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3일★풀버전] 서울의 100년 한옥마을, 익선동 166번지에서 벌어지는 새로운 변화! | “익선동 166번지 서울의 100년 한옥마을” (KBS 160228 방송)

Ойын-сауық

다큐멘터리 3일 (일요일 밤 11시 5분 KBS 2TV)
“익선동 166번지 서울의 100년 한옥마을”
서울, 종로구 익선동 166번지,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한옥마을.
그곳에는 100여년 세월을 지켜온 낡고 소박한 한옥 110여채가 모인 마을이 있다.
그리고...수십 년, 한옥에 기대어 살아온 익선동 토박이들과 한옥을 개조해 개성있는 가게들을 오픈한 젊은 창업자들의 이야기.
서울의 옛날, 그리고 변화하는 오늘의 모습을 만날 수 있는 익선동 한옥마을의 72시간이다.
※ [다큐3일] 인기 풀영상 보기
엄마라는 이름으로 - 광주 영아 일시 보호소 72시간 • Video
혹한의 GOP 3일간의기록 • [다큐3일★풀버전] ★살기 위해 눈을 치...
부산 범어사 72시간 • [다큐3일★풀버전] 행복하십니까? 동안거...
나를 이기는 길 이기자 부대 수색대 무박 4일 • [다큐3일★풀버전] 중도 탈락률 30% ...
강원도의 힘 정선 5일장 • [다큐3일★풀버전] 푸근하고 정겨운 대표...
한 잔의 위로 용산 포장마차촌 72시간 • [다큐3일📸] 빌딩 숲속 작은 포장마차가...
다시 심장이 뛴다 - 대학병원 흉부외과 • [다큐3일] 다시 심장이 뛴다 - 대학병...
신림동 고시촌 3일 • [다큐3일] 신림동 고시촌 3일 [풀영상]
미혼여성 임대아파트 3일 • [다큐3일] 스무살의 상경기 (미혼여성 ...
#익선동 #레트로골목 #한옥마을

Пікірлер: 56

  • @user-ix8bq6po8g
    @user-ix8bq6po8g3 жыл бұрын

    익선동 166번지는 철종의 아버지인 전계대원군이 살았고, 철종이 태어나서 살았던 곳입니다. 그래서 역사에서는 누동궁이라고 부릅니다. 지금의 한옥은 1932년경 정세권이라는 분이 지은 개량한옥입니다. 현재 북촌의 한옥도 정세권이라는 분이 지은 건물입니다. 혜화동, 성북동, 삼선교, 왕십리 등의 한옥은 대부분 정세권선생이 지은 것입니다. 정세권선생은 여기서 창출된 이익을 조선어학회, 조선물산장려 운동 등 민족운동에 지원한 민족운동가입니다. 1990년 건국애국장을 받으셨습니다.

  • @user-uu4cw6fp2l

    @user-uu4cw6fp2l

    3 жыл бұрын

    배우고 갑니다

  • @user-jn9hk1tj1z

    @user-jn9hk1tj1z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잘 읽구 갑니다~

  • @seas_shore
    @seas_shore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전형적인 n번째 젠트리피케이션 동네가 되어버린 곳

  • @user-uo3xo7he4n
    @user-uo3xo7he4n3 жыл бұрын

    임대료가 오르면 더는 못한다는 세탁소 사장님 말씀.. 지금은 저 중 몇 분이나 자리를 지키고 계실지.. 먹먹합니다

  • @user-fv2zi5go3y
    @user-fv2zi5go3y2 жыл бұрын

    나는 최희준씨 옆집에 살았었는데 익선동가서 아무리 찿아봐도 못 찿았는데 알려주시니 반갑네요 그 어린 시절 너무나 그립다.

