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를로 퐁티 - 몸이 없는 철학은 철학이 될 수 없다. (지각의 현상학 기초 이해, feat. 데카르트, 흄, 칸트, 후설)

🇫🇷프랑스가 배출한 몸의 철학자, '모리스 메를로 퐁티'.
그의 전기 철학을 대표하는 주저, [지각의 현상학] '도입부'와 '1부'에 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그가 펼친 '몸의 현상학'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특히 'L'ETRE-POUR-SOI ET L'ETRE-AU-MONDE'에 대한
기존 학계의 번역과 달리 제가 심혈을 기울여 번역한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설명은 차후로 커뮤니티 공간 등을 활용해 안내해드리겠다는 말씀
남겨 놓습니다.
그럼 재미있게 시청해주세요.

Пікірлер: 110

  • @herculanojose2865
    @herculanojose2865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시아에서 그들이 서양 철학, 주로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도 공부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흥미롭습니다. 나는 Merleau-Ponty에 대한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Brasil.

  • @sookytv
    @sookytv2 жыл бұрын

    첫 방문에 수준 높은 강의를 만났네요. 시간 여유 있을 때 자주 들으몈 정말 좋을 것 같아요.친구 맺고 응원힙니다. 또 와서 듣고 응원할게요.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yogilmyway
    @yogilmyway2 жыл бұрын

    인문학을 좋아하는 일반인을 위해 어려운 내용을 쉽게 풀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선 이후 '생활세계'가 달라졌습니다. 공간은 전혀 변화하지 않은 것 같지만, 이는 나의 주관이 제거된 객관화의 결과이며, 실제로는 공기부터 달라졌습니다. (ㅎㅎㅎ 어렵네요. 그러나 이런 식으로 이해해보려고 노력해 봅니다.) 오늘도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절묘한 표현이세요. 읽으면서 요길님의 재치에 미소를 지었답니다. 항상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 @user-dd2rp8sf4w
    @user-dd2rp8sf4w2 жыл бұрын

    놀라운 강의네요. 특히 세계 안에 있는 대자적 존재라는 저 번역은 정말이지 탁월하다고 생각합니다. 마침 다른 분들께서도 쇼펜하우어 요청들 하시는데요 저도 요청합니다. 그의 충족이유율에 대한 해설도 없이 풀이영상내놓는 다른 채널들 영상보면서 많이 당황했었거든요. 재미위주나 쉽게한다는 명분으로 진짜 다뤄야할 내용 피해가는 분들이 참 많던데 여기는 진짜 제대로라서 항상 고맙고 그 실력에 감탄한답니다. 감사하네요.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쇼펜하우어 신청이 많네요. 체크해두겠습니다~!

  • @aphilos262
    @aphilos2622 жыл бұрын

    선객관적 세계가 신체를 통해 나타난다. 이렇게 정리가 되네요. 지각이란 그의 개념이 애매성의 성격을 가져서 파악하기 쉽지 않지만 파악하기 어려운거를 명료하게 왜곡하고나 무리한 분석을 하는게 문제라는 지적에 크게 공감!!! 분석철학의 번쇄한 방법론이 일으키는 부작용들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재밌고 수준높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분석철학이 가지는 번쇄한 방법론 눈에 확 들어오네요. 분석철학과 유럽철학이 상보적 관계를 맺으며 잘 발전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sikmul-TV
    @sikmul-TV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몸의 현상학에 대해 공부해 보고 갑니다 영상 잘 보고 응원하고 갑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imws33
    @kimws332 жыл бұрын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 잼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네~ 늘 감사합니다! 반가운 유친님!

  • @ays2693
    @ays26932 жыл бұрын

    와... 그 어려운 퐁티를 이렇게 정리해주시다니... 대단합니다! 보면서 솔직히 놀랐네요. 적당히 이해하고 하시는 강의가 아니고 완전히 원서를 독파하고 세밀하게 정리하고, 이런 저런 전문 자료들을 다 취합한 다음에나 가능한 내용을 마치 떡주무르듯하면서 툭툭 던져주시니... 그저 감사할따름입니다. 오랫만에 번역본 꺼내들고 노트정리해봅니다. 감사합니다!!!

