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때부터 수소의 시대가 열릴 겁니다"... '수소'를 다시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염현석 머니투데이방송 기자 (3부)

염현석 머니투데이방송 기자 / 촬영 3월 31일
00:00 ‘이때부터’ 수소의 시대 시작?!
09:14 수소 산업 패권은 미국? 중국?
🎤출연 및 제휴 문의 👉 ystreet2021@gmail.com
#수소 #에너지원 #염현석

Пікірлер: 181

  • @Ystreet
    @Ystreet Жыл бұрын

    🏁 "투자로 인생을 바꾸는 사람들" 🏁 🎯 와이즈클럽 바로가기 👉 naver.me/5D3rzerK 🎯 와이즈클럽 카페 👉 cafe.naver.com/ystreetwiseclub 📕이대호 편집장 저서 '여의도 선수들의 비밀' 📖교보문고 👉 t.ly/jPPN 📖예스24 👉 t.ly/aN7A 📖알라딘 👉 t.ly/2AWh 📖인터파크 도서 👉 t.ly/WAV1 🎯 이대호 기자 자료방 👉 t.me/knowledge_to_wealth 🎤제휴 문의 👉 ystreet2021@gmail.com 🎬 염현석 기자 영상 몰아보기 (1부) kzread.info/dash/bejne/p4qrqqVtp5S_mNo.html (2부) kzread.info/dash/bejne/qmd3wdydZ5OZc9I.html (3부) kzread.info/dash/bejne/oHZ8u5uwZrrJptY.html

  • @user-su4mn8xj8r
    @user-su4mn8xj8r Жыл бұрын

    주식을 하면서 뼈저리게 느낀 점 --좋은회사와 좋은주식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좋은회사이면서 좋은주식을 골라야 한다. 특히 한국은 좋은회사와 좋은주식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sungjuchoi231

    @sungjuchoi231

    Жыл бұрын

    개공감

  • @user-bs7rj1bi7r

    @user-bs7rj1bi7r

    Жыл бұрын

    본인의 타이밍이 안 좋았진 않았는지 생각해보세요

  • @user-xf4it2ij1d

    @user-xf4it2ij1d

    5 ай бұрын

    일단 한국은 패스가 정답

  • @user-xf4it2ij1d

    @user-xf4it2ij1d

    4 ай бұрын

    완전 개공감

  • @user-mi5mn2nw9j
    @user-mi5mn2nw9j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 @gkic1209
    @gkic1209 Жыл бұрын

    염현석 기자님, 김사합니다.

  • @jinwoolee6889
    @jinwoolee6889 Жыл бұрын

    신선한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iu8qm8kj9o
    @user-iu8qm8kj9o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들었어요^^

  • @Re-wire-brain
    @Re-wire-brain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wm3si2pu4l
    @user-wm3si2pu4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rs8ny6nk4r
    @user-rs8ny6nk4r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 @user-zd9st9wj2y
    @user-zd9st9wj2y Жыл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ㅎ

  • @user-op8ii2tm2v
    @user-op8ii2tm2v Жыл бұрын

    늘 와이스트릿에 나오시는 분들을 보며 늘 배우여 깊이 공감합니다. 특히 이번 염현석 기자님 편은 정말 수소에는 관심이 많고,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르는 저에게 뼈 때리는 아니 뭔가 귀한 보물을 찾은 듯 한 기분입니다. 누군가는 유투브도 보지 말고 기업 공부만 하라고 하는데, 진짜 와이 스트릿은 유투브 채널이 아닌 저에게는 큰 지식 길잡이이자 때론 흔들릴 때마다 투자철학을 일깨워 주는 보물 같은 채널입니다. 깊이 두손 모아 고개숙여 고마운 마음 전합니다. 늘 고맙습니다.

  • @eggsfm
    @eggsfm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zn7nr2bk7p
    @user-zn7nr2bk7p Жыл бұрын

    완전 새로운 관점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qe4fq3nb1x
    @user-qe4fq3nb1x Жыл бұрын

    수소도 2차전지 가듯 날아오르는 날이 올꺼 같습니다~ 주식을 잘 모르시고 산업만 보시는분이니주식에 대한 선입견없는 청정 산업뷰 감사합니다 ~ 고생들하셨습니다 ^^

  • @thejoonyoun

    @thejoonyoun

    7 ай бұрын

    수소자동차는 국가 지원금 따먹기 위해 대국민 사기였음이 드러났는데, 아직도 저런 짓 하는 사람이 있네요. 세계 어느 나라도 하지 않는 수소자동차 왜 할까? 그걸 왜곡하여 국민을 개돼지로 알고 선동하니, 그에 속는 국민도 참 한심하시네요.

  • @min-gyupark559
    @min-gyupark559 Жыл бұрын

    이대호 기자님, 머니투데이 시절에 제이엔케이히터 탐방가셨던 영상 본 기억이 나네요. 혹시 가능하시다면 2탄도 기대해봅니다^^

  • @user-se5le2ge5c
    @user-se5le2ge5c Жыл бұрын

    수소주식들 2년전 각광받았지만 지금은 다들 손실구간일겁니다... 강력한 정부 정책지원없이는 주가는 언제 오를지 모르는 주식입니다..

