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소기 사용하는 방법 , 지그쏘 ( how to use jigsaw)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안녕하세요. 한스아저씨입니다^^
오늘은 네이버 밴드를 통해 '과불급'님이 문의해주신
'직소기' 사용법과 활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혹시 영상을 보시면서
ㆍ직소기 활용법에 대해 더 궁금하신 분
ㆍ직소기 활용 용도에 대해 더궁금하신 분
ㆍ알고 싶은 우드카빙 내용이 있으신 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한스아저씨가 바로! 답변드리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D

Пікірлер: 67

  • @user-bz7ij8rc2r
    @user-bz7ij8rc2r3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당^^

  • @people254100

    @people254100

    3 жыл бұрын

    관심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user-nx8of1smnnejje
    @user-nx8of1smnnejje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people254100

    @people254100

    Жыл бұрын

    안전하게 작업하세요 ~^^

  • @goyusam
    @goyusam2 жыл бұрын

    정보감사합니다 ^^

  • @people254100

    @people254100

    2 жыл бұрын

    안전한 작업이 되시길 바랍니다

  • @SanseoTV
    @SanseoTV4 жыл бұрын

    한스님 잘봤습니다 공방이 정리가 베스트 입니다 ^^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좋게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a01036
    @a010365 жыл бұрын

    최고😃

  • @people254100

    @people254100

    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arnakiel2
    @arnakiel22 жыл бұрын

    넘 이쁘게 잘 잘라지네요 조금의 기술도 필요하겠어요 ㅎ

  • @people254100

    @people254100

    2 жыл бұрын

    체득이 되어야 합니다

  • @rurallife-honeybee
    @rurallife-honeybee3 жыл бұрын

    직소기가 떨려서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었는데 한스님 강의듣고 다시 이용해 보아야겠습니다 좁은 원은 이번 구입한 트리머 직선날을 이용하면 쉬어지겠습니다

  • @people254100

    @people254100

    3 жыл бұрын

    직소기의 떨림의 가장큰 부분은 단단한 고정이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대부분 손으로 잡고 절단을 하는 경우가 많아 단단하게 고정이 안되서, 또는 받쳐주는 부분과 거리가 멀어서 ㅡ이런경우 다이빙보드처럼 퉁퉁튕겨지죠. 두 가지 경우가 떨림의 가장큰 원인이구요. 곡선절단시 회전시키는 직소기를 천천히 움직이셔야 합니다. 전동실톱(스크롤쏘 또는 스카시)과 달리 직소기는 날이 한쪽만 고정이 되어 있어 무리하게 작업하면 날이 부러집니다. 이때 떨림의 경우가 부러질수 있다는 경고가 되겠습니다. 기계사양에 맞춰 차분하게 작업을 하시는게 제일 안전한 작업이 되겠습니다.

  • @user-iu1so3kk6y
    @user-iu1so3kk6y4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한스 아저씨. 저도 한스 아저씨처럼 목공방 하나 차리고 싶어요. 자문을 좀 구하고 싶네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언제든지 시간되실때 놀러오세요.

  • @user-gp8kh2pj6k
    @user-gp8kh2pj6k4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ㆍ근데 직쏘 속도를 정할때 기준은 어떻게 정하나요? 두꺼운 것 ㆍ얇은것? 빨리 ㆍ천천히? 선생님 영상 찍으실때 속도는 몇에 두셨나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기계속도는 직쏘기계 적응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공사현장에서 용접을 하시는 분들은 제일 높은 곳에 고정을하고 조절해서 용접을 합니다. 저같은 경우도 속도는 6단계까지 올리고 영상을 찍었습니다. 한가지 더 알려드리자면, 톱날의 선택에 따라 다르게 속도가 나타납니다. 톱니간격이 넓은 것이 대개가 목공용입니다. 목공용이라더라도 톱날 간격이 좁은 것이 얇은 판재를 가공하는데 사용됩니다.

  • @gorani1071
    @gorani1071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people254100

    @people254100

    2 жыл бұрын

    안전목공하세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2 жыл бұрын

    아., 지그쏘는 너무 쎄서 잘깨질 수 있어요... 전동실톱으로 쟉업을 하는게 좋은데요.. 아니면 더 정확한 레이져컷팅으로,.

