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에서 타 지방 방향 간편 이동은 고속/시외버스 만한 게 없는 현재

Автокөліктер мен көлік құралдары

2023년 12월 현재, 인천국제공항에서 타 지방으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은 고속/시외버스 밖에 없으나, 2014~2018년에만 해도 KTX를 이용할 수도 있었습니다. 인천국제공항 착발 KTX 정기 여객 수송이 중단된 지 5년 쨰가 되는 가운데, 제2공항철도가 떠오르고 있지만, 불확실한 요소가 있습니다.
0:00 오프닝
0:51 공항 개항에 맞춰 먼저 운행 시작한 고속/시외버스
1:48 2007년 최초 개통한 AREX 공항철도
3:05 2014년 인천국제공항 착발 KTX가 운행을 시작했지만...
5:03 인천국제공항 착발 KTX 부활은 제2공항철도에 달렸다
6:37 인천공항 착발 KTX가 없는데도 고속/시외버스에 안심 안 되는 요소?
7:46 끝

Пікірлер: 24

  • @user-ni8qr5dc1t
    @user-ni8qr5dc1t5 ай бұрын

    예전에 KTX타고 인천공항까지 왕복이용 해봤는데요....일단 서울역-인천공항까지 고속이아닌 일반열차속도...그리고 인천공항이 시종착이였다지만 실질 메인은 서울역이라 서울역에서 20분정도 정차를 한다는 단점....솔직히 시간대비 가격대비 고속/시외버스보다 큰 메리트가 없었음

  • @Superpremium_parkway

    @Superpremium_parkway

    5 ай бұрын

    공할철도 선로로 달렸다는게신기하네요 공항철도 전동차하고 부딛힐수도 있을텐데

  • @kimegg10

    @kimegg10

    5 ай бұрын

    @@Superpremium_parkway당연히 운행편이 20편도 안되었습니다 차량 대피도 문제도 있었구요

  • @user-pr7us7ud8o
    @user-pr7us7ud8o5 ай бұрын

    동대구 터미널 1번 승차홈이 괜히 인천공항 출발이 아니죠.. 물론 동대구 터미널 운영사가 코와경북 이라 그런거일수도 있지만 대구권 - 인천공항 수요도 생각보다 만만치 않습니다.. 우리나라가 일본 간사이권 처럼 미주/유럽이 커버 가능한 동남권 공항이 없는 한 인천공항-지방 간 고속/시외 버스는 계속 이어질수 밖에 없는 구조 입니다.

  • @yyyy845612
    @yyyy8456125 ай бұрын

    인천공항행 KTX부활한다거나 공항철도로 좀더 쉽게 갈수있다그럼 마지막 목숨줄 꾾기는 셈인데 시외버스회사는 문닫아란 이야기죠.. 인구 계속 줄어들고 물가는 올라대는데 파이 나눠먹기로 고사되지않게 정책좀 잘 짰으면 좋겠습니다.. (확장을 멈추는거밖엔.. 철도인프라는 계속 깔아주지만 버스는 찬밥)철도가 정시성,속도등을 무기로하면 요금 지금보다 1.5~2배 더 받아야 맞는데 버스들 수준요금으로 경로확장, 운행수 늘리고하면 답없어요.. 시외버스회사가 적자나도 세금으로 떼우는 코레일에 언제까지 버틸수있을지

  • @user-eo1st1ok4g
    @user-eo1st1ok4g5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지방발 인천공항행 버스는 새벽시간에 수요많더러 절대 없어서는 안되는 버스죠 특히 오리역--인천공항, 천안--인천공항, 대전--인천공항, 동대구--인천공항, 광주--인천공항, 여수/순천--인천공항, 전주--인천공항등등 이 노선들은 늘 사람들이 많습니다. KTX타고 서울역에 가서 인천공항행 직통 공항철도를 탑승하는 것도 방법이 있지만 캐리어 짐이많아 불편하고 새벽시간대 운행하지 않아서 원하는 시간에 비행기 탑승이 어렵죠

