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무덤을 함부로 파면 벌어지는 끔직한 일(고고학자 실화..)ㅣ역사를 보다 EP.20

Ойын-сауық

오늘은 허준님과 중동학자 박현도 교수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소장님, 유라시아 고고학자 강인욱 교수님, 일본사 나행주 교수님을 모시고 나라별 귀신, 괴물 등에 대한 무서운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1:36 죽음과 가장 가까운 직업 역사학자
06:10 역사학자가 본 영화 파묘
15:11 일본 사무라이들의 엽기적인 헤어스타일
17:14 각 나라를 공포에 떨게 했던 괴담
24:35 나라별로 공포의 기준이 다른 이유
27:13 고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오던 풍습들
30:58 일본의 성씨가 20만 개가 넘는 이유
📖 강인욱 교수님의 저서
[세상 모든 것의 기원]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역사를보다#귀신

Пікірлер: 346

  • @user-zf1rp2ne4s
    @user-zf1rp2ne4s3 ай бұрын

    처음에 자기소개 하실 때 "~분야 전문가 누구누구" 라고 하셔도 되실텐데 다들 "~분야를 공부하는 누구 입니다 " 하는게 진짜 겸손해 보이면서도 멋있다.

  • @Maclos
    @Maclos3 ай бұрын

    과학자: 어떻게 지평 좌표계로 고정하셨죠? 고고학자: 초기 인도 유럽어 계통의 토하르어를 구사할 수 있나요?

  • @sanctifyme

    @sanctifyme

    3 ай бұрын

    ???: 대체 어디서 말을 배웠으면 토하르어가 아닌 현대 러시아어를 구사하시는 거죠?

  • @eunbaekong8675

    @eunbaekong8675

    2 ай бұрын

    ?? : 귀신 해먹기 졸라 힘드네 이러니 자꾸 귀신들이 없어지지..................................

  • @라이트맨시

    @라이트맨시

    2 ай бұрын

    ​​@@eunbaekong8675?? : 아 ㅇㅈㅇㅈ

  • @annabelle7123

    @annabelle7123

    2 ай бұрын

    삼천년전 가위 눌렀을 때 무찌르는 법 ㅋㅋㅋㅋ

  • @user-ob5lr9uc4o

    @user-ob5lr9uc4o

    2 ай бұрын

    아 ㅋㅋ 귀신하고 싶으면 언어 다중전공은 필수라고

  • @snowncheeselove
    @snowncheeselove3 ай бұрын

    유익한데 재미있기까지!!! 자주 부탁드려요~~❤

  • @xinna-zb6to
    @xinna-zb6to3 ай бұрын

    너무너무 기다렸어요 ❤진짜 재미있어요 ❤

  • @sean-dz4zm
    @sean-dz4zm3 ай бұрын

    다들 넘 좋아합니다만 특히 허준님 이토록 편하고 유쾌한 진행 늘 감사합니다

  • @mongmongeeee

    @mongmongeeee

    3 ай бұрын

    진짜 좋음 그래서 역사 더 찾게됨 ❤

  • @abcdefg0772

    @abcdefg0772

    3 күн бұрын

    중간중간 질문 내용도 정말 좋아요.

  • @asdfghjkl-js4ti
    @asdfghjkl-js4ti3 ай бұрын

    학부때 발굴 알바하러 나갔는데 6.25때 시신을 단체로 매립한 곳이 나옴. 호미로 땅 고르는 작업을 하는 하얀색 원이 자꾸 나옴. 알고 보니 두개골 뼈였음. 그후로 팀장님 꿈에 여자가 춥다고 맨날 울고 다른 학부생은 발굴장 숙소 창가에 누가 서 있는 꿈을 꿔서 발굴장이 흉흉해졌음. 결국 매립지에서 제사 지냈음. 그 후로 별 일이 없었음.

  • @Woongverin

    @Woongverin

    3 ай бұрын

    응 정신력 문제야~~

  • @Negal-Negal

    @Negal-Negal

    3 ай бұрын

    ​@@Woongverin 시비거는 듯한 이런 말들이 이 바닥에서는 일상이 됐네. 안타깝다.

