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위험 제로 서울부산 충전없이 왕복? 전고체 배터리가 온다 [딥다이브] 배터리주, 전기차, 전기차주

투자는 개인의 선택이며 본 내용은 전문가의 의견입니다.
#전고체배터리 #배터리관련주 #전기차
요즘 국내 주식 투자하는 분들은 다들 이차전지 전문가입니다. 배터리 셀(전지) 업체뿐 아니라 소재 기업까지 활발히 투자하다 보니 양극재와 음극재가 뭔지, 배터리 구조가 어떤지도 훤히 아시죠.
그런데 이건 어떤가요. 전고체배터리. 생소하신가요? 아니면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 쓰는 배터리’ 정도로 알고 있나요?
저는 후자였는데요. 전고체배터리 전문가분과 이야기 나눠보니 생각한 것보다 더 놀라운 차세대 배터리 기술이더군요. ‘너무 단가가 비싸서 상용화가 어려울 것’이란 편견도 깨게 됐고요.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차세대전지연구센터에서 전고체배터리 연구팀을 이끄는 조우석 수석연구원과 인터뷰했습니다.
🌊전문가가 알려주는 전고체 배터리! LET'S DEEP DIVE 🌊!
00:00 하이라이트
00:08 오프닝
00:29 전고체 배터리란?
00:48 리튬 이온 전지와는 어떻게 다른가요?
01:34 전고체 전지는 화재가 거의 안 나나요?
02:18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04:29 전고체 배터리는 어디에 쓰이고 있나요?
05:27 전기차 용 전고체 배터리
06:00 2027년에 전고체 배터리 양산 가능한가요?
08:44 연구를 하면서 놀랐던 이유
09:25 가격 예측
11:24 전고체 배터리가 드론 택시에 쓰일 거라는 분석은?
11:52 한국 전고체 배터리의 가능성
12:10 한국 기업이 일본을 따라잡을 수 있을까요?
14:39 오늘의 딥다이브 요약
15:48 마지막 한 마디
#전기차관련주 #테슬라 #동아일보
기획·구성 | 한애란
연출 | 신준모 신한솔 김도현 이소연 김도연
제작 | 신한솔 김도연

Пікірлер: 148

  • @user-sx3ob8ci2i
    @user-sx3ob8ci2i11 ай бұрын

    "2040년 쯤"보다는 누구 생각? "깜짝 놀라곤 한다. 곧 만날 수 있다"는 말이 팩트 아닐까요? 누가 17년의 미래를 '곧'이라 표현하나요? 기득권 양극재 시장을 지키는 것도 필요합니다만, 사실 기술력의 보안은 산업스파이에 의한 폐해를 차단하기 위해 군사기밀 만큼 숨기지요.

  • @yangisgood
    @yangisgood11 ай бұрын

    개미들이 전고체 안된다고 하니까 전 전고체 기업에 투자하겠습니다 개미 반대로 해야 성공하니까요

  • @user-hp8rz7xf7f
    @user-hp8rz7xf7f11 ай бұрын

    여의도 애널리스트들 전고체 뱃터리 곧 나올 것처럼 떠들고 있지요. 실제 연구원이 출연해서 일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상용화 되려면 2040년으로 이야기 하네요. 애널들 뜬구름 잡는 소리 이젠 집어 치우세요.

  •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

    11 ай бұрын

    "주식쟁이들" . . .

  • @user-ib6pl6iy7z

    @user-ib6pl6iy7z

    3 ай бұрын

    15년이면...

  • @user-sx7jb6dr4z
    @user-sx7jb6dr4z5 ай бұрын

    2040년이 넘어야 100% 전고체 베터리에 의한 전기 자동차가 상용화 되지않을까 하는 의견에 공감이 되네요 전고체 베터리 이야기를 들은지 벌써 20여년이 지났으나 이론만 있고 초소형 소자에 사용되는 것 말고는 일반인 모두가 현실에서 유용하게 사용 할 만한 전고체 베터리가 상용화 된 사례가 없어 상대적으로 리튬이온 베터리의 대용량 상용화 진행 속도 보다 현저하게 늦는 것을 보면 2040년 상용화도 쉽지 않다는 개인적인 생각이 드네요 자칫 앞으로 한 세대가 지나야 자동차 등에 사용 할 대용량의 전고체 베터리가 경제성을 담보하여 나오는 것이 가능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합니다

  • @user-dg7nj8zw9m
    @user-dg7nj8zw9m11 ай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 2025년 나온다고 정확하게 말해버리면 연구진은 어떻게 되겠는가??!

