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집 둘째 아들..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삼성 가문인데 쓰러진 새한그룹 이야기 / 소비더머니

삼성그룹 이병철 창업주의 차남 이창희 회장과 그 가족들이 이끌던 새한그룹.
삼성에서 분리된 직후까지 재계 27위의 위상을 유지했지만 새한그룹은 IMF외환위기를 겪으며 급속하게 무너졌습니다.
그룹 해체에 이어 총수 일가까지 연이어 비극적 최후를 맞은.. 삼성家의 아픈 손가락, 새한그룹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삼성그룹 #새한그룹 #재벌집막내아들

Пікірлер: 523

  • @jiwonahn9325
    @jiwonahn9325 Жыл бұрын

    새한미디어 다녔었어요. 특히 장남 이재관사장님은 직원들한테 잘해주실려고 복지에 신경써주셨던거랑 인자하셨던거 기억해요... 경영난 때문에 이렇게 됐지만..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user-tu2uj4mz1w

    @user-tu2uj4mz1w

    Жыл бұрын

    나도 새한미디어 인천공장에 근무했었거든요..충주공장 안가고 바로 퇴사했어요

  • @user-jx9ie8wn5k

    @user-jx9ie8wn5k

    Жыл бұрын

  • @user-xx3yq1zh5f

    @user-xx3yq1zh5f

    Жыл бұрын

    개돼지들 신경써주니 망했구나

  • @iliilliiiliil8385

    @iliilliiiliil8385

    Жыл бұрын

    인자하기만 하고 능력이 없으니 회사가 망하지

  • @hdk4049

    @hdk4049

    Жыл бұрын

    경영자가 인자한게 좋은건가? 차가워도 일을 잘해야지. 요즘은 뭔가 우선순위가 바뀐거 같네. 직원 복지가 있기전에 회사가 있어야 그것도 있는거지

  • @user-tk1yk9dg7p
    @user-tk1yk9dg7p2 жыл бұрын

    지금 와서 보니 정말 직원에게 환경좋은 회사였음. 사택부터 기숙사. 모든면에서.. 막상 나오고나니 눈에 차는 회사가 없었다. 삼성이랑 삐까했었다는....그눔의 imf. 시대변화에 늦음이 정말 아쉬웠던 새한..

  • @user-qg2zj1yh6z

    @user-qg2zj1yh6z

    Жыл бұрын

    그렇구나

  • @user-hv7yj7ky2o

    @user-hv7yj7ky2o

    Жыл бұрын

    아 그랬군요.

  • @neorhee87

    @neorhee87

    Жыл бұрын

    당시 직원이셨나봐요

  • @user-qz3iz6ek5z

    @user-qz3iz6ek5z

    Жыл бұрын

    국가 수장의 싸인

  •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회장일가가 연애결혼에 창업주인 아버지까지 고발한걸로 봐서는 성격 자체가 그냥 좋은게 좋은거인 사람은 아니었나봐요 지금은 비록 망했지만 앞으로 어떻게될지 모르죠 사원들에게 잘했던만큼 본인이 원하는 건전한 기업을 만둘고 싶었나바요 그 사실은 변함없으니 나중에라도 꼭 빛을 볼거라고 생각합니다😊

  • @user-yc7mx2le2p
    @user-yc7mx2le2p Жыл бұрын

    그 아들 두분이 너무 비극적으로 마감한것에 대해 마음아픕니다 정말 새한 미디어 잘 나갔었는데 1년에 한번씩 가족들 모여 가수들 초청해서 노래자랑도 열렸고 그때가 행볷했던 순긴이 많이 떠오릅니다 보너스도 좋고 선물도 분기별로 주고 아버님 이창희 회장이 돌아가셔서 더 기울어진것 같아요 넘 안타까웠습니다

  • @user-xs6ht5fe9e
    @user-xs6ht5fe9e Жыл бұрын

    운이없었다고생각드는데요 ... 운이란거 정말무시못해요

  • @centurionrome8161
    @centurionrome8161 Жыл бұрын

    삼성일가 후손들 중 누구보다도 독보적으로 인물들이 핸섬하고 다들 인상들이 좋았는데.....

  • @HA-S-POT
    @HA-S-POT2 жыл бұрын

    새한그룹의 주력 사업이자 쇠락의 길을 걷게한 비디오테이프 배경의 섬세한 표현이 이번편에 두드러지네요. 좋습니다.

  • @hyeoungjun6887

    @hyeoungjun6887

    Жыл бұрын

    새한도레이는 옛날 아남계열 엠코테크 놀로지처럼 시대적 흐름에 맞춰서 VHS를 계속 줄이고 그거로 90년대부터 산업의 쌀 인 반도체의 도레이 지분을 사들이고 IMF 에 대비 했다면 그건 살아남았을듯

  • @greenthumbk

    @greenthumbk

    9 ай бұрын

    ​@@hyeoungjun6887ㅇㄱㄹㅇ

  • @user-kp8ck2qv4t
    @user-kp8ck2qv4t Жыл бұрын

    기업이 계속 가기 위해서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건지 조금만 뒤돌아보면 알수 있죠....리더가 시대를 미래를 제데로 읽어내지 못하면 바로 도태되는 그야말로 정글의 법칙 약육강식인거죠..재막아보면서 2회차를 사는 진도준보다 이병철이건희의 삶이 더 주목되고 다시 보게 되네요 정말 대단하셨던 분들 존경합니다 감사합니다

  • @jhj3483
    @jhj34832 жыл бұрын

    90년대 비디오가게 세대로써 새한 홈 비디오 정말 잘 나갔고 유명했습니다. 새한에서 출시한 그 수많은 명작비디오들로 즐거웠던 영화 팬들.. 참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2 жыл бұрын

    새한도 쨌든 일본기업들과 합작해서 기술이전받은거임. 애초애 VHS테이프는 일본 빅터가 1985년에 세게최초로 만들엇으니. 고작 3년만에 그 특허를 피해서 만드는건 불가능함.

  • @user-qf1vt4nf3m

    @user-qf1vt4nf3m

    2 жыл бұрын

    @@user-ih5lp5qd6s 그게 왜여?

  • @kulkul9803

    @kulkul9803

    2 жыл бұрын

    @@user-ih5lp5qd6s , 그래서, 왜?

  • @user-ue3cf3be5d

    @user-ue3cf3be5d

    Жыл бұрын

    새한미디어에서 근무한사람입니다 환경너무좋았어요 기숙사에미용실까지 ㅎㅎ

  • @AKARAKA75
    @AKARAKA75 Жыл бұрын

    2000 까지 새한 본사 에 근무 했는데 경영진들이 노력을 안한것이 아님 흐름을 읽고 MP3 와 키토산 을 처음 개발 했지만 여러 악재가 겹쳐서,,

  •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Жыл бұрын

    항상 성공 스토리만 듣다가 실패 스토리 들으니까 또 색다르네. 그것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나가는 삼성가에서 생활고를 겪는 사람이 있었다니... 정말 인생 모르는 거구나.

