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곳 잃은 플라스틱, 매일 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의 현실은?ㅣ다큐 잇it - 쓰레기산 그리고 사나이│

※ 2020년 10월 1일에 방송된 《다큐 잇it - 쓰레기 산 그리고 사나이》의 일부입니다.
국제 유가 하락에 플라스틱을 수입하던 해외 공장들이 가동을 중단하며 갈 곳을 잃어버린 재활용품. 바로 플라스틱이다.
생활폐기물에서 나오는 재활용품 중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플라스틱은 의외로 재활용 안되는 것들이 많다.
코로나19로 인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버려지는 플라스틱 제품은 평소보다 배로 늘었지만, 재활용품으로 인정받지 못한 플라스틱은 소각장, 또는 매립지로 보내지게 된다.
문제는 이 처리비용은 선별장이 부담한다는 것이다. 폐기물이 늘어날 수록 처리비용이 늘어나는 현실.
우리나라 쓰레기 분리수거의 80%는 민간업체의 운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도 민간업체의 부담을 줄어주고자 재활용품 가격조정에 나섰지만 선별장의 고충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플라스틱 쓰레기 수거가 언제 중단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
폐플라스틱에 대한 종합적 대책이 시급하다.
✔ 프로그램명: 다큐 잇it - 쓰레기 산 그리고 사나이
✔ 방송 일자: 2020.12.03

Пікірлер: 295

  • @shkum4059
    @shkum40593 жыл бұрын

    애국자 인정... 모두가 외면하는 현실에 업으로 삼는 모든 분들께 박수..!

  • @user-sk3if3zi5y
    @user-sk3if3zi5y3 жыл бұрын

    진짜 어머니 말씀 맞습니다. 진짜 저 일 하시는 분들 대단하십니다. 여름에 진짜 냄새 심하고 더우실텐데

  • @seungbody_help_me
    @seungbody_help_me3 жыл бұрын

    전국민들이 심각성을 몸소 체감하고, 분리수거를 ‘잘’하는 것이 아니라 일회용품을 ‘덜’ 쓰는 것이 중요한거군요

  • @starducks8954

    @starducks8954

    3 жыл бұрын

    분리배출, 재활용 안되는 제품은 생산을 안하는게 맞죠.

  • @88bb43

    @88bb43

    3 жыл бұрын

    일회용품 안쓰면 굶어죽어야죠. 아니면 시켜먹지말고 음식점가서 사먹던지

  • @Deepbeatingheart

    @Deepbeatingheart

    2 жыл бұрын

    아뇨 분리수거를 '잘' 하는것도 매우 중요한데요. 분리수거 안되는것들 보면 개판입니다 영상보셨죠? 음료수 페트병은 물로 한번씩 꼭 씻어내고 라벨 떼어서 버려야되는거구요, 페트는 물론이고 종이들도 지워지지않는 얼룩이나 오염되어있으면 그냥 일반쓰레기로 버려야되는거에요. 안했으면 저기에 그냥 지나가는 쓰레기 하나 선별장 어머님들에게 대신 버리라고 던진겁니다 재활용 한게 아니구요. 각 지자체마다 시에서 분리배출요령 정확하게 고지해놨으니까 그거보고 분리수거부터 잘하세요 안쓰는거보다 잘하는게 먼접니다. 이미 쓰고있는걸 줄이는거보다 신경써서 재활용 먼저하는게 훨씬 쉬워요.

  • @user-nd5eo2bs6y

    @user-nd5eo2bs6y

    2 жыл бұрын

    @@Deepbeatingheart 중요도를 비교하자면 그렇다는 말을 뭐는 '안' 중요하다는 말로 이해하는 난해함...

  • @user-bh8qz3wj9y

    @user-bh8qz3wj9y

    Жыл бұрын

    국민들은 분리수거 한답시고 열심히 하는데 그럼 일본이나 미국처럼 그냥 일쓰에 버리는게 나은거임? 하느니만 못하네…

  • @user-rd8we6nw9h
    @user-rd8we6nw9h3 жыл бұрын

    재활용 안되는 플라스틱은 아예 만들지 못하도록 법으로 정해놓아야 합니다.

  • @karlleon3001
    @karlleon30013 жыл бұрын

    정말 재활용 산업에 힘실어줘야한다...다음세대를 위해 플라스틱 줄여야....쓰레기 산이 늘어나는 이유를 이제는 알았네..우리가 재활용이라 생각했던것들이 쓰레기라는...ㅜㅜㅜ

  • @user-qr8zq2jn1q
    @user-qr8zq2jn1q3 жыл бұрын

    정부주도로 플라스틱 포장지 가지수를 확줄이고 단순화 시켜야함.

  • @lifeissooofun
    @lifeissooofun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은 정말 큰 문제인데 그 어떤 기업도 정부도 개인도 모두 책임지지 않는다. 그저 지구만 계속 썩어갈뿐. 환경오염에 제대로 신경도 안쓰고 결국 인간은 스스로 자신의 터전을 망가트리고 있는게 아닌가.. 자기 집만 깨끗하면 뭐하나. 이미 지구가 썩어가고 있는데.

