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지문은 이렇게 읽는 겁니다. (ft. 비문학 공부법)

심찬우 선생님의 강의와 컨텐츠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만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강의
오르비클래스 / 국어영역
→ class.orbi.kr/teacher/94
■ 오프라인 강의
메가스터디 러셀(단과)
→ russel.megastudy.net/intro/ga...
- 러셀 (대치, 분당, 목동, 센텀, 울산, 기숙)
- 러셀 코어Live(대구, 광주)

Пікірлер: 87

  • @user-ef7kq9jx7k
    @user-ef7kq9jx7k4 ай бұрын

    1월에 생글 완강하고 나서 선생님 방식 체화하려고 매일 평가원 기출 4지문씩 풀고 분석하는 중인데 처음엔 11-12개중에 5개도 못맞췄지만 이젠 한개정도 틀려요.. 정말 잡다한 도구로 부터 해방되었습니다 이젠 국어공부가 재밌어지고 있어요 문학도 선생님 믿고 꾸준히 정도를 걷겠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nje246
    @nje2464 ай бұрын

    심찬우가 글 읽고 생각하는 방식은 영어 지문에서 더 꿀인게 영어는 잡다한 수식어구나 덩어리들을 제거하고 핵심만 납득하면서 읽으면 국어보다 주제 소재 잡는게 훨씬 빠름. 워낙 단문이기도하고 1지문당 1문제만 물어보기 때문에 훨씬 명확함. 반응해야할 곳에 반응하는 연습만하면 영어에서, 보다 더 빠른 성장을 느낄 수 있음 심찬우가 글 읽는 방식으로 연습하면 영어 지문을 뚫어내는 것에도 비약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음.

  • @sfswfw

    @sfswfw

    4 ай бұрын

    “반응했니?”

  • @user-bk4rg4ry1c

    @user-bk4rg4ry1c

    4 ай бұрын

    반응해야할 곳에서 반응하는 훈련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제발,….ㅜ

  • @user-gm7pc5me9c

    @user-gm7pc5me9c

    4 ай бұрын

    ​@@user-bk4rg4ry1c 솔직히 말해서 ... 절대적인 공부량이 따라와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것입니다 중요한 문장과 주제를 선정하고 반응하는 것을 의식하면서 하는 건 초반에 갈피를 잡기 어려울 뿐더러 단기간에 달성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 매일매일 꾸준히 텍스트에 자신을 노출시키는게 최선이지 않을까요😂 그게 정말 힘들고 괴롭겠지만 익숙해지면 됩니다!! 처음 일주일하는게 어렵지 그 이후부터는 익숙해집니다!! 일주일 고생하면 성적이 오르는 길이 훤히 열리는데 힘내봅시다!!

  • @user-we5ur8di6z

    @user-we5ur8di6z

    4 ай бұрын

    ​@@user-gm7pc5me9c 그냥 지나가던 예비 고3인데... 대신 감동받고 갑니다 😂...❤❤...

  • @user-hr2ft5sg2g

    @user-hr2ft5sg2g

    4 ай бұрын

    ​@@user-bk4rg4ry1c 조만간 뇌에 칩 심을 수 있을텐데 상용화되면 무조건 머리에 칩부터 박으세요 나쁜머리는 글 아무리 읽어도 안늘어요 그냥 똥멍청이죠..

  • @user-ub8qq9vh8l
    @user-ub8qq9vh8l4 ай бұрын

    항상 어린 양들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셔서 감사합니다....심----멘

  • @tylerj8500
    @tylerj85004 ай бұрын

    이거보고 심찬우 강의 듣기로 결정했다

  • @user-go5nl8hl5t
    @user-go5nl8hl5t4 ай бұрын

    선생님 기존에 다른 강의를 듣다가 한달간 아무리 생각해도 선생님의 방식대로 공부 해야 할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2월부터 생감을 들으려합니다. 고민되는건 한달이 늦은 만큼 생글을 들을지 말지인데요.. 국일만을 1월에 꾸준히 보면서 새로운 지문에도 적용하고 있고 국일만에서의 해설과도 얼추 비슷하게 생각을 하면서 따라가고 있습니다. 선생님께서는 생글을 수강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님 다음 독서 커리부터 따라가도 무리가 없다고 생각하시나요??

  • @simpathy

    @simpathy

    4 ай бұрын

    생글부터 하길 권합니다.

  • @hermosagg

    @hermosagg

    4 ай бұрын

    중간에 휴강있어서 막 달리지 않으셔도 진도 맞추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생글, 생감이 제일 중요합니다.

  • @user-go5nl8hl5t

    @user-go5nl8hl5t

    4 ай бұрын

    아아 넵 감사합니다!!

