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Ойын-сауық

유튜브에서 지금 핫한 동영상은? #인기급상승
#신기한과학나라 #Diggle #디글
we’re :DIGGLE family

Пікірлер: 1 500

  • @mankeio4192
    @mankeio419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일반인한테 알기쉽게 설명하시는거 보면 양자역학에대한 이해도가 굉장히 높으신것같네요.. 근데 궁극적으로는 이해를못한다는 역설적이고도 기괴한 학문… 교수님 재밌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 @user-zv7zv8jy9h

    @user-zv7zv8jy9h

    Жыл бұрын

    김민재 아트록스 굉장하다

  • @Jururumob

    @Jururumob

    Жыл бұрын

    @@user-zv7zv8jy9h 아민재 김트록스 대단하다

  • @user-gj8fv1mk6v

    @user-gj8fv1mk6v

    Жыл бұрын

    전문 교수님한테 당연한말을...

  • @user-pj2dg2kz8r

    @user-pj2dg2kz8r

    Жыл бұрын

    @@user-gj8fv1mk6v꼭 이렇게 쿠사리넣는애들 한둘씩 있더라

  • @user-ll4sr5nl4f

    @user-ll4sr5nl4f

    Жыл бұрын

    @@user-pj2dg2kz8r ㄹㅇ

  • @weather_note
    @weather_note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을 어설프게 이해해서 인문학과 억지로 연결지으려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데 김 교수님처럼 대중에게 제대로 설명해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좋은 것 같습니다.

  • @user-qi3xm3qi3m

    @user-qi3xm3qi3m

    Жыл бұрын

    ?

  • @user-bq9bq1ln7s

    @user-bq9bq1ln7s

    Жыл бұрын

    누가 인문학이랑 연결지음 양자역학을...? 인문학이랑 연결자체가 불가능한 학문인데

  • @user-qi3xm3qi3m

    @user-qi3xm3qi3m

    Жыл бұрын

    혹, 철학을 말하는 거라면 님이 철학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겠지요.

  • @llllIllllIIl

    @llllIllllIIl

    Жыл бұрын

    @@user-qi3xm3qi3m 철학같은건 무지해도 상관없을듯..

  • @ba_bamba

    @ba_bamba

    Жыл бұрын

    찾아보면 꽤 많은데 대충 책으로 읽고 이해해서 멋대로 해석해서 유사과학 퍼뜨리는 강연자들 찾아보면 많음

  • @mmlakzihuw
    @mmlakzihuw Жыл бұрын

    정말.. 이해했다기 보다 익숙해진 것 같다는 교수님의 말에 격공..ㅋㅋㅋㅋ 전공은 아니지만 비문학 지문으로 고전역학 나오면 분명 이해된 것 같은 기분이 드는데 "아니 이게 말이 돼?" 싶음ㅋㅋㅋ 결국 익숙해진 것 같음

  • @serestin33

    @serestin33

    Жыл бұрын

    물리학자가 종교를 믿는기분 그게 양자역학

  • @channn3451

    @channn3451

    Жыл бұрын

    고전역학도 완전한 이해는 어렵지만... 양자역학은 그저 불가능의 영역이죠

  • @user-lm9zj8ck5v

    @user-lm9zj8ck5v

    Жыл бұрын

    얼씨구 지랄을 하는구만

  • @kimguguxx
    @kimguguxx Жыл бұрын

    진짜 아는게 많을수록 어려운 것도 쉽게 설명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던데, 설명에 집중이 엄청 잘되고, 이해도 엄청 잘되네요. 교수님이 이렇게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공부를 해오셨을지 느껴지네요..

  • @cledor9617

    @cledor9617

    11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그나저나 저 오른쪽 사람은 누군데 싹바가지 없이 초반부터 턱 괴고 자빠져있나요

  • @ChanhoKim-su9ct

    @ChanhoKim-su9ct

    Ай бұрын

    아는거 많은거랑 쉽게 설명하는건 별개임

  • @user-rt2ni4yr2z
    @user-rt2ni4yr2z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분은 대단하다.... 대부분 밥줄 유지하려고 엉터리 설명만 하는데... 담백하게 설명해 주시네....

  • @user-gn7vc8fu3h

    @user-gn7vc8fu3h

    Жыл бұрын

    밥줄유지 ㅋㅋㅋ

  • @rainzoro

    @rainzoro

    Жыл бұрын

    밥줄유지라.. 딱 제 회사 얘기네요

  • @ghijkabcdef6887

    @ghijkabcdef6887

    2 ай бұрын

    모든 생물과 사물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고 원자핵 주변에는 전자들이 돌아다닙니다. 이 전자의 특성은 빛을 발산하는 특성이 있어서 빛에 닿으면 발광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그 대상을 볼 수가 있는거에요 전자는 이동의 개념이 아니라 A에도 존재하고 B에도 존재하는것일뿐 그래서 저 두 구멍을 관통하여 보여지는 전자들이 다 가 아니라는 뜻임

  • @imrealyd
    @imrealyd Жыл бұрын

    이 사과는 시들지도 않네요..의 질문에 먹고 또 사오는 거겠죠라고 친절하게 답변해주시다니 다정하심..