  • @richer4774

    @richer4774

    3 ай бұрын

    ​@@Woongverin 정신병 치료나해라 ㅉㅉ

  • @user-hn7gk4hi9i

    @user-hn7gk4hi9i

    3 ай бұрын

    ​@@Woongverin이쪽은 인성 문제인듯

  • @KwangHoSong

    @KwangHoSong

    3 ай бұрын

    @@Woongverin너는 정신이 문제야

  • @gogog124
    @gogog1243 ай бұрын

    이번화 너무 재미 있었습니다. 시간 가는 줄 몰랐네요

  • @user-tt7fl6yy6g
    @user-tt7fl6yy6g3 ай бұрын

    과학을보다는 자주하는데 역사를 보다도 자주봤음 좋겠어요~~선생님들 허준님 자주자주 봐요~~😊 역사적으로 형벌이나 먹는것은 어땠는지도 궁금해요~~

  • @siyoon5473
    @siyoon54733 ай бұрын

    서프라이즈보다 더 기다려지는 일요일 오전

  • @user-gk2bz4gx8x
    @user-gk2bz4gx8x3 ай бұрын

    늘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 @poystory-bw4tn
    @poystory-bw4tn3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 @milk0107
    @milk01073 ай бұрын

    잼써요!!!!!!!! 과학을보다와 콜라보 다시 한번 더 🎉

  • @user-zz2mx5xg7f
    @user-zz2mx5xg7f3 ай бұрын

    나행주 교수님을 보다에서 뵙게 되다니 너무나 반갑습니다!! 교수님께 일본사와 문화에 대해 가르침을 받았던 게 벌써 20여년이 되어 가네요. 당시 교수님의 강의는 전공생으로서도 수준이 높아서 따라가기 힘들었는데, 워낙 열성적으로 자세히 가르쳐 주셔서 열심히 공부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본교재 외에 130장 정도 되는 부교재를 달달 외우기도 했고, 리포트를 쓰기 위해 전문서적과 학술지를 쌓아 놓고 도서관에서 외박을 하며 공부했던 기억도 나네요. 시험 때면 A3 사이즈 시험지를 앞뒤 꽉 채워 4,5장씩 쓰기도 했는데, 당시엔 열심히 공부한 것을 쏟아내고 싶었으나 지금 생각하면 지나친 장문의 답으로 교수님께 폐를 끼친 것은 아닌가 죄송스럽습니다. 그렇게 고군분투했던 게 생생히 기억나는데 벌써 십수년이 흘렀네요. 요즘 일교차도 심하고 감기도 유행인 듯 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가정에도 행복과 평안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 @alwk0237

    @alwk0237

    3 ай бұрын

    참 스승에 참 제자셨네요

  • @JayPChoi

    @JayPChoi

    3 ай бұрын

    와 말씀하시는 것만 봐도 청출어람이라는 사자성어가 떠오르네요.

  • @drong222

    @drong222

    3 ай бұрын

    세상에 교수님 이름이 기억 나시다니

  • @annabelle7123

    @annabelle7123

    2 ай бұрын

    그때 열심히 공부한 기억이 여전히 나는 게 좋네요 ㅎㅎㅎ 대학은 그렇게 다녀야! 저는 유학 가서야 그렇게 배운 거 같아요

  • @user-cp7tl6lx6j

    @user-cp7tl6lx6j

    2 ай бұрын

    대학은 놀고먹는 곳이 아니라 A3용지 채운다는 말에 대학은 고교시절보다 공부를 더해야 한단 말에 놀라네요

  • @user-hv5qj9ee2s
    @user-hv5qj9ee2s3 ай бұрын

    지식인의 이런 자리는 너무 좋아요

  • @user-fj9pj2sz4p
    @user-fj9pj2sz4p3 ай бұрын

    다섯분 다 너무 감사합니다~ 내 인생의 도파민!

  • @kok21c
    @kok21c3 ай бұрын

    컵 코스터 같은거 사용하면 출연진 분들이 편하게 컵 놓지 않을까 생각해요 잡음들릴까봐 조심스럽게 놓으시네요^^

  • @Quidam12
    @Quidam123 ай бұрын

    정말 석학들의 주옥같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

  • @user-jo4ns2it9p
    @user-jo4ns2it9p3 ай бұрын

    일요일이 기다려지는 이유❤

  • @mmmijuo5407
    @mmmijuo54073 ай бұрын

    잼있다 매일 올라왔으면 좋겠다

  • @Infinityisone
    @Infinityisone3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 @cherryhong2190
    @cherryhong21903 ай бұрын

