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SUB】병자호란, 광교산 전투 : 청나라 정예군 vs. 전라도 근왕군 The Battle of Gwanggyosan Mountain

《병자호란 특별전》
ㅇ기간: 2022.12.13.(화)~2023.03.26.(일)
ㅇ장소: 국립진주박물관 특별전시실
ㅇ대표 전시품: 광해군일기, 위정철의 퉁소, 남한일기, 호렵도, 홍이포 등 병자호란 관련 문화재 100건 252점
ㅇ더 알아보기 ☞ jinju.museum.go.kr/kor/html/s...
“전라병사 김준룡이 광교산에 도착하여 접전을 벌이고 있으며, 기회를 보아 현릉으로 전진할 계획이라는 내용으로 장계를 올렸다.”
- 승정원일기 1637년 1월 5일의 기록 중 발췌
이 한 줄의 기록은 당시 남한산성에 갇혀 있던 조선 조정에게는 희망으로 다가왔습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이 소식을 들은 남한산성의 민심이 안정됐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입니다.
일방적인 패배로 기억되는 병자호란이지만 두 군데에선 조선군이 승전했습니다.
광교산 전투는 둘 뿐인 승전 기록 중 하나이며, 병자호란 기간 중 가장 직위가 높은 인물이 전사한 전투이기도 합니다. 바로 슈무루 양구리(舒穆禄 揚古利)의 전사입니다.
누르하치가 사망할 때 다섯 개국공신 중 하나로 꼽은 인물이며, 사르후 전투 때 두송과 마림군을 격파한 장수라면, 그가 어느 정도 지위를 가졌는지 유추할 수 있을 겁니다.
일방적인 패배의 기록 속에서 빛나게 타올랐던 조선군 조총병들의 활약상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Пікірлер: 1 100

  • @ycsong3614
    @ycsong3614 Жыл бұрын

    국립진주박물관 세금은 이렇게 쓰는 것이다를 잘 증명해주고 계십니다

  • @user-ub5mu7lt5z

    @user-ub5mu7lt5z

    Жыл бұрын

    기승전또금

  • @jsluke12

    @jsluke12

    Жыл бұрын

    좆소 다녀서 세금은커녕 나라의 혜택을 아주 크게 받으실 것 같은데

  • @user-ny5ey9fe6v

    @user-ny5ey9fe6v

    11 ай бұрын

    친일 똥 정부가 이런 콘텐츠 싫어 합니다… 이런걸 신경써야하는 현실이 아쉽고 투표 잘해야…

  • @Bjhakikjin

    @Bjhakikjin

    10 ай бұрын

    여긴 해외여행99회 안갓나보네

  • @user-kt4jz2pw6z

    @user-kt4jz2pw6z

    9 ай бұрын

    진짜 뭐만 하면 세금 타령 그냥 해외로 나가서 살아라

  • @sixxfire1355
    @sixxfire1355 Жыл бұрын

    진짜 일잘한다 잘해....진주박물관 응원합니다. 디테일함과 가려진 역사를 소개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진주 박물관 여러분들 최고십니다.

  • @keepyou3139

    @keepyou3139

    Жыл бұрын

    국방 tv 재밌지만 .. 진주 박물관이 있어서 좋습니다 . 승전 / 패전을 했던 역사를 새롭게 알아보니까 더욱 분발해서 영화 제작에 힘써 주십시오 ~ !

  • @user-tp3mk8io6m

    @user-tp3mk8io6m

    Жыл бұрын

    진주는 임진왜란3대첩의 김시민 장군님이 계셨던 곳! 진주성에서만이 아니라 지금도 대한민국을 위한 분이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런 애국자분들은 후손들을 진심으로 사랑하십니다

  • @kjs0818
    @kjs0818 Жыл бұрын

    멀리 전라도에서 수원까지 장시간 와서 체력도 힘들었을텐데. 김준룡장군과 휘하 전라도사병사들께. 감사 드립니다. 광교산 등산도 많이 다닌곳 김준룡장군 위령비 바위도 있습니다. 자주국방 뿐입니다

  • @mna833

    @mna833

    Жыл бұрын

    뭘감사하다는거?ㅋㅋ 헬조선을위해싸워서?

  • @matsal437

    @matsal437

    Жыл бұрын

    @@mna833 느그 조상 살려줘서 고마워 해야지 ㅋㅋㅋㅋㅋㅋㅋㅋ

  • @mna833

    @mna833

    Жыл бұрын

    @@matsal437 뭔소리야 ㅋㅋ 살려준거는 인조원산폭격시키면서 봐준 홍타이지자나 ㅋㅋ 전라도애들은 싸우다 아템떨어져서 도망간거밖에없자나ㅋㅋ 역알못이네

  • @user-ht4mh7hp7i

    @user-ht4mh7hp7i

    Жыл бұрын

    뷱한 눈치보는 짓은 그만 하고 제대로 된 자주국방 합시다

  • @applerider4205

    @applerider4205

    Жыл бұрын

    @@mna833 후진국일본난쟁이 그거나먹고사는 중공화교조선족님 반가워요 ^^

  • @user-yf6tj7ie8c
    @user-yf6tj7ie8c Жыл бұрын

    정말 자랑스런 조상님이십니다. 흔하지 않은 원주김씨가 자랑스럽습니다. 현재 묘는 시흥시 군자에 계십니다^^ 광교산 암벽에 전승비가 새겨져 있습니다~

  • @klausfeuermann3825

    @klausfeuermann3825

    Жыл бұрын

    부럽습니다. 아울러 더욱 훌륭한 후예가 되시길.

  • @ckghgo2051
    @ckghgo2051 Жыл бұрын

    김준룡의 사례는 보급의 중요성을 잘 가르쳐주네요. 보급만 원활했다면 승리로 이어졌을지도 모르는 일인데 보급이 원활하지 못한 것이 아쉽네요. 괜히 나폴레옹이 병사들은 배불러야 진군한다는 말이 틀린 게 아닌 것 같습니다.