  • @user-wn5ui6ps4r

    @user-wn5ui6ps4r

    3 жыл бұрын

    근데 우리나라는 그나마 선진국들 중에 환경에 많은 관심을 두는 나라라는게 참,,, 다른 나라들은 안살아봐서 모르겠고 OECD 20개국 중에 캐나다 뉴질랜드 한국만 적극적이라는게 안타까운 현실이죠,,, 미국은 시대가 언제인데 아직도 분리수거 안합니다,,,

  • @pp-zq3fp

    @pp-zq3fp

    3 жыл бұрын

    중국 미국이 ㄹㅇ 문제지 우리도 계속 개선을 해야되지만 그나마 이게 잘하는편이라는게

  • @user-jx8qr2tf3h

    @user-jx8qr2tf3h

    3 жыл бұрын

    @@pp-zq3fp 먼 맨날 중국탓이야 빡대갈통아 ㅋㅋ우리나라도 똑같아 ㅋㅋㅋ

  • @pp-zq3fp

    @pp-zq3fp

    3 жыл бұрын

    @@user-jx8qr2tf3h 라고 중국몽이 말했습니다 로이조구독자네 거른다 알림차단함 ㅂㅇ

  • @user-op8el1wo5p

    @user-op8el1wo5p

    3 ай бұрын

    미국분리수거하는거보면 우리가 왜 이러고있나 현타옴

  • @haeylee
    @haeylee3 жыл бұрын

    일회용 사용하지 않으려고 해도 일반식료품이 플라스틱 용기가 너무 많아요. 유리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정부에서 지원해주고 플라스틱은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라벨은 물닿으면 잘 떨어지게 만들어주세요. 법으로 규제하지 않으면 누가 합니까?

  • @user-rs3zu6kr6o
    @user-rs3zu6kr6o3 жыл бұрын

    정말 애국자 인정합니다.. 이거보고나니깐 플라스틱 최대한 안써야겠다는 생각이 확실히 드네요

  • @user-sd8iq7px5e
    @user-sd8iq7px5e3 жыл бұрын

    애국자 맞음... 나 저일하러 갔다가 냄새나서 그만둠

  • @user-tm1oc4dp6g
    @user-tm1oc4dp6g3 жыл бұрын

    재활용으로는 답이없다니까그러네...플라스틱 가격을 엄청높이던가 아니면 생산을 극단적으로 줄여야함... 쏟아지는 플라스틱을 재활용이 못따라감

  • @gigihadid4195

    @gigihadid4195

    3 жыл бұрын

    가격을 왜올림? 그리고 우리나라보다 다른 국가가 더 큰 원흉인데 물론 우리나라도 기여하면 좋긴함

  • @user-iy7od2qq6w

    @user-iy7od2qq6w

    3 жыл бұрын

    @@gigihadid4195 그 근거없는 논리는 어디서나오는거임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플라스틱 처리문제를 말하는 영상인대 그게다 다른국가가 더큰 원흉이라는 말이 왜나오는거? 설마 우리들도 모르게 중국이나 일본 미국애들이 플라스틱 쓰래기 버리고 가는거임? ㅋㅋㅋ

  • @rasu_00

    @rasu_00

    3 жыл бұрын

    @@gigihadid4195 우리나라매립지가없음

  • @chamberair3809
    @chamberair38093 жыл бұрын

    진짜 배달음식 시켜먹으면 다 플라스틱임...... 진짜 전기차 수소차 연구보다, 이런거에 더 신경써야될듯.....

  • @formyfaterland
    @formyfaterland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석유로 만든다는기술 좀 손해라고 해도 전부지원으로 팍팍 돌렸으면 좋겠음.

  • @lsy0
    @lsy03 жыл бұрын

    영상 만든분께 감사드립니다 지난 날에 저의 부주의함을 반성하게 되고 다시생각하고 실천해야겠네요..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다..

  • @user-wn5ui6ps4r
    @user-wn5ui6ps4r3 жыл бұрын

    미국은 그래도 아직까지는 괜찮지만 한국은 땅덩어리가 너무 좁아 위험합니다. 제발 반찬가게도 플라스틱 안쓰는 곳이나 통 가져와야 하는 가게에 가셨으면 하고 카페 플라스틱 컵 말고 머그컵, 등등 가벼운것 부터라도 실천해주세요. 나 하나 살자는것도 아니고 다 같이 살자는건데

  • @starducks8954

    @starducks8954

    3 жыл бұрын

    의외로 방법 있죠. 1. 재활용불가 플라스틱 생산금지 2. 컵 규격, 페트평 규격 통일 3. 페트평 라벨 규격화 등등 근데 안합니다. 저렇게 하면 기업들이 손해본다고 찡찡거려서.