    참 유익한 유튭!!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j1ug8um5t
    @user-bj1ug8um5t3 ай бұрын

    새로운 오셔서 티키타카가 보기 좋네요~ 각자 전문분야에서 통하는게 부럽습니다

  • @user-yj8lb6cq8x
    @user-yj8lb6cq8x3 ай бұрын

    강교수님의 자기주장있는 부분이 재밌기도하고 속이 시원하기도해서 자꾸보게되네요 제가 과학을 좋아하는줄 알았는데 인문학이 좋아지게 됐어요 고맙습니다

  • @kimdonghyun5875
    @kimdonghyun58753 ай бұрын

    아 정말 보다체널은 무 편집으로 한 5시간 6시간짜리로 보고 싶음..넘 재밌어~~

  • @jinnelee8265
    @jinnelee82653 ай бұрын

    아니 보다에서 나행주교수님을 뵙다니!! 학부생때 일본사 정말 재밌게 배웠던게 아직도 기억이 생생합니다 ㅎㅎ

  • @SWAAG14
    @SWAAG143 ай бұрын

    하… 너무 짧아!!!… 더…더 주세요!!!

  • @andanted5419
    @andanted54193 ай бұрын

    수능 끝나고 켠김에 왕까지 방송으로 처음 접했던 허준님. 자기 관리 열심히 하시면서 꾸준히 활동하시는거 너무 존경스럽습니다. 직접 뵌 적은 없지만 15년 째 팬이네요, 방송이나 플랫폼에 허준님 보이면 꼭 시청하곤 합니다. 댓글 못 보실수도 있겠지만 승승장구 하시길 바랍니다!

  • @kwanghoshin7742
    @kwanghoshin77422 ай бұрын

    허준 님 진행 탁월하십니다 ❤

  • @reinaive6116
    @reinaive61163 ай бұрын

    소리가 좀 작은 것 같아요ㅠㅠㅠㅠㅠ근데 허준씨 질문은 언제 들어도 좋네요..... 얘기도 두루둘 할 수 있세 해주시고 좋아요!

  • @user-rq2ip3oz9i
    @user-rq2ip3oz9i3 ай бұрын

    실제 후삼국시기 강원지 지역의 무속인들이 금관과 비슷한 동관을 썼다고 하니 신라 금관의 샤면 기원설도 일리 있는 설이라 봅니다 그리고 실제 빠르면 법흥왕 시기 늦으면 진덕여왕 시기부터는 금관을 쓰지 않았다고 하죠 이미 불교와 유교를 받아들인 뒤라서 ...

  • @HuniHunji
    @HuniHunji3 ай бұрын

    이번편 역사를 보다 중에서 제일 재밌었던듯

  • @user-us4py7gv2o
    @user-us4py7gv2o3 ай бұрын

    영상의 절반이 오프닝이면 그건 정말 오프닝일 수 있을까... 분량 더 늘려라!! 늘려줄 때까지 숨 참는다

  • @daymoon__
    @daymoon__3 ай бұрын

    아 행복한 휴일이네요... 과학을보다, 역사를보다를 커피한잔마시면서 다 볼수 있었다니ㅎㅎㅎ

  • @bbochang
    @bbochang3 ай бұрын

    너무 조아

  • @ChunbaeA.K.A.Jangsan_beom
    @ChunbaeA.K.A.Jangsan_beom3 ай бұрын

    전 유해발굴단은 아니였는데 지원....보다는 암튼 통신관련해서 현장에 나갔다가 사람 유골이 땅에서 발견되는 순간을 지척에서 처음봤는데 뭔가 긍정적이진 않은 느낌이 확오던데, 고고학자분들 대단하시네요. 무뎌지셨다곤 하지만 그렇게 될 때까지 깜짝 깜짝하고, 심지어 오랜시간 연구도 하셔얄텐데...

  • @gu0621
    @gu0621Ай бұрын

    패널들끼리 지식 교환 하실때 서로를 흥미롭게 바라봐주시는 시선에서 인정과 존경심이 느껴집니다. 너무나도 유익한 보다채널❤

  • @d.jjeong5119
    @d.jjeong51193 ай бұрын

    오늘도 재미나게.....

  • @user-ve3xi8lp8f
    @user-ve3xi8lp8f3 ай бұрын

    나행주교수님 자주 나와주세요!

