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2,3 필독]학종 합격을 부르는 학생부는 이것!!(진학전문교사 최승후)

진학 전문 고3 학년부장 선생님이 말하는 합격율 높은 학생부는 무엇일까요. 대화고 최승후 선생님께 학생부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들어봤습니다.
00:00 오프닝
00:30 주제, 전문가 소개
00:58 자소서 폐지, 학생부 간소화 대입 영향
02:10 세특 중요성
02:59 독서 활동 영상
07:42 학생부 기재 아쉬운 부분
11:20 세특 대비법
13:30 잘 쓴 학생부 vs 아쉬운 학생부
17:52 고교 학년별 세특 준비 노하우
19:33 2부예고
📢방종임 편집장 신간 '자녀교육 절대공식'
👉예스24 bit.ly/3GEb8xW
👉교보문고 bit.ly/3GD2907
👉알라딘 bit.ly/3i9jkgt
📢교육대기자TV 인스타에서 만나기
daegizatv
bangjongim
섭외 제보 및 문의 leo0521@naver.com
#생기부 #학생부 #학종

Пікірлер: 87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수시 학종 합격을 위한 학생부 대비법을 진학전문 일반고 교사 최승후 선생님께 들었습니다. 📢방종임 편집장 신간 '자녀교육 절대공식' 👉예스24 bit.ly/3GEb8xW 👉교보문고 bit.ly/3GD2907 📢교육대기자TV 인스타에서 만나기 instagram.com/daegizatv instagram.com/bangjongim

  • @singbetterchoi
    @singbetterchoi Жыл бұрын

    대화고 최승후 선생님 최고입니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는 교사들의 귀감이 되십니다~~

  • @user-pd6ie2kh2i
    @user-pd6ie2kh2i Жыл бұрын

    확장된 독서활동~도움많이 받았습니다.다음편도 빨리 보고싶어요^^

  • @user-ct8yi4ec3n
    @user-ct8yi4ec3n10 ай бұрын

    저희 학교는 공립이라 그런지 정말 생기부의 질이..진짜 너무 부실해요 정말 학생들을 위해서 힘을 써줬으면 하네요ㅠㅠ

  • @user-vc4vb5ow7h
    @user-vc4vb5ow7h Жыл бұрын

    이좋은영상을 이제야 봤네요. 늦었어도 듣게되어 다행입니다. 학부모 학생들뿐만 아니라 선생님들도 많이 봐주셨으면 하는 간절한 마음입니다. 기간제 교사라고 과탐 1 듣는 학생 모두 세 줄 똑같이 적어 주시면서 난 이럴 권한없다하셨다고...

  • @MK-em1ru
    @MK-em1ru Жыл бұрын

    우리 고딩1학년이 꼭 봐야할 영상이네요~ 기말 끝나고 보여줘야 겠어요!!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 @user-mw4cd2ef6b
    @user-mw4cd2ef6b Жыл бұрын

    듣고보니 담임복 있어야될꺼 같은 수시는 정녕 아이들한테 공정할까 생각이 되세요.

  • @user-ql6ql9ln2p

    @user-ql6ql9ln2p

    10 ай бұрын

    수능도 대치동,서울유명학원다니는아이들.재수생이 유리하잖아요..그나마 수시가 교권확립과 아이들의태도를 평가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벌써 고등 자퇴하여 수능볼려는 아이들이 늘잖아요. 학교가 붕괴 되잖아요, 잘 안적어 주는 샘들도 있지만 수십명의 샘이 그렇게 평가한다면 그게 객관적이예요..

  • @gusokdo

    @gusokdo

    10 ай бұрын

    선생들이 균질하지 못해 학생입장에서 공평하지 못한게 문제

  • @user-lf6zu8fv5b

    @user-lf6zu8fv5b

    10 ай бұрын

    사회생활 해보신 어른이라면 인생이 복불복이라는 거 아실 텐데요.. 😅 물론 이렇다고 무책임하고 무능력한 담임교사를 옹호하는 것은 아닙니다

  • @user-hh1wb1po5b

    @user-hh1wb1po5b

    9 ай бұрын

    @@user-lf6zu8fv5b고칠 수 있는 문제는 고쳐야죠;

  • @science7979

    @science7979

    9 ай бұрын

    뭐랄까 누굴 만나도 빛이 나는 아이가 있습니다. 그게 아이의 역량이죠. 억지로 만들어 내는 것은 긴 인생에서 잠깐의 복,운일지 몰라도 진짜 보석은 언젠간 반드시 기회가 오죠. 우린 좀 더 길게 살아본 어른이니 것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주고 토닥여 주는게 현명한 자세가 아닐까 합니다.

