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하루 매출 5만 원에 폐업"...섬처럼 고립되는 농촌 / KBS 2023.02.12.

매표구에 먼지 엉긴 거미줄이 드리웠습니다.
나뒹구는 차표 뭉치가 여기가 한때 매표소였다는 걸 보여 줍니다.
사람 손길이 닿지 않아 구석구석 빠르게 낡아버린 곳.
김제 원평 터미널은 마치 폐가처럼 변했습니다.
2년 전, 터미널 사업자는 경영난을 버티지 못해 폐업 신고를 냈습니다.
이러다 노선마저 끊길까봐 김제시는 다달이 백만 원을 임대료로 내고 텅 빈 터미널을 정류장처럼 쓰게 했습니다.
[주민 : "썰렁하고 너무 힘들어. 화장실도 말도 못 해. 이렇게 추운데, 춥지만 않으면 조금 기다렸다가 타고 가면 되는데."]
기간제근로자에겐 간단한 청소만 맡겼습니다.
[김화섭/김제시 공공일자리 근로자 : "공공일자리다 보니까 5일 일하고 이틀 쉬잖아요. 토요일, 일요일은 (청소를) 안 하니까 월요일 되면 완전히 엉망진창이 돼요."]
남원 인월 공용 터미널, 이곳도 곧 같은 처지가 됩니다.
새벽 6시 반부터 일해봐야 하루 매출이 5만 원 정도니, 폐업 밖에 도리가 없다고 터미널 주인은 말합니다.
["뭐 8장, 다 해봐야 5, 6장 이렇게 나가요. (하루에요?) 네."]
결국 지난달 말 남원시에 터미널 문을 닫겠다고 통보하면서 정해진 폐업 날까진 이제 50일 정도 남았습니다.
[김희순/남원 인월 터미널 운영자 : "맨날 손해를 보면서 (할 순 없잖아요.) 상권이 죽잖아요, 우리가 문을 닫으면. 그걸 왜 몰라 다 알지. 그렇지만…."]
최근 5년새 전북 곳곳에 있는 버스터미널 30곳 가운데 6곳이 폐업했습니다.
모두 이용객이 줄면서 생긴 경영난이 이유였습니다.
2018년 1,085만 명이었던 전라북도 터미널 이용객은 2020년 574만 명, 반토막이 났습니다.
[전라북도 관계자/음성변조 : "국가에서도 조금 관여를 해주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요. 지방에 있는 터미널도 국비를 내려보내 달라고 건의를 하고 있어요."]
줄어드는 인구, 사라지는 기반 시설.
그리고 다시 낙후된 곳을 떠나는 악순환이 지방 소멸의 시계를 앞당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goo.gl/4bWbkG
#농촌 #터미널 #지방소멸

Пікірлер: 3 100

  • @user-dx6pm9vu8p
    @user-dx6pm9vu8p Жыл бұрын

    내 자녀는 서울에서 의판검사 대기업다녀야 하지만 남의 자녀는 시골에서 우리집 전구를 갈아줘야하지 슬프지만 방법은 없다

  • @user-yh2id3cl8w
    @user-yh2id3cl8w Жыл бұрын

    이 상황이 되도록 운영되고 있었다는게 대단하네요 ... 뭔가 일자리를 마련하더라도 사람이 로테이션 되도록 하는 분위기가 되어야 하는데 .. 기존 상권과 사람만 생각하다보면 고여버리게 되고 결국은 같은 수순을 밟게 되겠죠.. 이런 상황인 곳들을 많이 봐서 ...

  • @user-tm5cd2fx9b

    @user-tm5cd2fx9b

    Жыл бұрын

    @@rukibori 이새끼 덧글 하나하나가 전부 레전드네

  • @user-fp6zw3ro9x

    @user-fp6zw3ro9x

    Жыл бұрын

    @@rukibori 님이 도태되었다고 같이 끌고 가려는 것은...

  • @user-gj1tg6zx6t

    @user-gj1tg6zx6t

    Жыл бұрын

    지옥까지도 같이 갈려하겠지

  • @user-fp6zw3ro9x

    @user-fp6zw3ro9x

    Жыл бұрын

    @@rukibori 님은 아둥바둥도 포기??? ㅋㅋ

  • @user-fp6zw3ro9x

    @user-fp6zw3ro9x

    Жыл бұрын

    @@rukibori 도시 반지하에 사나??? ㅋㅋㅋㅋ

  • @user-hh8wj2wf3v
    @user-hh8wj2wf3v Жыл бұрын

    남의 자식은 시골에 보내고 내 자식은 도시에 보내고픈게 우리 부모님들 마음이다.

  • @user-qy5lw7zr2m
    @user-qy5lw7zr2m Жыл бұрын

    절대로 국가지원하면 안됨. 전북에서 사업하다 질려버린 사람입니다. 지방의 공무원과 농협은 정말 답 안나옵니다. 자기들끼리 똘똘 뭉쳐서 나눠먹기 합니다.

  • @user-vv2st9rv7l

    @user-vv2st9rv7l

    Жыл бұрын

    세금만 제대로써도 저런거하나 해결 못할까 싶은데 썩어도 너무 썩었어요

  • @csk198406

    @csk198406

    Жыл бұрын

    세금을 왜 저기에 써야됨?

  • @user-eh8uw7gs8b

    @user-eh8uw7gs8b

    Жыл бұрын

    그래요 모두다같이 수도권에서 살아요 ^^ 지방은 그냥 놔두고, 수도권에 모여살면 인프라 투자도 수도권에만 하면 되니까 좋겠네요. 지방은 그냥.. 외국인 이민이나 받을까요?

  • @user-ke2zo9vy8m

    @user-ke2zo9vy8m

    Жыл бұрын

    전북뿐만아니라 전국어느시골도 사람살곳이못됩니다 어떻게된게사람사는동네인심이 그모냥인지 산송장들이오는사람도쫏아내는모냥세인걸~

  • @user-kw9fn5nd9u

    @user-kw9fn5nd9u

    Жыл бұрын

    사업하면서 느낀는데 남탓 하면 대부분 그 사업 망함

  • @MINJI1231
    @MINJI1231 Жыл бұрын

    뉴스 나온 곳 말고 금방 이라도 없어질 텅 빈 버스터미널이 엄청 많더군요... 이미 회복할수 없는 단계까지 왔습니다. ㅠㅠ 대한민국 그동안 고마웠어.....

  • @Praise_The_Sun_

    @Praise_The_Sun_

    Жыл бұрын

    맨날 멱살잡고 두들겨패던 국가인데 고맙진 않았지.. 북한빼고 어디든 멸망하는 조선 빨리 먹어줬으면

  • @user-hl5ez3qr4c

    @user-hl5ez3qr4c

    Жыл бұрын

    @@Praise_The_Sun_ 이왕 미국 주로 편입하자ㅋㅋㄱ 솔직히 편입한다면 미국이 제일 좋음

  • @user-dv4xq3lx1d

    @user-dv4xq3lx1d

    Жыл бұрын

    @@user-hl5ez3qr4c 현실은 여긴 강대국한테 계륵인 곳임.. ㅋㅋ 그나마 중국은 태평양 진출때문에 중요할려나

  • @hgs3984

    @hgs3984

    Жыл бұрын

    걍 우리가 개처럼 노력해서 이민가는게 정답임.

  • @mintsugar2734

    @mintsugar2734

    Жыл бұрын

    ​@@Praise_The_Sun_우리에게 귀하지 않은데 남이 귀하게 생각해줄리가 없죠

  • @ssanay20
    @ssanay20 Жыл бұрын

    이촌향도, 저출산 최소 20년 넘었습니다. 그런데도 바뀐 게 없다는 건 이제 돌일킬 수 없다는 뜻

  • @user-vv2st9rv7l

    @user-vv2st9rv7l

    Жыл бұрын

    죽어도 도시를 못벗어나는 사람들 많습니다 직장때문에 지방살다가 우울증걸려서 정신병 온사람도 봤어요

  • @user-ie8zc3tu6w

    @user-ie8zc3tu6w

    Жыл бұрын

    @@user-vv2st9rv7l 난 서울보다 적당한 지방중소도시가 나아.. 그런사람이 더 많은듯ㅋㅋ

  • @jjin4105

    @jjin4105

    Жыл бұрын

    세금 삥땅쳐먹는 도둑놈 새기들은 계속 쳐먹다가 이젠 돌이킬수없는 지경까지 와버려서 나라 망하는건 이제 멈출수없음 ㄹㅇ

  • @user-gw6bn6qz1i

    @user-gw6bn6qz1i

    Жыл бұрын

    @@user-vv2st9rv7l그런 사람도 있겠지만 일자리 문제가 너무 심해요 일자리 부족이든 중소기업들 하는 짓이든 해결 안 되면 더더욱 기형적으로 변하겠죠

  • @bluesky3017

    @bluesky3017

    Жыл бұрын

    @@user-vv2st9rv7l 도시라는게 수도권 지역을 말하는 건가요? 지방은 자차만 있으면 크게 불편없는지라... 나는 서울 갈 때마다 복잡해서 입에 욕이 심하게 나오던데...개인적으로 서울은 살기 너무 불편합니다.