  • @user-jl3kk4zw2d
    @user-jl3kk4zw2d Жыл бұрын

    10년쯤 기다렸다 투자해도 안늦어요 딴걸로 벌고 그 돈으로 수소로 가자 주가는 시기상조 산업설명은 잘 듣고 갑니다

  • @user-lx4xb3kv3l

    @user-lx4xb3kv3l

    Жыл бұрын

    하늘 나는 택시에 투자하라는것과 별 다름없네요

  • @michaelcho804
    @michaelcho804 Жыл бұрын

    ESS할려면 수소가 가장 적당할 것 같네요. 신재생으로 전기를 만들어도 배터리로 저장하기엔 비용이 너무 많이 드니, 그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서 수소로 저장해서 그걸 전기로 만들어 쓰면 ESS가 더 간단하게 해결 될 수 있겠군여~

  • @fama8596
    @fama8596 Жыл бұрын

    결국 수소가 답이긴 한건 알겠지만, 어느정도 단가 이하로 생산이 되ㄴ다는 기술이 보여야 산업이 꿈틀하겠지

  • @user-xs3fc7te5y
    @user-xs3fc7te5y11 ай бұрын

    진짜 다음 세대와 지구를 위해서라도 한국이 수소강국이 됬으면 해요..기름도 안나는 나라에서..

  • @comet-076

    @comet-076

    6 ай бұрын

    수소와핵융합이 대처가 되면 좋을듯

  • @user-su4mn8xj8r
    @user-su4mn8xj8r Жыл бұрын

    정책 결정하는 분들은 머리가 안되면 선진국의 좋은 제도를 도입이라도 해라. 미국주식이 이렇게 활황이 된 것은 퇴직금을 미국주식시장에 투자하는 401k제도와 애플이나 구글처럼 자회사가 100개가 넘어도 애플이나 알파벳 하나로만 상장하게 법을 만들어서 강행하자. 그러면 한국자본시장도 미국처럼 번성하게 된다. 경영자나 오너들의 회사급여는 일정한도로 제한하고 배당을 통해서 수익이 생기게 하자. 그러려면 배당수익을 15.4% 단일과세로 끝내자. 종합소득에 합산하는 제도를 폐지하자. 상속세와 증여세 기준을 현행 시가가 아닌 순자산기준으로 부과하자. 더불어 일본법을 그대로 베낀 상속세율 50% 철폐하라. 금융실명제가 안된 일본법을 그대로 베끼면 어쩌냐? 상속세 증여세는 선진국평균인 20% 정도로 낮추자. 상속세 60% 고치지 않는한 자회사 일감몰아주기는 없어지지 않는다.

  • @user-kn4oj4cz8y
    @user-kn4oj4cz8y Жыл бұрын

    액화수소는 -252로 해야 하지만 액화 암모니아는 -32도만 되면 되기때문에 암모니아로 운송 할것입니다

  • @michaelcho804

    @michaelcho804

    Жыл бұрын

    암모니아면 NH3인데... 다시 분리해야 하지 않나요? 메탄도 CH4에서 분리하듯이요...

  • @user-gv3td2hw6z

    @user-gv3td2hw6z

    Жыл бұрын

    @@michaelcho804 CH4 = 메탄인데 CH4에서 메탄을 분리하는 게 무슨 말인가요?

  • @user-ps2sj2ql3i

    @user-ps2sj2ql3i

    7 ай бұрын

    액화는 열을가해 물로만드는것이고, 그냥 수소가 석유보다더많이 매장되어있다고함니다,(석유는한번파내면 보충이거의안ㄷ되되지만. 수소는 계속 만들어지고있}담니다,

  • @user-wc9nu8lc9o
    @user-wc9nu8lc9o Жыл бұрын

    Lng선박탱크 기술이 없어서 지금도 조선사들은 프랑스에 특허료 주고있는데 한국의 lng기술력이 경쟁력 있을까요??

  • @gigarabbit
    @gigarabbit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온 일본의 수소운반하는 기업은 가와사키 중공업 입니다. 이미 자체적으로 운반선도 만들어 나르고 있더군요

  • @sungmunjung5734
    @sungmunjung5734 Жыл бұрын

    연료전지셀을 누가 싸게 만드냐가 중요한데 금에서 싼거로 우리나라에세 개발한거로 나오는데 연료전지스택을 잘 만드는것이 중요합니다. 15년전에 연료전지 알게되어서 보드개발해봐서 압니다.

  • @user-el5jc4vf3o
    @user-el5jc4vf3o Жыл бұрын

    이 분 아주 식견이 대단!

  • @user-be9wz6ho7v
    @user-be9wz6ho7v Жыл бұрын

    석유의 시대는 가고있으며, 다음은 수소가 석유를 대체하게 됩니다,, 지금은 기술과 비용이 높지만 10년 이후에는 기술과 비용이 경제적 경쟁성을 가지게 될것입니다,,

  • @exittogoal
    @exittogoal Жыл бұрын

    수소시대는 필수기술 개발에도 아~~주 멀었다고 생각합니다~~

  • @Geonmo1
    @Geonmo1 Жыл бұрын

    수소의 끓는 점은 영하 252.7도

  • @bestsong10004
    @bestsong10004 Жыл бұрын

    왜 이방송을 들으면서 금양이 생각나지?ㅋㅋ 광산 개발 10년이라....

  • @Ponyim-kh5ev
    @Ponyim-kh5ev Жыл бұрын

    ㅇ2030년,잘 다룰수있을까요?좀만해두터저, 저장하는곳도 필요해, 돈도마니들어, 합성하믄 절반날라갇지. 출력은 수소가 짱인대 .