  • @Sara-qo2rk
    @Sara-qo2rk2 жыл бұрын

    불운이 연이어 달려오는데 창업주는 가버렸고 후계자는 아직 준비되지 못했고 그들을 뒷받침해줄 능력있는 사람들도 없었던듯 싶네요 부자는 망해도 3대를 간다 의 완벽한 반례

  • @user-nm1pw7fx6n

    @user-nm1pw7fx6n

    2 жыл бұрын

    뭔 소리, 망했다지만 일단 돈 걱정은 안하고 살아요 자손들은 집, 차, 유학, 입는거 먹는거 하고 싶은거 다하고 삼. 저쪽은 그사세임

  • @ssss-re6hy

    @ssss-re6hy

    2 жыл бұрын

    29세에 가업을 이어받아 성공한 한화 김승연 회장과는 대조가 되네요

  • @sanmicheal6754

    @sanmicheal6754

    2 жыл бұрын

    @@user-nm1pw7fx6n 아닌데... 저 저 집안 사람이랑 노가다 뜀. 함바식당 겁나 좋아함

  • @user-qy8sm1gn3z

    @user-qy8sm1gn3z

    Жыл бұрын

    @@user-nm1pw7fx6n 잘모르면서 쓸데없는얘기 하지마라, 이창희회장의 아들 이재선은 생활고를 견디지 못하고 아파트에서 뛰어내려서 자살을했다,도대체 무슨 돈걱정없이살았다는것인가,월세도 몇달씩이나 밀렸었는데...

  • @user-fj1zm6hl3d

    @user-fj1zm6hl3d

    Жыл бұрын

    @@user-qy8sm1gn3z 맞아요 주변 마트에서 외상도 했다고 나왔어요 ㅜㅜ

  • @user-cb5cb1vg3j
    @user-cb5cb1vg3j2 жыл бұрын

    맨날 금수저 부러워하고 재벌처럼 돈 많은 걸 선망하지만 기업들의 흥망성쇠가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다 쥐고 태어 났지만 살면서 얼마나 많은 선택을 해야하며 노력을 해야하는지 세상에 정말 공짜는 없는 것 같네요

  • @wingmino4807

    @wingmino4807

    2 жыл бұрын

    금수저 물고 태어나서 망한 사람들은 원래 없던 흙수저들보다 정신적으로 더 괴롭지 않을까..

  • @deltax9471

    @deltax9471

    2 жыл бұрын

    재벌이 되기까지의 리스트테이킹과 운 실력 즌든 모든게 갖춰져야.. 수많은 회사들이 망해가기도 하고 그 리스크 피하기위해 월급쟁이로 살면서 부자되길 바라는건 욕심인거같아요 라고하지만 저도 사업은 선뜻 시도하기 무섭네요

  • @Shavin.

    @Shavin.

    2 жыл бұрын

    재벌가에 있으면 하루 하루 스트레스 장난 아닐꺼같음... 돈이 다가 아님.. 걍 평범하게 사는게 제일 나음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 @user-iz9vh7th4u

    @user-iz9vh7th4u

    2 жыл бұрын

    왕관을 쓰려면 그 무게를 견뎌라

  • @user-xv8bo8xd2h
    @user-xv8bo8xd2h2 жыл бұрын

    cj 삼성은 아직도 굳건한거 보면 오너가 결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움

  • @user-dt7kg9il3n
    @user-dt7kg9il3n2 ай бұрын

    인상도 좋으시고 선한 심성을 가지신 분인데. 시대의 흐름을 재대로 읽지 못하신거 같아요. 투신후에 시신을. 친구가 거뒀다는. 말을 듣고 같은 혈연들끼리 참 냉혹 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 @user-mj7pk2sn1z
    @user-mj7pk2sn1z2 жыл бұрын

    이창희 회장이 너무 빨리 세상을 떠난 것도 하나의 원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보통 후계자의 경영 수업이 학문적으로는 설명하기 어렵고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지식도 있는데, 두 아들이 그런 면에서는 아버지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지식을 배울 기회가 없었다고 해야 할까요.

  • @user-em6mn9ts8n

    @user-em6mn9ts8n

    2 жыл бұрын

    전문경영인에게 맡겨야죠.

  • @yhchoi171

    @yhchoi171

    2 жыл бұрын

    @@user-em6mn9ts8n 그놈의 전문경영인ㅋㅋㅋ 창업주한테서 부터 쭉이어진 전통이 본인이 말하는 전문경영인이죠 전문경영인이 갑자기 끼어들어서 성공한 기업사례 나열좀요

  • @sysj8559

    @sysj8559

    2 жыл бұрын

    @@yhchoi171 응 애플(팀쿸) 미만 잡

  • @sysj8559

    @sysj8559

    2 жыл бұрын

    @@yhchoi171 코카콜라 제친 펩시

  • @sysj8559

    @sysj8559

    2 жыл бұрын

    @@yhchoi171 다죽은 기업 살린 amd

  • @boramskyhan
    @boramskyhan Жыл бұрын

    삼성에서 너무 일찍 독립했던 부분이 컸습니다 그리고 시대의 변화에따라서 변화의 부분과 시대적인걸 따라가지 못했던 부분이 제일 아쉬움이큽니다

  • @user-zu6dn3mb4l
    @user-zu6dn3mb4l2 жыл бұрын

    무능한 사업가의 자식만큼 고통스러운 것이 없습니다. 차라니 아무것도 없는 부모의 자식이라면 처음부터 시작할 수 있겠지만 성장한 기업을 유지시키는 것은 더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이창희 회장은 이병철 회장에게 구조요청을 보낸 그 시기부터 몰락하고, 자식에게 씻을 수 없는 죄를 남긴 것입니다.

  • @user-hs3mh8vi4o

    @user-hs3mh8vi4o

    4 ай бұрын

    사업실패하면 새끼 난닌구 하나 살돈도 없기도해요....ㅋㅎ

  • @thepeters75
    @thepeters752 жыл бұрын

    아들에게 사장들에게 찾아가서 사과하라고 한 이병철회장이 정말 대단한 사람.

  • @std3786

    @std3786

    Жыл бұрын

    일본 가바ᆢ일본사장들은 직원에게도 머리 숙여

  • @thepeters75

    @thepeters75

    Жыл бұрын

    @@std3786 왜 반말?

  • @lemonadeper

    @lemonadeper

    Жыл бұрын

    @@std3786 너부터 사과해

  • @user-jm7rv7do9f
    @user-jm7rv7do9f2 жыл бұрын

    cj와 자주 비교되는데 cj는 손경식 회장이라는(이재현 회장 외삼촌. cj가 회장이 2명인 이유) 강력한 멘토가 있었고, 새한그룹은 그런 멘토가 없었던게 차이인 거 같음. 만약 반대 상황이었으면 새한그룹이 대기업이고, cj는 중견식품회사에 머물었거나 몰락했을 듯.

