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건축탐구- 집 - 가성비 갑! 자수성家

-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달빛을 머금은 가성비 집
부모님께 손 벌리지 않고 인생 첫 집을 지은 건축주는 어떤 집에서 살고 있을까?
경기도 양평군에 사는 이상훈 김혜진 부부. 두 딸의 교육 때문에 연고도 없는 양평에서
전세로 전원주택 생활을 해본 가족. 이후에 아파트 생활도 해봤지만 자꾸만 떠오르던 전원주택 생활. “우리 양평에 살았을 때는 이런 점이 참 좋았는데.”
주택에 비해 더 편리하고 생활하기 좋은 아파트이지만, 계속해서 양평에서의 주택 생활을 떠올렸다는 건축주 부부. 살고 있던 아파트가 예상보다 오르게 되며, 운 좋게 생긴 종잣돈을 통해 부부는 양평에 인생 첫 집을 짓고자 마음먹는다.
세 가지의 노출 콘크리트 기법을 사용해 미술관처럼 느껴진다는 이곳, ‘화조풍월’.
아내 김혜진 씨는 도로변에 위치해, 지나가는 사람들이 집인지 카페인지 한 번 더 바라볼 수 있는 특별한 집을 만들고 싶어 했다. 그런데, 눈길을 확 끌어들이는 외관에 비해 내부에는 평범한 안방과 아이들 방만이 자리 잡고 있는데... 도대체, 이 집의 포인트는 어디에 숨어 있는 걸까?
거실에 들어서자 눈길을 끄는 커다랗고 둥근 천장. 그리고 띠처럼 길게 뻗은 파노라마 창까지. 아내 김혜진 씨는 이렇게 커다란 천장을 구상하게 된 특별한 이유가 있다고 한다. 양평 전원주택에 살던 시절, 가족 모두 잠든 밤 달빛에 환하게 비치는 가족들의 얼굴이 계속 기억에 남았다고 하는데. 그런 아내의 특별했던 추억을 같이 느꼈던 걸까. 남편 이상훈 씨는 아내의 의견에 따라 달을 집 안으로 들여오기로 했다.
하지만 둥근 천장을 만든다는 건,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거푸집 작업만 한 달 가까이 소요됐다고 하는데. 그렇게, 오랜 시간 공을 들여 탄생하게 된 이 집만의 특별한 공간, 거실. 날이 밝아오면 따사로운 햇살을 선물해 주고, 날이 어두워지면 밝은 달빛을 선물해 주는 이 집만의 포인트 공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건축가마저 이 집을 팔아달라며 탐내는 부부의 집. 이곳에서 건축주 부부는 사랑하는 두 아이와 함께 매일 자연과 인사하며 생활하고 있다.
“이 집은 자식과도 같은 집이에요.”
거실을 집의 포인트로 설정하고, 디자인적인 마감 요소는 빼는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해 가성비 좋게 집을 지은 건축주 부부. 이 집에 오게 되면서 아내 김혜진 씨는 남편을 더 존경하게 되었다고 하는데. 자식처럼 앞으로 더 성장해 나가고, 함께 쌓아갈 추억이 기대되는 건축주 부부의 집으로 찾아간다.
- 선 구매, 후 설계로 가성비 갑, 3층 주택을 짓다
30대, 비교적 어린 나이에 인생 첫 집을 짓게 된 건축주가 있다?
경기도 용인시에 사는 김건형 임혜미 부부. 이들은 어린 나이에 집을 지으며 남들보다 더 일찍, 특별하고 귀한 일들을 경험하고 있다. 울창한 숲이 보이는 배경은 물론, 가성비 좋은 작업 결과물까지! 이 부부는 어떻게 자금을 마련해 가성비 좋고 특별한 인생 첫 집을 짓게 되었을까?
“단돈 300만 원으로 시작했어요.”
대학 시절, 아르바이트로 모은 300만 원을 통해 푸드트럭 장사를 시작했다는 남편 김건형 씨. 마땅한 돈이 없으니, 스스로 전기를 만지다 터지기도 하고, 건축비를 아끼기 위해 매장 시공에 직접 참여하기도 하며 건축 능력을 쌓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다, 운 좋게 사업 투자를 받게 되며, 어느덧 네 개의 매장을 운영하는 대표 자리까지 오를 수 있게 되었다는데.
그런 남편이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남들과 다르게 시도한 것이 있다. 바로 설계 후 기성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기성 제품에 맞춰 설계를 진행한 것. 현명한 건축 계획을 통하여 부부는 인테리어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렇게 딱 들어맞는 소파에 앉아 계단에 있는 아이들과 소통하고, 바깥 풍경을 바라보는 게 가장 행복하다는 건축주 부부. 거실과 맞닿아 있는 천연 숲을 통해 사계절을 가장 가까이서 만끽하고 있다.
“아이들의 생애 주기에 따라서 변하는 집이에요.”
이 집에는 비용 절약을 위해 특별히 계획한 또 다른 공간이 기다리고 있다. 아이들이 커나갈 성장 과정을 기대하며, 구조 변경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고려해 집을 지은 것이다. 지금은 아내의 작업실로 사용되는 공간이지만, 아이들이 학교에 진학하고 각 방을 원하는 시기가 된다면 이 작업실을 아이들의 방으로 개조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공간이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방으로 설계함으로써 추후 리모델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했다.
화이트톤으로 이루어져 있어 깔끔하고 깨끗한 느낌을 주는 1, 2층과는 달리, 3층에는 비교적 우드톤의 전이된 공간이 자리 잡고 있다. 어느덧, 네 개의 매장을 운영하는 사업자 대표이기도 하지만, 출퇴근 시간을 아껴 가족들과 소중한 시간을 보내고 싶은 가장의 작업 공간이기도 하다. 이 공간을 사무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분위기를 전이시킴으로써 한 집에 두 가지 분위기를 연출한 것이다.
“가족이라는 든든한 선물 같은 집이에요.”
어린 나이에 가정을 꾸리며 서툴고 부족한 점도 많았지만, 이곳에 집을 지음으로써 가족이라는 의미의 따뜻함을 깨닫게 되었다는 건축주 부부.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법을 배우며, 앞으로 더욱 우아하게 살아갈 건축주 부부의 집으로 찾아간다.
#건축탐구집#가성비갑!#자수성家#경기도양평#노출콘크리트기법#달빛머금은집#선구매후설계#3층주택#건축주부부#가성비집

