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강사의 소신 발언

00:00 개발자 취업 현실
02:24 chatGPT
03:27 Devin AI
05:17 개발자 미래 1. 개발자의 초봉에 대하여
08:40 개발자의 미래 2. 개발을 배우는게 의미가 있나?
10:42 개발자의 미래 3. 개발자가 AI에 대체가 될까?
11:34 개발자의 미래 4. 개발자라는 직업의 재정의
13:34 개발자의 미래 5. 개발자 채용에 대한 수요는?
15:07 개발자의 미래 6. AI가 대체 못하는 영역은?
18:16 개발자의 미래 7. 개발 공부 계속 할까요?
🧡제 짦은 의견입니다! 여러분의 상상속 미래 개발자의 모습도 공유해주세요!
코딩알려주는 누나 강의 듣는곳
codingnoona.thinkific.com/
뇌를 살찌우러 올래?
누나 인스타 뭐야? 1008_shine
#개발자전망 #개발자미래 #개발자초봉

Пікірлер: 407

  • @user-yu8so2ck1z
    @user-yu8so2ck1z29 күн бұрын

    00:00 개발자 취업 현실 02:24 chatGPT 03:27 Devin AI 05:17 개발자 미래 1. 개발자의 초봉에 대하여 08:40 개발자의 미래 2. 개발을 배우는게 의미가 있나? 10:42 개발자의 미래 3. 개발자가 AI에 대체가 될까? 11:34 개발자의 미래 4. 개발자라는 직업의 재정의 13:34 개발자의 미래 5. 개발자 채용에 대한 수요는? 15:07 개발자의 미래 6. AI가 대체 못하는 영역은? 18:16 개발자의 미래 7. 개발 공부 계속 할까요? 🧡제 짦은 의견입니다! 여러분의 상상속 미래 개발자의 모습도 공유해주세요! 코딩알려주는 누나 강의 듣는곳 codingnoona.thinkific.com/ 뇌를 살찌우러 올래?

  • @haedal_dev

    @haedal_dev

    29 күн бұрын

    .... 이제 막 국비 수료 1-2달 남은 시점에 제목 보고 깜짝 놀라서 들어왔어요

  • @user-kf7xr1rn8n

    @user-kf7xr1rn8n

    22 күн бұрын

    코닝누나님 영상을 자주 보는데요. 전 클라이언트로서 외주를 줍니다. 제 입장에서 가장 어려운게 기획을 하고 개발자에게 주엇더니 개발자가 하는말 이 기획으로 개발 못 한다 이럽니다. 헉ㄹ 기획비용과 시간을 날리고 개발자가 다시 기획하고 돈이 2중으로 날아 갓어요 그리고 이놈의 si업체를 선택해서 그런가. 실력도 부족한 초짜 개발자를 채용해서 모바일웹앱 개발 하는데 내꺼 하나 개발하다가 다른 클라이언트 일 하고 해서 시간이 엄청 소요 됩니다. 크몽을 통해서 알앗는데 크몽 계약하지 말고 직거래 하자고 햇더니 이렇게 순위를 후순위로 배치 하고 지금 2년이 다 되어 가는데 아직도 수정 하고 있고 이제 안드로이드 올려 낫는데 안드로이드 정책이 바뀌엇다고 하면서 안드로이드 테스트 20 명 해야 된다고 돈 달라고 하네요. 3천만원 줫는데 그건 달라고 하면 안되는데 어이가 없는 개발업체를 만낫네요. 그래서 이렇게 부실한 개발업체 이용 안하게 해줄수 있는 컨설팅 해주는 업체가 필요 합니다.

  • @user-rw8wt4jx1y

    @user-rw8wt4jx1y

    22 күн бұрын

    개발자 하지마세요 차라리 타일이나 도배 이런거배우세요 제발... 인공지능한테 안 따이는 기술을 배우세요

  • @user-rw8wt4jx1y

    @user-rw8wt4jx1y

    6 күн бұрын

    @user-ek2pt9kh1k 배운것들 시간아까워서어떡해여

  • @crayfallinsecondlife5329
    @crayfallinsecondlife532928 күн бұрын

    "AI가 짠 코드 관리하고 이해하려면 공부해야 한다"에 한 표입니다 :)

  • @gonglee-jx8ps

    @gonglee-jx8ps

    18 күн бұрын

    일정 시간이 지나면 AI가 짠 코드를 인간이 이해 못합니다. 지금 이미 인공지능이 둔 바둑의 수를 인간이 이해 못하고 인공니능을 그냥 따라서 두는 걸 인간이 외우는 상황입니다.

  • @user-qs7cn1qh8e

    @user-qs7cn1qh8e

    15 күн бұрын

    @@gonglee-jx8ps 개발 안해보셨죠? 이건 개소립니다 ㅋㅋ 비즈니스 로직은 대부분 정해져 있고, 많은 개발자들이 구글링 해서 가져오던 코드를 이제는 ai가 작성 해주는 식인데, 우리가 두려워 해야 할 상황은 AI가 PM처럼 프로젝트를 총괄해서 진행하는 상황인거지 절대 코드를 알아보지 못하거나 그럴 일은 없어요 ... ㅋㅋ

  • @asdasdassdwww9784
    @asdasdassdwww978429 күн бұрын

    옛날에는 수십명의 계산하는사람 수십명의 기록하는사람이 컴퓨터를 통해 한명으로 바뀌었다면 이제는 프로젝트 전체를 Ai를 통해 한명이 리딩하는날이 다가오고있는거죠 .. AI에 밀리지 않도록 열심히 해야지 하는 사람들은 싹다갈려나가고 AI를 활용해서 결과물을 얻어올수있는 사람들이 살아남는거고

  • @user-o1cry3p921c

    @user-o1cry3p921c

    28 күн бұрын

    저도 이렇게 생각하네요.. 지금은 ai 사용이 필수가 됐어요

  • @maple3226

    @maple3226

    20 күн бұрын

    아무리 AI 발달해도 사람 한명이 대체하는게 쉬울까요.. backend 시스템 이것저것 써서 짜줘 하면 정말 버그 하나 없이 그게 가능 할까요? 또 그게 가능한다 한들 그 시스템 위에 회사마다 유니크한 feature를 만드는거, 유지보수까지 완벽 대체되는건 감이 안오네요

  • @user-vg2jv7bo6j

    @user-vg2jv7bo6j

    10 күн бұрын

    100명 필요한 업무를 10명이서 할 수 있다는게 핵심이지. 나머지는 기본소득으로 가고

  • @KTpion
    @KTpion29 күн бұрын

    인공지능이 코딩 보조가 아니라 프로젝트 개발에 전담할 경우 즉, PM, PI 등 역할을 할 경우 어찌될지? 이게 지나친 기대일까요? 제가 보기엔 해당 그리 먼 기술이 아닌 것 같아요. 어쩌면 이미 충분히 가능한데 개발사가 인터페이스가 제공하지 않았을 뿐인지도……

  • @user-id3cq2wl8b
    @user-id3cq2wl8b29 күн бұрын

    코드를 싸질러놓는다는 표현이 너무 와닿네요 ㅎㅎㅎㅎ

  • @user-od2pz3rg8y
    @user-od2pz3rg8y29 күн бұрын

    통찰력이 대단하세요

  • @user-of2cv6xy7t
    @user-of2cv6xy7t22 күн бұрын

    개발해야 하는 부분을 누군가 copilot 에다가 자꾸 물어보고 답변해주는 코드 가지고 나한테 해보라고 합니다. 이거 된다고. 되는 거 처럼. 하지만 발생하는 에러와 원인 분석, 책임은 누구의 몫인가요? 그리고 그거 해보느라 들어가는 시간 이럴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copilot 써보고 있는데 할루시네이션이 심하네요 되는 거 처럼 답변 주고 잘못된 코드, 안되는 코드 그대로인데 똑같은 코드를 바뀐거 처럼, 되는 거처럼 주질 않나 안되는 이유를 설명해줘야 할까요 그 누군가에게

  • @user-vo3tn9vo1r

    @user-vo3tn9vo1r

    13 күн бұрын

    설명 뭣하러 해줘요. 그분은 디버깅도 안하시는분입니당. 그대로 쓰고 큰코한번 다쳐야 정신차려요. 최소한 ai가 그럴싸하게 설명만 늘어놓고 똑같은 코드를 줬다는것조차 확인하지 않을 위인이라면 말해줘도 어차피 몰라요.

