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히 늘어나는 20대 파산의 진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영상은 4월 9일 촬영본입니다
서울회생법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대의 개인회생, 파산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경제적 어려움을 한번에 해결해 보려는 마음에 무리한
투자를 하다가 오히려 큰 시련을 겪게 될 수도 있습니다.
💡재테크 공부를 하고 싶다면
[부동산읽어주는남자] 네이버카페
zrr.kr/xXGz
📚부읽남 [운명을 바꾸는 부동산 투자수업] 도서구매
bit.ly/3tML9k0
급격히 늘어나는 20대 파산의 진짜 이유는 무엇인가?

Пікірлер: 694

  • @buiknam_tv
    @buiknam_tvАй бұрын

    💡재테크 공부를 하고 싶다면 [부동산읽어주는남자] 네이버카페 zrr.kr/xXGz

  • @juliaseo3592

    @juliaseo3592

    Ай бұрын

    ㅔㅔㅔㅔㅔ

  • @user-ky3jy3zf8r
    @user-ky3jy3zf8rАй бұрын

    지금 한국 사회에는 "왜?" 잘 살아야하는 지에 대한 철학이 없어서 그래요. 미국은 자본주의 끝판왕 사회지만 사람들의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포용력이 있고, 종교와 가족을 삶의 목적으로 삼고, 때로는 환경보존이나 정치적 목표를 위해 목숨을 희생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한국인들은 그 모든 가치 위에 돈이 있네요. 가족을 위해 돈을 벌어야 한다지만, 돈이 없으면 가족도 버린다는 걸 자연스럽게 생각하는 국가에 무슨 미래가 있을까요?

  • @user-ps2nv9co2p

    @user-ps2nv9co2p

    Ай бұрын

    미국은 벌어서 다 쓰면서 만족하는데 우린 다써도 모자른느낌

  • @user-zw4mg7od5t

    @user-zw4mg7od5t

    Ай бұрын

    맞네요...우울하네

  • @jetty5552

    @jetty5552

    Ай бұрын

    돈돈 하는이유가 결혼도하고 살아갈려면 집은 필수인데 우리나라 돈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들어가있어서 좋은집 구할려면 노동소득으로는 불가능할정도. 그러다보니 돈없는 뉴비 사회초년생들이 빨리 어느정도 괜찮은집에서 가정꾸리고 살고싶은데 집값보면 노동소득으로 답이 안나오니까 인생좀 바꿔볼려고 무리한 재테크를 하게됨. 무리한 대출로 집사거나 주식, 코인도 하이리스크 방식으로 돈 넣고 거기서 실패한 사람들이 개인회생 파산. 출산률 낮은것도 기계가 발전하면서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든것 + 스마트폰 sns발달로 잘사는사람들 생활 많이 접하니 꿈이 높아짐 + 높은 집값 영향이 큼. 돈있는 기성세대들이 투자처중에 부동산에 미쳐있어서 새로 태어나서 인생 시작하는사람은 돈많은 부모 잘만나거나 집담보로 대출하지않는이상 집을 못삼. 이 문제들은 인구수 젤 많은 베이비붐 세대 다 죽고 인구수 급감하고 투자관련해서 제도도 투자금들이 부동산에 몰리지않고 주식쪽으로 가게 한다던지 개선하고 거주지도 서울쪽만 개발할게 아니라 지방쪽도 사람살기 좋게 만들어서 인구분포도 골고루 퍼지게해야 나아질듯함. 새로 태어나는 애들 교육제도쪽도 너무 경쟁과 돈돈거리지않고 행복하게 살수있는쪽으로 좀 바꿔야지. 나라가 그냥 고인물게임마냥 돼버려서 돈많은 부모운빨로 어릴때부터 좋은환경에 교육잘받아서 좋은직업, 사업물려받던지 결혼자금이랑 집도 지원받고 인생시작 하는거아니면 잘살기 힘듬. 지원받는다쳐도 노력은 필요하지만 아무 지원없이 맨땅에서 노력하는사람이랑 난이도가 다르지 어쩔수없는 부익부빈익빈. 아무 지원도 안받고 결혼적령기까지 혼자힘으로 괜찮은집에서 가정꾸리고 잘살기엔 노동소득으론 노답이고 도박적 투자로 성공했던지 사업을 성공했던지 인터넷세상에서 인플루언서로 성공했던지 사기를쳤던지 아니면 큰돈있기 힘든듯

  • @ozarkian7211

    @ozarkian7211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오래살고있는데 항상 느끼는거.. 같은 돈이나 자산을 소유했을경우 미국인이 훨씬 행복하게ㅜ산다.. 다만 그ㅜ자식들은 아시아인이 더 잘 산다

  • @user-mv6vw1hv7m

    @user-mv6vw1hv7m

    Ай бұрын

    ​@@jetty5552 똑똑하시네요 부읽남 티비 애독자님답네요 ❤

  • @smy200
    @smy200Ай бұрын

    자기 능력은 바닥인데 대우는 대기업이길 바랍니다 현실과의 괴리가 심하니 일도 안하고 쉬는겁니다

  • @granadajoy7024

    @granadajoy7024

    Ай бұрын

    1줄요약 : 주제파악을 못함

  • @user-zp3uw3tt9g

    @user-zp3uw3tt9g

    Ай бұрын

    그러게 놀고먹는 백수들한테 돈 뿌리고 이번에도 25만원씩 뿌린다니간 좋다고 당선 됨 ㅋㅋ

  • @user-ch9wx4lr3m

    @user-ch9wx4lr3m

    Ай бұрын

    밑빠진독에 몰붓기죠 국민 세금만 거덜내죠!

  • @rabbit77music

    @rabbit77music

    Ай бұрын

    바닥이면 다행

  • @user-cv2lh7od8b

    @user-cv2lh7od8b

    Ай бұрын

    이거는 팩트인듯 합니다.

  • @user-sk1nx6uu5f
    @user-sk1nx6uu5fАй бұрын

    쉽고 편하게 벌려고 한다면, 그만큼 쉽게 잃습니다. 힘들게 번 돈은 오랜 친구처럼 내 곁에 있지만, 일확천금은 술자리 친구처럼 쉬이 사라지더군요. 그리고 상속으로 많이 받아도 평상시 준비되지 않으면 그 유산을 지켜내지 못합니다. 그 돈은 다른 노력한 친구들의 재산이 됩니다

  • @user-xn9yw5nx7b
    @user-xn9yw5nx7bАй бұрын

    게으른 사람이 욕심을 가지면 그것만큼 무서운게 없다고 합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바라는건 넘 많은 20,30세대를 표현하는 말이네요.

  • @user-iu7dj7pc8e
    @user-iu7dj7pc8eАй бұрын

    젠틀하고 프레쉬하게 좋은컨텐츠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

  • @porsche_s_9878
    @porsche_s_9878Ай бұрын

    얼마전 서울역 노숙자들 계신곳 가보니 젊은 20대 남자들이 박스깔고 노숙하고 있더군요 노숙자 연령층이 점점 젊어지고 있다는거에 충격먹었음....

  • @DDDDTTTTDDDD

    @DDDDTTTTDDDD

    Ай бұрын

    20대 꽃거지 sns질 하긋네

  • @user-yu9rf3sk1k

    @user-yu9rf3sk1k

    Ай бұрын

    mz노숙자까지?ㅋ

  • @user-gr4dj1te1c

    @user-gr4dj1te1c

    Ай бұрын

    20대 여자도 있을걸요? 과연

  • @user-vd5gc3ky9z

    @user-vd5gc3ky9z

    Ай бұрын

    @@user-gr4dj1te1c 있을리가.. 20대 여자면 화류계라는 대안이 있어서

  • @user-wi7hy2xg4l

    @user-wi7hy2xg4l

    Ай бұрын

    그것도 외모가 되어야...

