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파이터의 미래가 6논술 광탈 + 재수인 이유. "국어의 신"

국어 공부를 하루 3~4시간씩 해도 성적이 안 오르는 3,4등급 학생들에게 정말 추천하는 책입니다.
인생이 바뀔 거라 자신합니다.
너를 국어 1등급으로 만들어주마 책 소개
blog.naver.com/bjdmc4/2226169...
국일만 독서편 구매
bit.ly/46UEEJN
국일만 문학편 구매
bit.ly/41heuzG
국일만 노베 독서편 구매
bit.ly/3S3ME7l
국일만 노베 문학편 구매
bit.ly/47LEqFa

Пікірлер: 87

  • @beomjaka
    @beomjaka4 ай бұрын

    비슷한 상황에 있는 학생들이 도움 받을 수 있도록, 용기내서 촬영해준 출연자에게 응원 부탁드립니다! :) '국어의 신' 지원자는 상시모집 중입니다. 의지와 간절함만 있다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국어의 신 신청링크] bit.ly/47VB4An 국어 성적에 고민이 있는 학생이라면⬇ [국일만 독서편 📚] bit.ly/46UEEJN [국일만 문학편 📚] bit.ly/41heuzG [국일만 노베 독서편 📚] bit.ly/3S3ME7l [국일만 노베 문학편 📚] bit.ly/47LEqFa

  • @user-ck6fw1wq3v
    @user-ck6fw1wq3v2 күн бұрын

    반수생인데 현역때 국일만 가능세계 해설도 이해안갔는데 이번엔 가능세계 한 문장 계속 생각하고 이해안가도 생각하니까 어느순간 아!! 이런뜻이구나 이해도 가고 해설 읽으면서 제가 생각했던거랑 비슷하기도하고 해설도 진짜 이해가 넘 잘돼서 신기했어용..👍

  • @oopoo122
    @oopoo12212 күн бұрын

    매력있네 말 왜케 재밌게하냐 ㅋㅋㅋ

  • @LAGIAN
    @LAGIAN4 ай бұрын

    그 와중에 강아지가 귀여우면 개추

  • @user-et4ml6gi5b
    @user-et4ml6gi5b4 ай бұрын

    재밌어요

  • @Hi-si3wu
    @Hi-si3wu4 ай бұрын

    강아지 너무 귀엽다

  • @user-ve8dt7yh6v
    @user-ve8dt7yh6v4 ай бұрын

    볼 때마다 반성하게 되는 컨텐츠인거 같습니다 국일만 열심히 하겠습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 @user-wo6cm1ew2b
    @user-wo6cm1ew2b4 ай бұрын

    와 잠만 전통 논리학 이해했누 솔직히 책으로 보는거보다 영상이 더 효과적인듯! 어려운 지문들 해설 좀 해주세요 ㅠㅠㅠ

  • @bbbjjjhhh
    @bbbjjjhhh4 ай бұрын

    신일고 일동은 유찬형군의 재수 성공을 기원합니다 🎉🎉

  • @user-xs5tp2lm2u

    @user-xs5tp2lm2u

    4 ай бұрын

    백지호군의 약대 합격을 기원합니다🥳

  • @user-ms6zu3uv3e

    @user-ms6zu3uv3e

    4 ай бұрын

    55기 한남들 화이팅

  • @user-gx9cp3cp3d

    @user-gx9cp3cp3d

    4 ай бұрын

    개추를 벅벅ㅋㅋㅋ

  • @DonaldTrump0614
    @DonaldTrump06144 ай бұрын

    와 2화 빨리 올라오네요. 오늘도 잘 보겠습니다. 그리고 국일만 노베편 지금 학습하고 있는데 너무 좋습니다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ㅎ!!

