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상용항공기(COMAC)의 중대형 민간 항공기 C919의 미래는? [변비행✈243화]

Автокөліктер мен көлік құралдары

#중국 #항공기 #C919
오늘은 변비행에서 ✨C919✨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C919는 중국 국영기업 중국상용항공기(COMAC·코맥)이
만든 첫 중형 여객기입니다.
'싱가포르 에어쇼 2024'에서 본격적으로 보여준 C919✈,
그리고 상용화가 본격화 되면서
등장하고 있는 여러가지 이슈들을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보잉 #에어버스 #싱가포르에어쇼
타임라인
00:00 오프닝
00:29 중국 중대형 민간 항공기 C919
02:37 C919의 한계점
04:58 C919의 한계점을 어떻게 극복할까?
06:25 중국과 일본, 우리나라의 민항기 개발
08:37 미국의 중국 제재의 역설
09:46 중국의 항공기 기술 국산화, 윈드실드 글라스
12:01 마무리
기획·구성 | 변종국 정현지 이주희
촬영·연출 | 정현지 이주희 김윤지 김태형
편집 | 남원석
CP | 신준모
썸네일 | 김윤지(출처:연합뉴스)

Пікірлер: 412

  • @leelim1018
    @leelim101815 күн бұрын

    중국의 이런 도전적인 면을 우리는 배우고 감탄해야 되는 상황인데 계~속 부족한점만 떼내어 까고있고 조롱하고 있는것이 참... 부품중단해도 중국은 스스로 개발하고 만들수있다고 믿어.우리는 지금까지 한게 뭐있지? 참 부끄럽다.

  • @dkmin5019

    @dkmin5019

    6 күн бұрын

    부끄러울것까지야...지금 우리는 세계5위안에 드는 제조업 강국을 이루어냈으니 그런 자괴감까지는 안가지셔도 돼요.

  • @user-ys6mg3yz8t

    @user-ys6mg3yz8t

    5 күн бұрын

    이제까지 우리가 한게 뭐가 있냐니? 뉴스 안 보고 사냐? 한족이야?

  • @dkmin5019

    @dkmin5019

    5 күн бұрын

    @@uncledaniel. 5위가 아니라 분야별로 5위 안이라고...

  • @daz9101

    @daz9101

    4 күн бұрын

    ​@@dkmin5019有许多行业,韩国是没有的吧。 以下科技和行业是中国在世界排名第一或者第二。 这些行业韩国没有或者是第三世界水平。 中国自己制造的卫星导航。 中国太空工作站。 中国自己制造的各种卫星 中国自己制造的卫星发射火箭,有四个火箭发射场。2022年里,共发射64次火箭186个卫星。现在有500+个卫星在运行。 量子计算机。 超大型水力发电机,火力发动机,风力发电机 远距离超高压送电网, 核电站。 海洋石油开采平台。 480Km/H高铁。 160Km/H地铁。 全套采矿重型设备, 石油开采设备, 石油化工设备 天然气开采设备, 稀有元素探测和提炼 盾构机 汽车车身段压设备 无人港口全部设备。 5G通信设备 光纤电缆制造 光纤海洋铺设 太阳能电池 工业机器人 云数据 人工智能 图像识别 高级碳纤维 电动汽车 无人驾驶汽车 电动汽车电池 造船业,中国能够制造全球所有种类的船舰,货船,工程船(世越号打捞船是中国的,美国F35坠海,大捞工程船也是中国制造的),美国海军所有船舰,中国都能制造。 各种特种钢 高强度桥梁钢 农业无人飞机 高产杂交水稻,小麦, 海产海洋养殖 低温蔬菜种植 ............

  • @25eo

    @25eo

    2 күн бұрын

    1당 독재로 이만큼 못하면 그거야말로 문제죠 ㅋ... 부러워 할게 없어서 1당 독재를 부러워 하시네 ㅎ...

  • @energymf1991
    @energymf199116 күн бұрын

    중국에는 민간항공 여객기 엔진이 있습니다. C919는 CJ1000, C929는 CJ2000이라고 합니다. cj1000의 엔진이 테스트되었습니다. 외국 엔진을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중국 여객기 엔진이 장기적인 작동 안정성에 대한 테스트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여객기의 한쪽 날개에 CJ1000 하나만 테스트되었습니다. 중국이 아직도 미국과 프랑스가 공동 개발한 엔진을 구매하는 이유에 대해. 하나는 이 엔진이 완전히 미국산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하나는 이것이 위험한 게임이지만 동시에 시험이라는 점이다. 이는 미국 정부의 태도를 시험할 수 있다. 중국에 기술 엔진이 없는 것이 아니라 테스트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민항기 엔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성, 낮은 유지비, 연료 효율성이다. 그렇지 않으면 어떤 항공사도 이를 구매하거나 임대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느 정도 이것은 실제로 위험한 게임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태도를 알기 위해 이런 테스트가 필요할 때도 있다. 중국도 희토류 정제 기술을 어느 정도 습득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중국과 완전히 분리되기를 원하지 않는다. 더욱이 중국은 지난해에도 미국에 비해 수천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고객이 불친절하더라도 완전히 화나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 @user-qo8gy6ex7n
    @user-qo8gy6ex7n10 күн бұрын

    중국비행기가 이미 제주도에 취항햇습니다.AR-21이라는 100명탑승하는 C919보다 작은 비행기입니다.중국 난창에서 제주도 주 2회 왕복합니다.4월달에 시작햇고 한국인도 타고 있습니다..우리가 그냥 몰라서 그렇지 이미 중국산 비행기를 타고 잇어요...중국비행기는 동남아에서도 다니고 있음.동남아여행가면 중국비행기는 탈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요..보잉이나 에어버스나 다 외국제품이 절반정도입니다..보잉도 다 미국산이 아님..약 40%가 외국부품임.특히 일본부품 중국부품많이 사용함니다.중국은 비행긱국산화를 올릴수 있으나 개발을 하고 대비하고 있지만 대체는 하지 않음.왜냐 외국이 돈벌고 차차 외국에 진출하기 위해서 준비중...

  • @Jake-superman
    @Jake-superman6 күн бұрын

    결국에는 해낼겁니다 13억의 기술자와 두뇌가 있고 결정적으로 13억의 베타테스터가 있으니까요 유럽과 미국이 항공기를 개발가능 했던건 그들에게 기술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들에게 민항기 수요가 있는 거대한 항공 시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건 중국도 마찬가지죠~ 우리나라 영토가 만주와 연해주까지 포함한 크기에 인구도 3억이면 분명히 우리나라도 국산항공기 만들고 엔진까지 국산화 해서 만들어서 쓰고 있었을겁니다.

  • @geny1
    @geny125 күн бұрын

    중국 입장에서는 737 a320 내수용 대체로 쓸수 있다는게 크죠 FAA 승인은 힘들겠지만 737max가 개판 치고 있으니 변수가 많을듯 합니다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5 күн бұрын

    내수로만 수년쓰다가... 나중에야 좀 도전하지않을까 하는..근데 또 브루나이에서 주문했으니 봐야될듯합니다. 내수시장 큰게 너무 깡패...

  • @geny1

    @geny1

    25 күн бұрын

    ​@@donga-flyingbbhC929가 광동체로 나온다는데 이게 가장 클꺼 같네요 전기차 처럼 가성비로 판매 하지 않을까 헙니다

  • @user-rk6on9hh5q

    @user-rk6on9hh5q

    24 күн бұрын

    @@geny1 가장 무서운거 한 30년쯤 뒤면 보잉이런 회사는 미국 내수시장만 다니는 비행기가 댈듯 에어버스는 좀 다르지만 보잉은 물 건너 감,,,가격 경쟁력에서 중국을 넘는건 불가능 하다고 봄 저것도 수입품이 많아서 비싼거지 저게 죄다 중국제품으로 대면 가격이 크흠,,,

  • @user-pr8sr7ng4v

    @user-pr8sr7ng4v

    Күн бұрын

    한국엔 오지마라

  • @nts6759
    @nts675925 күн бұрын

    중국이야 거대한 국토와 인구에 의한 항공기 수요를 외국 업체에 고스란히 내줄 수 없는 일, 어마어마한 자본과 시장 경제를 무시할 수 있는 권력이 있으니 필히 투자할 수 밖에 없지만 우리 입장에서는 사실상 에어버스 보잉 양대 기업이 독점하고 있고 그나마 보잉은 현재 엄청난 위기인 서방 항공기 시장은 절대 불루 오션이 아님. 5000만 인구의 나라에서 선택과 집중이 중요하고 민항기 시장은 우리가 욕심낼 처지도 아니고 이유도 전혀 없음.