  • @user-sv1vp3vr4t

    @user-sv1vp3vr4t

    Жыл бұрын

    반대로 다른 근왕군에 비해 탄약이 많았다고하니 저만큼 싸운것도 보급덕분 ㄹㅇ

  • @user-si5id9hc9j

    @user-si5id9hc9j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보급만 원활했더라면 장군의 뛰어난 전투지휘력으로 또다른 승리를 할수있었을텐데 정말 아쉽네요,

  • @Poohon1

    @Poohon1

    Жыл бұрын

    최근 러시아 사례만 봐도 그렇고, 우리나라 군대도 보급이 제대로 정비 안되고 있는데다 병참 쪽은 차별까지 받는다는데 시시각각 변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뭔가 두렵기 까지 하네요.

  • @nordscum

    @nordscum

    5 ай бұрын

    본대는 왜 안 왔을까

  • @user-bf1rd3jj1o

    @user-bf1rd3jj1o

    4 ай бұрын

    ​@@nordscum 전라감사 이시방이 본대 끌고 병력 모으면서 북상중에 광교산 전투 치르고 수원으로 향하는 김준룡 소식을 들었는데 이긴 줄 모르고 단순히 수원으로 간다고만 알아들어서 패퇴했다고 생각함, 그래서 병력 집결시킨다는 핑계로 공주로 가서 금강 다리 무너트리고 대기해버림. 호란 후에 이시방은 위 이유로 유배 보내지는데 인조가 사면 시켜줘서 영의정까지 지냄. (김준룡도 왜 구출 안해줬냐고 대신들이 야랄해서 유배 보내졌다가 나중에 전라 지역 장계 받아보고 사태파악 끝나서 사면 됨. 영상 속에 김준룡이 자책했다는 내용이 이것에 대해 항변하지 않았다는 의미인듯)

  • @user-nc3cc1bj5u
    @user-nc3cc1bj5u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런 양질의 컨텐츠가 있었다니!!! 역사덕후는 오늘도 지립니다... 30분~1시간 짜리도 만들어주세요... 제발..

  • @user-se7sj3jc6i
    @user-se7sj3jc6i Жыл бұрын

    기억해야할 김준룡 장군과 광교산전투에 대해 자세히 다루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병자호란에 대해 더욱 알아가고 국방역사에 대해 배워가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 @user-ih7ll5hj7x
    @user-ih7ll5hj7x Жыл бұрын

    진짜 최고입니다. 시간순삭입니다. 고증과 실존느낌에 영화이상입니다. 진주박물관에 꼭 가보려해요.

  • @user-xi7nh9ni4p
    @user-xi7nh9ni4p10 ай бұрын

    훈련이 덜된 병사들의 능력을 가장 크게 올리는것은 역시 유능한 지휘관이다.. 멋지다

  • @user-ri2ms6sf1t
    @user-ri2ms6sf1t Жыл бұрын

    아무것도 못하고 진 줄로만 알았는데 이러한 역사가 숨어 있었군요. 국립진주박물관 덕분에 모르고 있던 역사를 알게 되었습니다. 박물관의 순기능 응원합니다.

  • @JDragoon624
    @JDragoon624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얼마 전에 진주국립박물관 가서 임진왜란부터 병자호란까지 많은 역사적 사료들을 잘 감상하고 왔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 @gameshgil5681

    @gameshgil5681

    Жыл бұрын

    저도 가보고 싶은데 늘 마음뿐이네요

  • @1003ringo
    @1003ringo Жыл бұрын

    절반 이상이 전멸하고 참패했던 나름 정예들로 모였던 사르후 전투와 비교하면 급조된 지방군으로 이루어진 광교산 전투는 꽤나 놀랍네요. 지휘관의 용병술이 조선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던 대표적 사례겠네요

  • @user-bo2cg5mw7y

    @user-bo2cg5mw7y

    Жыл бұрын

    양이 지휘하는 사자보다 사자가 지휘하는 양 어쩌고

  • @user-pf5ek9pf7f

    @user-pf5ek9pf7f

    Жыл бұрын

    사르후 전투는 너무 운이 없었죠

  • @user-zj7tv5wv5p

    @user-zj7tv5wv5p

    Жыл бұрын

    광교산 전투는 군사학 좀 알면은 패전입니다 승전이라고 우기는건 국뽕입니다 하루 싸우고 청군이 물러갔나? x 광교산 고지를 점령 유지했나? x 전라도놈들 다 쫄튀 빤스런 탈영해서 조선군은 무려 지역방면군이 와해가 되었는데 어떻게 이게 승전임 지휘관 한명 죽였다고 승전이라고 우김?? 근왕의 목적인 인조 근처에 가보지도 못하고 부대 자체가 사라졌는데?ㅋㅋㅋㅋ 승전임

  • @user-pc9sx7ms6b

    @user-pc9sx7ms6b

    Жыл бұрын

    일단 부차전투는 조선군이 평지에서 싸워서 기병의 충돌을 막을 수 없었음 조선군은 장병전이 세다보니 고지나 산성을 방어하는 데는 만주군 중국군보다 센데 평지에서는 백업이 잘 안 돼서 쉽게 무너짐 그걸 보강하려면 기병이 강해야 하는데 상대는 팔기라서 그게 잘 안 됐음 그래서 광해 때도 연병지남 같은 데서 전차진을 구상했지만 돈 때문에 기병도 복구 못 하는데... ㅜ 아무튼 호란 때 내내 수성 위주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긴 했음

