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 줄이고 용량 늘린 ‘초고밀도’ 차세대 전지 ‘리튬금속’ 전지의 현재와 미래 [Y Insight]

Ғылым және технология

크기 줄이고 용량 늘린 ‘초고밀도’ 차세대 전지 ‘리튬금속’ 전지의 현재와 미래 [Y Insight]
00:00 인트로
01:10 01. 리튬금속 전지 왜 주목 받을까?
05:35 02. 리튬금속 연구 없이는 리튬이온 다음은 없다
08:12 03. 폭발 위험으로 한때 사장됐던 '리튬금속' 기술
10:26 04. 같은 배터리 용량에 부피와 무게 모두 줄인다
14:02 05. 리튬금속 활용한 '무음극 전지'가 배터리 끝판왕
15:37 06. 리튬금속 배터리의 단점 '덴드라이트'
18:18 07. 리튬금속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 위한 학계의 노력
23:03 08. 리튬금속은 전기차 아닌 드론 "배터리 시장 시야 넓혀야"
25:52 마무리
#Y인사이트 #배터리 #리튬금속전지 #무음극전지
--------------------------------------------------------------------------------------------------
차세대 배터리 열관리 신소재·신기술 콘퍼런스
2023년 5월 31일(수) 14:00 ~ 18:00 포스코타워 역삼 3층 이벤트홀 (역삼역 3번 출구 도보 3분)
*행사 장소가 변경되었습니다.
사전링크 페이지
(yelec.kr/product/%eb%b0%b0%ed...)
[오프라인 행사 개요]
◦ 행 사 명 : 차세대 배터리 열관리 신소재·신기술 콘퍼런스
◦ 주최 및 주관 : 디일렉 / 와이일렉
◦ 일 시 : 2023년 5월 31일 (수) 14:00 ~18:00
◦ 장 소 : 포스코타워 역삼 3층 이벤트홀 (역삼역 3번 출구 도보 3분)
*행사 장소가 변경되었습니다.
◦ 참가비용 : 25만원(부가세 포함)
◦ 행사문의 : 와이일렉 (02)2658-4707 / gnzhyunmin@thelec.kr
[참고 사항]
◦ 콘퍼런스 룸 인원 제한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참석자 분들은 오전 13시 30분부터 사전 입장 가능합니다.
◦ 발표자료는 공개를 허락한 연사에 한하여 제공합니다.
◦ 콘퍼런스 비용 입금시 회사명 또는 등록자명으로 입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은행 1005 - 803 - 563727 예금주 디일렉)
*세금계산서 발행은 무통장 입금 결제만 가능합니다.
◦ 참석확인증 - 콘퍼런스 종료 후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취소안내 - 행사 2일전 14시까지 환불신청 가능. 이후에는 환불 불가합니다.
◦본 콘퍼런스는 주차지원이 불가합니다.
[발표 주제 안내] - *주제 및 연사자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안정성 높일 고성능 방열 소재 - LG화학 박재찬 팀장/엔지니어링소재.개발.e-Mobility소재 프로젝트 리더
◦ 세계 최고 수준의 배터리 PU 방열 소재 - 헨켈 정현준 차장 / 자동차 컴포넌트 사업부
◦ 실리콘계 배터리 방열 소재 양산 - 코모텍 윤재만 대표
◦ 전기차용 방열·방염 솔루션 - 나노팀 유일혁 연구소장
◦ BMS 기능안전 설계 - 미섬시스텍 유한주 상무
◦ 배터리 안전의 최후 보루 버스트 디스크 - 블루캡캔 김상학 대표
◦ 화재 이상 징후 'Off gas' 사전 감지해 막는 센서 '리튬이온 테이머' 티팩토리 이주광 전무
※ 디일렉 멤버십
멤버십 안내 (kzread.info/dash/bejne/o2Gs266HaNzJd7g.html)
멤버십 가입 (kzread.info/dron/2GRwEADsEKEX5k-Xg9YphA.htmljoin)
※ 디일렉 멤버십 혜택
[디일렉 영상 하루 빨리 보기]
디일렉 영상은 기본적으로 모두 '무료'이지만, 후원해주시는 분들께는 영상을 하루 빨리 볼 수 있는 혜택을 드립니다.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Пікірлер: 73

