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자꾸 전쟁을 하는 결정적인 이유 (류한수 교수 2부)

Тәжірибелік нұсқаулар және стиль

👇지식인사이드 네이버카페 가입하기
cafe.naver.com/knowledgeins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u4LxVcwFdhvkLH8m6
오늘은 류한수 교수님을 모시고
러시아가 전쟁을 하는 이유에 대해 들어봤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류한수 #지식인사이드 #러시아
00:00 인트로
00:37 러시아가 자꾸 전쟁을 하는 근본적인 이유
02:20 러시아 군사력의 ‘충격적인’ 실체
03:30 러시아 땅, ‘이정도’로 어마어마합니다
04:18 러시아가 과거 침략을 당했던 ‘의외의’ 이유
08:01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집착하게된 충격적인 이유
10:43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점령하면 벌어지는 일들
12:54 러시아에 넘쳐나는 ‘이것’
13:44 다 가졌지만 ‘이것’은 없는 러시아

Пікірлер: 1 600

  • @user-rf9ju1tj1c
    @user-rf9ju1tj1c12 күн бұрын

    비슷한 논리라면 중국이 세력권을 유지하기 위해 한반도를 침공해도 인정해야한다는.것인지?

  • @johan367
    @johan367Ай бұрын

    말씀 잘 들었습니다. 3:53에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를 170번 가야지 러시아의 동쪽끝에서 서쪽 끝까지" 라는 부분은 수정해야 할 부분 입니다. 정사각형에서 면적의 170배면 거리는 루트 170배입니다. 면적은 제곱의 개념이라 그렇습니다. 실제 서울-부산이 직선거리로 약320킬로정도 되고 러시아 동서 길이가 9,000킬로 입니다. 약 28배 입니다. 170배 이면 54,400킬로로 적도 둘레(40,000킬로)보다도 더 깁니다.

  • @user-sy4xz9tk4t

    @user-sy4xz9tk4t

    28 күн бұрын

    배운놈이네

  • @johan367

    @johan367

    28 күн бұрын

    @@user-sy4xz9tk4t 가정교육 안되신 분이군요

  • @user-fi8es5dz4t
    @user-fi8es5dz4t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관계도. 비슷하다고 봅니다 더욱더 강력한 군사력이 필요하며 중국을 상대로 북한처럼 비대칭 전력을 키울 필요가 있습니다

  • @jay9090

    @jay9090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나 물질주의나 양육강식이나 다 같은 겁니다. 난전에서 강한게 살아남는게 아니라 살아남은게 강하다하죠.. 우리는 세계를 다스리던 조선의 귀족층이었으며 족보를 가진 천손들이라 임진왜란이후 선조들의 무덤인 한반도로 귀향을 선택하고 세계가 한통속으로 만든 역사왜곡과 세뇌교육으로 정체성을 갖지 못하고 많은 젊은 영혼들이 선조들의 업으로 희생당하고 있죠. 너무 혼탁하여 이제는 정말 깨어냐지 않으면 인류창조지인 한반도에서 우리는 진실을 모르고 고통받아 죽어가는 무생이 될것이다.

  • @user-fv2hc3xz7k

    @user-fv2hc3xz7k

    Жыл бұрын

    핵무장!!

  • @user-hh8gp2od6i

    @user-hh8gp2od6i

    Жыл бұрын

    @@user-fv2hc3xz7k ㅣㅣㅣㅣ11

  • @user-bg5xl2zh8o

    @user-bg5xl2zh8o

    Жыл бұрын

    많이 핵무장 하셔요 미국의 가공할 재제를 받아 북한처럼 거지나라가 될테니까

  • @i-smr8468

    @i-smr8468

    Жыл бұрын

    핵보유하고 외교적 경제적으로 ㅈ망 고립되면 퍽 좋겄다

  • @user-wr3eg1wp5x
    @user-wr3eg1wp5x20 күн бұрын

    그건 핵 없을때 얘기고요 그냥 푸틴,러시아인들이 허상에 미쳐서 그런거지요

  • @cp-sb6cp

    @cp-sb6cp

    Күн бұрын

    푸틴의 권력 욕심을 러시아 국민들이 무지해서 지지하고 있는 형국.. 중국에 이런 속담이 있답니다. '속이는 놈이 나쁜게 아니라 속는 놈이 멍청한거다..' 백퍼 찬성할 수는 없지만 무지하면 독재자의 밥인것은 확실!!!

