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5060이 퇴직 후 처한 현실 [정선용 작가 풀버전]

본 영상은 2월 14일 촬영본입니다
정선용 작가님과 함께
평범한 직장인이 퇴직 후 겪는 경제적 어려움과, 인간관계 소통의 어려움 등등
퇴직 후 겪는 현실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재테크 공부를 하고 싶다면
[부동산읽어주는남자] 네이버카페
zrr.kr/xXGz
📚부읽남 [운명을 바꾸는 부동산 투자수업] 도서구매
bit.ly/3tML9k0
대한민국 퇴직자, 진짜 현실을 말씀드립니다
대한민국 5060이 퇴직 후 처한 현실
평범한 월급쟁이가 퇴직 후 힘들게 사는 이유

Пікірлер: 203

  • @buiknam_tv
    @buiknam_tv2 ай бұрын

    📌[정선용 작가_3부작]풀버전을 업로드 했습니다 정선용 작가 유튜브 [정스토리 정선용] www.youtube.com/@user-te2jp5zk9b 📚저서 [아들아, 돈 공부는 인생 공부였다] 교보문고 : lrl.kr/f1Im 💡재테크 공부를 하고 싶다면 [부동산읽어주는남자] 네이버카페 zrr.kr/xXGz

  • @guihuali4115

    @guihuali4115

    2 ай бұрын

    😊😊😊 😊😊😊😊😊😊😊😊

  • @user-yi7dh5ie6l
    @user-yi7dh5ie6l2 ай бұрын

    현실을부정하면 사는게 지옥이나 다름 없더라구요... 돈없이 산다는건 고통입니다~

  • @user-oy9dr2zy9q
    @user-oy9dr2zy9q2 ай бұрын

    친구가 대기업 정년퇴직 했는데 아주 의기소침 합니다. 아파트 경비라도 한다고 적극적으로 말하는것 보니 세월과 나이가 사람을 변하게 하고 나이먹는 것이 돈이 있으면 천국이요 돈없으면 지옥입니다.

  • @_revival
    @_revival2 ай бұрын

    명예 .관계.떨어진건 참아도 돈 떨어지면 감당이 안 된다. 은퇴 앞둔 3.40대는 준비 가능.50대 은퇴 이후는 사실상 준비가 어렵다. 빚은 정리하고 은퇴하라.

  • @jisunlee-bg2lu
    @jisunlee-bg2lu2 ай бұрын

    일자리 얻는 것은 거의 불가하다는 말에 백프로 공감합니다. 능력상관없이 뽑질 않아요

  • @user-eg7do9hz5l

    @user-eg7do9hz5l

    2 ай бұрын

    선진국마냥 일자리 짧더라도 시간짧은 일자리라도 모두에게 누릴수있는 사회를 만들어주세요 ~~

  • @user-uf2xr1zn9m
    @user-uf2xr1zn9m2 ай бұрын

    나어릴적 50세는 내인생에 절대로 오지 않을줄 알았다~~ㅎㅎ 그런데, 먹고 사니라 정신없이 살다보니,어느덧 내나이 50대후반~~ㅎㅎ 그래도,난 향후 인생10년을 알차게 살기위해 계획하구 실행하고있다. 은퇴자분들 넘 실망 하지 마시고,힘냅시다

  • @user-ub2xo2pb1q
    @user-ub2xo2pb1q2 ай бұрын

    현실적이고 솔직한 이야기 감사드립니다:)

  • @user-sm9tw8jf1e
    @user-sm9tw8jf1e2 ай бұрын

    적은돈으로 고요하게 사는 삶을 준비하는 게.진정한 노후준비같아요.

  • @user-kr4gt3qt2c

    @user-kr4gt3qt2c

    2 ай бұрын

    좋은 마음가짐이십니다.

  • @user-yk9bc6yi9f
    @user-yk9bc6yi9f27 күн бұрын

    50대 되니 너무 좋은 1인 입니다~ 아이들도 나가있고 나만의 인생 즐기며 노후준비 하며 사니 친구들도 지금 50대가 제일 좋다 하네요~

  • @18564864

    @18564864

    10 күн бұрын

    40대는 어떠셨나요? 내일모래 40입니다 ㅜㅜ

  • @user-uz6gt4sv2r
    @user-uz6gt4sv2r2 ай бұрын

    분수에 맞는생활자세가 정말중요하죠 형편도안되는데 자식한테 투자많이하는것 꼭지켜야할사항이죠.

  • @nayoungcha9666
    @nayoungcha96662 ай бұрын

    전 연령에 서로 좀 안아주는 마음이 필요한 것 같답니다. 모두 다 애쓰며 살아가고, 대한민국인들 세상 어딜가나 성실하고 다들 열심히 사는 것 같습니다. YB와 OB의 대화와 관계가 점점 끊어진다는 것에 착찹함을 느낀답니다... 자본주의 사회라 우리 국민들도 조금 더 재테크와 자본에 대한 공부 열심히 하면 더 잘 살 거라 믿는답니다. 누구나 인생을 살아가기 때문에 이렇게 지금처럼 어떤 방법으로든 나의 가까운 미래를 혹은 지나온 과거를 알려주시는 시간이라 여기며 감사히 경청하겠습니다. 이런 인생도, 이런 생각도 나눌 수 있는 지금에 감사한 마음이 드네요. 모두 다 복많고 건강하고 조금 더 행복한 삶 누리시기 바랍니다.

