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악의 참사 '아키하바라 칼부림 사건' [세계의 나쁜놈들 | 일본 칼부림 '도리마' 편 | 문화심리학자 한민] 스브스뉴스 | 인덕션

지난여름 신림역, 서현역 등에서 속칭 '칼부림 사건'이라 불리는 무차별 살상 범죄가 연이어 발생했습니다.
이후 국내의 시선은 일본 사회로 몰렸는데요. 왜냐하면 사실 일본은 우리보다 20년 먼저 이러한 무차별 살상 범죄를 겪어온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일본은 무차별 살상 범죄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2013년 무렵부터 이 범죄를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고민하고 있죠.
일본은 무차별 살상범죄를 어떻게 규정했고, 이를 막기 위한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한민 문화심리학자와 함께 일본에서 '도리마 범죄'라 불리는 무차별 살상 범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
00:00 일본 '도리마 범죄'의 정의
00:49 우리보다 20년 먼저 '칼부림 범죄'를 겪은 일본
02:54 일본이 분석한 '도리마'의 특징과 원인
05:05 백수면 민폐다? 일본의 '메이와쿠' 문화
05:58 일본의 문화심리적 특성
06:26 일본이 '히키모코리'에 주목한 이유
08:17 일본이 내놓은 해결책은?
09:33 왜 '처벌 강화' 대책은 없었을까?
- 비즈니스 문의 -
브랜디드 콘텐츠 기획/제작 문의: branded@sbs.co.kr
기업/브랜드 채널 컨설팅 및 기획/제작 문의: solution@sbs.co.kr
- 링크 -
175 플래닛 : 175planet.com/
Instagram : / subusunews
Facebook : / subusunews
홈페이지 : news.sbs.co.kr/news/subusuNew...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일본 #도리마 #문화심리학

Пікірлер: 62

  • @SUBUSUNEWS
    @SUBUSUNEWS8 ай бұрын

    01:19 한국의 무차별 살상범죄와 닮았다는 일본의 ‘이 사건’ 매주 화요일 저녁, 스브스뉴스에서 인문사회학 덕후들이 재해석하는 우리 세계를 만나보세요📖

  • @bchoi3832
    @bchoi38328 ай бұрын

    최악의 굴레가 계속해서 돌아가고 있는데, 문제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야할 정치인들이 자기들 밥그릇만 지키느라 제대로 하는 일이 거의 없는게 진짜 문제... 칼부림 범죄, 저출산 문제, MZ들의 그냥 쉰다는 문화 등등 거의 다 지금 사회에 대한 불만감이라고 밖에 생각할 수 없는데 왜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지 않는지 ㅠ

  • @countojj

    @countojj

    7 ай бұрын

    협력은 커녕 한쪽 패죽이기에 혈안이라 민생은 안중에도 없다;; 길거리 현수막만 봐도 한숨나옴...

  • @MATSUDA_SEIKO

    @MATSUDA_SEIKO

    Ай бұрын

    내말이말.....😢 정치인이 제일문제지만 시민들도 삶을 포기한게 더 뼈아프고 빠르게 망하는길임

  • @beeeen001
    @beeeen0017 ай бұрын

    일본은 쿄애니 방화사건 때문에 회사원이 아닌 일반인이 회사에 침입하는걸 극도로 경계하게 되었다던데 최근에 회사에 도 커뮤니티 사람들 쳐들어가서 시위하고 행패부리고도 회사가 커뮤니티편 들어준거보면 우리나라는 정신못차림

  • @user-bz3uz5rm5v
    @user-bz3uz5rm5v8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분명히 사회, 제도, 문화에 문제가 있는데 모두가 쉬쉬하고 또 한번에 바꾸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니까 일탈하는 개인의 광기가 자꾸 나오는 듯. 많은 사람들이 불만이 있는데 다들 참고 산다는 느낌이잖아요. 그렇다고 막상 행복도 조사해보면 인터넷 누구들과는 다르게 실제 한국인들은 그렇게까지 불행하지는 않다고 합니다. 근데 소외된 계층들이 문제가 되네요. 최근 칼부림 사건도 보면 결국 부모가 없고 애착 관계를 제대로 형성해본 적 없는 남성이 나이가 들어서 사회는 멀쩡한데 자기 혼자서 결핍에 휩싸였다는 생각에 결국 칼부림을 한 거니까. 평범한 사람들은 어느 나라를 가든 있고 평범하게 사는데 후진국스러운 나라일수록 나락에 빠졌을때 너무 끔찍하게 되는 거 같습니다.