  • @Armor_of_God777
    @Armor_of_God77711 ай бұрын

    .TDL .레이크머티리얼즈 이수스페셜티케미컬 황화리튬 전고체배터리 관련주 대한민국 응원합니다

  • @user-gt2jd6tv9r
    @user-gt2jd6tv9r11 ай бұрын

    비싸도 잠수함같은데선 안전상 반드시 사용해야만 합니다

  • @user-ed9hn2sh9q
    @user-ed9hn2sh9q10 ай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는 개발과 장점이 문제가 아닙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도 비싸서 보조금으로 차량을 생산하는데 적정 가격으로 상용화가 문제입니다. 그리고 전고체 배터리에 대한 특허와 개발은 토요다가 앞서지만 상용화가 힘듭니다.

  • @user-vj9by4wv5d
    @user-vj9by4wv5d11 ай бұрын

    전고체 밧데리가 생산은 가능하나 가격면에서 아직은 경쟁력이 없으니 일반화 되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듯해요

  • @user-rr8fb6im1i

    @user-rr8fb6im1i

    11 ай бұрын

    비싸도 너무 비쌈

  • @jakewon284

    @jakewon284

    6 ай бұрын

    비싼 전고체를 자동차만큼 용량 채우면 최소 몇억임

  • @user-wt8cg8lq8w
    @user-wt8cg8lq8w11 ай бұрын

    전고체배터리 상용화 2040년이랍니다. 이걸로 배터리투자는 확실해짐

  • @Ryan_Kim_
    @Ryan_Kim_4 ай бұрын

    15:22 2030년이라고 기사 떴는데..잘못 아시는 듯..2026년 부터 본격적으로 연구하다가 2028년에 상용차 부터 달기 시작해서 2030년 이후로 승용차에 단다고 했는데

  • @user-wg6ej2kn2j

    @user-wg6ej2kn2j

    Ай бұрын

    广汽LS7입니다. 전고체는 아니고, 반고체이나 이미 양산 시작했습니다.

  • @user-ie2fw5rr8c
    @user-ie2fw5rr8c11 ай бұрын

    80년대 레이건 낸시여사 방한당시 우리 어린이 심장병 수술을 시켜준다고 미국에 대려가서 치료해 준적이 있어 그 당시 뉴스에 30년후면 암정복 된다고 떠들었었어 2023년 현재 암정복은 커녕 고통만 늘어나게 생명만 조금 연장시키는 수준이야. 전고체? 오래 살 애들만 투자하던지 해라 먼 미래 얘기다.

  • @user-px2nk4kz8s
    @user-px2nk4kz8s11 ай бұрын

    전고체배터리는 이미 만들어져 있는데 너무 비싸서 상용화는 먼 미래입니다

  • @morning8404
    @morning84047 ай бұрын

    도요타에서 2027년 상용화 한다고 했다 이는 곧 개발해서 실험 전기차에 장착하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수정보완하고 있다고 보면된다

  • @user-qq4wy5cr3k
    @user-qq4wy5cr3k11 ай бұрын

    아직 멀었네요 한 20년 지나면 생각해볼수 있겠네요 ❤❤

  • @fdtgdghfdy2028

    @fdtgdghfdy2028

    7 ай бұрын

    40년전 tv에서 마음대로 잘라쓰는 종이전지라고 곧나온다고 했음 그게 이거같음 이번생에 사용하긴 글렀음

  • @uunsword
    @uunsword11 ай бұрын

    요약: 2040년대에나 가서야 양산예상. 그것도 전망일뿐 ㅋㅋ 투자의 관점에선 전고체는 잊으시오

  • @user-iw8gx5oo3x
    @user-iw8gx5oo3x3 күн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는 비싼 것은 맞으나 싼건 catl을 이길수 없습니다. 이미 샘플 a가 만들어진건 맞으나 문제점이 없는건 아니고 수율 문제는 아직 시작도 안했습니다. 비싸도 필요한 부분은 전기차트럭 고성능 차량 등 있습니다.

