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Ойын-сауық

#킬링타임 #유퀴즈온더블럭 #어쩌다어른 #tvN
회차 정보: 유퀴즈온더블럭 115회 / 어쩌다어른 71, 73회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236

  • @User-DarkHorse8765
    @User-DarkHorse8765 Жыл бұрын

    다른교수들은 한국인이 어쩌고 저쩌고 꼭 본인은 다른나라인양 말을 하는데 교수님은 ‘우리나라사람들은’ 으로 해주시니 더 실감나게 느껴지네요 최고의 강의 잘들었읍나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한국은 오만과 모멸의 체계 라고 했습니다. 갈치가 냉동창고에 쌓여도 갈치값 안내리고 우유가 남아돌아서 버려도 우유값 안내리고 치킨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값은 비싸지고 달걀 값은 한번 오르더니 안내리고 남여도 눈만 엄청 높아서 독거 노인 될 망정 동거 조차 안하고 수전노 , 지독한 인간들만 사는 한국.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 @user-ew6lz7bs2e

    @user-ew6lz7bs2e

    Жыл бұрын

    @@user-ic1dj5tf7r 그렇게 불만이면 이민가라 니 인생망한걸 나라탓하지말고

  • @user-wu4ls8nn2m

    @user-wu4ls8nn2m

    Жыл бұрын

    @@user-ew6lz7bs2e 흰나비님처럼 불만이 있고, 표출해야 고치지 않을까요.

  • @user-qv4hw6gc3d
    @user-qv4hw6gc3d Жыл бұрын

    33:10 이거 정말 충격적입니다. 우리나라는 그래서 무식한 부자들이 많고 외국은 가난하지만 멋있는 지식인들이 많은가 봅니다. 인성에 대해 가르치지 않고 부와 명예와 경쟁에 대해서만 가르치는 한국. 이러다가 우리나라 정말 큰 일 날 것 같아요.

  • @lion5150

    @lion5150

    7 ай бұрын

    1,2차 세계대전 보세요.

  • @user-sq6yo5jt6u
    @user-sq6yo5jt6u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강연은 깊은 울림이 있네요...내가 무엇을 얻기위해 무엇을 버리고 가고 있는지를 인식한다..

  • @Juju-xu8zw
    @Juju-xu8zw Жыл бұрын

    한국 사람들은 다 한 방향으로만 간다니 너무 공감됩니다. 맞지도 않는 길을 열심히 하다가 에너지를 다 빼버렸네요ㅎㅎ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한국은 오만과 모멸의 체계 라고 했습니다. 갈치가 냉동창고에 쌓여도 갈치값 안내리고 우유가 남아돌아서 버려도 우유값 안내리고 치킨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값은 비싸지고 달걀 값은 한번 오르더니 안내리고 남여도 눈만 엄청 높아서 독거 노인 될 망정 동거 조차 안하고 수전노 , 지독한 인간들만 사는 한국.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 @magicalhats06
    @magicalhats0610 ай бұрын

    와 이분 정확하게 한국인의 특성을 파악하셨네 진짜 소름돋았다 ㄷㄷ

  • @user-qv4hw6gc3d
    @user-qv4hw6gc3d Жыл бұрын

    28:09 이거 보고 울었어요 ㅜㅜㅜ 너무 마음 아픈 한국의 현실이네요 ㅜㅜ 그냥 무작정 열심히 산 댓가가 ㅠㅠ

  • @user-cc6cl2lx1v

    @user-cc6cl2lx1v

    4 күн бұрын

    제발 고대수준좀 ㅠ ㅠ,,,,,,, 어쩌다 우리나라가

  • @MrHsi0596
    @MrHsi0596 Жыл бұрын

    소중한 것들이 더 많은데 언제부턴가 많은 사람들이 돈과 권력에 집착하고 그것에 가치를 두는 것 같습니다. 나만의 가치를 발견하고 서로를 존중하며 부족한 이에게 손을 내밀줄 아는 그런 사람이고 싶습니다.

  • @user-gy3uy8tv9g
    @user-gy3uy8tv9g Жыл бұрын

    미군부대 다니는데 외국인이 질려했던 한국인 특성 3가지 1.지멋대로 밥을 사고는 얻어먹기만 하고 안산다고 욕하고 다닌다. 2. 생일때 선물 지맘대로 줘놓고 자기생일때 은근히 기대한다. 3. 집들이 선물하자고 돈걷으며 따로 준비한자가 동참을 안하니 욕을 한다.