  • @user-rf2wp4wu2q
    @user-rf2wp4wu2q Жыл бұрын

    수소 이야기 꺼내드니 결국 특정 회사 흠집 내는 구만,

  • @user-np7fk8hy2j
    @user-np7fk8hy2j Жыл бұрын

    금앙에서 콩고에 광산 투자 한다고 하던데 그래서 외국인이 투자를 많이해서 주가가 많이 올랐는데 잘되었으면 좋겠네요

  • @TV-rt5jm

    @TV-rt5jm

    11 ай бұрын

    부자되셨겠어요😊

  • @solsolbyjoung2775
    @solsolbyjoung2775 Жыл бұрын

    콩고도 바다가 조금은 있어여

  • @hskim7584
    @hskim7584 Жыл бұрын

    수소, LNG밸브는 "비엔티"가 상당히 높은 수준.

  • @nesaran3
    @nesaran3 Жыл бұрын

    결국 가 봐야. 그 전에 움직이겠지만

  • @krauskim7662
    @krauskim7662 Жыл бұрын

    현재 2차전지로 쓰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문제인 폐기물 논란에서 거의 재사용이 가능하다고 반박하던데 실제 재사용이 가능한지,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알고 싶어요.

  • @user-wk4st8qc6y
    @user-wk4st8qc6y Жыл бұрын

    수소가 조용해서 오늘부터 공부 시작할까 했는데 ~딱 나와줘서 너무 고마워요 ~나이스 타이밍 ~ 지금부터 조금씩 사서 10년들 들고 있으면 버핏할아버지처럼 300배씩 먹을수 있을까요 ^^ 나도 부자 되고 싶다 ㅋㅋㅋ

  • @user-fl4bt5hv1n

    @user-fl4bt5hv1n

    Жыл бұрын

    부자 될겁니다!!

  • @SHKim-uv4wo
    @SHKim-uv4wo Жыл бұрын

    "출력 제한 조치"로 신재생에너지에서 나오는 전기는 남아 돌고 있습니다. 수소와 이퓨얼이 미래입니다.

  • @lottokang
    @lottokang Жыл бұрын

    수소에너지는 그린수소를 주장하면서 전기차 배터리의 전기는 왜 그린전력을 요구하지 않나? 그리고 왜 전기로 물을 수전해 하는 것만 생각하는 지? 사막에서 태양광으로 전기를 만들어서 물을 수전해 한다고 하는데 사막에서 물을 어떻게 구할 것인지? 물보다 더 효율적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이 있을테니 굳이 수전해에만 집중할 필요는 없을 듯 합니다. 또한, 그린에너지가 남아돌 땐 부하방지를 위해 가동을 중단하는 데 이러한 남아도는 전기로 수소를 만들면 원가가 대폭 낮아질 수 있다는 점. 전기차 배터리를 충전할 전력 가격보다 공짜 전력으로 수소를 만들면 수소에너지의 가격메리트도 더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점은 아무도 언급을 안하네요.

  • @user-gf4nz6jd8z

    @user-gf4nz6jd8z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말씀드리자면 태양광과 풍력처럼 전류량불안정(들쭉날쭉) 에너지는 현재 기술상 수전해뿐이 못합니다 그래서 수소차전지스택과(속도를줄였다늘렷다) 풍력태양광전지스택은 동일구조입니다

  • @dsde2342dkdse2
    @dsde2342dkdse25 күн бұрын

    수소는 생산단가와 저장수단이 해결안되면 답없다.

  • @user-xo1mb4ux7f
    @user-xo1mb4ux7f Жыл бұрын

    수소는 암모니아의 형태로 바꿔서 운송할 수 있다고 하대요.

  • @Ghayejin
    @Ghayejin Жыл бұрын

    리튬광산은 선진국이나 인프라가 있는곳도 7-8년 걸리는데 아프리카 리튬광산은 전혀 가능성 없지요.

  • @questforreality3774
    @questforreality3774 Жыл бұрын

    수소가 운송 중, 누출되면 다른 원소와 쉽게 결합되는데, 더 심하게 온실가스화 한다는데, 어쩌나 ? 수소가 미래라고 생각했는데, 큰 장애가 ...

  • @user-jp2bb1pe3w
    @user-jp2bb1pe3w7 ай бұрын

    수소 생산 새로운 패러다임이 시작됐죠 단순히 채굴로 간다고 하네요 기존 수소는 자연에 저장되지 않고 날아간다고 했는데 지금 지구에 있는 수소가 1000조톤이라고 하네요 10%만 채굴할 수 있다고해도 수백년간 지구가 쓸수 있다고 하네요 채굴방법은 헬륨정도 비용이라고 하네요

  • @user-nh1cx6ch9y
    @user-nh1cx6ch9y Жыл бұрын

    두산에너빌리티 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액화 수소 생산 임박인데..우리나라도 산유국? 그게 2023.4.17 현재 시운전중! 그리고 세계 5번째 가스터빈 개발하더니 이젠 소형 수소 터번 효율30% 달성 50% 시험중! 대형수소터빈 시험 시설 개선중 두산에너빌리티 대박 아닐까요?

  • @user-nh9eq4jw6o
    @user-nh9eq4jw6o Жыл бұрын

    자식 명의로 계좌만들어서 좋은회사 골라서 주식 사두고 물려주면 딱 이겠네여.

