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MZ는 고민하지 않는 주택마련... 대체 그 이유가 뭘까?👀 / 14F

대한민국에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는 SK증권에서 지난 번 다마신도시에 이어, 이번에는 도쿄를 방문해 일본 사람들의 주거와 삶을 살펴보고 왔습니다. 일본은 주택 버블 붕괴 이후, 주거 양식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고 하는데요. 그들의 삶에는 어떤 변화가 생긴 걸까요?
스마트시티 매거진 XITY 자세히 보기
: www.xity.co.kr
#SK증권 #XITY #스마트시티 #부동산

Пікірлер: 2 200

  • @trchk
    @trchk Жыл бұрын

    일본 거주중입니다. 주변인들을 보면 독신일때는 도쿄내에서 월세로 살다가 결혼하고 아이를 낳게 되면 치바/사이타마/카나가와쪽으로 집을 사거나 단독주택을 세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민을 안하다는 표현은 좀 오해가 있을 수 있지만, 심플하게 말해서 "내가 집을 사고 집값이 오르면 크게 벌 수 있다"는 기대 자체가 0에 가깝기 때문에 실거주 목적으로만 구입해서 필요하면 사는거고 아니면 마는거라는 뜻에 가까울겁니다.

  • @ethanjkim

    @ethanjkim

    Жыл бұрын

    이게 정상적인 사고죠

  • @skysky7609

    @skysky7609

    Жыл бұрын

    글쵸 일본에서는 주택 구입후 살면서 떨어지지만 않아도 아주 감사한 걸로 생각하죠.

  • @ratm7192

    @ratm7192

    Жыл бұрын

    저도 유학생때 도쿄살다가 결혼후 집사서 치바에서 살고있습니다. 일본은 진짜 실거주 목적으로 집을사고 웬만하면 집값의90프로정도가 대출이됩니다. 이걸보고 일본남자들은 군대도 안가고 집문제도 없고 치열한 경쟁도 없고;;;

  • @kiyoonj

    @kiyoonj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집을 투자대상이라고 생각하는거같은데

  • @cyberchany

    @cyberchany

    Жыл бұрын

    저도 일본에 거주중인데, 한국에 살때 집을 왜 투자대상으로 생각하는지를 지금도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집=거주 라는 목적이고 집값이 오르든 떨어지든 내가 살고 싶은 동네에서 가족들과 살수 있다면 그걸로 전부 아닌가? 라고 생각드네요.

  • @user-ul5kz4lp1k
    @user-ul5kz4lp1k Жыл бұрын

    일본에 20년 살고 있습니다. 먼저 저는 현재 일본과 한국 양쪽에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은행 그룹의 헤드쿼터에 근무하고 있고 투자시장에 대한 소스를 접할 수 있는 포지션에 있다보니 양쪽 시장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자산에 대한 나름대로의 분석을 해왔던 내용을 이야기 드릴 수 있을 것 같아 긴 글을 올려봅니다. 이 내용은 제 개인적인 생각이기에 이견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말씀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일본이 부동산을 투자의 시각으로 보지 않는 이유 몇가지를 말씀드리면 첫번째로 재건축 시장 자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본이 부동산이 투자가치가 없다고 하는 것은 일본의 경우 재건축을 실시할 경우 거주자들에게 일률적으로 현금청산을 하기 때문입니다. 오래된 건물의 가격의 시장가격으로 현금 청산을 하기 때문에 누구도 재건축을 바라지 않죠. 오래 가지고 있어봐야 건축물의 감가상각만이 진행될 뿐인겁니다. 두번째는 임대시장이 안정되어 있다는 겁니다. 임대시장이 엄청 크고 국가에서 직접 운영하는 UR이나 JKK, 고령자나 저소득층을 위한 도영주택 같은 것들이 너무 잘되어 있어서 임대가격이 안정되어 있습니다. 도영주택이나 캠페인으로 싸게 들어온 게 아닌 이상 공공임대의 경우 한번 들어가면 자기가 나가지 않는 한 계속 살 수 있고 임대료도 처음 들어온 가격에서 오르지 않습니다. 공공임대 시장이 규모도 크고 임대가격을 안정적으로 붙잡고 있다보니 민간 임대사업자들도 무턱대고 임대가격을 올릴수가 없습니다. 임대료가 안정되어 있다보니 자산 가격도 좀 처럼 오르기가 힘든것이죠. 세번째는 부동산 자산 가격이 오르지 않는다는 겁니다 앞에 이야기한 여러 요인으로 부동산 가격이 오르지 않기 때문에 굳이 부동산을 사려고 하지 않습니다. 사봐야 감가상각으로 돈 까먹는 거랑 대출 변제하는 것과 임대로 사는 것을 비교해봐도 큰 메리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맨션은 어느정도 가격 방어가 되지만 단독주택의 경우는 10년 정도 지나면 건물의 가치는 거의 없고 땅값만 남습니다. 여기에 더해서 일본의 인구가 계속 줄고 있는 상황에 고령자가 늘어나는 것은 주택시장의 바이어의 수요가 점점 줄어 든다는 의미이기때문에 싸게 내놔도 사는 사람이 없게 되는 것이죠. 여담으로 한국에도 중국 사람들의 수요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다는 이야기들이 있는데 일본도 마찬가지로 중국사람들의 투자처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큰 차이는 중국사람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부동산은 계속 가치가 오른다는 것에 투자를 하는 것이고, 일본은 부동산은 가격이 저렴하고 자산가격이 안정되어 있어서 자산 회피처로서 투자를 한다는 것입니다. 한국은 한국국민들이 부동산을 바라보는 시각과 중국 사람들이 투자하려는 방향이 같아서 이런 투자가 시장 가격에 더 드라이브를 걸어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고 일본의 경우는 일본사람들이 바라보는 시각과 중국 사람들이 투자하려는 방향이 달라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입니다.

  • @user-ul5kz4lp1k

    @user-ul5kz4lp1k

    Жыл бұрын

    자 그러면 일본의 부동산은 안오르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렇지 않기도 하면서 그렇기도 합니다. 무슨 말이냐구요? 이것도 몇가지 이유로 나눠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오르지 않는 이유 첫번째로는 인구감소입니다. 일본의 외국인의 유입이 가장 어려운 나라중 하나로 꼽힙니다. 일본의 인구가 계속 감소하는 추세에 외부에서 유입자체도 많지 않으니 지방의 도시들이나 마을들이 소멸하는 현상이 가속되고 있습니다. 부동산을 사려는 사람들의 풀 자체가 줄어들게 되는 겁니다. 이렇게 인구가 계속 감소하게 되면서 지방자치단체나 국가의 세수가 줄어들어 기반 인프라에 대한 투자들이 줄어들게 되어 도시가 점점 슬럼화되게 되고 생활 인프라가 없어지게 되면 또 인구의 유입이 더 줄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죠 두번째는 미국발 금리인상입니다. 미국이 장기적이고 무제한적인 양적완화와 코로나로 인한 돈풀기로 인플레이션이 가파르게 상승하게 되었고 그로인한 자산들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경제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촉발된 전세계의 경제 타격으로 자산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것입니다. 오르는 이유 첫번째는 부동산 구입에 대한 혜택이 어마어마합니다. 일본은 경제를 활성화 하기 위해 국가가 정책적으로 집을 구입하는 것을 장려하는 정책을 많이 펴고 있습니다. 먼저는 거주목적으로 부동산을 구입시 부동산 비용의 거의 대부분을 장기간 낮은 금리에 대출이 가능합니다. 실제 대출 패턴을 말씀드리면 6,000만엔짜리 맨션을 살 때 전체가격의 95%를 35년에 걸쳐 변동금리 0.5%나 고정금리 1.2%에 대출이 가능합니다. 일본은 기본적으로 거치기간 없이 원리금 균등상환이기 때문에 원금을 처음부터 갚아나가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임대로 사는 것보다 매월 내는 비용이 더 싸게 느껴지기 때문인데 집을 사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 하나는 부동산을 구입시 10년간 주택에 대한 세금 거의 대부분을 공제해줍니다. 최근에는 공제액은 조금 줄고 공제기간이 13년으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두번째는 전세계 자산시장이 상승하고 있었던 영향도 있습니다. 한국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역사상 유래가 없는 양적완화와 돈 푸는 정책을 장기간 실행해오다보니 풀려난 돈이 투자시장으로 몰리는 건 당연한 현상인 데 이런 투자목적의 돈들이 부동산 시장으로도 많이, 또 장기간 유입이 되면서 전세계 부동산 시장을 부풀게 했었죠. 이러한 영향으로 한국의 부동산 시장도 덩달아 같이 상승을 하게 된 것이구요. 그런데 현재는 미국이 달러를 죄기 시작했고 연준의 금리 인상도 아직 멈추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 부동산 시장도 어느정도 타격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한국도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서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구요 근데 아이러니하게도 일본 시장의 경우는 미국의 주도적인 긴축에 반해 여전히 저금리를 유지하고 있고 경기 부양을 위한 양적완화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부동산 자산들의 상승이 버블 이후 최고를 찍고 있는 것이구요. 거기에 더해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이 부동산 가격 하락을 방어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앞에 이야기한 여러 외부적인 이유들로 일본 부동산 시장은 아직 상승기를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결론 오르지 않는 이유와 오르는 이유를 다 말씀을 드렸는데 오르는 것이기도 하고 오르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는 이유는 오르지 않는 이유가 적용되는 지역과 오르는 이유가 적용되는 지역이 다르다는 데 있습니다. 도쿄가 아닌 지방의 경우 오르지 않는 이유로 부동산 가격이 점점 더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 도쿄는 오르는 이유로 점점 더 부동산 가격이 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일본에 자주 와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7년전에 오셨던 분들과 10년, 20년 전에 오셨던 분들은 도쿄가 크게 바뀐게 없다고 느끼셨을 겁니다. 물가나 생활패턴 부동산 건물등등. 그런데 7년전에 오시고 지금 와보신 분들은 완전히 바뀌어 버린 도쿄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도심에 대한 재개발에 대한 법들이나 고층 건물에 대한 법들이 완화되고 올림픽을 거치면서 도쿄 도심에는 기반 인프라가 상전벽해를 느낄 정도로 변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더해서 주거나 오피스 건물들이 점점 높아지고 공급이 많아지면서 주변 도시의 인구들을 블랙홀처럼 빨아드리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도쿄는 23구 이외에도 주변 도시나 도쿄의 시단위 인구들도 점점 도심으로 집중되고 있습니다. 다시말해 도시가 컴팩트화되고 있는 것이죠. 이로 인해 컴팩트화된 도심에는 인프라 확충도 훨씬 쉬워지고 고도화 되고 그에 반헤 근교에 대한 인프라 확충은 점점 더 줄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이유로 도쿄 도심은 점점 더 자산가치가 오르게 될 것이고 그 외의 지역들은 점점 더 자산가지가 떨어지게 될 것이라는 겁니다. 여기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ww4ze6yk6k

    @user-ww4ze6yk6k

    Жыл бұрын

    좋은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혹시 한국 부동산에 대해서도 견해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실까요??

  • @user-dp6uf2do3z

    @user-dp6uf2do3z

    Жыл бұрын

    첫번째 이유가 너무크네,,ㅋㅋㅋㅋㅋㅋ그리고 일본은 시간이지날수록 관리비가 미친듯이오르던데 주차장도 없어서 주차비도 내고 한국이랑 아예다른듯,,

  • @user-fj1qw3mm7n

    @user-fj1qw3mm7n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인구 감소율, 고령화 속도는 일본을 능가하죠. 많은 인류학자들이 세계에서 사라질 첫 국가로 한국을 언급하는 이유기도 하구요. 일본도 그렇지만 한국은 더더욱 지방경제의 쇄퇴와 붕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보는데 한국은 지방경제가 붕괴되고도 지금의 경제수준을 유지 할 수 있을까 의문이네요.

