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거란전쟁 결말, 그 후의 이야기들

Ойын-сауық

여러 논란 속에서 종결된 고려거란전쟁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책 "역주행 고려사"로 바라봤습니다
👉 책 '역주행 고려사' 구매 링크
- bit.ly/3VfWchh
본 영상은 중앙북스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Пікірлер: 51

  • @Franker9510
    @Franker95102 ай бұрын

    죄송할수밖에없지... 배우는 연기 잘했는데 ... 작가가 드라마 산으로 만들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j-tn6hb
    @hj-tn6hb2 ай бұрын

    살아있을땐 혼례 후 죽을 때까지 남편의 사랑을 받은 1비가 승자고 사후까지보면 원성왕후 동생인 원혜왕후가 고려 최후까지 핏줄을 이었기에 승자인거같습니다.

  • @hj-tn6hb

    @hj-tn6hb

    2 ай бұрын

    공교롭게 섬넬에 있는 두사람이네요

  • @gaedomunda
    @gaedomunda2 ай бұрын

    고려 궐안 전쟁 ㅆㅂ 마지막 전투 우천 취소 ㅆㅂ

  • @Hoectun
    @Hoectun2 ай бұрын

    이정우는 머리에 든 건 없으면서 무의미한 자존심만 강하다는 걸 보여줬다 이정우는 은퇴해라

  • @user-wp1ct6vx2n
    @user-wp1ct6vx2n2 ай бұрын

    나무위키 금꽃하사 그림 인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nocountryforgoblin6812
    @nocountryforgoblin68122 ай бұрын

    진짜 뼈빠지게 일만하다가 살만해지니 갔네 ㅠㅠ

  • @CK-yc8gu
    @CK-yc8gu2 ай бұрын

    어서 고하거라..!!!

  • @hanhan4980
    @hanhan49802 ай бұрын

    세종대왕의 고려사 ㅡ지리 서문 ㅡ우리나라[東國] 지리(地理)의 융성함이 여기서 극치를 이루었다.

  • @bosug75
    @bosug752 ай бұрын

    강감찬 아들은 출가하지 안았을까요?

  • @user-qz7bi2ce5r
    @user-qz7bi2ce5r2 ай бұрын

    현종과 아들들은 왜이리 빨리죽은겨....

  • @40gamsungtv

    @40gamsungtv

    2 ай бұрын

    그 시대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빨리 죽는거 같아요 음 왕중에서는 사도세자의 아버지 같은 영조 같은 예외가 있긴해도 대체적으로 단명하는 케이스가 많터군요

  • @user-vr5ol5ys3i

    @user-vr5ol5ys3i

    2 ай бұрын

    왕 업무 제대로 수행하면 일반인 기준에서는 원래 몸 상함

  • @user-ln3tk9sr1f

    @user-ln3tk9sr1f

    2 ай бұрын

    문종은 65세, 만63세까지 살았고 그 동생 정간왕은 만48세까지 살았죠

  • @user-sz1ic7pj5s

    @user-sz1ic7pj5s

    2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소견으론 근친상간이 제일 큰 원인이 아니었음까 싶음.. 여말선초 직후 인물이었던 태종, 세종대왕도 50세를 넘겼는데

  • @user-kd9pq5qe9r

    @user-kd9pq5qe9r

    2 ай бұрын

    ​@@user-sz1ic7pj5s근천 하는 빨리죽는 개소리 ㅋㅋ

  • @user-di1su2tx1k
    @user-di1su2tx1k2 ай бұрын

    이드라마는 16화에서 끝났다

  • @user-cd5nl2qk9r
    @user-cd5nl2qk9r2 ай бұрын

    용두사미

  • @user-vb8sf6mu2v
    @user-vb8sf6mu2v2 ай бұрын

    고해형

  • @RDkSjmdzwqwio
    @RDkSjmdzwqwio2 ай бұрын

    모르기는 몰라도 출연료 순위는 강감찬, 현종, 박진이 될 것처럼 보인다

  • @jydasdfg3688
    @jydasdfg36882 ай бұрын

    고려우천전기

  • @user-kd9pq5qe9r

    @user-kd9pq5qe9r

    2 ай бұрын

    지랄 강감찬 거품 고려 존만땅인데 20만 병신 고구려 아프리카보다맛산개거지 영토 35만 정듀 존만땅인데 응개소리작작 ㅋㅋ

  • @ohmalub
    @ohmalub2 ай бұрын

    원정황후 스타크래프트 잘한다면서?