  • @ays2693

    @ays2693

    2 жыл бұрын

    다음에 가브리엘 마르셀 꼭 부탁드립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ays2693 네 가브리엘 마르셀의 철학도 방송 일정에 넣어 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klogos2282

    @klogos2282

    2 жыл бұрын

    @@philosophy1 저도 가블엘 마르셀 그리고 쇼펜하우어 부탁드립니다!

  • @user-ky2hm6vo6k
    @user-ky2hm6vo6k2 жыл бұрын

    모리스 메를로 퐁티~~지각의 현상학을 쉽게 강의해 주셔서 편안하게 잘 듣고 많이 배웁니다. 감사해요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네~ 새로 시작하는 한주 즐겁게 맞이하시구요~

  • @ChannelBooks
    @ChannelBooks2 жыл бұрын

    우아 정말 매번 느끼는 거지만 지혜의 빛 님이 아니면 아마 평생 모르고 지나갔을 이야기에요~ 오늘도 지적인 포만감을 만끽하고 갑니다 ~ 선생님 !! ㅎㅎ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지적포만감~ 을 드릴 수 있어서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user-iu3sg7bg2w
    @user-iu3sg7bg2w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철학을 잘 모르지만 현상학 쬐금 이해하구 갑니다 안녕하세요 연주하는 꼬꼬맨 입니다 눈팅귀팅 다하구 9독하구 갑니다 행복하세요

  • @LUNAart2023
    @LUNAart20232 жыл бұрын

    메를로퐁티가 펼친 '몸의 현상학' 어려운 내용을 풀청으로 입문합니다.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sharonjo8787
    @sharonjo87872 жыл бұрын

    늘 느끼는건데 어쩜 내용과 영상을 잘 결부지으시는지요. 저는 처음 본 다음에 내용 정리좀 하고 다시 보면 그때는 사용하신 이미지나 영상이 주는 상징성이 보이더라구요. 늘 철학 강의를 예술적인 성격과 관련지어서 하시는 거 같습니다. 이번 영상도 많이 배우네요. 퐁티가 추구한 저 지각의 현상학. 그 기초적인 개념을 잘 잡았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저 번역어도 정말 놀랍네요. 의역을 과감하게 하셔서 차라리 어설픈 직역보다 뜻이 더 강하게 와닿습니다. 잘 봤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세계 안에 있는 이라는 의미를 살리려고 직역에 대한 욕심을 좀 내려놓았답니다. 감사합니다!

  • @klogos2282
    @klogos22822 жыл бұрын

    저 지금 두 번 연속으로 봤는데 왜 다들 감탄하는지 알겠내요. 이정도로 전문적인 수준에서 쉽게 풀이하기 쉽지 않은데 경이로움 그 자체입니다. 지각의 현상학 이해해보겠다고 몸부림치던 지난 시절이 떠오르네요 ㅋㅋㅋㅋㅋㅋ 아직 퀄리티 대비 구독자 수가 많지 않은데요 이런 수준이면 백만구독도 충분이 가능합니다!!! 최고 채널 인정! 👍👍👍👍👍👍

  • @Ace-kv3qj
    @Ace-kv3qj2 жыл бұрын

    오늘날의 신경과학을 내다본듯한 그의 천재성이 느껴집니다. 저도 사실 쇼펜하워 생각이 났는데 다른 분이 이미 말씀하셨네요. 한번 꼭 해주세요!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제대로 풀이한 영상 못봤거든요. 다른 채널들의 기존 몇 영상들 너무 겉만 건드려서... 늘 정확한 출처와 원문 대조를 통한 깊이있는 영상 만들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참 배울게 많은 곳이에요. 😁😄😘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쇼펜하우어를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smartspoon

    @smartspoon

    Жыл бұрын

    저도 뇌신경과학을 취미로 공부했을때 매를로퐁티가 계속 생각났었어요ㅋㅋㅋㅋ각종 메인신경과 데이터개념, 뉴런의 존재, 감각신경이 스캔한 정보를 받아 자율신경계가 긍정적으로 받아들일지 부정적으로 받아들일지 판단하게 되는 매커니즘을 느낌적인 느낌으로 추적했다는게 너무 놀라워요 ㄷㄷㄷ심지어는 2차원인 시각정보를 3차원으로 변환시키는 것에 대한 원리까지 추적해낸건 무서울 정도..