  • @whijaes
    @whijaes3 жыл бұрын

    이게 현실입니다. 재활용 시설에 대한 보조금 및 지원이 필요해보입니다

  • @yoonjk07
    @yoonjk073 жыл бұрын

    폐기물 업체에게 돈 써서 버리지 않도록, 그 비용은 국가가 부담해야 한다. 아니면 처리 대책을 내놓던지. 제일 좋은 방법은 애초에 제작하는 대기업에게 쓰레기처리 비용은 부담하게 하던지.

  • @joonsublee2073
    @joonsublee20733 жыл бұрын

    LH애들 여기 가서 일좀 시켜라 의무로 일주일에 30시간씩

  • @lyingdragon9809
    @lyingdragon98093 жыл бұрын

    이런 방송을 황금예능시간에 지속적으로 방영해 국민들을 계몽해야 할텐데.. 우리세대야 어찌어찌 살겟지만. 다음 다다음 세대의 희망이 없다..

  • @camomansworktriplenine2950

    @camomansworktriplenine2950

    3 жыл бұрын

    dada da 우리는 문명화된 인류이기에 과거를 통해 배운 지혜와 지식을 후세에 물려줄 필요가 있죠. 아 님은 문명화가 덜 된 사람이기에 그냥 아무생각없이 그렇게 살면됩니다. 인류역사상 당신같은 무지한 자들을 문명화 된 성인들이 끌고 왔어요. 그냥 끌려가시면 됩니다.

  • @sim_pro

    @sim_pro

    3 жыл бұрын

    @dada da 왜 살아요? 산소아까우니 지금 당장 뛰어내려주시길 바랍니다🙏🙏🙏🙏🙏🙏

  • @orechlesso8518

    @orechlesso8518

    3 жыл бұрын

    @@camomansworktriplenine2950 이게맞지...

  • @namona3433

    @namona3433

    3 жыл бұрын

    계몽? ㅋㅋㅋㅋㅋ 세금받아먹으면서 지들이 할일을 떠넘기는거야

  • @rudejrgus
    @rudejrgus2 жыл бұрын

    4:53 핵심이 나요네요 '일을 많이 해야하면 돈을 벌어야 하는데 일만 많아지고, 돈은 더 못버는 상황이 되었다. ' - 정부는 뭐하는겁니까? 공무원만 늘릴게 아니라 이런곳에 인력투입예산을 늘려야 하는게 아닌가요? - 왜 이런곳이 공공이 아닌 민간영역으로 가는건지 도무지 이해가 안가네요...

  • @user-py6ti5vj5c
    @user-py6ti5vj5c3 жыл бұрын

    젊은 사람들이 왜 일을 안할까? 안할만하니깐 안하는거지 막말로 노동강도높은데 그만큼 보수챙겨주면 줄서서함

  • @ofviewsea877
    @ofviewsea8773 жыл бұрын

    구라치는 환경부 조지고 음식양 줄이고 일회용품 크기 키우는 업체 조지고 할게 많다

  • @__jammin
    @__jammin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하고 애국자맞으십니다 감사합니다

  • @znos_
    @znos_3 жыл бұрын

    애국자 동감합니다. 정말 쉽게 할 수 있는 일인데.. 감사한 마음이 드네요

  •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Жыл бұрын

    저게 쉽다고? ㅡㅡ 난 연봉 1억줘도 못할듯

  • @reason321
    @reason3213 жыл бұрын

    처음 생산할 때 부터 재활용 되는 걸로 만들어라..

  • @henneykim1106
    @henneykim11063 жыл бұрын

    6:44 공감합니다.. 저분들이야 말로 애국자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국가와 지자체, 기업과 개인이 머리를 맞대고 힘을 합쳐야합니다 올바른 분리배출법을 명확히 인지하고 EU처럼 우리도 일회용 플라스틱을 전면 금지해야된다

  • @mantiskim
    @mantiskim3 жыл бұрын

    문제가 심각하지만 소비자에게만 책임과 비용을 떠넘기는 방향으로 가면 안됩니다.

  • @audghks2012

    @audghks2012

    Жыл бұрын

    소비자가 문제지ㅋㅋ

  • @user-sjiwkdkncbznq

    @user-sjiwkdkncbznq

    Жыл бұрын

    @@audghks2012 기업이 문제죠. 쓸데없이 물병에 라벨붙인거 다 없애야하고 플라스틱도 재활용 가능한 용기로 바꿔서 제품을 만들어야죠. 우리나라만큼 분리수거 열심히 하는 나라가 어딨다고 소비자 탓을 하나요?

  • @user-ll8zw8dq5w
    @user-ll8zw8dq5w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은 재활용되요 재활용해도 구매를안해주니깐 안하는거지 대기업이나 국가에서 맞는가격에 구매해주면 안할까 쓰레기 가격은올라지 재활용해도 인건비가 더들어가지 가격대비 맞으면 못할게없어요 재활용하는사람입니다

  • @pp-zq3fp

    @pp-zq3fp

    3 жыл бұрын

    이런 실질적인걸 정부가 지원을해야할텐데 말이죠...

