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사람을 뽑는 방법 | 브라이언 클라스 명강의 몰아보기 3편

00:00:00 권력은 왜 사람을 악하게 만드나
00:04:10 권력자의 뇌는 어떨까
00:09:36 더 나은 사람을 뽑는 방법
*해당 영상은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에 방송된 영상 중 '브라이언 클라스 5~7강' 일부를 편집한 영상입니다. 풀 영상은 하단 링크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풀 영상 보기
브라이언 클라스 '권력은 왜 부패하는가' 총 7부작
👉 bit.ly/3J8H6CU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
👉 본방송 : 평일 밤 11시 40분 ~ 12시
👉 종합 : 토요일 밤 12시 45분
#위대한수업 #권력 #선거 #투표 #권력자 #힘 #부패 #명강의 #강의 #ebs
👩🏻‍🎓👨🏻‍🎓 전 국민의 평생학교 EBS

Пікірлер: 439

  • @user-tg8kl3ro1c
    @user-tg8kl3ro1cАй бұрын

    아이러니한 일임 ㅋㅋ 정작 권력이 필요하지도 않고 원하지도 않는 사람이 권력을 가장 잘 쓸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게 결국 좋은 권력자가 나타날 수 있는 빈도를 높이는 시스템을 설계해야 하는데 연구나 실험이 충분히 뒷받침됨에도 변화하기 힘든 이유가 시스템을 통해 권력을 잡은 사람들은 이걸 원하지 않음 아무것도 없는 가장 처음에 잘 만든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

  • @_James_kim

    @_James_kim

    8 күн бұрын

    ai 가 철인 정치 해야하는것말곤 답이 없겠네요

  • @AK-xw5yc
    @AK-xw5ycАй бұрын

    수신료의 가치는 EBS만 하네

  • @user-ke2bj9vi2n

    @user-ke2bj9vi2n

    Ай бұрын

    일반인들이 이런걸 알면, 권력자들이 위험해지죠. 그래서 이렇게 좋은 방송이 점점 줄어드는 거죠. 본인들 자식들은 더욱 더 외국 사립학교로 보내서 주인교육 배워서, 돌아와 다시 일반국민을 이용하고~

  • @ryung320

    @ryung320

    25 күн бұрын

    검찰이 EBS 터는 이유

  • @DDD-zh9mn
    @DDD-zh9mnАй бұрын

    시스템으로 부패상황을 막을 수 있겠군요..우리나라는 이미 정치인들끼리 너무 친한 것 같습니다. 견제 시스템이 절실합니다

  • @corona__virus

    @corona__virus

    Ай бұрын

    이미 여야 견제중이잖아 이양반아;

  • @wet_hardtack

    @wet_hardtack

    Ай бұрын

    ​@@corona__virus 자신들의 권리를 뺐으려는 움직임이 보이는데도 그들이 대립할까요? 공통의 적이 있으면 그들도 연합을 하겠죠

  • @rotlqkf8290

    @rotlqkf8290

    Ай бұрын

    풉 ㅋㅋㅋ 웃기고 있네 그것도 인격수준이 높은 민족들 사이에서나 가능하지 이나라? 가능할거라 생각하냐? ㅋㅋㅋㅋ

  • @Demon_Hunter

    @Demon_Hunter

    Ай бұрын

    @@rotlqkf8290 선생님들 같은 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저는 로스쿨 부정입학 회유도 거부하고 진실밝히는 과정에서 저만 바보되게 되고, 여러가지 진흙탕 싸움으로 작업을 당했습니다. 공론화를 하려고 합니다. 일전에 동일 사건의 연장선상에 있던 일로 2014.09. 유엔인권위원회에 인권유린피해자로 공식보고된 적도 있습니다. 2016.05. 피디수첩에도 방송되었습니다. 힘을 모아주십시오.. 정치색없이 개인이라 자료들이 있어도 완전 바보꼴만 되고 있습니다

  • @Demon_Hunter

    @Demon_Hunter

    Ай бұрын

    @@rotlqkf8290 선생님들 같은 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제가 국내 부조리를 국제사회에 알리려고 프로젝트 준비중입니다. 부디조력을!

  • @user-oz8zk6jn8y
    @user-oz8zk6jn8yАй бұрын

    뉴욕에 오래 거주하는 노르웨이, 일본 외교관처럼... 일반인도 비슷한거같습니다. 어떠한 불법적인 일을 해보는데 별다른 제재나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면 '어? 괜찮네?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네?'라는 생각이 싹트고 계속 반복하게되고 일상이 되어 버리는거죠. 마음이 무뎌져버립니다. 간단하게는 신호위반처럼요.....

  • @user-jk9cu5mn3w

    @user-jk9cu5mn3w

    Ай бұрын

    역설적으로 소년법이 소년을 범죄자로 만듭니다. 원래는 어린 범죄자들을 강하게 처벌해 재기의 기회를 잃지 않도록 하자는 의도였지만, 범죄를 저질러도 제대로 처벌 받지 않는 사실을 들키면 그것은 원래는 범죄자가 되지 않았을 어린이까지 범죄자가 되게 하는 역효과를 냅니다.

