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깔고, 터널 뚫고 깎아놓은 산을 어떻게 매끄럽게 했을까?┃산 많기로 유명한 대한민국!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과정은 몰랐다┃비탈면 녹화 작업 현장┃극한직업┃

※ 이 영상은 2009년 8월 12일부터 13일까지 방송된 <극한직업 - 비탈면 녹화 1~2부>의 일부입니다.
훼손된 자연을 복원시키는 사람들!
홍수와 장마로 인해 유실된 비탈면을 자연으로 되돌리는 작업이 시작됐다.
기울기 70도의 아찔한 암벽 위에서 외줄 하나의 목숨을 걸고 생명의 싹을 틔우는 사람들.
까마득한 암벽에서 돌들은 계속 떨어지고 작업자들은 외줄 하나에 목숨을 의지하여 수십 키로의 무거운 진흙을 일일이 쏘아내는 고된 작업을 진행한다.
자신들의 땀을 거름 삼아 황무지에 생명의 온기를 불어 넣는 비탈면 녹화 공을 만나본다.
- 녹화, 자연으로 되돌리는 작업
도로나 집터를 만들기 위해 산을 깎아 낸 비탈면을 자연으로 되돌리는 작업이 시작됐다.
사람들로 인해 훼손된 비탈면은 홍수나 장마철이 되면 어김없이 사람들을 위협하는데.
유실된 비탈면의 암벽은 작업자들에게도 늘 산재의 위험이 따르는 곳이다.
아슬아슬한 실족의 위험 속에서도 비탈면을 바삐 오르는 이들.
많이 움직이는 만큼 생명의 씨앗을 골고루 뿌릴 수 있기 때문에 조금도 쉴 틈이 없다.
또한, 조금이라도 발을 헛디디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한순간도 긴장을 놓을 수가 없다.
- 악조건의 작업 현장! 암반과의 싸움!
산을 깎아낸 비탈면의 기울기는 70도, 높이만 70미터가 되는 아찔한 경사면에 녹화공이 서 있다.
작업 공간이 좁아 기계를 전혀 쓸 수 없는 상황.
사람들은 무거운 철망을 어깨에 메고 산을 오르기 시작한다.
거대한 암벽 위에 외줄 하나에 목숨을 걸고 철망을 깔고 드릴을 박는 순간.
흙속의 암벽 때문에 드릴이 들어가지 않는다. 거기다가 암벽 위에선 끊임없이 돌들이 떨어지고 그들은 절벽에서 바위와의 싸움을 시작한다.
- 비상!! 취부작업을 멈춰라.
우여곡절 끝에 철망 작업이 완료되고, 본격적으로 흙 뿌리기 작업이 시작됐다.
흙 뿌리는 작업은 취부작업이라고 하는데 씨앗과 물 그리고 비료 등을 섞어서 비탈면에 뿌리는 작업을 말한다.
수십 킬로의 진흙을 어깨에 메고 일일이 쏘아내는 고난의 취부작업.
그 압력은 상상을 초월하여 부상의 위험은 늘 따라다닌다.
100마력에 가까운 수압을 견뎌내며 가만히 있어도 몸이 흔들릴 정도의 압력으로 인해 취부작업은 어렵기만 한데.
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흙을 뿌려줘야 하는데 갑자기 기계에서 연기가 난다.
뿌연 연기가 올라오고 기계는 작동을 멈췄다. 과연 작업자들은 오늘 작업을 이어갈 수 있을까?
- 황무지에서 숲을 만드는 여러 가지 공법
비탈면 녹화 작업은 비탈면의 지형에 따라 공사 방법이 달라진다.
암이 많은 곳에는 철망을 깔고 흙과 씨앗을 넣어 호스로 뿌려주는 녹생토 공법으로 작업하고,
토양이 많은 곳에는 코코넛 줄기로 만든 망을 깔고 씨앗을 뿌려준다.
자연으로 되돌리는 작업이기 때문에 모든 작업은 볏짚과 같이 자연적인 제품들로 이뤄진다.
여러 가지 공법들로 이뤄진 비탈면 녹화현장은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다양한 사고의 위험현장이기도 하다. 한순간도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작업 현장.
황무지에서 숲을 만드는 극한의 여러 가지 공법들을 알아본다.
- 강적 중의 강적!! 숨어 있는 땅속의 암석
수해로 인해 토양이 유실된 비탈면에 작업이 시작됐다.
땅이 모두 무너져 울타리까지 모두 드러난 상태.
비가 오기 전에 작업을 끝내야 더 큰 유실을 막을 수 있다.
작업 전 지반을 정리하던 작업자들! 아무리 곡괭이질을 해도 흙이 파지지가 않는다.
땅속에 단단한 바위가 자리 잡고 있어 곡괭이질을 해도 부서지지가 않는데
큰 난관에 부딪힌 작업자들. 그들은 무사히 암벽을 부수고 작업을 끝낼 수 있을까?
- 자연을 사랑하는 유쾌한 사람들
손바닥만큼의 그늘도 없는 땡볕 아래 그들이 있다.
물처럼 흐르는 땀, 냄새 나는 거름을 뒤집어쓰며 그들은 하루하루를 견뎌낸다.
녹화 작업 후에 조그맣게 올라온 새싹을 보며 그들은 하루의 고단함을 잊는데.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유쾌한 작업 현장.
그 속에 자신들의 땀을 거름 삼아 생명의 온기를 불어 넣는 그들의 보람과 사랑을 느껴보자.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비탈면 녹화 1~2부
✔ 방송 일자 : 2009.8.12~13