  • @user-gs6gl8jg7j

    @user-gs6gl8jg7j

    2 ай бұрын

    😂❤ ㅠㅗ ㅗㅕㅓ😂ㅏㅏㅑㅐ ㅐ ㅜㅜ😂😂ㅓ

  • @user-gs6gl8jg7j

    @user-gs6gl8jg7j

    2 ай бұрын

    ㅠㅑㅓㅓㅗㅕㅗㅎ효룔😢& ㅜㅛ😮ㅠㅐㅓ😂ㅜ😂 ㅜ❤❤ㅓㅓㅓㅡ 엄마ㅓㅠㅠ 오늘ㅏ❤주ㅏ😂 ㅖㅣ ㅑ❤ㅑ😅ㅍ포ㅜ 😂ㅡ😂₩₩ ㅕ ㅅ😂ㅏㅅ❤ㅊ채ㅜ😂ㅓㅜ ㅏㅏ😂ㅓㅡㅜㅡㅅ ㅜㅜ😂ㅡㅗ ㅍ😂 ❤ ㅡ❤ ❤ㅡ ㄹ ㅡ😄 ㅜㅓ 😂

  • @user-gs6gl8jg7j

    @user-gs6gl8jg7j

    2 ай бұрын

    ㅏㅓㅜㅜ ㅜㅠㅓ ㅡ ㅓㅡㅜㅡㅅ ㅛ❤❤😂ㅜㅡㅏ❤ㅜㅜ 😂ㅠ❤ ㅗ ㅑㅇ ㅑ😮😮ㄱ ❤ㅏ😂ㅕ😂ㅓㅑ 😅ㅠ ㅠ ❤ㅜㅜ 나 지금 운전ㅐㅏㅓ❤😂ㅏ ㅡㅡㅏ❤ㅡㅐ

  • @user-ty8yv9ns4j
    @user-ty8yv9ns4j2 ай бұрын

    정말 현실적인 말씀이네요

  • @user-do7er2ne7g
    @user-do7er2ne7g2 ай бұрын

    정선용 작가님, 오늘도 명강의 감사합니다^^

  • @nanalim1814
    @nanalim18142 ай бұрын

    😢지금 잘나갈때....준비해야해요

  • @user-zs7ys9xt3x
    @user-zs7ys9xt3x2 ай бұрын

    현실적인 이야기 감사합니다

  • @user-im6cu5lz2x
    @user-im6cu5lz2xАй бұрын

    젊어서,저축.절약 하지 않으면 노후에 눈물난다, 주식.코인.마권.여행.좋은차.등 일확천금 노리는 생각을 버려야한다.24세 제대, 25공무원시작, 40여년 직장 생활,어려운 시기도 있었지만,이를 극복하여,자식2명 휼륭히 성장 사회생활하고 있으며, 필자는 연금,아파트34평,등 지금은 안락한 노후생활을 하고 있슴,나이들어 전원생활은 금물이다.

  • @user-ps9tf4tj7d
    @user-ps9tf4tj7d2 ай бұрын

    자식들 다 키우고 홀가분한 시기 아닌가요? 50대~60대는 눈높이만 낮추면 인생의 황금기라 생각합니다!

  • @_revival

    @_revival

    2 ай бұрын

    돈이 준비가 어느 정도는 되야 누릴 수 있죠.,,

  • @user-tu1bp4vc9f

    @user-tu1bp4vc9f

    2 ай бұрын

    눈높이를 완전 낮춰도 생계가 안되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일을 끊으면 당장 몇달도 못버티는 그런구조

  • @user-ni6zu7bq4h

    @user-ni6zu7bq4h

    2 ай бұрын

    그건 돈이 있는 사람들 얘기죠 나머지는 생활비도 부족

  • @drtyun2270

    @drtyun2270

    2 ай бұрын

    ​@@user-ni6zu7bq4h버티세요 노력하면 다됩니다

  • @rino0000

    @rino0000

    2 ай бұрын

    그건 상류층 얘기

  • @user-sq2px5vx9i
    @user-sq2px5vx9i2 ай бұрын

    퇴직 이후 자산은 중요하지 않다. 월 현금흐름이다. 지방가면 시세 100억짜리 땅 갖고도 농사짓고 소키우느라 고생하는 분들 많습니다. 그분들이 실패했다는 것은 아닙니다. 평생 업을 가지고 땀흘려 돈을 버는 가치야 말로 진정한 가치이죠. 하지만 평생 직장인으로 산 사람들은 다릅니다. 40대부터 이르면 30대부터 퇴직 이후 현금흐름을 만들어야합니다.

  • @woojinaa

    @woojinaa

    2 күн бұрын

    죽을때 가져가는 돈도 아닌데 본인이 이제 남은 시간 예상해서 죽기전에 자산 다 써버린다는 생각으로 살아야죠. 하지만 다들 욕심 부리고 집남기고 뭐 자산 움켜지고 그자산에는 손도 안대고 살려고 하니 고통 스럽죠. 그렇게 움켜쥐고 죽으면 웃는건 자식이나 주변인들뿐.

  • @jameskim44
    @jameskim442 ай бұрын

    50대 초반인데 한창때 입니다. 황혼기라니요.

  • @hyunlee3608
    @hyunlee36082 ай бұрын

    진짜 리얼한 상항 잘 설명하신것 같네요

  • @user-gx1zm6cn6s
    @user-gx1zm6cn6sАй бұрын

    옛말에 무자식 상팔자 딱 맞는말인것같네요 취직이 못해요 가슴이 까막게타들어갑니다

  • @user-ui2cc1iy6g
    @user-ui2cc1iy6gАй бұрын

    황혼기에 허무함과 쓸쓸함을 즐기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나만의 외로움을 즐기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즐기는 인생은~하루 하루가 너무나 소중해지고 ~자연의 신비함과 아름다움이 보입니다.

  • @user-kl8pc8np9s
    @user-kl8pc8np9s2 ай бұрын

    헐ᆢ저는 60대 중반인데 50대는 할것도 많고 취업도 얼마든지 가능한 청년들이니다. 너무 비관적이네요.