  • @suyoungshin816
    @suyoungshin816Ай бұрын

    이런 내용 너무 좋아요^^! 시야가 확장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kimjihye184
    @kimjihye184Ай бұрын

    다들 향수는 기본 십만원 이상되는거(30ml기준) 당연하게 쓰는거보고 엄청놀랐었는데..어차피 날아가는향이라 난 죽어도 십이상은 못쓰겠던데. 대학생애기들도 당연히 조말론은 기본으로 쓰는거보고 무지놀램..물론 5년전쯤이긴하지만.

  • @chriskim7123

    @chriskim7123

    Ай бұрын

    그런 향수들 만드는 조향사들 데려와서 거의 비슷한향으로 자라에서 2~4만원으로 찍어내도 그런건 거들떠도 안보고 굳이 20,30만원대 향수주로 사는게 사람들 현주소임 ㅎ... 우리집 순자산 세자리 억대에 난 저축 매달 60프로 넘게 하는디...

  • @user-vd5gc3ky9z

    @user-vd5gc3ky9z

    Ай бұрын

    향수는 십만원 이상 되는거 써도 가성비 좋음 ㅇㅇ 왜냐면 매일 뿌려도 최소2~3년 쓰거든 달로 따졌을때 효율이 좋음

  • @user-nu8xu3rk4p

    @user-nu8xu3rk4p

    Ай бұрын

    ​@@user-vd5gc3ky9z설득력 있네요 ㅎ

  • @bbk7127

    @bbk7127

    29 күн бұрын

    큰돈도 써봐야 하는게 맞는데 이건 이야기가다름 없는데 많이씀

  • @yeomins
    @yeomins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건강한 주말되세요 ~

  • @TV-om7yg
    @TV-om7ygАй бұрын

    주변 이십후 삼십초. 돈도 없으면서 할거다함. 경계선 (감사~ )지능 수준으로 돈관리 안됨.

  • @tv-ot5ky

    @tv-ot5ky

    Ай бұрын

    경계선

  • @user-eu9wr6eq7m

    @user-eu9wr6eq7m

    Ай бұрын

    ​@@tv-ot5ky경계성 경계선 둘다맞아요

  • @user-tj2eu3th4p

    @user-tj2eu3th4p

    Ай бұрын

    월 200 벌면 50쓰고 150적금이나 재택크 하면 10년이면 최소 2억은 모으지~

  • @user-ch1jf6hy9y

    @user-ch1jf6hy9y

    Ай бұрын

    개인회생 갤러리 한번 눈팅해보세요 돈 갚으면 바보취급받습니다 나라에서 합법적으로 돈 떼어먹게 해주는데 왜 그걸 다 갚냐고 합니다 ㅋㅋ

  • @HAMBBOONGE

    @HAMBBOONGE

    Ай бұрын

    ​@@user-eu9wr6eq7m학명이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보더라인 / 경계선 인데 뭘 둘다맞아ㅡㅡ

  • @user-lc5ot6os4f
    @user-lc5ot6os4fАй бұрын

    항상 많이 배웁니다 ❤

  • @user-yr1ci2kx2x
    @user-yr1ci2kx2xАй бұрын

    요새 20대는 기성세대 탓은 하지만 본인들 노력은 덜함 오마카세, 호캉스, 양양 서핑 등 20대 들 천지임

  • @tsmc3986

    @tsmc3986

    Ай бұрын

    유럽보고그렇게합니다

  • @user-uq9sh2fu9m

    @user-uq9sh2fu9m

    Ай бұрын

    zl랄ㄴ 저런 사람 소수고 대부분 20, 30대는 지금까지 느그들이 했던 노력이랑 비교도 안될정도로 쓰레기같은 환경에서 살아남으려고 발버둥치는중임

  • @user-of5bq5kn2t

    @user-of5bq5kn2t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진짜 꼰대 그잡채네. 세대갈라치시 그만하세요 할아버지

  • @smy9372

    @smy9372

    Ай бұрын

    관짝이나 들어가쇼

  • @user-fp2dk6fd1o

    @user-fp2dk6fd1o

    Ай бұрын

    얼마전까지 20대였던 아재임 또래들 고생안하려고하고, 노력안함 솔직히 그덕분에 성공하기 쉬웠음 ㅋㅋ

  • @rubyinclay
    @rubyinclayАй бұрын

    알때까지 공부한다. 모르면 투자하지 않는다. 오늘도 명언 감사합니다!!!

  • @user-hs1sf5zq6y
    @user-hs1sf5zq6yАй бұрын

    투자 마인드 잘 충전했습니다😊

  • @SINSA999
    @SINSA999Ай бұрын

    돈이없으면 안써야지 부어라 마셔라 입어라 타라 하다가 빚내가지고 파산쳐하고 30대지만 개인적으로 죽어야 한다 생객합니다.

  • @user-cv2lh7od8b

    @user-cv2lh7od8b

    Ай бұрын

    얼마 안 되는돈 모아서 뭐하냐 그래서 쓰는거래요ㅠㅠ 젊을때 써야 한다고 빛내서 여행가더라구요ㅠㅠ

  • @user-cv2lh7od8b

    @user-cv2lh7od8b

    Ай бұрын

    @@Owjsbdhfnfb234 이런 사람들 늙으면 기초연금.기초수급자로 나라에서 수급비.기초연금.바우처 .등 받고 열심히 일해서 세금 낸 사람은 집한채 있다고 아무런 혜택이 없고 이건 수정되어야 합니다.

  • @minjae92

    @minjae92

    Ай бұрын

    ​@@user-cv2lh7od8b근데 기초수급은 님 안전을 위해서라도 줘야됨. 걔네가 그 쥐꼬리만한 돈 없으면 뭐하면서 먹고 살겠음?

  • @user-cv2lh7od8b

    @user-cv2lh7od8b

    Ай бұрын

    @@minjae92 기초수급비 받아야 삶을 살아가시는분 있죠 도와드려야죠 그게 문자라는게 아니라 그 법을 악용하는 사람이 있다라는 거에요

  • @dinobei33

    @dinobei33

    10 күн бұрын

    이런거 보면 경제교육은 진짜 필요하다 생각함. 생산이 있어야(돈을 벌어야) 소비가 가능하다는걸 배워야 함. 부모한테 용돈타면서 배운게 잘못된 경제관념으로 자리잡은듯. 잘못한건 벌받아야겠지만 죗값을 다 치룬후에도 일어서지 못하고 죽게 두면 가뜩이나 저출산에 더 희망없는 국가가 되버릴듯

  • @user-fm2pl4yq2j
    @user-fm2pl4yq2jАй бұрын

    지금 20대의 금융이해력이 너무 낮아서... 라고 최대한 변호해주셨지만 지금보다 20대 금융이해력이 높았던 시절이 있기나 했습니까? 허영심이 모든 문제에 원인이죠. 금융지식 백날 이해해봐야 허영심,충동심 못 이겨내면 아무 의미 없습니다.

