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여운 것들 해석 | 여성으로 컴퓨터를 표현한 이유| 2024 아카데미

Фильм және анимация

❗️스포일러 경고❗️
#가여운것들 #엠마스톤 #poorthings
영상 재미있게 봐주시고
여러분의 생각도 자유롭게 댓글로 남겨주세요
하고싶은 말이 너무 많다면
영사기 네이버 공식 카페도 이용해보세요
🔻🔻🔻🔻🔻
이메일 문의
yeongsagi6@gmail.com
🔻🔻🔻🔻🔻
영사기 공식 카페
cafe.naver.com/youtubeprojector
🔻🔻🔻🔻🔻
'SUPER THANKS' 기능이 생겼습니다.🥳
후원은 영상 제작에 큰 힘이됩니다❤️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projector1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해석, 분석 입니다💖
안녕하세요 🙋‍♂️ 영화를 사랑하는 기술
🎥 영사기 입니다.
영사기 채널은 정답을 찾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해석을 나눔으로서
작품을 더 폭넓은 시각으로, 여러 번 즐기는 것을 위해
생각을 공유하는 영상을 만듭니다.
누군가는 영사기의 해석을 부정하거나 비판할 수 있습니다.
채널 영사기 역시 하나의 의견만을 가지지 않습니다.
다양한 시각으로 작품을 보는 세상을 꿈꾸는 채널입니다. 감사합니다.
해석, 분석, 간단한 스토리정리를 원하는 작품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Пікірлер: 97

  • @homoludens2498
    @homoludens24982 ай бұрын

    과거 소설이 빅토리아 시대의 여성해방과 현대 페미니즘의 공통점을 관통한 작품이라면 현재 영화는 여기에 AI를 끼얹은거네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과거에 부정하고 억압하던 여성의 권리가 현재는 당연한 것이 되었듯이 AI의 권리와 능력도 나중에는 그렇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상상으로 해석해보았어요 물론 감독의 언급이 없었으니 개인적인 해석일뿐입니다 😊

  • @merseybeat
    @merseybeat2 ай бұрын

    영화를 보는 내내 이것이 AI와 연관되어 있을 거라고는 생각도 하지 못했는데 이런 새로운 해석 정말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ew1sr1vv4b
    @user-ew1sr1vv4b2 ай бұрын

    AI에 대한 은유였군요. 이 생각을 하지 못해 뭔가 맞아 떨어지지 않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인간으로서 진화의 끝은 인간성의 상실이고, AI로서 진화의 끝은 진정한 인간성인 것 같아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물론 저의 개인적인 해석일 뿐입니다 😊😊 그래도 인간으로서 진화의 끝은 인간성의 상실이고, AI로서 진화의 끝은 진정한 인간성인 것 같다는 말이 참 재미있네요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 @user-bn3qk1kk1k

    @user-bn3qk1kk1k

    2 ай бұрын

    진정한 인간성이 도대체 뭔가요? 진정한 인간성이면 오히려 성욕, 식욕, 폭력성 이런 것도 골고루 들어 있는게 인간성인 거지 무슨 도덕, 윤리만 따지는 게 인간성이 아닙니다.

  • @neo-sinla

    @neo-sinla

    21 күн бұрын

    ​@@user-bn3qk1kk1k 오호!

  • @user-os7qn6xt1q
    @user-os7qn6xt1q2 ай бұрын

    간만에완전몰입해서본리뷰감사합니다.단순히영화관점이아닌깊은생각과의미를부여한작품이네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su6yw9nz3u
    @user-su6yw9nz3u2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매번 저와 다를 해석을 가져다 주셔서 생각이 많아지게 되어 항상 챙겨봅니다 ㅎㅎ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항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양한 생각도 남겨주세요😄💖