  • @user-hp5sx5yi5f
    @user-hp5sx5yi5f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면적하고 길이하고 혼동을 시키시면 안됩니다. 면적이 180배라고 끝에서 끝이 180배는 아니죠...끝에서 끝은 대략 최대가 30배 정도 되고요....모스크바에서 제일 놀란건 여름에 일몰이 밤 12시 다 되어서 있고, 일출이 새벽 4시가 되기전에 있던겁니다. 10일 정도 있다가 시베리아 횡단철도 타고 블라디로 왔는데 6박7일 정도 걸렸습니다.....시베리아는 지나가면서 보니 우리나라 80년대 수준인데 팔도 도시락면이 엄청많은게 인상적이더군요...팔도 만쉐입니돠아~

  • @user-ou9ig3le2y

    @user-ou9ig3le2y

    Жыл бұрын

    겨울은 일몰이 일찍오죠 그래서 러시아 학생들이 컴퓨터 게임을 엄청나게 합니다 학교 갔다와서 집밖에 나가는게 너무 위험하니까 부모들이 걍 냅두는듯 하더군요

  • @user-wo2pz9gc4k

    @user-wo2pz9gc4k

    Жыл бұрын

    ​@@user-ou9ig3le2y 우리나라는 왜... ㅋㅋㅋ

  • @munbadaro

    @munbadaro

    Жыл бұрын

    그렇죠. 러시아의 길이가 한반도 180배 되려면 지구가 거의 목성크기에 가까워져야

  • @user-ly8vl9eu7u

    @user-ly8vl9eu7u

    Жыл бұрын

    설명을 잘해주어서 고맙습니다! 이해가 잘됐네요!😂😊

  • @user-xq6zy2dt7x

    @user-xq6zy2dt7x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문과라서 길이와 면적의 개념이 헷갈리는 사소한 거니, 이해해 줍시다 😊

  • @user-xr4df7vm5h
    @user-xr4df7vm5hАй бұрын

    소련이 독소전쟁에서 이긴 이유는 소련 연방내 국가(카자흐, 헝가리, 유고, 우즈벡 등 소련 위성국가)에서 군인을 강제징집해서 독소전쟁터에 보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독일군이 소련군은 죽여도 죽여도 끝 없이 몰려왔던 것 입니다.

  • @skystar9594
    @skystar9594 Жыл бұрын

    러시아땅 대부분이 과거 몽골이 지배했던 땅,몽골이 멸망하자 러시아가 대신 접수한거죠.

  • @user-ib2yb6zv8l
    @user-ib2yb6zv8l Жыл бұрын

    히틀러와 스탈린의 전쟁..저서 재미있게 읽었어요.감사합니다

  • @youart5467
    @youart54672 ай бұрын

    ㅡ 좋은 공부 했습니다 ,,감사 ㅡㅡ

  • @k_beauty07
    @k_beauty07Ай бұрын

    좋은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sang-junlee6561
    @sang-junlee6561 Жыл бұрын

    다차 - 통나무로 만든 집과 텃밭이 딸린 주말 농장으로, 러시아 도시인의 70%가 다차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가족들과 농사를 짓고 휴식을 취한다. 다차 문화는 19세기 러시아 제국 시대부터 내려온 전통으로, 1970년대 말 러시아 정부가 다차를 갖고 싶어 하는 직장인들에게 각각 600m2의 땅을 무상으로 분배하면서 러시아인의 삶 깊숙이 자리 잡았다. 러시아인은 금요일 저녁부터 일요일 저녁까지 이곳에서 2박3일 간 기거하며 농사를 짓고 휴식을 취한다. 러시아 가정에서 소요되는 농산물의 40%를 이 다차에서 자가생산하여 소비 한다고 함

  •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우크라전은 미국이 왜 그 전쟁을 유도했는가하는 관점에서 보아야. 그래야 전쟁의 향방과 해결책을 알 수 있음.

  • @user-zt8qs1xs3j

    @user-zt8qs1xs3j

    Жыл бұрын

    좋은 정책이네요

  • @user-wd2wm6xv4j

    @user-wd2wm6xv4j

    Жыл бұрын

    이미 오래 전에 다차를 팔 수 있게 하면서 그 돈으로 보드카 사마시고 길거리에서 얼어 죽는 집없는 루스키들 속출 중입니다.

