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SUB】조선 수군은 아웃파이터? feat.소승자총통, The Swan Song of Chongtong Development: Soseungja-chongtong

천지현황의 대형 총통만 사용했을 것 같은 해전에서도 개인용 총통의 역할은 있었습니다. 샷건처럼 여러 발의 철환을 쏘도록 개발된 승자총통에도 장거리 사격을 위한 변형이 있었습니다. 바로 조총을 닮은 형태로 수렴진화한 소승자총통입니다. 이전의 승자총통과는 쥐는 법도, 쏘는 법도 다른 소승자총통을 재조명합니다.
In sea battles where large chongtong called cheon, ji, hyeon, hwang would seem more appropriate to employ, individual firearms had a role to play. Seungja-chongtong, being designed to fire multiple iron balls like shotguns, were improved to extend their range. They evolved into firearms similar to matchlock muskets, bringing soseungja-chongtong onto the stage. The topic of this episode is soseungja-chongtong, which were different from seungja-chongtong in how they were held and fired.

Пікірлер: 994

  • @user-pj2rp8zk1n
    @user-pj2rp8zk1n2 жыл бұрын

    난 이 진주국립박물관 직원들이 이렇게 일을하는 시스템이나 분위기나 기획하고 전략을쨔고 결과물이 나올수있게한 힘이 궁금허다...

  • @user-gf8bd8wy8y

    @user-gf8bd8wy8y

    Жыл бұрын

    재하청 주지 않고 돈 떼 먹지 않은 결과

  • @gyujeong9314

    @gyujeong9314

    Жыл бұрын

    직원들이 역량을 펼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혹여라도 문제가 생기게 되면 실무진에게 뒤집어 씌우지 않고 자신이 책임 지는 모습을 보여서 신뢰감을 줘야겠죠.

  • @user-nc1fv4im2z

    @user-nc1fv4im2z

    3 ай бұрын

    훌륭한 진주박물관 입니다❤

  • @say_one

    @say_one

    3 ай бұрын

    진주 관장님이나 시장님이 역사덕후일듯.... 실제 지금도 전국 대부분 핵심적인 박물관들 전부다~~ 어디서 광역시 국장, 부시장 따위나 하던 행정관료출신 똥별들이 말년에 조용히 기어들어가서 자리 다 꿰차고 있어서 발전이 없는거에요.

  • @xnclsien
    @xnclsien Жыл бұрын

    와… 저때 당시 장군이라고 안하고 좌수사영감, 삼도수군통제사에 역임되신 이후에는 통상대감, 통제공, 통제사또 이렇게 불렀다는데 호칭까지 고증.. 쩐다..

  • @firevird

    @firevird

    9 ай бұрын

    자앙군! 왜군들이 몰려오고 이쑵니다~~~

  • @say_one

    @say_one

    3 ай бұрын

    ㄹㅇㅠㅠ 영감! 하자마자 눈물남ㅠㅠ

  • @slavecoder9928

    @slavecoder9928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전라도좌수사 이순신 ㅋㅋㅋㅋ 좌파들의 영웅답게 본거지가 전라도였노 ㅋㅋㅋ

  • @LUMINOX.

    @LUMINOX.

    29 күн бұрын

    ​@@slavecoder9928이런 일베들 참..,😂

  • @Graphite_Edge

    @Graphite_Edge

    5 күн бұрын

    ​@@slavecoder9928 우리나라 성웅도 비하하는 일베 수준ㅋ

  • @PawnBarian
    @PawnBarian6 ай бұрын

    뭐야 근접전이었는데 사상자가 그렇게도 안 나온거라고? 충무공 이순신 장군님은 진짜….

  • @user-mx3ms3nc5c
    @user-mx3ms3nc5c2 жыл бұрын

    와 미친 퀄리티 국사 시간에 그냥 틀어만줘도 되겠다 ㅋㅋㅋ 세금으로 만든거임?? 존나 안아깝네요

  • @bluesea833
    @bluesea8332 жыл бұрын

    kbs에서 방영된 1592 임진왜란에서 나오더군요. 적선의 나무결이 보이면, 발포하라는 교전수첩같은 작은 책을 항상 지니고 다녔다고 영상을 보니 귀선 고증이 아주 디테일 하네요 2층구조가 아닌 3층구조 격군과 포수가 겹치지 않게 배치한 고증 좋네요

  • @user-sb6un2ss3g
    @user-sb6un2ss3g2 жыл бұрын

    역대 이순신 장군 관련 영화나 드라마 보면 전투씬이 너무 형편 없었는데, 그 갈증을 날려버린 시원한 고증과 해석이다. 영화인들은 이순신 관련 영화 만들려면 건들건들한테 무조건 검수 받길.

  • @user-ph6bq3ik2h
    @user-ph6bq3ik2h2 жыл бұрын

    매번 볼 때마다 드라마로 인해 굳어진 우리의 고정관념을 산산히 부려버리네요. 만령전투편부터 충격이었습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앞으로 이 영상들을 참조해서 제대로 된 전투장면을 보여준다면 시청자들이 큰 충격을 받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 @user-dc3tk6jh4w

    @user-dc3tk6jh4w

    2 жыл бұрын

    그니깐 말입니다. 외국 해양전투 영화를 보면 나름 고증을 잘 하는데 우리는 정말 암담한 수준입니다.눈앞에 보이는 배를 직사로 쏴도 맞출까 말까 하는데 조선 수군들은 무슨 탄도학 천재들인지 드라마나 명량에서는 곡사로 쏘조 ㅎㅎㅎ 더 어처구없는 장면은 판옥선 회전해서 쏘는 것 ㅎㅎㅎ 한쪽 다 쏜 후 "배를 돌려라" 하고 반대쪽으로 쏘는데 ㅎㅎㅎ 아니 반대쪽 포구에 있는 포 빼서 이동시켜 쏘면 될 것을 구지 배를 왜 돌리는지 돌리는데도 한 세월이고 포 쏠려면 고정도 해야 하는데 말입니다 돌리는 도중 적이 코앞 까지 오고 말지 ㅎㅎㅎ

  • @user-ui9ju2ch2n

    @user-ui9ju2ch2n

    2 жыл бұрын

    @@user-dc3tk6jh4w 아 돌려서 쏘는경우도 극히 드물었나보네요 하도 자주나와서 기본전술인줄 알았는데..

  • @user-cs9ve1bc4x

    @user-cs9ve1bc4x

    2 жыл бұрын

    @@user-dc3tk6jh4w 불멸때도 고증보다는 신파 위주였던것 같아요ㅠ 여진이라는 가상캐릭터 넣을때부터 정말..