  • @symic79
    @symic793 ай бұрын

    하아 감사합니다 오늘도

  • @ImperatorDDragon
    @ImperatorDDragon3 ай бұрын

    일주일에 두편 부탁드립니다 ㅎㅎ

  • @user-np1dk2zy5q
    @user-np1dk2zy5qАй бұрын

    와 이런 귀한신분들과 함께라니 너무 귀한방송 감사합니다

  • @user-lf8hf3rv7t
    @user-lf8hf3rv7t3 ай бұрын

    나행주교수님. 진짜 반갑습니다! 제가 일본사를 제일 재밌게 배웠던 기간이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대학원진학도 하게되었네요 ㅋㅋ

  • @user-bx1ww9zv4n
    @user-bx1ww9zv4n3 ай бұрын

    허준님 켠김에왕까지 때부터 팬입니다.

  • @hpkorea-.
    @hpkorea-.2 ай бұрын

    말 갖지도 않은 컨텐츠가 수두룩한테 이런 지적인 고급 대화 좋습니다. 뇌가 정화되는 것 같습니다. 은혜롭게 쭉~ 부탁드려요.

  • @venofinn2240
    @venofinn22403 ай бұрын

    나행주 교수님의 성씨에 대한 가르침이 제게 또 한 가지 깨달음이 되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Sabrina-sd7mv
    @Sabrina-sd7mv3 ай бұрын

    오늘 말씀 중에 무덤😅무덤덤해져요 ㅎㅎ😂

  • @pskim1282
    @pskim12823 ай бұрын

    어학이 딸리는 가위귀신얘기 너무 재밌어요 ㅋㅋ

  • @역사Hogisim
    @역사Hogisim2 ай бұрын

    재미있네요~~ ^^

  • @user-se2rs5eg9m
    @user-se2rs5eg9m3 ай бұрын

    굳 내 주말 굳

  • @user-zt4md9ef9t
    @user-zt4md9ef9t3 ай бұрын

    강 교수님의 잃을 게 많은 사람이 귀신을 믿는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 @oxoxoxox824
    @oxoxoxox8242 ай бұрын

    허준 님 진행 잘하십니다

  • @TimsdayIm
    @TimsdayIm3 ай бұрын

    머미브라운 조금전 서프라이즈에 소개됐는데 신기하네요 😮

  • @_ori___
    @_ori___3 ай бұрын

    역사를 보다 너무 재밌어요...

  • @user-xy4fy4cu8o
    @user-xy4fy4cu8o2 ай бұрын

    재밌게 들었는데 빨리끝나서 아쉬워요 ~~

  • @Jay-pv8hh
    @Jay-pv8hh3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서..

  • @nanyoungkim444
    @nanyoungkim4443 ай бұрын

    좀 더 자주 나와주세요

  • @Realpanic999
    @Realpanic9993 ай бұрын

    와 저도 강교수님과 비슷한 경험이 있네요. 제 경우는 꿈 속에서 꿈을 꾸는 게 중첩이 계속 되면서, 그 사이에 가위 눌리고, 귀신 나오고, 유체이탈하는 걸 두세달 동안 거의 매일 겪었는데, 점점 익숙해지면서 결국 전부 현실이 아닌 것을 인식하고나니, 더이상 무섭지 않고 무덤덤해지면서, 꿈을 꿔도 내용이 잘 기억 안날 정도로 무신경해지더라구요. 회사에서 갑자기 업무량이 늘어나, 스트레스를 엄청 받을 때 시작됐던 것 같아요.

  • @user-gn5mc4zw7x
    @user-gn5mc4zw7xКүн бұрын

    아 재밌다 구독해야지

  • @user-kw8fp3rd3u
    @user-kw8fp3rd3u3 ай бұрын

    오프닝이 반이 넘는 주객전도 프로그램 '보다' 시리즈

  • @user-ov2ln9sj7y
    @user-ov2ln9sj7y3 ай бұрын

    앗 나행주 교수님... 교수님 수업을 20년전에 들었는데.. 유튜브에서 뵐날이 오다니 감격스럽습니다.