  • @user-jl9lz7px6g
    @user-jl9lz7px6g2 ай бұрын

    체면 자존심 자리있을때 환상을 버리고 건강이 있는한 못할게 없죠 무의에 고통보다 일이좋다로 전환

  • @user-gx1zm6cn6s
    @user-gx1zm6cn6sАй бұрын

    자식이 취직이 안되서 넘 힘들어요

  • @user-on1cc6hq22
    @user-on1cc6hq222 ай бұрын

    36년 일하고 조만간 정년퇴직 하는 곧 60입니다 60이후의 인생이 기대됩니다 새로운 공부가 하고싶어 대학원에 들어왔습니다 노후는 하나님의 복음을 전파하고 사회에 봉사하는 인생을 살아볼까 합니다 경제적인문제는 월3백정도면 살아갈수 있을것같습니다

  • @user-tc4ox3hz1w

    @user-tc4ox3hz1w

    2 ай бұрын

    건강부터 체크하세요 울엄마 수술한번 했다하면 이거저거 해서1000깨지는건 금방이더라구요..절대 자산 자식한테주지 말구요 울엄마 두아들한테 거의ㅏ다 때주셔서 모시는 자식은 넘힘드네요 ..

  • @pk8137

    @pk8137

    8 сағат бұрын

    훌륭하십니다

  • @sy132
    @sy1322 ай бұрын

    나이와 상관 없이 분수것 살면 빚지지 않고 비상금 정도는 충분히 저축 하면서 살수 있슴. 유행 따라 외식, 쇼핑, 여행 하니까 빚지고 사는 것이다.ㅡ 체험한 63세 입니다

  • @lifeisshort99

    @lifeisshort99

    2 ай бұрын

    빙고!!!

  • @user-gm5hw2qo1r
    @user-gm5hw2qo1r2 ай бұрын

    60대는 자산의 반은 묶이는 부동산 보다는 현금성 자산이 중요 합니다.

  • @minskim9529

    @minskim9529

    2 ай бұрын

    사실 대한민국 노년의 자산이 거의 부동산으로 가지고 계시는 경우가 65% 정도가 넘으니까요, 더구나 집의 수명도 짧고, 안타까운 부분인것 같습니다.

  • @user-zc4yn5cp4k

    @user-zc4yn5cp4k

    2 ай бұрын

    현금 자산도 빼먹으며 살면 맘이 편치 않음. 몇년이나 쓸 수 있을 지 가늠이 안 되니 불안함.

  • @minskim9529

    @minskim9529

    2 ай бұрын

    @@user-zc4yn5cp4k저분이 말하는 것은 유동자산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 @user-fv6yy6ce4x
    @user-fv6yy6ce4x2 ай бұрын

    결론은 부동산으로 돈 버셨네요.저도 80%에 동참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Jasonmraz643
    @Jasonmraz6432 ай бұрын

    코로나가 터지고 회사에서 나오고 본가로 피신했었습니다 쿠팡알바도 해보고 2년동안 정말 힘들었네요 아르바이트 출근하러 나가면 60은 넘어보이는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하천에서 쓰레기를 줍고 있습니다 가을에는 낙엽을 쓸고 겨울에는 눈을 정리하시는데 점심시간 스타벅스를 지나가면 여자들로 바글바글하고 필라테스나 요가하는분들인지 레깅스를 입고 아파트에서 학원가로 오는 3040 여자들이 많이 보이더군요 밥먹으러 식당가를 가면 예전처럼 어린 알바생보다는 40대 50대 어른들이 잘 모르는 포스기를 조작하시고 버벅대시는데 이게 맞는건가 싶네요.... 노인들은 은퇴하지 못해 알바라도 구해서 일하고 쓰레기 줍고 설거지 하고 젊은 사람들은 고연봉 좋은복지 워라벨 있는 회사만 취업하려고 취업시기는 점점 늦어지고 이제 30살이고 코로나 2년동안 나 자신을 정말 많이 돌아보았습니다 5년을 일했는데 2천만원 모았었네요 한달 월급 못받았다고 카드대출 알아보고 쿠팡알바 해서 허리가 끊어질거 같아도 시급 만원이 아쉬웠고 그 좋아하던 치킨 술 한달에 1번 먹을까 말까 많은것이 바뀌었네요 그 뒤로 2년만에 2천만원을 모았고 퇴근하고 쉬는날에는 재테크 공부하고 뉴스와 경제에 관심을 가지며 계속 배우고 노후를 대비하고 있습니다 이제 내 또래 혹은 어린 친구들이 앞으로 얼마나 고생할지 걱정되지만 내 조언은 들을 생각도 안하고 오히려 젊을때 돈좀 써라 젊을때 즐겨라 설득하려고 하는데 전 이사람들이 너무 무섭네요 10년안에 코로나 같은 이유로 제2의 제3의 경제위기가 올테고 지금 좋아하는 ai주식 코인 반토막 2번씩 생길테고 나이먹고 설거지 알바하는 어른들 무시하면서 30살될때까지 자기ㅣ힘으로 돈 한번 못 벌어버는 청년세대 나중에 크게 후회하고 피보게 될겁니다

  • @user-yh3fn9rh1e
    @user-yh3fn9rh1e2 ай бұрын

    그래도 꽤 괜챦은 상황의 작가님이 나오셔서 그렇지 보통의 은퇴 어른들은 아마 더 처참할거라 생각드네요. 특히나 요즘같은 시기엔 더요

  • @mandlgo
    @mandlgoАй бұрын

    저는 은퇴준비를 위해 나만의 디자인을가진 의자를 만드는 목공기술을 쌓고있습니다. 직접만들어서 팔려고 하고있습니다. 어디에 다시 취직한다는것은 불가능합니다

  • @seung-jaelee884
    @seung-jaelee8842 ай бұрын

    부동산은 위치가 중요합니다. 인구가 줄어도 위치 좋은 부동산은 물가이상 오릅니다. 이런 우량한 부동산을 사기 힘든 분으로 무조건 분산하세요. 주식, 소형 주택 (약간 입지는 떨어지지만), 현금, 채권... 가장 중요한 것은 포트폴리오입니다. 올인은 안되고요

  • @shha3499

    @shha3499

    2 ай бұрын

    인구가 줄면 물가이상으로 안 올라갑니다..