  • @user-mq6jr8nr7u

    @user-mq6jr8nr7u

    Жыл бұрын

    본인이원하는것을상대방에게해줍니다 그리고나서원하는것을상대방이 해주지않으면기대가실망으로바뀌며나중에는미워하는거에요 그래서마춰주면계속끌려다니는거에요

  • @pilgrim8018

    @pilgrim8018

    Жыл бұрын

    대공감... 같은 한국인인데도 피곤합니다ㅜ

  • @lion5150

    @lion5150

    7 ай бұрын

    이건 무슨 부대건 욕먹을 짓인데. 나는 유일하게 욕 먹었던게 슬리퍼 끌지마라 시끄럽다였다

  • @sunglee8608

    @sunglee8608

    6 ай бұрын

    진짜 그렇게 해석합디까?;

  • @user-cc6cl2lx1v

    @user-cc6cl2lx1v

    4 күн бұрын

    니얘기지,양키야

  • @BWTECH0521
    @BWTECH0521 Жыл бұрын

    미국에 사는 사람으로써 공감합니다! 미국은 사회에서 무조건 법을 지킵니다, 답답할 정도로. 나사가 10개 들어가야할경우에 9개밖에 없으면 거기서 다 멈추고 집에갑니다. 집 외관을 수리하러 왔을때 아무도 집에 없으면 시작도 안하고, 일하는동안 잠깐 나가지도 못하고 (뭐 잘못되면 자기가 책임저야하니까, 그리고 실제로 고소당하니까) 그래서 일이 빨리 안되고 한국사람이 볼때 답답합니다. Customer service 도 느린 이유가, 법을 다 지켜가면서 하기때문. 한국은 딱 상황봐서 안지켜도될거는 안하고 일을 빨리 (reasonable 하게) 끝내는게 중요하게 생각하는거같아요. 한국을 20년만에 방문해서 롯데리아를 갔는데 줄이 문밖으로 터저나서, 와 오래걸리겠네 생각했는데 5분만에 음식이 나왔어요 ㅎㅎㅎ 미국은 최소한 20 분 기다려야할 상황에 ㅋㅋㅋ 미국은 worker 들이 편한 나라이고 한국은 consumer 들이 편한나라.

  • @klofa0989

    @klofa0989

    Жыл бұрын

    양면의 칼날이에요. 원리 원칙을 안 지키는 게 한국 사회에 뿌리가 깊어요. 추후에 문제 발생하고 잡음나면 이걸 해결하는 데 불필요한 시간과 돈이 들어요. 그래도 여전히 고쳐지지 않죠. 최근 이슈로는 광주 아파트 붕괴사건이 떠오르네요.

  • @stepano6371

    @stepano6371

    Жыл бұрын

    하면된다 결국 죽음으로 가는길. 의자뺏기 놀이만 되풀이.

  • @eunsooim7161

    @eunsooim7161

    Жыл бұрын

    하나 더 있다면, consumer도 곧 worker일텐데 cunsumer가 되면 갑질을 하죠..

  • @Happy-go-lucky2526

    @Happy-go-lucky2526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컨슈머가 갑질을 해도 잘 참고 노동자들은 분노나 화가 쌓여 악의 순환고리가 생겨버리죠..

  • @ellenpaik387

    @ellenpaik387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일상적인 경우 원칙적으로 하려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그원칙이 때때로 인종과 관련되어 적용할 때 반드시 원칙을 따르지 않는 일도 은근하게 많이 있습니다. 백인들에게는 널널하게 적용되는 것들이 다른 인종들에게는 매우 빡빡하게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user-qv4hw6gc3d
    @user-qv4hw6gc3d Жыл бұрын

    29:33 지금이라도 망가진 대한민국을 살릴 유일한 방법. 속도가 아닌 방향! 한국이 살려면 이런 깨어있는 교수님들을 통해서 한국 사회 심리를 정확히 분석하는게 아주 중요하겠네요. 한국 사회의 심리를 모르고 무작정 밀어부치니 맨날 부작용만 나고 되는게 없네요. 제발 대한민국 사람들이 다 이 영상을 봤으면 ㅠㅠ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한국은 오만과 모멸의 체계 라고 했습니다. 갈치가 냉동창고에 쌓여도 갈치값 안내리고 우유가 남아돌아서 버려도 우유값 안내리고 치킨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값은 비싸지고 달걀 값은 한번 오르더니 안내리고 남여도 눈만 엄청 높아서 독거 노인 될 망정 동거 조차 안하고 수전노 , 지독한 인간들만 사는 한국.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 @choc2796
    @choc2796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공감합니다ㅋㅋㅋ 상대방의 다른생각을 인정하지못해 상대방을 설득하려 말이많아진다 ㅋㅋㅋㅋㅋ 배우자에게 매번 듣는말 ㅋ 난 이왕할꺼 나와같은생각으로 해주길바라는데 나랑 생각이 다른데 따라줄땐 괜히 찝찝해서 말많아짐 ㅋㅋ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한국은 오만과 모멸의 체계 라고 했습니다. 갈치가 냉동창고에 쌓여도 갈치값 안내리고 우유가 남아돌아서 버려도 우유값 안내리고 치킨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값은 비싸지고 달걀 값은 한번 오르더니 안내리고 남여도 눈만 엄청 높아서 독거 노인 될 망정 동거 조차 안하고 수전노 , 지독한 인간들만 사는 한국.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 @lion5150

    @lion5150

    7 ай бұрын

    웃지말고 좀 고치세요.