  • @ojunggyun
    @ojunggyun4 ай бұрын

    출연자분 ㅎㅇㅌ

  • @user-cd9rg9rh5h
    @user-cd9rg9rh5h4 ай бұрын

    범작가 개멋잇다 😊

  • @iracham8029
    @iracham80294 ай бұрын

    고2 여름 방학내내 영일만 국일만 문일만 다 읽혔지만 선생님 말처럼 책 잘썼네~ 로 끝났어요 ㅎ 그러다 고3을 앞둔 이번방학에 영어는 수특 국어는 기출 한달내내 끙끙대며 풀어보고나서야 이 책들의 진가를 느끼는 중입니다 사실 일만씨리즈 만 아니라 이코치 일클 모두 지문이해를 위해 혼자 끙끙대는 시간이 선행되야함을 강조했기에 혼자 끙끙댄 시간들이 날린시간이 아닌 밑거름이 되어준다는 것을 알게되었어요 영어나 국어나 수능은 질로 시작해서 질로 끝나야되는구나 깨닫는 중입니다

  • @user-du7nb3wy1s
    @user-du7nb3wy1s4 ай бұрын

    강아지 귀엽다

  • @user-cz5fh3rh8c
    @user-cz5fh3rh8c4 ай бұрын

    국일만에서 말해주는 공부법은 수학영어에서도 매우 적용이 잘 되는것 같습니다. 국일만과 평소 좋아하는 철학 논술 공부와, 데카르트의 철학 저서 같은 책들을 함께 읽으며 1달반을 치열하게 공부했는데 자연스럽게 수학영어도 뚫리게 되더라구요. (물론 수학은 선천적 1등급이라는 그런점이 존재하지만, 후천적 1등급은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사실.)

  • @user-cz5fh3rh8c

    @user-cz5fh3rh8c

    4 ай бұрын

    @@smokemirror1583 전 쌍윤 덕후러였기에 원문은 아니더라도 그의 저서와 원서를 한글본과 영어본을 즐겨 읽었습니다. 전 그게 국어영어의 독해력을 올려주는 근본이라 생각돼서요.

  • @sejoonlim7798
    @sejoonlim77984 ай бұрын

    졸라 재미있네. 범작가도 티쳐스 가라!!!!!

  • @pyjinny
    @pyjinny4 ай бұрын

    범작가님 50대 아줌마 찐팬입니다. 제가 초등 중등할 것 없이 얘들 책읽어 주는 엄마들도 이 영상보라고 하네요.. 진짜 최고세요 ㅎㅎㅎ 이 학생 넘 귀엽네요. 담 수능은 꼭 잘보시길 응원합니다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어머님!! ㅎㅎ 앞으로 더 좋은 영상 만들겠습니다 :)

  • @ckfrud8767
    @ckfrud87674 ай бұрын

    하..영상을 보면 ㄹㅇ 지릴거 같은데 혼자서 저렇게 까지 할 수 있을까??가 걱정이다 ㅜ.ㅜ

  • @user-mi1hz2ge2k
    @user-mi1hz2ge2k4 ай бұрын

    이번편에 출연하신 분은 기본적으로 지적호기심이 뒷받침되시니 금방 올라오실듯.

  • @user-constant
    @user-constant4 ай бұрын

    국어의신 보면서 혼자 공부할 때 애매하던 느낌을 해소할 수 있어서 좋네요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ㅎㅎ

  • @user-yf1nh3bt8t
    @user-yf1nh3bt8t3 ай бұрын

    둘이 케미좋네 ㅋㅋㅋㅋ 범작가님 책 리뉴얼된거 언제 소개시켜 주나여 이렇게 짬짬히 말고 정식으로 영상파서 ㅇ알려주세여 궁금하신 분들 많습니다. 어떤 구성인지, 어떤 사람이 대상인지, 무엇이 바뀌었는지 말이에여

  • @pabiano101
    @pabiano1014 ай бұрын

    8:48 범작가 찐으로 웃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ub8qq9vh8l
    @user-ub8qq9vh8l3 ай бұрын

    범----멘

  • @user-yz8uk8nh8o
    @user-yz8uk8nh8o4 ай бұрын

    이렇게 글을 깊게 이해하는 연습을 하면 비문학 지문이 잘 읽히게 되나요??

  • @user-sm4sw2dz8x
    @user-sm4sw2dz8x4 ай бұрын

    범작가님 안정적인 1등급이 된 이후 국어 독서문학 공부량은 어느정도 되야한다고 생각하시나요? 1등급 유지를 위한 영상도 제작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안정 1등급이어도 계속 감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하루에 최소 2시간 30분에서 3시간은 추천드립니다!

