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당신의 미래를 송두리째 바꿀 이야기 (한근태, 최재천, 강창희, 신영준)

50,60대에 미친듯이 공부해야 하는 이유
한근태 [공부란 무엇인가]📘
👉 product.kyobobook.co.kr/detai...
강창희 [오십부터는 노후 걱정 없이 살아야 한다]📘
👉 product.kyobobook.co.kr/detai...
📓오로다 PLAN · DO · SEE 다이어리(2023년) 구매
👉 bit.ly/3HXCFvl
#5060 #노후 #동기부여
📢문의: info@changeground.com
--
00:00:00 60대 후반에도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는 이유 (한근태 대표)
00:12:43 인생의 기회를 잡는 사람과 못잡는 사람의 차이 (최재천 교수 Q&A)
00:22:40 어쩌면 당신의 노후를 송두리째 바꿀 이야기 (강창희 대표, 풀영상)
01:11:15 실제 60대가 말하는 비참한 노후를 피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결정적 특징 (신영준 박사)

Пікірлер: 795

  • @gracelee9880
    @gracelee9880 Жыл бұрын

    너는 지금 미국에 살고 있는데 한국 나이로 72세고 1952년 11월 생이다. 한국에서 24년 동안 초등학교 교사로 일했고 명예 퇴직 후에 1999년 1월부터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24년째 살고 있다. 처음에 미국 와서 영어가 잘 안 되어서 헌국인 가게에서 적은 수입으로 겨우 생활을 꾸려갔다. 미국 백인 경찰들의 인간차별을 몇번 당한 후에 영어를 정복하자고 마음 먹고 영어 성경을 1권은 5독 했다. 다른 성경은 2 독 하면서 영어 실력이 늘었고 말하는 것은 여전히 서툴러도 집으로 오는 여러가지 서류들을 독해하는 실력은 늘어갔다. 우체국에서 낯선 중국 젊은 여자가 나를 자기 화사에 데리고 갔는데 보험하는 회사였다. 120 쪽의 책을 내게 주면서 공부해서 보험자격을 따라고 해서 공부한 결과 4개의 보험 라이센스를 이민 온지 5년 이내에 가지게 되었다. 그 후에 자녀들이 모두 결혼 후에 버지니아 주로 옮겨서 간호사 자격증을 따려고 Health school에 63세에 입학해서 66세에 마침내 미국 간호사가 되었다. 지금 72세로 7년차 간호사로 여전히 일하고 있다. 2016년 까지의 내 소셜 연금이 500불이 안 되었는데 간호사가 된 후에 6만불. 7만불. 8만불까지도 연간 수입이 늘어서 간호사가 된 후에 매년 쇼셜 연금이 200불 이상 올라서 6년 후인 올해의 내 쇼셜 연금이 1360불이 되었고 내년 봄에 운퇴하면 1560불이 넘는다. 그래서 내가 제일 잘한 일은 60이 넘어서 간호공부를 영어로 정복해서 현재도 간호사로 일하면서 돈도 모으고 남도 돕고 사는 보람된 삶에 만족하며 살고 있다. 내가 나를 생각해도 참 대단하다고 칭찬해 주고 싶다. 공부를 나이들이도 해야 하는 이유를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공감하시고 이제라도 도전하기를 권한다.Thank you.

  • @user-gq8ob4hl4z

    @user-gq8ob4hl4z

    Жыл бұрын

  • @user-hh9qo2fg2t

    @user-hh9qo2fg2t

    Жыл бұрын

    저는 미국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그래서 궁금합니다 70살이 넘은 나이에도 병원에서 퇴사하라 안하시는지요. 한국은 70세 병원에서 간호사로 일하는 경우가 없는것 같아서요. 너무 부럽습니다. 지금까지 병원에서 근무하시는 모습이. ^^

  • @user-qk4or8ju3p

    @user-qk4or8ju3p

    Жыл бұрын

    grace lee 님!!! 너무 멋지세요~ 👍👍👍 저는 50대 중반입니다~ 한국에서 grace lee 님처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70대의 나의 모습을 생각하면서 매일 매일!!!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게 사세요😊

  • @user-os3th2jq8b

    @user-os3th2jq8b

    Жыл бұрын

    와우~~~ 너무 멋지세요. 부럽습니다. 공부 열심히 하겠습니다.

  • @user-ky7lw7ud5d

    @user-ky7lw7ud5d

    Жыл бұрын

    ​@@user-hh9qo2fg2t 우리나라도 60대 일하고있구요.앞으로 70대할수 있을겁니다. 미국은 간호사 할 수있으며 급여도 좋은편입니다.

  • @user-tw9pt1oo8y
    @user-tw9pt1oo8y Жыл бұрын

    저는 74세입니다 몇년전에 한국사 능력 1급 패스 했고요 컴퓨터활용능력 2급도 땄고요 웓ㅇ 일급도 땄습니다 영어도 영어성경과 구동사 열심히 하고 있고요 불어공부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피아노 배워서 시골교회이지만 예배 반주도 하고 있습니다 건강은 황토맨발 걷기와 현미 채소과일 식으로 영위하고 있는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시골 사는 할머니입니다 가난하지만 성공한 삶 같습니다

  • @user-wx6dx6gf9v

    @user-wx6dx6gf9v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 @user-hk1jg4wc2n

    @user-hk1jg4wc2n

    Жыл бұрын

    저의 워너비 삶임니다 응원합니다

  • @riskan4220

    @riskan4220

    Жыл бұрын

    어머님과 같은 분. 너무 감사하고 고맙습니다. 저희 어머님도 자격 취득후 아버님을 보살피고 있습니다.

  • @user-jf2zr5xp2o

    @user-jf2zr5xp2o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진 시간을 살고 계시네요. 그렇게 도전하며 살 수 있는 삶이 얼마나 축복인지요... 저도 좋아하는 일을 오래오래 하고 싶어서 사람들과 소통하며 지내고 있어요. 젊은 사람들의 활동 무대라 여간한 마음가지고는 할 수 없는 일이기는 한데 뭐, 그래도 저는 저 나름대로의 강점이 있어서 잘 해내고 있답니다. 건강하시고 아름다운 날 보내세요. 응원합니다!!~❤❤

  • @user-cu6ju9qt5b

    @user-cu6ju9qt5b

    Жыл бұрын

    최고십니다

  • @somunmanbok
    @somunmanbok Жыл бұрын

    추울 때 추운 데서 일하고, 더울 때 더운 곳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있기에 세상이 조화롭게 돌아갑니다. 그런 분들을 한 마디로 싸잡아서 폄하하는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권위의식을 가지고 소위 갑질을 하지 않을까 우려스럽네요. 그 사람들의 자녀들에게 더불어 살아가는 건강한 의식을 심어줄 수 있을까요? 가정교육이 참 중요한데 말입니다...

  • @user-ld4qi2ov7p

    @user-ld4qi2ov7p

    Жыл бұрын

    세상이 조화롭게 보이지만 추울때 추운곳에서 더울때 더운곳에서 일하고 싶은 사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원하는 일.. 누구나 꺼리는 일은 분명 있습니다. 자신의 위치와 능력이 자유롭지 못할뿐..