  • @ahlimchoi5912
    @ahlimchoi5912 Жыл бұрын

    전쟁을 겪고 배고픔에 지친 민족이 부자가 되기위해 그길이 열렸을때 우리가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는것도 알아야 합니다ㆍ 지금의 풍요앞에 옛가치를 훼손한것을 논하는것 보다 지금 다시 옛것을 찾을수 있는 여유에 감사했으면 합니다

  • @ellenpaik387

    @ellenpaik387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 @sookyungpark5857

    @sookyungpark5857

    Жыл бұрын

    너무나당신생각에.한국인으로.고맙고행복한데...한국의범제자가미국뉴욕에와서.너무힘들게하내요.숨쉬기도힘들게.공포에사는뉴욕커임니다

  • @sophia815185

    @sophia815185

    Жыл бұрын

    발전이 너무 빨라 놓친게많다는거잖아요 정신적인거보다 물질적인게 중요하고 그래서 지금 모두다 가질수없는것을 모두 가지려하니 힘들고

  • @user-xf1ry2tb8y

    @user-xf1ry2tb8y

    Жыл бұрын

    이런글 왜 없나 했다.

  • @user-gk7tv2gn9z
    @user-gk7tv2gn9z Жыл бұрын

    마음이 아픅고 눈물이 나네요. 한국의 미래가 평안하길 빕니다.

  • @user-qv4hw6gc3d
    @user-qv4hw6gc3d Жыл бұрын

    이 양상 보고 얼마나 많이 무릎을 폄ㅅ는지 하 ㅜㅜ 제 자신도 돌아보게 되고요 ㅠㅠ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서 모든 사람들이 다 이 강의 봤으면 좋겠어요. 제발 ㅠㅠ

  • @ioannap8977
    @ioannap8977 Жыл бұрын

    53분 순삭... 강의 들으니 정말 많은 것들이 이해가 되네요.

  • @yjonewkim2508
    @yjonewkim2508 Жыл бұрын

    공감되어 눈물이 나요. 딱 지금 우리들의 이야기...

  • @Frankenstein682
    @Frankenstein68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너무 재밌어욬ㅋㅋㅋㅋㅋㅋ

  • @oxyrain102
    @oxyrain102 Жыл бұрын

    솔직한 모습이 너무 좋네요

  • @jlee2078
    @jlee2078 Жыл бұрын

    보기 드문 설득력 강한 명강의 였습니다. 앞만 보고 달려오면서도 원칙을 무시하고 너무 많은 비리에 눈을 감으면서 와, 이미 정의감은 상실된 사회 속에 살고 있죠. 권력을 득한 자는 모든 것을 득하는 사회라, 그 권력을 쥐려고 모든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그러지 못한자들은 속이 썩어가는데 살아가거나 헬조선이 되죠. 아이러니컬 하게도 옛것을 오래 보존하지 못하는 성향으로, 자주 건물도 부수고 차나 핸드폰도 자주 바꾸어, 경제원동력을 제공했지만, 원칙을 지키지 못하는 결과로 나타나는 높은 부패와 세계 최고의 저 출산율, 이 두 가지 지표만으로도 대한민국의 앞 날은 밝지 않다고 봅니다. 사회과학적 해석이나 자연과학적 접근에 의한 해석이나, 원칙을 지키지 않는 시스템은 붕괴될 수 밖에 없다 봅니다

  • @user-rv3gj2xs1b
    @user-rv3gj2xs1b Жыл бұрын

    한국사회에 만연한 세대갈등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현 20대후반에 들어선 청년으로서 많은 공감이 됩니다. 그저 열심히가 아닌 명확한 목표와 의지를 가져야 한다는 것, 속도가 아닌 방향을 보아야 한다는 것에 굉장히 크게 동요되었습니다.