  • @user-xo6py3fn1s

    @user-xo6py3fn1s

    Жыл бұрын

    제가 지방에도 살아보고 수도권에도 살아본 경험으로는 이미 지방은 소멸단계에 접어들고 있고 앞으로도 점점 사람들은 서울로 몰릴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서울의 집값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오르겠죠

  • @quantumleap3277
    @quantumleap3277 Жыл бұрын

    급격히 줄어드는 인구와 점점 쪼그라드는 가처분소득 수준을 감안하면, 지금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20~30층 넘는 대단지 아파트들은 용적률, 건폐율, 경제적 측면 등등에서 향후 재건축이라는 건 아예 추진 자체가 불가능 할 것 이기에 점점 노후화 되어 도심내 흉물이 될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저도 이제 몇년후면 60이 됩니다만, 당장 20~30대 자기 자식 세대들이 내 집 마련할 엄두도 못 내게끔 미친듯이 부풀려 밀어올리려는 현재 50~60대 기성세대들의 탐욕이 결국은 스스로를 포함한 이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을 지옥으로 밀어넣는 주 원인입니다. 서로서로 밀어올린 부동산 가격때문에 자기 자산의 90% 이상을 주거비용으로 옭아매 놓고, 그 구조를 개혁하겠다고 하면 눈에 도끼불을 켠 채, 자식세대들 미래고 나발이고 정신 나간 놈들에게 투표해 댄 현실이 바로 이 꼴 입니다. 제발 작작들 좀 합시다. 부동산으로 이미 그 정도 벌었으면 된 거예요.

  • @user-qe7yq3nm4m

    @user-qe7yq3nm4m

    Жыл бұрын

    기대하지 마세요 반세기 동안 살면서. 느끼는건 세계적으로 헬조선 국민들만큼 돈에 환장한 사람들이 없다는 겁니다 님이 바라는 작작좀은 절대 오지 않을겁니다 포기하면 맘은 편해요

  • @dlssodmlapsxkf

    @dlssodmlapsxkf

    Жыл бұрын

    그렇지 않습니다. 적어도 자본주의를 아신다면...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Жыл бұрын

    조중동 언론이랑 윤석열이 집값 떨어지지않게 집사라고하던데요 ㅋㅋㅋㅋ? 덕분에 4월달에 집값 살짝오름

  • @Dk-rl3vq

    @Dk-rl3vq

    Жыл бұрын

    ​@@ryuusungrune4285 그 집값 미친듯이 폭등시켜 놓은게 문재인이랑 민주당인데 정치병자 한 마리가 또 여기까지 와서 윤석열 탓하고 있네ㅋㅋㅋㅋ 역대 어느 정권이 임기 5년동안 집값을 2배 이상 올려놨냐? 노무현 문재인임ㅋㅋㅋ 부동산 관련해서는 얘네 둘이 최악의 대통령임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Жыл бұрын

    그 부동산 거품 값 덕분에 우리나라의 내수 경기가 이만큼 유지되고 있는 겁니다. 이거 한번에 꺼뜨리면 우리나라 후진국 됩니다. 소비 빙하기가 오고 내수용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도 도산하거나 투자규모를 줄이는 곳이 속출하겠죠. 적당히 조금씩 거품을 유지하거나 꺼뜨리는 게 답입니다. 저출산은 막을 수 없습니다. 거의 전 세계적인 현상입니다.

  • @monono1997
    @monono1997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살짝 틀린점이 있다면, 저는 도쿄 거주12년차 주부인데요. 저도 도쿄의 극 중심가 쪽에서 거주하다가 자녀출산 후 외곽으로 이사했습니다. 많은 마마토모 엄마들과도 하는 이야기 입니다만, 집값때문에 이동하는 것 보다는 아이들의 교육환경을 생각해서 이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심가는 유흥거리와 상점가중심의 건물 사이사이의 주택가이기때문에 일본의 부모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아이들과의 외부활동에 제한이 많아요. 그에비해 도쿄 외곽은 정말 눈돌리면 작은 공원들이 즐비하며, 모래놀이터가 널려있고, 다양한 탈것 놀이기구가 많은 교통공원같은 테마공원, 여름에는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연못공원(쟈부쟈부이케) 생물원, 농업공원등 체험교육과 휴식이 가능한 테마공원들이 정말 구석구석 종류별로 있습니다. 출산 전, 남편과 데이트하며 이케부쿠로, 신주쿠, 시부야 등에서 놀았으나 출산 후에는 7년넘게 시부야 갈 일이 없었죠. 아이들과 놀게 적거든요. 각 구에서 아동관등 아이들을 위한 시설을 구비하고는 있으나 중심가는 실내활동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아요. 회사 일본인 지인 중 아이계획없이 살고있는 지인은 아직도 신주쿠구에 거주중입니다. 출산 한 지인들은 외곽으로 이사간 경우가 많아요. 네리마, 카메아리, 하치오우지, 니시아라이 골고루 갑니다~ 오다이바쪽은 살다가 많이 다시 나오더라구요. 한국처럼 교육, 학원에 연연하지 않는 문화이기때문에 더더욱 가능한 분포이지 않은가 싶어요.

  • @user-gj9mv4dk2s

    @user-gj9mv4dk2s

    Жыл бұрын

    정말 한국에서는 상상할수없는 상황이네요 오히려 외곽지에서 살다가 학교가게 되니 학원 상권 몰려있는 곳으로 이사가는게 한국의 현실입니다 학원이 미래인 이 곳과는 사뭇 다른 환경이라 진심 부럽네요

  • @Genieyamm

    @Genieyamm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리고 또 우리나라와 다른 점은 , 전 10년 전 일본에 교환학생으로 잠깐 갔을 때 중학생들 모두 초등학교 때부터 국영수 과목등을 제외한 취미(서예, 수영 등)활동을 학교에서 방과후 활동으로 제대로 지원을 해줘서 고등학교 때쯤엔 한가지 분야에 전문가가 수준이 되어있더군요.. 멋져보였어요 우리나라는 말만 방과후 활동이지 사실 실질적으로 하는게 없잖아요 .. 특히 시험기간엔 방과후 활동엔 공부나 시키기나 하지 ..

  • @Smile_77

    @Smile_77

    11 ай бұрын

    90년대 버블이 터진게 고통스러운 시간을 만들기는 했지만 30년이 흐른 뒤 지금을 봐선 신의 한수였네요.

  • @kateyoo77

    @kateyoo77

    11 ай бұрын

    일본이 한국처럼 교육, 학원에 연연하지 않다는 말씀에 질문드립니다. 일본은 중학교부터 아직 입시가 있고해서 입시전쟁이 한국보다 더 하다는 것 같던데... 도쿄내 명문대 가기위한 입시경쟁은 더 할것 같은데.아닌가요?

  • @AoDe-vn5pf

    @AoDe-vn5pf

    11 ай бұрын

    @@kateyoo77 맞습니다.. 일본도 상류층 혹은 상류층이 되고 싶은 가정은 교육열 장난 아니에요. 유치원때부터 가고싶은 학교 전용 입시학원 보냅니다. 정확히는 유치원부터 입시가 있죠 (사립).

  •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 Жыл бұрын

    중고품인데도 연식이 오래되서 허물때가 가까워 질수록 오히려 값이 오르는게 신기한 아파트 가격..

  • @jaylim7715

    @jaylim7715

    Жыл бұрын

    콘크리트값 떨어지는거보다 땅값 오르는 속도가 훨씬 빠르니까요.

  • @user-yp3sk8yu7i

    @user-yp3sk8yu7i

    Жыл бұрын

    @@jaylim7715 이 말이 맞습니다. 건축물의 감가상각 보다 그 건축물이 깔고 앉은 대지권의 가치가 오른 것이지요. 그래서 같은 아파트 단지여도 대지권을 더 많이 가진 동이 있거나 세대가 있으면 더 비싸지요.

  • @user-pz9hu1vn2z

    @user-pz9hu1vn2z

    Жыл бұрын

    @@jaylim7715 그 땅값도 사주는 사람이 있어야 오릅니다. 인구 감소하면 경제규모가 축소하고 모든 가치가 떨어지는거죠.

  • @jaylim7715

    @jaylim7715

    Жыл бұрын

    지금을 놓고 이야기한건데요. 중고인데 왜 가격이 오르냐고 하셔서요. 당연히 나중에 인구가 줄어들고 서울에도 땅이 남아돌면 가격이 떨어지겠죠? 지방은 이미 떨어지고 있고요.

  • @kijminam

    @kijminam

    Жыл бұрын

    한정판이라....

  • @user-ps5ff1cz3h
    @user-ps5ff1cz3h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이 가격이 상승하는건 착시효과에 가깝습니다. 건물은 수명한계가 있으며, 집값이 오르는게 아니라 인구밀집과 화폐유통으로 땅값이 오르는것입니다. 거기다가 용적률 까지 생각해본다면 추가적인 재개발이 어려운 아파트들은 도심공동화의 원인이 됩니다.

  • @odinban2146
    @odinban2146 Жыл бұрын

    1997년부터 계속 일본이 흘러간 것처럼 흘러가는데 전혀 대비하지않고 일본이 했다가 실패한 정책만 그대로 시행하는 대단한 대한민국 정치가들 응원합니다.!

  • @jeongbinhong3734

    @jeongbinhong3734

    Жыл бұрын

    저는 잘 모르지만 다르게 생각해보면 그렇게 유사하게 흘러가는 이유가 일본의 선행이 어쩌면 그 자체로 높은 신뢰성, 유일한 대안이라서 그러는게 아닐까요? 아무리 정치하는 사람들이 퍼포먼스에 혈안이고 무능해 보여도 나름 배운 사람들인데 말입니다.

  • @user-nw8rl2ys7n

    @user-nw8rl2ys7n

    Жыл бұрын

    국민의힘 친일파들이 일본을 너무 좋아하기 때문에 윤석열은 대놓고 친일 정책에 열중하구만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Жыл бұрын

    @Shitaot Hongsede 망했다 망했다하는게 디폴트 모라토리엄 이렇게 된다는게 아니고 경제체급이 서서히 쪼그라든다는거죠.

  • @Eunjiiimo2

    @Eunjiiimo2

    Жыл бұрын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begotten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ould not perish but have everlasting life. J o h n 3 :16

  • @user-ik9nc3vo4j

    @user-ik9nc3vo4j

    Жыл бұрын

    너무 무능하다 .... 야당도 너무 무능함..... 이나라 정치가 답이없다 없어

  • @kimcircle9652
    @kimcircle965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느낀 건 새로운 정보를 얻었다기 보다는 한국의 잘못된 부동산 인식이 심각하다는 거임.. 한국에선 부동산 투자는 해외는 몰라도 한국만큼은 외국 사례도 무시할 만큼 한국만의 부동산 시장 만큼은 다르다고 생각하는 게 진짜 문제. 잘못된 인식이라는 게 생각보다 바뀌기 정말 힘들지 세대교체가 되지 않는 한 잘 바뀌지 않음

  • @user-sn7th9qf3b

    @user-sn7th9qf3b

    Жыл бұрын

    뭔개소리야ㅋㅋㅋ한국이 언제 LTV120퍼센트를 한 적이 있습니까? 그걸 어떻게 같은 사례라고 하냐?

  • @kimcircle9652

    @kimcircle9652

    Жыл бұрын

    @@user-sn7th9qf3b강아지 뇌도 아니고ㅋㅋ 전세금은 포함 안 하는거 보소ㅋㅋㅋ 일본이랑 똑같지 않아도 오르지 않으면 대출이자 내면서 안 사ㅋㅋ

  • @kimcircle9652

    @kimcircle9652

    Жыл бұрын

    @@user-sn7th9qf3b LTV 120%했냐 안했냐가 중요한 게 아닌데 꼭 유튜버 보고 "아 ~ 그렇구나 " 하지 ㅋㅋㅋ 똥인지 된장인지 꼭 쳐 먹어봐야 알지 ㅋㅋㅋㅋ 형은 임마 2주택 재작년에 싹 정리 했어. 정신 차려라. 평생 혹 달고 살 수 있어 임마 ㅋㅋㅋ

  • @user-sn7th9qf3b

    @user-sn7th9qf3b

    Жыл бұрын

    @@kimcircle9652 ㅅ.ㅂ ㅋㅋㅋ부동산 2채 정리했대ㅋㅋㅋ지가 댓글로 부동산을 투자의 시선으로 본다는 게 문제라고 하면서 누가보다 본인이 투자의 대상으로 보고 있구만ㅋㅋㅋㅋㅋㅋ 스스로 말하고도 안쪽팔리냐???