  • @csm7542
    @csm754223 күн бұрын

    역시 임원 출신은 다르시군요. 현명하십니다.

  • @user-ci5lu4cu4v
    @user-ci5lu4cu4v2 ай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지나 왔는데 젊은날 부터 후반 인생을 미리 생각 하면서 살아야 될것같아요. 프렌 차이즈는 하지 마세요

  • @user-cb6co3uq8y
    @user-cb6co3uq8yАй бұрын

    대단한사람 멋지십니다

  • @user-yu5ex5fp2o
    @user-yu5ex5fp2o2 ай бұрын

    50대는 청년입니다! 60세 중반까지는 취업생활을 해야하지 않나요, 안해도 생활능력이 얼마나 되나요? 내나이 65세, 생활능력은 가능한데, 지루하고 노는게 힘들어서 취업했어요! 용돈도하고 손자용돈등! ㅎㅎ

  • @gangnam_no1
    @gangnam_no12 ай бұрын

    울 남편은 65세 넘어서 1톤 트럭 몰기만 해도 슬슬 일해도 월 300이 넘어 벌어요 50대에 집에서 빈둥빈둥 놀고 있는건 아닌거 같아요

  • @user-nu4bb5pn4z

    @user-nu4bb5pn4z

    2 ай бұрын

    시력검사에서 탈락하면 운전도 하기 힘듭니다..이후를 생각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 @user-ju6ng7wg1j

    @user-ju6ng7wg1j

    2 ай бұрын

    학원버스해도 4.5백은 벌어요 힘들고 시간 많이 소요되서 그렇지요

  • @user-lc3ke2ei6s

    @user-lc3ke2ei6s

    Ай бұрын

    65세 남편 일 시키고 싶지 않아요. 평생 일 했는데 그냥 아껴살고 모아둔걸로 지내고 싶습니다. 아내가 몇십년 일 해보셨나요?? 빈둥빈둥 이라니,, 그만하면 많이 했죠.

  • @user-ke9zd5yx7b

    @user-ke9zd5yx7b

    19 күн бұрын

    평생 일하다 죽으라고요? ㅎㅎ

  • @gangnam_no1

    @gangnam_no1

    19 күн бұрын

    저는 40년 공직에서 일하고 나와 지금도 일하고 있습니다 일하면 여행도 다니고 모임도 다니고 일년에 두번 해외여행도 다니고 활력있고 규칙적인 삶에 만족하고 남편도 좋아하는 일을 하니 활력이 느껴집니다 오늘은 강아지도 함께 데리고 일나갔습니다

  • @user-si7sf4vn6p
    @user-si7sf4vn6p2 ай бұрын

    1인가구가 증가하는데 지금 대다수가 고시원에 사네요 무슨돈이 있어서 이들이 집을살까

  • @user-kp1cf3kz8r
    @user-kp1cf3kz8rАй бұрын

    일반회사원이라면 집한채가 전부인 5~60대입니다.퇴사를 했다면 자녀부양과 자녀결혼,생활비를 걱정하고 제2의 인생을 사려고 고민하는 시기입니다.

  • @DM-zo1ij
    @DM-zo1ij2 ай бұрын

    1인가구가 는다고 해도.. 집값은 글쎄요..

  • @jisunlee-bg2lu
    @jisunlee-bg2lu2 ай бұрын

    70대 부모님 지방 가기 싫어하시는것도 맞는 것 같아요

  • @minskim9529
    @minskim95292 ай бұрын

    저분 나이에 부동산에 대한 믿음은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미 천만가구가 1인가구 이고, 앞으로 2천만 가구까지 늘어날지도 모르죠, 그럼 대한민국은 그냥 망한 나라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 10년뒤의 세상은 많이 바뀌어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 모두들 닭장에서 1인가구로 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미래에 대한 단언은 누구도 쉽게 할수 없는 일이기에 그냥 다른 선진 나라나 비슷한 경제 경로를 겪는 나라들을 보면 그럴것 같다라는 말씀만 드립니다.

  • @angelokim846
    @angelokim8462 ай бұрын

    저 60대 중반인데 저분 말 처럼 그렇게 어럅고 암울하지 않아요, 너무 비괸적이고, 증강현실에서 오신분 같습니다

  • @user-fh5ux5xx7h
    @user-fh5ux5xx7hАй бұрын

    50대의 비참함을 개인이 다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삶의 전환이 50대에 시작되지만 대부분은 준비된 것보다 훨씬 더 비참하게 나락으로 떨어집니다 가장 강한 존재였다가 순간 나락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사회 누구도 50대의 비참함에 귀기울이지 않습니다

  • @pk8137

    @pk8137

    7 сағат бұрын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 @user-mh6gh1mi2j
    @user-mh6gh1mi2j2 ай бұрын

    가장 안전한 자산은 연금이다...

  • @jameskim44

    @jameskim44

    2 ай бұрын

    65세 이후에 200만원 이상의 벌이가 있으면 원래받을 연금에서 몇십%가 삭제됩니다. 정부가 빼앗아간다는 뜻이죠. 연금은 세금입니다. 정부가 더 빼앗고 싶으면 시중에 돈을 더 풀면 됩니다. 그러면 귀하가 미래에 받을돈 200만원의 연금은 그 가치가 20만원이 될겁니다. 국민연금은 일종의 눈속임이죠. IRP (개인연금)라면 모를까..결론 가장 안전한 자산은 자기 주머니 안에 있는 현금자산이고 그걸 놔두지 말고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가치하락을 막을 수 있습니다. 정부가 가지고 있으면 당연히 매우 많이 하락하죠. 정부를 믿으면 안됩니다.