  • @zheguilee

    @zheguilee

    17 күн бұрын

    너무 바보같아 보였나??ㅋㅋㅋ

  • @junse6767

    @junse6767

    14 күн бұрын

    그냥 드립친건데 진지하게 받은거같은데 ㅋㅋㅋ

  • @limegrass
    @limegrass Жыл бұрын

    공대 나와서 양자역학에 대해 많이 읽고 접했는데도 이해가 안 됐는데 그래도 그 덕분인지 이분이 말하는것 만큼은 완벽히 이해되네

  • @user-eb6uu2bi4v

    @user-eb6uu2bi4v

    Жыл бұрын

    공대에서 양자역학 배워요? 저 화공가는데

  • @user-fw9dk7hi2c

    @user-fw9dk7hi2c

    Жыл бұрын

    @@user-eb6uu2bi4v 그냥 일반물리학 과목 수강하면 배워요

  • @user-sr2gr5qu7g

    @user-sr2gr5qu7g

    Жыл бұрын

    @@user-eb6uu2bi4v 일반물리학에도 나오고 현대물리에도 나오고 여기저기서 가끔씩 튀어나옴

  • @user-gc9wr5dd9e

    @user-gc9wr5dd9e

    Жыл бұрын

    ​@@user-eb6uu2bi4v 화공이면 안 배울 수가 없는게, 화학 = 양자역학 덩어리라서 유기화학이든 무기화학이든 오비탈 때문에 양자역학 무조건 나옴. 근데 공정 쪽에서는 양자 안 씀. 쓸 이유도 없고, 써봤자 제대로된 결과 안 나옴 ㅇㅇ

  • @channn3451

    @channn3451

    Жыл бұрын

    @@user-gc9wr5dd9e 분야에 따라 양자점이나 양자컴퓨팅 쪽에서 얕게 다루기도 합니다

  • @user-tq1gt1vd7h
    @user-tq1gt1vd7h10 ай бұрын

    20년 넘게 양자역학을 공부해오신 분이 이해하지 못했다고 말씀하시는 것 보면 겸손하신것같으면서도 자연의 체계가 그만큼 복잡하고 인간의 관념에서 모든 것을 파악하기 힘들다는 것이 느껴지네요! 교수님의 식견을 통한 가르침에 많이 배우고 가는 것 같습니다! 모두 행복하세요!

  • @user-nj5uz7ec1s

    @user-nj5uz7ec1s

    9 ай бұрын

    겸손이라기보단 저게맞는말입니다 익숙해졋다 ,,, 어떤것에관해 아는것은 공부나 배움의시간과는 꼭 정비례하는것이 아닙니다

  • @iwasborntosurvive5396

    @iwasborntosurvive5396

    9 ай бұрын

    겸손이 아니라 현실입니다..ㅋㅋ 로즈펜로저 마저도 똑같이 양자역학이 말도 안된다고 하죠..물론 양자역학이 틀렸다는말이 아님..ㅋㅋ

  • @Naotthan_toto212
    @Naotthan_toto212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재밌엇는데ㅜㅠㅠ 금금밤 다시 했으면 좋겠어요. 여러 분야에대해 쉽고 재밌게 설명들을수있어서ㅜㅠㅠ

  • @zzoeun_
    @zzoeun_ Жыл бұрын

    와 존잼……….. 양자역학 강의는 볼 때마다 새롭고 교훈이 있네요,, 교수님 감사합니다!

  • @user-sd1ch1bl8l

    @user-sd1ch1bl8l

    Жыл бұрын

    부처만이 이해하셨죠~

  • @user-dr3nm3ud2r

    @user-dr3nm3ud2r

    Жыл бұрын

    @@user-sd1ch1bl8l 동네 정육점 사장님도 아시더라구여

  • @backhug-kyuhyun

    @backhug-kyuhyun

    Жыл бұрын

    ​@@user-sd1ch1bl8l 부처가 양자역학을 이해했다고요..??

  • @user-ht8xm9nx3i
    @user-ht8xm9nx3i10 ай бұрын

    역시 교수님인듯. 웬만한 과학유튜버들이 좋은 목소리와 현란한 영상과 효과들로 설명하는 것 보다 교수님 설명 듣는게 훨씬 명확하게 이해됨

  • @user-ko5fg4wv5f
    @user-ko5fg4wv5f Жыл бұрын

    소오름돋는데 뭔가 삶에서 깨달음으로 작용 될 것 같은 느낌

  • @user-yd6ls6vy5w
    @user-yd6ls6vy5w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 물리선생님이 설명해주신게 이거였는데 이해 되는 것 같으면서도 이해가 안되고 그냥 이해가 아니라 받아들이게 되더라구요ㅋㅋㅋㅋㅋ 그래서 매력적인 학문같아요.

  • @user-fz2qt9dg8k
    @user-fz2qt9dg8k Жыл бұрын

    학교 다닐때는 선생님들이 말해도 정말 재미 없었는데... 유튜브로 이런거 보면 참 재미 있는듯... 세상 진짜 좋아진거지....

  • @yyyyyyyaaa
    @yyyyyyyaaa Жыл бұрын

    김상옥 교수님 진짜 파인만 사랑하네 ..

  • @hahahoho5784

    @hahahoho5784

    9 ай бұрын

    김상욱...

  • @yyyyyyyaaa

    @yyyyyyyaaa

    9 ай бұрын

    @@hahahoho5784 아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artinpaul8511
    @martinpaul8511 Жыл бұрын

    와~ 양자역학을 가장 쉽게 설명해 주신 듯! 와우!! 진짜 대단하십니다요!!

