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교가 되고 싶은데 꼭 육사를 가야만 할까요?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장교의 꿈을 가진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하는 육군사관학교 / 3사관학교 / ROTC
과연 어떤길을 가야 할지 답은 "영상" 에 있습니다
문의 : russell.hwang88@gmail.com

Пікірлер: 543

  • @user-vw7bb6vz8j
    @user-vw7bb6vz8j4 жыл бұрын

    와 저랑 같은 고민을 하고있는사람이 있었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 @eunchanmong
    @eunchanmong3 жыл бұрын

    군대다녀오신분들은 아실꺼예여 육사출신들 소대장 군생활할땐 별로좋아하진않지만 생활하는모습보면 아 얘는 육사출신에 군인아니고 다른거 했어도 성공했을것같다 라는 생각이들더라구요

  • @jamesroh5996
    @jamesroh59964 жыл бұрын

    재수했는데도 육사에 못들어 갔다면 그게 나의 길이 아닌가 보다고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습니다. 어떻게 보면 인생이 전쟁터이고 살아가는데 투쟁력이 중요합니다

  • @user-un9nn7du1b
    @user-un9nn7du1b4 жыл бұрын

    저도 장교로 8년 복무하고 지금은 군무원으로 있는데 말씀하시는 부분에 모두 공감 합니다.

  • @---pr8hr
    @---pr8hr4 жыл бұрын

    육사출신 딸 수 있으면 열심히 해서 따야함. 타출신들은 피토할때까지 열심히해야 살아남음. 황대위님 생각과 조금 다른 부분은 과는 병과 선택에 영향이 있음. 어문계열이면 해당 언어 죽어라 파서 유창하게 하면 정보병과에서 빛을 볼 수 있음.

  • @Iwannabelike

    @Iwannabelike

    4 жыл бұрын

    육사출신이 된다하여 알티나 삼사만큼 노력을 안한다고 생각하시면 오산인거 같습니다. 저희 아버지께서 육사출신이시고 지금은 전역하셨습니다. 병생활을 보내면서 어떤 간부도 저희 아버지만큼 양심적이고 성실한 장교는 본적이 없습니다.

  • @2seconds_531
    @2seconds_5314 жыл бұрын

    충성\ 영상 잘 봅니다 수고많으셨어요 감사합니다 😊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2seconds_531

    @2seconds_531

    4 жыл бұрын

    TV러셀 아이고 제가 더 고맙습니다

  • @jinkwangseon
    @jinkwangseon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저는 포병 사병출신 압나다만, 당시 부라보 포대장이 육사출신이 항상 부임 했는데 역시 군정신이 충만하고 정신적 육체적 군에 최적화된 인재 임을 실감 했습니다. 이후에 작전3과장을 거쳐 소령으로 진급 연대 작전 장교로 가는 것을 실제 보았습니다.

  • @user-bt3qm2cd8c
    @user-bt3qm2cd8c11 ай бұрын

    국군장병 여러분은 대한민국 ` 영웅입니다.

  • @user-ws1yx2sz5c
    @user-ws1yx2sz5c4 жыл бұрын

    합참의장님인 박한기대장님은 학군출신인데 정말 대단하신듯

  • @user-mm1ql3nh6s
    @user-mm1ql3nh6s4 жыл бұрын

    러셀님 머리 시원하게 자르셨네요 멋져요

  • @user-se5ot6yz8y
    @user-se5ot6yz8y4 жыл бұрын

    요즘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wp9ek9dk4r
    @user-wp9ek9dk4r3 жыл бұрын

    3사 학군 학사는 장기선발이라는 관문을 거치기 때문에 완전 이상한 사람들이 걸러지나, 육사는 장기선발을 안거치기 때문에 간간히 이상한 놈들이 있음. 아무리 좋은 교육을 받아도 실제 장교생활 군생활을 해보고 장기 하는 것과 졸업과 동시에 자동장기 되는 건 차이가 있음. 육사생도 교육이 우수하겠지만, 어쨌든 학교교육에 불과함.

  • @user-mn9uj7fx9c
    @user-mn9uj7fx9c4 жыл бұрын

    자막이 있어 보기 편하네요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rokafro2879
    @rokafro28794 жыл бұрын

    전 공군 단기 장교입니다. 장교를 평생직업으로 원한다면 무조건 사관학교입니다. 이건 마치 성공하고 싶은데 서울대 가야 할까요?라는 질문과 마찬가지입니다. 서울대 간다고 모두 성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서울대출신이란 것은 인맥 인프라 교육수준 모두 성공의 탄탄한 기초가 되는 것이죠.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 @perugialee3320

    @perugialee3320

    4 жыл бұрын

    @@TvRussell 마지막 줄은 특히 군대일수록, 특히 미군도 심하지만 한국은 더 심함

  • @yb5817

    @yb5817

    4 жыл бұрын

    @@perugialee3320 미국은 알티 > 육사로 알고있는데 아닌가요??

  • @hgyu3428

    @hgyu3428

    4 жыл бұрын

    @@yb5817 그건 미국이고 한국은 왠만한 경우에선 육사>>>>>>rotc입니다

  • @user-td4nc8li3d

    @user-td4nc8li3d

    3 жыл бұрын

    혹시 ROTC하셨나요

  • @Sbocoabshxhd
    @Sbocoabshxhd4 жыл бұрын

    아주 정확하고 현실적인 답변입니다!!!만약 육사를 못가서 학사나 rotc하려고 일반대학가려면 최대한 네임밸류 좋은대학 가세요. 대한민국에서 학벌은 내 평생의 꼬리표입니다.그리고 과는 사실 말씀대로 어디나 무관합니다만 러셀님 말처럼 영어가 중요하기 때문에 영문과 괜찮고, 일본어과 나와서 일본어 잘하시면 가끔 통, 번역 할일 생길 수 가 있습니다. 지금은 조금 다르지만 한, 일은 국방상 아직은 우방이니깐 본부나 합참에 일본 군 장성들 은근옵니다.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fz9fz2bp9g
    @user-fz9fz2bp9g4 жыл бұрын

    육사,공사,해사 같은 군사학교는 국가에서 군인을 육성하기 위해 세운 학교 나머지는 위관장교급 수급하기 위한 시스템 사회에서 좋은대학 우대받듯 군대는 사관학교가 우대받는건 당연한결과죠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e6og7xq4b
    @user-ne6og7xq4b3 жыл бұрын

    사회에서는 학벌이 상관없는일 하는거 이닌이상 학과 엉청 중요해요 .. 공대는 정말 말할것도 없고 문과도 간판이니 하는 말 있지만 4학년돼서 보면 매우중요

  • @jangajjimaneuljong4398
    @jangajjimaneuljong43984 жыл бұрын

    육사 합격이다%~~~~~~ 유치원때부터 시작한꿈을 오늘 이루리라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정말 축하드립니다:)