  • @user-kk8rz8ix5y
    @user-kk8rz8ix5y Жыл бұрын

    이차전지 요즘많이 나오는거 보니까 전기차가 대세는 대세네

  • @user-me8mb3oq4q
    @user-me8mb3oq4q Жыл бұрын

    어려운 이론을 들으면 알 수 있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장하고 반복해서 봐야겠습니다.

  • @goldpalmmas3396
    @goldpalmmas3396 Жыл бұрын

    양극재는 현재 기술에서 변화가 없고, 음극재의 발전이 필요한데, 이래저래 해도 리튬을 벗어날 수가 없군요.

  • @hez3240
    @hez3240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dg9qb1ub4d
    @user-dg9qb1ub4d Жыл бұрын

    강의가 깔끔하게 정리 해서 설명에 대단히 감사합니다.

  • @batteryjyk3125
    @batteryjyk3125 Жыл бұрын

    귀에 쏙쏙 이해가 바로바로 되는 설명! 명강의이십니다.

  • @user-jt8gb3op3r
    @user-jt8gb3op3r Жыл бұрын

    2차전지에 대해서 좀더 많은 이해를 얻었습니다 전부 이해가 되지는 않지만 장차 우리나라 2차전지 기술이 어디로 향해서 가야하는지에 대해 그 흐름을 알게된듯 합니다 기술적인 이해가 전혀없는 저희같은 사람들도 쉽게 알아들을수 있도록 강의 해주셔서 잘 보고 들었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 @user-pz6ty3ce4u

    @user-pz6ty3ce4u

    Жыл бұрын

  • @LolitaGuild

    @LolitaGuild

    11 ай бұрын

    @@user-pz6ty3ce4u 지구 자체가 배터리인데, 이런 복잡한 기술이 필요할까요? 발명가 테슬라의 전기차는 원래 배터리가 없었습니다

  • @juniSir-fn7tn
    @juniSir-fn7tn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gisubkim1982
    @gisubkim198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최고!!!! 감사합니다 ~♡

  • @user-fs6tn7tt9z
    @user-fs6tn7tt9z Жыл бұрын

    와~ 길지 않은 영상에 깊은 내용을 깔끔하게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정도의 중요성이 있는지 모르고 테마로만 생각했는데~제가 안일하게 생각했네요~. 좀 더 공부해봐야겠습니다~👏 오늘 영상 감사합니다~💓

  • @oe1118
    @oe1118 Жыл бұрын

    ㅠㅠ 어렵다. 그냥 배터리 관련주에 투자하려고 참고만 하면 되는데. 어쨌든 좋은 정보 잘 듣고갑니다. 한참 더 공부해야겠네요 ㅎ

  • @kim2069
    @kim2069 Жыл бұрын

    2번 3번 봐야겠어요 !!

  • @user-cz7xe1xg5d
    @user-cz7xe1xg5d Жыл бұрын

    와 쩐다...

  • @user-me9to5jn6u
    @user-me9to5jn6u Жыл бұрын

    이제 밧데리상용화. 시작인데 먼 미래는 나중에 . 😊

  • @a49301794
    @a49301794 Жыл бұрын

    8달러 현수는 리튬 가격 내려갈꺼라고 하던데.....리튬 사용은 늘어나겠네요

  • @user-vm2zv9mh5v

    @user-vm2zv9mh5v

    Жыл бұрын

    개현수

  • @LolitaGuild

    @LolitaGuild

    Жыл бұрын

    배터리 성능은 지금도 충분하고, 가격은 대량생산하면 줄어들거고, 문제는 발전소와 충전소임. 우리나라 자동차들을 전기차로 모두 바꾸면 우리나라 전력 총생산량을 넘어섬. 즉 지금 있는 것만큼 발전소를 더 지어야 함