  • @hyeonseokjeong790

    @hyeonseokjeong790

    Жыл бұрын

    결국 재벌끼리 결혼하는게 이유가 있다는 것이군요

  • @user-kv8ed8tu2g

    @user-kv8ed8tu2g

    Жыл бұрын

    리더와 멘토가 중요한 이유인거 같아요 지금의 cj이 될 가능성이 더 높았던 기업이긴 했는데...

  • @user-yl8fr9iw1n

    @user-yl8fr9iw1n

    Жыл бұрын

    이병철이 아들 이맹희는 괘씸해했어도 그 배우자인 맏며느리에겐 지분을 물려주고 매우 아꼈다고 해요 그 할아벚의 의지가 전달된 어머니-외삼촌의 지원- 장손 버프도 좀 있었을 것 같네요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2 жыл бұрын

    삼성가는 진짜 인물들이 다 좋구나

  • @user-hs3mh8vi4o

    @user-hs3mh8vi4o

    4 ай бұрын

    노가다 청년들도 양복 촥 입혀놓으면 인물 좋은 청년 많아요...

  • @sonmu9690
    @sonmu96902 жыл бұрын

    내가 봐도사람 잘 봐야 할것 같습니다 참모진들의 능력이 중요 합니다 살다 보면 돈이 아닌곳으로 갈때 누가 옆에서 말려야 되는데 아무도 못보면 그냥 추락합니다 다양한 의견을 들어야 실수나 오류를 줄입니다 그런건 이건희 회장님이 잘한거 같습니다 바로 경청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жыл бұрын

    이건희는 대학교 때 레슬링 선수로서 힌트를 얻어 사업도 다를 바 없다라고 절감했을 듯!

  • @user-vw2td5wd4w
    @user-vw2td5wd4w2 жыл бұрын

    이창희가 아버지의 비리를 청와대에 투고하자, 박정희 대통령이 자식이 부모를 고발하는건 천륜을 저버리는 행위라 해서 팽개침. 그리고 이병철 회장에게 자식교육 잘 시키라고 한마디 함.

  • @brandonlee8508

    @brandonlee8508

    2 жыл бұрын

    맞는말은 했는데... 그럼 박정희는 지 자식 지만이나 자식교육 똑바로 시키지 ㅋㅋ

  • @user-vw2td5wd4w

    @user-vw2td5wd4w

    2 жыл бұрын

    @@brandonlee8508 좀 과하게 교육을 시켰지. 졸라 두드려 팼다거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지만이가 특히 많이 맞으면서 컸다고 함.

  • @bsessi

    @bsessi

    2 жыл бұрын

    ㅐㅕ2

  • @user-bt8uq6tq1y

    @user-bt8uq6tq1y

    2 жыл бұрын

    @@brandonlee8508 일탈적인 행동과 지가 무슨 정의의 사도라도 되는 양 (본심은 아버지회사 차지하려고 ) 한 엄청난 패륜짓을 같은 잣대로 평가해서는 안되지요

  •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жыл бұрын

    @@brandonlee8508 지엄마는 짜리몽땅해도, 지만 잘나믄 됨?

  • @user-lv6uz6md9l
    @user-lv6uz6md9l2 жыл бұрын

    아빠가 너무 거대하면 자식들이 행복하지만도 않은듯... 사람이 나이가들면 굽힐줄도 알고 내려올줄도 알아야하는데 너무 거대해서 자식들이 성인이 되고도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인간극장인가 휴먼다큐에서 재벌 할아버지 이야기 나왔는데 자식들이 40살이 넘었는데 아버지께 아침마다 아침인사 90도로 고개숙여 인사하고 자식들 인터뷰에서 40살이 넘은 아저씨가 울면서 "나는 아버지처럼 살지 않을거라고..." 이랬던게 난 너무 충격적이어서 그장면이 아직도 잊혀지지가 않음... 돈이 많다는게 좋은부모가 될수있는 치트키일지는 몰라도 좋은부모에게 돈이 전부는 아닌건 확실한듯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Жыл бұрын

    돈이 많으면 자식도 돈으로 해결할려는 부모들이 많죠.. 돈병철이 말했죠 " 세상 모든게 다 돈으로 해결이 되어도 자식은 돈으로 안된다고" 오로지 돈 밖에 모른다던 돈병철이 그런 말을 할 정도면.. 돈이 적어도 좋은 부모는 많습니다..

  • @mikiyung1

    @mikiyung1

    Жыл бұрын

    ㅈs일보 방씨네가 생각나네요....부인이 한강에 투신 자살...남편이 돈과 권력으로 애들을 손에 넣고 애들은 애비의 돈을 위해 애비 노예짓하며 엄마를 xxㄴ 이라 욕하고 학대하고 고문했죠...엄마와 아내를 투신자살하게 만든 범인들.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Жыл бұрын

    @@mikiyung1 그 애비에 그 아들 최x석 자식들도 마찬가지..돈 때문에 양심도 버리고 줏대도 버리고 양심도 버린..

  • @user-hy5tc5of1e

    @user-hy5tc5of1e

    Жыл бұрын

    @@mikiyung1 코리아나 호텔

  • @moonchangminmcrp
    @moonchangminmcrp2 жыл бұрын

    삼성출신의 부회장, 그리고 경영기획실장 등 참모진들이 자기몫챙기기 바빴고 나중에 오너일가가 그런움직임을 견제하려고 했으나 이미 늦었다고 해요

  • @user-pg5ok1qb8w

    @user-pg5ok1qb8w

    Жыл бұрын

    그렇겠죠 호랑이 눈에 눈꼽이 끼이면 그때부터 아랫것들은 도둑질은하죠^^ 세상인심입니다

  • @user-ze4gb2fc5l

    @user-ze4gb2fc5l

    Жыл бұрын

    아이고 와이프들 일거수일투족 사람붙이고 카메라 달아가며 감시하듯 하는 철저함이 그런데선 없었나?

  • @user-mp9mj2np5j

    @user-mp9mj2np5j

    Жыл бұрын

    어떻게 그렇게 잘알아요 새한그룹 자금부는 새한것이 아니고 삼성구조본 것였슴

  • @chloe-jv4ec
    @chloe-jv4ec Жыл бұрын

    새한그룹 다녔던 부모님이 새한그룹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커왔는데 이렇게 자세히 알게되서 좋습니다.

  • @DKTV
    @DKTV2 жыл бұрын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내용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user-yv4qo4oh7g

    @user-yv4qo4oh7g

    2 жыл бұрын

    이형이 여기서 왜나와..ㅋㅋ

  • @ston.k444

    @ston.k444

    2 жыл бұрын

    어 형이 왜?

  • @user-sp6bh5qj5p

    @user-sp6bh5qj5p

    2 жыл бұрын

    구독자들한테는 하트 1도 안달면서 댓글 늦게단 인플루언서한테만 하트주는거 킹 받네.

