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임금이 매우 낮은 이유

대만의 산업구조와 낮은 임금의 관계
BGM :
"Covert Affair" "Infados" Kevin MacLeod (incompetech.com)
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By Attribution 4.0 License
creativecommons.org/licenses/b...
"Rewind" John Vallis

Пікірлер: 1 600

  • @user-cj1ed3rz2e
    @user-cj1ed3rz2e25 күн бұрын

    중국 9년차,대만에도 여러번 다녀온 입장에서 주제넘게 한마디 하면,중화권은 빈부격차가 너무나 심합니다,한국하고는 비교가 안될정도입니다 중국대륙도 공산당 기득권들은 너무나 부자이지만,한달내내 하루도 안쉬고 일해야 한국돈 4~60만원 버는 사람들이 최소 9억명은 되죠

  • @roaringlion9083

    @roaringlion9083

    25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선진국중에 빈부격차 제일 적은나라중 하나임

  • @zh0820-uj6bi

    @zh0820-uj6bi

    25 күн бұрын

    중국도 그렇지만 홍콩, 대만도 가보니까 빈부격차 심하더라고요

  • @lll_Puremind_lll

    @lll_Puremind_lll

    25 күн бұрын

    @@roaringlion9083 솔직히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는것도 심적으로 납득이 안되고 대체 선진국이라는 기준을 어떻게 정해야하나 회의감마저 듭니다.

  • @user-cj1ed3rz2e

    @user-cj1ed3rz2e

    25 күн бұрын

    @@lll_Puremind_lll 저는 한국은 준선진국으로 봅니다,분명 개도국은 아닌데 기존 선진국들 보다는 솔직히 좀 떨어지죠

  • @ssm-lc9un

    @ssm-lc9un

    2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빈부격차가 적은듯. 유럽 복지국가들도 상속.증여세가 없어 부의 이전이 쉽죠~ 인도. 동남아의 빈부격차는 말할 필요도 없고요.

  • @JamesC_
    @JamesC_25 күн бұрын

    이야... 진짜 심각하네요. 대만 젊은이들 힘들다는 소리 많이 들었는데, 이정도 일 줄은 몰랐네요. 감사합니다

  • @user-zz2ti4cl8j

    @user-zz2ti4cl8j

    25 күн бұрын

    이러니 대만이경기가좋지

  • @user-js4qu5ck4o

    @user-js4qu5ck4o

    25 күн бұрын

    장난 아니에요. 대만 젊은이들이 하소연하는 유뷰트도 ㅈㄴㄱ 많습니다.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4 күн бұрын

    그렇게힘들어도 한국보다 출산율이 0.2나 높습니다

  • @user-wm6ug3kr7x

    @user-wm6ug3kr7x

    24 күн бұрын

    더운 나라들이 보통 저축이 없죠. 필리핀은 당일날 다 쓰기도 한다는데.. 얇은 면티 하나면 되는 나라고 먹을게 흔한 나라라서 굶어죽지 않고 얼어죽지 않다 보니 북쪽 나라들과는 마인드가 다를듯.

  • @islandchink2439

    @islandchink2439

    24 күн бұрын

    ​@@user-zz2ti4cl8j경기가 좋대. ㅋㅋㅋㅋ 차이나타운 대만화교야 느그 월급100 안되고 물가 한국보다 더비싼거 달아아. 너넨 섬에있는 중국인이잖아

  • @user-ft4so6vd2h
    @user-ft4so6vd2h21 күн бұрын

    저도 대만 친구한테 들은것중에 가장 충격 받은게 중위 임금은 우리나라의 1/2, 1/3 정도 밖에 안되는데, 대도시의 집 값이 대충 5억 이상이라고 말 하더라고요. 15평대의 작은 아파트가요. 게다가 신베이는 4백만이라곤 하지만 타이페이 가오슝은 인구가 2백만 정도밖에 안되는데도 벌써 이정도일 정도니 대만 젊은이들이 느끼는 박탈감이나 빈부격차가 한국사람으로써도 공감 됐습니다.

  • @user-st3yu6it4k

    @user-st3yu6it4k

    20 күн бұрын

    가오슝도 집값이 그 정도인가요? 월세는 엄청 쎈거 들었어요

  • @user-ft4so6vd2h

    @user-ft4so6vd2h

    20 күн бұрын

    @@user-st3yu6it4k 네,, 가오슝은 비교적 싼 곳 이긴 하겠지만 그래도 다들 억대, 4억 이상 5억이상 이렇게 잡더라고요. 오히려 서울 집값이 가끔 싸보일 때도,,? 솔직히 동아시아 중에서 평균임금 우리나라가 제일 높고, 일본보다는 비싸지만 그래도 아직 다른 나라들에 비하면 살만한 것 같아요.

  • @sangyi9837

    @sangyi9837

    19 күн бұрын

    그렇다고 볼수도 없다는게 한국물가가 장난이 아니잔아. 많이 벌고 물가가 세다면 그게 실리는 아니거든...한국물가 장난아님.

  • @mankiw9564

    @mankiw9564

    19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미래인듯

  • @user-xu5pz8no7m

    @user-xu5pz8no7m

    13 күн бұрын

    그 정도면... 몸다쳐서 일못하면 바로 거지되것네

  • @user-de1xv3hx6n
    @user-de1xv3hx6n24 күн бұрын

    Tsmc가 대만 증시의 40%를 차지함. 그리고 그 tsmc의 최대주주는 시티은행이고 그리고 파운드리업 특성상 고용이 무지막지하게 많지않음. 대부분 기업들은 하청업체라 월급수준도 낮은편임.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2 күн бұрын

    TSMC가 매출은 삼성전자의 반, 시가총액은 삼성전자의 1.5배, 영업이익률30%찍고도 근로자들과 국민들에게는 그림의떡이네요

  • @jjkim6969

    @jjkim6969

    22 күн бұрын

    국민은 가난하고 기업들만 잘사는 나라라는게.... 나라가 성장하려는게 결국은 나라의 기반인 중산층이 잘먹고 잘사는걸 목표로하는건데...

  • @dsk3038

    @dsk3038

    22 күн бұрын

    대만은 TSMC 딱하나 보고 먹고살고 짬짬이 아수스노트북이나 컴퓨터로 먹고살지만 한국은 파운드리제조 반도체개발 제조 자동차(내연/전기/수소) 원전 건설 조선 전자 전기 심지어 방산까지 다 만들어 팜.. 지금은 군사정권을 욕하고있지만 그들의 미래를 보는 혜안과 준비성 추진력은 인정해주어야함.. 선거로 뽑힌 정권이 지금까지 군사정권이 했던 성과를 보여준적이 있었던가? 보수건 진보정권이건 간에 말이야.. 참고로 파운드리사업은 반도체를 직접 개발하는것이 아니라 선진국 반도체기업들이 설계도와 샘플을 가지고 만들어달라면 단기간에 저비용에 많은수량을 찍어내어 내놓은 사업임.. 그냥 떡집이라고 보면 됨 고객들이 묵은쌀을 가져와 가래떡을 만들어달라면 가래떡을 만들어 송편을 만들어달라면 송편을 만들어주는것과 같은이치..

  • @BatMan-ns9ht

    @BatMan-ns9ht

    20 күн бұрын

    ​@@user-dt2xf1fm2k삼전은 반도체 스마트폰 가전 등 많은 사업부 매출을 합한 숫자고 순수 반도체 사업부 수익만 따지면 tsmc가 월등하죠 ㅎ

  • @user-qscvfe

    @user-qscvfe

    10 күн бұрын

    ​@@user-dt2xf1fm2k그게 어떤의미인지 잘모르겠습니다.

  • @user-kj8sm7vh5f
    @user-kj8sm7vh5f25 күн бұрын

    OEM ,ODM 사업이 대부분이라서 규모는 클지라도 마진이 너무 박하기 때문에 월급이 적은 부분이 큽니다 TSMC같은 반도체 회사를 제외하고는 우리나라만큼 월급주면 대부분 기업들이 도산될정도로 마진이 박하다고 보면 됩니다 그래서 1인당 생산액은 많지만 노동자에게 환원이 안되고있고 소득을 막 올릴수도없죠

  • @haskar-by5pl

    @haskar-by5pl

    25 күн бұрын

    기업들이 다 가져간다 이런 댓글들이 많은데 그건 아닌거같고 제가 보기에도 님의 의견이 일리가 있네요.

  •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24 күн бұрын

    ​@@user-ef9ww1bp7e그래서 동남아 외노자들이 급여 때문에 대만과 일본보다 한국 취업을 선호하지요.

  • @user-di2cy3fs4r

    @user-di2cy3fs4r

    24 күн бұрын

    그렇기도 하겠네요. TSMC 같은 일부 대기업의 매출 큐모가 크다보니 GDP 자체는 높게 나오지만 사실상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소에서 일하고 있고 OEM 사업방식이 많으니 마진은 적어지고 임금은 줄어들고. 대중소 구조는 우리랑 비슷하지만 대만은 사업방식의 차이에서 어려움이 있겠네요.

  • @haskar-by5pl

    @haskar-by5pl

    24 күн бұрын

    @@user-ef9ww1bp7e 인건비를 극도로 아끼는데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이나 부의 편중을 보는 지니계수를 보면 한국이랑 별반 차이가 없어서요.

  •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24 күн бұрын

    @@haskar-by5pl 그렇기는 하지만 동남아 외국인노동자 입장에서는 한국에서 일하면 대만에서 일하는 것보다 2배는 벌지요.

  • @likephoenix659
    @likephoenix65925 күн бұрын

    10년전만 해도 한국에서 대만처럼 중소기업을 육성해야 된다. 막 이런소리 많이 했음. 근데 현실은 대만사람들은 한국처럼 세계에 자랑할만한 대기업이 필요하다고 난리임.