  • @sophiekwon6767
    @sophiekwon67672 жыл бұрын

    늘초롱TV님 채널에서 보고 방문합니다. 좋은 내용이 많네요.

  • @gomstoryteller
    @gomstoryteller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훌륭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몸의 철학자 메를로 퐁티 "몸의 현상학" 흥미롭고 멋진 영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강의들 업로드할게요~

  • @tv646
    @tv646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신체 의식 통합 분석적 객관적 철학 이야기 참 좋습니다.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ims8116
    @kims8116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얼마 전에 동의보감에 대한 강연을 들은 적이 있었는데.. 감정적으로는.. 어색하지만.. 워딩 상으로는 유사한 개념이 많네요. 신기하기도하고요! 덕분에 양쪽 다, 더 파보고 싶은 호기심이 뽐뿌치고 있습니다 ㅎ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주제를 가지고 계시네요. 감사합니다~!

  • @cecilialee5425
    @cecilialee5425 Жыл бұрын

    넘 고맙습니다

  • @user-iw9fv7qd8u
    @user-iw9fv7qd8u2 жыл бұрын

    철학을 이렇게 쉽고 재미있게 강의 하시는 분은 선생님밖에 없으실듯 합니다 선생님 덕분에 제가 유식해지고 있어요 퐁티는 제가 처음 듣는 이름 이네요 잘 배우고 응원하고 갑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 @user-yf1md1ih3e
    @user-yf1md1ih3e2 жыл бұрын

    블로그에 작성하신 글 보고 이 영상을 보니 더 깊게 이해가 되는군요. 재미있게 편집해주셔서 집중해서 보았습니다.

  • @hannockshinn128
    @hannockshinn1288 ай бұрын

    저는 언제나 철학적 논제를 같이 대화할 자세로 문을 열어놓고 있습니다.

  • @RockRock-zm4pq
    @RockRock-zm4pq2 жыл бұрын

    메를로 퐁티 강의 감사합니당 ! 유튜브에 메를로 퐁티에 관한 철학을 체계적으로 강의하는 내용은 없는데 유튜브에서 보기 힘든 다양한 철학자들의 사상을 쉽고 체계적으로 알수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

  • @archineuron
    @archineuron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명해주셔서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gf6ez3ww2h
    @user-gf6ez3ww2h2 жыл бұрын

    정말 정리와 설명하는데 엄청난 능력을 가지고 계신것 같아요.. 영상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늘 좋은 영상 감사해요!

  • @user-gf6ez3ww2h

    @user-gf6ez3ww2h

    2 жыл бұрын

    얼른 다음 메를로 퐁티 강의 주세요.. 현기증나요ㅠ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차후로 후속 강의도 만들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hahak.5672
    @hahak.5672 Жыл бұрын

    아주 효과적으로 재구성했네요. 좋습니다

  • @sangyeonkim1868
    @sangyeonkim18682 жыл бұрын

    메를로퐁티를 이렇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너무너무 즐겁게 들었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보셨나요? 감사합니다~!