  • @user-ke4ndsem3s

    @user-ke4ndsem3s

    5 ай бұрын

    맞는말.. 일부 음지커뮤니티가 여론인양 먹이를주면안되는데

  • @user-mf5lg4rg2m
    @user-mf5lg4rg2m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도 똑같은 전철을 밟아가고있음. 묻지마 칼부림? 이제 시작이지.. 경제적 고립, 사회적 고립 그로인한 사회에 대한 불만 이것만 봐도 이제 시작이다. 다들 정신차리고 각자도생. 각자 스스로를 지킬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형법이 20년 전에 머물러있는 구시대적 형법이고 이걸 특별히 고칠 생각도 안하고 있음.

  • @user-hh8ym3dr8m
    @user-hh8ym3dr8m7 ай бұрын

    다음편 기대되요. 개인문제로만 보는 시각에서 사회문제로 확대해서, 다각도로 볼 필요가 충분하다고 봐요.

  • @seohyunoh6326
    @seohyunoh63264 ай бұрын

    피의자의 인권….그 인권을 왜 지켜줘야하죠? 그 피해자의 피해와 인권은 대체 언제 안전하게 지켜줄겁니까?!!!

  • @wlqls516
    @wlqls5167 ай бұрын

    일본의 사회를 보면 우리나라의 미래(?)를 볼 수 있다고 하는데 이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일본과 우리나라의 교권 하락 사건, 출생률 감소, 칼부림 사건, 경제 하락 등등 위와 같이 우리나라 사회와 일본 사회가 굉장히 유사성이 많이 보이는데 이 이유가 지리적인 이유 때문인지 아니면 역사적인 이유 때문인지 알고 싶습니다!!!

  • @blackspace3331

    @blackspace3331

    7 ай бұрын

    그냥 시민 의식이 20년 차입니다. 일본의 경우는 태평양 전후 한국전쟁으로 인한 급속 성장을 50~60년대에 이뤄냈고, 한국은 70~80년대에 경제의 급성장을 이뤄냈습니다. 그에 따른 시민의식의 차이가 20년정도 나는 것이죠. 이와 같은 이치로 중국은 90~2000년대에 급성장을 이뤄내서 일본, 한국, 중국 순으로 국민성이 20년정도 차이나는 겁니다

  • @user-bz3uz5rm5v

    @user-bz3uz5rm5v

    7 ай бұрын

    @@blackspace3331 저도 이견해에 동의합니다.

  • @user-in1rq4wf9m

    @user-in1rq4wf9m

    7 ай бұрын

    아무래도 우리나라가 일본의 경제나 문화를 참조해서 발전하다보니 비슷한면모가 몇년후에 비슷한형태로 많이나오죠

  • @hiroyulfamily4073

    @hiroyulfamily4073

    5 ай бұрын

    민족성이나 그런 건 추상적인 거고, 사람 행동, 사고는 경제에서 나옵니다. 일본과 한국 사이에 대략 20년에서 25년 정도 차이를 두고 비슷한 경제 상황으로 흘러가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병폐 이외에 혼밥 같은 현상조차도 그랬습니다. 물론,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고 환경의 차이도 있기야 있지만, 그것보다는 경제적 정황이 가장 영향이 큰 것 같습니다.

