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볼 위스키 유행에 하이트진로가 웃는 이유 (w. 주락이월드 조승원 기자) | B주류경제학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리차드 퀸 떡상 가즈앙
재무덕후 이재용 회계사🤓와 함께하는
소비문화 디깅 토크쇼, B주류경제학
매주 목요일 오후 6시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Пікірлер: 247

  • @Moneygraphy
    @Moneygraphy10 ай бұрын

    📌 21:38 여러분이 추천하는 입문용 위스키는 무엇인가요? 댓글로 남겨 주세요!

  • @Surfinggrandma

    @Surfinggrandma

    10 ай бұрын

    글렌피딕 12년이요!

  • @user-nj1nz8ss2m

    @user-nj1nz8ss2m

    10 ай бұрын

    아드벡이요!!

  • @justinkim126

    @justinkim126

    10 ай бұрын

    역시 초보가 마시기 편한 위스키는 발베니 12! 주변에 위스키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 병 씩 들고 있을테고 맛보여 달라고 하면 기꺼이 한 잔 내줄거예요.

  • @sanghyeonshim821

    @sanghyeonshim821

    10 ай бұрын

    벤리악12입니다!

  • @sicheongja7724

    @sicheongja7724

    10 ай бұрын

    입문하기에는 발베니가 좋지 않을까 생각해요. 조승원 기자님은 블랜디드 위스키로 입문하는게 좋다고 얘기하셨는데 개인적으로는 싱글몰트가 더 낫지 않을까라고 생각해요. 제가 싱글몰트로 입문해서 그럴 수도 있고요. 그리고 가능하면 그 어떤 위스키든 입문할땐 12년보다 더 오래 숙성된걸 드셔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해요

  • @Brand_story
    @Brand_story10 ай бұрын

    조승원 선배 옆에 있으면 위스키를 계속 마시게 되는 장점이자 단점이 있는데.. ㅎㅎ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토스 화이팅!

  • @Moneygraphy

    @Moneygraphy

    10 ай бұрын

    누추한 곳에 귀인께서...🧡 앞으로도 지켜봐 주세요 소비더머니도 화이팅!

  • @Lennon2824
    @Lennon282410 ай бұрын

    더더 자주올려주시면 좋겠습니다ㅋㅋ

  • @younggun7002
    @younggun700210 ай бұрын

    오 조승원 기자님 여기서 뵈니 반갑네요^^!

  • @justinkim126
    @justinkim12610 ай бұрын

    꺄 조승원 기자님 넘 조아요!

  • @justinkim126
    @justinkim12610 ай бұрын

    하 벌써부터 2편 너무 기다려요!

  • @jcj977
    @jcj97710 ай бұрын

    주류경제학이 되어버렸고요~!!!♥♥

  • @torido758
    @torido7584 ай бұрын

    조승원 기자님은 말을 너무 재미있게 잘하셔서 나도 모르게 빠져든다.

  • @user-se3fq2kj3s
    @user-se3fq2kj3s10 ай бұрын

    하이볼이 위스키보다 오래 간다 > 공감입니다! 특히 한국에선 ㅎㅎ

  • @cannothelpyou
    @cannothelpyou10 ай бұрын

    와우! 재밌는분들 다 모였네요~~~~

  • @zzang1919
    @zzang191910 ай бұрын

    드디어 올라왔다 ~ 엄청기다렸어요

  • @user-rw2tg4rm1y
    @user-rw2tg4rm1y10 ай бұрын

    그 동안 비주류를 다루시다가 오늘은 주류를 다루시네요?

  • @user-rw2tg4rm1y

    @user-rw2tg4rm1y

    10 ай бұрын

    발베니 추천 합니다.

  • @user-jh4bi2no2y

    @user-jh4bi2no2y

    10 ай бұрын

    오ㅋㅋㅋ 좀 치시네ㅋㅋㅋㅋ

  • @user-uu4gk6po9u

    @user-uu4gk6po9u

    10 ай бұрын

    오우..

  • @user-vr9wm6sb5y

    @user-vr9wm6sb5y

    10 ай бұрын

    뿌뿌뿌뿌이~~

  • @yes_eul

    @yes_eul

    10 ай бұрын

    찢었다

  • @GreenChorizo
    @GreenChorizo10 ай бұрын

    진짜 고급 토닉워터는 찬성이에요 지금 진로는 너무 달고 인공적이어서 잘 안찾게 되더라고요. 그냥 탄산수를 타서 먹는게 더 맛있는..

