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360° 인문포럼] 제1회 인간과 과학⋅기술_물리학자의 미래준비법은?

Ойын-сауық

인문360° 인문포럼 '5년 후, 우리의 삶'
제1회 인간과 과학⋅기술
📍주제 : 물리학자의 미래준비법은?
📍강연 :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일시 : 2022.10.12.(수) 19:30-21:00
📍사회 : 장태순 덕성여대 철학과 교수
📍장소
➡현장참여 : 더북컴퍼니 B2 토브홀
➡온라인 생중계 : 유튜브 인문360 채널
#김상욱 #김상욱교수 #인문 #인문학 #강연 #인문강연 #포럼 #변화 #미래 #물리학 #책추천 #과학 #기술 #떨림과울림
00:00:00 연사소개
00:04:16 강연시작
01:02:20 대담시작
01:26:35 질의응답

Пікірлер: 83

  • @Mathetraveling
    @Mathetraveling Жыл бұрын

    김상욱교수님 보러왔는데 사회자님 매끄러운 진행도 정말 인상적이네요..

  • @peterjun8889
    @peterjun8889 Жыл бұрын

    고승의 오직 모를뿐 이라는 화두를 과학으로 풀어낸 명강의 ~ 지금 여기에 집중하자를 풀어낸 명강의 ~ 강사님과 사회자님 모두 감사드립니다

  • @srwagner324
    @srwagner324 Жыл бұрын

    인간존중만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인간의 미래💗👍

  • @user-bh2dv1eo9h
    @user-bh2dv1eo9h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역시 교수님의 강의는 유익하네요 항상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user-zm3im2qh8u
    @user-zm3im2qh8u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진짜 행복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네요 ~감탄 입니다~

  • @sylee2872
    @sylee2872 Жыл бұрын

    철학을 겸비한 과학자 김상욱교수님 말씀 감명깊게 들었습니다

  • @poussinkang8560
    @poussinkang8560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이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를 설명하는 영상에서 '과학은 모름을 인정하는 데서 시작한다'라고 하셨었는데 역시 과학자로서의 자세를 잘 지키면서 이번 강연도 보여주셨네요. 길지 않은 미래, 5년 후의 우리의 삶이 어떠하리란 걸 명확하게 예측하기는 어려움을 받아들이고, 지금 현재 우리가 잃지 말아야 할 것들을 강조하신 바에 충분히 공감하며 과학자로서 인문학적 시각으로 강연의 결론을 맺어주셔서 더욱 인상 깊고 울림이 더 크게 다가 옵니다. 강연 주제와 김상욱 교수님의 강연 모두 다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ij9vw5gg1l
    @user-ij9vw5gg1l Жыл бұрын

    우리의가치는 상상이다 돼지는 죽여도되고 사람은? 큰 울림이었습니다. 요즘 김상욱님에게 꼬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진행자님도 음 멋져요

  • @user-ty5um7fi2d

    @user-ty5um7fi2d

    Жыл бұрын

    꽂히고

  • @user-gg6ki1fj3c
    @user-gg6ki1fj3c Жыл бұрын

    너무도 연구에 빠져 무엇하나 특별한걸 발견하는 과학자도 중요하지요 . 그러나... 과학 대중화와 새로운 꿈나무들을 위해 강연을 너무 도 쉽게 그리고 인간적으로 해주시는 분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한국 과학자중 제일 쉽게 들은 물리학자는 김상욱 교수님 이십니다. 쉬울뿐 아니라 재미까지 느꼈으니까요. 거기에 더해 인문학 뿐 아니라 생물학 등등 여러 소양도 같이 배우게 됩니다.

  • @user-ss6nf7vx3n
    @user-ss6nf7vx3n Жыл бұрын

    과학기술로 환경에 덜 해로우면서도 싼 청정에너지 개발되는 것을 오히려 걱정스러워하는 김상욱교수 생각에 처음에 뜨아했다 매우 공감합니다. 문제는 욕망 조절을 못하는 인간이 문제라는 한마디로 압축하시는 장태순?사회자 역량도 대단하시네요. 좋은 강연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srwagner324
    @srwagner324 Жыл бұрын

    아주 귀한 김 상욱 교수님강의 주의깊게 감사히 시청 했습니다. 변하지 않는것을 주의해서 지켜나가는 삶, 오늘에 집중하라. 두려워하기버다 먼저할것에 집중하라. 동감입니다.