  • @user-tz4ky3lp5x

    @user-tz4ky3lp5x

    2 жыл бұрын

    @@user-dc3tk6jh4w 뭐 평저선 구조상 일단 선회가 일반적인 배보다는 빠를긴할거고 기존 화포 치우고 반대쪽 끌고오는게 더 빠를거란 보장은 딱히 없을지도...뻘 생각인데....

  • @Raphael-YJ

    @Raphael-YJ

    2 жыл бұрын

    @@user-dc3tk6jh4w 배는 돌리는게 낫지 않나 싶긴한데요 보통 대포는 파도에 흔들리지 않게 배에 묶어두기도 하고 발포후 그 무거운 대포를 교대하는 작업을 저 정신없는 갑판위에서 한다는 건....흠 차라리 전투와 떨어져있는 노꾼들이 배를 돌리는게 낫죠 다만 진을 취하고있을때는 배 돌리다가 아군배끼리 충돌하지않을까 싶기도하네요 그리고 배돌리면서 쏘는 S자 전술은 동서양 모두에서 근중세 해양 포격술로 사용되었다고 들었습니다

  • @user-mv8dd1mu4u
    @user-mv8dd1mu4u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진주로 와달란거죠? 바로 가겠심다

  • @user-uy2je5qp6s
    @user-uy2je5qp6s2 жыл бұрын

    뭐지..? 몰입감 장난 아냐

  • @madkkm87
    @madkkm872 жыл бұрын

    와 맨날 포졸복장 베이스에 水 이거 안봐서 진짜 좋다 와..웬만한 공중파 방송보다 고증 진짜 좋다 영상 보는 내낸 집중해서 봤음 갑주 뿐만 아니라 편전도 나오고 와... 진짜 눈호강한다.

  • @user-ze4qj4mx9k

    @user-ze4qj4mx9k

    2 жыл бұрын

    진짜 물수자 포졸복 정말 극혐이었는데요...

  • @user-yp2jz5hy4d

    @user-yp2jz5hy4d

    2 жыл бұрын

    공감공감

  • @user-pi6vu7bm8e

    @user-pi6vu7bm8e

    2 жыл бұрын

    갑주를 입히려면 돈이 들어가서 전투복장이 아닌 근무복장으로 촬영한거임

  • @welcom53

    @welcom53

    2 жыл бұрын

    포졸 물수자에 징징이 스머프로만 연출을 하니 조선군 승리가 졸들의 강함에서 나왔을 건데 왜 약자로 표현해 왔는지 ㅉㅉㅉㅉ

  • @user-ub5bg9ez6z

    @user-ub5bg9ez6z

    2 жыл бұрын

    계주복 입고 싸우는거 극혐.....

  • @ajtrooper1315
    @ajtrooper13152 жыл бұрын

    7:00 거북선/판옥선 대형을 이렇게 CG로 보다니 ㅠㅠㅠ

  • @user-zl7kn7pp3h
    @user-zl7kn7pp3h2 жыл бұрын

    내가 이순신장군이었으면 배 50척 불살랐으면 와씨 나 오늘 싹다 없앴다 하면서 있는 자랑 없는 자랑 했을텐데ㅋㅋ 아침으로 된장국에 김치 먹었다라고 쓰는것마냥 오늘 한산도앞바다에서 불살라버렸다. 크으

  •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2 жыл бұрын

    Badass 그자체 16세기 존윅 갓순신 ㅋㅋㅋ

  • @user-ud2xn4oy4k
    @user-ud2xn4oy4k2 жыл бұрын

    진짜 참.....국립박물관에서 교육용으로 만든 영상이 도대체 드라마보다 훨씬 그간의 역사물에 대한 갈증을 풀어주는게 씁쓸하면서 감사하네요 정말 귀중한 채널입니다

  • @miju-wt1cr

    @miju-wt1cr

    10 ай бұрын

    진주박물관임 국립중앙박물관은 일본을 숭상해야하는데 이런거 만들리 잇을까요 이병도 손자가 관장인데 오죽하려고 임라일본부 슬그머니 전시하다 시민들 저항에 직면하고 ㅉㅉ 한국의 대학사학과 학계는 이런 것들이 잡고 있으니 어휴

  • @user-zx8dm2xs8r

    @user-zx8dm2xs8r

    4 ай бұрын

    열심히 영상을 만들고 설명하면서 어떻게 불태웠다는 말이 없나? 앙꼬없는 찐빵이지/ 요점은 기름적신 볏짚이 주무기였다네.

  • @masteropo2779
    @masteropo27792 жыл бұрын

    이제 여긴 국립진주박물’갓’이다!!!!!

  • @user-gl7mk8cy1u
    @user-gl7mk8cy1u2 жыл бұрын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느끼는 13분 짜리 영상이 저에겐 그 어떤 임진왜란 드라마와 영화보다 더 사실적이고, 더 감동적이며, 더 몰입하게 되며, 가슴에서 무언가 끓어 오르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드라마와 영화의 경우, 특성상 대사가 많아야 할 수 도 있겠죠... 하지만, 화력 즉 당시의 무기에 입각한 영상이야 말로 오히려 당시의 느낌을 더 생생히 전달하는 것 같습니다. 조금 과하다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영화 명량, 드라마 이순신이 람보, 코만도류의 영화였다면 위 영상은 저에겐 13분 짜리 존윅과 같은 느낌으로 다가옵니다. 몇 번이고 말씀 드린 적이 있습니다. 건들건들님, 진심으로 좋은 컨텐츠로 쉬운 설명, 최대한 고증이 반영된 설명에 감사 말씀 드립니다. 그리고 고맙습니다... 건들건들님의 최근 방송 컨텐츠가 너무 좋습니다. 6.25전쟁도 그러며, 지금의 컨텐츠도....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인간이 얼마나 잔혹한 무기들을 만들었는지도 한번 다뤄주시는 건 어떨까요? 태어나선 안될... 물론, 모든 무기가 생명을 빼앗기 위해 나온 목적이지만, 비인륜적인 무기들도 다뤄주시는 건 어떨까요? 뭐.... 핵무기는 제외하셔도 될 듯 합니다 ;;;;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 말씀 드립니다.