  • @shaheenshin7927

    @shaheenshin7927

    Жыл бұрын

    전세를 사는데 대출을 어떻게 받아요... 담보 대출 혹은 전세금 낀거 겠죠... 아파트 전세가율이 50 언저리인데 지금 대부분 비규제니까 담보대출 보다고 낮네요 그리거 외국 사례와 다르다고 하는데 외국 웬만란 부동산이 우상향 하는데 한국만 아닐거라 보는게 맞나여? 일본은 부동산이 떨어지나요? 양극화만 진행되고 있지??? 무슨 일본 빈집 투성이라니까 도쿄 23구안에 빈집이 있는줄 아시나요??? 재작년에 2채 정리하셨다구요? 그게 뭐 대단한건가요? 에휴...

  • @tv-ct7uc
    @tv-ct7uc Жыл бұрын

    나라망한다고 세금으로 건설사 도와주고 거래량 자체가 한참 부족한데, 언론은 집값 상승한다는 어이없는 기사나 쏟나내고 있으니 이모양 이꼴이지.. 폭탄 돌리기의 끝이 얼마남지 않은듯 합니다.

  • @KJ-vn7io

    @KJ-vn7io

    Жыл бұрын

    나라가 망하는게 아니라 지 장모 부동산 투기가 망하는 거겠지. 경제가 살아야 집값도 살지. 엔비디아 물량 tsmc에 다 빼앗기고 삼성은 그지꼴인데. 윤씨가 중국한테만 미움받는게 아니라 미국한테 팽당하니까 현대차도 삼성도 지금 미국에서 ㅈㄴ 발리는 중. 알콜치매 걸렸으면 그냥 죽는게 나은데.

  • @LMGG_official
    @LMGG_official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 @user-ji9kp9pt3y
    @user-ji9kp9pt3y Жыл бұрын

    내용 너무 좋네요

  • @user-hv1pi2zc9z
    @user-hv1pi2zc9z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일본전철을 밟을것입니다ᆢ내가 이십년전 일본에 있을때 상황이 현재 한국상황과 거의 일치하고 있거든요

  • @user-zu7ug4dd3q

    @user-zu7ug4dd3q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더 심할거 같습니다. 지금 일본 학계에서는 한국사회를 기이한 시선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자기들과 비슷한 전철울 밟을 것으로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학자들 예상보다 훨씬 빠르고 심하게 나라가 무너지는 현상에 대해 지금 데이터 쌓는중.

  • @skitakaujou

    @skitakaujou

    Күн бұрын

    일본이 기이한것임. 다른나라는 다 발전하는디 30년동안 소득이 정지되었고 인당 gdp로 한국에 밀려남. 일본만 유별난 저성장이었다는것. 프랑스도 인구 줄었다가 정상화됨. 따라서 일본의 전철을 따른다는건 맞지않음. 일본만 주택이 안오른것. 십년전부터 일본따라 안오른다고 했는데 잘만 올랐음

  • @leonyanchu
    @leonyanchu Жыл бұрын

    (일본 거주 13년째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현재 일본에서는 집이 투자/투기 대상이 아니고 그냥 살 집이기 때문이죠. 주택으로 이익을 남기기가 어렵고 주택소유와 관련한 고정자산세 등도 꽤 높은 데다 주택 거래 관련한 온갖 수수료도 한국보다 높습니다. 그래서 집을 한 번 사고 팔 때마다 없어지는 돈도 무시 못하죠. 그 대신이랄까, 집을 사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정규직으로 일하고 있다거나 은행에서 제시하는 저축액을 보유하고 있다면 90~100퍼센트 주택 론으로 살 수도 있어서 20대 정규직 회사원도 집을 살 수 있습니다. 월세와 비슷한 (또는 월세 임대 주택보다 저렴한) 주택 론을 35년 동안 천천히 갚으면 내 집이 되니까요. 주택 론을 갚고 있는 경우에는 연말정산이나 확정신고 때 서류만 잘 제출하면 10~13년 동안 소득 세금도 조금 깎아주는 제도가 있기도 하고요. 요즘처럼 저금리일 때는 이자율도 낮은 편이라서 집 구매는 생각보다 쉽게 하는 것 같아요. 결혼식을 하느니 그 돈으로 집을 사겠다는 예비 부부나 신혼 부부도 많고요. 한국의 부동산 투기나 거품도 빠질 땐 뼈 아픈 고통이 있겠지만 제도적으로 잘 보완해서 언젠간 꼭 안정화되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 @user-sn7th9qf3b

    @user-sn7th9qf3b

    Жыл бұрын

    도쿄 중심부 집값은 작년에 버블시점까지 폭등했고 도쿄평균 매매지수는 9년째 상승 중인데 투자대상으로 안 본다구요???

  • @user-sn7th9qf3b

    @user-sn7th9qf3b

    Жыл бұрын

    아니 부동산 사이트만 들어가봐도 도쿄올림픽 전부터 코로나 시기까지 거의 2배뛰기 했는데 투자대상으로 안 본다는건 귀막고 눈막고 본인들 보고 싶은 것만 보는건가? 부동산 사이트 좀 들어가봐

  • @user-hj3rd7vy6w

    @user-hj3rd7vy6w

    Жыл бұрын

    @@user-sn7th9qf3b 극소수 부촌 가격 오른걸로 일본 전체를 일반화하는 빡대가리가 있네. 버블때마저 가격 안내리고 오른 지역 있는데 그럼 버블때도 부동산 올랐으니까 눈막고 하고싶은거만 하는 거냐?

  • @user-sn7th9qf3b

    @user-sn7th9qf3b

    Жыл бұрын

    @@user-hj3rd7vy6w 뭔개소리야. 도쿄집값 평균 매매지수가 폭등했는데 좀 쳐보고 와라

  • @user-hj3rd7vy6w

    @user-hj3rd7vy6w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일본 중심지 빌딩들 가격 오르고 극소수 부자만 사는 도쿄23구 내 주택이나 아파트는 가격 다시 상승하는 추세지만 한국이랑 결정적으로 다른건 주택을 감가의 대상으로 보지 한국처럼 무조건 오르는 투자자산으로 안본다는건데 뭐 하나 꼬투리 잡아보려고 ㅋㅋ 맥락 못읽고 헛소리하는건 누구?

  • @SYLEE-mh2iy
    @SYLEE-mh2iy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집값을 떠받쳐주는 전세 그것도 80%씩이나 대출까지 해주는 제도까지 있어서 투기세력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고 있으니 일본이 버블 터졌을 때보다 훨씬 더 심각한 데미지를 입지 않을까

  • @fff9898

    @fff9898

    27 күн бұрын

    뭐하러 자가를 구매하려 하나 이해가안감

  • @user-bc8rs8gs1m
    @user-bc8rs8gs1m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아파트가 대다수이고, 전세라는 또 다른 레버리지도도 있어서...터지게 되면 볼만할듯

  • @gkkry
    @gkkry Жыл бұрын

    여기서 금리 안정화 되고 부동산 가격이 다시 폭등할꺼란 기대를 하는 사람이 있는데 정말 오산이다... 물론 기술적으로 잠깐 반등은 하겠지만 결국 매입자는 계속 줄어들꺼고 재작년 말쯤 영끌해서 최고점에 집을 산 사람들은 죽어도 본전을 못찾을꺼다..

  • @koko22219

    @koko22219

    Ай бұрын

    강남 송파등은 무조건 오름

  • @user-ji2gl2cl4w

    @user-ji2gl2cl4w

    4 күн бұрын

    어느 집이냐에 따라 다르지

  • @user-ho3fn3of2g
    @user-ho3fn3of2g Жыл бұрын

    오 콘텐츠 완전 조아요 이런류의 콘텐츠 계속해주세요

  • @cijjeehh2302

    @cijjeehh2302

    Жыл бұрын

    이게 뭐가 좋아여? 완전 엉터리로 만들어서 피해보는 사람들이 있는데,

  • @ERS-sv3qx

    @ERS-sv3qx

    Жыл бұрын

    부알못이 진짜 많네

  • @user-ru5ze3sh8t
    @user-ru5ze3sh8t Жыл бұрын

    재건축을 통해서 자산증가을 하려고 하는거지만 결국 다음세대에게 그부담을 돌리는거지만...인구가 줄어들고 있는데 30년후 노후된 아파트을 재건축을 해서 세대수을 늘려서 사업을 할수 있을까..결국 현세대가 봉이되는건가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Жыл бұрын

    1980년대까진 일본 부동산은 명백히 투기대상이었지만 부동산거품이 커지다가 팍 터지고 실거주용으로 당시와 180도 달라지게된거죠. 한국은 1980년 당시 일본이고 여야할거 없이 부동산거품이 안꺼지게 할려고 아둥바둥하는 형국이죠..... 그리고 우리나라에겐 전세때문에 집값 거품이 높게 형성될수 밖에 없어요.

  • @wrap1982
    @wrap19829 ай бұрын

    일본에서 15년 거주하고 부모님은 아직 일본에 계십니다 제가 17살때 98년에 3500만엔 당시 환율로 4억 들여서 후쿠오카시에 단독주택 지었습니다 저는 결혼해서 한국에서 20년째 거주중이고 휴가때 집에가면 가끔 부동산을 지나칠때면 집값을 보곤 하는데 근처가 당시 타운하우스 개념으로 거의 같은시기에 지어진 집들이라 시세가 비슷한데 지금 2500만엔정도 매물로 많이 나와있습니다 25년지나면 -1억 아파트의 경우 감가가 더 심합니다

  • @uysjiijs81514
    @uysjiijs81514 Жыл бұрын

    10년전만 해도 부모님이 일본의 현재모습은 20년뒤 한국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계속 말하셨지만, 그땐 관심도없었는데, 이젠 일본의 30년을 꼭 배워놔야겠다고 오히려 찾아보고있네요. 이번엔 부동산이 감가상각자산이라는 초유의 개념을 접하게됬습니다 허..

  • @user-og4kk4ws9m

    @user-og4kk4ws9m

    Жыл бұрын

    주택은 소비재이다 벌레소굴 그지같은 은마아파트를 봐라

  • @rockofpeople

    @rockofpeople

    Жыл бұрын

    @@user-og4kk4ws9m 주택은 소비재인거랑 은마아파트가 무슨 관계인지?

  • @user-ex4hf6uw7f

    @user-ex4hf6uw7f

    Жыл бұрын

    1.3명만 돼도 저출산국가라고 하는데 0.78 명이면 부동산은 20년 뒤 다 박살나있겠죠 갭투자를 암만 해봐야 결국 사줄 사람이 있어야 돈을 버는 것이니

  • @user-eu2pe2gq8c

    @user-eu2pe2gq8c

    Жыл бұрын

    감가상각재산인걸 인지를 못한게 문제지..

  • @yoonsukyeol10bird

    @yoonsukyeol10bird

    Жыл бұрын

    경제차이 30년 / 민도차이 100년 정도 난다고 보면됨

  • @volatilemessage7025
    @volatilemessage7025 Жыл бұрын

    지극히 정상과 상식 상태로 돌아오는 것이죠. 주택은 삶의 기본 중에 기본인데 이 기본을 위해 뼈를 갈아넣는 삶의 모습이 정상도 아니고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원인이죠. 집은 실거주 하기 위한 건물일 뿐인데 그걸로 재산증식을 하려는 투자, 투기 대상으로 보는 사람들과 정부의 방침때문에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살 곳 하나 마련하느라 평생을 전전긍긍하고 있네요. 갭투자, 투기성 매매 같은 것은 사라져야 합니다.