  • @user-pf5ek9pf7f

    @user-pf5ek9pf7f

    Жыл бұрын

    @@user-zj7tv5wv5p 쌍령 전투도 결코 청나라 승리 아니죠. 그리고 님 논리면 명량해전도 패전이고 직산전투도 패전입니다

  • @kygo1781
    @kygo1781 Жыл бұрын

    정말 훌륭한 분석이고 좋은 내용입니다 전무후무한 이같은 연구와 영상 박물관과 국가에서 계속 지원하여 연구자님과 기관 모두 무궁히 발전하시길 바랍니다

  • @YOPY-mu7gh
    @YOPY-mu7gh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의 영상이 훌륭한 것이야 어제오늘 일이 아니니 당연한거지만, 이번 영상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이 있습니다. 김명훈 학예연구사님의 나레이션이 진일보 했다는 점입니다!! 박물관 건물을 넘어 전국의 국민들과 세계인들을 향해(영어 자막!) 유익한 영상을 만들어주시는 노고와 마음씀씀이에 감사드립니다. 진주박물관 가고 싶은데 진주는 넘모 멀어여 ㅠㅠ

  • @user-zc6fr4tl1b
    @user-zc6fr4tl1b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유튜브 영상 퀄너무좋고 재밌어요

  • @shp7486
    @shp7486 Жыл бұрын

    전국 박물관 중에 가장 훌륭한 박물관이 진주 박물관 인듯 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okayasama
    @okayasama Жыл бұрын

    수원 시민인데 자주 가는 산에서 이런 일이 일어났었는 지도 몰랐네요.

  • @tdghim
    @tdghim Жыл бұрын

    지인의 소개로 알게 되어 하루만에 정신을 놓고 다 봤습니다. 그저 놀라울 따름입니다. 이 정도의 고증과 이 정도의 퀄리티로 지상파에서 만든다면 과연 도대체 제작비가 얼마나 들어갈까를 생각해보면 놀라울 따름입니다. 게다가 지역의 박물관에서 만든 컨텐츠의 조회수가 이렇게 까지 나왔다니... 사기업같았으면 담당자는 성과급 엄청 받고 제작사는 바로 제작비 두 세배 증액받아도 아까울 것이 없을 듯합니다. 이런 기획을 통과시킨 윗분들도 대단하고, 이런 기획을 들이민 실무진들도 대단합니다.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라도 제작사에 충분한 제작비 지원해주시고 제작사도 더 높은 퀄리티를 목표로 해주시기를!!

  • @user-ig2bk3uj9c
    @user-ig2bk3uj9c Жыл бұрын

    김명훈 학예연구사님, 훌륭하십니다! 함께 작업하신 여러분들도 참으로 대단하십니다!

  • @rescuelee9558
    @rescuelee9558 Жыл бұрын

    이건 지방 박물관 수준이 아닙니다….계속 듣는 말 이겠지만~~!!! 훌륭하다는 말밖에 더 할 말이 엄네요!!!

  • @adoring0
    @adoring0 Жыл бұрын

    당시의 총병이라는 병과 자체가 숙련도가 낮더라도 무기 자체의 보장된 화력 덕분에 뛰어난 지휘관과 유리한 지형 충분한 탄약의 시너지가 맞물려서 밥값을 무섭게 하긴 했군요

  • @999masijjyeong

    @999masijjyeong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그리고 광교산 전투나 쌍령전투 외에 병자호란기 다른 전투들의 패전사례도 잘 복습해야 한다고 생각되는게, 아무리 전략적으로 조선군이 남한산성을 단기간에 구원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하더라도 근왕군들 진격로에 놓인 지형들을 감안하면 충분히 광교산 전투와 비슷하게 승리를 거둘 수 있었을 것이라고 보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순식간에 각개격파 당한 데에는 지휘관의 무능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또 다른 변수가 있었을 것이라고 보이네요

  • @user-sq4xb5wu4z

    @user-sq4xb5wu4z

    Жыл бұрын

    형이 왜 여기서 나와 토탈워 영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 @UncleJam2142

    @UncleJam2142

    Жыл бұрын

    형...? 진짜 형이네?...

  • @user-id4ll5il9p

    @user-id4ll5il9p

    4 ай бұрын

    아니 아도링 ㅋㅋㅋㅋ

  • @eunjujin2630
    @eunjujin2630 Жыл бұрын

    작년에 광교산에 갔다가 김준용 장군 묘지를 둘러보았지만, 자세한 전투상황을 알았으니 다음에 다시 가서 정식으로 참배해야겠다. 장군의 묘지는 등산로에서 멀지 않아 참배하는데 어려움은 없다.

  • @sun-sj4op
    @sun-sj4op Жыл бұрын

    최고다 진주 박물관

  • @user-cj1vf8rs7e
    @user-cj1vf8rs7e Жыл бұрын

    임금부터 대신까지 조정은 무능했지만 목슴을 돌보지않는 강골 참 군인들이 있어서 그나마 조선의 체면은 차렸네 전라도 근왕군 김준룡 장군

  • @Randy_Rhoads
    @Randy_Rhoads Жыл бұрын

    예전엔 병자호란의 경우는 거의 일부로 다루지 않을정도로 다뤄지지 않는 내용이었는데 요즘 많은 소개들이 있어서 좋네요.

  • @helorys4325
    @helorys4325 Жыл бұрын

    믿고보는 진주박물관~!

  • @gravity4164
    @gravity4164 Жыл бұрын

    중고등학교때 배운 근왕병의 남한산성 진격 작전은 그저 허망하게 끝난 작전인줄 알았는데 세부 내용을 보니 정말 치열한 교전이 있었네요. 역사의 오해를 바로잡아주는 아주 좋은 콘텐츠 입니다. 진주박물관 관계자 분들의 노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 @heavensky1
    @heavensky1 Жыл бұрын

    박물관에서 만드는 정말 고퀄의 유투브네요. 역사적 고증도 훨씬 상세하고요. 앞으로도 이런 좋은 영상 부탁합니다.

