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 reality real? Part 2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The second part of the video begins by introducing the groundbreaking paper by Nick Bostrom, "Are You Living in a Simulation?" This paper ignited the debate on the simulation hypothesis, with Bostrom arguing that the rapid advancement of computer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uld make it highly possible to create virtual realities indistinguishable from our own. The video also highlights the views of several scholars, including Elon Musk, who support this hypothesis. For instance, quantum mechanics expert Seth Lloyd claims that the universe operates like a giant quantum computer through quantum mechanical calculations, and Dr. James Gates, notable in the field of string theory, has discovered structures within the mathematical equations explaining the universe's fundamental structure, resembling error-correcting codes found in the study of quarks and electrons, which changed his perspective. Additionally, James Gleick, the author of "The Information," argues that the true essence of the universe lies in information.
Thus, the video explains numerous pieces of evidence supporting the simulation hypothesis and concludes with my personal brief thoughts on it. Are we indeed living in a simulation created by a highly advanced civilization? Is this hypothesis merely a speculative science fiction theory, or an important clue in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reality? This video aims to pose such questions to you and foster a deep discussion. Please leave many comments. Thank you.

Пікірлер: 47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29 күн бұрын

    전 항상 후회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20년전 저는 10년전의 나를 떠올리며 한숨을 쉬었고 10년전 역시 10년전의 나를 보며 머리를 쥐어뜯었으며 지금도 변함없이 10년전의 나를 탓하고 있습니다. 아마 10년 후에도 지금 이 순간을 그리워하며 후회하며 살고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세계를 만든 신(플레이어)님.. (그래요 바로 당신이요!) 제발 제 인생에 조금이라도 후회 없는 장면들을 추가해 주세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해피 엔딩도 부탁드립니다! 아멘, 할렐루야! 🌟

  • @theview5045
    @theview504529 күн бұрын

    이 세상은 물리적으로 연속된 게 아니고, 0과 1의 디지털 점멸.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그렇다면 저는 혹시 '고장 난 픽셀'일까요? 화면을 좀 두드려주세요. 저를 다시 연속 모드로 전환시켜야 해요!😂

  • @rush_dark1788
    @rush_dark178828 күн бұрын

    시뮬레이션을 만든 창조주는? 누가 만들었을까요? 성경에는 스스로 존재하는 자라고?되어 있다던데 , 스스로 존재한다고 착각하는 시뮬레이션 속 창조주일수도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마치 SF 영화같은 흥미로운 주제네요. 정확한 답은 아무도 모르겠지만 성경을 보면 신은 인간을 자신의 모습을 본따서 흙으로 만들었다고 하죠. 그래서 어쩌면 신 역시 우리와 유사한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을수 있다고 상상해 볼 수 있죠. 우리에게는 우리 세상을 창조한 전지전능한 신이지만 신이 속한 상위 차원에서는 신 역시 그저 평범한 인간중에 한 명일지도 모르죠. 만약 신이 우리를 자신과 유사하게 시뮬레이션했다면 우리 역시 신이 했던 것처럼 자신만의 시뮬레이션 세계를 창조할 가능성이 매우 높겠죠. 왜냐하면 우리들은 신을 시뮬레이션한 인간들일테니까요. 그리고 우리 중 일부 또는 대다수는 이 가상의 세상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탐구하고 행복을 추구하려고 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신도 같은 목적일지 모른다는 상상을 한 번 해봤습니다. 그리고 우리들이 가상 시뮬레이션 세상을 만들어 그 안으로 들어가듯이 가상 시뮬레이션 세계의 인간들도 또 다른 가상 시뮬레이션 세상을 만들어 들어가게 될 것이고 이 과정이 거의 무한하게 일어날 수 있을텐데 그렇다면 우리 우주, 이 세계는 몇번째일까요? 그렇게 무한한 우주중에서 확률적으로 첫번째(진짜 현실)는 아닐 확률이 매우 높겠죠?