  • @Chart-Analyst

    @Chart-Analyst

    2 жыл бұрын

    @@user-sp6bh5qj5p 억울하면 성공하던가

  • @user-kw9nz9jw8c

    @user-kw9nz9jw8c

    2 жыл бұрын

    내 눈을 의심했다

  • @gjhkv2052
    @gjhkv20522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새한그룹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었으나 자료를 찾지 못해서 자세히 알지 못했는데 소비더머니에서 마침내 새한그룹에 대해서 자세히 알게 되었네요…!

  • @user-bg9vx7qq2p

    @user-bg9vx7qq2p

    2 жыл бұрын

    검색하면 잘나오는뎅

  • @user-bi4uc5xc7y
    @user-bi4uc5xc7y2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면서 느낀 것이 있는데, 삼성그룹에서 제지사업을 물려받아 독립한 한솔그룹(이인희 고문님)에 대해서도 다루신다면 삼성가 시리즈는 완결 될 것 같습니다.

  • @include3026

    @include3026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한솔그룹 고문이 이병철 회장의 신임을 제일 많이 얻었다고 합니다. 그런만큼 이야기 할것도 많을듯 합니다

  • @user-zs7eb5uc9r
    @user-zs7eb5uc9r2 жыл бұрын

    운도 크게 작용한게 아닌가 싶다. 삼성이 반도체사업에 10년이 넘게 돈을 쏟아붓고도 실적이 저조해 80년대 중반 견디다 못한 이병철이 그만 일본 전자회사에게 반도체사업을 넘기려고 여러번 시도했으나 일본전자업계는 삼성을 고사시키려 담합하여 그 청을 들어주지 않았다. 하지만 80년대후반부터 PC시장이 급부상하며 중저가의 삼성메모리 반도체는 미친듯이 팔려나갔고 3년도 되지 않아 십수년간 투자한 비용을 모두 회수하며 전자왕국 삼성의 기반을 닦았다. 그때 일본전자업계가 삼성을 인수했다면 지금 일본전자산업의 초라한 몰락이 가능했을까? 사업은 상당부분 운이 많이 따른다. 이병철이 불굴의 신념이 있어서 전자사업을 밀고간 것이 아니다. 그냥 버틸수밖에 없었고 그과정에서 삼성이 만들던 중저가 반도체의 시대가 우연히 온거 뿐이다.

  • @psh1135

    @psh1135

    2 жыл бұрын

    적자가 그리 나면서도 투자를 줄이지 않은 이유가 다른 종목에서 수익이 잘 들어왔기 때문이었다는 걸 보면 운도 준비된 사람이 잡을 수 있는 것 같음

  • @markllldslr

    @markllldslr

    2 жыл бұрын

    원래 역사는 승자의 역사. 패배자였으면 이렇게 영상으로 알 수도 없지. 새한이란 그룹도 삼성땜에 아는거지 다들 모르자나

  • @nimizozgga

    @nimizozgga

    2 жыл бұрын

    Lg엔솔도 마찬가지 넣은게 너무 많아서 계속 밀고간거지 ㅋㅋ... 주주 뒤통수 갈긴 lg놈들

  • @m16xf15k

    @m16xf15k

    2 жыл бұрын

    반도체 뿐만 아니라 삼성 전자제품들 싹다 일본 산요한테서 기술 배워서 지금까지 이어온건데.. 산요는 망하고 삼성은 엘지와 더불어 가전제품 양대 산맥이고 산요가 이렇게 삼성이 이렇게 커질줄 누가 알았겠누.. 호랑이 새끼를 키운거지

  • @user-qc8gv9oz4r

    @user-qc8gv9oz4r

    2 жыл бұрын

    처음 알게 된 내용이네요~ 좋습니다~^^

  • @user-pu1bh3eo2x
    @user-pu1bh3eo2x2 жыл бұрын

    큰 돈을 다룰줄 모르면 그 돈은 견딜만큼만 남기고 다 새어나간다. 라는 말이 갑자기 생각나네여, 경영이라는게 딱 이거다 하는 바이블이 없는 이유 같습니다. 하나의 유기체 인데 이 유기체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선 머리 팔 다리등이 제 역할을 해야하니까여 본인의 욕망과 욕심 개인적인 사견으로 기업을 운영하면 망하는거 같기도 합니다. 외부적 요인 내부적 요인 다양하게 있을거라 봅니다만 가세가 기우는건,스타트 점이 대부분 있는거 같더라구요 성공의 스타트와 망함의 스타트 그런거 같습니다 아무리 좋은 기본기를 가져도 운영을 못하니 망했다. 이리 보이기도 하네여 확실히 느끼는건 80년대 기업의 비전 90년대 기업의 비전 00년대 기업의 비전이 확실히 다름을 느낍니다. 종업원들에게 어떤 비전을 제시하고 우리가 뭘로 먹고 살아야 하는지, 어떻게 세상을 점유해 가는지 보여주는 것도 중요한거 같아요. 지금은 망해버린 그룹이지만, 망하는 그룹을 보고 우리가 무얼 배워야 하는지가 중점 같네여.

  • @KCK4444

    @KCK4444

    2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답변이네요~~ 표현도 잘 하시네 ^^

  • @user-jy1iq8do7d

    @user-jy1iq8do7d

    Жыл бұрын

    내용 이해에 첨부가됩니다.

  • @bihae42
    @bihae422 жыл бұрын

    인사人事가 만사萬事다. 다시 한번 곱씹게 되는 이야기네요.

  • @natalielee8981
    @natalielee89812 жыл бұрын

    와 근데 인물들은 진짜 좋다

  • @serinilee5168

    @serinilee5168

    Жыл бұрын

    혼혈들이 인물이 좋음.

  • @user-qb1cz4qt2v
    @user-qb1cz4qt2v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오늘따라 옷 또한 어울리시네요~^^

  • @user-ch4vx3nu7j
    @user-ch4vx3nu7j2 жыл бұрын

    사람을 벌고, 사람을 남기는 장사가 최고의 장사이군요. 그 경지는 많은 노력으로 이뤄진 해안과 통찰력을 스스로 갖춰야 한다는 결론으로 보입니다.

  • @user-rl1gq1cm4n

    @user-rl1gq1cm4n

    2 жыл бұрын

    혜안

  • @user-oo4hg3wr3g
    @user-oo4hg3wr3g Жыл бұрын

    그러기에 회사 오너는 감성이 앞서기보다 사업에 대한 냉철함과 결단력이 중요합니다 이병철회장님의 후계자를 이건희회장님으로 찍은 이유겠죠

  • @bmwon2
    @bmwon2 Жыл бұрын

    93년~95년 충주공장다님 오디오팀 ! 그시절이 인생에서 제일좋은추억!