  • @checkitout6606
    @checkitout6606 Жыл бұрын

    2021년 신재생이란 단어를 쓰는 선진국이 없기에 에너지관련 기관홈피에서 보니 우리나라만 쓰는 용어로 되어 있었어요. 우리나라는 재생이라하기에도 뭐한 에너지원들을 죄다 신재생쪽에 분류해놓고, 에너지 전문가라는 사람들도 대외적으로 신재생이 7%가 넘어간다며 떠들어 대기도 했어요. 제가 도저히 들어줄수가 없어서 국제기구에 메일을 쓸까도 생각했습니다. 현재상황 수소에 관심 갖는 것은 맞는데, 솔직히 현재 수소관련 사업으로 이익을 내는 기업이 어디가 있을까요? 한번 해보는 것 말고, 데스트중인곳 말고요. 너무 터무니없는 시기부터 청정재생에너지인양 정치인도, 전문가도, 기업도 떠드는 바람에, 투자자, 발전소유치 지역 주민들만 골병들었습니다.

  • @hskim7584

    @hskim7584

    Жыл бұрын

    남보다 앞서가지 않으면 돈을 벌 수 없다. 배터리도 반도체도 맨 처음에는 맨날 적자. 시적을 빨리해도 파나소닉처럼 잠시 머뭇거리면 뒷처짐.

  • @user-tz2ol1hw1f

    @user-tz2ol1hw1f

    Жыл бұрын

    엥 나 유학할 때 외국에서도 쓰던 단어인데?

  • @user-uh5zk8mj6l

    @user-uh5zk8mj6l

    Жыл бұрын

    @@user-tz2ol1hw1f 한글로 찾아봤나봄

  • @checkitout6606

    @checkitout6606

    Жыл бұрын

    @@user-tz2ol1hw1f 신재생이란 단어는 쓰지만 분류체계는 따로합니다. 여기에는 법과 그에따른 세금혜택이 달라져요. 당시애 해당기관에 전화해서 연구원 입으로 확인했습니다. 너도나도 무분별하게 쓰는 용어가 아닙니다

  • @checkitout6606

    @checkitout6606

    Жыл бұрын

    @@hskim7584 갈려면 국민들에게 사기는 치지 말아야지 진짜 청정이면 일단 자신들 집앞 65m 앞에 30mw 급 발전소 들여놓고 써보고 진짜 공기청정기더라, 우리가족모두 무해하게 혜택받으며 잘 살고 있다고 말해야 그 진정성을 믿어줄수 있다 생각합니다. 기술발전에 안전성은 한참 뒷전이라 이런 식으로 밀어부치는 관련된 사람들을 믿을수가 업습니다. 저도 선도적으로 하는 것 적극 찬성합니다. 단! 제가 살고있는 반경 10km만 빼면요.

  • @keonheeyoon6385
    @keonheeyoon6385 Жыл бұрын

    7,8년 뒷 예기?

  • @best-realtor
    @best-realtor Жыл бұрын

    10년 장투 해야겟네 ㅎㅎㅎㅎ

  • @sehani
    @sehani Жыл бұрын

    수소는 어차피 그린수소 아니면 답 없습니다. 중동에서 천연가스가 많이 나서 천연가스를 고온으로 처리하여 발생한 수소가 과연 친환경인지는 또다시 고민해바야할 문제구요. 오일과 다르게 수소는 지구상에 70%이상 누구에게나 다 공급되고 있는 물속에 있는것이라 지금의 오일처럼 무자원국가로의 설움과 전량수입이라는 근원적인 문제랑은 다릅니다. 문제는 생산비용인데 저렴한 생산비용이라해서 그걸 굳이 밸브나 파이프나 액화수소방식으로 꼭 수입해야만 되는 지금의 기름이나 가스랑은 다른것이죠. 2030년이라고 해도 아직 7년이상 남았고 지금 검색만 해봐도 수전해 방식으로 국내연구진이 생산한 고효율 수소에 대한 기사는 많이 나오는데 꼭 수입만이 해법인것처럼 미리 재단한 필요는 없는것이죠. 물론 한국의 지리적 특성상 태양광이나 풍력 및 수력발전의 한계로 인해 수전해 했을때 들어가는 전기생산이 문제인데 뭐 중요한건 수십년안에 가성비 뛰어난 촉매제가 나오면 얘긴 달라지겟죠.

  • @Janghun13

    @Janghun13

    Жыл бұрын

    그린수소가 의미가 있는건데 그건 규모가 중요하니 여전히 수입을 하긴 하겠죠. 지금 원유처럼 100대 빵이 아닐 뿐.

  • @user-tf9bk5cs1p

    @user-tf9bk5cs1p

    Жыл бұрын

    그린수소가 궁극이긴한데 생산단가가 노답이니 당분간은 천연가스 개질해서 하는 블루수소가 답입니다. 수소만드는 기업들다 블류수소를 과도기로해서 만들려고 많이하고있고요

  • @user-ve1db9vh9n
    @user-ve1db9vh9n9 ай бұрын

    이미 중동 호주 남미 국가에는 태양광 풍력 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대규모 그린 수소 투자가 시작 되었습니다. 수소 (또는 암모니아) 이외에 잉여 재생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운송 할 대안이 없습니다. supply chain 은 담수화 - 수전해 (Electrolysis) - 액화 - 수출 터미널 - 운송 - 수입 터미널 - 활용인데 우리도 전체 supply chain 의 어딘가에 참여 할 방법을 준비 해야 합니다. 현재로서는 원천 기술 부족으로 운송과 활용 분야에 집중 될 것으로 보입니다.