  • @teeseo0486
    @teeseo048610 ай бұрын

    저는 우리나라가 술 마시는 스타일이, 모든 술을 니트로 먹는 것보다는 하이볼아니면 싱글캐스크로 니트마시는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RTD제품은 법때문에 잠깐 반짝할 것 같고, 가볍게 마시는 스타일의 우리나라에서 무겁고 느끼는 술인 위스키가 더욱 잘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물론, 주세법이 개정되면 맥주와 경쟁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jaeminryou9831
    @jaeminryou983110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인도위스키는 거품도 안끼고 향도 어마어마하고 호불호 있을 듯한 맛이 참 재밌습니다. 우리나라 들어오는건 글랜스택 이런거 아니고서야 괜찮습니다. 휘슬러같은건 가성비 아주 좋다고 생각함. 암룻 인디안몰트 맛과 흡사. 비싼거라면 뭐 요즘 유행탄 폴존 올로로쏘.. 그리고 제 기준으로 위스키 마셔본 것 중 다섯손가락 안에 드는 암룻 스펙트럼 추천합니다.

  • @bradlee8529

    @bradlee8529

    10 ай бұрын

    구할수 없는 술은 ㅠㅠ

  • @user-vs6lc3ll3p

    @user-vs6lc3ll3p

    10 ай бұрын

    겐지스 암내...

  • @oneittv

    @oneittv

    10 ай бұрын

    인드리.어떠신지 의견좀 구합니다.

  • @joongheeshin6799
    @joongheeshin679910 ай бұрын

    조승원기자님이라니 비주류경제학 폼미쳐따

  • @user-lm2mf2gq1k
    @user-lm2mf2gq1k10 ай бұрын

    넘 재밌당

  • @merchibeauccum
    @merchibeauccum8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당

  • @jiwonbaek5416
    @jiwonbaek541610 ай бұрын

    왜 쉬고 왔오!! 머니그라피!!! 기다렸자나!!!

  • @jaeminryou9831
    @jaeminryou983110 ай бұрын

    하이트진로가 피버트리/토마스 헨리 70%쯤만 따라갈 만한 제품을 한 2~30%쯤만 더 비싸게 만들면 혁명이 일어날거라고 봅니다.

  • @user-ui7nc4si6q
    @user-ui7nc4si6q9 ай бұрын

    기자님 성격이 너무 좋아보이시네용

  • @user-zb6tc2qi8l
    @user-zb6tc2qi8l9 ай бұрын

    위스키붐이 꺼져도 이제는 하나의 주류 문화로 자리잡힐거같습니다.

  • @younggun7002
    @younggun700210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토닉워터 감미료 맛이 너무 쎄서 인공느낌이 너무 강해요. 조금 더 자연스러운 맛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 @dhwnd

    @dhwnd

    10 ай бұрын

    토닉시럽 직구해서 쓰면 좋아요

  • @chesshasoo

    @chesshasoo

    6 ай бұрын

    쓴맛이 날정도로 인공적이라 그냥 하이볼은 캐나다드라이 진저에일로만

  • @davidchang4559
    @davidchang45595 ай бұрын

    So interesting!!

  • @user-tx1kw2sn7u
    @user-tx1kw2sn7u10 ай бұрын

    저기 가지고 계시는 글렌그란트 15년 입문으로도 좋습니다 도수는 50도라 좀 쎄긴한데 가격도 괜찮고

  •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10 ай бұрын

    96,97년 기사 "젊은층 골프 인구 역대 최고" "주류 수입량 역대 최고 위스키 인기" 작년 올해 기사랑 똑같은 기시감이 생기는건...

  • @wonjaelee-yo9bt

    @wonjaelee-yo9bt

    10 ай бұрын

    그렇죠, 유행일 뿐

  • @mcs4239
    @mcs423910 ай бұрын

    위스키는 거품이라고 해도 꺼지는게 확실히 서서히 완만해지지 않을까 예상함 일단 공급을 확 늘릴수가 없음...