  • @j8663
    @j86632 жыл бұрын

    재현 퀄리티가 넘사벽이네요 조선수군은 수조규식을 교본으로 사용하는데 200보에서 부터 함포사격을 하라는 규칙이 나오더군요 바다 는 파도 때문에 배가 위아래로 움직이기 때문에 최대 사거리로 쏘면 명중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100보 안에서 교전을 벌였다고 봅니다.

  •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ㅇㅇ롤링 피칭 요잉이 심하죠

  • @user-kv9ed8ec1h

    @user-kv9ed8ec1h

    2 жыл бұрын

    @@sonhuengmin1 ㅇㅈ

  • @Dauntless22
    @Dauntless222 жыл бұрын

    사실 가장 많이 알려진 오해죠. 몰론 화포를 안썼다는게 아니라 그 사용빈도가 생각보다 낮았을뿐. 오히려 근접전 위주로 해상에서 붙었다하면 이겼던 우리의 역사를 조금 더 자랑스럽게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 @user-dc3tk6jh4w

    @user-dc3tk6jh4w

    2 жыл бұрын

    화포는 주로 바로 코앞에서 조란(산탄)을 사용했을 겁니다. 옛날 배는 재료가 나무라 아무리 대포로 쏴도 가라앉지 않고 구멍만 날 뿐이라 지근거리에서 산탄을 쏴서 인명살상 목적으로 사용했을 겁니다.

  •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

    2 жыл бұрын

    @@user-dc3tk6jh4w 원거리에서는 철환과 대장군전 근접했을때는 조란탄으로 변경해 싸웠을검니다. 즉... 근거리에서 조란탄과 승자총통등의 대규모 탄막을 펼쳤을건데 실제 적선숫자는 일본군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인파이터로 들어가 한척의 피해도없이 사상자도 거의없이 적진을 휩쓸고 다녔다는건 들러붙는 배마다 거대한 탄막으로 작살내며 불태웠다는건데... 순간적인 대인 화력이 막강해야 가능하죠...

  • @hwan2989
    @hwan29892 жыл бұрын

    저런 교전거리에서 압도적인 교환비를 보여주신 이순신 제독의 능력;; 진짜 알면 알 수 록 어마어마 하신분이라는 것이 와닿는다-_-;;

  • @xnclsien

    @xnclsien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 @rainmaker9725

    @rainmaker9725

    Жыл бұрын

    알면 알수록 진짜 혀를 내두를..

  • @user-oj2nl1vh9i

    @user-oj2nl1vh9i

    Жыл бұрын

    심지어 혼자서 전라도 경영해서 전쟁중에 병사뿐만아니라 백성들도 먹여살림 ㄷㄷ

  • @user-bx1xl7gl5b

    @user-bx1xl7gl5b

    Жыл бұрын

    ​@@user-oj2nl1vh9i 너무 잘 먹여살려서 오히려 역모 의심을 사버렸죠..

  • @arsium

    @arsium

    Жыл бұрын

    제독이란 명칭은 명나라 장수 이여송의 육해군 통합사령이라는 뜻의 계급명입니다. 우리나라 직위도 아니고 육해군 통합사령도 아니신 삼도수군통합사령이셨던 충무공의 계급명과 대단히 어울리지 않는 명칭이고 남의 나라 직위를 갖다 붙이는 것은 퍽 자존심 상하는 일이라 생각합니다. 외국 해군 장상에게도 쓰기 어려운 육해군 통합사령의 명칭이 이리 남용되는 것은 바르지 않습니다. 참고하셔야 한다고 봅니다.

  • @user-wd2gy4ee3o
    @user-wd2gy4ee3o2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 이 무슨.... ㅎㄷㄷ 내가낸 세금이 이리 멋지게 쓰인다니...

  • @ehrksl
    @ehrksl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조선 수군이 멋지네요 이렇게 영화 사극도 이렇게 만들면 진짜 국뽕 들이켜도 괜찮음

  • @djs1293
    @djs12932 жыл бұрын

    0:30 슬기로운 철거생활 조선편

  • @shinshin-
    @shinshin-2 жыл бұрын

    이런 근거리 교전에서 전사자 수가 전투당 20을 넘지 않은 그는 갓순신?

  • @user-kd7fu7qI5z

    @user-kd7fu7qI5z

    2 жыл бұрын

    조선의 화약수급능력을 보면 우리 생각처럼 해전에서 대포 뻥뻥 못쐈을 가능성이 높은데 킹갓제너럴엠퍼러순신 당신은 대체...

  •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2 жыл бұрын

    ㄹㅇ 교전수칙을 병사들 뼛속까지 주입시켰다고밖에 볼수 없음 사상자도 대부분 이순신의 대장선보다는 다른 선박에서 백병전을 허용하는 등의 문제로 발생했고

  • @user-ph4ef1tw6u

    @user-ph4ef1tw6u

    2 жыл бұрын

    대체 그는 어떤 싸움을 한걸까...?

  • @user-fi9pl5bd3r

    @user-fi9pl5bd3r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나오지 않았지만 조란환(산탄)의 도움이 컸습니다. 조란환 넣고 일제사격 하면 왜선 갑판은 피바다가 되었겠죠.

  • @j8663

    @j8663

    2 жыл бұрын

    일단 100보 안으로 접근 해서 현자나 황자총통에다 조란환을 장전해서 일제사격으로 갈긴후 승자총통으로 후속타를 날린후 기름이 담긴 항아리를 적선에다 던진후에 마무리로 불화살을 쏴서 싸그리 다 태워 버렸을거 라고 봄

  • @bulatog380
    @bulatog3804 ай бұрын

    I admire Korea's history. Gallant and determined people.

  • @1ZZANGGA1
    @1ZZANGGA12 жыл бұрын

    여담으로 처음 대장군전을 겪어본 왜군이 *"쟤네들 대포에 대들보 놓고 쏜다!!!"* 라며 기겁한 일화가 있었죠

  • @AP-bj7kf
    @AP-bj7kf2 жыл бұрын

    공중파에서 원거리 해전을 많이 보여줘서 사람들이 조선 수군의 전투방식을 포격전으로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멸의 이순신에서 CG로 잘 만들었죠. 그러나 근대 이전까지의 해전은 원거리 무기로 타격->근거리 전투로 마무리 였습니다. 화포로는 적의 흘수선 아래를 맞추지 못해 포탄 몇발로 적함이 침몰할 피해를 줄 수 없었기에 필연적으로 근거리 전투(꼭 백병전은 아님)를 통해 승선한 적의 공격용 병력 (요즘이야 수병은 전부 수병이지만 당시에는 노를 젓는 격군과 적을 공격하는 병사로 임무와 훈련이 나뉘었습니다.)을 제거해서 흔히 말하는 모랄빵을 내야 한척을 전장에서 이탈시킨 것입니다. 혹은 불태워야 했죠. 그러니 화약 생산량도 달리고, 원거리 무기 효율이 박살난(파도로 인한 명중률 하락+강선이 없는 화포+생각보다 미미한 적의 함체 피해+사거리를 위해 쏟아붓는 화약량) 상황에서 조선 수군은 가까이 붙는 방법을 선택해야 했습니다. 물론 원거리 포격전도 자주 했어요. 아예 안한게 아님

  • @BlackSkyUploadTube

    @BlackSkyUploadTube

    5 ай бұрын

    현재 수병도 격군에 해당하는 추진기관병과 사수/포수에 해당하는 갑판병으로 분리가 됩니다...