  • @okmyro977
    @okmyro9777 ай бұрын

    2008 일본사건이 2023 한국서현역에서 판박이로..ㅠ 사회화가 너무 비슷하게 되다보니 .. 무섭다

  • @user-xo3nf5zu6y
    @user-xo3nf5zu6y7 ай бұрын

    절은이들이 히키코모리가 됐다면 나이가 든 사람들은 노숙자가 되었지요. 가족을 떠나고 지역을 떠나서 노숙자 무리에 섞여서 되는대로 삽니다. 히키코모리와 기본적으로 다른 점은 생활이 안된다는 거지요. 그래서 그냥 막 사는 노숙자로 시작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경제활동을 하게 됩니다. 나중에는 구걸이라도 하게 되고요. 그러지 않으면 얼어죽기 딱 좋고 배고파 죽기 딱 좋고 맞아죽기 딱 좋지요. 기본적인 삶에 대한 욕구는 있지만 그것을 확대시키지 못한다는게 큰 문제이지요.

  • @sehajang945
    @sehajang9457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다음화를 너무 기다리는중이에요,,,,

  • @yonmin_
    @yonmin_7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 @Real_Cam
    @Real_Cam7 ай бұрын

    민폐를 끼치면 안 된다는 문화가 자국민에게만 국한 되었나 봐!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는 잔인한 짓도 서슴지 않으면서 말이야. P.S. 전문가들이 묻지마라는 표현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 @Bbbbaaa213
    @Bbbbaaa2134 ай бұрын

    기본소득 필요함

  • @jks9110
    @jks91107 ай бұрын

    이세상에 무차별, 묻지마는 없다. 모든 범죄는 사회안전망에서 탈락한 루저들의 사회적 맥락이 있는 칼부림이다.

  • @JiWoong_Han
    @JiWoong_Han8 ай бұрын

    솔직하게 난 정치인들이 그저 밥그릇만 축낸다고 생각은 안한다. 그들도 다 힘든게 있을거고 보이지않는 노력을 할거라고 생각한다. 근데 문제가 되는 부분이 어떤식으로 진행은 되고있는지 정도는 공개해줬으면 좋겠다.

  • @user-wk3zv5gk1z

    @user-wk3zv5gk1z

    8 ай бұрын

    그런 것들이 공론화는 되어야지 ㅇㅇ

  • @normal77079

    @normal77079

    7 ай бұрын

    본인이 알아보지 않을뿐 입법 후 적용되는건 시간이 항상 필요함. 입법과정에서 피해자가 생기면 안되니까 일정 기간을 두고 일이 진행되는거임. 그래서 법은 자기 세대보다 아랫세대를 위한 법이 대부분임. 가령 무상급식의 경우 우리 세대는 도시락과 선별급식을 받던 세대지만 우리 세대에서 주도적으로 무상급식을 관철시켜서 지금 mz들이 그 혜택을 받고 학교를 다닌거임. 그 시간이 대략 10년임. 대구가 가장 늦게 무상급식을 도입할만큼 정치적 파급이 컸음. 그만큼 법이란게 눈에 보이지 않아도 입법과정에 있고 내가 느끼지 못해도 아랫세대가 느낀다 생각하면 편함.

  • @user-ym5cz7sg3w
    @user-ym5cz7sg3w2 ай бұрын

    사무라이 계급적 신분이 약화되었을 때 상황측면에서도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 @user-wk3zv5gk1z
    @user-wk3zv5gk1z8 ай бұрын

    주제에 조금 벗어나지만 기부를 할 거면 외국 애들 기부하지 말고 우리나라 빈곤층에게 직/간접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기부해줬으면 좋겠다. 남의 나라 걱정할 게 아니고 우리나라부터 잘 하고 있냐를 먼저 신경써야하지 않나 싶음. 적어도 어릴 때 가난을 느끼게 해서 성격 망가지는 일은 방지해야지

