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HD역사스페셜 - 최무선의 진포대첩은 세계 최초의 함포해전이었다

- 100척 배로 500척의 왜선을 격멸하다
고려 말 최대의 적은 왜구. 최무선 당대인 우왕 때만 봐도 14년 간 378회에 걸쳐 노략질을 한 기록이 있다. 수동적 방어에만 급급했던 고려. 그러나 최무선의 함포가 등장하면서 전세는 역전된다.
진포대첩에서 고려는 100척의 배로 왜선 500척을 격멸하는 압승을 거둔 것! 고려수군의 비밀병기는 ‘함포’였다. 함포 탑재 전함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발상이었다. 국내 최초의 화약개발자를 넘어, 서양보다 무려 200년이나 앞서 최초로 함포를 개발한 최무선의 진가를 조명한다.
- 고려총통 최초 복원, 과연 그 위력은 어느 정도였나?
고려시대 화포는 기록으로만 전할 뿐, 유물이 없어 그동안 그 모습을 알 수 없었다. 제작진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채연석 박사의 도움을 받아 고려의 화포를 최초로 복원했다. 모든 공학적 요소를 고려해 철저하게 복원해 낸 고려의 화포. 그 실제 위력은 얼마나 될까?
제작진은 육군3사관학교의 협조를 얻어 완성된 포를 시험 발사해봤는데...
굉음을 내며 하늘을 질주한 우리나라 최고 총통! 고려의 높아진 국방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해 봤다.
- 최무선은 어떻게 화약 국산화에 성공했나?
화약무기의 원천기술은 바로 화약. 당시 화약은 지금의 핵무기와도 같은 것이어서 화약제조기술을 가진 국가들은 제조법을 철저히 비밀에 부쳤다. 왜구의 잦은 출몰로 화약의 국산화가 절박했던 고려.
과연 최무선은 어떻게 화약 국산화에 성공하게 되었나? 혼자 연구를 거듭했던 최무선. 그 천신만고의 과정을 재연하고 국방과학연구소에 의뢰, 전통제조기법으로 화약을 만들어 그 과학성을 입증해 봤다.
- 한발 늦은 화약개발, 그러나 화약무기 수준은 ‘중국’ 과 대등했다?
당시 우리의 화약 무기는 세계 기준으로 어느 정도였을까? 화약의 종주국인 중국 취재를 통해 세계 4번째 화약 생산국인 고려의 위상을 확인한다. 중국에 비해 고려는 화약 개발이 600년 이상 늦었지만, ‘화약무기’ 개발에 있어서는 놀랍도록 빠른 속도로 중국을 따라잡아 화포 사용이 본격화되는 14세기에는 중국과 고려의 화약무기는 대등한 수준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 처음부터 해전을 염두에 둔 최무선의 화약
당시 육전 위주의 전술만 펼치던 고려는 왜구에게 꼼짝없이 당하고만 있었다. 일찍이 왜구 퇴치의 필요성을 느끼며 자랐던 최무선은 화약 개발단계부터 해상공격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과연 세계 최초의 함포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 탄생했을까?
또한 함포 전함이 이뤄낸 고려의 해상권 장악은 과연 어느 정도의 의미를 지니는가? 고려의 과학자이자 전략가였던 최무선의 끈질긴 노력을 살펴본다.
HD역사스페셜 43회 - 최무선의 진포대첩은 세계 최초의 함포해전이었다 (2006.4.14 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550

  • @user-du7ml7cj4n
    @user-du7ml7cj4n Жыл бұрын

    화약을 발명하셨던 최무선님께 큰 박수를 보냅니다.👍👍👍👍👍👍👍👏👏👏

  • @user-ch7ol7bb5h
    @user-ch7ol7bb5h7 ай бұрын

    세계 최초의 함포해전인 최무선 장군의 진포대전은 진짜 강렬한것같음.

  • @piesunny
    @piesunny9 ай бұрын

    고려 최무선 → 1380년 세계 최초 함포 해전 진포대첩 고려 수군 100척의 배로 500척 왜선을 대파한 승리한 해전 고두심 님 나레이션도 좋네요

  • @user-rh3nf3fm7n
    @user-rh3nf3fm7n4 жыл бұрын

    우리 민족의 영웅들께 머리숙여 경의와 감사드립니다 ~~!!

