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역사추적 - 신라의 미켈란젤로, 양지 / KBS 20090622 방송

- 통일신라시대의 기념비적인 사찰, 사천왕사(四天王寺)
거대한 절의 규모만큼이나 그동안 학계의 주목을 끌어온 것은 섬세하고 역동적인 녹유(綠釉)소조상이었다. 지금까지는 조각편들로만 전해졌었던 녹유소조상편(片), 최근 진행된 발굴을 통해 드디어 온전한 모습을 드러냈는데...
1,300년의 시간을 뛰어넘는 아름다운 조각에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을까?
- 흩어져 있던 녹유 조각의 퍼즐을 맞추다
1910년대 일제의 조사과정에서 발견된 사천왕사. 당시 묻혀있던 쌍탑지 주변에서 발견된 것이 녹유 소조상 조각이었다. 사실적이고 섬세한 조각은 그동안 많은 궁금증과 논란을 낳았다. 그러던 중 2006년 시작된 발굴 작업에서 더 많은 소조상의 조각과 위치가 확인됐다. 마침내 200여 점의 조각들이 퍼즐처럼 맞춰지고, 그동안 전체적인 모습을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상의 모습까지 드러나게 되었는데....
- 섬세하고 역동적인 조각세계, 녹유소조상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녹유소조상을 살펴보면 하나의 거푸집으로 여러 편을 찍어 만든 형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거푸집만으로 손발톱까지 생생하게 드러나기는 어렵다.
손발톱까지 세심한 조각의 비결은 바로 거푸집으로 만든 작품에 다시 조각한 노력에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정성이 담긴 섬세한 조각은 왜 만들어진 것일까?
- 기예에 통달한 신묘한 스님, 삼국유사 속의 양지(良志)는 누구인가?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녹유소조상이 신라 스님 양지의 작품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선덕여왕대부터 문무왕대까지 활동한 와공으로 글씨와 조각에 능통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그의 지팡이가 저절로 시주를 받아 석장사(錫杖寺)를 지었다는 신묘한 기록도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그의 출신과 구체적인 행적은 남아 있지 않는데... 양지는 과연 실존인물이었을까?
- 통일신라의 미술 천재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우리에게 알려진 양지의 미술은 서역(西域), 당(唐) 미술의 특징, 그리고 우리 민족 고유의 해학적 느낌까지 보여준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렇게 이전 시대와는 전혀 다른 혁신적 작품은 어떻게 가능했던 것일까? 당시 신라를 비롯한 삼국의 작품들을 통해 양지의 창조적 미술세계의 배경을 살펴본다.
역사추적 28회 - 신라의 미켈란젤로, 양지 (2009.6.22.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100

  • @user-if5zb5rc1o
    @user-if5zb5rc1o2 жыл бұрын

    한상권 아나운서 안나오면 섭섭할 지경입니다 목소리가 명품이세요

  • @user-ys3vz6nk1t
    @user-ys3vz6nk1t2 жыл бұрын

    조각들은 서양과 우리나라 돌종류가 달라서 누가 더 잘 조각했네 말하기 힘든것이 유럽쪽돌은 석회암이라 조각하기 훨씬쉽습니다. 입자가 작아서 조각하게 부드럽고 작게떨어져서 세세한 표현도 쉽죠. 그에 비해서 한국조각에 쓰는 돌은 화강암(조립질)암석이다보니 단단하고 파편이 크게 떨어져나가서 조각하기 더 힘들죠.

  • @ll-tg7xz

    @ll-tg7xz

    2 жыл бұрын

    오 그렇죠. 그만큼 작업하기가 어려운 재료로 이정도의 결과물을 내는게 대단한거죠. 많은 사람들이 한국 고대 조각미술을 서양 고대 조각 미술에 비교하면서 수준이 낮다고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2jaemyungE

    @2jaemyungE

    Жыл бұрын

    @@ll-tg7xz 헛소리 하지맙시다. 그럼 목각조각은 무엇이고, 청동조각은 어떻습니까? 목불, 청동불은 한반도산이 더 단단하기라도 했답니까?? 그럼 고려시대의 석회암이 변성된 대리석조각의 불상은 왜그리 형편없답니까????

