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의 신은 없다..2024 '장사 지옥' 대한민국 근황 / 비디오머그 / 귀에 빡!종원

자영업자 비율 세계 7위. 미국의 3배, 일본의 2배. 신장개업까지 걸리는 시간 15일. 자영업자 채무 1천 조 원. 더 이상 설 자리도, 남는 돈도 없다는 자영업 포화 대한민국.
잘 나가는 성공한 사장님들도 장사 지옥 한국을 떠나 미국으로 이전 확장을 하는 사례가 조금씩 늘고 있습니다. 왜 이런 선택을 했을까요? '귀에 빡!종원'에서 알아봤습니다. (풀버전)
00:00 인기 절정 '돼지곰탕 집'은 왜 뉴욕으로 나가야 했나?
07:46 "'엄청 벌었겠네' 소리 들으면 속 뒤집힙니다"..결국 한국 떠나는 사장님들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kfood #장사 #자영업 #자영업자 #폐업 #물가 #newyork #뉴욕맛집 #뉴욕여행 #돼지국밥 #옥동식 #치킨 #다이어트 #k푸드 #귀에빡종원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gTube
▶Homepage : videomug.co.kr
▶Facebook : / videomug
▶Twitter : / videomug_sb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628

  • @yasumi173
    @yasumi1734 ай бұрын

    20년 전 노무현 대통령이 자영업 문턱을 높여서 비율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가 장사할 자유도 없냐며 신문들이 난리난리 쳤었죠. 그런데 20년 지나 백종원이 노무현과 똑같은 얘기를 하고 있더군요. 진작에 자영업 업계를 미국이나 일본처럼 건강하게 만들었어야 하는데 지금은 이미 발 들이신 분들 각자의 사정도 있고 이미 너무 포화 상태라 과연 개선이 가능할지가 의문입니다. 경제 상황도 녹록치가 않고요….

  • @suchulpark8522

    @suchulpark8522

    4 ай бұрын

    외국에서 문턱이 높은건 인스펙션이 오래걸려서 그런거고, 사실 우리네 자영업이 비중이 높은건 이 분들이 기업에 취업을 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노동유연성이 높아야 함. 자영업 하는 사람들중에 저러고 싶은 사람 아무도 없음. 다른 방법이 없고 그러니 저러는거지. 장사할 자유는 있어야 함. 근데 지금은 다른 길이 막혀있으니 갈 곳이 없어서 문제인 것임. 근데 문제는 우리나라는 좌나 우나 둘 다 기업에 취업하도록 유도하지 않음.

  • @jayje1705

    @jayje1705

    4 ай бұрын

    언론개혁이 필요한 이유

  • @sungyomg8360

    @sungyomg8360

    4 ай бұрын

    우리나란 수직적 문화때매 야 막내야 소리보단 사장소리듣고싶어 그런거지

  • @user-nn8cp6sv4m

    @user-nn8cp6sv4m

    4 ай бұрын

    노통시절 국토균형발전에 선경지명을 같고 세종시 원안을 추진했는데, 그걸 지금의 국민의 힘이 막았었지... 그때 제대로만 됐어도 우리나라 부동산문제는 이지경까지 안갔음

  • @user-vr2zf9zz6l

    @user-vr2zf9zz6l

    4 ай бұрын

    ​@user-nn8cp6sv4m ㄴㄴ 이미 이명박때 전세자금 억단위 올릴때 부터 집값상승은 확정된것이고 그게 정말 천재지변급으로 금리낮고 재정풀고 딱 최상급 하늘로 갈수 밖에 없었음...

  • @user-jm1li4jz6v
    @user-jm1li4jz6v4 ай бұрын

    자영업은 지옥이에요. 직장은 짤리면 그만이고 투자금도 없지만 자영업은 투자금 수억씩 날리고 수익율도 낮음. 그리고 직원2~3명만 써도 4대보험료만 200만원도 넘게 나오는데 이런것도 모르고 창업하는 분들이 태반.

  • @user-qe8og2yx9w

    @user-qe8og2yx9w

    4 ай бұрын

    모르는분들이 많겠죠...

  • @user-jm1li4jz6v

    @user-jm1li4jz6v

    4 ай бұрын

    @@user-oj2zy8vl8e 해~ 그 좋은거 니 많이 해.

  • @wrwsxf

    @wrwsxf

    4 ай бұрын

    ​@@user-oj2zy8vl8e누칼협 댓글 다는애들 넘 한심. 저런 애들 중 진짜 잘난 사람도 없음

  • @user-xy2cg4ig9g

    @user-xy2cg4ig9g

    4 ай бұрын

    @@user-oj2zy8vl8e ㅈㄴ ㅄ 같네. 영상도 안봤냐? 이미 미국의 3배가 넘는다잖아. 미국의 경제 규모와 인구수가 우리나라 3배는 넘는데. 미친자영업자수라고. 근데 무슨 유입을 안시킬려고 댓글 단다는 헛소리를 하지? 이미 포화상태라니깐??? 자영업이 얼마나 위험한지 위험성 알려주는 댓글인데 ㅈㄴ 꼬였네. 뭐가 잘 안풀리냐? 사회생활 우째하노 이런새키들은

  • @user-bu1gs2ui2k

    @user-bu1gs2ui2k

    4 ай бұрын

    더 큰 문제는 전부 프랜차이즈 식당만 하려고 함 진짜 할려고하면 자신이 하고자하는 품목의 식당에 주방에 들어가서 최소 3년은 일해서 배우고 해야함 3년은 마스터가 아닌 최소 기본을 익히는 시간이고 계속 음식을 공부하고 발전시켜나가야함 10년을 배우고 창업해서 20년째 장사중 프랜차이즈는 거의 업체만 돈벌게해주고 자신은 망해버리는 경우가 너무 많음

  • @aihak1
    @aihak14 ай бұрын

    주의: 이런 방송 보실 때 혹 하지 마세요. 다른 나라에서 식당 열려면 문화, 법, 사람, 언어 등 쉬운게 아닙니다. 저렇게 말하는 아나운서가 식당을 해본 경험도 없고 남이 성공한 사례를 15분 정도 이야기 하는 건데. 주의가 필요합니다.

  • @chris-gj7cv

    @chris-gj7cv

    2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생존자 편향의 오류를 범하는 경향이 있군요

  • @user-we5gi3wx2p
    @user-we5gi3wx2p4 ай бұрын

    진심 강남 오피스 상권 개박살 나서 1층 상가 다 나가는데 또 그곳에 들어 오려는 사람들이 끝도없이 들어오네요

  • @reech9

    @reech9

    4 ай бұрын

    반어법이야 뭐야

  • @user-lp2pi1sg2f

    @user-lp2pi1sg2f

    4 ай бұрын

    한국은 건물주 먹여살리지 ㅋㅋ

  • @chaostar88

    @chaostar88

    4 ай бұрын

    강남에서 장사하는 사람들은 걱정할 필요가 없음.

  • @funcoolsec7967

    @funcoolsec7967

    4 ай бұрын

    다들 대가리에 연가시 한마리씩 갖고 있음.

  • @seonmojin437

    @seonmojin437

    4 ай бұрын

    사업을 하든 투자를 하든 개인의 자유지요~ 법의 테두리 안에서 뭐든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어요~ 망하든 성공하든 본인의 선택입니다 망하면 몇억 날리는거고 성공하면 부자되는거에요

  • @LHKtube
    @LHKtube4 ай бұрын

    2:50 대왕카스테라 유행하던 당시 반짝 유행하던 모습을 눈앞에서 봤고 어느날 갑자기 폭망하는 모습을 봄. 그 이후로 "아 이것도 반짝 유행하고 말겠구나" 하는 새로운 먹거리들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음. 이전에 벌집아이스크림도 똑같은 레파토리를 거쳤었지만 그땐 실제로 파는걸 못봐서 체감이 안됐었지만. 특히 디저트류에서 대부분 그러는듯.

  • @user-jn8ox1gl6p
    @user-jn8ox1gl6p4 ай бұрын

    자영업 비율이 줄어들려면 자영업의 대안이 많아져야할 것 같아요. 자영업 비율이 30%가 넘는 나라보면 관광산업 위주의 나라 같은데 우리나라는 제조업 중심의 나라임에도 자영업 비율이 높은건 노동자에 대한 처우개선이나 근속년수보장 등 근로환경이 열악한 직군에서 이탈하는 사람들이 많아서이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지금 같은 환경에서 자영업자에 대한 일방적 지원이나 네거티브 규제가 유지된다면 오히려 자영업으로 몰리게 만드는 요인이 아닐까요?