  • @user-re9ts8hr6i
    @user-re9ts8hr6i Жыл бұрын

    이런분들 출연 너무좋은데요

  • @photosinneighborhood
    @photosinneighborhood Жыл бұрын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옳고 그름이 아니고 낫고 못하고의 차이가 아닌 각자 다르게 잘 살수있는 사회가 되야 살만한 세상이 된다는 말씀 잘 들었습니다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들은 삶의 가치를 "가족" 이라고 했는데 오직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라고 답했습니다.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 3백충 , 임대충" 이라고 놀리는 나라 입니다. 청소년 꿈이 "건물주" 라는 말하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티비에는 유명인과 그 자식들 나와서 자랑질 하는게 거의 다 입니다. 재산,인맥,취미 , 집 , 자식... 자랑질이 끝도 없죠.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되어 있는 나라 입니다. 유전무죄 , 무전유죄 . 각자도생 인간지옥 한국. 한국은 오만과 모멸의 체계 라고 했습니다. 갈치가 냉동창고에 쌓여도 갈치값 안내리고 우유가 남아돌아서 버려도 우유값 안내리고 치킨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값은 비싸지고 달걀 값은 한번 오르더니 안내리고 남여도 눈만 엄청 높아서 독거 노인 될 망정 동거 조차 안하고 수전노 , 지독한 인간들만 사는 한국.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 @hj-pi3wv

    @hj-pi3wv

    Жыл бұрын

    @@user-ic1dj5tf7r 결국 본론은 마지막이네 출산율저하가 유교족 성억압이래 ㅋㅋㅋㅋㅋㅋ 그냥 당신의 바람이겠지 어디서 잘못된 통계 들이밀고 헛소리야

  • @newsean8002
    @newsean8002 Жыл бұрын

    가족확장성부분,군대,리더이야기를 들으니 지금의 상황을 생각하게 되네요

  • @sumeekim5586
    @sumeekim5586 Жыл бұрын

    교수님같지 않는, 각에 박히지않은, 코믹학게 진솔한 친근감의 어조 전 이 교수님 존경합니다. 감사합니다. New York에서.

  • @user-nk8en7zo8z
    @user-nk8en7zo8z Жыл бұрын

    주관성이 강한 근본적인이유는 학교교육과 사회에있습니다. 학교교육과 졸업이후 사회나온직장생활에서 가르친대로 보고배운대로 실제 다 이뤄지고 케어가 된다면 자기주관성을 덜가지고. 그에 맞춰따르려고 할겁니다. 학교선생님.사회직업교육에서 배운게 실전사회에 적용률이 높다면 자기주장.생각보단. 배운쪽의사고들을 따라갑니다. 선진국교육은 타당성을 많이갖고. 졸업후에도 최소한의 급여를받을수 있는 기술교육들을 신뢰도있게 펼칠수있습니다. 우리나라처럼 불안하게 개인이 깨지면서 사업을 할 필요성이 적은거죠. 수동적인 학교교육부터 타당성이 기본인 능동적방식으로바뀌어야 직업선택과 사회초반적응에 더 많은 사람들이 큰자원이 됩니다.

  • @enigma9831
    @enigma9831 Жыл бұрын

    왠지 눈물이 나네요

  • @user-ez8hg8nf7m
    @user-ez8hg8nf7m Жыл бұрын

    정말 새로운세상을알고방향을바꿔야합니다 교수님같은리더들이잘가르쳐주세요

  • @user-qv4hw6gc3d
    @user-qv4hw6gc3d Жыл бұрын

    46:31 이거 보고 너무 슬프네요 ㅠㅠ 우리나라는 실용주의라 소중한 전통들도 다 없애버리고 아름다운 집도 다 없애고 닭장같은 아파트만 쭉 만드는데 ㅜㅜ 그것도 디자인은 전혀 없이 ㅠㅠ 요즘 밖에 나가보면 아름다운 풍경 산도 다 가리고 완전 아파트 숲이에요 ㅠㅠ

  • @user-ze1cz4ci6q
    @user-ze1cz4ci6q4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이네요... 많이 배웠습니다!!

  • @_jin3332
    @_jin33325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참 울컥해집니다..

  • @user-ni7rs2dg3v
    @user-ni7rs2dg3v Жыл бұрын

    아주조금이지만 모든영상찾아보려고 하고있습니다 인생뒤돌아보게 하네요 진심 감사합니다

  • @user-qz5oo3th6g
    @user-qz5oo3th6g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sanity1160
    @sanity1160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정말 좋아합니다. 강의 내용도 재밌지만, 전하는 말씀이 쫀득쫀득 하달까? 목소리도 정감이 있어요.^^

  • @healing80
    @healing804 ай бұрын

    한국인인 저를 스스로 돌아보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해요

  • @user-uf5nk9co3o
    @user-uf5nk9co3o Жыл бұрын

    너무나도 가슴 깊이 공감 되는 예기 볼때마다 박수가 절로 납니다 존경 합니다 교수님

  • @user-yq8qd5mr3j
    @user-yq8qd5mr3j Жыл бұрын

    처음에는 나도 저런가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요 조부모처럼 아이들을 바라보라는 말씀을 들으니 딱 이해가 가네요 그안에 내포된 시각이요