  • @user-gl7eh4xf1u
    @user-gl7eh4xf1u Жыл бұрын

    영상의 퀄리티나 컨텐츠가 정말 훌륭합니다...BBC인줄 알고 봤네요

  • @msw5098
    @msw5098 Жыл бұрын

    너무 좋다 이런 영상

  • @user-om1dv1dt2m
    @user-om1dv1dt2m Жыл бұрын

    이번편은 김명훈 연구사님 딕션이 열일하네요. 일취월장하네요!! 화이팅입니다. ❤❤

  • @receperdogan4548
    @receperdogan4548 Жыл бұрын

    22년 말.. 아들녀셕 진주 공군훈련소 수료할 때 진주에 머무르며 진주박물관 다녀왔습니다. 잘 가꾸어 놓아서 의미 있었고 뿌듯 했는데 이렇게 유튜브에서 큰 수고 하시는 것을 보니 최고입니다. 😊😊😊👍 댓글 남기고 구독과 좋아요로 애정표시 합니다~~❤❤❤

  • @gps3765

    @gps3765

    Жыл бұрын

    저도 진주로 입대했었는데 진주성 보고 교육사 들어갔습니다 ㅋㅋ

  • @user-nk2wl7ts3q
    @user-nk2wl7ts3q Жыл бұрын

    책에서 읽은 적 있는데 팔기가 기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도 산악전에서 잘 싸웠다고 합니다 그런 팔기 상대로 잘 싸운거라 큰 의미가 들어있는 전투가 아닌가 싶네요 👍😃

  • @user-pc9sx7ms6b

    @user-pc9sx7ms6b

    Жыл бұрын

    사실 조선 기병도 만주 기병도 구릉에서 잘 움직여요

  • @agm1144

    @agm1144

    Жыл бұрын

    청군의 팔기라고 해서 기병만 있는게 아닙니다. 중무장한 보병부대를 적극 활용했다고 들었습니다.

  • @rhduddls1

    @rhduddls1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만주족 사는 곳이 산지가 줠라게 많아서 산악기병임. ㅋㅋㅋ

  • @damchaguen9805
    @damchaguen9805 Жыл бұрын

    이거 뭔데 이렇게 미친 고퀄리티죠? 국립 맞나?? ㄷㄷ

  • @voyagetoyou
    @voyagetoyou Жыл бұрын

    와우 퀄리티가 엄청나네요 좋은 지식 얻고갑니다

  • @manatarms1396
    @manatarms1396 Жыл бұрын

    사르후전투 댓글에 광교산전투도 부탁드렸었는데 이렇게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최고입니다 진주박물관!

  • @chichiwoo3831
    @chichiwoo3831 Жыл бұрын

    국립중앙박물관인줄 알고 보다가 항상 놀라는 영상들 ㄷㄷㄷ 정말 유익하고 재밌게 봤습니다!! 꼭 가보고 싶네요~

  • @user-gl2wb1ro7o

    @user-gl2wb1ro7o

    7 ай бұрын

    국립중앙박물관은 샤넬 전시로 바쁘지요. 요즘은 무슨 전시를 기획 하나? 에르메스?

  • @user-ov4oz8pz7t
    @user-ov4oz8pz7t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동영상과정보 잘보고갑니다 국립진주박물관 운영자님 ^^ 🥰🥰🥰🥰🥰🥰🥰🥰🇰🇷

  • @user-fs9lq6fn2p
    @user-fs9lq6fn2p Жыл бұрын

    훌룡한 지휘관들이 잊혀지지 않게, 이런 양질의 영상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 @user-od7tr4sx3m
    @user-od7tr4sx3m Жыл бұрын

    제 세금은 이런 곳에 쓰라고 내는 것이라는 말 말고는 떠오르지 않는 훌륭한 컨텐츠입니다. 이런 컨텐츠를 계속 만들어 국민들이 사극으로 잘못 배운 지식을 가지고 조선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데, 제대로된 조선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더 늘었으면 좋겠습니다.

  • @user-dj8uv8um5l

    @user-dj8uv8um5l

    Жыл бұрын

    조선 의 계승자 =조선 🇰🇵 조일선명 朝日鮮明

  • @user-eo2th4dp6n
    @user-eo2th4dp6n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진주박물관!!!!!!!!!!!!!!!!!!!!!!!!!!!!!!!!!!!!!!!!!!

  • @Orange-kt3gy
    @Orange-kt3gy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과 영상 제작 정말 감사드립니다.~~~ 세금이 이렇게만 쓰인다면 아깝다는 생각은 들지 않네요

  • @royalty0930
    @royalty09309 ай бұрын

    솔직히 저는 국립 진주 박물관이 있는지도 몰랐는데... 이렇게 양질의 컨텐츠를 만들어주시니 진주 박물관도 알리고 역사도 알게 되고 일거양득입니다. 너무 감사드리고요 진주 연등축제 때 날 잡아서 한 번 방문해봐야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컨텐츠 부탁드려요!

  • @user-xd7cg2uh4f

    @user-xd7cg2uh4f

    4 ай бұрын

    유등축제

  • @Garsad
    @Garsad Жыл бұрын

    그 팔기를 상대로 승리한 김준룡 그는 신인가? 다다음주 진주 갈 예정인데 기대가 됩니다....

  • @hyunhobok1610
    @hyunhobok1610 Жыл бұрын

    진주국립박물관 대박입니다

  • @dsk3038
    @dsk3038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팀과 협업할때부터 봐왔지만.. 진짜 일 잘한다.. 세금이 아깝지않아..

  • @user-nx3fk8rn4s
    @user-nx3fk8rn4s Жыл бұрын

    이야 척후병을 통한 탐색으로 진을 유지했다니 무지막지하네요. 한겨울이라 추웠을텐데 ㄷㄷ

  • @makpa4976
    @makpa4976 Жыл бұрын

    역시나 믿음과 신뢰의 화력조선 콘텐츠!! 저도 이번 주말에는 너프건 들고 광교산 꼭 다녀오겠습니다.