  • @user-jx1uc6jg3z

    @user-jx1uc6jg3z

    3 жыл бұрын

    @@ULOS95 존나꼬였네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

  • @tsukasaaoi7502

    @tsukasaaoi7502

    3 жыл бұрын

    @@user-jx1uc6jg3z ㅋㅋㅋ 근데 뺑이 쳐야하는건 팩트긴하잖아 ㅋㅋㅋ

  • @upcheer2775
    @upcheer27754 жыл бұрын

    제 고등학교 동창도 러셀님과 동기인 학군49기로 2011년에 임관한지라 예비역 병장인 저와 다수의 친구들, 집안형편이 어려워서 고3때 바로 특전부사관 지원하여 4년만 딱 하고 전역한 예비역 중사 친구들이랑 깔깔이 입고 그해 전군 최초로 이루어진 계룡대 합동임관식 보러갔던 기억이 나네요ㅎㅎ 이 영상을 보니 3수해서 육사 진학하고 육사 동기 중에 제일먼저 사단장에 진급했던 송X진 장군이 생각납니다. 사단장 임기 말기에 불미스러운 일로 군복을 벗었지만 자신이 진짜 뼈를 묻어야한다 생각하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최대 지원가능 연령치인 3수 해서라도 육사 가야죠. 육사 = 대대장급 인재양성이 목적인 곳이라 일단 매월 최대 300만원이라는 안정적인 연금을 받을 수 있고 계급정년 만 53세인 중령까지는 어떻게든 가더군요. 대령부터는 한 기수당 50% 밖에 도달하지 못해서 육사 1년 선후배였던 저희 대대장님과 바로 옆 전차대대장님 모두 매일 밤샘근무에 시달리며 담배를 손에서 놓지를 못하셨죠. 그래도 두분 다 대령까지는 가셨습니다. 육사 출신도 대령 진급률이 50%라 말씀드렸으니 반대로 그만큼 육사 출신임에도 중령 혹은 그 미만의 계급으로 조기전역하신 분들이 50%나 되죠. 중령 위에 대령, 장군이 있어서 별거 아닌것 같아보여도 실제적으로 단위부대 지휘관인 대대장부터가 진짜 장교 생활이었다고 회고하시는 예비역 장군, 대령, 중령분들이 많더군요. 다만 2010년에 장교로 임관한 현역 소령(진)인 친구 얘기 들어보니 앞으로 장교, 병사는 줄이고 부사관은 늘어나는지라 더 치열해지는 경쟁은 각오하고 감내해야합니다. 결론 : 장군을 목표로 군생활을 하되 기본 베이스인 중령도 고급 장교이고 엄청난 혜택이 있으니 그에 만족할 각오가 돼있어야 합니다.

  • @anssang
    @anssang4 жыл бұрын

    구독 후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중대장님 ㅋ 영상에서 잘 설명해주시네요ㅎ 여담으로, 연대 군수과 1종계원 출신으로써 보자면 , 지금은 민방위; 진급 TO가 육사와 비육사(3사,학군,학사,간부사관) 따로입니다 흔히들 착각하는게 육사와 비육사가 경쟁해서 진급하고 당연히 육사가 제일 유리하다고 생각들 하시지만 육사는 육사끼리 경쟁 비육사는 비육사끼리 경쟁입니다. 예를 들어 육군기준 병과중 보병이나 포병쪽은 육사 비육사 할꺼 없이 진급TO가 꽤나 있는 편이지만 희귀병과 (헌병,수송,병기) 이런쪽은 중령~대령 기준 육사가 0~1명 비육사는 0~0명도 봤습니다. 군수행정병 출신이라 말년에 누가 진급했고 이런거 엄청찾아봤는데 결론은 3사,학군,학사,간부사관 중 진급에 누가 유리하냐 이런건 아무의미 없습니다 그냥 비육사고 군인할려면 육사 가야합니다. 3사나 학군이 그나마 역사가 좀되서 4성장군도 나오고 했지만 학사는 아직 안나온걸로암.. 간부사관은 96군번인가 1기이니 중령 혹은 대령이 맥시멈입니다. 그냥 비교는 도토리 키재기임... 여담으로 제가 06군번인데 그때 3사에서 처음으로 4성장군이 나와서 3사신문에 대문짝만하게 실린적이 있습니다. 박영하 장군이라고...3사1기.. 내용인즉 3사는 xx년도 개교이래 14만명의 정예장교를 배출하였고 처음으로 4성장군이 나왔다 이런내용.. 이말인즉 14만분의 1확률 뚫고 4성장군 된거임 박영하 장군이.. 요약하자면 진급시 육사는 육사끼리 경쟁 비육사는 비육사들끼리 경쟁. 그럼 육사꼴등이랑 비육사 예를 들어 학군 그 기수 에이스랑 머가 더낫냐 라고 봤을때는 후자가 약간더 나을수도 있다라는 생각도 듭니다. 기수 에이스면 많이 밀어줄껍니다 선배들이... 용꼬리나 뱀대가리냐 그차이 일듯.. 개인적인 의견입니다...ㅎ 그게 아니라면... 무조건 육사가라..!

  • @siberiantiger7731
    @siberiantiger77314 жыл бұрын

    영상 재밌네요!^^ 육사 졸업한지 10년 이상 됐습니다. 갈수록 출신보다 능력과 인성이 중요합니다. 저같아도 그저그런 육사후배보다 유능하고 성실한 타출신후배들에게 더 관심이 가고 챙기고 싶어지더라구요. 군대에서 업무하고 훈련하고 생활하는거 몇개월 보면 딱 나오거든요~ 물론 객관적인 진급률은 육사출신이 아직 높은건 인정. 육사나왔다고 자만하지 말고 비육사라고 좌절하지 말고 스스로 능력과 인성을 키우도록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 @user-wx7hg7hk1s
    @user-wx7hg7hk1s4 жыл бұрын

    사관학교가 본인이 생각 하는 것 처름 겉으로 보기엔 멋있고 화려하게 보일 수 있지만 막상 겪어 보면 실망 또한 크니 잘 생각 해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 @jhy56
    @jhy564 жыл бұрын

    그리고 군대에들어가는거 평생직장이니까 잘생각하고가는게좋습니다. 생각보다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맞지않다면 힘드니까요. 실제로 그냥 시험성적 나와서 1차합격한게아까워 그냥 들어간친구들도봤는데 그럼 도중에 그만둘확률이 높아요..공부만하던친구들이 와서 군인몸으로만들어지는거니까요.

  • @user-nz4hg9yc6e
    @user-nz4hg9yc6e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지금 현역으로 근무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공감가는 부분도 있고 그렇지 못한 부분도 많네요.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단순히 육사를 나와서 잘하는게 아니라 육사를 가기위해서 열심히 해왔고 그리고 열심히 노력하는 근성으로 계속열심히 하고 그러한 노력을 인정 받기때문에 건승한다고 생각합니다. 장교출신이고 대위까지 하셨으면 아시겠지만 자력이라고 아시죠? 각종 교육성적이라던지 평정 상훈등 관리잘하고 열심히 하면 차후 진출시 더좋은 자리로 갈수 있겠죠? 저도 아직 군생활이 길지 않지만 비출신들도 더 진출하는 겄도 봤습니다. 결론:육사를 나와서 잘하는게 아니라 원래잘하는 사람이 육사를 간겄이고 그런사람이 건승하는것이 군대다. 육사출신도 행실이 바르지못하면 군조직 특성상 퇴화될 수 있다, 그리고 육사를 가지 못했더라도 피나는 노력과 자기발전으로 차후 높은계급으로 진출 할 수있다. 이상입니다.