  • @jihoonjang3737

    @jihoonjang3737

    Жыл бұрын

    ​@@LolitaGuild 광물이 40%이상이라 더이상싸지기 힘들어요

  • @LolitaGuild

    @LolitaGuild

    Жыл бұрын

    @@jihoonjang3737 이미 싸지고 있습니다. 광산을 계속 찾아내고 있거든요. 그리고 환경 파괴 때문에 못 캐는거지, 중국이 계속 자원을 무기화 하면 다른 나라도 못 캘건 없음

  • @kim2069
    @kim2069 Жыл бұрын

    와...대박....누구지 ?? 하고 봤다가.....거대한 지식을 얻고 갑니다...

  • @user-we4cy8no2w
    @user-we4cy8no2w Жыл бұрын

    차세대 전지까지 감안하면 우라나라 이차전지의 시조새 LG화학은 반드시 투자해야 되겠네요

  • @KyeongTV1202
    @KyeongTV1202 Жыл бұрын

    엇... 우리 교수님이다. 대단하신 분😊

  • @user-xr4nm2bh3e

    @user-xr4nm2bh3e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자랑좀 해보세요

  • @youngkim4829
    @youngkim4829 Жыл бұрын

    리튬 과잉 공급으로 가격하락 한다는 애널들은 진짜 애널이다.

  • @namheelee4331
    @namheelee4331 Жыл бұрын

    수소에 대한 설명할수 있는분도 모셔서 설명 해주시면 좋겠어여

  • @user-sp6eh7cr1f
    @user-sp6eh7cr1f5 ай бұрын

    꿈에 베터리 전고채 포홀은 완성 수직계열로 자원 리튬광산 보유 위대한 포홀

  • @user-wr2my6hr4l
    @user-wr2my6hr4l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이차전지 주주로서

  • @user-ed9hn2sh9q
    @user-ed9hn2sh9q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언제 데리튬금속 전지릏 상묭화가 가능합니까?

  • @user-tq8sw1se4l
    @user-tq8sw1se4l Жыл бұрын

    애들 배터리회사 신규채용 엄청나게 많이 하던데 화학공학과 보내야겠네요. 생명공학과, 전자공학과 경쟁터졌는데 이제 화학공학과가 터져나겠네요.

  • @mihoriva

    @mihoriva

    10 ай бұрын

    졸업하고 나면 그때되서는 어찌될지 모르는데 잘생각해야돼요

  • @user-ys1bl7qj3w
    @user-ys1bl7qj3w8 ай бұрын

    말씀하신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안전성은 어떠합니까 박사님

  • @alphago410
    @alphago410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착각하셨네요 1족 알카리 금속중 가장 반응성이 강한건 아랬쪽 세슘, 프란슘 쪽입니다. 리튬은 가장 반응성이 낮은 1족원소가 되겠고 그래서 전지로 만들기가 용이한편 입니다.

  • @user-kv6mo5tt3o
    @user-kv6mo5tt3o Жыл бұрын

    ●●2차전지 베터리의 선지자 박순○ 작가께서 posco홀딩스 3년후에 주가를 2.000% 846만원 가신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 @priceless4979

    @priceless4979

    8 ай бұрын

    ㅋㅋ 웃기네여

  • @user-du1jj6tr8j
    @user-du1jj6tr8j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싸고 에너지밀도 높은 배터리 연구하는 연구자들 특허 사용료 50억 받고 영업이익 1%받아도 ㅋㅋ

  • @user-kv6mo5tt3o
    @user-kv6mo5tt3o Жыл бұрын

    ■■posco홀딩스=양극재 음극재 전구체 전고체 폐베터리 리튬 전기차구동모터 천연가스 수소 풍력 핵융합 철강 원자력 자원개발 배당금(포홀3.33%/삼전2.05% 2023,5,27 기준).