  • @qwr7652
    @qwr765227 күн бұрын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k7zp6zp2k
    @user-zk7zp6zp2k29 күн бұрын

    저랑 100% 같은 생각을 말해주시네요.

  • @user-db2od1px1i
    @user-db2od1px1i29 күн бұрын

    개발에는 별 관심이 없지만 다가올 미래의 한 모습을 보는 것 같아서 좋았어요. 가끔 강사님이 미인이라서 와서 봤는데 오늘 영상은 정말 유익했어요.ㅎㅎ

  • @user-ib5yv8yg3h
    @user-ib5yv8yg3h29 күн бұрын

    좋은 인사이트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 @wac-7211
    @wac-721129 күн бұрын

    8년차 직장인 30대 입니다. "기계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끝났네요.. 직장은 책임소재 폭탄돌리기 입니다

  • @kylecha7949

    @kylecha7949

    29 күн бұрын

    팀장이 책임을 지는거고 팀원은 기계인거죠

  • @wac-7211

    @wac-7211

    29 күн бұрын

    @@kylecha7949 원칙적으로는 맞으나 책임을 팀원한테 넘기는 팀장 수두룩 합니다 팀장들 끼리도 책임소재 따져서 어느팀한테 책임소재 떠 넘길까 고민먼저 하는 기업도 많아요

  • @wac-7211

    @wac-7211

    29 күн бұрын

    ⁠@@kylecha7949 책임을 팀원한테 넘기는 팀장도 많아요 팀장들끼리도 어느팀한테 책임 떠 넘길까를 먼저 고민하는 기업도 많구요 왜냐면 팀장들도 한 가정을 먹여살려야 하기 때문이죠

  • @wac-7211

    @wac-7211

    29 күн бұрын

    @@kylecha7949 책임을 팀원한테 넘기는 팀장도 많아요 팀장들끼리도 어느팀한테 책임 떠 넘길까를 먼저 고민하는 기업도 많구요 왜냐면 팀장들도 한 가정을 먹여살려야 하기 때문이죠

  • @KTpion

    @KTpion

    29 күн бұрын

    기계는 기계에게 명령된 또는 주어진 일에 있어서는 확실하게 책임을 지죠. 인간에 의해서. 수리되던가 폐기처분 되던가. 그 책임을 인간 관점에서 고려하지 않거나 가볍게 볼 뿐. 인간의 일을 대신하는 게 기계인데 단순히 작업만을 두고서 기계에 인간을 투영하면 그렇다는 것입니다. 비즈니스에서 최종 책임은 기업의 최종 결재자인 대표가 지는 것이죠. 인간이나 기계나.

  • @nokkim3500
    @nokkim350029 күн бұрын

    마자요 지금은 다섯살부터 코딩배운다고 하더라구요 ㅋㅋㅋ 요즘 유치원 가면 절반은 영어 절반은 한국어 가르치고 코딩도 가르친대요.

  • @user-gz3rc6oj6b
    @user-gz3rc6oj6b4 күн бұрын

    정말 구독, 좋아요를 안 누를 수가 없네요. 정말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winterscent99
    @winterscent9910 күн бұрын

    공대 4학년이고 개발자 희망하고 있는데 실무, 현실적인 얘기 들어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돈보단 개발하는 게 너무 재밌어서 이쪽으로 가려고 졸업작품도 AI 활용한 웹서비스 구현해보려고 노력중인데 이런 얘기 들어볼 수 있어서 좋은 거 같아요

  • @yury_kim
    @yury_kim2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거품은 빠졌지만 분야 지식+코딩+인공지능 좋은 콤보 같음.

  • @honeystein
    @honeystein29 күн бұрын

    누나 설명 정말 잘한다

  • @andmathanitopia8278
    @andmathanitopia827828 күн бұрын

    AI 의료계열 프로그램 제작팀장님이랑 AI스타트업 프로그래머분한테 강의를 작년에 들었었는데 수학공부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수학에 대한 이해가 많을수록 좋다고 들었는데(흔히들 통계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통계 말고도 필요한 수학들이 굉장히 많다고 하심) 혹시 이런 부분에 대한 얘기도 더 듣고 싶습니다.

  • @user-wildernessflower

    @user-wildernessflower

    27 күн бұрын

    클라이언트가 자기 비즈니스의 문제점에 대해서 이야기 할때, 문제해결방식이 수학적 개념에 즉시 대입되어 답이 보인다면, 그리고 그 답을 프로그램으로 만들 수 있으면 최고입니다. 이렇게 사고가 흐르신다면 천직입니다. 물론 개발자 보다는 CEO겸 개발자가 되겠지만요. 수학과 친할수록 프로그램이 간결해지고, DRY(donotrepeatyourself)를 하지 않게 되는것 같습니다.

  • @andmathanitopia8278

    @andmathanitopia8278

    27 күн бұрын

    @@user-wildernessflower 명쾌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Ggg-iw9xg

    @Ggg-iw9xg

    16 күн бұрын

    별로???

  • @abcabcab5861

    @abcabcab5861

    11 күн бұрын

    우리 회사에 카이스트 수학과 출신 개발자 몇 명 있었는데 코드를 간결하게 짜는게 개발 잘하는 게 아님. 넘사로 고졸 개발자가 씹어 먹었음

  • @user-xy1xz4do6z
    @user-xy1xz4do6z25 күн бұрын

    학부 4학년이고 교수님 밑에서 학부연구생도 하고있지만 확실히 gpt가 많은 변화를 일으킨거같습니다... 교수님들도 과제에 gpt사용하는것도 그냥 허락하시고 심지어 교수님도 예시를 보여줄때 gpt에게 프롬포트 질문을 통해 수업에서 보여주면서 장난식으로 '이게 교수 없어요 되겠네요?' 그러고 있습니다. 실제로 기본적인 틀이 되는 코드들은 너무 단순하게 gpt에게 얻고 조금만 뜯어고치는방식으로 바뀌면서 취업시장에도 단순히 특정언어를 잘한다기보다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찾는 방향성으로 흘러가는거 같아요

  • @user-ce9ii1ph2u
    @user-ce9ii1ph2u29 күн бұрын

    비전공자고 흥미느껴서 이 분야로 뛰어들었는데 인생이 백퍼센트 예측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일단 업계 진입해서 열심히 공부하고 제 본전공 도메인 지식도 연결하면 뭔가 새로운 길이 보일거라고 생각하며 공부하고 있어요! 영상 감사합니다

  • @user-dt9er4gy4q

    @user-dt9er4gy4q

    29 күн бұрын

    '일단 업계 진입'이라는 생각이 전제되어 있는 거 같은데, 그게 힘들어요. 인생이 100% 예측할 수 없다지만 인생은 한 번밖에 없다는 것은 100% 확실합니다. 이번 생에서 반드시 개발자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인생이 100% 예측할 수 없다지만 본인이 포기하지 않고 개발자 될때까지 나이가 어떻게 되든 끝까지 공부해서 취업하겠다는 마음가짐도 정말 100%인가요? 그게 아니라면, 본전공을 살릴 수 있는 플랜 B를 생각하시면서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asdadasdad-ym5rj

    @asdadasdad-ym5rj

    23 күн бұрын

    안생겨요

  • @wellekim8739

    @wellekim8739

    22 күн бұрын

    @@user-dt9er4gy4q 현실적인 답변이네요 개발쪽 공부에서 발 담궜고 대학원까지 왔는데 전 다시 문과로 돌아가려고 합니다

  • @RyuhansolAXEL

    @RyuhansolAXEL

    22 күн бұрын

    비슷한 입장에 20대 마지막 도전해서 저는 개발자 입성을 했습니다.. 업계 진입을 하고 나서 드는 생각은 딱 하나입니다. 이력서를 통해 회사 진입은 생각하지 마시기를 바래요. 업체 천곳 분석하고 그 중 백곳 정도를 넣어 봤는데, 비전공자가 개발의 규모나 수준, 그리고 프로젝트의 갯수 등 어떤 면에서도 전공자를 이기긴 쉽지 않습니다. 심지어 그런 전공자들조차 몇백명이 입사 지원을 하고 그러더군요... 그러니 실질적으로 비전공자가 이력서를 입사 담당자가 켜서 읽는 행위 자체를 안하더라구요.. 그러다가 얻은 결론이 제가 다니던 부트캠프를 통해 인적 자원이 필요하는 업체들이 자기들 소개하는 타이밍 등을 노려서 그때 내 매력을 어필하고 면접까지 연계 되는 방식이 가장 현실적인 방식이란 걸 알게 되었습니다. 왜냐면 그런 업체들은 아무래도 개발 전공이건 비전공이던 그게 아니라, 사람에게 데이고 나니 제대로 하는 사람을 직접 발로 뽑겠다란 스텐스다 보니, 내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가능성이 열려 있더군요... 저도 그렇게 해서 입사가 성공했구요. 정말 고생 많으실텐데 노력하시고, 진짜 박터지게 준비한다면 분명히 좋은 날이 올겁니다. 빠이팅하세요