  • @Kim-xg9mi
    @Kim-xg9mi Жыл бұрын

    2부도 기대됩니다~ 팁 많이 얻어갑니다^^ 엄마는 전문가가 되어가는데.. 아이가 공부를 안해서 😂

  • @user-so6zc7jb3n
    @user-so6zc7jb3n Жыл бұрын

    이분 찐이네요. 어려운 내용은 메모해둘게요👍👍

  • @Kim-xg9mi
    @Kim-xg9mi Жыл бұрын

    질문도 탁월하고요~ 최승후 선생님 최고 입니다 👍 일산 친구들은 복이 많은것 같아요~ 파주 운정에도 강연 많이 와주세요^^ 좋은 인터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mb8tn1vw6i
    @user-mb8tn1vw6i11 ай бұрын

    현직 진학담당선생님의 상세한 설명... 넘 감사합니다~!!! 일산 대화고 학생들 부럽습니다~~

  • @bongflu
    @bongflu Жыл бұрын

    올해부터 변화되는 내용이 많던데요 경험많으신 입학 담당선생님의 말씀이시라서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말씀이 많으시네요 . 수험생 엄마들에게 참고가 많이되는 인터뷰 내용입니다^^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mile_smile_15
    @smile_smile_15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2부 기대해 봅니다😊

  • @user-uz3qw7ty6c
    @user-uz3qw7ty6c Жыл бұрын

    선생님들울 세특 작성 교육해야할거 같네요 학생과 학부모한테안 정보제공 할게 아니라.. 선생님 기재능녁에 따라 합격 당락이 결정된다는게 말이되냐요?

  • @yodatex4907

    @yodatex4907

    4 ай бұрын

    이게 사실 학종의 치명적인 문제죠, 같은 역량을 가진 학생인데, 어느 학교, 어느 교사를 만나는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그것보다 더 문제는 한 반에 수업 열심히 듣고 공부하는 학생은 많이 잡아도 20~30%...공부 안하는 학생이 너무 많음;;; 활동을 안하니 나중에 쓸게 없고 픽션만 쓰게되는;;;

  • @csj6773

    @csj6773

    2 ай бұрын

    그러게 자녀보고 열심히 수업에 임하고 선생님이랑 잘 지내도록 하라고 하세요

  • @JoeJoe-ck3up
    @JoeJoe-ck3up Жыл бұрын

    넘 반가우신 선생님께서 다시 나와 주셨네요!! 꿀팁 of 꿀팁 잘 듣고 새기겠습니다 😊😊😊

  • @googeotus
    @googeotus Жыл бұрын

    교육은 없고, 기술만 판치네요. 저도 현실을 고려하여 최승후 선생님의 말씀에 동의하고 공감하지만, 이것이 옳다고 생각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 @user-wx4xp4jf1s

    @user-wx4xp4jf1s

    11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원래는 교과시간과 연계하여 깊이있게 탐구한 학생들을 뽑으려고 만든 제도인데, 어느 새 뽑히기 위해 그런 스타일의 생기부를 쓰기 위한 활동을 하고 기록을 하죠.. 수업과 수행평가도 생기부에 쓸 만한 것들로 바꿔가고요. 진정성 있는 교육보다는 있어보이는 것에 치중하게 되는 것 같아요. 입시가 다시 한 번 변화를 겪어야 될 때인 듯합니다.

  • @user-pd5tx3jz5g

    @user-pd5tx3jz5g

    11 ай бұрын

    그냥 중요한거에집중하겠다는의미야.ㅎ

  • @user-pd5tx3jz5g

    @user-pd5tx3jz5g

    11 ай бұрын

    너도니뜻얻어내려고 잘보이잖아?ㅋ 지는다르다는드싴ㅋㅋㅋ ㅈㄴ웃기네;

  • @user-xh6ct4du1t
    @user-xh6ct4du1t Жыл бұрын

    선생님께서는 세특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신 듯 하네요~ 선생님 제자들은 복 받은듯 하네요~

  • @user-sb3zq5gx9u
    @user-sb3zq5gx9u Жыл бұрын

    초등엄마 입장에서 들었을때도 이해잘가게 쉽게 잘 설명해주신 것 같아요. 2부 기대됩니다.^^

  • @user-hy1yi2xs3g
    @user-hy1yi2xs3g Жыл бұрын

    오늘 방송도 참 유익했어요 잘봤습니다

  • @jh-en9lm
    @jh-en9lm10 ай бұрын

    쌤같이 노력하시는 쌤들이 늘어났음좋겠습니다! 계속 힘써주세요^^

  • @OCEANsam_English
    @OCEANsam_English Жыл бұрын

    현직 학원강사로서 학생들에게 줄수있는 이런 '실질적으로 도움되는 꿀팁' 정말 좋네요 ^^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 대기자님 승승장구 하세요~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응원의 말씀 감사합니다^^

  • @yu57546
    @yu57546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의 능력에 따라 쓰여지는 내용의 질과 양이 달라질텐데 대학에서는 그걸 감안하고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그렇게 하고 있나요?