  • @user-xy2cg4ig9g

    @user-xy2cg4ig9g

    4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공감합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처우가 너무 차이납니다. 현대차 생산직 정도의 임금을 누구나 받을수 있다면 누가 자영업 하겠습니까

  • @nojam8594

    @nojam8594

    4 ай бұрын

    일본처럼 정년 늘리던지 노인취업장려해야될듯 나리타 입국할때 할머니할부지들 일하는거보고 신기햇음

  • @jimtim9190

    @jimtim9190

    4 ай бұрын

    노동시장이 유연하지 못한것도 이유죠

  • @jaytv5344

    @jaytv5344

    4 ай бұрын

    노동자 처우개선도 중요한데 귀족노조 또한 날려야함

  • @sinko0202

    @sinko0202

    4 ай бұрын

    그럴듯한 소리로 현혹시킨다. 결국 기업을 때려잡아서 노동자 위주의 세상을 만들어야 된다는 소린데.. 그러니 자꾸 규제만 늘어나고, 그게 기업이 일하기 힘든 조건이 만들어지는거다. 건전하게 경쟁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는게 정부의 역할이다. 자꾸 뭘 더 받을라 그러지 말고, 자영업의 비율이 많은게 문제라기 보단, 대기업 말고는 실력있지만 돈이 없어서 해외로 못 나가는 자영업자들이 훨씬 많다. 일본처럼 정부가 나서서 그런 자영업자들이 한국이 아니라 해외에서 장사할 수 있게 해주면 우리나라의 지나친 경쟁과 비교문화에도 하나의 대안이 생기지 않을까 싶다.

  • @user-wv8yl4uq5v
    @user-wv8yl4uq5v3 ай бұрын

    카드수수료 인하, 자영업 대출이자 감면, 대형마트 규제. 등은 어느정도 필요한 정책입니다. 다만 본질적인 문제는 자영업자가 너무 많다는거예요. 자영업자가 많다는건 양질의 일자리가 없어서겠죠. 근본적인 해결책은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는거죠.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려면 신성장산업에 비중을 증가시켜야하고 신성장산업은 일부에 이윤이 편중되기때문에 정부의 균형잡힌 배분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 @binhan8021
    @binhan80214 ай бұрын

    자영업자들 힘든점중 하나가 사람을 못구하는건데 이건 정부,언론 책임도 큼.GDP 세계10위네 G7에 들어가네 이딴 헛바람만 넣어놔서 국민들이 힘든일을 더 안하려함.한국 1인당 gdp는 세계30위권 입니다.이마저도 점점 밀려서 향후 50위권 예약이구요.한국은 선진국 아닙니다.

  • @de0750
    @de0750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자영업하려면 성공하고 정착하는 것도 힘들지만 잘될때가 더 위험... 왜냐하면 잘 된다고 소문나면 그옆에 똑같은거 또 생기고 그러고나면 매출 반토막...

  • @yo-pk1uw

    @yo-pk1uw

    4 ай бұрын

    대표적으로 창업이 쉬운 편의점같은경우 잘된다고하면 한동네에 4개까지 생긴거봄

  • @Oizman

    @Oizman

    4 ай бұрын

    결론은 미국에서 장사할려는데..나라에서 좀 도와달라??? 왜?

  • @sinko0202

    @sinko0202

    4 ай бұрын

    @@Oizman 해외에서 자영업 하는 사람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언어문제는 없지만, 한국에서 뭘 더 가져오고 싶고, 수입을 하고 싶어도 한국에 규제가 많아서 못 가져오는 경우도 많고, 제가 나서서 여기 현지 관련부처에 설명을 하자니 어렵고 시간도 너무 걸리고, 시작도 못하고 접는 경우가 많아요. 언어문제가 없어도 이렇게 지치고 힘든데, 언어가 힘든 분들은 어쩔까 싶고, 계약문제라던지, 그런건 나라에서 예산이 있을테니 해줄 수 있을텐데요. 결국 해외에서 자영업이 잘되면, 한국에서 수입하는 물건도 늘어날거고, 물류비도 경쟁력 있어질테고, 그럼 한국에 고용도 늘어날 테니깐요.

  • @argonote_98

    @argonote_98

    3 ай бұрын

    ​@@Oizman 도와달라는 범위가 돈도 돈이지만 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는 그런느낌이네요 돈있는 대기업도 못나가고있다고 하니까요

  • @DDDDTTTTDDDD

    @DDDDTTTTDDDD

    3 ай бұрын

    @@sinko0202 국민의 혈세를 외국에서 장사하는 사람들을 위해 쓰라고요? 해외에서 자영업 잘하면 그 개인이 좋은 거지. 한국에서 뭘 가져오고 싶으면 개인이 당연 알아보고 돈 들여 가져와야죠

  • @user-jc5jv3ti3p
    @user-jc5jv3ti3p4 ай бұрын

    장사의신 저격영상잘봤습니다 역시 엠빅스가 잘 다뤄주시네요 잘돌려서

  •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Ай бұрын

    장사의신이 아니라 사기의 신임 잡아서 능지해야함

  • @CP-yc7gv
    @CP-yc7gv4 ай бұрын

    자영업 문턱, 위원회처럼 좀 더 건강하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었군요. 뭔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줄 몰랐어요. 대기업위주의 경제구조때문이니 어쩔 수 없다고만 생각했는데 좀 더 적극적으로 논의하면 나아질 수 있는 부분도 있겠군요

  • @kjde206
    @kjde206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산업구조상 수출 의존도가 높고 내수가 취약하기때문에 거기서 서비스업이 발달했고 경쟁이 심해지다 보니 생긴 현상인거같습니다. 자영업 하는분들이 이거 말고는 먹고살기가 힘들기때문에 쏠림현상이 나타난거같습니다.

  • @user-ff6dp9wp2y
    @user-ff6dp9wp2y4 ай бұрын

    주마다 다르겠지만 인건비가 예전처럼 0~3불+팁이 아니라 10~20불+ 팁가져가지 않나요? 코로나 이후 팁을 받더라도 기본적으로 인건비가 많이 오른걸로 아는데 ..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4 ай бұрын

    일본은 올해 100년 이상된 가게 20만개 돌파. 100년 이상된 기업은 4만개돌파. 특히 관광객들까지 밀어들어오면서 호황임. 일본 상인정신 중에 '돈을 보지말고 고객의 마음을 봐라'는 말이 있음. 돈을 보게 되면 그 손님은 한번 오면 끝나지만 마음을 사로잡아 평생 단골로 만들면 불황에도 이겨낼수있다는 말이 있지. 당근 대형 프랜차이즈보다 상품성이 뛰어날수있도록 노력해야하는건 당연한거고. 일본을 보게되면 되려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보다 동네빵집이 더 손님이 많은 경우를 볼 수 있음.

  • @sehy9069

    @sehy9069

    4 ай бұрын

    작년 도쿄에 갔을때도 접객이 대단하긴했습니다 무엇보다 이런 골목에도 음식점이 라는 느낌도 많았구요

  • @user-uv5ss9rn5o
    @user-uv5ss9rn5o4 ай бұрын

    창업할 돈을 은행에 예치하고 적더라도 이자를 받아 생활하면서 때를 기다리시길... 이게 쉬운 건 아니지만 지금은 뭘 해도 안 되는 시기임. 장사에서 중요한 건 전체 흐름을 보는 것이지 내 감을 믿으면 반드시 망함. 내 감이란 건 내 바람이 반은 섞인 상태거든... 그러니 망하지...

  • @ieltsmax3299

    @ieltsmax3299

    3 ай бұрын

    흠.. 진짜 의문이에요.. 다들 무슨 생각으로 그렇게 쉽게들 창업을 하는지... 근데 돈이 잇어서 시작하는게.아님.. 다들 빚을 내서 하는거..창업한다고 하면 빌려주니까.. 아무것도 안하면 돈을 안빌려줌 ㅎㅎ 지돈으로 아무도 안함 ㅎㅎ

  • @user-zs2oi6yf1f

    @user-zs2oi6yf1f

    2 ай бұрын

    누칼협

  • @vf8619
    @vf86194 ай бұрын

    미국 오래 거주한 사람입니다. 댓글들 보니 한국 VS 미국 물가 비교하는 등 다양한 의견들이 많네요. 일단 미국이라는 나라는 주마다 법,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이렇게 비교하는건 조금 깊이가 얕은 것 같습니다. 서울 VS 뉴욕 이런식으로 갔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이런 생각이 듭니다. K-푸드에 열광..? 막상 미국에 오래 살면 한국 음식 엄청 좋아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그나마 사람들이 알고 가장 유명한 음식은 KBBQ가 아닐까싶네요. 이 영상을 보고 미국가면 무조건 성공하는건가 이런 생각은 위험한 것 같습니다. '옥동식' 케이스는 특별한 경우이고, 대다수의 평범한 식당들은 직면해야하는 미국의 문제점 (안전 등등) 이 많습니다. 그리고 굉장히 빡셉니다. 한국에서는 당연하게 여겼던것이 미국에선 당연하지 않으니까요.