  • @longrun7744
    @longrun7744 Жыл бұрын

    귀농하고 싶은 젊은사람들이 많은데 귀농 텃세가 장난이 아닙니다. 그래서 포기하고 살고 있던사람들도 떠나게 될수밖에 없어요. 저도 2년살다가 포기하고 나왔습니다. 지역마다 다르겠지만 동네사람,이장들이 문제입니다. 툭 하면 동네 일 시키고 잡부 취급하고 집에 잡초 정리않한다고 동네 욕하고 다니고 지금생각하면 끔직하고 징글징글 합니다. 미니굴삭기 있다고 여기저기 일시키고 기름값도 않줍니다. 하인취급하고 동네발전비 기타,돈달라고하고 2년있었는데 10년 늙고 나온것같습니다. 어떤게 잘못되었는지 잘 생각해보세요.

  • @mamk6694

    @mamk6694

    Жыл бұрын

    촌동네 노인네들을 왜 신경 씁니까? 이제 얼마 안 남았음. 다 죽고 나면 동네 텅텅 빔 텃새는 곧 죽을 노인네들이 하는 거.

  • @fuuky

    @fuuky

    Жыл бұрын

    @@mamk6694 근대 진짜 스토커보다 더괴롭히는게 문제지 들어오는 전선 끊어버리고 매일 찾아와서 문두드리고 트럭으로 못나가게 길막고 당해보면죽을맛

  • @OK-uu2vs

    @OK-uu2vs

    Жыл бұрын

    노인네들 집요한 구석이 좀 있습니다.

  • @sero5171

    @sero5171

    Жыл бұрын

    추하게늙었네 그노인네들

  • @yi-roun_dairy

    @yi-roun_dairy

    Жыл бұрын

    @@mamk6694 안당해보시면 몰라요.

  • @user-or2ud4tn4k
    @user-or2ud4tn4k Жыл бұрын

    우리 부모님은 귀농이라기엔 원래 살던 지방 소도시에서 차로 20분 떨어진 같은 지역의 한적한 곳으로 가셨다고 보면 됨 그 지역에서 평생을 사신 분이고 원래 농사도 어릴때부터 하셧던 분들이고 종종 지인이나 친척들 농사도 도우러 가시기도 해서 적응 같은건 필요 없이 잘 사실 줄 알았음 근데 운도 없는지 하필 근처 마을이 3개가 있는데 제일 악질인 곳에 걸렸음 이사 간 뒤부터 온갖 떼를 쓰고 말도 안되는 요구를 하는데 학을 떨었음 마을에 전원주택 단지도 생겼는데 거기는 그래도 사람들이 몰려 있고 가구수가 제법 되니 갑질을 못해서 부들부들 떨면서 노인네들이 저긴 우리 동네 사람 아니라면서 욕하고 이장넘은 알려줘야 할 사항도 절대 안 알려줌 맨날 전원단지 사람보면 뒤에서 욕하고 씹어 댔는데 알고 보니 자기 땅이 안팔리고 남이 땅 팔고 돈 좀 만져서 다른곳으로 간게 배아파서 그랬던 것임

  • @user-sg5sg5kk8p

    @user-sg5sg5kk8p

    Жыл бұрын

    시골로 가면 꼭 그런다니까요

  • @user-nj1ky8oo9x

    @user-nj1ky8oo9x

    Жыл бұрын

    토박이들이.텃세가.얼마나.심한지몰라요 내가.사는곳에도.2층전원주택짓는데 영감.할망구들이.얼마나.괴롭혔는지.전원주택다짓고.사과겸화해하러갔다가 못된할배랑할망구.죽이고.감옥갔어요 좀오래된사건인데.어디가나.노인네들이 개무식해서.남잘사는꼴을.못보거든요 외지에서.이사온노인들은.경로당에도 못가요.눈치를.너무주니까.

  • @HACOO21

    @HACOO21

    Жыл бұрын

    텃세문화좀 사라지길

  • @user-sg5sg5kk8p

    @user-sg5sg5kk8p

    Жыл бұрын

    시골이 천하에 몹쓸데여

  • @kureonmango

    @kureonmango

    Жыл бұрын

    저도 제 부모님이 당했는데 일단 자기친척이 사는 고향아님 거의 텃세있다고 보면됩니다. 젊은사람이오면 어떻게든 일부려먹으려고 좋은게 좋은거지 이런마인드라

  • @inydaily
    @inydaily Жыл бұрын

    농촌에 살아본 적은 없지만 비온 직후 증조할머니 돌아가셔서 장지에서 장례치르는데 혼잡하다고 ㅈㄹ 난리 부르스 욕짓거리하면서 자기 땅도 아닌 공용도로 지나가는 길 통행세 내놓으라고 ㅈㄹ하던 할배탱구 생각나네.. 지도 죽으면 누가 자리 묫자리 가는 길 돈 내놓으라고 하면 기분 잘도 좋겠더

  • @darktwins13
    @darktwins13 Жыл бұрын

    귀농이나 농촌생활이 정말 사람 살기 힘든곳이라는 걸 알게되니까 5년도 안되서 귀농,귀촌,전원생활 이런 열풍 싹 다 사라짐. 원래 도시서 인프라 누리던거 시골가는순간 끝이니까.

  • @user-jg7vb5ly3f

    @user-jg7vb5ly3f

    Жыл бұрын

    웃기네..도시살다..농촌 와서 적응을 못한거지..무슨 농촌이 사바나나 아프리카냐?ㅋㅋ

  • @jay-lm7kj

    @jay-lm7kj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살고있는데 뭘 못살곳이야 ㅋㅋ 눈이 높아진거지 그냥

  • @drskc616

    @drskc616

    Жыл бұрын

    농촌도 개혁을 해야 하는데 그걸 못하니 망하는 거지 처음부터 다시 개조 하고 뜯어 고쳐야 하는데 그걸 싫어 하니까 시골에 누가 가냐? 시골에 온통 둘러 싸인 게 산 인데? 누가 가? 거기에 슈퍼 가 있어? 아니면 25시 편의점 이 있어? 아니면 마트 가 있어? 마트 해봤자 읍내 까지 차 끌고 1시간 내지 30분 거리 차 타고 나가야 장 보고 들어 와도 왕복 2시간 이다.

  • @tkfrtkfrtkfr

    @tkfrtkfrtkfr

    Жыл бұрын

    위에답글들 뭐 염전에서 온사람들이냐? 염전도 사람사는곳이니 거기로 이사나가지 그러냐

  • @user-yp6tn2px4u

    @user-yp6tn2px4u

    Жыл бұрын

    @@user-jg7vb5ly3f 적응도 적응이지만..은근히 텃세 부리는 곳도 있을 거 같음...

  • @user-uk1ye7fn7n
    @user-uk1ye7fn7n Жыл бұрын

    귀농 및 귀촌자가 이사오면 돈과 노동력을 뜯어먹으려 달려드는 농촌사람들에 대한 뉴스영상이 오버랩되며 스스로 자초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 @lsj9999
    @lsj9999 Жыл бұрын

    축 쳐진 모습으로 인터뷰하는 거 가슴아프네.. 전에도 버스 기다리면서 점심으로 라면 먹던 게 생각나네요... 도시같은 큰 곳 가려면 앞으로 고생 꽤 할 것 같고.. 예전 터미널 모습이 그 립습니다...