  • @user-um5lz4ze6f
    @user-um5lz4ze6f2 ай бұрын

    이민 30년차 60대 중반 남자입니다. 제 경험으로 본다면 55세는 무슨 일이든 할 수있는 나이입니다. 황혼이란 단어는 맞지 않습니다.

  • @minskim9529

    @minskim9529

    2 ай бұрын

    두달전에 회사직원(세일즈, 미국 플로리다)중에 한분이 84세로 사망하였습니다, 사망 일주일 전까지도 세일즈 미팅에 참여해서 회의를 했죠, 그리고 지난달 AS9000 오딧을 받는데 오디터가 80세가 넘으신 독일계 미국인이었죠. 제가 다니는 회사는 작습니다. 직원이 100여명... 사장은 80세 세일즈 메니져 겸직, 그리고 70세 이상이 8명 정도... 제가 사는 미국과 한국은 정말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 @lifeisshort99

    @lifeisshort99

    2 ай бұрын

    한국 하고는 차이가 납니다. 미국은 노동자 권리를 어느정도 보장해줘서 60세 넘게 일하지만 한국은 50세 퇴직이니 노후 대책할 시간이 없어보여요. 정부에서 비정규직 없에고 또 은퇴 연령을 67세로 바꿨야합니다. 나이들어 해직시키면 불법으로 찍어놔야합니다.

  • @user-zo4hn8wt9c

    @user-zo4hn8wt9c

    9 күн бұрын

    ​@@lifeisshort99잘못알고 계시네요 미국이 훨씬 해고가 쉽답니다 우리나라가 해고가 훨씬 어려워요 이걸 고용탄력성이라 합니다

  • @lifeisshort99

    @lifeisshort99

    9 күн бұрын

    @@user-zo4hn8wt9c 미국에서 전문직 쉽게 이유없이 해고 못시켜요. 미정부에 연락해서 신고하면 골치아퍼집니다. 저는 미대기업 32년 근무했습니다.

  • @user-Everydaywinner
    @user-Everydaywinner21 күн бұрын

    2038년 퇴직 기준 부부 직역연금 월 약 600만원 예정, 수도권 아파트 한채면 괜찮은건가요? 대출금상환, 자녀 둘 지원, 물가 상승률 등 고려하면 심란해지네요...

  • @user-pi9gr2su7d

    @user-pi9gr2su7d

    18 күн бұрын

    자식둘이 지앞가림 잘한다면 퍼팩트 안가림 못하고 부모한데 빌붙어있음 눈앞이 막막

  • @user-wl9oo5he6m
    @user-wl9oo5he6m2 ай бұрын

    가구수가 늘어나고 수도권 집중화때문에 집값이 계속 상승한다? 웃지요..초짜같은 느낌이네요..같은 연령대에 비슷한 환경인듯 한데 이렇게 보는시각이 다르다니..자가 하나 목표는 상당히 현실적이고 기본적인 요소임은 인정합니다. 근데 계속 상승한다? 계속 부동산 투자해야한다.. 이건 좀 아니올시다.

  • @sangminlee3677
    @sangminlee36772 ай бұрын

    퇴직을 준비 한다는것 자체가 어떻게 보면 축복이다.이유는 지금까지 일을 하고 있지않는가.또 그정도 일을 했으니 경제적으론 어느정도 여유가 있다.만약 일을 이정도 하고 빈손으로 퇴직을 앞두고 있는 사람은 실패한 인생이다. 이런 사람은 뭘해도 안된다.

  • @user-tl5qr3fl1q
    @user-tl5qr3fl1q2 ай бұрын

    참 많이 배웁니다 연륜에서나오는 지혜를 얻습니다

  • @handler_193
    @handler_1932 ай бұрын

    와이프가 부동산 투자 잘해서 50억 있는 분 아닌가요? 그 덕분에 집에서 책 쓰면서 박사 학위 따신다고 하던대~

  • @namka6766

    @namka6766

    2 ай бұрын

    진짜라면, 부럽네요

  • @jameskim44

    @jameskim44

    2 ай бұрын

    맞아요. 나도 힘들긴한데... 실은 50억 있어요. ^.^ 그 아저씨

  • @pk8137

    @pk8137

    7 сағат бұрын

    축하할 일이네요..😢

  • @user-wd3sk9nb1k
    @user-wd3sk9nb1k2 ай бұрын

    눈높이를 낮추고 준비만 잘 되면 인생의 진정한 황금기가 맞아요 건강관리는 기본! 특히 먹거리 관리와 운동은 필수

  • @user-nf9zn5lz1d
    @user-nf9zn5lz1d2 ай бұрын

    유니클로 안가보신거같은데

  • @pk8137

    @pk8137

    8 сағат бұрын

    ㅎㅎㅎ 유니클로 다채롭죠

  • @user-wd5gs6gy5g
    @user-wd5gs6gy5g2 ай бұрын

    틀린 현실이 아니기는 하나, 너무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 되어 있는 분이 내뱉는 말 같아서 끝까지 시청은 못하겠네요. 씁쓸한 현실 속에서 소희를 찾는 분들께서 시청하시기에는 좋은 영향 같지는 않습니다. 다들 행복하시길

  • @user-hm7sw4mh1q

    @user-hm7sw4mh1q

    2 ай бұрын

    원래 현실은 차갑습니다 그 차가운 현실 속에서 준비하는 사람 만이 따뜻한 온실을 마주하는거겠죠 누구나 다 따뜻한 말 , 희망찬가 노래하고 싶고 듣고 싶겠지만 언젠가는 냉혹한 현실을 마주하고 비축한 힘으로 견뎌내야 합니다 그럴려고 이런 유튜브 채널 구독하고 보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소희를 논할거면 다른 재미를 찾는 채널이나 좋아하는 취미 생활 채널 보셔야죠 ㅎㅎ

  • @playerre3428

    @playerre3428

    2 ай бұрын

    수명은 길고 내가 앞둔 현실은 매우 어둡죠 늦기전에 대응 잘 하시죠.