  • @kunstdeshandels1562
    @kunstdeshandels1562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성격이 급한점, 남들시선을 과하게 신경쓰는점, 전세제도가 있는점 등을 고려했을때 일본과 아주 똑같이 가지는 않을수도 있음. 하지만 메인 흐름은 비슷하게 갈거라는거 동의함 ㅋㅋ

  • @user-ub5zg6sg5u
    @user-ub5zg6sg5u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일본에서 일하면서 느낀건데 그래도 집을 살수있자나 라는 희망이 보임 한국은 집을 살수있잖아 라는 생각 조차 힘듦

  • @user-jk8wd5oy1h
    @user-jk8wd5oy1h Жыл бұрын

    같은 위기를 겪어도 일본은 한국에 비해 인구도 영토도 사이즈가 기본적으로 크기때문에 한국이 일본보다 더 빠르게 크게 타격을 받을수밖에 없음

  • @KJ-vn7io

    @KJ-vn7io

    Жыл бұрын

    그거는... 에혀.. 그 반대야. 부동산은 인구대비 땅이 좁을수록 가격방어가 잘된다. 생각 좀 하고 말하자.

  • @kschemk947

    @kschemk947

    Жыл бұрын

    ​@@KJ-vn7io 집적률은 비슷함 너나 알고 말하셈 지잡대나옴?

  • @KJ-vn7io

    @KJ-vn7io

    Жыл бұрын

    @@kschemk947 방금 고작 대학에나 목메는 너한테 진짜 인생에 도움되는 얘기를 썼다가 다 지웠다. 너같은거한테는 그런 힌트를 주는 것 자체가 시간낭비고 너무 아깝다.ㅉㅉ 계속 지잡대 타령하면서 븅신같이 살기를 바란다 ㅋㅋ

  • @KJ-vn7io

    @KJ-vn7io

    Жыл бұрын

    @@kschemk947 참고로 남한대비 일본 땅덩이는 3.7배다.ㅉㅉ

  • @user-bz1ns6ds7b

    @user-bz1ns6ds7b

    Жыл бұрын

    @@KJ-vn7io 착각하면 안되는게 원래 사람이 사는 주거공간은 대개 평지고 우리는 한반도가 아니라 남한이란 지역에 살면 평지비율이 일본보다 높다. 그리고 그 논리는 옛날 일본애들이 사용하던 논리임. 더 정확히는 임금과 미래예상임금이 부동산과 상당히 관련되어 있고 과거 영국처럼 해외에 농토나 해외에 공장위주의 패러다임으로 간다면 우리나라부동산도 결코 안전하지는 않다.

  • @aaswswsws
    @aaswswsws Жыл бұрын

    일본인이나 일본에서 사는 한국인 친구들 얘기 들어보면, 얘들은 부동산을 아예 투자대상으로 생각하질 않습니다. 그냥 결혼을 하거나 아니면 월세가 부담된다 생각하면 집을 사는 개념임.. 사실 이게 맞는것 같습니다. 부동산이 투자의 대상으로 과열되면 그만큼 투자나 소비여력은 줄어들어서 개인들의 삶은 물론 경제 전반으로도 악영향일 수밖에 없으니까요.

  • @user-ys1cj4pu6o

    @user-ys1cj4pu6o

    11 ай бұрын

    월세가 부담돼 집을 산다라... 정말 꿈 같은 이야기네요..ㅋㅋ

  • @minseokjeong8394

    @minseokjeong8394

    10 ай бұрын

    일본은 플라자합의 이후 부동산이나 주식을 투자대상으로 안보고 있죠 가격이 상승할거란 기대 자체가 없었으니까 우리나라가 지난 40년간 주식을 투기라고 생각하고, 부동산만이 투자대상이라고 생각한 것 처럼요 근데 일본도 최근 구조적인 물가 상승에 진입했잖아요 그리고 주식시장도 플라자합의 이전 수준으로 거의 회복했구요 구조적 인플레가 오면서 본격적으로 양적완화 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시작할 겁니다 10년 뒤에도 일본 사람들이 부동산 가격은 오르지 않는다고 생각할지 지켜보자구요ㅋㅋㅋ 그리고 부동산이 투자의 대상으로 과열되면 소비 여력이 감소한다구요? 지난 30년간 대한민국 부동산 가격은 30배 상승했습니다 소비여력이 그만큼 감소하셨나요? 일본이 지난 40년간 소비여력이 증가했나요? 부동산 가격이 지탱해줘야 소비여력이 생기고 늘어나는 겁니다 예를들어 일본처럼 집 1억에 사면 감가상각 다 쳐맞아서 나중에 내 돈이 그냥 사라지는건데 소비할 마음이 생길까요? 그리고 오히려 대한민국 부동산은 합리적인 수준으로 올랐습니다 제가 여기서 말한 합리적인 수준은 m2통화량 증가이구요 시간내서 10분만이라도 검색해보세요 우리가 일본처럼 되면 좋겠다고 말하는건 우리나라가 망했으면 좋겠어라고 말하는거랑 똑같습니다 대한민국은 수출 하나로 먹고사는 나라로 어떻게든 성장해야하고 자산가격을 상승시켜야 하는 나라입니다 그게 싫으면 애 10명 정도만 낳아서 출산율에 이바지하시면 됩니당^^

  • @aaswswsws

    @aaswswsws

    10 ай бұрын

    @@minseokjeong8394 소득대비 집값 지수 보면 한국 부동산이 매우 비합리적인 수준이더군요. 물론 동의하지 않으시면 님의 말이 맞습니다.

  • @user-kz8uh5pj3x
    @user-kz8uh5pj3x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조만간 따라가겠네요. 원래 일본모델을 따라가느냐 아니냐의 기로가 최근 5~10년 간 있었던 것 같은데...이젠 확실한 것 같습니다.

  • @user-kk6yw5tw2q
    @user-kk6yw5tw2q11 ай бұрын

    진짜 깔끔하게 잘 정리했다

  • @user-ok9ed9mt5z
    @user-ok9ed9mt5z Жыл бұрын

    감가상각 되는 게 당연한 것 아닌가? 물건을 사면 가격이 떨어지는 게 맞는데… 부동산만 안 떨어진다는 게 이상함…

  • @jjgg8640

    @jjgg8640

    Жыл бұрын

    그건 부동산이 땅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의미한다는걸 니가 몰라서 그런거지. 자동차는 찍어내고 폐기하는거고.

  • @user-ee5up5sz7m

    @user-ee5up5sz7m

    Жыл бұрын

    @@jjgg8640 뇌피셜 찐다 ㅇㅇ

  • @whatismyname3338

    @whatismyname3338

    Жыл бұрын

    땅값이지뭐

  • @jjgg8640

    @jjgg8640

    Жыл бұрын

    @@user-ee5up5sz7m 땅이 한정된게 뇌피셜인가? 철판 툭툭 찍어내고 폐기하는 자동차랑 차이를 모르시겠어여?

  • @deltax9471

    @deltax9471

    Жыл бұрын

    @@user-ee5up5sz7m 위치 좋은 땅은 한정적인거 맞지

  • @dbsxogh2
    @dbsxogh2 Жыл бұрын

    감가상각 자산... 맞지

  • @user-lq1mq2ni5e

    @user-lq1mq2ni5e

    11 ай бұрын

    토지는 감가상각이 아니지요 . 아파트 분양가 = 건축비 34% + 토지비 56% + 기업 이윤 10% .

  • @user-ze9iw3qg2v

    @user-ze9iw3qg2v

    8 ай бұрын

    @@user-lq1mq2ni5e그래서 맨 땅위에서 씻고 자고 먹고 할거임??? 집은 감가상각이 맞지 건물도 결국 낡아버리는데

  • @user-lq1mq2ni5e

    @user-lq1mq2ni5e

    8 ай бұрын

    @@user-ze9iw3qg2v 난독증 있으세요 ? 토지는 감가상각이 아니라고 하는데 웬 집은 감가상각이라고 말씀하시는지 ... 동문서답 사오정이 따로 없네요 .

  • @parkherenow

    @parkherenow

    3 ай бұрын

    이영상 거짓말인가? 아파트의 42프로가 월세라구요? 임대아파트의 42프로가 월세라면 몰라도,,,,,,,,,,,,,,아파트 소유자가 반밖에 않된다는게?

  • @Joesvar
    @Joesvar9 ай бұрын

    시니어레지던스는 미래가 될수있지....단 너무 시니어분들만 모여살면 거주지역이 좀 우중충한 느낌을 줄수있기때문에 활기차 보이게 할수있는 다른 복합적인 대응방안도 필요해보임.

  • @makastuate
    @makastuate Жыл бұрын

    2045년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고령 국가가 된다는 건 정말 충격이네요

  • @veritasastro

    @veritasastro

    Жыл бұрын

    2045년이 아니라 실제로는 2032~2035년 사이면 그렇게 될 걸요 가속도라는게 있으니 훨씬 빨라집니다 지금 한국사람들이 너무나 무사태평 정서로 살고 있는건데 말이죠

  • @user-zt2fi6ro9k

    @user-zt2fi6ro9k

    Жыл бұрын

    .ㄱㅂ

  • @miyong8064

    @miyong8064

    Жыл бұрын

    인구도 우리가 훨씬 적은데...1위라니

  • @GwangMo

    @GwangMo

    Жыл бұрын

    @@miyong8064 인구랑은 별개죠 퍼센트로 하는건데

  • @ten1988

    @ten1988

    Жыл бұрын

    @@GwangMo 적은데 더 심하니깐 문제라는겁니다

  • @riaac2143
    @riaac21439 ай бұрын

    부동산 불패신화가 진작에 깨지면서 지대 상승에 대한 기대가 없어졌죠. 심지어 주거문화적으로 건물이 철근콘크리트가 주류가 아닌 목조가 대부분입니다. 목조주택의 경우 철콘에 비해서 내구성이 떨어지며 감가상각이 명확합니다. 대규모 재건축 자체가 없으니 더욱 심합니다.

  • @wgk8969
    @wgk8969 Жыл бұрын

    과거 주식 닷컴버블 붕괴 되듯이 부동산도 올해에서 내년쯤 크게 한번 터질거 같네요~ 이후 부동산에 대한 투기 인식이 바뀔거라 봅니다. 기성세대들이 만들어놓은 부동산 투기판에 청년들은 굳이 뛰어들 필요 없습니다.

  • @user-ox4ol7ug1v
    @user-ox4ol7ug1v11 ай бұрын

    23살인 내가 느끼는 것.. 내가 집을 살 때쯤 되면 주택시장은 어떨까... 개인적으로 주택에 대한 로망이 커서, 주택 많이 사는 나라들 보면 부러웠거든요. 결혼하고 아이가 있으면 그 아이만큼은 푸른 자연을 보고 느끼며 컸으면 좋겠어서..근데 한국은 땅값도 비싸고.. 지방 산다고 해도 가능할지.. 사회는 10년만 지나도 많이 바뀌는 것 같지만 나중에 어떻게 될지 참 궁금하네요ㅜ 우리나라도 각자의 삶을 존중하는 문화로 바뀌고 집을 보는 관점도 좀 달라지길 바래봅니다ㅜ

  • @hl2dus1

    @hl2dus1

    3 ай бұрын

    한국은 50대 이상 세대는 부동산 상승 기대가 많아요.. 그래서 20대는 희망이 없죠..

  • @atlantisssssssss
    @atlantisssssssss11 ай бұрын

    모든 일본 주택의 가격이 오르지 않는게 아니라 인구가 감소하고 도시들이 좀더 집중화되면서 (1) 도심에서 벗어난 외곽지역과 신도시들의 집값이 하락하고 (2) 대도시들의 핵심/중심지역의 집값 + 상업용 부동산 가격은 계속해서 오르는것에 더 가까운듯 합니다. 한국도 비슷한것 같네요.