  • @user-nk1ro2qr2h

    @user-nk1ro2qr2h

    3 жыл бұрын

    한국의 기드온 - 최무선 감사드립니다 샬롬

  • @mangilchoi4662

    @mangilchoi4662

    2 жыл бұрын

    @@user-nk1ro2qr2h 0⁰

  • @mangilchoi4662

    @mangilchoi4662

    2 жыл бұрын

    1

  • @mangilchoi4662

    @mangilchoi4662

    2 жыл бұрын

    @@user-nk1ro2qr2h ⁰⁰⁰⁰0

  • @user-om6jq7mh1s
    @user-om6jq7mh1s3 жыл бұрын

    최무선은 우리역사의 숨은영웅 최고인물임

  • @user-me1zm8vb8i
    @user-me1zm8vb8i4 жыл бұрын

    삶은 누구에게나 힘들지만 살아가며 내가 원하지 않은 일들이 얼마나 많이 일어나는지는 우리들은 모두 알고있지요. 그럴때 무너지지 않고 힘낼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두는것도 참 좋을 것 같다고 봅니다. 본인 자신이기에 늘 마음속에 긍정적인 삶의 생을 매순간마다 행복 해야 내주위에 저와 연이 닿는 분들께 웃으며 격려 해줄 수 있는 마음으로 자신에게 한점 부끄럼 없는 삶으로 살아야되겠습니다. 그러다보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힘을 얻지요.

  • @user-uq6ij8qr5w

    @user-uq6ij8qr5w

    3 жыл бұрын

    남상학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ob7tc2jf6n

    @user-ob7tc2jf6n

    2 жыл бұрын

    5

  • @roaroa1371
    @roaroa1371 Жыл бұрын

    이런 전설같은 영상좀 많이 올려주세요

  • @user-vo1vh5bf7x
    @user-vo1vh5bf7x2 жыл бұрын

    균형감으로 꽉채워진 고두심 선생님의 우리조상에 관한 목소리설명 들으니 우리조상선조님께 존경심이 절로 솟구치네요.

  • @user-lr1fb8ws7u
    @user-lr1fb8ws7u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조상이십니다

  • @ack3145
    @ack31454 жыл бұрын

    피와 땀과 고뇌로 지킨 이 강산. 언제나 평화롭기를.

  • @ckghgo2051
    @ckghgo20512 жыл бұрын

    나중에 이순신 장군님도 화포로 왜구 격파하는데 쏠쏠하게 써먹죠. 최무선이 없었다면 조선은 화약무기 발전이 지지부진해 임진왜란 때 더 고생했을 겁니다. 감사합니다, 최무선님!

  • @AlgeriaTube
    @AlgeriaTube4 жыл бұрын

    해외에서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kk2uo1hf1p

    @user-kk2uo1hf1p

    3 жыл бұрын

    님 알제리에서 살아요?

  • @user-zp2wg9tu2b

    @user-zp2wg9tu2b

    3 жыл бұрын

    6ㅆㅆㅆ⁶ㅛ⁵ㅆㅆ쑈ㅛㅆ

  • @user-om6jq7mh1s

    @user-om6jq7mh1s

    2 жыл бұрын

    @@user-zp2wg9tu2b ㄱㅅㄲㅇ

  • @user-zp2tm8xl7x
    @user-zp2tm8xl7x2 жыл бұрын

    전통기술.. 화력전..!!

  • @hanbaedal
    @hanbaedal2 жыл бұрын

    고려가 반도에만 머물지 않은 얼마나 큰 강대국이었는지 아셔야 합니다.

  • @user-vc3sy1hi8h
    @user-vc3sy1hi8h2 жыл бұрын

    최무선 장군님에게 "천(1000/즈믄) 번의 감사를!"

  • @user-bd9qd9qk4r
    @user-bd9qd9qk4r3 жыл бұрын

    화포공격 ---; 처음알았어요감격했어요세계최초라니 ******

  • @Lee-sv4yi
    @Lee-sv4yi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만세 ! 감사합니다

  • @user-tx8vv3fz9o
    @user-tx8vv3fz9o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mirbisworkspace6345
    @mirbisworkspace63452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이순신 장군의 해상전에 이어서 고려의 최무선의 해상전도 다루는 사극도 나오는 날이 오길...

  • @user-fg2nu6bn7s

    @user-fg2nu6bn7s

    2 жыл бұрын

    오~상당히 좋은생각 입니다~

  • @user-pc2rz5kq1y

    @user-pc2rz5kq1y

    Жыл бұрын

    고려수군이 강할수 있던 큰이유는 정지 이희가 3년4년동안 함선개조와 최무선이 오랜 기간동안 화약과 화포를 개발했기 때문이죠. 이 인물들이 꼭 드라마나 영화로 다루어 나왔으면 하네요.

  • @user-bd3wb7hd2v

    @user-bd3wb7hd2v

    8 ай бұрын

    여말선초때라서 임팩트 강한사건이 너무 많아서 힘들거같아요ㅠㅠ

  •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3 жыл бұрын

    도적들을 방어하려면 도적들을 공격해야한다

  • @sbehebdyddhhdhdh
    @sbehebdyddhhdhdh4 жыл бұрын

    발사 되니까 애들 박수치는거 귀여워ㅋㅋ

  • @soul-nw3tr
    @soul-nw3tr2 жыл бұрын

    우리 오천사에 고구려의 기상을 제대로 계승한위대한 고려..