  • @user-qt8hs3du7n
    @user-qt8hs3du7nАй бұрын

    비단 권력뿐 아니라 완장을 차면 사람이 확 변함.. 누군가의 인성을 알아보려면 그 사람에게 완장을 채워봐라 이런 소리가 괜히 있는게 아님 ㅋㅋ

  • @corsaentertainment7338

    @corsaentertainment7338

    Ай бұрын

    그 완장이라는게 타이틀에서 오는 권력을 말하는거 아닌가요?

  • @snejiqbrnb6171

    @snejiqbrnb6171

    Ай бұрын

    다시 한 번 샹각해보면 웃긴게 그 완장을 찬 사람을 본 사람들의 마음은 어떻냐 이거애요 그걸 본 사람들의 마음이 더 중요하다는 거죠 비열한 권력자들의 행동에 자포자기하고 옹호까지하는 게 대부분인 거 같네요

  • @grayit527

    @grayit527

    Ай бұрын

    님 영상보고 댓글 단거 맞음? 님이 말하는 그런사람들은 이미 '부폐'한 사람들임, 부폐했지만 권력을 얻지 못해서 정상인척하는거. 영상강의가 말하고자하는건 이런자들은 활용을 하되 권력을 줘선 안된다 그렇기위해선 제도적인 대비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임

  • @grayit527

    @grayit527

    Ай бұрын

    권력을 쥐고나서 돌변하는 사람은 '변한게'아니라 그저 표리부동이었을 뿐이라는 이야기

  • @user-qt8hs3du7n

    @user-qt8hs3du7n

    Ай бұрын

    @@grayit527 순진한 사람 ㅋ 너도 완장차면 변해

  • @Kim-he3cs
    @Kim-he3csАй бұрын

    정규 교육과정에 이런 과목을 필수로 넣어야 국가 발전이 있을듯요.👌👍

  • @PotatohandsKim

    @PotatohandsKim

    Ай бұрын

    완전 공감합니다

  • @whiterunner

    @whiterunner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시대에 맞춰 『정치』,『비즈니스』,『테크놀로지』 이 3가지는 정규 과목에 들어가야 한다고 봅니다.

  • @user-ff9bh9qd4o

    @user-ff9bh9qd4o

    Ай бұрын

    절대 안들어가죠. 사이코패스들이 막으니까요.

  • @nayo6561

    @nayo6561

    Ай бұрын

    ​@@user-rk3lr3xg8z 플라톤형님을 모르시나보네요? 그가 말한 명언 중 하나. "정치에 참여하기를 거부함으로써 받는 벌 중의 하나는 자신보다 못한 사람의 지배를 받는것이다." 정치가 천박하다니.. 그 생각이 천박한 인생을 만듭니다....

  • @corona__virus

    @corona__virus

    Ай бұрын

    저출산 80년뒤 인구 반의반토막이고 이미 저성장국가에 진입; 그냥 국가 발전집어치우고 샘알트먼의 기본소득제나 기다려 그게 세계적으로 평화롭고 인류발전에 도움되는길이다

  • @noname-gm3hh
    @noname-gm3hhАй бұрын

    옳지 못한 행동에는 반드시 귀결이 뒤따라야합니다. 전관예우 심신미약 특별사면 듣기도 싫은 네글자들

  • @carlyounsh
    @carlyounshАй бұрын

    우리 아이들은 이런 걸 배워야 합니다. 우리 어른들은 이런 걸 알고서 투표해야 합니다.

  • @johndoe8577

    @johndoe8577

    29 күн бұрын

    투표가 허상이며 개인의 민의가 사회를 바뀔 수 없는 시스템이라면? 우리는 앞으로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둬야 할 것임

  • @carlyounsh

    @carlyounsh

    29 күн бұрын

    @@johndoe8577 양쪽 어디를 찍어도 범죄자 뿐인 이 상태가 그 상황입니다 그래서 모두가 영상 본문의 내용을 보고 더 나은 사람을 뽑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하는 겁니다. [그 당]이니까 찍어주는 짓은 그만 하고 말이죠

  • @wtj5723

    @wtj5723

    15 күн бұрын

    190석 ㅋㅋㅋㅋ

  • @after718

    @after718

    Күн бұрын

    ​@@johndoe8577 그런 허무주의가 세상을 더 망치지

  • @johndoe8577

    @johndoe8577

    Күн бұрын

    @@after718 그치만 현실이 그런 허무주의에 바람을 불어넣는걸 그렇지 않는다고 믿는것은 그저 외면일뿐

  • @siyann9960
    @siyann9960Ай бұрын

    권력을 가지면 자기위에서 대가리 빠세나 등짝 스메쉬 해줄 사람이없어서 그렇습니다.ㅋㅋㅋㅋ 가정교육이 진짜 중요하죠

  • @dhy5343
    @dhy5343Ай бұрын

    진짜 위대한 수업이다. EBS....수신료의 가치 ㄹㅇ

  • @PotatohandsKim
    @PotatohandsKimАй бұрын

    위대한 수업 제작팀에게 교육부에서 훈장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snejiqbrnb6171
    @snejiqbrnb6171Ай бұрын