  • @enjolee2838
    @enjolee2838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몇가지를 간과한 것이 있네요. 1. "도쿄의 크기는 경기도만하다." 우리나라도 오르는 곳만 오릅니다. 경기도 이천, 포천, 이런 곳 가보세요 1-2억대 널려있습니다. 2. "일본은 지진이 많이 일어나서, 부동산 수리가 잦고, 내진설계가 잘되어있다." 따라서 소유를 했을 때에 대한 관리/유지비가 우리나라 아파트 관리비 내는거랑 차원이 다릅니다. 또한 한국 90년대 아파트들은 내진설계 및 노후화에 대한 대비가 전혀 되어있지 않습니다. 왜냐? 90년대엔 그정도 건축 수준으로도 사람들이 만족하고 살았고, 내진 설계는 당연히 형편없이 했기 때문이죠.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그래도 내진설계라는걸 적용한것은 2000년 초반대 아파트들부터 입니다. 2023년의 한국인들에게 90년대에 지은 그런 수준 낮은(?) 아파트에 거주하라고 하면, 아무도 안살려고 하지요. 그리고 건축할 때 건물 수명을 애초에 30년을 기준으로 했고, 한 가정당 한대 이상의 차를 소유하는 것이 보편화 될 것이라고 상상하지 못했던 시절입니다. (그 30년 건물 수명도 모든 건설 자재를 건설사들이 양심적으로 날림없이 썼다는 가정하에....) 3. "한국과 일본의 서울, 도쿄 인구의 집중도를 비교해보면 한국의 인구 집중도가 일본보다 2배가 더 높습니다. " 참고로 한국의 인구 밀도는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그 밀도는 수도권으로 몰리면서 더 올라가고 있고요. 가뜩이나 작은 땅덩어리에 5100만이나 살고 있고, 또 그 작은 한국땅의 수도권에 인구의 반이 모이고 있기 때문이죠. 4. 본 영상에서는 말하지 않고 있지만, 일본의 핵심지는 오늘도 신고가를 찍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강남, 청담동 같이 도쿄 핵심지인 곳인 도쿄 미나토구, 시나가와 같은 곳 가보시면, 하루 하루가 신고가입니다. 5. 일본은 주택 공급을 꾸준히 했고, 정책적으로 강제로 막거나 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 부동산은 정책에 따라 공급이 좌우되었습니다. 서울은 더 이상 주택을 지을 땅이 없습니다. 박정희 정권때 만들어둔 그린벨트도 풀 수 있는 곳은 진작 다 풀었고요. 이제 정말 핵심 국가 보안시설 외에는 남아있는 그린벨트 구역도 없습니다. 그래서 빈민촌을 "뉴타운"이라는 이름으로 고층 아파트로 탈바꿈시키고, 오래된 아파트들을 재건축하면서 높게 지어올려서 더 많은 사람들이 살 수 있게 하는거죠. 그런데 최근 5년동안 민주당 집권 시기와 박원순 시장 시절, 낡은 집 벽에 벽화나 그리면서, 도시재생을 하자는 역대급 정책을 펼치면서, 서울의 유일한 주택 공급 수단인 재건축/재개발을 막아버렸습니다. 당연히 그 기간 동안 서울의 주택 공급은 전무하다시피 만들어버렸고요. 6. 한국 부동산이 망하려면, 대한민국의 경제 규모와 국부 자체가 줄어야합니다. 그런데, 지금 대한민국에는 세계 탑5위 안에 들어가는 현대/기아 자동차 그룹,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절대강자 삼성전자/하이닉스, 가전제품 세계 1-2위를 다투는 LG전자, 2차전지 분야에서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이 세계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LG화학, 삼성SDI, SK온, 조선업 세계 1-2위를 다투는 현대미포, 삼성중공업, 대우조선이 있습니다. 이미 이 회사들의 대부분은 각자 차지하고 있는 시장에서 여러번의 치킨게임에서 살아남았고, 산전수전 공중전까지 다 겪으며 정상에 올라간 기업들입니다. 그 외에 알짜 회사들은 셀수도 없고요. 중후장대한 중공업부터 최첨단 반도체까지 다 할 수 있는 나라가 세계에 몇이나 될까요? 이 회사들이 달러를 계속 벌어오고, 이들이 직원들에게 월급을 매년 올려주면서 성장하는 이상.. 한국의 핵심지 부동산은 계속 올라갈겁니다. 반면 일본은 근 20년동안 월급이 오르지 않은 나라였습니다. 인구 1.3억의 내수 + 준 기축통화라고 불리는 엔화 버프로도 충분히 기업들이 먹고 살 수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처럼 적극적으로 외화벌이를 하지 않았습니다. 한국도 고민하지 않고 주택마련할 수 있습니다. 단, 핵심지에 살고 싶은 욕심만 없다면요. 서울에서 당장 경기 광주, 경기 이천, 양주, 의정부만 나가도 싼집 널렸습니다. 거기 가서 살아라고 하면 "주변에 코스트코가 없어서.. 주변에 백화점이 없어서.. 강남 놀러갈 때 너무 멀어서..너무 작아서.. 임대 마크가 싫어서..." 라고 하지요. 그래서 저런 지역에 공공주택은 항상 미달입니다. 한국 집이 비싼게 아니라, 누구나 다 살고 싶어하는 지역에 누구나 살고 싶은 집들이 비싼거에요. 이는 한국 뿐만이 아니고, 미국, 일본, 한국, 중국 심지어 북한도 그렇습니다. 그리고 이는 과거에도 적용되는 공식이고요. 다산 정약용 선생이 유배당하고 나서, 자녀들에게 보낸 편지에도 이렇게 기술 되어있지요. "비록 지금은 유배 당한 몸이지만, 너희들은 기필고 한양 안에서 살거라. 서울을 벗어나는 순간 기회는 사라지고, 사회적으로 재기하기는 힘들다. 무슨 일이 있어도 사대문 밖으로 이사가지말고 버텨라." 라고요.

  • @hochulchang1694

    @hochulchang1694

    Жыл бұрын

    도쿄도는 행정의 일원화를 위해 구도쿄시 지역을 광역자치단체인 도쿄부에 흡수 합병 시킨것이라 도쿄도 전체를 하나의 도시로 보지 않음 서울과 경기도를 합병해서 서울도가 되면 도시 서울 통계 잡을때 서울도 전체를 도시로 잡겠음? 서울과 도쿄는 서울특별시와 도쿄23특별구로 비교 하는게 합당함

  • @Alohalove

    @Alohalove

    Жыл бұрын

    일본도 미나토구 츄오구 시나가와구가면 비싸져

  • @user-sb6un2ss3g

    @user-sb6un2ss3g

    Жыл бұрын

    미나토구 보다 경기도 변두리가 더 비싼 곳도 있는 게 현실. 그러니 거품이라고 하는 것.

  • @ERS-sv3qx

    @ERS-sv3qx

    Жыл бұрын

    이 주제로 님이 영상 만드는 게 58000% 더 유익할 거라 장담함.

  • @jaeheeha5247

    @jaeheeha5247

    Жыл бұрын

    일본거주16년차인데 가장 공감되네요

  • @feelkim9637
    @feelkim9637 Жыл бұрын

    경제성장률 2%밑으로 떨어져서 저성장으로 가게 되면 집값 떨어지게 되어있음 심지어 한국은 출산율도 일본보다 낮아서 일본보다 충격이 더 클거이임

  • @nerguri1234

    @nerguri1234

    Жыл бұрын

    결국 서울 중심부만 계속해서 치솟고 지방은 인구소멸로 부동산 멸망..

  • @feelkim9637

    @feelkim9637

    Жыл бұрын

    @@nerguri1234 경제성장률 2%밑으로 1%때로 계속유지하면 서울집값도 유지 못함

  • @user-pm1zk9mh4x

    @user-pm1zk9mh4x

    Жыл бұрын

    ​@@nerguri1234 팔수만 있음 싸게 지방은 팔지도 못 함

  • @fieldlinda9105

    @fieldlinda9105

    Жыл бұрын

    일본도 도쿄근처는 오르고있습니다. 대신 지방부동산은 답없을정도로 폭망중임

  • @ERS-sv3qx

    @ERS-sv3qx

    Жыл бұрын

    @@fieldlinda9105 이게 현실인데 전국이 동일하게 동일한 비중으로 하락한다고 착각하는 사람이 너무 많음

  • @hybridcat36
    @hybridcat36 Жыл бұрын

    일본 거주중입니다. 독신땐 도쿄중심가 원룸 투룸서 살다가 교제중인 일본여성과 비싼 월세가 서로 아깝다고 판단후, 치바에 정원딸린 3층짜리 단독주택을 신축으로 지었네요. 건축도중 결혼했고 현재 아주 만족하며 살고있습니다. 금리가 낮은게 꽤 컸다고 봐요.

  • @user-ls2vy9sd5e

    @user-ls2vy9sd5e

    Жыл бұрын

    금리가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 @phoclassictv9706

    @phoclassictv9706

    Жыл бұрын

    ​@@user-ls2vy9sd5e 저도 잘 모르지만 1% 이하로 알고있어요

  • @elmitash

    @elmitash

    Жыл бұрын

    @@user-ls2vy9sd5e 스미토모은행 기준 변동 0.45%, 35년 고정으로는 2.81% 입니다. 많이 올랐네요.

  • @happyday00071

    @happyday00071

    Жыл бұрын

    외국인에게도 대출이 잘 나오나요?

  • @hybridcat36

    @hybridcat36

    Жыл бұрын

    @@user-ls2vy9sd5e 2020년 계약기준 변동금리는 0.7%정도 였구요, 고정금리는 1.3%정도였습니다. 일본은 금리를 크게 올리기 힘든 구조의 나라라 변동금리로 했어요. 이후 코로나속 자택근무가 늘어서 주택론 수요가 폭발해선지 금리가 오른걸로 알고있습니다.

  • @narhilwhite2670
    @narhilwhite2670 Жыл бұрын

    2045년에 고령화 수치가 일본을 넘는다고 하는데 출산율 생각하면 너무 낙관적으로 봤네요. 곧 20만도 안태어날 거라고 보는 게 적정한 예측 아닐까요.

  • @minsunyu
    @minsunyu Жыл бұрын

    다 저희 윗 세대들이 만들어논 게임판 입니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죠 이미 더럽게 만들어낸 집에 가치를 회복 하기에는 시간이 걸릴거 같습니다 현재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집은 의식주중 가장 중요하면서 필수 이지만 집을 갖지 못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가치는 올라가고 잘난 사람들은 계속 사들이는게 정상적인 사회구조인가요 이 더러운 고리를 끊어 내지 않은 이상 부동산 문제는 심각할거 같습니다 미래로 가면 갈수록 살기 더 힘들어지고 빈부격차는 더 악화될것으로 보입니다 요즘 더 심각하다고 느끼네요 집을 보는 가치가 이익창출과 수익구조로 보는게 안타깝습니다 저희 나라는 역시 사람보다 돈이 중요한 나라 같네요

  • @tossa2636
    @tossa26369 ай бұрын

    세계적으로 수도와 수도권은 상승합니다. 일자리, 생활편의, 학교, 교통 등의 인프라가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이외 지역이 하락하겠죠. 현재 물가가 어떤가요? 과거에 비해 높습니다.