  • @user-tn8dp7qn9h
    @user-tn8dp7qn9h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은 진짜 일 잘한다!! 재밌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jjshim1
    @jjshim1 Жыл бұрын

    정말 강한 국방력을 등한시하면 나라 개박살 나는 거 순식간이죠. 제발 국방에 더욱더 힘 쓰도록 모두 응원합시다.

  • @vincentkim2721
    @vincentkim27219 ай бұрын

    애니 메이션 끝내줍니다 영화를 보는듯 정말 잘 보았답니다 😅

  • @user-ud6rv8hk6f
    @user-ud6rv8hk6f Жыл бұрын

    영상미 최고 내용도 훌륭합니다

  • @user-zk6gw7tv7c
    @user-zk6gw7tv7c Жыл бұрын

    애증의 조선...ㅠㅠ 진주박물관 파이팅입니다!!

  • @user-ci2bp5de4y
    @user-ci2bp5de4y Жыл бұрын

    말하신 대로 광교산 전투는 청군과의 전투에서 조선군이 어떻게 싸워야 이길 수 있는지 방법을 보여준 좋은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야에서 싸운 전투는 다 청군에게 패했고 험준한 산악지형에서 진영을 만들고 유럽에서도 그렇게 하듯이 포수와 살수가 협력하며 싸우는게 이기는 방법이라는 거죠. 지형이 청군의 강점인 기병대의 기동력을 막아주고 포수가 사격하고 재장전을 할 때는 살수들이 막아주고 하는 식으로 협력하며 싸우는 거죠. 여기서도 나온 광교산과 김화 두 전투가 그렇게 해서 적군을 물리친 사례인 거죠.

  • @user-lr7lw3qc7z
    @user-lr7lw3qc7z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너무 너무 감사합니다. 소중히 아껴 보겠습니다..

  • @hyuncheolpark8757
    @hyuncheolpark8757 Жыл бұрын

    잘 시청했습니다 유익한 자료 감사합니다

  • @user-vf7hl6ur9w
    @user-vf7hl6ur9w6 ай бұрын

    역사와 충절과 예향의 도시 진주 진주박물관의 학예사님들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잊지 않아야 할 역사의 한 수레바퀴를 이토록 멋진 영상으로 보게 해주셔 감사드립니다. 성장기 대부분을 보낸 그리운진주, 박물관 너무너무 자랑스럽습니다. 역사를 되새기며 오늘을 생각합니다.

  • @jung-hoonhan4927
    @jung-hoonhan49279 ай бұрын

    김준룡장군같이 훌륭한 장수가 계셨다는 것에 가슴이 웅장해집니다!

  • @_choono5358
    @_choono5358 Жыл бұрын

    호란 당시 항상 비교되는 전투인 광교산전투와 쌍령전투인데..적에게 입힌 피해가 적지 않았는데 많이 회자되지 못한 광교산전투를 아주 잘 설명해 주셨네요..비록 남한산성까지 진격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백성들을 살리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였다고 판단됩니다..추운날씨에 팔기군과 맞서 싸우고 추위와 살기에 공포를 이겨낸 그들의 모습이 실로 대단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Utillity

    @Utillity

    10 ай бұрын

    실로 얼마나 두렵고 추웠으며 얼마나 힘들고 배고팠을지 정말 가늠이 안됩니다.. 비록 결과는 패전의 역사였지만 끝까지 구국을 위해 맞서 싸운 조상 분들과 군인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 @ghwnsha

    @ghwnsha

    9 ай бұрын

    쌍령전투는 무참하게 개박살난 전투인데 ㅋㅋㅋㅋ

  • @yang.yang__pig

    @yang.yang__pig

    9 ай бұрын

    ​@@ghwnsha그니깐 비교된다고요

  • @ghwnsha

    @ghwnsha

    9 ай бұрын

    @@yang.yang__pig 팔기군에 맞서 싸웠다는거 자체가 까이는건데 ㅋㅋ 일방적으로 학살당한건데 그게 뭘 맞선거임 ㅋㅋ

  • @yang.yang__pig

    @yang.yang__pig

    9 ай бұрын

    @@ghwnsha 아니 글을 이해 못하시는듯 잘싸운거에 비해 못싸워서 비교 한다는건데 글 이해 못하고 당당하네

  • @joggulee7177
    @joggulee7177 Жыл бұрын

    근래에 본 최고의 교양 영상이었습니다.

  • @willsmith9325
    @willsmith9325 Жыл бұрын

    귀한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국립진주박물관의 이런 컨셉설정(?)에 조선의 역덕후 밀덕후들은 그저 망극할 따름입니다 ㅎㅎㅎ 😭💞 저 시절 장교들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과제 중 하나가 휘하병력들의 화력통제입니다. 사격개시와 사격중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한정된 탄약을 순식간에 모두 소모하게 되지요. 400발 정도의 탄약은 마파람에 게눈 감추는 사라지는 오늘날에도 중요한 요소이지만, 사격전에서 백병전으로 이어지는 것이 당연했던 저 시절에는 유효사거리(상대방의 수염과 얼굴 표정까지 보이는 100m 이내) 안에 들어오기까지 절대로 사격을 개시하지 않고, 지휘관의 명령에 따라 일제사격을 할 수 있는 통제가 꼭 필요했습니다. 그런데 이게 말처럼 쉬운 게 아니지요. 수많은 병졸들의 공포심을 통제하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었는데, 김준룡 장군은 급히 모집한 속오군 병력을 상대로 이것을 해내시다니, 정말 대단합니다.