Пікірлер: 43

  • @EBSDocumentary
    @EBSDocumentary3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09년 8월 12일부터 13일까지 방송된 <극한직업 - 비탈면 녹화 1~2부>의 일부입니다.

  • @user-wh6zp9mq3l32
    @user-wh6zp9mq3l323 ай бұрын

    근로자 분들의 노고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 @user-lw7vs6ff3z
    @user-lw7vs6ff3z3 ай бұрын

    보람 뒤에는 언제나 남모르는 고생과 희생이 있다~ 그분들 모두 힘내세요~ 감사합니다~

  • @LeeSeoungSu
    @LeeSeoungSu2 ай бұрын

    와.....사회의 다양한 분야를 알게 해주는 정말로 흥미롭고 유익한 다큐입니다~!! 왠 2G폰이 나와?? 했더니 2009년 산.....허허헛

  • @user-cj8gb9rr1g
    @user-cj8gb9rr1g3 ай бұрын

    EBS 단언컨데 최고.!입니다~!! 여러분 의 노고 가 있어 푸른녹지 를 저희들은 아름답게 보고 느낍니다..

  • @user-qi1xl2wg5l
    @user-qi1xl2wg5l3 ай бұрын

    수고하십니다 응원합니다🇰🇷🙏

  • @user-uj8mw8bp9f
    @user-uj8mw8bp9f3 ай бұрын

    이와같은 분들이 계셔서 고속도로와 일반도로를 차로 다닐때 보기에 좋은거죠 항상 안전에 주위하시고 힘내세요 😊

  • @icandoitgolferahn9644
    @icandoitgolferahn96443 ай бұрын

    인상이 좋으시고 말씀도 차분히 잘하시네요 건강하셨음 좋겠네요

  • @hdough857dhjdugvdhgrdvbjdj
    @hdough857dhjdugvdhgrdvbjdj3 ай бұрын

    다 배우신 분들.. 말씀도 잘 하시네

  • @user-ek8um7fd4q
    @user-ek8um7fd4q3 ай бұрын

    상당히 체게적이고 전문적이네요. 건강하세요.

  • @silverc2801
    @silverc28013 ай бұрын

    수고하십니다! 늘 건강하셨으면 좋겠네요 !!😊

  • @wgenius1047
    @wgenius10473 ай бұрын

    Ebs다큐 👍 👍

  • @user-qm3qm3oj2m
    @user-qm3qm3oj2m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그동안은, 아무생각없이, 그냥 지나다녔는데 앞으로는, 이분들 힘들었던 노동에 감사하면서, 지나다니겠습니다.

  • @kkirukkkiruk
    @kkirukkkiruk2 ай бұрын

    정말 인생은 짧고, 세상은 넓네요. 배울게 많습니다.

  • @user-qx6zv3iw1z
    @user-qx6zv3iw1z3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면 단기간에 성장한게 많이 느껴집니다.

  • @lordsoju
    @lordsojuАй бұрын

    와 이런저련 현장 들어봤지만 저 현장은 원래 저런건가 아니면 저날만 저런건가 뭔 호스가 저리도 터진다냐... 일이 고되고를 떠나서 주요 연장이 작살나서 일 진행이 안되서 공치는게 세번째로 일하기 싫은 현장인데... 산업역꾼이니 그런거 다 떠나서 가장의 무게 하나로 버티시는 기사님들께서 그저 오늘도 무사히 작업 마치고 은퇴보다 건강한 베테랑으로 현장 오랫동안 지켜가시길 바랍니다.