  • @cats-korea

    @cats-korea

    5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은 못하는게 아니고 안하는거다

  • @user-rf1ow8km9k

    @user-rf1ow8km9k

    2 күн бұрын

    @@cats-korea못하는게 맞는데...항공기를 우습게 보시네요.한국처럼 작은 나라는 항공기 자체 개발 엄두도 못내요

  • @user-gq1il6dq9k
    @user-gq1il6dq9k19 күн бұрын

    자국 비행기 중국도 언제가는 만들게요 못만드다는 이유는 있을까요

  • @justinkim126
    @justinkim12625 күн бұрын

    만약 c919가 오래 안전운항을 해서 레퓨테이션 획득한다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변기자님 배경음악 볼륨 조금만 줄여주세요~~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5 күн бұрын

  • @Ritka1997
    @Ritka199725 күн бұрын

    FAA가 국제항로 통과 승인이 난다면 과거 봉바르 CS300 때 처럼 판 구조가 또다시 바뀔수도 있을려나요?

  • @jetalpha
    @jetalpha25 күн бұрын

    11:36 C929는 787급 다른 체급의 신기종이라 919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 @stanlee8781
    @stanlee878116 күн бұрын

    에어버스가 텐진에 제조공장을 만든게 큰 역할을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hahahaha2961

    @hahahaha2961

    4 күн бұрын

    中國在1980年就生產了比c919還大的客機運十

  • @stanlee8781
    @stanlee878116 күн бұрын

    부품은 다른 봄바디어나. 엠브레어 등도 다 다른 나라에서 수급하는데 유독 중국 항공기를 얘기하면서 주요부품은 중국산이 없다고 얘기하는 것은 비교가 좀 잘못되었습니다. 공급측면은 논외로 해도 자국부품 비율은 에어버스 보잉 등 여타 제작사 항공기를 분석할때 잘 하지 않는데 유독 중국항공기만 부품을 논합니다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15 күн бұрын

    유의미한 지적이십니다. 다만, 제가 영상에서 전달하려던건 미중 갈등이나 기타 중국 견제 움직임에서의 트리거가될수있다는 점이죠. 실제 트럼프게 으름 장 놓기도했고요. 무역 갈등 카드(수출입 및 관세 등등)가 될 수있다는 점도있고요. 중국이 국산화에 집중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근데 또 미국 CSIS는 C919 가 성공하면 관련 미국 부품사들 돈 벌수 있다면서 제재늘 하면 안된다고 이야기하고있죠. 정상적인 부품 공급망 시스템이 돌아간다는 전제에서는 큰문제가 없지만.. 부품의 수급문제는 생산차질로 이어지고, 그런 위험이 고개들에겐 C919를 선택하지않게하는 요인일수 있어서 영상에서 지적을 했습니다. 영상에서 충분히 전달못드린것 같네요. 앞서 몇년전에 제가 C919를 한번 더 소개한 영상이있는데, 거기서는 무역 갈등 측면에서 이야기를 좀 더했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 @stanlee8781

    @stanlee8781

    15 күн бұрын

    @@donga-flyingbbh 사실 저도 개인적으로는 너무 다른 나라에 민폐인 짓을 많이 해서 잘되는게 보고 싶지 않습니다. 많은 언론에서 부품 자국화 비율을 언급하며 온전치 못한 항공기로 보도를 하지만 다들 비슷한상황인데 마치 곧 망할 항공기로 보도만 하는게 맞는 걸까 싶습니다. 국제적으로 인증받지 못해 내수용으로만 그칠 수도 있으나 929등 대형기를 만들어도 내수시장용으로 충분히 써먹을 수 있으니 전혀 개의치 않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얘네들 919 지금도 너무 잘 굴리고 있고 계속 업데이트 해서 다듬어 낼겁니다. 시간의 문제지 나중에 로비나 우호적인 상황이 오면 바로 인증받아서 국제선을 다니지 않을까요? 유럽이나 미국 인증받지 않더라도 동남아 잘 설득해서 그들 국가에 다닐테고 그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전 중국 전기차가 너무 잘 나가서 저놈들 안전테스트는 하고 다니는건가 했는데 이미 유럽 미국에 진출한거 보면 이미 국내용이 아닌것 같습니다. 안전성을 떠나 중국 전기자 보면 너무 잘 만듭니다. 근데 가격까지 싸니 어찌 안살 수 있겠습니까? 암튼 재미난 기사들 동영상으로 만들어 주셔서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15 күн бұрын

    그쳐 내수가 깡패죠...전기차도 그렇고요. 어떤변수가있을지모르나, 충분히 도전할만한 상황이라고 봅니다. 몇년간 평판 쌓이면 모르는거죠.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15 күн бұрын

    유럽 미국아니어도. 동남아 중동만 가도될듯ㅋㅋ

  • @kimpm5367
    @kimpm536724 күн бұрын

    한때 사천에서 A321 Door frame 만드는 회사서 일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안 될꺼예요. 하청에 하청으로만 사업할 생각하는 풍토에서 어느 기초산업이 발전하겠어요. 중국 욕할 일이 아닙니다.

  • @user-zf7bj9fr2f
    @user-zf7bj9fr2f25 күн бұрын

    옛날에 FOKKER 社가 F100 생산라인 가져가라고했을떄 댄공이 받았으면 어땠을까요?

  • @dongincheonrapid

    @dongincheonrapid

    25 күн бұрын

    삼성이 인수하려다가 무산되었눈데....

  • @user-zt9hj5wd5x

    @user-zt9hj5wd5x

    25 күн бұрын

    그 당시 포커 회장이 삼성 못 믿는다고 기술 이전 안된다는 말이 있었죠

  • @danielkim6426
    @danielkim64265 күн бұрын

    대 호황기의 일본도 두번이나 포기한 민항기 개발입니다. 중국은 상황이 좀 다르니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5 күн бұрын

    중국은 내수가 깡패라 의미있는 성과를 낼지도

  • @ZHAOGUANGZHUzhao-if2qm
    @ZHAOGUANGZHUzhao-if2qmКүн бұрын

    그래도 미국 보잉비행기 한달한번씩 대형사고 난다

  • @user-cf4qi5ug8m
    @user-cf4qi5ug8m17 күн бұрын

    예전 일류신을 탔는데 이코노미 1열에 앉았어요. 식사를 주는데 두꺼운 알루미늄판을 들고와서 조립하고 식사를 주었어요. 뭐라 그럴까 매우 낫설었던 ㅎㅎㅎ 인천도 다녔어요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17 күн бұрын

    전설의 일류신ㅎㅎㅎ

  • @dkmin5019

    @dkmin5019

    6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도 들어 온적이 있군요? 에어콘에서 습기 팡팡 나오는 항공기 맞죠 ?

  •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21 күн бұрын

    수송기 윈20엔진 만드는 나라가 여객기 엔진 못만들가?? ㅎㅎ미국엔진 선택한이유는 상업엔진 가성비땜에죠...

  • @dkmin5019
    @dkmin50196 күн бұрын

    브라질 항공사 엠브라에르를 한화에어로 KAI 대한항공이 인수한다는 설이 있던데 이 이야기도 해주셔요.

  • @user-pf1ze2fv4b
    @user-pf1ze2fv4b25 күн бұрын

    11:15 이런 자료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 몇년간 산업 전체를 보낸데 큰 도움이 되겠네요

  • @user-yy4eb7hb4c

    @user-yy4eb7hb4c

    25 күн бұрын

    저중 21개는 이미 개발했다고 합니다. 다만 항공 관련 기술은 전부 못했어요. 그만큼 어려다는거겠지요. 영상에는 담지못했네요. 매우 예리하게 보신건데요. 중국이 저 기술 중 반도체 이차전지 분야 기술 얻기위해 한국 상대로 기술 유출시도를 하고있기도 하죠.

  • @user-pf1ze2fv4b

    @user-pf1ze2fv4b

    25 күн бұрын

    @@user-yy4eb7hb4c 아.. 인사이트 있는 자료와 댓글 감사합니다. 영상에 자료첨부하시면서 이걸 누가본다고 하셨을것 같아서 언급해드려야 할 것같아서요. 중국 우주기술을 얘기할때 처음 20~30년간은 기초이론에 대해서만 연구했다고 하고, 베트남전 말라리아 기술로 90세 할머니가 노벨상 받는거에 대비해, 한국은 근본적으로 장기 프로젝트는 맞지가 않는 나라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최근 들고 있습니다. 유튜브 국뽕채널들이 만리장성으로 망한 청나라처럼 우리들의 시야를 흐리고 있다고 생각하던차에 기술동향에 대한 이런 세부적인 영상 감사합니다.