  • @rosehwangssaem
    @rosehwangssaem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가 왠만한 영화보다도 낫네요. 계속 올려주세요~~

  • @2rm730
    @2rm730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실전 경험을 무시할 수 없군요... 오랜 평화는 좋은것이 맞지만.. 경험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약해지는 것은 참으로 무서운 일인거 같습니다. 그렇기에 지금 대한민국의 오랜 평화에 안도와 감사를 하면서도 한편으론 걱정도 앞서게 되네요. 군에서의 경험과 여러 사례들을 보면서 과연 러시아와 대한민국 국군은 다를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매번 발생하던 조선의 문제는 보급이었는데 당시야 좋지 못한 한반도의 지형과 생산물의 부족, 정부의 적은 세수가 있었으니 그렇다치지만 크게 팽창하여 넉넉한 살림이 가능해진 지금의 대한민국에는 무엇으로 이유를 삼아 이해를 할지....

  • @jintravel6615
    @jintravel6615 Жыл бұрын

    와 대박 국립중앙박물관은 뭐하노? 정말 훌륭합니다~! 기존의 박물관에 대한 콘텐츠 개념이 확 깨지네요~ 진짜 영화같이 잘 배워갑니다~

  • @Nurarihoon
    @Nurarihoon Жыл бұрын

    전라도 멋있네요

  • @user-kl7ym3mz7r
    @user-kl7ym3mz7r Жыл бұрын

    크으 이런 퀄리티있는 컨텐츠가 박물관에서!!!! 감사합니다

  • @hanun114
    @hanun114 Жыл бұрын

    수원 광교산(光敎山) 아랫자락에서 이 영상을 보고 있는 내가 승리자다! ^^✨

  • @user-st5kv2gi2k

    @user-st5kv2gi2k

    Жыл бұрын

    그쪽도? 저도

  • @BLAZ_HerO

    @BLAZ_HerO

    Жыл бұрын

    넌 내아래구나 앞으로 형님이라고해라

  • @hanun114

    @hanun114

    Жыл бұрын

    @@BLAZ_HerO 하하하! ^^

  • @hanun114

    @hanun114

    Жыл бұрын

    @@user-st5kv2gi2k ㅎㅎㅎ 반갑습니다.

  • @junsung211

    @junsung211

    Жыл бұрын

    전 집뒤가 광교산~

  • @5thbeatles
    @5thbeatles Жыл бұрын

    명불허전. 진주박물관의 조선 중기 전쟁사는 차원이 달라요. 이렇게 잊혀진 승리들을 찾아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Smile_77
    @Smile_77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 팀 수고하셨어요. 진주박물관은 가고 싶지만 너무 멀어서 ㅎㅎ. 그렇지만 구독하고 올라오는 영상은 매번 잘 보고 있습니다. 그게 하나의 전투든 국가를 운영하는 것이든 믿고 따를 수 있는 리더의 중요성은 항상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습니다.

  • @MJK-nk2hk
    @MJK-nk2hk Жыл бұрын

    대단한 퀄리티입니다! 몰랐던 역사지식을 또 쌓아 갑니다😀

  • @bonickalfan188
    @bonickalfan188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봤어요! 감사합니다!!!

  • @user-iw9yf3tx8x
    @user-iw9yf3tx8x Жыл бұрын

    역시 👍 명불허전

  • @Krisjkd
    @Krisjkd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좀 많이 만들어 주세용 너무 재밌어용

  • @user-zb2pr7sl6r
    @user-zb2pr7sl6r Жыл бұрын

    전쟁중에 지휘관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준~~광교산전투

  • @75umberto20
    @75umberto20 Жыл бұрын

    가만보면 임진왜란 때도 권율장군이 이끌었던 부대나 이순신 장군의 부대나 주력이 호남 병력이었고, 병자호란에서도 광교산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보면 호남병들이 꽤 뛰어났던 모양 입니다.

  • @MoonbomSunny

    @MoonbomSunny

    Жыл бұрын

    정유재란 때 그 호남 병력이 다 털리는 걸 보면 꼭! 호남병력이라서 뛰어난 병력이라고는 할 수가 없죠 중요한건 특정 지역의 사람들이 뛰어나서가 아니라 군대를 지휘하는 지휘관의 능력 그 지휘관을 믿고 따라는 병사와 중간층 장교들 간에 신뢰성 그리고 그 지휘관 부대의 훈련도가 중요한 거지 어떤 특정 지역의 사람들이 뛰어나서가 아닙니다 그런 논리로 말 할 꺼 같으면 의령에서 일어난 곽재우의 의병부대와 경상 우도 지방의 관군들이 다시 집결해서 임진왜란 초반에 경상우도지역 방어선을 복구시킨 사실은 어떻게 설명을 하실 겁니까?

  • @user-qv9lx1zc8p

    @user-qv9lx1zc8p

    Жыл бұрын

    @@MoonbomSunny 갱상도라서 풀발기함?

  • @MoonbomSunny

    @MoonbomSunny

    Жыл бұрын

    @@user-qv9lx1zc8p 이해력이 떨어지니? 남경 나부랭이 자식아? 꼭! 이런 남경 나부랭이들이 이해력 준나게 떨어져요

  • @user-tb4rd2eo2v

    @user-tb4rd2eo2v

    Жыл бұрын

    @@MoonbomSunny 경상도

  • @user-tb4rd2eo2v

    @user-tb4rd2eo2v

    Жыл бұрын

    이햐 전라도는 또 여기에서도 활동하네 정말 감사한지역이다. 정말 독재시절 경상도 출신 군인들의 쿠테타로 전라도를 특정해 간첩 빨갱이로 몰아 왕따시킨 경상도 놈들. 정말 나쁜놈들이다. 정말 반성하길 바란다. 전라도는 이후에도 임진왜란에서 조선을 구했고, 6.25때에도 낙동강 까지 가서 얼마나 많은 전라도 군인들이 죽었는데...포항여중 기념비 보고 깜짝놀랐다. 다 전라도 출신들이더만.... 독재시절 핍박받아도 검찰총장 출신들 죄다 전라도 출신. 지금 이원석 검찰총장도 전라도가 고향. 그 전임. 그 전전임도 모두 전라도 출신들. 존경하는 지역이다.