  • @user-yl7lt3ch1h
    @user-yl7lt3ch1h Жыл бұрын

    이 나라의 현실은 정치가, 기업가, 국민들의 합작품이다. 수 십 년 전부터 지방 인구 소멸을 예상하고 있었으면서도 균형 발전에 대한 정책, 투자 같은 것이 없었쟎어. 전라, 경상, 강원, 충청도의 젊은 사람들은 일자리가 있는 서울, 경기, 충청남도 북부 지역으로 몰렸고 고향으로 내려가면 먹고 살 일이 없을 테고

  • @tv-cd7sc

    @tv-cd7sc

    Жыл бұрын

    진짜 팩트입니다

  • @20MillionDollers

    @20MillionDollers

    Жыл бұрын

    정치인과 고위공무원이 뿌리임 나머지는 파생된 것들임

  • @user-ed7yb9wg6x

    @user-ed7yb9wg6x

    Жыл бұрын

    경남은 부울경메가시티도 심지어 백지화 시킴 ㅎㅎ 대책도 없고 공약도 없고...그냥 세월아 내월아하는듯........인구 백만이 넘은 창원도 상가들 보면 빈곳 많음 실제 코로나 이전에 월세 두배가량 뛴듯....여기저기 너무 무분별하게 정치인들이 생각없이 표받을려고 개발한것도 한몫....

  • @user-os4hg5bt4p

    @user-os4hg5bt4p

    Жыл бұрын

    어쩔수없음 한곳에 집중해야 장거리 이동하지않아도되니 경기도에 공장있으면 경기도에 공장을지어야 빠르게 제품생산함 이걸 시골에다가 공장지어버리면 경기도에서 부품하나부족한걸 시골까지 트럭끌고가서 받아옴? 그시간이며 기름이며 고용비까지 어캐감당함? 시골지역은 관광지 제외하고 답이없음 영화세트 촬영장같은거 시골 특정지역에 만들게끔하고 산사이에 줄연결하고 익스트림 스포츠같은거 만든다던가 이런거제외하고 발전가능성같은건 없음 농업이 발전하면 모르겟다만

  • @joyh1280

    @joyh1280

    Жыл бұрын

    일자리가 없는건 아니지 지방에도 공단들이 많은데 눈높이가 높아 일을 안하려고 하는것임

  • @iju6517
    @iju6517 Жыл бұрын

    작년 9월에 지리산갔다가 인월터미널에서 버스탔는데,,,, 많이 어려웠던 상황이었네요

  • @acacia_flower

    @acacia_flower

    Жыл бұрын

    인월 터미널 정도면 지리산이 있어서 그래도 어느 정도 유지할 거라고 생각했는데 하루에 5-6장의 표밖에 팔지 못한다는 게 충격입니다 겨울철이라서 그런가 ...

  • @user-chh0613

    @user-chh0613

    Жыл бұрын

    @@acacia_flower 코로나 영향이 급가속화시킨듯하네요

  • @user-md4sd3em1k

    @user-md4sd3em1k

    Жыл бұрын

    @@acacia_flower 일단 과거엔 군단위도 인구가 많고 지금처럼 군에서도 읍내에 인구가 몰려있는 구조가 아니었죠. 거기다 지리산 관광객도 많이 줄었구요 지금 지방에 한개의 시,군에 여러 터미널이 있는데 나중엔 전부 한곳으로 통폐합될겁니다..

  • @user-tz7or2bd8c
    @user-tz7or2bd8c Жыл бұрын

    저도 군지역에 거주하는데 처음 이사 왔던 2010년 무렵 인근 도시로 나가는 시외버스 배차가 하루 15회였는데 지금은 8회입니다. 그마저도 군에서 지원을 받아 적자 운영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 @homoludens2498
    @homoludens2498 Жыл бұрын

    와.... 대학생시절 지리산 갈떄마다 들렸던 인월 터미널인데.... ㅠㅠ 추억의 한자리가 사라지니 마음이 편치 않네요/

  • @user-jx7vr4pb8e

    @user-jx7vr4pb8e

    Жыл бұрын

    저출산이 문제라고 봅니다 이제 우리나라 끝입니다

  • @LUX0011

    @LUX0011

    Жыл бұрын

    @@user-jx7vr4pb8e 괜찮습니다. 다음 정권 때 민주당이 잡을 거고 중국인들 대거 이주해 올 거라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Жыл бұрын

    우리의 소원은 통일

  • @user-pi5tl4br3p

    @user-pi5tl4br3p

    Жыл бұрын

    어차피 한국은 곧 망할겨 ㅋㅋㅋ

  • @maximum11245

    @maximum11245

    Жыл бұрын

    @@user-jx7vr4pb8e ㅇㅇㅋㅋ 한국은 내리막길만 남음 경제든 뭐든 싸그리 좋은현상임 ㅌ

  • @user-cu5nh4cq2h
    @user-cu5nh4cq2h Жыл бұрын

    제가 김제원평 사는데 학생들도 다 금산사가서 타고 직행은 어쩌다타다보니 저렇게 없어져가네요...에휴...

  • @JORDANMANIA

    @JORDANMANIA

    Жыл бұрын

    말벌 몇마리 잡아보셨어요?

  • @user-dj7lk3sk6r

    @user-dj7lk3sk6r

    Жыл бұрын

    @@JORDANMANIA ㅋㅋ 갑자기?

  • @user-hf5fb3wj8u
    @user-hf5fb3wj8u Жыл бұрын

    영상 내역을 보니 정말 무서운 속도로 지방이 사라지고 있다는게 느껴집니다. 속절없이 지켜봐야만 할뿐 이렇다한 해결책이 없다는게 더 걱정이고요. 10년후나 20년후에는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생각조차 하기 싫어집니다.

  • @shkang8058

    @shkang8058

    Жыл бұрын

    출산율 고령화 인구감소는 우리나라가 선구자임. 즉 참고 할 나라가 없다는거죠. 반대로 다른나라들이 우리나라가 어떻게 하는지 지켜보고 있음.

  • @HACOO21

    @HACOO21

    Жыл бұрын

    앞으로 고령화 되어가고 젊은 사람은 없고 현시대에 맞는 정책 시스템 개편필요하고 기업들 지방으로 분산좀 시키길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의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한국의 핏줄 이기주의 문화!! 한국은 이 핏줄 문화 때문에 반드시 망합니다.!! 한국은 세계최저 출산율 이죠. 매달 그 세계 최저를 스스로 갱신 하고 있구요.!! 한국은 동거 비율이 세계 최저 입니다. 일본인 사유리는 합법적으로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출산 했구요. 미국은 한해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 난데요. 중국은 싸이트 내걸고 대리모 사업을 하고 있구요.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입니다. 축구 선수 호날두는 총각 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졌죠.! 한국은 OECD중 공공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입니다.!! 총각이든, 처녀든, 부부가 대리모 통해서든 , 부부가 남의 정자 받아서든 아기 갖고 싶어 하는 사람은 능력 되면 누구나 가지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직 한국만 모든게 막혀 있고 법과 제도가 옹졸 , 편협된 생각 가지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특히 핏줄에 대해서는 아주 심하죠!! 세계 최저 출산율을 매달 갱신 하면서도 아무것도 안바뀌는 현실이 답답하네요

  • @idseungmo89

    @idseungmo89

    Жыл бұрын

    ㅈㄹ하네, 해결법이 왜 없냐??

  • @user-jj7io7hx2s

    @user-jj7io7hx2s

    Жыл бұрын

    식량 자급율 28% 그나마 이정도라도 유지하고 있으니 수입농산물 가격협상력이 생기는건데 1차산업이 붕괴되면 어떤 악몽이 펼쳐질지 걱정입니다. 표가 안되니 정책에서 외면받고 돈이 안되니 젊은이들이 다 떠나고 중앙 정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합니다

  • @mwlan7953
    @mwlan7953 Жыл бұрын

    안타깝네요.. 지방소멸이 현실로 다가오고있어서요. 이용을 안하는데 계속 유지할수가없죠. 당연한겁니다만 슬프네요.

  • @user-zg1nm7sd1i
    @user-zg1nm7sd1i Жыл бұрын

    시골가서 살고싶어도 여전히 시골 영감님들 꼰대짖에 왕따텃세에 당해본사람은 안다. 젊은사람은 들어가서 살기힘들다.시골

  • @user-fc8np7ch8d

    @user-fc8np7ch8d

    Жыл бұрын

    텃세가 장난아니라던데

  • @thurinus7

    @thurinus7

    Жыл бұрын

    농사는 지을줄알고?

