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360

인문360

인문360° 은 다양한 콘텐츠를 누구나 쉽게 누릴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만든 인문정신문화 온라인서비스입니다.
날마다 새로운 생각, 날마다 새로운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사람과 관계, 사물과 현상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다채로운 시선을 제공합니다. 문화, 예술, 과학기술 등 사회 전반에 대한 성찰을 통해 우리의 생활 곳곳에 퍼져있는 인문정신문화를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매개로 행복한 삶을 그려갑니다.

* 자세한 내용은 인문360° 웹사이트를 방문해주세요.

inmun360.culture.go.kr

Пікірлер

  • @user-yp8xt7uk6l
    @user-yp8xt7uk6l5 күн бұрын

    이분은 진짜 똑똑함

  • @user-jf6qr8ym5x
    @user-jf6qr8ym5x10 күн бұрын

    사회자분도 대단함

  • @kimurgin8661
    @kimurgin866111 күн бұрын

    인상적인 시간 감사합니다, 미국에서

  • @mosodaenamoo
    @mosodaenamoo11 күн бұрын

    이 영상이 멀리 공유되길....

  • @user-ky5od4xr2s
    @user-ky5od4xr2s13 күн бұрын

    프로포폴 ㅋㅋㅋㅋㅋㅋㅋ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16 күн бұрын

    "한국 어문을 고발함" 전무 후무할 책이올시다. 일독해 주시기를 저자 자신이 정중히 권하옵니다.미국 변 완수 드림

  • @ma_dlgo
    @ma_dlgo17 күн бұрын

    겨울작가님!!❤❤❤

  • @user-nx4lm7nz7m
    @user-nx4lm7nz7m28 күн бұрын

    정말 멋지네요~~~~^^ 이런놀이, 이런 교육 좋습니다^^

  • @user-hm8sd3op1u
    @user-hm8sd3op1uАй бұрын

    kzread.infog5FkHjTN2mQ?si=ufCiZ_O398U5AjV0

  • @user-dq8md2uc7i
    @user-dq8md2uc7iАй бұрын

    내평생 김누리교수같이 인간공존을 위한 혜안을 가지신 분은 처음입니다 김누리교수를 남북통일한국의 대통령으로 모시는날이 오기를 기도합니다 경상도할배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Ай бұрын

    사회자께서,"교수"의 발음이 틀렸습니다. 뜻밖이지요? "교수"의 "교"자는 장음자인데 사횢께서 이를 "짧게"잘못 발음했습니다. 이 한가지 예는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한국 전반적 문제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967년 말에 고국을 떠난 이 늙은 이가 한국 언어의 타락상이 분하여 "눈물로 쓴"책이 "한국 어문을 고발함"이오니, 고국 동포 여러 분! 이 책을 조용히 읽어 주시옵소서. 미국 변 왕수 드림

  • @user-nd1xw8uz5p
    @user-nd1xw8uz5pАй бұрын

    질싸움도 해야한다는 멜랑콜리에 가까운태도, 유토피아를 꿈꾸지마라, 유토피아에 살아라 라고 말씀하신게 제일 와 닿는군요.

  • @user-zg2bw4pp6w
    @user-zg2bw4pp6wАй бұрын

    누리교 신자가 되고싶어요~😢

  • @user-su8gc2gt3s
    @user-su8gc2gt3sАй бұрын

    입각을 추천하다

  • @kimonesgd
    @kimonesgdАй бұрын

    배우 이설님 좋은 말, 감사합니다 😻 책 읽어볼게요!

  • @user-oi7cz7fl2u
    @user-oi7cz7fl2u2 ай бұрын

    나쁜 자는 뛰어난다. 나쁜자가 다 뛰어난 것은 아니다. 뛰어난 자가 다 나쁘지는 않다.

  • @user-oi7cz7fl2u
    @user-oi7cz7fl2u2 ай бұрын

    교언영색 이란 단어가 생각난다.

  • @user-oi7cz7fl2u
    @user-oi7cz7fl2u2 ай бұрын

    말장난질로 길게 모호하게 하진 말자

  • @user-oi7cz7fl2u
    @user-oi7cz7fl2u2 ай бұрын

    선동하는자 이익을 가져가는자 잘 살펴라

  • @geniekim5053
    @geniekim50532 ай бұрын

    김누리 이 사람은 윤석열 돕고 있는 자신의 친형 김한길이란 자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과 태도일지 정말 궁금하다. 지난 대선후보 누구 부인이 더 나쁜 사람인지 경쟁했다고 하는데, 그 부인 두 사람을 어떻게 같은 수준의 비교 대상으로 삼나? 모욕적이다. 말을 너무 함부로 한다. 제대로 알기는 하고 말하는 건지 원... 이 사람의 모든 강의는 내용이 다 똑같다. 그만 우려먹고 연구 좀 해서 새로운 것 좀 얘기해봐라.