  • @changmoungkim3035
    @changmoungkim3035 Жыл бұрын

    놀라운일이네요 근왕군들이 지리멸렬했다고만 알았는데 도르곤과함께 청나라 전투력최고의전략가로 꼽히는 도도를 물리치다니 대단한전과입니다 도도는 도르곤의 동복아우입니다

  • @OLSEADS
    @OLSEADS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도 잘 감상하였습니다 혹시 화력조선 시즌 4, 5도 계획에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지난 시즌에서 편집이 되었거나 재대로 소개하지 못한 자료들도 묶어서 또 다른 컨텐츠로 제작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user-lj3gp9db3g
    @user-lj3gp9db3g Жыл бұрын

    김준룡 장군 기억해야할 이름이네요.. 기억하겠습니다

  • @user-ff6om8in7n
    @user-ff6om8in7n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영상입니다.감사합니다.

  • @SuperDolphin.
    @SuperDolphin. Жыл бұрын

    엉상 퀄리티가 최고네요.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

  • @sangsik1
    @sangsik1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준비와 연구에 얼마나 공을 들이셨을까요 ! 감사합니다 !! 진주박물관 최고 !!

  • @applerider4205
    @applerider4205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자료다 👍

  • @SungUng_
    @SungUng_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고 유익한 영상입니다. 퀄리티가 좋네요~

  • @user-qj1yc5lv1n
    @user-qj1yc5lv1n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정말 가보고 싶습니다! 응원합니다!!

  • @user-or7ke8lf6m
    @user-or7ke8lf6m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zzang-mathis
    @zzang-mathis Жыл бұрын

    병자호란 때 근왕군들이 제대로 싸우지 못했던 이유가 지휘관들의 수준차이도 있었지만 말그대로 근왕군이었기 때문이죠 임금이 남한 산성에 갇혀버린 순간부터 조선군의 전투 목표와 전투 방법 및 전투 장소가 사실상 고정되어버린 상황이었으니 청군 입장에서는 상대의 전략과 움직임을 뻔히 알고 있었으니 어지간해서는 패배하기 힘들었죠

  • @agm1144

    @agm1144

    Жыл бұрын

    근본적으로 청군과 조선군은 수준 자체가 다른 군대였습니다. 청군은 무수한 실전 경험과 실전을 통해 숙지한 실전적인 전술이 있었습니다. 병사들은 평생을 함께해온 이들로 신뢰와 유대로 끈끈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그들의 지휘관 표정과 몸짓만 봐도 그들 지휘관의 뜻을 알 수 있을 정도 였습니다. 그러니 일사분란하게 움직여 실전적인 전술을 제대로 구사할 수 있었지요. 병사들은 옆의 동료들과 지휘관에게 강한 유대감과 신뢰를 가지고 있어야 이들을 믿고 그리고 이들을 지켜주기 위해 전장에서 목숨 걸고 싸울 수 있습니다. 반면 조선군은 대부분 전쟁 발발 직후 징집된 이들로 서로 이름도 얼굴도 모르는 사이로 병사들간 유대감와 신뢰따위는 존재할 수도 없었습니다. 지휘관도 이제 처음 만난 사람이고 손발 한번 맞춰본 적이 없었습니다. 실전 경험따윈 없고 심지어 총소리도 못들어본 이들이 부지기수였습니다. 유대감과 신뢰가 없으니 동료와 지휘관을 믿고 목숨을 거는 일은 할 수도 없고 동료란 인식도 없어서 전우들이 죽던 말던 자기 한 몸만 챙기면 된다는 인식이 강했지요.

  • @rhduddls1

    @rhduddls1

    Жыл бұрын

    @@agm1144 근데 선생님 말도 맞지만 청군 승리비결은 당시 쾌속으로 빠르게 온것이었습니다. 말그대로 후방에 부대 진지하나 남기지 않고 보급부대조차 두지않고 하루평균 78km를 달려와서 조선이 정비하기도 전에 빠르게 한양레이드를 하여 왕을 포위해 입지를 다진것이었죠. 조선이 초기에 왕의 타지역 몽진을 돕고 청군이 조금이라도 늦었으면 고립되어 오히려 배곯이고 죽는건 청군이었습니다. 청의 전신 후금기준 60000명이 동시 동원가능한 병사 최대치였을만큼 인구가 적은 만주족이 10만이나 데려온건 명나라 전선에 있던 병력까지 닥닥 긁어서 속도 레이드라는 도박을 한것입니다. 만일 조금이라도 늦거나 고립되면 근왕군이 청을 포위하고 청은 후방 조선군 기지조차 건드리지 않고 와서 오히려 돌아가는 길을 평안도군이 포위, 심지어 기병은 보병보다 물자소모가 더 큰 보직이라 말들의 기동성마저 떨어지게 되고 심지어 최악으로는 명나라가 본진 치는 순간 끝이었습니다. 청으로서는 속도 도박이 승리하고 조선으로서는 시작하기도 전에 왕이 인질로 잡혀있던게 너무도 패인이었습니다

