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삼성이 죽었다 깨도 애플 못 이기는 이유 | 북언더스탠딩 | 자본 없는 자본주의 | 남궁민 북칼럼니스트

2부 링크입니다. • (2부) 옆집에 누가 사느냐가 당신의 부...
👉언더스탠딩 문의: to.understanding.official@gmail.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언더스탠딩 멤버십 가입
/ @understanding.

Пікірлер: 664

  • @understanding.
    @understanding.16 күн бұрын

    2부 링크입니다. kzread.info/dash/bejne/omeBrZasdK7NlrQ.html

  • @parkherenow

    @parkherenow

    16 күн бұрын

    일본 한국 중국은 짝퉁만들어서 성장한 나라,,,,,,,신개념사업을 이르키기보단,,,,,남들이 만든걸 싸고 더 성능을 증가시킨재품을 만들어서 부을 쌓은 나라,,,,,그러니 경쟁기업이 산규로 성장하는걸 막는 방식으로 그 지위을 유지하려하니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을 능가할수 없는것,,,, 그런데 막구가네로 빼끼고 훔차는 중국을 만나서 함들어진 한국기업들,,,,미국이ㅜ중국을 때려주어서 고마울뿐,,,,이젠 로얄티을 주고 짝퉁을 만드는 나라중 최고의 나라가 한국인데,,,그걸 유지시켜주는 미국이 엄청고마운,,,한국 대기업들,,,그래서 삼성이 불만없이 미국에ㅜ공장으루지어주는 건가?

  • @parkmachine_

    @parkmachine_

    16 күн бұрын

    @@parkherenow 말은 맞는말

  • @user-fjsrt

    @user-fjsrt

    15 күн бұрын

    현대자동차가 죽어도 자동차로는 이길 수 없을 것 같은 벤츠,bmw,폭스바겐아우디그룹도 비교해주세요

  • @heeejoy1064
    @heeejoy106416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해외에 사는 30대 청년입니다. 이 댓글 보실지 모르겠지만 솔직하게 말해서 메인채널보다 더 퀄리티가 좋은 정보가 많습니다. 무엇보다 남궁민님과 함께 오늘같이 한국의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다양한 토론 제발 꼭 자주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오늘 들은 강의 진짜 백퍼 공감하고, 저는 교육쪽에서 일하는데 요즘 아이들은 더 더 희망도 없고 우울함을 기본으로 가지고 있어요 그러니, 쇼츠로 유투브 뿐만 아니라, 인스타에도 좋은 부분 짤로해서 많~~~~~~이 뿌려주세요 아이들도 눈치 빠른애들은 이런 내용 이해할거에요 그럼 분명히 터질꺼고, 수입도 느셔서 더 자주 편히 오늘과 같은 토론 하실수 있을거에요 너무너무 좋은 채널, 영상 감사합니다!!!!

  • @user-yi9gv9rc3p

    @user-yi9gv9rc3p

    15 күн бұрын

    고거는 외국도 같은상황 세계가 극으로 가고 있어서 안보에 더 집중해야 하는디 다른데 예산 쓰고 있으니

  • @user-hv5jb8bf4k

    @user-hv5jb8bf4k

    15 күн бұрын

    저도 요즘 삼프로보다는 언더스탠딩만 보네요😅

  • @white.8817

    @white.8817

    15 күн бұрын

    @@user-yi9gv9rc3p니가 군대가라

  • @shiredo
    @shiredo16 күн бұрын

    이분꺼는 전부다 레전드네요

  • @user-ns8sq5sx9f

    @user-ns8sq5sx9f

    16 күн бұрын

    정말 맛깔나요 어렸을 때 동네 똑똑한 형 이 쏙쏙 박히게 이야기 해주는 느낌ㅋㅋㅋ

  • @fdsf8df87dd

    @fdsf8df87dd

    16 күн бұрын

    남궁민님 여기서 왜 이러세요

  • @toothing2793

    @toothing2793

    16 күн бұрын

    동감!

  • @user-pe5my6kd6s

    @user-pe5my6kd6s

    15 күн бұрын

    동감

  • @sally-kr8by

    @sally-kr8by

    15 күн бұрын

    제말이 그말이에요

  • @sunkim4061
    @sunkim406116 күн бұрын

    지금 우리의 치안이 이정도 유지되는것은 유형자산이많은 제조업기반 산업구조를 갖고있기때문이에요 제조업은 이익이 적을지라도 사람을 많이 고용하니까요 그래서 돈을 버는 인구가 많기때문에 이정도의 치안유지가 가능한거지요 근데 무형자산많은 첨단산업위주산업구조를 가진 미국은 빈부격차가 큽니다 첨단산업은 사람을 많이 고용하지않아요 그래서 빈부격차가 심해지지요 돈을버는사람이 적으니까요 전 산업은 골고루 발달해야한다고봅니다

  • @user-gj3zc5mq2c

    @user-gj3zc5mq2c

    15 күн бұрын

    맞는말씀이네요

  • @hofffnung

    @hofffnung

    15 күн бұрын

    전산업이 골고루 발전해야죠. 근데 한국은 제조업만 발전한 나라입니다. 어떤 선진국이 제조업 비중이 30%가 나옵니까? 제조강국 소리 듣는 독일 일본도 20%인데 ㅋㅋ 제조업 말고 다른 거 해보자는 글에는 항상 이렇듯이 제조업이 뿌리다, 땀흘려 돈 벌어야 한다 이런 댓글만 주구장창 달리는데 현재처럼 기형적인 구조로 어떻게 더 나아감? 인건비는 개도국이랑 비교하면 높아서 더 올리면 경쟁력 상실이고, 청년들은 그 돈 받고 공장에서 3교대 왜 하냐 미쳤냐해서 안가는데