  • @user-fx6mm5sv2q
    @user-fx6mm5sv2q2 жыл бұрын

    역시 세금은 이런데 써야지 후손들한테 최소한 가까운시대의 지식을 남기지

  • @ragdo5186
    @ragdo51862 жыл бұрын

    4:01 국궁의 사법인 온깍지 사법으로 활을 쏘는 장면이 인상적입니다. 얼굴도 제대로 나오지 않는 역이지만 옛 사법을 고증하기 위해 노력했을 이름 모를 배우 분에게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11:56 편전은 현재 국궁을 하는 사람들도 접하기 힘든 것 일텐데, 어색함 없이 잘 사용하는 모습에서 많은 연습을 옅 볼 수 있었습니다.

  • @ribotaro9921

    @ribotaro9921

    Жыл бұрын

    애니메이션 아닌가요?

  • @shinswoong.youtube

    @shinswoong.youtube

    Жыл бұрын

    불멸의 이순신에서 욕먹은 ... ㅎ

  • @user-md9zx4te5c

    @user-md9zx4te5c

    Жыл бұрын

    온깍지가 아니라 별절

  • @say_one

    @say_one

    3 ай бұрын

    원댓글이 어르신이신것 같습니다. CG애니매이션이 워낙 뛰어나서 진짜 연기인줄 아신것 같네요ㅎㅎ 영상을 보면서도 몰랐던 국궁에 관한 자세한 설명 곁들여 들을 수 있어서 덕분에 더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xx8kk1cv9b

    @user-xx8kk1cv9b

    3 ай бұрын

    ​@@say_one그.. 실제 배우들 맞아요..

  • @user-or2zh4fd1r
    @user-or2zh4fd1r2 жыл бұрын

    우린 실전과 같은 훈련으로 해상전에 승리자가 된다

  • @poillix
    @poillix2 жыл бұрын

    진주받물관 담당자분 들 고맙습니다.. 올려 주시는 영상들 너무나 관십있고 흥미롭고 감사하게 자~~~~ㄹ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본 영상을 보면서 제안 하고 싶은 것이 있어 글 올립니다. 본영상 1분31초 부터 35초 사이에 나오는 노꾼들의 영상을 보니 실제상황과는 전혀 맞지 않아 보입니다. 노꾼들이 서있는 방향, 리듬 등 ... 노꾼이 서있는 방향을 보면 서양식 노를 저을때 서있는 방향이거던요... 그리고 박자도 너무 빠르고... 제가 듣기로는 판옥선에 승선 하는 인원이 120~150명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중 약 80여명이 노꾼이라고 들었습니다... 승선인원의 70~80% 를 차지하는 노꾼에 대한 이야기는 찾을 수가 없더군요... 그래서 우리 판옥선 및 거북선의 노 젖는 방법, 노의 구조, 노꾼의 쌂, 노꾼의 운용 시스템 등등 을 별도의 테마로 한번 만들어 보면 어떨까하여 제안 드립니다.. 우리 노의 노꾼은 배의 측면에서 바깥 쪽을 보고 서있어야하며 밀때 당길때 양쪽 모두 추진력을 얻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서양식 노젖는 방식으로 알고 있더라구요...

  • @hawk8873
    @hawk88732 жыл бұрын

    무쟈게 멋지네요. 여기선 주로 화약 무기류를 다루었기 때문에 근접전 상황은 넣지 않은듯 하지만 거리가 가깝다고 해도 기본적으로 화약 병기나 활을 가지고 쏘는 중거리 전투에 해당되고 실제 기록에선 질려통이나 사과구, 겸병낫, 거철, 장창등을 사용하여 생각보다 꽤 많은 빈도로 접선 육박전 형태로도 싸운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접선 육박전때도 일본 수군의 장기인 등선 육박전 boarding tactics를 배제하기 위해 일정거리를 두고 적선을 고착시켜서 각종 화포류를 퍼부어 싹 쓸어버리는 전술도 많이 썼기 때문에 적선을 끌어 당기는 사과구와 적선을 밀어 버리는 거철이 공히 중요하게 쓰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날이 갈수록 고증과 퀄리티가 뛰어나서 정말 벅찬 감동을 느낍니다. 건승하십시요.

  • @jameskim6889
    @jameskim68892 жыл бұрын

    이 무슨 퀄리티고... 와.... 감탄만 나옵니다... 영화 한편 보는줄...

  • @OLSEADS
    @OLSEADS2 жыл бұрын

    13:20 화력조선 특별전! 진주 꼭 가겠습니다 시즌1때 이벤트로 나왔던 비격진천뢰 초콜릿도 같이 판매하시면 더 좋을텐데 😆

  • @hyunwoolee533
    @hyunwoolee5332 жыл бұрын

    이 퀄리티로 제발 임진왜란 총 정리 한 번만 해주세요~ 돈 내고 볼게요ㅠㅠㅠ

  • @user-wy7zj4ib4p
    @user-wy7zj4ib4p2 жыл бұрын

    와 조선수군 모습 뭔데 이렇게 간지나지. 영상미가 미쳤습니다

  • @cjfdlskfkche5162
    @cjfdlskfkche51622 жыл бұрын

    믿고보는 진주박물관 영상.퀄리티 뭐냐.^^

  • @hainessen
    @hainessen2 жыл бұрын

    오늘 집사람이랑 같이 진주박물관 갔다 왔습니다. 화력조선 특별전 가서 유튜브 본거 신나게 설명해주고 왔네요ㅎㅎ

  • @user-oi5wu3og3h
    @user-oi5wu3og3h2 жыл бұрын

    갑옷 고증 미쳤다 ㅠㅠ 넘 맘에 들어요...