  • @user-ci9sl9tr7e
    @user-ci9sl9tr7e2 ай бұрын

    완벽한 리뷰입니다 다른 리뷰를 보면서 뭔가 풀리지 않던 수수께끼가 풀리는 느낌입니다 잘 봤습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wudbeksus5613
    @wudbeksus5613Ай бұрын

    정말 신선한 해석이면서 설득력도 있었 ㅣ습니다 대단합니다

  • @hwi951101
    @hwi9511012 ай бұрын

    영화보면서 어떤 의미일까 생각 많이 했었는데 이런 의미로 해석 될 수 있다니 좋네요! 덕분에 영화를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는 리뷰 좋았어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mq9bd9hi2w
    @user-mq9bd9hi2w2 ай бұрын

    와 ai는 상상도 못했네요 해석이 정말 깔끔하고 귀에 쏙쏙 박히네요. 조만간 10만 가시리라 생각합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user-xs4se8rn5k
    @user-xs4se8rn5k2 ай бұрын

    오호 좋은 해석입니다! 영화보면서 비구조적인 모습과 '벨라'의 극단적인 단기성장이 현대사회를 넘어 미래의 거울 같다는 기분을 느꼈는데 'AI'라는 단어를 가져오니 매칭이 되는군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reiksin
    @reiksin2 ай бұрын

    구독합니다. 새로운 시각의 리뷰 좋네요. 다른 영상도 다 찾아보겠습니다. 만나게 되어 반갑습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구독 감사합니다! 재밌게 즐겨주세요 😊😊💖👍

  • @LEEHAAKI
    @LEEHAAKI2 ай бұрын

    저는 과거에 존재했던 수많은 회화 작품과 영화에서 보였던 화면 연출이나 색감에서 많은 영감을 받은 영화라고 생각했는데 에이아이가 그런 것들을 습득하고 화면을 만들어내니까 그를 접한 우리는 이제 과거의 것들을 에이아이의 시선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네요

  • @nashira.y
    @nashira.y2 ай бұрын

    오호라~~~ 요즘 너무 바빠서 제발 짬나면 딱 한편이라도 보고프다 싶었는데... 요거 챙겨봐야겠네요~!! 마침 빅데이터 분석 익히는 중에 현타오고 있던...ㅠㅠ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빅데이터 배우시는군요! 근데 아무래도 개인적인 해석이다보니 영화에서는 또 다르게 느끼실 수도 있을 것 같네요 😄

  • @nashira.y

    @nashira.y

    2 ай бұрын

    @@projector1 요즘 애들이 과제해오면 gpt 카피킬러로 잡아내야 되는 세상이라, 인간의 정보활용능력의 순수성과 자유의지를 어디까지로 용인해줘야하나에 대한 현타도 많이 옵니다. ㅋㅋㅋㅋ 가끔 알고리즘 추천이 뜬 책을 대출해봤더니, 이녀석이 나보다 나에 대해 더 잘아는걸까? 싶어 무서울 때도... 😱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이제는 그저 받아들여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 @user-qx5nm5kr9n
    @user-qx5nm5kr9n2 ай бұрын

    오늘 아침 즉흥적으로 볼까말까하다가 리뷰뜬거보고 바로보러갔슴돠. 후회XXX 믿음직한 영사기🎉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재밌으셔서 다행이에요!😊😊

  • @ismild2
    @ismild22 ай бұрын

    생각지도 못했는데 이 영상 정말 대단합니다 레전드 영상입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레전드 댓글 감사합니다 😊👍🫶🫶🫶

