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백정이 당해야 했던 끔찍한 일들 │ 조선시대 백정으로 태어나면 생기는 일

Ойын-сауық

종종 사극을 보다보면 등장하는
짠내나는 직업이 있죠, 바로 백정!
백정은 조선시대 천민 중에서도
가~장 낮은 하층민으로,
같은 천민에게까지 무시를 받았는데요.
대체 백정은 왜 이렇게까지
인간 이하의 차별을 받아야 했던 걸까요?
오늘의 교양만두는 '조선 백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지식이 고플 만두하지? B급 교양 채널 '교양만두’
이야기가 유익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일러스트ㅣ강동한
#교양만두 #조선 #백정 #역사 #한국사
* 참고문헌
『조선시대 백정의 기원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ㅣ김중섭ㅣ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역사 팩트체크] "백정, 나는 대한의 가장 천한 사람입니다" / 매일경제 / 22.03.25
[역사속 경제리뷰] 백정(白丁) / 파이낸셜리뷰 / 22.11.24
종과 노비, 백정(白丁)은 모두 단군의 자손 / 월간조선 / 17.07

Пікірлер: 564

  • @anz1004
    @anz1004Ай бұрын

    덤으로 지금은 처우와 인식이 좋아졌지만 불과 몇년전만해도 육류 가공을 맡는 식육가공기사들도 예전에는 백정이라고 놀림받고 이로 인해 파혼당하는 안타까운 일이 비일비재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인지 식객을 쓴 허영만 선생님도 " 이 분들 덕분에 고기를 우리가 안전하게 먹고 그런 분들을 천시하는 사람들은 고기 먹을 자격이 없다"라고 냉철하게 비난했습니다.

  • @user-wy7nt8wm5g

    @user-wy7nt8wm5g

    Ай бұрын

    그거 기억나네요.

  • @user-vd4gt7kd8r

    @user-vd4gt7kd8r

    Ай бұрын

    식객이 큰일했네요

  • @user-ro7gq9hm1d

    @user-ro7gq9hm1d

    Ай бұрын

    예전이 언제적을 말하는거임? 정육점 코너에서 일하는분들 잘만 사시더만

  • @songdoj1653

    @songdoj1653

    Ай бұрын

    정육점 보통 매달 1~3천씩 버는 고소득 직업임.. 남들이 안 하려고 하니까 오히려 백정이미지가 남아있는게 그들에겐 경쟁자가 늘지 않아 좋을 수도 있다는 점

  • @user-yp2jz5hy4d

    @user-yp2jz5hy4d

    Ай бұрын

    ??? : 고기 파티다!!!

  • @user-lv3fm5mz6l
    @user-lv3fm5mz6lАй бұрын

    와...백정이 인식 안좋은건 대충 알고 있었는데 이정도로 핍박받은줄은 몰랐음...ㅋㅋ 진짜 징그러운 수준으로 사람취급을 안했네

  • @user-uu9lt4uj5x

    @user-uu9lt4uj5x

    Ай бұрын

    정글...

  • @cijjeehh2302

    @cijjeehh2302

    Ай бұрын

    노비주들은, 노비가 자녀 없이 사망하였을 경우 재산이 주인에게 귀속된다는 것을 악용하여 노비의 재산 일부를 강탈하기도 했다. 노비의 자녀들을 매매하거나 상속하여 노비를 '자식 없는 종'으로 만들어 버렸던 것. 이는 불법이었으나 양반들의 관행으로 여겨져 법에 제소할 성격의 문제로조차 여겨지지 않았다.

  • @bubblemilk5564

    @bubblemilk5564

    Ай бұрын

    한국인이란 본래 이런것입니다. 일본이 쳐들어와서 가장 슬퍼한사람은 양반이고 가장 기뻐한 사람은 백정이다. 일제시대가 양반입장에서만 역사를 집필해서 일본을 나쁜걸로봣지만 백정들은 일본군을 도왔습니다. 양반보단 일본인들이 대접을 잘해줫거든요. 한국의 오랜 병폐를 끊어준게 일본인데 역사교과서를 양반입장에서만 집필해 반일정서 올리는게 친북친중친러 세력임

  • @Brixtom1
    @Brixtom1Ай бұрын

    조선이 망한, 망해서 좋은 이유 중에 하나가 신분제 철폐라고 봅니다. 사람인데 사람이 아닌 사람들이 비단 백정일 뿐일까요? 우리 손으로 신분제를 끊어낼 수 있었을까요?

  • @onlooker_chatty

    @onlooker_chatty

    Ай бұрын

    동의...

  • @user-jz2dd5pv6e

    @user-jz2dd5pv6e

    Ай бұрын

    대한제국 시기 신분제 철페 후 천민출신들이 대거 관리가 되었다는 걸로 보면 우리 스스로 신분제를 철폐한게 맞응

  • @Brixtom1

    @Brixtom1

    Ай бұрын

    @@user-jz2dd5pv6e 그런 자료는 어디서 구하셨는지. 윗 영상에서도 언급하듯 형평운동 이라하여 불평등차별 철폐 운동을 벌인게 정설이고, 그 이후로도 사람들의 실제적 의식 변화가 완료 되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흘러야 했습니다.

  • @user-fo4st7hu8h

    @user-fo4st7hu8h

    Ай бұрын

    @@Brixtom1 대거 관리가 되었다는 건 저도 처음 듣긴 한데, 결국 대한제국 시기 우리 스스로 신분제를 철폐한건 분명한 사실입니다. 신분제 철폐는 당시 동아시아 시대상황을 봤을 때 필연적이었으니까요. 이런 가정의 무의미하긴 하지만, 대한제국이 망하지 않고 지금까지 유지되었더라도 2024년 까지 신분제를 유지하는건 불가능했으리라 봅니다. 외국 문물을 공부하고 받아들인 지식인 계층의 주장을 계속 묵살할 정도로 정부의 힘이 세지 않았으니까요. 하물며 중국조차도 신분제를 폐지했는데, 조선 정부가 언제까지 버티겠습니가? 의식 변화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 것에 대해선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수천년동안 이어져온 문화니까요. 하지만 시간이 걸렸다고 해서, 우리 스스로 신분제를 철폐한것이 부정될 순 없습니다.