  • @user-il3ri1fk6z
    @user-il3ri1fk6z Жыл бұрын

    내나이 60 에 이제야 인생에 있어 방향성 중요하다에 공감합니다~~그동안 저도 헛세상 살었나보네요~~~ㅠ ㅠ

  • @user-jq5zt7re9b
    @user-jq5zt7re9b Жыл бұрын

    3:44 완전 공감하는게 가족끼리 중국집 가면 짜장면 짬뽕 볶음밥 골고루 시키게 됨..ㅎㅎ 세 명 이상이 같은 메뉴를 잘 시키진 않죠

  • @mypeajay
    @mypeajay Жыл бұрын

    사랑 정의 평화 넘 좋네요 누가 뭐래도 나의 가치를 지키는 소중한 나 너 우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 @user-qv4hw6gc3d
    @user-qv4hw6gc3d Жыл бұрын

    44:32 이거 정말 너무 격공 ㅜㅜ 저도 성격이 그래요. 지금 당장 그것에 집착하지 않아도 되는데 막 꽂히면 바로 해야 되서 더 중요한것들 하나도 못해요 ㅠㅠ

  • @user-ro9mu6eq1x
    @user-ro9mu6eq1x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으로 뵈니 반갑네요. 학부 때 강의 참 재밌었습니다.

  • @user-qy4xo9tl5y
    @user-qy4xo9tl5y Жыл бұрын

    ㅠㅠ 들으면서 왜케 울컥하죠~ 열시미 산게 죄 가 된세상

  • @watergatechurch
    @watergatechurch Жыл бұрын

    20년 전 학부 때 교수님께 들었던 수업 생각나네요! 택시 탈 때 담배 냄새 나면 그냥 내리셨다는^^ 팀플 때 팀원들끼리 점수 매기는 방식은 지금까지도 잊혀지지가 않네요! 여하튼 교수님 영상으로 뵈니 반갑습니다! 건강하세요!

  • @user-ln1ie4tf8r

    @user-ln1ie4tf8r

    Жыл бұрын

    와 팀플조원끼리 점수내는방식 좋네요! 요즘 중고딩들도 조별과제 많이 하는데 매번 하는학생만하고 안하는 학생은 참여도 안해 속상해 하는학생 많은데 이건 좋네요~~

  • @user-sz1eu6iq2e
    @user-sz1eu6iq2e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잘들었어요~

  • @user-qv4hw6gc3d
    @user-qv4hw6gc3d Жыл бұрын

    8:42 하 여기에 너무 극공감 ㅜㅜ 내가 하는 셍각만 합리적이고 나와 생각이 다르면 나쁘다고 인식하는거 ㅠㅠ 근데 나도 그런 것 때문에 상처 받고 힘들면서도 정작 나부터도 그게 안고쳐짐 ㅠㅠ

  • @user-rz7wz1pf5w
    @user-rz7wz1pf5w Жыл бұрын

    0:11 우영우를 하도 봤더니 고래대학교로 들리네;

  • @soonyoungleepark8713
    @soonyoungleepark8713 Жыл бұрын

    허교수님의 명강의를 여러번 들어도 들을때마다 다른 깨달음을 얻습니다. 지나온 세월을 많이 돌이켜 보고 반성도하고 제자신을 격려하는 시간이 되었읍니다. 감사합니다.

  • @kabsim3348
    @kabsim3348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단, 오래된 건물의 경우에 외국의 경우는 건축자재가 대리석이나 라임스톤 등의 돌 자재가 풍부한 반면 한국의 돌은 화강암이라서 건축자재로 쓰기가 어렵습니다. 한국의 건물은 나무가 주 재료인지라 오래까지 남기가 어렵지요. 당연히 돌로 지은 건물은 수백년이 지나도 그대로 있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ruttatata2023
    @ruttatata202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돈 풍요로운 삶이 인생의 우선순위임. 그것을 얻고나서 나만의 가치를 찾는 여유가 있는건 오케이 근데 지하 단칸방에서 끼니 굶어가며 아무리 자신의 가치를 찾아봤자 초라할 뿐이다.

  • @goo7624
    @goo7624 Жыл бұрын

    6:03 여기 편집할때 졸았나보네ㅋㅋㅋㅋ

  • @byeonjohn6581

    @byeonjohn6581

    Жыл бұрын

    한프레임 앞컷이 끼어있네요 ㅋㅋ

  • @shoveler_kaist
    @shoveler_kaist5 ай бұрын

    허태균 교수님 목소리만 듣고 한명재 캐스터님인지 알았음ㅋㅋㅋㅋㅋ

  • @user-ro8ej3vk2n
    @user-ro8ej3vk2n7 ай бұрын

    ㅋㅋㅋ 내가 하는 말은 다 맞는거에요ㅋㅋㅋㅋ

  • @user-uw6zf8dg8u
    @user-uw6zf8dg8u Жыл бұрын

    소름끼쳣어요 교수님 감사해요 우리아이

  • @bandaid5613
    @bandaid5613 Жыл бұрын

    관계주의로 좋게 말씀 하셨지만 전체주의 국가라고 말해도 크게 무리가 없을듯. 그 이유로 Double Speak가 만연해 더이상 타인의 언어에 의미를 부여 할 수 없는 상태까지 갔고, 객관적 사실은 사라지고 권력자의 임의적 판단에 따라 진실이 가려지고, 집단 구성원이 동일하게 생각하고 행동하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낌니다. 이 상태가 조금만 더 되면 다시 조선시대로 돌아가는 것은 시간문제......