  • @user-ph9jm6nz7v

    @user-ph9jm6nz7v

    25 күн бұрын

    Tsmc있잖아

  • @user-bj3bo2mc5e

    @user-bj3bo2mc5e

    25 күн бұрын

    ​@@user-ph9jm6nz7v 그거 달랑 하나 ㅋ

  • @ffugtunlh7rygoh290

    @ffugtunlh7rygoh290

    25 күн бұрын

    ​@@user-bj3bo2mc5e미디어텍이나 에이수스도 대만 기업이었던거 같은데

  • @user-bj3bo2mc5e

    @user-bj3bo2mc5e

    25 күн бұрын

    @@ffugtunlh7rygoh290 맞음

  • @user-uh7iz3el1b

    @user-uh7iz3el1b

    25 күн бұрын

    먼소리야 대만처럼 중기육성 이런얘긴 97년 IMF를 겪으면서 나온 얘기야 30년전 얘기지. 이후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한국 대기업들, 한류문화가 잘 나가면서 그런 얘긴 쏙들어갔어. 먼 10년전이야 10년전이면 길게잡아도 박근혜 시절이고만

  • @stevenyoon761
    @stevenyoon76124 күн бұрын

    일인당 gdp와 일인당 평균임금은 물론 다르지만 큰 차이가 날 수가 없는데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은 갑부들이 많아서 평균에 왜곡이 생겨서인가요?

  • @user-ik3tl2ql7k

    @user-ik3tl2ql7k

    24 күн бұрын

    그런 왜곡도 가능합니다. 대만의 tsmc나 굴지의 반도체, it기업들은 한국의 삼전, 현대차보다도 더 연봉이 높습니다. 극과극의 끝판왕이 대만임

  • @islandchink2439

    @islandchink2439

    24 күн бұрын

    ​@@user-ik3tl2ql7k거기 월급 완전 멍멍이판인데 뭔소리 ㅋㅋㅋㅋㅋㅋㅋ 삼성 현대보다 높단다 ㅎㅎㅎㅎ 대만은 후진국이라..아니 나라도 아니지 암튼 저기도 정부가 나서서 월급 올려주라고 협박까지 할정도임

  • @ragnaheil

    @ragnaheil

    21 күн бұрын

    ​@@user-ik3tl2ql7k 아일랜드도 국민소득이 10만달러로 세계 2위긴한데 다국적 조세피난처 gdp 왜곡을 감안하면 절반정도가 거품이라고 들었어요

  • @user-ik3tl2ql7k

    @user-ik3tl2ql7k

    21 күн бұрын

    @@ragnaheil 왜곡아닙니다. 아일랜드 근로자 평균소득이 한화 1억에 달합니다

  • @JuanCarlos-dz7wc

    @JuanCarlos-dz7wc

    21 күн бұрын

    당연히 GDP는 최종 생산품으로 계상되는데 OEM, ODM을 많이 생산하면서 박한 마진을 가져가니 실제 월급이 적을 수 밖에없고 GDP에 비해 이윤이 별로고 왜곡이 생기는 것 아닙니까 ?

  • @yj75120
    @yj7512021 күн бұрын

    쟤네는 기업이 돈을 벌면 그게 거의 물적 투자로만 갑니다. 인적으로는 거의 안 가요. 회사가 돈을 많이 벌면 그걸 기계 교체하는 데에는 재깍재깍 쓰지만 사람에게는 월급을 동결하고. GDP는 총생산 개념이라 물적 투자만 늘려도 GDP로 들어가죠. 월급 동결 정책이 한 20년 이어지다 사람들이 중국으로 도망가니까 10년 전부터 임금을 조금씩 올리고 있는데, 진짜 조금씩 올리고 있습니다...

  • @user-dh6mo3bp8v
    @user-dh6mo3bp8v24 күн бұрын

    가장큰 이유는 경제 대부분의 곳에서 일본의 oem 으로 단물 쪽쪽빨리고 살다가 자립을 못한것이 크죠 일본은 단물빨고 빠지고

  • @korea_gd

    @korea_gd

    23 күн бұрын

    베트남은 한국에 쪽쪽 빨리니까 한한령 따라 하면서 혐한 하고 자립 하려고 기술자 빼 가고 대만은 착해서 못 하고

  • @jameskwon3113
    @jameskwon311325 күн бұрын

    대만은 반도체와 전자 위주로 발달하고 한국 은 반도체와 전자 외에도 건설,조선,자동차,문화 상품 발달한게 더 좋다고 생각해요

  •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24 күн бұрын

    대만 출신이라서 대만사람들이 자랑스러워하는 걸그룹 트와이스의 쯔위, (여자)아이들의 슈화도 한국 연예기획사 덕에 월드스타가 되었습니다.

  •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24 күн бұрын

    대만은 체급이 작아서 하나 집중해야함. 한국은 그나마 체급이 됬고. 증국이 체급빨로 먹고 있는 시업들 보면 체급이 중요하긴함. 물론 선점했을 때 얘기. 뒤쳐진 놈들이 체급 크면 그냥 노답이라. 이집트 인도 이런 얘들은 한동안 중국에 밀려서 뭘 못함.

  • @Sonny-

    @Sonny-

    23 күн бұрын

    @@user-ou3uc4pb6f 됐

  • @tiho-nge60r-rttj

    @tiho-nge60r-rttj

    21 күн бұрын

    ​@@hanpyulkong3676걍 될놈될임. 딱히 한국이라서 성공한게 아니다 걍 성공한사람이 있는곳이 국내일뿐

  • @percentone1325

    @percentone1325

    21 күн бұрын

    정유 화학은 왜 뻄? 앞으론 식품 화장품 방산도 전망이 밝은 듯

  • @spritmc
    @spritmc23 күн бұрын

    한국 시장이 작은줄 아는 사람이 있는데 생각외로 큽니다. 현대차,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포스코, 한국타이어등 대부분 대기업들은 내수시장을 발판으로 성장했고 네이버, 카카오, 쿠팡도 내수시장으로 성장했습니다. 만약 한국이 대만인구정도였으면 oem odm사업으로 먹고 살았을거라고 확신합니다.

  • @manner4902

    @manner4902

    22 күн бұрын

    네 혼자 확신하세요.

  • @first6418

    @first6418

    22 күн бұрын

    @@manner4902 뭐가 불만? ㅎ

  • @user-rj3hm9re7w

    @user-rj3hm9re7w

    22 күн бұрын

    그래봐야 이제 한국도 좆됐지요 ㅋㅋㅋㅋ 인재들 다 빠져나가고 있음. 빠르면 5년내로 빈껍데기되겠죠. 삼전도 이미 기술 다 따라잡혀서 좆되고 있는에요 ㅋ

  • @BBingBBing9494

    @BBingBBing9494

    22 күн бұрын

    ​@@manner4902노마덜

  • @user-bh3sh7te7f

    @user-bh3sh7te7f

    21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ㅋㅋㅋㅋㅋ

  • @reinheim0000
    @reinheim000024 күн бұрын

    대만보면 딱 홍콩 생각남 1인당 gdp는 높은데 막상 월급이나 사는거 보면 ??? 하는곳임 홍콩도 1인당 gdp은 독일급인데 사는거나 거리보면 독일처럼 잘산다 느낌 안남

  • @user-tp2gu9gk7u

    @user-tp2gu9gk7u

    24 күн бұрын

    홍콩은 임금수준이 어떻게 되나요??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2 күн бұрын

    @@user-tp2gu9gk7u 빈부격차가 매우심해서 대졸초봉은 월200만원밖에 안되고 가정부는 월급80만원밖에 못받는다고하네요

  • @user-rj3hm9re7w

    @user-rj3hm9re7w

    22 күн бұрын

    독일이 잘사나요? 세금 엄청 내던데요.

  • @ragnaheil

    @ragnaheil

    21 күн бұрын

    ​@@user-rj3hm9re7w 세금 낸거 다 사회안전망이나 복지혜택으로 돌려받아요... 그리고 실제 독일 가보면 다 고품질 아파트에 3,4층짜리 좋은 단독주택이 대부분이에요... 딱봐도 옆에있는 프랑스보다 잘사는 느낌

  • @tedkim4020

    @tedkim4020

    21 күн бұрын

    독일 살다왔는데 그쪽도 별로

  • @islandchink2439
    @islandchink243924 күн бұрын

    대만월급이 불과 2000녀대 후반까지 6~70이었음. 그래서 애들이 외국으로 토끼니까 올려서 100안팎인거임. 실제론 130 안됨

  • @user-yc9fs1mj3c

    @user-yc9fs1mj3c

    20 күн бұрын

    한국의 80년대 말과 비슷하네요? 88 올림픽할 때 대기업 사원이 초봉 800만원 정도니깐...80년대 초반에는 30~40만원 정도였나?

  • @user-nu5pn5tj1l
    @user-nu5pn5tj1l25 күн бұрын

    대만사람들은 서울사는사람들 보다 내집마련을 상상도 못해요. 전세가 없고 매매아니면 월세다 보니 매매는 꿈도못꾸고 월세로 사는 젊은이들이 90프로이상이에요. 대신 소소한만족?이라고 월급받아 해외여행가고 즐기고 뭐 그렇게 살더라구요

  • @VOXY404

    @VOXY404

    24 күн бұрын

    소비에는 과감한게 느껴지더라구요. 부유층 일수도 있겠지만 환전소가보면 대만분들 많이보임ㅇㅇ

  • @hawkman8596

    @hawkman8596

    19 күн бұрын

    어차피 대만은 조만간 중국에 흡수된다. 미래가 없으니 현실을 즐기며 살 수밖에...

  • @user-tb1yf9vd7d
    @user-tb1yf9vd7d22 күн бұрын

    20여년 전 대만 회사 사람에게 월급 물어봤는데 100만원 이었던가? 듣고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더 놀라운 건 지금도 크게 오르지 않고 거의 그대로네.

  • @haerongjeong7182
    @haerongjeong718225 күн бұрын

    슈퍼을 tsmc 때문에 환율 뻥튀기되서 gdp가 높아 보이는 착시효과일 뿐

  • @niendeiv9898

    @niendeiv9898

    24 күн бұрын

    부동산 폭등으로 gdp뻥튀기된 어느 국가랑 비슷하군요 ㄷㄷ

  • @user-df7ye2vz2o

    @user-df7ye2vz2o

    24 күн бұрын

    중화권, 일본 계열 사람들이 은근 글로벌함 한국인 같은 경우도 외국물 먹은 사람이 ㅈㄴ 성공하더라 허준이도 서울대 시절엔 그저그런 명문대생인데 유학가고 각성해서 노벨상 타고

  • @davesy6638

    @davesy6638

    24 күн бұрын

    @@user-df7ye2vz2o노벨상 안탔는데요?