  • @dropseye8155
    @dropseye81553 ай бұрын

    범작가님 공부하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댓글 작성합니다.국일만 풀면서 교재를 최대한 깨끗하게 사용할려고 합니다. 지문은 노트에 한 문장씩 필사 후 내 생각 적어보고 해설보고 비교하며 공부하고,문제는 선지 필사 후 답의 이유 작성 후 해설과 비교 하면서 공부할려고 하는데 좋을 방향의 공부법일까요? 예를들면)지문의 한문장씩 필사 후 내생각 적고 해설과 비교합니다.그 후 문제를 읽은 후 선지를 필사 후 이유를 적고 해설과 비교합니다.그 후 다음 지문으로 넘어갑니다.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필사는 비추천입니다!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필사하는 순간에는 머리를 쓰지 않기 때문에 크게 효과가 없습니다! 머리로 읽으시고, 해설만 스스로 작성해보세요 :)

  • @user-vm9gc5ty5l
    @user-vm9gc5ty5l4 ай бұрын

    pdf파일은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 @user-lx5ls4ri7r
    @user-lx5ls4ri7r4 ай бұрын

    선생님..! 선생님 방법대로 비문학 공부하는 예비고3이에요 하루에 2~3지문씩 기출을 풀고 있는데, 한 지문을 읽고 문제 푼다고 치면, 풀기 전 읽을 때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봐도 잘해야 50% 정도밖에 지문 이해가 되지 않아요.. 그 상태로 문제풀면 또 틀리구요 그리고 한문장 한문장 집중해서 이해하려고 최대한 노력한 다음 문제로 가면 답이 안 보이는 문제들도 많아요..ㅠㅠ 그래서 일단 완전 이해가 안 된 지문은 보류해놓고 다른 과목 했다가 밥 먹을 때나 걸어다닐 때 그 지문을 다시 읽으면서 계속 이해해보려고 노력하고 있긴 하거든요 이렇게 계속 하면 독해력이 늘긴 할까요?ㅠㅠ 그래도 가끔은 스스로 질뮨도 해보고 앞문장이랑 연결도 해보면서 재미를 느끼면서 뭔가 뚫릴 듯 말 듯..한 지문이 50게 중 하나꼴로 생기기는 하는데 이게 맞을까요ㅠ +그리구 자랑하고 싶은 거 있는데 저 가능세계 지문 완전 재밌게 읽었어요!! 킬러지문이라던데 왜이리 재밌지 싶다가도 막상 문제는 두개 틀렸긴 한데ㅋㅋ큐ㅠ,. 재밌게 읽었다는 사실만을 자랑할 사람이 없어서..ㅎㅎ 제일 먼저 생각난 게 작가님이었어요!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가능세계 어려운 지문인데 재밌게 읽으셨다니 대박이네요 ㅎㅎ! 그리고 지금 겪고 계신 상황은 너무 당연한거예요! 처음에는 최대한 이해해보려고 해도 사실 50~60 정도 밖에 이해 안됩니다! 계속 반복해야 독해력이 오르고, 나중에는 한번에 80~90까지 이해할 수 있게 돼요!

  • @user-vv1zu9xc4v
    @user-vv1zu9xc4v4 ай бұрын

    기술 지문 같은곳에서 복잡한 단계 절차 들은 넘버링 하며 읽으시나요??

  • @user-xv7hm1zz6g
    @user-xv7hm1zz6g4 ай бұрын

    국어 기출공부를 할때 최근 퀄리티좋은 적은양으로 고반복해서 내것으로 만드는게 좋을까요 이런저런 여러기출 읽어보는게 좋을까요?? 모두 이해는 한다는 전제하에...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최대한 많은 양을 고반복해서 내것으로 만들면 됩니다!

  • @user-bh1yv9yo7r
    @user-bh1yv9yo7r4 ай бұрын

    선생님 국일만으로 공부하고 기출지문을 충분히 고민하고 연습한뒤에 심찬우 선생님 기출강의를 통해서 올바른 사고를 했는지 확인을 하는 형식으로 공부해도 될까요?