  • @dsjung5414
    @dsjung541410 ай бұрын

    우째꺼나 리튬이 정말 중요하긴 하네

  • @priceless4979
    @priceless49798 ай бұрын

    엘앤에프와 JVA 를 설립한 연세대의 뉴스군요. 좋은 기술력의 양산 상용화 기대합니다

  • @user-nx3jr8je9m
    @user-nx3jr8je9m6 ай бұрын

    엔솔이 이번에 덴드라이트 해결 했는데 상용화까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

  • @silsigan
    @silsigan6 ай бұрын

    무음극은 최근 sdi가 특허출원한걸로 아는데..

  • @user-nj1dj2tw3f
    @user-nj1dj2tw3f Жыл бұрын

    리튬 전극/금속을 대량생산하는 업체가 세계/국내에 있나요???

  • @user-ol3mr8mv6n

    @user-ol3mr8mv6n

    Жыл бұрын

    비츠로셀

  • @user-nj1dj2tw3f

    @user-nj1dj2tw3f

    Жыл бұрын

    @@user-ol3mr8mv6n 그런가요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ptahoteff
    @ptahoteff Жыл бұрын

    Estrema Fulminea라는 슈퍼카가 쓴다는 솔리드 스테이트 셀이란게 이겁니까? 공급사는 벨기에의 Avesta Battery Energy Emgineering 이라는 회사애요.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 회사의고체 셀 + 슈퍼커패시터로 하이브리드 팩을 구성했답니다. Estrema의 설립자인 Gianfranco Pizzuto는 예전에 피스커 설립 멤버였고, 미국서 투자자로 활동하다가 이탈리아로 돌아가 창업했더군요.

  • @user-ts7uf7cr8o
    @user-ts7uf7cr8o Жыл бұрын

    어렵다

  • @daehochoi8496
    @daehochoi84966 ай бұрын

    리튬메탈음극재 공동개발중인 SKC/포홀이 있습니다. 연계하여 최근 LG엔솔이 900km 주행비전을 제시했는데, SKC포홀의 리튬메탈음극재와 연관된 거 같습니다. 원래 26년 개발완료였는데 25년으로 당겨질수있다는 이야기가 개발업체로부터 나오고 있습니다.

  • @franciskoh7850
    @franciskoh7850 Жыл бұрын

    무음금 배터리면 켐트로스가 개발한것 같은데 그시대가 오는것인가

  • @user-ub9ih9qy5m
    @user-ub9ih9qy5m5 ай бұрын

    리튬메탈 관련주 미국 SES가 세계최초로 25년 리튬메탈 배터리 상용화를 위해 현대차와 B샘플 공동협약을 했네요

  • @DltptkddldnldpsirkdlTek
    @DltptkddldnldpsirkdlTek6 ай бұрын

    GM이 LG엔솔과 개발한 리튬메탈배터리인 얼티움배터리로 7000만원 이상하던 실버라도 엔진형식 경트럭을 전기트럭으로 4000만원대로 내놓는답니다. 200kw배터리, 700km주행 가능하다네요. 배터리가격이 기존의 반도 안되나 보네요.

  • @changwooson1986
    @changwooson19869 ай бұрын

    만들어주세요

  • @PrivateVoid
    @PrivateVoid Жыл бұрын

    LG화학연구소 출신이시자, 현 연세대 교수님의 리튬메탈 음극재 관련 동영상입니다. 아직까지는 갈 길이 먼 기술이지만, 모두들 현업에서 열심히 연구중이니, 미래에도 국내 이차전지의 성장성은 밝다고 보여집니다. kzread.info/dash/bejne/qYBmyq6AYq3QY7Q.html