  • @oo8619

    @oo8619

    Ай бұрын

    그나마 요즘은 하나 추가 된게 k 치킨.. 그거 말고는 뉴욕 la 애틀란타 댈러스 같은 한국인 좀 있는곳에서 진짜 매니아 층들만 즐기는 정도이죠. 손님들 대부분이 중국 인이거나 한국음식만 먹는 한국인

  • @user-oo2ys2ly7d
    @user-oo2ys2ly7dАй бұрын

    재능이 있는 사람은 눈 하나도 깜빡 안 함 ~없는 것들이 사장 소리 듣고 싶어서 접근 한 것들이 힘든 것이지 ~

  • @user-nq5oo2sg7i
    @user-nq5oo2sg7i4 ай бұрын

    앞으로 더 힘들거임 특히 6070세대들 이제 은퇴시기 다가오고 퇴직하는사람도 느는데 소비자수는 기합급수로 떨어짐 옛날 그 엄청두떱고 막강했던 중상층을 자랑하던 6070세대가 이제는 은퇴세대가 됨 큰 소비층이였던 이 세대가 있었을 때도 페업이 넘쳐났었는데 우리나라 소비층 허리는 이제 더 얇아질텐데 답도 없음

  • @hyejinlee8335
    @hyejinlee83354 ай бұрын

    다이어트 정말 필요합니다. 수많은 매장중에 30년이상 장사하시는 분들 빼놓고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가 사라지는 매장들이 많은것, 정말 심각하게 생각해봐야하는 시점을 이미 지났다 생각합니다. 솔직히 음식점은 많은데 갈 매장이 없다라고 말들을 합니다. 이말에 모든게 함축되어 있는거 같아요. 그 장벽을 이제라도 높여야만이 자영업자들이 살아 남습니다.

  • @power3802
    @power38024 ай бұрын

    체인점 헬스장 먹튀에 대해서도 이야기 부탁드립니다.

  • @DK-mq9zf
    @DK-mq9zf4 ай бұрын

    제목 알고리즘 은근히 노린 노력 👏

  • @hahhwa1720
    @hahhwa17204 ай бұрын

    10년 20년 한결같이 새벽에 매일 장봐서 깍두기 담고 육수 내고 힘들게 일하면서 한달에 200만원 300만원 가져가는건 인정해주지도 않으니깐.... 그렇게 서서히 단골을 확보해 가면서 소득이 늘어나던데 프랜차이즈 본사가 홍보하는거 보면 고소득, 쉬운 창업, 낮은 노동강도

  • @seonmojin437

    @seonmojin437

    4 ай бұрын

    프렌차이즈 창업은 노예 계약이죠 ㅎㅎㅎ하는 사람이 바보임....너무 불공정한 계약은 못 하게 막아야 겠지만 프렌차이즈 했다가 망하면 몇천만원 그냥 날림~ 그 금액은 본인이 책임져야죠

  • @user-oj2vs2id3n

    @user-oj2vs2id3n

    4 ай бұрын

    직접 장봐서 담그던간에 맛대가리없으면 안감

  • @owleyez

    @owleyez

    4 ай бұрын

    자영업을 할거면 가맹점 가입을 할게 아니라 본인이 체인사장 해야 된다고 봅니다.

  • @user-vo2kd2vs1g

    @user-vo2kd2vs1g

    4 ай бұрын

    게다가 그렇게 장사 잘되면 건물주가 쫒아내고 자기가 다시 차림ㅋㅋㅋ

  • @user-oe9fg3zj9z
    @user-oe9fg3zj9z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중소가 박살이 나있어서 대기업 아니면 자영업임... 경제 구조가 상당히 후진적이고 덩치만 커진 어린아이같음

  • @kaix9402
    @kaix94024 ай бұрын

    요즘은 가게 팔고싶어도 안팔려서 문제죠. 경기 개박살나서 창업자체를 안하려는분들이 너무 많음

  • @user-hj9di8jv5e
    @user-hj9di8jv5e4 ай бұрын

    5:06 놀랍네요!

  • @salmong2
    @salmong24 ай бұрын

    자영업24% 중에서 프랜차이즈 vs 개인창업 비율과 생존률이 궁금합니다. 뉴욕이야기가 나왔으니 뉴욕도 함께 비교해 보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외국의 프랜차이즈가 국내 입점하는것이 쉽지 않은것 같은데 어떤 절차와 장벽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thm1583
    @thm15834 ай бұрын

    일자리가 많아야 자영업 비율이내려갈텐데. 고임금,고임대료,치열한경쟁,인구감소 요것들이 자영업이 힘든 대표적이유

  • @user-ch4vx3nu7j
    @user-ch4vx3nu7j3 ай бұрын

    여러가지 이유가 복잡하게 엮어 있지만, 제 관점에서 제일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과다 경쟁을 넘어 자영업을 이끄는 각각 주체들의 역량도 생각할 부분이라 봅니다. 과연 관리 운영을 비롯한 음식 개발, 서비스 유지 등등과 같은 시스템에 대한 접근은 어떻게 생각하며 다음을 만들어 갈 철학이 있는지도 잘 생각해 봐야 할 근본 중 하나라 봅니다.

  • @iscariotjudas7349
    @iscariotjudas73494 ай бұрын

    자꾸 전업하라는 분 있는데 평생 한 일을 갑자기 전업하거는 어려운 법이죠 평생 직장 다닌분 은퇴히면 다른 일 하기 어려운 것 똑같습니다

  • @user-uj9bu9kz5c
    @user-uj9bu9kz5cАй бұрын

    경제의 선순환 구조로 개선이 우선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플랫폼 사업처럼 기존 구조를 대기업이 탈취하면 산업의 기반이 흔들리며 부의 양극화가 발생하니... (20대 기업의 현금 보유액이 180조에 달한다니...)

  • @user-nt8ky9kl6t
    @user-nt8ky9kl6t4 ай бұрын

    자영업 하려고 시도하려는 사람들 과거에 본인들 취업 준비하던거 생각해보세요.. 어떤 직종에 취업하려거든 그게 하루아침에 뚝딱 되던가요? 자영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단순히 해보고 안되면 그만이라는 마음가짐이라면 상관없겠지만, 생계를 꾸려나갈 심산이라면 적잖은 시간과 준비과정을 거치고 나서야 그나마 경쟁력을 갖추실 수 있을 것입니다.

  • @daedongking4041
    @daedongking40414 ай бұрын

    진입장벽이 낮으니까 쉽게 창업을 하고 그러니까 경쟁이 치열하고 음식점만 예를 들면 솔직히 이런맛으로 어떻게 음식점을 할수있지 이런생각 드는곳도 많고 그렇다는거는 너무 준비없이 창업을 한다고 볼수있는거죠 본인 노하우가 없이 창업을 하려다 보니 프랜차이즈 창업을하고 프랜차이즈도 유행을 타니까 차별이 없고 그러니까 또 폐업률이 높아지는거고 돈번것만보고 그과정이 쉽지 않다는걸 막연하게 생각하는거 같아요