  • @namhwanoseon
    @namhwanoseon4 жыл бұрын

    그.능력이라는것을 키우는것에 한가지 더 고민 인게 다른사람의 일을 자기가 한것처럼 포장 하는 능력도 인것인가 봅니다. 즉 상황에따른 말바꾸기...등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 @snakeneckboy

    @snakeneckboy

    4 жыл бұрын

    처세술과 정치력이라는 용어가 굉장히 적절한것 같습니다

  • @user-bd5ky7zz5l
    @user-bd5ky7zz5l4 жыл бұрын

    장교는 하고 싶은데 전역도 하고 싶으면 무조건 ROTC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yb5817

    @yb5817

    4 жыл бұрын

    ㅋㅋㄱㄱㅋ 보다 웃었네욬ㄱㄱㅋ

  • @Kielyk

    @Kielyk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ㄲㅋㅋㅋㅋㅋㅋㅋ

  • @stevens.k.markrov3547

    @stevens.k.markrov3547

    3 жыл бұрын

    혹은 학사사관 / 전문사관

  • @qur8515

    @qur8515

    2 жыл бұрын

    그게 더 현명함 장교출신은 뭔가 다름

  • @user-tr6fz1ls2d
    @user-tr6fz1ls2d4 жыл бұрын

    사관학교 출신들을 대위로 전원 진급시킨 후 모자란 대위 TO만 타출신 장기복무자 선발해서 채우는 시스템이니 당연히 사관학교 출신이 유리할수밖에 없죠.

  • @jonghanyun8006
    @jonghanyun80062 жыл бұрын

    무조건

  • @user-by1nq7no7r
    @user-by1nq7no7r3 жыл бұрын

    당근! 3수 하더라도 장교 무조건 육사 가야합니다.2ㅡ3년 늦더라도 운동장 자체가 달라요.

  • @MBSHIM-td7ch
    @MBSHIM-td7ch4 жыл бұрын

    제 군생활때도 거의 육사,3사위주가 영관급 장성급 이었는데 예비군때 잠깐본 어떤분이 본인군생활때 RT출신의 연대장 대령간부가 있었다고합니다. ㅎㄷㄷ;; 육사 3사 출신에서의 대령인경우는 많거나 그 출신에서도 대령 진급하기 굉장히 빡시다는걸로 아는데 정말 경쟁결과 1퍼로 들어가거나 어케든 군대상황을 몸에익히지 않았을까싶습니다 ㅎㅎ 별 장성이되기 위해선 그 상위권 성적과 기타 군장교로써 영향발휘, 상하 간부및 병사들과의 관계등 어마무시하게 필요한게 많은것 같네요

  • @user-sz4zm7rv4e
    @user-sz4zm7rv4e4 жыл бұрын

    뭐지 이 영상 나랑 전혀관계가 없는데 계속 보게된다 ㅋㅋㅋㅋ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많은 공유좀 부탁드립니다.:)

  • @kimwj5774
    @kimwj57744 жыл бұрын

    열심히 공부해서 육사를 들어가고 생도생활을 지내고 야전 소대장부터 군생활을 시작하지만 고생했던 보상의 댓가가 좀 가혹한거 같아요 현역때도 장교들을 보면서 들었던 생각이지만 요즘들어서는 아무나 할수 없는 직업이라고 생각하게 되네요..

  • @user-wi5pm8uu2t
    @user-wi5pm8uu2t4 жыл бұрын

    소위 임관 시를 비교 하자면 당연히 육사/비육사 수준 차이가 있을겁니다. 서울대학 최상위권 수준의 사람들이 모여서 4년동안 일반+군사 소양을 더 쌓았겠죠. 육사 생도시절을 지켜보면 정말 힘들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출발시점에 개인능력치가 이미 많이 벌어져있습니다. 근데 위로 올라가면서 능력치 차이가 줄어들수도 늘어날수도 있겠죠. 그건 자기 하기 나름입니다. 일반 기업도 마찬가지겠죠. 당연히 상위권 대학 나온사람들이 눈에 잘띄고 좋은기업으로 갑니다. 하지만 올라갈수록 그 격차가 줄어들고 대학이 높은자리를 보장해주지는 않습니다. 물론 "확률"이라는게 있습니다. 좋은교육 좋은대학을 받은 사람들이 더 좋은 능력을 발휘할 가는성은 더 많습니다. 지금 육사가 주요보직을 많이차지하고 있다는건 정당하다고 볼수도 있고 불합리하다고 볼수도있는데 그건 실제로 비육사 출신들이 육사출신들보다 뛰어난 자질을 갖추고 있냐를 판단할수 있어야할거같습니다

  • @park-dg6en
    @park-dg6en4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t6161
    @st61614 жыл бұрын

    육사출신 장교들이 타 출신 장교들보다FM이고 뭔가 눈빛이나 근무태도는 다르다고 느껴봤습니다. 저 군생활하던 시절 중대장님이 작전부대 직속상관은 아니었으나 무언가 사병들을 대하는 태도가 다르다는 걸 느꼈습니다. 타 출신 단기장교나 기타 장교들은 뭔가 군기가 느슨하거나 설렁설렁 하는 느낌이랄까..

  • @user-xk6hi6vz8c
    @user-xk6hi6vz8c4 жыл бұрын

    육사던 비육사던 10년전 제가 군생활 했을 때 출신불문하고 멋진지휘관 많으셨습니다. 육사출신이셨던 대대장님은 병사들에겐 엄청 인자하시고 간부들에게 엄청엄하신 분이셨고 그만큼 병사들이 대대장님을 잘 따르기도 하였습니다. 얼마전 알아보니 2년전쯤 장군진급하셨단 이야기도 들었고, 반대로 진급욕심만 가득차있던 ROTC연대장님은 병사들 피말려 죽였습니다. 지금은 전역하셨더라구요. 조금 안좋은 선입견도 당연 생겼습니다. 제가 모시던 ROTC장교였던 중대장님은 진짜 FM군인이셨는데 정말 멋진분이셨죠. 일과시간이나 훈련시간엔 병사들 지휘도 잘하셨고 그 외 휴식할 땐 전혀 터치도 없던 분이시고 장군까지 가시길 바랬던 분이고여 횡설수설 정리없이 말이 길었지만 출신가리지 꼭 육사만 장군진급하는데 우선순위가 매겨지지 않고 타출신 장교들도 인성인품만 갖춰진분들이라면 장군진급하셨으면 하는 분들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그 안에서 정치, 라인타는건 배척은 못하겠지만 정작 진급하셔야할 분들이 안될 땐 개인적으로 안타깝더라구요.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jz3rg2pm5p
    @user-jz3rg2pm5p4 жыл бұрын