  • @luctant.a8841
    @luctant.a8841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보니 이순신이 진짜 미친 장수였누... 어캐 이기고 다닌거야...

  • @noelnoah_

    @noelnoah_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신은로 추앙 받는듯

  • @user-ei5li2yb4g

    @user-ei5li2yb4g

    Жыл бұрын

    그냥 이긴것도 아니고 전사자 수도 어이없게 거의 없음 일본군 입장에선 핵쟁이 수준으로 보였을 듯

  • @vanguard1051
    @vanguard10512 жыл бұрын

    후반부 해전 위주의 회차별로 수십억원씩 처발랐다는 유사(이비)사극 뷁X의X순신 같은 것보다 더 실감나는 전투씬... 충격...

  • @llenn8632
    @llenn86322 жыл бұрын

    이거 뭐 거의 넷플릭스 수준인데요?대단합니다 진짜

  • @sinchong8
    @sinchong82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은 진짜 위대하다. 이런 영상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 @chaelinlee9388
    @chaelinlee93882 жыл бұрын

    전통밀덕맛집ㅋㅋㅋㅋ 아 너무 두근두근해요 진주박물관 특별전 꼭 가야지

  • @user-qg7vk1pd7d
    @user-qg7vk1pd7d2 жыл бұрын

    오. 정말 잘 만든 다큐멘터리 한편을 봅니다. 새로운 사실도 알아가고 정말 재미있네요. 특히 고증에 충실한 영상도 정말 좋습니다. 물수자 들어간 포졸복입은 수군 보기 정말 싫었는데...

  • @user-vt3df9vm9d
    @user-vt3df9vm9d2 жыл бұрын

    ㅋㅋ 대포 난사로 원거리에서 박살을 냈다 해도 갓순신의 기록이 믿기질 않는데, 인파이터로 들어가서 맞짱뜨는게 기본교리였다면 대체 뭐 어떻게 이긴거야 ㅋㅋㅋ 상상이 안되누

  • @JGHan-eu6rr

    @JGHan-eu6rr

    Жыл бұрын

    근거리가 된다고 해도 조선전선하고 일본전선하고 높이차이가 있어서 야전이 아닌 공성전이 됨. 조선이 농성전은 꽤 했죠

  • @delmont2793

    @delmont2793

    Жыл бұрын

    @@JGHan-eu6rr 사실상 한반도 국가들이 산악지형을 이용한 산성 농성전으로 수천년을 버텨왔으니 ㅋㅋ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2 жыл бұрын

    소승자총통을 글이 아닌 실물로 제대로 본 건 처음이어서 충격 받았네요 적은 물자와 인력풀에서도 그만한 물건을 만들어냈다니 정말 놀랍습니다 여기서 총통의 역사가 끝난다니 아쉬우면서도 많은 이들이 알았으면 하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dz2ro8mf8c

    @user-dz2ro8mf8c

    2 жыл бұрын

    조총이랑 상관없이 개발됐는데 조총이랑 비슷하게 생겨서 놀랐네요 ㄷㄷ

  • @user-pc9sx7ms6b

    @user-pc9sx7ms6b

    2 жыл бұрын

    @@user-dz2ro8mf8c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궐장노 같은 전통 쇠뇌나 불랑기 같은 조준식 화포에서 착안해서 소승자총통을 만들지 않았나 합니다

  • @user-si1rh1pj8c

    @user-si1rh1pj8c

    2 жыл бұрын

    총통이 끝이라고 말하지만, 실상은 소형총통만 끝난거지, 중대형총통은 조선말까지 개발 개량됐죠. 굳이 총통이라고 실상은 대포죠.

  • @user-zj5mr8pk8n
    @user-zj5mr8pk8n2 жыл бұрын

    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총통으로 실제 사용하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웠는데, 영상을 통해 그 모습을 보니 이해도 잘 됩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도 고증을 잘 하여 조선이 절대 약한 나라가 아니었음을 모두가 알게 되면 좋겠습니다.

  •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

    2 жыл бұрын

    이게 약간 피해의식도 아니고 우리는 약하고 상대는 강하게 묘사해서 마치 힘쌘놈들이 약한 우리들을 유린한것처럼 묘사하고 이순신 권율 같은 맹장 들이 홀로 뛰어난 능력으로 적들을 박살냈다는듯이 일종의 영웅만들기 형식으로 만들고 당시 조선은 약소국이다 라는 인식을 박아넣는데. 실제 기록 보면 임진왜란 과 유럽의 산업혁명 전 까지만 해도 조선군은 해군력과 지상 화포 수준등 통합 전투력은 동북아시아 최강이였음.

  • @abell1689

    @abell1689

    2 жыл бұрын

    통합전투력이 동북아 최강인데 왜 임진왜란 병자호란 양란 동안 개처맞듯 두들겨 맞음? 지나친 국뽕은 안하니만 못함

  • @rlagnsxo

    @rlagnsxo

    Жыл бұрын

    @@abell1689 조선은 나름 지역강국 취급은 받았음. 애초에 일본이 임진왜란에 동원한 병력만 20만으로 명나라도 쉽게 동원하기 힘든 대군이었고, 병자호란 때는 주력군이었던 동북군의 소멸과 지도의 유출이 큰 타격을 줬음. 그래도 사르후 전투에서 꽤나 타격을 줬고.

  • @user-xz5lp4ej1i

    @user-xz5lp4ej1i

    Жыл бұрын

    @@abell1689 기술력이 약한게 아니지 전쟁에 준비하지 않아서 약한거였습니다..

  • @Noble.6

    @Noble.6

    Жыл бұрын

    @@abell1689 자원이 후달리니까.. 총을 쓰자니.. 화약도 수입해야 하고, 구리도 수입해야 하고, 활을 쓰자니.. 물소 뿔과 물소 힘줄도 수입해야 하고.. 전쟁 터지는 순간 바닷길을 통한 물자 유통이 막히기 때문에..

  • @user-hz9us7ko5f
    @user-hz9us7ko5f2 жыл бұрын

    저는 이분들이 만든다큐가 라이언일병을 첨 보았을때만큼이나 매번 큰감동을 받습니다 빨리 영화화해주세요~~~!!

  •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

    2 жыл бұрын

    영화화 보다는 각종 고증을 통해 각 전투를 재현하는게 좋을거 같네요. 그렇다면 명량해전때 진짜 어떻게 싸운건지 풀리겠네요...