  •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10 ай бұрын

    조니블랙은.. 정말로... 정말로 괜찮은 위스키임. 가격 생각하면 더더욱 그렇지만.. 그냥 자체로도 아주 밸런스가 훌륭한 위스키임. 피트도 적당히 있어서... 스카치 전통느낌도 살아 있고

  • @user-nm8lv7pc6e

    @user-nm8lv7pc6e

    10 ай бұрын

    5만원대 위스키에서는 조니블랙을 잡을게 없죠ㅋㅋ

  • @hjinjj9698

    @hjinjj9698

    10 ай бұрын

    조니블랙을 5만원 주고 사야한다는 현실이..

  • @user-kc7wq4yi1v

    @user-kc7wq4yi1v

    10 ай бұрын

    조니 블랙 좋나요? 발베니 맥켈란 바께 안마셔서리...

  • @user-sf7je9gl3l

    @user-sf7je9gl3l

    10 ай бұрын

    ​@@user-kc7wq4yi1v 브랜드를 마시는 분은 조니블랙에 만족 못하실듯

  • @pjj7223

    @pjj7223

    10 ай бұрын

    @@user-kc7wq4yi1v 10만원대를 넘어서 20만원대를 향하는 발베니 맥켈란하고 5만원대 조니 블랙은 비교 대상이 아니죠

  • @user-px7qu2to9j
    @user-px7qu2to9j5 ай бұрын

    듀어스 진짜 부드럽고 달달하고 맛나서 가성비 데일리로 즐기기 좋죠 ㅋㅋ

  • @bibibick_826
    @bibibick_82610 ай бұрын

    저두 일본살때 이쵸 나마츄 많이 주문했어유ㅋㅋㅋㅋ

  • @user-yg4se5oy3k
    @user-yg4se5oy3k6 ай бұрын

    술 안마시지만 재밌네요 기자님 졸귀ㅎㅎ

  • @user-if1xp1fs5f
    @user-if1xp1fs5f10 ай бұрын

    다른 위스키 몇병 종류별로 먹다가 조니블랙 3일전에 에이징된거 먹었는데먹다가 감탄함 ㅋㅋ 이게 이렇게 맛있는 술이었나? 하고 ㅎㅎ 결국 돌고돌아 조니블랙 인정합니다

  • @Four_Cat
    @Four_Cat10 ай бұрын

    리차드퀸!!!! 두병 흰색검정 존버중!!!!30대 간수치165찍은 아조씨의 보물!

  • @burcelee2235
    @burcelee22355 ай бұрын

    정확히 국산 맥주 회사는 몇군데 있나요 ... 궁금 하네요 ...

  • @jaeminryou9831
    @jaeminryou983110 ай бұрын

    하이볼로 갈때까지 간 사람만 아는 비밀팁인데 그 코스트코 바베큐 시즈닝있잖습니까 그거 플레인 탄산수에 한꼬집 넣으면 고기와 말도안되게 잘 어울립니다.

  • @enen1318

    @enen1318

    10 ай бұрын

    오.. 무슨 맛이 나나요 궁금하네요

  • @user-ks7wo6pf7r

    @user-ks7wo6pf7r

    10 ай бұрын

    고기랑 시저 칵테일 드셔보세요 나름 잘어울려요

  • @user-gt3xz6wo3o
    @user-gt3xz6wo3o10 ай бұрын

    알사탕 회계사선생님 이곳저곳 불려 다니느라 바쁘시넹 ㄷㄷㄷ

  • @user-mk8qc3ol5w
    @user-mk8qc3ol5w10 ай бұрын

    20년 전쯤 소주의 알콜도수가 낮아지던 시절이 떠오르네요 ㅋ

  • @user-se3fq2kj3s
    @user-se3fq2kj3s10 ай бұрын

    선댓후감!

  • @user-bp7lb9ef6u
    @user-bp7lb9ef6u10 ай бұрын

    아티스트 콜라보 위스키 메모메모…..

  • @user-cq5ng4db7t
    @user-cq5ng4db7t9 ай бұрын

    술찌여서 맨날 하이볼 먹어요 ㅋㅋㅋㅋㅋㅋ 비싸긴 해도 그냥 술에 토닉워터 쓰까먹으면 맛있어서 걍 계속 잘 팔릴듯.. 안먹는 애들이 토닉워터 섞어서 더 많이 마시는 것 같아요

  • @user-bl3lq4jc4z
    @user-bl3lq4jc4z10 ай бұрын

    주당이 아닌 알쓰가 봐도 재밌는 머니그라피!