  • @user-bo4ub3ss7x
    @user-bo4ub3ss7x3 ай бұрын

    수압으로 씻어내면 좋겠네요

  • @skdisk911
    @skdisk9113 ай бұрын

    무에서 유를 창조하시네요

  • @user-nn1fz8jz9z
    @user-nn1fz8jz9z3 ай бұрын

    이분들은 군대 공병대 일을 직업으로 그대로 하고 계시네 ㅋㅋ

  • @user-cx5cu8sc7x
    @user-cx5cu8sc7x3 ай бұрын

  • @smile_paul
    @smile_paul3 ай бұрын

    산지관리법에 맞게 5미터마다 소단이 1m 있어야 합니다.

  • @user-ky9fe2mb6o
    @user-ky9fe2mb6oАй бұрын

    작업자 안전불감증 심하네요...ㅎㅎ

  • @admint2607
    @admint26073 ай бұрын

    안전장비좀......

  • @user-hq5yx7zk7v
    @user-hq5yx7zk7v3 ай бұрын

    20:35 와우~~ 영상통화가 되는 핸드폰을 쓰시네요.. 엄청 최신폰이네요~~~

  • @user-cc8kz4gk6y
    @user-cc8kz4gk6y3 ай бұрын

    술한잔하고 방석집가야지 ㅋ

  • @user-rk3sp2eh7u
    @user-rk3sp2eh7u3 ай бұрын

    새로운방법을 더연구해야겧구먼! 연구하면나운다.

  • @ktbs0815
    @ktbs08153 ай бұрын

    도로 공사 못하는 도로 공사

  • @hirohiro1362
    @hirohiro13623 ай бұрын

    호스 자주 터지면 재질을 바꾸시지..소방호스 같은데 저거 약하던데..

  • @user-nn1fz8jz9z

    @user-nn1fz8jz9z

    3 ай бұрын

    소방호스가 얼마나 튼튼한데요.ㅋㅋㅋ

  • @user-df3gv9zw1t
    @user-df3gv9zw1t3 ай бұрын

    보안경을 쓰고 작업을 해야지.얼마 안 하는데,그리고 또 작업자들이 귀찮다고 안 쓰고.이게 문제임.

  • @htk3342
    @htk33423 ай бұрын

    위험한 직업이로군..

  • @user-ds2kh6mt8n

    @user-ds2kh6mt8n

    3 ай бұрын

    이정도면 약과죠.. 고공작업(빌딩청소, 케이블카관리자, 풍력발전관리자, 코킹작업등등 더높은데서 일하는사람들도 있는데요~~)

  • @user-gj7iu1xw8m
    @user-gj7iu1xw8m3 ай бұрын

    호스가터졌으면 끄고 갈아서해야지 무식하게 그걸그냥해보겠다고 뒤에 사람은 머냐 나같으면 집어던졌다😢

  • @grx1988

    @grx1988

    3 ай бұрын

    작업 거의 끝나가는 상황이었겠죠

  • @biomanbiojin
    @biomanbiojin3 ай бұрын

  • @user-iz6vd5uo4c
    @user-iz6vd5uo4c3 ай бұрын

    비탈면에 위험작업 인데 안전장구 착용도 안하고 안전불감증이 심각 함니다 다음 영상 촬영시 관련 규정을 검토해서 제작바람니다

  • @user-xk7if5gf3y

    @user-xk7if5gf3y

    3 ай бұрын

    2009년

  • @kimdavid8635
    @kimdavid86353 ай бұрын

    1등이다 마

  • @user-si6gi4en6q
    @user-si6gi4en6q3 ай бұрын

    🐔 한국의 힘들 건설분야도 기술자들이 있기에 전세계에 건설분야를 개발합니다. 기술자 박수 👏

  • @user-cz3mv1uc7y
    @user-cz3mv1uc7y3 ай бұрын

    법면 조경 취부 아리바 거적 똥냄새 ㅋㅋㅋ

  • @user-st7gv9jj8k
    @user-st7gv9jj8k3 ай бұрын

    안전장치도않하고 잘하는짓거리다

  • @ktbs0815
    @ktbs08153 ай бұрын

    산림 파괴의 현장

  • @grx1988

    @grx1988

    3 ай бұрын

    님이 쓰는댓글도 환경오염 시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