  • @shk7896
    @shk78964 ай бұрын

    시크릿이나 꿈꾸는다락방에서 성공한 사람들이 하나같이 얘기했던 나의 강한 생각과 의지가 우주만물을 끌어당긴다 라는 의미와 맞닿아있는것같아요 .. 보는것,, 내가 어떤 마음으로 보느냐 ,, 말하는것, 내가 어떤 마음으로 말하느냐가 결국 모든 만물과 상호작용 하는것같네요

  • @Mary-sf8qd
    @Mary-sf8qd4 ай бұрын

    은지원: 이 사괴는 시들지도 않네요? 교수님: 먹고 또 사오는 거 거겠죠? 진짜 재밌는 대화네요 ㅋㅋ 개그로 쳤는데 이과적 대답

  • @Hello-rm5vh
    @Hello-rm5vh Жыл бұрын

    와 마지막에 감탄했어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 @user-cl8ie6xf6m
    @user-cl8ie6xf6m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 줘서 감사합니다

  • @user-ob4hg5ji3u
    @user-ob4hg5ji3u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봤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어요.

  • @HobbitHanny
    @HobbitHanny Жыл бұрын

    코스모스에서 칼세이건이 대학교 신입생 과정만 거쳤다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거라고 해서 얼마나 좌절감 느꼈다고요.... 원래 어려운 거라고 하니 다행이다.

  • @user-wb8pc4yu8g
    @user-wb8pc4yu8g Жыл бұрын

    인간은 이해도 물론 중요하지만 어떠한 현상을 발견하는 그 자체가 참 놀랍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불을 발견하고 활용한 최초 인류처럼 양자역학 또한 인류사의 필연적 터닝 포인트가 되겠죠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Жыл бұрын

    ​@ㅇㅇ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ue4jn1xn5m
    @user-ue4jn1xn5m Жыл бұрын

    놀랍네요 과학이 이해 할 수 없다는 게 있다는 걸 밝혀낸 거잖아요 매력적인 학문이예요

  • @manword8581
    @manword8581 Жыл бұрын

    눈으로 보고 알고 이해하기전까지 눈앞의 사과가 있는지 없는지 모른다 라는 가정은 결국 비유로 끌어온것일뿐 눈앞의 사실이 증명되기위해선 관측이 필요하다라는 가설은 양자세계에서 통용된다는게 중요함 양자라는것은 매우매우 작아서 현재를 넘어서서 미래와 과거의 사실에까지 영향을 받음 그 존재가 다양한 사실과 개념과 인식에 따라 반응하기에 인식이라는 개념에 까지 존재증명이 변화하는거임 그렇다면 드는 의문 관측으로 존재증명이 다시 써진다면 현재의 내가 양자를 보고 양자가 반응해서 과거의 존재하지 않는게 되면 과거의 양자가 과거에 영향을 줘서 과거의 나한테 영향을 줄텐데 그렇게되면 현재의 내가 양자를 본 사실은 어떻게 되는건가 한마디로 모순에 빠져서 말이 성립이 안되버리는거임 사설이 길었고 영양가도 없었지만 개인적인 추측을 하자면 양자의 존재증명이 아닌 존재사실은 다양한 힘과 관측과 영향이 뒤엉키면서 결국 "결론"이 난거라고 생각함 무슨 말이냐 물리학에서 등속운동의 원리는 중력, 마찰, 열역학 모든 영향을 배제했을때 "실제로" 실현되는 원리임 한마디로 그런 배제가 없을경우 중력, 열, 마찰, 전기자기 등등 다양한 요소가 물체의 운동에 영향을 줌 하지만 결과는 단 하나임 발로 공을 찼다면 공이 별에별 요소에 영향을 받았고 여러 과학적 원리에 따라 움직이지만 결국 공은 뻥차서 앞으로 간다는 딱 한가지 사실이 남는거임 이렇듯 양자도 미래와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며 다양한 이유, 원인, 영향에 따라 닥쳐오는 다양한 요소들이 합치고 뭉쳐지면서 결과적으로 한가지 결론에 다다르는거임 그래서 과거와 미래에서 변화한 양자가 현재에서는 단순한 "변화"로서 관측될 수 있는거고 정확히는 미래와 과거에 일정하게 존재하는게 아닌 "특이점"으로서 인식 의지 변화 현상 등등 양자에 어떤식으로든 자극을 주는 행동 이 행동은 미래와 과거에게 영향받으면서 동시에 미래와 과거에까지 "일괄적으로" 존재하진 "않"을거임 왜냐하면 "변화"가 "사실"로 남았다면 그 현재는 "현실"로서 증명됬기에 시간축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축" 위에서 움직이는 "점'일테니까 한마디로 우리들이 익히 알고있는 물리적인 변화 공을 차고 날라가는 결과가 "상상"속의 "이론"이 "결과"가 되면서 "현실"로서 "증명"되듯 미래 현재 과거 힘 존재 인식등 우리와 세상의 "모든것"이 "이론"으로서 모든 요소들이 양자의 "변화"라는 "결과"가 나타남으로서 "증명"된거임 어쩌면 우리들은 이중적인 존재이면서 동시에 같은 존재일지도 모름 일기장의 나 자신과 현재의 나 자신의 행보가 완벽히 일치하듯 일기장속에 써진 기록 즉 "상상"이면서 실존보다 위에 존재하는 고위개념으로서 "실존"하는 하는 "무언가" 그것이 우리들인것이 아닐까 싶음