  • @sanmicheal6754
    @sanmicheal67542 жыл бұрын

    최무선씨가 진짜 대단한 인물임

  • @halalkorea2012

    @halalkorea2012

    2 жыл бұрын

    바디 훅이 일품이였다죠

  • @user-pi5yb2kc9v
    @user-pi5yb2kc9v2 жыл бұрын

    최무선의 화포는 세상 최초로 포탄이 날아가 터졌다는 것. 그전에는 돌멩이나 쇳덩이를 날린것 뿐이다. 자랑스럽지?

  • @gae-ja-sik
    @gae-ja-sik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포방부의 진정한 시초. 화통도감!!!!

  • @user-kl9jl3gt2q
    @user-kl9jl3gt2q2 жыл бұрын

    최무선의 화포개발로 임진왜란때 해전의 승리에 큰 도움이 되었다

  • @user-xv8js6st9q
    @user-xv8js6st9q Жыл бұрын

    고려 시대의 최무선 장군과 같은 분들이 한국에는 많이 살고 게신다는 것을 믿고 노력하신다면 우리가 못 이룰 것이 없다고 생각 합니다. 우리 한국인들은 많은 핏박과 한을 가진 민족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의 한을 풀기까지는 끝임 없이 도전하고 노력 해야 할 것 입니다.

  • @dstfox
    @dstfox3 жыл бұрын

    한국판 아스날쉽만들면 최무선함으로 하면 좋을듯...

  • @user-wy2vu7pb6z
    @user-wy2vu7pb6z2 жыл бұрын

    아주좋아ㅡㅡ굿 궁금ㅡㅡㅡㅋ 성능 ㆍ 효과 ㆍ위력 ㅡㅡ 가장 궁금 ㅡ ㅡㅡㅡㅡ

  • @user-zs4kw8qn3c
    @user-zs4kw8qn3c2 жыл бұрын

    최무선이 없었다면 이순신도 한반도도 없는 거네요!!!

  • @user-px4jj2bn6n

    @user-px4jj2bn6n

    2 жыл бұрын

    555ㆍ222

  •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2 жыл бұрын

    최무선 시기 부터 임진왜란 때 까지 기간이 너무 긴데요... 중간에 세종대왕과 장영실이라는 천재 들도 있으니 누군가는 개발 했을 듯... 최무선은 대단한 인물인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후대의 기술력을 너무 얕잡아 보면 안되죠.

  • @junhoko8956

    @junhoko8956

    Жыл бұрын

    이순신 대포들 거의 세종이 개발해놓은것들

  • @proeclass

    @proeclass

    Жыл бұрын

    대포가 있다고해서 이기나요? 원균 보세요

  • @REDFILL1115
    @REDFILL11152 жыл бұрын

    고려 화약 개발자는 최무선. 함포로의 활용을 제안한 사람은 정지장군.

  • @ngannou661
    @ngannou6612 жыл бұрын

    가슴이 웅장해진다는 말은 이런때 쓰는거겠지. 울컥.

  • @user-yv1pk4mx9u

    @user-yv1pk4mx9u

    2 жыл бұрын

    권군아 니가슴은웅장해지지않아

  • @user-pi6cn1hx5e
    @user-pi6cn1hx5e3 жыл бұрын

    저정도 사이즈면 진주박물관에서 복원한 세총통하고 별 차이가 없어보입니다.

  • @MrJongMoon
    @MrJongMoon4 жыл бұрын

    신기전은 현대의 방사포네

  • @user-tt5bh6li7l
    @user-tt5bh6li7l2 жыл бұрын

    대단할박에

  • @user-oi7cz7fl2u
    @user-oi7cz7fl2u3 жыл бұрын

    진포대첩과 백(촌)강 전투의 장소가 각각 어딘가요?

  • @user-ud7vz8vg4u

    @user-ud7vz8vg4u

    3 жыл бұрын

    군산과 서천입니다

  • @wiretrussgreenhouse1556
    @wiretrussgreenhouse15562 жыл бұрын

    당시에 개발할려 얼마나 고생했을지.감동

  • @user-nn3mm9ow5k
    @user-nn3mm9ow5k4 жыл бұрын

    저때는 그냥 부시는개념의 포 터지거나하지않음

  • @user-zz7cf5bl3h
    @user-zz7cf5bl3h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것은 거리조정을 어떻게할수있는지요?

  • @user-fv2yi5vp4w

    @user-fv2yi5vp4w

    2 жыл бұрын

    화약을 많이 넣음 멀리 날라안가것나?

  • @all8311
    @all83113 жыл бұрын

    아이구 대단해라

  • @green_tea_piccolo
    @green_tea_piccolo4 жыл бұрын

    화포 ㄷㄷ

  • @White_night_please_redeem_me

    @White_night_please_redeem_me

    3 жыл бұрын

    넌마관광살포 있잖아

  • @user-lo5vs4fe4x
    @user-lo5vs4fe4x2 жыл бұрын

    저 고려화포라고 실험한 것은 화포가 아닌 화창임..화약의 힘으로 창을 날려보내는 건데 창하나 날려보낸다고 무슨 적선에 불이 붙는 것도 아니다..화포도 화약의 힘으로 쇠뭉치를 날려보내는 것이라서 임진왜란때도 폭발하는 포탄이 아닌 그냥 쇠뭉치를 날려보냈다고 한다..그러니 불지르는 화공은 다른 무기가 있었을것임..불화살을 날려보냈든지 하는게 화공이었고..화포로 적선을 불질렀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고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것임..