  • @user-zz7hx5hh3v
    @user-zz7hx5hh3v10 ай бұрын

    얼음사니 하이볼을 주던데 ㅋㅋㅋㅋㅋ 우리나라 장사치들이 너무 좋아하는 흐름이죠 ㅋㅋ

  • @portenix73
    @portenix7310 ай бұрын

    듀어스12 이거 예전 남대문 당골 매장에서 미니어처로 주셧는대 좋내요 블랜디드 의외였습니다 그리고 저는 주류 경재학 이라 하셔서 주류 위주로 하시는줄 알았는대 않이였내요 주류 경재학 이시면 혹시 체널 있으시면 링크 남겨주세요 가서 봐야죠 설마 이 체널 두분이 하시는건가요 같이?

  • @chaptang
    @chaptang10 ай бұрын

    진짜 넋놓고 23분이 지나갔네

  • @mobilemin2023
    @mobilemin202310 ай бұрын

  • @limeorangejuice
    @limeorangejuice10 ай бұрын

    진로 토닉 은 강화탄산 버전과 합성감미료 맛을 좀 낮춘 기본형을 내놔라. 거의 설탕물임

  • @KORSystem

    @KORSystem

    10 ай бұрын

    ㄹㅇ. 일단 감미료 양을 절반으로 낮춘 다음에 그 맛을 토대로 제로, 탄산강화 등등 버전이 나와야 함

  • @cjdtks2000
    @cjdtks200010 ай бұрын

    기자님 위스키 방어해서 블랜디드 위스키 말씀해주신거 감사합니다 덕분에 경쟁자들 생성이 안되네요 ㅎㅎㅎ

  • @Mungmmmmung
    @Mungmmmmung10 ай бұрын

    재용님이 안스타님 얘기를 꺼낸 것은 방송 끝나면, 주락이 기자님이 위스키도 보내달라는 깊은 뜻이 있었던 것 같네요🤣😂

  • @user-se3fq2kj3s

    @user-se3fq2kj3s

    10 ай бұрын

    그건좀..

  • @user-zu1hn3pk4u
    @user-zu1hn3pk4u10 ай бұрын

    토닉워터 보단 탄산수 하이볼이 오리지널 이죠. 일본가도 하이볼 시키면 무조건 탄산수 입니다.

  • @tacit8835

    @tacit8835

    8 ай бұрын

    그니까요. 우리나라 하이볼 너무 달아요

  • @user-zf6yc8lk1u

    @user-zf6yc8lk1u

    7 ай бұрын

    일본 이자카야에서 한국인이 "아니 하이볼이 뭔 달지도 않고 왤캐 슴슴혀?" 한거 생각나네 ㅋㅋ

  • @sangdochoi
    @sangdochoi10 ай бұрын

    토닉워터보단 분다버그

  • @teeseo0486
    @teeseo048610 ай бұрын

    토닉워터도 좋지만 고급으로 진저비어...

  • @family2lee14
    @family2lee1410 ай бұрын

    재용님 얼굴이 유난히 작아 보이는 것은 기분 탓이겠죠..?

  • @user-jz8bl7yx2e
    @user-jz8bl7yx2e10 ай бұрын

    저 기자님, 그 주류학개론? 그 영상에선 대본 읽어서 그런가 괜찮았는데 자유롭게 토론하는 자리에 있으니 대화스킬이 그리 좋진 않네요.

  • @user-yz6jl2yh7s
    @user-yz6jl2yh7s10 ай бұрын

    근데 우리나라에서 하이볼은 위스키가 비싸서그런지 너무비싸서... 일본가서 하이볼먹다가 국내에서 먹으려면 손이안가더라구요.

  • @kikikukiify
    @kikikukiify10 ай бұрын

    빨리 스콜틀랜드 총리가 달라이 라마를 만나야 위스키 가격이 내려 갈듯

  •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10 ай бұрын

    맥 18 2017... 30만원대 사놓은거.. 지금 150만원정도 거래 되더라.. 그때 두병 샀는데.. 한병은 환불한거.. 그냥 가지고 있었어야 했는데 ㅋㅋ 다른거 할거 없이.. 그냥 맥캘란 18년 매년 나오는거 하나씩 사놓으면 됨. 10년 뒤엔 4-5배는 올라있을거임.