  • @user-bj9wr1pp3i
    @user-bj9wr1pp3i Жыл бұрын

    첫댓글이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 @dhekeifnal
    @dhekeifnal Жыл бұрын

    이 분 일산지역에서 유명하신분인데ㅎㅎ 좋은 인터뷰 잘봤습니다

  • @user-ef3iy9hr1v
    @user-ef3iy9hr1v Жыл бұрын

    아직 중1이지만 잘 따라가려고 듣고있습니다. 너무 좋은 인터뷰 감사드립니다. 2부도 기다리고 있을께요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부도 기대해주세요^^

  • @Jhjdm
    @Jhjdm Жыл бұрын

    진로를 정한다는게 참 쉽지가 않네요

  • @user-sh5go4xz2r
    @user-sh5go4xz2r Жыл бұрын

    와~자세히 알려주시네요. 2부도 기대됩니다!!

  • @daegizatv

    @daegiza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vh5pz3pe9g
    @user-vh5pz3pe9g Жыл бұрын

    옆 동네 학교 선생님이시네요~ ㅎㅎㅎ 선생님 입장에서의 이야기가 도움 많이 된 것 같아요. 큰 애가 2학년인데 1학년 때 세특이 생각보다 잘 쓰여서 많이 놀랐었는데, 아이가 맨 앞자리 중앙에 앉는데요. 졸아도 눈 뜨고 존다고 하던데, 그래서 좋게 써 주셨었나봐요~ ㅎㅎㅎ

  • @user-ob8tj5js6t
    @user-ob8tj5js6t Жыл бұрын

    수학선생님이 정년퇴직하신다고 대충 써놓고 그만두셨더라구요..

  • @gusokdo
    @gusokdo10 ай бұрын

    선생의 작문능력과 성실도에 따라 학생들의 미래가 좌우되는 재수없는 세상에 사는 불쌍한 학생들

  • @user-mr4pt1zv1b
    @user-mr4pt1zv1b4 ай бұрын

    도움되는 내용들 너무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 감사해용😊 혹시 24년도 수시 대입부터 수상이나 독서활동기재가 안되고있는걸로 알고있는데 25, 26년도 수시 대입에 다시 반영될 수도ㅜ있나요??😮

  • @user-mr4pt1zv1b

    @user-mr4pt1zv1b

    4 ай бұрын

    아시는 분은 답글 남겨주세요..🥹🥹

  • @optimist2209
    @optimist2209 Жыл бұрын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노력은 참 눈물겹지만 계량화 하기 힘든 이상적 제도로 애들 깔려 죽이는 제도 만든 사람들 대가리 깨버리고 싶다.

  • @user-nw4st5ks7p
    @user-nw4st5ks7p5 ай бұрын

    이런거 중학생때부터 많이봤는데 고등학교 올라가니까 부질없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저렇게 쓰고싶어도 선생님이 반영을 안해주시니ㅜㅜ

  • @user-hp5ed2vn9d
    @user-hp5ed2vn9d3 ай бұрын

    학생의 학업능력이 아니라 교사의능력과 성실성 운에따라 대학의 당락이 결정되는 이따위 입시제도는 과연 누굴위해 만들어진걸까요? 비싼금액지불하고 컨설팅받아 세특내용 직접적어 기입해달라 요구하면 기입해주는 세상 반대로 아무리 열심히 해도 교사의 성실성이나 자세가부족하면 텅텅빈 학생부를 받아야하는 이따위입시제도 반드시 사라져야합니다

  • @user-ql4jf7no4d
    @user-ql4jf7no4d9 ай бұрын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전사고의 학생인 경우도 학종을 생각하고 있으면 세특 관련해서 컨설팅을 받아야 할까요~? 어떤 분들은 전사고의 학교 커리큘럼만 잘 따라가도 굳이 컨설팅학원에 가서 컨설팅 받을 필요없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전사고도 세특관련 컨설팅을 받아야 좋다고 하고.. 물론 내신이 우선이긴 하지만.. 어떤게 좋을까요~?