  • @user-yn6pn2cm7x
    @user-yn6pn2cm7x3 ай бұрын

    역사를보다 볼때, 흥미진진하게 보고있으면 맨날 이제 오프닝 끝남 ㅋㅋㅋㅋ

  • @user-se9xd6mx9f
    @user-se9xd6mx9f3 ай бұрын

    강교수님 토하르 계통 얘기할 때 진짜 뿜었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

  • @user-ce9dh2wf8x
    @user-ce9dh2wf8x3 ай бұрын

    왜 볼때마다 소름이...레전드

  • @jpjp2891
    @jpjp28913 ай бұрын

    민수횽 오늘도 스타일 좋다잉

  • @user-io9yt1fj3c
    @user-io9yt1fj3c3 ай бұрын

    너무 좋아요 😊

  • @user-le8vj3fp2e
    @user-le8vj3fp2e3 ай бұрын

    귀신을 보다 재밌겠네요 꼭 나왔으면 좋겠어요!

  • @user-sc3ic9ds1q
    @user-sc3ic9ds1q3 ай бұрын

    보다보면 이야기에 쑥 빠져들어 너무 짧아요..

  • @poiuy4819
    @poiuy48193 ай бұрын

    역사를 보다가 제일 재밌음

  • @jungmunkim6011
    @jungmunkim60113 ай бұрын

    얼마전 우즈벡 여행을 다녀왔는데... 우즈벡의 칭기스칸이라고 불릴정도의 정복자였던 아미르 티무르의 관에... 누구든지 감히 내 무덤을 건드리면 전쟁의 악마가 그 나라에 닥칠 것이다라고 적혀져 있대요. 구소련시절 한 역사학자가 이 관뚜껑을 열었는데 떄마침 그때 독소전쟁이 발발.... 나중에 급하게 관뚜껑을 납으로 다시 봉인하고 난뒤에 스탈린그라드 전투로 소련이 이겼었죠 앗..글 적고 보니 후반부에 이야기가 나오네욯

  • @daehanminkuksaram
    @daehanminkuksaram3 ай бұрын

    뉴욕도 시내 한복판 교회 뒷마당에 묘지 있고 하더라구요. 영국 갔었을때도 시골마을 단독주택 사이에 공동묘지도 있엇고, 암튼 신기했습니다.

  • @dgdrwweqwq
    @dgdrwweqwq2 ай бұрын

    미친.라인업 ㄷㄷㄷㄷ

  • @iamright_youwrong
    @iamright_youwrong3 ай бұрын

    과학자, 역사학자들이 귀신 패는거 너무 좋은데요? 빨리 만들어주세요오오옷!

  • @moai6099
    @moai60993 ай бұрын

    10:34 초록은 동색이라고 역시 같은 교수개그에 빵터진 교수님....ㅋㅋ

  • @onesoo
    @onesoo3 ай бұрын

    귀신을 믿진 않지만 살면서 설명 하기힘든 일은 누구나 겪을듯.

  • @annabelle7123
    @annabelle71232 ай бұрын

    유럽에서 살 때는 공동묘지를 공원처럼 여기던데 친구 옆동네도 있었거든요… 그때도 좀 섬뜩했는데 한국이면 그렇게 되기 힘들겠죠… 종묘, 현충원이 아니면요 ㅎㅎ

  • @Q-DANG
    @Q-DANG3 ай бұрын

    보다에 허강조류를 게스트로~~

  • @Sabrina-sd7mv
    @Sabrina-sd7mv3 ай бұрын

    머미 브라운😮 놀랍네요

  • @hetokki549
    @hetokki5493 ай бұрын

    10:17 제2의 지평좌표계네요

  • @user-ti2ms7tj6c
    @user-ti2ms7tj6cАй бұрын

    나라별로 무덤과 시신을 대하는 태도가 다른게 재밌네요. 이집트는 미이라를 물감으로 쓰거나 약으로 쓰거나 신기하네요

  • @user-lp3xk9bs9t

    @user-lp3xk9bs9t

    Ай бұрын

    미이라를 갈아서 약으로 팔았다고 들었음. 나중에는 미이라가 없어서 가짜 미이라로 약을 만들어 팔았다고 함.

  • @kkubichu
    @kkubichu3 ай бұрын

    우왕 지난주 서프라이즈에 머미브라운 얘기 나왔는데!!

  • @jsy5187
    @jsy51872 ай бұрын

    어릴적... 대략 6,7살쯤 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네요. 어쩌다가 이장하는 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마침 관을 열고 유골을 수습하는 과정이 이뤄지는 것을 보게 되었었는데.... 그 때의 느낌이 너무 생생하게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죽음이라는 것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각인이 된 첫번째 경험이었었습니다. 그 트라우마가 좀 있었기도 합니다. 애들에게는 정말 조심시켜야합니다....