  • @user-qd3nq9zk3o

    @user-qd3nq9zk3o

    3 жыл бұрын

    그냥 재활용 안되는건 생산중단시키고 지금부터 관리해야지 나중에 쓰레기 어케 감당하지

  • @user-qd3nq9zk3o

    @user-qd3nq9zk3o

    3 жыл бұрын

    엄청엄청 심각하네 국가적인 대응이 시급해보영ㅅ

  • @jsk9745

    @jsk9745

    3 жыл бұрын

    온비드 재활용품 최고가 입찰 아주 지긋지긋하죠 ㅋㅋㅋ

  • @andyryu5499
    @andyryu54993 жыл бұрын

    코로나가 아무래도 포화 상태인 플라스틱을 더욱 가속화 시켰네요. 여사님이 애국자라고 말씀 하시는 데 맞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버릴 때 버리는 양에 따라서 돈을 내는 데 아파트 단지 같은 데선. 재활용도 돈을 내야하는 수순까지 오게 되지 않을까요?

  • @user-oz9ov4ef7k

    @user-oz9ov4ef7k

    3 жыл бұрын

    박스와 고철과 공병들이 있어서 아무리 플라스틱이 많아도 또이또이 될걸요 현재 우리 아파트 관리비내역 보면 1년 전부터 재활용 수입란에 0원으로 표기되고 있음

  • @user-ys4xo1rm1w

    @user-ys4xo1rm1w

    3 жыл бұрын

    그걸 왜 개인이 부담할까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업체에서 처리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게 맞죠

  • @user-ie3kf1nd2q

    @user-ie3kf1nd2q

    Жыл бұрын

    저희 아파트는 1년에 입찰해 오히려 수거업체에 돈을 줍니다

  • @user-bw3ow2si4u
    @user-bw3ow2si4u3 жыл бұрын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만 생산할 수 있도록 법을 만들어 주세요

  • @user-nx2ob7rb3d
    @user-nx2ob7rb3d3 жыл бұрын

    재활용 안되는걸 허가해주질말어

  • @MoonC_K
    @MoonC_K3 жыл бұрын

    대국민적인 ♻재활용 교육을 해야할것 같아요. 플라스틱도 PP PE Pete 나누고 공병이나 배터리 기타 재활용불가한 전선 깨진유리 장난감 우산 아이스팩 이물질묻은플라스틱 음식물쓰레기가아닌 조개달걀껍질 닭생선뼈 등등 그리고 국가산하 재활용센터도 많이 지어야할듯

  • @hyukjaes

    @hyukjaes

    3 жыл бұрын

    단순화 시켜야 됩니다. 복잡하게 하면 문제해결 안되죠.

  •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3 жыл бұрын

    분리수거 그러면 봉지를 한 10개둬야할듯 ㅋㅋㅋ 그럼 다들 때려치고맘

  • @user-xq5zc5ib1t

    @user-xq5zc5ib1t

    3 жыл бұрын

    기초부터 싹 바꿔야함

  • @sungjaelee4341
    @sungjaelee4341 Жыл бұрын

    정말 저분들 애국자임 항상 감사합니다

  • @eemiseoneee
    @eemiseoneee5 ай бұрын

    일단 일회용품의 사용을 최대한 줄여내는게 관건일 것 같아요. 재활용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학교에서부터 가르쳐야 하는데… 일반 사람들이 재활용 잘하는 방법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방법조차 제대로 모르는게 현실인 것 같아요

  • @sky2120001
    @sky21200013 жыл бұрын

    나도플라스틱 안쓰려고해도... 마트가서 장 봐도 다 플라스틱인데

  • @user-vr2kt2um9l
    @user-vr2kt2um9l2 жыл бұрын

    진짜 애국자이심!! 진짜 인정합니다

  • @user-tp7oh9ls7v
    @user-tp7oh9ls7v2 жыл бұрын

    직원대신에 징역사는 사람들 노역시키던지 해야할텐데

  • @yune5597
    @yune55973 жыл бұрын

    큰일이네요..국내서 재활용 못하나요?

  • @user-wx6ut6em3w
    @user-wx6ut6em3w3 жыл бұрын

    행복하세요.,

  • @user-dl2sk3vx4i
    @user-dl2sk3vx4i3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재활용이 쉽도록 제품을 만들어야 할 듯. 법으로 강제하자. 생존의 문제다.