  • @userqwer1278
    @userqwer12784 ай бұрын

    17년 12월 러셀 무료특강에서 처음 듣고 이후 3년동안 단과, 인강 들으며 4수하면서 국어 덕분에 대학 합격했던 제자입니다. 벌써 몇 년이 흘러서 군대도 갔다오고 나이도 많이 먹었네요 ㅎㅎ 당연히 국어 실력도 최고지만, 저는 4수때 강남러셀 9월 모의평가 해설강의에서 쉬는 시간에 저한테 오셔서 어깨를 툭 잡아주시면서 따뜻한 말 한 마디 건네주셨던게 너무 기억에 남네요. 수업시간에 눈빛 몇번 마주칠 때마다, 3년동안 강의실에 앉아있다는 사실을 들키고 싶지 않아서 눈치보였는데 알아보시고 쉬는시간에 해주신 짧지만 따뜻한 한 마디. 그 순간 덕분에 힘든 수험생활 큰 위로가 됐습니다. 국어 덕분에 좋은 대학교 왔고 선생님한테 배웠던 실력 덕분에 자신감이 있어 리트 준비하고 있네요. 선생님 항상 건강하세요 정말 힘들던 수험생활 큰 위로가 됐습니다.

  • @user-yf1wh2oo9x

    @user-yf1wh2oo9x

    Ай бұрын

    아무 생각 없이 댓글 보다가 말을 너무 예쁘게 하셔서 답글 답니다. 멋있는 선생님에 멋있는 제자네요.

  • @yoong3840
    @yoong38403 ай бұрын

    선생님 이렇게 생각하면서 읽는게 어느정도의 얕은 배경지식이라도 있어야 가능하지 않나요? 그정도의 배경지식이 없으면 지문 문장의 흐름, 유기성에 따라 같은말 다른말 구분해서 읽어가는 방법밖이 없지 않나요? 배경지식 부족해도 이렇게 읽어보는게 좋을까요?

  • @Irondoor98
    @Irondoor984 ай бұрын

    잘가르치네

  • @human-being1
    @human-being14 ай бұрын

    볼 때마다 경이로운 수준이다...

  • @user-qz6pf4dp4f
    @user-qz6pf4dp4f4 ай бұрын

    선생님 저는 예비고1인데 지금 부터 선생님 강의를 수강하는건 무리일까요? 저는 수시로 갈거여서 내신에 집중을 해야 하는데 선생님 강의를 들어야 할지 고민이에요ㅠㅜ

  • @user-qz6pf4dp4f

    @user-qz6pf4dp4f

    4 ай бұрын

    그리고 만약에 선생님 강의를 듣는다 하면 잡도해 부터 듣는게 좋을까요?

  • @user-xr8sv2uy3l

    @user-xr8sv2uy3l

    4 ай бұрын

    ㅇㅈㅇㅈ

  • @user-xr8sv2uy3l

    @user-xr8sv2uy3l

    4 ай бұрын

    ㅇㄷ

  • @user-lchan

    @user-lchan

    3 ай бұрын

    들으면 당연히 좋죠 그런데 수시면 문학강의만 들어도 될거같네요 수시면 문학이랑 문법이 주로 나와서...

  • @user-qz6pf4dp4f

    @user-qz6pf4dp4f

    3 ай бұрын

    @@user-lchan 오ㅓㅇ 사랑합니다ㅠㅜㅠ 🥺🥺

  • @user-jb5eg4kd3x
    @user-jb5eg4kd3x2 ай бұрын

    선생님 강의 수강생인데 Q&A 에 오류가 계속 떠서 여기에 질문 올립니다.. 에필로그1 하면서 글 읽을 때 글 문장 하나 하나를 최대한 그림으로 생각하려는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새 속발음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제가 딱 무의식적으로 속발음을 하면서 글을 읽는 모습을 알게 되었습니다.. 속발음을 하게 되면 독해력이 안올라간다 라는 말이 많길래 선생님 독서 강의중에 잡도해 생글 둘 다 들었지만 속발음 관련된 얘기는 못들었어서 최근에 속발음에 대해 알게 된 상황으로서 걱정입니다.. 한달 반 동안 속발음도 같이 무의식적으로 하면서 독해 공부를 했다는 것에 시간 낭비 한 거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믿음불신지옥

  • @user-tj7ls2pi6i
    @user-tj7ls2pi6i10 сағат бұрын

    와 지린다...