  • @robertsaint6495

    @robertsaint6495

    3 күн бұрын

    제조업도 끝이 보이는데 이대로 가면 나라 꺾이는건 시간문제. 사실 국운은 이미 꺾였고 아파트실물자산 가치상승으로 gdp올라갔다고 하는중

  • @hwannie6206
    @hwannie620616 күн бұрын

    들어보면 다 맞고 옳은 얘기인데 한계도 있어보이네요. 미국이 이런 시스템을 구축된것은 기축통화와 금융이 받쳐주기 때문에 가능해보입니다. 어두운 면은 현재 미국은 제조 산업 기반이 붕괴되어 있는 상태이고 과연 브릭스가 출범해도 이런 얘기가 가능할까요? 현상태는 미국이 유니폴라 상태일 때만 가능해보이네요. 향후에는 미국의 힘도 서서히 빠지고 있고 세계가 다극화 체제로 변하게 된다면 제조가 없는 지식산업의 기반을 추종한다면 국민 경제는 파국을 맞을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의 미국은 제조업 기반이 다 붕괴되어서 간단한 물건이나 재래식 무기도 제대로 생산 못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국가마다 생존방법과 성장방식은 다양하지만 한국과 같은 나라가 미국을 무턱대고 따라간다면 우리는 생존을 장담하기 어렵고 미국의 빈부격차를 보면 우리는 거의 애교 수준입니다. 작가님의 견해를 비하하는건 절대아니고 유익한 내용은 분명한데 산업은 한부분만 놓고는 설명이 불가한 부분이 너무 많고 모든 산업은 대부분 실타래처럼 다 엮여있어서 한 단면만 놓고는 이를 추종한다면 너무 위험해 보이네요. 아무리 지식산업에 기반을 둔 빅테크라 하더라도 누군가는 이들을 대신해서 제품을 생산해주는 중국이나 인도 같은 나라가 서포트해줘야 가능한 시나리오인데 전쟁이 나도 이시스템이 유지 가능할까요. 그나마 서유럽에서 이런 시스템을 가진 유일한 경제 강국이 독일이었는데 현시점에서 보면 독일도 서서히 경쟁력을 잃고 있습니다. 경제는 분야별로 다루는 책에서 모든 이슈를 해결할수 있다는 누를 범해서는 않됩니다. 따라서 모든 국가는 기본 제조업 기반을 살려야 여러 상황을 대비할수가 있습니다.

  • @plake385

    @plake385

    15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 @jaywhan6129

    @jaywhan6129

    15 күн бұрын

    제생각도 같습니다. 미국의 돈잔치가 계속될수 없고 만약 달러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미국은 제조업 역량이 전무해서 재기가 거의 불가능할거 같아요. 지금 제조업 리쇼어링 중이지만 달러가치 상승으로 제조업이 성장할수가 없고 제조업 성장을 위해서는 달러패권을 내려놓아야 하는데 그걸 선택할수가 없죠.

  • @user-dp4vh6yh3z

    @user-dp4vh6yh3z

    15 күн бұрын

    미국이 제조업 붕괴돼서 물건 못 만들면ㅋㅋㅋ😂 에휴 쪽팔린 줄 아세요...

  • @sooren64

    @sooren64

    15 күн бұрын

    ​​​@@user-dp4vh6yh3z?? 실제로 그래요. 미국은 제조능력을 상실했습니다. 저임음 노동을 우리가 왜 해? 라며 지난 반세기동안 2차산업이라 괄시하던 제조능력은 대부분 중국 등 제3국으로 넘겼습니다. 😢 지금같이 세계 대국간 힘의 싸움이 점점 심해지는 시기에는, 결국 자급자족 할수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미국도 위기감을 느끼고 다시 제조업을 부흥시키려고 하는것이겠죠

  • @panggal6636

    @panggal6636

    15 күн бұрын

    실물경제가 뒷받침이 되어야 무형자산의 경제가 존재할 수 있는거지 빅테크기업들의 수익이 어마무시 하다고 다 그거하면 제조업은 누가함?? 영상에서 스벅을 예로 들었는데 커피브랜드화해서 성공했다고 하는데 그럼 커피는 누가 만들고 커피머신기는 누가 만들고 매장인테리어는 누가 만듬?? 다 제조업으로 만드는거임 미국이 무형자산의 경제가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그동안 중국이 세계의 공장 역할을 했기때문이다.사실 미국이 일부러 안만든거였지만... 근데 이제 중국도 망해가고 정치적인 문제등등 해서 이제는 미국이 제조업 다시 미국으로 돌리려고 하고있다. 삼성도 텍사스로 공장옮기라고 미국한테 러브콜 받고 있는마당에.....

  • @jayjung2378
    @jayjung237816 күн бұрын

    현재 우리나라의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깨는 혁신적인 창업가가 많이 나왔으면 합니다.

  • @user-oy5eb9oy2d

    @user-oy5eb9oy2d

    16 күн бұрын

    타다금지법이였던가... 창업가라면 한국을 떠나야 성공한다고 생각할거에요

  • @fysician

    @fysician

    16 күн бұрын

    생태계가 없는데 무슨 이재용이 창업함??

  • @goyashiro5298

    @goyashiro5298

    16 күн бұрын

    구글지도 반출금지 타다차량공유도 금지 뭘 혁신을하라는거?

  • @BLUEWHELL

    @BLUEWHELL

    16 күн бұрын

    타다금지. 암호화폐를 다단계 수준으로 평가. 공유경제 사회 문제화. 신 사업과 혁신 산업이 나타날때 마다 기존 사업 마찰을 피하기 위한 규제로 제한하는데 혁신적인 창업은 사회적 지탄과 감옥갈 수 있습니다. 나오기 힘든 사회입니다. 이걸 해결해야 합니다.