  • @que1555
    @que15553 ай бұрын

    3:02 이분 관점은 정말 특이한게. 1) 보통 우리나라는 젊은이들이 창업하기에 ‘규제장벽’이 많다고 하는데 여기서는 반대 논조로, 우리는 서구선진국과 달리 그런 규제가 거의 없어서 자유롭게 창업이 된다고 함 이것부터가 특이점 2) 심지어 호주지역 규제까지 들먹이는데, 이런건 아주 나쁜 지역카르텔일 수 있음 3) 심지어 더 나아가 ‘서구처럼 규제강화가 필요하다’는 논조로 이어짐 이것또한 통상적으로 말하는 ‘규제완화해서 창업을 늘려야한다’와 상반됨 4) 더 나아가, 그러한 해외의 규제가 ‘실패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는 궤변으로 이어짐. (2:55)(미국의 경우 허가기간이 엄청 길다고 하며 그게 마치 실패를 막는 장치인양 도입부에서 언급하나, 뒤의 6:01에서 보듯 미국역시 폐업률 92%) 해외의 그러한 규제는 안전규제, 환경규제 등 소위 esg관점에서 규제이고, 이들은 일면에서는 ‘비용상승’의 측면이 있을뿐, 이것은 실패를 줄여주는 것과 관련이 거의 없는데도.. 과당경쟁의 규제가 있는 영역도 국내에 많습니다. 버스, 택시가 대표적이죠. 다만 이는 수요공급을 나라에서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분야에 한정됩니다. 일반음식점을 하는데, 과당경쟁이니까 규제해라? 학원이 너무 많으니 더 이상 학원 설립은 못한다? 다른 영상에서 ‘중국의 알리 테무 성장’을 많이 비판하신게 기억나는데, 저런 규제 방식은 중국같은 나라에서나 가능한걸로 보이네요.. 6:01 미국도 92%가 망한다. 즉 앞부분과 모순되는 내용들인겁니다. 즉 초반 접근방법 자체가, 문제제기 자체가 납득이 어렵다는 말씀 드립니다. 15:55 자칫 앞부분 논조와 연결해서 잘못들으면, 자영업자가 살려면 ‘자영업 경쟁을 낮춰야 한다’는 (예. 자영업의 진입 규제를 높여서-해외의 방식처럼(?)), 그런 ‘반자유주의적이고 반시장적인’ 접근으로 보일 우려가 있는데요...문제는 전부 치킨집, 커피숍, 음식점만 해서 문제인거지...이걸 아무나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영역으로 여겨지는 일반음식점이나 치킨집 진입을 마치 택시업 버스업처럼 정부가 수요공급을 조절하는 방식은, 개인의 자유와 창의를 근간으로 하는 시장경제질서 헌법원칙에 거의 정면으로 반할 수 있어 보이네요. 결론은, ‘노후준비 전혀 안하고‘ 아무나 할 수 있는(즉 면허나 특허 허가영역이 아닌, 개인이면 직업의 자유로서 아무나 할 수 있는) 치킨, 커피숍, 피시방, 음식점...등 이런 곳에만 사람들이 자영업을 오픈해서 문제인거죠. 이걸 해결하려면, ‘다른 영역’으로 창업을 유도해야 하는거고, 그걸 해내려면 철저하게 준비하고 배워야 하는거구요. 그런데 이걸 해결하기 위해 오히려 ‘반시장적 정책’으로서 일반음식점 등의 영역에 ‘진입장벽’을 만든다면, 헌법위반일 뿐 아니라, 큰 정책적 부작용이 생기고 경쟁 축소로 인해 개인의 자유와 창의는 크게 위축될겁니다.

  • @hojudeak9262
    @hojudeak92624 ай бұрын

    옛날 1980년도에 뉴욕 곰탕집 정말로 맛있어요. 닭칼국수도 했는데...지금도 생각나고 먹고싶어요.

  • @jennykkk

    @jennykkk

    2 ай бұрын

    맞아요 LA에도 엄청 오래된 설렁탕집 있는데 너무 맛있어요...

  • @user-dn4jj2rq7k
    @user-dn4jj2rq7k4 ай бұрын

    자영업자는 좀 줄어야 되는게 맞습니다..

  • @user-ol8zy5ox4h
    @user-ol8zy5ox4h4 ай бұрын

    자영업 비율 줄이면 참 좋겠지만... 사실 자원도 풍부하게 나오지 않는 이 땅에서... 대기업 제외하고 중소기업 들어가면 제대로 사람 구실도 못하는 이 땅에서... 모하고 살아야하죠???.. 학교에서는 인생을 잘사는 방법이 아닌 국영수 점수 올리기에만 매달리다가 자신의 꿈을 찾기란.... 참 힘들지않을까요???...

  • @GreenGoblin9

    @GreenGoblin9

    4 ай бұрын

    자영업도 좋지만 다 요식업에 들어가려고 하는것도 문제인거 같아요. 그것도 겹치는 유행하는 메뉴로만... 특색있는 식당을 찾기는 어렵고, 유행하는 음식으로 누가 제일 화려하고 저렴하게 만드는지 경쟁하는 느낌? 오히려 제 무덤파는 격이죠

  • @3040ttt

    @3040ttt

    4 ай бұрын

    공부가 자영업 보다 만배 편해

  • @karmin49

    @karmin49

    4 ай бұрын

    주식을 해야죠 ㅋㅋㅋ 정부는 주주환원 정책들을 강제로 늘려주고 처벌 강력하게 해줘야죠 미국 일본은 주식강국입니다 코스피 코스닥이나 박스권이지 쟤들은 계속 신고가를 갱신하는데

  • @monstershonda

    @monstershonda

    Ай бұрын

    @@GreenGoblin9 누가 요식업만하나요. 자영업은 다양합니다. 생각을 넓히고, 편견을 버리시길. 님이 보이는것만 세상이 아니에요.

  • @issueOn
    @issueOn4 ай бұрын

    공실인데도 임대로를 낮추지 않는건 낮추는 순간 건물 평가 금액이 내려가서 대출금액 일부를 토해내야 합니다. 건물주 대부분은 자영업자와 똑같습니다 대출 80프로 끼고 이자만 겨우 내며 허덕이는 건물주가 대다수입니다. 와 10억 건물! 부럽다! 부잔가봐! ㅠㅠ! 현실은 대출 8억 자기돈 2억입니다 그래도 자기돈 2억이나 넣었으니까 부자아냐?라고 생각하실수 있는데요 와 5억 건물! 부럽다! 부잔가봐! ㅠㅠ! 이러면 자기돈 1억 가량이겠죠 은퇴하고 여기저기 투자하며 대출끼고 건물 샀지만 이자내며 허덕이는 어르신들 많습니다 조금이라도 상권을 활성화하려면 월세를 어느정도 낮춰받아도 건물 평가 금액을 건드리지 않아야합니다. 그래야 낮아진 월세에 들어올 자영업자들이 생깁니다 하지만 아무도 이것에 대해 관심 없습니다 그저 "10억"이란 숫자만 보고 부자라며 공격하기 바쁘죠. 현실은 월세 받아 이자 갚고 남는게 없습니다.

  • @user-kh1mo2ir6t
    @user-kh1mo2ir6t4 ай бұрын

    어떻게 보면 위험한 생각입니다. 우선 모델들은 나라마다 다릅니다. 뉴욕같은 경우하고 한국하고 같은 선상에 두는것도 애매하고 자영업자 비율 낮추면 그만큼의 부작용도 있기 마련입니다. 경쟁이 줄어야 매출이 준다는 말도 사실 너무 애매 한 말이고요. 그리고 나라에서 그정도 하는게 나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자영업자 매출올리기가 정부가 할일도 아니지요 ...

  • @user-kc7kk2kk8d
    @user-kc7kk2kk8d4 ай бұрын

    의미심장한 제목일세 ㅎㅎ

  • @user-fm4lm3uf1e
    @user-fm4lm3uf1e4 ай бұрын

    반시장정책은 도처에 깔려있어요. 의료계도 그렇고. 결국 사회주의적 정치인들이 매표정책만 양산하면서 서로 싸우니까. . 차라리 기초수급자되고 차상위계층되는게 속편한 것일 수도. 모양빠지기는 하지만.

  • @user-tu1zr2db3x
    @user-tu1zr2db3x4 ай бұрын

    한국의 자영업 경쟁력은 굉장히 올라와 있지 음식맛이나 서비스나 ~ 근데 그 비율이 너무 많아 너무 힘들고 돈 벌어가지고 힘든 구조가 되었음

  • @user-bn9iw5cd2y
    @user-bn9iw5cd2y4 ай бұрын

    영상 마지막에 자영업의 수를 제한하던 줄이던 해서 고용창출이랑 경제활성화가 되도록 하는게 목표치라고 말씀하셨는데. 절반수의 자영업이 망한다해서 일자리 창출이 두배가 되지 않습니다. 저도 모든걸 다 알고 다 맞는건 아니기에 이거다 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제 생각에 제일 먼저 손보아야 할것은 소득분배구조를 손보아야지요. 있는자가 더 있게. 없는자는 더 힘들게 이런 구조에서는 절대적으로 개편이나 개선이 되지 않습니다. 이 부분에서 억울한 사람도 있고 환호하시는분들도 있겠지만 급성장을 한 나라이기 때문에 격차나 구조자체가 비정상적으로 돌아가는건 삼척동자나 어느 누가봐도 알거같이 확실한거 같습니다.

  • @user-sq5jo3lu7n

    @user-sq5jo3lu7n

    2 ай бұрын

    그냥 말도안되는 소리지 ㅋㅋ 이 영상은 불구경하겠다는거나 다름없음. 결국 마지막에 궤변이 나오잖아 ㅋㅋㅋㅋ 이런 영상을 만들면서 자영업에 대해 논하면 안됨.

  • @user-pz7ns5kk4o
    @user-pz7ns5kk4o4 ай бұрын

    아메리키노 울 나라 스벅 4500원 제주도 개인 카페 7천원 시부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utterflyintummy343

    @butterflyintummy343

    4 ай бұрын

    모든 물건이 제주도로 들어가는 비용이 다 비싸지 않나요? 제주도 택배비용 더 비쌌던 기억이 나네요. 그래서 음식비용도 비싸지 않나 싶어요.