  • @jihoonjang3737
    @jihoonjang3737 Жыл бұрын

    리튬은 이래저래 사용량이 늘어나겠네

  • @LifeHistory287
    @LifeHistory287 Жыл бұрын

    의문점이 몇개잇습니다. 1.리튬금속이 지금의 음극제 역할을 한다면 양극제는 머로 하는가??? 를 모르겟네요 양극제도 리튬으로 하지는 않을거자나요??? 2.자동차에는 많이 안쓰이지만 드론에 사용한다??? UAM 이라는것은 사람이 타는거에요 근대 불안정한 리튬메탈전지를 넣어서 터져도 상관없다??? 그러타면 그냥 성층권에서 날아다니는 무인UAV에다 넣는다면 가능할수도 잇지만 수소연료스텍이 더 오래가지 않을까요??? 머하러 저 비싼 리튬메탈전지를 넣을까요??? 3.자동차에 안쓰일건데 머하러 시장이 작은 UAV UAM 드론등에 넣어야할까요??? 극소량 만들어서팔자??? 시장논리에 어긋나지 않나요??? 자동차에 들어가야 많은 전지를 탑제하고 연구비도 뽑고 생산비도 낮추고 할거 아닌가요??? 4.리튬메탈전지가 상용화가 30년도 이후라면 머하러 굳이 전고체 밧데리를 낫두고 리튬메탈을 쓸까요??? 차나리 리튬메탈전고체 밧데리라는걸 만드는게 더 낳지 않을까요??? 어짜피 리튬메탈도 상용화되면 비싸고 지금의 황화물계전고체도 비싸다면 조금더 안정화된 황화물계전고체밧데리를 사용해야되지 않나요??? 결론: 리튬메탈은 불안정한 리튬을 메탈로 만들어서 흑연을 대체하는면에서 괸찬치만 영상에서도 말씀하셧듣이 덴트라이트가 쏫아 오르는데 그걸 못막으면 터진다??? 그냥 실험실용 연구 과제라고 봅니다. 이것저것 다 수학처럼 대입하다보면 니튬보다 더 좋은 화합물금속체을 만들어 내게될날이 올겁니다.

  • @DingDongBull

    @DingDongBull

    Жыл бұрын

    1. 양극재는 기본적으로 음극재의 선택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삼원계/LFP도 사용 가능합니다. 전해질도 마찬가지 맥락에서는 전고체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체 연구 동향을 다 꿰고 있지는 못하지만, 리튬 메탈 음극에 전고체 전해질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가 논문 파이가 제법 큰 것 같아요) 2. "UAM"에 쓴다고 안했고, "드론(무인)"에 쓴다고 했습니다. 수소연료전지는 저장 방식(내압 탱크 설계) 등의 곤란함이나 배터리 대비 출력 성능을 내기 까다로운 점을 고려했을 때,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처럼 간단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수소 탱크 달고 날아다니는 드론을 상상하다보니 차세대 고용량 전지의 미래가 오히려 더 밝아보이네요. 3. 노트북 휴대폰 배터리도 결코 작은 시장이 아닙니다.. 이 분은 경영이 아닌 연구를 하는 교수님이고, 시장에 적용되기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이니 양산 단계의 이야기에 익숙하신 분에게는 낯설게 들릴 수 있겠지요. 4. 1번에서 말했듯이 리튬메탈 음극에 전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전지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알고 계실 법한 배터리 업체들의 전고체 전지 연구도 상당수는 리튬 메탈 음극 기반입니다. 결론: 말씀하신대로일 수도 있습니다. 덴드라이트는 매우 오래된 문제이지만 현재도 근본적으로 해결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듯 합니다. 그럼에도 리튬 메탈 음극을 고집하고 매달리는 것은 학계와 산업에서 이것이 "성배(holy grail)"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흑연보다 10배 적은 무게로 동일한 용량을 나타낼 수 있고, 리튬 이온 기반에서는 이것보다 높은 용량이 나올 수가 없습니다. 리튬 그 자체니까요.. 또한 양극과 음극은 리튬 이온 기반이라면 어떤 재료건 반드시 리튬 원소를 포함할 수 밖에 없습니다. (흑연의 경우 충전 시 리튬과 결합된 형태) 영상에서 교수님이 host를 사용한다고 한 것도, 세세한 기작은 다를 수 있겠으나 댓쓴이님이 말하신 "화합물금속체" 개념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 @LifeHistory287