  • @gamsungchiro
    @gamsungchiro2 жыл бұрын

    시작은 지인 통해 우연히 방문하게 되었는데 정성이 가득한 훌륭한 강의에 감동받고 풀청했네요^^! 저도 정신과 육체는 하나로 같이 가는 거라 생각하는데, 메를로 퐁티의 '몸의 현상학' 너무 훌륭하게 설명해 주셔서 잘 흡수하고 구독하고 가요. 자주 들를게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소중한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s6ii6dr8k
    @user-rs6ii6dr8k2 жыл бұрын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정말 설명을 잘하십니다👍

  • @user-zi3dd4lp3f
    @user-zi3dd4lp3f2 жыл бұрын

    제겐 쉽지 않은 내용인데 귀에 쏙쏙 들어오게 설명을 잘 해주셔서 한참을 듣다 갑니다~ 세계에 몰두하느라 자신을 들여다보지 못한다는 말이 마음에 들어오네요. 온통 정성으로 이루어진 영상과 강의 최고입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남겨주신 세계의 몰두 문제가 사르트르, 하이데거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였답니다. 감사합니다!

  • @torontohappylife8793
    @torontohappylife8793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철학강의 . 현대 철학이 많이 변했겠네요. 어렵죠.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vf3cr8vx6l
    @user-vf3cr8vx6l2 жыл бұрын

    요즈음 유행하는 시쳇말로, 데카르트가 잘못했네, ㅎㅎㅎ. 데카르트 좌표계(x,y)점 하나만 찍으면 될 줄 알았는데.(수학자 들에 의해 벡터 움직임까지). 다행이랄까 프랑스의 후대 학자가 더 예리하게 다듬어 놓네요. 그가 만약 살아있다면 반론하거나 수정할 기회를 갖겠죠. 아니면 이런 후학의 성과에 만족하고 있으려나. 채널의 대부분의 영상이 그렇듯 정말 쉽게 잘 설명해 주시네요. 개인적으론 앞으로 현대 과학의 결과물 전기양, 로봇과 AI가 어떻게 결합되어 나올지 더 궁금해 지내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데카르트를 생각할 때면 늘 저도 반론 기회가 없어서 안타깝다는 생각을 했답니다. 어쩜 이리도 저와 비슷한 생각을 남겨주셨는지요. 남겨주신 글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minsikchoi5417

    @minsikchoi5417

    2 жыл бұрын

    이성을 믿고 써도 된다는 지위어 올려놓은 것만으로도 데카르트는 위대한 업적을 남긴 것 같습니다.ㅎㅎ 데카르트는 후학들에게 너무 저평가되어서 아쉬워유ㅎㅎ

  • @poemsong1
    @poemsong12 жыл бұрын

    메를로 퐁티네요 인간의 육체와 철학...쉽지 않네요 신체로부터 경험되는 것!!

  • @designleaf2009
    @designleaf200910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What-ee6bv
    @What-ee6bv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yz8ik2ff2f
    @user-yz8ik2ff2f2 жыл бұрын

    쇼펜하우어가 표상과 의지를 얘기하면서 표상의 본질로 의지를 논한 것이 생각납니다. 그가 주관과 객관으로 구분하여 풀이했던 내용들도 떠오르고요. 특히 관찰자 시점과 1인칭 시점에서 그의 의지 개념이 떠오르는 것을 보면 확실히 퐁티의 사상도 그 연원에 반합리주의적 전통이 놓여있다는 생각을 하게되는군요. 예전에 한번 부탁드린 적이 있었는데 언제 기회될 때 쇼펜하우어와 불교에 대해서도 다뤄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Ace-kv3qj

    @Ace-kv3qj

    2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주제 신청이요!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쇼펜하우어와 불교도 채크해놓겠습니다!

  • @user-rh3je7om2u
    @user-rh3je7om2u2 жыл бұрын

    메를로 퐁티 새 강의 감사합니다 🙏🏻💜

  • @nowhere836
    @nowhere836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잇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Ryeohan
    @Ryeohan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배우고 있습니다.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gk2dk3zj7g
    @user-gk2dk3zj7g Жыл бұрын