  • @srwagner324
    @srwagner324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사람답게, 하고픈 것만 하고 사는 세상위해 인공지능 개발해서 유토피아로 갑시다🎉제발요~~👏🙏

  • @ma5726
    @ma5726 Жыл бұрын

    교수님강의 감사합니다 ! 강의내용도좋지만 언어구사에있어서 걸림없이 본질에 직진하시는 힘이느껴집니다. 교수님의 제자분들 부럽습니다 ! 건강하시고 많은강의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user-cd3qm1nl6o
    @user-cd3qm1nl6o Жыл бұрын

    참되고 진정한 생각이 있는 최고의 강의!!!! 우리 인간들 생각의 방향설정을 위한,,,,,,,,,

  • @SWMoon-ex9eh
    @SWMoon-ex9eh Жыл бұрын

    김상욱의 재발견, 장태순의 발견!

  • @srwagner324
    @srwagner324 Жыл бұрын

    한국의 과학연구 뒷바침은 참 열악할겝니다... 다행히 김 교수님께서 이 불모지에 선구자가 계셔서 참 귀하고 감사합니다.

  • @user-hx2ri9mr4h
    @user-hx2ri9mr4h11 ай бұрын

    지성인이란 말에 어울리는 가치있는 강의 고맙습니다.

  • @user-gl2nb3zl5p
    @user-gl2nb3zl5p Жыл бұрын

    매력넘치는 지식인 김상욱교수님❤ 넘 좋은강의

  • @user-dm7cv5bs6n
    @user-dm7cv5bs6n10 ай бұрын

    최고의 강의다.김상옥 선생은 책만큼이나 사회교육자.철학자로서 더 훌륭하다. 김상옥 선생 강의나 책이나 거의 다 봤는데 중복되는게 거의 없었다.매일매일 죽도록 공부하기때문일것이다. 그또한 강의의 메시지일지도

  • @srwagner324
    @srwagner324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강의 감사 합니다.

  • @pahkk
    @pahkk Жыл бұрын

    탁월한 예측은 미래를 예측할수 없다는 것을 예측하는 것이 탁월한 것이다.

  • @kmszinable
    @kmszinable Жыл бұрын

    소중한 강의 잘듣겠습니다 ^^

  • @Tara0829
    @Tara0829 Жыл бұрын

    사회자님 너무 따뜻해서 좋아요~

  • @user-si1jh7nm5w
    @user-si1jh7nm5w Жыл бұрын

    감탄스럽습니다~

  • @yg3272
    @yg3272 Жыл бұрын

    결국 철학적 고찰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특히 불교철학이 좋은것 같아요

  • @hegmoon
    @hegmoon Жыл бұрын

    물리는 천재들의 학문이고.. 그 일부를 들여다 볼수 있는 좋은기회입니다.

  •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rz5lw7sr1g
    @user-rz5lw7sr1g6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잘 들었습니다.~ 변화 빠른 세상에 더욱 중요해지는건 시대가 변하면 , 변하는 현상이나 사실보다 절대 변치않는 '진리' 임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더하여 강연과 사회진행 정말 인상깊습니다

  • @user-ee3xm9ui2v
    @user-ee3xm9ui2v10 ай бұрын

    대단한 명강의 감사합니다!

  • @andyrhee98
    @andyrhee9810 ай бұрын

    강의 잘 들었습니다. 옥의 티를 하나 말씀 드리자면 영어에서 Hyper란 '가상의'가 아니고 '뛰어넘는', '초과하는' 등의 의미로 Super 보다 좀 더 강력한 의미로 쓰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김상옥 교수님 건승하세요~^^

  • @happyhan608
    @happyhan608 Жыл бұрын

    은퇴 늘근 문송도 믿고 보는 김상욱 교수님!🥰👍

  • @user-qq6bm7nb7d
    @user-qq6bm7nb7d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10 ай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어려서 강원도 산골에서 살은 탓으로 밤에 아주 익숙하죠.. 어느날 밤 저는 성운.성단 전체가 유성이 되어 날아가는 것을 보았습니다.우리 태양계도 언젠가 그렇게 사라질까요~~~지금 태양의 강력한 활동은 우리가 무감각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아요.. 다시한번, 교수님 강의 감사드립니다..지속적인 진전 ㅆ기를 바랍니다