  •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Ай бұрын

    코펜하겐 해석이라는거는 관측이 전자의 위치를 결정한다 라는걸로 볼수 있는데, 이게 대략적으로 왜그런거냐 하면 관측 이라는것이 개념과 사실같은 이런 주관적인 것이 아니라, 빛(광자)을 쏜다 라는 물리적이고 객관적인 행동으로 봐야합니다. 그리고 관측을 통해 전자의 확률 파동이 붕괴된다고 말을 하는데, 다시 말해 전자와 빛이 상호작용을 한거죠 그러니까 코펜하겐 해석은 전자와 빛의 상호작용에 관해 말을 하는거라 보시면 됩니다. 인식론과 양자세계간의 철학적 내용은 인문학적 발언으로 남겨두시면 될거 같습니다

  • @user-mb4cy8xi3r
    @user-mb4cy8xi3r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이 무엇인지 알게된 것 같아요. 가장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진을 찍으면서 원자를 보면 영향을 받는다는 것. 정말 신기하네요.

  • @user-oz7ox9tl4e
    @user-oz7ox9tl4e Жыл бұрын

    진짜 미친듯이 흥미롭다

  • @Tiger12219
    @Tiger12219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은 여기까지만 알아도 괜찮아요.. 나중에 가면 그렇게 반대했던 아인슈타인이 양자역학을 증명하지 않을려고 만든 실험이 증명하게 되어버리는 그런 상황도 나오고 그 두 파의 싸움이 재미있지만 머리가 터질것 같고 다시 봐도 이해가 안되는건 여전합니다.. 진짜로 교수님 말대로 익숙해질뿐

  • @user-ts8de5bq5s
    @user-ts8de5bq5s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들어 본 유투브 양자역학 중 가장 쉽게 설명하심

  • @user-wb5pn7jg5l
    @user-wb5pn7jg5l Жыл бұрын

    아는 게 많다고 쉽게 설명하는 건 아님 그냥 저분 강의력이 좋은거임

  • @user-rw1ly6zv7h
    @user-rw1ly6zv7h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중력을 느끼려면 (일단 기본적으로 당연히 질량이 존재해야하고) 만유인력에 반하는 방향으로 향해야 관성으로서 중력을 느낄수잇는데, 그래서 자유낙하상태에서는 무중력상태와같이 느끼는거고. 암튼 그래서 궤도운동을하는 우주정거장에서도 계속해서 자유낙하중인거기때문에 중력을 느낄수없는데, 이때 지구와 궤도운동중인 정거장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면(마치 하나의 건물처럼) 그순간 우주선 내부의 사람들은 갑자기 중력을 느끼게되고 정거장은 속도를 잃게되는데, 이게 양자역학과 비슷해보이더라고요. 빛은 미시세계에서 입자들에게 물리적인 영향력을 행사해서 그 입자들에게 위치(고정된)와 질량(중력으로 인한 무게감에의해)을 부여하는거죠. 정리하면 미시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동시에 측정할수 없는게 위치를 알기위해 관측되는순간 입자는 물리적연결을통해 고정되어 속도를 잃고 위에서 말햇듯 그제서야 중력을 느끼게되면서 질량도 부여되어 입자성을 띄게되는거 아닌가싶네요

  • @RingHit
    @RingHit Жыл бұрын

    '나' 라는 것은 생물들에겐 흔히 하나 라고 인지하고 있겠지만 살아가고있는 나자신 뿐만이아닌 태어나지않은 나 즉 2명이 죽음의 공간과 삶이라는 공간에 동시에 존재하고있는거 같음... 개무서움... 이 공간에있는 우리들은 인지즉 뇌를달고 자아가있는이상 죽음의공간에 있는 나 를 느낄수없고 오로지 삶속에 있는 나 로써만 느끼는게 아닐까 고정된 확률로인해 뭘해도 살아갈수없는 죽어있는 나 는 삶이라는 차원과는 아예다른 그 공간만에 거시적인 법칙속에서 따로 존재하고 있는거지 즉 다른 자아라는것이 형성됨에따라 진행이라는논리에따라 시간이라는것이 탄생되고 인지라는걸 할려면 현재의시공간 에서만 가능하니 양자역학적으로 생각해보면 우리가직접 인지하지 못하는이상 이미 과거 미래는 동시존재하고있을테고 인지가 불가능한 죽음 뒤의 시공간에서만 초월할수있기에 살아있는한 다른 차원으로까지의 진입이 물리학적으로는 막혀있는게아닌지 의심됨 그리고 확률이라는 논리가 인간이 세상이라는 이름을붙힌 논리에 인지되고있는 순간 현실이란논리속 생물이란 논리의 존재들에겐 높은 확률의 미래쪽으로 시공간이 확정되어짐 그렇기에 평행우주 는 확률상 거짓보단 참일확률이 높음 하지만 본질이라는 논리가 존재함에따라 진실이라는 논리가 생기고 실제로는 확률에따라 인지라는 자아가 없는이상 이 우주 라는 개념속 세상엔 아무것도 존재하지않음 즉 나 라는존재가 태어나지 않은 세상엔 모든것이존재하지않는것 즉 확률이라는존재가 나 라는 존재보다 먼저 존재하던 것이됨 즉 나는 태어났지만 확률에의해 안태어난 상태도 동시에 지속되고있는것임 만약이 가정이 참 이라면 우리는 존재함과 동시에 죽어있는 존재 즉 이 현실은 거짓이지만 살아있다는 기분을 체감하고있는 이상 절때 순리 라는 틀에서 생 물 들은 벗어날수없음 그렇기에 죽은후에 살수 없고 살다가 죽는것이며 죽고나서 다시 산다고 치면 즉 전생이 존재한다치면 다시 태어났을때 부터의 기억부터 쌓여가는게 아닐까.. 죽은후 부터의 기억과 다시 태어나는 시간 사이의 기억이 존재하지않는 이유는 죽음이라는 차원의 존재하는 나 의 법칙이 삶이라는 차원의 인간의 육신의 능력과 인간이 만든 모든 논리가 미적용되는 곳이기에 그렇겠지 아마 현실에 나 라는존재의 탄생의 시작과 죽음을 기억하고있는 마지막 단 한명이 없어지면 다시 기억을 잃은채 여러개의 시간대중 한곳의 지점으로 인지가 시작되지않을까함 그 논리가 지금 현실에 우리에겐 잉태와 출산 이라는 시스템 으로 적용되는것이고 진짜 많은 사람들이 우스갯소리로 말하지만 ㄹㅇ정말 세상은... 리셋되며 자동으로 한점에서부터 확장돼가며 정해진 지점까지 발전해가는 빌드로 코딩된 시작과 끝이 정해진 거대한 미래속 고도로 정교한 프로그램이 아닐까요...