  • @bky5424
    @bky54242 жыл бұрын

    결국은… 사업은 흐름을 제대로 보고 해야한다고 봅니다

  • @YK-gt7tu
    @YK-gt7tu8 ай бұрын

    인생에 있어 타고난 운이 굉징히 중요하다 유난히 운이 따라주는 사람도 있고 유난히 운이 없는 사람도 있고

  • @sarth8212
    @sarth82122 жыл бұрын

    소비더머니 제작진분들, 혹시 셀트리온 한번 다뤄주실 수 있으실까요? 셀트리오니즘이라는 책에 한참 빠져있었는데, 소비더머니 스타일로 보면 정말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부탁드립니다

  • @user-tj3yf9wv3i
    @user-tj3yf9wv3i Жыл бұрын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재주는 고금을 막론하고 통찰력과 용인술이다!

  • @user-lj4wz6hr7i
    @user-lj4wz6hr7i2 жыл бұрын

    유한양행 이야기 듣고싶어요!

  • @erigic
    @erigic2 жыл бұрын

    비디오 사업을 위주로 한 기업이니까 90년대 감성의 비디오 필터 효과 정말 멋지게 하셨네요 ㅎㅎ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 @cyonanycall2
    @cyonanycall22 жыл бұрын

    비디오에 나오는 광고에 새한미디어 광고랑 새한(기술특급 새한) 광고가 아직도 기억나네요

  • @noodleman1129
    @noodleman11292 жыл бұрын

    재밌내요.. 새한그룹이야기... ^^

  • @new-bj4eu
    @new-bj4eu2 жыл бұрын

    제일 어리지만 멀쩡한 막내인 건희에게 삼성을 물려준건 신의한수

  • @user-ro9to3ds9t

    @user-ro9to3ds9t

    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이 왕이 된 것이랑 똑같은듯.

  • @user-lq5kr3tk7o

    @user-lq5kr3tk7o

    Жыл бұрын

    그렇다고 해요. 세종 대왕 ~ 한양 3남 어쩌고 설. 삼성 3남에게 물려준 계기라는 설

  • @TheBlade3508
    @TheBlade3508 Жыл бұрын

    현대판 왕가 사극을 보는거 같네 말이 쉽지 3년간 아버지 찾아가면서 사죄를 한다는 게 진짜 결코 쉬운 일이 아님.... 재벌에서 부자관계는 특히 우리나라처럼 유교문화가 확실한 문화에서는 자식입장에선 숨막히는 관계였을듯

  • @user-pg5ok1qb8w

    @user-pg5ok1qb8w

    Жыл бұрын

    3년이아니라 저죄는30년해야되는 역적죄이다 이병철회장이ㅇ박정희대통령께 무릎끊고 빌었다는설도있음 박정희대통령과 이병철회장 마지막 박대통령운구가 삼성본관을지나갈때 이병철회장도 지난관계를추상하며 눈시울을적셨다는증언

  • @user-vc3ql5hh8m
    @user-vc3ql5hh8m2 жыл бұрын

    둘째 아들 얘기는 너무 슬프네요...

  • @cyonanycall2
    @cyonanycall22 жыл бұрын

    제일합섬 이야기를 좀 더 넣어주셨으면 하네요.

  • @user-rk9qh5ke5m
    @user-rk9qh5ke5m2 жыл бұрын

    결론. 삼성그룹의 후계자를 이건희로 찍은게 이병철회장의 신의한수

  • @steampunk329
    @steampunk329 Жыл бұрын

    손자들이 차인표 닮은 미남이었네요... 그룹의 몰락 안타깝다.

  • @user-rs2bl6qx6d
    @user-rs2bl6qx6d2 жыл бұрын

    제일합섬에 근무하다 나중에 (주)새한으로 바뀜. 그 회사에서 근무할때 젤 먼저 느낀거 직원식당 밥이 극적으로 달라졌음. 삼성그룹에 있을때 그땐 식탁에 생화가 하나씩 다 있었는데 생화 사라지고 반찬도 확 바뀜.삼성그룹에 있을때 사라다가 나오면 온갖과일에 버무려져 나오는데 싫어하는 바나나도 사라다로 나오면 먹었음. 그거 나오면 밥보다 더 많이 담아서 먹었었는데.. 퇴사하고나니 회사밥이 그렇게 먹고 싶더라.

  • @user-pg5ok1qb8w

    @user-pg5ok1qb8w

    Жыл бұрын

    바나나를 왜 싫어하지요?

  • @ooo-wy4zl
    @ooo-wy4zl Жыл бұрын

    이병철도 인간으로써보면 그냥 그시절 아버지구나 솔직히 이창희 입장이 너무 이해간다 아버지 그늘에서 살기싫었겠지 너무너무 가엾다...

  • @user-dg6je2qn7i
    @user-dg6je2qn7i2 жыл бұрын

    새한하면 비디오,카세트테이프가 주력이었던 기억이 있고 게다가 비디오 재생 중 영화 시작 전에 새한미디어 회사PR는 들어갔었던 기억이 나네요 아일랜드 공장? 전경을 보여준 기억이 나구요

  • @bazz7652
    @bazz76522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새한그룹 해주셨으면 좋겠다 그랬었는데 드디어 ㅎㅎ

  • @user-iv9wd3hy5h
    @user-iv9wd3hy5h2 жыл бұрын

    저희어머니 아버지가 세한미디어에서 만나셨다고 하더라고요... 가끔씪 어머니가 들려주시는데 진짜 심각했따고 들었습니다 한 30년전이니깐 아닌가 40년~35년사이??? 아무리 망한기업이라도 자세한건..댓글로 이야기못할것같고 ㅠㅠㅠㅠ(노조이야기가 많았어요) 그리고 어릴떄 어머니가 세한미디어에서 사오신 비디오 테이프를 진짜 장난안치고 수백번을 돌려봤는데 아직도 그게 기억나네요 이사가면서 없어지긴했는데 그게 그리워요 그냥 이상한 고양이경찰 어쩌구 저쩌구였는데 1편2편있었어요 그립네여 ㅠㅠ

  • @user-wy8yu4ht4q
    @user-wy8yu4ht4q2 жыл бұрын

    세한하면 요즘 애들은 모르는 세계 최초로 MP3 플레이어 를 개발한 회사임 플레이어 특허를 개판으로 관리 하는 바람에 로열티도 못받고 너도나도 만들어 팔았지 애플이 고마워 해야함 ㅋㅋ 로열티 지불 안하고 그 특허를 사용하고 있으니.....

  • @user-ro9to3ds9t

    @user-ro9to3ds9t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죽 쒀서 개 줬네.

  • @user-mm2zd4sb5x

    @user-mm2zd4sb5x

    Жыл бұрын

    MP3라는 정식 기술은 아이리버가 만든걸로 아는데

  • @mingo6702
    @mingo67022 жыл бұрын

    세한그룹 듣기는 했는데 정말로 자세희 알려주시네요 참 좋은채널입니다

  • @michaels3520
    @michaels3520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시작부터 한국의 경제계는 일본의 입김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는데, 는 종주국의 눈에는 좀 튀는 자식이고 먹음직한 먹이감이기도 했었을걸로 보여집니다. 취급하는 품목들이 다 일본이 주류로 삼던 품목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나중에는 라는 좋은 먹이감을 내 보이기도 했었죠. 한 마디로 하이에나떼들에게 집중공격을 당한걸로 보여집니다.