  • @sang-junlee6561

    @sang-junlee6561

    Жыл бұрын

    @@user-wd2wm6xv4j 언제적 얘기를 하는거요? 러시아엔 가 보셨소?

  • @user-wd2wm6xv4j

    @user-wd2wm6xv4j

    Жыл бұрын

    @@sang-junlee6561 안가보고 이런 얘기하겠어요? 한두번 갔으면 말 안합니다.

  • @Lht-si3yu
    @Lht-si3yu Жыл бұрын

    큰일이네요 지속적으로 싸워야 나라가 유지된다니.

  • @user-fl5qx5lz1v
    @user-fl5qx5lz1v Жыл бұрын

    오 유익한 정보를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yjrm7634
    @yjrm7634 Жыл бұрын

    공식 문서는 국제관계를 의식해 언급되지 않지만 부동항 추구는 러시아의 지정학적 상황에 의해 러시아 민족과 정치인들의 이심전심의 무의식적 소망으로 볼 수 있지요. 한민족의 오랜 역사의지 대륙진출을 염원하는 북진정책을 품고 있는 것처럼,

  • @YUYU-dq5nn
    @YUYU-dq5nnАй бұрын

    도표이나 그래프 등으로 부연 설명 해주시면 참 좋겠어요. 훨씬 이해가 쉬울 거 같아요.

  • @user-nf6cb6yl6r
    @user-nf6cb6yl6r Жыл бұрын

    나폴레옹 전쟁 때 러시아 수도는 모스크바가 아니라 상트페테르부르크였죠

  • @user-yc5ld2mh5h

    @user-yc5ld2mh5h

    3 ай бұрын

    전쟁 이후 옮겼죠

  • @peterjun8889
    @peterjun8889Ай бұрын

    명쾌 합니다

  • @user-df5se2xb5e
    @user-df5se2xb5e22 күн бұрын

    잡다한 너스레 없이 러시아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dc5pn2iq4b
    @user-dc5pn2iq4b Жыл бұрын

    객관적인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user-qk8vb5py1d
    @user-qk8vb5py1dАй бұрын

    지금시점에 핵개발 유도미사일 젤 최첨단으로 개발하는국가가 한국이라고봅니다 땅덩어리가작아서 독도랑 서해안쪽에핵개발을 강력추천합니다

  • @wokemen8706
    @wokemen8706Ай бұрын

    웃음만 나오네요 ㅎㅎ

  • @donshin8427

    @donshin8427

    Ай бұрын

    상당히 러시아적 시점을 가진 학자입니다.

  • @LeeEunTaek

    @LeeEunTaek

    Ай бұрын

    왜 웃음이… 혹 잘못된 부분 또는 더 깊이있는 지식이 있으시면

  • @donshin8427

    @donshin8427

    Ай бұрын

    @@LeeEunTaek 전후 유럽의 가스수출국은 미국이 최대수혜자가 되었습니다. 러시아가 골로 가면 세계 에너지 페권은 미국으로 확고히 돌아갑니다. 그런데 미국이 전쟁을 포기 할까요? 죽어도 않할껄요. 미국이 이라크에 썼던 돈의 연평균 10분의 일이랍니다. 가성비 좋은 전쟁입니다. 미군 죽을 일도 없고. 이분의 분석은 너무 러시아 중심적입니다. 사실 이번 전쟁은 미국의 에너지 전쟁으로 봐야합니다. 전쟁초기 바이든이 왜 우크라 전쟁에 개입않한다고 했을까요? 일부러 그런것 입니다. 러시아는 덫에 걸렸다고 봐야 합니다. 그것도 질질 끌며 국력을 완전 소모할때까지.

  • @lboard321

    @lboard321

    Ай бұрын

    엉터리 개나소나 유튜버

  • @lboard321

    @lboard321

    Ай бұрын

    개나소나 유튜버 엉터리

  • @luterkim9908
    @luterkim9908 Жыл бұрын

    부동항에대한 견해 새롭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jonghopark4274
    @jonghopark4274 Жыл бұрын

    엄청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강의가 ㄷ ㄷ

  • @user-fs6nv7ff5w
    @user-fs6nv7ff5w Жыл бұрын

    미국도 러시아도 심지어 최근의 중국도 나라의 힘을 더 키우기 위해 계속 팽창을 추구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지요. 그 목적이 부동항이던 아니던...