  • @chamsebabting
    @chamsebabting Жыл бұрын

    지난해 경주박물관에서 낭산과 사천왕사지 전시가 었었는데 놀랍습니다. 이런 심도있는 다큐프로들이 더 많이 만들어 졌음좋겠어요. 감사합니다.

  • @ack3145
    @ack31452 жыл бұрын

    와.. 양지스님은 뭔가 신비롭고 뛰어나신 분이였군요. 인도나 티베트 쪽에서 공부를 많이 하신 분 같습니다.

  • @lionet1980
    @lionet19802 жыл бұрын

    와 2009년도 방송분인데 유튜브에 올려주시는군요. 감사합니다!

  • @user-dk7st2nh6v
    @user-dk7st2nh6v2 жыл бұрын

    영상 제목에서 미켈란젤로를 언급한 건 대표적인 조각가라는 상징적 의미로 양지가 신라시대 대표적인 조각가라는 의미를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해서지 미켈란젤로 급이라고 우기려고 언급한 게 아니잖음. 그리고 미켈란젤로랑 굳이 비교하려면 시대를 따져야지.. 미켈란젤로 활동하기 천년 전에 활동한 사람임. 거기에 조각하기 힘든 화강암을 조각했고. 미켈란젤로 시대보다 천년 앞선 화강암 조각을 미켈란젤로 조각상을 비교하며 '별거 없네' 이러는 거랑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품들을 오백년 뒤인 오늘날에 만들어진 예술품과 비교하면서 '별거 없네' 이러는 거랑 뭐가 다름.

  • @user-wi6ik2pi8j
    @user-wi6ik2pi8j Жыл бұрын

    良志 양지!! 그는 지금의 제주도 탐라국 출신 사람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 梁 씨는 제주도를 본으로하는 탐라국왕족 출신성으로 추후 신라 내물왕의 하사로 良에서 梁으로 한자성를 바뀌었다.

  •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신라는 국제도시였음 세계에서 온 다양한 인재들이 사는 유토피아 같은 곳

  • @user-vn9jt9pn9g

    @user-vn9jt9pn9g

    3 ай бұрын

    잡종

  • @abbag329
    @abbag3292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관심이 많았는데.. 역사책에서 이름만 들어왔던 양지스님 작품이 바로 저 사천왕사 조각 파편~! 어릴 적부터.. 그 당시 다른 불상과는 많이 달라 개성이 뚜렸해서 좋아했고, 사진으로 보면서 멋진 작품이라고 생각해 오던..그 파편이었네요!^^ 설명하신 대로..뭔가 인도와 서역의 영향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 @user-ms4qv9fl5s

    @user-ms4qv9fl5s

    2 жыл бұрын

    ..

  • @user-gk8mi1wy2j
    @user-gk8mi1wy2j2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ty9cz4el5w
    @user-ty9cz4el5w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

  • @user-qw9wc8yo5u
    @user-qw9wc8yo5u2 жыл бұрын

    제일 보고싶은편 이에요. 감사합니다

  • @user-le6ch1ff4p
    @user-le6ch1ff4p2 жыл бұрын

    삼국통일의 의지를 분명하게 표현한 통일신라 호국불교미술의 정수 '녹유소조상'!!!!!☝️☝️☝️☝️☝️ 이름과 함께 그 실재가 1300여년만에 출토 된것 만으로도 큰 축복!!!! 🎉🎊

  • @youngsang8do
    @youngsang8do2 жыл бұрын

    역사스페셜은 재밌어~ ㅋㅋㅋㅋ

  • @user-ls8ox8kb7x
    @user-ls8ox8kb7x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 @alog6688
    @alog6688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ug8uy4ng8s
    @user-ug8uy4ng8s9 ай бұрын

    실제 박물관에 가서 보면 조각품의 입체감과 사실감에 놀랍니다. 1천여 전에 예술적으로도 높이 평가할 만한 조각품이 실존한다는 것에 신라인들의 실력이 대단하단 것을 나타내죠.