  • @upupup222
    @upupup222 Жыл бұрын

    수소도 결국 전기로 만드는거라 수소는 에너지원이 아니라 저장장치임. 그런데 저장할때 쓰는 전기에 비해 나오는 전기가 터무니없이 적어서 아무도 안쓰는거지

  • @user-mg1rf2wc2h
    @user-mg1rf2wc2h Жыл бұрын

    수소나 전력은 ESS 같은 저장 장치로 해결될 수 없습니다. ESS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을 한들 그 용량은 수초만에 소진됩니다. 전력은 실시간 생산하여 수요=공급(발전)이 실시간 균형 방식이지 거다한 부하를 ESS로 저장공급 할수 없으며, 수소 역시 부생 수소는 절대 부족이고 수소를 대량생산 하려면 물을 전기분해 해야 합니다. 그런데 전력은 에너지 100을 연소시켜 전력으로 겨우 38%를 얻고 62%는 증기의 냉각손실로 냉각수로 버려집니다. 따라서 에너지 100을 연소하여 얻은 38%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얻을수 없습니다. 일의 열당량을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태양광 전력등이 단독으로 송전가능 하다면 태양광 풍력 전력으로 분리 독립하여 물을 전기분해 할수도 있겠으나 재생전력은 주파수 제어능력이 없어 단독 송전이 불가능하며 그래서 겨우 5%정도를 기존전력망에 섞어 쓰는 것이고 이따위 재생전력으로 에너지를 대체하는 거대한 수소생산 전력으로 절대 부족입니다. 세긍은 국민의 돈입니다

  • @taenggu7454
    @taenggu7454 Жыл бұрын

    문과의 의견은 거르는게 신상애 좋음

  • @evi9015
    @evi9015 Жыл бұрын

    그러면 백금촉매는 누가 만들죠??

  • @Allin7days
    @Allin7days11 ай бұрын

    수소의 생산지가 제한된 어느 특정 지역일때 해당하는 얘기네요...

  • @bsc5305
    @bsc5305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에너지 관리 모듈 EMM 이 나왔음. 자동차 열에너지를 전기로 바꿔 충전하는 장치... 사이즈도 작아서 현존하는 전기자동차에 장착. 워싱턴 DC에서 테스트중. 60%이상 더 주행 가능. 한마디로 300키로 달리던 자동차는 500키로를 달리고 500키로 달리던 전기자동차는 800키로 달릴수 있음.. 충전 속도도 빨라짐.. 나중에 업그레이드 버젼이 나오면 전기 자동차 충전도 필요 없어진다는 얘기.. EMM 장치를 달면 밧데리 용량도 줄일수 있다는 얘긴데.. 이제 밧데리. 연료관련주는 영원히 빠이인거 같네요. 스마트폰(전기) 시대에 시티폰(연료) 나오는 느낌.🎉

  • @user-ft4zf5jc2s9
    @user-ft4zf5jc2s98 ай бұрын

    액화수소는 지금도 운송합니다.

  • @thelibrary5972
    @thelibrary5972 Жыл бұрын

    수소차 연료가 3중수소인가요?

  • @user-vp5cz3xm7p
    @user-vp5cz3xm7p Жыл бұрын

    LNG 잘하는 회사가 액화수소도 잘한다 LNG용 밸브회사

  • @KORGrimReaper

    @KORGrimReaper

    Жыл бұрын

    대창솔루션 ( 수소산업에서 핵심중 핵심, 수소저장탱크, 액화수소 저장탱크 ) 국내 1위, 삼성전자에서 유일하게 공급 승인해준 기업임..//2023년 하반기부터는 수소산업이 진짜 대세로 시작할 것입니다. 2022년~2023년초까지 이차전지의 해였죠... 이제 수소의 시대가 다가옵니다. 전기차배터리 핵심 양극재의 에코프로가 바로 수소에서 대창솔루션이 될 것임.. 향후 1-2년내 에코프로처럼 주가 100배~500배 사이 갈 것임. ( 자회사 크리오스 상장도 할려다 연기했음.. SK E&S와 삼성측에서 지분투자까지 제안한 상황.. 가치가 급격히 증가중 ..) 수소에서 을중의 갑임.. 온실가스감축 한국 40%강제감축해야하고, RE100, IRA 충족하기 위해.. 수소는 이제 시작임.. 최근 대창솔루션 대형세력 매집하기 시작했음.. 아직 거래량 5천만주이상 터지지 않음.....//

  • @ggdr3000
    @ggdr3000 Жыл бұрын

    30년전에 전기분해로 수소 만들어 쓰는것을 생각했는데...드디어 ...수소의 시대가 도래 했다....왜...안하나 ...했는데...기술이 부족해서...ㅋㅋㅋ....

  • @tvjjang1588
    @tvjjang1588 Жыл бұрын

    수소를 이산화탄소랑 합성해서 기름으로 저장하는게 최상임.

  • @yangjaesik8997
    @yangjaesik899711 ай бұрын

    2차전지 보다 수소가 주연료로 사용될가 능성이 매우높다

  • @exittogoal
    @exittogoal Жыл бұрын

    일단 수소경제에 필요한 대량의 수소 생산이 현재 없습니다~~ 근미래에 수소경제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 @krauskim7662

    @krauskim7662

    Жыл бұрын

    불과 20년전에 배터리에 전기 저장해서 쓴다고 하면 미친놈 소리 들었음 테슬라가 전기차 만들어 팔겠다고 할때도 ㅂ ㅅ 소리 듣고 주가 개창렬이었지 그것도 15년도 안된 아주 최근의 일임

  • @realsturmful

    @realsturmful

    7 ай бұрын

    백색수소 검색해보세요. 게임체인저입니다.