  • @geangeun-jen

    @geangeun-jen

    Жыл бұрын

    우리 대한민국 넓게는 한반도는 지정학적인 친미 친서방 중심이지만 그래도 중립 외교 잘하고 인구가 국력이다. 얼라 많이 낳고 지금 처럼만 잘 해주면 됩니다. 한반도 통합에 대해서 많은 고민과 그리고 미래 우리의 계례의 후손세대들에게 어떤 가치를 물려줄지 어떤 복을 물려줄지 내리사랑 이라고 하는대. 많은 지혜를 모의고 공감대를 형성하고 필요할듯 합니다.

  • @user-th2cr2rs4r

    @user-th2cr2rs4r

    Жыл бұрын

    미국만 그러겠어요? 중국은 아시아에서 미군이 나가면 더 탐욕스러워질겁니다.

  •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Жыл бұрын

    미국이 팽창을 하고 있다고요? 세계 2차 대전 후 땅따먹기 하는 나라는 러시아밖에 없습니다.

  • @tonsk2k322

    @tonsk2k322

    Жыл бұрын

    동영상 제목은 '미국이 러시아를 전쟁으로 유인하는 이유'가 타당함.

  •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Жыл бұрын

    @@tonsk2k322 침략해놓고 남탓. "북한의 6.25 남침은 한국탓" 이랑 뭐가 다르냐.

  • @user-fj3vy4oq7j
    @user-fj3vy4oq7j Жыл бұрын

    생명의 소중함을 깨닳아야할것 같다

  • @user-su2zv3vw9q
    @user-su2zv3vw9q Жыл бұрын

    부동항을 추구한게 아니면 한반도 머리 꼭대기에 붙어있는건 뭔가요?

  • @masonju5854
    @masonju5854 Жыл бұрын

    부동항에 대한 부분이 새롭고 좋았습니다. 여하간 러시아 쪽에서 공부하신 분이니....의견은 다르실 수도..

  • @1004-LANDPIA
    @1004-LANDPIAАй бұрын

    잘보았습니다 ❤❤❤

  • @user-pt7wl3fj5u
    @user-pt7wl3fj5u Жыл бұрын

    전쟁 ! ! 이건 아니다 봅니다 안타까워요

  • @araby33
    @araby33 Жыл бұрын

    미국 스페인전쟁 맥시코전쟁 1.2타대전 태평양전쟁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파나마침공 걸프전 코소보전 아프카니스탄전쟁 리비아침공 이라크전쟁 시리아전 러우전지원

  • @impact-ij5ps

    @impact-ij5ps

    Жыл бұрын

    온 세상에 분란만 일으키네 악의 축이 따로 없네

  • @LeeEunTaek

    @LeeEunTaek

    Ай бұрын

    한국전쟁은 또 뭐니? 미국이 한국을 침공했냐?ㅋㅋㅋ

  • @LeeEunTaek

    @LeeEunTaek

    Ай бұрын

    @@impact-ij5ps너그 6.25침략자 김일성과 모타이똥도 좀

  • @eesoggun

    @eesoggun

    5 күн бұрын

    과거의 영국을 보면 된다 앵글로색슨 애들이 뭘 할 지 ㅋ

  • @bcj9440
    @bcj9440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 @user-uq5ev7ub8i
    @user-uq5ev7ub8i Жыл бұрын

    일반 방송에서 몇번 뵙었습니다만 유튜브로 오늘 만나니 너무 반갑고 미처 몰랐던 나라간의 이해관계를 해박한 류교수님의 설명으로 촘촘히 이해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Ай бұрын

    이사람 친러친중파 유명한 사람임 ㅋㅋ 악마 푸틴에 세뇌당해서 살인마 옹호하능거 봐라 ㅋㅋ

  • @user-px2ri2ho1k
    @user-px2ri2ho1k Жыл бұрын

    러시아에 대한 많은 지식을 가르쳐주시는 교수님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많이 강의해주세요~!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Ай бұрын