  • @JG-in4nl
    @JG-in4nl4 ай бұрын

    경제력 상실과 , 고립때문이라 보기도 하지만. 전 상대적 박탈감이 더 크지 않을까 봅니다. 경제가 호황일때는 보이지 않던것이. 왜 ? 경제가 좋지 못한 상황에 저런 현상이 발생했을지? 경제가 좋을때나 나쁠때나 부유층들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일상생활하는데 있어 더더욱 그렇겠죠. 그러나 평범한 사람들은 그 차이가 엄청나게 될뿐더러. 거기에서 느끼는 사회적 박탈감은 심합니다. 똑같은 사람인데 어떤이는 잘 사는게 보이는데, 본인은 나름 열심히 사는거 같은데 그런 생활이 불가능하니. 그러다 보면, 사람들을 만나는것이 어려워 지지 않나봅니다. 본인이 열심히 해도 저 사람은 그렇게 사는것 같지도 않은데 잘살면 짜증도 나고 분노도 느껴지면서, 사람을 만나는것이 스트레스로 작용할것 같습니다. 결국,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고립이 되는것이 아니라. 사회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그로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이라 봅니다. 이게 비단 일본의 문제가 아니라. 이제 전세계적 문제라 발전해 나갈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문제로 봐도, 총기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것도 이런 분위기에서 발생한다 봅니다. 자본주의의 제일 큰 문제점이 양극화가 극대화 된다는것이고, 이로인해 사람들간에 갈등이 발생하고, 그게 사회를 붕괴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그래서 각 국가들이 복지제도를 통해 양극화를 줄일려 하지만, 근본적 해결책이 될수 없다 봅니다. 양극화는 자본주의의 특성이 녹아져 있기에. 없앨수 없는 그런 요소 아닌가 봅니다.

  • @sgp7845
    @sgp78456 ай бұрын

    일본이나 우리나 노력이 부족한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단 그건 노력을 했을 때 노력한 만큼 미래가 밝을 것이라는 희망이 있던 시절과 노력을 해봤자 윗사람이 다 가져가고 별로 달라지지 않는다는 절망감에 차이라 생각합니다.

  • @user-wd2ls3sj5u
    @user-wd2ls3sj5u7 ай бұрын

    여기서 사고는 비슷하지만 내용 많이 다르긴 하네요 일본을 본인 탓을 하지만 한국을 사회 탓을 하네요

  • @samklb8290
    @samklb82907 ай бұрын

    잘못하면 한국이 일본보다 더한 상황이 될 수도 있는 건가요???

  • @user-in1rq4wf9m

    @user-in1rq4wf9m

    7 ай бұрын

    더할수도 있죠..안그래도 무차별흉기난동을 사회에서 도태된 찐따들이나 한다고 비하하는데 여전히 심각성을 인지못함

  • @TTU2229
    @TTU22298 ай бұрын

    일본에서 일어난 사회 현상은 차후 반드시 한국에서 일어난다. 개인주의 , 칸막이 혼밥 문화 , 저출산 , 저성장 , 칼부림

  • @user-ml3jl9bz4n

    @user-ml3jl9bz4n

    8 ай бұрын

    +초식남 문화

  • @user-wt7tc6wn7o

    @user-wt7tc6wn7o

    8 ай бұрын

    그리고 일본한테 배껴서 해결하지 ㅋㅋㅋ 어쩔 수 없는 한국은 빡대가리라 ㅋㅋ

  • @user-wk3zv5gk1z

    @user-wk3zv5gk1z

    8 ай бұрын

    저주반사

  • @user-zp5oo6is9p

    @user-zp5oo6is9p

    7 ай бұрын

    개인주의는 찬성

  • @user-yg6fj7fi7v

    @user-yg6fj7fi7v

    2 ай бұрын

    ㄹㅇ경재적인 문제들도 따라서 일어남

  • @Lia3349
    @Lia3349Ай бұрын

    근데 '나 살기 싫은데 혼자 죽기 억울해' 하는 묻지마 살인은 왜 여자가 없지? 온갖 악녀가 있을텐데, 뭐가 다른 거지?

  • @juhakim212
    @juhakim2125 ай бұрын

    저 지금까지 이분 일본인교수인줄알았어요ㅜㅜㅋㅋㅋ 말투랑 억양이 묘하게 일본식이고 생긴것도 일본 야요이족같아서

  • @johnysuh
    @johnysuh8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네요. 즉 칼부림하는 사람은 본인도 죽을 생각하고 있으니까 경찰을 제압이 목적이 아닌 실탄 사용해도되겟군요! 또한 옆 사람이 칼부림하면 저도 그사람 정당방위로써 죽여 버려도되겠네요? 어차피 죽을 생각하고 있다면서요....?