  • @ladolcevitashu
    @ladolcevitashu2 жыл бұрын

    와 요즘 나오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같다 너무 멋짐

  • @user-ib8tt6xg1b
    @user-ib8tt6xg1b2 жыл бұрын

    고마워요!

  • @user-me3hq7gk6b
    @user-me3hq7gk6b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돌들도 서양의 대리석같이 조각하기 쉬운 돌들이었다면 서양 못잖은 조각상들이 많았을텐데... 하필이면 너무나 단단해서 조각하기 어려운 화강암들이 대다수라 아쉬움. 그 단단한 화강암으로도 뛰어난 조각품들을 만들었는데 조각하기쉬운 대리석이었으면 서양부럽지 않았을게 확실. 국까들은 뭣도 모르고 국뽕이라고 하는데 어이없으면서도 슬프네. 여건이 어땠는지는 모르면서 국뽕 국뽕 거리니...

  • @user-nx8vi6su6f

    @user-nx8vi6su6f

    2 жыл бұрын

    이게 그냥 기술의 문제라고 보나? 기본적으로 인본주의적 학문이 발달하고 해부학과 미학 전반에서 인체에 대한 탐구정신 고대부터 내려 온 미에 대한 철학적 논쟁 이게 서양문명과 미술의 핵심이다 그것이 되살아난게 르네상스고 그 시대의 상징인 미켈란젤로와 신라시대 사람을 비교하는 것 자체가 멍청한 것

  • @user-me3hq7gk6b

    @user-me3hq7gk6b

    2 жыл бұрын

    @@user-nx8vi6su6f니가 편협한건 알겠다. 국까에..어디서 줏어 들은건 많은가본데.. 문화 사대주의까지..

  • @ack3145

    @ack3145

    2 жыл бұрын

    @@user-nx8vi6su6f 저기 아재요. 양지랑 미켈란젤로가 비슷하다는 건 둘 다 조각이라는 예술을 통해서 자신들이 살던 한 시대의 정신을 담았다는 의미에서 비교한 거지요. 삼국통일전쟁을 끝내고 불교로 민족을 통합하려던 7세기 신라나, 15세기 비잔틴 제국의 멸망으로 이탈리아 반도에 유입되어온 고전 그리스 예술을 다시 발견함으로써 새 시대의 비젼을 담은 이탈리아 르네상스나, 한 시대의 요구와 지성을 미술로 표현하고 담는다는건 아무나 못하는 일입니다.

  • @fischergraham678

    @fischergraham678

    2 жыл бұрын

    조각하기 쉬운 현무암이 널려있는 제주에 돌하루방만 있는데?

  • @ll-tg7xz

    @ll-tg7xz

    2 жыл бұрын

    @@fischergraham678 제주도가 우리 역사에 중심지였던적이 있나요? 그냥 변방의 소국이었고 병합이 되어서도 죄수들이 유배를 가던곳이었어요. 지금 제주도가 왜 나오나요?

  • @user-fw2hl5vc6n
    @user-fw2hl5vc6n2 жыл бұрын

    양지 모두가 기억해야할 이름.

  • @loveItalia-py6gp
    @loveItalia-py6gp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왜 요즘 ebs 는 이런 방송이 없을까요?

  • @fischergraham678

    @fischergraham678

    2 жыл бұрын

    이건 KBS니까요

  • @user-ig1bk1cx3m
    @user-ig1bk1cx3m Жыл бұрын

    대단하세요

  • @user-rw4mk1xl7f
    @user-rw4mk1xl7f6 ай бұрын

    사천왕사 복원됫음좋겠어요 디게화려하네요

  • @user-jr7wd5wy6d
    @user-jr7wd5wy6d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에서는 어떤 기준에 맞추어서 동영상 업로드가 진행되는지는 모르겠지만, 혹시 역사의 라이벌을 업로드하신다면 청백리도 순위가 있었다 에피소드, 혹은 고려냐 조선이냐 에피소드, 중앙집권이냐 지방분권이냐 에피소드를 올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alicep.7712
    @alicep.77122 жыл бұрын

    미켈란젤로 노년의 피에타를 보면 테크닉적으로는 이게 그 미켈란젤로 맞나싶지만, 초기 피에타보다 더한 감동이 있다. 둘다 걸작임은 틀림없고.. 작품을 테크닉으로 판단하려하는 천박함과 서양의 기준에 우리를 맞추려는 문화 사대주의자들 많이 보여서 참..