  • @elegance_pigeon
    @elegance_pigeon3 ай бұрын

    귀신들도 진짜 광기는 피한다…

  • @DME_KUN
    @DME_KUN3 ай бұрын

    이동하는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빠르면 시간 여행이 가능할까요...?

  • @eunteakoh9542
    @eunteakoh95423 ай бұрын

    1분전은 못참지

  • @iamright_youwrong
    @iamright_youwrong3 ай бұрын

    일본사 교수님 잘 모셨네요, 일본사 너무 재밋어요. 일본의 화장문화가 8세기쯤부터 그렇게 오래됐는줄은 처음 알게됐네요

  • @morea-dd5sv
    @morea-dd5sv3 ай бұрын

    옛날에 저희학교에 일본오니전공하신 교수님 계셨었는데 초빙하셨어도 재밌었을듯...ㅋㅋㅋㅋㅋ

  • @julria8638
    @julria86383 ай бұрын

    짧아요 ㅜㅜ

  • @baobao2024
    @baobao20243 ай бұрын

    32:30 교수님 매운맛 족보 개그 ㅋㅋㅋㅋ

  • @byul368
    @byul368Ай бұрын

    본인소개를 할때 ~를 공부하는 라고 하는게 인상깊어요. 이미 저명한 분들이면 저는 ㅇㅇ전문가, ㅇㅇ교수, ㅇㅇ가르치는 등으로 말할것 같은데 공부한다고 설명하는게 겸손이 느껴집니다

  • @arakim754
    @arakim7543 ай бұрын

    와 지니는 신분세탁 쎄게했네... 코카콜라 북극곰 급이네...세상에 믿을 개체 하나 없네

  • @leaae1
    @leaae13 ай бұрын

    일본이랑 영국살때 좀 놀랐던게 동네에 공동묘지가 있고 그냥 지나다닐 수 있는 곳이라 처음에는 익숙치 않아서 쭈뼛쭈뼜다른데로 돌아다니고 하다가 나중에는 아무렇지 않게 지나다니게 되더라고요

  • @baobao2024

    @baobao2024

    3 ай бұрын

    저도 도쿄 살때에 필요한게 있어서 옆동네 홈센터 가는데 홈센터 옆길이 몽땅 묘지여서 식겁했어요ㅋ

  • @user-lq5kr3tk7o

    @user-lq5kr3tk7o

    3 ай бұрын

    현충원 근처에 지나가면 좀 으슥하지 않나요

  • @user-gd9sj1xv9w
    @user-gd9sj1xv9w3 ай бұрын

    이집트에서 가장 무서운 존재를 문나이트가 잡아버렸으면 다음 시즌은 뭐가 나오나요?

  • @jyh7484
    @jyh74843 ай бұрын

    8:45 귀신을 보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대되네요ㅋㅋㅋㅋㅋ

  • @user-fp6su4yj9z
    @user-fp6su4yj9z20 күн бұрын

    14:06 여기 찐 교수님 리액션 같아요 ㅋㅋㅋㅋㅋㅋㅋ

  • @75jeong
    @75jeong3 ай бұрын

    마지막 일본 성씨 부분은 교수님 말씀처럼 갑자기 모두가 성씨를 가져야 할 타이밍이 오는데, 그때 한국이나 중국처럼 대세의 성씨를 따르는게 아니라 자신이 살고 있는 직업, 집근처에 있는 무언가를 본떠서 성씨를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고 보면 됩니다.

  • @user-jj8rr2db6j
    @user-jj8rr2db6j3 ай бұрын

    아니 보다채널 영상은 왜 영상이 30분이 3분 같지,,

  • @user-xg9sm4wr3v
    @user-xg9sm4wr3v3 ай бұрын

    파묘는 못참지

  • @CJ-Soloist
    @CJ-Soloist3 ай бұрын

    일본은 평상시엔 자기네 신단 같은데 가서 믿고 어쩌고 하다가 죽으면 다 불굔게 신기..

  • @yeonna2005
    @yeonna20053 ай бұрын

    한시간은 보장해 달라

  • @user-sz5uq2dv8g
    @user-sz5uq2dv8g3 ай бұрын

    한시간정도로 늘려주세요 너무 짧아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