    @LifeHistory287

    Жыл бұрын

    @@DingDongBull 이분야에서 연구하시는 분같은데 댓글 감사합니다. 교수님께서 애기하시는것도 다 이해를 못햇지만 산업화 하는데는 오랜시간이 걸릴거같은 연구과제인것만은 확실하네요 2.번에 uam은 제가 잘못적엇네요 그렇치만 성층권에서 움직이는 UAV는 지금 수소스텍으로 가는걸 많이 연구하고 잇는걸로 압니다 체공시간도 길어야하고 어쩌면 UAV는 지구에서 가장가깝게 떠잇는 인공위성이지 싶습니다. 3.번에 휴대폰 노트북쪽으로 들어가기에는 너무 오랜시간이 걸리지 않을까요? 그거보다는 웨어러블 기기 휴대폰 노트북은 산화물계전고체 밧데리가 지금 개발이 됫고 그게 대체될걸로 생각됩니다. 한국도 개발햇고 일본도 개발햇으니깐요 아무튼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kjlee5280
    @kjlee5280 Жыл бұрын

    응잉? 뭔가 착각한것 같은데.... Li은 + 전하를 띠는데........

  • @DingDongBull

    @DingDongBull

    Жыл бұрын

    리튬 이온이 +전하를 띠는 거고 음극으로 사용되는 리튬 금속은 전하나 극성을 띠는 것이 아닙니다. 흑연이나 ncm, lfp 양극도 다 마찬가지구요. 전지에서 양극과 음극은 각각 방전 방향으로 전해질과 만나 환원 반응, 산화 반응을 거쳐야 합니다. 간단하게는 전극 전위가 높을 수록 환원 반응에 유리하고 낮을 수록 산화 반응에 유리하구요. 리튬은 1족 원소이기 때문에 쉽게 산화됩니다. 앞서 말한 내용을 토대로 하면 전극 전위가 매우 낮은 편이니 음극으로 적합한 것이지요.

  • @Ghayejin
    @Ghayejin4 ай бұрын

    지난 20몇년간 같은 이야기 계속 반복인데 왜 못하고 있을까요????? 차세대3가지 모두.

  • @user-uj5lf7zu2c
    @user-uj5lf7zu2c10 ай бұрын

    리튬 금속 전지의 경우에 리튬 금속의 전해질이 액체라서 상당히 불안정하고 폭팔의 위험이 큽니다. 그러나 다이너마이트를 보면 처음에는 액체로 만들었다고 가루로 그리고 지금은 고체. 막대기로 만들었습니다. 전해질도 액체가 아닌 고체가루로 고체가루가 아닌 고체 막대기로 만들어서 다이너마이트의 안전성을 높이듯이 전해질도 고체 막대기로 만들어서 전해질의 불안전성을 없애야 합니다. 그리고 리튬 금속 전지의 폭팔성을 이용해서 전쟁에 쓰는 것도 역발상 중의 하나입니다. 리튬 금속전지의 불안전성과 폭팔성을 역이용해서 드론에 장착해서 적의 무기들을 깨부수는 역할을 한다면 새로운 무기체계를 가질수도 있습니다. 김도헌 올림.