  • @meosseug

    @meosseug

    Ай бұрын

    @@user-jz2dd5pv6e 개혁으로 신분제라는 법은 철폐함. 근데 일반 시민들이 그걸 인정하고 받아들이기까지 걸리는 시기는 대한제국도 아님.

  • @user-et6ut1dj5i
    @user-et6ut1dj5iАй бұрын

    조선시대에는 백정으로 태어나는게 노비로 사는것보다 힘들어보인다

  • @user-qz1db2fh5n

    @user-qz1db2fh5n

    Ай бұрын

    노비는 생각보다 살만했습니다. 일본에서 평민으로 사는 것보다 조선에서 노비로 사는 게 나을 수도 있다는 말을 하시는 역사학자분들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노비는 서양의 노예와는 좀 달랐다고 봐야합니다.

  • @cijjeehh2302

    @cijjeehh2302

    Ай бұрын

    @@user-qz1db2fh5n재밋는 생각을 하시네여. 노비는 그 주인의 신공을 바쳐야하기에 재산이 축적이 인정이 된거지. 상속, 증여의 대상입니다.

  • @lucasromi83

    @lucasromi83

    Ай бұрын

    노비는 자유가 없는 존재라서 그렇지 사유재산이 있고 심지어 부잣집이나 대감집 노비는 지금으로치면 대기업 취직된 격이었습니다. 돈 빵빵하게 받고 대감집 간판 내세워서 빽도 든든하니 서로 들어가려고 줄섰죠. 게다가 노비라고해서 발목에 족쇄채우고 낙인찍고 두들겨 패는게 아니라 일반 평민과 구분이 안되는데다 법적 권리를 인정받아서 주인과 30년 넘게 소송벌이면서 싸운다던지 종아리 매맞고 혈관파열로 사망한 노비를 부검해서 관련자가 처벌받은 사례도 있죠 일종의 양반집 가문과 종신 계약을 맺은 세습 노동자 격입니다. 조선은 사병이 없다보니 수틀리면 노비가 주인을 죽이는게 쉽기 때문에 비교적 서로 사이가 좋고 온건책 당근책을 많이 썼죠. 사극처럼 노비 학대하면 칼침놓고 산속으로 튀어버리니깐요. 외거노비는 아예 주인과 따로 살면서 호적도 따로파고 부자로 사는 경우가 많았고 어떤 외거노비는 학식이 뛰어나서 양반 제자들 가르치면서 그 돈으로 주인한테 신공 바치면서 노동 안하고 공부만 하고 지냈음. 조선 정부에서는 노비를 줄이고 양인을 늘려 군역이나 세금을 확보하려고 했죠.

  • @lucasromi83

    @lucasromi83

    Ай бұрын

    ​@@cijjeehh2302상속 증여는 지금으로치면 발령지가 바뀌는거임 어차피 자유가 없는 존재라 주인이 바뀐다는건 아버지집에서 아들 집으로 근무지만 바뀌는격임. 발령지가 바껴도 왔다갔다 하면서 들락거렸고요.

  • @cijjeehh2302

    @cijjeehh2302

    Ай бұрын

    @@lucasromi83 제가 이해가 안되서 한참 곰곰히 생각을 해봤는데, 노비입장에서는 그렇죠. 노비는 발령지 선택의 자유도 없으니, 다만, 양반들이 유산 남길때 노비들 먼저 이름 적고 자기 자식들에게 남기고, 특히 비婢중 솔거노비는 양반집에 손님이 오면 손님 잠자리, 각종 뒤치닥거리를 했으니, 참담합니다. 조선시대.

  • @pilot268
    @pilot268Ай бұрын

    아버지 말씀으로는 60~70년도 그당시에도 사회적 평등을 여전히 외치고 있었지만, 백정의 자식이라면 학교에서도 보이지않는 암묵적인 따돌림이 있었고, 백정인 이유로 재수없고 천하다고 전혀 죄없는 애들에게 나이드신 어른들이 쌍욕하거나 돌을 던지기도 하고, 심지어 그걸 역이용해서 성추행도 그렇게 많았다고 하네요.. 거기에 그보다 더한 말도못할 쓰레기짓을 해도 당사자들은 아무말도 못했다는거.. 대부분 그런것들은 어른들이 주도해서 또 그런 이미지와 분위기를 만들었었고 자식들은 그걸 또 그대로 따라서 했다는것 전 그 얘기듣고 진짜 기가 차기도 하고.. 잘났으면 뭐 얼마나 잘난 인간들인가 싶기도 하고.. 당사자들은 어디가서 말도 못하고 얼마나 서러웠을까라는 생각도 들고.. 조선시대도 아니고 그시대에도 그런 취급이 있었다는게 정말 기가 차더라구요 겉으로는 말이 좋아 평등이요, 좋아진 세상이라고 했지만 내적으로는 조선시대마냥 또 보이지않는 차별 계급을 두고 그때도 사람이하의 짐승같은 취급을 하며 썪어문드러진 시대였던게 진짜 충격적..

  • @user-kh3jo3cy9i

    @user-kh3jo3cy9i

    Ай бұрын

    지금도 별반 차이없어요

  • @LEEkyouho

    @LEEkyouho

    Ай бұрын

    @@user-kh3jo3cy9i222 ㄹㅇㅋㅋ

  • @anz1004

    @anz1004

    Ай бұрын

    만화 식객에서도 이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죠.

  • @kleeo83

    @kleeo83

    Ай бұрын

    한국만 그랬나요. 미국도 그 이상의 흑인차별이 90년대까지 있었습니다. 뭐 지금도 있지만 한국 미국 모두 양상이 그때완 좀 다르죠.