  • @cosmos9647
    @cosmos9647 Жыл бұрын

    누구나 귀농,귀촌해서 믿고 살 수 있도록 지자체도 이미지개선과 혜택에 힘써야 합니다! 외지인이라 부르며...그들의 자식들도 다 외지로 나가 살아도 그 곳에서 외지인이라 부르지 않는데..텃새로 농촌은 그냥 그들만의 세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소멸될 수밖에..귀촌해서 살 사람은 갈수록 줄어든다고 생각합니다!

  • @Jin-ro3qq

    @Jin-ro3qq

    Жыл бұрын

    개돼지들은 평균이 너무 높아서 안돼. 정해진 길에서 빠져나가면 패배자 취급 하는 사회인데 뭘.

  • @user-ps1oz9jk4j

    @user-ps1oz9jk4j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제도 몇개 있긴 있는데.... 그걸로 뭐 와도 인프라고 적고....젊은사람도 없고..... 귀농.귀촌 지원사업 베이스로 농업이행이 있어서..... 별 오려고 하는 사람이 없더라고요.....

  • @user-zo6lb4ji3j

    @user-zo6lb4ji3j

    Жыл бұрын

    진심 텃세 그 지역 사회..

  • @user-ms4tn7go1u

    @user-ms4tn7go1u

    Жыл бұрын

    지방시에 재정이 있어야 하지. 서울이 세금을 다빨아먹는데

  • @user-bf3xg2yw3k

    @user-bf3xg2yw3k

    Жыл бұрын

    자업 자득 인데???? 오면 쫒차내려고 날리인데??

  • @lililliil
    @lililliil Жыл бұрын

    근데 진짜 죄송하지만 ... 버스타러 몇번 가면 너무 불쾌한 경험만 있었어서 ... 자차타고 가게되더라구요 . 카드기가 있는데 소액이라며 안받는곳도있었음 2017년에

  • @jhkim3982
    @jhkim3982 Жыл бұрын

    김제 원평은 어릴적 이모네집 갈때마다 이용했던 곳인데 지금은 거의 폐허가 되었다니 많이 안타깝습니다

  • @day.day21
    @day.day21 Жыл бұрын

    심각하다 체감드는게 저희 가게 오시는 애완동물 키우는 젊은 부부들중 절반이상이 아이를 안낳는다고 하더군요 강아지 고양이를 몇마리씩 키우면서 그애들로 만족한다는 군요

  • @user-nm5pr3bp1w
    @user-nm5pr3bp1w Жыл бұрын

    지역균형발전 지자체 하자더니 수도권집중 만 더심해졌음

  •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Жыл бұрын

    @@NuligaonKardala 민족주의 부추기는 나치즘 아웃!

  • @MrYongminkim

    @MrYongminkim

    Жыл бұрын

    지방자치제에서 지들만 남겨먹으니 ㅋㅋㅋ 이건 뭐 중세 봉건 영주들도 아니고..

  • @tknam3278

    @tknam3278

    Жыл бұрын

    지방자치없애야됨. 토착세력들만 배불림

  • @user-zz3fq6ed8h

    @user-zz3fq6ed8h

    Жыл бұрын

    어쩔수가읍잖아 설살고 싶지..

  • @lucere7408

    @lucere7408

    Жыл бұрын

    지방자치제는 실패한 제도죠 지방자치제는 지역 유지나 토호, 지방의원, 일부 고위 선출직 공무원들에게만 좋은 제도이고 나머지 대다수의 주민들은 큰 이익 못봄

  • @adamkim411
    @adamkim411 Жыл бұрын

    외지인 텃세 때문에 기존 마을 안들어 가고, 신주택단지를 형성해 살기 때문에 기존 고전마을은 당연히 유령마을 될 수 밖에요. 고전마을 빈집 생길때 외부인들 곱게 맞아 줬으면 이정도는 안됐을 겁니다.

  • @user-tv7tc1op9d
    @user-tv7tc1op9d Жыл бұрын

    어제 뉴스나왔잖아. 저런상황인데도 시골마을에 이사들어가면 마을발전기금내라고한다. 일이만원 달라는게 아니다. 그냥 저렇게 망해 사라져야 다시 사람이 들어가 살수있을거다. 짐승들이 득시글한데 사람이 들어가 살순없는 노릇이지.

  • @dss905
    @dss905 Жыл бұрын

    돈벌이, 의료, 교육, 문화, 쇼핑.. 100대 기업 중 90퍼가 서울, 경기권에 있는 이상 어쩔 수없음

  • @user-gx3pg9ol8m
    @user-gx3pg9ol8m Жыл бұрын

    시골사람들 '내가 여기 토박이인데' 부터 말하고 시작하던데 우물안개구리임

  • @thehasal9656
    @thehasal9656 Жыл бұрын

    원평에서 고등학교까지 나온 40살 아재로서 매우 안타깝네요ㅠㅜ

  • @user-jx3yk9nq6r
    @user-jx3yk9nq6r Жыл бұрын

    인구소멸.. 막을수가 없구나..

  • @user-yp5iu4ex7j
    @user-yp5iu4ex7j Жыл бұрын

    김제가 외가댁이어서 어렸을적 명절때 내려가곤 했었는데 지금은 저런 모습이라니 안타깝네요 ㅠㅠ

  • @user-jm8vp4py7t
    @user-jm8vp4py7t Жыл бұрын

    지난 여름 .. 지리산둘레길 3코스 걷고, 꽁보리밥에 막걸리 먹고 인월터미널에서 버스타고 복귀했는데 .. 그 땐 휴가철이라서 그랬는지 그래도 사람들이 꽤 있었던거 같은데 ... 안타깝네요 .. 지리산 다니는 사람들 불편할텐데

  • @RABBOKEE
    @RABBOKEE Жыл бұрын

    시골은 기존에 살던 사람들이 새로 온 사람들한테 함부로 해요

  • @user-sy8uj6ei3p
    @user-sy8uj6ei3p Жыл бұрын

    씁쓸하네요ㅠㅠ

  • @wegaia
    @wegaia Жыл бұрын

    어릴때 떠났지만 김제 원평이 고향인데, 거기가 그래도 주변지역에선 중심지역이었고 5일장도 크게 서던 곳이었는데 저렇게 되버리다니 많이 아쉽네요. 안 그래도 귀국하면 한번 가볼까 했는데 많이 안타깝습니다. 정말 수도권, 광역시 빼고 모두 허허벌판이 되는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 @user-jz3gi3zx5o
    @user-jz3gi3zx5o Жыл бұрын

    지방소도시나 마을 단위는 귀농하는 50,60대가 유입되면 좋을 것 같지만 이마저도 시골텃세로 인해 다시 돌아오니 인구소멸이 가속화되는것 같네요.

  • @RANDYORTON-mc4yn

    @RANDYORTON-mc4yn

    Жыл бұрын

    지방에도 병원이나 인프라가 갖춰져야지 어차피 나이들수록 병원 가까운게 좋은데 서울만 미어터질수밖에 없는건 이유가 있음

  • @user-vx9yb6el1r

    @user-vx9yb6el1r

    Жыл бұрын

    잘못알고계시네요. 요즘은 나이들면 들수록 서울로 올라갑니다. 오히려 지방에 사시던 돈많은 50-60대 분들은 서울로 올라갑니다. 바로 병원때문에요. 지금 시골에 남아계신분들은 돈이 없어서 못올라오시는 분들입니다.

  • @user-ei2jk4ky5c

    @user-ei2jk4ky5c

    Жыл бұрын

    잘 알지도 못하면서 무작정 시골텃세 때문이라고 ㅋㅋ 나이먹으면 귀농을 하고 싶어할거라는 전제를 깔고 들어가니 저런 이유나 들고 있지. 인프라가 말도 안 되게 차이가 나는데 시골로 귀농을 왜 하고싶겠냐고. 시골혐오감정에 파묻혀서 텃세텃세텃세 ㅋㅋ

  • @user-gw6bn6qz1i

    @user-gw6bn6qz1i

    Жыл бұрын

    한산한데 살고 싶거나 고향 돌아가고 싶은 사람도 있죠 귀농은 솔직히 사이즈가 작고 지방은 제대로 된 일자리가 턱없이 부족하니 광역시 수준도 죽어가죠

  • @banseokJeong

    @banseokJeong

    Жыл бұрын

    은퇴자금 들고 오시는 60대 분들은 어떨지 모르겠는데 돈 없이 귀촌 하면 살기 더 빡 셀 것 같음

  • @user-jx4mt7gf9i
    @user-jx4mt7gf9i Жыл бұрын

    모든 것을 정치인들을 탓할순 없지만 정치인들은 자기들을 위해 정치일함.