    저는 뭣도 아니지만 한 청년으로서 하고 싶은 말은… 국민들께서 스스로 한 분 한 분 잘 정직하게 바른 마음으로 사는 법을 잘 실천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한 마음 한 마음이 모여 그게 전체 국민성이 되는 날까지 이상적인 생각이라고 할지 몰라도 저는 한 사람의 마음이 세상을 크게 바꾼다고 생각합니다…

  • @leekanghee4603
    @leekanghee4603Ай бұрын

    현 한국사회에 필요한 명강의네요

  • @Wdirjhdvjjfjkeckk
    @Wdirjhdvjjfjkeckk29 күн бұрын

    "사람의 본성을 알고싶으면 권력을 쥐어줘봐라" 어디서 나온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좋아하는 말이에요

  • @Godseulgi

    @Godseulgi

    21 күн бұрын

    ㄹㅇ... 작은 권력이라도 쥐면 사람이 확확 바뀜

  • @Wdirjhdvjjfjkeckk

    @Wdirjhdvjjfjkeckk

    21 күн бұрын

    @@Godseulgi 저 스스로를 돌아봐도 납득하게 되는 말이라서요

  • @user-fl7pz7uu9c

    @user-fl7pz7uu9c

    8 күн бұрын

    아마 링컨 대통령이 했단 어록으로 기억함

  • @koreanmama6122
    @koreanmama6122Ай бұрын

    10:08 이거 너무 좋은 아이디어다. 모든 권력자들에게 이걸 시도했으면 좋겠다.

  • @rockugotcha

    @rockugotcha

    Ай бұрын

    예컨대 대통령한테요? 무슨 수로 대통령, 총리, 국회의장, 여야 당대표, 대법원장, 검찰총장을 상대로 기만 몰카를 찍죠? "짜잔 대통령님 거짓말이었습니다 하하"

  • @user-de6pp4hd9w

    @user-de6pp4hd9w

    Ай бұрын

    슬프게도 불가능하죠 영상에 나오신 분이 말하는 내용이 제가 생각한 것과 거의 90퍼센트 이상 일치하는데 문제는 실현 시킬 방법이 없어요 저걸 실현하려면 지금의 권력자가 저런 시스템을 한날한시에 강제적으로 적용해야 하는데 저 말이 맞다면 현재 권력자는 사이코패스, 나르시시즘, 마키아벨리즘에 빠진 사람들인데 절대로 그런 사람들이 그런 일을 할 리가 없어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모든 국민들이 한 번에 혁명을 통해서 권력자를 몰아내고 나라를 새로 정립할 때 시스템을 저런 식으로 만들면 되는데 이것도 가능성이 너무 낮아요 왜냐하면 국민들은 개돼지들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어디까지나 이론일 뿐이지 현실에서 실현될 수가 없어요

  • @dokkom

    @dokkom

    Ай бұрын

    윤리적으로 혹은 법적으로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죠. 굉장히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양심이 흔들릴 만한 상황을 미리 셋팅해두고 누군가 범법을 저지르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행위니까요. 흔히 '함정 수사'라고 하죠. 그 상황에서 아무것도 모르는 무고한 A가 타락의 길을 선택했을 때, 그 책임은 온전히 A에게만 있는가 아니면 그러한 선택의 갈림길을 셋팅해 둔 사회 시스템에게도 일부 있는가 하는 문제가 상당히 골치 아플 거 거든요. 우리 모두 부패한 권력에 대해 분노하고 실망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합리적이고 지혜로운 대항을 마련하는 일은 여전히 어려운 숙제입니다. 부패한 권력에 대한 급진적 반발이 또다른 부패한 권력으로 자라난 선례가 역사적으로 너무 많기도 하구요...ㅠ 쉽지 않네요.

  • @user-de6pp4hd9w

    @user-de6pp4hd9w

    Ай бұрын

    @@dokkom 근데 함정 수사랑은 좀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함정수사는 범죄자 또는 잠재 범죄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위 영상의 방법은 권력자 중에서 권력을 가지면 안되는 사람을 걸러내기 위해서 사용하는거니까요 대상이 다르다고 봅니다 애시당초에 윤리적인 부분을 생각하면 우리는 사회에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어요 윤리적인 기준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사회적인 제도나 법은 없으니까요

  • @hagjeog

    @hagjeog

    Ай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위 글에서 말하신 A의 경우엔 사회의 잘못은 없다고 봅니다. A가 그렇게 타락의 길을 선택하면 결국 부패한 사람인 것 같은데요. 무고하다고 보기도 어렵고 사회에도 책임은 없다고 생각합니다​@@dokkom

  • @user-rb8yj3pv7w
    @user-rb8yj3pv7wАй бұрын

    이런 연구가 있기 때문에 세상이 더 정의로운 곳으로 발전하는 거라고 봅니다. 대단한 분들~

  • @hyades7
    @hyades7Ай бұрын

    아쉽게도 우리나라 정치인의 99%가 이에 해당하는것 같다.

  • @naturalsense9584
    @naturalsense9584Ай бұрын

    우리 사회에 처벌이 강해야 하는 이유.