  • @Alxkwmlas
    @Alxkwmlas Жыл бұрын

    롤 하는 사람들은 알거다. 저 교수의 말이 거의 다 들어맞음 ㅋㅋㅋ

  • @user-jq4vr8dd8o
    @user-jq4vr8dd8o Жыл бұрын

    너무많은 계단을 무리해서 올라가면 결국은 방전돼서 못올라 가는 그런 이론이네!

  • @kathylim3191
    @kathylim3191 Жыл бұрын

    👏 👏 👏 👏 👏 Koreans can change the world if they choose to be individuals instead of compliance construct... wanting to be like everyone else.

  • @user-ge2xb7vb9w
    @user-ge2xb7vb9w Жыл бұрын

    단점 안타깝고 속상하지만ᆢ 그렇게 바꾸는 마음이 있었기에 극빈 국가에서 세계 최고의 전자 국가로 세계 10대 강국이 될 수 있었다는 장점도 있었다는 거. 세상에는 ㅡ가 있으면 +가 있고 +가 있으면 ㅡ가 있는 것이 세상 순리인듯ᆢ

  • @jamesmlee6759
    @jamesmlee6759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강의가 매우 유익하네요. 이민 사회의 갈등도 다뤄 주실 수 있으신가요? 동남아 사람들은 정말 가족 처럼 맥도날드나 패스트 푸드점에서 다 같이 일하며 서로 돕습니다. 유독 한국 사람들 사이에 사기나 배신으로 갈등이 많습니다. 환경적인 이유 때문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 @dksuhyun
    @dksuhyun Жыл бұрын

    아....위로받았습니다 교수님

  • @SooYeonKim92
    @SooYeonKim92 Жыл бұрын

    할머니 할아버지도 설득을 합니다ㅠㅠ😂

  • @user-ov3er3ed2o
    @user-ov3er3ed2o Жыл бұрын

    47:45 여기 보니깐 문득 중국의 문화대혁명이 생각나네용.. 30년 뒤에 후손들이 지금의 우리를 욕하지 않을지..

  • @user-tl1kf7du2g
    @user-tl1kf7du2g Жыл бұрын

    건물은 어쩔수없이 새건물이 들어설수밖에 없자나요 좁은땅을 넓게 써야 하니까요 서양은 넓고 넓어서 옛건물 지킬수 잏어요

  • @user-du4ye6px8s
    @user-du4ye6px8s Жыл бұрын

    아니라고 부정할수 없는 그런 착각의 가치들 한국은들이게 아직 있습니다 ^^*

  • @LeeLee-bn9yz
    @LeeLee-bn9yz Жыл бұрын

    39:43 일본사는 한국인들은 그래서 자포자기하고 김치추가해서 먹습니다.. 아무래도 반찬을 덤으로 주는 문화가 없다보니 그런거 같내요. 더군다나 김치가 주식이 아닌 일본인 입장에서 김치항아리를 갖다둬도 먹지도 않을거 같내요

  • @turko2305
    @turko2305 Жыл бұрын

    국민들만 바뀌면 노예되는거고 나라가 바뀌어야 선진성이되는거겠군

  • @user-qv4hw6gc3d
    @user-qv4hw6gc3d Жыл бұрын

    29:50 이거 보니까 너무 속상하다 ㅜㅜ 올림픽영웅. 국가대표 선수들. 음악가들. 교수들 등등도 다 있는 집안에서 테어나야 가능함 ㅜㅜ 돈도 많이 들지만 뭐가 유망한지 정보도 그들이 빠름 ㅜㅠ 슬프다

  • @BB-df9wt
    @BB-df9wt Жыл бұрын

    9:23 나인가..

  • @orion4587
    @orion45872 күн бұрын

    살아남기 위해 미치도록 일은 하지말자~

  • @user-wj9qk5qi5f
    @user-wj9qk5qi5f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인데다가 교순뎈ㅋㅋㅋㅋㅋ

  • @user-wc5zo7yy3d
    @user-wc5zo7yy3d Жыл бұрын

    슬프게도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안되는 나라입니다!!!

  • @okbro6003
    @okbro6003 Жыл бұрын

    속도는 방향을 포함하고있는데...