  • @kanginlee2065

    @kanginlee2065

    16 күн бұрын

    깰려고 하는 사람들은 이미 미국으로 갑니다 .. 왜냐면 절대 안깨지거든요 ㅋㅋㅋ

  • @co-cu2vi
    @co-cu2vi16 күн бұрын

    북언더스탠딩 솔직히 주5회는 해줘야 하는거 아닌가요

  • @user-ns8sq5sx9f

    @user-ns8sq5sx9f

    16 күн бұрын

    ㄴㄴㄴ 주7회 ㅋㅋㅋㅋ

  • @user-nj1kh1jv4x

    @user-nj1kh1jv4x

    16 күн бұрын

    주 8회 레츠고

  • @user-ns8sq5sx9f

    @user-ns8sq5sx9f

    16 күн бұрын

    @@user-nj1kh1jv4x 이건.... 과로사할 수도 ㄷㄷ ㅋㅋㅋㅋ

  • @AhFeelsoGood

    @AhFeelsoGood

    16 күн бұрын

    진짜 유튜브 컨텐츠중에 가장 북언더스탱딩이 가치있다고 본다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자체를 흔들어버림 이런걸 공짜로 볼수 있다니 세상이 너무 좋아졌어

  • @jamescunard1545

    @jamescunard1545

    16 күн бұрын

    횟수를 늘린다??? ㅎㅎㅎ

  • @M.B.A_Kim
    @M.B.A_Kim16 күн бұрын

    사람은 감가가 안된다. 왜냐하면 계속 학습을 하기때문에. 그러나 체력은 감가가 된다. 그러므로 사람은 계속 학습과 체력관리(에너지관리)를 해줘야 하겠어요!

  • @velociraptor7871
    @velociraptor787116 күн бұрын

    90년대 초, 이건희 회장이 품질 외에도 브랜드, 디자인, 복합화, 이런 걸 말씀하셨는데, 우린 이해를 못해서 뒤에서 비판만 한 기억이 있다. 나라가 후진데 미국, 일본과 경쟁할 수 있는 브랜드를 어떻게 만들겠느냐고 하면서. 당시 어떤 정치인, 경제학자, 경영인도 이런 말을 하지 않았다. 아니 못했다. 수십년 지나고 나서야 이 회장의 엄청난 경영 혜안을 확인하고 탄복하지 않을 수 없다.

  • @MyChoi-wj2ou
    @MyChoi-wj2ou16 күн бұрын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새로운 관점 좋네요👍👍

  • @Audkjywstpcc
    @Audkjywstpcc16 күн бұрын

    즉 다시말해 구조조정을 하고 개혁을 해야되는데 우리나라는 기득권의 파워가 너무 강해서 가능할가요? 저는 가망이 없다고 봅니다.

  • @landladyyoung6177
    @landladyyoung61774 күн бұрын

    남궁민님 이야기에 빠져 듣고 있어요. 북언더스탠딩 매일 해줬으면

  • @sungwoongshin4552
    @sungwoongshin455216 күн бұрын

    여기서 잠깐. 아시아의 자본주의 국가들이 실물경제에 치중한다는 지적에 대해서 유럽이나 미국 등 서구 모델이 가장 이상적이냐 하면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실물 자본주의보다 금융 자본주의가 더 '쉽게' 돈을 벌 수 있어서 즉 레버리지가 커서 이상적으로 보이지만 그럴러면 세계 어디선가에서는 실물 경제가 뒷받침디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가 아무리 발달해도 기계 공학이 실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도 서구 모델을 전적으로 따르면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국가 더 나아가서 아프리카 등이 제조업 등을 맡아주어야죠. 그러다 보면 우리가 발목을 잡히고 실체 없는 허공에 붕 뜨는 일이 생길 수 있다고 봅니다. 소득 수준이 6만불이 되면 지금보다 두 배 행복핳까요? 글쎄요.

  • @mansoo2256

    @mansoo2256

    16 күн бұрын

    기축통화 , 군사력 , 영어권등 기본 백업이 없는 선진국외의 나라들은 어쩔수 없는것 같애요..... 알아도 못하는.. 결국 한국은 요기조기 기웃거리며 틈새시장을 노리는수 밖에..

  • @sanghwan_kim

    @sanghwan_kim

    15 күн бұрын

    좋은 댓글이네요!

  • @panggal6636

    @panggal6636

    15 күн бұрын

    유튜브 시청사도 아는 사실을 책 지은이는 모름

  • @user-dd1jz1hs9n

    @user-dd1jz1hs9n

    15 күн бұрын

    @@panggal6636모르겠습니까. 아니깐 하나의 관점을 가지고 쓴거지. 너무 무지하다.

  • @jiyongkim4513

    @jiyongkim4513

    14 күн бұрын

    무형자산중심의 경제를 참 부러워하고 있지만 사람마다 체질이 다르듯 균형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네요. 저희처럼 자원이 없는 나라는 무형자산 증가와 더불어 사회불평등이 더 심해질듯 하네요. 유형7:무형 3정도가 같네요.

  • @user-sg9sk9zh9q
    @user-sg9sk9zh9q16 күн бұрын

    트렌드로 돈 버는 덴 한계가 있어요. 치고빠지는 장사는 정부입장에서는 물가만 올리니 좋아하진 않죠

  • @gogoki112
    @gogoki11216 күн бұрын

    창의와 혁신으로 3만불 시대를 돌파해야 한다는 이야기 인데.... 전국민이 국가경쟁력은 만들지 못하는 의사, 변호사, 회계사, 공무원, 공기업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서 평생 치열하게 경쟁하며 살아가는 나라에서 가능할까 싶네요. 모두들 걱정하지만 정작 본인과 자식들은 누군가가 대신 전쟁터에서 싸워주기만을 바라죠. 정작 본인들은 후방에서 걱정하고, 응원하고, 조언하고, 잘못된점은 지적만 하기를 바라면서요. 이런 나라에 앞으로 가능성이 있을까 싶네요. 70~90년대에 한국의 기적을 만든 공학도들이 당시에 그냥 의대에 갈껄 하고 후회하는 나라에서 더 말이 필요한가요? 이 시기가 한반도 역사에서 잠깐 있었던 아주 이상한 시기였고 지금은 다시 한국인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 상황이죠. 일본에 나라까지 뺏기게 만들었던 유구한 사농공상의 뿌리깊은 전통을 지켜가는 아주 훌륭한 모습입니다. 이미 수치상으로만 봐도 2008년 이후 한국은 세계 경제성장률 평균보다 낮아진지 오래이고, 칼럼리스트가 언급했듯이 골드만 삭스, 파이넨셜 타임즈 같은 외부에서도 한국의 암울한 미래를 지적하고 있죠. 2050년에 한국은 15위권 밖으로 밀려나고 2070년에는 필리핀보다 뒤쳐질 것이라고 말했죠? 다들 전쟁터에서 싸우고 싶어하지 않으면서 서로 다른 사람들이 나가서 싸워주기만을 걱정하고 바라고만 있는 나라가 지금의 한국이죠. 그냥 한국의 현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게 앞으로 우리가 할 일인듯 하네요.