    이사람 친러친중파 유명한 사람임 ㅋㅋ 악마 푸틴에 세뇌당해서 살인마 옹호하능거 봐라 ㅋㅋ

  • @user-kd7bp2fi5m
    @user-kd7bp2fi5m9 ай бұрын

    탄소 줄이기에 앞장서주셔서 감사합니다. 자국민을 통해 인구 감소를 몸소 실천하시네요

  • @user-jf1lu2kb1m

    @user-jf1lu2kb1m

    Ай бұрын

    ㄹㅇㅋㅋㅋㅋ 이 나라는 알아서 평화로워도 우크라보다 아이를 덜 낳아서 줄어들고 있잖아 ㅋㅋㅋㅋㅋㅋㅋ

  • @michaeloh7824
    @michaeloh7824 Жыл бұрын

    그전에 러시아 역사 배울 때는 제정 러시아 때부터 팽창 정책을 펴왔다고 배웠습니다. 러시아가 지정학적으로 모스크바가 적에게 침략 당하기 좋은 곳이라 모스크바에서 국경이 멀면 멀수록 좋다는 건데... 그건 그렇고 우크라아니와 전쟁 이유는 교수님 지적대로 니와바리 확보인거지요. 그런데 우크라이나가 독립 이후 정체성이 너무 바뀌어 러시아 영향권으로 들어가지 않으려고 할겁니다.

  • @iconjdy

    @iconjdy

    Жыл бұрын

    요즘 세상에 엄청난 핵보유량과 군사력을 지닌 러시아가 침공이 우려되서 우크라이나 침공을 했다? 말 그대로 핑계로만 들리고 그런식이면 남한이 제일 위험한거 아닌가? 당장 선제북침해야지

  • @ssems09

    @ssems09

    9 ай бұрын

    @@iconjdy ㅋㅋ 그쵸. 사실 나토의 침략이 두렵다면서 나토국가들과 가장 열심히 경제 교류하면서 돈 벌던 곳도 러시아입니다.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Ай бұрын

    이사람 친러친중파 유명한 사람임 ㅋㅋ 악마 푸틴에 세뇌당해서 살인마 옹호하능거 봐라 ㅋㅋ

  • @user-vw2ho5bu9d
    @user-vw2ho5bu9d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happyaccompany
    @happyaccompany10 ай бұрын

    소비에트 연방 해체 전 면적이 2240.2만km²로, 한반도 전역(약 22.1만km²)의 100배에 이르렀던

  • @dongari
    @dongari Жыл бұрын

    음... 무르만스크가 북쪽에 있어서 당연히 얼겠지 했는데 안 어는 곳이군요. 상트 페테르부르크가 겨울에 어는데 훨씬 북에 있는 무르만스크는 안 언다니 흥미롭습니다.

  • @user-og1bm5bs1z

    @user-og1bm5bs1z

    8 күн бұрын

    따뜻한 물이 쭈르륵 흘러와여. 북대서양 해류

  • @Israel_is_ISIS
    @Israel_is_ISISАй бұрын

    러시아는 풍부한 천연가스가 있기때문에 지금까지 우크라아나, 미국이랑 전쟁을 계속 하고있음에도 안망하는건데 ㅡ,ㅡ 참 개나소나 전문가네

  • @eesoggun

    @eesoggun

    5 күн бұрын

    방구석 백수 왈 ㅋㅋ

  • @user-rk8tg3bg6r
    @user-rk8tg3bg6r Жыл бұрын

    수고 하셨슴니다~

  • @junyoungkoo8068
    @junyoungkoo8068 Жыл бұрын

    미국 과 러시아중 어느 나라가 더 많이 전쟁을 벌였나요....

  • @user-pn9xy2sw5o

    @user-pn9xy2sw5o

    Ай бұрын

    침략은? 방어 전쟁은?

  • @user-jw9bm9cu5z

    @user-jw9bm9cu5z

    Ай бұрын

    전쟁도 전쟁나름이지요. 자꾸 빨간냄새 피우지 마요

  • @ABC-kx5gy

    @ABC-kx5gy

    Ай бұрын

    하나만 예를 들어 봅시다. 미국은 본토를 침략받은 적이 없어요(9.11 테러는 테러이므로 제외. 일본의 하와이 진주만 공격은 본토가 아니라서 제외)