  • @biohajad2
    @biohajad222 күн бұрын

    보잉이 하는거보면 보잉 자리 차지 할지도 ㅋㅋㅋ아니면 지금의 에어버스자리 ㅎㅎ

  • @blossomcinema772
    @blossomcinema77223 күн бұрын

    재미난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대한민국이 과연 수송기도 아닌 민항기를 만들 이유가 있을까요?? 지금도 충분히 좋은 값에 민항기는 구매 가능한데 , 수요도 없는 민항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을까요? ~ 우리가 과연 민항기를 아무리 잘 만들었다고 해서 과연 몇대나 팔 수 있을지요? 이미 보잉과 에어버스의 민항기 소프트웨어기술은 거의 반세기 정도의 기술축적을 했는데...과연 얼마나 많은 비용을 투자해야 따라 잡을 수 있을까요? 중국처럼 인구가 많은 나라라면 모를까요...

  • @riderlife8968
    @riderlife896822 күн бұрын

    다 좋은데 내수시장이 받쳐 줍니까? 불확실한 해외시장에만 올인??? 브라질도 민항기 만들어요.. 내수시장이 되니깐요. 우리는 우리나라가 잘하는 분야에 집중하는게 더 중요하죠. 그냥 부럽다고 그냥 하자? 노노노노 저런건 중국내수에 잘 쓰라고 쿨하게.. 괜히 우리나라 원망말고..

  • @user-pe5pn4ym4b
    @user-pe5pn4ym4b20 күн бұрын

    음 그게 일명 우영우 수송기라고 카이가 추진을 한적이 있는데 지금도 그 프로젝트가 진행이 되고 있나요 궁금하네요

  • @Aviation_Train
    @Aviation_Train25 күн бұрын

    1등!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jinshiksung
    @jinshiksung24 күн бұрын

    C929 만들어 직구할듯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 @joseph5146
    @joseph514624 күн бұрын

    C919 정도 기체는 한국도 할 수 있지. 엔진도 CFM LEAP이고, Avionics랑 전력계통도 사다 쓰고. FAA, EASA 인증도 받을 계획이 없으니 개발비도 엄청나게 절약되고. 감항인증 받겠다고 쌩난리치다 개발비 폭증해서 망한 일본 MRJ보다 기술적 난이도는 낮음. C919도 감항인증 없으면 Experimental Aircraft야 결국ㅋㅋㅋ

  • @user-qc3zw2ds6u

    @user-qc3zw2ds6u

    20 күн бұрын

    한국 기술 훔친거아냐?

  • @houb_-pc9ox

    @houb_-pc9ox

    13 күн бұрын

    ​@@user-qc3zw2ds6u😂

  • @jeyji2534
    @jeyji253425 күн бұрын

    항공기에서 무사고 기록이 중요하다는건 보잉만봐도 알수있죠

  • @user-fm3up5jn9g
    @user-fm3up5jn9g25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구독자 황정우입니다 음~ 글쎄요 저도 좋은쪽으로는 생각이 안드네요 우선 유럽 🇪🇺 과 미국 🇺🇸 영공에 들어가지못한점 과 변기자님 이 말한 주요부품 기체품이 (미국&프랑스)제품이라고하니 진짜 부품 중단이되면 운항중단되는건 안봐도 뻔하겠네요 저도 아닐땐 아닌데ㅣ 항공사업은 부럽습니다

  • @dalbongpark2830

    @dalbongpark2830

    25 күн бұрын

    부럽다뇨. 일본은 개발하다가 사실상 지들이 기술이 안되어서 포기한거고, 우리는 더 어려운 전투기도 독자적으로 설계 개발하는 단계인데요. 지금 개발한다면 할 수 있는데, 문제가 얼마전 자칭 전문가들이 말하는거 들어보니 우리가 개발하면 외국 기체만큼 경제성이 있냐? 이런 식이라 개발 못하는거죠. 민항기 정도는 지금 기술 정도로도 만드는거 쉬울거임. 오히려 어려운게 헬기나 전투기 수송기 쪽이죠.

  • @user-xb2uq3se7d

    @user-xb2uq3se7d

    23 күн бұрын

    ⁠@@dalbongpark2830민항기는 우리나라가 더 어렵습니다. 개발시점도 그렇고 일부 라이센스 생산이라 보라매랑 비교하면 보라매가 우위지만 일본, 중국은 예전부터 자국에서 전투기 만들어 굴리던 나라예요. 항공우주 기술 훨씬 발달한 두 나라에서도 민항기 기술이 없어서 자국 부품은 얼마 있지도 않습니다. 운항인증 단계를 버틸지가 문제인데 우리나라가 굳이 시도하지 않는 이유는 해외에서의 경제성도 있겠지만 국가차원으로 무리하게 진행하다가 KAI 날아가는거 순식간인걸 알기 때문에 시도조차 안 하는겁니다. 이게 현명한거예요. 독점 때문에 난리라지만 민항기 시장은 덤비면 안 됩니다

  • @dalbongpark2830

    @dalbongpark2830

    23 күн бұрын

    @@user-xb2uq3se7d 일본이 자국 전투기를 언제 만듬? 심신이라 해봤자 f5보다 하윙전투기고 일본애들 날개 무게 집중으로 크랙 가는걸 f2에서도 문제였고 이게 문제되어. 민항기 개발도 포기했음. 도대체 뭘보고 기술이 앞선다는거임? 중국도 사실상 러시아 전투기 카피고 j20 이나j10정도가 그나마 해외 설계도 훔쳐배우거나 지들이 카피해서 수정한정도지. 그렇게 따지면 우리도 f5,부터 f16, fa50등 독자설계에 라이센스 생산한지 꽤됐음. 우리가 안되는게 엔진인데? 어차피 민항기시장은 리프엔진이나 롤스 ge pw사꺼 쓸건데, 만들기는 전투기보다 훨쉽죠. 전투기도 4대 핵심 장비랑 가벼우면서도 스텔시한 소재 그리고 10g이상 버티는. 가벼운 소재. 민항기는 복합소재 써서 연비효율 개선 신경 안쓰고 알루미늄 계열이면 더쉽게 만들죠. 문젠 안팔리니 못만드는거지.

  • @dalbongpark2830

    @dalbongpark2830

    23 күн бұрын

    @@user-xb2uq3se7d 그리고 우리나라 감항인증 으로 날라간다는게 대한항공이면 이해하는데, 카이가 왜 날라감? 카이는 어차피 우리나라 정부가 주 계약잔데, 우리나라 항공수요 보셈 동남아 대만 국내선만 뚫어도 본저 뽑고도 남습니다. 수송기. 사이즈 200. 이하만 팔아도 남기는데 국내 항공사와 군 수요량 그리고 항공물류 생각하면 경제성은 있죠. 그걸 구지 항공사들이 원하지 않을 뿐이지.

  • @dalbongpark2830

    @dalbongpark2830

    23 күн бұрын

    @@user-xb2uq3se7d 일본은 민항기 포기한게 지들 기술부족이고, 심신도 고작 f5 하위호환급임. 중국도 카피하다 j10 j20에서나 개발했지. 그렇게 따지면 우린 25년전에 독자개발한 fa50. 날렸음. 저 기준이란게 모호함.

  • @onbokyi3136
    @onbokyi313625 күн бұрын

    좀전에 러시아에서 제작한 여객기 시험비행 하는걸 유튜브 영상에서 봤는데 형상은 중국제 이 비행기와 비슷 합니다. 사이즈는 737 아팻급인 엠브레어 reginal jet 사이즈 비슷 하구요. 서방 제재 때문에 이 두 나라가 자체적으로 여객기를 제작하나 봅니다. 내수가 어느정도 되고 항공기술도 있으니까 이럴수 있겠지요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5 күн бұрын

    오 감사합니다!

  • @dongincheonrapid

    @dongincheonrapid

    25 күн бұрын

    이르쿠트 MC-21 얘기하시는거 같네요

  • @user-vv5lp8gg6l

    @user-vv5lp8gg6l

    25 күн бұрын

    리지널이면 수호이 슈퍼제트 100(ssj100) 아닐까요. 최근 나온 기사는 제가 알기론 러시아 자체 체계(특히 엔진)을 테스트힌것 으로 알고 있어요.