  • @pcs942

    @pcs942

    Ай бұрын

    @user-mn5bj9nd1j 그 얘기가 아니쟎아... 뭐 같지도 않은 이유로 발생하는 차별이 지금도 있다는 거쟎아...

  • @user-ns8ev4ze9h
    @user-ns8ev4ze9hАй бұрын

    교양만두님 보셨다는 드라마가 미스터 선샤인이셨는가봐요 동매의 어린시절.. 그 장면인 거 같았다는...

  • @user-rq2ip3oz9i
    @user-rq2ip3oz9iАй бұрын

    백정 즉 도살업자에 대한 차별은 인도, 중국, 일본, 한국 다 있었는데 모두 살생을 금기시하던 불교의 발생지거나 불교가 오랜 영향을 미친 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지요 즉 고기라는 것이 먹고는 싶고 ... 살생을 할 수는 없으니 누군가가 그 일을 해야 했는데 ... 그 일을 한 사람은 일종의 필요악처럼 여겨져 천대받은것입니다 게다가 백정들이 사형 집행인까지 겸하여서 .... 서양도 사형 집행인은 천대해서 교회나 성당에서도 구석에서나 전례에 참석할 수 있게 했죠

  • @bang128058

    @bang128058

    Ай бұрын

    종교나 신분제도에 의해 문화가 포함되어 차별이 일어날 수 없는 환경에 요인이죠.

  • @jeseongkwon2922

    @jeseongkwon2922

    Ай бұрын

    근데 조선은 승유억불 아니었나요...세상에..

  • @user-rv3dy4ux2p

    @user-rv3dy4ux2p

    Ай бұрын

    근데 유럽은 도축업자 차별 안함ㆍ 조선 경우는 고려 시대 떠돌면서 일하다가 수틀리면 마을 약탈하고 튀는 짓을 500년 가까이하다보니 이미지가 개판나서 그럼ㆍ연좌제를 찬성을 안하지만 이미 개판 난 이미지는 어찌 못할태니까요ㆍ 즉 유다놈들이 지들 율법 지킨다고 타민족을 아주 개만도 못한 취급해서 공공의 적이 된거랑 같음ㆍ

  • @user-rv3dy4ux2p

    @user-rv3dy4ux2p

    Ай бұрын

    근데 유럽은 도축업자 차별 안함ㆍ 조선 경우는 고려 시대 떠돌면서 일하다가 수틀리면 마을 약탈하고 튀는 짓을 500년 가까이하다보니 이미지가 개판나서 그럼ㆍ연좌를 찬성을 안하지만 이미 망가진 이미지는 어찌 못할태니까요ㆍ 즉 유다놈들이 지들 율법 지킨다고 타민족을 아주 뭣만도 못한 취급을 해서 공공의 적이 된거랑 같음ㆍ

  • @user-qz1sf2oo6r

    @user-qz1sf2oo6r

    Ай бұрын

    ​@@jeseongkwon2922 오랫동안 불교문화권 이였으니 문화는 영향을 많이 받았죠

  • @user-sl1ms7je3q
    @user-sl1ms7je3qАй бұрын

    난 진짜 조선시대 조상님들 이해가 안가는게 정육점 아저씨들이 뭔죄가 있다고 사람취급을 안하는지.....그들이 있어서 고기를 먹을 수 있는 구만.....

  • @user-gl5he7tg6t

    @user-gl5he7tg6t

    Ай бұрын

    조선시대의 백정은 고려말의 유목민족들이 그 기원입니다. 이 유목민족들은 주변 민가를 털거나 살인을 저지르고 외적의 침입때는 그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기도 하여서 그 이유로 원래의 고려사람들은 백정이란 집단을 렴오하게 된 것입니다

  • @user-ow7hv9uz4s

    @user-ow7hv9uz4s

    Ай бұрын

    가장큰건 쟤네들이 다른 민족 출신 이라는게 큰듯 우리도 조선족 하면 생각만해도 꼴보기 싫은거 처럼

  • @ein300

    @ein300

    Ай бұрын

    조선에서 천민은 인간이 아니었음 거의

  • @cijjeehh2302

    @cijjeehh2302

    Ай бұрын

    천민을 인간으로 안보고, 사람수를 셀때도,人가 아니라 口로 셌습니다.

  • @lucasromi83

    @lucasromi83

    Ай бұрын

    고려말 조선초에 대규모로 10만명 단위로 양수척이 들어오는데 애네들을 현지화 시킬려고 했지만 말도 안듣고 떼지어서 노략질에 강간 살인하고 다니면서 인식이 나빠집니다. 인구는 현지인보다 압도적으로 적으면서도 살인강도 강간은 전체 범죄의 절반이 넘어서 백성들이 극혐했다고 합니다. 또한 현지화를 거부하고 농사도 안짓고 떼지어다니다가 산속에서 산적을 부업삼다보니 혐오정서가 생겼다고 합니다

  • @hayeonkim7838
    @hayeonkim7838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진심 넘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 @user-xb6cq8il9q
    @user-xb6cq8il9qАй бұрын

    저 정육 식당 알바 할때 기사 행님이 결혼 파토 낫는데 그 이유가 정육점에서 일하는 백정이라 우리딸 줄수 없다였음 지금도 은연중에 그런 직업적 신분 차별이 있음

  • @user-ro1xm2cd2b

    @user-ro1xm2cd2b

    Ай бұрын

    어이없네 그래놓고는 갈비뜯고 앉았겠지 정육점이 뭐어떰 요즘은 기술중에서도 돈버는 기술이구만

  • @user-co7vq7qu3c

    @user-co7vq7qu3c

    Ай бұрын

    그쵸 저 어릴적 들은 얘기인데.. 정육 이랑 양계장 크게 한집인데 집에 재산이 많아도 그집 아들들이 장가를 못가서.. 그중 한명이 강원도가서 광부하다 거기서 사귄 아가씨 혼인신고하고 데리고 왔는데.. 정육하는거 알고 마당에 앉아 엉엉 울었다고

  • @jilim9349

    @jilim9349

    Ай бұрын

    맞음 근데 내딸은 백정놈에게 주긴 싫긴할 듯,,,,

  • @user-generated5123

    @user-generated5123

    Ай бұрын

    ​@@jilim9349 무슨 이유로요?