  • @user-jh9th9rr7t
    @user-jh9th9rr7t5 ай бұрын

    내항기 같은 경우는 짐도 자동으로 출발지에서 붙이기때문에 도착지에서 바로 짐 찾으면 되니 부산 종합터미널을 가는것보다 김해공항에 가는게 더 이득인 사람이 많습니다

  • @user-jh9th9rr7t
    @user-jh9th9rr7t5 ай бұрын

    버스나 자가용 이동도 있지만 내항기 강제되는 이유가 있습니다 부산같은경우는 미주나 유럽을으로 갈때 코로나 전에는 도쿄나 베이징 또는 상하이 경유해서 미주나 유럽을 저렴하게 갈 수 있었지만 일본경유는 일본항공이 단항이고 중국쪽은 144h 환승이 귀차나서 결국엔 내항기가 강제 됩니다

  • @user-vr5jx2st8v
    @user-vr5jx2st8v3 ай бұрын

    다만 김해,부산의 경우에는 철도를 이용한것이 나쁜것같진않은것같긴합니다. 하지만 여긴 국내선 환승제도가 있기도하고 무엇보다 일본,동남아,괌,사이판,대만등등은 김해공항에서 출발하는 비행기가 있다보니 철도가 엄청나게 큰 위력을 발휘하고있진못한것 같습니다

  • @jaehyungchoi1246
    @jaehyungchoi12465 ай бұрын

    아래에 영상 내용과 관련해서 몇가지 생각나는 걸 적어봤는데 많은 분들의 피드백 부탁합니다. 1. 여수, 울산, 김해, 광주 등의 장거리: 환승 내항기가 아닌 인천착발 국내선으로 활용: 예전에는 인천발 제주, 대구, 부산행 등 인천에서 출도착하는 국내선 항공편들이 있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수요 저조로 폐지되었고 지금은 대구와 김해만 환승내항기가 있더군요. 이를 다른 나라들처럼 인천착발 국내선 항공편들을 제공한다면 외국인의 입장에서도 김포공항이나 서울역 등지까지 별도로 이동 없이 편하게 지방으로 이동 가능할 것입니다. 다만 외국에서 올 때는 내항기와 달리 도착지가 아닌 인천에서 입국심사를 받고 보안 구역 내에서 국내선으로 환승하는 식으로 말이지요. 2. 대전, 천안, 춘천 등 중거리: itx-마음 or 청춘의 인천공항 착발 열차편 운행 - 예전에는 지방출발 ktx만이 인천공항에 들어갔다면 이제는 점차 투입이 많아질 itx-마음을 인천공항발 평내호평/대전/익산행 등으로 운영하여 열차 이용의 선택폭을 늘리는 것입니다. 현재는 철도로 인천공항을 이동하려면 일반이든 직통이든 arex 공항철도 이용이 강제되는데 한국철도의 itx 열차를 공항선에 투입하면 공항에서 목적지 상관없이 바로 열차편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깁니다. 다만 이는 현재 공항철도의 선로 용량이나 도입된 itx 열차 편성수를 고려하면 당장엔 이루어지기 힘들겠지만 인천공항 t1과 t2역에 있는 방치된 ktx 플랫폼을 적극 활용한다면 머지 않은 미래엔 가능할 것이라 봅니다. 3. 9호선 또는 경의중앙선 등 공항철도와 연결지점이 있는 노선의 경우 인천공항철도 직결 운행계통 실시 - 서울 시내 및 경기권 일부 위성도시의 경우도 공항 버스에 의존하거나 공항철도 일반열차를 타고 김공이나 기타 서울 시내의 역에서 환승하는 대신 공항철도 직결 운행 전철을 해당 노선 상의 역에서 탑승하여 환승 없이 인천공항을 오갈 수 있는 장점이 생깁니다. 물론 이도 2의 경우처럼 공항철도 선로 용량이 발목을 잡는 상황입니다만 9호선과 공항철도 직결 운행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지금 공항철도 연결선이 존재하는 경의 중앙선의 경우도 덕소/팔당발 인천공항행 등 충분히 이론상으론 직결 운행이 가능하기에 적어 보았습니다. 택시든 자차든 공항버스든 인천공항을 현재 오가려면 공항철도가 아닌이상 무조건 도로교통에 의존해야 하기에 대체 가능한 다른 대안들을 적어보았습니다.