  • @letb9898
    @letb98982 жыл бұрын

    특별전 감상을 딱히 적을곳이 없어 여기에 글남깁니다! 화력조선 특별전 관람했습니다 유튭에서만 보던 걸 실제 유물로 확인하니 유물하나하나의 스토리가 마구마구 떠오릅니다. 이전의 박물관 전시를 볼때와는 정말 다른 느낌입니다.오프라인 전시와 온라인 영상의 조합이 만들어낸 새로운 감동이었습니다. 주제영상이나 곳곳의 영상들도 이전과 다른 스타일에 너무 좋았습니다박물관의 새로운 변신을 꿈꾸는기획자분께 진심 감사드립니다.

  • @user-hi9ut6wb6i

    @user-hi9ut6wb6i

    6 ай бұрын

    근데 조선이 포차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은 건 실점이죠 당나라 때만 해도 수군은 포차를 각 함대에 설치해서 기름 항아리를 쏘아 날린 뒤 불 화살과 불덩이를 날려서 적 함선을 무더기로 불바다로 만드는 게 책략 조선 수군도 포차를 이용해서 기름 항아리를 날리고 불덩이와 불화살로 적들을 불살라 버리면 좀 더 수월한 전투를 함 그리고 바람 마저도 아군에게 유리하게 불면 화공은 더없이 좋은 무기입니다

  • @user-od8ip6gv4k
    @user-od8ip6gv4k2 жыл бұрын

    영상을 어찌 제작하셨는지, 1인칭 시점으로 전장에 참여하는거 같은 느낌이 듭니다. 드라마, 영화보다 더 실감나고 퀄리티가 높습니다. 예전부터 구독중이지만 새로운 영상이 업로드 되길 기다리는 애청자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계속 부탁드립니다.

  • @user-nw8ne9sn2z

    @user-nw8ne9sn2z

    2 жыл бұрын

    ⁵7ㅕ . ㅍㅌㄴ

  • @user-vc5zy2rs4j

    @user-vc5zy2rs4j

    2 жыл бұрын

    @@cosmos5959 건들건들 채널에 이런 퀄리티 영상 많은데 수천억 들었겠네요?ㅎㅎ 빡대가리신가요

  • @user-vc5zy2rs4j

    @user-vc5zy2rs4j

    2 жыл бұрын

    @@cosmos5959 세금타령 하시는분중에 정확히 얼마가 어떻게 쓰였는지 알아보고 말하시는분을 본적이 없는거 같네요

  • @grecore81

    @grecore81

    Жыл бұрын

    @@cosmos5959 이런 고퀄에는 세금 수억씩 들여도 안 아깝습니다.

  • @Luke63721

    @Luke63721

    Жыл бұрын

    @@cosmos5959 건들건들팀 유튜버임 그냥 평범한 영상도 이정도 퀄리티 나옴

  • @YogiMaemi
    @YogiMaemi2 жыл бұрын

    와 미친 거북선 함대를 영상으로 보게 되다니 감동의 눈물이ㅜㅜ

  • @marinejung2657
    @marinejung26573 ай бұрын

    왜병들이 행여나 추위에 떨까봐... 왜선에 불을 질러 땃땃하게 해주신 우리 이순신제독님 하해와 같은 넓으신 아량

  • @user-kh4gb1fc2c
    @user-kh4gb1fc2c2 жыл бұрын

    말 그대로 승자총통이 오늘날의 근접전의 샷건이라면 소승자총통은 오늘날의 저격총~소총 정도의 개념이었다고 볼 수 있겠네요.

  • @user-kf1ov1ms9t

    @user-kf1ov1ms9t

    2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요. 승자총통의 장전과 사격이 좀더 쉽고 빨랐다면 근접전의 제왕이 었던 트렌치클리너 삿건의 조상뻘이 됐겠군요.

  • @urang-urang
    @urang-urang2 жыл бұрын

    아놔 이거... 유튜브에서만 보기 아까운 퀄리티인데요!

  • @rokpark5967
    @rokpark59672 жыл бұрын

    한편의 짧은 다큐멘터리를 본 느낌입니다.. 영상의 퀄리티에 매번 놀라네요

  • @user-mg5ih1yc5z
    @user-mg5ih1yc5z2 жыл бұрын

    와 수군은 진짜 올라올줄 몰랐어요 감사합니다

  • @brianjung4649
    @brianjung46492 жыл бұрын

    가성비 살리면서 스펙타클 하네요.

  • @keepspeed
    @keepspeed2 жыл бұрын

    대단한 연출력이다. 흐름이 매끄롭고, 분위기에 긴장감을 유지 하는 점은 놀랍다.

  • @parksummer6159
    @parksummer61592 жыл бұрын

    이번 씨리즈들? 영화보다 잘만들었습니다. 타임마신타고 간 기분입니다. 감탄하고 갑니다. 화이팅!ㅋㅋ

  • @aoki8859
    @aoki88592 жыл бұрын

    진짜 엄청난 고증이다 ㅠㅠ

  • @user-wu7ke1gq7i
    @user-wu7ke1gq7i2 жыл бұрын

    영화를 이렇게 만들면 이천만 찍는다 ㅎㄷㄷ

  •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2 жыл бұрын

    K-영화 특유의 신파 다 빼고 다큐멘터리 식으로 만들면 아마 철지난 오리엔탈리즘에 지친 서양권의 역덕후들에게도 어필할수 있을겁니다. 시장이 훨씬 커지는거죠

  • @user-wx5id3zu8w

    @user-wx5id3zu8w

    2 жыл бұрын

    나라에서는 뭐하시나. 이분들 지원해서 영화 한편 만들어라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대박을 칠테고 이순신장군님도 널리 알려진다

  • @a.marcus7970
    @a.marcus79702 жыл бұрын

    정확한 역사 그리고 최고의 퀄리티…가슴이 웅장해진다…

  • @Fat_Badger
    @Fat_Badger2 жыл бұрын

    와. 공중파 넘는 완성도.

  • @user-jq3yy2wt5q
    @user-jq3yy2wt5q2 жыл бұрын

    역사기록으로도 레전드인데 영상보니까 개레전드네ㅋㅋ 총에 맞아도 그냥 싸우는..ㄷㄷ

  • @zzang-mathis
    @zzang-mathis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임용한 박사님께서 조선 수군의 전투가 아마 이런 식으로 진행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만 할 수 있고, 움직이는 배에서 움직이는 배를 화표로 조준 사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씀하셨다가 댓글에 난리가 난 적 있었죠.