  • @dfhshxjfj8660

    @dfhshxjfj8660

    Ай бұрын

    젊은사람중에 이해력이 문제가 아니라 단어 이해도 못하는 심각한 사람들 많음 은행 창구에서 일하는데 2030한테 받은 민원중에 레전드는 인터넷뱅킹하는도중 “출금계좌 비밀번호”를 누르시오라고 뜨는데 출금계좌 비밀번호가 무슨 뜻인지 알려줘야하는거 아니냐고 인터넷 뱅킹 신청할 때 이런거 하나하나 친절하게 설명해줘야지 그런식으로 일하냐고 개지랄 떨음... 하도 이상한 놈들 많아서 해탈하고 제가 죄송하다고 앞으로 더 꼼꼼하게 설명드리겠다했는데 본인 잘못은 생각 안하고 ㅇㅇ 은행 직원들 불친절하다고 여기저기 주변에 떠들고 다니겠지😅

  • @user-uo7dc7os4x

    @user-uo7dc7os4x

    Ай бұрын

    그렇지요

  • @JUN-bu1ir

    @JUN-bu1ir

    Ай бұрын

    에/의 맞춤법 구분도 못하는 사람이 둘 훈수는 아닌듯ㅋㅋ

  • @user-dp7vh8du1x

    @user-dp7vh8du1x

    Ай бұрын

    @@JUN-bu1ir 기자도 아니고 모든걸 완벽하게 쓰지 못할 수 있지요 아닌 듯이라 써야 한다고 띄어쓰기를 남들이 지적 안하는 것처럼. 허영심에 대한 걸 지적하는 거랑은 관련 없어보이네요

  • @TrinSevenZ

    @TrinSevenZ

    Ай бұрын

    @@JUN-bu1ir딴지거는쪽이 더 대가리 비어보여요 :)

  • @user-ex8jv8zc7e
    @user-ex8jv8zc7eАй бұрын

    요즘 젊은세대가 대체로 고생은 덜하고 이상은 엄청 높음 남 잘된꼴도 못보고 겉만 보고 판단하고 평범함은 뒤쳐지거나 비루하게 봄 평범하면 어때서~ 세상에 공짜가 어디있나 우리가 부러워하는 부자나 직업군도 다들 나름 고생해서 이만큼 이룬것인데 가만있다 어디서 뚝 떨어지는줄 안다 성실히 일하다보면 계단올라가듯 부가 쌓이는거이지 갑자기는 없다

  • @109prime

    @109prime

    Ай бұрын

    지금 시대에서는 가난이란 단어 자체를 쓸 수가 없는 시대인데 요즘 애들은 남들보다 자기가 소비를 못하면 리얼 가난이라고 생각하더라고요ㅋㅋㅋㅋㅋ 어이가 없죠. 알바만 해도 배고 프지 않은 시대인데 sns로 남들이 잘사는 걸 보니 본인이 불행하다고 느끼죠.

  • @pingpongking0129

    @pingpongking0129

    Ай бұрын

    요즘 젊은세대가 어느나이대인지 고생을 덜 했다는건 무슨기준이고 그렇게 키운건 그 젊은이들의 부모세대인데 왜 애들을 손가락질 하시는지....

  • @pingpongking0129

    @pingpongking0129

    Ай бұрын

    그리고 부자가 되고싶지만, 일 안하고 놀면서 부자 주머니에서 돈 털어서 살자며 부자를 혐오하는 나라의 국민이 60%가 넘는데 이게 요즘 젊은애들은 아니잖아요...? 70대는 못배워서 무식하고 2030대는 아직 어려서 세상물정 모른다는 세대신가....너무 편향적 사고같네요

  • @freebird721

    @freebird721

    Ай бұрын

    @@109prime 가난이라는 단어 자체를 쓸 수가 없다니??? 기본 가난을 깔고 시작하는 청년들한데.

  • @109prime

    @109prime

    Ай бұрын

    @@freebird721 태어나서 눈뜨면 따듯한 부모님 아파트에서 밥 3끼먹고 사는게 지금 애들 디폴트인데 그게 가난이야?ㅋㅋㅋㅋ 나도 지금 시대에 태어나지 못한게 억울할 정도다. 인터넷이라는 이전에 없던 미친게 나왔는데 돈을 못벌고 감히 가난이라는 단어를 짓거리는게 말이나 되는 이야기인가.

  • @Theyoonsiyeul
    @TheyoonsiyeulАй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오게 잘 이야기하시네요. 멍하니 듣고 있었어요.

  • @mirikim7930
    @mirikim7930Ай бұрын

    부모가 자녀경제교육 똑부러지게 시켜야함 애들하는대로두면 클나요 주거래은행과 신용의중요성 대출의 위험성 카드할부 자제 신용카드 딱 한개 수입비례지출하는방식 초기에 간섭과 충고 정말 필요합니다 부모가 본보기가 되어야죠

  • @user-ny7yn4fw1m

    @user-ny7yn4fw1m

    Ай бұрын

    대출 심사자인데, 주거래쓸데없고 / 자본주의는 레버리지가 좋은점인데../할부도 잘갚으면 신용점수 만점에 가까워짐 / 나 30초 순자산 10억초과임 n978 k1000점

  • @mirikim7930

    @mirikim7930

    Ай бұрын

    @@user-ny7yn4fw1m 뭔돈자랑을하니 나미국자산한국자산 대출0로 개인비행기 있음 아들딸 대학졸업후 지들스스로 취업 연봉 1억이상 아들딸 둘다 미국주식 중학교때 각 500만원으로 시작 부모와 함께 사고 팔고 지금은 스스로 잘하고있다 그래도 지하철 타고 다님 미국에도 집 대출0헌국 서울 강남 대출0 퇴직연금연봉 1억 훨씬 넘어 페이퍼금 .미국 EFT, 국채 투자 기기서나오는 수익 기부 애한테 항상 상속은없다 애기한다 스스로 자산을 만들어야 끝까지 남는다

  • @LOvE-tc5gu

    @LOvE-tc5gu

    Ай бұрын

    부모가 넘 간섭해서 탈이지 그냥 이제는 좀 냅두자 애들을

  • @illliIiiillIiiIiIill

    @illliIiiillIiiIiIill

    Ай бұрын

    ​@@user-ny7yn4fw1m그건 니가 은행권이라 그렇지 다른 직업들은 연 4천도 못받는다

  • @user-ih4dw6kb7h

    @user-ih4dw6kb7h

    Ай бұрын

    1

  • @user-ks5od6hd7z
    @user-ks5od6hd7zАй бұрын

    개인사업자가 많고 많이 힘듭니다 소득이 꾸준하지 않은데 부읽남에서 꼭 좀 다루어 주세요

  • @hoon3285
    @hoon3285Ай бұрын

    본인들 아버지들 보다 더 열심히 살려고 한다면 반은 해결된다

  • @user-zr6ww7hj3n
    @user-zr6ww7hj3nАй бұрын

    SNS같은 거땜에 남들 하는건 이상만 높아 다 하려하고 힘든건 조금도 못버틴다고 울아들 근무지서도 조금 힘들다고 못버티고 나가기 일쑤라고 같은 세대인데도 한심한 젊은 애들 너무 많다고 하네요

  • @sumioh9302

    @sumioh9302

    Ай бұрын

    😊😊😊

  • @user-td1nx9zx7v

    @user-td1nx9zx7v

    Ай бұрын

    그렇게 도망가서 이런 사회를 꼰대들이 만들었다고 자위하며 중고차 팔러감.

  • @mufama9995

    @mufama9995

    Ай бұрын

    부모가 우쭈쭈하니 문제임 평생 케어해야함

  • @nalong731

    @nalong731

    Ай бұрын

    우쭈쭈 커서 문제인 것도 있지만, 과도하게 일을 많이 시키는 문화가 아직도 있습니다. 물론 꼰대 같은 상사 문화가 가장 어렵습니다. 저도 30대 초반이지만, 꼰대가 가장 어렵습니다. 집에다가는 부모님께 말 해도 이해 못하니 일이 힘들어서 그만 둔다고 예전에 저도 그랬습니다ㅜㅜ 그리고 알아서 눈치껏 빠릿빠릿하게 일 잘 하기를 원하는데…. 너무 많은 걸 바라는 것 같아서 굉장히 부담스러워요… 애사심 같은 것도 원하는데 전혀 이해가 안감…. 아무튼 뭐 한두가지가 아니어요

  • @user-ol3im6hj9b

    @user-ol3im6hj9b

    Ай бұрын

    틀린말은 아니지만 사실 우리나라자체가 사람을 갈아서 성과를 내는 나라인지라 노동력이 너무 저평가 되어있죠. 요즘 사람들 교육수준은 선진국인데 보수는 적죠. 너무 몰아세우기보단 임금을 당장개선은 어렵지만 기업문화는 조금 바뀌긴해야한다 생각합니다

  • @jasonlee4655
    @jasonlee4655Ай бұрын

    젊은 20대 욕하지마세요 아재들. 나도 30대 후반이지만 예전에도 흥청망청쓰고 게으른 사람 맣았슴. 지금은 워낙 미디어더 발달하고 정보공유가 빠르니까 더 눈에 띄는거지. 어차피 성공은 모든 세대에서 일부만 함. 지금 파산안하는 열심히(?)사는 40-60대들도 70되면 폐지주워야될 사람도 널렸슴.