  • @justice8192

    @justice8192

    Жыл бұрын

    본인이 원하는 일이면 괜찮은데 어쩔수없이 갈 곳이 그것만 남은 분들도 있죠

  • @ajpark9818

    @ajpark9818

    8 ай бұрын

    인격이 하등인 인간이 공부를 하게되면 이런류의 재앙이 만들어집니다. 더울때 더운데서 일하는 사람만도 세상을 이롭게 하질 못해요. 여기가 세상끝인줄 아나봐요. 사후도 존재 합니다. 무슨 값을 치를려고

  • @user-jfgrki2gjde

    @user-jfgrki2gjde

    7 ай бұрын

    외국은 학벌이 좋거니 고등학생때 성적이 좋아도 더울때 더운데서 일하는 직업 갖는 사람도 많은데. 대표적인게 목수. 에어컨 나오는데 가만 앉아서 일하는 것보다 몸쓰고 눈에 보이는 결과물 완성해내는 데 매력 느끼고 자기 성향 맞는 직업 갖는 편. 우리나라는 아직도 외부 시선 때문에 성적맞춰 직업군 선택하니 경제력대비 우울감 자살률 최상위권.

  • @DooSikAn-nj5tm

    @DooSikAn-nj5tm

    2 ай бұрын

    네.저도 somunmanbok 님과 같은 생각이라서 댓글을 남깁니다.

  • @user-ex9fe9gl8k
    @user-ex9fe9gl8k11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하지만 아쉽습니다. 저는 서울대??도 나오지 못해 검증도 못 받았고ㅎㅎ, 생각도 부족하고, 아직 철이 없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더운 날 더운 곳에서 일하시고 추운 날 추운 곳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계시기에 우리가 편한 삶을 살 수 있다고 생각하고 이 분들의 노고에 항상 감사합니다. 또한, 저는 이분들의 삶이 실패한 삶이라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참 고마운 분들이시죠. 이분들도 성실하고 꾸준함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잘 준비하시는 분들 있으실 거라 생각하며 아무리 돈을 많이 벌고 특별한 능력, 전문성??이 있다할지라도 흥청망청 살다가 비참한 노후를 맞는 이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직업의 귀천을 떠나 모든 직업은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책임을 다해서 각자의 몫을 다하는 것만으로 귀하고 아름답고 소중하다 생각됩니다. 어느 한 직업 만으로 돌아가는 게 아닌, 그 모든 직업들이 있기에 이 사회가 잘 돌아가는 것이니까요. 그러니 어떤 직업도 쉽게 말하고 함부로 폄하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 @user-mv9cr1fr1f

    @user-mv9cr1fr1f

    11 ай бұрын

    네~50넘어서도 그렇게 생각은 못해봤는데 사려깊은 말씀입니다 모두다 좋은 말씀 좋은 생각입니다

  • @user-cz1sl2vt4i

    @user-cz1sl2vt4i

    11 ай бұрын

    직업폄하의도로 말한것이 아닌듯요^^ 나이들어서도 힘들게일하지말고,창의적직업을 위해 노력하자는 내용인데;;;

  • @Cpt.Winters.

    @Cpt.Winters.

    11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화이트칼라의 ‘편견’이라고 봅니다. 각자의 삶, 나름의 인생관, 운과 선택들. 많은 변수들이 있기에 그 사람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다고 그 삶을 낮추어 평가하는 것은 ‘오만’일 뿐입니다.

  • @user-jt7el5rq4w

    @user-jt7el5rq4w

    11 ай бұрын

    당신의 답변이 훌륭한 논리적 설득력 있는 말

  • @sok4406

    @sok4406

    10 ай бұрын

    1

  • @florygold510
    @florygold510 Жыл бұрын

    추울 때는 추운 데서 일하고, 더울 때는 더운데서 일하지만, 전문직이 아니라도, 묵묵히 건강한 직업 군에서 일하는 고소득자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대체로 그런 분들 때문에 우리 사회가 이나마 건강을 잃지 않고 유지 되는 것 아닐까요~. 그리고, 신영준 대표님의 아버님이 아직은 저보다도 젊으시네요. 제 나이 69세 제 선친의 친구 분은 98세 이신데, 여유가 있으시니, 건강도 잘 돌보고, 아직도 팔팔하게 친구들 만나고 다니십니다. 건강도 경제적 여유가 있어야 유지가 가능하지요 저 역시 해외 유학파이고, 외국어나 문해력이나 다른 모든 조건이 보통 평균의 서민 보다는 높은 편이지만, 저는 나의 눈높이를 낮추고, 나보다 조금 약한 분들을 염두에 두려고 애를 씁니다. 아직 저나 영준님의 아버님 세대는 서로 경쟁하여 이기는 한국 문화에서 자랐기 때문에, 어려운 사람을 물질적이나, 정서적으로 배려하는 걸 배워본 적이 없지요. 저 역시 많은 교육의 혜택을 받으며 살아 왔지만, 저 보다 교육 수준이 낮다고 그 분이 무능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저희보다 능력이 떨어지는 분들도 우리가 같이 끌어안고 도와야죠~. 신영준 대표님의 아버님은 요즈음은 어르신도 아니죠~. 그리고 예제로 들으신 몇 개의 케이스는 합당하지도 않구요, 너무나 우물 안 개구리 같은 발상 이십니다. 여유가 없으신 분들도 이 강의를 듣는다는 걸 염두에 두시면 더욱 좋을 듯. 쇼핑~. 그거 좋지요. 저도 성남시의 고급 주택에 좋은 환경에 삽니다 만, 저, 현대 백화점에 쇼핑하러 가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얼마나 많은 퍼센트의 국민이 노년층의 노후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지요.~ 아직 젊으시니,~~~~~. 강의를 하실 때는 다수가 아닌 소수라도 약자의 편도 생각하고 배려하는 강의가 더 설득력 있지 않을까요? 스터디언 님도 동영상을 올릴 때는, 조금 더 우리 사회의 어려운 상황에 있는 나보다 약자의 입장도 고려해서 동영상을 보고 선한 영향력을 받을 수 있는 영상을 올려 주시길~. .

  • @xrayseo

    @xrayseo

    11 ай бұрын

    중요한 사실은 공부에는 그만이 없다라는 얘기인것같아요.

  • @Gitar-Pungkyung

    @Gitar-Pungkyung

    8 ай бұрын

    좋은말에 귀기울이며 나를 발전시켜나갈 덕목을 찾아나가는게 중요하지요 저도 올초 까지만 해도 중국집에서 설거지 알바를 하며 공부해서 자격증을 취득했고 지금은 복지센터에서 일을합니다 지금도 계속 공부하며 사회에 더 보탬이 되는 일을 하고자 노력하려고 합니다 이런영상들을 보며 자칫 안주하려는 자신을 일깨우고 진취적인 힘을 얻고 또한 나를 발전시킬수 있는 원동력으로 삼기도 합니다 약자를 폄하하는 영상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 @pulgacsi

    @pulgacsi

    6 ай бұрын

    ​@@Gitar-Pungkyung그러게요 비유법을 쓴 것인데 무슨 폄하를 햇다고 책도 안 읽은 표를내고 있네요 ㅎ 누가 한마디하니 이때다하고 용기도 없던사람들이 떼거리로 티를 내고 있네 😁

  • @user-nl1wl2fo6y
    @user-nl1wl2fo6y Жыл бұрын

    본인은 올해 65세 랍니다. 환갑을 지나고 소방기술사 자격을 취득하겠다 라는 생각아래 공부합니다. 친구도 아내도 미쳤다라 했지요. 친구도 비방하고.. 혼자 학원도 안가고 혼자 공부합니다 오전3시에 무조건 일어나 하는데 습관이 되고 다시한번 내인생을 설계하고 해보는 것은 해본자만 압니다. 하루가 짧고 신납니다. 말씀에 공감이 가서... 올려봅니다.