Пікірлер: 47

  • @mynameishan.
    @mynameishan.5 күн бұрын

    첫 번째 집은 겉에서는 자칫 단조로워 보이지만 뜯어보면 정체성도 확실하고 디테일이 엄청난 것 같습니다! 노출콘크리트 마감도 단조롭지 않고, 잔디는 없지만 식재를 아름답게 꾸미셔서 관리도 쉽고 센스가 돋보이시네요. 또 보통 노출콘크리트 집하면 집 내부 마감까지 그냥 노출로 해버려서 삭막한 느낌이 드는데 화이트톤으로 깔끔하게 마감해서 집 같은 느낌이 들어서 좋네요. 특히 건축주님의 '달' 이라는 아이디어도 집의 정체성을 더해주는 것 같고, 이걸 구현시켜 주신 건축가님도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역시 좋은 건축은 건축주의 정체성이 건축가의 창의성으로 구현되는게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 @user-ui1qp8xm5o
    @user-ui1qp8xm5o5 күн бұрын

    아직 어린 두 따님과 함께 멋진 첫 번째 집주인 부부 뭔가 아내 를 많이 아끼는 남편 분 의 배려가 느껴지는 따뜻함 이 눈에 보이네요ㆍ 집에 스며 드는 안온 함 이 너무 부려워요ㆍ 행복 하시길 ~

  • @boribori2462
    @boribori24624 күн бұрын

    숲과 창이 너무 멋지네요! 집도 아기자기 예쁘고 젊은 아빠의 생각도 멋지고~ 기분 좋아지는 집이네요😊

  • @dongwookpark8919
    @dongwookpark89194 күн бұрын

    아파트는 내집이어도 내집같지 않다는 말이 공감되네요. 두분의 뜻이 맞아 예쁜집을 지으신것 부럽습니다.