  • @user-df7ye2vz2o

    @user-df7ye2vz2o

    24 күн бұрын

    아 필즈상이였구나 그래도 수학분야의 노벨상임 ㅇㅇ

  • @ph9304

    @ph9304

    23 күн бұрын

    Tsmc 에서 고용해봐야 다 자동화설비라 막 규모만큼 크게 고용도 안됨

  • @user-hr8nd7lx7j
    @user-hr8nd7lx7j21 күн бұрын

    가장 큰 이유가 빠졌네요. 이유는 중국입니다. 똑같이 중국말하고 똑똑하면서고 급여는 무지싼 인력이 대륙에 널렸는데 임금이 올라갈 이가 없죠.. 만약 북한인구가 우리 20배이고 자유롭게 왕래가 되는데 월급은 $100 받는 인력이 북한에 무제한으로 널렸다 이러면 한국기업 다 북한으로 가지 않겠습니까? 이런 일이 실제 발생한게 대만입니다... 또 중국공산당이 일부러 대만기업이 중국으로 오기 쉽게 의도적으로 문을 열어준것도 있구요.. 나중에 가두리로 해서 통일해버릴려고..

  • @hawkman8596

    @hawkman8596

    19 күн бұрын

    굳이 중국이 대만을 군사적으로 침공하지 않아도 이미 대만은 중국에 경제적으로 흡수되고 있어요.

  • @user-vw3mr3pd8d

    @user-vw3mr3pd8d

    18 күн бұрын

    오 이게 진짜 이유같네요. 사람들이 tsmc 국가라 하지만 아무리 거대기업이라도 낙수효과로 임금이 분배될텐데

  • @user-wx6rs1nx9l

    @user-wx6rs1nx9l

    7 күн бұрын

    ​@@user-vw3mr3pd8d 낙수효과 ㅋㅋ 낙수효과는 없다고 노벨경제학상 받았잖아요 ㅋ

  • @campclub
    @campclub23 күн бұрын

    한국도 남 걱정할 처지는 못 되지만 대만 타이페이 가보고 솔찍히 놀랐습니다.동남아의 한 국가처럼 수많은 오토바이와 낡은 도시미관이 제일 먼저 눈에 보였기 때문입니다.

  • @human4172

    @human4172

    21 күн бұрын

    근데 솔직히 딴건 몰라도 우리나라가 도시미관에 관해서 다른나라 비판하는거는 좀 그런듯

  • @JuanCarlos-dz7wc

    @JuanCarlos-dz7wc

    21 күн бұрын

    @@human4172 박원숭 덕도 크죠 ~ 10년넘게 서울시장하면서 재개발 막고 도시 재생사업이라나 머라나 하고 동남아 건물 쭉쭉올라갈때 우리는 손가락 빨고 건물 높이 못올리게 재벌들에게 세금 왕창내게 하고 개발도 막고 아예 도시 미관을 위한 재개발을 막았지

  • @fcpark954

    @fcpark954

    21 күн бұрын

    네 맞네요

  • @user-mx1ox1gr2o

    @user-mx1ox1gr2o

    20 күн бұрын

    대기업해체하면 뻘소리 하는 좌파들은 대만 봐라

  • @chengen885

    @chengen885

    20 күн бұрын

    정치가 부패되서 그런거에 관심도 없습니다, 현상유지 말그대로 바꾸고 싶지 않다는뜻

  • @user-zj9je2lq6s
    @user-zj9je2lq6s25 күн бұрын

    친구가 삼성다니는데 입사동기가 tsmc포기하고 삼성왔다고 하는데 왜 삼성왔냐니까 돈너무 적게 준다고 말하던 기억이 나네요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4 күн бұрын

    대만기업들이 돈을너무적게주니까 중국에 돈받고 산업스파이하고있죠

  • @user-ik3tl2ql7k

    @user-ik3tl2ql7k

    24 күн бұрын

    평균연봉은 tsmc가 삼전보다 높습니다

  • @subuticho5014

    @subuticho5014

    24 күн бұрын

    @@user-ik3tl2ql7k 그건 삼성 부장 이상의 임원진 임금이 tsmc의 임원들보다 적어서 입니다. 대만의 임금 격차 부의 불평등 매우 심한 상태입니다. 현장에서 고생하는 사람들보다 관리직 놈들이 진짜 돈 너무 일방적으로 쳐먹는게 대만입니다.

  • @argobros

    @argobros

    24 күн бұрын

    +워라밸이 너무 안좋음

  • @MSK-sp1sn

    @MSK-sp1sn

    22 күн бұрын

    @@subuticho5014 이건 맞습니다. 제 후배는 미국서 일하다 대만가서 일할 상황이 있었는데, 일반사원 월급은 tsmc가 생각보다 높지 않아서 놀랐다고 하더군요.

  • @sjyoon0603
    @sjyoon060325 күн бұрын

    감사히 잘봤어여! 흥미로운 이야기네여!

  • @MSK-sp1sn
    @MSK-sp1sn22 күн бұрын

    생각보다 홍콩도 gdp 대비 대졸다 연봉이 낮더군요. 지인이 한국유학왔다가 졸업한 홍콩출신 계약직 직원 고용했는데, 그 분과 대화할 일이 좀 있어서 이야기 들어보니, 생각보다 홍콩도 연봉이 높지 않았습니다. 대만인 지인이 있는데, 자기 대학 동창들 5년차쯤 되었는데 월급이 보통 160정도라고 하더군요. 금융권에 있는 동창이 240정도 받는다고하구요. 대만의 산업구조적 문제와 중국인력 관련 문제, 국가 정책 문제 때문에 그런거 같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물가가 정말 많이 올랐다고 합니다. 7년전까지는 한국보다 훨씬 싼 느낌이었는데... 최근에는 기초 식자재를 제외하면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와서 놀란다고 합니다.

  • @jak4639
    @jak463925 күн бұрын

    대만의 임금이 낮은 것이 아니라 평균임금에 비해 GDP가 과다상정된 것 같아요. 2년은 안 된것 같은데 일본 모 정부부서에서 수기로 공사금액을 부풀렸거나 중복집계했었다가 발각됐다는 기사가 있었는데 그때 그게 GDP부풀리기라는 의혹이 많았죠. 어쩌면 대만은 이미 시행 중이었을지도... 사실 대만 혐한에 불을 지핀 것이 약 20년전에 1인당 GDP가 한국에 역전당한 것으로 정치적으로 굉장히 민감한 사안입니다. 찾아보니 2021년 12월이네요 아베 시절 8년간 건설수주를 중복집계 했다가 발각됨. 이때 한국처럼 철창행이었으면 감옥의 보호를 받아 목숨은 건졌을 지도...

  • @user-cj1ed3rz2e

    @user-cj1ed3rz2e

    25 күн бұрын

    중화권은 원래 좀 GDP 거품이 심합니다 중국도 GDP의 25%가 부동산이죠 (한국 8%,기존 선진국들도 7~8%선)

  • @HAM-xu6jp

    @HAM-xu6jp

    25 күн бұрын

    법리적으로 중국을 미수복지역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중국에 투자한것을 gdp에 포함시켜서 뻥튀기 됬다는 얘기가 있더라고요

  • @jak4639

    @jak4639

    25 күн бұрын

    @@HAM-xu6jp 그럴수 있군요. 암튼 예전에 들은 얘기지만 GDP는 민간부문 발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부문에서 발생하는 것이 있다는데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정부부문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다면 의심할 필요는 있네요

  • @jak4639

    @jak4639

    25 күн бұрын

    @@user-cj1ed3rz2e 부동상 비중이 높은 것이 GDP 부풀리기 조작은 아니어도 중국의 부동산 거품은 도를 넘었다고 봅니다.

  • @reinheim0000

    @reinheim0000

    24 күн бұрын

    대만은 임금 보면 일본보다도 1인당 gdp 낮아야 정상이죠

  • @GNG45
    @GNG4523 күн бұрын

    몇년사이만 대만경제자체가 TSMC 한기업 몰빵된다시피해서 이상한 구조된 탓이 큽니다. 실제 대다수 다니는 기업은 크게 나아진 것이 없는데 TSMC만 유독 엄청난 성장을 바람에 GDP 크게 성장한거죠.

  • @user-ow2xx2lt9i
    @user-ow2xx2lt9i25 күн бұрын

    임금이 낮으면 고급 인력들은 해외로 다 빠져나가버려서 장기적으론 국가 경쟁력 저하로 이어짐.

  •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24 күн бұрын

    고급인력은 사실 대기업이랑 국가가 키우는거지. 개인이 노력한다고 고급인력되기는 힘들지. 있더라도 이미 부자라 커넥션 다 있음.

  • @hakbxjwkshn2213

    @hakbxjwkshn2213

    23 күн бұрын

    반반임. 낮아도 고급인력은 별 상관없다. 최저임금이 너무 높으면 수출에타격온다. 자국민에게 좋을수도있으나 외노자만 좋을수도 있다. 하지만 경쟁국 일본등에 더 좋을수있다.

  • @user-ow2xx2lt9i

    @user-ow2xx2lt9i

    23 күн бұрын

    @@hakbxjwkshn2213 유럽의 대부분의 나라들은 지역별로 최저시급이 다름! 그래서 노르웨이는 초저시급 평균이 41유로고 덴마크는 42유로 아이슬란드는 39유로라고함! 님 주장대로라면 유럽의 선진국들은 최저시급이 높아서 수출에 엄청난 타격이 있겠네요! 그리고 일본의 언론들 대부분이 엔저로 자국민의 해외로의 인력 유출이 심각한 수준 이라고 보도하고 있어요

  • @fff-mv3jf

    @fff-mv3jf

    22 күн бұрын

    고급인력이면 회사에서 대우해주지. 130따리는 대충 아무나로 대체 가능하니까 그렇게 주는거임. 대신에 미래 노동력 생산이 불가능하니까 외노자로 채우다가 로마제국처럼 망하는거지.

  • @hakbxjwkshn2213

    @hakbxjwkshn2213

    22 күн бұрын

    @@user-ow2xx2lt9i 니가 회사차려서 월급준다고 생각해봐. 그럼 바보지만 2~30프로는 뭔말하는지 이해갈거야. 니는 월급 받아먹을 생각만하니 이해를 못하는거. 니가 회사차려서 최저임금 +30프로 해서 줘.