  • @dongincheonrapid

    @dongincheonrapid

    25 күн бұрын

    @@user-vv5lp8gg6l SJ-100 맞는거 같네요

  • @user-bf2bj8lj3d

    @user-bf2bj8lj3d

    25 күн бұрын

    ​@@donga-flyingbbh 이런것보면 일본이 자체항공기 포기하고 캐나다에서 항공기 모델만 구입한 것이 신의 한수인듯요. 일본보다 먼저 KAI가 해당모델 구입했으면 진짜 일본 미쓰비시 망하는 것이었는데...

  • @user-agheuu0v
    @user-agheuu0v4 күн бұрын

    我不坐波音的飞机,因为事故率很可怕,我更相信A320,当然也包括C919

  • @scotchblue17
    @scotchblue1725 күн бұрын

    우리는 너무 늦어서 개발하기엔 무리인듯 일단 내수시장 자체가 안돌아가서 불가능 섬 제외하고 서울에서 부산 제외하면 무조건 차로 이동하려고 함(아니면 기차) 이러니 제주,부산 제외하곤 737, 320급을 다 채울수가 없어 가성비가 오히려 손해 예전부터 엠브라에르나 atr에 투자해서 양양 울산 같은 지방 공항이라도 살렸어야 되는데 아쉬움 이젠 차라리 개발보단 엠브라에르 투자하는게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함

  • @eisjshaieonw

    @eisjshaieonw

    23 күн бұрын

    내수가 국내선을 말하는건 아니죠 그리고 그냥 나라가 작아서 국내선이 발전을 못한거죠

  • @scotchblue17

    @scotchblue17

    23 күн бұрын

    @@eisjshaieonw 내수가 국내선 말하는거에요 말했지만 비행기 대신 철도가 잘 깔려있어서 비행기 시장이 못큰거죠 국제선이랑 제주행이 잘나가지만 다른 지방도시가 못나가는건 단순 나라가 적어서 그런건 아닙니다

  • @eisjshaieonw

    @eisjshaieonw

    23 күн бұрын

    @@scotchblue17 항공기 개발과 판매에 있어 내수는 자국 항공사에요 국내선이 아니라 국제선에 비행기를 쓰더라도 국적 항공사에서 사면 우린 그걸 내수라고해요 철도와 도로도 국토가 좁으니깐 촘촘히 잘 연결된거고 나라가 크면 도로와 철도가 나쁘지 않아도 결국 비행기가 시간상 큰 우위를 가져서 많이 쓰게됩니다 미국 중국 베트남 필리핀 러시아가 호주가 대표적이죠 그리고 현실적으로 한국 같은 나라에서 50인승 이하 소형항공사는 구조상 절대 흑자를 볼 수 없고 대한항공의 a220정도 되는 100-120 린승도 쓰임이 애매합니다 울산은 지금도 737 320 잘 다니고 있고 양양은 인구도 유동인구도 부족해서 안돼요 플라이강원 코리아익스프레스가 그래서 망했죠 충분한 승객이 있으면 737이상 급으로 운영할 수 있을 때 수입이 나고 한국의 모든 민 공항은 737이 내릴 수 있습니다 비행 교관 할 때 양양 울진 무안 공안에서 근무 했었고 지금은 외항사 부기장이고 수 많은 공항에 가봐서 항공사 비행기 공항에 대해서 잘 알고 있습니다

  • @eisjshaieonw

    @eisjshaieonw

    23 күн бұрын

    @@scotchblue17 제주는 차나 기차로 못가고 배타고 가면 오래 걸리니깐 그러죠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같은 섬 나라들은 국가가 크지 않아도 국내선이 발전하죠

  • @eisjshaieonw

    @eisjshaieonw

    23 күн бұрын

    @@scotchblue17 제주는 차나 기차로 못가고 배타고 가면 오래 걸리니깐 그러죠

  • @user-tv9ci1sh4m
    @user-tv9ci1sh4m3 күн бұрын

    중국 항공기 시장이 워낙 거대해서 중국 은 미국 보잉사 거부하고 프랑스 에어버스와 러시아 엔진 공동 개발로 벌써 중국 내수 시장 1000 대 확보 벌써 최대 강자로 등장했다

  • @oliviamun
    @oliviamun19 күн бұрын

    항공우주 기술이 미국 다음으로 좋다고 자부 하던 러시아 조차도 아무리 군용기에서는 방구좀 끼지만 쌔가 빠지게 해도 안된 분야가 민항기 시장임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19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그렇죠

  • @user-zs3vc6rk3z
    @user-zs3vc6rk3z25 күн бұрын

    이런거 보면 혼다가 젤 무서워요 비지니스용 항공기라 해도 직접 만들어서 띄우기도 했으니 말이죠

  • @useroneuserone6635

    @useroneuserone6635

    21 күн бұрын

    그리고 폭싹 망했…

  • @houb_-pc9ox

    @houb_-pc9ox

    13 күн бұрын

    ​@@useroneuserone6635세탁기나 만드는 한국따위가 열폭은 ㅉ

  • @ruoguu
    @ruoguu5 күн бұрын

    언젠가는 가능하다고 믿는 이유는 중국은 미국, 유럽연합과 같은 급의 자체 시장을 갖추고 있는데 있다. 지금은 부족하더라도 내수용으로 먼저 사용을 하고 기술 업그레이드 시키고 인재발굴하고 운영 노하우를 쌓으면 된다. 하지만 시장이 작은 일본은 외부 수출로 발전시켜야 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애초에 절호의 기회를 프랑스에 빼앗긴 샘이지.

  • @fama8596
    @fama859623 күн бұрын

    시간의 문제고, 점유율의 문제이지. 상업시장의 한켠을 차지할 겁니다.

  • @turnsun8208
    @turnsun82089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이런 도전으로 차후 기술의 노하우와 경험이 무서울 꺼라 생각하는데 이건! 국가의 경쟁,산업화를 기조로 하면 의미가 있지만 단순히 한사람의 독재를 위한 뽕 채우기의 일환이기에 의미 없음

  • @hayu812
    @hayu81225 күн бұрын

    와 787도 닮은듯 하고요 자체 기술이 없으니 다 조립하겠죠?

  • @josch3483

    @josch3483

    25 күн бұрын

    조립도 무섭지 않나요?

  •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24 күн бұрын

    @@josch3483 우리나라가 전투기 라이센스 생산한게 오래됬는데 엔진부터 시작해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우리도 무섭겠누

  • @josch3483

    @josch3483

    24 күн бұрын

    @@seungwooham3204 그렇죠. 그래서 한국엔진 비행기 안타잖아요. 그리고 전투기 엔진 라이센스 생산과 자체 기술이라고 카피하고 어디서 온지 모르는 기술로 만든 민간항공기 타고 다니는 것과는 차이가 있지 않나요?

  • @josch3483

    @josch3483

    24 күн бұрын

    @@seungwooham3204 하나 더 이미 조선사업에서 그 결과를 보지 않았나요? 싸고 카피한 기술과 오랜 시간을 두고 자신의 기술로 만들어온 것의 차이를 느낄수 있죠. 참고로 싼 중국산 선박과 국산 선박의 연비차이는 아직도 개선되지 않고있죠.

  •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24 күн бұрын

    @@josch3483 ? 내 말이 이상한가... 한국산 엔진 비행기 안타면 지금 kf21이나 f4 팬텀 f5 전투기 어케 굴러갔?

  • @user-ku4zr3bx3s
    @user-ku4zr3bx3s21 сағат бұрын

    우물안에개구리😂😂

  • @user-ps7oz3um9k
    @user-ps7oz3um9k8 күн бұрын

    위험 불안해서 타겠냐 확실한. 안전성 되야지 중국 내수용으로. 사용해라

  • @donaldblessing263
    @donaldblessing26324 күн бұрын

    C919를 지금 한국에 취항하려고 엄청 로비를 하고 있는데 .. 기가찰 노릇 특히 우리 지방 공항에 특별 전세기편으로 올려고 할것 같음 ....어휴 !!!!!

  • @user-pr8sr7ng4v
    @user-pr8sr7ng4vКүн бұрын

    쪽수많고 땅덩어리 크면 만듵수 있지 그게 안되니 안하는것뿐

  • @fly_w_tony
    @fly_w_tony25 күн бұрын

    어쩌면 중국의 기술력 부족보다는 서방국가들 승인을 얻는 데에 조금이라도 쉽게 하고자 일부러 그렇게 한 것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ㅠㅠ 그거 안전한거 같지 않다고 하면 너네 나라 부품인데? 이런 식으로 말이지요..