  • @user-yr9py2yz7r
    @user-yr9py2yz7r11 ай бұрын

    30년후 애기는 하지맙시다 나는 그때 이세상에 없습니다 !

  • @user-ql4gz2bm9c
    @user-ql4gz2bm9c11 ай бұрын

    리튬황 가격을 떨구면 상용화시기 앞당겨짐

  • @CuteDogStory
    @CuteDogStory11 ай бұрын

    아직은 많이 비싸서...

  • @user-pb2ix2di5j
    @user-pb2ix2di5j10 ай бұрын

    2040년 .... 그류 연구들 빠르게 하슈.. 앞으로도 17년 뒤에 될수 있을지 없을지 알수 있다고 헝께 .. 난 기다리다 지치것슈 ... 전고체 전에 수소차가 먼저 나와서 전고체 필요 없다고 할수 있응게 참고 하슈 수소차야 말로 무탄소라고들 하던디 탄소중립에 가장 필요한 차가 수소차유 ....

  • @user-fw9xv7ix7m
    @user-fw9xv7ix7m11 ай бұрын

    그래서 얼만데요? 시장에서 경제성을 가질려면 가격이 중요하죠

  • @user-wo6bg9bu7n
    @user-wo6bg9bu7n11 ай бұрын

    전고체 바테리는 가격이 문제다. 현재 배터리 가격의 몇 배 가격을 주고 탈 사람은 이재용이나 빈살만이다.

  • @user-ov4tk4kl6l
    @user-ov4tk4kl6l11 ай бұрын

    전고체배터리차로만들면차값이3배이상뛰는데 1억5천~2억정도라 누가사겠나 대중화는 어렵고 잠수함 같은데나 고가 군수제품에나 쓰겠다

  • @xiasun5883
    @xiasun588311 ай бұрын

    중국에서 이미 한달전에 고체배터리 대량생산에 들어 갔는대 ... 말로만 자꾸 자랑하면 무엇하나?

  • @user-wp4oj2bg9h
    @user-wp4oj2bg9h11 ай бұрын

    미래의 희망을 말 하는것이야 자유이지요.

  • @user-ft2fn4hv7o

    @user-ft2fn4hv7o

    10 ай бұрын

    꿈깨

  • @user-me8mb3oq4q
    @user-me8mb3oq4q11 ай бұрын

    유명 유튭 출연자들이 전고체 절대 안된다..이거 사라..저거 사라들 난리던데..투자하고 있는 기업이 언급되서 좋고..제발 우리나라가 선점하면 좋겠습니다.

  • @digica1
    @digica111 ай бұрын

    전고체 만들 수는 있지만, 너무 비싸요. 상용화가 기능해져도 6배에서 10배 가격인데, 오천만원에 가능한 차를 삼억원대 차를 누가 구입할까요.

  • @jmc4597
    @jmc459710 ай бұрын

    값이 얼만데? 멏억원 짜리를 널리 팔수 있겠나?

  • @user-ui3ri8pc3h
    @user-ui3ri8pc3h11 ай бұрын

    전고체좋은점만말씀하시는데박사님나쁜점은뭔가요 박사님?

  • @user-ti4qm7bw3l
    @user-ti4qm7bw3l11 ай бұрын

    전고체 화재 사고 여러 번 있었는데 왜 화재가 없다고 할까?

  • @user-hf3vi4mg8m
    @user-hf3vi4mg8m5 ай бұрын

    전고체. 전지 화이팅!😅😅

  • @ninzacap
    @ninzacap11 ай бұрын

    연구는 저런 박사분들이 전문이겠지만... 양산은 또라이가 하는것 같다.

  • @user-ir9eq3wv9t
    @user-ir9eq3wv9t11 ай бұрын

    한 10년 후에 샘플 가져오면 그 때나 고려해 볼께...