  • @user-gz3ld2jq7j
    @user-gz3ld2jq7j4 жыл бұрын

    역시 최초로 함포를 만들어 사용한 나라는 고려 즉, 우리 한국이었군요.

  • @dolsoe2001

    @dolsoe2001

    3 жыл бұрын

    대단하군요 이런나라를 사랑 안할수 있나요~^.~♡♡♡

  • @physics906

    @physics906

    2 жыл бұрын

    최초는 아닙니다. 송이 최초로 무기화시켰고 원이 전쟁을 통해 체계화시켰습니다. 하지만 일급 기밀이었던 이 기술을 우리나라가 들여와 품질을 높이고 독자적인 생산, 전술체계를 구성한 것은 최초라는 타이틀만큼 자랑스러운 일입니다.

  • @user-om6jq7mh1s

    @user-om6jq7mh1s

    2 жыл бұрын

    @@physics906 무슨 역사학자입니까?ㅋㅋ

  • @nsc4722

    @nsc4722

    2 жыл бұрын

    @@dolsoe2001 ㅐㅐㅐㅐㅐㅐㅑ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ㅔ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ㅑ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ㅐ

  • @user-hz2gk8vt9q

    @user-hz2gk8vt9q

    2 жыл бұрын

    개나발이다

  • @user-cx5pl6cg1g
    @user-cx5pl6cg1g2 жыл бұрын

    속 션하다~~

  • @user-qz7nu3ek2y
    @user-qz7nu3ek2y2 жыл бұрын

    초무선 최고

  • @user-jk1eg8ip9d
    @user-jk1eg8ip9d2 жыл бұрын

    저 당시 화약은 화살을 발사하기 위한 보조수단에 불과했다는 말이군요. 그래서 이해가 가네요. 최무선이 발명했다던 무기가 납득이 가네요.

  • @FC-ot7bo
    @FC-ot7bo4 жыл бұрын

    그때 왜구들을 손봐주고 이후 좀 놔뒀더니 또 노략질을 하고있죠. 국방과학 잘해서 다시 한번 왜구들을 손봐줍시다!

  • @taejungjeong9224

    @taejungjeong9224

    4 жыл бұрын

    이번엔 멸족시켜버립시다.~!!! 토왜와 왜구~!!!

  • @Handaegi

    @Handaegi

    2 жыл бұрын

    윽이구 뜰딱들.

  • @user-wo3er2ks1f
    @user-wo3er2ks1f3 жыл бұрын

    이토록 휼륭했던 화약(화포) 신기전 무기술을 계속 발전을 추구하지 않고 썩혀버렸는지~ 참으로 아깝고 아쉽네요

  • @user-rx8nx5yk7e

    @user-rx8nx5yk7e

    3 жыл бұрын

    신기전의 화약 소모 대비 위력과 사거리를 생각하시면 그런 말 쉽게 못합니다. 오히려 기존 총통이나 새로 도입한 불랑기나 홍이포가 낫지. 나중에 19세기 중반 영국 애들도 기술적으로 보다 발전된 콩그리브 로켓 갖다 버리고 야포로 갈아탔던 게 아닙니다.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2 жыл бұрын

    글쎄그러려니 / 더 발전 시킨게 임란때 화포, 각종 총통 입니다,,, 신기전은 보기에만 멋졌고,, 당시 화약의 폭팔력은 그다지 위력적이지 못했어요

  • @user-gd7xq8zh7l
    @user-gd7xq8zh7l4 жыл бұрын

    진정한 화력덕후

  • @user-ko9qu5uv5v
    @user-ko9qu5uv5v2 жыл бұрын

    ? 명량해전이나 진포대첩의 공통점은 외선이 500척.? 외선은과연 최소주문수량 500척의 셋트 상품인가.?