  • @user-hm4el5ii4q

    @user-hm4el5ii4q

    4 ай бұрын

    수송비 생각해라

  • @nicechukim5880

    @nicechukim5880

    4 ай бұрын

    ​@@user-hm4el5ii4q 제주도 스벅은 그럼 7000원이니? 배송비 들어서? ㅋㅋ

  • @GreenGoblin9

    @GreenGoblin9

    4 ай бұрын

    ​@@nicechukim5880스벅 싹다 직영점이잖아요. 아예 사고 파는 양이 다름... 한 지점에서 손해봐도 다른곳에서 번 이익으로 매꾸면 되는데 개인카페는 본인이 다 해결해야되니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죠. 그래서 개인사업자는 대기업이랑 대등하게 경쟁할 수 없어요 ㅠㅠ 물론 비싸면 안 사먹으면 그만이지만.

  • @nicechukim5880

    @nicechukim5880

    4 ай бұрын

    @@GreenGoblin9 제주도에 개인카페가 커피원두를 수억씩 주문합니까? 제주도 개인카페가 비싼게 수송비때문이라는게 말이 됩니까?

  • @caesar-invest
    @caesar-invest4 ай бұрын

    자영업은 종합예술인거 같아요

  • @jejek790

    @jejek790

    4 ай бұрын

    모든게 다 그래요 사실 단순 노동도 마찬가지에요 따지고 보면

  • @monstershonda

    @monstershonda

    Ай бұрын

    @@jejek790 모든게 그렇지않습니다. 단순노동은 단순합니다 . 틀리신생각입니다. 논리부족

  • @mammos11
    @mammos114 ай бұрын

    4:09 창업의 자유보다 더 중요한게 생존의 문제!! 역시 배우신분의 생각이 우리랑 다르네.

  • @ukworld83
    @ukworld834 ай бұрын

    공급만 규제해서 될까요.... 수요가 딸리는데 미국 / 일본 같은 나라와 비교하면 안될것 같고 우리와 인구가 비슷한 나라와 비교해주심 더 좋을것 같네요. 내수경기로 먹고 살 수 있는나라와 비교자체가 좀... 이민이나 통일이나 파이를 크게 만들지 않으면 미래가 많이 어둡지 않을까 싶네요.

  • @mins2561
    @mins25614 ай бұрын

    장사의 신 주가조작 커넥션에 대해 전인구님도 방송 오픈했네요😢

  • @kangmiracle8670
    @kangmiracle86704 ай бұрын

    빡종원님 컨텐츠 잘 보았습니다. 저는 40년 차 치킨집 아들 입장(경험)으로써 저희 아버지 어머니께서 "10평" 치킨가게에서 40년 닭을 튀기면서 저희 형제를 키워온 것을 바라본 입장에서 한마디 드릴까 합니다" 미국에 간 고기국밥은 자영업 성공 일부 사례이지 자영업 다이어트의 근본 접근이라 하기엔 문제가 있습니다. 전체적인 문제의 핵심인 포화라고 할 만큼 자영업이 많다는 건 맥락은 동의하나 역사적 경제환경적 차이가 있는 미국과 다른나라 등의 단점을 부각시키면서 까지 말려야 한다는 건 겉멋만 든 이상한 접근 같습니다. 자영업의 경쟁율 하락을 위해 다이어트 이야기를 했지만 창업을 막는 원인을 누군가(정부가) 일부러 제공한다?는 게 정상적인 정책인지 궁금하네요, 미국의 생태계가 정부가 적극적으로 누가 다이어트 시켜서 그렇다고 생각하신거 같은데 이건 오류가 많은 접근입니다. 규제를 좋은 목적의 정책으로 잘 포장해서 설명 할 수 있는 자유민주주의 정부가 어디 있겠습니까? 빡종원님 말대로 자영업자를 다이어트 시키려면 임의적인 일부 성공 케이스의 외국 창업이야기를 할게 아니고 전체 노동시각에서 봐야하는 게 맞습니다., 대표적인게 인구경제적 접근 및 노동시장 은퇴자가 자영업으로 유입을 감소시키는 게 중요하지요 우리나라는 기성시대의 경제발전 및 노동시장에서의 경제경험이 가장 크게 작용 한 점이 있죠, 꾸준한 인플레 경제 상황에서, 그리고 1~2차 산업의 급격한 몰락(?) 과정을 지켜본 베이비 붐 세대의 선택은 자자영업이었죠 임금상송속도가 물가 보다 낮은 상황에서는 자영업이 메력있고 경쟁률이 높은 선택이었고 그렇게 신세대들에게 재교육(재사회화 )된 배경이 있는거죠 그래서 은퇴하면 "치킨집사장"이라는 예언이 높게 적중할 수 박에 없는거죠. 은퇴자나 경력이 단절된 구직자가 망할 가능성이 뻔한 시장으로 접근하는 건 그들이 시아가 좁아서나 말리는 사람들이 업어서가 아니라 이직경험 및 은퇴 이후 교육이 거의 없는 사람들이 창업을 선택하는 건 자연스러운 게 아닙니까 빡종원 님도 당장이라도 기자를 그만 두고 어떻게 먹고 살지 고민한다면 "창업" 이외에 "재취업"이나 "1,ㅡ2차산업 노동자 종사"라는 대안이 나오시나요? 결국 미래의 은퇴 후 치킨집 사장님들을 말리려면 은퇴자들을 노동시장에 다시 잔류시킬 다양한 방안을 만드는게 맞고, 임금노동의 매력을 증가시켜 자영업 유입을 차단시키는게 맞지요 직접적으로 백종원 같은 성공한 사업가가 "장사가 회사생활보다 어렵다"라고 외치는 모습을 자영업 TV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나와서 이야기하는 아이러니는 어떻게 봐야 하나요? 저는 치킨집 아들40년 차로 자영업을 선택한 부모님의 말로 차마 설명을 못하는 고난을 보고 자라면서 자영업 쪽은 아에 처다보지도 않을테고 "할거 없으면 장사하지"라는 주변사람들의 농담에 정색을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물가, 인구의 절반이 여러 문제 때문에 두개 지자체 도시에 몰려 살고 있는 이 근본적인 문제 접근을 하지 않는다면, 가로등 불빛에 모여드는 하루살이 신세와 같은 자영업자 선택은 증가할 수 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이쪽 세계 가로등이 너무 포화상태니 다른 "덜 밝은" 가로등으로 가서 살 길을 찾아봐 라고 하기 보다는 가로은 불을 끄는게 맞지 않을까요?

  • @acmilan90s28

    @acmilan90s28

    4 ай бұрын

    저 또한 외식조리, 호텔, 단체급식 종사로만 15년 가까이 조리 쪽 한 가지 일만 파고 있는 월급 쟁이 인데.. 아 창업해볼까 하다가도 요즘 경제 상황이나 뉴스들 보면 선뜻 꺼려지고. 그냥 월급이나 받으면 중간은 간다.. 마음가짐으로 살고 있습니다. 부모님이 40년 치킨집 경력 이라시니 더 와닿으시겠군요.. 전 영상의 빡종원 기자님의 말도 공감은 어느 정도 가지만.. 글쓴 분 말 처럼.. 미국과 한국의 경제구조 , 산업구조 그 외 은퇴 후 연금 이나 노후 관련 준비 및 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은퇴하신 기성세대 분들이 자영업 ( 노하우가 없으니 프랜차이즈 쪽 ) 으로 많이 빠질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미국 땅에 발도 들여본적 없는 저보다.. 댓글들 보니 미국 현지에 거주하시는 분들도 많은거 같은데.. 뉴욕에서 살아남는 다는게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는걸 알려주는 글들이 엄청 많네요.. 빡종원님의 소개도 좋지만 현실은 더한 장벽들이 많겠지요.. 저는 이제 서른중반 이지만 안정적인걸 추구하고 크게 도전하고 리스크를 감수하는걸 극도로 싫어하는 성향이라 그런지 몰라도.. 제가 자신하는 이 조리 기술을 가지고도 내가 편하고,친숙하고 좋은 이 대한민국에서 벗어나 미국이라는 곳에 가서 언어,문화,향수(그리움), 이런거 까지 감수하고 나가서 돈 벌어보고 싶다. 이런 마음이 안생기 더라구요.. 조리기술이 있는 사람도 뉴욕이나 미국가서 창업하기 걱정되는데.. 다른 사람들이라고 별반 다르지 않겠지요.. 전 자영업은 허가제로 할수도 없는거고 개개인에 선택에 따라 하는건데 정부정책 적으로 다른나라처럼 자영업 비율을 낮추고 경쟁을 완화시킨다는건 딱히 공감이 가진않고.. 글쓴분 말처럼 근로소득이나 임금시장이 매력이 있고 그게 낫겠다 라는 배경만 만들어주면 자영업 하라고 해도 안할사람이 더 많다는거에 공감합니다.. 전 빡종원 기자님의 의견도 건실하다고 생각해요.. 세계의 트렌드를 선도하는 뉴욕에는 이런게 요즘 열풍이다 이런것도 좋은소식 같거든요.. 하지만 뭐든지 명과 암이 있듯이 정보의 바다처럼 좋고,나쁜 정보가 많을때는 적절하게 자기한테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고 취득하는건 본인의 몫이자 능력이지요

  • @user-nr2lu1yr1y

    @user-nr2lu1yr1y

    2 ай бұрын

    본 컨텐츠보다 훨씬 훌륭한 참 좋은 댓글입니다

  • @user-sl4gm4vh5x

    @user-sl4gm4vh5x

    Ай бұрын

    그럴싸하게 포장된 영상에 살이 되는 댓글 크..

