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누리 교수] 민주주의자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독일의 민주시민교육_학부모10분특강(2021)

국기 영상 수정하여 재업로드 하였습니다.
=====================================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전국학부모지원센터
학부모On누리 홈페이지에 방문해 보세요!
부모교육, 자녀교육, 교육정책 등에 대한
종합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 www.parents.go.kr ◀

Пікірлер: 22

  • @user-ov3pr6lz5n
    @user-ov3pr6lz5n2 жыл бұрын

    멋진 강의 잘 들었습니다. 요즘 김누리 교수님 강의를 모두 찾아 듣고 있는 사람으로서 정말 훌륭하신 가치관을 가지고 계셔서 존경합니다. 많은 시민들의 의식을 깨워서 스스로 생각하는 민주시민으로 성장 시키고 계십니다.

  • @joyfulpeace4726
    @joyfulpeace4726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의 현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가장 정확하게 진단하고 정확한 문제 해결 방법을 전달하시는 지식인중의 최고 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소위 배웠다고 하고 지식인이라고 하면선 부조리한 현실 문제를 외면하고 오로지 자신의 행복에만 만족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사회적 정의, 사회적 책임감이 전혀없는 사람들로 넘쳐나고 있습니다. 배운 사람일수록 dignity 인간의 존엄성이 사라지고 이기심, 비굴함, 심지어 이익을 위해서는 인격을 버리는 비열함까지를 서슴없이 행하는 사람들로 넘쳐나고 있습니다. 사회적 자아가 전혀 형성되지 않은채 오로지 권력, 명예, 돈에 모든 관심이 집중된 사람들이 사는 사회로 점차 변해가고 있습니다. 교수님 말씀대로 그 기저에는 교육이 전혀 인간의 존엄성에 관심이 없고 그저 좋은 대학가서 잘 먹고 잘 살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우리 사회를 강하게 지배하고 있습니다. 각자도생하며 서로를 신뢰하지 않고 오로지 나의 이익에만 관심이 있는 사회.. 이게 지옥이지 따로 있겠나 싶습니다. 병원을 가도 공공기관, 은행, 보험 우리 생활에 필요한 곳에 가서 일처리 하려면 얼마나 고심해야 하는 사회인지 싶습니다. 이 사람들이 정말 나에게 정당하게 정보를 주는 것인지.. 또 내가 속고 있는 게 아닌지..잘못된 정보로 속는 일도 많습니다. 정말 무슨 일을 해도 신뢰하기 어려운 일들을 많이 당하고 그 피해는 오로지 개인의 몫으로 남겨진 사회.. 나라는 부자가 되었다고 하나 사람에 대한 신뢰는 점점 더 무너져가는 사회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말 인식의 변화가 필요한 사회라는 데에 적극 공감하고 교수님의 뜻을 전파하는데 저도 나서려 합니다.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2 жыл бұрын

    👍🏻

  • @user-ox8sf3ej2u

    @user-ox8sf3ej2u

    2 жыл бұрын

    진중한답변에 많은사람들이 동감할것입니다ㅡ

  • @user-ox8sf3ej2u
    @user-ox8sf3ej2u2 жыл бұрын

    진정 훌륭하신 분입니다 감사합니다 ㅡ세상을바꾸려는 교수님같은열정적인분들이 많이 나왔으면합니다 존경합니다ㅡ

  • @dodo9729
    @dodo97292 жыл бұрын

    "나라가 이상한 건 민주주의가 잘 안돼서다."

  • @user-chun829
    @user-chun8292 жыл бұрын

    김누리교수 님 지지합니다

  • @soulmax6
    @soulmax62 жыл бұрын

    9:49 베를린 훔볼트대가 아니라 베를린 자유대 로 자막 수정 요청합니다. 훔볼트대는 당시 동베를린에 있었습니다.

  • @nileparents

    @nileparents

    2 жыл бұрын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 @isartormch5244
    @isartormch52443 жыл бұрын

    김누리 교수의 강의는 학부모나 교사 그리고 교윢관련 공무원들이 아니라, 초중고대 학생들이 들어야. 나머지는 협력자일뿐. 당사자는 학생이기 때문. 협력자가 아니라 학생들이 일어서 기존 적폐를 스스로 바꿔야. 해방은 자기해방뿐. 만들어야지, 주어지는 것은 무의미.

  • @akfh0111

    @akfh0111

    2 жыл бұрын

    둘다죠

  • @josephgen467
    @josephgen4672 жыл бұрын

    돈이 가장 많아야 서울대 간다. 2번째로 돈이 많으면 연세대 고려대 간다. 3번째로 돈이 많으면 중경외시 서성한 간다. 돈 많은 순위가 과외순위를 결정하고 과외비 순위가 명문대 입학순위를 결정한다. 약육강식 적자생존 헬조선 자본주의다.

  • @user-cb3kg9rn8e

    @user-cb3kg9rn8e

    6 ай бұрын

    돈이많아서 간아이들보다 돈이없는데도 공부잘해서 간 아이 많이봣다.

  • @user-nw8ro4jq4o
    @user-nw8ro4jq4o2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nileparents

    @nileparents

    2 жыл бұрын

    시청 감사합니다

  • @user-nb3ff1jp7s
    @user-nb3ff1jp7s2 жыл бұрын

    존경하는 교수님~4월25일 반포한강에서 실종이 되어서 5일만에 시신으로 돌아온 학생이 교수님의 학교의 학생인것을 떠나서 김누리교수님은 분별이 뛰어나신 분이십니다 52만 이상의 국민들이 의혹을 제기하는 손정민군을 위해서도 목소리를 내주셨으면 합니다 존경합니다 교수님~

  • @user-yn4oh7lt8e
    @user-yn4oh7lt8e2 жыл бұрын

    완전 거짓선동가네요 대한민국이 민주주의기에 당신같은 분도 존경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는겁니다!!! 당신이 원하는 민주주의는 도대체 뭔가요???

  • @user-sj1uf6fd3w
    @user-sj1uf6fd3w2 жыл бұрын

    이분은 내가 어릴때 가지고 있던 유치한 생각을 나이 먹어서까지 가지고 있다는 게 정말 신기한 사람이다.

  • @moonshot3429
    @moonshot34292 жыл бұрын

    자기만 빼고 다 바보인 줄 아는 교수의 전형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2 жыл бұрын

    뒤틀린 자아를 그런식으로 푸시면 속이 편하신가 봅니다.

  • @0190James

    @0190James

    Жыл бұрын

    마음에 쓴뿌리가 많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