  • @George76430

    @George76430

    Ай бұрын

    ​이유없음. 관습

  • @Pappicco_JMT
    @Pappicco_JMTАй бұрын

    코딱지 만한 나라에서 지들끼리 급나누고 배척하는 것도 웃기다 ㅋㅋㅋㅋㅋ

  • @intelamd3076

    @intelamd3076

    Ай бұрын

    원래 인간은 남과 구분되어서 자기가 더 높은 존재인 것으로 인정받으려는 아주 못된 버르장머리가 있음. 지금도 조금만 잘났다 싶으면 외적인 것으로 자기 자신을 높이려 하고 남과 다르게 행동하려는 괴상한 사람들 수두룩함.

  • @user-tw8ss3ec2u

    @user-tw8ss3ec2u

    Ай бұрын

    지금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klkjo4375

    @lklkjo4375

    29 күн бұрын

    @@intelamd3076 난 안그러는데 그런것들은 왜그럴까

  • @socratesdr

    @socratesdr

    6 күн бұрын

    ​@@lklkjo4375안그런척 하지마 코딱지야

  • @hglove35
    @hglove35Ай бұрын

    지금보면 상당한 기술직인데 ㅜㅜ 이번영상도 재밌어용❤

  • @smartmandoo

    @smartmandoo

    Ай бұрын

    구니까,,

  • @user-dv2pk6og3s
    @user-dv2pk6og3sАй бұрын

    얼마나 차별이 심한지 초기 기독교신도들도 백정출신 신도옆에 있기싫다면서 목사, 신부에게 항의할 정도면 얼마나 막장인지 알만하다.

  • @youjingo5527
    @youjingo5527Ай бұрын

    와ㅜㅜ내 힐링영상 올라와따😊요즘 영상 몰아보기중인 유일한 채널ㅋㅋ

  • @Lilyos
    @LilyosАй бұрын

    미스터션샤인ㅋㅋ 복수 진짜 사이다였는데

  • @user-hd8wb2jx1k
    @user-hd8wb2jx1kАй бұрын

    저거 딱, 유럽에서 부외자 취급이던 유대인이나 집시랑 비슷한 취급이네 뭐, 외국에서 들어온데다, 초기엔 유대인이나 집시처럼 토착세력에 융화되지 않으려 하니까, 백정 이미지가 부외자 취급으로 시작할수밖에 없긴한데...

  • @user-uu5ts8nh1i
    @user-uu5ts8nh1iАй бұрын

    이번에도 재밌게 보고 갑니다!

  • @user-tx6yb2ny9o
    @user-tx6yb2ny9oАй бұрын

    0:10 정답! 미스터션샤인 동매 어릴 때!

  • @smartmandoo

    @smartmandoo

    Ай бұрын

    정답!!!

  • @user-tu6fr7si1c
    @user-tu6fr7si1cАй бұрын

    잘보고 가겠습니다.

  • @haskar-by5pl
    @haskar-by5plАй бұрын

    일제시대까지 공식적으로 백정에대한 차별이 남아있던건 일본도 백정을 천대시하는 문화가 있었기 때문이죠. 일제강점기 당시 호적등본에 백정들은 대놓고 옆에 빨간점을 찍어놓고 국가차원에서 차별했음.

  • @luansen0
    @luansen0Ай бұрын

    그 시대에는 돈이 전부가 아닌 시대라 어떤 분위기인지 도저히 감이 안오네요

  • @user-vs5fq4uv4u

    @user-vs5fq4uv4u

    Ай бұрын

    지금의 북한을 보시면 똑같은듯. 시스템이 거의 유사함.

  • @plasmacannon1
    @plasmacannon1Ай бұрын

    현실판으로 버전업해서 서술해보면 이슬람 난민들이 국내로 유입되었는데, 이들이 국내에 동화되질 않고 따로 커뮤니티를 조직해서 따로 뭉쳐서 살고있죠. 그리고 당연히 기존 대한민국 시민과 이슬람 난민들 사이에는 교류가 제대로 될 리가 없고, 서로 갈라져서 살게 됩니다. 기존 국민들 입장에선 자신들의 룰대로 살지 않는 사람들을 배척하게 되고 배척당하는 난민들은 자신들을 받아주지 않는 기존 국민들에게 반감을 가지는거죠. 근데 쪽수가 어떻다? 그리고 이런 상황이 세대를 내려가면서 오랜 시간 누적된다? 그시절 그사람들은 그시절의 상황에 따라 대물림되면서 배워온대로 한거 뿐입니다. 잘못된건 맞는데 그땐 그게 당연한 일이었을 뿐이지요. 잘못된걸 올바르게 고치고 되돌려놓으려 하지 않고, 그저 비난과 증오와 혐오만을 내뱉으면서 화합을 방해하는 사람들이 저런 문제의 근본적인 악이죠. 그게 어느쪽이던지, 그리고 시대가 과거든 현대든 말이죠.

  • @capper.

    @capper.

    Ай бұрын

    ㄹㅇ 지들 방식 고지곧대로 고집부리는 난민이나 조선족 딱 이정도의 이민족이었던 거임 ㅋㅋㅋ 사회의 이점은 챙기고 사회 유지에 대한 의무는 적으니까 싫어할 수 밖에.. 범죄 몇 번 저지른 족속이다 입소문나면 그냥 끝장난거임 ㅋㅋ

  • @sangminlee3136
    @sangminlee3136Ай бұрын

    서양 특히 유럽의 집시같은 부류로 살았나 봅니다.