  • @user-mg8fh8fx1w
    @user-mg8fh8fx1w3 жыл бұрын

    요즘 뉴스로 플라스틱대란 많이봐서 나름 텀블러나 반찬통도 가지고 다니면서 마실것도담고 그래도 플라스틱이 나오더군요. 근대 쓰레기인지. 재활용가능한건지 헷갈리고 너무 어렵더라고요

  • @chocosmos
    @chocosmos Жыл бұрын

    전 국민이 신경써야한다 너무 맞는말이다 생각보다 많이 많이 심각하네 페트 수출도 안되고 재활용40%밖에 안되구나 ㅠㅠ

  • @user-kh2du2xq9l
    @user-kh2du2xq9l3 жыл бұрын

    진짜심각하다...열심히 재활용 하고있었는데 안되는게 너무많네

  • @user-iz7gn4wd3d
    @user-iz7gn4wd3d3 жыл бұрын

    재활용품 기준도 애매모호해서 헷갈리는것도 많고 재활용표시되있는것도 안되서 일반으로 버려야되는것도있고..플라스틱 품질이 안좋아서 되려 일본에서 수입한다고하니 기업과 정부에서 제대로 잡아야할듯 그리고 사장님 말마따나 일회용품과 쓰레기를 줄이는게 제일 근본적인데 참 어렵다ㅜㅜ

  • @user-pq7nf1ln2r
    @user-pq7nf1ln2r3 жыл бұрын

    배달음식 용기, 일회용 음료컵, 생각보다 안되는게 많네요. 환경부에서 신경을 좀 써라. 저렇게 해놓으면 폐기물 업체들이 곧 문 닫겠다;; 소비자는 플라스틱 안 써야하고.. 쓰레기 무서워 ㅜㅠ 내 입으로 다 들어갈텐데

  • @user-lq2dx8if5l
    @user-lq2dx8if5l3 жыл бұрын

    ㅠ 너무 심각하네요 ᆢ우리나라 수많은 대학에 쓰레기 연구학과를 개설하고 관심있는 과학자가 하루빨리 연구해서 국가지원으로 튼튼한 플라스틱 배관이나 파이프로 재생산했으면 합니다

  • @user-ve5zi7tm5q
    @user-ve5zi7tm5q2 жыл бұрын

    이런거에 대한 국가적인 캠페인이 있어야 할것 같아요. 사람들이 너무 모릅니다. 저도 분리수거 열심히 하면서 사는데..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플라스틱이니깐 하면서 막때려박고 있었네요

  • @mbaek88
    @mbaek883 жыл бұрын

    문제는 톤당 15만원 폐기물 처리비가 해가 갈수록 오르기만 한다는 거죠. 정말 재활용 업체들은 애국자가 확실함. 정부가 아무리 지원금 풀고 단가조정해도 재활용업 사이클이 잘못되어 있기 때문에 이건 근본 문제를 고쳐야 합니다. 정부가 나서서 전문가들 모아 재활용 및 폐기물로 수익창출 할 수있는 아이디어를 내서 국책사업을 하던지. 아니면 그냥 결국 우리나라는 쓰레기산 속에 살겁니다.

  • @mingling1130
    @mingling11303 жыл бұрын

    예전 중국집처럼 배달은 다회용기에 배달하고 수거하는 식으로 바꿔야함. 포장용기에는 부가세를 배로 부가하고. 불편하나마나 지금 편리를 따질 군번이 아님. 위기의식이 부족해.

  • @user-rq1mu1iq8i
    @user-rq1mu1iq8i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mjkim8370
    @mjkim8370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사용을 전면적으로 줄여야해요.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앞으로는 폐기물 처리 비용이 문제가 아니라, 전국토가 쓰레기 매립지가 되게 생겼는데,손놓고 있으면 않될 엄청 심각한 문제네요.

  • @user-yz3xj2qc4h
    @user-yz3xj2qc4h3 жыл бұрын

    배민이 이런 업체 지원해라~ 배달 더 어떻게 하면 시켜먹게할까만 고민하지말고

  • @daldalbongdal
    @daldalbongdal Жыл бұрын

    재활용품도 종량제 봉투처럼 봉투를사서 버리는제도 만들면안돠나뇨?

  • @user-yd3rt8nn4g
    @user-yd3rt8nn4g8 ай бұрын

    수고 합니다 맨날 부탁 함니다

  • @kihoon69
    @kihoon693 жыл бұрын

    재활용이 안되는 플라스틱을 생산 못하게 하면 되는것 아닌가요?

  • @user-nf6no3qw9m

    @user-nf6no3qw9m

    2 жыл бұрын

    그럼 어떤걸로 대처할지 생산 못하는곳에 허락 요청학고

  • @user-nf6no3qw9m

    @user-nf6no3qw9m

    2 жыл бұрын

    복잡하죠

  • @vv5843

    @vv5843

    2 жыл бұрын

    그럼 굉장히 불편하지않을까요

  • @user-dw1po2wy1l

    @user-dw1po2wy1l

    2 жыл бұрын

    거기에 딸린입이 어마어마해서 못하는거죠

  • @user-ux7fn9hl9i
    @user-ux7fn9hl9i3 жыл бұрын

    원래 배달 잘 안시켜 먹지만 앞으론 더 안시켜 먹어야겠네요. 중국집도 일부러 수거해가는 집으로 배달 시킵니다

  • @marso1010
    @marso10102 жыл бұрын

    이분 정말 솔직하시네

  • @user-tq6ec7ic6j
    @user-tq6ec7ic6j3 жыл бұрын

    배달용기가 진짜 많네.. 진짜 왜이렇게 많냐. 어떻게 안되나

  • @user-bd8zz2zu7v
    @user-bd8zz2zu7v Жыл бұрын

    이거보고 나무젓가락에 플라스틱빨대 사용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hyojinp908
    @hyojinp908 Жыл бұрын