  • @user-wg9zz8xe8l
    @user-wg9zz8xe8l29 күн бұрын

    100퍼 시뮬입니다;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그럼 저는 지금 가상의 침대에서 가상의 잠을 자려다가 가상의 댓글을 보고 가상의 답변을 달고 있는거군요^^;

  • @user-cf2yn7un8n
    @user-cf2yn7un8n24 күн бұрын

    잼있게 잘 봤어요 3부도 기대하고 있을게요!^^

  • @user-ti1gm3lz5j
    @user-ti1gm3lz5j29 күн бұрын

    나는 미래에서 알려준다.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미래에서 알려준다고요?? 와우~! 미래에서 오셨나봐요? 저희 인류가 드디어 시간 여행에 성공했다는 건가요? 그렇다면 2012년의 저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꼭 좀 전해주세요~ 묻고 따지지도 말고 비트코인에 몰빵하라고... 그리고 혹시 가능하시면 지금 저에게도 다음 주 로또 번호좀 알려주세요!^^;

  • @sungkyun
    @sungkyun19 күн бұрын

    흥미롭고 재밌습니다. 3부도 기대됩니다.추천하고 갑니다.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28 күн бұрын

    여기는 처음부터 만들어진세상에다 꽂아넣은거임. 여기서 사는분들은 다 인간이아님 그렇게 생각하는거지 알수가없으니깐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아하~! 그럼 저는 뭘까요? 만들어진 세상에서 댓글 답변 달고 있는 코드로 이루어진 인간? 어쨌든 인간이든 아니든 진실을 찾는 탐구와 여정은 계속되기를 🕵‍♂👽

  • @markwebber8028
    @markwebber80284 күн бұрын

    1, 2부 아침 먹으면서 다 봤습니다. 기억에 남는건 아이슈타인의 사망년도;;하고, 1부에 나온 앤트맨을 보고싶고(히어로물에 질렸는데 이건..), 2부 끝에 나온 프리 가이도 다시 보고 잡네요. 3부도 기대됩니다.

  • @user-filmstar
    @user-filmstar22 күн бұрын

    "What is real? how do you define real?" 이 문제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수년간 고민하는 중입니다. 이윽고 우리가 사는 이곳이 시뮬레이션이냐 아니냐를 따지기 전에 현실을 어떻게 정의할것인가 라는 과제가 선행 될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지금 우리가 통속의 뇌이든, 시뮬레이션 안에 필요에의해 설정된 다소 복잡한 코드이든, 천재 중학생이 장난삼아 만든 가상현실 게임속 npc이든 아니면 극히 낮은 확률로 최초의 인류이든.. 보고 만지고 느끼고 맛보는 이 모든것들은 우리의 기준에서 우리의 방식으로 인식하는 것이죠. 쇼펜하우어의 말처럼 표상으로서의 세계만 인식할뿐 그것들의 본질이 무엇인지 실체라는것이 정말로 있기는 한지 그건 알수가 없기에.. 우리가 보고 느끼는 방식으로만 이세상을 규정할수 밖에 없는것이죠. 결국 현실이든 가상현실이든 변할건 없다.. 라는게 현재 저의 결론입니다. 통속의 뇌라 할지라도 매트릭스 속에서 사는 npc라고 할지라도 단 한개만 존재하는 물질 세계의 최초 인류라 할지라도 느끼고 인식하는 방식이 100퍼센트 같다면 무엇이 현실이고 무엇이 가상현실이라고 단정할수 있을까요. 우리가 지금 사는 세상과 완벽하게 똑같은 세상을 구축하고 그안에서 지금과 같이 100퍼센트 똑같이 맛보고 느끼고 기뻐하고 아파한다면 그것과 현실의 구분을 짓는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영화 매트릭스를 예로 들어 반대로 생각해볼수도 있겠죠. 평범한 회사원의 삶을 살던 토마스 앤더슨은 따분한 일상에 자극을 주고자 게임 하나를 구입합니다.(혹은 토탈리콜처럼 기억 이식이 될수도..) 기계가 가상세계를 만들어 인간들을 사육하는 세상에서 인류를 구하는 히어로 역할의 게임, 혹은 기억.. 그리고 빨간약을 먹으며 게임을 시작합니다. 매트릭스에서 깨어난 '네오'라는 구원자 역할에 충실하여 가상현실을 넘나들며 Ai와 맞서 싸우고 사랑도 하고 흥미 진진한 모험을 하며 멋지게 세상을 구합니다. 게임이 끝나고 개운하게 자고 일어난 앤더슨은 회사로 출근.. 무엇이 진짜일까요. 그건 어떻게 의미를 부여할지 무엇이 현실인지 규정하기 나름일뿐 '진짜현실'이라는건 '없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네오의 기억도 앤더슨의 삶도 모두가 그에게는 진짜라 느껴지니까요. 우리 인생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어차피 10년전의 기억도 1년전, 하루전, 10초전의 기억조차 모든것이 환이고 꿈과 같이 실체가 없는것들인데.. 그것들이 진짜 내가 살아온 증거라 확신할수 있을까요. 만약 우리가 가상세계에서 바로 1초전에 탄생한 80먹은 노인의 모든 기억과 경험, 가치관을 바탕으로 인간과 똑같이 정교하게 만들어진 휴머노이드라면 실제 80년을 살아온 노인과 무엇이 다를까요..? 다를게 하나도 없습니다. 오직 지금 이순간 존재하고 있다는 인식만이 있을뿐이니까요. 하지만 제가 한가지 확신 하는건 우리는 반드시 우리가 살고있는 이세상(비록 이것들 모두가 컴퓨터코드라 해도)과 똑같은 세계를 만들것이라는 것입니다. 왜냐면 우리의 구조가 그것들을 욕망하게끔 만들어져 있으니까. 그래서 저는 이시대에 살고있다는것이 너무너무 가슴설레고 기대되고 행복합니다. 완벽하게 재현된 새로운 세계에서 정말 무한에 가까운 경험들을 할수 있게 될테니까요 ㅎ 제작자님 말씀처럼 슈퍼맨도 될수있고 일론머스크, 고대 로마의 황제, 모차르트나 위대한 스포츠스타의 삶도 경험 해볼수 있겠죠. 또 지금 삶에서 후회 되었던 과거로 돌아가 비트코인을 살수도 어리숙해서 놓쳐버린 첫사랑도 돌이킬수 있을겁니다. 초지능의 출현으로 우주의 신비나 불가사의한 세상의 현상들 종의 기원의 비밀등 이제껏 알지 못했던 수많은 영역들을 탐구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정말 말도 안되게 신비롭고 재미있는 시대에 태어난거 같아서 너무나 감사하게 하루 하루 살고 있습니다ㅎㅎ 제작해주신 모든 영상들 정말 꼼꼼하게 흥미롭고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모든 영상들의 감상평을 쓰고 있자니 글이 쓸데없이 길어졌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들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nt6sd5hi7z