  • @user-oy5eb9oy2d

    @user-oy5eb9oy2d

    16 күн бұрын

    요즘 조선사 보고 있는데 매우 공감요.

  • @user-ut2pu3wr6g

    @user-ut2pu3wr6g

    16 күн бұрын

    똑똑한 사람이 없는게 아니라, 그 사람들을 겁쟁이들로만 양산한 문화, 교육 시스템, 입법제도를 개선하지 않는 이상, 한국은 추락을 거듭할 것 같습니다

  • @doki6980

    @doki6980

    16 күн бұрын

    공감하다가 한국하고 필리핀 미래 예측 이야기한거에서 배잡고 웃었음. 필리핀은 자기나라 인재를 외국으로 국가에서 내보내는 나라에요 인재들이 비숙련노동합니다 그게 지디피 30프로가 넘구요 , 필리핀은 상위계층이 외국기업 자기네나라 들어오는거 다싫어합니다 그리고 국민근성자체가 다르고 필리핀교통 얼마나불편한데 ㅋㅋ진짜 억까에요 그건아니에요 좋은의견공감했습니다

  • @user-hx4dr2je2n

    @user-hx4dr2je2n

    16 күн бұрын

    그럼 세계은행 기준 이나라가 선진국 된게 벌써 20년인데, 어떻게 개도국 포함한 세계경제성장율 평균 이상의 성장을 하나 ㅋㅋㅋㅋㅋㅋㅋㅋ

  • @gogoki112

    @gogoki112

    16 күн бұрын

    ​@@user-hx4dr2je2n네 님 말이 맞죠. 이미 3만불까지 온 상황에서 계속해서 가파른 성장을 이어가는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추세가 문제죠. 이미 한국은 3년 전부터는 미국보다도 성장률이 낮아졌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골드만 삭스의 공식 보고서에는 주요 30개국 중 유일하게 한국만 2070년부터 마이너스 성장률이 될꺼라고 예측했습니다. 한국은행 또한 2050년부터 한국은 잠재성장률 0%에 진입한다고 하기도 했구요. 이런 상황에서 희망을 찾아봐야 하는데 전국민이 의사, 회계사, 공무원만을 하려고 하는 모습, 또 그럴 수 밖에 없는 한국의 현실이 안타까워서 적어봤네요.

  • @treevine8511
    @treevine851116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하도ㅠ안나오셔서 딴데 가신건줄 알았어요

  • @Coweol
    @Coweol13 күн бұрын

    조언을 적극 받아 들어서 마음을 바꾸겠습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 @user-of4ee8ts4c
    @user-of4ee8ts4c16 күн бұрын

    일주일에 한번씩! 주장합니다

  • @Kirei_Rami
    @Kirei_Rami16 күн бұрын

    남궁민님을 통해 새로운 인싸이트를 늘 얻어갑니다👍👍

  • @mistermea7665

    @mistermea7665

    15 күн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 @83nobleman

    @83nobleman

    13 күн бұрын

    저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영상 이네요 아주 훌륭한 내용

  • @daerolee3352
    @daerolee335215 күн бұрын

    남궁민 칼럼니스트님 ㅎ 이전 영상을 통해서 많이 느끼고 배우네요 ~ 저의 자녀에게도 브랜드 이미지, 생각의 무형자산을 파는 사고를 하라고 지도해야겠네요 감사합니가~^^

  • @focuspix
    @focuspix16 күн бұрын

    유익한 강의네요.. 요즘같은 시기에 생각이 많아지네요

  • @blanche1813
    @blanche181316 күн бұрын

    감가상각 이야기에서 눈이 번뜩 뜨이네요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 @ljs2358
    @ljs235815 күн бұрын

    훌륭한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 @KritikaZero
    @KritikaZero15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에 이프로님께서 사람들이 어떤 물건을 살때 사람들이 그걸 왜 사는지 생각해봐야된다고 하신 말씀이 생각나네요. 🤔🤔

  • @dobedobedo94
    @dobedobedo9416 күн бұрын

    영상도 좋았고 댓글도 생각할꺼리를 많이 던져주네요 ~~ 갓궁민작가님 말씀대로 감가상각없는 무형자산이 중요하다는 말씀도 옳고, 여러 댓글에서 지적하시는 것처럼 미국이라는 패권국가라는 지위, 유형자산없는 무형자산의 취약성, 고용이 없는 4만불사회의 문제점 등등도 간과하긴 어려울것 같아요

  • @user-zz2di9ql4b
    @user-zz2di9ql4b6 күн бұрын

    진짜 엄청난 인사이트네요..

  • @younggun7002
    @younggun700215 күн бұрын

    장 폴 사르트르의 "모든 것은 이미지다."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 @lalalanolga
    @lalalanolga8 күн бұрын

    진짜 이 영상 듣고 음 생각이 많이 바뀌네요 우리가 생각하는 근면,성실의 기준이 달라지네요 앞으로 공통적으로 학자들이 세계는 소수의 독점, 부의 격차가 더 벌어질꺼란 예측과 일맥상통하네요 진짜 좋은 내용이네요

  • @Choi-en8mn
    @Choi-en8mn16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Korea의 브랜드 가치가 그 어느때보다 높아진 지금이 바로 고부가가치 무형자산을 만들 기회인듯.