  • @user-vg9mr8fu7t

    @user-vg9mr8fu7t

    2 ай бұрын

    현실을 알고 그안에서 열심히 살아가는거랑 낙관적으로 착각하다가 현실을 알아 비참해지는건 다르다. 염세주의적 시각은 있지만 저렇게 차가운 사실을 말해주는 사람도 있어야 함

  • @user-lr6hu8pw6q

    @user-lr6hu8pw6q

    2 ай бұрын

    41:40

  • @user-cj6pr8nd9i

    @user-cj6pr8nd9i

    2 ай бұрын

    너무 맞는말이라.. 현실인분들이 듣는다면.. 맘상하실수도

  • @user-uw9qk1sz2p
    @user-uw9qk1sz2p2 ай бұрын

    한국에서는 250은 있어야 은퇴해서 살수있으나 여행한 바로는 Greece 아테네 알젠틴 buenos ires 코스타리카 Baku 아제른바이잔 키토 하노이 불가리아 케냐 나이로비 파나마시티 정도는 관광지물가 말고 현지물가 100만원정도로 소소하게는 살수있을듯 합니다. 한국에만 딱 고정하고 사신다면 답은 없겠지만 전세계를 본다면 선택지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아 꼭 대한민국에 살아야 한다면야 어쩔수 없겠지만요. 200만원이라면 선택지는 더 더욱 넓어진답니다 50대는 또다른 사업에 손을 댄다는 생각은 접는게 좋습니다.실패한다면 되돌이킬수가 없거든요. 더벌생각 말고 있는 범위내에서 기회비용이 높은 선택지를 찾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한국에 살아도 노후는 외롭기마찬가지니까요. 대신 경제적으로 조금 여유를 가지는 곳이 편안한 노후를 가질수있을듯 합니다.

  • @user-yq9wk4zf5c

    @user-yq9wk4zf5c

    2 ай бұрын

    그런 곳에서 돈 걱정 안하고 살고싶네요.^^

  • @user-uw9qk1sz2p

    @user-uw9qk1sz2p

    2 ай бұрын

    @@user-yq9wk4zf5c 남눈치나 의식 안하고 사는데 큰 만족이 있죠 벤츠같은 차나 명품 과한 경조사비지출 핫플찾아다니면서 외식하기등등 남을 의식하는 체면치레라면 한국이 지구최강국이니까 벗어나면 그런데서 큰폭으로 절약할수있습니다.

  • @user-mm8ri1fy1z
    @user-mm8ri1fy1z2 ай бұрын

    50대면 부모랑 자식에게 용돈이 더블로나가는세대라 경제적으로 스트레스 많이 받지않나요?

  • @user-md3cw8fo4t
    @user-md3cw8fo4t23 күн бұрын

    50대 초반부터 중반까지는 빚을 없애야 하고 50대 중반 이후에는 모든 눈높이를 낮춰야 합니다. 50대에 새로운 시도를 하는건 로또 1등 당첨되는거보다 확률이 낮습니다.

  • @younilkim6169
    @younilkim61692 ай бұрын

    젊은이들이 그러더라구요 5060들이 노오력이 부족해서라구요 말 함부로 하면 안됀다는걸 느꼈습니다

  • @user-pp4sy4jb3w
    @user-pp4sy4jb3w2 ай бұрын

    16:02 5가지 밖에 안되는디? 마지막 한가지 뭘까 궁금하다

  • @wine_golf_Lover
    @wine_golf_Lover2 ай бұрын

    아이돌 1%는 인정인데 그렇다고 공부해서 의사가 될 확률 60%는 좀 오바하신듯합니다.

  • @heathersheaven7933
    @heathersheaven7933Ай бұрын

    50대 황혼은 비약이 지나칩니다.

  • @khlee4516
    @khlee45162 ай бұрын

    55세에 뼈져리게 느끼신다는 직업이 작가인 평생직업인 분이 느끼실까요

  • @user-ij9gz1xm3l
    @user-ij9gz1xm3l2 ай бұрын

    준비잘하시길 준비안되어있는분은 지금이라도 작은준비부터해야합니다 그러지않으면 남 얘기 들어줄맘이 업머줍니다 본인 잘나갔을때얘기들어주는사기꾼만나 돈날리게됨

  • @joohoop6278
    @joohoop6278Ай бұрын

    유니클로는 적절한 비유가 아닌듯

  • @user-so6sr7xh9o
    @user-so6sr7xh9o2 ай бұрын

    제 주위 60대 모두 일하고 있습니다

  • @MrMichaelKwon
    @MrMichaelKwon8 күн бұрын

    금이 왜 사용가치가 없나요? 산업계에선 굉장히 고부가가치 자산입니다.

  • @user-ui2cc1iy6g
    @user-ui2cc1iy6gАй бұрын

    은퇴를 한다는것은~일 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끝내는 것을 말합니다. ■■은퇴 후에는 그냥 즐기면서 사십시요

  • @user-mx9rr7od9f
    @user-mx9rr7od9f9 күн бұрын

    1:28 1:28 20대 1:30 1:30 50대 황혼 쓸쓸하고 직책이 없는 인간 인적 네트워크 내적 ㆍ외적 2:34 2:34 3:11 3:11 60~70대 50대 한창이다. 유니클로 같습니다 4:29 4:29 재취업 시장 파트타임 ㆍ 실질적인 자영업자 퇴직이후 선택권 없는것으로 6:20 6:20 프랜차이즈 성공률 쉽지않다 7:25 7:25 연봉이 낮더라도 알바가 낮습니다. 퇴근후 체면을 내려놔야 합니다. 8:33 8:33 본인 스스로 잘하는 마음은 젊지만 받아줄 일자리가 없어서 경제적으로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이면 그나마 낮다 9:46 9:46 빈곤 ㆍ시간 무의고통 50대 되면 병이 질병이 하나하나 생긴다는 202406080119.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user-sg1fh6ft3f
    @user-sg1fh6ft3f2 ай бұрын

    글쎄요~ 요즘은 사람마다 다른듯요. 자기관리에 따라 10년은 왔다갔다함요~.