  • @user-pu5bh1vu9v

    @user-pu5bh1vu9v

    Жыл бұрын

    이젠 당연한일이 되버렸다

  • @user-hb8tu8cf2c

    @user-hb8tu8cf2c

    Жыл бұрын

    좌파 정치인들은 절라도 왜 죽이는겨 모든 정치인 국회원들 도지사 시의원 구위원 구청장 등등ᆢ모든분들이 다ᆢ좌파 터진당 사람들 ᆢ절라도 왜 죽입니까 좌파들은 북한 바라기나 잘 하더고만 왜 절라도 사람들은 좌파만 찍어주는지 몰라요 이해가 안되요

  • @cristinashin2501

    @cristinashin2501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ㅠㅠ 정치질만하고 이나라는 신경쓰질 않죠 ...어느당 욕하지 않습니다...그저 똑같은 부류죠ㅡ.ㅡ 정치인들만 살아남으려는...세금낭비말고 AI로 돌리고 정치인들 숫자도 대폭줄이는게 좋겠습니다 ~~~~~~

  • @user-gg8oi5bj7v

    @user-gg8oi5bj7v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 욕할거 없어요. 전남은 대형 마트나 복합쇼핑몰 계획 생기면 귀신같이 알아서 지역단체에서 상권 죽인다고 반대하는 바람에 일자리도 없고 젊은 사람들은 싹다 대도시로 가버려 터미널이고 뭐고 간에 싹다 유령지역으로 바뀌었습니다. 아버지 고향이 전남 강진인데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바뀐게 없어요.

  • @biniverse1975

    @biniverse1975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에게 국민은 목표가 아닌 통치 수단에 불과하다.

  • @user-fw2zk1oj9f
    @user-fw2zk1oj9f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마음이아프네요

  • @user-oe3pb1bc8i
    @user-oe3pb1bc8i Жыл бұрын

    터미널 뿐만 아니라 지방 대학교는 물론이며 초, 중고등학교도 조만간 폐교가 엄청나게 늘어날겁니다..수도권에 밀집 되어있는 정부청사를 지방으로 이전하고 대기업, 중소기업도 지방 이전시 해택을 주어 지금이라도 개편해야 할듯..ㅜ

  • @user-jp6ld8pb3l
    @user-jp6ld8pb3l Жыл бұрын

    추억이 사라지면 마음이 사라진다.....

  • @Goranie_Everywhere
    @Goranie_Everywhere Жыл бұрын

    사람깨나다니는 의정부터미널도 파리날리던데 시골농촌은 정말 상상이상으로 심각하네요

  • @mamk6694
    @mamk6694 Жыл бұрын

    농촌 텃새에 불만 이신 분들.. 인구 감소로 농촌 사라 집니다. 어차피 없어져요. 그런 거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 @it_Is_A_wONdErFUL_liFe
    @it_Is_A_wONdErFUL_liFe Жыл бұрын

    서울은 터져 죽을거같고, 지방은 멀쩡한 땅 다 폐가처럼 변하고 답은 지방세를 없애고 서울에 있는 회사들 세금 어마어마하게 쎄게 물리고 지방으로 내려가면 세제 혜택을 잔뜩 줘서 지방으로 사무실 옮길수밖에 없게 끔 만들어서 강제로 직장인들도 지방으로 내려가게 하는.. 그런방법밖에 없는거 아닐까요. 극단적이지만, 극단적인 방식이 필요해보입니다.

  • @Princess-ve9qc

    @Princess-ve9qc

    Жыл бұрын

    분산시키면 국가 전체의 밥이 줄어들고 분산을 안시키자니 누군 밥을 못먹고..

  • @jaderabbitt

    @jaderabbitt

    Жыл бұрын

    그럼 서울에 사는 사람들은 이사를 가라는 말? ㅋㅋㅋㅋㅋㅋㅋ

  • @user-er9mi3ft1v

    @user-er9mi3ft1v

    Жыл бұрын

    응 바로 국가 부도 ㅋㅋㅋㅋ

  • @newyork-soho

    @newyork-soho

    Жыл бұрын

    ㅋㅌㅋㅋㅋㅋ 그러면 지방이 발전 할거 같나요?? 젊은이들이랑 기업이 필요한 인재는 계속 수도권쪽에 있으려고 할거고 그럼 기업은 세금을 내면서라도 수도권에 있을건데 그럼 그 세수 만큼의 값은 물건값으로 붙어서 물가가 천정부지로 오를건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td8er9cb8z

    @user-td8er9cb8z

    Жыл бұрын

    현 시간부 좋아요 33개.. 계속 늘어나네요. 세상에 골 빈 사람들이 참 많다는걸 느낍니다. 서울 상경의 꿈을 안고 겨우 10억 모아서 서울 올라왔는데 웬걸? 정부에서 강압적으로 회수 지방으로 이전시키고 지방으로 쳐 내려가라고 하니?? 기분이 어떠신가요?? 본인이 당해도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당연히 감내해야할 몫이지 음.." 하실건가요??

  • @user-or4cw2cp4v
    @user-or4cw2cp4v Жыл бұрын

    큰일이다 진짜

  • @XeBiNl
    @XeBiNl Жыл бұрын

    전부 서울처럼 만들수 없다지만 적어도 도시사람들이 저곳에 내려갈만한 이유를 만들어 줄 수는 있을건데 안타깝네요 ㅠ

  • @user-cf3ul1nk9z
    @user-cf3ul1nk9z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저기살던 사람들도 떠나고나면 돌아갈 마음이 안생기는데, 타지인이 들어가 정착할 이유를 도시에서 만들어나가야하는데, 그게 정말 미흡한게 소멸의 원인이 되는거지..

  • @user-ph6sb5mv3r
    @user-ph6sb5mv3r Жыл бұрын

    진짜 큰문제다ㅠㅠ

  • @user-ol1dc6qg4m
    @user-ol1dc6qg4m Жыл бұрын

    저희 고향도 버스터미널이 없어졌더라구요! 주변에 초.중.고등학교도 다 있고 2층에 소규모 의원도 있었는데, 유동인구가 크지 않아서 터미널 주인분이 폐업하셨습니다ㅠㅠ

  • @user-vv2st9rv7l

    @user-vv2st9rv7l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지자체에서 정류장주변으로 관리를 해야될 시기아 왔다고 봐요 솔직히 조그만 대기실하고 화장실정도면 지자체정도 규모에서 유지 못하겠습니까

  • @claudi634220
    @claudi634220 Жыл бұрын

    기반시설 마저 문을 닫으면 살기 어려워지니 지방 소멸이 급물살을 탈텐데 걱정스럽다...

  • @user-op2ss6tr8j
    @user-op2ss6tr8j Жыл бұрын

    안타깝네요. 지자체에서 힘좀 써주면 좋겠네요

  • @yuios0808
    @yuios0808 Жыл бұрын

    2010년에 읽었던 책에서 전라남도, 북도에는 앞으로 광역시를 제외한 모든 곳은 고립 및 쇠퇴한다는 내용과 자료가 있었는데.. 참.. 이미 예전부터 예견되어 왔던 거지만 코로나와 국외 상황, 그리고 저출산, 고령화 사회가 맞물리니 이런 상황이 되어가는 것 같다. 더 큰 문제는... 뚜렷한 해결 방법이 없다. 이미 국고는 보이지 않는 손바닥에 꽉 쥐어진 상태인데.. 거기에 더 쥐어 짜내면 그건 국가 망조의 길이 될테니까.. 참.. 안타깝다..