  • @user-eu4sw6ts3z

    @user-eu4sw6ts3z

    15 күн бұрын

    맞음 ㅋㅋ

  • @castiel9828
    @castiel9828Ай бұрын

    아니 근데 주위 20대들보면 일들도 열심히하고 그러고 주위에 저런애들 찾기힘들던데 자꾸 이런이슈로 유튜브 나온다는거는 꽤 개체수가 많다는건데 대체 어디에있는거임?

  • @shaheenshin7927

    @shaheenshin7927

    Ай бұрын

    원래 끼리끼리입니다. 결혼 안하고 애 안낳는다고 하지먼 주변에 다 결혼하고 애 낳더라구여

  • @ajuga9392

    @ajuga9392

    Ай бұрын

    찾기 힘든게 아니고 어느 세대나 있습니다. 적은 모수로 일반화할 순 없죠

  • @mangg-go

    @mangg-go

    Ай бұрын

    저런애들은 평범한 사람 생활반경에서 보기 힘들죠

  • @ta.8165

    @ta.8165

    Ай бұрын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이죠 ㅎㅎ

  • @user-Global9888

    @user-Global9888

    Ай бұрын

    유유상종이라고 주위에 성실한사람들이 있다는건 본인도 성실하다는거

  • @greenmild5878
    @greenmild5878Ай бұрын

    비트코인 많이 하잔아요, 그리고 요즘 할부 대출 커트라인도 쉬워져서 쉽게 돈 빌리거나 할부 사용도 한 몫함,.

  • @amugunanemamdero
    @amugunanemamderoАй бұрын

    그놈의 건강보험 피부양자제도좀 옶애라 그것때문에 일 안해도 살만하니까 지원금만 받고 일 안하고 사는거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내야하는 건강보험료만 올라가지

  • @TV-bn3qj
    @TV-bn3qjАй бұрын

    노력을 많이 하는 사람은, 노력을 많이 했다고 말 안함. 아직 스스로 부족하다고 느낌. 그렇기 때문에 노력하는 거.

  • @user-jp3de2mu5z
    @user-jp3de2mu5zАй бұрын

    나는 일본에서 유학도 하고 일본대기업도 다니는데, 오마카세 구경도 못 했다… 그리고 일본 동료들도 오마카세 그런걸 왜 가냐고 한다ㅋㅋㅋ 한국인 대단하다 진짜ㅋ 열심히 경험경험 해라

  • @leap7685

    @leap7685

    Ай бұрын

    일본 사람들이 한국 오마카세를 앎? 일본에서 오마카세는 그냥 당일 추천메뉴 아님?

  • @user-nu8xu3rk4p

    @user-nu8xu3rk4p

    Ай бұрын

    ​@@leap7685그냥 내용을 보니 유학하고 한국에 있는 일본회사 다니는걸로 보입니다. 일본에선 오마까세가 당일 추천 메뉴죠 ㅎ

  • @poxy5780
    @poxy5780Ай бұрын

    내용 재밌네요

  • @user-uh1my9rm6u
    @user-uh1my9rm6uАй бұрын

    20대 30대초반까지 정신못차리고 있다가 지금 정신바짝차리고 돈열심히 불리고 있습니다ㅜㅜ 좀더 젊을때 이랬더라면😢

  • @user-yo4om3ol6b
    @user-yo4om3ol6bАй бұрын

    마지막말이 너무 좋네요 부자되는길에 쉬운길은 없다

  • @user-pz3yk7uz3m
    @user-pz3yk7uz3mАй бұрын

    세상이 미친것 같음 30초인데 평균 연봉 뻔히 아는데도 주위에서 뭐했는지, 뭐 입고 다니는지, 뭐 끌고 다니는지 들어보면 괴리감 옴 저 수입에 저걸 한다고…? 느낌

  • @sebinoh9657
    @sebinoh9657Ай бұрын

    저는 올해 마흔인데 제 생각엔 시대를 막론하고 열심히 하는 사람 따로있고 돈 쓰고 노는 사람 따로 있는거 같애요 사회분위기상 회생 비율이 많아진건 맞지만 우리가 20대 때도 돈쓰는거만 좋아하는 사람들은 지금도 노답입니다

  • @user-cs1mo2hj7u
    @user-cs1mo2hj7uАй бұрын

    청년들이 스스로 돈벌어서 살 수 있게 해줘야 하는데, 먹이만 쳐주 주니 문제임 ㅋㅋ

  • @eong-cats
    @eong-catsАй бұрын

    사기당한것보다 생각없이 카드 여러개 만들어 할부돌리며 막쓰다가 저리 되는 경우가 더 많아요. 퇴사당한 직원중 있었음.회사로 사채업자 전화로 업무 마비 되서 퇴사시켰음

  • @user-fn7dy9ot6d
    @user-fn7dy9ot6dАй бұрын

    남이 하면 쉬워 보이고 젊은 패기에 성질만 급하지 아직 그릇이 안 된 거지.. 투자에 있어 사고의 유연함과 마음 가짐 다시 한 번 배워갑니다. 그나저나 비트 전문가 오태민 교수님을 어서 빨리 섭외 하셔야겠습니다.

  • @user-dm2je7dh4o
    @user-dm2je7dh4oАй бұрын

    오늘 아웃핏 너무 멋져요

  • @beastkim2046
    @beastkim2046Ай бұрын

    솔직히 코로나 때 정부에서 식당내 취식가능하다고 하자마자 친구들이랑 밥 먹기로함 그 중에 한 놈이 밥 먹기전에 비트코인에 돈을 넣고 밥을 먹는다고 하길래 하지말라 말렸음 근데 밥 먹고 나니 그게 500만원이 올랐음 다들 오 대단하다면서 밥사라고 함 그 친구 흔쾌히 밥 사줌ㅋㅋㅋ 그리고 지금 그 친구는 -5000임

  • @user-rf9hb4zz7d

    @user-rf9hb4zz7d

    Ай бұрын

    알트샀구만 비트삿음 지금5000 수익일건데

  • @user-lw2qt8ry1g

    @user-lw2qt8ry1g

    Ай бұрын

    초심자의 행운이 그래서 무서운 것 같아요..