  • @user-7085
    @user-708511 ай бұрын

    배터리 아저씨 왈: 전고체 배터리는 잊어주세요. 말짱 황입니다. 2030년 상용화는 택도 안되는 얘기입니다. 내 생각: 지금부터 5년 동안은 2차전지 자동차 배터리(NCM계 위주) 기업에 투자해서 수익률을 극대화하고, 그 이후에 전고체에 관심을 가져도 늦지 않다. 또한 중국이 LFP 배터리에 집중하다보면 NCM배터리 기술력이 떨어져 5년 뒤에는 거의 망하고, 5년 뒤에도 한국의 2차전지 배터리 기업들이 세계를 제패할 거라서 5년 뒤에도 이들 기업에 투자해도 높은 수익을 올릴 것이다. 그러니 한국의 2차전지 소부장 기업들의 주가가 떨어지면 분할 매수하는 것이 답이다.

  • @user-yt3sc3vy9b

    @user-yt3sc3vy9b

    8 ай бұрын

    머머리 배터리교 신자

  • @sazavytube
    @sazavytube11 ай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 될 때 즈음이면, 리튬황배터리와 망간리치가 먼저 상용화 되어 있을 것 같습니다.

  • @threehelmet8825

    @threehelmet8825

    10 ай бұрын

    망간리치는 그냥 lfp대용으로 거론된건데요.

  • @user-dk7bx6kq8e
    @user-dk7bx6kq8e11 ай бұрын

    결론 일본에게 기술이떨어져서 안된다는 얘기네~!

  • @runrunddichu
    @runrunddichu11 ай бұрын

    자두씨 언제 mc로 데뷔하셨죠

  • @user-pq1cp9jh2x
    @user-pq1cp9jh2x11 ай бұрын

    언제 나오는데??

  • @user-zl5fq3wz3p
    @user-zl5fq3wz3p11 ай бұрын

    삼성서 제일가기 싫은부서 전고체 전지부서 입니다. 왜냐 성과가 나오기 힘들다고 해서 안간다고 하죠.. 한국 기초과확 연구윈 김해진 박사팀이 몇년전에 100mA 파우치형 전고체 배터리 만들었습니다. 유트브 검색해보세요.. 댓글 보면 너무 모르시던데 전고체 배터를 만들수 있는 회사 100개 정도 될겁니다. 그러면 팔아서 돈 벌면 되는데 도요타 2027년 아니면 2030년 이후 라고 하는데 왜그럴까요? 즉 대량생산 할수가 없어요..ㅋㅋ 많이 만들어서 팔아야 가격도 낮추고 보급을 할거 아닙니까.. 그리고 So2는 맹독성 입니다.. 유럽의 경우 자윈재활용 측면에서 전고체는 더 안되는 거죠..재활용 비용이 너무 비싸거든요..기술개발 하면 된다고들 떠드는데 그냥 자가용 비행기가 더 쌀것 같은데 그쪽으로 투자하시길.. . 전고체를 하이브리드에 한다는것도 웃기지 않나요.. . 지금도 비싼데 하이브리드에 그비싼 전고체를 ㅋㅋ.. . 좋은 기술들이 상용화 못하는건 다 이유가 있는겁니다.. 결론 앞으로 주식 한종목 10년 20년 가지고 가실분 전고체 추천드리고 사고 팔고 하실분 그냥 MCN 배터리 종목 투자하고.. 마지막으로 전고체배터리 양극재를 제일 잘만드는 회사가 에코프로 입니다. 에코프로는 어디가나 다 낍니다 ㅋㅋ

  • @user-cc8ht5id4c

    @user-cc8ht5id4c

    11 ай бұрын

    그래서 KBR이랑 대량생산 하려고 노력중

  • @ssc5388

    @ssc5388

    2 ай бұрын

    아는척오짐

  • @user-yr9py2yz7r
    @user-yr9py2yz7r11 ай бұрын

    웜홀 아세요 ? 아니면 타임머신.그런애기는 재미로 하지요 !

  • @silsigan
    @silsigan10 ай бұрын

    Sdi에서 완성했다 그랬는데.

  • @user-pi6bt1lu8t
    @user-pi6bt1lu8t10 ай бұрын

    배터리아저씨 말이 맞다는게 증명이 되는군요

  • @imapuella231
    @imapuella2319 ай бұрын

    아연 배터리 내트륨 재터리가 상용화될거같거같아여

  • @user-jh7dn2ex2s
    @user-jh7dn2ex2s11 ай бұрын

    가격이 너무 비싸서 상용하기 어려운데 왜? 거론하죠?