  • @daegizatv

    @daegizatv

    9 ай бұрын

    컨설팅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활용하는것이지 필수는 아니니 상황을 살펴서 선택하세요

  • @hanabe3377
    @hanabe33774 ай бұрын

    일반고가는 예비고1 앞으로 많은 걱정이 앞서네요...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 @user-pm4jp8ph6m
    @user-pm4jp8ph6m3 ай бұрын

    교사가 써주는 생기부로 대학가는게 공정한건가요?학교마다 수준다른 내신은 공정한건가요.? 학종 내신 수시 이딴거 다 없어져야합니다

  • @won_5745
    @won_5745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일반고 3학년 학생입니다! 올해 체육 과목 세특을 확인해보니까 딱 한 줄 써있던데.. 지장이 클까요?ㅠㅠ

  • @won_5745

    @won_5745

    10 ай бұрын

    체육 관련 진로는 아니고 자연계열입니다!

  • @jeniopak9893
    @jeniopak9893 Жыл бұрын

    고2때 담임.임신핑게로 애들한테 너무 성의없이 썼더라. 생각보다 애들한테 관심없는 교사들 너무 많아요.

  • @herren-house

    @herren-house

    Жыл бұрын

    진짜 ...열받드라고요...기간제교사도 많아요...그래서 그런거같아요. 교사들 정말....

  • @user-rd9eyjfchg

    @user-rd9eyjfchg

    Жыл бұрын

    그냥 학력고사로 가야합니다 편파적 일수밖에 없어요

  • @gusokdo

    @gusokdo

    10 ай бұрын

    싸가지 없는 교사질하는 ㄴㄴ들 많아요. 귀찮아하고 대충...아이들 인생을 망치는 ㄴㄴ

  • @user-vm7pc4st1e

    @user-vm7pc4st1e

    9 ай бұрын

    고1 담임샘 병가,휴가 여러가지로 자리 비우고 대체담임샘 들어오고 어이없음,

  • @herren-house

    @herren-house

    9 ай бұрын

    @@user-vm7pc4st1e 기간제교사가 3분의 1을 차지할정도로 정교사들 휴직및 병가가많아요.... 실상은 구조적으로 문제가 많아서 교권보호도 안되는거고 .... 요즘 데모하러 나간사람들 죄다 초등 정교사들이고 기간제교사들은 땜빵하느라 바쁘고...

  • @user-cb4vx5yc4j
    @user-cb4vx5yc4j Жыл бұрын

    중3 예비고1인데 진로정하기쉽지않아요, 학교에선 진로관련 프로그램도 딱히없고 아이보고 직업정해서 조사하기가 끝ㅡㅡ; 고등가기전 어떻게 진로를 정해야할지 특화된 재주가없는 평범한 아이는 참 어렵네요ㅜ

  • @user-cz7dz6cc8c
    @user-cz7dz6cc8c4 ай бұрын

    혹시 예비고2인데 생기부에 아쉽다는 말이 하나라도 있으면 생기부에 큰 악영향이 있나요?…. 다 좋은데 과학 응용능력이 아쉽다고 되어있어서…

  • @user-ve6cj6pg6o
    @user-ve6cj6pg6o6 ай бұрын

    모두공정하게수능으로만뽑아라수능2번봐

  • @user-by9zh9pp9i
    @user-by9zh9pp9i21 күн бұрын

    학종은 진짜 다 거짓과 포장임. 교과 역량을 보는게 제일 공평하고 공정함. 성적에 비해 생기부 내용 우수하면 다 조력자가 있더라.

  • @Justness180
    @Justness18011 ай бұрын

    학교쌤들이 진실정직되게 애들을 솔직히 써줘야한다 인성못된것들낙오돼 진상학부모안되게 사회물안더럽히게

  • @oliviab.7992
    @oliviab.7992 Жыл бұрын

    13:40 16:20

  • @user-mc5zc9hd4q
    @user-mc5zc9hd4q11 ай бұрын

    학생부는 있는 그대로 쓰는 거지..합격 하라고 쓰는 것이 아니라..한국 입시는 무엇이든 합격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변질된다..

  • @Truth....
    @Truth....2 ай бұрын

    특목고는 아예 수시에 맞춰서 수준높은 실험도 하고 심화도 하고. 체험할 수 있는 것도 다 학교에서 준비해주니 수준높은 세특이 될거고. 일반고는 그저 역량이 뛰어나다하고 모범적으로 성실하게 수업에 임했다라는 등 애매모호하게 써버림. 아이들만 탓하지 말고 뭔가 학교가 특별한 수업을 마련해줘야지. 선생님들도 교육시키고.. 아이들을 이끌어주는게 교사역할 아니냐? 학생개인이 수업외에 심화 학습과 실험늘 해서 결과를 보고하라는데. 이건 진짜 학부모가 개입해서 아이를 만들어 줘야하는거 아닌가? 정시가 낫겠네. 그런데 다 해내라는건 정말 아동학대다.