  • @user-me3hq7gk6b

    @user-me3hq7gk6b

    2 жыл бұрын

    당장 여기서도 많이 보이죠. 제글에도 한명댓글 달았구요.

  • @happymoon5991
    @happymoon59912 жыл бұрын

    He looks like a singer Jin-Sung ! Is anyone agree with me ?

  • @doobu691
    @doobu6912 жыл бұрын

    백마이에 에메랄드 셔츠의 영롱함이란

  • @mai4912
    @mai49122 жыл бұрын

    근데 저렇게 맨손으로 막 만져도 괜찮은가요? 문화재인데 맨손으로들고 만지고 하길래... ㅡ.ㅡ 조각품이라그른가?🤔

  • @fischergraham678

    @fischergraham678

    2 жыл бұрын

    장갑끼면 미끄러져 떨어져요. 맨손이라고 문제 안됩니다

  • @insuchoi2323
    @insuchoi23232 жыл бұрын

    신라의 양지 좋은 내용! 미켈란젤로를 왜 거기에 붙여요? 그게 사대예요.

  • @user-ms9id4le7f
    @user-ms9id4le7f2 жыл бұрын

    42:42

  • @J-Jung
    @J-Jung2 жыл бұрын

    김가왕족 인도 서역 중국의 영향인 듯 구례 화엄사도 인도인 내지 중국인 승려 연기조사가 창건 선덕여왕릉 보러 발굴 당시 옆을 지나갔었는데 저런 것들이 나왔었군요. 동쪽의 포도밭?에서 기와편들도 봤습니다. 마을의 흔적인지 또 다른 유적의 흔적일지 경주는 역시 도시 전체가 살아있는 유적

  • @user-pr7tf5cx8o
    @user-pr7tf5cx8o2 жыл бұрын

    조각이 완전 인도풍이네

  • @user-ty7ko4mb5u
    @user-ty7ko4mb5u2 жыл бұрын

    조각가

  • @user-bt8br1vd1s
    @user-bt8br1vd1s2 жыл бұрын

    조각품은 또 있을거야 찾아야 해 완전체로

  • @user-lo6im2ww4c
    @user-lo6im2ww4c2 жыл бұрын

    아.. 천재적인거 같긴한데 미켈란젤로랑은 시대도 다르고 양식도 다르고 다른 예술가가 어울리는거 같은데

  • @abbag329

    @abbag329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천년 가까이 차이나는데..

  • @lionlamb688

    @lionlamb688

    2 жыл бұрын

    이건 그냥 천재 조각가에 대한 수사적인 비유인거죠. 한국인들에게 친숙하게 알려진 서양사의 최고 조각가가 미켈란젤로가 아니라 다빈치였으면 '신라의 다빈치'라고 제목지었겠죠. 제목에서 예술적 양식이나 다른 구체적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 @user-lo6im2ww4c

    @user-lo6im2ww4c

    2 жыл бұрын

    @@lionlamb688 아 다빈치 미켈란젤로는 세계적인 미술가인데 저도 우리동네에서 댓글달았으니까 우리동네 셰익스피어 한번 하면 됩니까? ㅎㅎ

  • @lionlamb688

    @lionlamb688

    2 жыл бұрын

    @@user-lo6im2ww4c 동네 사람들 사이에서 나름 인정받고 있으시다면 님도 그렇게 비유하셔도 됩니다. 만약 님이 합정동에 살고 있고 최소한 합정동에선 제법 알아주는 극작가라면 '합정동 셰익스피어 김금'이 되겠죠ㅎㅎ

  • @__A__a
    @__A__a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양지는 서역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 @USA-TIGGER
    @USA-TIGGER Жыл бұрын