  • @user-bc5jr3fu5i
    @user-bc5jr3fu5i4 ай бұрын

    무조건 총선거 이후 투자하세요

  • @gutviewable
    @gutviewable Жыл бұрын

    수소는 에너지원이 아니라 에너지 캐리어 입니다. 이 말을 이해하셔야 수소의 문제를 알 수 있어요. 전문가가 아니라 기자님이라 이해하는데요. 잘 못된 정보라 얘기드립니다. 수소는 에너지원이 아닙니다.

  • @gomawar
    @gomawar Жыл бұрын

    이대호기자님 염현석기자님을 와이스트릿에서 모셔온겁니까? 다분히 의도적인게 느껴져서요 교묘히 맞는말과 틀린말을 섞어서 얘기하시는데요 산업을 잘아신다고 하는데 염현서기자님본인이 틀린말을 모른다면 어디가서 잘안다고 하시지마시구요. 안다면 특정 기업을 두고 얘기 하신거죠. 이대호기자님의 답변 요구합니다 아 그리고 아프리카에 콩고라고 불리우는 나라가 2개가 있고 두나라다 대서양과 접해있어요.

  • @chrislee1566
    @chrislee1566 Жыл бұрын

    안와요

  • @jongwoolee4918
    @jongwoolee4918 Жыл бұрын

    수소취성때문에안되..탱크터질때 정전기땜에 퍽발수준으로연소할수도..

  • @jongwoolee4918

    @jongwoolee4918

    11 ай бұрын

    @@youreyesrs5282 수소가 많아서임, 수소가 그래인바운더리로 들어가서 취성을 일으킴

  • @fjord38
    @fjord38 Жыл бұрын

    수소의 시대는 아주아주 오랜뒤에😂

  • @user-kn5su2ov2m
    @user-kn5su2ov2m Жыл бұрын

    어드벤트 테크놀로지 가즈아~

  • @park88891

    @park88891

    Жыл бұрын

    저도 그거 3000주 가지고 있어요 반갑습니다. 근데 어제쯤 돼야 주당 백달러 도달할까요?

  • @gangnam-seoul
    @gangnam-seoul10 ай бұрын

    언제오나?

  • @user-hy6mr9md5b
    @user-hy6mr9md5b8 ай бұрын

    네에. 많이사세요.

  • @user-fc1ei5kv4h
    @user-fc1ei5kv4h Жыл бұрын

    빠때리아저씨가 수소는 아직멀었다고;;; 저보다 배터리를 모르는거같아요

  • @user-il4jngnnbnbnb
    @user-il4jngnnbnbnb7 ай бұрын

    수소에 최대 단점은 먼줄알아??????? 폭팔력이야 천천히 오래오래 불화력을 유지하는게 아니라 순간 공기와 마주했을때 엄청나게튼 확산적인 폭발력이야

  • @Reddot_AUTO
    @Reddot_AUTO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액화수소 상용화 시대가 오려면 2050년은 되야 가능할 것 같네요.

  • @user-ps2sj2ql3i

    @user-ps2sj2ql3i

    7 ай бұрын

    2030년대쯤, 왜냐~천연수소가 어마어마하게 묻혀잇어,채굴만하게되면 바로운반하면되니까~(최준영의백색수소 찾아가들여다보세요..}

  • @user-be6jj9uk1u
    @user-be6jj9uk1u Жыл бұрын

    요즘 개인투자자 똑똑합니다 전기차는 오늘이고 수소는 10년후에 봐야할 산업입니다 추신ㅡㅡ윤통이 보입니다

  • @bianca6831
    @bianca6831 Жыл бұрын

    수소는 에너지 저장 및 운반을 위한 수단이지, 그 자체로 에너지를 내는 에너지원이 아닙니다. 수소차의 에너지원은 수소가 아니라 전기입니다. 제발 팩트만 방송하세요.

  • @user-li2bo3ht8p
    @user-li2bo3ht8p Жыл бұрын

    암모니아로 운송합니다

  • @khwankim1017
    @khwankim101711 ай бұрын

    수소의 시대가 오려면 근본적으로 휘발유나 배터리와 비교해서 비교 불가할 만큼 고효율이어야 할 텐데 그렇게 보이지도 않고 전기차는 가정의 주택에서도 충전이 가능한데 수소는 수소 충전소가 반드시 필요하기에 확산해서 불편 없이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네요^^ 수소는 고효율도 아니고 충전도 너무 불편한데 어떻게 확산되어 일상화 할 수 있겠어요??

  • @user-vp5cz3xm7p
    @user-vp5cz3xm7p Жыл бұрын

    천연가스 회사들이 수소잘한다(ex 밸브)

  • @dalnim3035
    @dalnim3035 Жыл бұрын

    아 듣다가 깜놀! 수소가 산성(?)이라고? 기자양반, 잘 모르면 그냥 말 안하면 되는 걸, 왠 아는척?? 산도라는 건 H+가 더 많으면 산성, OH-가 더 많으면 염기성 아닌가? 수소취성때문에 다른 부식성물질에 더 취약해지거나 파열될 가능성이 높다면 모를까.... 내가 잘못알고 있다면 알려주셈 ㅋㅋㅋㅋ 그리고 공부가 많이 부족하신 것 같아. 적어도 맥킨지에서 나온 보고서 정도는 정독 (대충 읽지 마시고)하고 LOHC, 암모니아 등등 대안도 많다는 거... 괜히 잘 모르는 대중들 호도하지 마시고... 겸손, 그리고 성실한 기자생활 되시길!~