  • @user-vr7du2hc6e

    @user-vr7du2hc6e

    Ай бұрын

    정답!

  • @rotlqkf8290

    @rotlqkf8290

    Ай бұрын

    즤랄한다... 이미 영국에서 강력한 처벌을 하는 시대가 있었지만 인간들은 ‘에잇 뭐 어차피 법이 강해서 인생 끝장이라 더 시원하게 범죄 저지르자’ 하는 심리때문에 더 사회가 혼란스러웠던 시대가 있었어 멍청아

  • @user-hw4so2hc4e

    @user-hw4so2hc4e

    Ай бұрын

    근거도 붙여주세요. 지식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것 같은데

  • @info_biz

    @info_biz

    29 күн бұрын

    엄벌주의와 엄벌은 다른 것임. 처벌만 강하면 모든게 해결 된다? 이건 엄벌주의고 부작용이 더 큼

  • @youdieee

    @youdieee

    29 күн бұрын

    뭔 논리래

  • @zn5848
    @zn5848Күн бұрын

    보이지 않는 카메라가 날 감시하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청렴하게 살아가면 되겠군요…근데 그걸 지키는 사람만 지키고 정작 지켜야 할 사람들은 안 하니…문제죠😢

  • @tototoday7609
    @tototoday7609Ай бұрын

    피상적 매력.. 나르시스트를 말해주는 적절한 단어인듯요. 뭔가,.본인의 자연스러움이 아닌, 꾸며낸듯해서 너무 부자연스러움

  • @user-ki1ye1kd1w

    @user-ki1ye1kd1w

    Ай бұрын

    맞아요. 그리고 그런 사람들은 자신이 뱉은 말을 지키지 않고 막상 그 상황이 되면 딴말을 해요. 가끔 보면 같은 서람이 맞나 싶을 정도로 이중인격 같아요. 우리는 이런 앞뒤가 다른 사람들을 권력에서 배제해야한다고 생각해요.

  • @liketylenol3252

    @liketylenol3252

    24 күн бұрын

    ㄹㅇ 이재명 같은 사람이죠...너무 나빠요😢

  • @choconaga

    @choconaga

    16 күн бұрын

    피상적 매력은 사이코패스 설명이지 나르시스트랑은 관련 없는 것 같은데요

  • @Darkhorse_cosmos
    @Darkhorse_cosmosАй бұрын

    왜 이 시점에 이게 뜨냐 ㅋㅋㅋㅋ 알고리즘 진짜 무섭네.

  • @NoobJaeHope

    @NoobJaeHope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 @llW

    @llW

    Ай бұрын

    누구 말해요? 윤,방,문?

  • @user-rp8hx5ls5j

    @user-rp8hx5ls5j

    Ай бұрын

    ​@@llW 전부

  • @Jipzoong

    @Jipzoong

    29 күн бұрын

    여야 둘다죠. 전과자인 당대표도 명품가방받은 대통령도...

  • @zeroq2082

    @zeroq2082

    29 күн бұрын

    정치인은 다 똑같음

  • @phil_lab
    @phil_lab24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연입니다 권력에 관심 없는 사람을 리더의 자리로 끌어들여라 권력은 부담이고 밤에 잠 못 들게 만드는 자리라고 생각하는 사람 목표를 이루었을 때 권력을 내려놓을 수 있는 사람

  • @cliche9660
    @cliche9660Ай бұрын

    민희진 인터뷰 보고나니 왜 이게 피드에 뜨지? 너무 정곡을 찌른 유투브 알고리즘 ㅠ

  • @bibizzz1900

    @bibizzz1900

    Ай бұрын

    알고리즘이 돌았나봐요~^^

  • @liketylenol3252

    @liketylenol3252

    24 күн бұрын

    배신자 방시혁하고 관련돼서 그런거 같아요~ 모두가 동의하듯 방의장의 정곡을 확실하게 콕 찔렀죠😊

  • @baksa8545

    @baksa8545

    24 күн бұрын

    어린 애들 얼굴보고 뽑아서 아이돌시키고 방송시키는 회사가 뭐이렇게 영향력이 크냐

  • @geeyespark4245
    @geeyespark4245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전국민이 봐야할 중요한 영상이네요. 지금 시점에 더욱 필요한 영상이고, 특히 고등학교 교육과정에는 이런 정도의 내용이 포함되면 좋겠습니다. 성숙한 민주주의를 이하여 국민들이 학창시절부터 정치와 권력의 속성에 대하여 알아갈 수 있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해 보입니다.

  • @jennyinca
    @jennyincaАй бұрын

    좋은 강의입니다.

  • @peterkim1542
    @peterkim1542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프로그램이네요. 내용도 좋고 영어도.

  • @user-pm8tz7ox3u
    @user-pm8tz7ox3u9 күн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 @Andrew-ee2ft
    @Andrew-ee2ftАй бұрын

    명강의!

  • @hannahlee4768
    @hannahlee476816 күн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lq3os2im4k
    @user-lq3os2im4kАй бұрын

    굳굳❤

  • @monjimoongchi
    @monjimoongchiАй бұрын

    와. 감동

  • @Hobbymate117-xr9zq
    @Hobbymate117-xr9zqАй бұрын

    이 영상이 좋아요❤

  • @doki5951
    @doki595129 күн бұрын

    이거 진짜 좋다...