  • @kc00604

    @kc00604

    24 күн бұрын

    이게 맞는듯.

  • @injaebaek9605

    @injaebaek9605

    24 күн бұрын

    이미 중국의 항공우주기술은 미국,유럽연합의 수준과 동일하거나 넘어섰다고 하는 평가도 많더라구요

  • @eisjshaieonw

    @eisjshaieonw

    23 күн бұрын

    이건 아님 부품이 외산이 많다고 안전 한게 아니니깐 그냥 기술력이 부족하고 개발 비용이 더 비싸니깐 그런 거임

  • @user-er6io4wf8j

    @user-er6io4wf8j

    23 күн бұрын

    ​@@eisjshaieonw 아닙니다. 자체생산 목표로 기술개발과 생산중입니다. 90%이상이 목표입니다

  • @eisjshaieonw

    @eisjshaieonw

    23 күн бұрын

    @@user-er6io4wf8j 목표는 무의미 지금은?

  • @jingzaiyu1185
    @jingzaiyu118520 күн бұрын

    우주왕복선을 만드는데 여객기 만드는게 뭐가 그렇게 놀라운일인가? 아는만큼 보이는법 댓글들보면 대한민국수준이 보인다.

  • @Jaro-89

    @Jaro-89

    18 күн бұрын

    네 다음 JJang gae

  • @zamboking577

    @zamboking577

    17 күн бұрын

    넌꼭저거타라해

  • @zamboking577

    @zamboking577

    17 күн бұрын

    우주왕복선이 마데인지나꺼시여?

  • @lidongri0606

    @lidongri0606

    13 күн бұрын

    ​@@Jaro-89개한민국

  • @houb_-pc9ox

    @houb_-pc9ox

    13 күн бұрын

    ​@@Jaro-89다음 senjing

  • @Berserker195
    @Berserker19525 күн бұрын

    공산권 항공기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점인데, 수호이 슈퍼제트 100도 러시아 국내 이외에는 거의 안 쓰는 이유도 멕시코의 인테르젯 항공사에서 싸다고 대량 도입했다가 매뉴얼 내구성의 5분의 1밖에 안된 시점에 죄다 퍼져서 다들 조기퇴역 시켜버렸기 때문인데, 중국제 항공기도 비슷한 문제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듬. 동구권 국가들이나 중국은 미국이나 유럽같은 서방권 국가들에 비해서 제련 기술이나 엔진 등의 제작기술이 떨어지는데, 그게 내구성으로도 나오는 거.

  • @Sleeppage

    @Sleeppage

    23 күн бұрын

    내구성 이슈의 가장 큰게 엔진 아닌가요? 엔진은 CFM것을 쓰기 때문에......

  • @Berserker195

    @Berserker195

    23 күн бұрын

    @@Sleeppage 엔진 이외에도 전반적인 기체의 내구성을 말하는 겁니다. 슈퍼제트 100도 기체 균열같은 여러 문제들이 많았거든요.

  • @user-tt3hl9pi6h
    @user-tt3hl9pi6h6 күн бұрын

    당신은비햄기타고 여행하겠어요 안전검증안된것 글쎄요 몰락의길이 보이지않을까요 중국인도 이용한가요

  • @2-st1mj
    @2-st1mj20 күн бұрын

    중국 비행기 위험하고 불량인데, 왜 미국은 견제하나요? 그냥 날아다니게 하고 뚝뚝 떨어져서 개망신 당하고, 규제 때려서 망하게 하는게 더 좋은거 아님가요?, 지금 보잉처럼 말이에요.

  • @user-su3oi1jz3u
    @user-su3oi1jz3u18 күн бұрын

    중국 오토바이도 거르는데 비행기는 돈 줘도 못타겠다ㄷㄷ

  • @Fat_Badger
    @Fat_Badger9 күн бұрын

    뭐~ 우리도 다른 의미에서 시작 했으니까. 일명 "우영우 수송기".

  • @user-sk3vn3xb5f
    @user-sk3vn3xb5f23 күн бұрын

    시진핑 전용기로 쓴다면 신뢰할수있을지도...

  • @Chbkim0433
    @Chbkim043325 күн бұрын

    댓글보면 한국애들 착각을 하는게 보잉이나 에어버스 독자적으로 개발한거야? 부품이 다 다국산인데 조립은 아무나 하냐? 그럴 능력이 있으면 한국은 왜 않하는데?

  •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24 күн бұрын

    내용 안 보니? 우린 내수가 돌 구조가 아니고 중국 정부처럼 소유한 국영 기업들에게 대량으로 구매를 요청할 이유도 없으니까 그런거겠지 생각이라는 걸 좀 하고 살자. 한국이 능력이 없어서 kf21 전투기 10년만에 완성 시켰겠니? 중국 애들은 오히려 에이사 레이다 만들 기술도 없어서 한국 카이 해킹해서 만들었는데 그거만 봐도 대충 짐작을 해야겠지?

  • @user-hh7qf7cw8p
    @user-hh7qf7cw8p22 күн бұрын

    c919에 대해 넘 오버 하시는 듯 왜 우리는 못 할까요? 모든 특허를 정당한 비용을 주고 구입하고 사용 허가도 정당하게 받아서는 중국은 할 수 없는 일이죠 중국인의 생명을 갈아서 만들어 국내선이나 힘 없는 국가들 협박해서 사용 하게 하겠죠...

  • @dkmin5019
    @dkmin50196 күн бұрын

    상용 민간제품은 좀 다른게있죠...가격경쟁력 상품성 . 이 상품성에서 중국제품이 어떨지 의문이듭니다. 아무리 우주선을 쏘아 올린다해도 그건 몇개에 불과하고 우주선은 상품성은 관계없거든요..전투기엔진 수명만 봐도 미국은 12000시간인데 중국은 겨우 4000시간이죠.. 중국이 독일고속철ICE를 기반으로 2017년말 국산화한게 푸씽호复兴号인데 제가 여러번 타본결과 상용화 품질 미달이었어요...가속시 모터소음 위이잉~280km넘어서니 실내공기 공명음이 벙벙벙.. 거기다다 출입문 작동소음이 철커덕 위잉~푸쉭... 실내커튼 대부분은 저절로 흘러내려와 있구요.. 우주선은 이래도 문제없지만 상용제품은 안되죠.. 제 경험에 따른 예상문제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camyilam2139

    @camyilam2139

    5 күн бұрын

    is that so?

  • @dkmin5019

    @dkmin5019

    5 күн бұрын

    @@camyilam2139 // Yes ~!!!!

  • @user-fj8rt4dg9w
    @user-fj8rt4dg9w4 күн бұрын

    사촌이 땅사면 배아프다.

  • @user-uu2qe6ek5y
    @user-uu2qe6ek5yКүн бұрын

    Ok

  • @sddad2353
    @sddad235323 күн бұрын

    핵심부품 수입..미국이 물건안주면 생산올스탑

  • @109prime
    @109prime10 күн бұрын

    사람 목숨걸린거는 제발 좀 만들지말아라 중국아...

  • @sierrajuliet7722
    @sierrajuliet772225 күн бұрын

    코맥에 들어가는 핵심부품이 대다수 중국자체생산이 아닌 미국등 선진국에서 들여와야 되서 인증부터 대량생산은 한참 멀었어요 엔진은 중국이 한참전부터 러시아 전투기 카피해서 만들고 있어서 기술력이 꽤 쌓였지만 Avionic은 미국이 넘사벽임

  • @user-yt9gi4zm6u

    @user-yt9gi4zm6u

    21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전자공업 대국인데다 우주항공기술 발전에 어마마한 투자를 해왔음. 항공기용 애비오닉스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해서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일 가능성이 큼..

  • @zhehaoshen6798

    @zhehaoshen6798

    20 күн бұрын

    너는 항상 미국의 똥고나 핥어라

  • @hottel
    @hottel23 күн бұрын

    어찌됐던,,타보니 큰차이가 없었습니다 ㄷㄷㄷ

  • @churu_addicted

    @churu_addicted

    23 күн бұрын

    형이 여기에!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3 күн бұрын

    진짜가 나타났다

  • @user-rc3bn9xs3d
    @user-rc3bn9xs3d8 күн бұрын

    문제는 엔진이다!