    젊은이의 양지

  • @goldmelon3246
    @goldmelon3246 Жыл бұрын

    220613

  • @user-pr7tf5cx8o
    @user-pr7tf5cx8o2 жыл бұрын

    인도에서 온거 아닐까

  • @user-ms4qi9yx1q
    @user-ms4qi9yx1q2 жыл бұрын

    야! 상이 맞추어 질때 마다 우리의 선조들 분께서는 신이 감직한 그재주의 솜씨른 지금 우리에게 자긍심을 충천시켜 주셨음이네 거룩하시다 위대하하시다 우리의 선조시들이시여! 내두주먹에 힘이 솟구치네! 寒泉

  • @user-ny8tu1xv7u
    @user-ny8tu1xv7u2 жыл бұрын

    입은 삐뚤어 졌어도 말은 바로 합시다. 고구려 백제 문화를 받아 들인거라고 표현 하는데... 수용의 의미가 아닌 필요에 의해 기만의 정책이 아니었나 싶은데, 왜 한국사는 다른 역사들과 '같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지니는지 알 수가 없다. 비판할 부분은 비판하고 칭찬할 부분은 칭찬하고, x같은 부분은 욕하고 그래야 하지 않겠습니까? 우리의 뿌리를 탐구하시는 분들에게 해서는 안되는 소리를 하게 되는 이유가 '진실은 진실이다.' 라고 말하는게 다른 나라가 아닌 한국 사람에게 눈치를 봐서야 되겠는가 싶어서 입니다.

  • @craftch2333
    @craftch23332 жыл бұрын

    뭔가 한국의 느낌이라기 보다는 중국 인도 느낌 같아요

  • @kiebialdrl1ikr9l85
    @kiebialdrl1ikr9l85 Жыл бұрын

    우와 ! 진짜 세상은 좁고 닮은 사람은 많구나...3:00 에 나오는 아줌마...내가 사는 동네 시장에서 배추김치 파는 반찬가게 아줌마랑 얼굴 똑같이 생겼다 ㄷㄷㄷ 근데 지금 거기 안감...왜냐구? 맛이 없어서...그런데 시래기국하고 콩나물 무침은 그런데로 괜찮았음...그래도 안가...왜냐구? 그 반찬가게에서 몇미터 떨어진 곳에 반찬가게 새로 생겼거든...가격도 싸고 맛도 좋음...반찬3팩에 5000원

  • @doccom9113
    @doccom911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고증되는 역사서인 삼국유사를 후세인의 인식부족 그리고 의도된 부정과 무식함으로 인용을 거부하는 현 역사가라는 자들 말을 나는 믿지 않는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역사서를 레퍼런스하여 편전됐으리라 삼국의 중국대륙 경략도 일본서기의 임나일본부설도 역사적 사실이라 믿는다 다만 범위와 지리적 해석이 미지다

  • @user-el4uh3nm1b
    @user-el4uh3nm1b6 ай бұрын

    양지는 신라인이 아닌듯 인도인 아닐까

  • @user-pw5rk4mb3g
    @user-pw5rk4mb3g2 жыл бұрын

    조선이 얼마나 퇴보했는가 알수있는

  • @user-jo4zx4hd2v
    @user-jo4zx4hd2v2 жыл бұрын

    다빈치는 알겠는데 미켈란젤로는 모르겠다

  • @jjplayrollday3986
    @jjplayrollday39862 жыл бұрын

    원영이 보고싶다 ㅎ 시원이는 너무 볼륨감이..

  • @user-ux5vd9gt8f
    @user-ux5vd9gt8f2 жыл бұрын

    여기는 영국인들이 신라를 침략했나?

  • @igottakillthemall
    @igottakillthemall2 жыл бұрын

    저게 바로 양지머리인가...