  • @lucash7953
    @lucash79535 күн бұрын

    와 달 닮은 천정이라니 낭만 가득이네요! 저하늘의 달도 별도 따다준 남편

  • @jhlim6161
    @jhlim61615 күн бұрын

    둥근 아치형 천장집 남편분 진짜 사랑꾼이네~ 다비치 해리 닮으신 아내분이 원하는 거 다 해주셨네요. 👍

  • @user-qd8io2gu1c
    @user-qd8io2gu1c5 күн бұрын

    가벽인데 중정같은 느낌이 너무 좋네요~~~ 프라이버시도 보장되구요 ㅎㅎ

  • @Handol75
    @Handol755 күн бұрын

    첫 집의 달 구현은 루이스 칸의 킴벨아트뮤지엄을 오마쥬한거로 보이네요 ㅎㅎ 그 외 안도 다다오에게도 영향을 받은 것 처럼 보이는 부분도 있구요. 대단히 멋집니다.

  • @user-gj3zc5mq2c
    @user-gj3zc5mq2c4 күн бұрын

    첫집 아내취향 멋지고 ᆢ그래서 더 남편도 멋지고ᆢ

  • @user-lz8uh4wp4i
    @user-lz8uh4wp4i5 күн бұрын

    첫번째 집은 건축비가 어마어마하겠네요 ㄷㄷㄷ 너무 멋집니다

  • @user-dk9ii9do5n
    @user-dk9ii9do5n5 күн бұрын

    진짜 멋지네요. 이렇게 보는것만으로도 좋은데 살면 매일매일 꿈같을것 같네요^^

  • @Jmr-n1m
    @Jmr-n1m3 күн бұрын

    외국에는 자라가 많이 짓는다던데.. 한국도 주말 건축학교나 이런게 많이 생기고 활성화 되었음 하네요. 그리고 품앗이 처럼 수십명 단위로 회원참여 해서 서로 집짓는데 도움주거나 동원하는 동아리? 그런 소규모 단체도 많이 생기면 좋겠고 정부에서도 그런 관련 지원도 많이 해줬음 한다. 집을 짓는다는건 개인이 한다는건 엄두가 안나는일,. 그래서 주위에서 도움받아야 한다고 생각함

  • @user-nh8kn5hq3i
    @user-nh8kn5hq3i5 күн бұрын

    젊은친구. 부부가. 대단하네요

  • @hyeongseognoh
    @hyeongseognoh5 күн бұрын

    주택이라는게 결국은 정해져있는게 아니라 구성원과 같이 세월이 흘러가면서 그 용도나 내부적인면에서도 변화가 필요하더라구요. 자녀가 생기기전, 자녀가 태어났을때, 자녀의 성장기등 매시기마다 공간이나 형태적인 면에서 요구되는게 다 달랐습니다. 내부 인테리어나 공간, 가구등도 자녀의 요구에따라 많이 변화가 필요하더라구요. 결국 정답은 없는거 같습니다. 둘만의 공간이 아닌 전체 가족을 본다면 선택과 포기가 필요한 기회비용적인 측면이 강한거고 서로가 이해를 해주는것 같습니다. 자연을 벗삼아 살고싶지만 환경적인 측면과 교육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쉽지도 않고요. 주위지인들중에도 전원주택에 살다가 자녀문제로 인해 결국은 다시 도시로 들어온분도 많거든요. ㅠㅠㅠ