  • @user-yt9gi4zm6u
    @user-yt9gi4zm6u21 күн бұрын

    세상에 어떤 신생 여객기 제조사가 대뜸 자국산 핵심 부품을 집어 넣는가? 핵심 부품을 정평이 쌓여있을대로 쌓여 있는 외국산으로 해도 해외 판매가 본격화되는데 상당한 세월이 필요하다. 신생 여객기 제조사라는 단 한가지 사실만으로도 그렇다. 따라서 핵심 부품을 외국산 썼다는 사실 하나만 가지고 평가절하 해서는 안 된다. 국산화가 되어있거나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산을 쓴것일 수도 있다. 실제로 상당한 진척이 이뤄진 대형 여객기용 엔진은 이미 국산화가 완료되었다. 중국은 무인탐사선을 달과 화성에 보내는 나라고 엔진을 포함해 스텔스 전투기를 국산화한 나라다. 핵추진 전자기 사출기를 장착한 항공모함을 건조하고 있는 나라다. 중국이 당장 제조할 수 없거나 국산화할 수 없는 여객기용 부품은 없다. 다만 명성이 쌓여 있지 않아서 외국산을 쓰고 있는 것뿐이다.

  • @user-eh9px6qv2f

    @user-eh9px6qv2f

    21 күн бұрын

    수송기 윈20 엔진 자체개발햇죠... 왜서 윈20엔진 놔두고 미국산을선택햇는지는 상업적이유죠...

  • @leelim1018

    @leelim1018

    15 күн бұрын

    맞아요.우리 현기차들도 100%국산이 아닌데 남을 비웃는것이 참 한심할뿐. 부품을 외국산으로 사서 국산으로 만든다는것이 중요한게아니라 그렇게라도 만들어서 수입안하고 직접 제조해서 내수로 쓴다는것이 더 무서운건데...앞으로는 보잉,에어버스는 돈벌기가 다 틀렸지요.중국이라는 소비자를 잃었으니.

  • @luxwortkein

    @luxwortkein

    14 күн бұрын

    이건 뭐 중국인이 썼네 😂

  • @jinwookeom
    @jinwookeom25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잘하는게 뭐에요? 라고 하셔서 나도 모르게 구라치고 협박하는거 라고 해버렸...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5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houb_-pc9ox

    @houb_-pc9ox

    13 күн бұрын

    구라와 허세 통수는 니네 조선이 전문 아니냐?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13 күн бұрын

    조..선...ㄷㄷㄷㄷ

  • @user-vi7fy3bl6u
    @user-vi7fy3bl6u14 күн бұрын

    돈되는 산업은 용감히도전하는 중국 정말대단하다

  • @dkmin5019

    @dkmin5019

    6 күн бұрын

    돈되는 일은 누구나 다 들이밉니다

  • @user-zp4tg8gx5l
    @user-zp4tg8gx5l19 сағат бұрын

    보잉이 개판이라....

  • @user-sr7yl4fs8r
    @user-sr7yl4fs8r6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성공할겁니다. 서방세계가 중국에 선진적인기술을 준적은 한번도 없다.그러나 중국이 여기까지 발전햇다. 참 대단한 나라다

  • @user-ys6mg3yz8t

    @user-ys6mg3yz8t

    5 күн бұрын

    대신 열심히 기술을 훔쳤지

  • @user-1ux72hs8wj2hs
    @user-1ux72hs8wj2hs25 күн бұрын

    브라질처럼 발전하겠다는거네.

  • @d-dung
    @d-dung21 күн бұрын

    결국 보잉을 넘어설 겁니다. 중국의 거대한 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내수를 결코 막지 못합니다.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이 미국을 압도하듯, 항공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시간이 많이 걸릴 겁니다. 20~30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걸로 봅니다.

  • @chcho4550
    @chcho455025 күн бұрын

    원천기술없이 무단 카피해서 부품수입해서 만든 비율이 높다고 하니 내수외에 무슨 수출이ㅜ있을까?라이센스료진짜 다 내면 더 비싸질거 같아요. 문제는 중국과 해어질 결심을 하는 서방측 국가들이 저 고부가가치ㅜ상품을 사줘서 경쟁자로 키울리 만무이죠. 그럼 결국 내수용 천대 주문한거 +알파정도로만 쓰겠죠. 노력은 가상하나 사그러지길 기대해봅니다.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5 күн бұрын

    제품의 질 이야기는 안했는데, 중국에서도 본인들의 제품이 질적으로 떨어진다는걸 인식은하고있더라고요. 여를들어 항공 강재(중국이 이렇게만 표현을 합니다)의 경우 미국산보다 떨어진다고 인정을 하고요.

  • @user-wb3kh2ox3i
    @user-wb3kh2ox3i25 күн бұрын

    자체 개발은 말도 안되는 소리고 아마도 보잉에서 버림받은 엔지니어들 스카웃해서 해결할듯요.. 월급만 잘 챙겨주면 간단히 해결가능~

  • @jeromelee8298

    @jeromelee8298

    24 күн бұрын

    아직도 구세기 사고방식으로 살아가네 ㅋㅋㅋ중국 무시한 결과가 현재 G2아님?

  •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24 күн бұрын

    @@jeromelee8298 전혀 관계 없어 중국이 미국 뒷통수 쳐서 g2 된거지 이제 나락 가는 일만 남았다 ㅋ

  • @joseph5146

    @joseph5146

    2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G2? 아직도 'G2' 쓰는 거 안부끄럽나. 한국 친중파들만 미중 2강 구도 만들겠다고 써먹던 게 G2. 미국에서도 G2라는 컨셉은 이미 사장된지 오래고(사실 뜬 적도 없음) 중국에서 조차 일부 중화민족주의자들 빼고는 안쓰는 말. 오로지 한국에서만 G2, G2 거렸음. 그리고 결론적으로 미중 2강 구도는 앞으로 오지않을 거고 G1 시대가 계속될 거임. 극동에서 부대끼고 살아야하니 중국과 잘 지내면 좋지만 G2로 포장해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해석할 필요 없음ㅋㅋㅋㅋ

  • @user-zy3mi3kt9z

    @user-zy3mi3kt9z

    24 күн бұрын

    @@joseph5146누구를 바보로아나?영어로 유툽에G2로 검색해보고 여어로 919검색해봐 미국애비가 어떻게 평가하는지

  • @gameclipscollector

    @gameclipscollector

    21 күн бұрын

    러시아와 손잡고 개발한거임

  • @user-qj7sl9iy5p
    @user-qj7sl9iy5p24 күн бұрын

    못하는게 없네 중국 만세~~~~~~~~~~~~~~같은 동양인으로써 자부심 느낀다 역사문화 과학 정치경제 모든것 1등가자 또 스포츠 잘하지

  • @zamboking577
    @zamboking57717 күн бұрын

    착한 차이니즈 많이 나올듯

  • @user-yq8et9if4l
    @user-yq8et9if4l11 күн бұрын

    비약적인게 아니라 맨날 그렇게 하잖아

  • @no1people
    @no1people19 күн бұрын

    미래는 추락이지

  • @HandlerOne69
    @HandlerOne6919 күн бұрын

    미래는 뭐 추락입니다

  • @user-qc3zw2ds6u
    @user-qc3zw2ds6u6 күн бұрын

    우리 스텔스 전투기는 세계 최고 수준인데, 둥국 민항기야 뭐 그냥 짝퉁이지 ㅎㅎㅎㅎㅎㅎㅎㅎ

  • @camyilam2139

    @camyilam2139

    5 күн бұрын

    KF-21 Engine USA Radar USA Ejection UK

  • @888YangJi

    @888YangJi

    4 күн бұрын

    also not a stealth fighter

  • @lyingdownesfj
    @lyingdownesfj25 күн бұрын

    ㅁㅊ;; 중국비행기 아무리 싸게 나와도 절대 안탈거임.......

  • @gh.j_nangman

    @gh.j_nangman

    25 күн бұрын

    중국 전기버스 들어 올때도 그랬는데 이젠 뭐

  • @DG-kb8yb

    @DG-kb8yb

    25 күн бұрын

    비행기 탄돈은있고

  • @Chicken_Mu

    @Chicken_Mu

    24 күн бұрын

    중국 기장도 닌 안 태워줄거임ㅇㅇ

  • @user-er6io4wf8j

    @user-er6io4wf8j

    23 күн бұрын

    보잉이나 에어버스도 절충교역으로 중국산 부품을 사용합니다. 국내 제약산업에서 자체생산이 아닌 중국산원료로 만들고 있습니다.