    ㅠㅠ이번 영상 너무 유익해요 군장학생 특집으로하나 대학교 추천이라든가 팁등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원서가 곧이여서..ㅠ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군장학생 관련 영상 이전에 업로드 했습니다^^

  • @user-jz3rg2pm5p

    @user-jz3rg2pm5p

    4 жыл бұрын

    @@TvRussell 헉 감사합니다. 구독햇습니다 충성^^

  • @user-tf8oc6pt9q
    @user-tf8oc6pt9q4 жыл бұрын

    정말...아무리...어떻게 해도 뒤집을 수 없는게 출신이죠...육사냐 / 비육사냐...저는 그래서 주변 지인분들 자녀분들이 직업군인을...특히 장교를 생각하신다면 강력히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자녀분이 육/해/공 사관학교를 들어가실수 있다면 추천드리지만 그 외에는 자녀분이 정말 노력하여 사관학교 출신분들을 이길 각오가 되어있지 않다면 아니라고..."

  • @sg4322
    @sg43222 жыл бұрын

    나도한마디 ㅡ세계의 군의 중요성이 많은사람파워에서 장비위주의 국방력으로. 바뀌고있는데요 ㅡ직업군인 지원자는 헌재보다는 10년~30년을 내다보고 바다와 하늘위주의 장비전쟁도 염두에두고 개인의 비젼을 생각해봄이 좋을것 같습니다

  • @user-fz1wv1kw3k
    @user-fz1wv1kw3k4 жыл бұрын

    경험담;.. 90년대 간만에 진짜 간만에 육사 소위 2명이 배정 대기 첫날... 사단보충대 에 찦차 5대 들왔다.. 육사선배가 후배보러 왔겠지? 음...알 수없는 오묘한 파워가 느껴졌다

  • @jinmar223
    @jinmar2234 жыл бұрын

    와 저두 장교에 대한 로망이 있었는데 ㅠㅠ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korea375

    @korea375

    4 жыл бұрын

    지금도않늦었어요

  • @lions8989
    @lions89894 жыл бұрын

    직업군인(장교) 하고싶으면 육사가 가장 좋기는 하지만 3사관학교도 괜찮습니다 육사가 너무 주요 보직을 다 독식을 하니까 3사관학교 출신들 중에서도 점점 장성이 많아지고 있죠 그러나 별을 다는건 정말 하늘의 별 따기 급으로 어렵고 .. 중령 대령 까지만 할 수 있어도 평생 내 가족 먹여살리고 내 노후 챙기기엔 충분하답니다 육사가 가장 좋다는거에는 동의하지만 육사만이 무조건 정답은 아닙니다 ROTC는 거의 뭐 단기장교죠 ... 군 문제 해결하고싶은데 장교하고 싶다 근데 직업군인 생각은 딱히 없다 그러면 ROTC 그러니까 학군단 하는게 맞다 봅니다

  • @user-of3nr7eq5m
    @user-of3nr7eq5m4 жыл бұрын

    충성! 학군59기 후보생입니다 전투지휘자훈련 분대공격 방어 독도법 모두 잘보고 통과하고 왔습니다 선배님께서 응원해주신 덕분입니다 뒤에서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user-dj4zn1ly5q

    @user-dj4zn1ly5q

    4 жыл бұрын

    B조로다녀왔나보네 반갑다 동기아

  • @user-of3nr7eq5m

    @user-of3nr7eq5m

    4 жыл бұрын

    김대현 전투지휘자훈련 받는다고 고생했다ㅜㅜ 같이 임관하자

  • @user-mh4qd3by4p
    @user-mh4qd3by4p4 жыл бұрын

    학사2기 출신 김진호대장님 제 군생활 당시 연대장이셨는데 전역하고 나서보니 합참의장 까지 하셨네요 김진호 대장님 화이팅 입니다, ,,,,!

  • @rokafro2879
    @rokafro28794 жыл бұрын

    나이에 대해 첨언하자면, 나이로 인한 차별은 전혀 없습니다. 다만 계급정년이 만 나이로 정해져있기 때문에, 남들보다 빠른 전역(?)을 당할 수는 있고.. 정년에 걸려서 진급기회를 1~2번 날릴 수 있단거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 @flutisthw
    @flutisthw4 жыл бұрын

    저는 육사 군악병 전역했는데. 학교본부에서 다른나라 장교들이 올때마다 행사를 했었죠. 엄청 자주 있는 행사였는데 그때마다 항상 육사 학교장 옆에는 통역하는 장교나 민간 통역사가 있었습니다. 학교장이 3스타 였고 제가전역하고 얼마 안되서 육군참모총장을 했으니 그때 그 통역장교는 참모총장 통역장교가 되었을수도 있겠네요,,, 제가 여태 사회생활 하다보면 다른언어 하나 제대로 해놓는게 그렇게 부러울수가 없더군요! 그때 교회에서 친하게 지내던 생도 형 동생 친구들 잘 살고 있나 ㅋ 나한테 악기배우던 생도들도 잘 살고있나?! 모두 몸 건강하고 화이팅~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ruxmia
    @ruxmia4 жыл бұрын

    제가 봤던 rotc 장기신청 된 사람들은 학벌이 엄청 뛰어났던 사람들은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그냥 일 하는 스타일,교우관계만 봐도 이 사람은 장기가 될수밖에 없다라는 느낌을 많이 받아요... 초임이면 그런 사람들에게 영감을 많이 받으셔야 합니다...

  • @wndbf89
    @wndbf894 жыл бұрын

    저또한 6년 4개월 하고 나왔지만, 나이가 상관없다는건 장기가 되고, 진급이 꾸준히 잘되었을때의 이야기이고, 군대는 다른 공무원들과 다르게 계급정년이 있습니다...계급별로 맥시멈으로 있을수 있는 나이가 정해져있죠... 대위가 39세였나 그럴거고....늦게가서 진급안됐는데 임관동기들은 버티면서 4차 5차 진급 노릴때 본인은 계급정년에 걸릴 수 있습니다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t5cm4hq3s
    @user-ht5cm4hq3s4 жыл бұрын

    병사들도 육사 출신 신임소대장은 무시 안해요 그만큼 인정 받는다겠죠

  • @jefflee2339
    @jefflee23394 жыл бұрын

    육사지원할 능력이 되는데 안가는거랑 지원할 능력이 안돼서 못거는거랑은 다르겠죠 저도 ROTC출신 이지만 내신 수능 6.7등급.. 심지어 8등급도 가능한 현재 학군단 체제는 문제가 좀 있습니다. 엘리트 장교를 육성하는 시스템이 아니라고는 하지만 전체적인 학력저하는 좋은 방향은 절대 아닙니다. 서울대 ROTC정원 100명이 넘었는데 현재 연간 지원자 17명.. 우수학생을 끌어들일 제도적 장치 필요합니다.