  • @saqe2411

    @saqe2411

    8 ай бұрын

    이쪽도 만만치 않은데

  • @user-wk3zv5gk1z

    @user-wk3zv5gk1z

    8 ай бұрын

    @@saqe2411 그래서 법이 안 지켜줄 땐 어쩌고?

  • @johnysuh

    @johnysuh

    7 ай бұрын

    @@user-wk3zv5gk1z 그러니까요 법이 내가 죽고 나서 날 지켜주는데 그게 무슨 법이야 ㅋㅋ

  • @user-in1rq4wf9m

    @user-in1rq4wf9m

    7 ай бұрын

    처벌수위를 높이지않는 이유에 대한설명이 어쩌다...애초에 처벌수위높인다고 무차별흉기난동을 방지할수있는게 아니란뜻인데...

  • @user-zg3cj3dz6w
    @user-zg3cj3dz6w3 ай бұрын

    닭도리탕 : 닭지나가는탕?

  • @user-gu7kn3np4y
    @user-gu7kn3np4y8 ай бұрын

    칼부림이 한국보다 일본이 먼저?

  • @DHkim171

    @DHkim171

    8 ай бұрын

    정확히는 묻지마범죄죠 더큰범위

  • @user-wk3zv5gk1z

    @user-wk3zv5gk1z

    8 ай бұрын

    누가 먼저는 아님. 얘기가 안 나왔을 뿐

  • @episcopalpaul78

    @episcopalpaul78

    7 ай бұрын

    칼부림은 아닌데,저시력자가 완전 시각장애인이 아닌 시각장애인이라, 불안정노동을 하다 분노가 승용차를 몰고 여의도광장에서 자전거를 타고 놀던 어린이들을 비롯한 시민들을 치어 죽인 범죄입니다. 제가 그때 청소년이었는데, 가해자를 피해학생의 할머니가 삶의 서사,이야기를 들으시고는 진심으로 용서하셨어요. 아키하바라 사건은 스펀지에서 배우들의 재연극으로써 설명했는데, 가해자가 파견노동자였습니다. 일본이 부국이 되도록 한 종신고용제가 끝나고, 간접고용 비정규직이 등장하여 원청이 하청노동자를 쉽게 해고할 수 있는 불안정노동이 살인범죄로 이어진 것이라고 합니다. 남의 일이 아닌 이유입니다.

  • @user-fh7bq2fb4s
    @user-fh7bq2fb4s7 ай бұрын

    정획하게는 도리마가 아니고 (우)가 들어가야합니다. (우)가 묵음이 아니라서 (토우리마=도우리마《우리나라외래표기법》)우 를 넣어서 표기해야합니다.

  • @user-rr1sq3yz3d

    @user-rr1sq3yz3d

    7 ай бұрын

    아리가‘토우’고쟈이마스

  • @hiroyulfamily4073

    @hiroyulfamily4073

    5 ай бұрын

    장음 안 살립니다. 도리마가 맞습니다.

  • @user-oq5dv3zs6l
    @user-oq5dv3zs6l8 ай бұрын

    미쳤나봐!..😨

  • @user-ch7ol7bb5h
    @user-ch7ol7bb5h4 ай бұрын

    일본은 검의 국가라서 그런가 칼부림이 유독 강한듯 ㄷㄷ

  • @xian784
    @xian7847 ай бұрын

    묻지마 범죄 흉기난동 칼부림사건 이런 흉악해보이는 단어를 쓰니까 애들이 멋있는줄 알고 계속하지 찐따 대소동으로 통일하는게 맞다

  • @hoya1317
    @hoya13177 ай бұрын

    올릴려면 일본발음 잘써라 대충 올리지말고

  • @user-dh1cn1fq5b
    @user-dh1cn1fq5b7 ай бұрын

    한국인이라면 홍익인간 애민정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