  • @user-ct8jn4eu2g
    @user-ct8jn4eu2g2 ай бұрын

    저는 에이아이라기보단 가장 순수한 뇌를 가진 성숙한 여성으로 세상을 여과없이 보여준다는 느낌이 들엇는데 같은 영화에서도 다르게 느낄수잇군요 ㅋㅋㅋ 저는 여성의 지위가 더 취약햇던 시대애서 더욱취약한 신생아의 뇌를 가진 여성을 주인공으로 둬서 벨라가 나가고 싶어하는 자유에 대한 욕구와 인간에 가장 원초적인 성욕 부터 알지도 못하는 빈민들에게 느끼는 연민까지 가장 순수한 뇌를 가진 벨라로서 인간 기본적 감정부터 그 변호사로부터 헛된 소유욕도 보여주면서 상류사회부터 최하층 창녀의 삶을 사는 벨라를 보여주면서 인간적 성숙과 세상에 세태를 보여준다고 느껴졋습니다 ㅋㅋ 그렇다고 무언가 풍자하거나 교훈을 주는 느낌은 아니고 가장 순수한 시선으로 인간의 감정과 세상을 여과없이 보여쥰다고 느껴습니다 ㅋㅋ

  • @user-ye4ln6mm2m

    @user-ye4ln6mm2m

    2 ай бұрын

    격공합니다

  • @user-dm2vr3hz9c

    @user-dm2vr3hz9c

    2 ай бұрын

    좋은 영화는 입체적으로, 다방면으로 해석되어 좋습니다~^^

  • @user-er9ge8rw7o
    @user-er9ge8rw7o2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좋네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항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npyg760
    @npyg7602 ай бұрын

    이런 해석은 만약 감독님이 의도가 아니더라도 영화를 풍부하게 만드네요. 구독하고갑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구독 감사합니다! 개인적인 해석일 뿐이지만 재미있기 위해서 하고 있습니다😊😊💖

  • @locomocojang5479
    @locomocojang54792 ай бұрын

    어렴풋하게 느끼던 위화감을 이렇게 직관적인 관점으로 풀어주시네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n3zc3oy2j
    @user-en3zc3oy2j2 ай бұрын

    리뷰 감사합니다~ 너무 좋아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제가 더 감사합니다😊😊🩷

  • @dotorimuk14
    @dotorimuk142 ай бұрын

    오 신선하네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sumin5284
    @sumin52842 ай бұрын

    벨라를 현 시점에 ai에 대입해 영화 스토리를 다시 생각해보니 새롭게 보이네요. 좋은 해석 감사합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michelincub
    @michelincub2 ай бұрын

    저도 생성형 ai가 인간세계를 탐구하기 시작하는 내용으로 보았습니다. 미드저니, 챗지피티 같은 ai로 이미지 출력해본사람이라면 정말 그렇게 느낄겁니다.

  • @B_Indie
    @B_Indie2 ай бұрын

    오,,, AI로 해석하는 것도 참 재밌습니다. 안 그래도 얼마 전 블레이드 러너 2049도 봤는데 그래서인지 이번 해석 신선하고 재밌었습니다! 성관계의 횟수 해석도 재밌네요. 어쩌면 인간은 인간답게 살아가는 게 너무 이상적이지만 AI가 오히려 이상적인 인간다움을 실현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 @user-st7fb9cn7q
    @user-st7fb9cn7q2 ай бұрын

    리스본,알렉산드리아의 풍경이나 배의 모습이 너무 AI 그림같아서 AI와 연관있을 것 같다는 생각은 들었는데 명쾌하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MentalHeaven
    @MentalHeaven2 ай бұрын

    AI라는 시점으로 영화를 바라보니 매우 흥미롭게 해석이 되네요ㄷㄷ 영화를 보면서 '벨라' 라는 이방인을 기점으로 사람들이 반응하는 각기 다른 과정들을 보며 그녀를 응원하게 되면서도 동시에 공포스러운 존재라는 생각이 왜 자꾸 들었었는지 이제야 이해가 갑니다...너무 좋은 해석 감사드려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오랜만이네요 멘탈님! 요즘 바쁘신가보군요 ㅠ 다시 영상에서 만나길 기대합니다💖

  • @MentalHeaven

    @MentalHeaven

    2 ай бұрын

    ​@@projector1영사기님 혹시 시간 괜찮으시다면 메일 한번 확인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pansmusic76
    @pansmusic762 ай бұрын