  • @user-wj2er8yr5p

    @user-wj2er8yr5p

    Жыл бұрын

    심리학은 문과라 그래.

  • @youngmichoi8688
    @youngmichoi86889 ай бұрын

    영어전공후 원어민이 되고 싶어 만30년 하루도 빠지지 않고 최소 5시간이상 영어공부했습니다. 흔하고 흔한 극혐 한국 콩글리쉬는 면했고 일어는 원어민 수준입니다. 목욕 화장실 슈퍼 운전할때 항상 언제 어디서나 귀에 꽂고 평생 중얼거렸습니다.

  • @user-xj9bk9nv5c
    @user-xj9bk9nv5c Жыл бұрын

    11:00 자녀에 대한 설득이 지나치게 되면 좋지 않는 것 같네요ㅠㅠ 그래서 남들 시선에 맞춰 학원이라는 한국에 큰 특징이 생기고 사실 학원을 다니며 많은 친구들이 행복해하기도 하지만 힘들어한다는것ㅠㅠ 어느정도 자유가 필요해보이는 한국이네요...:')

  • @smileymaxident1630
    @smileymaxident1630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 많이 하셨는데 - 하나: 외국에서도 중산층을 집 크기, 예금, 월급, 등등 봅니다……

  • @gojosatoru6444
    @gojosatoru6444 Жыл бұрын

    회차정보 잘못된거 같아요 유퀴즈 찾아보니 115화 아니고 155화네요~!!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찐쟈,,친한 친구 만 할쑤있는것이 있찡

  • @conglobak2929
    @conglobak2929 Жыл бұрын

    유럽은 몇백년 된 건물도 많지만, 한국은 돌담에 초가집, 오래갈 수 없는집, 궁궐과 양반의 기와집은 좀 있을까? 한옥도 멋있게 많이 볼수 있으면 좋겠다.

  •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Жыл бұрын

    지방에 그런 초가집, 한옥이 그나마 있는 이유는 그 곳의 땅에 가치가 없기 때문이죠. 그 땅에 가치가 있었다면 이미 사라지고 없습니다 ㅋㅋㅋ

  • @jejudooo2025
    @jejudooo2025 Жыл бұрын

    12:17

  • @TJ-dv3rk
    @TJ-dv3rk Жыл бұрын

    식사 메뉴 선정은.. 우리는 반찬을 쉐어하는 문화때문은 아닐까요.

  • @user-bl3cw6hi4f
    @user-bl3cw6hi4f29 күн бұрын

    약 26~7년전쯤 교수님과ㅇ비슷한 억양과 목소리갖고계신 유명하신 책도 내셨던 교수님이계셨었는데. 성함이 생각이 영~안나는데. . 정말 강의도 비슷하시고 목소리도 거의 같은느낌이시다 ㅎ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요리가, 요,리조리저리 해도, 음,식,물 이 뚜 딱 나오 드라고 하더라구요

  • @socracrishu8043
    @socracrishu8043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은 좀 특별한 편입니다

  • @catherine6483
    @catherine6483 Жыл бұрын

    외국회사에서 일하는데 외국애들도 점심때마다 뭐먹을지 물어봅니다ㅎㅎ 인종이라 다른게 아니라 걍 개인의 성격인듯..

  • @Happy-go-lucky2526

    @Happy-go-lucky2526

    Жыл бұрын

    한국에 있는 외국계또는 동남아일듯 절대 안물어봄. 절대 자유롭게 다님 10년이상 영어권국가 살아보면 절대절대절대 ...

  • @user-kd9yz8pk5s

    @user-kd9yz8pk5s

    Жыл бұрын

    그게 그말이 아니잖아요. 그 성향이 강하다는 의미잖아요. 외국 회사에서 일하신다면서 의미 파악은 왜 이리 둔하신지요.

  • @heartoff6770
    @heartoff6770 Жыл бұрын

    42:47

  • @user-ym7kn7pi7x
    @user-ym7kn7pi7x10 ай бұрын

    이영상 영어자막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user-gi7bz8dy9d
    @user-gi7bz8dy9d Жыл бұрын

    메인메뉴가 안좋다는 생각은 어데서 나온건지?

  • @dflower2541
    @dflower25414 ай бұрын

    너무 심금을 울립니다. 미국에서 30년 만에 와 보니 겪는 것은 트라우마 뿐.

  • @eefarie1
    @eefarie1 Жыл бұрын

    오우...배경음악은 왜 자꾸 나옵니꺼 ㅠ 집중이 안되네요

  • @SeekingTruthAnd
    @SeekingTruthAnd Жыл бұрын

    그런데 배경음악을 그렇게 크게 트는 이유가 뭡니까?