  • @user-ux2gz7sm6z

    @user-ux2gz7sm6z

    17 күн бұрын

    위의 분들 말대로 업계진입은 힘들고 같아요. 업계진입이 아닌 내가 작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실력을 늘려서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도움이 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 @kimtaekbum1872
    @kimtaekbum187222 күн бұрын

    공감 많이 가네요 우리회사는 개발자 주업무가 제안서 작성, 개발프로젝트 산출물 작성입니다. 개발은 외주업체에서… AI가 외주업체를 대체 하겠네요…

  • @lukedwise7824
    @lukedwise782429 күн бұрын

    전체적으로 저랑 생각이 같으시네요. ㅋㅋㅋ AI 나와서 정말 좋습니다. 정말 좋고, 개발자의 직업을 위협하지만. 결국 완전히 대체하는건 확실히 멀었다 생각해요. 나중에 혼자서 기획, 설계, 디자인, 개발, 데브옵스, 운영 까지 다 혼자서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좋고 결국 개발자가 지금보다 많은 업무와 많을 개발을 업무 자동화해서 할 수 있을거라 정말 기대가 되고 재미가 있네요. 진짜 요즘에 시간 갈아넣어서 광범위하게 공부하는게 정말 좋고 다 AI 응용해서 할 수 있는게 많아져서 개발자로써 행복하네요. 개인적으로 개발자 추천하네요. 머 고생은 많이하지만 성격이 맞다면요.

  • @HappyCatFlu
    @HappyCatFlu29 күн бұрын

    말 그대로 "코딩" 이라는 부분은 이제 AI가 거의 대체하게 되고 코딩의 전/후 단계에 필요한 업무가 중요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코딩 전에 AI에게 원하는대로 코딩을 시킬 수 있는 SW 아키텍터 AI가 코딩 한것에 대한 고품질의 QA 아키텍터 (QA라고 하면 대부분은 그냥 단순 테스터로 많이 생각하겠지만, AI 시대에서 단순 테스터로서의 기능은 또한 AI가 쉽게 대체 가능할 것이고 단순한 테스터가 아닌, 요구사항 충족을 확인하기 위한 QA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설계하는 방향) 일단은 모두 일정 수준 이상의 개발 능력은 말씀하신것 처럼 기본 소양으로서 필요해야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이런 것들 이외에도 AI가 도입되는 중에 불완전한 AI의 성능을 보조하는 다양한 업무들도 생겨나기도 할거구요. 마치 로봇청소기가 계속 발전을 해왔지만 여전히 부분적으로 가끔씩은 사람이 직접 손대야하는 부분이 있는 것 처럼요.

  • @tabasco534
    @tabasco53429 күн бұрын

    베트남에 계신 거로 추측이 되는데요. 베트남도 개발자 취업 어려운가요?

  • @user-ls3fl1ru6j
    @user-ls3fl1ru6j27 күн бұрын

    프론트 엔드 --> ai agent 개발자 백엔드 --> vector db 구축 + fine tuning 이렇게 되지 않을까요

  • @user-bh6vz4bq1x
    @user-bh6vz4bq1x9 күн бұрын

    클라우드나 데브옵스 sre쪽도 전망이 어두울까요?? 이쪽으로 이직 생각을 하고 있는데...

  • @donghunlee8541
    @donghunlee854127 күн бұрын

    비즈니스 로직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user-dw5xv3ok2f
    @user-dw5xv3ok2f28 күн бұрын

    재밌군요...

  • @e.s583
    @e.s58323 күн бұрын

    분석, 설계, 업무 프로세스나 스토리보드 같은 경우엔 아무래도 a.i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 같아요. 결국엔 개발을 못하더라도 코드 좀 이해하고 업무에 대한 지식이 많다면 앞으로도 크게 영향이 없을 것 같네요. 결국엔 프로그래밍 언어는 단순 하나의 도구 정도로 봐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user-pp4yc3ei6q
    @user-pp4yc3ei6q2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hinswoong.youtube
    @shinswoong.youtube25 күн бұрын

    프로그래밍을 해줄수 있는 ai가 나왔다면 그것들의 셋팅값이나 api를 만질수 있지 않아야 하지 얺을까 싶네요 ... ai를 확실히 도구로 만들어야 하지 얺을까 싶습니다.

  • @fishduke1
    @fishduke126 күн бұрын

    영상에 덧붙여서 현재 chatgpt의 한계는 각종 논문이나 리서치 등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것 같은" 것입니다 이번에 논문 리서치하면서 느낀건 대표적인 몇개의 논문 외엔 노출도 안되고 내용 가져오는것도 못하고 응용할 줄도 잘 모릅니다 결국 A부터 Z까지 기획하는건 사람이 해야했어요 반면 코딩 구현은 훨신 편하긴 하더라구요 특정 라이브러리 도큐먼트 해석에 시간 많이 들 필요 없이 도큐먼트 분석해서 그에 맞게 코딩 해줍니다. 따라서 코딩능력의 필요성은 추후 유지보수 차원에서 많이 필요하겠지만 당장엔 그것보다 응용력, 잠재력 부분에선 ai가 대체하기 힘듭니다 또한 AI 개발자 데빈, 문제 해결 능력이 기존 AI 개발자보다 높아서 그렇지 문제해결 능력 자체는 20프로 정도밖에 안됩니다(기존 2~7프로) 반면 사람은 시키면 어떻게든 구현하고 학습하고 성장하고 응용합니다 언제 튈지 모르고 멘탈 관리 해줘야해서 그렇지 오히려 지금이 개발자가 될 수 있는 막차가 아닐까 싶기도 해요

  • @taycleed2235
    @taycleed223525 күн бұрын

    공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특히 책임은 사람이 진다… 그리고 사내에 있으면 사용자 환경이랑 약간 무관하게 사내 demo용 시나리오라든지 온갖 케이스가 다 들어가야하고… ㅋ

  • @SH-bab_meogja
    @SH-bab_meogja8 күн бұрын

    지금은 손 코딩 파트만 gpt에게 맡기고 있습니다. 설계, 디버깅등은 여전히 사람들이 하고 있어요. 가끔 답답해서 그냥 타자연습할겸 직접 다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긴합니다.

  • @universe1214
    @universe121413 күн бұрын

    알고리즘으로 콘텐츠 접했는데 강사님의 딕션과 표정사용,억양이 재밌게 느껴지고 내용도 준비하신것으로 복제콘텐츠도 아니고 ..바로 구독했습니다.ㅎ 강사님의 설명이라면 어떤 내용도 재밌게볼것같네요. 약간 주식계의 엔터테이먼트 몇백만 유튜버 누가 연상되네요

  • @woojin7009
    @woojin700929 күн бұрын

    chatGPT로 react 코드 짜는 법 이런 강의 있으면 좋을거 같아요

  • @user-hj7zj3qz7v
    @user-hj7zj3qz7v29 күн бұрын

    개발, 코딩, 음,,, 사무직도 이제 코딩을 해야 되는 시대더군요, 사무직에서 엑셀, pdf, 웹으로 업무처리시 반복적인 부분이 많은 부분이 있는데, 그런 부분을 코딩으로 자동화하는 시대더라구요. 엊그제 엑셀 데이터 100만라인 정리하는데 뤼튼에서 GPT4한테 조건 던져주고, VBA만들어줘 해서, 100만라인 엑셀데이터 정리하기, 파이썬코드 짜줘 해서, 100만라인 엑셀 데이터 키워드별로 분류하기, 유튜브 재생목록 TEXT파일로 가져오기, CSV파일 40개씩 분할하기, 증명서 발급할 때 반복해서 클릭해야 하는 메뉴 클릭하기등등, 남들 이틀하는 일, 코딩으로 1시간도 안되는 시간에 처리, 개발? 코딩? 이제 사무직도 코딩해야 되는 시대인듯, AI가 짜줘도 어느정도 문법정도는 알아야, 이놈이 지대로 만들어줬는지 실행해서 정상적으로 실행하는지는 알아야 부러먹을 수 있더라구요

  • @user-vn8yl4tm4u

    @user-vn8yl4tm4u

    29 күн бұрын

    단순 구현 거기서 한발 더 나아가면 gpt로는 커버 안되는 영역들이 생깁니다 개발은 구현이 시작이에요 유지보수, 예외처리부터 진짜인데 gpt로는 한계가 있긴합니다 아직은

  • @user-dn9by2xs4p

    @user-dn9by2xs4p

    29 күн бұрын

    이분 말이 맞는게 개발에대해서 무지한 사람들은 gpt한테 해달라고 하면 다 끝나는줄 알겠지만, 해당 코드를 복붙해서 제대로 돌아가는지 그리고 오류나면 오류나는대로 수정해야하고 디버깅도 해야하고 개발이 단순 구현만 하는걸로 끝나면 ai에 대체된다는 애기가 맞지만 오히려 코딩 구현 자체보다 디버깅등에 드는 시간이 훨씬 길기떄문에 아직은 멀었다고 봅니다.