  • @kkh1395
    @kkh13952 жыл бұрын

    장교고 나발이고 준위가 짱보직이당.돈잘벌고 오래하고 연금타고 편하고.장군될거 아니면 준위준비해라.

  • @user-uw5ek1qt8f
    @user-uw5ek1qt8f4 жыл бұрын

    육사 비육사 따질시간에 자기계발을 열심히 하면 알아서 따라온다고 봄

  • @user-fx2zc7od6o
    @user-fx2zc7od6o4 жыл бұрын

    이분이 대대장감 이시네요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lp4ln4py5z
    @user-lp4ln4py5z4 жыл бұрын

    장기복무와 진급이 목표라면 일은 당연히 잘해야되고(물론 예외도 있음ㅋ) 종교와 테니스, 골프는 필히 익혀두시길... 남들보다 3년 먼저 올라가는 지름길임ㅋ

  • @perugialee3320
    @perugialee33204 жыл бұрын

    육사를 재수까지 하며 도전했지만 떨어진 뒤로 일반 대학교 3학년입니다. 해병대 병사로 전역하고 난 뒤로 정치외교 관련 학과에서 국제외교 공부를 하고 있어요. 병사로 복무할 때 한국에서 군인을 한다는 것이 얼마나 많은 희생이 필요한 직업인지 그리고 정체된 사회인지 알지만, 학사장교를 통해 장교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마치 저의 이야기를 보는 듯한 사연들이어서 더 화이팅 하길 바래요

  • @perugialee3320

    @perugialee3320

    4 жыл бұрын

    @이이 어디를 가든 본인 의지가 중요하죠 아마 병사해본 제 경험상 육사에 비해 삼사가 어려운 점은 분명히 있을 겁니다. 그런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가시길. 삼사 출신으로 영관급 장교하는 분들도 가끔씩 봤어요. 해병대엔 해병대 대학인가(80년대에 잇던 해군해병대 판 삼사) 그곳 나와서 장성으로 오신 분이 제가 있던 부대 지휘관이셨습니다.

  • @seancho741
    @seancho7414 жыл бұрын

    현역 소령입니다. 마지막 말씀이 마음에 와 닿네요. 고등학생이건, 후보생이건, 생도이건 본인이 해당되는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내가 가능할까란 생각 갖지 마시고, 고등학생 분들은 육사 합격을 위해 최선을 다해서 시도해 보시고, 대학생 분들은 대학교 공부(가능하다면 좋은 대학으로 편입), 초임 장교분들은 자기계발(영어, 군사학)에 최선을 다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선배님!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eancho741

    @seancho741

    4 жыл бұрын

    TV러셀 앞으로도 좋은 이야기 기대하겠습니다 ^^

  • @vanechkapark
    @vanechkapark4 жыл бұрын

    군시절 사단장님께서 병출신(갑종)이셔서 별명이 권병장이었습니다.😁 본인께서도 별명을 아셨고 기분 나빠 하시지 않으셨어요.

  • @tj8669

    @tj8669

    4 жыл бұрын

    오히려 그것도 이득이지 않을까요? 제일 낮은곳에서 높은곳까지 가셨으니 그 다양한 경험들이 얼마나 많겠습니까?

  • @user-cq3ib4bx6y
    @user-cq3ib4bx6y4 жыл бұрын

    ROTC에 대한 정보와 otc로 유명한대학교 그리고 전역후에 평균적인 직업 전향에대해 알렺 세요

  • @user-sl2qz6fw4h
    @user-sl2qz6fw4h4 жыл бұрын

    본인이 나는 소령까지만하고 전역하고 싶다하면 육군 제외 타군 학사나알티가면됨 육군에 비해 소령까진 진급률이 70%이상임.

  • @user-eh2mu9ut7g
    @user-eh2mu9ut7g4 жыл бұрын

    육사는 전문직업군인을 양성하는곳 삼사.rotc.학사는 국가에서 초급장교수급을 위한곳 그러니 장기적으로 직업군인이 되고싶으면 사관학교를 가야죠.

  • @bhs2269
    @bhs22693 жыл бұрын

    육사는 정예장교를 양성시키고자 한달예산이 월500씩 집행 한다고 합니다. 건.동, 홍정도 보는것은 점수가1차컷 4~5배수로 뽑기 때문에 그런거겠지. 2차. 면접 체력 시험도 엄청 중요함. 4~5배수에서 추려내기 때문.

  • @user-sq8vc7eb9i
    @user-sq8vc7eb9i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한참 전에 봤는데 창체시간에 이걸 또 보게되네

  • @hjl4532
    @hjl45324 жыл бұрын

    저도 장교를 하고 싶었지만 사실상 특수전부대를 거쳐 소방구조대에 가는게 목적이었기에 현역때 사관학교 시험 낙방하고(당시엔 기분이 안좋았지만..ㅎㅎ) 깔끔히 잊었습니다. 스쳐지나가는 직장이 아니라 장성까지 바라보고 유능한 엘리트 지휘관이 되고 싶다면 삼수를 해서라도 가야한다고 생각해요 ㅎㅎ 그리고 요즘은 재수 삼수가 더 가기 쉬운 구조라서..;; 아무튼 평생 군에 몸 담고 싶어하는 사람이라면 육사에 가는게 ㄹㅇ 부정할 수 없는 정답. 다만 사관학교라는 곳이 군에서는 압도적이지만 중간에 사회로 나오기는 또 어려운걸 생각해야겠죠?ㅎㅎㅎ 영상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 @parkjisung678
    @parkjisung678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이 오래되긴 했지만 군필자면 모든 사람이 공감하고 병사생활하면서 옆에서 직접적으로 봐와겠지만 육사출신은 뭘 해도 인정받고 존경받지만 비육사 출신들은 그 와 반대로 차별 받고 아무리 열심히 해도 장기,진급 육사를 따라올수 없어요.재수를 하더라도 육사를 추천합니다

  • @user-nz9dt5jj8r
    @user-nz9dt5jj8r4 жыл бұрын

    내아는케이스는 예비군훈련갔을때 행보관이 예기해주는데 자기랑 상관으로 모시는 소령이 민간에서 바로 특전사 부사관입대해서 원래 자기가 선임이고 소령이 후임이었는데 후임이 중사달고 얼마지나지 않아서 장교지원해서 바로 소위 임관하고 특전장교로 군생활하다 몸이 안좋아져서 일반육군으로 보직을 변경할수있는(이름까먹음)그걸 신청해서 일반육군으로 가고 자기도 허리가 안좋아서 일반육군으로 변경해서 후방으로 왔는데 뜻밖에 중령(진)으로 만나서 현재 상관으로 모시고있다함

  • @user-tr6fz1ls2d
    @user-tr6fz1ls2d4 жыл бұрын

    공군은 항운과 출신 조종장교가 사관학교 출신보다 오히려 더 실력이 좋음에도 진급에선 차별을 받는다고 불만이 많더군요.