  • @teayoneom6121
    @teayoneom6121 Жыл бұрын

    내가 제일 좋아하고 존경하는 분

  • @user-qo7jj3sw3k
    @user-qo7jj3sw3k Жыл бұрын

    김상욱교수님 이번강의도 좋아요. 책으로 만들면 좋겠다는 사회자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질문시간에 교수님께서 언급하신 과학책의 정확한 제목이 어찌될까요? '판타레이'라고 들리는데 그 제목으로는 검색이 안돼요ㅠㅠ 띄어쓰기때문에 검색이 안되었나봅니다. "판타 레이"로 검색됩니다ㅋ

  • @junerahm6128
    @junerahm61285 ай бұрын

    김상욱교수 참 대단하신분 단지 과학자 물리학자라고 만 말하긴 폭넓고 사고깊은 마치 현상에 대한 인문학적 심미안을 가지고 세상을 재단하는듯한 분석에 놀랄따름이다 내 가 나이가 있어 우리나라 최고의 대학과 최고의 사학에서 몇명의 친구가 물리학과 교수인데 물리학강의만 본다면 어떨지모르지만 그보다 폭넓은 시야와 다른분야에까지 통섭하여 사고할수있는 것은확실히 답답한 내친구들보다 휠난듯하다 칼세이건처럼 이시대의 뛰어난 science communicator

  • @joongbinahn9348
    @joongbinahn9348 Жыл бұрын

    과학이 이렇게 재밌는 거였어 ? 중ㆍ고등학교 다닐때 이런 선생님을 만났더라면 내 전공이 달라 졌을것 ㅋ 예측은 불가 신속ㆍ적절한 대응만 있을뿐 ! 법학과 의학도 변하지 않을듯 ㅋ 자연과학 기반 철학자

  • @VJD2023
    @VJD2023 Жыл бұрын

    👍

  • @NamuAmitabul6666
    @NamuAmitabul6666 Жыл бұрын

    모든 것은 마음에 의해 창조되는데, 내 몸과 마음에 대해서 알지못하니 미래가 불안합니다.우선 내가 누구인지? 내 몸과 마음의 속성이 어떤지 꿰뚫어 알아서 인생을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결국은 생로병사하니 다음 생을 준비해서 지금도 찰나생 찰나멸로 윤회하고 있으니 이 고통에서 영원히 벗어날 방법이, 없다면 엄청난 공포인데 다행히 있으니 팔만사천의 법을 공부할 필요가 있습니다.

  • @user-bj4eh8ow2t
    @user-bj4eh8ow2t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이름 보고 바로 달려왔습니다.

  • @user-cd3qm1nl6o
    @user-cd3qm1nl6o Жыл бұрын

    삶에 대한 우리 인간들의 참된 철학이 무엇보다 우선해야만 하지 않을까?

  • @hegmoon

    @hegmoon

    Жыл бұрын

    덕성여대 사회자는 개인적으로 영광이고.. 김상욱교구는 경희대 있기는 너무 아깝다.

  • @starsandpoetry4570
    @starsandpoetry4570 Жыл бұрын

    역시 과학이 인문학. 고로 인간에게 필요한건 구분없는 교육 . 문이과 구분은 분열을 조장하는 교육

  • @Lee-mi4bc
    @Lee-mi4bc Жыл бұрын

    명언기억:본래 인터넷용도가 동시 다발적 핵공격에 대비한 데이터 보존하기 위한 시스템. 고래가 끄는 잠수함 상상그림후 불과17년후 독일이 잠수함으로 석권. 등등. 미래예측은 다 틀렸다. 메모

  • @HealthyJamie
    @HealthyJamie Жыл бұрын

  • @nabiya4350
    @nabiya4350 Жыл бұрын

    후드티..ㅋㅋ 강의 잘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jf6qr8ym5x
    @user-jf6qr8ym5x10 күн бұрын

    사회자분도 대단함

  • @user-xv6kp1hu7v
    @user-xv6kp1hu7v8 ай бұрын

    y-1.바뀌면안되는지점. 생산성. 바뀌지말아야할것. 돈탓하지말자. 효율성.과 생산성.. 닭.과 달걀.. 우기지말자. 받아들이자. y-2.시간의 소비 패턴. 사람은 시간을 쓰는 대로 산다. y-3.변하지않는것. 운명.