  • @user-sf7je9gl3l

    @user-sf7je9gl3l

    10 ай бұрын

    따지도 못할 술 사서 뭐해요ㅋㅋ

  • @geonwoo198

    @geonwoo198

    6 ай бұрын

    위스키는 마시려고 사라 뭔 제테크도 아니고ㅋㅋㅋㅋ

  • @user-uw6wo1fj6l
    @user-uw6wo1fj6l10 ай бұрын

    맛 문제는 아니고 하이볼은 가격 때문에 성장은 하겟지만 한계가 잇을듯 보통 하이볼이 소주1병 맥주1병가격인데 이 소맥조합을 이기는게 힘들지 않을까 싶다ㅋㅋㅋㅋ

  • @user-yc4zh9ee1r

    @user-yc4zh9ee1r

    10 ай бұрын

    하이볼을 집에서 타먹으면 얘기가 달라지죠 ㅎ

  • @user-uw6wo1fj6l

    @user-uw6wo1fj6l

    10 ай бұрын

    @@user-yc4zh9ee1r 술집이나 고깃집에 얼마나 깔리는게 중요하죠ㅋㅋ집에서 소비 얼마나한다고ㅋㅋㅋㅋ

  • @user-gx3wb1qf4s
    @user-gx3wb1qf4s10 ай бұрын

    내가 예언하나 하지… 곧 포트와인의 시대가 올 것이다!! 이글은 성지가 될 것 ㅋㅋㅋ

  • @tigerkj385
    @tigerkj3858 ай бұрын

    공기를 저렇게 맛있게 마시는 사람이 있을까요 ㅋㅋ

  • @HIRIT08
    @HIRIT0810 ай бұрын

    와인으로 갔다가 사케로 갔다가 위스키로 갔다가 전통주로 갔다가 계속 돌고 돌 것 같은데요

  • @SaTan_tori
    @SaTan_tori10 ай бұрын

    주락이월드 주인장 등판 ㄷㄷ

  • @kshziralristic8049
    @kshziralristic804910 ай бұрын

    주류경제학이면 酒流경제학일텐데.. B가 붙어서 非酒流경제학이 된... ㅋㅋㅋ 농담입니다.

  • @joongyulim2104
    @joongyulim210410 ай бұрын

    글렌드로낙 21년산 중에 2022년, 2023년 병입제품. 실제 병입제품은 26-27년 숙성제품임.

  •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10 ай бұрын

    ㅋㅋㅋ 21년산.. 이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신뢰도 바사삭

  • @user-qs3vx8ez8g
    @user-qs3vx8ez8g10 ай бұрын

    술보다 토닉워터로 수익을 올리는 주류회사 ㅋㅋ

  • @honoredvoice

    @honoredvoice

    9 ай бұрын

    하이트진로에서 생수사업부 이익기여낮습니다.. 그냥 쏘주파는게 최고에요

  • @user-vo9hm8rb8d
    @user-vo9hm8rb8d6 ай бұрын

    데낄라 뎃길입니다.

  • @user-es7qg3pk7h
    @user-es7qg3pk7h10 ай бұрын

    맥 18년 사두면 가격 계속 오르지 않을까요? 구경도 하기힘들지만

  • @user-vy4ev9tl8z

    @user-vy4ev9tl8z

    10 ай бұрын

    구형은 가격이 오를 수도 있지만 신형은 글쎄요...

  • @jaewoosong5376
    @jaewoosong537610 ай бұрын

    조선제일검님이 계시네요

  • @user-kg4pc3th6b
    @user-kg4pc3th6b4 ай бұрын

    근데 솔직히 토닉이 맛있긴하나 제로가 대세인 요즘 제로 토닉은 개노맛임 (토닉은 당성분 너무 높음..) 사이다쪽에서 제로 만들어서 하이볼 먹게 출시했다던데 그게 더 손이 갈거같아요

  • @chesareborjia
    @chesareborjia10 ай бұрын

    정보) 우리나라는 사인간 주류 거래가 금지 되어 있다.

  • @user-xs4cl6gh8d
    @user-xs4cl6gh8d5 ай бұрын

    공감하지 토닉워터나 진저에일 뿐만아니고 어떤음료들이던 칵테일하기 너무 인공적인맛이 강함

  • @lightlow1333
    @lightlow133310 ай бұрын

    일본은 그냥 일반인들 매물 올라오고 그러는데...