  • @dianekim4645

    @dianekim4645

    Ай бұрын

    sbs컨텐츠 답게 알맹이는 없고 허황된 사상누각 혹은 책상머리 조사 내용만 잘난척 떠드는 내용이 많죠 굳이 이런거 안보셔도 됩니다. 다 아는 얘기에 경험도 없는 일개 기자 사족만 붙인거니까요

  • @yoongheelee4312
    @yoongheelee43123 ай бұрын

    대기업 못들어가면 창업 둘중하나 중소기업은 죽어도 안들어갈려고 하는게 문제고 이미 대기업과 협업중소의 임금차이는 기본 2배 차이나고 심하면 3배까지도 봄

  • @irurys
    @irurys4 ай бұрын

    저는 약간 시각이 다른데 상권의 비율이 심하게 높습니다. 앞으로 저출산 시대에 앞서 한국의 건물주들은 곡소리가 날것이라 예상이

  • @user-rx6qi5hm3k
    @user-rx6qi5hm3k4 ай бұрын

    옛날에 주로 소고기국밥 먹었고 돈육은 수육이나 순대나 먹었지 돼지국밥은 구린내 난다고 잘 먹지 않던 음식이여. 경제수준은 높아졌는데 국밥 선호는 하향화됐네. 참 희안한 세상이다.

  • @sk2028

    @sk2028

    4 ай бұрын

    조리법이 많이 발달해서 지금은 그때와 다릅니다. 그리고 저기는 돼지 국밥이 아니고 돼지곰탕 이죠. 잡부위 넣지않고 신선한 순수 살코기로만 육수내고 하면 잡내 안납니다.

  • @PrettyT-rex

    @PrettyT-rex

    4 ай бұрын

    국밥 선호가 하향화 된게 아니라 돼지국밥 조리법이 상향화 된거 아님?? 돼지국밥에서 계속 누린내 났으면 사람들이 안찾았지. 그리고 돼지국밥에서 누린내 났다는게 도대체 얼마나 옛날을 말하는건지

  •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4 ай бұрын

    진짜 세상의 변화를 이해못하시는 분이네...

  • @jaejinkorea
    @jaejinkorea2 ай бұрын

    토론토에 오래 사는데 여기는 항상 먹던거 먹고 맨날 가는 식당 가지 새로운 곳 찾아다니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자영업 하기 좋음.. 맥도날드만 봐도 거진 십년동안 빅맥 쿼터파운더 두개가 다고 한국처럼 새 메뉴 안나옴

  • @maninbooks
    @maninbooks4 ай бұрын

    자영업을 식당에만 국한해서 보는 건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직장인들도 평생 천년만년 직장에서 월급 나오는 것도 어니고 결국 나와서 본인이 소득을 만들어야 하는 시기가 오는데 식당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회는 열려있습니다. 쉽게 가려고 하는 마인드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집에서 밥 해먹으면 2천원도 안하는 식사비가 요즘 식당 가면 1.5만원은 우습게 나오더군요. 쉬운 길 말고 제대로 된 길 찾으세요.

  • @white.8817
    @white.88173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원조국에서조차 요식업뿐 아니라 재건축재개발도 어마어마한 심사와 기간이 소요됩니다. 당장 한표얻겠다고 그과정을 삭제하거나 없애버리는 짓은 하질않죠.

  • @user-bh5tf8hj4h
    @user-bh5tf8hj4h3 ай бұрын

    다른거 다 필요없고 딱 하나만 정하면됩니다. 특정구역 제외하고 업종마다 일정거리 일정갯수 동일업종 오픈제한만 두면됨. 무슨 구역하나에 같은업종 가게 여러곳이 있는건지; 이런 문제만 해결해도 자영업자 경쟁으로 뒤질일은 거의없음

  • @joelyoo9751
    @joelyoo97513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에 10%가 남을때까지 줄이는 걸 국가가 목표로 삼아야한다고 하시면서 모든 자영업자가 대박터지길 바라신다는 말을 들으니 오묘하네요 😅 10%정도가 될때까지 경쟁으로 살아남을 생각을 해야겠군요 재밌게 잘 봤습니다

  • @user-sq5jo3lu7n

    @user-sq5jo3lu7n

    2 ай бұрын

    그냥 자영업에 대해 조사한것도 없고, 아무것도 모르면서 수치만 보고 얘기하는것같음. 그냥 남 망하는거 내 일 아니고 재밌어보이니 조회수 빨겸 영상하나 만드는거지 ㅋㅋㅋㅋ 나랑 상관없는 일이니까 이런 영상내용이 나오는거임. 결국 자영업 비율이 줄어야한다는게 틀린말은 아니어도 이런사람이 자영업에 대해 감히 충고를 하면 안되는거지

  • @daekwon82
    @daekwon824 ай бұрын

    영상내용 너무좋았습니다!후속도!부탁드려요

  • @user-pn2to1nb4f

    @user-pn2to1nb4f

    3 ай бұрын

    해봐야지 후회하겠지요

  • @user-gr2jw1zo4y
    @user-gr2jw1zo4y3 ай бұрын

    16:00 하지만..그렇게해버리면 일자리문제가 최악으로 돌아올거라 천천히 줄여야할거같네요

  • @seulgilee483
    @seulgilee4834 ай бұрын

    10:09 ??????????????????????? 뉴욕엔 저가형 브랜드가 아예 없나요? 몰라서 물어봄... 이 자료 출처가 궁금하네요

  • @doyunkim8112
    @doyunkim81124 ай бұрын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거나 기존 일자리의 복지와 임금이 상승하는 등의 매리트가 있어야 자영업이 줄어들텐데 대기업도 허리띠 조이고 감축하기 바쁜게 현실이죠.

  • @user-mm8ri1fy1z
    @user-mm8ri1fy1z4 ай бұрын

    유튜브나 요리책에 나와있는 똑같은요리 평범한음식 이런걸로 창업하면 자리가좋지않는이상 무조건망함... 장사잘되는맛집찾아다시면서 몇년이고 연구해서 확고한레시피를 개발해야함

  • @user-ve6qx8gj5c
    @user-ve6qx8gj5c4 ай бұрын

    미국은 노팁. 세우고 한식제대로 한다면 망할일없을듯. 근데 중요한건 제대로....

  • @user-hx9xf3yz2e
    @user-hx9xf3yz2e4 ай бұрын

    다른 얘기지만 부동산 가격이 낮춰져야 자영업자가 숨쉬고 국민의 소비가 활성화 될 듯

  • @sinko0202

    @sinko0202

    4 ай бұрын

    그럼 자영업이 더 생기겠지. 그럼 더 경쟁이 심해지고. 발전이 아니라 치킨게임만 되겠지. 그럼 결국 제자리일테고. 부동산 가격이 문제가 아니라, 불필요한 경쟁이 너무 많다는게 문제인거다.