  • @_4LEAF
    @_4LEAF3 жыл бұрын

    소음이 생각보다 크지 않은거 같은데.. 영상편집에서 줄이신건가요? 아니면 4329 저소음인건가요? 궁금합니다^^

  • @people254100

    @people254100

    3 жыл бұрын

    영상편집시 소리를 줄였습니다.

  • @mezero3623
    @mezero36235 жыл бұрын

    직소 보관을 잘못하여 톱날고정하는부분이 살짝 사선으로 기울어진거 같아요. 그래서 반듯하게 직선으로 잘리지않고 한쪽으로 치우쳐지면서 잘리네요. 고칠수있을까요?

  • @mezero3623

    @mezero3623

    5 жыл бұрын

    톱날도 기울어졌어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5 жыл бұрын

    설명으로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밑판기울기를 잡아주는 고정장치가 풀리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육각렌찌가 기계구입시 포함되어 있습니다. 조절해서 재고정해보시길 바랍니다.

  • @people254100

    @people254100

    5 жыл бұрын

    @@mezero3623 톱날은 교체용을 재구입을 하셔서 교환하시길 바랍니다.

  • @passat6677
    @passat66774 жыл бұрын

    오늘 방부목 38mm 절단하는데 직소날이 곧 부러질 거 처럼 진동이 너무 심해 작업을 중단했습니다 혹시 제가 모르고 있는 사용상 주의점이 있을까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직소로 자르기에는 1.너무 두께가 두꺼워 보입니다. 2.다른 기계가 없다면 직소기의 밀착이 잘되어야 하구요. 3.목재용날은 날 간격이 넓습니다. 4.톱날스스로 자르는 것이지 사람이 인위적으로 힘주어 미는 것이 아니구요. 5.날길이가 좀 더 긴 날이 있습니다. 이렇게 참고해서 작업하시고, 되도록이면 전용컷팅톱으로 안전하게 작업하시길 바랍니다.

  • @myl9221
    @myl92213 жыл бұрын

    직쏘는 숙련자도 맞는선에 맞게 절단하기 어려워 보이는데 맞나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3 жыл бұрын

    예 아무래도 전동실톱에 비하면 절단면이 거칠다고 할 수 있습니다.

  • @user-du1yi3tn1j
    @user-du1yi3tn1j4 жыл бұрын

    아크릴 자를때는 속도 몇단계로 해야 되나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직소기로 아크릴 자르는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아크릴특성상 충격에 잘 부러지니까요. 단단히 고정을 해주고 절단을 하셔야하는데요. 테이핑을 벗기지 마시고, 자르시고, 속도보다 날을 목재용이 아닌 아크릴용으로 사용하세요.

  • @user-du1yi3tn1j

    @user-du1yi3tn1j

    4 жыл бұрын

    @@people254100 감사합니다

  • @cisses2
    @cisses23 жыл бұрын

    직쏘기로 자를 때 자꾸 한 쪽으로 쏠리는 데 왜 그런건가요? 옆에 가이드를 받치고 잘라도 자꾸 한 쪽으로 벗어나려고 해서 비스듬히 가도록 해서 직선으로 만드는데 힘을 상당히 줘야 합니다. 직쏘기가 문제인가요? 초보자인 제가 문제겠지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3 жыл бұрын

    일단은 톱날이 잘 드는지 확인해보시구요. 톱날이 양날이라 한쪽이 마모되어 휘어질가능성, 사용하실때 숙달이 안되어 자신도 모르게 힘을 한쪽으로 쏠리게 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정반이 기울어져있을 수 있습니다.

  • @cisses2

    @cisses2

    3 жыл бұрын

    @@people254100 답변 감사드립니다. 사실 구입해서 처음 써보는 거라 마모된 건 아닙니다. 왼쪽으로 벗어나려고 하는데 오른 쪽으로 힘을 엄청 주어야 그나만 직선처럼 보입니다.T.T

  • @people254100

    @people254100

    3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그렇다면, 속도조절을 해보세요. 그리고 바닥판이 직각인지 확인해보시구요.

  • @TV-lc9bf
    @TV-lc9bf5 жыл бұрын

    실톱날이나 직소날을 사용하다 날이 부러지는 경우도 있나요?ˀ ?