  • @user-oo9sc5ss9m

    @user-oo9sc5ss9m

    16 күн бұрын

    망함ㅜ 천상유희ㅜ

  • @wokim2142

    @wokim2142

    15 күн бұрын

    2021년이 피크였고 2022년 부터 내리막

  • @user-by7ci6yw4b

    @user-by7ci6yw4b

    12 күн бұрын

    Bts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16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user-be9tm5wg8w
    @user-be9tm5wg8w15 күн бұрын

    탁월한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bigbossss23
    @bigbossss2315 күн бұрын

    책 안보고도 책의 인사이트를 알수있어 남궁민씨 참 좋아하는데 이 책은 사서 꼭 봐야겠네요

  • @Proudman13579
    @Proudman1357916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 합니다.

  • @user-bg1ul7qg7n
    @user-bg1ul7qg7n8 күн бұрын

    커타에서 갓진우님이 반한만큼 저도반합니다.김현우소장님도 좋아합니다

  • @FarmKamille
    @FarmKamille16 күн бұрын

    기본적으로 한국은 아이디어를 존중하지않습니다. 스타벅스생기기 오년전에 테익아웃 시스템 커피사업을 구상하고 큰 회사들에게 사업제안했지만 어느누구도 큰회사들도관심안갖다가 스벅이유명해지니 그때 쉽게도입해서 로얄티주고 돈버는 유통회사의 한계가 있죠. 무형의 아이디어는 쉽게생각하고 외국회사에게 굽신데는 근성이 한국 대기업유통회사의사고죠

  • @gregory000

    @gregory000

    14 күн бұрын

    스벅 1999 그럼 1994년인데... 자뎅이 있었죠 이미

  • @user-dk3jw6ks7v
    @user-dk3jw6ks7v16 күн бұрын

    내용은 그럴 듯 한데 뜬구름 잡는 내용같아요. 그데 설명이 정말 좋네요. 꿈보다 해몽 같네요.

  • @angrykim

    @angrykim

    16 күн бұрын

    전형적이긴 탁상공론 틀렸다는 소리는 아님

  • @lalalanolga

    @lalalanolga

    8 күн бұрын

    이미 현실인데요??

  • @icvatv
    @icvatv16 күн бұрын

    미국과 한국/대만 등의 제조업이 주요 산업의 축인 국가들간의 차이는 시장의 규모가 큰 차이가 아닐까 싶네요. 영국이 급속하게 쇠퇴하기 시작했던 시기는 마가렛 대처가 제조업에서 탈피해서 금융/서비스업으로의 전환을 꿈꾸기 시작했던 시기와 많이 겹칩니다. 미국은 무형자산을 기반으로 한 팹리스에서 감가되지 않는 지속적인 가치가 발생하는 구조이나 이는 중간재의 시장역할을 하기 때문이고 지속적인 부가가치가 투자되는 선순환이 뒷받침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조업은 국가 산업의 척추와 같은 성격입니다. 그리고 영어가 아직까지는 세계 공용어의 지위에 있기 때문에 다른나라에서의 변환없이 호환되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 @user-dd1jz1hs9n

    @user-dd1jz1hs9n

    16 күн бұрын

    글을 되게 못쓰네요. 갑자기 설명하다가 생각합니다가 왜나오는거지.. 모든 문장이 이상해요. 생각을 정리하고 좀 쓰세요.

  • @noblione

    @noblione

    16 күн бұрын

    @@user-dd1jz1hs9n 배워라 남이 무시하지 않도록, 더 배워라 남을 무시하지 않도록. - 공부는 죽을 때까지 -

  • @user-ke2iw8eq7k
    @user-ke2iw8eq7k16 күн бұрын

    남이 해 놓은 건 쉬워보여도 내가 할려면 무척 어렵다는 것!

  • @benw7600
    @benw760015 күн бұрын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bg1ul7qg7n
    @user-bg1ul7qg7n8 күн бұрын

    탁월합니다~^^

  • @denniskim4711
    @denniskim471116 күн бұрын

    정확하게 진단하넹요

  • @bridge6380
    @bridge638016 күн бұрын

    1.자본 투자로 수익 늘리는 것은 한계 있다( 미국10%수준) 2.무형 자산 디자인 특허 노하우 중심 수익창출로 가야한다. 갈수록 수익 증가 겜 룰 바뀌었다 *확장성:백종원,유튜버들 합방에 양쪽도움처럼 *매몰성: 대신 망하면 남는게 없이 사라진다.*미국 7만불 1인당 의미 3억명 * 재미있게 비싸게 파는 사고로 바꾸어야~ 열심 근면 방식 한계

  • @user-uu4gj9sg8q
    @user-uu4gj9sg8q15 күн бұрын

    문제는 그들만의 리그가 있는데 우리가 들어 가려는 순간 그들은 룰을 바꾸죠

  • @user-su6un2dg4s
    @user-su6un2dg4s16 күн бұрын

    기다렸어요!

  • @user-zl7bd3ky8j
    @user-zl7bd3ky8j13 күн бұрын

    최고의 프로그램입니다. 덕분에 출퇴근시간이 아아주 보람찬시간으로 바뀌었습니다

  • @denniskim4711
    @denniskim471116 күн бұрын

    ㄴㅓ무 말씀을 잘하세요 이해하기 쉬워요

  • @user-mc6vg6tg6z
    @user-mc6vg6tg6z16 күн бұрын

    남궁민 최고.응원합니다

  • @UCLu80m2ixrOHYgI6ioFZFhA
    @UCLu80m2ixrOHYgI6ioFZFhA16 күн бұрын

    남궁민님 얼굴보자마자 클릭했습니다

  • @user-tm1vw3xm3r
    @user-tm1vw3xm3r16 күн бұрын

    남궁민 북칼은 피부가 너무 좋네요^^

  • @aqr1787
    @aqr178716 күн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좀 찬성할수 없네요. 고부가 가치 산업은 모든 사람들이 참여할수는 없기때문에 고부가 산업인것이고 고부가 위주의 산업으로 재편되면 빈부격차가 심해집니다. 영국 미국 모두 선진국이고 1인당 GDP도 높지만 일부지역과 일부사람 이외에는 빈부격차가 너무나도 극심해 집니다. 영국의 학생중 상당수가 끼니를 굶고 있어서 엠네스티의 도움을 받고 있답니다. 미국에서도 2억 이상 연봉의 중산층 조차도 생계가 힘들정도라고 하구요. 중산층으로 살아왔어도 집을 포기하고 트레일러 생활을 해야할 정도로 일반 시민들의 생활이 힘듭니다. 실제 영국은 금융중심지인 런던 과 그 주변을 제외하고 지방 변두리에 가면 사실상 제3세계 국가와 같은 상황이구요 정부에서 주는 보조쿠폰으로 경제가 돌아가는 형편입니다.