  • @sudalchingu
    @sudalchingu6 ай бұрын

    익선동 요즘에 아주 핫한 곳으로 유명하죠. 맛집과 좋은 카페들로 가득해서 젊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입니다. 그나저나 한옥마을로 이루어진 곳이라 더욱 더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 한때는, 소소한 일상으로 생활하던 주민들 모습이었지만, 최근에 익선동은 아기자기한 모습으로 변해있어 참 세상의 세월이 가긴 가는 가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xs7go4mf6j
    @user-xs7go4mf6j2 жыл бұрын

    익선동 제발 재개발이니 아파트같은거 들어서지말고 보존되었으면 좋겠어요🙏

  • @mijapark5986
    @mijapark59863 жыл бұрын

    나도 국민교 입학전에 살었던 동네였는데 이동네는 포목점을 생업으로 하는집들이많었다, 요리집도 많아서 기생들의 살림집로 줄비했던 동네 익선동

  • @user-hl6eo1lc4j
    @user-hl6eo1lc4j Жыл бұрын

    꼭 한번 가보고 싶네요 어렸을적 친구들과 골목길에서 공차고 팽이치고 놀았던기억이 떠오르네요 요즘같은 아파트숲에선 골목길 찾기 힘든데 아직도 서울에 저런곳이 있다니 보물같은 장소네요

  • @texaskoreana6678
    @texaskoreana66783 жыл бұрын

    꼭 가보고 싶네요

  • @shinjuhyun100
    @shinjuhyun1003 жыл бұрын

    건물주, 땅주인들 자꾸 가격올리니까 결국 익선동도 을지로도 여기저기 시간이지날수록 다망하는거지

  • @yune5597

    @yune5597

    3 жыл бұрын

    ㅜㅡㅜ아쉽네요. 가보지도 못했는데

  • @honshin23

    @honshin23

    3 жыл бұрын

    익선동이 가능했던게 종로 자체가 궁궐과 청와대가 존재해서 건물 올리는데 규제가 많음. 그거 아니었으면 진작 다 철거되고 빌딩 올라갔을거임...

  • @th-bc4qq

    @th-bc4qq

    2 жыл бұрын

    서울중심인데 가격이 비싸건 당한거임

  • @user-cp7ju4rd4c
    @user-cp7ju4rd4c2 жыл бұрын

    익선동 도시화의 오염으로 상가임대료도 비싸고 그런 이유로 모든 물가가 어울리지 않게 비싼동네...코로나로 많이 상처가 나고있는 등네 입니다...

  • @user-pc4sn5og8i
    @user-pc4sn5og8i3 жыл бұрын

    17~18년도에는 새롭고 신기해서 갔는데... 지금은 딱히 비싸기만한 동네

  • @honshin23

    @honshin23

    3 жыл бұрын

    전통을 경험하고 지키는데 그정도 비용은 감수해야죠.

  • @user-ut6is1cz3t
    @user-ut6is1cz3t3 жыл бұрын

    익선동 주택이 한옥이라. . . 지붕을 기와로 얹었으니까 한옥이라면 한옥이지만. . .. 옛날 집장수들이 당시 기준에 대량으로 지어 팔았던 집장수 한옥이지. 이런 주택들의 명칭은 아무래도 좋다. 그리운 것은 주택건물이 아니라 주택에 살다 떠난 많은 토박이 사람들. . . 이웃사촌들, 살가운 인정들. . . 이제는 어디에도 없는 무형의 사라진 그리움들. . .

  • @parrotcarrot119
    @parrotcarrot1193 жыл бұрын

    오 1등! 익선동 초기 이야기네요~ 재밌게 봤었는데 :)

  • @user-lj9ll5fv4e
    @user-lj9ll5fv4e2 жыл бұрын

    6:28 진짜 동안이시다……

  • @user-er2lb5kd4m
    @user-er2lb5kd4m3 жыл бұрын

    찐빵 4개에 2만원돈하는거보고 손절침

  • @mimi-uz9yh
    @mimi-uz9yh2 жыл бұрын

    한때는, 소소한 일상으로 생활하던 주민들 모습이었군요,얼마전 익선동 갔다왔는데, 아기자기하게 변해있더군요^ 다큐제작년도 도 기제해 주셨으면 합니다^-

  • @KBJStyle
    @KBJStyle2 жыл бұрын

    드라마 세트를 보는것같은곳이네요~!

  • @ermwp
    @ermwp3 жыл бұрын

    코로나가 없던 저때가 그립네요~~ㅜ

  • @younglee59

    @younglee59

    3 жыл бұрын

    ㅇㅈ.

  • @h6292

    @h6292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마스크를 왜 안쓰지? 하다 뒤늦게 방영날짜를 보고는 저 때가 그리워지네요.

  • @user-pn9py2ht5t
    @user-pn9py2ht5t25 күн бұрын

    32:35 멋잇다..