  • @seoul_Jin500

    @seoul_Jin500

    25 күн бұрын

    gpt 5 3개월뒤 출시

  • @heesongkoh

    @heesongkoh

    25 күн бұрын

    지금도 chatgpt로 부족한 부분은 유튜브 자료와 스택오버플로우로 커버됩니다. 하지만 chatgpt에만 의존하면 결국 도태될껍니다. gemini도 같이 쓰세요.

  • @seoul_Jin500

    @seoul_Jin500

    24 күн бұрын

    @@heesongkoh zzzzzzzzzzz

  • @user-zi5uv5dv8n
    @user-zi5uv5dv8n27 күн бұрын

    풀스택이 뭐에여? 전 50된 아줌마에요. 심심해서 챗gpt로 파이선으로 ppt만드는거 해봤는데 너무 잼있어서.. 배우고 싶어요. 제 아들 대1인데.. 코딩배우라고 했더니 모티베이션안생긴다고 하는데.. 전 알아야 할것 같아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아들 전공은 무역이에요)

  • @putri-pulau

    @putri-pulau

    22 күн бұрын

    재능이 없어도 흥미가 있으면 그래도 배울텐데, 흥미도 없으면 굳이 안 배워도 된다고 생각해요. 아드님이 GPT같은 생성형 AI를 잘 활용하시는 편이라면 굳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지 않을 것 같아요.

  • @soodfjjt

    @soodfjjt

    16 күн бұрын

    코딩 안해도 직업 널리고 널림 억지로시키지마세요

  • @garlic1226

    @garlic1226

    7 күн бұрын

    재밌으면 나이는 상관없습니다 계속해보세요

  • @llilililllil
    @llilililllil29 күн бұрын

    누님 너무너무 귀여우시네요~

  • @k.1289
    @k.128915 күн бұрын

    "AI를 활용해서, 결과를 잘 내는 사람(개발자 등)" 만이 살아남겠죠. 아니면 AI 자체를 개발하는 엔지니어나 그 계통으로 가던지요.

  • @jhlee5404
    @jhlee540429 күн бұрын

    현재는 입력 = 사람인데 입력에 사람이 필요할까 생각이 드네요 ai 수천 수억개 경쟁 시키면 알아서 만드는 시기가 나오지 않을까요

  • @Mir2SKY2
    @Mir2SKY229 күн бұрын

    1. 코로나 시즌때는 거품과 함께 많은 구인난으로 인해 연봉상승이 쉬웠으나, 현재는 코로나 거품이 빠지면서 코로나 이전시기로 연봉이 돌아온것과 경제적으로도 경기가 좋지않아 일자리가 많이 줄어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 개발에 대한 허들은 많이 낮아졌으나 오히려 전문가에 대한 대우는 더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누구나 쉽게 할수 있다는 점은 다수의 초, 중급의 개발자를 공급할순 있지만 그만큼 희소성 있는 전문가급 인력은 상대적으로 적어지기에, 그만큼 더 많은 가치를 갖게되지 않을까요. 이전에도 국비과정이나 여러 부트캠프들이 개발자를 양성해내고있지만, 진짜 전문가급의 인력을 만들어내지 못했던것을 보면 전문가에 대한 가치는 더 커지면 커졌지 작아지진 않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개발자로서 역량의 폭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백엔드의 경우 AWS나 Azure, GCS와 같은 클라우드 paas가 보편화되면서 se(시스템 엔지니어)에게 요구되었던 아키텍쳐능력, 시스템 및 네트워크 설계와 같은 역량까지도 요구되고 있으며 프론트엔드의 경우 리액트 네이티브나 플러터와 같은 크로스플랫폼 기술들이 발전되면서 다양한 플랫폼/os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고있습니다. 이처럼 gpt로 인해 개발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개발자로서의 필요되는 역량 또한 점차 넓어질것이라 생각합니다 4. 오히려 개발에 대한 기초/근본적인 지식이 더 힘을 발휘할 수 있지않을까 생각합니다. 누구나 간편하게 개발이 가능해질수록 핵심과 근본적인 내용을 공부하려는 사람들은 줄어든다고 생각합니다. 학부생때 어셈블리를 공부하면서 왜 이런걸 공부하나 생각했지만, 지금 돌아보면 기초적인 메모리개념을 다뤄봤기에 언어에 대해 공부할때 좀더 심도있게 공부할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또한 Spring을 처음 공부할때도 servlet 개념을 이해한 상태에서 진행했기에 빠르게 배울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점차 AI가 코드를 생성해주며 쉽게 개발이 가능할 수록 이러한 핵심을 공부하려는 사람은 점점 더 적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금 시대에서 어셈블리를 공부하려는 사람이 없는것처럼요. 그러나 이러한 cs지식들은 거미줄처럼 얽혀있기에 cs지식을 잘 배워놓을수록 개발자로서 일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수 있을것이라 감히 예상해봅니다

  • @user-yu8so2ck1z

    @user-yu8so2ck1z

    29 күн бұрын

    찐공감의 하트 남깁니다

  • @user-xj4ln8tn1c

    @user-xj4ln8tn1c

    20 күн бұрын

    2번은 도대체 왜 저런 결론이 나오는거죠? 결국 하고 싶은말은 양산형 개발자들과 다른 전문성을 갖춘 개발자는 살아남는다! 이거 같은데... 맞는 말이긴한데 가치가 더 올라가는건 아니죠~ 양산형 개발자 양성 -> 개발자가 많으니 더 많은 제품이 생산된다. -> IT 관련 사업이 더 흥행!!! 이런 논리라면 가치가 올라가겠지만 ㅋㅋ 그런게 아니잖아요

  • @Mir2SKY2

    @Mir2SKY2

    20 күн бұрын

    @@user-xj4ln8tn1c 신입채용에서는 정해진 연봉테이블에서 시작하지만 경력채용에서는 원하는 연봉이나 조건을 확인하죠. 기업입장에서는 전문성이 있는 좋은 인력이라고 판단되면 원하는 조건 이상으로도 충분히 제시할수 있다고 봅니다. 반대 입장에서 생각했봤을때도 9명이 경쟁하는것과 99명이 경쟁하는것 중 99명에서의 경쟁이 더 치열할겁니다. 수많은 경쟁자들과 우열을 가리는데 다른사람들보다 특출나거나 자신만의 무기가 있지않는이상 눈을 낮출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수있을겁니다.... 그러나 1명의 입장에서는 나머지가 9명이든 99명이든 상관없이 자신이 희망하는 조건에 맞춰서 갈수있는 기회가 많죠. 물론 시장 상황에 따라서 가치를 더 높이는것이 어려울수는 있으나, 전문성이 있는 인력은 항상 태부족인게 IT시장이죠. 그래서 전문가급 인력은 적어도 가치가 떨어질 일은 없으며, 쉽게 채용할수 있는 신입의 처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채용하기 어려운 전문가 인력의 처우가 더 높아질수 있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 @Mir2SKY2

    @Mir2SKY2

    13 күн бұрын

    @@user-xj4ln8tn1c 단어선택이 모호했는데 시장에서 받는 대우의 의미에서 말씀드린겁니다. 안그래도 국비과정, 부트캠프를 통해 대거 신입개발자들이 양성되고있는 마당에 코로나시기에 겹쳐서 더더욱 개발자의 주가가 솟아오르면서 초급개발자의 수는 어마어마하게 늘어났죠. 과거 10:1의 경쟁률의 수준이였다면 지금은 100:1까지 올라간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보다 더 치열한 경쟁이 된 만큼 초급개발자들은 자신만의 무기가 없다면 결국 눈높이를 낮춰갈수밖에 없을겁니다. 반면 회사입장에서는 신입채용시 많은 지원자들 가운데 마음대로 골라갈수있으니 땡큐죠. 거기다 신입한명이 나간다? 다시 99명중에서 1명을 고르면 그만인 상황이죠. 거기다 연봉도 연봉테이블에 맞춰서 시작하는 만큼 구직자에게 선택권은 없죠. 반면에 고급, 특급수준의 개발자들은 예나 지금이나 그 수가 적고 한정적이기에 원하는 회사에 원하는 조건으로 입사하는게 훨씬 수월하죠. 초급개발자가 100명이든 10명이든 상관없을겁니다. 오히려 주도권이 구직자에게 있다고할까요. 그럼에도 포스트코로나로 넘어옴과 동시에 시장도 불황인 마당에 왠만한 경력이 아닌이상 경력있는 개발자들도 쉽사리 이직을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인데, 신입은 어떨까요? 개개인이 들인 노력에 대해 얻어가는게 많이 없는 상황이기에 받는 대우, 즉 가치가 떨어졌다고 표현한겁니다.

