 시대가 올 것 같습니다. 또 자라나는 10대까지 앞으로의 세대에게 경쟁보다는 그 아이에게 맞는 최적화된 교육을 함으로써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 @rocknroll336
    @rocknroll3362 ай бұрын

    단순한 사람들 많네요. 학교 수업 시간 줄여서 집에 일찍 보내면 왜 퇴근 시간 전에 학교를 끝내냐고 애 봐줄 사람 없다고 정부에 학교에 항의하고 그런 애들을 학원 뺑뺑이 돌리는 나라에서 교육 기간을 단축하면 그 애들을 한국 부모들이 가만 놔둘 것 같아요??? 단세포도 아니고.... 좋은 정책 백날 때려봤자 정신 나간 부모들이 그걸 싹다 다른 목적으로 이용해버립니다. 몇몇 부모가 그러면 그걸 다 따라하죠. 뒤쳐질까봐. 뭘 좀 듣고 하면 그냥 듣는대로 받아들이지 말고 현실에 대비해서 근거해서 좀 생각들해봐요. 친가족정책이 왜 백약이 무효할까. 왜 학교 수업도 짧아지고 주6일 가던 학교 5일 가는데 애들은 편의점에서 자녁먹어가며 학원 뺑뺑이 돌고 엄마는 그런 애들 실어나르며 인생을 날릴까 하고 말입니다요

  • @user-bk6qd7mi8x

    @user-bk6qd7mi8x

    2 ай бұрын

    신자유주의에 입각한 기술집약 자본주의 사회구조에 기반한 문화 때문에 님이 말한 현상이 일어나는거라잖아요. 그걸 한국은 한탐 돌았고 그 결과 응안해~ 하는 세대가 지금의 2030세대라서 출산율 개박살난거구요. 그래서 이거 인정하고 있는 인적자원 재활용할 수 있게 효율적으로 인력활용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국가의 돈을 쓰자는게 지금 박사님 주장이신거임.

  • @chan87241

    @chan87241

    Ай бұрын

    설령그렇대도 장기적으로 바꿔나가야합니다 사회생활을 일찍시작해야 결혼도 빨리하고 할확률도 높아지죠 20대 중후반부터 일시작하는게 말이되나요 비효율그자체임..

  • @kk-qi7kz
    @kk-qi7kz2 ай бұрын

    박사님 마지막부분에 얘기하시는 솔루션이 정말 와닿습니다. 효율성과 시스템 개선이 우선으로 이루어져야 할거같아요

  • @kmrais01
    @kmrais012 ай бұрын

    환상의 트리오!! 잘 시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chollangchollang
    @chollangchollangАй бұрын

    너무나 공감하고 정말 최고요. 정치하시는 분들 꼭 보셔야해요. 돈 더 준다고 애기 안나요.

  • @byul368
    @byul368Ай бұрын

    현존하는 모든 한국 저출생 이슈 관련 영상중에서 최고인것 같습니다

  • @Summer-nm9si
    @Summer-nm9si2 ай бұрын

    역시 최준영 박사님은 날카롭게 제대로 문제를 파악하셨네요. 그동안 당했던 가스라이팅에 요즘 아이들이 기성세대들에게 빅 엿을 날리고 있는것입니다

  • @travellingsmile8164

    @travellingsmile8164

    2 ай бұрын

    설사 맞는 말이라도 이렇게 이야기하면 본인들한테 좋은 게 없음. 왜냐하면 그 화살은 결국 자신들에게 돌아가게 돼 있으니까. 부모 세대들은 그때는 이미 세상에 존재하지 않음.

  • @user-zp3uw3tt9g
    @user-zp3uw3tt9g2 ай бұрын

    멀 해도 국민들 마인드 바뀔 때까지 회복 불가능이니간 그냥 돈 써서 날리는 것보다 아껴서 국가가 갖고 있는게 차라리 났겠네요

  • @user-dk7gt5jw5t

    @user-dk7gt5jw5t

    2 ай бұрын

    근데 저거 아껴서 다른 더욱 쓸대없는 곳에 펑펑 쓰는중

  • @user-bh3lg3fe4g
    @user-bh3lg3fe4g24 күн бұрын

    폭넓고 다양한 접근 으로 수긍가는 부분이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