  • @0KYK0
    @0KYK011 ай бұрын

    수소차레 이어 메탄차 나왔다. 수소는 유통이 어려운데 메탄은 10배 정도 싸다던데. 메탄연료전지. 메탄을 질소와 수소로 분해헐 필요도 없어. 기술 입증할려고 드론과 트럭으로 2년간 테스트했는데. 전고체 안쓸듯

  • @user-rs1ih6qf2c
    @user-rs1ih6qf2c11 ай бұрын

    수류탄처럼 폭발 하는거 아녀? 이론상 꿈의 에너지는 핵융합이지요. ㅎㅎ

  • @hf9069
    @hf90692 ай бұрын

    싸여 상용화가되지 전고체는 하이엔드아니면 상용화하기 힘들듯

  • @cyberzionpark8194
    @cyberzionpark819411 ай бұрын

    가격은?

  • @user-px2nk4kz8s

    @user-px2nk4kz8s

    11 ай бұрын

    삼원계 배터리보다 3~5배정도 비싸죠.

  • @SuperSandpiper
    @SuperSandpiper11 ай бұрын

    ㅋㅋㅋ 일반 국민을 호구로 아는구나 자동차에 쓰기에 너무 비싸다는 것이지 전고체베터리 쓸 수 있는 분야가 있겠지

  • @user-rw3hc3vb7j
    @user-rw3hc3vb7j11 ай бұрын

    삼성이 하니 만들기는 하겠습니다. 문제는 상용화,대중화,경제성확립 인데 아직은 문제가 너무 많아서 투자자들 조심해야 하겠습니다. 개미들 등꼴 빼는 유튭 내용들 극혐 임.

  • @ynk2892
    @ynk289211 ай бұрын

    전고체 안티들아 시작이 반이라는말 모르나? 반도체도 처음부터 2테라 용량 3나노등 고집적화 나왔나? 98년도에 64m 마이크로 드라이브 60만원 이었다. 기술발전은 도전의 결과이다. 단순한 근시안으로 회사 가치 평가 하지마라. 삼성이 선투자 하는것 잘하는것이다.

  • @user-yr9py2yz7r
    @user-yr9py2yz7r11 ай бұрын

    좋은거는 아는데 효율성 도 함께 애기하세요 !

  • @Inivia_TV
    @Inivia_TV6 ай бұрын

    퀀텀스케이프~~!

  • @user-vk9jq9hr6s
    @user-vk9jq9hr6s9 ай бұрын

    포스텍에서 고체전해질 나왔다....

  • @user-mv3fy1hg3y
    @user-mv3fy1hg3y11 ай бұрын

    동아일보 관심 끌려고 수고가 많네요 아직 이슈화 하기에는 너무 먼 미래죠 그보다는 지금 한국 2차전지의 기술력 성장성에 대한 전문가를 모시는게 더나을것 같네요..

  • @user-ig6pl1rd6z

    @user-ig6pl1rd6z

    11 ай бұрын

    전문가가말하는대씹지마라 뭘안다구나발대냐?

  • @why_funnyy
    @why_funnyy11 ай бұрын

    언제될지 모르는 전고체... 불이 기존과 다르게 나는거지...

  • @user-oj1hk1gw4m
    @user-oj1hk1gw4m11 ай бұрын

    5밴뭐여 10배란구먼...

  • @user-yr9py2yz7r
    @user-yr9py2yz7r11 ай бұрын

    원가 애기도 하고. 효율성 애기도 같이해야죠 !

  • @user-sp6eh7cr1f
    @user-sp6eh7cr1f4 ай бұрын

    이미 포홀은 전고채 개발 완성 세계1,2위 도요다 대만 지분 투자 했지요 위대한 포홀

  • @user-pc8wp5tm7j
    @user-pc8wp5tm7j11 ай бұрын

    퀀텀스케이프, 전고체 배터리 공급 임박

  • @billgimm2393
    @billgimm23934 ай бұрын

    리튬을 한땀한땀 핀셋으로 집어서 잘 줄맞춰서 보기좋게 쌓느라 시간이 십몇년 더 걸린다는 얘기네... 예라이..