  • @user-bc6ns6rf5g
    @user-bc6ns6rf5g2 ай бұрын

    장흥에서의 동학운동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 @user-ot2rh6ty1c
    @user-ot2rh6ty1c2 ай бұрын

    노동자로서 더불어민주당에 전화해서 도와달라고 전화하고 기계음성에 따라 음성녹음를 하고 기다렸더니 연락도 없었다..2021년경이다..12년 학창시절 경쟁때문에 절망적이었다..특히 후반 6년..그래서 경쟁이 너무 싫었다.. 내 나이 27세경의 일이다..경쟁없는 사회는 꿈일까???신기루일까??? 헬조선이 맞다..!!!! 하지만 대안도 없는 경쟁국가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 @user-nk6zl3ve6v
    @user-nk6zl3ve6v2 ай бұрын

    어른들 말을 듣지 말라니요 당신은 어른 아닌가

  • @user-zg2bw4pp6w
    @user-zg2bw4pp6wАй бұрын

    다시들어 보시면~ 듣지말라고 한거아니고, 믿 지 말 라 고 하셨음

  • @momomomo-vp4hu
    @momomomo-vp4hu2 ай бұрын

    100세시대러면서 보험 연령은 65세면 끝나고 직장연령상한선도 65세다. 옛날같으면 10번도 더 죽었을테지만 의료기술이 발달되어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화도 지연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아무리 인간의 과학이 발달되고 의술이 발달되어도 천명에는 한계가 있다. 인간의 생로병사 모든 자연의 소생과 소멸은 다소 시간의 차이가 있을뿐 변함이 없듯이•••••• 늙고 병들어 대소변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걸어서 움직일수 없다면 그런 삶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자존감을 상실한채 살아가는 인간의 삶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자연의 섭리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며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게 옳은게 아닐까? 이래도 한세상 저래도 한세상 그저 모든일 최선을 다하고 남한테 피해주지 않는 범위안에서 하고싶은 일 다하고 가는것이야 말로 가장 현명한 선택이 아닐까?

  • @howoonjeong279
    @howoonjeong2792 ай бұрын

    촛불집회와 국정농단에대한 정확한 사실이 밝혀져야

  • @jikyeongkim1256
    @jikyeongkim12562 ай бұрын

    정리: 사회적인 연대와 공감으로 존엄을 추구하는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위해 사유하는 교육으로 방향을 바꿔야 합니다.

  • @user-yp5xm2ih6h
    @user-yp5xm2ih6h2 ай бұрын

    그래서 어떻게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것인가? 국제 갈등은 또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정답 없는게 정답인가요?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2 ай бұрын

    군소리는 그마두고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2 ай бұрын

    교정! 콘텐츠 입니다. 미국 교포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2 ай бұрын

    대체 콘서트란 뭇.ㄴ 뜻으로 이리 자주 씁닠까? 울 말로 적어가 없ㄴ.ㄴ지요? 미국 동포

  • @walterbyun5100
    @walterbyun51002 ай бұрын

    두 분의 강의가 놀라울 정도로 군소리 없이 조리가 분명함에 찬사를 아끼자 않으리다.

  • @dalbong4973
    @dalbong49732 ай бұрын

    아쉽게도 사피엔스의 본능은 부족을 이루고, 계층을 만듭니다. 지금도 조금 더 좋은차, 좋은음식, 더 넓은 집, 더 더 더 쾌적함과 더 많은 쾌락과 소유의 욕심들이 우리 주변에 꾸역꾸역 스멀스멀 넘쳐흐르는데 인간이, 나눈다구요.. 안되요 교수님.. 인간들은 교수님처럼 선량하지 않아요. 그거 하려고 했던 공산주의 싹 다 망했습니다. 지금도 우리나라 토지의 대부분을 소수가 소유하고, 다수의 사람들은 나누기 보다 그 소수안에 들어가고 싶어해요. 안돼요 안돼..

  • @jupiterj2969
    @jupiterj29692 ай бұрын

    학원이 없어지면 수십만 인텔렉트들은 어디로 가나요.?

  • @user-ll1gk8fr8q
    @user-ll1gk8fr8q2 ай бұрын

    음악과 인문과 목소리~!!! 참 멋드러지네요~♡♡♡

  • @user-ll1gk8fr8q
    @user-ll1gk8fr8q2 ай бұрын

    박준 시인님 목소리의 진정성이 흠뻑 느껴집니다 따뜻한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고맙고 감사합니다

  • @user-wj5wt6qj6b
    @user-wj5wt6qj6b2 ай бұрын

    '세경포' 시다바리

  • @user-of6xt1ix3l
    @user-of6xt1ix3l2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사랑해유 결님❤❤

  • @user-rg8ly3nq9i
    @user-rg8ly3nq9i3 ай бұрын

    이번 한밤의 낭독자들 정말 행복하고 좋은 컨텐츠였습니다. ㅜㅜ 고맙습니다.