  • @user-wx7sr9xi3e

    @user-wx7sr9xi3e

    4 ай бұрын

    부동산 가격을 낮춰야 하는게 아니라 5인미만 사업장 최저임금을 낮춰야지

  • @realstudios6797
    @realstudios67974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어느정도 공감은 합니다. 하지만, 왜 한국이 자영업자가 늘어 날수 밖에 없는지.. 서울시에만 38,000여개의 커피숍나 있는지를 먼저 생각을 해봐야하지 않을까요? 간단하게 저를 예로 들자면 서울에서 모 대기업에서 근무를 하다가 36세에 회사에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36세라면 이직도 쉽지않고 그렇다고 시급이 세다고 해서 아르바이트를 구할 수 있는 곳도 많지 않습니다. 만약 가족이 있으면 뭐라도 해야하는데 이럴때 할 수 있는 것이 프렌차이즈 자영업이나 개인 자영업이 되겠지요.. 저처럼.. 자영업에 입문할 수 있는 문턱을 낮추는 것은 정말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이전에 왜 자영업에 뛰어들 수 밖에 없는지를 먼저 고민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근처의 일본처럼 직장을 다니면 크게 사고만 생지기 않는 이상 보통은 정년까지는 근무가 가능합니다. 못해도 아이들이 독립을 할 수 있을때까지는요. 하지만 한국은 현실이 그게 안됩니다. 자영업자의 문턱을 높이기전에 적어도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사람들, 그리고 지금도 사회생활을 하는 분들을 위해서라도 더 오래 회사생활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졌으면하는 바램입니다.

  • @cashewnut1951

    @cashewnut1951

    3 ай бұрын

    회사가 무슨 자원봉사 단체인가요? 카페가 3만8천개가 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직업차별 문제때문에 그렇습니다. 당장 경기도 주변 농업이나 제조업만 보더라도 한국사람은 사장밖에 없고 모두 외국인입니다. 중소기업 5인이하 자영업관련 직원들 모두 마찬가지로 차별까지는 아니지만 비교문화 때문에 비교질 당하는 직업이죠. 우리나라는 조금만 작은 회사에서 일하거나 밖에서 일하거나 1차산업 분류관련이거나 먼지타는일 옷이 더러워지는일 손이 더러워지는일 등등 인서울 화이트컬러에 준하는 직업이 아니면 깔보고 무시하거나 갑질하는 경향이 있고 이로 인해 직업 자체 가치가 낮아져 임금 또한 낮습니다. 건물주도 흙이랑 시멘트 묻혀가며 일해주시는 건설노동자들이 없으면 건물을 못짓는데 서로 필요한 것을 해결해주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생각해야지 건물 하나 짓는다고 자신은 높은 신분이고 일해주는 사람은 낮은 신분으로 취급. 계속 같은 말이 반복되는데. 직업차별 문화가 사라져야 40대들 퇴직을 하더라도 좀더 폭넓은 직업을 선택할 수 있을텐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주 복잡하고 경제체계까지 관련이 되기 때문에 상당히 어려운것 같습니다. 불가능한게 우리나라 국민성 자체가 이미 남눈치를 더럽게 많이보는 자존감 바닥수준이기 때문에 이부분은 불가능하다고 생각이드네요.

  • @dianekim4645

    @dianekim4645

    Ай бұрын

    36이 왜 이직이 안되는 나이죠?? 아직 한참 일할때고 관리자급 나이도 아닌데?? 스스로 포기하고 그냥 잘 모르니까 프차 접근한건데 변명이 구차하네여

  • @user-hz3hy9cl3h
    @user-hz3hy9cl3h2 ай бұрын

    오 그래서 드라마 리액션볼때 국밥씬 반응 좋았던거구나

  • @h56g48
    @h56g483 ай бұрын

    자영업 비율의 분석 : 프랜차이즈의 경우도 가맹점주가 개인 사업자를 내는 경우가 대부분 -> 겉으로 보기에는 체인점이지만 자영업으로 카운트됨 결론 : 자영업 비율에 허점이 있는거 아닌가 비임금 근로자 기준 : 4대보험, 세금 문제로 근로소득이 아닌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경우가 많음. 이 경우에도 비임금 근로자가 낮아져서 자영업 비율이 높아보이는 효과

  • @user-ub6zj5eo3r
    @user-ub6zj5eo3r4 ай бұрын

    자영업 쉽게 할 수 있게 만드는 프렌차이즈를 규제해야 자영업 숫자가 줄어들건데 그렇다고 자영업 비율을 10%대로 줄이면 그만큼 양질의 다른 일자리가 늘어나나요? 건물주 걱정은 할 필요 없으니 건물공실은 아예 생략해도 되지만 자영업 줄어든 만큼 더 늘어난 사람들은 어떤 일을하며 먹고 살라는 겁니까? 2~300 받고 좆소에서 일하라는 겁니까?

  • @user-fu6pd3fn5n

    @user-fu6pd3fn5n

    2 ай бұрын

    이거죠 자영업 비율이 줄어야 하는 것은 맞으나 그걸 주장하려면 질 좋은 다른 일자리가 많이 제공되어야 하죠 근데 AI 발전 속도를 보면 일자리는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이니... 한국 서민 삶은 더더욱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해서요.

  • @user-vd5gc3ky9z

    @user-vd5gc3ky9z

    29 күн бұрын

    니 수준이 좆소면서 왜 좆소타령하냐 니가 대기업할 깜냥이면 이러지도 않겠지

  • @JeffG575
    @JeffG5754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창업이 오래 걸리는 가장 큰 이유는 행정 처리 속도가 늦는 이유가 가장 큽니다. ... 좀 정확한 정보를.....

  • @user-cn4wc8gt3b
    @user-cn4wc8gt3b17 күн бұрын

    기본산업이 불안정 하니까 적당한 일자리가 적고, 자영업으로 내몰리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자원없는 지리적 요소도 한몫하구요

  • @dragonadminkorea
    @dragonadminkorea4 ай бұрын

    드디어 공중파에서도 장신 다루나 했더니 아니구만 ㅋㅋ

  • @user-wj7pv2jt8o
    @user-wj7pv2jt8o4 ай бұрын

    자영업자 3%생존 97%폭망

  • @user-ex7gz6fe4o
    @user-ex7gz6fe4o3 ай бұрын

    기념품 옆 기념품도 있고요

  • @user-gt4oi7cb5e
    @user-gt4oi7cb5e4 ай бұрын

    자영업자입니다.. 요즘 주변에 망해나가는 가게들 보면서 빚 안지고 생활이어나가는것에 감사하면서 살고있어요. 투자금과 일하는시간(직장인의 거의 2배...😢)를 생각하면 수입이 더 많아야할것 같지만...

  • @user-jh8rz4kw7k
    @user-jh8rz4kw7k4 ай бұрын

    프렌차이저점이 오히려 독이 될수있네요

  • @user-kh1vz1rm2f
    @user-kh1vz1rm2fАй бұрын

    매출보다는 순이익이 더 중요합니다. 특히 배달업종은 배민,쿠팡 때문에 순이익이 반토막입니다.매출만 높으니~ 4대보험,& 부가세 & 종합소득세 등등 다 올라가고 통장엔 돈이 안 쌓이는 현실!!!

  • @worldisnow3236
    @worldisnow3236Ай бұрын

    이미 진입한 자영업자수를 줄이는것은 쉽지 않은 문제인 거 같은데요. 말그대로 그분들은 생계가 달린일일텐데.. 그부분을 줄이고 다른 업종 전환을 한다는것은 ... 국가적인 정책이 필요할듯보이네요

  • @TheSuhj5251
    @TheSuhj52514 ай бұрын

    한국 자영업자 채무 중 세부 비율을 따져봐야하고.. 미국 순대국밥 집은 아직 진행중 아닌가..

  • @blackat9052
    @blackat90524 ай бұрын

    빡종원 넘 재밌다

  • @user-bz2wg3jc4x
    @user-bz2wg3jc4x4 ай бұрын

    식당도 등록제 제한제로 하면 경쟁자도 줄고 적자생존에서는 어느정도 벚어 날수 있지만 누구는 특혜준다고 난리 날걸요? 이게 논란이 20년전부터 있었어요... 그래서 정치권에서 섣불리 하지 않는 이유죠.

  • @user-ym9jh4wx2x
    @user-ym9jh4wx2x4 ай бұрын

    와... 기자님 뉴욕 특파원시절 사진보다 십수년 젊어지신듯...

  • @minkim6879
    @minkim68794 ай бұрын

    자영업자 수를 절반으로....타노스좌 그는 대체 ... 어디까지 미래를 본거여 ㄷㄷㄷ 인류 절반으로 감축....제한정책... 타노스가 지금 생각해보니 옳은말 한거같기도 하고 ㅎ 참 ㅎ ;;;;

  • @sungyomg8360
    @sungyomg83604 ай бұрын

    우리나란 자영업자 다출 잘해주니까 단돈 1000만원으로 창업함. 미국은 애초에 현금많은 부자들이 3억쓰고 창업함

  • @spin2902
    @spin29024 ай бұрын

    여기에 빠진 문제점중에 하나가...그러면 왜 사람들은 자영업에 이렇게 뛰어들까 하는 이유가 없음..그냥 자영업 줄여야 합니다!만 설명하는데 원인은 빠져있으니..설득이 되나..양질의 일자리가 없으니 이 문제가 생긴거 아닌가..