    맞네요. 가장 자연스러운 해석이네요. 재밌게는 봤는데, 이게 뭔가 싶었는데, 정리가 완벽!! 요즘 일을 너무 열심히 하시는듯. 건강 잘챙기세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건강까지! 열심히 하고 있으니 즐겁게 지켜봐주세요😁👍👍

  • @uzugaebal
    @uzugaebal2 ай бұрын

    보는 내내 마치 AI 생성 이미지같은 느낌이 강하긴 했습니다. 이런 시각의 분석 흥미롭네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jaelee5352
    @jaelee53522 ай бұрын

    1:48 어안렌즈의 왜곡된 시각이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인공지능 HAL이 인간을 보는 시선을 연상하게 한다는 점에서 재밌는 지점이네요 물론 이 영화들이 어안렌즈를 사용한 유일한 작품들은 아니지만 맥락을 따졌을때 충분히 설득력있어보여요 개인적으로는 관객 혹은 감독이 성장하는 인공지능을 관찰하기 위해 쓰는 현미경같은 느낌이라고 보고싶어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좋은 시점 감사합니다! 스페이스 오디세이라니 좋네요!

  • @lichgold86
    @lichgold862 ай бұрын

    와.. 대박이네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와우 감사합니다💖😊😊

  • @kimyaong2
    @kimyaong22 ай бұрын

    영화 배경을 보면서 ai 이미지와 흡사하다 생각은 했는데 연관 지을 생각은 못했네요 ㅎㅎ 흥미로운 관점입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ex5pl7mo6k
    @user-ex5pl7mo6k2 ай бұрын

    9:54 저는 마지막을보고 진에 포름알데히드를섞어 사람들에게먹인게 아닌가 생각했어요 진을 새로운인공여성에게 가지고오라고하잖아요??!!

  • @jhk4953
    @jhk49532 ай бұрын

    저는 ai에 대해서는 하루에 15단어 씩 학습한다는 얘기에서 어렴풋한 느낌만 받고 잊어버렸어요 ㅎㅎ 그 뒤론 윤리적 해체에 대해서만 집중하면서 봤었고요 해체하고 해체해도 질서와 조화는 이어지고 회복되는구나 하면서요 근데 ai의 발달을 중심으로 놓고봐도 크게 다르지는 않은 것 같기도 하네요 처음엔 포르노같은 욕망 중심의 컨텐츠를 학습하던 ai가 점차 여러 컨텐츠들을 학습하면서 질서 체계에 합류하고 인간의 동반자가 되어 간다는 것이요 엠마스톤이 인종차별했다는 뉴스만 없었다면 정말 좋았을 인생 영화였어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오해라고 양자경이 해명했다고 하네요

  • @hyponex2025
    @hyponex202514 күн бұрын

    어제 이 영화를 보고 마음속에 물음표가 마구 생겨났는데 마침 유튜브가 소개해줘서 잘 보았습니다. 요르고스 란티모스가 명감독이라는것도 알고, 그의 영화를 보고나면 찝찝한 뒷 맛 이 남는다는 평이 많아서 지금까지 본 적이 없었는데요. 프랑켄슈타인 원작을 좋아하고, 이번에 아카데미 수상을 하고, 예고편 등으로 공개 된 영화 설정이 마음에 들어서 디플에서 봤어요. 근데 초 중반까지는 설정, 상황, 고증, 시대반영, 등등 복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납득 가능하게 잘 표현하다가, 중 후반부 부터는 몽환적이다 못해 너무 다급하고 노골적이게 여성영화로 달려나가는데.. 덕분에 앞부분부터 이어 오던 호흡이 끊어졌다고 할까요. 영화를 멈추고 인터넷창을 열어 영화 정보와 평론가들의 코멘트를 검색하지 않을수 없었습니다. '요르고스 란티모스라면 좀 더 색다르고 교활하게 현대적으로 프랑켄슈타인을 재해석 하지 않았을까?' 하고 지나친 기대를 했던 제 잘못이 가장 컸던거 같습니다. 그리고 갈수록 그린 스크린에서 배우 몇명들만 연기한거 같은 기묘한 풍경이랑...그런데 그걸 영사기님 말씀대로 AI에 대입한다? 그렇게 생각하니 정말 새로운 시선으로 영화를 다시 보게 되요. 특히 이 영화 개봉 당시 미국 배우조합이 AI배우 권리침해 등등 문제로 파업해서 영화들이 개봉 연기되었잖아요? 눌러왔던 문제가 터졌던 사건인 만큼 무관하진 않겠어요. 다른분들 말씀대로 생각지도 못한 놀라운 해석이십니다! 무엇보다 저에게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님 영화를 조금 더 도전할 용기를 주셨어요. 감사합니다!