  • @eunueollee8664

    @eunueollee8664

    Жыл бұрын

    최근 도서관에 가서 인생선배님들께서 너무나 진중하게 공부하시는 모습들을 보며 많이 놀랐고, 삶에 대한 자세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됐습니다. 원하시는 일 꼭 이루시기 바랍니다.

  • @jihunlee6642

    @jihunlee6642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저두 올해 63인데 무엇인가 해보려 하는데 용기를 얻습니다.

  • @milenalee2973
    @milenalee2973 Жыл бұрын

    저는 11살에 부모님 손잡고 76년도에 브라질로 이민와서 세월의 흐름을 서핑하면 할머니가 된 오늘까지 왔어요. 노후 대책은 돈보다는 일이라고 생각하기에 생각 끝에, 올 초에 심리학과 학부 학생이 되었습니다. 5년 후, 지금보다는 점 하나만큼이라도 업그레이드 되어 있을 나를 그려보며 오늘도 폴투칼어로 하는 수업에 들어갑니다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길어질수록 있는 노년을 조금이라도 준비하며 나아갑니다 선생님, 멋진 분이십니다!

  • @timeless0819
    @timeless0819 Жыл бұрын

    잘난 사람들 나와서 얘기들 하는데 삶이 다르고 상황이 다르죠 삶을 있는자 없는자 이분법으로 나누는 것 같아 그러네요 휴지를 줍고 살아가는 분도 나름 훌륭하신분이고 부모님 잘 만나 정도를 걷고 있는 몇 분들 감사하며 사세요 다 삶은 달라요 책보다 밥이 먼저인 사람들도 많습니다 그냥 다 인정합시다 못 사는 사람들이 인생을 헛 산건 아닙니다

  • @user-ve1ze2yk5k

    @user-ve1ze2yk5k

    Жыл бұрын

    인간은 다 소중합니다. 속말로 똥치우는 분이 있어야 하얀 와이샤스 입을수 있어요. 똥치우는 분이 와이샤스 입을수 있어요 또 벤즈도 운전하면 차가 달려요. 어는정도 나누는 세상오길.

  • @ivokim6698

    @ivokim6698

    Жыл бұрын

    있는자 없는자로 나누는 것보단 더 나은 삶은 살려는자와 아닌자로 표현하는게 맞는것같습니다 독서는 현재 자기직업과 처지가 어떻든 그것과 상관없이 더 나은 삶을 위해 필요하고 그건 길거리를 청소하는 분이던 의사편호사든 가정주부든 그건 중요하지 않은것같아여

  • @mastermind4197

    @mastermind4197

    Жыл бұрын

    박명수 말은 틀렸습니다. 추운데서 일하고 더운데서 일하는 사람도 있어야 사회가 잘 돌아갑니다. 모두 공부만 해서 편안 일만하면 사회 시스템은 멈추게 됩니다. 그 갭을 외노자가 채우게 되고 현실 역시 그렇게 돼가고 있고 기술자 장인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모두 사회의 구성원으로 작은자, 못배운자의 역할도 필요한 겁니다.

  • @user-rg6zr8vk1x
    @user-rg6zr8vk1x Жыл бұрын

    74세가되니 좋다고 생각했던 건강이 근골격계가 이상이 오기 시작합니다. 평생 가장이 되어 아들둘을 박사만들어 외국에서 비 교적 자기삶을 잘 하고 있습니다.평생 고생했겠다는 말을 들으며 자식들이 돈많이 주냐고 묻는 사람들이 꽤 있는데 저는 그냥 제인생 숙제를 한것 뿐이라고 말합니다.그래서 이제라도 나를 위해 무언가 한가지 하고 싶어 방통대에서 노인복지학을 공부하고 싶다고 주변에 얘기했더니 어디다 써먹을려고 뒤늦게 공부하냐고 말립니다. 꼭 써먹어야하는게 공부인지 모르지만 그렇구나 싶기도 합니다. 공부도 좋아해야 효과적이고 스트레스 받으면 안하는게 낫습니다. 얼마전 중학교 교장선생남으로 은퇴한 택시기사님이 운전하던 개인택시를 탔는데 그분은 오전에 몇시간은 복지관에서 봉사를 하신다면서 나이들어 자존감과 자부심을 높여주는 보람된일을 반드시해야하는데 그게 봉사라고 했습니다. 우리나라 노년층 대부분은 그저 일 안하고 남의덕에 사는게 최고의가치로 아는것 같고 시간을 죽이러 산다는 생각을 합니다. 박사님 말씀에 공감하며 속절없이 흘러가는 시간을 내 방법으로 아껴가며 살겠습니다. 죽는날까지 뭔가 지적이고 이타적인 일을 찾아볼 생각입니다. 박사님 감사합니다.

  • @user-pm5qc1et7x

    @user-pm5qc1et7x

    Жыл бұрын

    훌륭하십니다 ❤

  • @pulgacsi

    @pulgacsi

    6 ай бұрын

    공부하는 자체가 내 인생에 플러스입니다 꼭 사회의 쓰임을 받지않아도..

  • @user-eu7uz1iz2x
    @user-eu7uz1iz2x Жыл бұрын

    대통령은 왕이 아니기에 비판은 해도 됩니다 국민들이 주인입니다

  • @kky2508

    @kky2508

    Жыл бұрын

    문제는 무턱대고 거짓으로 꼬트리잡고 사회혼란을 일으키니 ..좌빨들 분탕질이 큰일임

  • @lemontree5051

    @lemontree5051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일꾼으로 뽑고 관심 안갖는게 더 문제죠...할일 없어 정치에 관심갖는게 아니라 내 자식과 내 미래를 위해 관심 갖는겁니다...강연자님 말씀 맞지만 대통령이 일꾼이니 사장처럼 우리가 매의 눈으로 평가해야죠....

  • @user-bg9ee4yf4t

    @user-bg9ee4yf4t

    Жыл бұрын

    왕도 잘못하면 비판하고 끌어내리죠

  • @kky2508

    @kky2508

    Жыл бұрын

    @@user-bg9ee4yf4t 이죄명 깜빵 가야겠다

  • @user-oi1ci7nq3x

    @user-oi1ci7nq3x

    Жыл бұрын

    ​ ㅡ333ㅡㅡ3ㅡ3ㅡㅡ333ㅡ33😅3😅3

  • @yonghanpark9632
    @yonghanpark9632 Жыл бұрын

    공부하면서 정치에 대한 관심도 가져야죠. 정치인들에게 이용당하는 이유는 노년 세대들의 정치 무관심이 한몫 합니다.