  • @moai4793
    @moai47932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 무슨 일이에요 제작자님,,,,

  • @BATMASK
    @BATMASK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봐왔던 그 어떤 영화, 드라마보다도 멋진 영상같아요 ㅋㅋ

  • @user-in4xb5fo9f
    @user-in4xb5fo9f2 жыл бұрын

    왠만한 다큐나 드라마보다 고증은 정말 최고네요..감사합니다..

  • @Sam-qz4kc
    @Sam-qz4kc2 жыл бұрын

    와 어지간한 사극보다 퀄리티가 높네요 ㄷㄷ 고증은 사극보다 더 뛰어난듯

  • @renewasanceman
    @renewasanceman2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 대박이다 충격적인 콸러티네

  • @user-po3ed4ky1i
    @user-po3ed4ky1i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처절하게 싸워서 승리하신 거였다니 다시 한번 장군 님의 위대함을 실감합니다.

  • @user-sr7es2ds2s
    @user-sr7es2ds2s2 жыл бұрын

    명량 다시 찍어주세요

  • @user-vq9mn5ft5j
    @user-vq9mn5ft5j2 жыл бұрын

    오닛?!!!조선수군이 가까이서 근접으로 싸웠다니!!!신기방기하군요

  • @1-2ggt

    @1-2ggt

    2 жыл бұрын

    조선수군이 일제 방포를할때는 왜군에게 갈고리로 걸리느냐 마느냐 하는 수준에서 쐈다고 하더라구요

  • @user-eb6uc3mo7v

    @user-eb6uc3mo7v

    2 жыл бұрын

    @@1-2ggt 갈고리 걸려서 도선 허용됐으면 조선 수군이 박살났겠죠? ㅠㅠ

  • @1-2ggt

    @1-2ggt

    2 жыл бұрын

    @@user-eb6uc3mo7v 잘 모르겠지만 당시 왜군은 베테랑중에 베테랑들이었으니 많이 힘들지않았을까요? 당시 왜군검법에 많이 당해서 후에 항왜들이 알려주기도 했다고 하더라고요

  •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1-2ggt 단접병전? 단병접전 ? 그거인가요

  • @ehrksl

    @ehrksl

    2 жыл бұрын

    @@sonhuengmin1 예 단병접전에 있어선 거의 세계 최강 중국도 7대1로 싸워야 왜군 하나를 상대해야 해서 원앙진 같은걸 만들어내죠

  •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2 жыл бұрын

    그니까 원거리 포격전이 아닌 근거리 포격전인데... 그렇게 싸웠는데 23전23승이라... 하긴 단순히 원거리 포격전 만으로 승리했다면 외적 입장에서는 해볼만 할수도? 이런 생각이 들수있지만 자신들의 우위점인 근거리 공격에서 개박살이 났으니... 그 공포는... 이루 말할수가없겠지... 더군다나 거북선은... 이건뭐 암만 죽기살기로 조총을 쏴재껴도 안통해... 우위인 백병전은 지붕때문에 시도해봤자 죽기밖에 더해 지옥... 그자체...

  • @---zg7ez

    @---zg7ez

    2 жыл бұрын

    @w hw 애초에 일본군이 화친중이라 안싸운다고 런한건데 그것도 패전으로 치면 이순신 억까인데ㅋㅋ

  • @user-qd9fq5wz6s
    @user-qd9fq5wz6s2 жыл бұрын

    캬~ 추코누에 지자,승자총통, 대장군전... 사극에는 안나왔지만 쏠건 여기 다 나왔네요 ㄷㄷ

  • @user-si8qk2hn1x
    @user-si8qk2hn1x2 жыл бұрын

    언젠가 조선군이 조총이나 총통으로 활약하는 영화가 나오면 좋겠네요

  • @jhyoo19936

    @jhyoo19936

    5 ай бұрын

    노량 영화에서 나올 줄 알았건만...

  • @midashsy1004
    @midashsy1004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니 이순신 장군님이 더욱 대단해 보입니다. 판옥선이 조총을 상대함에 있어 유리함이 있었다곤 하지만 결국 근접 전투를 하게 되면 사상자가 필히 발생 할 수 밖에 없는데 기존의 전투와 목적이 달랐던 노량을 제외하면 아군의 사상자가 정말 적었던걸 생각하면 괜히 성웅이라 불리는 것이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2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최대의 미스터리 군율에 의해 처형한 병졸이 전사자보다 많았음 원균은 괜히 능력도 안되면서 이순신 경질시키고선 자기도 똑같이 할수 있을줄 줄 알았는데 마음대로 안되니까 낙담해서 술만 퍼마시다 권율한테 불려가서 곤장맞고 화김에 출진해서 조선수군을 전멸시키기까지...

  •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999masijjyeong 홧김보다는 자신도 선조와 조정에 의해 등 떠밀려서 대규모 전면전으로 칠천량에 출정한거 아닌가요?

  • @zzang-mathis

    @zzang-mathis

    2 жыл бұрын

    @@sonhuengmin1 선조와 권율이 말한 것은 죽이 되든 밥이 되든 때려 받으면서 싸우라가 아니라 부산에 출정해서 위세를 보여주어서 병력을 잡아두고 육군이 주요 지점을 장악할 수 있도록 수군이 역할을 해주라는 것입니다.

  • @zzang-mathis

    @zzang-mathis

    2 жыл бұрын

    @@sonhuengmin1 부연하자면 이순신은 거꾸로 육군이 먼저 움직여서 부산 본진의 일본군을 흔들면 그때서야 수군이 출전하겠다는 입장이었던 것이죠 둘 다 일리가 있는 생각이라 누가 맞다 틀렸다 할 수 있는 내용은 아닙니다.

  •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zzang-mathis 감사해요

  • @gonyya
    @gonyya2 жыл бұрын

    몰랐던 이야기가 넘 많았네요.

  • @user-zo5er1kp4c
    @user-zo5er1kp4c2 жыл бұрын

    저 때 씨를 말려버렸어야 되는데..

  • @fivevirtue
    @fivevirtue3 ай бұрын

    이거 말도 안 되네!! 불멸의 이순신보다 더 재미있네요? 수군의 실제 전투가 궁금했는데 이런 거였군요!!!