  • @kjh960407
    @kjh9604073 жыл бұрын

    적함선 구멍내는 용도 아니면 그닥 살상력은 없을꺼같은데 사거리도 생각보다 그렇게 길지도 않은거 같고

  • @user-ud7vz8vg4u

    @user-ud7vz8vg4u

    3 жыл бұрын

    당시는 그게 핵무기급이라 하지아소 활로 쏘던시대 포를 발명해서 쏜다는걸 생각지도 못한 왜구들은 기겁을 햇것지 거기다 나중에 이순신의 거북선도 그때 만들어저 활약을 햇다는 야사나 정사에 전해진다고한다 거북선이 어느날 갑자기 만들어진게 아님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2 жыл бұрын

    김지훈 / 배에 구멍이 나면?,,,,,당시 배들은 바람이 없을때 노를저어서 이동 했는데,,, 노젓는 위치가 파괴되면 그만큼 이속도 느려짐,,,더구나 화포의 사정거리는 활의 사정거리 1.5~2배정도로 길엇슴

  • @tremendousskye2823

    @tremendousskye2823

    2 жыл бұрын

    적함선 구멍내는 용도 맞음 제대로 맞으면 걍 침몰하는데

  • @meeso365
    @meeso3653 жыл бұрын

    우와 ㄷㄷㄷㄷㄷ

  • @chslee6113
    @chslee61132 жыл бұрын

    음... 구경이 승자총통 정도로 보이는데... 저 정도 구경과 화력이라면.. 목선을 깨지 못합니다. 천자총통은 구경이 12cm이고 탄알이 철제 기준 대략 7kg이 넘습니다. 저 정도 구경으로는 어림도 없죠 (구의 부피는 반지름의 세제곱승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저 총통의 용도는 주로 산탄 공격이고 왜적들을 산탄으로 상당히 죽이고, 처음 듣는 화포 소리에 놀라 우왕좌왕 하는 왜적들을 화살과 칼로 마무리 하는게 합리적 해석이겠네요

  • @user-li7on6dk6s

    @user-li7on6dk6s

    Жыл бұрын

    미니 버전임....

  • @user-tm6fy4lv2r
    @user-tm6fy4lv2r3 жыл бұрын

    복원된거 생각보다 덜날아가네.. 저런구조면 300미터는 날줄 알았더니...

  • @jh.h0911
    @jh.h09114 жыл бұрын

    🌹😍👍

  • @user-kw3gp9ju3f
    @user-kw3gp9ju3f3 ай бұрын

    ❤️❤️❤️👍👍👍

  •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3 жыл бұрын

    30cm 소형이 150미터 나아가면 100cm 크기는 오백미터 나아가서 불태우는거네 알겠습니다 선생님

  • @user-ef6uu9oi7x
    @user-ef6uu9oi7x Жыл бұрын

    세계최초 면 뭐하고 시초면 뭐하겠나 거기까지 였던것을 우리가 저기서 멈추지 말고 발전했다면 지금의 군사 강국은 우리가 아닐까 싶다

  • @user-mj2iy5nr1w
    @user-mj2iy5nr1w4 жыл бұрын

    고두심 ♡

  • @user-vi6kw6oq8u
    @user-vi6kw6oq8u4 жыл бұрын

    500척은 당시 왜구들의 규모로 볼때 좀 과장된 듯함 함포로 숭리헌건 대단함

  • @user-nx8jc1se9s

    @user-nx8jc1se9s

    4 жыл бұрын

    충분히 가능함 저건 쌀 이나 뺏으려고 쳐들어온 왜구 들이 아니니까요,그 당시 1만명 규모 의 군대는 목적이 다릅니다.

  • @sungminryu3230

    @sungminryu3230

    4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 때의 왜군들 선박 구성을 참고하면 가장 큰 배가 200-300명 정도가 타고 다니는 안택선은 극소수였고 대다수 배들이 100명이하의 소선위주 그 중에서도 20명이하의 작은 배들도 많았다고 나옵니다. 500척이라고 해도 최대 2만명은 넘지 않았을 듯 싶어요.

  • @user-ud7vz8vg4u

    @user-ud7vz8vg4u

    3 жыл бұрын

    전문가이 역사학자들이 사관에 나와있는 기록과 고증을 통해서 밝히는데 무슨 의심을합니까 그것보다 그동안 역사학자들이 이성계와 이순신만 가르키고 옳바른 역사를 얀가르키고 왜곡하고 미화해서 이런일이 발생함 이성계도 많이 미화됐음 역사는 승자의 입장에서 기록하기 때문이오

  • @Startuptaurus

    @Startuptaurus

    2 жыл бұрын

    500 척이 라면 중국의 복건성 전체를 노략질 했을 군사력인데.. 고려의 함대가 100척인데 어떻게 바다를 건너 침략해온 왜구가 500척이겠습니까. 더구나 일본 역사엔 대규모 왜구를 운용했다는 기록이 없습니다. 무로마치 막부가 눈뜨고 보는데 몇몇 영주가 작당했다 해도 저 정도 군세를 몰래 만들긴 불가능이죠. 이미 중국에서는 중국 오키나와 등 연근해 섬등의 토비들이 관부와 내통해 왜구로 가장해 빈번히 강도질 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여말선초 왜구에 대해 새롭게 연구가 필요합니다.