  • @user-iy9ie3dj8j
    @user-iy9ie3dj8j Жыл бұрын

    공부가 꼭 책을 보는것이 아니라 저처럼 그림공부하는것도 공부라 생각합니다ㆍ52세 아들쓰던물감으로 그림그리기시작 지금은 수채화작가로활동하고있지요 끝없이그려보고 끝없이 연구하고 즐거움이 저를 행복하게합니다 환갑나이에 문화센타 주민센타 수강생도 몇군데 강의도하고ᆢ돈되는일은아니지만 보람있네요 ㆍ최근엔 92세 어르신그림그리시는거 봐드리는게 보람됩니다ㆍ

  • @user-jv7ol5ib4u

    @user-jv7ol5ib4u

    6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저희 친정엄마도 91세 신데 그림을 취미로 그리시는데 더배우고 싶어하세요.선생님은 어디서 가르치시나요? 저희 엄마는 청주예요

  • @suns9214
    @suns9214 Жыл бұрын

    듣고 또 듣고 마음에 새기며 56세를 시작으로 새출발 합니다 감사드립니다 평생 공부 하렵니다

  • @user-zt5tn9nb2d
    @user-zt5tn9nb2d Жыл бұрын

    '공부는 성취보다 성장을 위해서 애매함을 명료함으로 만드는 과정이다.'에는 공감합니다만 추운날 추운데서 일하고 더운날 더운데서 일하는 분들이 있어서 이 사회 시스템이 원활하게 유지된다는 생각입니다.

  • @user-ks8jq2zq4q

    @user-ks8jq2zq4q

    Жыл бұрын

    👍 명언이십니다 ㅡㅡ

  • @user-ny3wp1sr1b

    @user-ny3wp1sr1b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공부하지 않으면 춥고 더운데서 일한다고 하는 말은 좀 아닌 것 같네요 그분들 때문에 사회가 잘돌아가지요. 그분들도 훌륭한 분들입니다.

  • @goodman4321

    @goodman4321

    Жыл бұрын

    이 말의 본질을 이해하셔야죠.. 에고 참

  • @user-dc2vq9pf1k

    @user-dc2vq9pf1k

    11 ай бұрын

    글쵸~ 직업의 귀천을 논 하는 얘기는 아니죠~

  • @tsinger7720

    @tsinger7720

    11 ай бұрын

    나이들면 점점 춥고 더운데서 일할수 없어요 귀천을 얘기하는게 아니라요

  • @user-lz6ur7kd7x
    @user-lz6ur7kd7x Жыл бұрын

    kbs다큐, 공부하는인간편을보면 백발의 80이 넘는 분의 공부하는 모습을 볼 수있습니다. 저는 70입니다. 어릴적부터 새벽에 공부하는 습관으로 지금도 새벽 3시면 무슨공부든 합니다.홍천으로 며칠전 귀촌하였으며 귀촌 생활을 시작하고 새벽이면 공부를 합니다. 내 건강의 원천입니다. 난이도 높은 국가자격증도 5개입니다. 지금은 전기기사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어디다 써먹으려고 자격증을 따드냐고 물으면 재미로, 내 건강을 위하여 공부한다고 합니다.

  • @user-dn5so3tz1y
    @user-dn5so3tz1y Жыл бұрын

    저는 63세 지금 대학 4학년인데 공부가 재미있어요 내년엔 국문학과 다시 도전 할려 합니다

  • @y2725

    @y2725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 @do3101

    @do3101

    Жыл бұрын

    멋지세요!

  • @user-rd9qp2uw6e

    @user-rd9qp2uw6e

    Жыл бұрын

    의미있는 삶에 박수를 보냅니다

  • @user-xu9cj2jq9d

    @user-xu9cj2jq9d

    Жыл бұрын

    와우 본받겠습니다

  • @user-lou472

    @user-lou472

    Жыл бұрын

    왜 어릴때 안하고

  • @phs9497.
    @phs9497.11 ай бұрын

    저는 자격증공부를 40대부터 다양하게 해왔습니다. 올해는 제 나이 71세이며 대학교 1학년입니다. 제 성격이 멀티이고 건강하다보니 뭐든 시작하면 성취를 하게되고 기쁩니다~

  • @user-xk3zb5gf9b
    @user-xk3zb5gf9b Жыл бұрын

    나이63세에 영어 번역을 공부하려고 합니다 재미가 있으니 끝까지 가보렵니다

  • @jjongSJ
    @jjongSJ11 ай бұрын

    한근태님의 강의는 역설적으로 왜 나이먹고 공부해야하는지 다시한번 생각케해주는 것 같네요. 출세지향적인 공부는 젊을 때로 충분하다고 봅니다. 50, 60 넘어 굳이 하지 않아도 될 공부를 하는 것은 또다른 지향점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요. 공부의 이유로 예를 드신, 공부 안하면 추울때 추운데서 일하고 더울때 더운데서 일해야한다는 말씀은 저학력자 또는 3D 업종에 대한 은근한 비하가 담겨 있다고 느껴집니다. 저 역시 어릴때 그런 얘기 들으며 성장했고 나름 좋은 직장과 미국유학도 다녀왔지만, 지금 50을 훨씬 넘긴 시점에서 보자면 이 사회를 지탱하는 힘은 그런 성실한 분들 덕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60이 넘으셔도 끊임없이 자기계발 해나가시는 모습 많이 배우고 갑니다.

  • @user-uw3bd9ju8z

    @user-uw3bd9ju8z

    6 ай бұрын

    댓글. 을. 읽어만. 보아도. 인생에 성숙한. 지혜와. 연륜. 차분 함이 느껴저. 감동. 입니다. 하루. 세끼걱정. 볼안한. 미래. 각정 하는. 나와는. 차원이. 다르 신분 같은대. 책좀 집 필. 하셔서. 불쌍 한. 중생 들에게. 지혜의. 물 한 모금. 남겨 주세요

  • @pulgacsi

    @pulgacsi

    6 ай бұрын

    아니 그게 비하입니까 당연한것 같은데요 그런데서 일하는거 힘들지요 인간은 힘들지않고싶은 본능이 잇구요😁

  • @user-mx3sv4bj8v
    @user-mx3sv4bj8v Жыл бұрын

    나이를 먹으면 읽은책을 실천하며 살아야한다

  • @user-sp7ek3bk8b
    @user-sp7ek3bk8b Жыл бұрын

    학즉불고(學則不固)...참 좋은 말입니다. 항상 배우려는 자세는 스스로를 고집의 틀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준다는 것...!

  • @user-tu7qz7uu2m
    @user-tu7qz7uu2m Жыл бұрын

    저두 독서노트를 만들면서 혼자 책읽고 정리하는게 더 재밌어졌어요^^ 사람들과 만나서 다른 사람 얘기하는게 재미가 없거든요. 100% 공감되는 이야기를 하시네요

  • @yoling-1004

    @yoling-1004

    Жыл бұрын

    독서노트 만들기👍📍

  • @user-jd6mo8jz2q

    @user-jd6mo8jz2q

    Жыл бұрын

    저두 독서요 ㅎㅎ 넘 좋아요~~

  • @user-nu4nw9bf1e

    @user-nu4nw9bf1e

    Жыл бұрын

    저두요ㅎ독서모임 멤버들과 대화하는게 훨씬 공감가서 즐거워요!