  • @user-cc6ri2fc6j
    @user-cc6ri2fc6j3 ай бұрын

    지방에 사는 중등 학모입니다.문학 노베 기다리는 중인데 작가님의 강의도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어요.그런데 이런 영상을 제작해주시니 도움이 됩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 @user-kh8wp3ro2e
    @user-kh8wp3ro2e4 ай бұрын

    국일만 독서 노베편을 하고 있는 중인 노베이스 학생입니다...비문학 진짜 막막했는데 이해가 되니까 조금 숨통이 트인 느낌입니다! 문학도 같이 병행하는게 좋을까요..? 아직 문학 노베편이 안나와서 기본편으로 하려고 하는데 노베이스한테는 많이 어려운가요?

  • @Gaeguri__

    @Gaeguri__

    4 ай бұрын

    문학 노베편 나왔어요

  • @beomjaka

    @beomjaka

    4 ай бұрын

    노베편으로 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노베편은 출간 되었습니다 :)

  • @user-lb3rh5ky8y
    @user-lb3rh5ky8y4 ай бұрын

    브렌턴우즈 해설 내려갔나요?

  • @user-to4fq5vs9p
    @user-to4fq5vs9p3 ай бұрын

    예비고1인데 핸드폰 2G써야 하나요? 공부에 집중하고 싶은데 친구들과 연락하기 불편해서 걱정이네요

  • @user-pq6hy3ym5k
    @user-pq6hy3ym5k3 ай бұрын

    범작가님! 문학 또는 독서를 분석할 때에는 모르는 단어가 있어도 그냥 분석을 해보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단어를 찾아보고 분석을 해보는 게 좋을까요??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분석할 때는 단어 먼저 찾고 하시면 됩니다!

  • @handsomes2xy

    @handsomes2xy

    3 ай бұрын

    이윤재

  • @user-td6rn3ei3g
    @user-td6rn3ei3g3 ай бұрын

    예비고3 고정높4이고 고2기출을 아직 15일치정도 덜 풀었는데 스킵하고 고3기출을 풀까요 ㅜ

  • @user-ue5wy8go6f
    @user-ue5wy8go6f4 ай бұрын

    작가님 국일만 독서편을 읽어서 문제를 풀려는 학생인데요 국일말 기출편에 인문 경제 과학 등등 여러가지가 있던데 과학이 약하다고 생각되면 먼저해도 상관없는 건가요? 그리고 기출문제는 2006년도까지 해볼려고 하는데 나온 순서대로 풀어야되나요?

  • @user-ph9uy3ub1r
    @user-ph9uy3ub1r3 ай бұрын

    범작가님! 노베 비문학 공부하다 궁금한게 생겼는데 작가님이 글에 표시하지 말라고 하셨잖아요. 근데 혹시 그러면 옆에 노트를 펴놓고 혼자 제 생각 같은걸 적으면서 이해하는건 괜찮나요? 그냥 머리로만 하려니 너무 복잡해지고 이해가 잘 안돼서요..

  • @user-vs4by3ly3h
    @user-vs4by3ly3h3 ай бұрын

    국일만 독서편이 너무 어려웠는데 노베편이 나와서 너무 좋아요!! 더 제 수준에 맞는 느낌...! 근데 2007년도부터 보는 게 좋다고 하셨는데 기출문제집에는 예전 기출이어도 비교적 최근인 2015년도 까지만 있더라구요 이걸로 적용해봐도 괜찮을까요?? 그리고 지문에 아무 표시도 하지 마라고 하셨는데 글에서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처음에는 글 문맥으로 알 수 있는데 그 단어만 보면 모르겠는 거에 표시해놓는 거는 괜찮을까요? 아니면 시험장에서만 표시하고 평소에는 먼저 단어를 찾고 습득한 후에 지문을 읽는게 좋을까요?