  • @user-es4tp4cs8p
    @user-es4tp4cs8pАй бұрын

    인도는 아직도 있는데 계급도 없는 찬달라 현대판 백정임

  • @TheMngl2005
    @TheMngl2005Ай бұрын

    우리가 착각하는 것 중 하나 '백정'은 단순한 도축업만하던 사람들이 아님.. 고려 말 '화척'이라 불리던 유랑민 집단임과 동시에 적지 않은 이들이 가는 곳마다 강도, 살인, 방화를 벌이던 '범죄자 집단'이었다는 게 문제. 이런 백정(화척)들은 조선이 건국한 이후로도 큰 사회 문제 중 하나였음. 당시에 '강도의 8~9할은 백정과 재인이 벌인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었다함. 백정이 단순히 도축일을 해서 천대를 받는 게 아니라. 가는 곳마다 강력범죄를 일으키는 '범죄자 집단' 혹은 '범죄자 집안'의 출신으로 몇 대에 걸쳐서 그렇게 살았으니 그렇게 생긴 인식과 낙인이 대대손손 이어져서 그 후손에게 그 낙인처럼 찍히면서 천민 of 천민으로 사람 취급도 못 받았던 것도 있음.

  • @user-rl7ju8ov8e
    @user-rl7ju8ov8eАй бұрын

    예전에 제중원 드라마 보면서 주인공 남주가 백정이라 그의 아버지도 천대받고 하대받는 장면이 살짝 충격이었는데 구한말이라 신분제 폐지되고 나서도 드라마상 핍박이 계속 있던건 생각나네요.

  • @YiSo-yeon

    @YiSo-yeon

    Ай бұрын

    ㅠ 사실 독립이후에도 신분제도는 좀 남아있었죠 우리나라 마지막 노비가 1968년까지 있었다고 해요..

  • @user-rq2ip3oz9i

    @user-rq2ip3oz9i

    Ай бұрын

    @@YiSo-yeon 노비제는 1968년이면 이미 사라진 후이고요 아마 태어나면서 노비였던 마지막 세대가 죽은 시점이 그 시점이리라 봅니다 물론 이 사람도 신분제에서 해방은 된 후죠

  • @intelamd3076

    @intelamd3076

    Ай бұрын

    제가 90년대에 성씨가 양반성씨라고 치켜 세우던 할아버지를 만난적이 있습니다. 그분이 그때 당시 70세 가량되었는데, 양반 상놈이라는 이분법으로 세상을 구분하려 해서 그때 당시에도 뭐 이런 할배가 다 있나 그런 느낌이었는데 아마도 일제강점기때도 계급에 대한 잔재가 아주 진하게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육이오 이후에는 계급이라는 개념이 서서히 사라진것 같구요...

  • @sws-dl8ki
    @sws-dl8kiАй бұрын

    놀랍게도 그 백정이라고 멸시 받던 사람들의 후손들이 현대사회에서는 혈통인자상 잘생기고 키도커서 더 대우받는중.... 서쪽에서 온 유목민족이라 백인혈통 서아시아혈통 등 다양하게 섞여있어 순도 높은 동양인들에게서 볼수 없는 진한 외모가 있고 신체능력도 좋음...

  • @lklkjo4375

    @lklkjo4375

    29 күн бұрын

    이쯤되면 잘생겨서 질투한거 아닌가싶은 의심이..

  • @youngone999

    @youngone999

    15 күн бұрын

    그럼 키크고 잘생기면 조상이 백정일 확률이 높다?

  • @junwoong429
    @junwoong429Ай бұрын

    6.25 없었음 지금도 신분가지고 지랄했을 것 같아서 참 아이러니하네

  • @user-ti7yb3kn4x
    @user-ti7yb3kn4xАй бұрын

    아고 ㅋ목소리 너무 똑똑하고 발음이 좋으시고 귀여워요 ㅋㅋ

  • @smartmandoo

    @smartmandoo

    Ай бұрын

    헤헿

  • @MonDeaSSang
    @MonDeaSSangАй бұрын

    진짜 조선은 ㄹㅇ 어떻게 유지됐는지 신기함 ㅋㅋ 임진왜란때 도기 기술자 건은 존나 유명하지 ㅋㅋ 가기 싫다고 아주 생 때를 ㅋㅋ

  • @user-hk3cy8tr9e

    @user-hk3cy8tr9e

    Ай бұрын

    북한봐라 한국인들의 민족성이 그런거다

  • @shotgun2992

    @shotgun2992

    Ай бұрын

    유교로 세뇌해서 유지한거임ㅋㅋㅋ 프랑스는 귀족들이 세금 안내서 국민들 피폐해져서 시민혁명 터졌잖음? 조선은 양반들이 세금은 당연하고 군대도 안감ㅋㅋㅋㅋ 프랑스는 그래도 귀족들 장남빼고 나머지 자식들 해군장교도 보내고 기병대도 보내고 나름 노블리스 오블리주 했는데 ㅋㅋㅋ 유교가 그렇게나 무서운거임 군사부일체 라는 말이 제일 그지같음ㅋㅋ

  •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Ай бұрын

    ㅈㄴ미개 끝판왕 뭐가 지혜로웠단거야 5천년 내내 중국 시다바리 일본 속국처지였으면서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Ай бұрын

    친일 뉴라이트들 튀어 나와서 한국 비하 레파토리 늘어놓는 거 봐라. 늬들 활개칠 때도 이제 얼마 안 남았다

  • @FanofPyle

    @FanofPyle

    Ай бұрын

    ​@@user-hk3cy8tr9e 박정희 대통령 없었으면 이 나라는 어땠을까 아찔함 ㅠㅠ

  • @2345pok
    @2345pokАй бұрын

    백정이 차별이 심했죠 천민이라 ㅠ 따로 살아야하고 ㅠ

  • @junotree9302
    @junotree9302Ай бұрын

    한국전쟁의 유일한 좋은일은 해방후에도 남아있던 신분제의 흔적을 사라지게 만든거

  • @intelamd3076

    @intelamd3076

    Ай бұрын

    그래서 신분제 철폐라는 달콤한 유혹에 빠져서 공산당을 맹종하는 사람들도 많았죠... 합리적 지식인들도 사상이 좋다는 이유로 공산주의에 빠지고...오히려 욕심많은 기득권들은 공산주의를 극구 부인하고 죄다 월남했지요...이를 교묘하게 악용한 김일성이 세계최대 독재자가 되었고...