  • @max-ds2we
    @max-ds2we11 ай бұрын

    전고체는 지금도 만들 수 있다. 근데 나오면 뭘해. 극악적으로 가격이 비싼데. 알면서 이따위로 방송하면 안되지. 방송을 보고 큰 기대로 피해보는 투자자들이 있을텐데. 2040년이면 수소가 대세가 될 수도 있으니 무의미한 말

  • @holidayblackbean4184
    @holidayblackbean41847 ай бұрын

    제목 바꿔요 여기가 낙시터 입니까? 2040년도에 자동차 배터리로 쓸 수 있다면서 바로 전고체 배터리 사용할 수 있는것처럼 제목을 쓰면 안되죠

  • @user-fi6ch9iq4k
    @user-fi6ch9iq4k2 ай бұрын

    전고체는 상용화 시즌에 수소랑겹쳐서 가능성이 낮다. 2050년본다.

  • @hounpeter5184
    @hounpeter518411 ай бұрын

    전구체 or 전고체 어떤말이 맞나요 ?

  • @user-vj9by4wv5d

    @user-vj9by4wv5d

    11 ай бұрын

    전구체와 전고체는 다릅니다. 전구체는 2차 전지 생산의 핵심이 되는 모든 재료를 말하고 전고체는 셀에서 액체물질인 전해액이 고체라는 뜻입니다

  • @user-se5rp4wv5l
    @user-se5rp4wv5l11 ай бұрын

    겁나 비싸다매 평민들이 탈수 있을래나...쩝

  • @user-sx3ob8ci2i

    @user-sx3ob8ci2i

    11 ай бұрын

    일반 소금 1 Kg는 천원 정도인 반면, 그걸 시약급으로 판매하면 15만원이나 하지요. 황화리튬의 가격도 그런 이치라고 말하네요. 가격은 전혀 문제없고, 대신 전고체를 포장하는 기술이 현재의 과제라고 했습니다.

  • @user-tm2my9sr9d
    @user-tm2my9sr9d11 ай бұрын

    전고체 베터리가 대세다. 일부 유튜버들이 이유도 없이 무조건 안된다고 하지만 대세는 거슬릴수는 없다.

  • @user-ir9eq3wv9t
    @user-ir9eq3wv9t11 ай бұрын

    차라리 전선을 은으로 만들자고 해라~!

  • @user-do3yp6ou1l
    @user-do3yp6ou1l11 ай бұрын

    그러네 밧데리 아저씨 말이 맞네. 모두 부풀 려진 뻥이다. 넘어야 할 가정이 너무 많네

  • @user-zp6ro5jn2s
    @user-zp6ro5jn2s4 ай бұрын

    40년 관심 없네요

  • @gony799
    @gony7993 ай бұрын

    전고체를 크게 할 필요가 없어요~ 테슬라의 리튬 2680~4680 사이즈 비슷하게 원형 전지를 묶으면 생각보다 빨리 될겁니다

  • @user-yx4zd5nl1h
    @user-yx4zd5nl1h11 ай бұрын

    5천에 살수있는 차를 2억5천에 차를 사서 탈실분

  • @user-zp6ro5jn2s

    @user-zp6ro5jn2s

    4 ай бұрын

    읍쓔.

  • @user-lt4hd9nr7b
    @user-lt4hd9nr7b11 ай бұрын

    나는 불나는 밧데리차 안탄다

  • @user-jh3ny9sb7f
    @user-jh3ny9sb7f11 ай бұрын

    가격이 문제지!