  • @user-gn8uk2xl8m
    @user-gn8uk2xl8m2 ай бұрын

    55세? 설마~~65세?

  • @user-fv8zo3wt3r

    @user-fv8zo3wt3r

    2 ай бұрын

    나이 들어보이네요. 65년생인 냐보다 훨씬 더~

  • @debora101
    @debora1012 ай бұрын

    유니클로 얘기는 황당 ㅎㅎ 별로 공감 안됨 너무 비관적

  • @rm893
    @rm8932 ай бұрын

    50대 중반?? 60대 후반인줄,,, 어리네

  • @gyujeong3192
    @gyujeong3192Сағат бұрын

    부읽남 선생님 연장자 에겐 나이가 아니고 연세라 하는 겁니다

  • @user-wv9rd8ib9t
    @user-wv9rd8ib9t2 ай бұрын

    주직업에서 은퇴한지 27년째, 제 2직업 은퇴한지 22년째입니다. 22년째 백수랄까요? 그럼에도 주직업에서 은퇴했을 때보다 자산은 20배 정도 됩니다. 손가락 까닥하지 않으면 한달 소득이 370만여원입니다. 2년 뒤면 395-400만원으로 늘어납니다. 아내의 국민연금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임대소득이 월 300만원 국민연금이 67만원 큰딸 대여금 회수 8만원입니다. 여유자금이 1억4000만원 정도 있었지만 주식 손실로 1.3억원 날리고 현재는 여유자금 1000만원 밖에 안됩니다. 아참 아내가 약국 알바자리를 구해서 한달 24-30만원 정도 추가 수입이 있군요. 그것 포함시 현재 394-400만원이 고정 소득입니다. 그냥저냥 지낼만 합니다. 65세인데 이발기술을 배워서이발사가 될까?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따서 부동산을 할까? 그냥 이렇게 맘 편히 지내다가 천국에 갈까? 생각 중입니다.

  • @user-hm2tj5nb4e
    @user-hm2tj5nb4e2 ай бұрын

    나한테 맞는 일자리가 부족한거는 맞는듯

  • @gangnam_no1
    @gangnam_no12 ай бұрын

    50대면 청춘인데 뭔 소리인지 저는 60이 훨씬 넘어서도 왕복4시간을 출퇴근하며 열심히 살고 있구만

  • @namka6766
    @namka67662 ай бұрын

    65세인줄...

  • @user-mv6vw1hv7m
    @user-mv6vw1hv7m2 ай бұрын

    50대 인생의 뜻하지않는크레파스를 만난다 건강등등 내아들은 주식코인하지마라 워런버핏도 년20프로수익 월2프로 ~ 부동산은 안정적재산임 성공확률적으로 높은걸택하라 부읽남님 늘 진심인 경제와 휴머니즘 좋은채널 응원합니다❤

  • @user-fv8zo3wt3r

    @user-fv8zo3wt3r

    2 ай бұрын

    과거의 성공이 미래도 그럴까요? 부동산도?이미 부동산땜에 고통 받는 사람 많아요 주식을 코인과같이 생각하는 님의 생각은ㅎ 요즘 시대에 마니 뒤떨어졋네요 바뀐 세상에 적응 잘 하세요

  • @user-rd3xs3bn8y
    @user-rd3xs3bn8y2 ай бұрын

    어린이ㆍ청소년ㆍ노약자ㆍ중년~체력이약함//(직업인은 체력이 필요함~청년과 성인들이 직업체력이 우수해서 당연히 직업시장에서 유리)~노약자ㆍ중년ㆍ청소년처럼(체력이 약한사람들은 알바처럼 시간일이 적당함~나이먹으니까 체력이 저절로 약해짐(20.30.40대체력이 그립다)

  • @jeongheebae3804
    @jeongheebae38042 ай бұрын

    나이들어서 젊었을때처럼 같은 연봉 같은 직위가 아닌건 당연하고 일할수있음에 감사해야지 고통스럽고 비참하다고 비관적으로 계속 얘기하니까 좀 거북함이 드네요

  • @user-jl9lz7px6g
    @user-jl9lz7px6g2 ай бұрын

    여성호르몬으로 전환돼 가는 시기가 50대이후 남자 그래서 드라마도 보고 눈물도나고 그러죠 생의 순리

  • @user-pz1km4qi9i
    @user-pz1km4qi9i2 ай бұрын

    없으면 절약해서쓰면돼지 뭐가문제인가? 내려놔요 나이들면 당 연하지

  • @SHKim-uv4wo
    @SHKim-uv4wo2 ай бұрын

    55세 ? 친구야 ?

  • @user-wv5mx4vw3l
    @user-wv5mx4vw3l5 күн бұрын

    사교육,골프,sns,명품을 가까이 하면 경제적자유는 점점 멀어집니다.

  • @user-uh5db4jm5n
    @user-uh5db4jm5n2 ай бұрын

    잘 가다가 혐한의 상징 유니클로 어그로가 거기서 왜나오는지 뭥미?

  • @user-nf1gt3bk6f
    @user-nf1gt3bk6f27 күн бұрын

    정선용작가 부동산에 대해 한참 잘못보고 잇네요.