    @user-nt6sd5hi7z

    20 күн бұрын

    와 진리네요 삶의 의미를 몇년째 찾는 사람으로서 새겨야겠습니다. 저도 비슷한 방향으로 가고있었거든요 모든게 없다 지금밖에 없다 감사합니다

  • @user-filmstar

    @user-filmstar

    20 күн бұрын

    @@user-nt6sd5hi7z 제가 무슨 의도를 메세지에 담으려 했는지 핵심을 정확히 파악해주신거 같아 기쁘네요. 누군가에게는 개똥철학이 될수도 있는 주절주절 헛소리같은 글에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user-tj1xm3kk4i
    @user-tj1xm3kk4i28 күн бұрын

    그럼 누군가 우릴 보고 있단 뜻....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글세요? 우리 생활이 마치 '트루먼 쇼'처럼 누군가의 예능이나 드라마 같은 걸까요? 만약 그렇다면... 제발 시즌 2에서는 제 인생도 좀 멋지게 만들어주기를^^;

  • @infobox2081
    @infobox208121 күн бұрын

    시뮬레이션 우주에 대한 내용은 참 흥미로운 일인것 같아요.

  • @HYO0320
    @HYO032028 күн бұрын

    우리 현실은 시뮬레이션의 시뮬레이션 일 가능성이 가장 높음. 현실이 1차 시뮬레이션이라면 어떤 인격체가 본인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자기 중심적 세계 일텐데, 우리세계에 그런 정도의 절대 권력자는 없음. 솔까말 지금 현실이 누군가의 1차 시뮬이라면 이재용,일론 머스크,푸틴 정도 권력에 만족 할까? 나같으면 슈퍼맨 능력+아이언맨 재력 정도는 기본으로 깔고 갈텐데 그정도의 절대자가 현실에는 없음 때문에 우리 현실은 최소 2차 이상 어쩌면 시뮬에 시뮬에 시뮬에 시뮬 일지도....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7 күн бұрын