  • @user-no4xn2vw3m

    @user-no4xn2vw3m

    3 ай бұрын

    Ebs에 2006부터 기출 나와 있습니다 거기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ㄱㄱ

  • @wkd2808
    @wkd28084 ай бұрын

    범작가님. 현대시 혼자 해석하면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국일만 읽으면 범작가님이 '바다가 꽃을 피우는 건 말이 안된다. 화자가 뭘 보고있는지 생각해보자'라는 식으로 말씀해주시는데😅 궁금한게 있어서요. 저런 구절들이 나올때는 범작가님처럼 화자가 현실을 자기마음대로 표현한것으로 상정하고 시를 해석해야하는거겠지요? 가끔 저는 "아니, 뭐 화자가 바다에 꽃이 피는 걸 상상하는건가?" 이런 식으로 상상의 개념으로 넘어가서 저또한 바다에 꽃을 피우면서 이미지화 하거든요😅. 시인이 자기 마음대로 쓰는 거니까 상상의 나래를 펼쳐서 쓸수도 있지 않나 해서;; 역시 범작가님 코칭대로 화자가 실제현실에서 뭘 보고 저렇게 표현하는건지 추론하는게 맞는 길이겠지요?

  • @beomjaka

    @beomjaka

    4 ай бұрын

    넵넵 보통 화자는 자기가 만들어낸 세상을 표현하기보다, 현실에 있는 세계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왜냐하면 똑같은 걸보고도 다르게 표현하는 게 예술이라 그래요. 그래서 저 표현이 현실에 어떤 상황을 보고 하는 말일까 생각해보면 됩니다 :)

  • @wkd2808

    @wkd2808

    4 ай бұрын

    @@beomjaka 감사합니다🙆‍♂️👍👍👍

  • @dzxoicvo
    @dzxoicvo3 ай бұрын

    국어 지문 풀 때 속발음 고쳐야하나요..?ㅜ

  • @user-vb4dw3rs6s

    @user-vb4dw3rs6s

    3 ай бұрын

    아뇨 걍 속발음 하더라도 지문 이해하면서 풀면 시간 충분하더라구요 선지에서 시간이 줄여지니까 대부분 국어 시간 소모는 지문을 제대로 안 보고 선지로 와서, 다시 지문으로 돌아가서 찾는 과정에서 많이 소모 되더라구요

  • @user-yj1mn4sn7m
    @user-yj1mn4sn7m3 ай бұрын

    선생님 국일만 노베편 거의 다읽긴 했는데 아직 제가 독해력이 부족한지라 경제,법 지문이 어렵더라고요 ㅠㅠ 그 국일만 노베편 마치고 이비에스옛날 기출을 푸는게 나을까요? 아님 저번에 사둔 마다탕 2024가 있는데 그걸 풀까요? 아님 독서문제집중 좋고 쉬운 난이도에서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마더텅 푸시되, 옛날 기출부터 푸시길 추천드려요!

  • @user-qw3do4ly1l
    @user-qw3do4ly1l4 ай бұрын

    범작가님,국일만 노베편 끝냈는데 끝마침에 작가님께서 15개년 독서 기출문제를 풀어보라고 하시던데 그럼 마더텅이나 마닳같은 기출 문제집 사서 국일만 노베편에서 배운거 적용해보는 식으로 공부하면 될까요?????

  • @beomjaka

    @beomjaka

    4 ай бұрын

    넵!

  • @user-qw3do4ly1l

    @user-qw3do4ly1l

    3 ай бұрын

    @@beomjaka작가님 근데 커리큘럼엔 2006학년도 기출부터 2016년 기출 부터 푸라고 하시더라고요 근데 그런 옛날 기출문제들이 실린 문제집은 인터넷에 찾아봐도 없더라고요 ebsi에서 계속 프린트해서 풀어야되나요??

  • @JuneLEE-lm7dr
    @JuneLEE-lm7dr4 ай бұрын

    근데 선생님 그 한 문장 한 문장 이해하는데 시간 많이 쓰라고 하셨는데 그 어떤 영상에서 빡센 지문부터 하지말고 옛날 기출보면서 차근차근 올리라 하셨는데 (그때 말하신 근거가 원래 자기의 실력보다 조금만 더 높은 지문을 그렇게 뚫으면서 가야 진짜 상승이 일어난다 이런식으로 말씀하셨어요) 무조건 그렇게 해야하나요? 지금 국일만 독서 노베편 아닌 지문들 해도 막 그렇게 버거운 느낌은 없어서 물론 고2 국어 4등급이고 한 지문풀때 거의 대부분 다 맞긴하는데 시간이 30분 걸리긴해요 그리고 완벽히 모든 문장 이해까지는 어느 지문도 그렇게 해본 적이 아직 없습니다

  • @beomjaka

    @beomjaka

    4 ай бұрын

    완벽히 모든 문장 이해를 하려고 하셔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기 독해 수준이랑 비슷한 난도의 지문부터 시도해보라고 했던 거였어요!