  • @user-lf7on4mv2p

    @user-lf7on4mv2p

    Жыл бұрын

    50년간 국짐과 매국노들이 해처먹고 빼돌린돈만아니면 생기지도않았을문제 다시말하면 해결책역시 국짐과 매국노들을 박멸하는게 1순위란소리

  • @uhhytfffffddssthgffrrdh

    @uhhytfffffddssthgffrrdh

    Жыл бұрын

    경북도 똑같아요

  • @user-bl3eg2ks2j

    @user-bl3eg2ks2j

    Жыл бұрын

    모른척 하는게 더나음 돈 해줘봐야 주머니로 들어가지

  • @user-jl4ps7qw4p

    @user-jl4ps7qw4p

    Жыл бұрын

    결국 우리나라도 수도권이랑 광역시 위주로 남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15분 도시 전면 도입할 듯. 캐나다는 벌써 시범운영중인데 중세시대가 따로 없더만 ㅋㅋ

  • @ApplePay0208

    @ApplePay0208

    Жыл бұрын

    수도권을 제외하면 어느 시도광역시나 다 똑같음 그나마 광역시들은 인프라가 어느정도라도 있으니 속도가 비교적 더딜 뿐... 부산광역시도 젊은 인구는 계속 수도권으로 가고 노인만 남으니 곧 "노인과 바다"가 될거라는 말이 나오잖아요

  • @PARK-zw7dq
    @PARK-zw7dq Жыл бұрын

    10년 후는 어쩔까..............지방 소도시 .노인분들 다 돌아가시면.....누가 가서 지방 소도시에 거주할가......도시편리 시설에 익숙한 사람들이 말이 좋아서.......전원 생활이지...........불편함을 이기고 살아 갈수 있을가 ... 그리고 앞으로 에너지 요금 이라던지 .........비용은 더 늘어 날건데

  • @jycymstt2806

    @jycymstt2806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은 전부 대도시로 몰릴것이고 지방은 물류창고나 자동화공장들이 들어설겁니다.

  • @nopregnant

    @nopregnant

    Жыл бұрын

    지역 차별 드립이 아니라 전라는 특히 젤 답이없음 전남은 더더욱. 유입이 거의 없어요

  • @user-lf7on4mv2p

    @user-lf7on4mv2p

    Жыл бұрын

    @@user-dg256 지금은 시작이니 그렇지 지방 다죽으면 큰문제가없을거같냐 요즘은 참 멍청한것들이 말이 더 많아

  • @samssoh448

    @samssoh448

    Жыл бұрын

    @@nopregnant 우덜식때문에 외부인들 가겠냐 너무 폐쇄적이야 호남

  • @user-ssfgh321dgh54

    @user-ssfgh321dgh54

    Жыл бұрын

    @@jycymstt2806 미국처럼 그렇게 되겟죠. 미국에 사시는 시골쥐 영상보니 알래스카는 그냥 정유회사들만 잇더군요, 척박한 땅에 공장이 들어서고 농가(대부분 노인분들이주인임) 들도 통합으로 묶여서 미국처럼 헬기랑 대형트랙터와 농기계로 운영되는 식으로 바뀌겟죠

  • @user-lc2gu6ib5e
    @user-lc2gu6ib5e Жыл бұрын

    군부대 복귀하고 휴가 나갈때 시골 버스터미널 저렴해서 사용하기는 했는데,, 상황이 조금 심각한가보네요

  • @user-by1ep5cv6f
    @user-by1ep5cv6f Жыл бұрын

    읍내 터미날 그래도 해당 동네의 메인 상권의 상징인데 사라진다니 안타깝네요

  • @user-fu8dj1le1f
    @user-fu8dj1le1f Жыл бұрын

    지리산 갔다가 버스 탔는데 고령분들 밖에 없어서 진짜 당황했다..

  • @user-hg4fr6ck7s

    @user-hg4fr6ck7s

    Жыл бұрын

    왜 당황?

  • @user-hk6uq9tr7b

    @user-hk6uq9tr7b

    Жыл бұрын

    @@user-hg4fr6ck7s 어린 아이나 젊은이들이 없어서 놀랐다는 얘기겠죠

  • @user-rs8hr6dc2p

    @user-rs8hr6dc2p

    Жыл бұрын

    그거야 당연하지 ㅂㅂ야 젊은 우리가 자차로가지 버스타냐? 관광지갈때?

  • @Wheueiororldfb

    @Wheueiororldfb

    Жыл бұрын

    @@user-hg4fr6ck7s 난독증임?

  • @user-np3rw1tm6r

    @user-np3rw1tm6r

    Жыл бұрын

    지리산 가지 마요 곰 밥 돼요

  • @user-pd9yi7gb4h
    @user-pd9yi7gb4h Жыл бұрын

    화장실 좀 잘 쓰시지... 젊은 애들 보다 못하게 사용하면 어쩌자는 건지 어차피 쓰는 사람은 노친네들일텐디(어르신으로 칭할 수가 없네)

  • @lemonyellow9344
    @lemonyellow9344 Жыл бұрын

    원주민들은 말도 안되는 텃세, 힘겨루기를 하고. 외지에서 유입된 사람들은 얌체처럼 굴고... 지인이 지역으로 이주했다가 다시 도시로 돌아왔어요. 지인이 힘들어 하는 거 보기 전까지는 농촌 생활에 환타지가 있었는데, 지금은 전혀 없어요. 농촌 거주, 터미널 문제가 국가 지원이 최선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seunggyumun5652

    @seunggyumun5652

    Жыл бұрын

    무슨 텃세가 있던가요?

  • @user-lc2gq6uz1l
    @user-lc2gq6uz1l Жыл бұрын

    흐름은 막을수 없다. 그저 따를뿐.

  • @elly9368
    @elly9368 Жыл бұрын

    귀농도 꼼꼼한 계획과 특별한 의지가 있어야한다고 봅니다. 가까운 가족이나 친인척이 있어야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인터넷 핸드폰을 이용해 도시에서보다 시간적 여유가 넘치며, 자연속에서 몸과 마음의 건강을 지키면서 농촌의 저렴한 땅과 집을 이용해 경제적으로 여유롭게 생활할 수 있어야 복잡하고 삭막한 도시보다 메리트가 있지요.

  • @user-hm7io3tg2p

    @user-hm7io3tg2p

    Жыл бұрын

    시간적여유?? 몸과 마음의 건강?? 농사일 상노가다임 365일 쉬는날없음 비오고 춥고 덥고 악천후에는 일거리 폭탄 꿈을 사기치지마시길

  • @GVSolgryn

    @GVSolgryn

    Жыл бұрын

    @@user-hm7io3tg2p 그래야 된다 라고 말해줘도 비꼬아서 듣네 ㅋㅋㅋ

  • @user-cn8tg4de6v

    @user-cn8tg4de6v

    Жыл бұрын

    @@user-hm7io3tg2p 아이고.... 글을 못읽는구나

  • @user-ds7qe9xh8r

    @user-ds7qe9xh8r

    Жыл бұрын

    @@user-hm7io3tg2p 이제 처음 해서 기반이 없으면 상노가다 맞는데, 오랫동안 하신 분들은 요령이든 도구든 갖춰진게 있어서 상노가다까지는 아니에요. 물론 다 갖춰지는 것만으로도 끝이 아니고, 수요 공급 때문에 돈 버는게 골 때릴 수도 있는데(중요), 농사하면서 이것저것 하시는 사람들 있는거 보면 농사 자체는 상노가다는 아님. 요령의 문제임.

  • @user-hm7io3tg2p

    @user-hm7io3tg2p

    Жыл бұрын

    밑에 댓글단 사람들 다 농촌가서 사는분들??

  • @khcho1392
    @khcho1392 Жыл бұрын

    주유소를 터미널 용도로 사용하는게 낫겠네요. 호주 소도시가 그렇게 하는데 사용하기 괜찮았어요. 최소한 주유소는 한군데 항상있고 화장실이 있어서요. 터미널 사용료가 있겠지요.이게 상부상조인게 거기도 소도시라 주유하는 사람도 많지 않더라구요.

  • @user-iq8ev1vo9y

    @user-iq8ev1vo9y

    Жыл бұрын

    주유소가 자선 단체슈 ? 하루에 표 5장 6장 판다는데 ? 인건비도 못건져서 폐업한다는거 안보임 ?

  • @khcho1392

    @khcho1392

    Жыл бұрын

    @@user-iq8ev1vo9y 너무 당연한게 터미널 사용료가 지불되어야죠. 당연한거라 안쓴건데.