  • @user-eo5sg7rp4d
    @user-eo5sg7rp4d2 ай бұрын

    그럴꺼면 드라마 이름을 현종으로 했어야지

  • @qownsgmd1
    @qownsgmd12 ай бұрын

    전형적인 K드라마식 용두사미 ㅋㅋ 진짜 정도전은 잘만든 사극이었다 언급노 그분때문에 메인스트림엔 못나서지만

  • @user-ps3gi1qq7i

    @user-ps3gi1qq7i

    2 ай бұрын

    정도전은 내용,전개,결말이 좋았지.

  • @wjdghkstmd81
    @wjdghkstmd812 ай бұрын

    평가가 역사 왜곡이라고 개욕 먹고 있지...

  • @user-uv5yb7fq1q
    @user-uv5yb7fq1q2 ай бұрын

    개판인 역사드라마

  • @user-nk6jl6jj3w
    @user-nk6jl6jj3w2 ай бұрын

    죄진것도아니고 최후라 표현을하네 전쟁 후 도 아니고ㅋㅋㅋ

  • @hoodrobin5532
    @hoodrobin55322 ай бұрын

    허접하기 이를데없는 스레기 드라마

  • @user-vi4jx7pr3k
    @user-vi4jx7pr3k2 ай бұрын

    역사를 왜 이정우 그대가 해석을하는가 역사왜곡 지 입으로 말하네

  • @user-ps3gi1qq7i
    @user-ps3gi1qq7i2 ай бұрын

    저드라만 안나왔으면 좋겠음

  • @user-ob7ku8si6s
    @user-ob7ku8si6s2 ай бұрын

    모른다 아들한테 물려주고자 했지만 동생이 강제성이 포함한 정식절차로 왕위를 준걸지도 저 현종은 왕건과 좀 비슷한 느낌이 있는데 뒷끝도 좀 비슷하다 왕무가 왕요 왕소. 에게 진짜로 아무 문제없이 물려준건 아닌거 처럼 틀림없이 요ㆍ소가 무를 간접살해 했을꺼 같은데 요도 마찬가지로 소가 분명 뭔가 했을꺼 같은데 무슨 천둥소리듣고 기절하는지 ㅡㅡ 그 천둥소리가 소의 혁명군 함성소리였겠지 절때 그냥 동생한테 준건 아니라 봅니다. 그 과정이 절때로 시원하게 흘러간건 아닐듯 뭔가 압박이 있었을꺼임

  • @Ouu09

    @Ouu09

    2 ай бұрын

    중국인 다운 소리네

  • @user-cp7tl6lx6j
    @user-cp7tl6lx6j2 ай бұрын

    고려 거란이 표기된 지도를 보이지 않았다면 좋으련만 아쉽기 그지 없다. 마지막에 보여준 지도를 기준으로도 거란의 지역은 너무도 크고 고려의 지도는 작기 그지 없다. 그렇지만 거란이 침략자로서 (공격자) 3~5배의 병력을 가져야 하기에 준비한 최대의 병력이 40만 대군이며, 침략자에 대응하기 위해 급히 동원된 병력이 30만 대군으로 표기된 고려의 지형에서는 결코 가능한 징집 병력이라 할 수 없다. 거란 만큼의 백성이 있어야 가능한 징집일 것이다. 아니 어쩌면 거란 보다 많은 백성이 있어야 가능한 30만명의 군대 징집이 설명이 된다. 우리나라가 5천만 인데 징집된 병력이 50만 이다. 왜 50만이 되는지 한번 쯤 생각 해 보았으면 한다. 과연 그 표기된 지역으로 서희의 단판 강동6주 성을 쌓고 천리장성을 쌓았다는 것은 그 많한 병력과 경제가 있어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고려의 국경은 압록강이 아니라 압록(물수변)수 일수 있기 때문다.

  • @user-hi6bk4gs3l
    @user-hi6bk4gs3l2 ай бұрын

    이정우가 대작을 망쳤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