  • @user-cp5nl2lj3f

    @user-cp5nl2lj3f

    22 күн бұрын

    중국에ㅔ서는 잘 돌아가고 있어니 니가 안탄다고 뭐 비행기에 영양도 없음 ㅋㅋㅋ

  • @younghuh3642
    @younghuh364219 күн бұрын

    C919 는 Corona 19 줄인말.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19 күн бұрын

    오ㅋㅋㄱㅋ

  • @kyt87
    @kyt8724 күн бұрын

    민항기는 우리나라의 체급으로는 도전하기 어려운 분야입니다. 민항기는 개발도 어렵지만 시장이 없으면 지속가능한 발전이 어려운 제품이죠. 중국은 말할 나위 없고 일본도 일반적인 인식과 다르게 엄~청나게 국토의 길이가 깁니다. 홋카이도에서 오키나와까지 길이는 중국을 동서로 횡단하는 길이만큼이나 깁니다. 즉, 국내의 항공노선도 경쟁력이 있는거죠. 반면에 우리는 통일이 된 한반도라도 서울기점으로 따지면 4~500km정도라 전국이 항공기로 1시간이내 거리라 항공시장의 내수는 없는 것과 다름없는 나라죠.(KTX개통하고 대구공항 망하는 거 보면 잘 알 수 있죠) 그러면 수출을 해야 하는데 보잉과 에어버스의 높은 벽을 넘을 수 있을까요? 일본도 결국 손발 다 들었는데?ㅋㅋ 중국처럼 독재국가라 당이 결심하면 모든 걸 다할 수 있는 나라 말고 우리는 못 합니다. 항공기 만들고 안 팔리면 보조금을 끝없이 때려 부어줄 수 있는 나라나 가능한 일이죠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4 күн бұрын

    중국이니까 가능하고, 그래서 무서운거죠. 내수가 너무깡패고, 정부지원이 뭐 어마어마하죠.

  • @injaebaek9605

    @injaebaek9605

    24 күн бұрын

    기술과학은 시장논리에 맡겨선 안되는데 이런부분에선 중국이 부럽네요..정치적발언이 될수있으니 더 말은 안하겠습니다

  • @user-qc3zw2ds6u

    @user-qc3zw2ds6u

    20 күн бұрын

    항공기는 한국이 최고입니다

  • @kyt87

    @kyt87

    19 күн бұрын

    @@user-qc3zw2ds6u 우리는 근거없는 국뽕 은 사절합니다

  • @user-bh5bs6lp5c
    @user-bh5bs6lp5c25 күн бұрын

    검증 안된 비행체는 항상 조심해야지 보잉 747이 왜 그렇게 잘 팔리는지 ㅋㅋㅋ

  • @jetalpha

    @jetalpha

    25 күн бұрын

    747 단종됐어요

  • @gh.j_nangman

    @gh.j_nangman

    25 күн бұрын

    보잉 맛갔음

  • @Clxkenem

    @Clxkenem

    24 күн бұрын

    보잉 안팔려요

  • @user-qh5ig8gg8b
    @user-qh5ig8gg8b17 күн бұрын

    ㅎㅎ 중국의항공굴기 끝은 반간첩법 집단노동동물농장이야...

  • @jeromelee8298
    @jeromelee829824 күн бұрын

    영상서 간단히 언급된 한중 민항기 합작프로젝트도 빨리 다뤄주세요~

  • @zamboking577

    @zamboking577

    17 күн бұрын

    현대가 붙었다가 나가리되고 브라질과 합작

  • @houb_-pc9ox

    @houb_-pc9ox

    13 күн бұрын

    기술도 없는 떨거지가 그지근성으로 합작에서 이것저것 요구해서 중국이 싸대기 한대 날려주고합작중단한 프로젝😂

  • @zamboking577

    @zamboking577

    13 күн бұрын

    @@houb_-pc9ox 중공거지들이 현대를 앞세워서 러시아를 미국유럽에서 기술훔쳐오려다가 만만치 않으니 브라질에 개설해서 합작은 했는데 브라질의 바보냐. 그래서 브라질과 깨지고 거의 25년 만에 60프로 국산화함. 명불 쭝궈

  • @zamboking577

    @zamboking577

    13 күн бұрын

    @@houb_-pc9ox 아닌데 현대이용해서 러시아 서방기술 훔쳐먹으려다가 엿먹은게 중꽁인데. 브라질에가도 그짓하려다가 중공이 쫓겨나서 그 후 27년 후에 저 팔푸니 60프로따리 만들고서 국산이라고 사기치는 중꽁🤣🤣

  • @user-vj9by4wv5d
    @user-vj9by4wv5d23 күн бұрын

    당신들 뭐하나요? 중국 망하는 것이 억울하나요? 그냥 망하도록 놔 두어요

  • @user-dddd618
    @user-dddd61821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이슈된다는것은 그만큼 영향력 있다는거죠.

  • @chuholemi2343
    @chuholemi234320 күн бұрын

    감항인증 못받아서 수출은 안돼고 대부분 중국내 에서만 사용 가능한 비행기.

  • @zhehaoshen6798

    @zhehaoshen6798

    20 күн бұрын

    국내 주문도 맞추기 힘들어 다른데 신경쓸새 없다

  • @user-ob7qt9rx7x

    @user-ob7qt9rx7x

    14 күн бұрын

    @@zhehaoshen6798진짜 아이디에서부터 일주일 안씻은냄새 올라오네

  • @Chicken_Mu
    @Chicken_Mu24 күн бұрын

    아무리 중국이 평소 행실이 안 좋아도 이런 부분은 박수 쳐줘야 한다 민항기 한 대도 못 만들어본 나라에서 마냥 made in china 라고 욕하는건 어느 나라에서 보더라도 비웃음거리일 것이다

  • @dogs_haunt
    @dogs_haunt21 күн бұрын

    중국비행기는 어떤식으로든 타기싫다

  • @user-sw5dy6jz3k

    @user-sw5dy6jz3k

    Күн бұрын

    우리가 항공권 구입할때 어느 기종인지 구분하고 티켓팅함 싼거 밥주는 FSC면 더좋고 LCC면 라면먹고 가는거지 919면 어떻고 320이면 어떻고 그런거 잘모름 항공사의 서비스 그게 더 우위에 있지 기장의 안내멘트 감미로운 목소리로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편안히 모시겠습니다 라고 하는 안정적이고 편안한느낌 승무원의 웃음과 고급스런 서비스 품질 그게 중요하죠 유럽갈때 멀리갈때나 남미 북미 등등 환승하잖아요 직항면 좋치만 중국항공이면 그나마 괜찮음 듣보잡 항공사도 있는데 서비스 개판이고 승객한데 왠지 강합적 느낌이 든다라고 할까 세상을 멀리 보시고 크게 보세요

  • @dogs_haunt

    @dogs_haunt

    19 сағат бұрын

    @@user-sw5dy6jz3k구독성 겁나떨어지는데 세상넓게만 그만좀보고 책먼저 읽어서 글좀 잘쓰세요 뭐라는지 이해안되니까

  • @shk4090
    @shk40906 күн бұрын

    I think China should bring in Korea & Japan as their partners. Or buy some parts from them to elevate the East Asia capability.

  • @shinnamsik0426
    @shinnamsik04262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민항기 개발 해보자 중국도 민항기 만드는기술 개발 하는데 우리도 못 만들수 없지 않음 k시리즈로 민항기 개발하자

  • @dongincheonrapid

    @dongincheonrapid

    23 күн бұрын

    안팔리는데 왜만듦

  • @davidkim1807
    @davidkim180725 күн бұрын

    중국전기차도 못 믿는마당에 중국민항기를 믿으라니 그냥 어쪌수없이 타는거지 전기버스처럼 동남아시장은 가격으로 먹힐수도

  • @drowsyafternoon
    @drowsyafternoon24 күн бұрын

    중국의 문제는 엔진인데 전세계에서 엔진 기술과 안전성 검증 받은 업체는 3곳뿐임 제너럴 일렉트릭, 롤스로이스, 프랫 휘트니 미국과 영국이 민항기 엔진시장을 차지하기 때문에 중국이 해결하긴 어려울것 같네요. 중국이 치누크도 주워서 분해 했는데 따라 못만든게 엔진

  • @user-nw2bc4zv2w
    @user-nw2bc4zv2w25 күн бұрын

    중국 비행기 기술력 부족으로 추락해서 수백명 죽으면 계속 찬양할수있을까요 비행기는 기술력, 신뢰성이 생명인데 전기차 군함 잔수함 죄다 개판으로 만드는 중국이 과연?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5 күн бұрын

    중국을 찬양하는게 아닙니다. 그들의 성장을 반면교사 삼자는거죠. 그리고 추락만을 가지고 이야기하면 , 보잉 에어버스도 수도없이 사고 났습니다... 중국산은 문제가 있어..라는 관점말고 그들의 강점도 분명 우리가 배워야됩니다.