  • @seize4085
    @seize40854 ай бұрын

    현재 대구, 부산만 운항중인 인천발 내항기를 완전한 국내선으로 전환해서 부산과 대구 말고도 광주와 제주로도 운항해 줬으면 하는 바람이 크네요...

  • @gwan7364
    @gwan73645 ай бұрын

    뿌산에서. . 인천공항 이른 출발이믄. .전날 심야타고 올라가서 새벽 도착해서. . 대기해야함. . 지금도 그러겠지. .

  • @skypark023

    @skypark023

    5 ай бұрын

    끝에 말씀 하신 인천공항 주차요금 9000원은 장기 주차장 요금 임니다 1T,2T 에서 멀리 떨어져 있구요 단기 주차장이 건물 지하나 1층 바로앞에 있는곳은 하루 2만4천원 임니다

  • @msk6276

    @msk6276

    5 ай бұрын

    그래봐야 엑스포 날아가서 가덕도도 모름

  • @akdl5014
    @akdl50145 ай бұрын

    핵공감

  • @user-fk5vq6xt7r
    @user-fk5vq6xt7r5 ай бұрын

    그냥 김포에서 인천공항 짐 연계만 되면 너무 좋을듯.. 여수에서 인천공항 가려면 답도없음ㅠ

  • @user-nz9dt5jj8r
    @user-nz9dt5jj8r5 ай бұрын

    인천공항에 ktx전용역 건설해서 서해선 과 직결해서 영남권 호남권 영동권과 방면 신설한다면 버스업계도 긴장할듯

  • @iraf27
    @iraf275 ай бұрын

    지방에서는 서울 다음으로 편수 많은 게 인천공항이죠 ㅋㅋㅋ

  • @seongmin663
    @seongmin6635 ай бұрын

    빨리 제2공항선을 개통해서 강릉/동해행은 기존 공항선을, 남부로 가는 노선은 제2공항선으로 돌리면 접근성이 좋아질거 같네요. 기존 KTX 탑승률이 낮았던 이유가 한강을 2번이나 건너는 노선 선형 탓이니까요

  • @ikyong1110
    @ikyong11105 ай бұрын

    인천공항발 ktx는 없어ㅜㅜ

  • @user-no8kw9hr3r
    @user-no8kw9hr3r5 ай бұрын

    공항에서 시외이동 간 시외고속이 장사가 잘되는 이유는 비행기 출발시간 및 장기주차비용 탓이 제일 크죠. 1. 유럽, 미주 등 상용 및 관광수요가 활발한 국적기(대한,아시아나) 비행기 출발시간이 10시~12시 전후로 있습니다. 이들 비행기를 타려면 8시~9시전후에 공항 도착해야 안전한데 호남,영남권에서 출발하려면 새벽에 출발해야 합니다. 하지만 열차는 이시간대 선로점검시간이라 전혀 효용성이 없죠. 2. 인천공항 장기주차비용이 하루 9,000원으로 꽤나 비쌉니다. 유럽,미주에 체류한다면 보통 10일정도 이상씩 체류하는데 이게 10일만 장기주차 건다 쳐도 90,000원입니다. 기타 톨비 그런거 합치면 시외고속 타는게 이득이죠 설사 프리미엄이라도. 결국 기존 대중교통 타는수요뿐만 아니라 자차끌고 가는수요까지 시외고속이 뺏는거라 공항선 장사는 안될수가 없죠.

  • @user-mw6sr4rd2p
    @user-mw6sr4rd2p5 ай бұрын

    인천시내가는 공핳버스는 없음

  • @SKYLINEPLUS
    @SKYLINEPLUS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정말 철도 후진국... 일본은 커녕 그렇게 무시하는 중국보다 철도 시스템은 더 후짐

  • @user-ev7zu5yy1n
    @user-ev7zu5yy1n5 ай бұрын

    국내연결편이 많이 필요한 상황인데... 휴...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