  • @user-mq6we9ff2c
    @user-mq6we9ff2c Жыл бұрын

    일본사람들도 음식주문할때 서로 물어보기도 하고 일행과 같은음식으로 맞추어 주기도 합니다 오히려 자기혼자만 다른음식 주문이 조금 불편할수도 있기때문에…(-_-;)

  • @Kelly-xz8po

    @Kelly-xz8po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들은 상대방이랑 메뉴 다르게 해서 서로 조금씩 나눠먹으려고 뭐 먹을지 물어보는 경우가 많은 거 같아요. 똑같은 음식으로 주문하려고 하기보단

  • @user-mq6we9ff2c

    @user-mq6we9ff2c

    Жыл бұрын

    @@Kelly-xz8po 각자가 다른음식으로 주문해서 서로 나누어 먹는거 가족이어도 안좋아 하는 경향이 있는데 남들과 왜 음식을 공유해야 할까요?

  • @user-ld4wq4es2x

    @user-ld4wq4es2x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교수님의 다른강의를 보시면 일본사람들과 한국사람들의 공통적인결과가 나오면서도 그 행동을 하는 원인이 다른이유를 설명해주십니다 제가 말씀드리면 내용이 와전될수있어서 한국인의 관계주의와 일본인의 집단주의에서오는 차이점이있다정도만 말씀드립니다

  • @user-ld4wq4es2x

    @user-ld4wq4es2x

    Жыл бұрын

    @@user-mq6we9ff2c다른음식을 시켜 다양하게 맛보려는성향은 한국인에게 다수 있는성향입니다 가족끼리외식할때 아들이 돈까스를시키면 어머니가 쫄면이나냉면을 시키시고 나눠먹는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타인이 바라봤을때 이상하게여기지도않습니다

  • @manhan95

    @manhan95

    Жыл бұрын

    @@user-mq6we9ff2c 안좋아하면 말을 해요. 입다물고 있다가 난 별론데 하지 말고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기도 하고 나눠먹는건 무슨 친구나 가족끼리나 그렇지, 무슨 회사 부장님하고 나눠먹는거 아니니까 제발 얘기좀 해요 ㅋㅋㅋㅋㅋㅋ

  • @benkim2016
    @benkim2016 Жыл бұрын

    직장 상사의 기대와 직원의 노동윤리가 너무 다른 세대라 갈등도 많음. 법원에 가면 갑질사장 소송권 많음!!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요래,,조리, 해도, 음식 이 뚝 딱,나오고

  • @user-gp6hp6go5v
    @user-gp6hp6go5v Жыл бұрын

    일중독인건 맞아요 우리나라

  • @wooafammm
    @wooafammm Жыл бұрын

    남편이 자동차설계하는데.. 트럭마다 실을수 있는 무게가 있는건데... 그거 생각안하고 꼭 과적한다고.. 그러면 차가 빨리 망가질수밖에 없는건데 고장나면 컴플레인걸리고 ㅋㅋㅋㅋㅋ 짜증난다고.. 자기들이 과적한거 생각안하고 ㅡㅡ 이영상보니까 생각남

  • @good_timing1111
    @good_timing1111 Жыл бұрын

    낭창낭창한 성향으로 조직에 갈등 유발충도 존중해줘야 하나? 개취존중 영역 예로 짜장면 짬뽕은 개취존중 또 다른영역에서는 정답적인 상황도 있는거 아닌가? 우리나라는 이걸 착각하고 있는 인간들이 너무 많은듯 하다 그러니 무개념들이 판치고 그로인해 인간관계의 피로성이 누적되고 점점 더 단절된 사회로 가는중인듯하다 "타인은 지옥이다" 이말이 너무 와닿는 요즘을 보내고 있는것같다

  • @user-jina987

    @user-jina987

    Жыл бұрын

    8

  • @manhan95

    @manhan95

    Жыл бұрын

    정답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남들하고 단절하는 중인데, 또 단절된 사회로 가는걸 걱정하는거 보니 복합유연성을 지닌 한 국인이시군요? ㅋㅋㅋㅋㅋㅋ 정답이 있다고 생각하면 오답자들하고 단절하는거고 그게 단절된 사회로 가는거임. 오답이 판쳐서 단절되는게 아니라 ㅋㅋㅋㅋㅋ

  • @user-nc1iq1xp6q
    @user-nc1iq1xp6q Жыл бұрын

    가족확장성… 비논리적이지만 정치하려면 존중해야 하는 …

  • @andykim1646
    @andykim1646 Жыл бұрын

    외국집에 가면 가리는게 있는지 물어보지

  • @user-rr6hp8jj4d
    @user-rr6hp8jj4d Жыл бұрын

    그냥 온전히 내꺼만 먹고 싶은데 자꾸 물어봐서 난감 ㅎ

  • @L-constitution
    @L-constitution Жыл бұрын

    한국인 특징 좋아요 많이 받으면 기분 좋아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