  • @user-kn5rs1sn2n
    @user-kn5rs1sn2nАй бұрын

    와 3시간 전!!

  • @user-qg5nv8ji9y
    @user-qg5nv8ji9yАй бұрын

    재미있구먼

  •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Ай бұрын

    5:03 역사채널e에서 양반이 아닌 사람은 비단옷, 가죽신을 입을 수 없다는 것이 떠오르네요.

  • @user-pq3pn3bi5s
    @user-pq3pn3bi5sАй бұрын

    오늘 목요일이네요 잘보고갈게요~ 역시 나레이션은 아리님 😊

  • @smartmandoo

    @smartmandoo

    Ай бұрын

    목요일은~~ 교양만두~~~

  • @user-vy8vq7si2m
    @user-vy8vq7si2mАй бұрын

    2:07 아리님은 백정들을 무시하고 괴롭히는 사람이 못됐다고 생각해요 아님 퇴사한 요요(?)가 나쁘다고 생각해요? 둘중 하나에 내 손목을 건다.

  • @Forest-eri98723
    @Forest-eri98723Ай бұрын

    역사속의 안타까운 계층

  • @jrolento7247
    @jrolento7247Ай бұрын

    미국 유럽에서는 몇 십년 전만해도 유대인 유색인종 외국인은 도축업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만큼 신성시되는 직업인데 워낙 빌어먹을 정도로 가난한 조선이어서 그랬는지

  • @user-ln1oj2ds2v
    @user-ln1oj2ds2vАй бұрын

    지금은 도축기술자들이 돈 많이범

  • @SUPER-JJAMIN
    @SUPER-JJAMINАй бұрын

    5:00 로그인을 하셔야 사죠...

  • @SUNCASTLE77
    @SUNCASTLE77Ай бұрын

    고기 먹으면서 보는데 주제가 주제인 만큼 묘한 재미가 있네요ㅋㅋㅋ

  • @tteokdori
    @tteokdoriАй бұрын

    직업차별은 지금도 많은데

  • @kuaregedart1760
    @kuaregedart1760Ай бұрын

    불과 30년전 까지도 공장과 정육점에서 종사하는 도축, 육가공업자들은 결혼에서 기피받고 법조계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우대받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허영만 화백님의 만화 '식객'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농공상의 부정적인 이면은 지금도 암암리에 노년층, 중년층에 내제되어 숨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일 누군가가 유교 사상 전통을 부활해야한다고 큰소리로 말해야한다면 전 당당히 반대하며 조목조목 따져 대답할겁니다. 역사적인 상처를 이미 다시 부활시켜서 누가 좋을까요.

  • @user-nv4sk4wz2x
    @user-nv4sk4wz2xАй бұрын

    100만 가즈아!!!!!!!!!

  • @user-ry8yf8nz6d
    @user-ry8yf8nz6dАй бұрын

    육이오가 그나마 남아있던 조선이란 나라의 잔재를 싸악 갈아 엎었네요 그나마 전쟁의 순기능 인가....

  • @user-ig8wv8ue7f
    @user-ig8wv8ue7fАй бұрын

    대한민국 현실 백정보다 더답이없음

  • @user-kk1yt4ve4h
    @user-kk1yt4ve4hАй бұрын

    신분제가 없긴 왜 없음 ㅋㅋㅋ 오히려 지금은 천민들이 지들 착취당하는줄도 모르고 신분제를 신격화하는데 ㅋㅋ

  • @songdoj1653

    @songdoj1653

    Ай бұрын

    꼬우면 사업해서 신흥재벌이 되던가 ㅋㅋ

  • @ssyfi
    @ssyfiАй бұрын

    도축을 해서 천대받았다는게 아니라 앞에서 언급했듯이 기존 한반도에 살던 사람과 다른 민족이었고( 북쪽 대륙에서 와서 실제 생김새. 키등 달랐다고. 키도 더 크고 몸집도 더 컷다고). 그들이 마침 도축업에 종사하기 시작했고 그게 굳어진. 결국 이민족이었고 그래서 백정이 다른 천민과도 급이 달랐던 이유.

  • @MrBangbe
    @MrBangbeАй бұрын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 아이들에 대한 차별이 없어야 하겠습니다. 조선시대와 같은 꼴 나요.

  • @user-uz5il6ty4r
    @user-uz5il6ty4rАй бұрын

    그와중에 최하계급까지 생각한 갓세종 ㄷㄷ 진짜 알면 알수록 대단하시네

  • @cijjeehh2302

    @cijjeehh2302

    Ай бұрын

    그 세종이 조선을 노비천국으로 만든 장본인입니다. 세종은 지금 지옥에서 울부짖고 있더리고요. 그래 오랜 기간 사람들을 힘들게 했으니

  • @user-di5yz6we5v
    @user-di5yz6we5vАй бұрын

    전쟁이 완전 나쁘기만 한건 아닌 의외의 상황

  • @oamici
    @oamici17 күн бұрын

    세계관이 이리 무섭다. 같은 인간에게 계급으로 가치를 나눈는 것이 섬뜩하다.

  • @user-yt7ki8vh8r
    @user-yt7ki8vh8rАй бұрын

    연예인도 비슷한 경우입쥬.