  • @user-yp2jr1zf8g

    @user-yp2jr1zf8g

    12 күн бұрын

    오리가 많아지면 백조도 오리보다 약간 높은 가격으로 뽑고 싶어지는 것이여... 전체적으로 다 낮아진다고 봐야지....

  • @happinessthegreat9999
    @happinessthegreat999929 күн бұрын

    그냥 굉장히 좋은 학습 및 실행 도구에요. 쓸수록 느끼는데, 공부를 더 하면 더 했지, 덜 할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개발자들의 워라벨을 살려줄 천사가 될 수도 있고, 반대로 1인이 할 수 있는 것이 더 많아져서 더 워라벨 박살일 수도 있구요. 양자컴퓨팅 시대가 오거나, 완전히 혁신적인 AI 연산이나 학습 방식이 새로 개발되지 않는 한, AI의 물리적 연산 및 에너지 한계는 명확합니다. 데이터센터가 매년 불태우는 나무가 몇 그루인지 셀 수도 없습니다. 휴대폰처럼 매년 버전 숫자는 바뀌는데 엄청나게 드라마틱하게 바뀌는 것은 없을겁니다. 이번 4o도 엄청난 것처럼 바이럴을 온 매체를 통해 하던데, 그냥 속도 빨라지고, 말로 가능한 것 말고 눈에 띌만한 건 없습니다. 일하면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말로 할 일도 거의 없구요. 물론 몇 세대 차이는 큰 차이가 나겠지만요. AI가 직업을 온전히 대체하는 수준에 이르려면, 변호사, 세무사, 간호사, 택시기사, 산업기사 등과 같이 본인이 공부하거나, 행동하는 것 거의 없이 온전히 알아서 다 일을 처리하는 수준에 이르러야 하며, 혹시 문제가 생겼을 시, 책임 청구가 가능해야 합니다. 코딩??? 온전히 믿고 코딩을 맡길 수 있을리가요. AI회사에 책임 소송해서 승소? 가능할 리가요. 오히려 IT 프로그램 성격적으로 보면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에 훨씬 더 가깝습니다. 왜냐? 비전문가가 AI만 가지고 할 수 있는 서비스가 단 1개도 없으니까요.

  • @user-pm3gn5zd1w
    @user-pm3gn5zd1w29 күн бұрын

    제가 나이가 많지만... 진짜. 리스펙!!

  • @Alalspsp
    @Alalspsp29 күн бұрын

    다른거 알려주는 누나에서 빵터졌네요 ㅋ 코알누님 보면 긍정적 기운이 느껴져서 항상 기분이 좋아집니다! 미래의 남편분이 부럽습니다 ㅋ

  • @user-ku1yh5jk7p
    @user-ku1yh5jk7p29 күн бұрын

    개발에 대해 언어 장벽이 없어질 거 같아요. python만 잘해도 c++만 잘해도 나머지 바꿔주는 코드(다른 언어로)는 정말 잘 짜줄거라.... 단순 개발이 아니라 주체적인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개발자가 점점 더 필요해질 거 같아요

  • @_jej1279
    @_jej127929 күн бұрын

    저도 지금 개발을 혼자 공부하고 있긴 하지만, 취업을 생각한다기보다는 영어처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지금도 영어가 다 번역이 되는 세상인데도 영어를 계속 공부하고 알아야 하는 것 처럼. 그렇게 나아갈 것 같아요. 분야 뿐만이 아니라, 개발을 아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기는 해요. 지금도 영어가 필수가 아닌 직업도 영어 성적보고 뽑는 것 처럼요. 영어를 함으로써 해외와 협업이나 자료 확인이 더 수월한 것처럼 말이죠. 개발 언어를 앎으로써 좀 더 일이 수월해지지 않을까 싶어요.

  • @AndyAlone

    @AndyAlone

    29 күн бұрын

    코딩을 기본 소양처럼 생각하실거라고 하셨는데, 그럼 본인 메인파트의 미래는 어떤가? 도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본인이 메인으로 가져갈 파트가 과연 AI와 로봇기술의 발전으로 얼마나 대체가 가능할 것인지.. 만약 대체가능 또는 부분대체가능영역이 큰 파트를 본인의 진로로 생각하신다면, 코딩 공부보다는 석사를 따시는 게 나을 겁니다. 분야를 막론하고 대체되기 힘든 건 전문성입니다. 지금은 대졸이 초임이지만, 석사가 초임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석사가 기본이라고 생각하시는 게 좋을 겁니다. 물론 파트마다 다를 수는 있지만, 본인 파트의 미래는 어떤가에 대한 고민을 해보세요.

  • @user-mv8ph3xs8v

    @user-mv8ph3xs8v

    29 күн бұрын

    영어로 예시를 들었는데 오히려 저는 엑셀, ppt같은 소양이 될 것같습니다. 엑셀같은 프로그램은 업무능력을 상승 시켜주긴 하는데 굳이 몰라도 일을 못하지는 않는 그런거죠. 영어, 엑셀, 워드는 기본 교육을 이수 한다고 반드시 잘하는것이 아니며, 엑셀도 vba까지 쓰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vlookup함수도 겨우 쓰는 사람이 있듯 누가 사용하는지에 따라 퍼포먼스가 천지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나 엑셀 잘해~ 라는 말을 하지 않듯, 코딩도 기본적인 소양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user-vr6kt6mk9q

    @user-vr6kt6mk9q

    29 күн бұрын

    이 말 정말 공감되는군요..

  • @area51k.

    @area51k.

    29 күн бұрын

    그것은 본인이 독학으로 공부하고 main job 이 따로 있으니 그렇게 생각하시는 거고, 개발 밖에 할 줄 모르거나 개발만 해오던 전문 개발자들은 그렇게 생각 안할 겁니다. 그리고 아직 까지는 chatgpt가 엄청 복잡하거나 창의적인 것은 짤 줄 몰라요... github나 gitlab에서 소스 공개를 폐쇄해 버리거나 AI 가 수집해 가는 걸 막게 되면 얼마 되지 않아 AI의 실력도 나락으로 떨어질 겁니다. 개발자들도 본인들 밥그릇이 위협받게 되면 뭔가 또 살 길을 모색하겠죠..

  • @user-vr6kt6mk9q

    @user-vr6kt6mk9q

    29 күн бұрын

    이 말도 공감되는군요. 개발 공부하지 마세요. 라는 제목은 사람들을 끌어들이기 딱 좋은 자극적인 제목이기도하죠. 저도 AI 난관론에는 약간 의구심을 가지는 사람이긴 합니다만 아무튼 결판은 끝에 가봐야아는거겠죠. 아직까지 AI 가 모든 걸 다 해주는 날까지는 제법 갭이 있는 것 같은데 속도나 가속도에 관해서는 question mark 가 아니겠나 싶습니다. 인간이 생각보다 바보같으면서도 생각보다 뛰어나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인간은.. 생각보다 뛰어납니다.. ​@@area51k.