  • @user-wn4rb9hp5u
    @user-wn4rb9hp5u3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참 강의 감사합니다 오래오래 건강하십시요 존경합니다 ~

  • @Shiwol_
    @Shiwol_3 ай бұрын

    넘 따뜻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latitudeblue1884
    @latitudeblue18843 ай бұрын

    존베로스 메달 수상작 및 교수님의 스승님인 에드워드 윌슨 추천책들 읽어보면 대단합니다! 좋은 스승님아래 교수님같은 훌륭한 제자가 나오네요

  • @user-dw6iv7jf9m
    @user-dw6iv7jf9m3 ай бұрын

    PC주의를 정치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궁극의 목적은 권력이기 때문에 과도해질 수 밖에 없는 현실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적 통용되는 담론은 수직적인 일방적 언어 사용의 구조를 수평적인 질서의 개편으로 사회적 약자가 소리를 낼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효용을 있다고 말합니다 갈등치유의 약으로 쓰여야 할 pc담론이 오히려 사회분열을 촉진하고 있다면 무엇 때문입니까? 아마 '과도한'이라고 말하는 부분이 더 크게 느껴지기 때문일 겁니다 즉, pc주의가 생긴 원인이 갑질등 예의없음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에 저항하는 pc주의 또한 예의없음으로 앙갚음하는 겁니다 또한 윤리문제는 법으로 다루는게 아닌데 법으로 해결하려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법으로 보장되는 차별법은 계층을 만들게 됩니다 보호받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약자계층을 여성, 장애인, 외국인, 성소수자등으로 규정함으로써 현실적인 약자가 오히려 차별 받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장애인 임대업자와 임차인의 관계 군문제로 사회진급차이가 생기는 하층 계급인 여성 대리와 남성평사원의 문제 성소수자와 여성계의 여성국가대표 문제 등이 있습니다 이렇듯 사회적 약자는 상황에 따라 관계에 따라 변하기 마련한데 일정한 우위를 법적으로 보장하게 되면 계급이 생기게 되어 또다른 문제와 갈등을 만들 수 밖에 없습니다 PC주의를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보시는 것 같지만 이런 합리적인 이유도 있음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 @amondbongbong999
    @amondbongbong9993 ай бұрын

    국가의 마인드가 교육의 마인드로 이어진다고 봅니다 다른 나라에 눈치보머 기대어 살겠다는 마인드는 일단 빨리 배워 빨리 써먹는 마인드로 이어지고 결국엔 그것에 어울리는 교육형태로 이어지는거죠 과거 제국주의 마인드를 가진이들은 자기걸 만들고 자기걸 강요하던 마인드로 흐르고 교육도 그것에 맞게 자기중심적에 강압적 제국주의적으로 흘러갔죠 둘다 장단이 있던 구조들이죠 그 제국국가들에게 피해보면서 빨리커야했던 울나라는 강요적 피제국 구조 + 빠른 응용 구조로 흘렀고 피나게 달려서 선진국 문턱을 넘어서게 되었는데 문턱너머 그들의 마인드와는 달라 더 이상 어디로 진화해야하는지 몰라 어려운거죠 그렇다고 지난세기 제국의 향수를 두르려 하니 이미 주변국이 그 강압적 역한 냄새를 너무 내고있어 찾아세우기 힘들고 전통을 찾아 대한제국과 조선초,고려,삼국,고조선의 그 마인드는 아직 원래 무엇인지도 제대로 못찾고 있으니 도대체 어떤 마인드를 정립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워 하고 있는게 현재라고 봅니다 하지만 울나라가 가야할 마인드는 이미 제시되었다고 봅니다 제국냄새를 풍기는 이들의 침략도 물리치고 세상에서 가장 높은 문화의 힘을 가지겠다는 그 소원이 바로 이미 이 나라를 이미 이끌고 있었고 앞으로도 이끌어 갈 마인드라고 봅니다 그 소원의 마인드가 앞으로 더 나아갈 사회문화구조를 제시하고 그럼으로 사화구성원들의 사고의 저변을 형성하여 그로인해 배움,활용,교수라는 학문의 바른 형태가 세워질거라고 봅니다 따라서 대한민국 헌법 1조 앞에 있는 대한민국 임정계승 명시한 이승만 서문 그앞에 임정의 마인드를 대표하고 대한민국의 마인드를 상징하는 나의소원을 헌장 또는 소원으로서 명기하는 것 바로 그것이 우리 국가와 교육이 가야할 마인드 정립의 시작이라고 봅니다.

  • @360inmun
    @360inmun3 ай бұрын

    나의 일은 나를 증명한다 🔽🔽🔽 인문360° 홈페이지에서 지금 바로 관련된 인문콘텐츠를 만나보세요. inmun360.culture.go.kr/content/544.do?mode=view&page=&cid=2396891

  • @paulcynn9849
    @paulcynn98493 ай бұрын

    왠지 모르지만 채널 고정.. 돌릴수 없이 2 시간 이상.. 끝까지 봅니다..멋쟁이 교수님.

  • @paulcynn9849
    @paulcynn98493 ай бұрын

    흐느끼는 당신 ... 아 .. 고민입니다. 흐르는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대한민국... 아니 세계를 아름답게 할수 있을까. 존경 합니다. 교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