    비단 플라스틱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일회용품의 문제 인 것 같아요. 플라스틱을 종이로 대체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도 결국 똑같은 일회용품 쓰레기이죠. 정부차원에서 근본적으로 문제를 바라봐야 합니다. 생산 단계에서부터 재활용이 안되는 재질은 쓰지 말도록 기업을 규제하고 기업도 과대포장을 줄이고 재활용이 잘 되는 재질로 생산해야합니다. 국민 개개인의 의식 성장도 물론 필요합니다. 어느 한 쪽만 개선할게 아니라 다같이 협조해야 해결할 수 있어요.

  • @user-kd8te3ey6y
    @user-kd8te3ey6y3 жыл бұрын

    정말 심각하네요

  • @user-qp3xk4lt8g
    @user-qp3xk4lt8g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만들때부터 표기를 다시했음 좋겠네요 재활용 안되는건 재활용 표시하면 안되는데... 일반 사람들의 인식도 필요하고 재활용 안되는건 안된다고 표시를 해줬으면...

  • @user-is1ec3vn2z
    @user-is1ec3vn2z Жыл бұрын

    생산 기업부터 라벨을 붙이지 말든 어떻게 하든 해서 재활용 가능하게 만들고 분리수거 하는 사람들도 깨끗하게 좀 자발적으로 만들어서 버리면 문제의 반 이상을 해결될 겁니다..

  • @irurys
    @irurys3 жыл бұрын

    제발해결되길

  • @hash6825
    @hash6825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최대한 최소화하자

  • @user-jx2lh1me4j
    @user-jx2lh1me4j3 жыл бұрын

    처음 중국에서 저것들 안 받는것이 시작 이였습니다 정부에서는 대비하고 계획 하고 있었죠 고체연료로 재활용해서 화력으로 사용 하는 계획을 그런데 주변에 저런 쓰레기 태우는 화력 발전소 좋아할리가 없고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다 코로나 터지고 쓰레기는 많아 지는데 원유가격이 내려가니 따로 재활용해서 다시 만들때 비용보다 원유 수입해서 만들때 비용이 더 저렴하니 가격은 더 떨어지고 차라리 일본 처럼 분리 수거를 깐깐 하게 하였다면 문제가 없었습니다 일본은 우리나라에서 재활용품 돈을 주고 수입해서 사용하는 수준으로 재활용 수준 차이가 심합니다 정부는 5~10 년 계획 한 것이 막히고 시민들은 쓰래기인지도 모르고 재활용 될거야 하고 최저가준에 맞게 배출하고 기업은 재활용 보다는 싸게 판매 하고

  • @Ss-nf6cy
    @Ss-nf6cy2 жыл бұрын

    환경 심각성알고 저도 일회용품 줄이고싶은데 ..배달음식으로 먹는저로썬 어쩔수없네요 ㅜㅠ 그치만 플라스틱 항상 분리수거 잘하고 깨끗히 씻어버려요 일회용 플라스틱이 아니라 용기개발 필요할거같아요 진짜

  • @saunnha2292
    @saunnha22923 жыл бұрын

    국제 유가하락으로 플리스틱 수입하던 해외 공장들이 가동을 중단했다는 표현 보다는 , 중국이 폐플라스틱을 소비하기보다는 새로만드는 비용이 더 저렴해져서 그걸 선택한게 맞을 거같은데요.. 주체를 흐리는거 같아요!

  • @user-hg9xp1ch7j
    @user-hg9xp1ch7j2 жыл бұрын

    이걸보고 큰 충격을 먹었습니다. 플라스틱은 재활용도 못하고 길에다 버리고.. 근데 그걸 분리수거를 잘 안해서 동물들도 다 죽어가고.. 지구 환경이 점점 파괴돼고 지구가아닌 쓰레기지구가 돼기 전에 쓰레기를 줄이도록 열심히 쓰레기를 줄여 봅시다.

  • @heavenfist
    @heavenfist3 жыл бұрын

    쓰레기 1회용은 잘분리가 아니라 최소로 만들어야된다 즉 쓰레기는 안만드는게 최고다

  • @longguocao9442
    @longguocao94422 жыл бұрын

    이런걸 KBS같은 방송사에서 크게 기사화 해야 하는건데,매일 쏟아지는 엄청난 쓰레기 심각성을 널리 알려야 하는거 아닌가요?