  • @user-ft1zd1nh5y

    @user-ft1zd1nh5y

    Жыл бұрын

    꼬인 인생! 쯔즈~

  • @user-mr5vr8nr5o
    @user-mr5vr8nr5o2 жыл бұрын

    신라보다 훨씬 문명발달 단계나 국가사의 발전단계가 빨랐던 고구려 백제의 예술 먼저 제대로 조명해 줬으면 한다 1 ㅂ

  •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2 жыл бұрын

    윤xx였다면 탈레반처럼 때려부수겠지

  • @user-uu2io6bz8t
    @user-uu2io6bz8t2 жыл бұрын

    조각상만봐도 어느정도 권력무력과 압박 무서움 괴물화 된 왕모습 인간도 아닌 마귀에 가까운,,, ,,,, 사람을 밢고있는 독재 지배스럽다.

  • @kircherat5233

    @kircherat5233

    6 ай бұрын

    발 밑에 밟고 있는 것은 사람이 아니라 악귀, 그중에서도 급이 낮은 악귀를 나타냅니다.

  • @Inconclusively-prerequisite
    @Inconclusively-prerequisite2 жыл бұрын

    양지머리!!!!!!!!!

  • @user-youngjae930

    @user-youngjae930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이 영상 보기 전에 저도..... 그 생각 했는데..... 뭔가 마음이 통했네요 ^^;;

  • @Inconclusively-prerequisite

    @Inconclusively-prerequisite

    2 жыл бұрын

    @@user-youngjae930 ㅋ~

  • @user-ze5bq2ou4t

    @user-ze5bq2ou4t

    2 жыл бұрын

    젊은이의 양지!!!!

  • @doobu691
    @doobu6912 жыл бұрын

    소고기 양지 그의 유용함은 대체 어디까지일지...

  • @user-uk4hm8rf2u

    @user-uk4hm8rf2u

    2 жыл бұрын

    우낄꺼유???

  • @njimkolgutyu

    @njimkolgutyu

    2 жыл бұрын

    맛있는것만으로 위대함 냠냠

  • @doobu691

    @doobu691

    2 жыл бұрын

    @@njimkolgutyu 냠냠

  • @user-pr5xw8ml3q
    @user-pr5xw8ml3q Жыл бұрын

    사~천왕상? 이게 KBS 아나운서라는 이들의 발음법? 사천왕이라 단음으로 발음해야... 무식한 아나운서들! 왕이 4천명?

  • @user-ln3jf8og4i
    @user-ln3jf8og4i2 жыл бұрын

    미켈란젤로을 모독하는군

  • @alicep.7712

    @alicep.7712

    2 жыл бұрын

    모독 안 했음..

  • @user-hu7vk6tq5z
    @user-hu7vk6tq5z2 жыл бұрын

    양지는 신라 사람이 아니었다. 돈을 받고 작품을 만들기 위해 신라에 초청된 당나라 사람이었던 같다. 작품 스타일이 완전 당나라 스타일.. 국뽕이 들어갈 자리가 없다.

  • @user-eh2cp9ro8d

    @user-eh2cp9ro8d

    2 жыл бұрын

    뇌피셜은 일기장에 쓰자

  • @sangdodong

    @sangdodong

    2 жыл бұрын

    근거는 뭔가여??

  • @SKYBLUE-oo2ld

    @SKYBLUE-oo2ld

    2 жыл бұрын

    당나라가 신라와같은 투르크족이니까 당연히 양식이 비슷한겁니다. 중국은 한족왕조는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한족들은 그냥 농민들이었어요

  • @njimkolgutyu

    @njimkolgutyu

    2 жыл бұрын

    와 조각외관 보고 어느 나라 사람인지 아시는거에요? 그랬구나 초청되기까지 했구나 ㅋㅋㅋ 와 너무 대단하다 와 대단해 대단해 와 정말 😀 경주 불국사 입구 지키는 사천왕들도 저런 외형인데 절들 가보면 벽화나 조각들보면 저렇게 표현되 있어요

  • @user-jd6cv5xz5w
    @user-jd6cv5xz5w2 жыл бұрын

    국뽕을 너무 들이마셨어 미켈란젤로가 신계면 중고딩 수준밖에 안되는구만

  • @alicep.7712

    @alicep.7712

    2 жыл бұрын

    무식하면 입을 다물등가

  • @user-jd6cv5xz5w

    @user-jd6cv5xz5w

    2 жыл бұрын

    @@alicep.7712 조시나까잡숴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