  • @smlove6264
    @smlove626410 ай бұрын

    제임슨이 가격도 2만원대 이고 맛있더라 집에 쟁겨놓고 먹음ㅋ

  • @okmachine
    @okmachine9 ай бұрын

    09:10 '2022년 매출액이 전년대비 87%늘어 47년 브랜드 역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라는 문장이 왜 감정을 담았다는 거죠? 객관적 사실만을 말한 것 같은데

  • @chesshasoo

    @chesshasoo

    6 ай бұрын

    아마 보통 전년대비 얼마에서 얼마로 몇퍼센트 증가했다 라고만 쓰는게 기본인듯? 00년 브랜드 역사상 최대실적 이런 표현은 보고서가 아니라 기사에 나올 표현이라 그런듯 하네요

  • @user-vr9wm6sb5y
    @user-vr9wm6sb5y10 ай бұрын

    이재용 결핍증 해결..

  • @user-kc7wq4yi1v
    @user-kc7wq4yi1v10 ай бұрын

    한국도 경매좀하자

  • @oneittv
    @oneittv10 ай бұрын

    중궈 때문에 와인도 가격오르고... 부르고뉴는 천상으로 가는데 위스키마저 하늘로 올라가는구나~

  • @LCY0514
    @LCY051410 ай бұрын

    술쟁이들 좋아하는내용 우르르르

  • @Illilillllliiiiill
    @Illilillllliiiiill7 ай бұрын

    사실 위스키 판매량은 하이볼 대중화가 맞다 싱글몰트 즐기는건 좀 아니다

  • @dayday746
    @dayday7465 ай бұрын

    B주류 with be주류

  • @dlrldns
    @dlrldns10 ай бұрын

    앞으로는 주락이월드만 보는걸로...

  • @sigmundfreud4626
    @sigmundfreud462625 күн бұрын

    그냥 강탄산수는 왜 국내것이 없는지 모르겠어요 진짜 하이볼은 강탄산에 타야하는데 맨날 싱하 사야함.. 일본에 TANSAN 한병에 딱 한잔 나오는 이것도 참 좋은데

  • @neou125
    @neou1258 ай бұрын

    기자란 사람이 상대편 말 끝나지도 않았는데 말꼬리를 딱딱 끊어먹네ㅎㅎ..

  • @user-tp2rv5vm1x
    @user-tp2rv5vm1x8 ай бұрын

    솔직히 지금 mz들은 허세로 마시고 남들 다 마시니까 따라 마시는거지 ㅋㅋ

  • @wookkang2322
    @wookkang232210 ай бұрын

    맥주 하이볼 둘다 좋아하는 입장으로 결국 간편한 맥주로 돌아간다 하이볼 잠시 지나가기엔 너무나 핫하지만 저렴이가 아니라서 결국 맥주시장 못뺏어온다

  • @JoRaReGi
    @JoRaReGi10 ай бұрын

    다음주가 진짜구나....개같은 주세.... 교육세는 누굴 교육한다는건지...

  •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

    10 ай бұрын

    교육세가 한국엔 별별군데 다 붙어있는데 미국 교육세를 보면 부동산 보유세가 교육세입니다 그 동네 집 가진 사람들한테 돈 걷어서 그동네 학군에서 쓴다는거죠. 한국은 집주인들에 정부가 쫄아서..

  • @CYB147
    @CYB14710 ай бұрын

    떡상이니 쟁여놓니 이러니까 지들끼리 피터지는 오픈런 중

  • @user-hu2sy8mz4s
    @user-hu2sy8mz4s5 ай бұрын

    임진모씨 인가요?

  • @user-gb3qb7of8z
    @user-gb3qb7of8z10 ай бұрын

    진로토닉 너무 달지 않냐?