  • @projector1

    @projector1

    13 күн бұрын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 영화가 어렵지만 그래서 더 재미있기도 해요 저도 더 노력해서 다른 작품들도 도전해보려구요!

  • @user-gi9qf8js5l
    @user-gi9qf8js5l2 ай бұрын

    매번 왼벽에 가까운 리뷰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 @thecatyakuandroot
    @thecatyakuandroot2 ай бұрын

    리뷰에 뒤통수 한대 맞은 느낌입니다. 빅토리아 시대를 SF영화 처럼 표현한 이유가 있었군요.

  • @user-wf3fx8ro3n
    @user-wf3fx8ro3n2 ай бұрын

    오 AI라고 하니까 이 기괴함이 다 갑자기 의도가 받아들여지는 느낌이네요

  • @user-os7qn6xt1q
    @user-os7qn6xt1q2 ай бұрын

    독특하면서도기괴한영화거기에미장센이눈여겨볼만한작품인듯하네요.

  • @orwell-dc7xz
    @orwell-dc7xz2 ай бұрын

    서스페리아 리메이크 해석해봐욬

  • @DirectorSangHoonLim
    @DirectorSangHoonLim2 ай бұрын

    성욕에 대한 풍자로 보나 Ai에 대한 욕망으로 보나, 아쉬움이 조금 있을지언정 잘 만든 영화임은 분명합니다.

  • @user-gu6ms8jv2c
    @user-gu6ms8jv2c2 ай бұрын

    우리의 인간성조차 규명하지 못했다면, 철학적 좀비니 뭐니 하는 사고 실험으로 엄밀한 인격의 정의를 추구하기 보다는 다른 양태로 인간에게서 태어난 새로운 유형의 인격체로 간주하는 것도 좋겠죠.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언젠가 그렇게 되겠죠?

  • @user-gv7im2ir7g
    @user-gv7im2ir7g2 ай бұрын

    이 영화를 Ai에 비유하는 사람들이 꽤 있길래 괜찮은 시각이다 생각하기도 했고 이 영상도 어느정도 맞아떨어지는 부분은 있다고 생각하지만 어느 부분들에서는 좀 너무 끼어맞추기가 심하다고 느껴지네요 저는 그냥 오히려 원작 소설을 기반으로 인간이 자유의지를 가지고 살아가며 다양한 것들을 직접 맞닥뜨리면서 성장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 더 느낀 것 같습니다 그에 대조되는 상황으로 집에서만 키워진 여자를 보여줌으로써 더욱 느끼게 한 부분도 있는 것 같고요 근데 16번 방이라던지 흑백이였던 이유라던지 그런거 보니깐 얼추 괜찮은 해석 같네요

  • @yesm49
    @yesm492 ай бұрын

    오....