  • @user-oo3gh4lr5m
    @user-oo3gh4lr5m29 күн бұрын

    20:15 누나만 보였어요~ ♥

  • @leesunwu5025
    @leesunwu502529 күн бұрын

    현재의 AI 수준은 막 흑백 TV가 처음 나왔을 때의 수준이라고 하더군요, 컬러 TV 시대 정도로의 발전은 금방이라는데 그 정도 수준까지 도달하면 일상 생활에서 AI 활용이 꽤 침투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개발자 뿐만이 아니라 사무직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AI 활용에 능숙한) 직원 하나가 기존의 많은 어시스턴트들(개발자로 따지면 초~중급들)을 AI활용으로 대체할 수가 있으니 훨씬 더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고, 그 외에도 사람들 간에 벌어지는 온갖 트러블들이(육체적 정신적 시간적 공간적) 많이 없어지니 대단한 발전이지요.

  • @proxjin8426

    @proxjin8426

    8 күн бұрын

    나온거만 흑백이죠... 챗지피티 회장 샘 알트먼이 지금 나온건 새발의 피도 안된다라고 했어요 이게 공개가 되면 세상이 엉망이 될거라구요 그래서 지금 일부만 내어놓고 ai나 미래 대해서 생각할 시간을 주는거죠 많은 일자리가 사라질겁니다 거기에 일반 코더(그냥 양산형 개발자)들은 백프로 사라집니다...

  • @Nomorecoco1
    @Nomorecoco125 күн бұрын

    Gpt-5 올해 나옵니다. 대비하십쇼.

  • @hajoondad5866
    @hajoondad586629 күн бұрын

    웃을때 예뻐용

  • @user-ux3si3ge2e
    @user-ux3si3ge2e29 күн бұрын

    개발도 분야가.다양해서. . . 기초 개발은 기초소양이겠지만 깊게들어가는 건 쉽지않은 게 애초에 학습데이터가 부족합니다. 스와이프 매뉴를 만들라고 시켜보세요 마우스 좌표가지고 이벤트바운딩할겂니다 하지만 사실 순수 html css 몇줄이면 가능합니다 심지어 모든 브라우저 지원하며 퀄도 좋습니다. 하지만 다수의 데이터가 로직으로 처리하니 gpt는 그걸 대답할겁니다

  • @user-yu8so2ck1z

    @user-yu8so2ck1z

    29 күн бұрын

    오 진짜 공감가는 이야기네요

  • @user-of3nu7th5d
    @user-of3nu7th5d29 күн бұрын

    이제 슬 gpt활용한 방법으로 컨텐츠 방향 가시져...!!

  • @rbalsdldiify
    @rbalsdldiify28 күн бұрын

    Y combinator 창업자 폴 그레이엄의 책 "해커와 화가"를 떠오르게 하는 내용이네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라는 직업의 진가는 "엔지니어링"(how)에 있는게 아니라, 화가가 그림을 그리듯 창조(what, why)하는 것에 있다는 것이죠. 인간은 무엇을 왜 만드는 지를 고민하고, 어떤 기술스택이 최고인가, 어떤 복잡다단한 알고리즘/설계가 빠른가 하는 미시적인 논의는 인간이 아닌 ai가 맡는 시대가 올것 같습니다.

  • @spkim0921
    @spkim092128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웬만한 부트캠프 졸업으로는 요즘 개발자로써 자격이 조금 부족해진 것 같습니다. 컴퓨터 공학 나온 애들은 4년이란 시간 동안 뼈빠지게 공부 했는데 6개월 8 개월 노드 리엑트 익스프레스 몽고디비 포스트그레스 배웠다고 해서 걔네들 못 이깁니다. 이제는 조금 더 알아야 개발자 자격이 되는 시기가 온 것 같습니다. 적어도 자바랑 C, 알고리즘 분석 (search, sort, BFS vs DFS 등등), 빅 O, IEEE, OS, 컴퓨터 건설학, data communication 과목 정도는 익혀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부트캠프 졸업 하신 것도 대단 한거지만 연봉 높은 직업을 꿈꾸신다면 요정도는 더 공부 해야 성공 한다고 봅니다.

  • @user-pb1he6wr3v
    @user-pb1he6wr3v29 күн бұрын

    누나 이뻐서 보러와요. 이상형이에요. 사랑해요~

  • @user-ri3yy7yc4g
    @user-ri3yy7yc4g24 күн бұрын

    코드를 읽어내는 능력이 더 중요해지지 않을까요? AI가 코드는 잘쓰지만 정말 저수준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이해 못할테니까요.. 그걸 꿰뚫어볼수 있는 사람이면 Ai보다 오래갈것같아요.

  • @user-zk7zp6zp2k
    @user-zk7zp6zp2k29 күн бұрын

    테이프 편집기에서 디지털 편집기로 넘어갔을 때 이제 피디의 수가 줄어들지 않을까 혹은 이제 밤샘작업이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오히려 카메라 대수가 10배 이상 늘어나고 촬영 시간도 몇 배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심지어 피디의 수도 몇 배로 늘어났죠. 기술이 발전한다 해도 같은 수준의 퀄을 느슨하게 생산하기보다 그 발전된 기술을 꽉 채워서 퀄 경쟁을 또 하게 되는 게 인간인 것 같습니다.

  • @kloud4624

    @kloud4624

    9 күн бұрын

    피디랑은 다른 개념이죠

  • @Hello-vancouver2000
    @Hello-vancouver200027 күн бұрын

    개발자는 끓는 냄비속의 꽃게 같은 상황입니다 지금은, 아직은 따뜻하죠. AI가 개발자를 대체할 것인가?? 라는 질문을 보면 늘 드는 생각이.. 대체가 진짜 안될거라 생각하는건가?? 그 어느 분야보다 가장 AI로 대체가 쉬운게 개발자인데. 비전공자도 쉽게 해볼까 하는게 개발분야인데... AI가 대체를 설마 못할거라는 생각을 하는분은 안계시죠??

  • @user-eh4hp8nn3k
    @user-eh4hp8nn3k28 күн бұрын

    코딩알려주는 누나.. 그럼 고졸에다가 기초가 없는 사람들은 어떡하나요 퓨ㅠ...ㅋㅋ 더 노력해야될까여 ㅋㅋ

  • @fykykdykxdyifykfykdyjdykxt9033
    @fykykdykxdyifykfykdyjdykxt903329 күн бұрын

    개발자 시장은 어둡지만 코누나 미모는 빛이난다

  • @htkim86
    @htkim8629 күн бұрын

    AI가 하지 못하는게 아니라 어떻게 시켜야할지 인간이 아직 잘 알지 못하는게 아닐까, 그리고 그것 조차도 조만간에 AI에게 물어보고 해결해주는 방식으로 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herry7200
    @herry720029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

  • @user-yx2zj9cg7e
    @user-yx2zj9cg7e27 күн бұрын

    누님 ㅎㅎ 한가지만 물어볼게요 요즘 데이터센터들 또 생겨나고있잖아요 데이터 센터들 생겨나면 엔지니어와 개발자 더 필요하지 않을까요?

  • @kym0118

    @kym0118

    25 күн бұрын

    개발은 인도쪽으로 외주 주면 되고... 엔지니어는 외주업체 외국인으로 퉁될것 같습니다.; ㅠ

  • @heesongkoh
    @heesongkoh7 күн бұрын

    누나 근데 궁금한게. 앞으로 AI가 개발하면 기존 파이썬이나 C++같은 자연어로 개발할 필요가 있나요? 어차피 자연어는 사람이 알아먹으려고 만든거 아닌가요? 구지 AI가 인간을 위해서 자연어로 개발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기계어로 개발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 @johnkim2917

    @johnkim2917

    7 күн бұрын

    기계어는 Python, C++과는 다르게 프로세서 만드는 회사마다 다 달라서 호환성 문제가 있어요. + 0과 1로만 이루어져있어서 천재가 아닌이상 디버깅이 불가능합니다

  • @heesongkoh

    @heesongkoh

    7 күн бұрын

    @@johnkim2917디버깅도 AI가 해야죠...프로그래밍 개발에 구지 인간이 중간에 낄 필요가 없지 않나요? AI가 컴파일필요없이 cpu 직접제어하면서 스트럭쳐에 최적화시켜서 기계어로 하고. 번거롭게 AI한테 인간이 이해할수있는 자연어 프로그램밍 언어로 하라고 하니까 더 헤메는거 아닐까요?

  • @johnkim2917

    @johnkim2917

    7 күн бұрын

    @heesongkoh 지금 수준 언어모델로는 어려울 것 같지만 좋은 발상이네요 미래에는 가능할 수도?

  • @lim6801
    @lim680128 күн бұрын

    풀스택이 뭔가요?