  • @thepeters75
    @thepeters752 жыл бұрын

    이창희회장이 사업적 능력은 상당했다고 하죠. 다만 너무 일찍 사망.

  • @user-dn3fv4wk6h
    @user-dn3fv4wk6h4 ай бұрын

    네 옛날에 새한이 날렸었죠. 그런데 그 새한이 IMF로 무너졌군요. 오늘 영상을 보니 감회가 새롭군요. 오늘도 좋은 영상 잘보고 갑니다. 감사~~^^

  • @user-hn1io1ox3t
    @user-hn1io1ox3tАй бұрын

    1990년대초만해두 동네에 비디오방들이 꽤 있었죠. 컴퓨터와 인터넷이 많이 대중화되면서 비디오방들이 없어지더군요. 새한그룹의 부도가 안타깝긴한데 세상사가 어쩔수 없는듯해요. 지금이라두 이창희씨의 후손들이 살아있다면 삼성가에서 도와주기를 바래요.

  • @user-qv6ew9km4j
    @user-qv6ew9km4j2 жыл бұрын

    90년대 중반까지는 카세트테이프,비디오테이프가 대세이긴 했어요~ 씨디도 일부 가정에서나 들었었던 기억이ㅎㅎ

  • @jh-pc2xk

    @jh-pc2xk

    2 жыл бұрын

    돈 없는 학생들은 cd 대신 카세트테이프 들었죠.

  • @dehwankim2269

    @dehwankim2269

    Жыл бұрын

    Cd가격은 그때나 지금이나 차이 없어요..물가 비교하면 cd 음반 가격은 엄청나게 내린 거..

  • @user-fq4qo2jd3d
    @user-fq4qo2jd3d2 жыл бұрын

    저정도 원인들이면 안 망하는 게 이상할 정도

  • @tjkang87
    @tjkang872 жыл бұрын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두산그룹도 부탁드립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기업이니 다룰 내용도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 @KCK4444

    @KCK4444

    2 жыл бұрын

    가장 오래된 기업(100년 넘음)인데 가장 천박해진(?) 기업이죠……

  • @user-happy2080

    @user-happy2080

    2 жыл бұрын

    캐시카우 맥주를 왜 버려선 에잉 쯔즛

  • @user-ry7gx8lh2r

    @user-ry7gx8lh2r

    Жыл бұрын

    창업주가 친일파라서 국내 최고령 기업이라고 당당하게 내세울수도 없는

  • @user-ze4gb2fc5l

    @user-ze4gb2fc5l

    Жыл бұрын

    기업이 엄청 많은데 왜 허구헌날 삼성 현대 LG SK 두산 얘기뿐인가 다른 기업들 좀.. 300대재벌 500대기업 어쩌구하던데.. 저들 영상은 다 겹쳐서 달달 외워질정도 맨날 나오는 사람들 얘기만있음.

  • @user-tg1il4li5u

    @user-tg1il4li5u

    Жыл бұрын

    두산은 이제 대기업급 아니지않음?

  • @user-js3ii9ri3z
    @user-js3ii9ri3z2 жыл бұрын

    소비더머니에서 다루는 몰락한 기업들의 특징은 바로 흐름을 읽지 못했다는 것이다. 허나 이것은 기업에만 국한된 것이 아닐 것이다. 변화 앞에서 우리는 담대해야 한다.

  • @KCK4444

    @KCK4444

    2 жыл бұрын

    굥 때문에 걱정이다… 인플레이션에 스테그플레이션 몰려오느데심히 걱정이다……

  • @mulank99
    @mulank999 ай бұрын

    충주사람이었어요. 충주 목행동의 자랑 새한! 거기근처 말한마리 있어서 챙겨줬는데

  • @user-xd5md8tt5s
    @user-xd5md8tt5s2 жыл бұрын

    사업분리한다고할때 이건희는 말렸을거다. 극구말리지는 않았더라도 우회적으로 말렸을 사람이라 본다. 측근얘기는 처음듣는데, 그 상황에서 분리해서 나온거보면 측근들의 아가리+가장을 잃은 상황이 문제였다본다.

  • @user-tk4lv2zy5z
    @user-tk4lv2zy5z2 жыл бұрын

    되게 잘생겼다

  • @xelnagak3458
    @xelnagak34582 жыл бұрын

    미래성장성이 좋은 2차전지, 반도체 소재, mp3, 수처리 및 필터, 케이블tv, 케미컬 등 좋은 아이템 여러개 보유하고 있었는데 비디오테이프 대규모 투자와 대형화재로 흔들리고 회장이 일찍 죽으면서 경영수업을 제대로 받지 못한 후계자들과 현상유지에 급급한 공무원같은 임원진들로 인해 회생을 못한 그룹이죠 해체된 다른 그룹들의 경우 인수되더라도 계열사중에 살아남는 비율이 거의 없는데 새한의 경우 상호만 변경됬지 대부분 현존하고 있죠

  • @user-jm7rv7do9f

    @user-jm7rv7do9f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같은 범삼성가인 한솔그룹은 주력이 제지사업이라서 더 암울했는데 나름 극복한 것을 보면 님 말씀이 맞는 듯.

  • @mosfd4995
    @mosfd4995 Жыл бұрын

    이창희 사장이 오래 살았으면, 시류에 맞지 읺는 사업을 확장 하지는 않았을텐데… 이창희 회장이 너무 일찍 사망해서 사업에 능통하지 않는 와이프 등 가족들이 운영한게 큰 문제였던듯

  • @user-fq1mb6sl9k
    @user-fq1mb6sl9k Жыл бұрын

    mp3 가 아니고 정확히눈 midea player 입니다. 그후 mp2는 또 다른 잏혀진 회사 아이리버거 했고 야플에서 손실압축 관련 특허를 모두 사서 mp3를 만듬 겁니다

  • @hottube.9239
    @hottube.92392 жыл бұрын

    아남그룹에 관해서도 영상 부탁드려봅니다.^^

  • @user-fq3nc8ub4k
    @user-fq3nc8ub4k2 жыл бұрын

    영상배경이 흐릿흐릿해요ㅜ

  • @user-qv9bq3jo7m
    @user-qv9bq3jo7m Жыл бұрын

    새한미디어 진짜 잘나갔죠

  • @9andhalfweeks
    @9andhalfweeks Жыл бұрын

    이영자 여사는 어떻게 지내고 계실지 궁금하네요 젊은 나이에 남편 잃고 두 아들도 먼저 보내고..정말 속이 문드러졌을 듯

  • @changsupchon6644

    @changsupchon6644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생활고까지는 격지는 않은거 같은데 남편과 아들들을 너무 일찍 잃었네요

  • @hanashabdul4877

    @hanashabdul4877

    Жыл бұрын

    @@changsupchon6644 생활고...ㅋㅋ 재벌로 삽니다.