  • @ycajal
    @ycajal25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이다......

  • @user-xt3hx6dk9w
    @user-xt3hx6dk9wАй бұрын

    이거 꼭 봐야한다

  • @user-kx7os3ti9k
    @user-kx7os3ti9kАй бұрын

    소름돋는 명강의였습니다 🎉🎉🎉👍👍👍🙉

  • @kahlenj6792
    @kahlenj6792Ай бұрын

    최고의 강의! 평생 본 컨텐츠들 중 가장 좋은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위대한수업 시리즈가 계속되었으면 좋겠어요!

  • @jiinoh9065
    @jiinoh906511 күн бұрын

    최고의 수업

  • @user-kt6kd5lu8k
    @user-kt6kd5lu8kАй бұрын

    잘 배웠습니다. 사소한 힘이라도 그 힘의 무게를 가볍게 여기지 않겠습니다.

  • @michelangelomerisidacarava
    @michelangelomerisidacaravaАй бұрын

    시기적절한 다큐다..

  • @insomniaff15
    @insomniaff1515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인데 와중에 딕션이랑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ASMR듣는 기분이에요😂

  •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Ай бұрын

    자라나는 세대를 위해 꼭 필요한 것 같아요. 교육에도 참고하여 다양한 분야에 이런 프로그램과 함께하면 좋겠네요. 유익한 내용이라 널리 알리고 싶어요!

  • @user-ng5mo1uc9t
    @user-ng5mo1uc9tАй бұрын

    어떤 사람들이 각 분야의 리더들이 되는지 보면 그게 그 집단의 수준. 악한 놈들이 리더가 되는 집단은 곧 망할 집단.

  • @yeonc3908

    @yeonc3908

    Ай бұрын

    운석옇

  • @origin_11101

    @origin_11101

    Ай бұрын

    @@yeonc3908 대가리가 어떻게 되었길래 점명이가 떠오르지 않고 윤이 떠오르나?

  • @idbrave
    @idbraveАй бұрын

    듣기평가 하는거같아요. 발음이 너무좋고 머리에딱딱 꼿힘

  • @user-uj7lw4gd6k
    @user-uj7lw4gd6kАй бұрын

    나쁜 권력자가 나오지 않도록 시스템을 만드는 일! 중요한 것 같네요.

  • @user-lp2jm6ul6b
    @user-lp2jm6ul6bАй бұрын

    고등학교 졸업한지 오래지만 이런 내용들을 비문학으로 접하거나 입시 논술평가로 다루면 입시결과를 떠나서 미래에 훌륭한 인물들을 배출시키는 확률을 높여준다고 믿고싶네요

  • @paxjay0
    @paxjay0Ай бұрын

    흥미로운 컨텐츠였습니다. 청렴과 부패의 척도도 중요하겠지만, 공무능력과 책임을 짊어지면서까지의 봉사정신을 어떻게 판단할수 있을지도 궁금하네요!

  • @dundundun280
    @dundundun28013 күн бұрын

    이분 진짜 최고

  • @apoyoproject
    @apoyoprojectАй бұрын

    전국민이 이걸 알고 사회적 의제로 만들어갔으면 좋겠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일이 아닐까 싶어요. 정치 혐오를 끝낼 길이 아닐까요? EBS 감사합니다🙏

  • @jssr.a.studio
    @jssr.a.studio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나르시시즘, 사이코패스, 마키아벨리즘, 피상적매력, 자기선택편향, 진화적불일치 정말 좋은 컨텐츠 입니다. 무엇보다도 인성과 능력을 보고 선택하기 보다는 피상적 매력을 보고 선택한다는 점이 기억에 남네요. 또한, 정치에서 도덕과 윤리를 별개로 보지 않는 부분도 공감 합니다. 자본주의 컨텐츠도 잘 봤는데 또 이런 좋은 컨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w8uq1rj9m
    @user-zw8uq1rj9mАй бұрын

    모든 현재 진행 중인 문제에 통용되는 마지막 질문은 '그래서 어떻게 현재 부패해있는 권력가들을 내려가게 하고 시스템을 재설계할 것인가?' 이지 않을까요? 모든 사람이 교통 시스템을 자율주행과 전기차를 염두해두고 처음부터 다시 설계하면 훨씬 더 좋은 미래가 다가올 것이라는걸 알지만 어느 누구도 뾰족한 해결책은 내놓지 못하듯이 권력 시스템을 현재까지 연구된 개념들을 토대로 새로 설계하면 좋다는 것을 알지만 어느 누구도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 한다는 점에서 해결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같네요

  • @jamiehuh301
    @jamiehuh301Ай бұрын

    남자들은 군대에서 이걸 확실히 느끼고옴.. 착하고 순하던 고참도 병장달고 최고참 되는순간 숨겨져 있는 악마성이 튀어나오더라. 한놈도 예외없었음.. 인간의 진짜모습을 보려면 완장을 채워보면 됨 ㅋㅋ