  • @IEETV_MOA
    @IEETV_MOA4 ай бұрын

    자영업자들의 비율을 줄이는것에 동의는 합니다만..... 그것에 따르는. 즉, 자영업을 그만두고 뭘하라는건지는 답이 없는 문제같습니다. 이거를 또 과거의 과오로 생각해보면 오래일할수 있는 직장은 IMF이후로 점점 줄어들었으며, 그로인한 정직원은 남의 일이 되어버렸고, 전부 계약직이나 잠깐 일할수밖에 없는 일들이 더 많은데 이 문제부터 해결을 해야 사람들이 자영업으로 넘어가지 않을까 합니다. 자영업말고 새로운 일자리들이 많아야 사람들이 자영업을 하지않고 일을 할텐데 우리나라는 그런 직장이 적고, 심지어 오래 일할수도 없어요. 그러니 너도 나도 자영업에 뛰어드는거죠. 먹고는 살아야하니까요. 솔직한 이야기로 IMF도 국민들이 잘못해서 그런게 아니라 대기업들의 부도를 국민들에게 책임전가 한거 아닙니까. 아직까지 우리나라 국민들이 너무 착해서 지금까지 참고있었던거라 생각됩니다. 이런 문제가 다른 나라에 있었으면 국민들이 가만히 있지는 않았을텐데 말이죠. 내가 열심히 살았는데도 잘 못산다면 그건 여러분의 책임이 아니라 나라가 당신들을 방치해서 그런겁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은 내가 모자르고 더 열심히 살지않아서 이렇게 된거라고 스스로 자책을 하죠.

  • @user-sw7je2ur7d
    @user-sw7je2ur7d4 ай бұрын

    우리동네..한 도로에 치킨집이 무려 5개가 주루룩~~ㅎㅎㅎㅎ길 지나다가 보면 어이없어서 웃음이 나오더군요.거짓말 아니고 정말 그렇습니다.한 200미터 되는 도로에 치킨집 5개,화장품 체인점 4개,비슷비슷한 식당들 주루룩~~ㅎㅎㅎㅎ미용실도 한 도로에 3개나 있구요.맞은편 도로도 마찬가지 ㅎㅎㅎ

  • @user-zl2qz2en2w
    @user-zl2qz2en2w4 ай бұрын

    방법이 없다. 인구가 줄어드는데 백약이 무효하지.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수요' 자체가 줄어든다는 거.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가속화되는거고 잘되는 가게만 잘되고 나머진 다 안되는 상황이 벌어지는 거라 '잘되는 가게'가 되고 경쟁 떨구는 방법이 중요한데 이건 자본이 빵빵해야 가능. 즉, 규모의 경제가 형성된 프랜차이즈정도만 살아남고, 소규모 업장은 아주 맛집아니면 명소가 되야 가능. 그외엔 다 나가리.

  • @cortana6886

    @cortana6886

    4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거기에 부동산 대출이자에 코인에 미친가계 부채가 건국이래 최대치인데 당연히 소비부터 바짝줄이고 외식줄이고 쇼핑줄이는거죠. 잘되는놈만 살아남는놈만 자연히 남는 시대로 알아서 가고 있음.

  • @user-zl2qz2en2w

    @user-zl2qz2en2w

    4 ай бұрын

    @@cortana6886 그 잘되는 사람은 극소수고요. 필리핀 루틴으로 가는거 같습니다.

  • @user-is3wo3cu4c
    @user-is3wo3cu4c4 ай бұрын

    양질의 일자리만 넘쳐난다면 자영업자 비율이 늘어나겠는가? 결국 노동 정책 실패와 친기업적인 정부 정책 그리고 부자와 기업 재벌이 잘살아야 그로 인한 낙수효과로 고용이 일어날것이라는 전 근대적인 마인드로 인구감소 및 저출산 문제를 야기 하였으며 국가원동력 상실로 인한 국가 존폐위기가 초래되었지~

  • @moonster1632
    @moonster16324 ай бұрын

    해외에서 자리만 잘 잡으면 한달에 2천 3천씩 가져가지....물론 지점 더 늘리면 더 가져가고 스테레스 받고 ㅎ

  • @jyj5326430
    @jyj53264303 ай бұрын

    메가커피 매장에서 일하고 있는데 같은 건물 기둥 하나 사이로 이번에 컴포즈 들어왔어요,, ㅎ

  • @TAB022O
    @TAB022O4 ай бұрын

    중요한건 일본음식이 미국이나 외국등지에서 오래 갈수 있었던것도 그들만의 남을 배려하는 문화가 있었기 떄문임... 걱정스러운것은 한국은 오히려 그 누리는 기간이 일본음식보다 짧을수도 있다는 생각을 함.....

  • @user-fe1dz4ev8d
    @user-fe1dz4ev8d4 ай бұрын

    체인점이 너무 많은게 문제 아무 노력도 없이 돈만 있음 가게를 열수 있음

  • @kururu2117
    @kururu21174 ай бұрын

    공장,농촌에서 근로자로 일 해야 될 사람들이 사장님 소리 들어보겠다고 자영업에 몰려버리니 자영업은 과잉경쟁이 되고 공장,농촌은 내국인이 텅 비어 외노자로 채워야 하는 안타까운 현실!

  • @user-er6hi2jk6s
    @user-er6hi2jk6s4 ай бұрын

    지금 중국집 창업 어떤가요? 배달없이 홀집할까 하는데

  • @traitorKaryl
    @traitorKaryl4 ай бұрын

    13:01 이 부분은 사기꾼들도 많이 있을 수 있으니 좀 주의할 필요가 있을 듯

  • @user-ji4mi1gi3z
    @user-ji4mi1gi3z2 ай бұрын

    카드수수료 자영업자 낮추는건 자영업자보호정책도 있겠지만 결제이행성공률이 매우 높으니까 라고 봅니다 무이자할부 결제하는 온라인쇼핑이랑 밥먹고 30분내에 일시불로 결제하는 사람이랑 결제수수료가 같으면 불공평하니까요 자영업자 여도 고객이 30만원짜리 3개월할부로 먹는사람이 많으면 결제수수료를 올려받아야 겠죠, 일시불보다 3개월 완납을 할 가능성이 낮으니까

  • @zach214able
    @zach214able4 ай бұрын

    그냥 이거 같습니다. 내로남불. "내가 너희들보다 더 많이 만 원이라도 더 벌거야" 이런 생각들이 깔려 있는거고 경쟁도 그만큼 치열하니까요.....우리가 사는 세상은 내로남불 세상이라고 생각합니다.

  • @enfrance6669
    @enfrance6669Ай бұрын

    그 어디에도 자영업자를 위한 낙원은 없습니다. 그렇게 좋은 투자처 혹은 일자리를 외국인도 가능하게 열어주는 국가는 없을뿐더러 이미 내국인들끼 박터지게 경쟁하고 있는 시장이었겠죠. 인터뷰 보면 미국이 훨씬 자영업하기 좋아보이지만 발생한 순수익으로 누리는 삶의 질은 대동소이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돈을 들고 한국으로 돌아온다면 달라지겠만. 우리나라 자영업 비율이 높은게 문제는 맞지만 저출산이랑 거의 똑같은 원인이니 해결하기 쉽지는 않을것이라 생각됩니다

  • @ldne0323
    @ldne03234 ай бұрын

    최저임금 올리지 말라는 자영업자가 최저임금인 곳엔 취업을 안하니까. 그래서 그 최저임금으로 자영업자 사주던 사람들도 자영업으로 바꾸거든.

  • @jjjang5209
    @jjjang52094 ай бұрын

    집에서 20분 걸리는 프렌차이즈 아닌 순대국 집에서만 포장을 해서 먹습니다 가격은 12,000원 주변 시세 보다 2~3,000원 비쌉니다 영업시간 오전, 오후 4시간씩 브레이크 타임 2시간 임대료는 비싼편 상권은 그다지 위치도 안쪽에 어중간하고 유동 인구도 별로 없습니다 일요일 쉽니다 테이블은 4인용 12개 정도 직원은 8명 정도로 보입니다 배달은 안 합니다 큰 뚝배기에 순대와 살코기가 가득 들어 있습니다 원하시면 부속 고기도 많이 넣어 줍니다 싸구려 비계는 없습니다 영업시간에는 항상 줄서 있습니다 밥은 무한리필이며 한 개만 포장해도 성인 두 명이 먹기 충분합니다 전 이 곳이 너무 좋습니다

  • @jejek790
    @jejek7904 ай бұрын

    근데 누구 좋으라고 정부에서 지원해주나요? 나가면 남 될것이 분명한데 북한이 북한 국민들 왜 못나가게 막을까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