  • @jaisonyan3597
    @jaisonyan359725 күн бұрын

    빈부차 극단으로 가는 모양새 입니다 이런건 어디서 이야기하는지요?

  • @user-ng4no5ep8b
    @user-ng4no5ep8b22 күн бұрын

    알고리즘 추천으로 시청하였습니다. 콘텐츠 좋네요. 특히 프랑스 맥도날드편은 프랑스사회도 많이 변해가는걸 알수있어서 좋았습니다.

  • @la7547
    @la754725 күн бұрын

    대만 여자 사귈때 집에 가보고 기겁함 ....고시원 방보다 조금큰집에 말도 안되는 월세 내고 음료 시장싸구려 음식에 만족하고 살더라..

  • @putinia3411

    @putinia3411

    25 күн бұрын

    사람도 좀 골라가면서 사귀세요.

  • @user-vm1jn6jj5b

    @user-vm1jn6jj5b

    25 күн бұрын

    ​@@putinia3411ㅋㅋ 한녀 인성보소

  • @user-zb6ie1qj9b

    @user-zb6ie1qj9b

    25 күн бұрын

    ​@@putinia3411사람들이 사람 좀 골라가며 사귀면서 당신은 평생 모쏠이 되기 바랍니다.

  • @user-iu4ex6dj6t

    @user-iu4ex6dj6t

    25 күн бұрын

    노숙자도 사랑하면 만나서 같이 집도 가고 하네요 껄껄껄...

  • @user-le7ld2cj9o

    @user-le7ld2cj9o

    25 күн бұрын

    급여가 그렇게 적으면 금수저가 아니면 젊은 사람들의 당연한 생활수준이겠네요.

  • @Kimtiger0
    @Kimtiger025 күн бұрын

    나 이거 너무 궁금했던 .....평균월급은 대한민국 2010년이전인데 GDP는 우리보다 높으니 대체 뭔가싶던..

  • @user-jo7bp5xb2e

    @user-jo7bp5xb2e

    23 күн бұрын

    물가 차이죠 ㅋㅋ

  • @Sonny-

    @Sonny-

    23 күн бұрын

    한국. 대만 두 곳 다 회사 다녀본 결과 수직적 기업문화? 다른 국가에서 들이대면 몰라도 한국으로 들이대기에는 웃기는 소리임 . 한국 직장 생활 스트레스가 100이면 대만은 60 ~ 많아야 70 정도 수준임 그래서 월급 적어도 그냥 대만에서 워라벨 사는게 더 편함. 그게 왜 그런줄 암? 사람 때문임 . 스트레스가 사람 에서 오는 거 대만에 살면서 이해 안 되는건 거의 한국이랑 비슷할 정도로 부동산 비싼 건 지금도 이해하기 힘듬.

  • @user-qx4fr5bn8h

    @user-qx4fr5bn8h

    22 күн бұрын

    ​@@Sonny-그렇게 국가 경쟁력을 잃어가는거죠 필리핀처럼... 삼성도 잃어버린 10년이 온 이유가 주52시간제 시행부터라는데..

  • @qrop9775

    @qrop9775

    22 күн бұрын

    ​@@Sonny-디시 제식갤 화교들 또 ㅈ빤소리하네

  • @qrop9775

    @qrop9775

    22 күн бұрын

    ​@@user-jo7bp5xb2e임금이 우리나라 2000년대 수준인데 물가는 그렇게 차이 안남

  • @user-sq7ks6jk9p
    @user-sq7ks6jk9p2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걱정했는데, 대만 보니 우리가 희망이 있군...흠...

  • @user-on7bm3ku1c

    @user-on7bm3ku1c

    8 күн бұрын

    아니 둘다 망해가는거야

  • @user-qd5kv1bw8v
    @user-qd5kv1bw8v24 күн бұрын

    OEM 장사는 매출이 많아도 마진이별루야,,,그러니 봉급이 적을수밖에..나라에 독보적 기술이 많은 기업이많아야해...한국은 창의력과 성실,똑똑한 두뇌가있어 유리하지만,중화권 나라는 우리보다 나 을 먼저생각이 하기에 발전이 없는것,,,한국도 개인위주로 의식변화가 많이 달라졌지만,여전히 우리라는 개념은 사회에 자리잡고 있어..나라는 민족성이 일류국가를 만든다,생각되어짐....

  • @ssssss7112

    @ssssss7112

    22 күн бұрын

    0.5% 똑똑이들 전원 의대가거나 의대 재수함

  • @7yunsik7
    @7yunsik76 күн бұрын

    Good analysis

  • @mdk9648
    @mdk964822 күн бұрын

    대만의 지디피가 높은 이유를 설명해 주셔야죠....댓글보고 알게되었어요

  • @user-ij9ud7xn6k
    @user-ij9ud7xn6k25 күн бұрын

    중국과 비슷한 언어를 쓰기에 임금을 높이기도 전에 중국인 인력이 들어와 버려 임금이 오르기 어렵다고도 하더라구요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중국기업들이 TSMC인재를 빼가기쉬워서 산업스파이도 많다고하죠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24 күн бұрын

    중국과 비슷한 언어가 아니고 중국어임. 대만어라는건 존재하지 않고 대만에서 쓰는 방언은 복건성 방언임.

  • @user-ot3xf5hq8f

    @user-ot3xf5hq8f

    24 күн бұрын

    @@user-dj3oy5rc7u 중국어의 방언중 하나니까 중국과 비슷한 언어라는 표현은 틀린게 맞지만 대만어는 존재함 애초에 대만에서 대(만)어라고 부르는구만ㅋㅋ 홍콩에서 쓰는 광동어도 홍콩어라 불리는데 님 논리면 홍콩어도 존재하지 않는거겠네? 공식석상에선 표준 중국어 쓰고 대만 사람들 일상 생활에선 대어 씀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24 күн бұрын

    @@user-ot3xf5hq8f 아니, 방언중 하나가 아니라 푸젠성(복건성)방언이라니까. 대만어는 복건성 방언을 대만 분단주의자들이 자기의 언어라고 주장하는거임. 남한이 조선어가 조선이 아닌 한국에서 만들었다고 주장한다면 그게 맞다고 생각하심?

  • @user-dj3oy5rc7u

    @user-dj3oy5rc7u

    24 күн бұрын

    @@user-ot3xf5hq8f 광동어를 월어라고 하고 홍콩도 자기 말을 월어라고 표현하지 홍콩어라고 하지는 않죠. 공식적으로 말이죠.

  • @dongkyuchoi4231
    @dongkyuchoi423125 күн бұрын

    150만원.... 2000년대에 중소기업 일자리...수준이네...

  • @user-cj4tj2gu5z
    @user-cj4tj2gu5z14 күн бұрын

    GDP 는 그럼 일부 고액 연봉자들이 다 올려놓는건가요?

  • @stlee8021
    @stlee802125 күн бұрын

    그나마도 올해 한국에 인당gdp 다시 역전당함. 한동안 엎치락 뒤치락 하겠으나 근본구조가 바뀌지 않는 이상 대만이 우리를 저만치 앞서갈 확률은 거의 없을듯..

  • @user-kv2rz8yr6l

    @user-kv2rz8yr6l

    25 күн бұрын

    저번 선거때문에 집권당이 gdp뻥티기 시켰다는 썰이 있더라는

  •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25 күн бұрын

    외국인노동자들도 대만보다 한국에서 일하는 것을 선호한다.

  • @kimneh

    @kimneh

    25 күн бұрын

    헬조섯. 무시하냐..한국 사는거 맞냐

  • @stlee8021

    @stlee8021

    24 күн бұрын

    @@kimneh 대만에도 비슷한 용어가 있습니다. '귀신섬'이라고.. 그래서 그런지 출산율도 서로 경쟁하며 내려가고 있지만 미래 산업전망으로볼 때는 걔네가 우리보다 훨씬 더 어둡습니다.

  • @user-ik3tl2ql7k

    @user-ik3tl2ql7k

    24 күн бұрын

    ​@@giya5113대만은 중국과의 교역때매 저렇게 큰 겁니다. 중국이 대만을 흡수해야한다는 의식으로 대만을 자기 경제권으로 포섭하는 거죠. 앞으로 대만은 중국 지원하에 계속 큽니다.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을 제대로 실쳐하는 대만입니다. 한국은 북한덕 본게 잇나요?

  • @user-bz2wg3jc4x
    @user-bz2wg3jc4x21 күн бұрын

    대만기업들이 직원들에게 주는 돈이 적은 대신에 회사가 거둔이익은 주주들에게 막대한 배당금을 주는 나라다 이때문에 대만증시규모는 한국경제규모의 절반이지만 주식시장규모는 한국규모보다 조금 넘는다. 배당을 한국보다 3배많이 주기때문에 외국자본이 한국보다 더 투자되는 것이죠.

  • @hawkman8596

    @hawkman8596

    19 күн бұрын

    그런데 회사의 주주들이 대부분 외국인들이라서 대만의 주식시장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외국인의 놀이터로 전락하였다.

  • @learnerc.2247
    @learnerc.224719 күн бұрын

    나도 이거 궁금했는데. 근데 여전히 이해가 안감 달러 기준 우리나라보다 많이 버는데 임금이 저렇게 적으면 나머지는 다 기업이 꿀꺽한다는 거임?? 아니면 TSMC만 초고액 연봉자가 평균을 올려놓은건가?? 참 이상함

  • @user-gw4pb4jz6t

    @user-gw4pb4jz6t

    7 күн бұрын

    인력에 투자가 안되고 자본에 투자가 되는 형식이라서, 쉽게 말하면 y=wL+rK에서 rK만 커지고 wL은 그대로인 상황이라 보면 됨

  • @juyoungkim2319
    @juyoungkim231923 күн бұрын

    운수업에 에버그린과 에바항공도 왠만한 국내 업체들보다 크지 않나요? 팍스콘도 엘지만 하지 않나요 매출 기준. 대만이 나라 크기에 비해 대기업이 꽤 있던데? 중공업이 없어서 작아 보이나

  • @UnhasJ
    @UnhasJ25 күн бұрын

    1인당 GDP 계산법이 GDP/인구라는 걸 생각하면, 대졸 초임 130만원 받을 동안 누구는 500만원이 넘는 돈을 타간다는 걸 알 수 있죠. 누굴까요? 자본가? 정치인? 다만 확실한 건 일반 회사원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 @user-pv9br5cp8d

    @user-pv9br5cp8d

    25 күн бұрын

    저도 이게 궁금했네요. 대졸신입과 중위소득이 저렇게 낮다면, 누가 그 높은 1인당 gdp를 지탱해주고 있는지 궁금하더군요.