  • @user-vs4qy4bv8v
    @user-vs4qy4bv8v Жыл бұрын

    1.도쿄 등 도심 말고는 그외 지역에 투자나 성장세를 기대하기 어렵다 2.노인 층 대상으로 한 실버타운-호텔형 레지던스 사업에 긍정적이다. 두 줄 이네영

  • @TV-ys7mu
    @TV-ys7mu11 ай бұрын

    실버 사회로 변화되면서 주택의 수요는 작은집 임대형태로 변해가고 젊은세대는 결혼과출산을 기피해서 안그래도 많은 나홀로 가정이 많아지는 악순환... 본질인 출산이 해결이 되어야 주택이든 물가든 gdp든 많은것이 해결될듯.. 잃어버린 20년의 일본이 출산도 있다는걸 인구수 정체에 있었다는걸 잊지말자

  • @wan-juyim1919
    @wan-juyim1919 Жыл бұрын

    득도 하면 저렇게 되는구나. 욕망을 끄면 행복 해질수 잇을것 같다

  • @jjgg8640
    @jjgg8640 Жыл бұрын

    일본 집값은 우리처럼 단순 상승하락이라기보단 유지비가 많이 들고 재건축이 어렵고 등등 그냥 집을 보유한다는 것 자체가 자동차처럼 감가삼각임

  • @piecherry9601

    @piecherry9601

    Жыл бұрын

    감가네모

  • @alsonan2784

    @alsonan2784

    Жыл бұрын

    @@piecherry9601 사각

  • @mingyu761

    @mingyu761

    Жыл бұрын

    그냥 단순 감가상각되는게아니라 정책적 그리고 경제적인 원리에 의해 흘러가는건데 특히 부동산이 감가상각되는것은 일본이 정상적인 상황은 분명히아닌데 마치 저게 옳은듯 좋은듯하게 표현되는거같아 아쉽네요 일본은 경제가 말그대로 제자리걸음이기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정책을 저렇게 한것일뿐... 저것도 정상적인 부동산시장의 모습은 아니랍니다 한국과 일본이 양극단이라고 표현하는게 맞구요 한국 소득수준이 어찌될진모르겠지만 여전히 성장가능성이 없진않고 미래란 모르는것이니 섣부른 판단은 지양하는게 낫습니다

  • @dr_1990

    @dr_1990

    Жыл бұрын

    @@mingyu761 그러나 부동산만으로 경제를 버블시키는 구조도 상당히 기형적인것 같군요

  • @wgk8969
    @wgk8969 Жыл бұрын

    확실한건 과거 일본 부동산 버블보다 지금의 우리나라 부동산 버블과 가계부채가 더 심각하다는 점.... 부동산은 애초에 자동차와 같은 감가상각 자산이지 투기 자산이 아니다...

  • @user-ew6ml7fc3q

    @user-ew6ml7fc3q

    Жыл бұрын

    지방따리는 그렇겠지만 서울 수도권 아파트는 그럴 일 절대 없음 6:55 당장 이 부분만 봐도 ㅇㅇ

  • @user-sungname

    @user-sungname

    Жыл бұрын

    @@user-ew6ml7fc3q 당장 몇년동안은 그럴수 있으나 인구감소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걸 봐선 다시 떨어질듯...

  • @ycjang9046

    @ycjang9046

    Жыл бұрын

    ??? 일본 과거 버블이랑 우리나라 버블을 비교한다구요? 그때 일본 버블의 규모는 어느정도였고! 왜 그렇게 됫는지, 버블이 어떻게 깨지게 된건지 한번이라도 공부했다면 그렇게 말 못해요

  • @user-ew6ml7fc3q

    @user-ew6ml7fc3q

    Жыл бұрын

    @@user-sungname 어휴 그니깐 지방소멸 거기서 끌어들인 인구 흡수로 서울 수도권은 안죽는다니깐 따른데는 죄다 유령도시 될거고

  • @user-sungname

    @user-sungname

    Жыл бұрын

    @@user-ew6ml7fc3q 아니 그러니까 당장 몇년은 그런데 앞으로는 지방이 먼저 죽고 수도권도 그렇게 죽는다고 ㅇㅋ?

  • @user-zx5qp4dq5h
    @user-zx5qp4dq5h9 ай бұрын

    자동차도 새차를 사고 난뒤에 몇년이 지나면 가격이 하락하는데 왜 집은 그 반대인지 모르겠다...

  • @motione1843
    @motione1843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코로나로 인해, 아파트 버블의 정점에 왔다고 생각합니다. 보통은, 주담대를 장기 모기지로 상환계획을 세우는데, 우리나라 주담대 받는 사람들 대부분은 상환 생각없이 오르면 차익실현을 목적으로 대출을 받기 때문에, 궁지에 몰리면 큰 폭락이 올거라 생각합니다.

  • @ERS-sv3qx

    @ERS-sv3qx

    Жыл бұрын

    노노 김대중 노무현 문재앙 사례를 볼 때 정권교체되면 더 오름

  • @user-ei9gi9qr3d

    @user-ei9gi9qr3d

    6 ай бұрын

    글세

  • @user-my9xw1tg3s

    @user-my9xw1tg3s

    5 ай бұрын

    ​@@user-ei9gi9qr3d글쎄 이지랄하네 ㅋㅋㅋㅋ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려라

  • @hook3351
    @hook3351 Жыл бұрын

    일본도 도쿄와 수도권의 임대시장은 장기적으로 괜찮다고 하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서울과 수도권의 인구집중때문에 결국 서울과 수도권의 부동산은 장기적으로 상승한다고 봐야함. 당연히 지방은 붕괴될 것이고 부동산은 폭망할 것임. 실제로 농촌이나 인구소멸지역의 집들은 폐가같은 곳이 많기도 하고.. 영상에서 일본의 부동산이 안정 하향이니 우리도 훗날 그럴것처럼 얘기하는데.. 일본의 도쿄와 수도권처럼 한국 서울과 수도권의 부동산은 안정 하향이 될 수가 없음.

  • @user-my9xw1tg3s

    @user-my9xw1tg3s

    5 ай бұрын

    딸딸이 치고있네

  • @user-yj1hc3km9l
    @user-yj1hc3km9l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인구감소가 트리거가 되어 경기침체와 저성장이 고착화되면 부채 리스크 때문에 걷잡을 수 없을 듯. 전세까지 낀 상태라.. 쉽게 해결될까?

  • @user-e3dr4TuyghIk
    @user-e3dr4TuyghIk9 ай бұрын

    주거가 투기대상이 아닌점 (일부 투자형 맨션제외) 전세가 없고 월세 온리라 매입자금을 마련하기 어려운점 금리는 낮으나 주택담보대출 심사가 어려워 영끌이 불가한 점 주거의 감가상각이 제대로(?) 들어가는 점 젊은층의 성향이 남들과 비교하며 경제적 계층이동을 하고자는 욕구가 약한점 등등.. 차이점을 살펴보면 끝도 없이 많아요

  • @windtaker72
    @windtaker72 Жыл бұрын

    감당안되는 사교육비도 도심지 집값 상승을 억누르고 있다고 생각해요. 달 2~300되는 사교육비만 없어도 왠만한 대출이자 감당할수 있겠네요.ㅠㅠ

  • @user-cb9om2rm7k

    @user-cb9om2rm7k

    Жыл бұрын

    옆집 엄마는 뭐 하더라~ 등등 남 눈치 때문에 노후자금을 사교육비로 쓰는 대한민국의 현실이 참 슬프네요. 투자한 만큼 결과가 나오면 몰라 이런 자식들 보면 열에 아홉은 인서울 중위권도 못가서 빌빌 거립니다. 안타깝습니다.

  • @user-bj5iv3uc4z
    @user-bj5iv3uc4z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의 많은 부분이 일본과 비슷해진 경우가 많지만, 집은 지금의 일본방식대로 전부 갈 수는 없습니다. 일부는 저렇게 될 수 있어도요.. 이유는 엄청 많은데요..그냥 1가지 예만 들면, 우리나라는 차량도 카니발 처럼 큰 차들이 선호되죠...일본 처럼 경차가 많지 않습니다. 국민들의 생각자체가 많이 달라서...

  • @user-dc1xv8bg2y
    @user-dc1xv8bg2y11 ай бұрын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아파트는 거주의 공간보다는 투자의 개념이 크다...집이란 내가 편히 쉴수 있는 곳이어야 하는데, 층간소음, 담배연기등 각종 문제...주차난,,,,,많은 세대가 모여 살면서 발생하는 교통 혼잡등.... 인구가 줄어갈수록 주거공간으로 아파트의 의미가 바뀌지 안을까....

  • @oooyoo
    @oooyoo5 ай бұрын

    지금 한국도 저런 느낌이라 생각하는데 제 주변 결혼한 친구들은 서울외곽지역 인천이나 수원 등에 살더라고요. 혼자사는 친구들은 서울에 월세나 전세로 살고요.

  • @cccr6166
    @cccr6166 Жыл бұрын

    일본보다 더 심각한건 한국이네요..일본은 우리보다 땅이나 넓지 ...

  • @KJ-vn7io

    @KJ-vn7io

    Жыл бұрын

    인구대비 땅이 좁으면 집값 방어에 유리함. 어쩌면 집값에 미친 나라가 된것도 좁은 땅떵이 때문임.

  • @user-zs2gg6ri5d

    @user-zs2gg6ri5d

    Жыл бұрын

    ⁠@@KJ-vn7io공감요. 땅덩이가 작기 때문에 희소가치가 있지요.

  • @user-yj5ku8ir9s

    @user-yj5ku8ir9s

    Жыл бұрын

    출산률도 높아요...ㅠㅠㅠ

  • @mingyu761

    @mingyu761

    Жыл бұрын

    그냥 단순 감가상각되는게아니라 정책적 그리고 경제적인 원리에 의해 흘러가는건데 특히 부동산이 감가상각되는것은 일본이 정상적인 상황은 분명히아닌데 마치 저게 옳은듯 좋은듯하게 표현되는거같아 아쉽네요 일본은 경제가 말그대로 제자리걸음이기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정책을 저렇게 한것일뿐... 저것도 정상적인 부동산시장의 모습은 아니랍니다 한국과 일본이 양극단이라고 표현하는게 맞구요 한국 소득수준이 어찌될진모르겠지만 여전히 성장가능성이 없진않고 미래란 모르는것이니 섣부른 판단은 지양하는게 낫습니다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Жыл бұрын

    일본도..... 국토 70%가 산이에요.... 단지 한국보단 지방도시가 어느정도 발전되있으니간 덜한거지..... 한국은 너무 한쪽 지역에 인구가 쏠려있으니간 그런거고요 -_-;;;

  • @705aero7
    @705aero7 Жыл бұрын

    절대 변하지 않는 팩트는 이제부터 노후화 된 아파트는 점점 가격이 떨어지고 있고 사람들은 높은 아파트 가격을 지불 하여서 은행 대출을 끼고 아파트를 구매했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머니에 현금성 자산이 형편없이 적게 가지곡 있다는 사실.... 사람들이 돈이 없다는 이야기다. 빚은 많이 가지고 있고... 빚내서 구입한 아파트는 점점 노후되고 가격은 계속 떨어지고

  • @minseokjeong8394

    @minseokjeong8394

    10 ай бұрын

    도대체 무슨 소리를 하고 잇는건지 모르겠다 어디 깡시골에 있는 아파트야 노후화되면 하락하겠지만 여의도나 강남에 있는 3~40년 넘은 아파트 가격이 떨어질거라고 생각하는건 아니겠지?ㅋㅋㅋ

  • @user-um6wl8wc8v

    @user-um6wl8wc8v

    9 ай бұрын

    @@minseokjeong8394우리나라 국토중에 서울이 몇퍼센트나 되나요? 우리나라 아파트 중에 서울에 있는 아파트는 몇퍼센트나 될까요? 무슨 소리하는지 모르겠다고요? 모르겠으면 생각을 하세요 서울에만 사람이 삽니까????????????

  • @electrickinglogic

    @electrickinglogic

    9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야 은마 아파트는 ㅈㄴ게 낡았는데 왜케 비싸? 노후화랑 상관 없단다 더 공부해라

  • @Wwrrreefffd

    @Wwrrreefffd

    7 ай бұрын

    아파트는 노후화보다 서울이냐 지방이냐, 어느 동네냐가 더 영향이 크다

  • @panda929292

    @panda929292

    4 ай бұрын

    지방은 점점 말라가고 서울은 여전히 넘쳐나고, 향후에도 서울은 살아남는다.

  • @knwajsm
    @knwajsm Жыл бұрын

    최근 공사비가 많이 오름. 전용 평당 1400만원 가까이 됨. 30평대면 공사비만 3.7억. 낮게 잡아서. 서울 비역세권 땅값 14평 x 3000만원/평 = 4.2억. 공사비 원가가 대략 8억. 금융비용 및 건설사 마진 포함시키면 10억임. 최근에 서울 외곽 비역세권 아파트 분양가격임. 수도권은 5~8억이고. 지방은 4~5억임. 이런 상황에서 서울 아파트 가격이 10억 밑으로 내려가기 힘든 구조임.