  • @user-eq4gk7el1g
    @user-eq4gk7el1g6 ай бұрын

    리튬값 등락좀 안심했으면 ~~

  • @hongdenny2593
    @hongdenny2593 Жыл бұрын

    전위가 여기서 의미하는바가 뭐죠

  • @DingDongBull

    @DingDongBull

    Жыл бұрын

    아마도 전지의 전압과 혼란이 있으실 듯합니다. 교수님이 이야기하는 내용은 반쪽 반응의 전위로, 전지의 전압은 양극의 전위와 음극의 전위 사이 차로 결정됩니다. 고등학교 화학에서 이야기하는 표준환원전위 또는 표준전극전위를 알고 계시다면 그 개념을 떠올리시면 되겠습니다. 자유에너지와 관련이 있지만 간단하게만 설명하면, 숫자가 높아질 수록 환원이 잘 되는 물질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수소표준전극 기준으로, 대략 칼카나마알아철니주납수구수은백금(고등교육과정에서 공통으로 배워 잘 알고 계실 만한 금속의 산화 반응성 순서)의 순서로 전극전위는 높아지는데요, 주기율표 왼쪽에 있는 리튬의 경우 전자를 잃고 산화하기 쉬우므로 이러한 전위가 매우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0V라고 영상에서 언급된 것은, 기적적으로 0이라는 숫자가 나온 것이 아니라 리튬 대비 0V라서 그런 것입니다. 수소표준전극을 제외한다면 일반적으로는 리튬만큼 산화가 잘 되는, (전위가 낮은) 전극이 없으니 이를 표준전극으로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결론적으로는, 에너지(용량*전압)를 늘리는 방향에서는 전압이 높은 양음극 조합을 사용해야 하는데, 전압(양극전위-음극전위)을 늘리려면 전위가 높은 양극과 전위가 낮은 음극을 사용해야한다는 점에서, 리튬 또는 수소가 최종 종착 지점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 @chumlee225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1등❤

  • @hskim7584
    @hskim758411 ай бұрын

    많이 배웠고 감사드림. 그러나 우리나라 학자들의 공통적인 병을 가지고 계심. 왜 예를 들어 "아연"을 굳이 "징크"라 해서 이유없이 더 헷갈리게 만드는지요? 어차피 이 강의의 목적은 알려주기 위한 것 아닌가요? 그렇다면 쉽게. 더구나 내 제자가 아니라 알반인이라면 더욱 더 쉽게. 쉽게 설명하는 사람이 더 실력자임.

  • @ppowermail
    @ppowermail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이온 배터리 전망 있나요? 중국산 인산철 배터리에 밀려서 태양광처럼 망할거라 하던데요.

  • @user-tk8my3kt3e

    @user-tk8my3kt3e

    Жыл бұрын

    인산철배터리는 NCM배터리에 비해 무거워서 주행거리가 짧습니다. 중국의 싼차에만 적용하고 있습니다.(BYD는 블레이드배터리라고 해서 SUV도 적용중) 중국의 비싼차에는 NCM523 또는 NCM622를 적용함. 한국은 NCM811양산중 (인산철배터리는 무게와 관계가 적은 에너지저장장치에 유리함) 차량에는 NCM이 유리하지만 고객이 인산철을 찾을 것에 대비해서 SKON에서 이미 인산철배터리 개발함. LG엔솔에서는 에너지저장장치용 인산철배터리 개발중 미국은 IRA법 만들어서 중국산은 침투하기 어렵게 만들었고, 배터리3사 수주잔고가 22년말 775조, 올해말에는 1000조가 될 거라고 합니다. 망할거라는 걱정보다 주가가 몇배가 오를지 생각하시는 것이... 다음은 머니투데이 기사 : news.mt.co.kr/mtview.php?no=2023020510574216831

  • @user-pl1vz7kn9a

    @user-pl1vz7kn9a

    9 ай бұрын

    공부좀해라 인간아. Lfp가 뭔데? 줘도 안하는 배터리인데, 286컴이 슈퍼컴 밀어내냐?, 공부좀하자

  • @goben2023
    @goben2023 Жыл бұрын

    배경음악이 거슬립니다 말에 집중이 안됩니다

  • @donghyunkim2237
    @donghyunkim2237 Жыл бұрын

    그럼 만드세요 말만 하지말고 하여튼 전세계 최고의 배터리 관련 기술을 선도하는 곳은 한국의 2차전지 업체 이고 여기에 종사하는 분들이 진짜 전문가 이시죠

  • @whistler750
    @whistler750 Жыл бұрын

    교수가 자신을 소개할 때는 끝에 "모모대학 아무개 교수입니다"가 아니라 "모모대학 아무개입니다"로 말하는 것이 옳은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