  • @user-bw9sn4qs2u
    @user-bw9sn4qs2u Жыл бұрын

    농촌이 계속 인구줄고 박살나면 언젠가는 식량도 글로벌 대기업들한테 상당부분 의존해야되는 사태도 벌어질듯하네요 그때가면 카길한국지사가 코스피 들어오는거 아닐지.. 소름

  • @user-qq5sv5xo5w
    @user-qq5sv5xo5w Жыл бұрын

    어릴때,,, 시골갈때 자주갔던곳인대 뉴스를 통해 소식을듣네요

  • @user-hz5hk1qh3w
    @user-hz5hk1qh3w Жыл бұрын

    시골에 사람이 없고 귀농하면 시골 텃새 때문에 힘들고 물론 좋은 시골 분들도 계시지만

  • @user-pc2zy3vg3t
    @user-pc2zy3vg3t Жыл бұрын

    귀농한 사람들을 괄시만 안했어도 이지경은 아닐 듯. ...남탓만 하지말고 스스로 달라져야해요

  • @kongbob9577
    @kongbob9577 Жыл бұрын

    아주 외진 농촌의 소멸을 막기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생각함. 당장 부산 대구 이런 지방도시들도 인구가 유출되는 상황인데 지방에 있는 광역시들부터 살려놓고 그다음 광역시 주변 규모가 큰 농촌들 살려야 하는 순으로 가야되지 않을까요?

  • @sulkichoi2348
    @sulkichoi2348 Жыл бұрын

    터미널이 없어진다는게 버스 운행자체가 없어지는건가요 아니면 터미널 현장 창구가 없어지는건가요?

  • @moredore
    @moredore Жыл бұрын

    시골이야말로 스마트도시로 만들기 좋을 것 같은데... 사람이 적으니 미래의 인구감소된 한국을 상정하고 지금부터 연구, 발전시켜 나가면 20년 후 해법이 보일 것 같다

  • @user-du6vi2fy5t
    @user-du6vi2fy5t Жыл бұрын

    와 터미널도 싹다 없어지는구나...

  • @user-de8if8rc1b
    @user-de8if8rc1b Жыл бұрын

    수도권은 나날이 교통이 발전하는데 지방은 다른나라 이야기네요

  • @jy7587
    @jy7587 Жыл бұрын

    원평터미널.. 한때는 여기가 시장인지 모를정도로 북적북적 대고 전주가는 고속버스는 서서갈정도로 만석이었는데..안타깝습니다

  • @user-es2gz5si7r
    @user-es2gz5si7r Жыл бұрын

    시골에 남은건 소막에서 사계절 나는 소똥냄새와 늘어만가는 묘지쁜입니다

  • @corporatedemocrat

    @corporatedemocrat

    Жыл бұрын

    묘지는 부자나빈자나 공동묘지에만 묻도록 해야함

  • @user-zo9sv6if2v
    @user-zo9sv6if2v Жыл бұрын

    고령층 면허 반납 유도하려면 저런 거 관리 잘해야 할 거 같은데

  • @asteroid.b3903
    @asteroid.b3903 Жыл бұрын

    평소에는 농촌에 관심도 없다가 휴가철이나 여행때만 우르르몰렸다 치고 빠져버리면서 이 동네는 시설이니 편의점도없냐면서 불평들은 늘어놓는 현실은 결국 외노자 촌들로 바뀌어지고 있다. 전교생 여섯명인 시골 초등학교에 다섯명이 한명을 왕따시키는데 그 한명이 한국아이라더라. 5명이 외국애들이고..

  • @unclezombie3384
    @unclezombie3384 Жыл бұрын

    귀농했다가 2년도 못버티고 올라옴. 집 알아볼때 귀농담당 공무원이 소개해주는 업자는 평당 900만원 이야기 하고, 이사준비 중 이장이 마을 발전기금 1500 요구, 이사들어갈때 도로사용료 300, 이사간 집에서 사용하는 물이 수돗물이 아니고 마을에서 지하수 파서 집집마다 연결한거라 다달이 사용료 달라하고, 농사철에는 농업용수 부족하다고 집에서 사용하는 물이 자주 끊겨 이장에게 항의하면 수도사용에 불만있으면 자비들여서 지하수 개발하라 함. 읍내에 장보러 갈때마다 마을 진입로가 사유지라고 도로 사용료 달라함. 농번기때는 새벽마다 찾아와서 마을에 사니까 내가 농사 안지어도 마을 농사 도와야 한다고 매일같이 끌려나감. 대문 안 창고에 있는 물건들 허락없이 막 쓰고 망가트려서 수리, 새물건으로 사달라하면 경찰에 신고해서 법대로 하자해서 경찰 부르면 같은 동네 사람이라고 좋게 좋게 넘어가라고 짭새가 말하고 그냥 감. 그냥 싹다 망해서 내가 당했던 도시가 증발했으면 좋겠음

  • @user-hh9kh1fw2f
    @user-hh9kh1fw2f Жыл бұрын

    사람을 사람으로 대하지 않고 일단 고용되는 순간 넌 노예야 라는 마인드를 깔고 시작하니까 안가고 싶지

  • @user-qw4lt8gf3w
    @user-qw4lt8gf3w Жыл бұрын

    우리 애들 보고 애 낳지 말고 살아라 하는 나도 슬프다

  • @MrYongminkim

    @MrYongminkim

    Жыл бұрын

    일가정 이룬 님은 성공한 인생임. 그것도 못하는 사람 많음 ㅋ

  • @Jin-ro3qq

    @Jin-ro3qq

    Жыл бұрын

    가정을 이뤘으면 멋진 인생이죠. 자기 아이에게 안락사를 강요하는 건 비극적이고 아이러니한 모순이지만.

  • @ssssss7112

    @ssssss711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DNA가 한세대는 전해졌으니 개인 DNA 절멸시간을 조금 늦추는데 성공했네요

  • @user-hh8wj2wf3v

    @user-hh8wj2wf3v

    Жыл бұрын

    출산하면 애국이니 뭐니 개뿔... 그럼 그 넘의 애국을 좀 보상좀 쳐해주던가...말은 ㅈㄴ 쉽게들 쳐하지.

  • @user-jt1me6zi4z
    @user-jt1me6zi4z Жыл бұрын

    좋은 인프라 기회 일자리 모두 수도권에 몰려있습니다. 안타깝지만 자연스러운 현상이네요. 촌은 없어지고 가까운 지방 광역시에 다 흡수되는 방향으로 가지 않겠나 싶네요. 지방에는 점점 남는 땅이 많아질테니 뭔가 기회가 될 수도 있구요. 미래가 어느정도 예상이 되겠지만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 @12klkl45
    @12klkl45 Жыл бұрын

    정읍갈때 이용하던 원평 터미널이었는데~~안타깝네요.

  • @user-pg3sk6mn8p
    @user-pg3sk6mn8p Жыл бұрын

    고령화와 인구감소 이제 진짜 피부로 느끼기시작하는것 같아요. 일본의 뒤를 따라가고있는듯..

  • @jbj8376

    @jbj8376

    Жыл бұрын

    일본버블따라가고있는거지

  • @user-ux7ej5vb8x

    @user-ux7ej5vb8x

    Жыл бұрын

    일본보다 더하지

  • @user-zl1bm9br9r

    @user-zl1bm9br9r

    Жыл бұрын

    정부는 지들 배 채우느라 이런거 몰라요..진짜 이러다..나라 망하는거죠

  • @user-df9ms2qj1y

    @user-df9ms2qj1y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이정도는 아님 일본은 자동차로 달리고있다면 우리나라는 고속철도수준으로 빠름

  • @user-dt5pb5wk1n

    @user-dt5pb5wk1n

    Жыл бұрын

    @@PaoriBaeksuk 그쵸 2013년 부터 일본보다 출산률 떨어지고 0.8 수직 하락 일본은 최근 정책 잘해서 대졸여성 출산률은 1.6까지 올렸는데 우리나라는 매년 하락 중

  • @billgimm2393
    @billgimm2393 Жыл бұрын

    화장실이 더러워서 절대로 가고싶지 않은 곳들이 버스터미널...