  • @DPCH0313
    @DPCH03139 ай бұрын

    물가상승 우려같은게 없는 나라라 대출금리가 워낙 낮죠. 그게 제일 큰 원인이라 봅니다.

  • @jeonghun93
    @jeonghun9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사회문제에 대해 다루는 기사나 다큐를 볼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매번 우리나라 사람들이 "우리는 일본과 상황이 달라서 참고할 수 없다."라고 말했지만, 언제나 일본과 같은 전철을 밝아 왔다는 것. 다른 나라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어서 정책이나 방향을 정하기 어렵다지만, 우리나라는 참고서를 대놓고 보는 오픈북인데도 전혀 정책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 안타깝다.

  • @porori3063

    @porori3063

    Жыл бұрын

    주변에 어떤 부류의 사람들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제 주변에는 그렇지않더라구요. 저출산 및 부동산 그외 복지 그리고 수많은 정책들을 일본울 모티브 삼아 따라하면서 여기까지 왔고 그러다보니 한국이 일본을 닮아간다는 소리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 주변에는 참고 정도만 하고 신선한 대책을 내놓아야하는데 일본 정책을 따라하니 지금 이렇게 된 거라 생각이 드는데 다들 생각하는게 다 다르군요..

  • @user-lv7xv6fc2u

    @user-lv7xv6fc2u

    Жыл бұрын

    메가시티 집중화는 전 세계적 현상이고, 이에 따라 부동산값이 급등하는 것도 전 세계적 현상입니다. 그걸 정부가 컨트롤할 수가 없습니다. 시장 참여자들이 근본적으로 원하는 것이기 떄문에요. 님도 당장 님한테 수십억원의 돈이 생긴다면, 서울이나 수도권의 부동산을 구입하려고 하겠죠. 인간의 본능입니다.

  • @jss1815

    @jss1815

    11 ай бұрын

    일본은 메가시티가 여러군대여서 저정도 한국 망해도 서울 중심부는 계속 가격이 오름. 양극화는 더 최악으로 치닫는거고.

  • @yshin2003

    @yshin2003

    9 ай бұрын

    사람 사는게 다 거기서 거기기 때문에 우리는 일본이랑 다르게 간다 생각하면 안됨 중국 한국 일본 다 똑같이 가고있음 출생률 부동산거품 등등

  •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7 ай бұрын

    일본 보다 더 더 골로 가고 있죠. 출산율이 일본의 절반임. 고령화 속도가 일본의 2 배임. 맨날 한국은 일본과 사회 , 문화가 달라서 일본처럼 안된다고 말하는 전문가 많은데 그저 정신 승리 일뿐 실제로는 일본 보다 더 골로 감.

  • @user-qg9bl1me9y
    @user-qg9bl1me9y Жыл бұрын

    2011년도 부터 주택 시장을 경험한 사람은 주택가격이 하락할 수 있고 항상 상승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알것 같습니다

  • @sofehd4696
    @sofehd4696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jaydavid1527
    @jaydavid1527 Жыл бұрын

    모든 가격은 수요와 공급으로가격이 결정되는건데 무조건 일본 같이 되겠지만 언제 그렇게 되느냐가 문제 겠네요.

  • @herandhe
    @herandhe Жыл бұрын

    일본 부동산이 정체된 것은 소득이 오르지 않은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월급이 20년전이나 비슷하니까요. 한국은 지난 10년간 약 50% 이상 올랐습니다. 소득이 꾸준히 오른 국가들은 부동산 가격도 올라갑니다. 고령화도 영향을 주겠지만 돈이 있고 투자 가치가 있으면 나이가 문제가 아니지요. 노인이라고 주식 투자 안하는 것은 아니지요.

  • @brownsuny

    @brownsuny

    Жыл бұрын

    일본마 보지 말고 미국 중국 캐나다 호주 다 봐야지.. 일본은 급여가 안올랐고만...

  • @user-zu1kv8oy1f

    @user-zu1kv8oy1f

    Жыл бұрын

    한국의 경제성장률보다 말도안되게 집값이 올라서 문제인게 포인트인데

  • @mingyu761

    @mingyu761

    Жыл бұрын

    그냥 단순 감가상각되는게아니라 정책적 그리고 경제적인 원리에 의해 흘러가는건데 특히 부동산이 감가상각되는것은 일본이 정상적인 상황은 분명히아닌데 마치 저게 옳은듯 좋은듯하게 표현되는거같아 아쉽네요 일본은 경제가 말그대로 제자리걸음이기때문에 정부차원에서 정책을 저렇게 한것일뿐... 저것도 정상적인 부동산시장의 모습은 아니랍니다 한국과 일본이 양극단이라고 표현하는게 맞구요 한국 소득수준이 어찌될진모르겠지만 여전히 성장가능성이 없진않고 미래란 모르는것이니 섣부른 판단은 지양하는게 낫습니다

  • @BcA-jj3fq

    @BcA-jj3fq

    Жыл бұрын

    50% 오른거 맞나요?

  • @user-gi4ok6mz8u

    @user-gi4ok6mz8u

    Жыл бұрын

    뭔소리에요? 다 오르고 월급만 안오른지 꽤 됐구먼

  • @jse5217
    @jse5217 Жыл бұрын

    저도 2년전부터 주택마련에 대해서 고민하지 않습니다. 왜냐 어차피 살 능력이 안되거든요. 소득수준이 또래대비 상위 15퍼 정도밖에 안되는 연봉 6천따리다보니.. 불가능합니다. 집 사는걸 포기했고 주변 지인들도 대부분 포기했습니다. 그러니 능력되는 분들 빚 많이 많이 내서 많이 많이 사세요~

  • @user-wh1fr8in6b

    @user-wh1fr8in6b

    Жыл бұрын

    연봉 6천이면 집 사기 빡쌔긴 하죠... 지금 부동산은 월급으론 답이 없긴합니다..

  • @yayaysusu
    @yayaysusu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 @user-wz8nx3vh9l
    @user-wz8nx3vh9l5 ай бұрын

    오사카 도심교통요지는 투룸크기도 이삼십억인데 보일러두안되구요 당연히 주차비는따로고 외곽은 경기외곽단독주택가격과비슷하더라구요 교통좋은 역세권은 가격내려갈리가없어요

  • @JH-kc6yz
    @JH-kc6yz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잃어버린 몇십년이 아닌 일어버릴 몇십년을 만드는 중입니다 ㅋㅋㅋ 우리고 공경하고 모셔야 할 어른들이 과연 이사실을 알고 있을까요??

  • @graceoh3626
    @graceoh362611 ай бұрын

    일본도 집이 투기대상이었던 적이 있죠. 경제가 호황이고 거품이 꼈을 때. 일본인 성향이 그런 게 아니고 나라가 성장을 멈춰서 집이 안오르니 인식이 바뀐거죠. 우리나라는 아직 성장중이라 집=투기대상이지만 일본처럼 나라가 폭망하면 변하겠죠. 뭐든 점진적 성장이 더 좋은 겁니다.

  • @dejavu631
    @dejavu631 Жыл бұрын

    보기 전에는 당연히 고령화와 일본의 빈집(0원 주택이었나요)이 많아졌다는 근래 이야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는데, 아예 부동산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른 내용이었네용.

  • @msk8593
    @msk85938 ай бұрын

    치바쪽만 가도 싼집들 많아요. 일본은 거주가능 땅넓이가 우리나라보다 몇배 많아요. 그래서 주택공급 여력이 엄청나죠

  • @user-tz1qy3wf9v
    @user-tz1qy3wf9v Жыл бұрын

    일본이 겪는 사회현상은 몇년 후 우리가 겪을 사회현상이고 이걸 보고 배워야한다

  • @user-nv4vw4vc2o
    @user-nv4vw4vc2o Жыл бұрын

    내땅이면 집도 짓거나 농사를 하거나 뭔가 내가 원하는 대로 할 수 있지만 50평에 50층 짜리 건물이면 내 몫은 한평 뿐인데 왜 저돈에 살까 항상 생각했었는데. 물론 편의시설과 엘베로 다갈수 있어서 인가 부자들은 시간이 돈보다 더중요하니까 그런가보다 라고 생각했었는데 그냥 오르거라는 기대 같은 거품이었군요. 시대에 따라 사고나 흐름이 바뀌나 보네요.

  • @user-uj1vh4hv7r

    @user-uj1vh4hv7r

    Жыл бұрын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user-uj1vh4hv7r
    @user-uj1vh4hv7r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목조주택이 많아서 지진도 더 많고 장기수선비용 측면이 더 클것 같은 생각이 들어요 일본 집은 감가상각 대상이라는 인식이 큰게 이해가 되고요.. 같은 토지면적에 있던 저층 아파트를 허물고, 고층 아파트를 구축하게 되면 재건축이라는 명분 하에 무조건 가격이 오른다는 관념을 가지고 있어요.. 다만 이때 간과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같은 토지면적에 더 높은 건물을 올리고 더 많은 집주인을 맞이하는 만큼 각 층의 주민들이 나눠갖는 토지의 면적은 이전보다 줄어들게 될 수밖에 없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건축 이후, 더 비싼값에 각 층을 구입한다는 현실은 논리대로만 따지면 콘크리트, 철근, 시멘트, 유리 등 감가상각 자산을 비싸게 산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집은 감기상각 대상이 맞는거 같아요 다만 서울도 도쿄도 수요와 입지에 따른 등락폭이 있고요..

  • @hamutarou2755
    @hamutarou2755 Жыл бұрын

    일본 10년차입니다. 부동산 중개업두 했구요. 일본은 실거주목적이죠. 한국은 투기.. 실거주하면서도 투기... 도쿄23구도 단독주택 작은 땅에 지으면 4억안에 가능합니다. 신기하죠. 저는 아직 영주권이없어서 못샀지만. 결혼해서 애 낳고 나서야 사는게 좀 의아합니다. 저두 도심 역10분안에 10~15평 땅사서 작은단독주택 짓는게 꿈이라 시공관리직하고 있구요. 언젠가 주택계열로이직하려고합니다. 일본은 성실히 일만하면 집을 살수가있어요 물론 넓고 으리으리한 집은 아니겠지만요 참 이게 중요하죠... 집.. 을 살수있나 없나

  • @user-ox7bo5hm1n
    @user-ox7bo5hm1n9 ай бұрын

    한국 주택문제의 이유에는 획일화된 주택유형도 한몫하는 것 같아요.. 사실 한국에서는 도심외곽에 살고싶어도 어짜피 똑같은 아파트고 도심외곽이라해서 교육과 삶의 질이 높으냐 그것도 아니라서.. 결국 도심 아파트에 수요가 몰리니 가격은 오를 수 밖에요.

  • @Boraboraido

    @Boraboraido

    8 ай бұрын

    그러네요

  • @SJ-kd7cv
    @SJ-kd7cv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부동산 시장이 주춤한 가장 큰 이유가 상방에 대한 기대감이 줄어든게 큼.. 그리고 지방 부동산은 2040년만 되도 고령화로... 답 안 나올 것 같음.. (물론 특정 지역들은 살아남겠지.. 서울의 주요 지역 + 광역시의 대표 학군지나 지역들...) 그래도 상방이 크지 않다는 것에는 동감..

  • @user-wq7fu7pi1f
    @user-wq7fu7pi1f7 ай бұрын

    다마신도시도 재건축 한 동네도 있는데요

  • @goodrichproject
    @goodrichproject Жыл бұрын

    7:00 도쿄를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이나 도심부로는 인구가 몰리고 있다. 이것이 핵심입니다. 인구가 몰리는 지역은 장기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우상향 할 수 밖에 없고 임대, 실거주 모두 잘 될 것입니다. 사람 살지 않는 지역 '다마신도시' 같은곳이 집값 떨어지는 얘기는 당연한 소리고요.

  • @user-cv5ne7wt1v
    @user-cv5ne7wt1v Жыл бұрын

    지난 금리 정책 발표에서 한은총재가 한국은 일본처럼 장기 저성장에 진입하냐는 질문에 대해 직접 대답했습니다. "한국은 이미 장기 저성장에 돌입했습니다."