    얼마나 쉽게 설명하시려고 애쓰시는지..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됬어요.^^

  • @user-dl2jt4li4g
    @user-dl2jt4li4g Жыл бұрын

    심리학과 철학, 즉 형이상학적인 학문은 쉬운 말을 어렵게 표현한다는 공통점이 있나봅니다ㅎ 오늘 강의 잘 들었습니다~~^^

  • @berkeleymom6909
    @berkeleymom69092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 정말 열심히 시청했습니다..😊 지각의 현상학 기초 개념을 잘 설명해주셔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크게 되었습니다 퐁티의 지각에 대한 철학.. 학창시절에 배웠던 기억이 스멀스멀 납니다..ㅎㅎㅎ 많이 배우고 갑니다! 편안한 한주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학창 시절 추억을 자극한 영상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user-yn8bv3tq3s
    @user-yn8bv3tq3s2 жыл бұрын

    이십대에 현상학에 대해서 조금 관심을 갖다가 어려워서 그만 뒀었는데, 간략한 영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시네요. 이번 영상도 잘 봤습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현상학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좋네요 감사합니다!

  • @lees122
    @lees122 Жыл бұрын

    정말 3번을 다시봤네요. 이런 명강의를 집에서 편하게 볼 수 있다니...

  • @cecilialee5425
    @cecilialee54253 ай бұрын

    잘 들었어요 매우 유익한 내용이어서 논문 쓰는데 참고가 되네요 다음 강의 얼릉 올려주심 고맙겠습니다 🎉

  • @monokura77
    @monokura77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정말 감사합니다. 지난 학기 프랑스에서 학부 강의를 들으면서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을 나름대로 공부했었는데, 학부생 수준으로 한계를 절감하고 고전들의 대한 이해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었었습니다 😅 오늘 선생님 강의 덕에 드디어 퐁티를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프랑스 현대 철학에 대한 열정도 다시금 타오르게 되었네요. 쇼펜하우어도 늘 관심을 두고 먼 목표로 삼고 있었는데, 영상 너무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많이 부탁드립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heeohkim1495
    @heeohkim1495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우연히 접하게 된 동영상이었는데 간단명료하게 개념을 잘 설명해 주셔서 60대 후반 할머니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철학 대중화에도 큰 기여 할 듯 싶습니다. 다른 동영상도 살펴보면서 남은 시간 더 단단하게 자신을 채워갈 것 같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KKS21
    @KKS212 жыл бұрын

    Hello My friend 🌹❤️ Good Morning 💐🌄 Very Beautiful 👌💞 Excellent 💯💯❤️🌹 Video 👌😍 Big like 👍 and love ❤️😘💞 Thank you ❤️🌹

  • @j823
    @j8232 жыл бұрын

    퐁티의 지각에 대해 듣고나니 엄밀하고자 했던 후설의 "순수의식"이란건 뭘까라는 의문이 생기네요. 후설 영상도 다시 들어봐야 겠습니다. 철학자들의 다양한 논리의 세계를 입문할수 있도록 도와주셔서 감사 합니다. 퐁티의 다음 강의도 기대할게요~~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보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San_ddul_baram
    @San_ddul_baram2 жыл бұрын

    정신의 세계가 철학의 기초라고 생각했는데 몸의 철학을 다루었다니 매우 흥미롭네요! 현상학이라는게 정말 멋진데요~~메를로퐁티를 처음 알게 되었는데 너무 재밌는 강의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roomix1822
    @roomix1822 Жыл бұрын

    모리스 메를로 퐁티 후속 강의도 혹시 제작 계획이 있으신가요? 정말 흥미로운 철학입니다!! 원전까지 인용해주시면서 굉장히 잘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hannockshinn128
    @hannockshinn1288 ай бұрын