  • @idhrbtbf
    @idhrbtbf3 ай бұрын

    깔끼하네예

  • @시마홀릭
    @시마홀릭Ай бұрын

    항상 제 알고리즘에 나와주셔서 생각하는 방법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8세 노총각

  • @user-pe4xj5xc7n
    @user-pe4xj5xc7n2 ай бұрын

    궁금한게, 우리를 이해 시켜주기 위해 저렇게 설명을 하는 것인지, 현장에서 이렇게까지 사고해야한다라는 것인지 헷갈리네요. 예를 들어, 노자의 도에 시비 판단의 근거라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 라는 문장에서 선생님은 그럼, 한비자는 도를 따르면 옳은거고 그렇지 않으면 틀린거라는 거네. 라고 말씀 하셨는데, 현장에서 이 생각을 해서, 정확하게 문장의 의미를 받아들여라라고 하시는 것인지, 아니면 내가 너희를 이해 시켜줄테니, 이 이해된 감각을 기억해…라는 것인지 헷갈리네요…

  • @user-qy8vj6ty8p

    @user-qy8vj6ty8p

    Ай бұрын

    이해된 감각을 배경지식화해서 다른 것에 적용해야할 거에요,,, 법으로 통치한다는게 법가라는 걸 알면 훨씬 알기 쉬운 문단이었거든요,,, 실제로 경제나 윤리 지문은 배경지식이 필요해요

  • @user-hr2ft5sg2g

    @user-hr2ft5sg2g

    Ай бұрын

    ​@@user-qy8vj6ty8p 국어는 배경지식 없어도 충분히 쉽게 풀 수 있습니다. 그래봤자 한국어라 눈으로 읽을 줄 알면 다 풀려요

  • @user-qy8vj6ty8p

    @user-qy8vj6ty8p

    Ай бұрын

    @@user-hr2ft5sg2g 못풀어요. 재작년 환율 문제 경상수지 개념 모르면 못 풉니다.

  • @Gotqlcrkflro
    @Gotqlcrkflro2 ай бұрын

    첫번째 문장부터 박살난대 ㅠㅠ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asein4226
    @dasein42264 ай бұрын

    수능 총평 유튭 업로드 존버중인데 강의를 구매해야 둘을 수 있나요?

  • @simpathy

    @simpathy

    4 ай бұрын

    곧 올라갈겁니다.

  • @keshi-dm5uq
    @keshi-dm5uq4 ай бұрын

    신정고 최고의 아웃풋 심.찬.우.

  • @user-ur6bi7lf2q

    @user-ur6bi7lf2q

    4 ай бұрын

    심찬우 울산사람이었구나

  • @user-dv5lx1ul8h
    @user-dv5lx1ul8h4 ай бұрын

    생글 수강생인데 24수능 해설하시는 장면은 안보이셨는데 위의 강의는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ㅜㅜ

  • @user-sr3mw6ec1y

    @user-sr3mw6ec1y

    4 ай бұрын

    이거 그냥 강의 중에 해설한 지문이에용

  • @user-dv5lx1ul8h

    @user-dv5lx1ul8h

    4 ай бұрын

    @@user-sr3mw6ec1y 어느 강의에서 인지 알 수 있을까요? ㅜㅜ

  • @user-ss1rg7dm8p

    @user-ss1rg7dm8p

    4 ай бұрын

    생각하며 글읽기 첫강이여

  • @user-lchan

    @user-lchan

    3 ай бұрын

    저 단락만 해설하신겁니다

  • @user-ef7kq9jx7k
    @user-ef7kq9jx7k4 ай бұрын

    선생님 프리패스 수강생인데요! 생각하며 감상하기 주교재는 언제 구입할 수 있는 건가요..?ㅠㅠ

  • @simpathy

    @simpathy

    4 ай бұрын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세요.

  • @hehe0000
    @hehe00004 ай бұрын

    글자체를 이해해야지

  • @bring1913
    @bring19134 ай бұрын

    아니 진짜 이해를 할려고 해도 내 머리는 돌덩어리 인가...

  • @qweasd-fs5yk

    @qweasd-fs5yk

    Ай бұрын

    느껴

  • @user-ue1tm3ro1b
    @user-ue1tm3ro1b4 ай бұрын

    나 이제 고1인데 찬우 인정한다

  • @user-dx7fu2mu7h

    @user-dx7fu2mu7h

    4 ай бұрын

    니 친구냐?

  • @user-gg9ef7fy5r
    @user-gg9ef7fy5r4 ай бұрын

    습.. 이렇게 기술 유출하시면 곤란합니다..

  • @user-ij5xy9wd5l

    @user-ij5xy9wd5l

    4 ай бұрын

    누구요??

  • @user-we4hl2rk4v
    @user-we4hl2rk4v4 ай бұрын

    N수입니다 선생님 커리 타려하는데 잡도해부터 해야할까요 생글부터 해도 될까요??