  • @monicachoi5845

    @monicachoi5845

    Жыл бұрын

    Ccççexcd1

  • @user-wt4ve9jg7e

    @user-wt4ve9jg7e

    Жыл бұрын

    저도 주위에는 사람보다 책이 더 많아요. 코드 맞지 않은 사람들과 시간과 에너지 소모한다는게 아까워 하는 일인입니다.

  • @user-st3yu6it4k
    @user-st3yu6it4k Жыл бұрын

    강창희 저자님 10년넘게 꾸준히 활동을 지켜바온바 이 방송에서 말씀하신대로 살아오셨음. 단순노동직이래도 일을 가리지않고 하셨고 꾸준하게 계속 자기개발로 변신하심. 이게 너무나 대단함 요즘 40대만 되도 도태되는 사람이 늘어나는데 저 연세에 저런 열정과 태도는 정말 인상적이고 존경스러움.. 항상 건강하세요.

  • @user-sh9mn7ec7b
    @user-sh9mn7ec7b Жыл бұрын

    오늘 정말 좋은말씀 깊이새기고 싶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pt9sx9zt3e
    @user-pt9sx9zt3e Жыл бұрын

    잠이 안와서 새벽 4시에 우연히 듣게 됐습니다.제 나이 50대 중반인데,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 @user-wm9hx8ji4y
    @user-wm9hx8ji4y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evergreen1238
    @evergreen1238 Жыл бұрын

    65세 삶을 뒤돌아보면서… 저에게 유익한 강의 입니다. 그동안 책 욕심은 많아 읽지않고 쌓여만 있는 책들 이제 읽기 시작 해야 겠읍니다. 스트립션 하여 좋은 사람들의 말씀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 @dwpark5576
    @dwpark5576 Жыл бұрын

    60세가 넘어서 더 공부하거나 활동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는 별도로, 스트레스 안받고 편안하게 지내기 위해서는 여러모로 (돈, 자식, 성향 등) 비슷한 수준에 있는 사람들과 어울려야 하는 세태인 점을 인정해야 합니다. 신영준씨 아버지 친구 중에도 부유하지만 손주가 없는데 누가 손주 예뻐하는 얘기를 하면 싫어한다잖아요.

  • @ajpark9818

    @ajpark9818

    8 ай бұрын

    교회에 60대 권사 있는데 입만열면 사위자랑. 자기아들 둘 은 찍소리도 못하고 딸이 낳은 손주얘기까지 번번이 싸질러놓는데 그 여자를 다 싫어해. 그 교회도 그 보다 잘사는 여자들 또 있지 그런데도 모두 상당히들 싫어하는데 한국사람은 어울린답시고 사람만나봐야 결국 또 피곤해해 누군가는. 한번은 권사들끼리 딸이 있어야 한다고 성토가 벌어지고 서로 덕담을 하는데 모임 파 하고 나가는데 어느 한 권사가 다른 권사에게 웃으며 딸없어 어떻게. 했더니 다른권사 왈 며느리가 있잖냐고 쏴부치고 나가는데 참 ... 한국사람끼리는 어울리는거 자체를 되도록 말아야.. 이런생각이.

  • @YongYeon.3300
    @YongYeon.3300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나이 들수록 공부를 더 해야 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젊어서 먹고 살기 바뻐 공부할 생각도 못하고 세월이 흘러 크게 필요는 없지만 55세에 폴리텍.기술원등에 입학해 새벽 잠 줄이며 공부해서 2년만에 국가 자격증 10개 취득했습니다.

  • @user-ww9lw4rb6m

    @user-ww9lw4rb6m

    Жыл бұрын

    우와~~~도전 정신에 박수갈채를 보내 드립니다.

  • @youngfire5301

    @youngfire5301

    11 ай бұрын

    젊은이들에게 기회를 빼앗지 마세요. 내려놓고 살아야 건강해져요

  • @tsinger7720

    @tsinger7720

    11 ай бұрын

    ​@@youngfire5301 나이먹고 남의 일에 참견 훈수 두시는것 별로 입니다.

  • @user-xm9up9ek6x

    @user-xm9up9ek6x

    11 ай бұрын

    자격증 10개 획득한 그동안의 노고는 치하드립니다 허나 진짜로 사용하여 직업으로 하는건 별로 많지 않습니다 나에 적성에 맞는거 하나로 현장 실무능력이 더 중요 합니다 참고 바랍니다

  • @user-gb8zh6xi9e

    @user-gb8zh6xi9e

    11 ай бұрын

    ​@@user-xm9up9ek6x요즘 세상은 종합예술 배워놓으면 다써먹습니다

  • @sabangstar88
    @sabangstar88 Жыл бұрын

    저두 반백살되니 학교 다닐때 하기 싫던 독서와 공부가 너무 재밌어여😍 나이가 들면 몸은 덜 쓰게 되니 정신을 쓰면 더 잘 쓸 수 있어요😘

  • @davidchoi1318
    @davidchoi1318 Жыл бұрын

    공부를 하는 것 자체는 좋은 일이긴 한데, 공부도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라는 인식을 가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공부도 지식공부가 있고 자기 마음을 닦는 공부도 있습니다. 둘다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user-cn5mx1ge6d

    @user-cn5mx1ge6d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 @user-jk1et1ud9s

    @user-jk1et1ud9s

    Жыл бұрын

    상식위의 진리공부가 필요한 때가왔죠ㅡㅡ🌹

  • @valentinea7818

    @valentinea7818

    Жыл бұрын

    50대인데 기술 + 마음공부 필요성 인생은 계속 되는거 같습니다

  • @user-mf2te8te4f

    @user-mf2te8te4f

    8 ай бұрын

    50살 이후에는 자기 마음을 닦는 공부와 주변에 봉사하려는 마음가짐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 @user-yb2lb2ye5v

    @user-yb2lb2ye5v

    7 ай бұрын

    지식은 있으나 지혜는 없는분들이 지식인인가

  • @user-bt1iz6ks5v
    @user-bt1iz6ks5v Жыл бұрын

    공부는 애매모호한 것을 재정의하여 명료함 추구한다에 동의합니다

  • @user-qu1yz2zs4f
    @user-qu1yz2zs4f Жыл бұрын

    노후에 건강이 우선 그리고 돈있어야하고 그리고 일있어야함 아파서 눕기전까지 일한다 그래야 건강해진다

  • @suns9214

    @suns9214

    Жыл бұрын

    👍👍👍

  • @onlymoo1
    @onlymoo1 Жыл бұрын

    강의하시 분들도 그렇지만 댓글 하나하나 읽으니 정말로 자신에 충실하고 자신을 사랑하며 사는 분들이 너무 많네에. 댓글에 더 희망이 생깁니다~~

  • @user-uz3xc7xj3z

    @user-uz3xc7xj3z

    11 ай бұрын

    정말 그렇네요 ~~여기들어오신분들 모두 좋은말씀 듣고 변화되고싶은분들이 모인것같아요~★★ 저도항상 책많이읽고싶은데 매번바쁘다고 핑계만댄거같네요 반성~~!!하구갑니당~^^