  • @joongkyung98

    @joongkyung98

    Ай бұрын

    비트코인맞나요?? 비트코인을 코로나때 샀으면 지금 수익권이에요 지금까지 마이너스면 알트코인일거에요 비트랑 알트는 다른겁니다

  • @user-sq6ro7vg3l

    @user-sq6ro7vg3l

    Ай бұрын

    그게 현실이지 도박으로 접근하니까 결국 다 잃지

  • @KkebiHi

    @KkebiHi

    Ай бұрын

    비트 ㄴㄴ 잡알트 ㅇㅇ

  • @leewts0520
    @leewts0520Ай бұрын

    원래 돈이 없으면 안 쓰는 게 당연했는데 어느새 이제는 없어도 빚내서 쓰는 게 당연한 걸로 되어있더라

  • @user-gh7jb8vb3u
    @user-gh7jb8vb3uАй бұрын

    언제나 좋은영상과 상세하고 이해력~쏙쏙 설명에 감사드려요? 우리아이들 위해 최선을 다해 좋은 영상 부탁드릴께요^^

  • @narishin2011
    @narishin2011Ай бұрын

    과소비는 내면에서 생존하려고 그런걸수 있어요. 지름신 들렸다, 물욕 터졌다고 하죠. 그런 사람들 보면 착취자들이 주변에 달라붙어서 에너지를 빨고 있거나 나쁜 사람들로 가득찬 환경에서 안 좋은 영향을 받고 있어서 그럴수 있습니다. 내가 왜 이러지 싶은데 강박적으로 소비하게 되는..나쁜 가족,친구,지인은 연을 끊으시고 환경이라면 그 곳을 빨리 빠져나오셔야 해결됩니다. 지역을 말하는 건데요..기초지자체일수도 있고 광역지자체일수도 있어요. 자신이 그 착취자들과 별다를바없다면 탈출은 영원히 불가능합니다..

  • @Coinbug5
    @Coinbug5Ай бұрын

    나는 첫투자가 코인판이라 시작하자마자 개폭락장 귓방망이 ㅈㄴ쌔개 맞고 시작해서 그거 회복하는데 인생3년날림 요즘 아파트하나 분양 받았는데 집값이 떨어지던 말던 마음이 편안합니다 주식 코인도 좋지만 일단 1주택은 마련해 놓고 투자 하시는걸 강력 추천드립니다

  • @user-lw2qt8ry1g

    @user-lw2qt8ry1g

    Ай бұрын

    집이 있으면 확실히 심리적 안정감이 엄청난 것 같아요 ㅎㅎ

  • @hk5101622

    @hk5101622

    Ай бұрын

    집살려면10년모아야하는데 쉽지않죠

  • @user-bc8go5lp5n

    @user-bc8go5lp5n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프사가 ㅋㅋㅋㅋㅋ 귓방망이 ㅈㄴ쎄게 맞으신거 맞네요

  • @user-Global9888

    @user-Global9888

    Ай бұрын

    @@user-bc8go5lp5n ㄹㅇ ㅋㅋㅋㅋㅋㅋㅋ

  • @user-jb5po1hi5l

    @user-jb5po1hi5l

    Ай бұрын

    회생3년해서 털어버렷나요?

  • @dangdang89
    @dangdang89Ай бұрын

    우리 회사 20대1명 30대2명 개인회생 3명잇습니다 다 코인 마진거래로 회생신청햇네요.. 1억대 2명 2억대 1명..

  • @sunlee2213

    @sunlee2213

    Ай бұрын

    ㄷㄷㄷ

  • @ISTPKoreanMan
    @ISTPKoreanManАй бұрын

    와 저거 데이터만 봐도 정신이 아득해진다 4050대는 인구도 많아서 파산 회생이 많은게 당연한데 2030은 대부분 초년생인데 저 모양이네 소비 좀 줄여라 진짜… 나도 30대인데 얼이 빠진거같다 그래놓고 여자들은 스탑럴커 많다고 남녀로 갈려서 싸우고 있는데 남자도 소비 명품으로 하는거 똑같어

  • @pururu124

    @pururu124

    Ай бұрын

    인구수대비 %인데 4050은 왜 당연함?ㅋㅋㅋ 영상취지는 2030세대가 전부 집때문에 개회신청 한게 아니라는거임

  • @ISTPKoreanMan

    @ISTPKoreanMan

    Ай бұрын

    @@pururu124 4050은 자영업자 비율도 높고 개인 사업 비율도 높고 인구도 많으니까 개인회생 비율이 느는게 당연하다는 뜻인데 이렇게까지 풀어서 설명해야할 정도로 한국어 실력이 안좋은가? 2030이 개인사업이랑 자영업을 얼마나 한다고 저렇게 회생 비율이 높음? 나라가 거꾸로 돌아간다는거지 저게

  • @illliIiiillIiiIiIill

    @illliIiiillIiiIiIill

    Ай бұрын

    응 돈 다써도 나라에서 지원해줘~

  • @user-dk3rk8yz3t

    @user-dk3rk8yz3t

    Ай бұрын

    합리화 하지마세요 ㅋㅋㅋ 어처구니없네 4050은 많은게 당연하고 2030은 역시 mz 암울한 국가 미래들입니까? ㅋㅋ편협한 사고방식에 님 ㅂㄹ을 탁 치고갑니다.

  • @minjae92

    @minjae92

    Ай бұрын

    ​@@ISTPKoreanMan30대면 뉴스나 시사좀 읽고 사세요.... 청년 자영업자 비율이 점차 늘고 있던 추세였고 그게 님 또래들입니다. 근데 최근 경기 불황과 원자재 상승으로 시장이 악화돼 경영난을 겪는 업주가 많아 파산율이 급증한겁니다. 단순 사치로 빚까지 지는 멍청이가 님 주변에 그렇게 많나요? 거꾸로 서서 나라보시는분?

  • @user-qv7mk8gk9e
    @user-qv7mk8gk9eАй бұрын

    SNS로 인해 비교 문화가 팽배해 진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함. 다 잘 살고 있는 것같지만, 실제 본모습은 모아놓은 것이 없는 무일푼...부모가 자녀에게 경제교육을 시켜야 하지만, 부모 또한 경제지식이 낮은 것도 문제임..

  • @song8075
    @song8075Ай бұрын

    영상에서 언급한 20대의 문제는 경제지식수준이 높고 낮은게 문제가 아니라 정보를 찾아 보려고 하지 않는 게으름이 문제임. 경제지식수준을 떠나서 큰 돈을 쓰려면 누구나 신중하게 정보를 찾아봐야 하고 만약 잘 모르면 인터넷에 " 전세 안전하게 얻는 법 " 이라고 키워드를 넣기만 해도 관련 경제지식이 수없이 나오고 전세 사기에 당하지 않기 위해 해야 하는 것들이 자세하게 나옴에도 불구하고 "근저당" 에 대해서 몰랐다고 하면 심각한 수준 아닌가요?

  • @user-yw9nf1fx6s
    @user-yw9nf1fx6sАй бұрын

    근로의 소중함과 자신의 인생에 대한 성찰이 없기에 그 소중한 청춘을 허공에 날리며 자신만의 세상에서 살고 있는 청춘이 은근 많음

  • @user-nt9us4wj4z
    @user-nt9us4wj4zАй бұрын

    인터넷도박 많이해서 회생신청 하던데 큰일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Ай бұрын

    유튜브 도박도 한몫함

  • @poqwe0127
    @poqwe0127Ай бұрын

    20대 화생은 주식 코인이 89프로아닌가 ㅋㅋㅋ

  • @user-nu4ml8dq2q
    @user-nu4ml8dq2qАй бұрын

    어려움 모르고 자라서 그럼. 일제시대, 6.25 전쟁 후 거지같은 우리나라 일으키며 살아오신 지금의 어르신들. IMF겪었던 지금의 중장년들. 그들은 어려움을 이겨내며 살아왔지만 지금 20대들은 기본적인 환경자체가 경제적 어려움은 없는 시대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자라났다. 남과의 비교심은 끝이 없고 생각없이 돈쓰니 그런거지.