  • @user-qt3lu6lk2g
    @user-qt3lu6lk2g2 жыл бұрын

    이익선 기상캐스터가 그립다

  • @haigabavtqqtfafahg
    @haigabavtqqtfafahg Жыл бұрын

    49:38 거리었으면x 거리였으면o

  • @user-oc6sz7wh1t
    @user-oc6sz7wh1t8 ай бұрын

    벌거벗은 한국사 정세권 선생님 나왔던 편보고 보니 더 재밌네요~ 저 모든 한옥은 정세권 선생님이 지으신것입니다. 북촌도 그렇고

  • @user-jx9ie8wn5k
    @user-jx9ie8wn5k3 жыл бұрын

    gentrification,,,,,,연남,,,익선,,,을지로,,,다 결국 똑같은 물가 폭발 엔딩

  • @user-zc6nz6wd9h
    @user-zc6nz6wd9h Жыл бұрын

    옛것도 잘보존되어야 추억과 역사

  • @MrCha-yq3yb
    @MrCha-yq3yb2 жыл бұрын

    와ㅎㅎㅎ 익선동 바로 앞에 종로세무서 건너편 낙원동 골목에서 자취하면서 종각 학원에서cpa 준비하며 진짜 많이 왔다갔다했는데 추억이네요

  • @_INTEL
    @_INTEL3 ай бұрын

    30:03 물고기들 정모 중

  • @kkikkokkikko77
    @kkikkokkikko773 жыл бұрын

    젊은양반들이 팍팍하게 산다면서 뭔 돈으로 저기서 창업을했대ㄷㄷㄷ 부럽다 저땐 유명세타기전이라 가능했던건가

  • @user-hw6gc3eh9s
    @user-hw6gc3eh9s3 жыл бұрын

    일제시대에궁궐ㆍ99칸집들이 작게 쪼개졋군요

  • @user-jw2zm7im1o
    @user-jw2zm7im1o3 жыл бұрын

    커플들 한번쯤 간다는곳

  • @user-cv5kj2xq8m
    @user-cv5kj2xq8m3 жыл бұрын

    😁🤩

  • @user-dd7vl2cf5u
    @user-dd7vl2cf5u Жыл бұрын

    다쫓겨나셧을듯...지금은 다 상가로바뀜...

  • @xu000
    @xu0003 жыл бұрын

    정작 한옥마을 원주민들은 죽을 맛이라던데

  • @everywhere285
    @everywhere285 Жыл бұрын

    52:45

  • @user-ht7cm5vo1r
    @user-ht7cm5vo1r3 жыл бұрын

    너무 비싼 가격에 다시는 가고싶지 않더라

  • @user-wl6gn9rs1f
    @user-wl6gn9rs1f4 ай бұрын

    비양도

  • @younglee59
    @younglee593 жыл бұрын

    중국관광객.얄개이승현닮았네

  • @kownwoo4521
    @kownwoo45213 жыл бұрын

    재개발 해야지

  • @user-ub8pw4rb5m
    @user-ub8pw4rb5m6 ай бұрын

    미안ㄴㅇ ㅁ0

  • @woshine
    @woshine3 жыл бұрын

    돈이 갈대가 없어서 서민들 사는곳 찾아가서 서민들 쫏아내는거지,,머

  • @user-xk7xj5rx5x
    @user-xk7xj5rx5x Жыл бұрын

    애들 시끄러워 ㅠ

  • @user-ub8pw4rb5m
    @user-ub8pw4rb5m6 ай бұрын

  • @kimwonhee0416
    @kimwonhee0416 Жыл бұрын

    하고 싶지 않은 개인적인 질문들은 왜 하시는 지 기자분들은 뭐든 물어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오만함이...

  • @yungu8
    @yungu8 Жыл бұрын

    일제로부터 북촌을 지키기위해 정세권 선생님께서 만드신 한옥마을 꼭 지켜야할 문화유산입니다

  • @bigbear8216
    @bigbear82163 жыл бұрын

    B J (블로잡)호텔찾는 커플 ㅋㅋㅋ

  • @user-wv1oh5sw5b
    @user-wv1oh5sw5b3 жыл бұрын

    성소수자들의 거리

  • @user-yo4eq2io9s
    @user-yo4eq2io9s Жыл бұрын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