  • @user-eq6rc4ee2z
    @user-eq6rc4ee2z11 ай бұрын

    문제는 전고체 밧데리 는 너무비싸다는것이다 ㆍ

  • @user-rf2tn7if5l
    @user-rf2tn7if5l11 ай бұрын

    전고체로 갈수만 있다면 내연기관은 완전히 사라지겠네 진짜루

  • @fjord38
    @fjord3811 ай бұрын

    그냥 꿈

  • @user-ui3ri8pc3h
    @user-ui3ri8pc3h11 ай бұрын

    2차전지불이나는2차전지누가만들었는가는알고계신가요 공정하게장단점을방송하세요

  • @user-yh2mv5tp3q
    @user-yh2mv5tp3q4 ай бұрын

    전자기술연구원이 화학적 기술을 논하는게, 양심에 걸리지않나? 내용을 들어보면 나도 충분히 설명가능한 수준이네

  • @user-vt2by1nb1s
    @user-vt2by1nb1s11 ай бұрын

    좀 공감이 안가네요 삼성sdi 나 도요타가 27년 양산계획 이고 현대차도 25년 이라는데 이런 계획들이 다 헛소리 인가요

  • @user-pl1vz7kn9a
    @user-pl1vz7kn9a11 ай бұрын

    전고체는 돈이 안됩니다. 전선을 구리보다 은이나 금으로 만들면 도전율이 윌등히 좋아요.전고체가 바로 금, 은입니다. 비싸 상업화가 어렵습니다.

  • @user-cc8ht5id4c

    @user-cc8ht5id4c

    11 ай бұрын

    배터리아저씨가말한거 지가 생각한것처럼 글싸지르는거 극혐이네 ㅋㅋㅋㅋㅋㅋㅋㅉㅉ

  • @user-yt3sc3vy9b

    @user-yt3sc3vy9b

    8 ай бұрын

    금이나 은은 자원이 한정되어있죠😂

  • @iriv5426
    @iriv54263 ай бұрын

    8개월뒤 미래에서 왔습니다. 정확히 10개월전 전고체 소재업체 두군데중 한군대에 몰빵해서 엄청난 수익을 봤고 더 폭팔적으로 성장할겁니다. 10개월전에 그 대머리분이 전고체는 잊으라하고 시장에서 전고체에대한 반응또한 싸늘했었죠 예언합니다 전고체는 28년만되도 바로 상용화됩니다. 삼원계가 도로에 많아질수록 전기차화재로 인한 사망자가 늘어날것이고 국가별로 삼원계에대한 규제가 생길것입니다. 시장에 원칙은 가격경쟁력이 맞습니다. 하지만 생명과 직결된 안전은 모든걸 초월합니다. 전고체에 투자하세요 한국은 베터리 초격차기술보유국이 될것입니다.

  • @user-yr9py2yz7r
    @user-yr9py2yz7r11 ай бұрын

    저런사람을 약장수로 애기합니다 ㅎㅎ

  • @korg1201
    @korg120111 ай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를 만든다 해도 가격이 1억. 대중화 될수 있을까요?

  • @yohanchoi168

    @yohanchoi168

    11 ай бұрын

    레이크머티리얼즈 검색해보세요 가격 30분의1 특허 신청

  • @korg1201

    @korg1201

    11 ай бұрын

    @@yohanchoi168 나와봐야 알죠.

  • @user-gi6dl4jm3x

    @user-gi6dl4jm3x

    11 ай бұрын

    가격은 기술개발 거듭됨에 따라 다운되기 마련

  • @korg1201

    @korg1201

    11 ай бұрын

    @@user-gi6dl4jm3x 기술이 가장 앞선 도요타도 아직 언제까지 만들겠다고 장담을 못하는데......

  • @user-gi6dl4jm3x

    @user-gi6dl4jm3x

    11 ай бұрын

    @@korg1201영상에서도 나오는데 다 안봤나봄

  • @user-ng7xm3nj1c
    @user-ng7xm3nj1c11 ай бұрын

    2040년쯤 되면 수소 전지 상용화가 되있을거 같은데요

  • @yongwookche8261

    @yongwookche8261

    Ай бұрын

    안됨

  • @sgs6669
    @sgs666911 ай бұрын

    개미 바보로 알고있지 ... 이런 에널리스트 땜시 시장이 고생하고 있지

  • @davidruh39
    @davidruh3911 ай бұрын

    전고체 배터리! 배터리계의 게임 체인저 맞습니다. 그런데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가력이 몇배 비쌉니다. 그래서 시장성이 제로입니다. 세계 배터리계의 최강자 LG솔루션이 이런 이유로 양산을 보류하고 있는 것입니다. 도요타가 2027년에 양산 어쩌구 하는 것은 기존 자동차계에서 탑이라고 자처하던 회사가 별안간 전기차 시장이 형성되면서 여기서 뒤쳐지게 되다보니 허장성세로 맆서비스해서 지들 주가 보존하는 속 보이는 마케팅일 뿐입니다. LG는 에너지밀도가 높은 하이니켈뿐만 아니라 높은 밀도에 가격도 훨씬 저렴한 망간,황 리튬이온전지도 벌써 양산 직전의 기술까지 준비해 놓고 있습니다. 세계 배터리계의 진정한 게임 체인저는 바로 엘지 솔루션임을 잊지 마십시요~~