    2023년 10월 4일 뉴질랜드 시간으로 3시에 이강의를 접하게 되엇습니다. 그 동안 동서양의 철학사를 나름대로 공부를 하면서 뇌과학이 밝혀낸 생각과 운동의 출현이 우리의 신체에 있는 세포간의 시냅스 전기적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근거해서 그 이전에 있었던 수많은 철학자들, 고대의 소크라테스로부터 시작, 중세의 신학자들, 근세의 경험론자, 대륙의 합리론자들, 심지어 독일의 관념론자들 (특히 칸트의 순수이성론), 동양의 도덕론자, 성리학자들, 한국의 이기론자들, 인도의 불교론자들이 말해온게 엉터리라는 걸 아무도 지적을 하지 못했는지 몹시 궁금해 왔다. 그러다 최근에 대이비드 니렌버그와 리카도 니렌버그 부자의 수와 인류의 3000년 철학사(지식의 기초)에서 약간의 위안을 삼았습니다. 즉, 인류의 3000년 지식-여기서 지식이란 철학, 물리, 과학, 음악, 미술, 화학, 천문학 등 인간의 모든 현상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포함한 광의의 지식을 의미하는 개념- 에 약간의 위안을 느꼈습니다. 근데 오늘 지혜의 빛에서 하는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프랑스가 배출한 몸의 철학자, '모리스 메를로 퐁티'의 이 바로 우리 인간이 그 동안 해온 3000년 철학의 가장 근접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양철학의 한 주흐름으로 지적해온 독일의 관념론자 칸트의 철학을 과감하게 뭉겨버릴 수 있는 훌륭한 발상이였습니다. 인간이 사유할 수 없는 뭐 선험적 이성이 있는 것처럼 하는 것 모두 허구라고 생각됩니다. 그가 영혼, 우주 그자체, 신 등을 인간의 이성으로 알 수 없는 선험적인 현상..... 솔직히 말하면 우리 신체의 오감을 통해 외부의 사물을 인식해서 세포사이 스냅스의 전기적 작용을 통해 뇌의 여러 부위의 작용만 있으면 모든 지식을 쌓을 수도 경험할 수도 있다고 여겨짐니다. 거기에다 최근에 발달하고 있는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으면 세상의 모든 이치 즉 지식은 그 동안 수많은 사상가들, 철학자들이 해온 게 엉터리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마치 우리 영혼, 즉 마음이 신체와 별도로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말하는 신학자들, 이원론자들의 주장은 모두 엉터리 인 것 같습니다. 인간의 생각, 사유, 활동 등 모든 행위는 우리몸에 있는 세포들의 활동에 의한 일원론적인 작용일 뿐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런 차원에서 프랑스 철학자 메를로 퐁티 - 몸이 없는 철학은 철학이 될 수 없다는 지각 현상학은 새롭게 부각돼야 할 겁니다. 두서없이 장문의 생각을 나타내 잘난체 하여 죄송합나다. 한국의 철학을 하는 젊은이들이 참고하여 조선시대 후기의 이황과 이이의 이기론 논쟁과 같은 철학에 대한 서로의 견해간 논쟁이 다시 일길르 희망하면서 이만 줄이겠습니다. 지혜의 빛을 계속 응원합니다. 신한옥

  • @user-du7ry1pi6c

    @user-du7ry1pi6c

    3 ай бұрын

    엉터리니 뭐니 하는 말은 지양합시다.

  • @user-jx8wj9bu7h

    @user-jx8wj9bu7h

    Ай бұрын

    그게 바로 유물론적 발상아닌가요?

  • @azureluna7
    @azureluna72 жыл бұрын

    잘봤어요

  • @user-xl8sh7oh7l
    @user-xl8sh7oh7l Жыл бұрын

    NLP 이론, 정신과 의사의 밀턴 에릭슨 이론...켄윌버의 의식의 스펙트럼(전유기체) 연관지어 공부해 보면 좋을거 같네요.

  • @Gejjang-i-english
    @Gejjang-i-english9 ай бұрын

    현대뇌과학이 철학에서 이미 나왔었네요 ㄷㄷ 이 영상 좋아하시는 분들께 신경과학자이자 철학자인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느끼고 아는 존재" 추천합니다 의식 마음 느낌이 어떻게 몸에서 니왔는가 신경과학적으로 설명하고있습니다

  • @ninza295ify
    @ninza295ify2 жыл бұрын

    철학은어렵다.이거 강의네요.!