  • @user-cu6ju9qt5b
    @user-cu6ju9qt5b Жыл бұрын

    메모해가며 경청했습니다 인생의 연륜과 현장경험에서 우러난 귀한말씀과 조언ㆍㆍ명심하고 실천해나가겠습니다 훌륭한 인생선배님께 감사드립니다

  • @user-yc2br7zy7z
    @user-yc2br7zy7z Жыл бұрын

    공부와 책!!! 감사합니다~~~♥

  • @user-ms3gs2ts8v
    @user-ms3gs2ts8v Жыл бұрын

    저도 60을 앞둔 나이인데 이제 새론 일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계속 공부해야겠어요

  • @user-dm8mo2zw8x
    @user-dm8mo2zw8x Жыл бұрын

    공감 가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 @SkullListening
    @SkullListening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di3zp3bx2l
    @user-di3zp3bx2l Жыл бұрын

    저도 올해 50.박사과정 1학기 시작했습니다.교사로 23년째 근무중입니다.이제 학비를 내는 부담감이 줄었고 조금 안정감이 느껴지기도 합니다.공부하려니 눈도 침침하고 몸도 힘들지만.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이 영상 너무 감사하네요.

  • @user-fg2gq6of5b

    @user-fg2gq6of5b

    8 ай бұрын

    저는 만60세에 박사학위 받았습니다. 홧팅.!

  • @pulgacsi

    @pulgacsi

    6 ай бұрын

    여기 이상한 인간들 많네요 ㅎ 자기들이 책 안 읽으면서 책 읽으랫다고 서울대 나온거 자랑하러 나왓냐 직업 폄하하냐 열등감에 쩔은 인간들 많네 ㅎㅎ

  • @user-un5pr7ii3g
    @user-un5pr7ii3g Жыл бұрын

    옳은말씀입니다 저도 60넘어 공부해서 대학졸업했네요

  • @user-jg3ry9bp4v

    @user-jg3ry9bp4v

    Жыл бұрын

    우하 대단하십니다

  • @user-lou472

    @user-lou472

    Жыл бұрын

    백세시대라서

  • @user-rw1mk4db9l

    @user-rw1mk4db9l

    Жыл бұрын

    저도 회갑에 방통대 입학해서 영문학과 졸업하고 남편도현재 72세 방통대 입학해서 지금 열심히 공부중이고 저는 현재 시니어 일자리 근무하면서 틈나는대로 독서하면서 심심하지 않게 살아가고 있어요

  • @user-fw6xj9zt3v
    @user-fw6xj9zt3v Жыл бұрын

    오랫만에 내 자신을 일깨워 주는 말씀 감사합니다 잠시 잊고 살았던 독서늘 오늘부터 다시 시작합니다

  • @sophialee5103
    @sophialee51038 ай бұрын

    한근태님 말씀에 격하게 공감합니다|! 나이가 들어 스스로 찾아 공부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게 바로 우리가 이 세상에 와 할 수 있는 가장 여유로운 순간인 듯 보입니다. 젊었을 땐 정말 뭘 모르고 살죠. 그저 바쁘다는 핑계와 가족 건사를 위해서 말이죠.

  • @tenbegger314
    @tenbegger314 Жыл бұрын

    정말 노년에 품위 있게 살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정답이십니다^^

  • @user-fj8ok2zw3y
    @user-fj8ok2zw3y Жыл бұрын

    공부도 힘들지만 80년데 벽돌공장은 리어커 끌고 공사장에 납품 했는데 지금 그상황을 기억 하실분은 별로 없을듯 두 세곳 배달하고 지쳐있을때 학생복 입은. 동년 또래 너무 부러웠어요 그래도 자격증 은있야되겠다 생각들어 도전 했읍니다 공부하면서..힘들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힘든일이나..자기목표를위해서 공부하는 것은훨신..즐거웠덧 기억이 나네요

  • @user-ei3wu9vd4q
    @user-ei3wu9vd4q Жыл бұрын

    제가 그렇습니다. 혼자 책 읽거나 대필하면서 시간을 잘 보내는 중년이 되어서 친구들과 대화를 하려고 해도 어렵습니다. 심심하다는 친구들과 책 읽기와 친해지면 삶이 심심하지 않다고 하면 이해를 못해요. 선생님의 방송 처음이지만 모두 맞는말씀입니다.

  • @user-we9tb5vc4i
    @user-we9tb5vc4i11 ай бұрын

    저는54세인데 사회복시자로 전향했어요 친구들은 나이들어 왜 공부하냐는데 도전은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하잖아요~~

  • @user-ne2es1xl9w
    @user-ne2es1xl9w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당신의 미래를 송두리째 바꿀 이야기 신영준님 단연 최고 입니다.

  • @user-wn9pb2mh5v
    @user-wn9pb2mh5v Жыл бұрын

    너무나 많은 공감을 하며 잘 경청하였습니다. * 매사진선 *하렵니다! 감사합니다~~^^

  • @user-oi4mb2nb2t
    @user-oi4mb2nb2t11 ай бұрын

    늦은나이인가 싶었는데 강의들으니 결과가 어떻든 인생을 길게 보고 할일 만들어야 된다는 말에 공감하며 공부하는데. 힘이났습니다, 고맙습니다

  • @evergreen1238
    @evergreen1238 Жыл бұрын

    감사 감사합니다❤

  • @user-qv2lo8nv7k
    @user-qv2lo8nv7k Жыл бұрын

    저도 자랑하고 싶어요. 제 나이 62세 사회복지사 도전 22과목 수료하고 5과목 하고 있습니다. (학점은행제) 독서모임 20년째 책 읽고 토론하는 모임 하고 있습니다. 제 인생에서 가장 잘 한 일 중 하나가 독서 모임입니다. 책을 익고 정말 많은 것을 얻었어요. 책일기로는 대한민국 10% 들것 같아요. ㅎㅎㅎ 책을 읽으면 자신에게 자유스럽고, 자신에 대해 자긍심이 강해집니다. 앞으로 계획은 70세쯤 문예창작학과를 다닐 생각하고 있습니다.

  • @user-xf3ts9qs1u

    @user-xf3ts9qs1u

    Жыл бұрын

    독서모임 어디서 하는지요?

  • @user-qv2lo8nv7k

    @user-qv2lo8nv7k

    Жыл бұрын

    저는 우리 큰애 중학교 1학년때 학교 학부모 모임으로 시작했어요. 20년전에는 독서모임 없었는데, 지금은 도서관 홈페이 들어가면 여러 돇서모임 있어요. 자기에게 맞는 독서모임 찾으시고 도서관에 가서 물어보세요. 저는 현재 한달에 한번 커피집에서 밤에 합니다. 젊은 엄마들이 요즘은 직장생활을 많이 해서 . 초장기 시작한 독서모임은 독서모임을 위한 책을 열권씩 모아서 독서모임 동아리에게 빌려주고 있답니다. 혼자 책을 읽어도 좋지만 독서모임에서 같이 읽으면 생각과 느낌등 책한권이지만 아주 많은 것을 아는 공부가 됩니다. 저는 20년 읽은 책으로 공부가 된것 같습니다. 꼭 나에게 맞는 독서모는 찾아서 꾸준이 책 읽으세요.