  • @user-lw2zt6me9f
    @user-lw2zt6me9f2 жыл бұрын

    염초,숫,황 3가지 말고 한가지가 더있음. 바로 사람의 침과 물 이 모든 것을 솥에 넣고 중불로 가열하면서 혼합을 하고 말려서 굳히면, 몇배 더 강한 폭약이 만들어짐. 영상에서 복원한 최무선 화포를 발사하는 실험에서 사용된 흑색화약은 폭발력이 너무 약해서 펑소리도 안남. 실제 사용되던 화약 제조법으로 만들지않은 화약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침대신 사용가능한 것은? , 약간의 아교와 물 원리 - 염초 숫 황의 결합력을 높이고 굳게하므로써 발화시 연소열을 잠시 가두므로서 연쇄발화력을 순간 키우므로써 폭발력을 키우며, 중불에 잘섞어진 염초+ 황+ 숫불+ 아교 를 말리면 더 높은 밀도의 화약이되어 더 큰 폭발력을 가진다.

  • @blademaster200

    @blademaster200

    2 жыл бұрын

    알서연

  • @user-sj7nw9sv3u
    @user-sj7nw9sv3u2 жыл бұрын

    최무선의 손으로 던지는 화통이 왜선500을 격침 시켰다 한국 사람들이 원래 다들 팔힘이 대단 했나 봐요

  • @user-qo7xo4fh8e
    @user-qo7xo4fh8e3 жыл бұрын

    우리 민족 역사상 최대 원정작전 윤관의 여진정벌 고려군 17만 동원. 그 외에도 여요전쟁, 여몽전쟁등 고려는 기본적으로 20만 대군 뽑아냄 ㅎㅎ

  • @yi01471

    @yi01471

    3 жыл бұрын

    조선은 임진왜란 그 막장인 상황에서도 15만 뽑아내는 행정력 발휘하던데??

  • @sbo974

    @sbo974

    3 жыл бұрын

    송나라를 벌벌 떨게했던 요나라 10만 기병을 회전으로 싸워 괴멸시킨게 고려임. 그때도 21만 대군을 편성했음. 고려의 연전연승에 송나라 기절초풍. 송나라는 고려의 거의 모든요구를 들어줬는데 아마 대륙에 갑질하던 시기는 우리역사상 고려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일듯.

  • @polyonomata

    @polyonomata

    2 жыл бұрын

    전근대에 10만 이상 동원하는것만 해도 대단하지요. ㅇㅇ 일단 10만만 해도 보급품 규모가 장난아닐탠데...

  • @tremendousskye2823

    @tremendousskye2823

    2 жыл бұрын

    울나라가 진짜 인구 대비 군사를 많이 뽑아내긴 했더라 지금도 그렇고...ㅋㅋㅋㅋ

  • @node763
    @node7634 жыл бұрын

    화약제조 방법을 공개...해도 되는건가요?

  • @goldenkey6690
    @goldenkey66902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최강의 무기를 개발하고도 수비에만 사용한 것이다. 대규모 공격부대를 편성해서 본진(도쿄)을 쓸어버렸으면 임진애란이 없었을텐데. 앞으로 공격 받으면 압도적인 공격으로 본진을 재기불능으로 만들어 후일의 평화를 담보하는 걸로~♥

  • @tremendousskye2823

    @tremendousskye2823

    2 жыл бұрын

    뭐 얻을거도 없는 전쟁을 왜 하니

  • @hun4760

    @hun4760

    2 жыл бұрын

    이당시 도쿄 즉 에도는 허허벌뻘천지...

  • @shinswoong.youtube

    @shinswoong.youtube

    2 жыл бұрын

    태종때 정벌 ..

  • @user-sr5rd6qc4m

    @user-sr5rd6qc4m

    2 жыл бұрын

    아고 무식한 소리좀 하지마..

  • @user-nt4gt7qb7z
    @user-nt4gt7qb7z2 жыл бұрын

    제목읽고 모니터에 따봉날리고있엇다

  • @user-dg5nz3qw9i
    @user-dg5nz3qw9i3 жыл бұрын

    포방부의 원조

  • @amenity91
    @amenity913 жыл бұрын

    진포대첩은 재평가 되어야한다 진포대첩은 서천출신의 나세장군이 주역이다 나세장군을 연구하라!!!

  • @East-Angan-Dalma

    @East-Angan-Dalma

    2 жыл бұрын

    이것 보세요., 나세 장군의 역할도 분명히 있었겠지만 당시 왜구와의 해전에서 원거리 활쏘기는 우리나라가 유리했으나 근접전 칼싸움에서 왜구에 밀려 고려군이 계속 왜구에 패배했었다는 내용 못봤습니까? 최무선이 개발한 함포가 없었다면 이순신 장군이 당시에 태어나 함선을 지휘했어도 이기기 힘든 싸움이었다는 겁니다. 누가 뭐래도 진포대첩은 최무선이 그 주인공입니다.

  • @user-fo2iq8vp3q
    @user-fo2iq8vp3q2 жыл бұрын

    화약으로 쇠공을 쏴서 배를 부수는 화포였는데? 어떻게 5백척이 불타서 가라앉지? 깨져서 가라앉았다면 모를까....