  • @junnypark6890
    @junnypark68902 жыл бұрын

    이런 자료가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교육자료로 활용할만 해요

  • @han3862
    @han38622 жыл бұрын

    이야 여긴 세금을 아주 알차게 쓰는구만

  • @co-musician640
    @co-musician6402 жыл бұрын

    명량, 불멸 보다 더 고퀄, 리얼 실화? 눙무리 광광 ㅠㅠㅠㅠㅠㅠㅠ

  • @kdyu178
    @kdyu1782 жыл бұрын

    저도 이거 궁금 했었는데… 여수 남해 놀러갔을 때 유람선 타는데, 선장님이 오늘은 날씨가 간만에 너무 좋고 파도도 잔잔하다고 했는데도 여전히 배는 위아래로 출렁임. 이런데도 어떻게 판옥선에서 포를 쏜걸까 궁금했음. 조금만 움직여도 탄착점이 개판이 될텐데..

  •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곡사포였던 화포를 초 근접거리 직사포 사격으로 전환해서 조준사격을 했으니..... 그러니 그 출렁이는 파도에도 초탄 명중률을 높여 상대적으로 수가 많았던 일본 전함들을 반파 시킨거죠

  • @user-pc9sx7ms6b

    @user-pc9sx7ms6b

    2 жыл бұрын

    16세기 이후로 조선군은 중국에서 산탄을 쏘는 기술을 받아들였죠 산탄으로 지근거리 사격을 해야 잘 맞추면서도 치명타를 입히니까요 15세기 총통은 아직 세전을 쏘는 수준이지만요

  • @keirin3266
    @keirin32662 жыл бұрын

    대항해시대 범선들의 함포전 또한.. 근접거리에서의 포격이었는데... 같은 시대에 동아시아의 함포전이라고 해서 포격에 배가 폭발하거나 할 리가 없는게 당연한데.... 그리고 오히려 대부분의 액션 영화, 드라마 보다 이 영상의 리얼한 전투장면이 더 긴박하고 다이나믹한 액션으로 보이는데... 우리 조선 수군이 밖에서 퉁퉁 포만 쐈을거라는 오해는 어디서 시작된걸까요... ㅠㅠ

  • @user-kd7fu7qI5z

    @user-kd7fu7qI5z

    2 жыл бұрын

    전열보병의 전투방식을 비웃던 예전 고정관념의 연장입니다.

  • @user-uj1hy9xc2u

    @user-uj1hy9xc2u

    2 жыл бұрын

    대항해시대 범선들도 결국 근거리 포격전일 수밖에 없는게 당시 동서양 모두 화포에는 조준선 안정기 혹은 조준기 같은게 없던 시절이고 재장전 시간도 있으니 초탄 명중율이 중요하고 그결과 전투 양상이 근거리포격전이 된것이죠

  • @user-bk5bf3qt6w

    @user-bk5bf3qt6w

    2 жыл бұрын

    일단 많은 다큐멘터리들이 한몫했죠 우리나라 활사거리도길고 포사거리가길어서 해전이 유리했다라는 식으로 얘기를 많이함

  •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user-uj1hy9xc2u 넬슨 제독 시절까지 그랬던건가유?

  • @user-ei8vr8yn5n
    @user-ei8vr8yn5n2 жыл бұрын

    대단합니다 피로쓴 역사 네요

  • @jky393246
    @jky3932462 жыл бұрын

    와 부인노까지 나오네요. 역시 고증탑!!!

  • @user-fw2jr8ir3k
    @user-fw2jr8ir3k2 жыл бұрын

    갑옷고증만 봐도 영상퀄리티 오진다 진짜...

  • @dslee5069
    @dslee50692 жыл бұрын

    소승자총통은 몰랐네요 잘 봤습니다~~

  • @user-et4mf7wo1s
    @user-et4mf7wo1s2 жыл бұрын

    왜군입장에서는 해전에서 난데없는 공성전을 해야 했을거니 힘들었겠죠

  • @jangbyeoungil
    @jangbyeoungil2 жыл бұрын

    왠만한 다큐보다 잘 만들었네요.

  • @user-vr6mh1zf2z
    @user-vr6mh1zf2z2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런 고퀄러티 애니를....대박... 몰입감과 이해 대박

  • @user-ze4qj4mx9k
    @user-ze4qj4mx9k2 жыл бұрын

    고증 잘살려서 제작한 영상인듯 잘 보았습니다.. 만고에 길이남을 그이름 충무공이순신 ㅠㅡㅠ

  • @makpa4976
    @makpa49762 жыл бұрын

    05:31 진주박물관은 진짜 화력에 진심이다.이런 전시회를 이미 4년전에 기획했다는게 놀랍네요. 진작 알았더라면 갔을텐데ㅠㅠ

  • @masteropo2779

    @masteropo2779

    2 жыл бұрын

    뭐야!! 그 대장군전이 한국에 전시됐었다고????

  • @user-is7wn7xx7s
    @user-is7wn7xx7s2 жыл бұрын

    고향이 여수 입니다. 눈물이 납니다.

  • @Yeoleoboon
    @Yeoleoboon2 жыл бұрын

    판옥선 크기 고증도 너무 좋음 ㅋㅋ

  • @LordChablis
    @LordChablis2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우리나라도 그 시대의 싸움법대로 싸우는 영상을 볼 수 있게 되었네요. 사극에도 적용되어 다른 나라 사극 부러워하지만은 않아도 되었으면..

  • @Theslaveoflogic

    @Theslaveoflogic

    2 жыл бұрын

    사실 다른나라 사극도 고증이 엉망인 게 많더라고요.

  • @minchan5516
    @minchan55162 жыл бұрын

    아 원거리가 아니구나

  • @sms1012
    @sms10122 жыл бұрын

    총통류는 계속발전 했습니다. 천지현황 총통류는 3세대 까지 개량되고요 소형화기인 승자총통류는 조총에 밀려나긴 했지만 승자총통류의 장점 조란환류의 산탄을 쏠수 있다는것 덕분에 (쏘고난뒤에 둔기류로 사용도 가능) 지금의 rpg 같은 화력보조 용도로 사용했습니다 (조선후기 의 수포)

  •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조란 새알 그 의미인가유?

  • @sms1012

    @sms1012

    2 жыл бұрын

    @@sonhuengmin1 냉 새알같아서 그런이름이 붙었고 서양은 포도탄이 포도알 같다해서 그렇게 이름 붙었슴다. 사람 생각하는게 비슷하죠? 동서양을 떠나서요ㅋ

  • @sonhuengmin1

    @sonhuengmin1

    2 жыл бұрын

    @@sms1012 와 답글 감사드립니다

  • @firmtree3902
    @firmtree39022 жыл бұрын

    생생한 리얼함과 고증 너무 좋습니다.

  • @firevird
    @firevird2 жыл бұрын

    아니 다큐로 다시만듭시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