  • @o-o2519
    @o-o25194 ай бұрын

    능곡고 일동은 김정현군의 재수를 응원합니다!

  • @user-ir2yi2sy8m
    @user-ir2yi2sy8m4 ай бұрын

    선생님 현재 국일만 비문학 노베랑 심찬우T의 잡도해를 같이 하면서 하고있는데요 하루에 노베편 지문 한 개와 잡도해 지문 한 개 하고있는데 이렇게 해도 되나요?? (현재 DAY6파트) 현재 독서만 4시간씩 하고 있습니다, 근데 저번에 선생님께서 4시간중 독서,문학,화작 포함해서 4시간이라하셔가지고요. 문학은 언제부터 들어가야하나요? 지금 독서를 이해를 중점으로 하니까 도움이 많이 됩니다!

  • @beomjaka

    @beomjaka

    3 ай бұрын

    우선 독서가 많이 부족하시다면 4시간 기준으로 2시간 30분 정도 독서하시고요! 1시간은 문학해주세요. 나머지 30분은 화작으로 하루에 1세트씩 푸시면 될 거 같습니다!

  • @user-ir2yi2sy8m

    @user-ir2yi2sy8m

    3 ай бұрын

    @@beomjaka 이런 틀을 가지고 국어공부를 계속 이어나가겠습니다, 혹시 현재 독해력을 올리기위해 일시적인 시간 틀인가요? 나즁되면 국어공부시간기준점이 달라져야하죠?

  • @user-go1ze9dc8n
    @user-go1ze9dc8n4 ай бұрын

    왜 눈빛에서 약간 기안이 보이지 ㅋㅋㅋ

  • @user-fz9do4vl1h
    @user-fz9do4vl1h4 ай бұрын

    8:19 오타있어요

  • @user-lb3rh5ky8y
    @user-lb3rh5ky8y4 ай бұрын

    브레튼우즈 해설강의 내려갔나요?

  • @user-if3kw6vu3r
    @user-if3kw6vu3r4 ай бұрын

    범작가 웃는거 잘생겨보이면 개추 ㅋㅋㅋㅋㅋ

  • @Y2k3323
    @Y2k33234 ай бұрын

    생긴거랑 다르게 은은한 목소리로 말하는게 매력있네 ㅋㅋ친구들한테 인기 많겠누

  • @user-gx9cp3cp3d

    @user-gx9cp3cp3d

    4 ай бұрын

    너 유찬형이지

  • @user-yb4bv1jt6l
    @user-yb4bv1jt6l4 ай бұрын

    pdf가 무슨 pdf를 말하시는 거죵..?... 그냥 기출 다운 받으라는건가욤..?...

  • @beomjaka

    @beomjaka

    4 ай бұрын

    넵 EBSi에서 기출 다운 받으라는 뜻입니다!

  • @user-jx5xc3ir5h

    @user-jx5xc3ir5h

    4 ай бұрын

    유빈아카이브에서 다운받으라는건줄 알았네요 ㅎㅎ..

  • @user-lf9dq1ug4h
    @user-lf9dq1ug4h4 ай бұрын

    예수 미치겠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s3uj5px7j
    @user-is3uj5px7j4 ай бұрын

    E N T P

  • @user-zk7wv9xr8c
    @user-zk7wv9xr8c4 ай бұрын

    심찬우쌤 독서안듣고 독서는 다른쌤듣고있는데 그래도 한지문에 몇시간씩 고민해보고 단어 하나하나 다 이해해서 설명가능할정도로 만들면될까요?

  • @beomjaka

    @beomjaka

    4 ай бұрын

    넵 물론입니다 :)

  • @user-jn3sj7ry1e
    @user-jn3sj7ry1e4 ай бұрын

    친동생아님?

  • @user-gq4ur2cc4n

    @user-gq4ur2cc4n

    3 ай бұрын

    이건또뭐얔ㅋㅋㅋㅋㅋㅋㅋㅋ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