  • @user-ef5ph5km9m

    @user-ef5ph5km9m

    25 күн бұрын

    tsmc가 모든걸 가져가는거임 대만증시가 미쳐 날뛰는데도 대만 전체 시총의 30%는 TSMC임 TSMC가 고용할 수 있는 한계도 있을 뿐더러 TSMC의 하청업체가 많겠지만 우리나라 임금도 대기업대비 낮다고 하지만 대만은 그보다 심하겠죠 낙수효과는 개뿔이라는 현상 입니다

  • @user-jx8sd2dk1g

    @user-jx8sd2dk1g

    25 күн бұрын

    ​@@user-ef5ph5km9m 삼전 초봉 실적좋은 해는 1억 가까이 됩니다 한구과 비슷한 현상일듯 해요

  • @tesla3388

    @tesla3388

    25 күн бұрын

    TSMC입니다 거기 시총이 대만2위 시총의 15배 이상(미국상장ADR포함). (우리로 치면 삼전이 SK하이닉스보다 시총 15배 크다는 소리임 ㄷㄷ)

  • @roaringlion9083

    @roaringlion9083

    25 күн бұрын

    ​​@@user-ef5ph5km9m??? 대기업 원청없으면 협력업체까지 회사 몇이 죽는줄 알고있음?? 대기업하면 맨날 해체타령하던 전라도에서 gm대우 공장 빠져나가니까 뭔일 났는지 모름? 고용창출은 당연하고 그 회사 사업장 근처 상권까지 대기업들은 수만명을 부양함

  • @user-zo6pe7hj8g
    @user-zo6pe7hj8g25 күн бұрын

    어쩔수없음. 저긴 우리나라랑 틀려서 최저임금 올려버리면 그냥 중국에 사무실차려서 중국인들 일시킨다고 하는게 기업들이라 국가가 뭘 해줄수가 없음.

  • @ana_sarca

    @ana_sarca

    25 күн бұрын

    달라서

  • @user-lr7jb7lx7v

    @user-lr7jb7lx7v

    24 күн бұрын

    디피컬트와 디퍼런트 구분좀....

  • @Kanon_chan

    @Kanon_chan

    24 күн бұрын

    2찍이들이 좋아서 환장하는 나라가 중국 대만이죠 ㅋㅋ

  • @user-xr5ez1vb7p

    @user-xr5ez1vb7p

    24 күн бұрын

    망할 문재인의 최저임금 인상으로 기업들 해외로 나가고 일자리 박살나고 있음

  • @shipoftheline0416

    @shipoftheline0416

    23 күн бұрын

    ​@@Kanon_chan반대 같은디요..?

  • @paranaque417
    @paranaque41720 күн бұрын

    예전에 대만 상사랑 거래할때 몇번 방문했는데 우리나라 신입사원이 아반테를 산다면 대만 신입사원은 마티즈도 사기 힘들다고 했음....

  • @user-ij4yq4rd3k
    @user-ij4yq4rd3k16 күн бұрын

    그러면 1인당 gdp 3만몇천불의 대부분은 누가 갖고가는지에 대한 설명이 뭐지요? 그게 궁금한 핵심인데....

  • @SuperSeltzer
    @SuperSeltzer22 күн бұрын

    임금이 낮은데 국민소득이 어떻게 높지? 극소수가 몇십억씩 버나요?

  • @user-wz1hs9oo7p
    @user-wz1hs9oo7p25 күн бұрын

    80~90년대 좉문가들이 늘 했던 얘기가 대만처럼 중소기업 육성해야 된다~!! 고 랄지랄지 했는데 정작 2010년 넘어서 한국을 좋나게 부러워한 대만이 주구장창 대만방송패널들 나와서 한국처럼 대기업 재벌구조 안한게 평생의 한이라고 실제로 얘기 함... 세계를 휘어잡는 대기업을 키우고 난 뒤에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한 우리나라가 정답이었음, 이제는 가면 갈수록 새로운 대기업이 나오기가 80~90년대보다 훨씬 더 어려진게 현실 임

  • @0lsc2866

    @0lsc2866

    25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10년전에 독일경제를 배워야 한다고 했죠 그당시 티비에서 기술혁신 연구개발로 포장했었고 한국처럼 일하는 문화는 이해못한다고 했죠 뭐 노동관련 틀린말은 아니어서 그 당시는 수긍했죠 근데 러우 전쟁이후 모든 사실이 까발려졋죠 러시아에서 싼가격에 원유를 수입하다보니 싸게 물건을 팔았던것 현재는 싼 물건은 중국에서 싸고 질좋은 물건은 일본에서 밀리기 시작해서 경제가 폭망함 그대신 eu에서 싼노동력을 자랑하는 그리스가 요새 경제가 날라다니죠 몇년전엔 경제가 폭망했는데

  • @_F_Y_

    @_F_Y_

    19 күн бұрын

    뭔소리인지.. 대기업 고용이 5 프로 인거 아세요? 그리고 근속연수가 어떻게 되는지 아시죠?

  • @user-yy4sk6wz2d
    @user-yy4sk6wz2d25 күн бұрын

    지구상에서 고착화 되지 않은 곳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역사는 항상 피를 연료로 움직였습니다. 왜냐면 내,외부적으로 전쟁과,내전과 갈등,충돌은 피할 수가 없거든요. 종교,이념,인종,문화,전통.... 이런 거 다 필요 없어요. 생존을 위해서라면 뭐든 다 해야합니다.

  • @rachelyou5328

    @rachelyou5328

    22 күн бұрын

    우리처럼 삥뜯어먹을 수 있는 대기업이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나라에서 피를 연료로 움직여봤자 뭘 할 수 있을까요?

  • @user-dh4gp6og1c
    @user-dh4gp6og1c23 күн бұрын

    댓글이나 유투브에 대만이 1인당 gdp 높다고하는데 22년 1년만 대만이 더 높았습니다.환률 문제로.. 다시23년븨터 한국이1인당gdp더 높아요. 총gdp나 국력은 한국이 월등하고요.

  • @user-yc9fs1mj3c

    @user-yc9fs1mj3c

    20 күн бұрын

    대만은 원래 한국보다 더 잘살던 나라였습니다. 90년대 이전까지는요... IMF때 잠시 대만이 앞섰고, 이번에 또 앞선것 같네요.

  • @user-id9ks3qw3b

    @user-id9ks3qw3b

    19 күн бұрын

    @@user-yc9fs1mj3c 전후 우리나라는 아시아 최빈국이엇읍니다 대만을 물론 동남아시아 국가보다 못살앗읍니다 우리가 1인당 GDP에서 대만을 앞선건 참여정부때인 2003년 입니다 그후 대만인의 반한감정이 더욱심화됬읍니다 그에 앞서 노태우정부때 중국과 수교하면서 대만과 외교을 단절했을때 반한감정이 일기시작했고 지금도 대만인들이 가장싫어하는 나라가 우리나라고요 아이러니하게 식민지배를 당했던 일본이 가장좋와하는 나라입니다

  • @user-rf2jt2sh5m
    @user-rf2jt2sh5m24 күн бұрын

    지식브런치와 싱크로율이 높네요.............. 그래도 뭐 고맙게 잘 봤습니다.

  • @aind9833
    @aind983325 күн бұрын

    어디선가 많이 본것 같은 사회구조군요...

  • @islandchink2439

    @islandchink2439

    24 күн бұрын

    그러게.... 중궈...뭐 같은 종족이니까 ㅎㅎ

  • @user-dr5qt8gm7o

    @user-dr5qt8gm7o

    23 күн бұрын

    ​@@islandchink2439 중국이 아니라 일본을 말하는겁니다

  •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25 күн бұрын

    노조가 너무 힘이 없는 것도 문제고, 너무 나대는 것도 문제고...

  • @user-6626

    @user-6626

    24 күн бұрын

    @@user-ef9ww1bp7e 뭐든 정도껏이 좋긴하지

  •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24 күн бұрын

    우린 정치권이 붙어서 그렇고.

  • @user-lx9bs4cg4z

    @user-lx9bs4cg4z

    21 күн бұрын

    한국의 기업문화는 직원들에게 주인의식을 가지고 책임감을 요구함, 그래서 노조는 주인의식을 가지고 기업을 자신들의 소유물이라고 생각함 잘가고있는것 아닌가요?

  • @user-po4ro9zi9k

    @user-po4ro9zi9k

    21 күн бұрын

    회사 경영진이 운영을 못해 회사를 말아먹은 사례는 수도 없이 많지만 노조 때문에 회사가 망했다는 사례는 볼 수 없다.

  • @user-zw3kb2zz4h

    @user-zw3kb2zz4h

    20 күн бұрын

    ​@@user-po4ro9zi9k쌍용차는 쌈싸드신건가? 국가한테 반사회단체로 찍혀서 대테러부대한테 진압당한 노조인데?

  • @JJ-hp6kd
    @JJ-hp6kd19 күн бұрын

    수치 상으로만 대만을 접하다가 최근에 대만 놀러갔는데, 의외로 못사는(?) 느낌 때문에 이유가 궁금했는데.. 공부가 됐네요. GDP, PPP까지 대한민국을 넘어섰는데.. 결국 그건 환율에 의한 뻥튀기에 불과했던 거고..

  • @chunjuihsu1972
    @chunjuihsu19729 күн бұрын

    알기에 반도체 관한 기업에서 초봉 대부분 6000 ~ 7000정도이 되고 다른 업계라면 한국에 아예 따라오지못한정도다. 금융업은 3000 5급 공무원은 2500정도다.

  • @user-yp9zi9yu2h
    @user-yp9zi9yu2h25 күн бұрын

    대만의 최저시급이 궁금합니다?