  • @minjae92

    @minjae92

    Ай бұрын

    성장률이 박살난 순간부터 동인이 사라진거지. 지금이 imf보다 낮은 성장률임. 어려움을 이기며 살아왔다? 그건 누구나 그럼. 경제적 어려움이라는건 환경에 따라 다른거임. 옛날에 하루 밥 2끼 먹으면 잘 사는 거지만 자의가 아닌 채로 요즘에 밥 2끼먹으면 심각한 수준임. 근데 주변 청년들 조금 더 관심갖고 둘러보면 생각보다 가난함, 그렇다고 사치를 부리냐고? 글쎄 그건 판단 기준에 따라 다르지. 누군가는 아침에 원두커피 먹는것도 사치로 볼수도 있고 옛날 90년대 정도 생활 수준이어야 가난한 (사실 90년대도 그리 못살지는....) 건가? 대학을 나와야 연봉에 차이가 있고 할수 있는 직군의 포텐셜이 달라지는데 이걸 하면 학자금 3000이 쌓여서 나옴. 월세는 엄청 올라서 몇년전의 1.5~2배를 보는데 정말 경제적으로 풍족하네.

  • @Lawreformisneeded

    @Lawreformisneeded

    Ай бұрын

    맞아요 전쟁같은 일을 안 겪어봐서 그러는 거 같아요. 뭐 고생한다고 해도 전쟁통 만하겠나요?

  • @user-cu1qk2gk5k
    @user-cu1qk2gk5kАй бұрын

    진짜 맞는말씀만 하신다....

  • @stevekim1346
    @stevekim1346Ай бұрын

    요즘 20대가 확실히 이전 세대와 다르게 모험심이 강하긴 한 것 같습니다. 그들이 사회로 진출했을 때, 코로나 여파로 인한 금리 인하로 증시와 부동산 자산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경험하였고, 실제로 폭락해서 힘든 경험은 없습니다. 그래서 자산을 취득했을 때 무조건 올라간다는 생각이 강하게 뇌리에 반영되어 있어서 크게 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고 쉽게 투자하는 경향이 다른 세대보다 높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언제나 과정에서 어려움이 닥치기 마련인데, 어려움이 닥칠 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죠. 지금 세대가 딱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잘되면 좋은거, 안되면 망하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그런데 이런 관점에서 투자를 하게 되면 어느 순간 정말 망하게 됩니다. 자산 증대는 죽을 때까지 신경써야 하는 분야니까요

  • @neukum1382
    @neukum1382Ай бұрын

    젊은이들에게 마인드셋이 필요해보입니다 요즘은 예전보다 성공하기쉽습니다 왜냐? 아무도 열심히안하거든요 돈좀만생겨도 여행다니고 허세부리기바쁩니다 그럴수록 자리를지킨사람과 그렇지않은사람의 격차가 벌어집니다 가만히있어도 알아서 나락가주는데 이얼마나 성공하기 쉬운사회인가요?ㅎ

  • @user-by4ub1ox5z
    @user-by4ub1ox5zАй бұрын

    미국지수 ETF 3배짜리 하고 있는데...제가 겪었던 변동성은 변동성도 아니군요............다행히 한 계좌는 110%, 다른계좌는 60% 수익중입니다만....

  • @user-hx9ch4pu4o
    @user-hx9ch4pu4oАй бұрын

    변제금액을 낮추기위해 회생할때는 급여를 최소로잡죠. 도박하다 빚져도 변호사 잘만나면 회생됩니다. 자료가 좀 잘못된거같네요

  • @chenktktb

    @chenktktb

    Ай бұрын

    최소로 잡는다고 해도 연봉 3, 4천짜리를 저렇게 해놓을 순 없겠죠

  • @rm893
    @rm893Ай бұрын

    철저하게 낙오시켜서 본을 보여야한다 그리고 회생제도,,, 기준을 많이 강화하든 없애든 해야한다, 도덕적해이

  • @user-oc9nt3zy2d
    @user-oc9nt3zy2dАй бұрын

    확실한 답입니다 이해가 가는곳에만 투자하라~

  • @litgune_driving_lover
    @litgune_driving_loverАй бұрын

    회생이 단기적문제가 아니라 남은 인생의 방향을 본인 의지대로 끌고 갈수 없다는게 제일 무서운거... 내가 빚을 안지는 이유도 그런이유가 가장크다..

  • @user-vn1el5sx8s
    @user-vn1el5sx8sАй бұрын

    중년층들 중에 부동산 특히 아파트 값이 다시 폭락하니까 일본 같은 거품이 빠질것이라고 하면서 집을 사지말고 전세나 월세로 가서 남는 돈으로 즐길것은 즐겨야 된다고 합니다 과연 맞는 말일까요?

  • @user-hd1oq3vq3w
    @user-hd1oq3vq3w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부읽남님 저는 20대 후반딸이있는데 월240 만원 받는데 다쇼핑하고 먹는걸로 씁니다 그리고 4대보험도 아깝다고 안들고 건보료도 지역가입자로 돼다보니 독촉장이 몇개월싸이고 싸여도 납부하지않네요 소비문제로 많이 다투다가 이제 포기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변할까요?😢😢

  • @user-oi4ub2mf9p

    @user-oi4ub2mf9p

    Ай бұрын

    부모님의 경제상황이 좋으니까 뒷배경이 단단하니 혹시 그 영향 아닐까요

  • @Lawreformisneeded

    @Lawreformisneeded

    Ай бұрын

    믿는 구석이 있어서 그래요 ㅎㅎ 일단 집에서 내쫓아야 됩니다

  • @user-hj1mq3ol9v
    @user-hj1mq3ol9vАй бұрын

    할거 다할수는 있는데 그럼 계속 돈벌어야지 이 생각을 안하는게 문제인듯 알바든 뭐든 소득이 있고 쓴다가 아니라서 자녀 경제 교육은 진짜 자녀를 위해 필요하다 ㅜㅜ

  • @user-os3lf6ng7t
    @user-os3lf6ng7tАй бұрын

    백날 말하면 뭐하나요, 국민 수준이 시궁창인데

  • @user-mv6vw1hv7m
    @user-mv6vw1hv7mАй бұрын

    부읽남 티비 경제교육 선한영향력 최고ㅎㅎ ❤❤❤근데 비트코인 공부는 하고싶지도않지만 이해도안가네요

  • @Nick-sr6fx
    @Nick-sr6fxАй бұрын

    이게 본인의 객관적 역량이 낮더라도 딱히 노력하지 않더라도, 피나게 경쟁하고 노력해서 이룬 사람들과 똑같이 누려야 하고 즐겨야 한다고 생각하는거 같습니다. 상대적 박탈감과 열등감에 상당히 취약합니다.

  • @user-xj5tz9st1j
    @user-xj5tz9st1jАй бұрын

    20-30대들아 멍청하게 카드 리볼빙 같은건 절대 하지마라.

  • @andikang2176
    @andikang2176Ай бұрын

    진심 외제차 모는 또는 해외여행 최근 다녀온 개인화생 신용회복은 막아야한다.

  • @joshuae7082
    @joshuae7082Ай бұрын

    앞으로 거주지 따라 신분제사회 또는 울타리 쳐질까 무섭네요 ㅜ ㅜ

  • @user-pr6im3zv6r

    @user-pr6im3zv6r

    Ай бұрын

    피할수없는 미래임

  • @loveu3679
    @loveu3679Ай бұрын

    젊은이들이 근로소득의중요성을 모른채ᆢ 너무쉽게 한탕주의에 빠진거같다 땀흘려일한돈의 소중함을 깨닫기를~

  • @hongsiyoon5810
    @hongsiyoon5810Ай бұрын

    40대입니다. 적은월급에 비싼 물가..지방에서 상경했다면 월세에 생활비.. 일반적인 청년들이 힘들것같아요. 조카도 곧 졸업인데..

  • @urbanpioneer8362
    @urbanpioneer8362Ай бұрын

    아니 부자들(열심히 모으고 오랜시간 노력해서 성공한 사람들)에게 주어진 특권을 부자도 아닌 사람들이 부자인척 인생뭐있어 돈이 없지 가오가 없냐며 현실만족 하다가 현타온게 지금의 상황…SNS는 암적인 존재다. 비교보다 내 자신을 알고 계획적으로 사는게 더욱 이득임을 파산하고 나서 깨닫지..