  • @user-qd7ol2mh4f
    @user-qd7ol2mh4f Жыл бұрын

    이미 독일에서 재생에너지로 수소를 생산하는 시설을 착수 했다고 한다 공기속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수소와 결합하면 엑체수소를 만들면 상온세서 사용할수 있는 대체 연료를 만들려고 재생에너지를 쉽게 만들수 있는 칠레에서 착수 했다고 한다. 좀더 연구해서 한국도 서둘러야 한다고 본다

  • @user-ve1db9vh9n

    @user-ve1db9vh9n

    9 ай бұрын

    대기 중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 중의 탄소와 수소를 결합하여 만드는 것은 액체 수소가 아니라 e-fuel 라고 합니다. CH 가 주요 성분인 기존의 화석 연료를 친환경적으로 만들자는 것인데 내연 기관 엔진의 생명을 어떻게든 연장 시켜 보려는 유럽 특히 독일 자동차 업체의 실현성 없는 생각이라는 것이 중론입니다. 수소를 그대로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야지 굳이 그걸 포집한 탄소와 결합 시켜 화석 연료에 가까운 연료로 만들 필요 없다는 거지요. 그것 태우면 어차피 Co2 또 생기는 겁니다. 물론 그걸 다시 포집 해서 리싸이클링 하겠다는 거지만.

  • @WHOIS1993
    @WHOIS1993 Жыл бұрын

    팩트체크 수소 액화 영하 253도입니다. LNG 비점 -163도 하고 별로 차이 안 난다고요? 수송시 손실율과 충전소? 이른바 공급스테이션에서도 압축기를 통해 계속해서 압축시켜줘야하고 이 때문에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에너지원이 바로 수소 아닌가요? 이런 부분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군요. 그리고, 수소의 불안정성과 비경제성이 2030이 되면 다 기술적으로 극복한다는건 너무나 근거없는 낙관 아닙니까? 수소붐업을 위해 헛바람 넣지 마시고 철저히 검증하는 콘텐츠가 먼저 필요한거 아니겠습니까?

  • @ukjin76
    @ukjin76 Жыл бұрын

    원전 빨리해주세요.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 @user-qo8le5pp7r
    @user-qo8le5pp7r Жыл бұрын

    플러그파워 사라이기야~~~

  • @ringstar9348
    @ringstar9348 Жыл бұрын

    왜 수소를 쓰죠. 바로 전기로 가면 되는데 몇쿠션 치고 들어가는궤 수소인데.

  • @user-lc5zr6iu8u
    @user-lc5zr6iu8u Жыл бұрын

    29년쯤 관심가지면 되겟네

  • @user-ex3kb3ri3l
    @user-ex3kb3ri3l Жыл бұрын

    다음달도 모르면서 2030년 ?

  • @dhbaek7501
    @dhbaek7501 Жыл бұрын

    액화수소는 액화온도가 너무 낮아서 (-250도전후) 액화암모니아로 운송하려고 다들 하는겁니다. 액화수소가 180도라는 말은 무슨 말인지...

  • @user-xj7sc7jb6i
    @user-xj7sc7jb6i Жыл бұрын

    액화수소의 보관에 필요한 에너지랑 이동중에 소실되는 에너지는 어떻게 줄일수 있는지.. 이문제를 해결못하면 수소는 그림에 떡일뿐... 전에 전문가님이 삼프로에 나와서 이야기 하는거 들어보니 액화되서 차량에너지로 갈때까지 소모되 버리는양이 60프로 정도 된다던데... 이걸 어떻게 커버할것인지가 전혀 나오지 않는게 안타깝네요

  • @KORGrimReaper

    @KORGrimReaper

    Жыл бұрын

    대창솔루션 ( 수소산업에서 핵심중 핵심, 수소저장탱크, 액화수소 저장탱크 ) 국내 1위, 삼성전자에서 유일하게 공급 승인해준 기업임..//2023년 하반기부터는 수소산업이 진짜 대세로 시작할 것입니다. 2022년~2023년초까지 이차전지의 해였죠... 이제 수소의 시대가 다가옵니다. 전기차배터리 핵심 양극재의 에코프로가 바로 수소에서 대창솔루션이 될 것임.. 향후 1-2년내 에코프로처럼 주가 100배~500배 사이 갈 것임. ( 자회사 크리오스 상장도 할려다 연기했음.. SK E&S와 삼성측에서 지분투자까지 제안한 상황.. 가치가 급격히 증가중 ..) 수소에서 을중의 갑임.. 온실가스감축 한국 40%강제감축해야하고, RE100, IRA 충족하기 위해.. 수소는 이제 시작임.. 최근 대창솔루션 대형세력 매집하기 시작했음.. 아직 거래량 5천만주이상 터지지 않음....액화수소 이송용탱크도 갖고 있음

  • @user-xj7sc7jb6i

    @user-xj7sc7jb6i

    Жыл бұрын

    @@KORGrimReaper 제가 이야기하는건 액화수소 수소 자체를 압축해서 보관하는데 에너지가 사용됩니다 관련 대학교수가 나와서 한이야기를 한거 뿐입니다 수소... 꿈의 에너지원은 맞지만 갈길은 아직 한참 멉니다... 풀어야될숙제도 엄청나게 많구요