  • @simpathy

    @simpathy

    4 ай бұрын

    상관없습니다.

  • @user-iy1sc3lb7q
    @user-iy1sc3lb7q3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감사하비낟

  • @hawiks5585
    @hawiks55854 ай бұрын

    원래 저렇게 읽어야하는거 아니였어..? 저렇게 안읽으면 어떻게 읽지..?

  • @hawiks5585

    @hawiks5585

    4 ай бұрын

    오히려 문학읽는게 더 어렵던데…

  • @thecoolestman2382

    @thecoolestman2382

    4 ай бұрын

    문제에만 급급하게 푸는 사람들이 많은 거 같아요

  • @hjc8530

    @hjc8530

    2 ай бұрын

    허수는 그렇게 못 읽어요

  • @mangi_dirhwp
    @mangi_dirhwp4 ай бұрын

    외쳐

  • @mathematics_love
    @mathematics_love4 ай бұрын

    글을 저렇게 읽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거지..

  • @user-qn6ri6nz6n

    @user-qn6ri6nz6n

    4 ай бұрын

    붙여읽기 ㄱㄱ

  • @user-ev5ul1fi8v

    @user-ev5ul1fi8v

    4 ай бұрын

    붙여읽기 어케 하는거임?​@@user-qn6ri6nz6n

  • @user-mt9to7kx6o

    @user-mt9to7kx6o

    4 ай бұрын

    ㄹㅇ..

  • @suo7330

    @suo7330

    4 ай бұрын

    국일만이나 잡도해 들으삼 국일만은 8원칙 부분 1일컷 하시고 잡도해는 하루에 1강씩 들으면 2주컷 가능함 그때부터 국어공부의 방향성이 잡히기 시작하고 글을 읽을때 생각에 살이붙음

  • @meltslee985

    @meltslee985

    4 ай бұрын

    심찬우 커리 따라가다보면 점점 수능 독서를 읽는 방법이 훈련되면서 체화됨. 저도 글읽고 이해하는 수준 장애인급이였는데 계속 시키는대로 하다보니 이해되기 시작함,,,,

  • @user-mx8lm7rg5e
    @user-mx8lm7rg5e4 ай бұрын

    답 2번인가요?

  • @user-kq1lo1ry7o

    @user-kq1lo1ry7o

    4 ай бұрын

  • @user-cu6fz7we9v

    @user-cu6fz7we9v

    4 ай бұрын

    1번아닌가요.?..

  • @Marouche_05

    @Marouche_05

    2 ай бұрын

    @@user-cu6fz7we9v 1번 맞아요

  • @user-yl5sn9dz3t
    @user-yl5sn9dz3t4 ай бұрын

    알아들었으면 끄덕여

  • @user-kq8qc8fd8e
    @user-kq8qc8fd8e4 ай бұрын

    '나'는 한국인이 아니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re1cd4rf8m
    @user-re1cd4rf8m4 ай бұрын

    선생님 2025수능 국어 영역 1등급 맞으면 밥 같이 드셔주시나요

  • @user-pr3ye6wg8n

    @user-pr3ye6wg8n

    4 ай бұрын

    1등급이 한둘이냐? 만점은 받고와라

  • @user-kh4jw6mu5q
    @user-kh4jw6mu5q4 ай бұрын

    "반응"

  • @pondng
    @pondng4 ай бұрын

    끄더겨

  • @badakim1407
    @badakim14074 ай бұрын

    별 생각없이 쭉 읽어도 어려운 내용이 아니라 답이 나오는데? 원인과 결과 파악하는 기본문제아님?

  • @user-ce6bt5ql7z

    @user-ce6bt5ql7z

    4 ай бұрын

    저건 어려운 답이 아닌거지만 비문학을 풀때의 사고의 틀을 잡아주신거라 생각해요

  • @user-ph7zb9hd5b
    @user-ph7zb9hd5b4 ай бұрын

    오늘도 목놓아 외쳐봅니다.. 심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멘

  • @user-jw5fq2xb7i
    @user-jw5fq2xb7i4 ай бұрын

    독해력을 기르려면 처음보는 지문을 내가 이해, 납득 가능한 속 도로 모르는 어휘를 찾아보지 않고 추론하면서 읽어야하나요? 아니면 어휘 찾으면서 해야하는가요? 지문도 한번 풀고 분석할때 속도 느리게 읽어야하나요? 답변해 쥬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simpathy

    @simpathy

    4 ай бұрын

    네 그래야 합니다. 생각하며 글 읽기 강의를 참고하세요.

  • @user-lchan

    @user-lchan

    3 ай бұрын

    모르는단어가 나오면 일단추론하면서 읽으시고, 단어는 문제 다풀고 검색해본뒤 외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