  • @TV-fc4re

    @TV-fc4re

    Жыл бұрын

    많이많이자랑하세요 대학원도 가시고 더욱 많은것을 성취하시길 바랍니다 최고

  • @user-ok1mk3td6s
    @user-ok1mk3td6s Жыл бұрын

    아주 멋진 분이시네요 공부에 대한 논리정연한 말씀으로 공부에 중요성를 다시금 느낍나다. 정말 현자세요.저도 공부를 통해 불통인 마음이 소통으로 변하고 책은 인생에 가장 좋은 친구입니다.

  • @user-pb3te1ns8g
    @user-pb3te1ns8g Жыл бұрын

    대단한 말씀ᆢ 지금부터 시작입니다

  • @antor3782
    @antor3782 Жыл бұрын

    박사가 되던 뭐가 되던 중요한건 무엇이건 본인의 뜻을 세우고 용감하게 나아가는 것이겠죠.

  • @choi9121
    @choi912111 ай бұрын

    영상과 댓글에 감동받고 팟팅합니다!

  • @user-nb1ix7td6w
    @user-nb1ix7td6w11 ай бұрын

    한대표님. 앞으로 팬이될것같아요. 감사합니다.

  • @HW-eh5fj
    @HW-eh5fj Жыл бұрын

    고대표님 인터뷰 너무 잘하십니다😍😍😍

  • @user-xj6dn4jj4m
    @user-xj6dn4jj4m Жыл бұрын

    공부가 우리에게 영원히 필요하다는것을 나이들수록 많이 느끼면서 열심히 여러가지 분야의 책을 읽으려고 노력하며 사는 지금 참 좋은 말씀 감사하고 도움이 되었습니다~

  • @eunheelee8761
    @eunheelee8761 Жыл бұрын

    아주아주 공감되는 내용들 감사합니다. 딸과 사위도 50대를 미리 준비하라고 책을 사서 보냈어요. 10년은 금방갈거니까요~~♡ 감사합니다~~♡

  • @younghuh

    @younghuh

    Жыл бұрын

    동기부여와 지속적 관심이 필요합니다 자꾸 자주 질문

  • @hyeryunpark5170
    @hyeryunpark5170 Жыл бұрын

    넘 좋은 영상들이네요. 블로그에 정리해서 반복봐야겠어요. 반복해야할 영상! ^^

  • @MarcoAntonio-ob8ze
    @MarcoAntonio-ob8ze Жыл бұрын

    남은 시간들 알뜰하게 보내셨음 합니다.

  • @user-do4zm1if8u
    @user-do4zm1if8u Жыл бұрын

    와 공감합니다 제가요새 느끼고 생각햇던 것들 말씀해주시니 놀랍습니다

  • @HI-ERIN
    @HI-ERIN Жыл бұрын

    기상 후 우연히 만난 영상입니다. 오래 기억에 남네요. 노후 준비에 부단히 투자하고 노력해야겠네요. 저는 운이 참 좋은 사람입니다.

  • @Showhost_Kim
    @Showhost_Kim Жыл бұрын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내가 하고싶고 행복한 삶을 살겠습니다 🔥

  • @dosa533888
    @dosa5338886 ай бұрын

    ❤공부 합시다. ❤감사 함니다.

  • @user-uz3wt9re4r
    @user-uz3wt9re4r Жыл бұрын

    한근태님은 생각을 정리후 영상을 찍어주시길….

  • @user-yh1oz3sr2i
    @user-yh1oz3sr2i Жыл бұрын

    넘 넘 공감합니다 ~~😂

  • @user-ti4bh6kc7p
    @user-ti4bh6kc7p Жыл бұрын

    이제 50이 됩니다. 말씀 듣고 좀더 겸손하게 세상을 살아야 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 @user-cq1qr8mm6m
    @user-cq1qr8mm6m Жыл бұрын

    저도 내일모레면 60인데, 공부가 제일 좋아요. 술담배보다 ㅎㅎ

  • @booktube_afternoon
    @booktube_afternoon11 ай бұрын

    정말 귀한 말씀입니다. 공부의 재미, 공부의 필요성, 공부가 인생의 행복에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새삼 느끼고 있습니다. ~^^

  • @masel6655
    @masel6655 Жыл бұрын

    공부가 남을 은근히 무시하고 위에 있다는 착각을 할 수 있게 하는구나하고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지식의 양도 중요하지만 마음의 질을 높이는 공부가 꼭 병행 되어야 함을 많이 느꼈습니다!

  • @bohemianpark5857

    @bohemianpark5857

    Жыл бұрын

    ... 😘🤩😍

  • @user-su3eo8my8p

    @user-su3eo8my8p

    Жыл бұрын

    공감 합니다. 많은 지식은 있지만 실천하지 않는 삶은 무용지물이죠 인생은 어느덧 종점에 다다랐습니다 인생은 무척 짧죠 ^^ 공자와 노자의 차이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 @user-ms5td6xm5x

    @user-ms5td6xm5x

    Жыл бұрын

    ​@@user-su3eo8my8p ㅣ4

  • @user-lr6sl3ji6d

    @user-lr6sl3ji6d

    11 ай бұрын

    😅😅😅😅😅😅😅😅❤

  • @loveforlife2780

    @loveforlife2780

    11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 @hyesoojoo8197
    @hyesoojoo8197 Жыл бұрын

    한근태선생의 공부에대한 자신의 생각일 뿐.. 자기 만족과 일신을 위하여 하는 공부..이런 공부하느라 나라는 망하던지 말던지 시간이 없어서 정치사회문제에는 시간 할애하지않는 공부..과연 제대로된 공부일까?

  • @user-id9lf7mo3k
    @user-id9lf7mo3k Жыл бұрын

    공부하는 노인이 되어야겠다

  • @user-cu6ym6ju4m
    @user-cu6ym6ju4m10 ай бұрын

    진정성 있는 내용에 감사합니다. ^^~

  • @user-yp1st4fb2s
    @user-yp1st4fb2s Жыл бұрын

    바로 저네요...20년동안 공부안하니까 딱 저예요

  • @anna-xm9wo
    @anna-xm9wo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fx3jf9ps5p
    @user-fx3jf9ps5p Жыл бұрын

    나이들어 하는 공부는 목적 지식보다 삶의 철학이 담긴 공부가 좋을듯 좋은 책 지식은 널렸고 단지 담아 숙성 시킬 그릇이 부족 삶을 보다 숙성시킬 수행과 기도가 필요

  • @user-dt8gm8qd1f
    @user-dt8gm8qd1f Жыл бұрын

    한 마디도 사족이 없는 명료한 강의네요 공부는 애매함에서 명료함으로 가는 길이다!