  • @user-wg6ej2kn2j
    @user-wg6ej2kn2j2 ай бұрын

    중국의 이미 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양산 시작 주행 1000km, 10분 충전 400km

  • @user-wx3sm1mm4p
    @user-wx3sm1mm4p11 ай бұрын

    비싸서 꽝ᆞᆞᆞ

  • @user-ry2cg9tv2t
    @user-ry2cg9tv2t11 ай бұрын

    삼성이 한다면 한다.. 삼성은 외계인을 고문하여 개발하는 그런회사다.. 다른회사는 안믿어도 삼성은 믿는다..

  • @user-pl1vz7kn9a

    @user-pl1vz7kn9a

    11 ай бұрын

    파운드리는 왜 못할까 메모리 시장 점유율도 왜 계속떨어질까요?. 삼성을 왜 믿어요? 삼성이 뭔데요. 돈은 냉정해요. 삼성도 망할 수 있어요.

  • @jonghochoi4054

    @jonghochoi4054

    11 ай бұрын

    삼성은 셀 3등업체 1위 엘지가 하면 모를까.....

  • @user-rr8fb6im1i

    @user-rr8fb6im1i

    11 ай бұрын

    자동차는?

  • @sungilkim4481

    @sungilkim4481

    11 ай бұрын

    대표적인 카피캣이죠 혁신의 엘지 카피의 ss

  • @user-nj1to6vq2j

    @user-nj1to6vq2j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user-ks6rn9bi6d
    @user-ks6rn9bi6d11 ай бұрын

    그래서 얼마? 언제? ㅋㅋㅋㅋㅋㅋㅋㅋ 1억 2030년

  • @jinkrice463
    @jinkrice46311 ай бұрын

    배터리 아재가 주린이들 다 망쳐놨네

  •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11 ай бұрын

    5년,10년후,20년 후 ? 언제 나올지 모르는 실체없는 주식쟁이들이 만든 "마케팅용어 " 전고체밧데리 . . . 선진 밧데리기업 CATL,등의 기타 기업들은 두 손 놓고 가만 있을까 ?

  • @byokjin
    @byokjinАй бұрын

    사기꾼+언론=

  • @pjsky2413
    @pjsky241311 ай бұрын

    조만간 하이브리드에만 들어가도 전기차 씹어먹겠는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로 나올거고 기존보다 거리가 두세배는 늘건데 거의 전기차 수준 되겠다 역시 일본놈들 보통 아니네

  • @actlove7
    @actlove711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머나먼 미래에 투자할 가치가 없다

  • @a49301794
    @a4930179411 ай бұрын

    5배 비싼 전고체 배터리 자동차 누가 살까? ㅋㅋ

  • @user-td2qf5xt7x

    @user-td2qf5xt7x

    11 ай бұрын

    돈 많은 부자들은 사겠죠..

  • @kdj665

    @kdj665

    11 ай бұрын

    갑부들이

  • @user-nd5tf8gi7s

    @user-nd5tf8gi7s

    11 ай бұрын

    불나서 디지기 시르면 사야지 뭐

  • @NO-wf4nb

    @NO-wf4nb

    11 ай бұрын

    부정 뉴스 나르지 마라!...처음과 나중이 다르다는 것 모르냐?

  • @cisblue1637

    @cisblue1637

    11 ай бұрын

    폴샤나 렘보기니라면

  • @user-qe3ur9tp2k
    @user-qe3ur9tp2k11 ай бұрын

    ㅋ ㅋ 이론으론 다 가능 아직도 못만드네 제목장사 그만해라

  • @user-yx2gf6mn9y
    @user-yx2gf6mn9y11 ай бұрын

    전고체 좋은 밧데리죠...그데 가격보고 깜놀했어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