  • @user-gp5vk1kc7d

    @user-gp5vk1kc7d

    2 ай бұрын

    자...시간없으니까 빨리 안전화챙기자

  • @partnerwash2093
    @partnerwash2093 Жыл бұрын

    와.. 문송하지만 과학을 엄청 좋아해서 양자역학 유튜브를 수도 없이 봤는데 제일 재밌고 그나마 알아들을 수 있게 말씀해주셨네요.

  • @user-ee4bq9ed4f
    @user-ee4bq9ed4f Жыл бұрын

    물리전자공학 배울때 생각나네요 빛은 입자이자 파동이다 이중슬릿 시험도 해보고 재밌습니다 신기하고

  • @user-bk6ej6qe8f
    @user-bk6ej6qe8f9 ай бұрын

    교수님 마지막 인용에서 정리가 확 됐어요.. 감동

  • @user-si6xc5vb4l
    @user-si6xc5vb4l Жыл бұрын

    중1때 핵융합연구원에 관심이 생겨 김상욱의 양자공부 책을 사고 초반부 살짝 읽다가 도저히 모르겠어서 😂 덮어두고 고등학교 입학하고 그 책을 읽었어요 확실히 옛날보단 더 낫더라구요... 물론 거의 끝부분에선 어그렇구나. 하고 넘겼지만요! 그리고 지금 고2가 됐는데 이번엔 한권책읽기로 그 책을 다시 골랐어요 이미 한 번 봤던 책이고 전보다 아는 과학상식이 많아져서 그런가 작년엔 이해가 안됐던 부분들도 이젠 이해가 되고 있어요 😻 정말 양자역학을 모르는 사람도 어느정도 익숙해지고 대강 이런 내용이구나~ 를 알게 해주는 재밌는 책이에요 물론 공부는 정말 못하지만... 취미로 과학을 하고 있는 학생이라 이런 책들이 너무너무 좋아요 앞으로도 이런 책 많이 내주세요!

  • @user-yj5ey8ep2c
    @user-yj5ey8ep2c Жыл бұрын

    백문이 불여일견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보이는건 사람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내가 지금 보고 있는 모든 것들이 그 자체가 아니라는 개념이 이해를 넘어서 받아들이기가 너무 힘든 개념이고 그렇기에 양자역학은 어렵고 낯설 수 밖에 없는 학문이라고 생각함

  • @Yd-mc2bt
    @Yd-mc2bt Жыл бұрын

    설명을 정말 쉽게 잘 해주시네요ㅎㅎ

  • @run-beginner
    @run-beginner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이해했지만 지금은 이해하지 못했다.

  • @sparkleradio514
    @sparkleradio514 Жыл бұрын

    흥미감을 유지하며 이 어려운걸 설명하는 그대에게 노벨상을 드리고싶네요

  • @ukmani_
    @ukmani_ Жыл бұрын

    너어어무 재밌어요

  • @user-df3qu4pw1b
    @user-df3qu4pw1b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고 흥미로워요

  • @kaiserapo2148
    @kaiserapo2148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 프로그램 만들어줘

  • @7f139
    @7f139 Жыл бұрын

    신기한 나라 시리즈 또 하면 좋겟는데ㅠㅠ

  • @user-hp1pc9ho2v
    @user-hp1pc9ho2v10 ай бұрын

    과학나라 미술나라 존잼였는데 다시봐도 재밌음ㅋㅋㅋㅋ

  • @user-ev2hk7lt3r
    @user-ev2hk7lt3r Жыл бұрын

    이정도로 설명한것도 놀랍다

  • @ttocareeny
    @ttocareeny4 ай бұрын

    진짜 설명 잘하신다...ㅠ 하도 연예인분들도 그렇고 다들 양자역학을 흥미롭게 여기시길래 왔는데 그래도 한 틀 정도는 이해가 되네 😅

  • @user-pl6ft1zt1n
    @user-pl6ft1zt1n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 @user-ke1wb4sz1q
    @user-ke1wb4sz1q Жыл бұрын