  • @KORGrimReaper

    @KORGrimReaper

    Жыл бұрын

    @@user-xj7sc7jb6i 대창솔루션 자회사 크리오스 공장에 탐방 다녀오시길 추천드립니다. 수소 자체를 압축해서 보관하는데 에너지가 사용하는 것은 맞으나, 현재 대창솔루션은 액화수소 암모니아 형태로 저장탱크에 저장, 이송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없습니다. 최대 2달까지 손실없이 가능하여, 해외에서 수소생산후 국내 수입시에도 도입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수소생산은 2025년부터 아시아 최대 수소생산기지에서 시작됩니다.^^

  • @user-xj7sc7jb6i

    @user-xj7sc7jb6i

    Жыл бұрын

    @@KORGrimReaper 말처럼 모든것이 실현된다면 좋겟으나... 수소가 압축되서 자동차에서 연료로 소모되기 전까지 70프로의 소실률을보인단는걸 ... 압축하는데 드는 에너지랑 보관하는데 드는 에너지... 유튜브에 관계자가 나와서 말하는걸 들은거 뿐입니다 수소에너지에 그다지 흥미도 없지만... 도요다 현대차 같은 큰 기업들도 고전하는거 보면... 그리고 마냥 좋은에너지라고 한다 한들 사업성이 없다면.. 글쎄요...

  • @KORGrimReaper

    @KORGrimReaper

    Жыл бұрын

    @@user-xj7sc7jb6i 수소는 자동차중 승용보다 승합, 트럭과 수소선박에 더 어울립니다. 전기차가 장거리나 대형트럭에 적합하지 않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리고 70% 소실률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그래서 겉핧기식으로 인터넷상 정보만 보고 판단하지말고 탐방을 적극 추천 해드린 것입니다. 님의 사고자체가 달라질 것입니다. 이미 재계순위 1~10위권내 과반이상이 수소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2025년엔 세계최대규모 수소생산을 국내에서 시작합니다. ^^;;먼 이야기가 절대 아닙니다. 수고하십시오.

  • @eeert2z
    @eeert2z9 ай бұрын

    가끔씩 말을 끊으시는데 그거 때문에 흐름이 끊깁니다 좀 줄여주세요

  • @user-hz7qj6kz9o
    @user-hz7qj6kz9o11 ай бұрын

    수소차 수소통 방탄되나요? 안되면 미국 시장은 뚫기 힘들듯...

  • @OriginOfMankind

    @OriginOfMankind

    9 ай бұрын

    내연기관 연료통은 방탄 되냐? 전기차 배터리는 방탄 되? 븅 ㅅ ㅉㅉㅉ

  • @hanpar.k.
    @hanpar.k. Жыл бұрын

    대창솔루션 (크리오스) 회사(동전주, 잡주)암모니아.수소 탱크/밸브 만드는데, 이런회사가 대박날수도 있다는건데요

  • @KORGrimReaper

    @KORGrimReaper

    Жыл бұрын

    대창솔루션 ( 수소산업에서 핵심중 핵심, 수소저장탱크, 액화수소 저장탱크 ) 국내 1위, 삼성전자에서 유일하게 공급 승인해준 기업임..//2023년 하반기부터는 수소산업이 진짜 대세로 시작할 것입니다. 2022년~2023년초까지 이차전지의 해였죠... 이제 수소의 시대가 다가옵니다. 전기차배터리 핵심 양극재의 에코프로가 바로 수소에서 대창솔루션이 될 것임.. 향후 1-2년내 에코프로처럼 주가 100배~500배 사이 갈 것임. ( 자회사 크리오스 상장도 할려다 연기했음.. SK E&S와 삼성측에서 지분투자까지 제안한 상황.. 가치가 급격히 증가중 ..) 수소에서 을중의 갑임.. 온실가스감축 한국 40%강제감축해야하고, RE100, IRA 충족하기 위해.. 수소는 이제 시작임.. 최근 눈치빠른 대창솔루션 대형세력 매집하기 시작했음.. 아직 거래량 5천만주이상 터지지 않음....액화수소 이송용탱크도 갖고 있음..현재 주가 400원대.. 올해 5000원 내년 2~5만원..향후 10만원까지 갈 가능성 높음..현재 국내에서 수소 저장탱크 삼성전자, SK, 롯데케미칼 대기업에 독점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승인받은 유일한 종목이 대창솔루션임..

  • @user-cq3de7ye5r
    @user-cq3de7ye5r7 ай бұрын

    7개월후 미래입니다 안왔는데요? ㅋㅋㅋㅋㅋㅋ배터리 망했어요 ㅋㅋㅋㅋㅋㅋ 다망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쟁도터짐 ㅋㅋㅋㅋㅋ 아참 부동산 다시내림 다망함 ㅋㅋㅋㅋㅋ

  • @user-zx3tk7uh4z
    @user-zx3tk7uh4z Жыл бұрын

    2차에너지라 수소상용화는 좀걸릴듯합니데이

  • @yekoy
    @yekoy Жыл бұрын

    수소대장주 뭔가요?

  • @user-rc7lj5qt5m

    @user-rc7lj5qt5m

    Жыл бұрын

    플러그파워

  • @user-gh8zj6bh7r
    @user-gh8zj6bh7r Жыл бұрын

    결국엔 수소로 갈수밖에 없음 퓨얼셀 연료전지 수소는 일반적으로 알려진바와 달리 위험하지 않음 ㅡ수소폭탄과는 다름

  • @user-vg4kn1kj8d
    @user-vg4kn1kj8d Жыл бұрын

    수소차가 올해 2달 동안 전 세계적으로 2131대 팔려 역성장했다고 하네요. 왜 그럴까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