  • @user-nu8xu3rk4p

    @user-nu8xu3rk4p

    Ай бұрын

    난 그래서 sns안합니다 ㅋ 남 궁금하지도 않고 그냥 가족들 미래만 보면 살아갑니다. 어차피 대부분이 가식과 허세인데 ㅎ

  • @bjh8713
    @bjh8713Ай бұрын

    부모님 집 살면서 중소기업 다니지만 받는 월급 영끌해서 대부분 저축하고 한달 5만원으로 생활하는중.. 노력은 이렇게 하는거임..

  • @user-oo6ck3rm1u
    @user-oo6ck3rm1uАй бұрын

    수요와 공급이 중요한데 공급은 많고 수요는 점점 줄어듬 출산 못끌어 올리면 서울 중심지 아니면 더 힘들어질꺼라 봐요

  • @user-ji9bi7te5f
    @user-ji9bi7te5fАй бұрын

    돈 확 빌리고 빚 못갚겠어요 하고 개인회생 신청해서 사업하거나 투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물론 빌린 돈은 타인계좌로 넣어두고 가진 돈 없다고 하는 겁니다. 살려 주면 안됩니다

  • @Mizno-pn2zh
    @Mizno-pn2zhАй бұрын

    별수있나? 이미 고도성장 시대인데... 시간이 지날수록 더 힘들어질듯... 배경 없으면 머리 잘쓰고 아끼고 아끼는거 밖에..나도 30대 후반이지만 서울에서 뒷배경 없으니 20대에서 30대 중반은 그냥 추억 없이 돈 모으고 일한거 밖에 없음

  • @user-ps5wt7db4k
    @user-ps5wt7db4kАй бұрын

    풀대출 1억땡기고 개인회생

  • @SONG_KIP
    @SONG_KIPАй бұрын

    형님 코인에 관심을 갖으시다니.... 환영합니다...ㅋ

  • @jackchris8265
    @jackchris8265Ай бұрын

    인간이 어디서 와서 어떻게 살다가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생각이 없음

  • @Spzla

    @Spzla

    Ай бұрын

    근데 그게 원채 당연하진 않은 자각이고, 가르쳐 준다고 개안하는 것도 아닌 경지 같아요. 게다가 초중고필수교육+수능,대학,취준 테크트리 타다보면 철학적 사고는 발달 할 기회가 적고. 분석적 사고, 단순 두뇌 활용이 거의 까스라이팅 급으로 장착 된다고 봅니다.. 넓은 세상을 상상하고, 철학적 사고를 하는데 진짜 지옥같이 방해 된다고 느꼈네요. 고등학교 3년이 너무 정서적 지옥같아서 지금 돌이켜봐도 학교 잔디 다 불질러버리고 퇴학 당했어야 했다고 느낄정도로 괴로움이 남아있음.. 고교 자퇴 안한게 스스로 제일 아쉬운 부분임. 부당한 상태를 벗어날 용기를 못 냈기에. 근데 보통 애들은 걍 그 환경을 수용하고 뭐가 이상한지 자각도 못 하던 듯..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Ай бұрын

    @@Spzla 하나님을 믿으세요🔮

  • @Spzla

    @Spzla

    Ай бұрын

    @@jackchris8265 저는 교회는 안다니지만 예수님 존경하고 좋아합니다ㅎㅎ. 건강하시고 평안하세요~~^^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Ай бұрын

    @@Spzla 축복합니다~!😍

  • @user-nu8xu3rk4p

    @user-nu8xu3rk4p

    Ай бұрын

    ​@@jackchris8265 아이고... 둘이 사겨라

  • @minso-vj8qi
    @minso-vj8qiАй бұрын

    욜로타령하다 골로 ㅋㅋ

  • @wolfgray2396
    @wolfgray2396Ай бұрын

    삶의 멘토로 삼을만한 "어른"의 부재라고 봅니다. 의식. 무의식적으로 자식은 부모의 삶을 보고 자신의 미래를 상상하지요. 내가 저정도 나이엔 이렇게 살겠지? 같은 막역함만 있고 부모가 하라는 방법대로 살아서 어느날 사회로 던져졌을때 문뜩 뒤돌아 보니 고전적인 가치는 붕괴되고 새로운 가치는 아직 검증받지 못했고 추구해야 하는 이념도 결국엔 돈이 있어야 가능하다는걸 알지만 노동소득의 가치는 하락해서 겨우 현상유지만 가능한 하루하루 버티기만 하는 삶을 살다 죽는. 결국 자본주의와 국가라는 "시스템"을 유지시키기 위한 부품에 불과하구나? 하는 묘한 패배감이 지배하는 시대가 되어버렸죠. 그 와중에 결코 변하지 않는 진리인 자본이 자본을 생성하는 속도는 노동자가 따라갈 수 없다는것과 결국 돈이 최고라는 결론만이 도출되니 에라모르겠다 하고 영끌투자 하거나 아예 포기하는 청년들이 생기는것 같습니다.

  • @lyj711215

    @lyj711215

    Ай бұрын

    기본이 남탓 마인드 반면교사로 그렇게 살지 않도록 노력하면 될테덴 멘토 부재 다 말장난

  • @user-Global9888

    @user-Global9888

    Ай бұрын

    산업구조 변화등 인구가 옛날만큼 필요로 하지 않는 세상으로 바뀌면서 어쩔수 없이 겪게 되는 고통임 쩌리 인간들은 앞으로 뒤가 없게 됨 그 다음 후세대들은 풍요롭게 삼

  • @Spzla

    @Spzla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로.. 그들 입장에선 그들 나름대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린 거라고 생각하기도 해요. 더 나은 지혜와 배움을 추구하고 더 먼 미래를 향하는 건 아무나 못 하는 거 같고요.

  • @seoyun7129

    @seoyun7129

    Ай бұрын

    그런 멘토는 애초에 없음을 인정하고 자기 스스로 일어서는 사람이 살아남을거 같네요

  • @wolfgray2396

    @wolfgray2396

    Ай бұрын

    @@lyj711215 어떠한 한 세대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그들이 그렇게 타고나서가 아니라 그 집단이 공통으로 겪은 경험의 결과입니다.

  • @user-ur6xe9bn7g
    @user-ur6xe9bn7gАй бұрын

    힘들다 징징대지마라 좀 군대에서 월10만원도 안받고 무료봉사해주던 나도 수도권에 집 샀는데 요즘은 100만원?? 온갖 청년지원정책이 많더만 난 국가에서 그런 혜택도 없이 살았다 지금도 없고…배부른 소리하지마라 열심히 노력하고 힘들다고 하는 청년은 정말 리스펙한다 근데 요즘보면 날로 먹으려는 애들도 참많아 남의 돈 버는게 쉬운줄 알아?

  • @paper.715
    @paper.715Ай бұрын

    14:20 ㄹㅇ 투자에서중요한건 잘알고사서 그게떨어져도 버티고 기다릴수있냐 차이인거같아요 진짜 버텨?진짜 요즘들어 기다린다 단순존버 라도 리스펙함

  • @paewanggandi
    @paewanggandiАй бұрын

    옛날에 카드대란 일어났을 때 채무자들 회생시켜주지 않았으면 지금 20대가 반면교사로 배웠을 려나

  • @jbs7946

    @jbs7946

    Ай бұрын

    20년 전.... ㅎㄷㄷ

  • @user-Global9888

    @user-Global9888

    Ай бұрын

    국가보단 부모가 적극적으로 선례들 설명하고 금융교육 시켜야했음

  • @user-kz9bo6kz9p

    @user-kz9bo6kz9p

    Ай бұрын

    요즘은 부모말 안들어요. 유투브선생님말이 최우선입니다. 유투브 보고 배워서 오히려 부모를 가르치는 2,30대들이 많아요. (조)부모의 삶,노하우를 통째로 부정하고 자신들이 제일 똑똑하다고 생각하다보니 여기저기 마찰이 많이 보입니다. 유투브를 무슨 종교마냥 신봉하다 망하면서 부모한테 의지, 그러면서도 유투브 신도 유지 중입니다.