  • @heechoahn2769
    @heechoahn27694 жыл бұрын

    군인사법에 육사는 장기장교 육성기관, 3사관학교는 단기장교를 육성하는 기관으로 정해져 있음. 따라서 사관학교가 장교의 지름길임.

  • @user-jx6pj3es2q
    @user-jx6pj3es2q4 жыл бұрын

    ㅠㅠ 그래서 장교를 포기하고 부사관으로 갈려합니다 ㅠㅠ

  • @user-pt8or3bv5r
    @user-pt8or3bv5r4 жыл бұрын

    그 다른건 모르겟고요 병의 입장에서 보자면 확실한거는 육사 출신 밑의 병들은 정말 힘들다는 사실입니다... 우리 대대 대대장 육사엿죠 작전장교 육사엿죠 중대장 육사엿죠 거기에 군부심은 아닌데 메이커부대에 예비사단이엇습니다 끝낫죠 뭐 이 인간들은 제 눈에는 그냥 진급하는데 혈안이된 인간들로 밖에 안보이더라고요

  • @PENCHOCK
    @PENCHOCK4 жыл бұрын

    내가 군대에 뼈를 묻고 싶으면 무조건 육사 가시기 바랍니다. 진급차별 심하고 이래저래 차별 많습니다. 게다가 ROTC면 장기못달면 걍 전역인데요. 육사 가시길 바랍니다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 @PENCHOCK

    @PENCHOCK

    4 жыл бұрын

    @@TvRussell 실제 군생활할때 본 케이스다 보니 더 말이 잘 나오더라구요. 부대 내 소령 1차 진급 대상자가 두명인데 한명은 육사출신이라 무난히 1차에 될거란 분위기인데, 제가 모시던분은 ROTC 였는데, 소령 1차 되겠냐 하는 분위기였죠. 이런 병신같은 꼬라지를 보고 있자니 만약에 제가 결혼하고 제 자식놈이 장교 하고싶다고 하면 3사(육해공군 사관학교) 갈수 있을 정도 아니면 가지말라고 머리채 후두려 팰 생각입니다

  • @user-wv9vd9kq4i

    @user-wv9vd9kq4i

    4 жыл бұрын

    @@PENCHOCK 육사출신장교가 엘리트출신이니깐 그런건가요?

  • @perugialee3320

    @perugialee3320

    4 жыл бұрын

    @@user-wv9vd9kq4i 엘리트 많죠.근데 육사란 이유로 정치속에서 더 유능한 일부의 비육사출신들이 전역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 @korea375

    @korea375

    4 жыл бұрын

    @@user-wv9vd9kq4i 육사출신이 다는아니고요 ㅋ 육사엔리트들많죠 하지만 아닌사람도많다는거 ㅋ 다른곳이라고 비엘리트가없는게아님 비율상엘리트가많을확율이 육사가많죠 공부만잘한다고 군인특성상엘리트가아니에요 비육사출신들도 육사츌신못지않은분 많습니다

  • @ethanlee4841
    @ethanlee48413 жыл бұрын

    영상의 포인트는 장교 생활에서 가장 확실한 건 육사다... 비 육사가 따라갈려면 그만큼의 노력을 더해야 한다..로 요약할 수 있겠는데, 근데 그시간에 육사가 가만히 있냐? 입니다.. 결국 사회에서 금수저와 비 금수저의 차이와 동일합니다. 차이는 군대에선 비 금수저는 각 계급의 진급 기간(대부분 3년) 안에 답이 안나오면 전역해야 한다는 거죠. 보통 금수저와 아닌 수저와의 차이가 실패했을때 다시 일어설수 있냐로 갈리죠. 근데 군대에서는 실패 = 전역입니다. 문제는 군인을 포함한 공무원의 경우 20년 못채웠을 시에는 연금이 없습니다. 즉 나이 40이 넘어서 사회 재취업 능력이 안되는 채로 버려지는 거죠. 버려진다는 표현이 딱 맞는게 국방부에서는 제대 장교에 대한 대책이 전혀 없습니다. 뭐 각종 프로그램은 많습니다만, 사회인으로서 저게 정말 유용할까...라는 면에서 버려지는게 아니라 아주 무관심속에 버려지는게 맞죠. 그러면 현실적으로 초급 장교일때 장기될 확률이 적다면 바로 나오는게 사회에서 자기의 커리어 쌓는게 살아남을 확률이 크다는 겁니다. 시간은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주어져 있습니다. 육사/비육사 의 차이가 있는건 사실이고, 이 두 개층에서 같은 시간이 주어 졌는데 어차피 살아남을려고 같은 강도로 노력했을때 차이가 있다면, 굳이 배팅을 해야 할까요? 해야할 이유는 단 한가지. 군인으로서의 자부심, 명예, 긍지 , 애국심 이런것일 텐데요. 명예 와 애국심은 직업이 아닙니다. 직업은 수단이지 가치가 아닙니다. 직업으로써, 삶의 수단으로써 군인을 생각해서 장교라는 직업을 택하는데 비육사라는거는. 다이어트를 해야한다면서 야식먹고, 다음날 운동을 몇배로 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이어트를 해야한다면 먹는걸 줄이던가, 먹는걸 조절 못하면 운동을 늘려야겠죠. 자 그럼 명확하게 합시다. 사회에서 자유롭게 공부하면서 취업하시겠습니까? 아니면 군대에서 진급이 될지도 모르는데 눈치보면서 상급자 비위맞춰가면서 (그 상급자가 사회진급에 하나도 도움안되는 군인들인 상태로) 매 3년마다 사회로 아무런 대책없이 내팽겨쳐지는 상태로 취업을 준비하시겠습니까? 일제시대 독립군들 처럼 독립의 꿈을 안고 군대에 들어가지만, 꿈은 꿈일뿐.. 한해에도 수없이 내팽겨쳐지는 한국 군대의 장교들의 현실이 그시대와 비교해서 하나도 바뀌지 않아 안타까워 한마디 쓰고 갑니다. 소령부터 1 스타 달때까지 (그 이후는 개인적으로 개인적인 노력으로 달성하기 불가능하다 봅니다) 육사를 따라갈 노력이면 사회에서 어느 조직에서든 성공 못할 수 없다고 봅니다. (소령도 육사는 거의 기본 장착이고, 비 육사는 3차에 걸친 장기심사와 7년에 걸친 대위생활이 합쳐져야 가능하죠) 즉 40대에 아무 사회 커리어 없이 내팽겨지기 보다 빨리나와서 초급이긴 하지만 장교출신의 이점을 이용해서 빠른 사회 적응이 95% 나은걸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같은 2년일때 아무 조건이 없다면 병생활하겠습니까? 장교생활하겠습니까? 이거와 같은 질문이 육사/비육사 차이라고 봅니다. 물론 조건차이가 있지만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왜 병사 생활 하겟습니까? 장교가 되는데 노력과 시간이 필요해서고, 그게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기에 그 기회비용이 적기 때문이죠. 요약하면 장교할거면 그냥 육사가라이고.. 소령정도해서 20년 근속채워서 연금받는게 목표면 차라리 그냥 부사관이 100배 낫다는 겁니다. 러셀님도 계속 영어공부하라고 하죠?왜일까요? 그게 사회 공부이기 때문입니다. 어떻게든 살아남을 수있다? 그럼 사회에서 그만큼 노력해라.. 그럼 훨씬더 많은 돈과 생활의 안정성을 가질수 있다.. 그리고 그 사회의 시간이 바로 자신의 커리어가 된다.. 학벌과 커리어는 학벌은 육사/비육사 차이인거고, 커리어는 내가 소령까지 군생활했냐.. 스타까지했냐 차이입니다.. 군대 커리어는.. 스타아니면 사회나오면 별거 없습니다. 그럴거면 중위나 대위일때 빨리나와야 훨씬 이득입니다. 소령때 나오면 그만큼 사회 커리어는 늦어지고, 사회에서 사회에 맞는 커리어를 쌓아야 하는데 나이들수록 더 힘들다...입니다. 그럼 ROTC나 학사는 왜가냐? 군대가는 옵션일 뿐입니다. 명예, 자부심 없이 군인은 다 허상입니다.