  • @user-qv5qw8rg4j
    @user-qv5qw8rg4j16 күн бұрын

    아...머리가 띵하네요

  • @O._.O._.O
    @O._.O._.O16 күн бұрын

    중국의 WTO 가입이후 서구권의 탈산업화로 인해 이런 현상이 벌어진 듯 합니다. 중국은 물질이 먼저라는 유물론, 서구는 정신이 먼저라는 관념론의 경제구조 차이인거 같네요. 미국은 달러 패권, 빅테크, 프랜차이즈, 유럽은 명품 산업의 막강한 소프트파워로 돈을 쉽게 벌고 있지만 눈을 떠보니 제조 역량은 사라졌습니다. 반면 중국은 모든걸 다 잘만들지만 비싸게 팔 역량은 없죠. 뭐가 맞다기보단 하드파워, 소프트파워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미국의 소프트파워는 지난 50년 간 쌓아온 하드파워로 인해 관성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죠. 불과 20~30년 전만 해도 미제 하면 최고로 쳐주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근데 앞으로 Made in USA가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면 소프트파워도 이에 따라 내려갈 것입니다. 반대로 Made in China라면 신뢰하는 제품들이 많아진다면 중국의 브랜드 밸류도 똑같이 올라가겠죠. 최근 로봇청소기가 대표적인 사례로 보여집니다. 현재 선진국이 돈을 편하게 버는 이유는 산업혁명 이후 만들어진 막대한 부와 문화의 상속의 영향이 크지 현세대의 경쟁력만으로 만들어진 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Z세대에서 한국, 일본 문화가 떠오르고 있듯이 앞으로 아시아 브랜드가 부상하는 시대가 찾아올 것 같습니다.

  • @yonghuikim5797

    @yonghuikim5797

    15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미국도 유럽도 중요한 품목의 제조업을 살릴려고 하고 있고 하드웨어를 금방 구축하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하드웨어를 만드는 노하우는 다시 습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왜냐면 하드웨어 설계도는 미국도 여전히 많이 가지고 있으니까요(특허,디자인) 훌륭한 의견이십니다.

  • @ShinDaegyu
    @ShinDaegyu13 күн бұрын

    언더스텐딩의 또 다른 소중한 보물

  • @user-xq9fx4jd1b
    @user-xq9fx4jd1b12 күн бұрын

    역시는 역시! 남궁민!

  • @JordanLai-fo4rr
    @JordanLai-fo4rr10 күн бұрын

    찬사 보냅니다! 💕

  • @luchigwon2183
    @luchigwon218313 күн бұрын

    레전드 레전드 레전드!

  • @JMY-lr5qr
    @JMY-lr5qr16 күн бұрын

    왜 이렇게 오랜만에 나왔어요ㅠ 눈빠지게 기다렸어요. 영상 업댓된거 보고 소리질렀어요ㅋ

  • @suchchoi9308
    @suchchoi930815 күн бұрын

    영상을 보다보니 답답한 맘들어 몇자 적습니다 ㆍ패널의 말씀 전체 타이틀은 지극히 유토피아적 정답으로 말하는데 다음 세부 단계로 넘어가 지역, 인구, 자본등등을 대입 해서 말하자면 패널의 말씀대로 무형 자산 추구 경제 활동을 하게된다면 아마도 길거리의 도를 믿습니까 말하고 다니는 사람 꼴 나기 십상이라 생각 되어 집니다 ㆍ어느 한 사람의 기발한 아이디어로 뭔가 된다 싶으면 어느새 땡빚을 내서라도 우후죽순으로 따라하기 바쁜 대한민국에서 예를들어 2만원짜리 럭셔리 햄버거 를 개발하여 가게문 연다면 모르긴 몰라도 몇달내에 2천원쯤 더싼 다른 햄버거 가게가 오픈 해서리 처음 햄버거 레시피 개발한 가게 죽이자 달려드는곳이 대한민국 시장 경제 싸움터 일걸여?그런 좁고 피터지는 시장에서 무형자산 중심의 산업이여? 따라서 이런 교과서적인 얘기보단 대한민국의 주어진 여건과 현실에 기초한 경제 해법을 국민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 @trustno1639
    @trustno163914 күн бұрын

    와~남궁민님이다~~^^

  • @kimchibaguette
    @kimchibaguette16 күн бұрын

    1000원짜리 베이글 같은 장사를 하고 있는 입장이라 이번 컨텐츠 보면서 생각이 참 많아지네요. 가끔 책 읽다 보면 생각하느라 계속 책을 덮게 되는 책들이 있는데 저한테는 이 컨텐츠가 그랬습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 @esyang1760
    @esyang176015 күн бұрын

    남궁민 선생님. "왜 상인이.지배하는가" 해주세요. 제발 부탁드립니다

  • @user_humans_are_omoshiroi
    @user_humans_are_omoshiroi16 күн бұрын

    봉이 김선달❤

  • @yeongjinsim9185
    @yeongjinsim918516 күн бұрын

    눈이 뜨이는 내용 많이 배웁니다

  • @user-eg9eu9uu2l
    @user-eg9eu9uu2l10 күн бұрын

    미니빈스 로스터리도 구입하고 있습니당.😊

  • @user-tf5zm4gr4q
    @user-tf5zm4gr4q16 күн бұрын

    허준호배우님이 운동몸관리는.관 짤때까지~~

  • @jinkyustar
    @jinkyustar12 күн бұрын

    게임을 바꿔야 하는데 그 게임을 플레이할 주체들한테 윗세대가 아무 권한을 안줌 ㅋㅋ

  • @Mars.DogDad
    @Mars.DogDad16 күн бұрын

    이미지와 경험을 사고 파는게 더 중요해질거 같네요 한국은 빨리 각성하고 시스템 바꿔야 되는대 인지를 못하고있죠 많은분들이

  • @user-vd5tl4ut1r
    @user-vd5tl4ut1r14 күн бұрын

    영상 중 Financial Times 에서 쓴 긴 기사 내용도 한번 영상으로 제작해주세여

  • @user_humans_are_omoshiroi
    @user_humans_are_omoshiroi16 күн бұрын

    남궁형❤은 雙手쌍수들어 歡迎환영해야제!!!