  • @aidenji9028
    @aidenji902829 күн бұрын

    자율주행은 곧 될거에요. AI가 필요한건 학습 데이터인거지 계산 및 분석능력은 이미 사람과 비교 대상이 아니니까요. 다른건 다 월등히 뛰어난데 자율주행만 못할리가 없죠. 일론은 원래 시기를 잘 못맞춰요 그건 AI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가 예측이 불가능한 사람들과 함께 일하기 때문이에요. 개발자라는 직업은 끝까지 존재는 할거에요 하지만 개발자라고 불리는 시작점이 지금보다 훨씬 높아질거에요.

  • @heesongkoh
    @heesongkoh14 сағат бұрын

    이런 비유는 어떨까요? 외국어를 배워서 네이티브처럼 말하는 사람도 있고 고품질의 외국어 번역기도 있지만 전문통역사도 있는것처럼, 프로그래밍도 직접 배워서 하는 잘하는 사람도 있고 AI로 코드도 짜지만 전문디벨로퍼도 계속 있을거라는 거요. 물론 전문 통역사만 밥줄로 일하는것처럼 전문디벨로퍼만 밥줄로 일하게되겠지요.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아닌가요? 결론은 조정은 있겠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끝

  • @MustardSw0rd
    @MustardSw0rd26 күн бұрын

    오늘 저에게 나이 어린 누나가 생겼습니다.

  • @wlsmdltn
    @wlsmdltn29 күн бұрын

    6번의 코드 시간은 조금 다를 수 있는것이, 주니어 개발자는 저런거 없고, 일단 시키는 것만 하게 됩니다. 시니어나 인터미디어트가 대부분 정해줄거에요. 거의 80%는 코드 짜신다고 생각하세요. 10%는 질문하는 시간이고, 10%는 혼나는 시간이에요.

  • @songmyeongsu6261
    @songmyeongsu626129 күн бұрын

    저도 이런 생각 많이 들더라구요. 기본적인 개발 소양은 가지고있으면서 AI를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을 앞으로 더 찾을거 같다는 생각. AI 싸놓은 코드를 그대로 적용할 순 없으니 사람의 손을 타야되는데 그게 앞으로 개발자가 할일. AI 때문에 개발자 사라진다 말 많은데. 사라지진 않고 일하는 방식이 바뀔 뿐이라고 봅니다. 물론 AI가 단순노동을 대체해주는만큼 필요 인력은 더 줄겠죠..

  • @AI-DJ

    @AI-DJ

    29 күн бұрын

    패턴을 찾을수없는 science에 가까워질수록 대체할수없다고 봅니다. 즉 고급 제조업 기반인 한국은 생각보다 오래갈수있다

  • @chaosY2763

    @chaosY2763

    29 күн бұрын

    개발자는 결국은 사라질거라 생각합니다 생각보다 빠를거에요 ai라는 아기가 성장하는 동안 부모가 필요 하겠지만 다 성장하면 부모는 더 이상 필요가 없어 지겠죠 개발자는 본질적으로 킴퓨터와 인간 사이의 서로 다른 언어를 통역하는 역할인데 같은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통역은 필요가 없죠 조리있게 사용하는 건 개인차 인데 그것조차 ai가 보조하게 될 겁니다... 영상에서 기계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말씀 하셨는데 그건 아직 미숙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사회가 어린 아이가 만든 문제에 대해 책임 지라고 하지 않는 것과 같죠 ai가 성숙해 지면 책임 질 일 자체를 만들지 않을거에요...

  • @yydmm5761

    @yydmm5761

    29 күн бұрын

    사실 지금도 코드자체는 구글에서 복붙해오는 경우가 많은데, 결국 이것도 기본적으로 코드 구조, 프레임워크 개념을 알아야 뭐가 되는거니까.. gpt도 비슷한게아닐지

  • @brutaltruth1717

    @brutaltruth1717

    29 күн бұрын

    ​@@chaosY2763 개발자의 역할은 컴퓨터와 인간의 서로 다른 언어를 통역하는 일? ㅋㅋㅋ 말씀하시는 거 보니 개발자는 아니신거 같은데.. 님이 말씀하시는 그건 딱 코더의 역할입니다. 업무 상 개발자의 보조역할을 하는 코더. 개발자의 기본적인 역할은 소프트웨어를 통한 문제해결이고 문제 분석하고 전체적인 해결 방안의 블루프린트를 만들어 이를 토대로 설계 디자인하고, 최종적으로 컴퓨터에 instructing하는 거. 그리고 그 설계와 디자인, 또 모든 stakeholders 혹은 clients와의 의견 조율, 의사 결정, 행동, 실행의 일이 개발업무의 대부분인 70%라고요 (정작 코딩은 30%). 그걸 AI가 해줄수 없다는 거고요. 영상 제대로 안 보셨네요. 영상에서 하는 말이 바로 그거에요. 이건 개발 해보신 분들만 이해하실 듯.

  • @brutaltruth1717

    @brutaltruth1717

    29 күн бұрын

    ​​​@@chaosY2763그리고 그 역할은 님이 말씀하시는 단순히 AI의 성숙/미성숙 혹은 미숙한 성능/발전된 성능 개념과는 거리가 먼 문제라규요 ㅎㅎ AI가 발전되면 애초에 "책임질일을 만들지 않는다"? ㅎㅎ 여기서 말하는 책임은, 잘못된 일에 대한 귀책의 사유로의 제한적인 상황의 책임이 아니고욯ㅎㅎ 😅 업무에 대한 담당자로써의 일반적이고 전체적인 책임의 개념을 말하는 거에요 ㅎㅎ 모든 의사결정에는 책임이 뒤따릅니다. AI가 해주기 힘든 부분이죠. 하나의 프로젝트에도 무수히 얽히고 섥힌 (기업 레벨 프로젝트) 모든 관계자와의 조율 및 의사 결정의 부분도 AI가 해주기 힘든 부분이고

  • @user-sy9ns2jz5n
    @user-sy9ns2jz5n26 күн бұрын

    ai는 물질적생산형태가 아닌 모든곳에 취업난과 생계위협을 주는건 분명하지만 거스를수 없는 운명같은것, 100명필요한 일들 10명이내로 해결가능한 세상

  • @user-uz1il4lw6j
    @user-uz1il4lw6j5 күн бұрын

    피부가 너무 좋으시네요~ 비결이 뭔가요? ㅎ

  • @otwmoo
    @otwmoo27 күн бұрын

    항상 생각해왔던 것지만, 세상 사람들은 낭만이 너무 부족하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할 때, 내가 행복한 것이지. 돈만을 쫒으면 거기 행복이 있을까 싶다. 물론 많은 돈을 벌면 행복하지만, 거기에는 수많은 경쟁자가 있다. 100명 중 뛰어난 한 명만 행복할것고, 나머진 그러하지 못하다. 내가 오래시간 매몰비용을 쏟아 투자했던 일이 나에게 맞지 않는 일이란 걸 알았을 때, 얼마나 좌절 스러울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보았으면 한다. 돈을 보기 전에 나의 내면부터 들여다 보자.

  • @user-pc3qy4qh4r
    @user-pc3qy4qh4r29 күн бұрын

    원래 기존부터 도메인 분야로 개발 군이 나뉘어져 있었습니다. 저는 프론트 이전 개발자인데, jQuery가 등장하면서 프론트엔드, 백엔드 나누는 의미를 모르겠더군요. 개발자 커뮤니티가 사라지면서 이 맥락도 사라진 느낌입니다. 그래서 코테 준비해야 한다는 이야기 나올때 조금 위화감이 들었습니다. 코딩 말고 배워야 할 게 산더미인데 코테 준비를 따로 한다고? 업종과 산업을 배우고 자기 도메인을 결정할 시기에 코딩 테스트? 업력이 받쳐주지 못하면 경력 인정도 못받는데? 개발자는 계속 있을 겁니다. 하지만 수는 주는 게 맞죠. AI 덕분에 플랫폼간 장벽이 사라집니다. 하지만 일반인은 여전히 전산에 무지할 겁니다. 지금도 엑셀 피벗도 못하는 사람이 태반입니다. AI로 코딩을 짜는 수준의 일반인은 더 이상 일반인이 아닙니다. 제가 AI 공부하고 있는데 저도 어려워요. 뭐가 또 매일 바뀌는지, 일반인과 얘기하면 열불납니다. AI를 일반인에게 제대로 한 번 설명해 보세요. 10살 애한테 설명하는 것과 똑같습니다. 그만큼 배경지식이 많아야합니다. 그걸 일반인이 다 하기는 어려워요. 그래서 또 개발자 찾을 겁니다.