    이런 걸 보면 이 세상은 정말로 시뮬레이션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 @minimmmmmibb
    @minimmmmmibb9 ай бұрын

    봐도봐도 재밌네

  • @user-ib6bd8hq2x
    @user-ib6bd8hq2x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재밋네.. 강의 너무 잘하심

  • @user-um6iu2qm7m
    @user-um6iu2qm7mАй бұрын

    참 설명잘하셔서 듣기가 좋아요 😀

  • @_xxpark_
    @_xxpark_4 ай бұрын

    1:34 은지원씨가 재밌는 질문을 하였는데, ‘2+2 = 4’를 우리가 ‘이해’했다는 것보다 그냥 ‘익숙’해진 것에 가깝긴 해요. 왜냐하면 1+1도 사실 논문을 쓰려면 수십장이 넘게 나오거든요. 그래서 사람이 이해했다? 이건 아닌거 같아요. 그냥 당연해서 익숙해진거지

  • @user-vu5dh4nx7w
    @user-vu5dh4nx7w Жыл бұрын

    언젠가는 미시세계와 거시세계를 통합하는 만물의 이론이 완성되는 순간이 오겠지요~ 초끈이론 다중우주론도 쉽게 설명해주셨으면 해요~

  • @spacedustbanana
    @spacedustbanana Жыл бұрын

    이해는 못해도 이건 이해할수 있어요 이런 과학자분들이 있어서 이시대의 제가 편한생활을 누리면서 살고 있네요 ^^ 과학자분들 감사합니다

  • @user-yc6pi8os3y

    @user-yc6pi8os3y

    Жыл бұрын

    한국과학자들은 노벨상 한개도 없는데요?

  • @KANGMinCherry

    @KANGMinCherry

    Жыл бұрын

    노벨상은 과학자가 받는 가장 큰 명에 중 하나일 순 있으나 과학 발전의 단순 척도가 되지는 않는다는거... 노벨상 받으려면 50년 이상의 꾸준한 투자가 필요한데, 우리나라는 아직 이름. 앞으로 수십 년간 노벨상 우리나라에서도 충분히 나올 수 있음. 님 생각처럼 세상이 단순하지 않음 ㅋ

  • @qwerty-kl8yk

    @qwerty-kl8yk

    Жыл бұрын

    @@KANGMinCherry 설명해도 몰라요 그냥 무시하시는게..

  • @user-em6vn9eq9e

    @user-em6vn9eq9e

    Жыл бұрын

    @@KANGMinCherry 현실은 척도가 됨. 자존심만 세우지말고 현실을 직시하시길 ㅋㅋ 미개하게

  • @KANGMinCherry

    @KANGMinCherry

    Жыл бұрын

    @@user-em6vn9eq9e ㅋㅋㅋ 야 더 이상 답글은 안달건데... 너는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 현실이 쓰레기니까 친일파를 옹호할 것처럼 들리네... 노벨상 수상이 어떤 방식으로 책정되고, 왜 유독 몇 국가에서 수상자가 많이 나오는지 확인해 보길 바랄게. 뭐 그것도 귀찮다면 그냥 그렇게 살아. 사람의 가치관은 다를 수 있으니... ㅋㅋ

  • @siaxs144
    @siaxs1449 ай бұрын

    최강의 과학동아리,,,

  • @SaeIn7770
    @SaeIn77705 ай бұрын

    은지원님 발상의 전환이 참신 하네요 ㅋㅋㅋ

  • @gobdan2326
    @gobdan2326 Жыл бұрын

    다섯번째 보는데요 볼때마다 깨달아요 ㅎㅎㅎㅎㅎㅎㅠㅠ 아우...

  • @user-gy1ge3xb1x
    @user-gy1ge3xb1x Жыл бұрын

    재밌당. 이거 끊임없이 생각하게 만든다 ㅋㅋㅋ

  • @JayAIResearcher
    @JayAIResearcher Жыл бұрын

    대딩때 물리화학 전공하며 깨달은점은 양자역학은 4차원의 학문이다. 당장 기본적인 실험인 전자, 중성자 이중성 중첩 등은 실험결과가 나와도 왜 그렇게 나오는지 3차원 물리학으로 도저히 설명이 안됨

  • @solapark4167
    @solapark41677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는데 왜 시청자가 떠났죠?... 보고 또봐도 새로 배우는 것 처럼 어렵지만 재밌어요

  • @mjsciencelab.171
    @mjsciencelab.1715 ай бұрын

    최고의 강의

  • @hyunsuhan4000
    @hyunsuhan4000 Жыл бұрын

    와.... 👏🏻👏🏻👏🏻

  • @user-kv1zt4rd9h
    @user-kv1zt4rd9h Жыл бұрын

    세상은 시뮬레이션 = 양자역학 이라는 논조로 생각하면 모든게 맞습니다. 시뮬레이션도 관찰자의 입장에서 관찰되어지지 않는 모든 사물은 위치 혹은 존재 자체가 정해지지 않습니다.