  • @jhg102667
    @jhg1026675 күн бұрын

    다 아파트를 21년 고점에 팔아 집짖는데 성공했네요

  • @user-lp1en8kk2x

    @user-lp1en8kk2x

    5 күн бұрын

    ㅎㅎㅎ ^..^

  • @user-oz1re9eg8w
    @user-oz1re9eg8w2 күн бұрын

    건축주 부부의 센스가 정말 돋보이는 집이네요

  • @ppiyongsong6029
    @ppiyongsong60294 күн бұрын

    아니 이현욱건축가님 도면 컨펌도 받았는데 이렇게 뵈니까 반갑네요~ 근데 아내분 아이디어가 애초에 좋으신데요 안목있으신듯. 집 멋있네요.

  • @user-coffeefeeling
    @user-coffeefeeling5 күн бұрын

    serendipity ❤

  • @user-ko7lw4oz6s
    @user-ko7lw4oz6s4 күн бұрын

    이현욱건축가님 달변이시네요..

  • @user-il1ul2qg5i
    @user-il1ul2qg5i5 күн бұрын

    남자분 임종석 닮으셨음

  • @hnk900k8
    @hnk900k85 күн бұрын

    22:16 이거 건물 가장 위쪽에 자갈? 같이 생긴건 뭔가요? 저기 사람이 올라가거나 그럴거같진않고 방수처리를 위해서 저런식으로 해놓은거지않을까싶은데 뭔지 아시는분 계실까요?

  • @aquanimo1212

    @aquanimo1212

    5 күн бұрын

    역전지붕으로 보여집니다. 콘크리트위에 단열재놓고 마감을 자갈로 한것으로 기존보다 엄청난 장점이 많습니다.

  • @hnk900k8

    @hnk900k8

    5 күн бұрын

    @@aquanimo1212 방수처리는 안하고 저걸로 대체하는건가요? 장점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시공비용은 비싸겟죠 아무래도 그냥 방수보다는?

  • @aquanimo1212

    @aquanimo1212

    5 күн бұрын

    @@hnk900k8 여기서 설명드리기에는 너무 길어지고 거의 불가능합니다. 역전지붕은 검색하면 엄청나게 많은데 건축지식이 거의 없는분은 파코네 역전지붕 유튭 검색하면 자세히 볼수있습니다. 파코네는 패시브협회 영상입니다. 당연히 방수하는거고 방수층 온도를 낮추는것과 단열이 끊기는 열교현상 방지 및 유지관리가 쉽습니다. 가격도 저렴합니다. 기존 방수의 고질적인문제도 현저히 적습니다

  • @aquanimo1212

    @aquanimo1212

    5 күн бұрын

    @@hnk900k8 댓 드렸는데 삭제됐네요?? 여기서 설명드리기에는 너무방대하고 건축문외한이시면 유튜브에 역전지붕 치면 많이 나옵니다. 그중 패시브협회에서만든 파코네 역전지붕 치시면 자세히 나오고 열교방지 방수층 보호및 유지 지붕온도 감소등 장점이 많고 비용도 기존과 동일한 수준입니다. 외국은 많이했는데 우리나라는 기존 잘못된 시공법(단열이 끊겨서 생기는열교)으로 관행처럼 해왔습니다. 상부 방수치고 무근 덮어버렸죠. 근데 우레탄 수명은 길지않고 그것도 직접 열이 닿으면안되니 방수층깨지면 무근위에 또 우레탄치고 5년지나 또치고 한마디로 개판이죠. 또한 영원한 방수재는 없으며 그나마 방수자재및 시공을 싸구려에 엉망으로 하는게 대다수였습니다. 더 직설적으로 설계 시공 둘다 무지한분들이 너~무 많았습니다.

  • @hnk900k8

    @hnk900k8

    5 күн бұрын

    @@aquanimo1212 아하 그렇군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MospeadaLegioss
    @MospeadaLegioss5 күн бұрын

    노출콘크리트가 마감재 중 고가에 속한다고 들었는데 비용절감이라니 갸우뚱하네요

  • @Grain00

    @Grain00

    5 күн бұрын

    그뿐만 아니라 가구와 인테리어 소품도 명품이네요.