  • @Lee-mi4bc
    @Lee-mi4bc Жыл бұрын

    미래예측은 다 틀렸다. 절대알수 없다. 자동화시 실업?. 기계가 문제가 아니다. 그거봐 인간이 문제인것이다. 변하지 않는것:역사. 철학. 그림등 예술. 인간행복. 미래는 오는게 아니고 만드는것이다. OHP 하. 기억난다. > 파워포인트.

  • @user-mx9zc9dr2o
    @user-mx9zc9dr2o Жыл бұрын

    전식자 도지화, 우지시!

  • @leetaobao
    @leetaobao Жыл бұрын

    (웃자고 하는) 철학도 이젠 물리학과에서 배우는 걸로. 😅😅😅

  • @hancooksaram2312
    @hancooksaram2312 Жыл бұрын

  • @gurayoya6932
    @gurayoya6932 Жыл бұрын

    야..대단..

  • @user-jp1ys7qk7p
    @user-jp1ys7qk7p Жыл бұрын

    쏘맥 연구하시는분 진짜 박사네

  • @user-ww3xc9lb5s
    @user-ww3xc9lb5s Жыл бұрын

    세상은, 생활사고방식은 과학발전과 별 무관하게 무식한 원시시대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교수님 역시 물리학 수준과 생활사고방식은 동떨어저 있네요 물리학 성취가 생활사고방식과 융합 개혁되어야 유토피아가 오겠죠.

  • @user-vm8tc5jl4l
    @user-vm8tc5jl4l Жыл бұрын

    인간뇌도 기계잖아요. ^^

  • @VJD2023
    @VJD2023 Жыл бұрын

    知道不知道,智者👍

  • @greenlim1948
    @greenlim19485 ай бұрын

    좋은 교통인프라는 더 많은 노비를 착취하는데에 쓰인다는 거 다들 막연하지만 경험으로 알고 있어서 기대도 안하는거같네 😢

  • @jyseoh
    @jyseoh Жыл бұрын

    결론은... 자본주의...

  • @user-uq8si1jt2n
    @user-uq8si1jt2n Жыл бұрын

    목소리 제대로 하라. 알아 들을 수가 없다. 그쪽 오디오가 문제이든지. 젠장.

  • @user-bf1iv4ov2z
    @user-bf1iv4ov2z Жыл бұрын

    사진이 미슬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차가 마라톤 선수 대체 하지 못했지만 그 관련된 일들은 많이 살아졌지 일반인들 초상화 그려 먹고 살던 그림쟁이들은 없어졌고 차로 마부가 살아지고

  • @WS215g

    @WS215g

    Жыл бұрын

    의미에 대한 비유를 먹고사는 직업으로만 이해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 @user-hz2ul1iw9f
    @user-hz2ul1iw9f Жыл бұрын

    ㅣㅣㅣㅣ111

  • @Jblparagon
    @Jblparagon Жыл бұрын

    유럽은 선진국이고 한국은 막 후진국 벗어난지 50년 밖에 안 된 나라요...비교할 걸 비교해야 착각 국뽕주의에 빠지지 않지...