  • @user-vi2eh5kb7e

    @user-vi2eh5kb7e

    27 күн бұрын

    난 다 귀찮던데.. 후임들, 부대에 관심 ㅈ도 없었음

  • @Jigosang

    @Jigosang

    17 күн бұрын

    느끼고 오는건 맞는데 한명도 예외없다는건 공감 못하겠음

  • @jaesilmoon2656

    @jaesilmoon2656

    13 күн бұрын

    100% 맞는말씀.그래서 일제 강점기에 일본이 한국인에게 완장을 채웠던것임.완장(즉 권력)을 채워보면 그 사람을 알수있음

  • @user-ho1iz2do7r

    @user-ho1iz2do7r

    11 күн бұрын

    너포함 너네 부대가 유독그랬나보지. 한명도 예외없진 않아. ㅋㅋㅋ 너가 악마였던걸 합리화 하는거 같음 ㅎㅎ

  • @jhrhew
    @jhrhewАй бұрын

    브라이언 클라스가 쓴 권력 부패를 읽었는데 영상으로 저자 직요약을 보게 되어 좋습니다. 권력에 대한 예리한 통찰이 있는 반면 그가 제시하는 방법들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지는 잘 모르겠네요. 이문열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묘사한 것처럼 사회가 영웅을 원하기 때문에 일그러진 자가 권력을 갖게 됩니다.

  • @polarisp5060
    @polarisp5060Күн бұрын

    시스템을 한 번에 갈아엎을 수는 없으니, 개개인이 보다 적극적으로 권력을 지켜보는 것부터 시작할 수 있겠네요. 정보공개청구부터 해보려고 합니다.

  • @YuzaSan13
    @YuzaSan1316 күн бұрын

    Everyone who are in CEO or management should watch this. Abusive power is the worst thing for any institution , no matter the size or shape. Amazingly useful lecture!!!

  • @futuretour
    @futuretourАй бұрын

    1뜽!

  • @luck7478
    @luck747820 күн бұрын

    와 이걸 공자로 본다 ㅋㅋㅋㅋ 진짜 갓비에스 감사합니다

  • @michaels8634
    @michaels8634Ай бұрын

    굿

  • @jda2011
    @jda2011Ай бұрын

    순환하지 않아서 부패한 사례가 많습니다. 이런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사이코패스, 마키아벨리즘, 나르시시즘'을 가진 사람을 경계하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cd4cr5tl6x
    @user-cd4cr5tl6x28 күн бұрын

    너무나 사람들을 깨닫게 해주는 영상이 넘치니 압수수색인가

  • @user-dc4rk1od8b
    @user-dc4rk1od8bАй бұрын

    범죄혐의자 전과자 범죄자 사기꾼 거짓말 밥 먹듯이 하는 자 선동꾼 막말하는 자들이 득실득실한 국회를 어찌해야하나요?

  • @info_biz

    @info_biz

    29 күн бұрын

    선거법, 선거제도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선거법이 양당제를 공고히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양당제가 불량정치인들을 양산하는 바탕이 됩니다.

  • @info_biz

    @info_biz

    29 күн бұрын

    그렇다고 네덜란드처럼 소수정당이 지나치게 난립해도 안되지만, 지금과 같은 양당제를 깨야 불량정치인들을 걸러낼 수 있을 겁니다.

  • @proletariat77
    @proletariat77Ай бұрын

    음~투표 전 날 조금이라도 덜 나쁜넘 뽑으러 갑니다😢

  • @nobroblem1
    @nobroblem117 күн бұрын

    This is best EBS lecture 지금 이시대에 면책특권이 있다는게 이해가 안되네요

  • @dongu2953
    @dongu2953Ай бұрын

    문제는 이걸 법으로 막아놓은거죠.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였군요

  • @laurenkylian9974
    @laurenkylian9974Ай бұрын

    권력에는 책임이 따라야하고 그 책임은 권력자에게 불편함을 줄 정도여야한다...인가..

  • @polypolyweb
    @polypolywebАй бұрын

    지금 시기에 딱 맞네요

  • @goldwellness752
    @goldwellness752Ай бұрын

    어둠의 3요소...정신과교수가 어떤 정치인을 두고 사이코패스라 했죠. 마카아벨리즘도 그 정치인이네요. 우리 모두 깨어있는 시민이 되길... 영상을 보며 바래봅니다.

  • @heyni9892
    @heyni989225 күн бұрын

    서울의 봄이 생각나네요

  • @kyw1125
    @kyw112528 күн бұрын

    알고리즘 폼 미쳤네~ ㅋㅋ

  • @Miracle_N
    @Miracle_NАй бұрын

    이분이 쓰신 책, 권력의 심리학 읽어보세요. 재밌습니다 ㅎㅎ

  • @SCLee-sh4sy
    @SCLee-sh4syАй бұрын

    이런 강의는 전 국민이 교양적인 차원에서 꼭 다들 알아야된다고 보이네요. 잘 봤습니다.