  • @user-ps6ei3er5s
    @user-ps6ei3er5s2 жыл бұрын

    어느 전사에서나 마찬가지로 적의 세력을 부풀려 기술했을 것으로 본다면 500척이라는 왜선의 숫자 또한 부풀린 숫자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듯

  • @sadbluesea871103
    @sadbluesea8711034 жыл бұрын

    포방부의 기원

  • @yoshiyyachben-moshe6890
    @yoshiyyachben-moshe68902 жыл бұрын

    전에 신기전에서 본 것 같은 내용...

  •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3 жыл бұрын

    장갑을 고뮤장갑을 껴요

  • @user-zk4dv9pk4r
    @user-zk4dv9pk4r2 жыл бұрын

    군산에 진포 근처에서 사는 군산 서천 앞바다에서 일어나는 전쟁인대 질린다

  • @baek6468
    @baek64682 жыл бұрын

    몽골습래가 1981년일수가 있나 ~년도가 잘못되었네요

  • @user-qg9oe4pl2d
    @user-qg9oe4pl2d4 ай бұрын

    😮 최무선의 화약 총포를 세계문화유산에등제신청했으면합니다.

  • @user-ff1cb2rb2t
    @user-ff1cb2rb2t3 жыл бұрын

    저러다 왜 조선말에는 멍청이들만 권력을잡았을까?

  • @khd5031

    @khd5031

    3 жыл бұрын

    @이의열 애초에 지놈 권력유지하려고 붕당싸움 조장한 선조때부터 망한거임 붕당이 썩어빠져서 세도정치로 변질되고 세도정치에 민썅년이 발담그면서 조선이 망한거지 뭐

  • @armudi5947

    @armudi5947

    3 жыл бұрын

    동서고금 막론하고 왕조말기에 흔히 생기는 고질병이지

  • @user-cp5eu4cs8b
    @user-cp5eu4cs8b2 жыл бұрын

    이야.. 화학식을 아는 지금이야 쉽다만 그런거 모르던 과거에는 진짜 코끼리 다리만지듯이 만들었겠네

  • @user-cm8it2vq1o
    @user-cm8it2vq1o2 жыл бұрын

    모병:이부분은 나무를 꽂아서 창처럼 들고 쏘는거 아님????

  • @polyonomata
    @polyonomata2 жыл бұрын

    화력덕후 한국의 시작이라고 할만한 전투지요. 지금도 우리 국방부는 화력전에 주력하는거 보면...

  • @user-vw5kd4or6o
    @user-vw5kd4or6o4 жыл бұрын

    매금이가 쳐들어왔는데 최무선의 화포로 무찔럿다 이말씀이시죠?

  • @sjwclover

    @sjwclover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 @user-iq5jc2xn3v

    @user-iq5jc2xn3v

    4 жыл бұрын

    여기 영상 올라올때 마다 매금이랑 싸움 ㅋㅋㅋㅋㅋ

  • @user-cc8ss4ds6d

    @user-cc8ss4ds6d

    4 жыл бұрын

    ㅋㅋㄲㅋㅋㅋㅋㅋ 물마시다 뿜었네 진짜

  • @lovereiwa6842

    @lovereiwa6842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6

  • @user-vw5kd4or6o

    @user-vw5kd4or6o

    4 жыл бұрын

    대 신라후예 진흥 매금대왕 내글 복사해서 자위하는 매금이왓누~^^

  • @user-dj5ku1mj9s
    @user-dj5ku1mj9s2 жыл бұрын

    역시 케이비에스

  • @sunshine-qx7vd
    @sunshine-qx7vd3 жыл бұрын

    고려때 쓰여진 사서가 맞는기다. 왜냐면 앞에 쓰여진걸 참고로 쓰는데 어째서 후대에 쓰여진것이 맞단 말이고

  • @tough2188
    @tough21882 жыл бұрын

    경북영천출생 영천에가면 최무선로 최무선과학관도있음

  • @user-rx3ws7ep8k

    @user-rx3ws7ep8k

    Жыл бұрын

    영천출신이군ㅡ최무선장군

  • @user-li7rb9cu9v

    @user-li7rb9cu9v

    9 ай бұрын

    영천 금호읍 이지

  • @j.svaraba9193
    @j.svaraba91934 жыл бұрын

    구독📰 좋아요👌 알람⏰ 레고레고~~

  • @ack3145
    @ack31454 жыл бұрын

    염초 만드는거 보니까 엄청 냄새도 나고 더러웠을 듯. 아마도 저런 일은 고려시대때는 노비나 부곡민이 하지 않았을까? 역사에 한줄 이름조차 남기지 못한 그분들에게 경외를 표합니다.