  • @user-jx3ey6hg8q
    @user-jx3ey6hg8q4 жыл бұрын

    일단 육사 나온거 자체 만으로 보증된 엘리트 아닌가?

  • @user-mq6po5sm7r
    @user-mq6po5sm7r4 жыл бұрын

    육사공사는다가고싶죠 성적이안되서 못가는거아닌가요.. ;;; ㅜ 군인할거면사관을꼭가야되겠죠 상식적으로도요.

  • @vanechkapark
    @vanechkapark4 жыл бұрын

    저는 공군 사관학교에 합격하고 가지 않았는데 나이 마흔이 넘고나서는 그때 왜 안갔을까 후회스러운 생각이 가끔 들더군요. 당시에는 군인이 되어야겠다 라는 생각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입학을 하지 않았는데 세상 조금 살아보니 직업 군인이 나쁜 직업이 아님을 알게 되네요.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직업군인 절대 나쁜직업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sja262
    @sja2624 жыл бұрын

    혜택 멋 으로 간부되고싶은분들 그런분이 군대가면 못버티고 후회함...저도 한때 직업군인이 꿈이여서 04년도에 친구랑 부사관 지원했다가 친구는 붙고 난 떨어져서 친구한태 병생활하다 부사관 지원하겠노라 해놓고 친구는 9월2날 논산 입대 난일반병으로 9월9일 논산입대 자대 생활 2달만에 싹접고 제대함..친구도 엄청후회 했었음...그만큼 쉽지않은 직업이므로 만만하게 보시지마시고 신중하게 생각들하시길

  • @Brickboy-ne7qf
    @Brickboy-ne7qf Жыл бұрын

    저는 군에 말뚝박을거면 소위로 박고싶은데 조금 도움이 됬네요

  • @dda1612
    @dda16124 жыл бұрын

    성대이상이면 굳이 육사 안가도 rt로 별달수 있다. 진급은 결국 출신별 쿼터로 이어지는데 성대이상이고 체육학과 출신만 아니면 장기지원하는데도 유리하고 ...군에 남기도 쉽다. 큰 사고 안치면 남들보다는 훨씬 확률높음. ..... 뭐 대부분은 제대날짜만 손꼽아 기다리지만....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4 жыл бұрын

    진짜 직업군인이 되시고 싶으면 육사 가시고... 전역할려면 ROTC... 장기복무는 하고싶은데 육사를 못간다 싶으면 그냥 접으시라고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 @user-iw5it1zm4o
    @user-iw5it1zm4o4 жыл бұрын

    러셀님 영상은 언제나 하이퀄리티죠 이전에 한번 댓글을 남겼었는데 말의 속도가 조금 느려져서 듣기 더 좋은 것 같아요 그리고 명료한 설명이 너무 좋습니다 ㅎㅎ 질문자분도 만족하실 것 같아요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말 천천히 할게요

  • @jisancarcenter
    @jisancarcenter4 жыл бұрын

    제가 고등학교 재학중일때 고3 한반에 급우들이 68명정도에서 왔다갔다 했으니 1반에서 12반까지 고3생들중 약 800명중 10등안에 들어야 지원이라도 하고 재수 좋으면 합격 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전교 몇등에 들어야 진학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육사는 본인이 가고 싶어도 못가죠. ^^ 그만큼 육사는 진학하기 힘듭니다. 국가에서 4년동안 공부와 군사를 전문적으로 투자를 했는데 육사출신 장교는 당연히 진급하는데 유리하겠지요. 3사관학교든 ROTC든 노력을 하고 실력을 쌓는다면 자신의 자리는 차지할 수 있겠지요. 말로는 쉽겠지만 군에서 요구하는 자질을 키우는 것이 정말 힘듭니다. 하지만, 제가 세상살이를 경험해보니 어느 조직, 어느 회사나 노력과 실력을 쌓는다면 운은 따라준다고 생각합니다. 영상 시청 잘했습니다. 감사합니다. TV러셀님. ^^

  • @130ocs2
    @130ocs24 жыл бұрын

    한 때 저도 3사관 도전을 꿈꿨는데 1학년 때 필기 떨어지고 2학년 때 해병대와 3사 필기 합격하고 체력 면접 시험 다봤는데 해병대 붙고 3사는 떨어졌지만 여러번을 침으로써 하나를 얻었습니다.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130ocs2

    @130ocs2

    4 жыл бұрын

    @@TvRussell 저야 감사합니다. 21년도에 장교로 가는데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필승!

  • @user-no2ow1mm6x

    @user-no2ow1mm6x

    4 жыл бұрын

    @@130ocs2 해병대 rotc이신가요..?

  • @130ocs2

    @130ocs2

    4 жыл бұрын

    @@user-no2ow1mm6x 학사장교후보생입니다.

  • @mechanicclemont4799
    @mechanicclemont47992 жыл бұрын

    아, 모르는 사람 위해서 말하면 중드라까지는 영어 모국어로 해야 함... 3수생 까지만 가능하다고...

  • @user-gj7ml5gp5u
    @user-gj7ml5gp5u4 жыл бұрын

    장군 진급하기엔 육사가 더 유리하죠 ~ 나중에 영관급되고 진급 선발할때는 공석이 출신 비출신으로 나뉘는깐요 출신(육사) 비출신(3사, 학사, 간부사관, ROTC)

  • @cgy345
    @cgy3454 жыл бұрын

    사관학교는 법령에 정규 장교를 양성하기 위한 기관으로 적시하고 있습니다. 정규장교가 되고 싶으면 집을 떠나 군복을 입는 육사를 가는 것이고 아직 결심이 완전히 서지 않았다면 대학을 가서 고민하다가 삼사, 학군, 학사를 선택하면 되는 것입니다. 다만 그 결심이 빠르고 확고하냐의 차이로 시작이 달라지죠. 분명한 건 육사만 정규장교로 법에 적시되어 있기에 인사에 대한 하위 규정들 모두 영향을 크게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전쟁이 있던 1950년대에는 장교 자체가 부족해 출신이 의미없었고, 월남전 참전을 했던 1970년대에도 삼사나 학군 장교들이 많이 충원되어 출신별 격차가 크지 않았지만 대규모 전사자가 나오는 전장에 파견할 장교소요가 적어진지 40년이 지난 지금 정규장교로 안정적 국방태세 유지를 고수하는 정책이 변화되는 것은 법령을 고쳐야 하기에 한계가 있습니다.