  • @user-vu4wp7dq4s
    @user-vu4wp7dq4s11 ай бұрын

    이번 강의는 정말 위험해보입니다 꽤 팬이고 여전히 물리학자 김상욱을 존경합니다. 수학에 관련된 이야기는 감히 딴지 걸 생각도 들지않구요 문제는 러셀과 미래 사회구조같은 경제학적 잘못된 내용들때문인데요 정치적인 신념따위는 아무래도 좋습니다. 사실관계가 틀린건 바로 잡아야죠 1. 21세기의 노동시간은 4시간이 될꺼라고 생각했는데 전혀 줄어들지않았다. 엥겔스가 했던 말로 기억하는데 21세기 4시간 주장은 그냥 비유일뿐이였고 노동시간이 줄어든다라는 표현을 과장한 내용입니다. 실제로 노동시간은 급격하게 줄어들었습니다. 재밋는건 생산성이 아무리 늘어도 일정 시간 이하로 노동시간이 줄어들지 않는 현상이죠. 2.교통이 편리해지고,일을 더 빠르게 할수있는 기술이 생겼는데 그 여가시간에도 우리는 일을 한다. 당연하죠 이게 산업의 고도화입니다. 밭갈기,씨뿌리기,물주기 전부를 사람이 몸으로 하던 걸 기계를 사용해서 빠르게 끝내고 남은 시간에 더 좋은 퀄리티로 농사짓는법을 연구하고,더 좋은 유통망을 찾아나서니까요 왜냐..다른 농부들도 마찬가지이기때문입니다. 노동에 절대적인 가치가 있다고 착각할때 발생하는 오류인데 똑같은 연필을 10원에 파는 기업이 5곳이 있었는데 그 중 1곳이 샤프를 만들었다면 나머지 4곳의 연필 가치는 바로 자연스럽게 하락합니다. 이건 누구의 음모나 조작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선택이 이런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다들 샤프를 구매할테니 연필은 당연히 가격이 떨어지죠 즉 경쟁을 통해 상대적인 가치가 부여됩니다. 그래서 기계가 시간을 벌어다줘도 그 시간에 우린 일을 해야하는겁니다. 기계가 시간을 벌어다준건 나뿐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이기때문이죠 또 이런 경쟁이 우리 사회를 더 풍족하고 편리하게 만들어준다는게 그냥 주위를 둘러봐도 알수있죠 볼펜 종류만 해도 수백가지고 반찬종류,심지어 쌀 소비도 급격하게 줄고 빵도 많이 먹죠 이런게 다 경제가 기술을 이용해 성장한 결과입니다. 3.기술의 발전이 일자리를 줄이는걸 걱정하지말고 사회 구성원들끼리 합의해서 정부,기업을 압박해라 이게 가장 큰 문제인데요. 무시무한 선동문구 그 자체에요. 일단 기술의 발전이 일자리를 없애지않습니다. 일자리가 더 고도화될뿐이죠. 버스카드라는 기술이 생기면서 버스안내양들 전부 사라졌습니다. 근데 이게 일자리가 없어진걸까요? 카드 만드는 업자,카드를 파는 업자, 카드충전소,카드 결제, 카드 리더기 등등 더 고도화되고 고부가가치의 일자리가 폭발적으로 생겼죠. 이게 우리 삶을 더 풍요롭게 해주는건 말할 필요도 없구요 옛날에 여자 타자수들, 여성 최고의 직업이였는데 컴퓨터 나오고 싹 사라졌고 그 컴퓨터에서 어마어마한 일자리들이 쏟아졌죠 기본적으로 기술의 발전은 계속 인간을 풍요롭고 부유하게 만들었습니다. 절대적인 일자리갯수도 계속 늘어났구요 그럼에도 기업과 정부에 압박하라는건 도저히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오히려 지금 장려해야할 사회는 도전정신을 가지고 창업에 뛰어들어서 소비자가 절실히 필요로 하는 아이템을 만들어내고 소비자에게 선택을 받아 부자가 되고 양질의 일자리가 생기고 그 일자리에서 일하며 성장하고 이 사람들이 또 창업하고, 이런 사회를 장려해야지요...

  • @So-J-Ah-J
    @So-J-Ah-J Жыл бұрын

    물리학자도 미래준비위해 열심히 돈벌러 다니시네요 ^^

  • @maddscientist1050
    @maddscientist1050 Жыл бұрын

    상욱이처럼만 않하면 됨 ㅋ

  • @theochemsRE
    @theochemsRE Жыл бұрын

    김상욱은 언제 연구는 하나? 대중의 인기 너무 좋아하지 말라.

  • @user-sr1vb4wc4v
    @user-sr1vb4wc4v Жыл бұрын

    ㅎㅎㅎ 이 사람...........수구어용 좌파 선동꾼, 김제동인가 뭔가 유튜브에 나와서 횡설수설하는 것 보고 극혐?? 먹고살려고 그러는 건 아닌 것 같은데..........

  • @user-mo7qw3md5v

    @user-mo7qw3md5v

    Жыл бұрын

    생각이 왜 이리 삐뚤어저 있는지, 과학에 사상을 연결하지 말고, 과학은 고쳐 사용할수 있지만 인간은 고쳐 사용하면 후회한다.

  • @user-ol6gb5yi6u

    @user-ol6gb5yi6u

    6 ай бұрын

    생각이 딱 그모양이네. 이런사람보다 이 강연에 감탄하는 사람이 많아야 인간이 살기 좋은 미래가 올것이다. 억압 받고 강요받고 시키는대로만 살며 그들이 던져주는 한 줌 먹이를 받아먹는게 삶의 목표인 사람들이 미래를 만들어가면 그 끝은 뻔하다.

  • @user-gv4de5sc4s
    @user-gv4de5sc4s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