  • @geny1

    @geny1

    25 күн бұрын

    737max가 잘못된 설계로 2대나 추락해도 미국에 뭐라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다 거기서 거기입니다

  • @Clxkenem

    @Clxkenem

    25 күн бұрын

    그건 보잉이.. 읍읍

  • @geny1

    @geny1

    25 күн бұрын

    @@Clxkenem 보잉도 문제 이지만 그걸 심사 통과시킨 FAA 과실도 크죠 평가도 제대로 안한게 큽니다

  • @userxxx-mv4bm

    @userxxx-mv4bm

    25 күн бұрын

    중국의 전기차 군함 잠수함이 개판이 아니라 한국의 언론사들이 개판임. 그래서 계속 모든 분야에서 깎아내리다 뒤통수를 맞잖어. ㅋ

  • @SouJungH
    @SouJungH25 күн бұрын

    중국이 정말 항공 산업을 키우고 싶다면, 저렇게 적대적으로 혼자 개발하지 말고 한중일 합작으로 민항기 개발하면 될 것을... 유럽이 에어버스 만들듯이. 90년대에 한중 합작이 불발이 되었던 이유는 중국이 강압적 태도로 한국을 하청 업체 만들려 했기 때문이라 합니다. 중국이 하는 짓을 보면 정말 비효율적이고, 적대적이고 공격적이죠. 저래서 될까?

  • @Chbkim0433

    @Chbkim0433

    25 күн бұрын

    품 혼자 할수 있는데 왜 한국과 합작을 하냐? 한국 독자적기술이 먼데 ?

  • @SouJungH

    @SouJungH

    25 күн бұрын

    @@Chbkim0433 1990년대에는 중국은 아직 공업화되기 전이라, 한국보다 한참 한참 아래인 개발 도상국이었다. 그런 후진국이 한국을 하청 업체로 만들려 하니까, 합작이 결렬된거지. 중국은 예나 지금이나 근자감에 쩔어서 꼭 누굴 지배하려 들거든. 지금 중국과 90년대 중국이 같다고 생각하니?

  • @SouJungH

    @SouJungH

    25 күн бұрын

    @@Chbkim0433 그리고 지금은 중국 혼자서 할 수 있다고? c919 가운데 중국이 만든게 뭔데? 영상은 보지 않았냐? 중국이 엔진을 만드니? 핵심 부품을 만드니? 도대체 중국애들은 왜 근거없이 자부심을 가지지? 저런 조립 비행기 만들었다고 자부심에 쩌는거 자체가 중국이 발전하지 못할 징조이다.

  • @SouJungH

    @SouJungH

    25 күн бұрын

    ​@@Chbkim0433 한중일 합작하라고 한 것은 시장을 키우자는거지. 에어버스를 봐라. 왜 성공하냐? 함께 하니까 그렇다. 중국이 혼자 만드니, 미국 유럽 아시아 모두 눈에 쌍심지 켜고 중국 쳐다보면서 거부하는거다. 그럼 중국이 겸손이라도 해야지, 너처럼 근자감에 쩌니, c919가 미래가 있겠니? 중국을 위해서 진심으로 충고하니, 그걸 고깝게 받아들이냐?

  • @SouJungH

    @SouJungH

    25 күн бұрын

    ​@@Chbkim0433 한국은 KF21을 만든 나라이다. 항공 강국이다. 적어도 중국과 같거나, 한 수 위이다. 한국 뉴스는 좀 보냐?

  • @user-hx3nw9et9r
    @user-hx3nw9et9r24 күн бұрын

    몇년후에 다시 보자 전기차도 불과 2 3년전에만 해도 안될거라 비웃던게 한국전문가들인데

  • @seungwooham3204

    @seungwooham3204

    24 күн бұрын

    안된거 맞고 중국 전기차 중국 내수 전용이다 어딜 중국 싸구려 전기차를 항공기랑 비교하냐 ㅉㅉㅉ

  • @josch3483
    @josch348325 күн бұрын

    흠. 무섭다. 타기

  • @ZHAOGUANGZHUzhao-if2qm

    @ZHAOGUANGZHUzhao-if2qm

    25 күн бұрын

    보잉 일년에 10대이상 사고난다 500명죽는다

  • @josch3483

    @josch3483

    25 күн бұрын

    @@ZHAOGUANGZHUzhao-if2qmwelcome to Korea

  • @josch3483

    @josch3483

    25 күн бұрын

    @@ZHAOGUANGZHUzhao-if2qm please use only that maker. I will ride on Boeing or Airbus.

  • @josch3483

    @josch3483

    25 күн бұрын

    @@ZHAOGUANGZHUzhao-if2qm welcome to Korea.

  • @josch3483

    @josch3483

    21 күн бұрын

    @@ZHAOGUANGZHUzhao-if2qm 니네 나라가 보잉만큼 만들면 어떨까? 상상에 맡긴다.

  • @phs1719
    @phs171923 күн бұрын

    중국 자국의 항공사 외엔 구입하는 나라가 영원히 없을 것 같습니다.

  • @jwssanqi
    @jwssanqi21 күн бұрын

    엔징 제외하고 모두 중국산인데 엔징은 중국산으로 교체 꿑났어요 ! 본인이 하고 싶은 말을 하네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1 күн бұрын

    엔진 제외하고 중국산이라고요? 증거좀...엔진 교체 끝은 뭐죠?ㅎㅎ증거좀...

  • @dkmin5019

    @dkmin5019

    6 күн бұрын

    전투기엔진 기준 ㅡㅡ 미국유럽엔진 수명은 12000시간, 러시아엔진은 6000시간, 중국엔진은 ? 4000시간입니다...거기다가 짝퉁수준이라 중량초과 출력부족이죠...그래서 중국전투기는 미국유럽 전투기보다 무기를 20%나 못실어요...싸우면 게임 아웃~!!!

  • @dkmin5019

    @dkmin5019

    6 күн бұрын

    자주포도 비교한번 해보시길 ㅡㅡ 빵 하고 쏘고나면 앞뒤로 출렁임이 장난아닌게 중국산...ㅎㅎ 그 다음 쏠려면 또 조준 다시해야 하는데 한국산 K9은 살짝 한번 움찔함..당연히 그대로 연사가능.

  • @yantu5292
    @yantu529223 күн бұрын

    미국보잉사고많지'그래도팔어

  • @ME_Engineeeer
    @ME_Engineeeer25 күн бұрын

    대국은 대국이네요... 우리나라는 당장 성과가 없으면 드랍하는게 일반적인데.. ㅠ

  • @user-nw2bc4zv2w

    @user-nw2bc4zv2w

    25 күн бұрын

    쟤네는 내수가 받쳐줘서 개같이 만들어도 잘 팔림 전기차처럼

  • @user-nw2bc4zv2w

    @user-nw2bc4zv2w

    25 күн бұрын

    대신 피해는 자국민이 다 보죠 자국민을 마루타로 쓰니까 그게 후진국인거고

  • @donga-flyingbbh

    @donga-flyingbbh

    25 күн бұрын

    내수시장이 진짜 ㅜㅜ

  • @mikelee9877

    @mikelee9877

    25 күн бұрын

    대국? 자칭 대국이지 그냥 ‘양아치국’입니다. 비행기를 만드는 브라질을 대국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미국이나 러시아나 프랑스나 영국이나 독일 등이 중국을 대국이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또한 네덜란드나 폴란드가 중국을 대국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대국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은 중국인들입니다. 그냥 중국뽕에서 나온 자만심의 표현일 뿐입니다. 그냥 중국이라고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표현이라고 봅니다.

  • @userxxx-mv4bm

    @userxxx-mv4bm

    25 күн бұрын

    @@mikelee9877 중국에 대해서 대자와 중자에 신경 쓰고 발짝하는 민족은 꼬레안들뿐임. 중국은 대국이란 표현은 걍 표현방식의 차이뿐이고 슈퍼파워중의 하나라는건 국제적상들의 마인드임. 아무리 반도인간들이 까내려도 현실은 1도 변하지 않거등.ㅋ

  • @user-li6rj8nf8m
    @user-li6rj8nf8m25 күн бұрын

    코로나919 😢😮😅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