  • @minjae92

    @minjae92

    Ай бұрын

    생각해보니까 그거 지금 40대 이상 아재들이잖아....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라나...

  • @user-ti1bh6ze9z
    @user-ti1bh6ze9zАй бұрын

    일도 안하려하고 주식.코인등에 말아먹은게 젤큰거일듯

  • @paasin9by
    @paasin9byАй бұрын

    외국인중 F4비자인가? 국내에서 대출받고 개인회생하는거 엄청 많이 봤어요~

  • @user-zp3uw3tt9g

    @user-zp3uw3tt9g

    Ай бұрын

    한국인인거보다 외국인이 난이도 낮음 ㅋㅋ

  • @chenktktb

    @chenktktb

    Ай бұрын

    외국인이 대출이 쉽다고요? 개인회생이 엄청 많다니

  • @jonari1
    @jonari1Ай бұрын

    부럽네요..서울법원은 주식도박도 회생시켜주는데 여기 전주쪽은 아예 그런거 없습니다 같은 대한민국인데 이러기 있기없기..

  • @dukeblack5775
    @dukeblack5775Ай бұрын

    제발 파산 회생 이런것좀 해주지 말고 법적으로 엄청 더 까다롭고 빚 갚는 건실한 사람들한테 혜택이나 줘라 저딴인간들 회생 파산한 돈 채권자한테 퍼주지 말고

  • @user-sy1yq2ht9h
    @user-sy1yq2ht9hАй бұрын

    내주위엔 왜 아무도 안보이냐?? 이런거 보면 역시 끼리끼리인가. . .

  • @Jh_mog
    @Jh_mogАй бұрын

    생애최초매매는 만30세만 사용가능합니다 20대는 사용불가죠

  • @maruari1382
    @maruari1382Ай бұрын

    분수에 맞게 놀고, 한도에 맞게 쓰자😂

  • @hyj171
    @hyj171Ай бұрын

    ?? 왜 겠노?? 누구네 말 듣고 부동산 영끌 풀 대출 가즈아 외치다 고사치르는거지 ㅋㅋ

  • @Korean_riderO____O

    @Korean_riderO____O

    Ай бұрын

    으악 부읽남??

  • @NVDL10000
    @NVDL10000Ай бұрын

    코인하는 20대들이 너무 많아요..돈빌리는걸 무서워 하지않아요.

  • @chrispite6510
    @chrispite6510Ай бұрын

    돈을 빌려주는 자체가 문제 힘든일은 안하고 건강하고 부지런하면 못살일이 없다

  • @user-dp5tj6ln4b
    @user-dp5tj6ln4bАй бұрын

    문제는 집을 살때는 직업이 있었으나 의도치않게 실업이 되거나 맞벌이에서 외벌이 되는 경우죠

  • @yunmyeonghun

    @yunmyeonghun

    Ай бұрын

    이런 경우 정말 힘들죠

  • @user-is8re5cw5g
    @user-is8re5cw5gАй бұрын

    모르면 찾아보면 다 알수있는 세상인데.. 모른다고 하는 게 이상한 세상..ㅠ

  • @hwww1538
    @hwww1538Ай бұрын

    리볼빙을 없애야해..현금서비스같은거…

  • @user-zw6og7yf2k
    @user-zw6og7yf2kАй бұрын

    우리 같은 어른들이 본을 보여줘야 하는데ㅠ😢

  • @user-Global9888

    @user-Global9888

    Ай бұрын

    보통 걍 한심하다고 뭐라만 하지 이런 생각하는 어른들 잘 없습니다.

  • @btswt101
    @btswt101Ай бұрын

    부읽남님 비트코인 영상도 부탁드려요.

  • @rondine945
    @rondine945Ай бұрын

    예전에는 백화점 옷 판매직원이 다 20대였는데 요새 4-50대가 많아요. 20대가 지원을 안한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 @user-eg1xr8bt7b

    @user-eg1xr8bt7b

    Ай бұрын

    그건 그때랑 지금이랑 차이가 그때는 지금과 다르게 그런 업종이 상대적으로 신흥에 가깝기에 그쪽에 몰린거나 마찬가지고 요즘이랑 가치관이 다르다 할수 있겠는데요? 요즘은 사람 직접 상대하는 일이 그 때보다 힘들게 느껴지니 더욱 그런거고요 옛날 어른들이 애들한테 주입시키던 말이 못사는 외국을 비교하며 너네는 고생을 더 해봐야해 이러며 가스라이팅을 오랫동안 해왔지요? 이러면 가족관계가 원만한 사람이 아닌 이상 거부감이 심하게 들어서 듣는체도 안합니다. 전쟁도 마찬가지지요 요즘 청년들이나 더 어린세대들은 가족관계 유지하는게 전쟁으로 느끼며 큽니다. 즉 구세대는 외부의 적으로 고생했다는 인식이 강하면 요즘 젊은 층은 혈육은 물론 자국민끼리 내부의 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이죠 이게 강해질수록 서비스업종은 기피할 가능성이 높아지는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오는게 있으면 가는게 그런거죠

  • @user-eg1xr8bt7b

    @user-eg1xr8bt7b

    Ай бұрын

    특히 저를 포함해 제 주변은 부모님 중 한쪽이 일방적으로 무책임했던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한쪽도 자식과의 관계를 포기하다 시피 양육하는 한부모 가정들도 많았습니다 특히 이런 한부모 가정에서 외동이 아닌 형제나 남매까지 있는 집이면 서로 치고 박고 싸우는게 서로 원수라고 느낄정도로 인식하며 자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래라면 부모가 중재를 하든 어쩌든 열을 중화를 시켜야하는데 애들은 싸우면서 큰다고 내버려둔다거나 자식이 둘이면 하나만 집중적으로 갈구는 부모가 많았습니다. 즉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자라지 못했기에 사람에게 친절해야하는 이유와 그 가치를 느낄수 없는 상태로 자란겁니다.

  • @user-eg1xr8bt7b

    @user-eg1xr8bt7b

    Ай бұрын

    후생유전학대로라면 어른들이 원하는 후세대의 모습은 최소 몇세대를 걸쳐 끊임 없는 노력을 거쳐야 어느정도 자동화 될만큼의 토대가 만들어질텐데 요즘 세대들은 지금껏 살면서 배운 내용과 현실이 맞물릴수 없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몇세대에 걸쳐 느낄 수 있을만한 상실감을 벌써부터 느끼고 있는거죠 그 동안 무엇때문에 더 열심히 살아야하는가? 가족이라는 것이 왜 중요한 것인가? 결혼과 자식은 왜 있어야 하는 것인가? 물론 본능대로 충실하게 살고자 하는 사람들도 여전히 있지만 보통 그런 경우는 생물학적으로 볼때 기본적인 생리 욕구가 충족된 케이스겠죠 상실감에 대해서는 감각적인 의미에서 '다음 세대를 잇는 것은 무슨의미'가 있는가에 대한거죠 성욕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상태처럼요 혈육을 소중히하는 문화가 윗세대에서 끊기지 않았다면 이런 의문에 빠질 필요가 없는데 무너져 가는 가정의 질서를 잡는 사람이 없으니 번식의 가치와 의미가 없어진거죠 흩어지기 시작한게 30~40대부터였습니까? 아니죠 훨씬 전부터였죠 대가족이 핵 가족화 되는 가치관 변화 과정부터 인과가 쌓인겁니다. 그냥 후세대는 그 순리대로 따른 것 밖에 없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