    그렇다면 우리는 '시뮬레이션 세계의 인셉션' 안에 살고 있는 셈이네요. 그러나 여기서 한 번 생각해 봅시다. 2차, 3차 이상의 시뮬레이션이라 해도 그 가상 인간들도 자신들의 가상 시뮬레이션 세계를 만들어 그 속에서 절대 권력을 누릴 것입니다. 그런데 왜 우리 현실에는 그런 절대 권력자가 보이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우리 현실이 진짜 현실이거나 절대 권력자가 그 힘을 숨기고 이 세상을 마음대로 조종하고 있다고 봐야 할까요? 그게 아니면 우리 세상에는 전혀 개입을 하지 않고 어떻게 진행되는지 관찰만 하는 것일까요? 만약 시뮬레이션의 목적이 인간 사회의 자연스러운 발전을 관찰하는 것이라면 슈퍼맨과 같은 존재를 허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는 우리 세상이 단지 관찰과 연구의 목적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또한 우리 현실의 물리 법칙은 매우 일관되고 예측 가능하게 작용합니다. 이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어떤 형태의 시뮬레이션일지라도 그 시뮬레이션이 매우 정교하게 설계되었다는 것입니다. 만약 슈퍼맨의 능력과 같은 초인적인 능력이 존재한다면 이는 물리 법칙을 무시하는 것이므로 시뮬레이션의 목적과 일관성에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단, 우리 세상이 그런 목적이 아닌 즐기기 위한 게임이라면 치트키를 숨겨 놓았을지도 모르죠) 시뮬레이션 이론에서는 우리가 모든 정보를 알 수 없다는 가정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우리는 절대 권력자가 존재하는지 그들이 우리를 관찰하고 있는지 혹은 개입하고 있는지를 알 수 없을 것입니다. 어쩌면 우리가 절대 권력자를 보지 못하는 이유가 그들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시뮬레이션의 설계 상 우리에게 보이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일 수도 있죠. 어쨋든 뭐가 맞는지 정답은 아무도 모르는 거겠죠? 이 세상의 신이 아닌 이상...

  • @HYO0320

    @HYO0320

    26 күн бұрын

    @@user-ho9sk9xl7c 제가 생각하는 2차 이상의 시뮬레이션은 반드시 사적 욕망에 의한 시뮬이 아닌 실험이나, 공익을 위한 시뮬도 존재 할것이라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우주생성 시뮬을 돌리면서 특정 원자의 함유량을 1~100까지 다르게 하는 100개의 시뮬이 있고 그런 실험군 중의 1개의 우주가 우리 우주 일수도 있구요.

  • @zartman7512
    @zartman751227 күн бұрын

    그런 시스템을 뚫고 탈출한 인물이 석가모니 부처님이죠.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7 күн бұрын

    석가모니 부처님은 해킹의 달인이셨군요! 우리도 얼른 그 비법 좀 배워야겠어요! 😂

  • @zartman7512

    @zartman7512

    27 күн бұрын

    @@user-ho9sk9xl7c 맞습니다. 시스템을 해킹하신거죠. 그걸 가르친게 불교라는 종교로 내려온건데 변질은 많이 되었습니다.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7 күн бұрын

    @@zartman7512 으음.. 우리 모두는 어떤 식으로든 시스템 해커가 될 수 있는데 부처님은 그걸 최초로 깨달으셨고 그 깨달음이 불교라는 소프트웨어로 사람들에게 전달 되었지만 시간이 흐르며 몇몇 사람들에 의해 버그와 약간의 코드 변질이 생긴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zartman7512

    @zartman7512

    27 күн бұрын

    @@user-ho9sk9xl7c 맞습니다. 다만 석가모니 부처님이 최초는 아니구요. 이전에도 이십몇분의 부처님이 같은 방식으로 이곳의 취약점을 간파하고 벗어나셨다고 합니다. 그중에 석가모니(고따마 싯타르타)는 일단 실존인물이고 심지어 인도 마가다국의 왕자라는 사실이 역사에 존재하는 유일한 인물이라... 이전의 다른 부처님들 보다는 우리 인간의 입장에서 좀 더 믿을만하다는게 좀 다른점이죠. 말씀하신대로 변질된 코드는, 만약 어제 생긴 사건이 일주일후 또는 한달, 10년, 100년이 지나면서 왜곡되듯이(역사처럼) 불교 역시 2500년경 가르침이라 곁가지가 너무 많이 붙은 코드가 되어버려서 변질이 되어버렸습니다. 다행히 핵심 코드 한줄은 잘 전해지고 있습니다. 아무튼 실존인물인데 벗어난 인물이 있다는게 흥미롭더군요. '내가 이곳을 벗어나는 방법을 알았고 그것을 가르쳐주겠다' 2550년경 다섯 제자들에게 한 말.