  • @user-xe4ww7qx6o

    @user-xe4ww7qx6o

    4 жыл бұрын

    언제나 나라를 지키는건 민초들이었죠‥ 삼별초도 이순신과 같이한것도 의병과 목숨을 같이한 노젓는 우리 민초였고‥일제치하 에도 당연히 그랬고 지금도 무능한 대통령을 끌어내린건 우리민초~!! 코로나도 잘이겨내고 경계 늦추지 말고 힘냅시다~!!♥

  • @user-dc7sj4sj4p

    @user-dc7sj4sj4p

    2 жыл бұрын

    @@user-xe4ww7qx6o / 그 무능하다는 박그네는 공무원연금 개혁도 햇고, 공기업 흑자로 만들엇으며, 부동산 집값을 잘 잡앗고,,,박그네 메르스 방역 사망자 37명은 무능하다고 욕하면서,,,문재인 코로나 사망자 2300명은 k방역이라고 잘하고 있다고하면,,,,멍청한 개돼지 소리 듣는게 당연하지 않나? 그리고 삼별초는 30년간 강화도에 짱박혀서 살다가, 돈 떨어지면 본토에 나와서 세금징수+식량수급해 갓으며,,,본토는 30년간 몽고군에 유린당햇는데?,,,그러다가 강화도에서 왕이 항복하니까,,,,제주도로 도망갓지 셰계 10위의 경제대국이 백신 접종률 100위에 백신 없어 유통기한 다된것 구걸해 온다면,,,,,,정말 멍청하다는 것 아니나?

  • @nuno9578
    @nuno95784 жыл бұрын

    저거 개인화기 아님? ㅎㅎ

  • @user-zx8dm2xs8r
    @user-zx8dm2xs8r2 жыл бұрын

    가만 생가케보니 30m밖에서 적선 흘수선을 맞추면 물이 들어가 침몰하고만다. 이순신 장군도 그리했을 것.

  • @user-dg3mt3qt7c
    @user-dg3mt3qt7c4 жыл бұрын

    저때 대마도에 우리 깃발을 꼽았어야 하는데 ㅉㅉ

  • @yummyenglish6901

    @yummyenglish6901

    3 жыл бұрын

    대마도는 조선시대만 해도 경상도에 속한 [조선의 영토]였습니다~

  • @user-si1rh1pj8c

    @user-si1rh1pj8c

    3 жыл бұрын

    관리가 안돼서 그런거지. 이미 고려령이였음

  • @user-sw1113

    @user-sw1113

    3 жыл бұрын

    대마도 먹어서 뭐하냐고 ㅋㅋ

  • @polyonomata

    @polyonomata

    2 жыл бұрын

    대마도는 에도시대 전까지 이중이었죠. 조선의 정3품 예우 수준의 벼슬도 받았고, 일본의 1만석짜리 다이묘이기도 했고...

  •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3 жыл бұрын

    도적질 때문에 전쟁이다 도적질 못하도록 하겠습니다 십계명 부터 ...

  • @user-dv2nq6me5u
    @user-dv2nq6me5u4 жыл бұрын

    개송도 그대로요. 순천도 그대로요. 진포는 바꿔었다. 공주도 부여도 너무 작지않나....,,, 생각해 보자구

  • @Werner4voss

    @Werner4voss

    4 жыл бұрын

  • @user-fr4ki7ep6u
    @user-fr4ki7ep6u4 жыл бұрын

    호랑이와 상어의 싸움이라 해상에선 밀림

  • @dongmyonglee4735
    @dongmyonglee47353 жыл бұрын

    원나라의 교초남발 국제교역 질서 붕괴되자 고려,강남 에서 식량을 교환해 먹던 일본 의 식량난으로 약탈에

  • @user-lw2zt6me9f
    @user-lw2zt6me9f2 жыл бұрын

    인사동 그 총통. 과연 진짜일까?

  • @saima5457
    @saima54574 жыл бұрын

    물동량 없으니 망정이지, 부산항 선석자리 꿰찰라면 치열한데. 항만공사 짱구 잘굴니네.

  • @user-js8rf7yp8k
    @user-js8rf7yp8k2 жыл бұрын

    우리 말고 아무도 모르는 세계 최초 함포전 진포대첩

  • @user-px8gt1bb4i
    @user-px8gt1bb4i2 жыл бұрын

    이 당시 왜군이 500척으로 왔다고 했는데,,,당시 왜의 조선술이 얼마나 뛰어 났는가 ? 그리고 그 주체 권력자는 누구였는가....?

  • @O_-O_O._oOo_o
    @O_-O_O._oOo_o Жыл бұрын

    23:36카리나 화살

  • @ZufraParty
    @ZufraParty2 жыл бұрын

    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파다 사 워 리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분석할 수 있으면 할 수있음

  • @user-ds8yr8bv6r
    @user-ds8yr8bv6r2 жыл бұрын

    왜선 500척의 조선 기술에 대하여 이야기 하여 보시오,,,그리고 왜국의 권력자가 무슨 이유로 500척을 배로 침략했는지 ~ㅡ 그러한 조선기술은 어디서 왔는지 이야기 해봅시다....화포는 많이 들었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