  • @Zer-tm2lg
    @Zer-tm2lg Жыл бұрын

    존나 재밌네 이런 유익한 영상을 좀 많이 만들면 좋겠는데

  • @oksusucha
    @oksusucha11 ай бұрын

    그림이 너무 귀여워요 ㅋㅋㅋ

  • @user-bf7gu6fo9p
    @user-bf7gu6fo9p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 얘기를 들으니 어느 고승의 법문을 듣는 것 같다. 눈앞에 펼쳐진 세상은 사실 공이요 우리가 보는 순간 펼쳐지고 집착함으로써 빠져든다는...

  • @ddongddongddo
    @ddongddongddo3 ай бұрын

    진짜 존잼이다

  • @ohgbyu16
    @ohgbyu16 Жыл бұрын

    댓글들 보면 과학을 진심으로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부심부리고 무시하고 악플다는 사람들도 많은듯 우웩

  • @user-kt6vi2bf8u

    @user-kt6vi2bf8u

    Жыл бұрын

    @@user-ip2kt4fj5k 바로 등장ㅋㅋㅋㅋㅋ에혀…

  • @bb-lv4nu
    @bb-lv4nu Жыл бұрын

    진짜 명교수님

  • @chshan6922
    @chshan6922 Жыл бұрын

    상황에 따라 달리 움직이는 것은 그렇게 움직이도록 프로그램 됐기 때문이고 그것이 최선의 방식일 거라고 누군가,무언가가 생각했기 때문 아닐까 생각한다. 분명 파동으로 또는 입자로 횅동했을 때의 잇점이 있을 거다.

  • @ragona9622
    @ragona9622 Жыл бұрын

    분명 과학을 배우려고 클릭했는데... 철학을 배우고 온 느낌입니다

  • @2rn5dl77
    @2rn5dl77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 이렇게 겉핥기식으로 배우니까 재밌는데 깊게 들어가면 얼마나 어려울지.. 잘 모르지만 고체역학, 유체역학, 열역학보다 훨씬 어려울것같은데ㅠㅠ

  • @user-ys7gj3qr9t
    @user-ys7gj3qr9t4 ай бұрын

    재밌당ㅎㅎㅎ

  • @pjisue
    @pjisue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일러스트때문에 너무 웃겨요 재미써요 ㅋㅅㅋㅋㅋㅋㅋㅋ 교수님 강의가 더 재밌게들려요

  • @user-fi1zf9zy9o
    @user-fi1zf9zy9o Жыл бұрын

    지금 살고있는 세계 자체가 잘프로그래밍된 가상현실이라서 그런겁니다 게임도 보면 주인공이 바라보거나 관찰할때만 배경이 완벽히 나타나죠 인류가 종말하지 않는이상 미래에 현실과같은 가상세계를 만들확률이 100프로에 가깝죠 그럼 지금 저희가 살고있는 현실이 벌써만들어진 가상세계가 아니라고 확신할수없는겁니다 가상세계안의 인류가 발전하여 또다시 가상세계안의 가상세계를 만드는 거울속의 거울 처럼 무한히 증식할수밖에없습니다

  • @user-bs8ue9dp7f

    @user-bs8ue9dp7f

    Жыл бұрын

    머스크형 안녕 반가워 주식 이제 안던진다는 구라 좀 그만쳐줘

  • @user-zr2kn8ez4o
    @user-zr2kn8ez4o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여기서도 리처드 파인만을 외치시는군욬ㅋㅋㅋㅋㅋㅋㅋ

  • @RingHit

    @RingHit

    Жыл бұрын

    알쓸인잡 에서도 ㅋㅋㅋ

  • @JadeCome
    @JadeCome6 ай бұрын

    잼있어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ckshim4964
    @ckshim4964 Жыл бұрын

    우주는 전체이며 독립적이면 관찰자가 없으면 없나 그런데 관찰자는 우주밖에 있느냐는 문제가 관찰하면 파동이 입자로 나타나는 건 확실한듯 인간은 모른다에서 파동 입자를 모른다로 발전한듯

  • @OvO-tz5os
    @OvO-tz5os Жыл бұрын

    중1때 수학을.포기한 저를 이 영상이 끝날때까지 보게하시다니 ㄷㄷㄷ 더군다나 뒷 이야기도 궁금함...재밌는 이야기였습니다!

  • @jjooki7982
    @jjooki7982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을 전공시간에 배웠지만 아직 양자역학이 뭔지 잘 모릅니다ㅠ 걍 수학공식들만 기억에 남네요ㅋㅋ

  • @rptkddhqksms
    @rptkddhqksms11 ай бұрын

    알듯 말듯, 재밌넹

  • @ireney6137
    @ireney6137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과의 대화가 진짜 엄청 재밌네요. 최고.

  • @qwscd1
    @qwscd1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비유가 찰떡이네 ㅋㅋㅋ 그치 인간이 만들어낸 인공지능 알파고의 바둑 수 조차도 인간이 이해를 못해서 지는마당에 세상 모든 만물의 근원인 원자를 어떻게 이해하겠어

  • @user-ng5zu5ns4o

    @user-ng5zu5ns4o

    Жыл бұрын

    하지만 바둑은 경우의수 계산과 확률 계산이 유능한 컴퓨터를 이기지못할뿐이죠 사고능력에서는 인간이 아직 컴퓨터보다는 위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알파고의 메커니즘 조차도 인간이 만든것이니깐요 기술과 지식이 발전하여 언젠간 인간이 양자역학을 통달할 시대가 올수도 있지 않을까요?