  • @user-tn3xt5jo8w
    @user-tn3xt5jo8w16 күн бұрын

    이런 내용이 젤 재밌더라요

  • @younggun7002
    @younggun700215 күн бұрын

    더더욱 라인을 뺏기면 안되겠네요.. 빼앗길 것 같아서 속이 쓰리네요..

  • @user-rt4fb5yr7k

    @user-rt4fb5yr7k

    10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플랫폼 뺏기면 절대로!! 안됩니다

  • @user-wt4py6jy2o
    @user-wt4py6jy2o15 күн бұрын

    고용유연화하라는 소리임

  • @kdh5294
    @kdh529416 күн бұрын

    진짜 내게 항상 좋은정보를 주는 고마운 프로네요.

  • @ahnjongchan
    @ahnjongchan14 күн бұрын

    게임의 룰이 바뀌었다~ 공감합니다

  • @user-xb5zj9wy9i
    @user-xb5zj9wy9i10 күн бұрын

    화이팅

  • @joyonghisumswida
    @joyonghisumswida16 күн бұрын

    미국은 아이디어만으로 창업을 하고 투자를 받을 수 있어서 한국과는 기업 생태계가 다릅니다.

  • @modu-modu

    @modu-modu

    16 күн бұрын

    그러니까 그 생태계를 어떻게 바꿀건지 고민해야 한다는 얘기를 하고 있잖아요.

  • @fysician

    @fysician

    16 күн бұрын

    ​@@modu-modu이런 사람이랑 말다툼하면 암걸림

  • @user-eh4bk6rq5p

    @user-eh4bk6rq5p

    16 күн бұрын

    바꾸기가 힘듭니다

  • @BLUEWHELL

    @BLUEWHELL

    16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각종 규제로 회사 하기 힘듭니다. 포지티브 규제에서 네거티뷰 규제로 바꾸고 혁신 산업 신 사업에 대한 규제와 제도를 유예해야 합니다. 샌드박스 규제로는 혁신 신사업을 이끌어 내어 유니콘을 만들 수 없습니다.

  • @joyonghisumswida

    @joyonghisumswida

    16 күн бұрын

    @@modu-modu 남의 것을 인정하는 문화부터 기업 문화에 뿌리내려야만 가능합니다. 기존 업체들이 돈으로, 권력으로 협박한다면 아이디어도 뺏기고 성장하기도 전에 망합니다. 꼭 IT업체만 얘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건강이나 다이어트, 운동에 관한 것도 아이디어로 창업하고 투자받습니다. 돈과 권력을 가진 자들의 생각부터 바꿔야 지원도 가능합니다. 창업을 하는 것을 두렵게 생각하는 주변환경은 자기 돈이 아니고는 힘들게 합니다.

  • @user-se3nd6ec8i
    @user-se3nd6ec8i11 күн бұрын

    존박 폼 미쳤다

  • @Yang-hu1mr
    @Yang-hu1mr13 күн бұрын

    남궁민 짱 ㄷㄷ

  • @user-fl4cp8fg2p
    @user-fl4cp8fg2p9 күн бұрын

    캬~~썸네일 쥑이네~~

  • @user-dy1is6wv2m
    @user-dy1is6wv2m16 күн бұрын

    역시가 역시 또 한 수 배우고 갑니다. 꾸벅

  • @m.k.4680
    @m.k.46802 күн бұрын

    포트폴리오를 잘해야겠네요.

  • @user-pe8wg5gx2y
    @user-pe8wg5gx2y1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사상적으로 가장 두드러지는게 평등주의입니다. 자본주의와는 궤가 안맞아서 삐그덕 대는거예요. 스타벅스에 가면 된장녀라고 욕하던 나라였습니다. 신라호텔서 파는 망고빙수의 원가와 마진, 가성비와 가심비를 십년째 논하고 있습니다 물론 서방에서도 비슷한 사례는 얼마든지 있고 있을겁니다. 다만 이를 상쇄할만한 동력이 활발하게 작동하고 있다는게 차이입니다.

  • @ShinChonwoondongajeossi
    @ShinChonwoondongajeossi16 күн бұрын

    이분 진짜 짱

  • @wnky__
    @wnky__16 күн бұрын

    역시 궁민님…

  • @prvtprvt5883
    @prvtprvt58839 күн бұрын

    소비가 성숙하고 사치스러워지려면 그전에 먼저 성숙한 소비 문화가 뒷받침 돼야 합니다. 니즈도 없는데 만들어봐야 누가 살까요 서구권 일본 등도 역시 고도의 제조업 기반으로 경제력과 패권을 미리 갖췄기에 가능했고요. 일단 홈타운 먼저... 바탕이 돼야죠

  • @herwerld
    @herwerld13 күн бұрын

    아 내용 증말 좋다가도쓰리고.. 근데 그런 무형자산으로 만들어진 곳들도 품질이나 (특히 음식점들 ㅇ특히 카페) 그 가격만큼 신경써줘서 오래오래 갔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하잎이 낀 가격들로 한번 벌고 가는게 또 한국사업의 특징들 같기도 하고 그럴수 밖에 없는게 또 그들이 구축해 놓은것들을 대기업에서 먹어버려 그런거 같기도하고... 아 무엇을해야 검정물을 끊임없이 만들어 자고있어도 수익을 만들수있을..