  • @isooc4204
    @isooc42043 жыл бұрын

    선별작업 끝난 쓰레기는 정부에서 일괄 처리해야지

  • @valdirnery8975

    @valdirnery8975

    4 ай бұрын

    😮11😊

  • @user-tm1km9gi3f
    @user-tm1km9gi3f Жыл бұрын

    법으로도 정하고 사람들도 일회용 줄이고 노력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내가 편한만큼 환경이 나빠지는거고 내가 불편했다면 환경은 좋아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junghoonshin9282
    @junghoonshin92823 жыл бұрын

    수거문제 분리문제는 둘째치고 우선 재활용 어렵게 해놓은 디자인은 아예 생산못하게 만들어야 할듯.. 쩝 ... 패트병만해도.. 비닐라벨 뜯기도,병뚜껑 따고난후 목에 남은 링제거도 힘들고 우선 생산자가 뜯기 쉽게 만들어주고 라벨지에 재활용표시 하지말고 플라스틱 용기 입구쪽에 일반인도 볼수있고 시각장애인도 느낄수 있는 음각이나 양각으로 재질표시 재활용표시해놔야하지 않을까?

  • @choi177
    @choi1773 жыл бұрын

    아니,재활용 안되는 플라스틱은 정부에서 처리하는 게 맞지 어떻게 저런 업체에서 자체 비용으로 처리하게 해요? 황당하네요.

  • @user-tp3nn3ny6o
    @user-tp3nn3ny6o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에서 기름 추출하는거 빨리 해야겠다. 이러니 매번 자원재활에서 불이 나지. 이거 저 사람들에게만 전가하지 만ㄹ고 생산자 그리고 소비자도 여기에 충분한 돈을 지불해야한다. 소비자도 불리수거만이 능사가 아니라는거 알아야한다. 즉 일회용품을 많이 소비하는 사람들은 그에 따른 지불비용도 늘려야 한다. 그래야 해결이되지. 아니면 아에 리필제품이 가능한 것들은 초장용기 차제를 비싸게 팔던가 아니면 반드시 재활용하게 하던가

  • @user-wz6ho6ip8c
    @user-wz6ho6ip8c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을 한 종류로 통일하면 문제가 될까? 너무 다양한 종류라서 분리수거도 힘글고....

  • @hyeonjingwak1501
    @hyeonjingwak15013 жыл бұрын

    쓰레기 싼 만드는 브로커 그거 진짜 문제인데 진짜 이러다가 큰일남

  • @user-qr9vn4vv4p
    @user-qr9vn4vv4p Жыл бұрын

    구분쉽게할수있게 만들어주길

  • @hsk9477
    @hsk94773 жыл бұрын

    음~ 모든 플라스틱을 재활용 가능한 하나의 재질로 통일하는 방법은 어떨지요,, 플라스틱에도 여러 종류가 있어 재활용이 안되는 것도 있다니 정부에서나 기업 차원에서의 움직임도 필요한거 같아요.

  • @hsk9477

    @hsk9477

    3 жыл бұрын

    물론 애초에 플라스틱 종류도 여러개로 만든 이유가 필요에 의해서 그렇게 한것이겠지만, 조금의 불편함은 다수의 국민들도 이해해 줄거라 생각합니다. 매스컴이나 방송을 통해 안내를 잘해주면요.

  • @alidiscovery9
    @alidiscovery93 жыл бұрын

    심각하네....

  • @OwlNight77
    @OwlNight773 жыл бұрын

    재활용 여부도 중요한데 양 자체가 너무 많구나 기존에 안 되는 거 많고 라벨 붙은 거 다 떼야하고 그런건 알고 있었지만 저렇게 들으니 그냥 양 자체가 더 문제네

  • @lIlIlIllIIllIlIlIIlIl
    @lIlIlIllIIllIlIlIIlIl2 жыл бұрын

    미화원이 작은거 걍 다 종량제에 담으라더라고요 어차피 못골라낸다고.. 그동안 열심히도 분리 신경썻습니다만 의미없어요 지금 시스템으로는

  • @user-ct3wv1xl2x
    @user-ct3wv1xl2x Жыл бұрын

    해결할수있는 방법이 있으면 그 방법을 실행합시다...

  • @user-wd2ce8dr5d
    @user-wd2ce8dr5d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포크 숟가락같은 작은 것들은 재활용도 안돼요.. 국가에서 용기 재질이나 사이즈같은걸 규격화해서 분류라도 쉽게쉽게 할 수 있게 장치를 마련해야해요.. 지금은 완전 중구난방...

  • @pp-zq3fp
    @pp-zq3fp3 жыл бұрын

    정부는 저런 실질적인 일은 관리를 안하냐

  • @CoinETH
    @CoinETH Жыл бұрын

    음식물 담은 플라스틱 ( 배달하면 음식물 담겨오는 통들)은 걍 다 종량제봉지에 다 넣으세요 씻어서 분리할 필요 없어요

  • @yunkim9320
    @yunkim93203 жыл бұрын

    정부가 나서지 않는다면 저런 선별업체들도 점점 줄어들고.. 극심한 쓰레기 대란이 일어나겠죠 그때가 되야 뭔 대안이 나오겠네요 누가먼저 자빠지냐 이런경우네요

  • @TheEggstore
    @TheEggstore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엄청 분리수거를 잘하진 못한다고해도.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과 감독할 정부도 책임에서 자유로울수 없음. 분리수거가 가능하게 상품을 디자인하고 그걸 유도하게끔 정부가 해야되는데. 모든걸 국민이 알아서 재활용잘하라고만 하니 그렇지. 모든 국민을 교육시킨다는건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모르는 일이지만 기업에게 가이드라인을 지키도록 유도하고 제재하는게 더 빠르다.