  • @ERS-sv3qx

    @ERS-sv3qx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요점이 뭐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은 정권이 바뀔때마다 1% 이상씩 감소했는데 집값은 계속 올랐다

  • @kini3234

    @kini3234

    Жыл бұрын

    ​@@ERS-sv3qx 전세제도 갭투자가 존재하기때문이지

  • @saint7672

    @saint7672

    Жыл бұрын

    박승 한국은행 전 총재 "대한민국 집값은 일본처럼 하락할것"

  • @pham_hani
    @pham_hani5 ай бұрын

    아 좀 집좀 사게해줘 해도해도 너무비싸… 투기목적이아닌 진짜 살기위한 목적이 되어야지

  • @DSY000
    @DSY000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전세사기 대기업들이 많고, 네임드 빌라왕이 있네요..

  • @Eikan121
    @Eikan121 Жыл бұрын

    현실은 여기에서 묘사한 것보다 훨씬 복잡하지만, 일본의 젊은이들 주택마련 걱정안한다는건 조금 현실을 많이 단순하게만 보는게 아닐지 모르겠네요. 도쿄는 최근에 많이 올랐어요 여건이 많이 달라서 단순 비교가 어려운데 대체적으로 그냥 살면서 바라보는 느낌은 걱정이 없는게 아니라 체념하다가 인정하는 단계에 더 가깝습니다. 우리나라면 절대 못한다는 출퇴근 전철거리, 시간 감수하고 사는 사람 엄청나게 많습니다. 전철에서 보면 진짜 영혼 나간거처럼 타고 다니는 사람 많아요. 그냥 사람 사는곳은 생각보다 그렇게 다르지 않습니다. 세부적인 제약들이 다르게 발현되긴 해도… 그리고 투자가치 있는 곳들은 일본도 올라요. 생각보다 일본이 한국보다 많이 넓어서 그런거지 야마노테 안쪽은 투자수요도 꽤 있고 렌트 수익률이 나쁘지않아서 외국인 투자도 많습니다. 잘 오르지 않는 이유는 우리나라보다 아파트 같은 경우는 나가는 돈이 훨씬 크고 주차비도 따로 내고 등등 실제 유지비 환산해보면 들어가는 돈 많은게 큰거 같아요. 일본 보고 느낀점은 인구가 줄면 핵심지역으로 더 집중되고 중심지에서 조금 멀어질수록 떨어지는 폭이 훨씬 가파르게 바뀐다는 정도? 그리고 그에따라 지자체도 부익부 빈익빈이 심해져서 도쿄 중심부하고 조금 떨어진 외곽은 보면 느낌이 많이 다를겁니다. 아무튼 일본보고 그대로 한국에 대입하는건 많은 무리가 있습니다.

  • @skmty61020
    @skmty61020 Жыл бұрын

    제발 일본 다마신도시 말고 무사시코스기나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를 가라고. 한국 아파트랑 일본 맨션의 건축적 차이랑 유지비차이 관련 법차이가 완전히 다른나라기 때문에 집값도 완전 다른 방향으로 가는거임

  • @junghwankim3924

    @junghwankim3924

    Жыл бұрын

    무사시코스기 근처사는데 이번에 맨션살다가 아이 태어나서 단독지으려고 합니다. 타테우리는 맘에안들어 주문주택으로 지으려하는데 무사시코스기 주변은 뭐이미ㅜ엄청 비싸네요. 9억있어도 주문주택으로 큰집은 못사는게 현실… 물론 타테우리로 욕심안부리면 5-6억에도 가능하긴 하지만 사람사는집같지가 않다는게….

  • @umai_2535

    @umai_2535

    Жыл бұрын

    크으~~코스기역 진짜 올만에 듣는다 ㅋㅋㅋㅋㅋ

  • @ERS-sv3qx

    @ERS-sv3qx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 예시도 그렇고 걍 엉망진창이란 느낌. 굳이 신도시 달랑 하나 언급하면서 일본은 이러쿵저러쿵 하는 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는건지

  • @user-cn7lv1ur4r
    @user-cn7lv1ur4r Жыл бұрын

    2025년도를 기점으로 대입인원이 3만명씩 매년 줄어든다고 합니다 서울 직주근접 상급지아니면 장기적으로 떨어지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 @user-on2et5yw5p
    @user-on2et5yw5p Жыл бұрын

    우리 한국은 정말로 도시적이나 건축적으로 관심이 부족합니다. 삶의 많은 영향을 끼치는데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이러한 영상이 건축 관련 업종 사람뿐만이 아닌 일반인에게도 많이 전팓히었으면 합니다.

  • @himekoinabaDevilfish
    @himekoinabaDevilfish Жыл бұрын

    부동산이 시두면 금액이 오를거라고 생각하는데는 여기밖엔 없지 싶음.. 집은 소비재인데

  • @user-hl9nl3sw6k
    @user-hl9nl3sw6k9 ай бұрын

    일본사는데 집걱정은 하나도 없는데 집을 재산으로보기보다는 말그대로 사는공간을만 보고 월세가 디폴트다 보니 무조건 집부터 사야한다는 강박관념도 없고

  • @user-bb1wi5xi3e

    @user-bb1wi5xi3e

    9 ай бұрын

    일본에서 꺼져라 조선놈 천민노비주제 칼부림 조심해라

  • @idonothing7557
    @idonothing7557 Жыл бұрын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우리 나라의 강남 처럼, 일본 역시 국소하게 나마 부의 집중, 부자의 집중이 이뤄지는 구 나 동 같은 개념의 언터처블 하게 계속 오르거나 적어도 가치가 물가 수준으로는 계속 맞춰 유지되는 곳이 있지 않을까요?

  • @noname-qn4eq

    @noname-qn4eq

    11 ай бұрын

    이미 도쿄 오사카 중심부는 그래요

  • @hyacinth9493
    @hyacinth94933 ай бұрын

    같은듯 다르군요. 플라자합의 이후 일본의 경제 특수성과 정부 정책 그리고 시대성, 지진때문에 고층빌딩이 없는점이 다르고 그 외에는 비슷하다 봄. 그러나 정부정책을 비슷하게 맞춘다면 일본과 흡사한 결과값이 나올수도 있을듯. 현재는 반대정책중이라 일본이 밟아온 수순대로 가진않을듯합니다.

  • @user-ty1ok8xd3i
    @user-ty1ok8xd3i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장기적으로는 토지(땅)에 대한 가치는 우상향하지만 건물(아파트)의 가치는 다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성장 둔화, 인구 감소, 모듈러 혹은 3D 프린터 건축 기술의 발전, 원격 교육 및 재택근무의 활성화, UAM 및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따른 생활권 확대, 전기차 충전 시설과 드론 택배함이 부족한 구식 아파트의 비선호 등등 앞으로 점점 구식이 될 아파트 하나에 전재산을 몰빵해서 투자할 가치가 떨어질 이유밖에 없는 것 같은데요. 마치 카세트 테이프나 MP3처럼 앞으로 사양길로 접어드는 사업에 투자를 하는 게 아닌가 싶네요.

  • @asvins9073

    @asvins9073

    7 ай бұрын

    인근에 적국 투성이인 국가가 토지가치 우상향...음...그래요

  • @namu1478
    @namu1478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오래되면 가치가 떨어지니까 가격이 내려가는건 일반적인데, 일본도 요새 도쿄나 오사카등 도심지역은 집값이 오르는 추세라서 일본의 MZ세대라고 해서 주택마련에 고민이 없다? 라는건 좀 어불성설인듯 싶네요. 시골에 빈집 많다던데?? 라는사람들도 있지만, 한국에서 왜 사람들이 수도권에 몰려사는지 생각해보시면 뭐... 일본도 마찬가지거든요.

  • @user-yi2pb4dp4w

    @user-yi2pb4dp4w

    Жыл бұрын

    무슨소리 코로나로 집값 더 떨어졌는데

  • @dusi-kq4qe

    @dusi-kq4qe

    Жыл бұрын

    ⁠@@user-yi2pb4dp4w 일본 핵심 지역 집값 좀 보고와라 경제 대국이자 금융 강국인 일본의 대도시 집값이 하락하겠어?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Жыл бұрын

    그냥 영상 만든놈이 왜? 가격이 떨어지는지 조사 조차 제대로 안하고 영상 만드니까 이런거지 개뿔 ㅋㅋ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Жыл бұрын

    일본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근본 이유.. 버블 터지고 그거 수습할때 상상할수도 없는 재원이 들어감.. 이것 역시 미래 발생되는 돈으로 매꿈.. 즉 세금을 늘림.. 부동산의 보유세를 점진적으로 상승 시킴.. 당시0.2~1%이던 보유세가 현재 2.3% 수도권과 도심은 특별 보유세 0.4% 추가..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Жыл бұрын

    높아진 보유세 때문에 부동산 상승 여력 절대 없음.. 이것과 더해서 빈집세 도입.. 빈집세는 변두리 구택의 부동산 가치를 0원으로 만들어버림.. 덕분에.. 주변 부동산 가격을 끌어 내리는 효과를 만들고 이는 전체 부동산 시장의 평균 가격을 끌어 내림.

  • @user-iz9sd4jn4b
    @user-iz9sd4jn4b10 ай бұрын

    예시들이 일본말고도 많은데 우리나라도 진짜 제발 빨리 바뀌지ㅜ않으면 제일 먼저 사라지니 바꼈음 좋겠내요

  • @user-vs5uf1tm5d
    @user-vs5uf1tm5d5 ай бұрын

    건물은 감가상각자산이 맞죠. 오늘내일할 건물이 단지 입지 때문에 값이 오르락 내리락 할 이유가 없죠. 입지나쁜 신축과 입지좋은 구축의 가격이 비슷하다는게 사실 말이 안되는거죠ㅠ 거꾸로 가는거같아서 갑갑하고 막막합니다 ㅠ 내집언제사냐

  • @user-il8iv5ox6i
    @user-il8iv5ox6i Жыл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는 출생률이 낮지만 어린 친구들이 줄어드는 시기라서 집값에는 당장에 영향이 없다. 그러나 그들이 성인이 될 시기가 도래하면 어르신들은 많이 돌아가시고 집을 살 사람이 부족하다. 특히 40평 이상의 대형 평수는 아예 줘도 안 가질 지도 모른다. 이제는 정말 눈치 게임이다. 어중간한 지역이나 큰 평수는 폭탄이 터지기 전에 팔고 나와서 핵심지역에 작은 평수로 갈아타는 게 현명하다고 본다.

  • @kihyeokyang6337
    @kihyeokyang6337 Жыл бұрын

    일본이랑 한국의 시차가 20년 정도 차이난다는 얘기가 있었죠. 요새는 그 말이 딱 들어맞는 시대는 아니지만, 그래도 국가정책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들이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문제는 일본에서 보여주는 여러 사례들이 있는데도 한국 정부가 대응을 적극적으로 안 한다는 겁니다. 돈이 아까운 건지 일 하기가 싫은 건지... 덕분에 한국 인구수는 개박살나고 경제도 추락하고 있네요.

  • @wonjekim1988

    @wonjekim1988

    10 ай бұрын

    걍 따라하기만했어도됬는데ㅋㅋㅋ 진짜큰일났음

  • @XeBiNl
    @XeBiNl Жыл бұрын

    도쿄 미나토구처럼 말도 안 되게 비싼데만 아니면 월세주고 살만하지..많은 회사들이 신칸센 비용을 포함한 교통비도 쥐어주니까 결혼하고 나서는 조금 먼데 살아도 시간이 문제지 사는데 지장은 없고..그렇다. 우리나라가 비현실적으로 건물값이 비싼것..

  • @__casasol7735
    @__casasol77358 күн бұрын

    전 지진이 제일 무섭더라구요 부동산이모든 10년전 대지진 경험한 입장에서는요

  • @dbrhdwk1239
    @dbrhdwk123910 ай бұрын

    지금 아파트 절대 사면 안돼. 긴말 할거 없어.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