  • @hynacin
    @hynacin4 жыл бұрын

    사단장님이 학군출신이셨는데 참 대단하신분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ethanlee4841

    @ethanlee4841

    3 жыл бұрын

    사단장님이 학군이면 신급임..

  • @user-yo3jv4er9p
    @user-yo3jv4er9p3 жыл бұрын

    꼭 사관학교 아니라도 열심히 복무하면. 중령까지 갈수 있습니다 장교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애국심 아니겠습니까 저도 육사52기 시험 보았는데 물론 낙방하는데요 52기 중에 김훈 중위라고 지금도 자살인지 타살인지 그 사건 때문에 육사52기가 다른 기수보다 전역자가 많다고 합니다 직업군인 결코 쉬운것 아니예요 진짜 애국심이 있다면 꼭 육사 갈 필요는 없습니다

  • @jeailbae2411
    @jeailbae24114 жыл бұрын

    중학교 대선배님이 육사출신 육군참모총장 출신이시고 고등학교 대선배님은 3사출신 4성장군으로 야전 사령관인데

  • @pjh2813

    @pjh2813

    4 жыл бұрын

    저의 (15년 8개월 전~10년 8개월 전) 전)직장인 재향군인회 본부에는 국군 중장 이상, 사무총장 이상이 되지 않으면, 20년 이상 비군인 여직원으로부터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습니다. 이점을 깊이 생각하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TomCruiseKOR
    @TomCruiseKOR4 жыл бұрын

    육사, 3사, ROTC, OCS

  • @user-ti1dm2is4w
    @user-ti1dm2is4w4 жыл бұрын

    육사는 영관급장교와 장성급장교육성하는곳입니다 참고로 영관급은 최소대령입니다..육사출신은 큰사고없으면 대령전역입니다. 우리나라최고엘리트양성교육기관이니 당연하죠

  • @user-ol3gf5lu6g
    @user-ol3gf5lu6g4 жыл бұрын

    평생 장교할거면 육군이든 해군이든 공군이던 사관학교 가는게 좋다고 봅니다

  • @hyeongtaekim4323

    @hyeongtaekim4323

    4 жыл бұрын

    다 알고는 있지만 급이 안 되니까 고민들 하는거죠.

  • @user-fx7wv5db5r
    @user-fx7wv5db5r4 жыл бұрын

    병과 선택시 대학에서 어떤 분야를 전공 했느냐에 따라 보ㆍ포ㆍ기ㆍ공ㆍ통 전투병과 및 정보병과와 지원 병과 선정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좋은의견 감사합니다^^

  • @wefewf85
    @wefewf854 жыл бұрын

    일단 가고 아니다싶으면 나와요 이 세상은 그냥 생각없이 직진하는게 제일 좋음

  • @jhy56
    @jhy56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장교를 생각하면육사죠..옛날만큼 그래도 군대를 원하는학생이 많지는않아서..(공부하는학생들 입장) 이전보다는 육사입시성적이 많이 낮아진건사실이니까요..그런데 장교가목표고 군인이 목표면 육사만큼 좋은건없는겁니다.

  • @mrj9713
    @mrj97134 жыл бұрын

    학군단은 지방대 출신중에도 우수성적으로 임관한 사람들 많습니다. 친구녀석 하나도 보병중위때 항공장교로 전과해 지금 장기복무 되서 잘 해나가고 있죠.

  • @INFPhwoarang

    @INFPhwoarang

    4 жыл бұрын

    장기되도 영관급 진급이 될까말까

  • @mrj9713

    @mrj9713

    4 жыл бұрын

    @@INFPhwoarang 제가 군생활할때 여러분 봤습니다.

  • @mancandy8964
    @mancandy89644 жыл бұрын

    위 영상과는 별개의 질문을 합니다,,,어제 tv 조선 함박도 무인도에 대해서 방송이 나왔는데,,,대한민국 영토 무인도 섬을 2017년 부터 북한애들이 점령해서 방사포기지을 건설하고 있는데...이에 대해서 장교출신인 러셀님의 의견을 듣고 싶은데.. 군 통수권자와 군지휘부들을 직무유기및 태만으로 고발해야 될것같은데

  • @Garsad
    @Garsad4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사관시험 영어가 엄청 어려워서 사관학교 응시생들 많이 피봤을겁니다. 물론 저도 10점만 높았으면... 하면서도 장교에 대한 꿈은 포기하기가 힘드네요, 오늘도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lockkey7859
    @lockkey78594 жыл бұрын

    고위간부는 사관학교가 갑이죠

  • @user-ch4pb7mn2e
    @user-ch4pb7mn2e4 жыл бұрын

    육사는 아니지만 해사 2차 면접을 곧 보러 갑니다 어렸을적부터 원해왔던 군 장교이기에 재수까지 했습니다 올해 꼭 합격해서 황대위님 같은 멋진 장교가되고 싶네요 ㅎㅎ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오!!!!! 진짜 너무 축하드립니다 ! 화이팅!

  • @user-qm7fx7xr9f
    @user-qm7fx7xr9f4 жыл бұрын

    진짜 군인할거면 육사가 갑임. 못해도 최소 중령은 달고 20년이상 하고 연금타먹어요. 알티 삼사랑 비교체급이 아님. ㄹㅇ로. 18년 전역잔데 육사가 많이 약해졌다해도 군내에선 아직도 육사가 갑이에요. 육사는 보통 중령까진 웬만하면 가고 조금 노력하면 대령 잘하면 스타까지 간다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에요. 군인 특히 장교할거면 무슨수를 써서든 육사가세요.

  • @TvRussell

    @TvRussell

    4 жыл бұрын

    정답

  • @fluorite_dobby
    @fluorite_dobby4 жыл бұрын

    나이가 진급에 영향을 주는건 영관급부터임 소령이 만50 중령 만55 대령 만60세 정년인데 이 정년나이전에 진급하지 못하면 전역해야함 근데 이것도 걱정이 없는게 진급기회가 총 3번인데 진짜 30살 중반에 소위로 임관하지 않는이상 (그럴수도 없지만) 정년이 되기전에 진급시험 3번의 기회를 다쓰게 되어있음 즉 군인은 나이신경 쓸필요 xx

  • @tyyn1591

    @tyyn1591

    4 жыл бұрын

    장교에 대해 잘 모르시면서 얘기하지 마세요. 정년도 틀렸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