  • @user-ji2yd2zx7l

    @user-ji2yd2zx7l

    Жыл бұрын

    @@user-ng5zu5ns4o ㄹㅇ 알파고의 바둑수를 "이해"의 개념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거같아요 사고 라고는 해도 단순통계에 의한것일텐데 오히려 이전에는 없던수를 두는 이세돌이 더나은게 아닐까요

  • @user-kh1mh2ef1r

    @user-kh1mh2ef1r

    Жыл бұрын

    @@user-ng5zu5ns4o 그럼... 더 이상 인 . 인간이 아니게 되어버렷

  • @siw5316

    @siw5316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알파고의 알고리즘을 이해했으니까 만들었겠죠?

  • @bundlro
    @bundlro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을 이해 할 때 헷갈리지 말아야 하는 부분은......원자 전자 등 미시 세계를 해석하는 것이지 이 해석이 그대로 거시적 세계에 적용되는 것은 아님.

  • @user-qg6nr2fp6z
    @user-qg6nr2fp6zАй бұрын

    차암 잘 가르치셔요 티칭 최고셔요 우리의 김느님 김상욱 물리학자 정말로 정말로 설명 잘 하셔요 웃는 모습도 상큼하시고요 물리학 용어외에 일반언어도 엠지 언어세요 사랑합니당

  • @sky-tj7pf
    @sky-tj7pf Жыл бұрын

    저는 이해되는데..아니 익숙한 거 같은데..아니 좋아하던 과목이 물리였어서 이해하고 싶은 마음인 듯

  • @user-jm8oi1wi8s
    @user-jm8oi1wi8s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 이해하려고 찾아보면서 내가 내린 결론은 오픈월드 게임하는데 쪼랩존에서 다음존으로 가야하는데 우연히 길 잘못들어서 고랩존에 간 느낌임... 장비나 레벨이 부족한데 미리 고랩존 떨어진 것 같음 아직 고랩존을 깨기엔 장비도 레벨도 게이머 실력도 부족함

  • @user-rj4bf6bc2l
    @user-rj4bf6bc2l Жыл бұрын

    이런 학문을 설립한거 자체가 신기하다

  • @yeon30
    @yeon30 Жыл бұрын

    알쓸인잡에 이어서 여기서도 파인만 사랑 ㅎㅎ

  • @MrEgde230
    @MrEgde230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보고있는 3차원도 4차원의 단면에 지나지 않으니까 우리인간이 본 전자입자도 사실은 파동의 단면이지 않았을까요? 4차원으로 넘어가면 시간의 단면들이 한눈에 보일테니 전자가 아무리 확률적으로 움직여도 그 움직임이 모여서 파동처럼 보일거같단 생각이 드네요.

  • @0Prime0

    @0Prime0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양자역학에 특수상대성이론을 적용한 양자장론에서는 전자를 4차원 파동으로 다룹니다

  • @user-pc3qy4qh4r

    @user-pc3qy4qh4r

    Жыл бұрын

    입자가 파동으로 보이는 거냐. 파동이 입자로 보이는 것이냐.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 파동이 먼저입니다. 모든 물질은 파동입니다. 그걸 전제로 시작한 것이 양자장입니다.

  • @tsfzos4554

    @tsfzos4554

    3 ай бұрын

    니몸도파동임

  • @memento2349
    @memento2349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은 말로 풀어서 들으면 진짜 재미있음 수식으로 풀어야 찐임

  • @user-po3wo5np5o

    @user-po3wo5np5o

    Жыл бұрын

  • @LivingUS2013

    @LivingUS2013

    Жыл бұрын

  • @user-zi8ix8sx7t

    @user-zi8ix8sx7t

    Жыл бұрын

  • @coled9566

    @coled9566

    Жыл бұрын

  • @user-eo7fy5ur2g

    @user-eo7fy5ur2g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숫자도 거의없음

  • @user-zx7ks3rw6i
    @user-zx7ks3rw6i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다...

  • @Bullko
    @Bullko Жыл бұрын

    홀리몰리~♡

  • @user-fh6ul4te1m
    @user-fh6ul4te1m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이해도 못하도 답도 안나오기 때문에 이중슬릿 영상을 보고 입자인지 파동인지 생각하지말고 세상이 이렇게 돌아가고 있구나 받아들여야 합니다 ㅋ

  • @charlemagne2705
    @charlemagne2705 Жыл бұрын

    솔직한 견해 감사드립니다. TV에 출연해 양자 역학 원리랍시고 설명하는 학자중 제대로 설명한 사람은 한명도 없었다고 셍각된다. 모두가 비유를 들뿐 본질을 설명 할수 있었던 사람은 없었단 말이다.

  • @jinho_kim
    @jinho_kim Жыл бұрын

    본다는 것이 물체의 위치에 영향을 준다는 것에 대해 약간의 부연설명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본다는 것은 빛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그 말은 물체에 빛을 쏜다는걸 의미하기 때문이죠

  • @nev0076
    @nev0076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슈뢰딩거의 고냥이 실험이 생각나네요 ㅎㅎ 재밋게 봤던 학문중 하나!

  • @maru3304
    @maru3304 Жыл бұрын

    만약 양자역학을 제대로 파악하는 날이 온다면 인간은 신이 되지 않을까..

  • @user-eu4xf8yc8q
    @user-eu4xf8yc8q Жыл бұрын

    신기한 과학나라 지금까지도 계속 돌려 보는 꿀잼 컨텐츠인데 아쉽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