  • @user-zd7hj8wo1m
    @user-zd7hj8wo1m29 күн бұрын

    진짜 영어처럼 될 거 같네요. 알고는 있어야 되지만 취업하고는 무관한 뭐 그런 ... ..

  • @anotherreality7951
    @anotherreality795129 күн бұрын

    충돌 안날것 같은데요. 충돌 나기 전에 AI 헌테 코드 컴토 하면 되죠.

  • @kuby934
    @kuby93429 күн бұрын

    개발자뿐만이 아니라 전과목 모두 어려운거같아요.. 웹개발자로 8년동안 있다가 si창업한지 3년차인데 올해 진짜 역대급입니다 작년 말까지 프로젝트 너무 많아서 안일하게 생각하다가 올해 거짓말안하고 10분의 1토막낫네요.. ㅠㅠ

  • @51_CPT

    @51_CPT

    5 күн бұрын

    여성 개발자.. 아이낳고 휴직하게되면.. 어렵나요 재취업이나 커리어 유지가? ㅠ

  • @user-gl8vq5gk5c
    @user-gl8vq5gk5c29 күн бұрын

    생각보다 빠를꺼지만 생각보다 느릴겁니다. AI가 내놓는 코드의 커버리지나 숙련도가 올라가도 그걸 상업용 프로덕트로 내놓는건 다른 문제입니다. 빗대자면,, '사진만 참고해 가봉한 옷'을 입고 결혼식에 들어가는 신랑과 같다고 생각해요. 특히 기존 시스템에 온배딩하는 코드들은 시스템이 클수록 그런 문제가 더 클 것 같네요.

  • @user-xl2gr3eu5m
    @user-xl2gr3eu5m29 күн бұрын

    결국 프로덕트수준 코드는 학습데이터로 안들어가서 한계가 있음

  • @junokuma4790
    @junokuma479027 күн бұрын

    데빈ai 아직 못쓰지 않나요?~

  • @Ggg-iw9xg
    @Ggg-iw9xg16 күн бұрын

    지금은 엑셀자료를 파이썬 활용하여 통계뽑는 정도로 업무에 활용합니다

  • @kowooram
    @kowooram28 күн бұрын

    복잡한것도 뭐 Comfy 처럼 이미 가고 있습니다. GPTs 가 3년차 두명 보다 낫습니다. 저희업체도 주니어들 안뽑는 추세입니다.

  • @meinlet5103
    @meinlet510329 күн бұрын

    리눅스 커널 작업해보면 챗지피티로 절대 안된다는거 알지..

  • @zonhoson9843
    @zonhoson984325 күн бұрын

    개발자 너무 힘든데 왜 하려고 하는 지. 이번 프로젝트는 챗지피티가 30프로이상 해준 거같네요. 코딩자체보다는 도메인 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지는 것같음..

  • @don-won
    @don-won24 күн бұрын

    천공카드 시절에는 정보장교같은 공무원들이 코딩을 했었지요. 아직 산업에 완전히 자리잡히지 않아서 경기를 탄다고 생각합니다. 빅테크 업체들이 다 1세대 창업자들이고 학교에서 개발되는 기술들이 아직 많습니다. 아직은 학생들이 유니콘을 만들어볼만 하겠습니다.

  • @user-wildernessflower
    @user-wildernessflower27 күн бұрын

    곧 책임을 질듯 합니다. 코더AI를 개발한 회사에서 법적으로 보증을 하는 형태가 될듯 하네요. 이 부분을 소비자들에게 강조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개발자계에서 차력사 지위를 유지하려면 이제 뭔스킬 필요함? 키보드라도 타야하나.

  • @SoriKids
    @SoriKids19 күн бұрын

    코딩 알려주는 '앵(?)' 누나라구요?

  • @me-us8px
    @me-us8px29 күн бұрын

    이야기하신대로 여러가지 할 줄 알아야 합니다. 비록 Ai아니라고 해도… 전 백엔드인데 이거저거 알다보니 올해도 백엔드, 데브옵스,시스템엔지니어, AA까지 제안이 옵니다. 지금 PM으로 들어갑니다.. 지난주에도 Chatgpt 4.0 강의들으러 다녀왔어요.

  • @idow4934
    @idow493422 күн бұрын

    실제로 써보면 예제소스일뿐이지 그걸 업무에 맞게 녹이는건 개발자의 역량인데요. 쳇지피티가 개발해주니까 쉽게 금방 끝나는거 아냐?? 이렇게 생각할거 같네요

  • @user-sr3ro9nf7i
    @user-sr3ro9nf7i29 күн бұрын

    정말 개발을 사랑하는 사람들만 남을거같네요. 저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전합니다. AI가 탄생하려면 존재하는게 개발자의 역량이기에 ..... 요즘에 인도인이 미워지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 @MN-do7hk
    @MN-do7hk29 күн бұрын

    선생님 데빈 1버전은 쌉구라인걸로 밝혀졌습니다...물론 2버전 나오는거 봐야겠지만요

  • @keyboard4903rfsdg
    @keyboard4903rfsdg29 күн бұрын

    난 그냥 누나가 좋아

  • @johnpetermakesyoufree
    @johnpetermakesyoufree29 күн бұрын

    중국 로보택시 영상보니 자율주행 거의 다 온거 같던데요. ㅎㄷㄷ;;

  • @notsmoking
    @notsmoking28 күн бұрын

    미래에는 쳇gpt를 사람의 뇌에 박아서(연결해서) 생각만으로 바로 코딩하는 시대가 올거같습니다.

  • @Serendipitys2
    @Serendipitys212 күн бұрын

    Ai 웹개발자 교육 들으려고 하는데 발 뺄까요 ,,,

  • @JAY_LAURENCE
    @JAY_LAURENCE29 күн бұрын

    디자이너인 제가 개발을 거의 gpt한테 시켜가며 프로젝트 전체를 완성할 정도니 시대가 많이 바뀌었죠. 사실 명령을 내릴 줄 몰라서 그렇지 gpt한테 정확한 명령만 내릴 줄 알면 디자이너도 웬만한 건 다 구현 할수 있습니다. 개발자라는 단어가 웬말 이라는 느낌조차 들기 시작하는거 같습니다. 내 후년은 어떻게 될지..

  • @hmk7791

    @hmk7791

    21 күн бұрын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GPT가 디자인을 너무 잘해줘서 디자이너, 웹디자이너가 필요없을 정도죠ㅋㅋ

  • @DmYuri

    @DmYuri

    14 күн бұрын

    디블리셔 입니다.. 디자인은 개나소나 눈이 있어서 더 까다로워요. 사람한테 시켜서 만들어줘도 조금있다가 '이걸 이거로 해줘' '아 아니다 처음껄로해줘' 이래요 ㅋㅋㅋ ai한테 시키면 세세한 디테일을 못살려서 더 답답해하고요.. 이래서 제가 디자인을 아예 때버리는 직업으로 바꾸려고 합니다만...

  • @hmk7791

    @hmk7791

    14 күн бұрын

    @@DmYuri 개발도 마찬가지죠ㅋㅋㅋ

  • @DmYuri

    @DmYuri

    14 күн бұрын

    @@hmk7791 그렇죠 ㅋㅋ 그래도 개발은 영어로 짜인 코드고, 읽을줄 모르는사람은 읽지도 못할정도로 직관적이지 않아서 좀.. 조용히 하고 있기라도 하는데... 디자인은 '시각' 그 자체니까 눈만 달려있으면, 참견이나 변경이 더 심하고 잦은 경험이 있네요..

  • @DmYuri

    @DmYuri

    14 күн бұрын

    ++실제로 사장님께서 디자인할때 GPT쓰면 더 빠르고 편하다!! 길래 그렇게 해줬더니.. ㅋㅋ 코드는 그래도 글자니까 GPT가 준 텍스트 수정하면 부분수정이 가능한데 (실제로 코드쓸때는 GPT가 엄청 유용하게 써지더군요

  • @srs6743
    @srs674329 күн бұрын

    혹시 몰라요... 이 영상에서는 아직 멀었다고 말하고 있지만... 생각보다 금방 찾아올수도 있습니다... 예측은 함부로 하는게 아닌거 같습니다... ㅋ

  • @goyashiro5298
    @goyashiro529810 күн бұрын

    Gpt5나오면 개발자 얼마나 대체되는지 결론나오겠죠

  • @learnmakeit9315
    @learnmakeit931529 күн бұрын

    ㅎㅎ 힘이 되네요. 저는 교육 전문 풀스택 개발자 (...ing) 입니다.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