  • @user-mw2vf4ce4s
    @user-mw2vf4ce4s2 ай бұрын

    로봇인 인공지능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바로 AI가 되는 거니 빨리 마인드 업로딩으로 가야

  • @beo2wulf4
    @beo2wulf42 ай бұрын

    이 해석이 현 시점에서는 가장 현재적이라고 봅니다. 1992 혹은 2002년에 빅토리아 시대의 여성 존재의 성장을 생각해서 이런 기괴한 작품을 썼다기 보다는 핵군축 사회활동을 해 온 작가의 이력이라면 과학기술의 발전이 어디까지 가고 결과물이 우리에게 어떤 과정으로 나타나게 될지 논리적으로 따라가 보면 어떤 결말이 이어질지를 생각해 봤겠지 물론 다른 과정으로 거쳐간다면 다른 결말이 나오겠지만

  • @afilmbyBYUN
    @afilmbyBYUN2 ай бұрын

    저도 보면서 AI가 만든거 같이 느껴졌어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

  • @user-qb7yr1rt2k
    @user-qb7yr1rt2k2 ай бұрын

    다들 상상도 못한거면 그게 아닌거 아닐까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정답이 아닌 다양한 시선과 생각을 추구합니다 재미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ssy1996
    @ssy19962 ай бұрын

    처음이 그러했듯....인간의 생각대로 되어지진 않으니 걱정마세여. 세상의 뜻대로 흘러 갑니다 조만간에... 한국을 필두로 해서 터져요... .그게 한국이 계속해서 떡상하는 이유니. 영문도 모른채.

  • @user-em4xr4de4u
    @user-em4xr4de4u2 ай бұрын

    이 분의 해석을 어데 아카데미에서 상 좀 주소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

  • @user-et8se3od1p
    @user-et8se3od1p2 ай бұрын

    AI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은 AI 자체를 두려워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인류가 발명한 모든 기술들은 제일 먼저 인류를 죽이는 용도로 사용됐어요. 금속도, 화약도, 원자력도, 레이저도, 생물학도 다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거대 자본을 소유한 글로벌리스트들은 공공연하게 인류의 숫자를 10억 이하로 줄여야 한다고 떠들고 다니고 있죠. (빌 게이츠의 강연을 들어보세요) AI가 문제가 아니라, 이런 자들이 AI를 이용해서 인간의 숫자를 줄이려 들거라는 것이 문제인 겁니다. 나쁜 과학자가 AI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인간을 죽이는 방법을 고안해서 실행하라"고 지시하는 순간 "터미네이터"나 "매트릭스"에 나오는 미래가 시작되는 겁니다. 이걸 두려워하지 않는 자들은 글로벌리스트가 뭐 하는 조직인지도 모르는 "불쌍한 자들"이죠. 이걸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불쌍한 자들이 아니구요.

  • @jiyou8073
    @jiyou80732 ай бұрын

    눈썹이 중요하구나

  • @user-xq3ne2bm2h
    @user-xq3ne2bm2h2 ай бұрын

    뜨자마자 개처럼 뛰어오진 않았고 걸어왔다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댓글 달리자 마자 걸어오지 않고 개처럼 뛰어왔다

  • @user-dy2me8kk5c

    @user-dy2me8kk5c

    2 ай бұрын

    뛰면 위험하잖아. 걸어온거 칭찬해.

  • @evaforeva01

    @evaforeva01

    15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user-dx6ln2mf7l
    @user-dx6ln2mf7l2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전 가여운 것들의 벨라를 ai에 빗대서 영화가 표현했다라고 주장하는 건 너무 억측이라고 생각합니다. 뒤에 계속 말하시는 것들도 너무 억지로 가져다붙인 느낌입니다. 성욕에 눈을 떴다고 말하는 부분도 마크 러팔로에 의한 게 아니라 스스로 깨우친 거고요. ai보다는 사람 그 자체가 이 영화의 메시지라고 보는 것이 더 맞지 않을까요

  • @projector1

    @projector1

    2 ай бұрын

    재미를 위한 개인의 해석입니다 예술은 정답을 내기 위한 것이라 생각하지 않기에 흥미롭게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