  • @hgl2938

    @hgl2938

    Жыл бұрын

    @@agm1144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립니까 미필이나 미성년자 입니까 예비군 훈련 안 받아봤습니까?? 실전이나 유대감 신뢰가 정규군 처럼 군기가 확립되어 있지는 않겠지만 속오군도 정기적으로 정해진 시기에 훈련을 받고 전략 전술에 따라 훈련도 합니다 당연히 그랬으니 광교산 전투에서 이겼고요 탄약과 무기가 다 떨어지니까 당연히 후퇴한거고 손발 한번 맞춰본 적도 없다는 말은 맞는 말이 아닙니다 단지 훈련량의 부족 정규군에 비해 부족한 군기 물자 이런 기타등등이 탓을 할수도 있지만 탈영 중에도 김준룡의 직속부하 수백명과 함게 어쩔수 없이 수원으로 후퇴했다 이말의 의미는 동료와 지휘관을 믿고 목숨을 같이 걸었다는 의미입니다 2천병력중 죽은이와 기타

  • @Ulsandaejanghmh

    @Ulsandaejanghmh

    Жыл бұрын

    @@agm1144 개소리중 개소리 임진왜란이후 징집병도 훈련빡세게 시킴ㅋㅋㅋㅋ

  • @agm1144

    @agm1144

    Жыл бұрын

    @@Ulsandaejanghmh 빡시게 훈련한 결과가 저 모양이냐? 쌍령에선 사격 통제도 안되서 총알 낭비하다 궤멸당하고, 심지어 광교산에서 분전한 저들 조차 청군이 추격해온다니까 겁먹고 병사들이 흩어져 달아나버렸구먼. 걸핏하면 병사들이 흩어져 달아나는데 참 대단한 훈련과 유대감이다. 혹시 흩어져 달아나는 훈련을 빡시게 시킨건가?

  • @slhan4994
    @slhan4994 Жыл бұрын

    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전라도 근왕군에게 만약 보급만 제대로 이루어졌더라면 병자호란의 판세가 많이 바뀌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드네요... 좋은 컨텐츠 잘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 자리를 빌어 풍전등화에 놓인 나라를 위해 청과 목숨바쳐 싸우신 당시 모든 근왕군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 @jonggulee4607

    @jonggulee4607

    Жыл бұрын

    병자호란의 판세는 평안도의 안주에 주둔했다가 청나라 군대를 쫓아서 내려온 병마사 김자점 때문에 쫄딱 망한겁니다. 병자호란 당시, 양평군 옥천의 고읍에는 평안도와 함경도 등 북방에서 내려온 2만명이 넘는 조선의 최정예 병사들이 그 지역에 주둔하고 있었습니다. 그 2만명의 병사들이 얼어 붙은 남한강의 한강을 일시에 도하해서 광주 쪽으로 그냥 밀고 들어 왔다면, 청나라 군대를 몰아 낼수 있었을 겁니다. 병자호란 당시, 경상도 근왕병이 남한산성으로 진격하다가 경기도 광주시 부근에서 몰살당했는데, 그 사건 때문에 김자점이 두려움을 느껴서 진격하지 않았겠지요...정말 쉽알 색휘죠. 조선의 5대 간신이 그놈입니다.

  • @user-bx1xl7gl5b

    @user-bx1xl7gl5b

    11 ай бұрын

    ​@@jonggulee4607출정하기 전 날 인조가 GG쳐서 그렇지 놀진 않았어요..

  • @nalza6668

    @nalza6668

    9 ай бұрын

    응안됨 ㅋㅋㅋㅋㅋ 보급따위가 문제가아니라 절대불가임 ㅋㅋㅋㅋㅋ 임진왜란때 진작망했어야하는 나라가 명나라와 불세출의 구국의 성웅덕분에 이긴거지 이때는뭐 ...ㅋㅋㅋ

  • @hawk8873

    @hawk8873

    Ай бұрын

    @@jonggulee4607 /쌍령 전투, 소위 한국의 3대 패전이라고 불리는,,,,,

  • @user-ds7vi1gh9d
    @user-ds7vi1gh9d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게 잘 봤습니다. 내용은 물론이고 연출이며 영상퀄이 장난아니시네요.

  • @anakiiliu
    @anakiiliu9 ай бұрын

    드라마 연인과 연계되어 살펴보게 되네요. 멋진 콘텐츠 감사합니다~

  • @CliosPaintingBench
    @CliosPaintingBench Жыл бұрын

    YESSSSS MORE CONTENT I LOOK FORWARD TO THESE ALL THE TIME

  • @user-if1pt2pg1g
    @user-if1pt2pg1g Жыл бұрын

    진주박물관 보기드문 사례입니다 역사를 세밀히 알게되니 배우게되네요

  • @monggu2
    @monggu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goo8831
    @goo8831 Жыл бұрын

    양질의 컨텐츠를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재밌게 봤습니다

  • @user-zp7mk7xu8n
    @user-zp7mk7xu8n Жыл бұрын

    왜란 호란 다 전라도의 역할이 컸죠 충무공 이순신께서 약무호남시무국가 라는 성어를 남기시기도 하셨죠

  • @user-ft8sz1vm6o
    @user-ft8sz1vm6o Жыл бұрын

    퀄 정말 좋다! 단편다큐를 이렇게 연출하니 흥미진진하네. 영상제작종사자로서 많이 배웁니다….ㅊㅊ

  • @Kyung-Jun1996
    @Kyung-Jun1996 Жыл бұрын

    열일하는 국립진주박물관!!!! 이런 영상을 기획하시다니 정말 멋집니다.

  • @user-xi8ci6zv7s
    @user-xi8ci6zv7s Жыл бұрын

    역시 인류의 모든 전쟁역사에서 보급의 중요성은 절대빠지질않고 승패를 거의 좌우함.

  • @moraisjongsin
    @moraisjongsin Жыл бұрын

    아 오늘도 고퀄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 @hellcat3721
    @hellcat3721 Жыл бұрын

    위치가 용인 수지구 일대 같은데 용인 광교산 인근의 산과 길목이 625전쟁때도 중공군과의 격전지였던걸 보면 예나 지금이나 중요 길목이 전투의 장소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yellowjeck5038
    @yellowjeck5038 Жыл бұрын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