  • @Terry-fh7ys

    @Terry-fh7ys

    10 ай бұрын

    ㅇㅇ 너무 달아서 피트 아니면 그냥 탄산수가 좋은듯 ㅠ

  • @user-un1jl8hh3l

    @user-un1jl8hh3l

    10 ай бұрын

    ㄹㅇ설탕물아니냐 ㅋㅋ

  • @21general84
    @21general8410 ай бұрын

    오사사 마츠다 부장이 어떤 흐름을 만들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하이볼에서 뜨면서 위스키에 저절로 관심이 가는거 아닌가

  • @first-man0913
    @first-man091310 ай бұрын

    암튼 녹색병이 쓰레기라는거

  • @user-fg9ji3yr9n
    @user-fg9ji3yr9n10 ай бұрын

    하이볼 개비쌈

  • @hitman12218
    @hitman1221810 ай бұрын

    위스키맛? 10만원 넘는 싱글몰트 위스키를 플레인 탄산수도 아니고 토닉워터,진저에일에 말아먹고 산토리 가쿠빈을 오픈런하는 애들이 위스키맛을 알기는 뭘 압니까

  • @user-jj6yj2bz7e

    @user-jj6yj2bz7e

    10 ай бұрын

    10만원 넘는 싱글몰트 진저에일에 말아먹고 가쿠빈 오픈런 하는게 다수냐? 몇 되지도 않을텐데 쉐도우복싱 쳐하고 있네

  • @hitman12218

    @hitman12218

    10 ай бұрын

    @@user-jj6yj2bz7e 존나 부들거리는게 너구나 가쿠빈 하이볼충

  • @user-ks7wo6pf7r

    @user-ks7wo6pf7r

    10 ай бұрын

    @@user-jj6yj2bz7e 가쿠빈 오픈런 하는 사람들 생각보다 많아요..ㅋㅋㅋㅌㅋㅋ

  • @jy1542
    @jy154210 ай бұрын

    인트로 bgm 바꾸신 이유가 있나요? 이전 bgm이 훨씬 좋았던거 같은데... 물론 개취입니다

  • @shothead9
    @shothead910 ай бұрын

    음. 아. 네.

  • @peterlim5737
    @peterlim573710 ай бұрын

    국내 기업 양산형 소주 맥주가 얼마나 맛대가리가 없었으면 토닉으로 매출 달성하냐ㅋㅋ 그리고 하이볼 열풍은 안 꺼짐. 술집에서 파는 거야 금방 들어가겠지만 집에서 두고 두고 즐기는 사람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임.

  • @DododoHhgg
    @DododoHhgg10 ай бұрын

    뭐가 고급스러운지 얘기를 해주세여 한국 사람들은 먹던 맛입니다

  • @wonjaelee-yo9bt
    @wonjaelee-yo9bt10 ай бұрын

    글쎄요~ 위스키가 돈이 되니 뛰어드는 듯 와인에는 이미 흥미를 잃었기 때문이지, 유행일 뿐 대세는 여전히 소주입니다 그런데 하이트진로 주가는 이미 3년 동안 반토막 이하 ㅋ

  • @An_We
    @An_We10 ай бұрын

    위스키 리셀은 대한민국에서 불법입니다~ 당장 몇년앞보고 사는 멍청한짓 말고 그냥 마시십쇼.. 맛있는거 많습니다..

  • @seeartziwon
    @seeartziwon10 ай бұрын

    주류 되팔이 불법인 나라에서 떡상해봐야 무슨 의미 ㅋㅋㅋㅋㅋㅋㅋ

  • @escaproject

    @escaproject

    10 ай бұрын

    개인간 거래가 불법이지, 남대문 도매상한테 파는건 괜찮을걸요?

  • @user-tk1cw5hh9b

    @user-tk1cw5hh9b

    10 ай бұрын

    불법인거랑 무슨연관인지…

  • @user-lz8ws6uv1m

    @user-lz8ws6uv1m

    10 ай бұрын

    ​@@escaproject남대문 도매상들은 가격 겁나 후려쳐서 받습니다.

  • @user-hj5jp6nn9y

    @user-hj5jp6nn9y

    10 ай бұрын

    어차피 쟁여두는건 십년이상이고.. 그때 뭔 일이 일어나 있을지.. 아무도 모름... 막말로.. 법하나만 바꾸면 될일...

  • @user-uw4mi1me7w

    @user-uw4mi1me7w

    10 ай бұрын

    @@user-tk1cw5hh9b 그니까 애초에 투자목적으로 산다고해도 거래가 불법인데 쟁여두는게 의미가 없다는거에요

  • @user-emiya_kookejja
    @user-emiya_kookejja9 ай бұрын

    중국의 몰락으로 위스키 거품도 다소 꺼질거 같음...제발...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