  • @user-in3pd7jw1x
    @user-in3pd7jw1x13 күн бұрын

    영상에 사용하신 브금 알 수 있을까요??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13 күн бұрын

    '미지의 땅' 입니다.

  • @infobox2081
    @infobox208121 күн бұрын

    컴퓨터 코드.. 시뮬레이션 우주에 대한 이야기흥미롭게 보고갑니다.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1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yoshihiro2221
    @yoshihiro222128 күн бұрын

    가상현실인거 확인할 수 방법있음. 나는 그 방법으로 확인했고 확신하는 중임.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아침에 일어나 커피 한 잔을 마시고도 그 커피의 맛이 데이터 입력처럼 느껴진다거나 출근길에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리는데 마치 로딩 화면이 떠오른다고 느껴지고 주변 사람들이 모두 NPC처럼 느껴진다면 우리는 이미 가상현실의 깊은 곳에 있는 걸까요? 궁금하네요 확인 방법이 뭐죠? ^^; 그래서 여기는 현실인가요? 가상현실인가요? 저한테만 사알짝~ 알려주세요^^

  • @POHANG_AJAE
    @POHANG_AJAE28 күн бұрын

    이번 희차 인간들은 좀 늦게 알아냈군... 이제 리셋 해야겠다. 뿅!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우와~! 리셋 버튼이 있다니.. 부탁이에요. 리셋하실 때 '부자 모드'랑 '행복 자동 업데이트'도 같이 켜주세요. 뿅! 😆

  • @user-xs6oh9hl2l
    @user-xs6oh9hl2l28 күн бұрын

    어차피 가짜면 치트키좀 써달라고 ㅋㅋ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그러게 말이에요. 공감 한표 던지고 갑니다^^

  • @mangdrai000
    @mangdrai00027 күн бұрын

    시물레이션은 의식과 생명이 없다 그러나 현실에는 의식과 생명이 존재한다 시물레이션 인간은 0과 1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현실 인간은 유전 물질로 구성된다 우주 천체들과 물질들도 0과 1이 아니라 각각의 원소들로 구성된다 시물레이션 우주론에서 0과 1로 천체 시물레이션이 움직인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천체의 움직임이 0과 1의 프로그래밍에 기록되었기 때문일 뿐이다 따라서 시물레이션 우주론은 틀렸다

  • @gjhjkjchl
    @gjhjkjchl28 күн бұрын

    시뮬레이션을 창조한 신은 누가 만든거임?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시뮬레이션을 만든 신은 누가 만들었냐고요? 그건 그러니까... 저도 몰?루? 하지만 어떤이는 그렇게 말하더군요. 그 신도 더 높은 상위 차원의 신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그럼 그 상위 차원의 신은 또 누가 만들었을까요? 이렇게 계속 올라가면 우리는 결국 '신들의 신'을 만나게 될까요? 만약 맨 위에 있는 그 '신들의 신'이 "사실 나도 내가 어디서 왔는지 몰라~ 나도 나를 창조한 누군가가 있나봐" 라고 말한다면 어떡하죠? 우리는 그냥 모두 함께 커다란 우주적인 신원 미확인 루프에 빠진 셈이겠네요. '신들의 신'도 월요일 아침에는 커피 한 잔이 필요한 평범한 존재일까요? 그 신도 아침에 일어나서 '어제는 뭐했더라? 음.. 그래!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어! 오늘은 우주라는 걸 만들어보자!' 하면서 우주를 창조한 걸까요? 저도 정말 알고 싶네요^^

  • @dia-pj3om
    @dia-pj3om28 күн бұрын

    탈모 주장 안믿음

  • @user-ho9sk9xl7c

    @user-ho9sk9xl7c

    28 күн бұрын

    닉 보스트럼 얘기죠? 저는 아직 탈모는 없는데 사는 게 힘들어서 조만간 생길꺼 같아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