  • @kimneh

    @kimneh

    25 күн бұрын

    8700원

  • @muotmuot

    @muotmuot

    2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의 70% 정도 된다고 보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300 벌면 대만에선 200이죠. 물가는 비슷하고 집값은 대만이 더 비싸요.

  • @user-yp9zi9yu2h

    @user-yp9zi9yu2h

    25 күн бұрын

    @@kimneh 감사합니다. 우리보다 많이 낮네요. ㅠㅠ

  • @islandchink2439

    @islandchink2439

    24 күн бұрын

    근데 최저시급따위 안지킵니다. 소중국이니까요.실제 월급은 100도 안되고 알바 2개를 뛰어도 100안됩니다. 저긴 150받으면 한국에서 500받는정도로 생각아심 됩니다. 월급도 안오르죠.10년전엔 6~70이니 저것도 많이 올려주것

  • @muotmuot

    @muotmuot

    24 күн бұрын

    @@islandchink2439 말씀하시는 건 대만이 아닌데요. 어느나라 이야기인가요. - 이상 대만 10년차 거주민-

  • @sony_white
    @sony_white25 күн бұрын

    다른 건 몰라도 PC부품 시장 점유율은 정말 부럽네요. 대기업들 인수합병하거나 투자 좀 해주면 안 되나? 국산 애용하고 싶은데

  • @user-jv7nj9re8d
    @user-jv7nj9re8d22 күн бұрын

    그럼 우리나라만큼 버는 돈은 누구 주머니로 가고 있는건가요?? TSMC등 일부 반도체 기업? 그 회사의 직원? 정부??

  • @kadgar07

    @kadgar07

    4 күн бұрын

    직원들에게 돌아가는 돈도 아껴서 재투자가 된후에 최종잉여물은 배당으로 해외로 유출되면 저런 GDP가 나오는것도 가능할것 같네요.

  • @kjy8825
    @kjy882522 күн бұрын

    수출로인한 부의 재분배가 안되는거죠 이는 아주 편중된 기형적인 형태의 ...........

  • @digitalpay
    @digitalpay24 күн бұрын

    기업이 그냥 청년들에게 월급을 조금 준걸로 보입니다. GDP는 계속 올라가는데 해외주주들에게만 이익을 나눠주는걸로 보이네요

  • @user-we4dc8mn4j
    @user-we4dc8mn4j25 күн бұрын

    중국과 인건비 경쟁을 해야하는 나라라서 임금을 올리기 어렵나보네요

  • @shane7675
    @shane767518 күн бұрын

    결론은 나라 전체적으로는 부유해졌지만 소득의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얘기 인가요?

  • @amaruvet4698
    @amaruvet469810 күн бұрын

    오래전에는 대만처럼 중소기업 육성해야 한다고 했지만 지금은 강력한 대기업 10개 20개 더 키워내는게 좋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죠

  • @user-go3vw1sm7v
    @user-go3vw1sm7v22 күн бұрын

    대만 유튜버들 말이 150만원이면 좀 받는편에 든다고 하더군요

  • @S.Wa.
    @S.Wa.25 күн бұрын

    가장 큰 이유를 제대로 설명 안해줬네요... 중국 때문에 대만은 다른 나라와 제대로 된 관계를 맺기 힘듭니다. 이게 대만의 사회 문화 경제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이죠. 보통 정상적인 국가라면 외부와 교류하며 불평등한 기업문화나 낮은 임금이 어느 수준까지는 해결되기 마련인데 툭하면 전쟁 하겠다고 발작하고 국제적으로 대만을 왕따 시키려고 힘쓰는 중국 때문에 민간 수준에서는 어느정도 교류 하지만 그 이상이 어렵죠. 자국 브랜드 만들어봤자 수출하다가 중국에서 불매운동 한번 일어나면 순식간에 브랜드 가치가 훼손됩니다. 내수도 천만 단위가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니에요. 우리도 내수가 작다 작다하지만 어느정도 수준까지는 규모의 경제가 가능합니다. 다만 대만은 거기서 더 치고 올라가기에 중국이 훼방 놓으니까 어려운거죠.

  • @krauskim7662

    @krauskim7662

    25 күн бұрын

    개소리도 길게 썼네 한국도 불과 10년전에 시간당 최저임금이 5천원이었다. 그것도 80년대부터 매년 노사와 사측이 싸워서 쌓아 올렸던거 한번도 사측은 임금 올리는데 쉽게찬성한적이 없었다. 기업들이, 정부가 알아서 임금 올려줬을거 같냐? 그리 생각하냐 빡대가리야?

  • @goodhot911

    @goodhot911

    25 күн бұрын

    웃기고 있네~~ 너 말 맞으면 tsmc도 발전 못해야 되는데 지금 삼성보다 훨신 앞서가고 있는데

  • @lunascape5289

    @lunascape5289

    25 күн бұрын

    @@user-ef9ww1bp7e 단순히 국교 단절로 끝나는 게 아닙니다. 대만의 대외활동 전반이 중국에게 훼방을 당하죠. 미대만 첫 무역협정이 무려 작년에 체결됐습니다. 대만 FTA 체결 현황 한 번 찾아보세요. 중국 빼면 가장 규모 큰 게 엘살바도르 파라과이 수준입니다

  • @user-yb5wr3si1s

    @user-yb5wr3si1s

    25 күн бұрын

    댓글 다시는 분이야 말로 현실을 제대로 모르고 있네요. 중국때문에 세계적으로 외교 부문이 원활하지 않다고 해도 그게 중국과 대만과의 수출 수입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중국의 위협과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등과 같은 큰 사건들이 있었지만 중국 & 대만간의 경제적인 이슈는 거의 없었다고 봐야 합니다. 중국이 무슨 불매 운동해서 대만이 대 중국 수출이 줄었다...라는 소리는 뉴스는 고사하고 실제 IT 관련해서 현직 개발자로 대만의 10년 전부터 왔다갔다하는 저도 전혀 들은 바 없습니다. 중국과 대만이 외교 군사적으로는 대립적이지만 경제적으로는 서로 공존 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고...이는 중국과 한국의 경제 불안 및 이슈와는 전혀 다릅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중국이 대만의 수출이나 수입에 대해서 뭔가 문제를 일으킨적은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중국이 경제 발전을 하면서 대략 5~7년 부터는 많은 대만인들이 임금이 놓은 중국 본토 대도시로 나가서 일을 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대만의 저임금 정책은 국가적으로 그리고 기업적으로 고착화된 구조때문에 그런거지 중국하고는 거의 99% 관련이 없으며.....리얼텍, 미디어텍, TSMC 등은 최근에 대만 정부와 조율하여 급여를 대폭 상승시켰죠. 물론 그래도 대다수의 기업들은 저임금인 것은 맞으며, 대만 정부가 너무 일본 정부나 기업의 운영 정책을 참고한 것이 문제의 발단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문제는 일본을 참고하는 건 좋은데...일본 처럼 물가를 0%대로 유지한 것도 아니면서 물가는 조금씩 올리는데 임금은 어느정도 비례해서 올리지 않은게 문제긴 함

  •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24 күн бұрын

    @@user-ef9ww1bp7e 대만은 중국 본토와 글자는 달라도 말은 통한다고 하지요. 그래서 대만기업들이 중국본토에 많이 투자했다고 합니다.

  • @HiHi-ew8qo
    @HiHi-ew8qo18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다른건 몰라도 부의 재분배는 잘해왔었다 미국식 자본주의에 강하게 영향 받은 나라치고 생각보다 적은 복지 예산 써가면서도 빈곤계층이 이렇게 적은 나라가 얼마나 될까? 우리가 스스로 가난하다 느끼고 박탈감 느끼고 사는건 사회적 가치를 모두 돈에 몰빵했기 때문이다

  • @korea_gd
    @korea_gd23 күн бұрын

    한국 2010년 초반이 저랬죠 대기업 공무원만 임금 좋았고 오히려 노가다가 임금이 짰던 시절이었어요.

  • @user-lh8vl2yd3y
    @user-lh8vl2yd3y25 күн бұрын

    대졸 초임 백삼십이면 우리나라 이십년전 아닌가요? ㅎ

  • @user-dv5if1hm2w

    @user-dv5if1hm2w

    24 күн бұрын

    도시미관은 우리나라 40년전 수준

  • @islandchink2439

    @islandchink2439

    24 күн бұрын

    거의 인도 방글라 수준이더라구요. 핵폭탄 맞은 느낌​@@user-dv5if1hm2w

  • @Agsddfhhj24678

    @Agsddfhhj24678

    24 күн бұрын

    30년전 정도 돨듯 하네요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2 күн бұрын

    부동산을 제외한 물가도 우리나라20년전 수준

  • @pwuo4
    @pwuo424 күн бұрын

    월급 통계만큼 믿을 수 없는 통계가 있을까

  • @user-jx8mm7vd3m
    @user-jx8mm7vd3m8 күн бұрын

    어찌보면 대만이나 일본인 월급이 한국보다 낮다는데 우리가 경쟁력에 비해 임금이 높은것이다 그러니 사과와 대파가 무척 속상해 하지 나도 뛰어야지 점프~

  • @user-ry2bc4pl4l
    @user-ry2bc4pl4l5 күн бұрын

    이젠 많이들 알겠지만 우리나라가 70 80년대에 그 열악한 환경에서 진짜 효과적으로 대기업들 육성 잘해서 지금에 이른거임. 정부 기업이 진짜 일 잘한 케이스지 사실 좋은조건 갖춘 나라들도 우리나라처럼 성장하는게 절대 쉽지않음

  • @user-hn1ex8in8k
    @user-hn1ex8in8k24 күн бұрын

    대만 홍콩친구들 피셜 중국어를 학교에서 제 1언어로 배우니까 중국인들이 엄청나게 밀고 들어 옴 100만원만 주면 고학력 중국애들이 줄을 서는데 회사입장에선 돈 더 줄 필요가 없음 10년전엔 대만 총인구보다 중국20대 인구가 더 많았음 킹갓 세종대왕님!!