  • @stoneha1
    @stoneha1Ай бұрын

    디올백

  • @nateriver7702
    @nateriver770229 күн бұрын

    권력이 없을땐 숨겨야만 했던 본성이 권력이 생기면 나오는 거죠. 사람이 변하는 게 아니에요.

  • @user-ke2bj9vi2n
    @user-ke2bj9vi2nАй бұрын

    최동석 소장님이 강조하는 부분과 일치하네요.

  • @user-hg7ko4ns2e
    @user-hg7ko4ns2eАй бұрын

    👍👍👍

  •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Ай бұрын

    How can we apply this 우리나라 국회에도 교회에도 활용하기 힘들거다

  • @g1j680
    @g1j6809 күн бұрын

    인간의 본성이 어느정도의 규율이 필요한거 같네요~ 아이 키울때도 도움 되는 것 같아요- 사랑한다고 애지중지만 하며 너무 풀어주면 개판 되는거임..

  • @user-ls9ru4jn8y
    @user-ls9ru4jn8yАй бұрын

    인간은 자신이 감시당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면 악행을 저지르지 못한다.

  • @Coachdaniel5067
    @Coachdaniel5067Ай бұрын

    피트니스에 종사하면서 이런현상을 종종 보게 됩니디.

  • @heiwatouitsu
    @heiwatouitsuАй бұрын

    어둠의 3요소라..2요소가 충족된 분이 어디 계신거 같은데..ㅋㅋㅋㅋ

  • @goldwellness752

    @goldwellness752

    Ай бұрын

    저도 알아아요~ 지금 재판중인 어떤 사람ㅋㅋ

  • @Seokyeol-Yoon
    @Seokyeol-Yoon11 күн бұрын

    현시대에 딱 맞는 영상이다. 예로부터 독재자들이 혼란을 틈타 집권한 이유가 있음. 권력을 위해서 사람 죽이는 건 벌레 죽이듯이 죽이니 ㅉㅉ

  • @peterpark8486

    @peterpark8486

    18 сағат бұрын

    어느 독재자가 누가 누굴 죽임?

  • @djlsofjbpiwe9657
    @djlsofjbpiwe9657Ай бұрын

    그런데 요즘에는 왜 더빙 아니고 자막으로 나오나요? 글을 모르는 어르신들도 이런 좋은 내용 알 수 있게 도와주세요~

  • @murmusic
    @murmusicАй бұрын

    순환제도는 비슷하게나마 조선시대 때도 시행했던걸로 아는데… 나중에는 결국 전문성 문제도 일어나고 부패도 일어났다는 점.

  • @user-xw1th5jc6e
    @user-xw1th5jc6e29 күн бұрын

    권력 가져보고싶네요 돈도

  • @user-js4kq8iq2k
    @user-js4kq8iq2kАй бұрын

    👍🏻

  • @woong5381
    @woong538125 күн бұрын

    꽤 오래 생각한 것 중 하나가 비슷한 건데, 세상엔 두 가지 유형의 인재가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하나는 야망형 인재고, 하나는 너드형 인재라고요. 야망을 가진 사람 (그 중에서도 실력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상당히 많은 노력을 하고, 그 때문에 일처리도 좋은 편이고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위치에도 잘 오른다고 생각해요. 문제는 본인의 궁극적 목적이 따로 있던 만큼, 권력자가 된 이후에는 돈이나 권력 등의 보상이 본인에게 나타나야 한다는 거죠. 이게 여태까지 우리 나라가 가장 추구하던 인재상이고, 그 때문에 우리나라가 인재를 걸러내는 절차는 꽤나 공정해 보이면서도 (수능, 채용 등) 마지막 결과는 막상 또 애매하게 되는 (결정권자의 이상한 판단) 상황이 계속 나오는 거라 생각하고요. 반면 너드 타입들은 '오르기 위해 실력을 갖춘' 게 아니라 '실력을 갖췄기 때문에 오른' 거다 보니 막상 결정권자의 권력에 욕심도 별로 없고, 올라도 냉철하게 바라보게 되는 그림이 만들어질 거라 생각해요. 그래서 궁극적으론 이런 유형들이 결정권자의 자리를 차지하는 비율을 늘리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한국에 이를 대입해 봤을 때, 예전이라면 시스템도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런 사람들 뽑겠다고 덤볐다간 실력도 없고 권력도 막상 주어지면 마구 휘두를 사람이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및 국민 인식이 자리잡을 때까진 위의 방식으로 야망형 인간을 올리는 게 가장 정답이었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이후로는 변화를 좀 줘봐도 되지 않을까 생각했었습니다. 이를테면, 의원 선출 시 약 5 % 정도는 선거가 아닌 랜덤 선출을 하는 겁니다. 물론 완전 랜덤은 아니고, 살아오면서 치뤘던 다양한 시험이나 평판 등을 통해 옳은 판단을 내릴 만한 최소한의 판단력, 지식, 도덕성을 갖췄는 지를 확인해 후보를 추려놓고 (투표권을 가진 전 국민 중 정말 랜덤으로 뽑아 각 항목 당 상위 70 %가 안 되면 탈락), 그 후 따로 시험을 치뤄 (지식보다는 논리력을 우선 순위로) 최종 선출하는 식으로요. 그 후로 결과에 따라서 비율을 조금씩 늘리거나 줄이는 식으로 운영하면 어떨까 생각해봤습니다. 여기까지가 혼자 생각해보던 개똥철학 느낌이었는데 (특히 마지막 예시), 영상 내 전문가의 말이랑 어느 정도 결이 맞는 부분이 있어서 신난 김에 한 번 뱉어봤습니다.