  • @gangnam_no1
    @gangnam_no12 ай бұрын

    프랜차이즈는 노우다 시간은 많은데 집에서 놀면 뭐하나?

  • @user-tt4xl9xl8e
    @user-tt4xl9xl8eАй бұрын

    유니클로는 일본 회사가 질 낮은 옷을 만들어 한국사람들에게 파는 곳입니다

  • @mindbodysoul8845

    @mindbodysoul8845

    20 күн бұрын

    ??? 전세계로 팔고있는데요 ??

  • @_revival
    @_revival2 ай бұрын

    50대 초중반이라 어찌보면 임금은 정점기인데 몇년 후 은퇴하면 또 보릿고개?네요.😅(나름 준비했을지라도;;) 인생이라는게 사계절같습니다.봄여름가을겨울,, 그 안에서도 추웠다 더웠다.는 반복인거같고. 겨울 노년을 잘 준비해서 자식들에게도 짐이 되지 말아야지 싶습니다. 초연하달까 달관이랄까,,추락 후 겪는 아픔이 내공으로 와닿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eg7do9hz5l
    @user-eg7do9hz5l2 ай бұрын

    엑스세대였던 50대가 베이비부머 2세대라니~~ 80대 노인층은 더 비참한 한국의 현실~~ 반찬이라도 지자체 봉사활동에 동참하는 배달을 봉사할수있는 사회로 만들어주세요 ~~

  • @syjeon6136
    @syjeon61362 ай бұрын

    국내 탑3 대기업 다니다가, 35살에 자발적 퇴직하고, 작은 회사 창업해서 25년째 하고 있습니다. 힘들고 돈 못벌 때는 "내가 미쳤지 그 좋은 회사 퇴사하고 이 고생을 하네" 한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었지만, 이제는 워라벨을 즐기면서 부담없이 일하고 있습니다. 건강에 이상이 없는 한 70살까지는 일 할 것 같습니다. 인생 고생 총량의 법칙이 맞는 것 같습니다.

  • @mnbvcxzjqk8198
    @mnbvcxzjqk81982 ай бұрын

    팩트는...50이 올줄 몰랐다 ㅠㅠ 그나마 자본주의라....40대, 50대,60대중반 ...이세대가 만들어놓은 현상임

  • @jameskim44
    @jameskim442 ай бұрын

    은퇴하신 분들 자영업 창업하세요. 작은일이라도 하다보면 벌어들이는 그 소액 자금에서 작은 기회가 가지처럼 조금씩 생겨나고 안전하게 투자하다보면 수십억의 길이 열리는 구조에요. 안쓰고 모으면 점점 더 기회가 많아지죠. 적게 벌어도 상관없어요. 방향이 맞으면 결국은 도달하게 됩니다. 빌딩같은 자산은 만들어지기 매우 어려운데, 현금흐름 비지니스 안에서 월 몇천만원 순이익 정도는 아주 어려운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사업에 투자 안하고 집을 사면 사업자 비용처리도 안되고 ,결국 집만 남고 현금흐름은 거의 다 없어지게 되요. 그걸로 집 사고나서 집 값이 몇 억이니 이게 얼마나 올랐느니 정신승리 하면서 자위하고 살아가는거죠. 그렇게하면 안된다는거죠. 오히려 저런게 궁핍해지게 만듭니다. 실제 그 집을 팔 때는 상당한 세금을 내야하고 남은돈으로 저렴한 집을 사고나면 남는거 하나도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세금내고 그까짓 몇억 남은거 매달 일정한 벌이 없는 상태에서는 금방 아이스크림처럼 녹아서 사라집니다.

  • @mindbodysoul8845

    @mindbodysoul8845

    20 күн бұрын

    있는돈 다 날리고 빚만 왕창 생기기 십상입니다

  • @user-ey6gd8ke2n
    @user-ey6gd8ke2n2 ай бұрын

    이분 배부른 퇴직자가 투정 하는듯해 불편하네요~

  • @skj5596
    @skj55962 ай бұрын

    이렇게 우리는 돈의 노예가 되죠... 이래서 자식 낳기가 싫죠.. 내 자식도 기득권들의 노예가 될 가능성이 많으니...

  • @user-tl5qr3fl1q

    @user-tl5qr3fl1q

    2 ай бұрын

    이렇게도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있구나 ㄷㄷ

  • @jameskim44

    @jameskim44

    2 ай бұрын

    다 개인들이 노력해서 돈버는거에요. 기득권이 뭘 지배해요? 누가 누구의 노예가 되요? 그런 마음을 버리세요. 그래야 부자가 될 수 있어요. 그런 생각 갖고 있으면 돈이 오려다가 바로 도망갑니다. 세계 10~30대 부자 찾아보세요. 원래 부자도 일부 있지만 그들도 원래가 부자가 아니었어요. 본인이 그걸 했으면 본인이 그 정도 부자가 됐을거에요.

  • @user-wh9iu8lm6j
    @user-wh9iu8lm6j2 ай бұрын

    70인줄 ᆢ

  • @user-dn1mf3mo1o
    @user-dn1mf3mo1oАй бұрын

    에라??부동산이 된다는것??

  • @godblessyou77
    @godblessyou772 ай бұрын

    주식은 필수에요. 진짜 듣는내내 답답하네ㅎㅎㅎ

  • @minskim9529

    @minskim9529

    2 ай бұрын

    미국인 자산의 70% 정도가 금융자산(주식 등), 한국인 자산의 70% 정도가 부동자산(주택, 땅, 등..), 극명하게 차이가 나죠. 주식이라는 특정보다는 금융자산의 형태로 공감이 됩니다. 최소한 반반이라도.....

  • @user-nq3mv4vq9r
    @user-nq3mv4vq9r2 ай бұрын

    공감이 많이 안되네요. 퇴직 후 얘기하기엔 경험이 너무 보편적이지 않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