  • @intelamd3076

    @intelamd3076

    Ай бұрын

    아이엠에프 전까지도 "너는 겨우 딴따라 할꺼냐?" "판검사 해야지" 이랬음....박찬호 전까지도 공부못하는 애들이나 운동한다고 폄하하고...박찬호 연봉보면서 우리나라 사람들 의식이 달라짐....

  • @user-dn4jn3yt7o
    @user-dn4jn3yt7oАй бұрын

    그림이 귀여우니까 더슬프다 ㅜㅜ

  • @NarimeS2
    @NarimeS2Ай бұрын

    만화 식객 한 에피소드에서 나온 커플 생각나네요 여자 아버지가 도축업자였는데 옛날로 치면 백정인데 어디 천한 백정 딸이 사법고시 붙은 남자랑 결혼이냐며 파토냈던...

  • @feel3870
    @feel3870Ай бұрын

    자유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것에 오늘도 감사히 생각합니다😊

  • @trainsim--guy
    @trainsim--guy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차별과 편견은 학위 재산 신분등등 암목적으로 이루어지는게 현실....

  • @user-wn5be1st4u
    @user-wn5be1st4uАй бұрын

    마장동 가면 무섭긴 함!!! 고기는 맛있지만 소 돼지 눈 보면 우리가 그맛을 좋아해서 도축 당하는 것 같아 안타까우면서 필요한 부분이여서 맘이 복잡해짐!!

  • @user-bg6nt7dk4n
    @user-bg6nt7dk4nАй бұрын

    지금 우리의 삶이랑 많이 다르지 않은데? 우리는 돈이랑 직업으로 😢😂 ㅠㅠ

  • @user-xw1bz3fk8s
    @user-xw1bz3fk8sАй бұрын

    션샤인 재밌었는뎅.. 백정 - "살생을 한다."가 옛날엔 중요한 사항이었으니..

  • @puggyk4220
    @puggyk4220Ай бұрын

    유교하고 살생 금기하고 상관없는데

  • @user-zo2bc6wk6n
    @user-zo2bc6wk6nАй бұрын

    백정이 차별받았던건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 최근까지 그랬다는건 몰랐네... 왜 이런건 나라에서 안 가르치는지😂

  • @alkanto8750

    @alkanto8750

    Ай бұрын

    2018년 한국사 과목, 일제강점기 내용에서 형평사 운동 다뤘는데요?

  • @cijjeehh2302

    @cijjeehh2302

    Ай бұрын

    노비주들은, 노비가 자녀 없이 사망하였을 경우 재산이 주인에게 귀속된다는 것을 악용하여 노비의 재산 일부를 강탈하기도 했다. 노비의 자녀들을 매매하거나 상속하여 노비를 '자식 없는 종'으로 만들어 버렸던 것. 이는 불법이었으나 양반들의 관행으로 여겨져 법에 제소할 성격의 문제로조차 여겨지지 않았다.

  • @user-iy7xl6gf8p

    @user-iy7xl6gf8p

    13 күн бұрын

    한국사에서는 보통 역사적 큰 사건 흐름에 대해서 알려줘서 일반 평민들은 어떤삶을 살았는지 이런 내용은 잘 안다루죠.. 영조 몇년 무슨일이 있었다 무슨 법을 만들었다 무슨 난이 몇년도에 생겼다 이런게 핵심이라 그 유명한 장희빈도 한국사 수업에는 이름도 안나옵니다

  • @user-tv1jb4se8d
    @user-tv1jb4se8dАй бұрын

    이야 백만 갑시다

  • @gynwitst7283
    @gynwitst728314 күн бұрын

    임꺽정이나 홍길동 같은 도적들도 사실 한반도에 정착한 오랑캐의 후손, 양수척 출신입니다.

  • @user-dl7qo2kb6g
    @user-dl7qo2kb6gАй бұрын

    0:05 이 드라마 미스터션샤인이구만 ㅋㅋㅋ

  • @Gingerbread98
    @Gingerbread98Ай бұрын

    0:08 미스터선샤인을 보셨군용~

  • @user-ex8dl9kg6u
    @user-ex8dl9kg6uАй бұрын

    카드 역사 신용체크 그거도만들어주세요

  • @sungminyang5380
    @sungminyang5380Ай бұрын

    백정이 외부에서 유입된 사람들이란건데 백정을 차별한거 보면 지금의 인종차별이랑 비슷한거네

  •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Ай бұрын

    다르죠 너무 달라요 여기선 그나마 순화시켜 말한거지 실상은 더 끔찍했어요 그 원한이 쌓여서 저런 차별을 만들어 낸겁니다

  • @user-fl7nt7bw6z
    @user-fl7nt7bw6zАй бұрын

    차별 받던 사람들은 자기보다 약한사람을 이해하기보다 더 악랄하게 차별해서 감정보상 받으려고 하지. 우린 성인군자가 아니라 옹졸하고 비겁한 속물들이다.

  • @user-qd2sl6wn8w
    @user-qd2sl6wn8wАй бұрын

    진짜 타임머신타고 잠깐 조선시대로 가면 이렇게 외치고 싶어요 그렇게 백정이 싫으면 고기 먹지말던가!!!

  • @Suggestions12
    @Suggestions12Ай бұрын

    군무원의 역사역할이야기해주세요 114트

  • @jhguyz918
    @jhguyz918Ай бұрын

    인도에도 존재한다죠 카스트제도 계급외 취급 불가촉천민 찬달라

  • @user-hu9se4vc5r
    @user-hu9se4vc5rАй бұрын

    백정들중에 상당수가 회교도가 많았어요...

  • @user-kh7il7yh2s
    @user-kh7il7yh2sАй бұрын

    칠팔십년대 까지도 시골에서는 명절이나 동네잔치에 쓰일 고기가 필요할땐 이냥반들이 돌아다니며 돈을받고 도축을 해주던 시절이 있었는데요 그때도 나이많은 노인들이 백정놈이 어쩌고 저쩌고 하면 그분들중엔 더러 몹시 화를내고 돌아가려하면 동네 아저씨들이 노인네를 나무라고 좋게 마무리하고 했었던 기억이 있네요 😅

  • @a2548104
    @a2548104Ай бұрын

    그리 오래된 일도 아닙니다 우리 부모 세대만 하드라도 백정말고 중인 바로 아래 등급 하고도 놀지 않고 전부따로 놀았다고 하더군요.