  • @user-ze4gb2fc5l

    @user-ze4gb2fc5l

    Жыл бұрын

    재벌 남자들 담배꼴초에 술 많이 마셔대서 60대만되도 휠체어타고 하던데.. 사업 망할까봐 불안불안하고 쓰러져 못 일어나고 식물인간으로 가서 부도날까봐 불안할듯.. 성욕 많아서 젊을때 젊은 여자들끼고 노니까 몸이 더 빨리 쇠하죠. 세자의 삶 살다 왕이 못 되고 죽은거니까 불쌍하다면 불쌍한거고..

  • @user-se3ye1lg5h

    @user-se3ye1lg5h

    9 ай бұрын

    저 어릴때 뵈었을때는(이미 회사 망함) 결혼 당시 일본에서 데려온 유모할머니랑 계셨고 굉장히 조용하고 하얀빛이었단 기억이 있어요

  • @suinpark6756
    @suinpark6756 Жыл бұрын

    부모자식간에 너무 숨막히네.. 서로 꼭 저렇게 해야되나 일반인 입장에서 생각하게되네요

  • @user-ze4gb2fc5l

    @user-ze4gb2fc5l

    Жыл бұрын

    자식이 많아서 저리 내치는게 가능한거죠. 하나 있거나 3대째 자식없다 태어나고 하면 귀하게 대할텐데..

  • @user-dx7cv6bc2l
    @user-dx7cv6bc2l Жыл бұрын

    가끔 상상해요 미디어에 집중하되 시대 흐름을 잘읽었다면 넷플릭스와 제휴해서 전성기 왔을지도! 평행세계에선 일류기업일듯!

  • @user-vm5vg7pv3l
    @user-vm5vg7pv3l Жыл бұрын

    다른 이들이 철수 하니 오히려 산술상의 이익이 커져서 여기에서 빠져 나올 수 없음.

  • @user-vh4mm2hk4h
    @user-vh4mm2hk4h2 жыл бұрын

    친척인데 삼성이 안도와줬을까? 전에 다른 영상에서 봤을때 배달음식 시켜먹는데 집이 엄청 초라했다?라고 봤엏ㅇ는데

  • @bazz7652

    @bazz7652

    2 жыл бұрын

    삼성가가 서로 장례식도 안갔을 정도로 사이가 안좋았어요. 최근 3세대 들어서 그나마 서로 왕래는 하는 편인데 지금도 다른 재벌들 보다 대면대면하니

  • @user-vh4mm2hk4h

    @user-vh4mm2hk4h

    2 жыл бұрын

    @@bazz7652 그거는 cj랑 삼성인걸로 알아서 그래서 이병철 제사를 양집에서 지냈다고 들었음

  • @jangwookang1609

    @jangwookang1609

    Жыл бұрын

    MP맨 출시 후…얼마 지나지 않아 삼성에서 디자인 잘 뽑은 옙 이라는 플레이어 출시함

  • @ptahoteff
    @ptahoteff Жыл бұрын

    제가 당시 새한 부도를 지켜보고, 당시의 다른 회사들 사라지는 것을 같이 보면서 비교도 해본 경험, 그리고 많은 분들의 견해, 그간 한국 사회 전체가 겪어본 역사, 그 와중에 알고서 제 눈을 뜨게 해준 기업들의 사례, 선진 기업들의 역사, 제 개인적인 체험, 마지막으로 새한에서 예전에 생산했던 오픈 릴 테이프와 CD 사출용 소재를 써 본 경험 등을 두루 비교해 보니, 제가 봤을 때에는 함량 부족이 맞는 것 같애요. 오히려, "변화를 읽지 못해서, 무리한 확장, 경험 부족, 삼성의 그늘에서 공연히 자립한 결과, 때가 안좋은" 이런 것들은 이유가 될 수 없어요. 필시 부인과 아들들이 딴 데 관심을 두었을 것 같습니다. 한국 재벌들의 흔해 빠진 관심사... 바로 " 부동산과 건설 " 이게 우선 당장 알기 쉽고,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는 지금도 무슨 보험처럼 통하는 화수분이거든요. 즉 한국 사회 자체가 풍속으로 양산하는 인식이 그래요. 그러면서 전문 공학 지식과, 장래 기술 변화를 알아야 하는 매체 응용 신소재 기술 사업에 필요한 지식 익히기와 그 생산 공법 익히기 등은, 우선 머리만 아프고, 즉 판매량과 물량, 매출, 영업이익, 자본 회전률, 현금흐름 등은 파악하고 있었겠지만, 물건에 대해 깊이 익히는 것까지는 하지 않았을 거애요. 아마 품목별 물량의 생산 출고와 납품 물량만 외우고 있었을 겁니다. 새한이 사실 필요한 사업을, 필요한 때에 적절하게 했는데, 지금도 합섬 원사, LP 찍는 재료들, 오디오 & 비디오 테이프, 필름, CD와 레이저 디스크용 소재, 거기에 쓰이는 합성 기술 원료 사업에서 진화시키거나 파생시키는 것들은 지금 다시 수요가 생겼는데... 일단은 현재 저 사업의 노하우에서 진화한 신소재 신기술 사업들이 나오고 있거든요. 그러니 저게 알짜배기 정도도 아니고, 이를테면 지금 이재용 씨가 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사업과 거의 동일하거나 직접 관련이 있는 것들입니다. 현재도 저걸 아직도 만드는 쬐깐한 공장들 있는데, 지금도 운영 중이고, 근래에는 다시 살림이 펴면서 그 공장주 자제 되시는 분들이 서서히 매체용 신소재 개발을 자체적으로 하거나 장래에 상용화될 첨단 신소재 위탁 생산업체로 진화시킬 궁리들을 하더군요. 새한이 망하고도 찌그러진 채 살아있기만 했으면, 지금 할 수 있어야 했을 궁리들이라는 결론이 나오는 거애요. 광물 전쟁이 국가간 분쟁까지 붙이는 지금, 문제 해결을 위한 3대 수단 중 하나가 대체 신소재 개발이라는 점에서, 새한이 살아 있었으면, 삼성의 이재용이가 도와달라고 사정할 곳이 되었을 겁니다. CJ가 가장 잘 된 범삼성가지만 새한이 살아있었으면 범삼성가에서 제일 위상이 큰 하이퍼 갑이 새한이 되었을지 어찌 알아요? 이창희는 분명 이런 장래를 내다보고 독립하여 일으켰을 거애요. 아남 회장이 이병철에게 반도체를 미래 산업으로 소개하며 삼성이 그 반도체 사업에 뛰어들라고 충고해 주었을 당시 이창희도 이건희와 함께 그 충고를 새겼을 것이 분명할테니까요. 새한의 두 아들들이 한국 재벌 평균 수준에, 평균 관심사를 가졌다고 가정한다면 아마 이랬을 공산이 큽니다. 지금 한국의 신흥 부자들이 주로 엔터 사업에서 나왔는데, 걔네들이 음악이나 춤보다도 주식에 대해 더 박사들인 것과 똑같애요. 다만 그게 제 기준으로는 똑똑한 것은 사실이지만 성공할 재주와는 관계가 없어 보일 뿐...