  • @people254100

    @people254100

    5 жыл бұрын

    예, 톱은 사용하다보면 날이 닳아서 무뎌지기도 하고, 부러지기도 합니다. 나무를 자를때 잘 잘라지지 않으면, 톱날을 교체하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 @ysk7382

    @ysk7382

    5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people254100

    @people254100

    5 жыл бұрын

    @@ysk7382 도움되셨다면 다행입니다 ^^

  • @siunarayab4782
    @siunarayab47823 жыл бұрын

    직선으로 길게 자를때 (가령 장농문짝 같은것들을 만들기 위해서 커다란 합판 자르는 경우) 똑바로 자르기 위해 집에서 간단히 쓸 수 있는 방법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작업대 같은거 없이 방바닥에서 diy 하는 경우입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목공을 좋아하면서도 적당한 작업 환경을 갖추는게 어려워서 도전을 못하는거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작업대 같은거 집안에 설치 해놓고 하실 수 있는 분들이 많지 않을겁니다 특히 긴 목재 다루는것이 매우 곤란한 일이라고 생각되네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3 жыл бұрын

    조기대라고 표현을 하는데요. 반듯한 나무를 톱날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자르는 역할을 해줍니다. 바닥에는 일정한 두께의 나무나 고여주는 물체가 필요하겠습니다.

  • @user-kj1ei2iy6r
    @user-kj1ei2iy6r Жыл бұрын

    일반 데크 부분 사용 가능 하나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Жыл бұрын

    예 가능합니다

  • @user-kj1ei2iy6r

    @user-kj1ei2iy6r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people254100

    @people254100

    Жыл бұрын

    @@user-kj1ei2iy6r 하드우드는 날이 휠 수 있습니다

  • @kaysiy15
    @kaysiy152 жыл бұрын

    강철 직경 20미리 빠이프 자를수있나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2 жыл бұрын

    강철은 전문 절단업체에 맡기시는게 심신이 편하실거예요~^^;;;

  • @hyunsukpark2167
    @hyunsukpark21674 жыл бұрын

    직소기 모델명이 어떻게 되나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마끼다 제품인데 제품모델은 내일 출근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마끼다 4329입니다

  • @arnakiel2
    @arnakiel22 жыл бұрын

    좁은면은 칼랄이 부러질꺼 같군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2 жыл бұрын

    한번에 자르는 것보다 나눠서 자르시는게 안전하구요. 톱날을 가느다란것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 @dinost
    @dinost4 жыл бұрын

    직선날과 곡선날이 별도로 있습니다. 현재 날은 직선 클린우드 날이고 당연히 직선절단에 적합한 것이지 곡선은 어려운 날인겁니다. 직선날로 고생하느라 애쓰시네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예 다양한 날을 사용하면 좋게죠?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은 날을 구매하는것 조차 부담스러워 하시기도 하더라구요.

  • @Zikuter
    @Zikuter4 жыл бұрын

    쏘우?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톱을 말하는거예요.

  • @lastpunch69
    @lastpunch694 жыл бұрын

    두께가 두껍고 단단하면 날 앞뒤 떨림조절하셔야죠. 그런기능없는 직쏘는 더 두껍고 단단한거는 전진이안됩니다.영상처럼 날만 까맣게 타고.. 또한 목재용날중에 영상보다 폭이반절인 날도있습니다.굴곡따기 더 용이하지만 잘부러지는것만 조심하면 날을비틀어가면서 굴곡감을 필요없습니다. 6개세트에 만원정도합니다. 구비해놓는게.. 아울러 완전원형뚫을거면 홀쏘날을 사용하는게 10센치정도까지는 쉽게 원형딸수있죠. 목공도 장비는 어느정도있어야

  • @people254100

    @people254100

    4 жыл бұрын

    예 맞는 말씀이세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초보자분들의 이해를 위한 영상이라 고려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초보자분들이 공구를 장만하는데도 많은 부담을 갖고 계시거든요. 제가 올려놓은 영상들을 관심있게 보시면 전체적으로 이해가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보충하고 첨가해야 할 영상들도 많이 있구요. 월산님처럼 관심있게 봐주시는 분들이 제겐 큰 힘이 된답니다 ~^^

  • @307signal
    @307signal Жыл бұрын

    제건 속도 조절 없는데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Жыл бұрын

    같은 브랜드여도 옵션이 다르게 많습니다.~^^;;

  • @silversun4196
    @silversun41962 жыл бұрын

    위험하진않나요

  • @people254100

    @people254100

    2 жыл бұрын

    안전한 작업을 위해서는 사전 교육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