  • @user-mf3id3rj7q
    @user-mf3id3rj7q Жыл бұрын

    공감 합니다. 저두 50대 후반인데 최근에 자격증 준비 하는데 너무 재미 있어요.새벽 까지 공부 하고 출근 하는데 너무 신나요.

  • @pulgacsi

    @pulgacsi

    6 ай бұрын

    내가 나아진다는게 또다른 힘이 생성되는거죠😁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Жыл бұрын

    너무 오랜만에 뵙네요...감사합니다

  • @Daebo_sim
    @Daebo_sim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공부 합시다 지금 노력하고 있습니다 ~^^

  • @user-xg3qw5cq8h
    @user-xg3qw5cq8h Жыл бұрын

    공부할수록 정치에 참여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해야 합니다. 인문학은 인간사회를 더 낫게 만들고자 하는 학문입니다.

  • @user-sq8kg7jf3r

    @user-sq8kg7jf3r

    Жыл бұрын

    옳은 말씀입니다. 정치에 관심을 갖지 않으면 두눈뜨고 나라가 망해가는걸 보게 됩니다

  • @focusonj2070

    @focusonj2070

    11 ай бұрын

    ㅡㅡㅡㅡㅡㅡㅡㅡ다들 자기 성취하느라고 바쁜데 돌아보면 나라는 이미 낮은 단계 연방제가 되어 벽에 돼지 3대 사진 걸려 있을 수도... ㅡㅡ 대통령 욕할 시간도 없이 자기 성취, 자기 공부하는 것도 당연히 중요하지만, 자기 돈들여 밥 사먹으며 또 무시당하며 뙤약볕에 태극기 드신 어르신들과 중년 청년들이 계셔서 정권 바꾸고 잠시 공산화 멈춘 것임. 잠시....... 전교조 하에서 애들은 남녀 성기 삽입사진 그림책 보며 콘돔끼는 법 배웁니다. 자아성취 하면서도 나라돌아가는 것에도 관심 가져야 합니다.

  • @pulgacsi

    @pulgacsi

    6 ай бұрын

    ​@@user-sq8kg7jf3r👍

  • @user-sj1hz9kt6g
    @user-sj1hz9kt6g Жыл бұрын

    저도 공부하고 책읽는 노후가 되고 싶네요~. 제겐 유투브 듣는 것도 독서 못지 않게 좋은 공부방법인것 같아요...ㅎㅎ

  • @chanheelee8259
    @chanheelee8259 Жыл бұрын

    노랗게 무르익는 벼처럼 나이가 들면 이젠 달려가기보다 주위도 둘러보며 찬찬히 여유있게. 씩 웃으며

  • @user-yr3tw9yn9k
    @user-yr3tw9yn9k Жыл бұрын

    경험통해서ᆢ좋은애기들 너무너무도움되네요^^~ 저는50대중반인데ᆢ남편과자녀위해서 열심히살았는데요~ 앞으로는ᆢ멘토님처럼~~~ 내경험과포용으로ᆢ주위를살피는삶으로 방향을~좀더바꾸싶은마ㅡ음임니다 배움은ᆢ동물과다른점같아요^^♡

  • @kinsoyun8107
    @kinsoyun81078 ай бұрын

    이제 50줄인데 영어회화 공부를 미친듯이 하고있어요 혼자 해외 여행하는게 목표입니다

  • @proferant8082
    @proferant808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나이들어 공부하는 시간만큼 큰 즐거움도 없을 것입니다. 공부가 반드시 실용적일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마치 친구들과 나누는 쓰잘데기 없는 농담이 오히려 값진것 처럼 말이죠.

  • @heekang5821
    @heekang58218 ай бұрын

    아,,,!!! 재밌고 유익해요. 팍팍 공감돼요. 60 초반 아줌마인데, 공부가 취미예요 😊

  • @kimjonghwatony
    @kimjonghwatony11 ай бұрын

    노후 관리하면 보통, 명문대에 대기업 출신들이 나와서 뭘해야하나를 많은 프로그램들이 방송을 합니다. 대학을 안나왔거나 명문대가 아닌 중간급에 어중간하게 회사생활하다가 인생2모작에 성공한분들은 없을까요? 대부분 나이든분들이 나오는데 스카이에, 언어통달에, 또하나이 훈장을 얻기위헤서 방송을 하는것 같아서, 항상 을에서 살아온 사람에게는 와닿지가 않은 느낌이 있어서 요청해봅니다.~

  • @sonylion99
    @sonylion9911 ай бұрын

    현재 45세입니다 정말 공감이 많이가네요

  • @meditationperformer
    @meditationperformer Жыл бұрын

    넘 유익한 영상 입니다

  • @user-ts8cg8gq1z
    @user-ts8cg8gq1z11 ай бұрын

    공부는 좋아하는 분야를 명료화하고 전후를 연결 한바퀴 서클을 그리며 시종을 연결하는 아주 멋진 작업이죠. 올해 산림치유 석사과정입학하면서, 만족감 자존감이 매우 커짐에 감사.

  • @user-or6lu1ec9y
    @user-or6lu1ec9y8 ай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 @jayone1129
    @jayone1129 Жыл бұрын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그리고 책을 써야 한다. 그래야 전문성을 인정받는다

  • @sourukenzai4843
    @sourukenzai4843 Жыл бұрын

    지식공부하는것이 필수입니다. 영적공부인 마음공부하시면 세상을 재대로 볼수 있읍니다.

  • @user-gh5vu7jg1i
    @user-gh5vu7jg1i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좋아요~ 감사합니다~

  • @galaxuar8218
    @galaxuar8218 Жыл бұрын

    환갑에 새언어6개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그나이에 그거 공부해서 뭐하느냐고 많이들 자명한 답이 있는듯 물어본다 나는 재미가 있어 하는데 ㅠㅠ

  • @user-qz2il8ot7u
    @user-qz2il8ot7u Жыл бұрын

    추울때 추운데서 일하고 더울때 더운데서 일하는게 공부를 안해서 그런거라는 말이 왜 맞는거죠? 어이가 없어서 댓글 남기네요.

  • @user-uf3sx7ws2k

    @user-uf3sx7ws2k

    Жыл бұрын

    나도 어이없어 더 이상 안들었어요.

  • @user-ns4wb1bm9i

    @user-ns4wb1bm9i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말 들을 때 부끄러워서.. 어떻게 대놓고 저런 생각 말을 할까..배웠단 사람이 그것도 공부를 한단 분이..ㅠ

  • @Luna-ks6wj

    @Luna-ks6wj

    Жыл бұрын

    끄덕이면서 듣다가 저도 거기서 뭐지 했죠...

  • @user-ks8jq2zq4q

    @user-ks8jq2zq4q

    Жыл бұрын

    지입맛대로 떠드는거쥬 뭐 배었다는 사람들이 많이 편협하쥬ㅡㅡ

  • @user-dy8gs8rf8j

    @user-dy8gs8rf8j

    Жыл бұрын

    공부할 학생들의 본분은 공부인데 그때 열심히 하지 않으면 자기가 선택해서 직업을 갖지 못함을 비유한 정도로 생각하시면 어떨까요.

  • @shanti_diary_
    @shanti_diary_ Жыл бұрын

    주옥같은 영상 주변에 널리 알려애겠어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