  • @Republicofchina.No.1

    @Republicofchina.No.1

    22 күн бұрын

    장제스가 30년 더살아서 공산당이 대만에 얼씬도못하게 했어야 했다

  • @chief150

    @chief150

    22 күн бұрын

    중국에 똑똑한 3~5년차 고용해볼려고 직접 설문조사해보니 최소 230만원은 줘야 외국에서 일하는걸 고민해본다 하네요 그말인즉 돈을 더 줘야 한다는거죠 한국에있는 중국 유학생 10명에게 알바시켜 얻은 결과입니다 대상자는 중국에 사는 중국 직장인 300명 설문 시기는 코로나 3개월전

  • @user-hn1ex8in8k

    @user-hn1ex8in8k

    22 күн бұрын

    @@chief150 아 100만원은 한 5년즘전 이야기긴해요 민중당 집권동안 쟤들도 최저임금 올라서 요즘은 최저 나인투씩스 월150가까이 된다고 하긴 하더라고요 그래도 확실히 저긴 중국에서 일하거나 유학하고 돌아온 애들이라 말투가 대륙말투인 경우도 있는데 한국에선 입 떼는 순간 중국인인거 탈로나는 리스크가 크긴 하죠 또 한국이 리빙코스트가 더 비싸고 화교시스템이 열악하기도해서 기대 급여가 더 높게 나온걸수도 있을 것 같네요

  • @user-vr5mm4ly4i

    @user-vr5mm4ly4i

    21 күн бұрын

    세종대왕님은 훈민정음을 창제하신거지 한국어를 만든건 아니신데 갑자기 왜 나오나요... 한자를 계속 썼더라도 쓰는 언어는 달라서 중국인들과 의사소통 말로는 안배우면 못합니다

  • @user-hn1ex8in8k

    @user-hn1ex8in8k

    21 күн бұрын

    @@user-vr5mm4ly4i 님 말하는거 앞뒤가 안 맞음 조현병 조심하세요

  • @hwadong486
    @hwadong48624 күн бұрын

    한국 대졸 초임은 중소기업도 230~250만원. 배민커넥터나 쿠팡 알바가 일상화되어 있어 부업한다치면 대졸 초년생도 350~400만원까지 벌 수 있음.

  • @sogood12398

    @sogood12398

    24 күн бұрын

    그거밖에 못범? ㄷㄷ 배달 전업으로해도 400~500은 벌던데

  • @jintass9497

    @jintass9497

    24 күн бұрын

    @@sogood12398 전업 배달이 4대보험이되나요?퇴직금이 있나요?그리고 남들 쉬는 야간,주말에 일해야 그 돈 벌어요

  • @user-dr5qt8gm7o

    @user-dr5qt8gm7o

    23 күн бұрын

    ​@@sogood12398 밥 값이랑 오토바이 수리비 및 감가상각비 보험료는 빼야지 멍청아

  • @korea_gd

    @korea_gd

    23 күн бұрын

    9급공무원 임금이 떨어 진 이유

  • @user-dz2qn8zo6k

    @user-dz2qn8zo6k

    22 күн бұрын

    @@sogood12398그 일로 400~500은 벌어보셨나? 그렇게 벌고 있으니 말처럼 쉽게 툭툭 내뱉는거임? 배달직으로 400~500벌려면 몇 건을 해야할까? 네이버 검색 기준 건당 3000원↑ 수준. 대충 3500원 잡고 계산하면 한 달 1143건 하루도 쉬지않고 매일 38건씩 해야 400찍음. 배달 건당 진짜 최소시간으로 10분 잡고 7시간을 쉬지도 먹지도 못하고 도로위에서 달려야함. 그렇게 해서 400찍었다 한들 리스료(할부or현금차면감가상각), 보험료, 기름값, 세금 등등 님 가능? 난 불가능, 못함. 아니 안 함 진심. 카더라도 적당히 하세요. 진짜 열심히 해서 한 두어달 매출 400~500 찍먹했나보죠. 그 돈이 다 순수입이 아니란걸 절대 망각하면 안됩니다. 400~500이 그렇게 쉽게 벌 수있는 작은 돈이 아닙니다. 직장인 연봉기준 6800~7500임

  • @hyungjoonkim9741
    @hyungjoonkim974122 күн бұрын

    근데 대만 체급자체가 우리랑 달라서 다방면 발달에 좀 제약이 있지.

  • @user-cg1md1ov5f
    @user-cg1md1ov5f21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의 임금이 이웃하고 있는 일본이나 대만보다 월등하게 높으므로 우리나라의 노동력 부족 문제를 일본이나 대만의 대졸 청년들을 받아들여서 해결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 @user-iw9jw8ne3p

    @user-iw9jw8ne3p

    12 күн бұрын

    台灣企業缺人才缺工,公家機關招不滿才引進大批外勞,股市創新高

  • @SKYBLUE-jv8is
    @SKYBLUE-jv8is23 күн бұрын

    According to the Taiwan government's statistics, the top 1% of earners in Taiwan have a significantly higher income compared to the average salary. As of 2020, the top 1% of earners in Taiwan have an average annual income of around NT$12.5 million (approximately USD 420,000). As for the top 0.1%, their average annual income is even higher, at around NT$30 million (approximately USD 1 million). In terms of assets, the top 1% of wealth holders in Taiwan have an average net worth of around NT150 million (approximately USD 5 million). The top 0.1% have an average net worth of around NT500 million (approximately USD 17 million). To put this in perspective, the average monthly salary in Taiwan is around NT$50,000 (approximately USD 1,667). This means that the top 1% of earners in Taiwan have an average annual income that is around 250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salary, while the top 0.1% have an average annual income that is around 600 times higher. It's worth noting that these figures are based on government statistics and may not reflect the actual income and assets of the top 1% and 0.1% of earners in Taiwan. However, they do provide a general idea of the significant wealth gap in Taiwan.

  • @gae-ja-sik
    @gae-ja-sik19 күн бұрын

    혼자 대만여행 알차게 보내고 와서 보게 되네요. 국민의 3분의 2이상이 오토바이나 스쿠터타고 다니는 만큼 우리나라처럼 대만도 배달대행일을 많이 하고, 하는 일에 겹쳐서 일 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은 것 같았습니다. 건물은 전반적으로 낙후된 곳도 많았지만 물가는 그래도 우리나라보단 싸서 좋았네요. 나름 음식도 맛있었습니다.

  • @kfx3907

    @kfx3907

    19 күн бұрын

    물가가 싸다기엔 다른 동남아 국가 대비 크흠... 솔직히 한국이랑 크게 차이나지 않아서 놀랐던적이 있네요..

  • @sunhokim303
    @sunhokim30315 сағат бұрын

    박정희 정주영 이병철 김우중 박태준 감사합니다

  • @MrAofur
    @MrAofur23 күн бұрын

    그럼 우리와 차이나는 그임금은 누가 가지고 가는지도 얘기해 주셔야죠~!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2 күн бұрын

    소수대기업과 해외투자자들

  • @user-pw2ur2xo5z
    @user-pw2ur2xo5z25 күн бұрын

    한국 대기업들도 인지도 없을때 세계 시장에 나가 피튀기는 경쟁과 생존력으로 세계시장에서 인정을 받기 까지 피땀나는노력을 해서 웬만해서 무너지지 않지만 중공이나 대만 기업들은 편안하게 정부의 보조금과 무조건 싸구려 제품으로 한국 대기업들을 이길려면 하늘의별따기 란걸 알아야 한다😮

  • @user-pm1wq3zd3c
    @user-pm1wq3zd3c21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아직도 1인당 gdp를 그나라의 실질소득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놀람. 그럼 싱가포르는 7만달러가 넘는데 싱가포르는 월급이 7~800만원이냐? 룩셈부르크 국민들은 평균 연봉 1억이 넘고??

  • @jujukimmy

    @jujukimmy

    20 күн бұрын

    ㅋㅋ 본인이 잘 몰라서 그러지 싱가포르 코로나 시작때부터 매년 평균 1만달러씩 오름 23년 기준 9만달러 넘음 ㅋㅋ

  • @user-pm1wq3zd3c

    @user-pm1wq3zd3c

    20 күн бұрын

    @@jujukimmy 아니 그러니까 1인당 gdp가 그나라 국민 평균 연봉을 의미하는 게 아니야. 도대체 학창시절에 경제 공부를 다들 어떻게 한건지.. gdp산출방식도 모르는건가..

  • @jujukimmy

    @jujukimmy

    20 күн бұрын

    @@user-pm1wq3zd3c ㅋㅋ 무슨 말 하는지는 알고있음 이미 싱가포르내 소득격차 ㅈㄴ 나는 거 알고있음 단지 9만달러 넘는다는 거 알려주려고 한 말임

  • @kfx3907

    @kfx3907

    19 күн бұрын

    @@jujukimmy거기 부자들이 더욱더 압도적으로 돈을 쓸어담는다는 얘기네

  • @hokifoki

    @hokifoki

    18 күн бұрын

    뭐라는거냐 얘는ㅋㅋㅋㅋㅋㅋㅋ 누가 그걸 실질소득으로 생각하냐ㅋㅋㅋㅋㅋㅋㅋ 인당 gdp가 높으면 그게 당연히 사회적수준과 관계가 있고 그럼 자연스럽게 평균월급과 어느 정도 상관관계를 가지겠거니 생각하는거지 대체 누가 gdp = 소득 이라 생각함?ㅋㅋㅋㅋ 아무도 그렇게 생각 안 하는데 지 혼자 나대고있네 꼴보기싫게ㅋㅋㅋㅋ 그 정도 수준으로 아는 척 하고싶으면 너희 조카들한테나 가서 해라ㅋㅋㅋ

  • @user-os7to7dt2n
    @user-os7to7dt2n22 күн бұрын

    오래전 부터 무척 의아해 생각했는데 유튜브영상 보다는 댓글 올린 구독자 글을보니 이해가 가는 군요 한가지 더 근로자 가 가져가야 할돈을 누군가가 더챙겨가는 구조 아닐까요 대만의 외환 보유고가 우리나라보다 많다고 아는데....

  • @hawkman8596

    @hawkman8596

    19 күн бұрын

    외환보유고는 정부의 자산구성방식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집니다. 예컨대 100조원을 달러화로 보유하고 있으면 외환보유고는 100조원 늘어나지만 정부가 100조원을 외환으로 보유하지 않고 주식이나 부동산에 투자하면 투자수익을 기대할 수 있죠. 대만이 유독 경제규모에 비하여 외환보유고가 높은 이유는 환율변동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입니다.