  • @user-wz7yo6kk8v

    @user-wz7yo6kk8v

    Жыл бұрын

    ㄹㅇ 서울고속터미널처럼 리모델링하거나 새로 지은 곳 아니면 최악임 서울남부도 꾸릿한 냄새 천진데

  • @user-qd6ri7ep3x

    @user-qd6ri7ep3x

    Жыл бұрын

    광고는 많이함! 한국인 특징이 보여주기식 좋아해서 너도나도 박수침 꾸준히 세금부어서 개선많이됨. 혹여 방송타면 세금 더들려서 더좋게만듬. 이게 한국식임 보여주줘도 광고효과 없으면 관리도안함

  • @jump7221

    @jump7221

    Жыл бұрын

    니 똥도 더러운건 마찬가지야 더럽다고 물내리는 손잡이 발로 내리고 변기 뚜껑도 안올리고 오줌 처싸고

  • @esteregg3118
    @esteregg3118 Жыл бұрын

    대도시 아니면 버스 진짜 탈 일이 없어진게 자가용이 정말 보편화 되다보니. 시골 지역도 예외는 아닐거라고 생각함. 물론 유동인구가 적기도 하지만 그만큼 불편함을 굳이 감내할 필요가 없어진거지

  • @ReincarGung
    @ReincarGung Жыл бұрын

    인월터널...아..실상사 갈때 자주 갔었는데...아쉽

  • @user-bg6rl7xx5l
    @user-bg6rl7xx5l Жыл бұрын

    도시살아본사람들이 농촌들어가면 살수가없어..나이들어들어가면 제일중요한게 종합병원 유무가된다.농촌은 가망없음.귀촌준비로 땅도사고했었는데 결국은 다팔고 귀촌포기함...

  • @user-ci6uu4no2s
    @user-ci6uu4no2s Жыл бұрын

    자차아니면 다니기도 힘든곳이 많아지겠네요 큰일입니다

  • @user-lp1oz3vl4f
    @user-lp1oz3vl4f Жыл бұрын

    이유는 하나다 저 지역은 아니지만 귀농해도 텃세부린 결과다 그리고 사람 귀한줄 모르면 저런 결과가 날것이다

  • @soulone1338
    @soulone1338 Жыл бұрын

    너무 안타깝네요

  • @space_rabbit
    @space_rabbit Жыл бұрын

    귀농을하는 사람이 많아저야 상권이 살아나는데, 사실상 10에 8은 귀농했다가 다시 서울/수도권으로 돌아가게됨 마을에 텃세때문에 마을발전기금취지는이해감 지방이라 읍면동사무소에서 예산을 타와서 도로,수도유지보수해야하는데 지방도시라고 예산을 적게받아오다보니 그런 소규모마을의 도로,수도 유보수 예산이 편성안되니 마을사람들끼리 십시일반하자라는 취지는이해가도 소급적용을해서 귀농하면 그 마을사람은 30씩내는걸 200내라 500내라는식으로 반협박질하는데 마을발전기금 안내면 자기자식은 학교에서 학폭당하고 귀농인집에 온갓테러일삼고 경찰까지 한패다보니 못볼거다보고 시골생활이 빡쳐서 다시 서울로 돌아가니 상권이 죽을수밖에없는현실이지 지방도시가 소멸하고있는건 저출산외에도 텃세부리는 이유도있다고봄

  • @inhyeogjee4601
    @inhyeogjee4601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보다 인구 밀도가 낮은 국가나 지역들은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같이 있었다면 좋았겠네요 당장 미국만 해도 지역 사회들은 우리나라 인구소멸하는 지역들 보다 나은 상태가 아닐텐데 말이죠

  • @user-ro2nq4kw7f

    @user-ro2nq4kw7f

    Жыл бұрын

    지방 전체를 다 살리려고 햇던 국가들은 다 실패햇고요 지방의 안락사라고 해서 답없는 깡촌은 다 안락사시키고 지방거점도시만 밀어주는 쪽으로 갑니다 거점에서 힘을 모아서 천천히 확장시킨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슴다 한국같은 나라들이 지방 소멸되는 이유가 전체를 다 살리려고 하기 때문에 여기도 죽고 저기도 죽고 다같이 죽는 그림으로 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서유럽이나 일본이 문제는 심각하지만 한국처럼 완벽한 실패작이 아니라 그나마 선방하는 이유가 답없는 깡촌은 과감하게 안락사시키고 거점도시에 힘을 몰아주기 때문입니다

  • @imuroo
    @imuroo Жыл бұрын

    안타깝습니다.

  • @leekwanhee3825
    @leekwanhee3825 Жыл бұрын

    걱정이다 나라에서 보조라도 해주라

  • @user-zf1tr7nj8k
    @user-zf1tr7nj8k Жыл бұрын

    전국에 있는 터미널까지 폐업이 시작되고 유령도시화 되어가고 있네요 우리자녀 세대들 점점 살기힘들어져서 어쩜좋아요

  • @user-vv2st9rv7l

    @user-vv2st9rv7l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들하고 같이살겟죠 뭐

  • @Punisher_777
    @Punisher_777 Жыл бұрын

    농촌지역 소멸은 걱정하면서, 투자는 전부 경기도, 서울등 수도권만 하는중인데 소멸안되면, 그게 이상한듯.

  • @user-sg5sg5kk8p
    @user-sg5sg5kk8p Жыл бұрын

    지방소멸 귀촌이 힘든건 시골텃세 공무원까지 똘똘뭉쳐서 삥뜯으려함 누가 가냐고

  • @user-lf7on4mv2p

    @user-lf7on4mv2p

    Жыл бұрын

    지방소멸은 거기서 끝나는게 아니고 대한민국 소멸로 이여지는것임 남의 이야기라고 생각하면안됨 근데 정치인들은 안중에도 없고 진실만을 말하는 캐나나피터앤더슨이 대한민국 소멸은 이미 확정이라고 한 이유가있는거죠 그원은 바로 경상도와 2찍들이구요

  • @holymoly6731

    @holymoly6731

    Жыл бұрын

    @@user-lf7on4mv2p 진짜 뭐만하면 2찍 ㅋㅋㅋㅋ 이래서 정치병 새끼들은 빨리 죽어야함

  • @user-lf7on4mv2p

    @user-lf7on4mv2p

    Жыл бұрын

    @엉냔 아 민주당은 적어도 소멸되게 망하게 하진않았지 넌 그것도 구별못하면서 손가락있다고 키보드 두들기고있냐 멍청한건 자랑이아니야

  • @user-sg5sg5kk8p

    @user-sg5sg5kk8p

    Жыл бұрын

    세계가 나름경제사정이 좋은데 우리나라만 무역수지적자 나토가서 개소리하고 별...?

  • @user-lf7on4mv2p

    @user-lf7on4mv2p

    Жыл бұрын

    @@user-sg5sg5kk8p 적자인정도가 아니고 1년만에 500억불이면 그냥 이명박처럼 아예 기둥뿌리 다뽑아 해처먹고있는것임 그러니 국민소리든 국정운영이든 안중에도없는것임 저것들은 지금 뒤에서 해처먹는데 시간을 다 쓰고있는것임

  • @user-xo3nf5zu6y
    @user-xo3nf5zu6y Жыл бұрын

    터미널은 지자체에서 운영해도 될듯 싶은데, 적어도 군 단위나 도 단위에서 운영하고 어차피 지역민들이 이용하는 것이니 세금으로 충당해도 무리가 없을듯 하오만...

  • @dominion8998
    @dominion8998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좁은게 아니라 서울이 좁은거죠 ㅠ 지금이라도 시골의 소멸을 막아야하고 그러지않으면 나중에 수도권과 서울의 쇠퇴로 이어질 겁니다

  • @user-vg8fm6sy2y
    @user-vg8fm6sy2y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시골은 20년내로 무인촌이 된다 지금 시골가봐라 70대가 막내인 마을 부지기수 기본 60프로가 빈집이다 진짜 곧이다

  • @lazycho4446
    @lazycho4446 Жыл бұрын

    지자체 이거 없어져야 합니다. 아무 소용이 없어요. 세 걷어서 나무데크 등산길이나 산책길, 출렁다리나 만드니 원...축제나 하던지. 실질적으로 주민들이 고향을 안떠나는 정책, 인구수가 증가하는 정책에 올인하는 지도자들이 앞장서야 시골이 삽니다.

  • @RaccoonStory
    @RaccoonStory Жыл бұрын

    저럴수록 수도권은 사람들이 더욱 모여들수밖에 없음.

  • @user-je5zn6vb5q
    @user-je5zn6vb5q Жыл бұрын

    터미널 운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는 잘 모르지만 대중교통은 (버스 지하철 택시) 국비로 지원하는게 아니라 국가가 나서서 운영을 하게 되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