  • @user-gf8ht2vm2r
    @user-gf8ht2vm2r Жыл бұрын

    일단 이창희 회장이 아버지를 거역했다는 사실을 볼때 아버지로부터 사업성패의 골수를 전수 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많다 이점은 신동빈 회장이 아버지를 거역한 것과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신회장이 아버지를 거역한 시점은 이미 아버지가 없어도 되는 상황 이었다 또하나는 극한상황에서 위기탈출 능력이 아직 부족했던 것 같다 IMF는 다같이 겪었고 무너진 기업 많큼 살아 남은 기업도 많았다

  • @user-nw2gf9dn3t
    @user-nw2gf9dn3t Жыл бұрын

    내가 90년대에 새한미디어 다녔습니다.. 90년대 중반 넘어서며 보너스가 늘더군요..급기야 97년에는 1100% 까지 주더군요.. 받으면서도 찜찜하긴 했는데..

  • @changsupchon6644

    @changsupchon6644

    Жыл бұрын

    어느 계열사 소속인지는 몰라도 주력 사업이 테이프인데. 흠 전 97년 당시 테이프를 몰락시키는 광디스크 기기 시스템과 구동 IC를 개발하고 있었죠 그 광디스크 마져도 2000년쯤 되니 미래가 어둡다 소리가 나오기 시작했구요. CD-ROM / DVD-ROM drive등이 보기엔 만만해 보여도 각종 분야의 최신 기술 결정체인데 가격이 엉망이라서

  • @jaedokpark2991
    @jaedokpark2991 Жыл бұрын

    테이프산업이 적자나면서. 당시 삼성이 자동차 사업을 시작하면서 새한이 하청 부품생산공정으로 바꿨었다. 근데 자동차 사업 철수하면서 새한은 완전 망했지.그당시가 lmf시기였고. .이부분은 빠졌네

  • @Riuru1
    @Riuru12 жыл бұрын

    미래를 대비할 시간이 모자랐다... 아기새가 날개짓을 배우기전에 부모새는 떠났다

  • @user-ec2ko1jw2v
    @user-ec2ko1jw2v Жыл бұрын

    소니에대해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eongs1
    @aeongs1 Жыл бұрын

    쉽지않군요 ㅠㅠ

  • @user-du2oq7tu5m
    @user-du2oq7tu5m Жыл бұрын

    사람이 미래였네... 아무리 내가 잘났어도 사람이 없으면 끝이다 인생도 행복도 모조리

  • @user-dppxbyqvffl
    @user-dppxbyqvffl2 жыл бұрын

    결론은 인재였네요 ~

  • @user-nr3lg3fr1g
    @user-nr3lg3fr1g Жыл бұрын

    복지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건 방향성제시였는데 그부분이 약했던거지... ㅠ

  • @user-kb8ti4mv4r
    @user-kb8ti4mv4r2 жыл бұрын

    다 가졌어도 다 잃을 수 있다..

  • @user-pp7ry9dc4k
    @user-pp7ry9dc4k2 жыл бұрын

    울 학교 예전 이름 새한고였던데 새한그룹이 삼성이랑 관련있었구나

  • @user-tg4ww6ke8t
    @user-tg4ww6ke8t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집안 사람들은 드라마 재벌처럼 죄다 존잘임 근데 일찍 망하고 죽은게 너무 희한하다

  • @user-kv8ed8tu2g
    @user-kv8ed8tu2g Жыл бұрын

    삼성가하면 삼성 신세계 cj만 알고있었는데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 @user-ih8os8uo6b
    @user-ih8os8uo6b Жыл бұрын

    벤처기업이랑 합작해서 세계 최초의 MP3 플레이어를 내놓은 기업이기도 했는데 애플처럼 활용을 못했음

  • @greenthumbk
    @greenthumbk9 ай бұрын

    새한그룹 2000년초에 워크아웃할때쯤인가 면접에서 회사 어려운거 아냐면서 굳이 사람을 왜뽑지? 싶었음. 근데 사장이 직접 들어와서 면접보는데 재떨이두고 깁자기 담배피기 시작함. 아.... 망쪼가 들었구나 곧 망하겠군 싶었음. 같이 면접본애들중에 당연히 내가 된다 생각할만큼 경력부터 스펙이 정말 후져서 황당. 최종결과 탈락이길래 뭐지? 했는데 담당자말이 여자말고 남자 뽑으라했다며 미안해함. 아무래도 공정관리자라. 그 후에 훨~~~씬좋은 1군 대기업으로 들어갔는데 그 당시 내가 입사일정이 꼬여서 비수기에 지원하면서 겪은일인데 회사 분위기며 전반적으로 이후 다른 대기업 면접에서 보이던 느낌이랑 달리 진짜 심각하게 망쪼가 들었었음. 이후 웅진에 인수되고 공중분해되고 하더만..

  • @tycoonthemaestro
    @tycoonthemaestro Жыл бұрын

    대구에 제일모직 공장부지 그렇게 크던게 1996년무렵 새한 공장으로 바뀌고 이게 얼마나 유지되나 했지만 새천년이 되고 싸그리 증발되어 공터가 되는걸 보고 아 이 회사가 망한다고? 생각했던 어린시절이 있었는데 참 비극 자체가 아닐수가 없군요... 재벌 자손임에도 불구하고 뭔가 선택의 미스가 제일 큰 요인이 아닌가도 싶기도 합니다. 그 공장 새한 시절때 학교차원에서 견학도 가본적도 있었는데... 이젠 추억이죠. 실제로 현재는 아파트 부지로 들어차서 그때의 기억은 나지도 않을 수준으로 발달되었으니(...)

  • @user-bv3sl6dj8t

    @user-bv3sl6dj8t

    Жыл бұрын

    제일합섬 아닌가요? 제일모직은 삼성그룹에 그대로 있었거든요. 제일모직 부지를 새한에서 산건가?

  • @user-gh1cf7wr5p

    @user-gh1cf7wr5p

    9 ай бұрын

    제일 합섬이 맞아요. 우리는 일합이라고 불렀었죠.

  • @gracep4256
    @gracep4256 Жыл бұрын

    다른 비디오테입 회사는 아들 장가 잘보내서 국내1위 텔레콤회사가 되었는데 말이지. 노태우대통령도 이 꼴 날 줄 알았으면 똑똑한 딸을 허름한 원사회사에 텔레콤을 지참금 딸려서 보내지 않았겠지.

  • @user-rr6io5zz6e
    @user-rr6io5zz6e2 жыл бұрын

    새한그룹이 있었구나..

  • @beta04835
    @beta048352 ай бұрын

    비디오가게 자주 드나들던 나도 비디오테잎이 그렇게 빨리 시들지는 예상못했다

  • @user-pp3fo7et5d
    @user-pp3fo7et5d9 ай бұрын

    저때당시 비디오테이프 skc와새한 정말 양대산맥 같은 회사였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