  • @user-uz9ie5pf6e
    @user-uz9ie5pf6e19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80년대 대비 지금 소득 10배 물가 13배 오히려 더 먹고 살기 힘들어진것 같음....예전에 맘대로 먹던 외식도 못해 과일도 못사먹어....

  • @q1q23q

    @q1q23q

    17 күн бұрын

    80년대가 서민입장에서 가장 살기 좋았던 시절이었던 것 같음

  • @sunghanmyung578
    @sunghanmyung57825 күн бұрын

    OEM ODM의 중소기업 위주의 경제구조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을 자사브랜드로 사업을 하기도 쉽지않으니 하기 쉬운게 임금후려치게 ..살아남기 위한 고육지책..한국이나 대만이나 ... 쉽지않은

  • @woony8875
    @woony887523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민주화가 필요한 겁니다 민주주의가 약화되면 빈부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서민은 삶은 피폐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자본가와 권력자는 요구하지 않으면 절대 주지 않습니다

  • @giokyun
    @giokyun20 күн бұрын

    저랑 같이 일본에서 요리유학한 대만친구가 12년차 미슐랭 1스타 쉐프인데 급여가 300만원 정도였고 본인 급여가 업계 탑이라더군요 작년 얘기인데 중위소득은 한국 2/3정도가 맞는거 같네요

  • @kay.lee.77
    @kay.lee.7724 күн бұрын

    없는돈도 쪼개서 어쨌든 얼마든 저축해야합니다.

  • @haskar-by5pl
    @haskar-by5pl25 күн бұрын

    이번에 최저 시급을 7700원정도로 올렸더군요. 정규직 직장인이 115만원씩 받는 일은 옛말이 될 것 같습니다만 여전히 낮죠. 대만이 노동자들 극도로 쥐어짜서 소수 기업과 자본가가 독식하는건가해서 각종 기업들의 영업이익이나 지니계수같은 지표를 보면 그건 또 아닌거같고.. 대만의 1인당 gdp가 산업구조의 특징으로 인한 착시현상에 의해 과대평가 되어있거나 대만의 전체적인 산업의 부가가치가 낮은게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 @user-ek5od4rl6k

    @user-ek5od4rl6k

    24 күн бұрын

    대만에도 우리나라처럼 주휴수당 잇나요?? 7700 ×160시간 하면 123만원이네요..

  • @user-ek5od4rl6k

    @user-ek5od4rl6k

    24 күн бұрын

    찾아보니 대만 최저임금이 주휴수당을 포함한거라는군요.. 그럼 정말 우리나라대비 너무 낮네요

  •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24 күн бұрын

    @@user-ek5od4rl6k 그래서 동남아 외국인노동자들도 대만 취업을 기피합니다. 한국에 취업하려다 커트라인에 걸려 떨어지면 마지못해 일본, 대만 취업을 하지요.

  • @user-yc9fs1mj3c

    @user-yc9fs1mj3c

    20 күн бұрын

    @@user-ek5od4rl6k 주휴수당은 20% 포함시킨거니깐, 우리나라는 실제로는 12000원에 가깝습니다. 대만이 주휴수당 포함하여 7700원이니깐, 아직 임금차이가 크죠. 다만, 최저 임금은 사실 단순 노무직이나 생산직이라서, 해외 이주민들이 혜택이 젤 큽니다. 아마도 대만이나 한국이나 중국 외노자들의 혜택이 제일 클 겁니다.

  • @winwinlee7027
    @winwinlee702722 күн бұрын

    좁은섬에 고학력인구가 넘치고, 일자리는부족하니,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서 생기는 문제 같음. 인구를 줄이든지 섬을 늘이든지.

  • @hawkman8596

    @hawkman8596

    19 күн бұрын

    아니면 섬을 중국에 넘기든지...

  • @user-mv3dp9vf9h
    @user-mv3dp9vf9h24 күн бұрын

    안타까움!!!

  • @user-wq9rc6rc4c
    @user-wq9rc6rc4c10 күн бұрын

    모두가 그 국가의 착취구조안에 살면 행복도가 높겠지만. Sns를 통해 같은 아시아국가들의 삶을 보면서 소비는 늘어나고 불만족은 커지고 이게 이민, 저출산까지 이어진다고 생각

  • @dolmengyi1307
    @dolmengyi130725 күн бұрын

    근데 대만 우리나라 인구 거의 절반

  • @user-ed9hn2sh9q
    @user-ed9hn2sh9q10 күн бұрын

    대만은 중소기업이 주류고 국민들이 살기 좋다고 어느 정치인이 말하던데.

  • @user-tb4ov2ru7s

    @user-tb4ov2ru7s

    7 күн бұрын

    如果當年有一家像TSMC的公司 也會被三星扼殺 大企業要包辦所有利益 中小企業必須臣服腳下

  • @elle8062
    @elle80626 күн бұрын

    대만이 천국이다 👏🏻👍🏻

  • @user-xu9eq4bu2c
    @user-xu9eq4bu2c19 күн бұрын

    출산율은?

  • @user-tb1yf9vd7d
    @user-tb1yf9vd7d22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삼성 반도체만 있는 게 아니라 엘지 가전도 있고, 포항제철, 현대자동차, 조선, 건설, 원자력 심지어 요즘 세계적인 무기 회사까지 있다. 대만은 tsmc외에는 별 게 없다. 우리나라가 특이한 건가?

  • @user-rj3hm9re7w

    @user-rj3hm9re7w

    22 күн бұрын

    그래봐야 둘다 중국밥이라서 미국이민가야지요. 하하하

  •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25 күн бұрын

    대만의 임금수준이 한국의 60%밖에 안되니 외국인노동자들도 대만보다 한국에서 일하는 것을 선호한다.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외국인들이 여행가기에는 한국보다 대만을 더 선호하죠

  •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24 күн бұрын

    @@user-dt2xf1fm2k 동남아에서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도전하다 계속 떨어져 취업가능연령을 넘어가면 대만이나 일본으로 취업간다고 하지요.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4 күн бұрын

    @@hanpyulkong3676 일본은 더더욱못가죠. 일본은 한국뺨치는 엄격한 나이제한문화가 있고 신졸만24세, 워킹홀리데이만28넘으면 안받아주기때문입니다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4 күн бұрын

    @@hanpyulkong3676 일본은 더더욱안되죠. 일본은 한국보다훨씬심한 나이제한문화가있고 신졸 만24세, 워킹홀리데이 만28세만 넘어도 안받아줍니다

  • @jdjfjrbxkebxjw
    @jdjfjrbxkebxjw12 күн бұрын

    아니 그래서 1인당 gdp가 높은데 소득수준이 낮은 이유가 뭐냐고 ㅋㅋ 결국 정의상 1인당 생산과 1인당 소득은 같이 갈수밖에 없는건데.

  • @junghyeopcha6861
    @junghyeopcha68612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다르게 주휴수당을 포함해서 통계작성.

  • @youngblood3907
    @youngblood390722 күн бұрын

    그래픽 카드로 유명하다함은 "엔비디아" 말하는거 같은데, CEO만 대만계일뿐 미국회사 아님?

  • @user-yc9fs1mj3c

    @user-yc9fs1mj3c

    20 күн бұрын

    맞아요. 그래도 대만인이 의사결정자라는 사실이 꽤 메리트가 크죠. 친 대만 정책을 펼칠테니깐요.

  • @user-rw8jp4sr7x

    @user-rw8jp4sr7x

    19 күн бұрын

    엔비디아에서 제공하는 레퍼런스 설계를 바탕으로 제조는 대만 기업에서 합니다

  • @user-jc4vh3zi2d
    @user-jc4vh3zi2d22 күн бұрын

    물가 싸든데 특히 생필품은 우리 절반수준 외식도 싸고

  • @user-dt2xf1fm2k

    @user-dt2xf1fm2k

    22 күн бұрын

    요식업,유통업에 종사하는사람 임금도 우리절반수준

  • @dsk3038
    @dsk303823 күн бұрын

    대만의 정치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강력한 양당이 번갈아가며 집권하여 나라를 이끌어가고있다 알고있는데.. 청년들의 최저임금문제는 아무도 건들지않은 모양이군요..

  • @JosephLeeInTW

    @JosephLeeInTW

    5 күн бұрын

    많은 분들이 언급하셨듯 저임금 노동집약으로 기업을 돌리다 보니, 최저임금을 높임으로써 해당 기업들에 부담이 가중되면 OEM/ODM 전문 기업들이 경쟁력을 잃을것 같기도 합니다. 이게 바람직하다고 보이지는 않는데, 대만도 요즘같은 시대에 저임금 전략에서 벗어나 더 고부가산업에서 발전을 이루어야 하는데 아직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저임금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것 같아요.

  • @jinweonkim4270
    @jinweonkim427024 күн бұрын

    34000불이 어떻게 나왔는지 예전부터 이해되지 않고 여기서도 이에 대한 이해는 없네요 한 국가의 gdp는 크게 자원과 기업이 만드는데 대만 한국을 비교했을때 둘다 자원은 개털이지만 대만의 tsmc르 비롯한 컴퓨터 보드 회사와 일부 공구 만드는 규모로 저정도의 gdp는 어떻게 도출되었는지? 한국이야 삼성 엘지 현대 등 기타 조선 정유 건설 방산등.. 대만과 비교가 되지 않는데도 대만과 같다.. 아무리 인구가 두배라지만 결국은 대한 졸업자의 평균 연봉이 실질적인 경제력의 지표가 아닐까 싶네..

  • @user-yc9fs1mj3c

    @user-yc9fs1mj3c

    20 күн бұрын

    이게 바로 GDP의 역설이죠. 싱가포르 보세요. 조세 탈출국의 지위. 실제로는 부자들이 많이 오지만, 빈부차이가 얼마나 큰지. 물론 도시국가이고 인원이 적으니깐, 그런 정책이 가능하죠. 대만의 2천만도 적은 인구가 절대 아닙니다. 그런데 TSMC는 반도체를 위탁생산하는 업체라서 인건비가 곧 원가의 큰 포션이니, 임금을 올리는 구조가 어렵죠. 하지만, 올려야 함. 그래야 대만 인구 전체가 잘 살죠.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