  • @gotowork_english
    @gotowork_english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요요팀장님 백정으로 나온거 웃기네

  • @user-gd8zo4cb4r
    @user-gd8zo4cb4rАй бұрын

    방법만 다를뿐 현재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네요. 혐오 전쟁 및 한국에 들어온 중국인들

  • @user-wi5zw3rk1k
    @user-wi5zw3rk1kАй бұрын

    세상이 뒤짚어 질때까지 존버구만

  • @kimeugene1027
    @kimeugene1027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현대사회에서 백정과 가장 비슷한 직업이 검사 같아요.

  • @user-uu1ty8sp7y
    @user-uu1ty8sp7y26 күн бұрын

    와..한국전쟁때 까지..

  • @Parksun12
    @Parksun12Ай бұрын

    성악설이 맞다니깐

  • @user-wt3sc7tg9l
    @user-wt3sc7tg9lАй бұрын

    저런 계급사회를 타파한게 일제시대라는게 아이러니함

  • @kangmingyu1377

    @kangmingyu1377

    Ай бұрын

    일제시대에도 사람들 인식은 계속 남아 있었음 오히려 일제 때 안 좋은 문화가 많이 생김 우리나라에서 신분의 인식이 사라지게 된 계기가 6.25 때임 다 같이 공평하게 가난해 져서...

  • @yuneuuuu
    @yuneuuuuАй бұрын

    첫번째는 주인공이 차은우일때는 가능합니다

  • @user-wo2pz9gc4k
    @user-wo2pz9gc4kАй бұрын

    백정이 왜 백정이 되었을까도 생각해 봐야죠. 과거 거란 여진족 포로들이 백정임. 그들 후손한테 잘해줄 이유가?

  • @IAMEXLOVER
    @IAMEXLOVERАй бұрын

    ❤ 차별은 나쁜 것.

  • @user-ql5gg4gl4t
    @user-ql5gg4gl4tАй бұрын

    사실 백정을 극혐한건 유교보다는 불교같은데...오히려 유교는 숭유억불 일환으로 농사에 지장이 안가는 선에서 술과 고기를 권장하다시피 했지...

  • @user-bp7jd5iz6q

    @user-bp7jd5iz6q

    6 күн бұрын

    조선은 유교의 나라. 스님들도 천민으로 몰아서 사대문안에 발도 들이지 못하게 했고 온갖 노역을 시키고 노예로 여기던 시절. . 울나라 역사를 보면 불교를 핍악하 시대는 다 어려워졌지~

  • @user-co2zz3jg8d
    @user-co2zz3jg8dАй бұрын

    기술자들을 대우 안해주는 게 역사적으로 이어졌던거구나...

  • @ooparts6175
    @ooparts6175Ай бұрын

    인구구조가 잘못..천민이 적어요..상민이 많았는데. 나중엔 줄었죠

  • @skfogkwp
    @skfogkwpАй бұрын

    불신과 배신 누구 하나 믿을 자 없는 이 땅을 짚신 한 켤레에 의지하며 신을 찾아 기도하나 종신형을 선고받은 종놈이 믿을 자는 오직 내 자신

  • @skyblood99
    @skyblood99Ай бұрын

    한국전쟁 = 대한민국 리셋

  • @supiasun2000
    @supiasun2000Ай бұрын

    임꺽정이 생각나네용...(왜지?)

  • @brandonheet
    @brandonheetАй бұрын

    현재 서민들끼리조차도 계급이 나눠지는데 이건 본능이야

  • @jilong_diary
    @jilong_diaryАй бұрын

    만두가 팀장님이었다고요?!😮😮😮😮😮

  • @smartmandoo

    @smartmandoo

    Ай бұрын

    요요 퇴사 후.... 만두가 팀장되엇다구요

  • @jilong_diary

    @jilong_diary

    Ай бұрын

    @@smartmandoo 팀장 만두 폼 미쳐따요⭐️

  • @BunnyBottle-fk5qs
    @BunnyBottle-fk5qsАй бұрын

    고기는 다 처먹으면서 코딱지만한 나라에서 급은 나누고싶고...ㅉㅉ

  • @Pepe11270
    @Pepe11270Ай бұрын

    백정은 천민중에서 당시 천민들도 말도 안걸었다고 함

  • @seolw0ni178
    @seolw0ni178Күн бұрын

    저는 여태까지 백정이 고기를 파는 사람이니까, 그냥.. 상인인가? 양반들핰테 돌아다니면서 물건 파는사람 정도로 밖에 생각 안했는데. 천민이란 사실은 오늘 처음알았어요.앞으로 관심 좀 가져야겠어요😂.😂 반성합니다

  • @user-wo7wb9ng1k
    @user-wo7wb9ng1kАй бұрын

    사랑해용❤

  • @user-wo7wb9ng1k

    @user-wo7wb9ng1k

    Ай бұрын

    예.?ㅇ

  • @ksk1639

    @ksk1639

    Ай бұрын

    갑자기..?

  • @h-3816
    @h-3816Ай бұрын

    당시 중국에선 도축업자가 잡아다 받친 고기맛이 좋다고 황제에게 스카웃되서 관직까지 받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중국을 본받던 조선은 천대했다는게 참

  • @HomBy777
    @HomBy777Ай бұрын

    역시 세종대왕님...❤

  • @user-mz2pu5mh5o

    @user-mz2pu5mh5o

    Ай бұрын

    세종대왕님이 천민과 결혼하면 자식은 천민이라고 법을 만들었어요

  • @HomBy777

    @HomBy777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