  • @BJSC138

    @BJSC138

    5 күн бұрын

    방송이 다 그렇지 뭐 순진하구먼 ㅋㅋㅋㅋ

  • @kimkevin2792
    @kimkevin27924 күн бұрын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로 85

  • @user-ok6fk2tw7p
    @user-ok6fk2tw7p5 күн бұрын

    이건축가분 노출콘크리트 싫어 하시는분 아닌가여? ㅎㅎㅎ

  • @user-cc3he4ym6l
    @user-cc3he4ym6l4 күн бұрын

    돈만있으면

  • @jeakim4152
    @jeakim41525 күн бұрын

    전반적으로 볼때 집이 너무 삭막하게 보여서 안 좋고 특히 불룩한 천정은 뭔가 불안하게 느껴지는 아무 의미가 없는것 같다 !

  • @user-et2uc2kf2g
    @user-et2uc2kf2g4 күн бұрын

    썸네일만 봤을때 거대 관짝인줄

  • @user-jg8hm8no7i
    @user-jg8hm8no7i2 күн бұрын

    아파트는 허공에 지어진 가상공간일뿐.. 거기에 수십억 수백업으로 돈놀이판에 놀아나는 인간들

  • @-qqsmartww4503
    @-qqsmartww45035 күн бұрын

    집은요.. 저렇게 비용들여 짓는거보다. 부담없게 짓는게 행븍한 집입니다!

  • @qwklejfqkwnf2299
    @qwklejfqkwnf22995 күн бұрын

    아파트사는거만 못하게 짓고살거면 아파트가 낫지... 뭐 취향차이니 인정

  • @user-pr6nm6ib5i

    @user-pr6nm6ib5i

    5 күн бұрын

    니가 뭔데 인정하니 마니 하니?

  • @user-xe1zi2jp4t
    @user-xe1zi2jp4t5 күн бұрын

    집은 예쁘게 잘지은거 같은데 시멘트로 다발라버리고 정원도 시멘트로 깔고 밖에 경치도 안보이게 담벼락 엄청 높게하면 굳이 전원주택에 살필요가 있알까요? 집은 예쁜데 자연과는 어우러지지않는 느낌이네요ㅎㅎ

  • @crizark

    @crizark

    5 күн бұрын

    모든 사람이 다 개방감을 좋아하진 않죠. 외부와 단절된 나만의 공간 안에서 살아가고 싶은 분도 있는 겁니다. 특히 조금만 지방으로 가도 남의 집 기웃거리고 참견하는 사람들 질색이라서 사람이 방어적이 되던데 저도 지방에 짓는다면 저렇게 싹 둘러칠 것 같네요

  • @user-ui1qp8xm5o

    @user-ui1qp8xm5o

    5 күн бұрын

    아늑하고 좋은데요 ~^^ 절제 된 노출 내가족 이 누릴 권리만 허용한 듯 ᆢ

  • @tarishlight7352

    @tarishlight7352

    4 күн бұрын

    집은 사는 사람이 편해야죠...밖의 시선으로 생활이 노출되는 위험도 줄이고 잔디 노동에서 벗어나 집에서 편히 쉴수있어야죠...저도 잠시나마 단독주택에서 산 경험으로 저 2가지는 매우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 @user-uf3nm6zq5f

    @user-uf3nm6zq5f

    18 сағат бұрын

    사람마다 좋아하는 것이 모두 다르죠. 서로의 개성을 존중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좋지요. 판단의 영역은 아닙니다.

  • @JeongJaeWoo
    @JeongJaeWoo5 күн бұрын

    유튜브 잠시 접어두시고 산책나오셨네요....근데 위급할때 사투리가 나오는거 보니까 양평분들이 아니시네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