  • @user-bq1tw8ge6x
    @user-bq1tw8ge6xАй бұрын

    갑자기 뜨네 이게 ㅋㅋㅋ 이시점에

  • @user-jx2wl6jc6m
    @user-jx2wl6jc6m11 күн бұрын

    만화로된 책이긴 한데, 내용이 자신이 법을 만들고 살아갈 나라에서, 자신의 인종이 우세한가 아닌가를 모르면 대체로 평등한 결과가 나온다는 내용이 영상의 무작위성이랑 관련있지 않을까 싶내요 초딩때 읽어서 내용이 틀릴수도 있어요

  • @JasonLee-is3kj
    @JasonLee-is3kjАй бұрын

    권력을 목표로 했던 사람. 그리고 목표를 이룬 순간 모든걸 내팽개친 사람... 누군가가 계속 떠오르는데.....

  • @sangmishon1083
    @sangmishon1083Ай бұрын

    더빙을 해 주실 계획은 없으신지요? 저희 엄마가 좋아하시는데 자막으로 읽으니 너무 빨라서 따라가기 힘들다고 하세요. 더 많은 분들이 위대한 수업을 볼 수 있도록 더빙이 되면 좋겠습니다.

  • @jj_1037

    @jj_1037

    Ай бұрын

    재생 속도를 느리게 해보세요. 더빙보다 자막 읽는게 그나마 외국어 공부에 더 좋아요

  • @user-nemo1015
    @user-nemo101520 күн бұрын

    적용되는 범위가 대다수의 일반적인 수준의 사람들인 경우에는 당연히 시스템이 없으면 통제가 불가능하죠 시스템없이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은 아주 극 소수의 특별한 사람들이고요

  • @user-ge1eb5it2d
    @user-ge1eb5it2d8 күн бұрын

    미스테리쇼퍼와 같은 개념이네... 문제는 우리나라는 감시자들도 부패했어요... 그리고 권력자들이 대부분이 권력을 원하는 불나방들이고 그들은 서로 친밀하기까지... 국회의원들 2선 이상 못하게 해야겠어요

  • @user-ly4zo5zw8o
    @user-ly4zo5zw8oАй бұрын

    신시나투스는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결국 입법부와 행정부에 신시나투스가 앉기 위해선 그런 시스템을 조성해야 하는데, 그런 시스템을 조성할 수 있는 권력을 가진 자들이 현재 신시나투스와 같지 못 하다면? 이미 권좌를 공고히 한 이들을 대체 어떻게 전부 갈아치우고 그 자리에 신시나투스들이 앉을 수 있나요?

  • @user-ws7mg6mo8m
    @user-ws7mg6mo8m14 күн бұрын

    육군 장교인데, 보통 사람이 생각하는 '권력'이랑은 비교도 안될 정도로 작은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모든 규정을 지키면서 올바르게 권력을 발휘하는 일은 상상이상으로 힘든 것 같아요.

  • @man4c735
    @man4c735Ай бұрын

    그냥 자기에게 유리하면 선이고 불리하면 악이라는 걸 깨닫게 되는 순간부터 이제 어른이 됩니다

  • @user-ml9um9sj6l
    @user-ml9um9sj6lАй бұрын

    자본주의 사회와 민주주의가 존재하는 한 인간은 경쟁적이지 않을 수 없다. 선과 악보다는 '경쟁' 이라는 요소가 인간을 악의의 유혹에 쉽게 빠지게 만든다. 인간을 바꾸는 것은 환경과 상황 그리고 시스템이다. 이 환경과 상황 그리고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는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

  • @user-pu6ok1pp2g
    @user-pu6ok1pp2gАй бұрын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하는 사람이 권력자이다...

  • @Ultratext12345
    @Ultratext12345Ай бұрын

    1:56 2:18 이게 완벽한 해석이 아닐수 있는게 선진국들은 같은 선진국에 시스템을 이해하거나 정보가 원할하게 도는 편인지만 선진국이 아닌나라는 외계인 행성 에서 사는것처럼 법에 대한 이해도나 정보 자체가 전달되지 못하는는 문제가 있죠 그리고 이런 발언은 조심해서 해야 하는게 그 나라에 선입견 으로 작용되거나 역시 후진국은 이미지가 하등해 라는게 생기기 좋죠

  • @eugenedelacroix5081
    @eugenedelacroix508126 күн бұрын

    시스템을 만드는 이들이 이미 권력자인데, 그들이 자신을 규제하는 시스템을 만들려고 할까요?

  • @eunmicounce6778
    @eunmicounce6778Ай бұрын

    모든 나라에 이 강연주제가 정규과목으로 채택 되다면 세상이 어마무시하게 바뀔 겁니다. 모두가 행복 힐 수 있게 말이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