  • @jameshan9369
    @jameshan93693 жыл бұрын

    유럽처럼 판트 도입안되나요...ㅠㅠ

  • @dfhhbjjj
    @dfhhbjjj11 ай бұрын

    와 대단하시네 옛날에 일용직 다녔을때 저거 하라고 보냈는데 와 진짜 냄새가 얼마나 심한지 머리가 아프더라 군대에서 구제역 돼지 시체 치우러 간 이후로 냄새 때문에 머리가 아프긴 처음 그래도 도망 안가고 끝까지 다함

  • @lovethemost
    @lovethemost3 жыл бұрын

    아이고 ㅠㅠ

  • @jsk9745
    @jsk97453 жыл бұрын

    재활용이 안되는게 아니라 조금더 신경써서 분리 해서 버리면 시민은 해 주실꺼 다 한거고 모든 아파트 혹시 지자체에서 업체 배려해서 단가 폭등 시기에 단가 조정만 해줘보세요 얼마나 잘 처리 될런지.. 매번 떼돈 버는것마냥 최고가 입찰 하면서 보증보험 몇억씩 끊고 그래봐야 가공마진인데 ...혹시 시장 상황이 안 좋아 약간의 하락이 아닌 폭락장이 오면 단가 변동 해주는곳 못봤습니다만. 가장 큰 문제는 각 시청 구청 지자체 입니다. 재활용 원자재 취급하는 회사는 매입가가 0원이면 250원에 판매 하고 1000원에 매입 하면 1250원에 판매 하면 됍니다. 계약시점 1000원하던 매입가가 코로나로 판로 막혀서 200원이 되었으면 조정해서 처리하면 문제 없는데 다른 한면만 나오네요.단가 조정이라 함은 물론 객관적 자료와 시장 상황에 따라서이지만.

  • @user-sq4lk7wj9i
    @user-sq4lk7wj9i3 жыл бұрын

    국회의사당 으로 보내주세요.

  • @user-kh4wo4bl3l
    @user-kh4wo4bl3l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재활용되는거랑 안 되는거랑 구분 할 수 있게 설명해주는 공익광고 같은거 만들면 좋을거같은대

  • @purplelake

    @purplelake

    3 жыл бұрын

    네, 옳은 말씀 입니다. 처음부터 플라스틱 종류별로 분리해서 버릴 수 있도록 매뉴얼 만들어서 국민들에게 대대적으로 교육시켜야 합니다. 아직까지시청. 구청등에서 쓰레기 분리 매뉴얼 조차 없다는게 이상 할 정도죠. 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그림으로라도 그려서 각 가정에 배포하고,계몽시켜야 합니다.

  • @user-ob5ob6yw8f

    @user-ob5ob6yw8f

    3 жыл бұрын

    색깔로 되는거 안되는거 구분해두면 쉬울텐데

  • @shiahlee3083

    @shiahlee3083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ㅠㅠ

  • @user-wn5ct2ym8f

    @user-wn5ct2ym8f

    3 жыл бұрын

    재활용은 가능하나 돈안돼서 안하는것도 많아서 기준 딱 정하기가 참 어려운듯

  • @user-sb6cj5qw1p
    @user-sb6cj5qw1p3 жыл бұрын

    미래는 환경이다. 어디에 버릴까요? 라벨을 떼기 쉽게 하고 통일된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안 하는 습관~

  • @user-oz9ov4ef7k
    @user-oz9ov4ef7k3 жыл бұрын

    플라스틱 생산 업체는 거의다 사라지겠군. 조만간 딱 필요한 업체 1~2곳만 살아남을듯.

  • @user-je8yi1sr2t
    @user-je8yi1sr2t3 жыл бұрын

    심각하네요

  • @user-kf8gd9ps4b
    @user-kf8gd9ps4b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다른 나라에 페기 플라스틱 수입하는구나 국민이잘못했네!??? 방송국분들 지금도 폐 플라스틱 수입하고 있는데 그것 부터 조사하고 방송하세요

  • @jungsukim2265

    @jungsukim2265

    3 жыл бұрын

    해외에서 수입하는것은 한국것하고 질적으로 틀립니다 한국것은 소각 매립아니면 답없습니다 소각을 하고 매립을 해야지 부피라도 줄어드는데 소각장 용량은 이미 한계를 넘어선지 오랩니다

  • @user-ci5kf3zn7h
    @user-ci5kf3zn7h2 жыл бұрын

    분리수거해서 버리면 가져갈때 병이고 뭐고 다같이 차에 싫어서 으깨버리던데 그게 맞는건지 궁금하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