  • @user-zp3uw3tt9g
    @user-zp3uw3tt9g15 күн бұрын

    영업이익률이 높으면 욕먹는 나라

  • @user-qz1cx8de9p
    @user-qz1cx8de9p12 күн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신 남궁민씨! 방식을 바꿔야~공감됩니다!

  • @MCT.MASTER
    @MCT.MASTER15 күн бұрын

    추천

  • @user-zx1mb9qj2o
    @user-zx1mb9qj2o10 күн бұрын

    제가 사는 지역 도서관전체에 해당 도서 10권 이내로 비치되어 있는 책인데, 영상 뜨고 나서 바로 확인했을 때는 아무도 안 빌려간 상태였어요. 근데 일주일 지난 지금은? 한 권도 남김없이 다 대츌되어있고 심지어 예약까지 꽉 찼네요😂

  • @user-dk6zu1rb3x
    @user-dk6zu1rb3x16 күн бұрын

    사랑해요 남궁민♡♡

  • @Manilafun
    @Manilafun16 күн бұрын

    아 내용좋네요

  • @GNG45
    @GNG4516 күн бұрын

    우-러전쟁이후 다시 제조공장 중요성이 커진 세상에 살고 있지 않나요? 싸게 만들수 있는 중국공장에서 다시 미국에 짓는 방향으로 가는 것을 보면 자유무역주의에서 다시 국가보호주의로 나가는 흐름에서 무형보다 다시 유형자산이 더 중요해지는 시대로 가는 것 같습니다.무형자산이 있다고 해도 결국 유형자산 반도체공장에서 물건 안 팔면 미국조차 무너질수 있다는 위기감이 나오는 시대 아닌가싶습니다. 중국공장에서 다시 비싸도 미국공장을 짓자는 이유가 다시 무형보다 유형자산이 중요한 시대로 넘어가는 것이 아닐까싶습니다.애플,엔비디아같는 무형자산이 많은 회사들도 유형자산 대만TSMC 99퍼센트 의존하고 있어서 대만은 절대로 중국에 빼앗길수 없다는 미국입장 아닌가요 인텔이나 삼성이 힘들어진 이유가 원래 자신 잘한 기술,공정개발 유형투자를 안하고 원가절감를 통한 다른 무형가치 높이는 일에 몰두하다가 유형자산분야에서 밀려서 그런 것이 아닌가요??

  • @user-ij2cz8dx2v

    @user-ij2cz8dx2v

    16 күн бұрын

    그게 안 중요한 게 아니라 우리나라는 너무 제조공장에만 집중되어 있는 게 문제라잖아요😂

  • @GNG45

    @GNG45

    16 күн бұрын

    @@user-ij2cz8dx2v 오히려 너무 일찍 제조공장 개발투자에 안해서 힘든 것이 아닌가요? 삼성이 가장 좋은 예시잖아요. 삼성이 제조공장 투자를 더 이상 안 할때 SK하이닉스,TSMC는 공격적으로 제조공장에 투자한거고...

  • @Inwoo-kt9up

    @Inwoo-kt9up

    16 күн бұрын

    난독증이시네 ㅋㅋ 영상 제대로 보긴했음?

  • @GNG45

    @GNG45

    16 күн бұрын

    @@Inwoo-kt9up 우리나라 유형자산에 너무 몰두한다는 이야기잖아요.실제로는 삼성같은 회사는 유형자산 몰두하지 않아서 유형자산에 몰빵한 SK하이닉스,TSMC에 밀렸다는 이야기입니다.이런 영상을 볼때도 비판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다른 시각도 있으니...난독증이 아니라 우리나라가 유형자산에 너무 몰두해서 3만불 덫에 갇혔다는 이야기에 대해서 꼭 그런 것은 아닌 것 같다는 이야기입니다.

  • @user-uz8fr9nw7f

    @user-uz8fr9nw7f

    1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형자산이 비중이 더 높아야한다는 이야기로, 유형자산이 중요하지 않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 @youngbae8430
    @youngbae843016 күн бұрын

    중/후진국에서는 고용이란 변수가있음니다, 무형재산에서는 고용이 크게늘지않슴니다.그러나 중후진국에서는 공장이 필요한것,애플이 망하면 고용에 큰 임팩이 없다

  • @smilejangbro.9998
    @smilejangbro.99983 күн бұрын

    미국 제품이나 컨텐츠가 먹히는 이유 중의 하나가 우리가 은연중에 미국 게 최고야 라고 생각하는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약간은 문화 사대주의 경향이 보여서 그런거 아닌가도 생각합니다. 은근히 우리 거는 좀 싸야 먹히고 미국 건 비싸도 뭔가 핫하다고 생각하는 경향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 내에서 잘 팔리는 이유 중의 하나가 미국 시민 하나하나가 정말 소비에 최적화된 인간들이라 그런 것 같다고도 생각합니다. 오로지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herwerld
    @herwerld13 күн бұрын

    아 생각해보니 우리 슈카 농부 근성인데 매일 업로드.. 슈카 오래 보고싶은데... 😂

  • @jkim1115
    @jkim111515 күн бұрын

    다 좋은 얘긴데 저게 히루 아침에 되는게 아니고 창의성이 빌휘될수 있는 기업환경이 되야함 물론 법적, 교육적 사회적 제도가 뒷받침 되야함.

  • @user-ui1kd7xn6q
    @user-ui1kd7xn6q11 күн бұрын

    380만원 짜리 디올 가방의 원가가 8만원이라는 기사를 접했습니다. 이영상을 보기전엔 욕이 나왔지만 1.2부 다 보고나니 무형자산이 왜 중요한지 앞으로 우리가 어떤사업을 지향해야 하는지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sn9qt9qk8j
    @user-sn9qt9qk8j16 күн бұрын

    ❤ 머리에 벼락맞은 감동😊

  • @v10bears28
    @v10bears281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란 돈을 벌어도 신사업에 투자해야 하는데 어느 정도 올라오면 자회사 만들어서 동시 상장하고 그 수장은 창업주 자식이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