  • @ays2693
    @ays26932 жыл бұрын

    다른 몇분들 댓글보고 저도 급히 신청드립니다. 진짜 쇼펜하우어좀 제대로 한번 해주세요. 불교와 관련된 부분도 연계해서요. 다른 분 말씀처럼 재미위주로 편집하느라 차 포 다 떼버리고 제목 풀이에 이런저런 연상되는 것들 학술적 근거도 없이 막 덧붙여서 하는 분들 많던데… 솔직히 문제잖아요. 그런 영상들 돌아다니면 초보자들은 그게 또 그런 줄 알고 보고… 그러면 그렇게 알게된 분들의 잘못 자리잡힌 지식은 누가 또 책임지고 고쳐주는건지… 그래서 제가 여기 채널이 대한민국 최고 채널이라고 보는겁니다. 재미있게 하려고 노력도 하시지만 늘 출처를 밝히고, 학술적 자료에 근거하는 자세를 유지하시니까요. 진짜 배울점이에요. 쇼펜하우어도 한번 해주신다면 아마 저를 포함 많은 분들에게 큰 도움 될겁니다. 늘 부탁만드려 죄송하네요. ^^; 감사합니다.

  • @philosophy1

    @philosophy1

    2 жыл бұрын

    제가 쇼펜하우어 관련 다른 영상들은 보지 못해서 뭐라 드릴 말씀은 없지만 신청이 많으니 일정을 조금 조정해서 한번 해보기는 해야겠네요. 체크해두겠습니다~!

  • @user-vq4je5ey1u
    @user-vq4je5ey1u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퐁티는 현상학을 방법론으로 사용해서 몸을 통한 지각으로 대상을 드러냈고...하지만 실존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사람이었네.

  • @user-ib5ji2nj5o
    @user-ib5ji2nj5o2 жыл бұрын

    타이틀이 진리 입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mini-uq3fk
    @mini-uq3fk2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다 문득 드는 생각인데~~ 이런 문제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나 지식이 부족한 사람과 다른 사고를 하고 계시겠지?삶이나 존재..의식을 연구하고 이해한다는건 어떤 느낌일지?평소의 생활엔 어떤 다름이 있을지?여러가지로 궁금해지네요..

  • @kxob1234
    @kxob12342 жыл бұрын

    요약하면 지피지기라는 건가요...?

  • @urbansketcher4488
    @urbansketcher448810 ай бұрын

    지각하는 신체는 현대 뇌과학에서 정의하면 지각하는 뇌이다. 모든것은 뇌가 작동하는 정보의 해석의 결과물에 지나지 않는다!

  • @user-pe2nl9kc9z
    @user-pe2nl9kc9z7 ай бұрын

    ❤❤❤🎉🎉🎉🎉🎉🎉🎉

  • @user-om9fp3yd8x
    @user-om9fp3yd8x2 ай бұрын

    퐁티는 지식을 바탕으로 말 장난에 가까운 논리같다. 더한다면 순수하고 상상력에 삶을 살아가는 몇 퍼센트에 속한 사람일 뿐 인거같다. 원자를 알았다면 퐁티는 없었을듯~

  • @user-bi6qx2lw4q
    @user-bi6qx2lw4q Жыл бұрын

    23:00

  • @grbc6204
    @grbc62042 ай бұрын

    육화된 코기토

  • @djhcuhot
    @djhcuhot2 жыл бұрын

    SOMA ..그렇게 가자

  • @1330m
    @1330m Жыл бұрын

    도교의 존사법이 신체의 존귀한 우주적 의미를 고대에 가르쳤다면 듀이 메를로퐁티를 이어서 레이코프와 존슨은 신체의 근본 개념창발 기능을 철학적으로 밝혔다 은유찬송의 계보는 니체 카시러 블루멘베르크 레아코프 존슨으로 내려 온다

  • @user-os2it1dv2j
    @user-os2it1dv2j5 ай бұрын

    이거보고지각했어요

  • @user-ld8wv1uo8o
    @user-ld8wv1uo8o Жыл бұрын

    불교가 쩔긴한다. 어케 그 옛날부터 다 설명해놨노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