  • @jslee3443
    @jslee34432 ай бұрын

    학종은 정말 쓰뤠기인듯 학생부 우수한애들 내신공부하면서 과연 본인이 다 탐구하고 고민해서 썼을까 의심됨

  • @blacknut_girlfriend
    @blacknut_girlfriend10 ай бұрын

    자율 500 진로 700 동아리 500자

  • @user-ge9cs5dw1t
    @user-ge9cs5dw1t9 ай бұрын

    애초에 저런걸 입시에 도입했다는게 .. 현실에 맞지가 않음. 똑같은 성취도를 보인 학생기준으로 자사고는 알아서 생기부를 잘 뽑아주고 일반 공립 일반 사립은.. 전교1등도 알아서 챙겨야함. 저런 평가제도가 모든교사는 아이들에게 정말 관심이 많아서 아이들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관찰하여 최대한 합리적으로 기술한다는 전제가 깔린건데. 이건 전제자체가 잘못됐음. 그런 교사는 대체로 없고 대충써주나 잘써주나 나오는 월급 똑같아서 개관심없고 그냥 복사하기 붙여넣기로 작성해주며 보고서 들고가도 씹고 기록 안해주는 경우 허다함. 학부모 갑질도 유치원 초등 이야기지 중학교부터는 혹시 미운털박힐까봐 진짜 학교에서 비이성적이고 말도안되는 정책이나 교장갑질해도, 화장실이 극도로 더럽고 시설물이나 교육기자재 고장나고 부서져서 애들 불편해도, 학사운영 거지같이 하는 교사만나도 절대로 민원 넣을수가 없음. 이 와중에 좌파사상 쩔은 교사들 수업시간에 자기사상 주입하고 수십년전 데모하며 이상한짓 하고 다닌거 자랑하고 떠벌려도 눈 초롱초롱하게 경청해야 하는 거지같은 현실.

  • @user-jb3ov1os9p

    @user-jb3ov1os9p

    5 ай бұрын

    갑자기 좌파 교사가 왜 나옴? 우파교사는 뭐가 다를까? 공감하면서 읽으려다가 어이가 없네. 오히려 우파 교사들이 극우적 사고로 애들한테 일베마인드나 심어주고 쓰레기짓 하는거나 걱정하셔.

  • @user-xq4vs1jm7c
    @user-xq4vs1jm7c11 ай бұрын

    담임선생이 학생의 수업내용을 모두 알수없고, 담임선생이 모든 과목에 대한 이해력이 없는 이상, 생기부 등 작성을 구체적으로 할수없습니다. 교사가 학생에 대한 애정이 없는 이상 대충하겠지요, 결국은 담임이 작문을 잘해야한 것, 웃기는 한국교육의 현실~~

  • @user-hd2ec5gj2i

    @user-hd2ec5gj2i

    11 ай бұрын

    교과세특은 교과샘이 씁니다 담임이 다른교과 이해가 필요하지는 않죠

  • @jiyoung5301
    @jiyoung530122 күн бұрын

    고1 2 3 필독이 아니라 고등학교선생님들 필독!

  • @user-ol7pv3nt1y
    @user-ol7pv3nt1y11 ай бұрын

    이런 방송을 수시지원 한달전에 보게되니..아쉽네요.

  • @pasaudio2
    @pasaudio22 ай бұрын

    세계적이 대학은 없는데, 입학생 모집은 우주적이네

  • @user-rq4bg6wx2o
    @user-rq4bg6wx2o11 ай бұрын

    계속 확징된 활동

  • @user-kb1ve6dz3u
    @user-kb1ve6dz3u4 ай бұрын

    이런정보는 고등교사들이 꼭 들어야되는거아닌가요~교사와 아이가 함께해야하는데 참 공교육

  • @user-rq4bg6wx2o
    @user-rq4bg6wx2o11 ай бұрын

    진로희망 미반영

  • @user-pv6xs6zs6o
    @user-pv6xs6zs6o11 ай бұрын

    그냥 학생들도 알바나 해라

  • @user-rq4bg6wx2o
    @user-rq4bg6wx2o11 ай бұрын

    이기적 유전자 확장형 표현향🌺🌺 논문 잡지도 봐라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