  • @FLASHkor

    @FLASHkor

    Ай бұрын

    ​@@user-jw9bm9cu5z 어우 님에게서는 틀니냄새늠

  • @user-im3jy9lw2i

    @user-im3jy9lw2i

    2 күн бұрын

    빨간넘들은 죽을 끌에도 돼

  • @user-mb9gm6tl1q
    @user-mb9gm6tl1q Жыл бұрын

    침략전쟁은 그 어떤 이유나 합리화로 용납되선 절대 않됩니다 침략자는 범죄자일 뿐입니다

  • @user-hn7qy5ed3f

    @user-hn7qy5ed3f

    10 ай бұрын

    그런논리면 이라크.베트남.리비아.아프카니스탄 을 침략한 미국이 제일큰범죄국이아닌가

  • @messididit

    @messididit

    10 ай бұрын

    ㅋㅋㅋ 네 그래요

  • @TiananmenMassacre1989

    @TiananmenMassacre1989

    10 ай бұрын

    ​@@user-hn7qy5ed3f그래서 부시 욕 존나 처먹었잖아

  • @Someone111ify

    @Someone111ify

    9 ай бұрын

    입으론 뭘 말 못해

  • @happydrawing7309

    @happydrawing7309

    9 ай бұрын

    @@user-hn7qy5ed3f 범죄국 맞음

  • @wsg8613
    @wsg861329 күн бұрын

    말도안돼요

  • @user-sg3sb2iw5s
    @user-sg3sb2iw5s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랑 너무도 비슷한 지정학적 위치에 있는 우크라이나...남일이 아니라서 이번 전쟁이 와닿는다

  • @newfacekorean

    @newfacekorean

    Жыл бұрын

    한국과 많이 다릅니다

  • @user-ou9ig3le2y

    @user-ou9ig3le2y

    Жыл бұрын

    굳이 비교를 하자면 중국 타이완 관계랑 더 비슷하긴 합니다 근데 패권 주변의 완충국가라는 입장에선 한국과 확실히 같죠

  • @coollley

    @coollley

    Жыл бұрын

    전혀 다른데요. 차라리 세종의 팽창정책과 여진족과의 출동이 나을거 같네요

  • @korean9635
    @korean9635 Жыл бұрын

    아주 재미지고 합리적인 이야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davekim5757
    @davekim5757 Жыл бұрын

    가만 있는 러시아를 서방이 공격한다는게 상상하기 어렵긴한데.. 러시아도 나름 트라우마는 있군요

  • @ghsdkahfgfsdsafjjk3130

    @ghsdkahfgfsdsafjjk3130

    Жыл бұрын

    괌 하와이 사모아 다 식민지임 100년 넘어서 자연스럽지만

  • @user-gf5px5rg8e
    @user-gf5px5rg8e Жыл бұрын

    다 필요없고 그냥 애들이 호전적임. 남자무리들이 길가다가 눈마주치면 싸움. 남자들 차 트렁크에 야구빠다, 목검같은거 넣고 다님. 남자애들 격투기 한두개이상씩 배움...그냥 눈마주치면 싸우는 나라임.

  • @sunglee3935

    @sunglee3935

    Ай бұрын

    그런데 우크라이도 못이김

  • @user-cp7du9pr5o

    @user-cp7du9pr5o

    Ай бұрын

    ​@@sunglee3935 맨날 술쳐먹으니까

  • @user-sn8nt1hu1b

    @user-sn8nt1hu1b

    29 күн бұрын

    ㅋㅋㅋ

  • @qkrjj2079

    @qkrjj2079

    11 күн бұрын

    ​@@sunglee3935이기고 있는데..

  • @seansnkim4419
    @seansnkim4419 Жыл бұрын

    우리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하지만 정보측면에서 가장 소외된 나라, 러시아!

  • @user-yc7jn3el6s
    @user-yc7jn3el6s Жыл бұрын

    러시아가 힘이있지만 힘만으로 하지않는 젠틀한국가였다면, 주위국가와 존중으로 대했다면 ..

  • @hanbyeongyeob

    @hanbyeongyeob

    10 ай бұрын

    러시아는 미국에 비해 신사입니다. 파나마에 반미 정권이 들어 섰다는 이유로 선전포고 없이 침략하여 반미 정권 축출하고 종전했으며, 이라크와 리비아는 핵무기, 생화학 무기 생산한다며 공장까지 공개하고 침략했지만, 이라크, 리비아 함락 후 독일 프랑스 등 유럽군이 미국이 지정한 공장 실사갔는데 비료 공장과 완구 공장이었습니다. 미국이 사과 한적 없습니다 리비아, 이라크 침략은 네오콘이 주도하고 정보국, 행정부, 언론이 합작하여 여론을 조작하여 명분으로 삼은 겁니다. 장기간 평화로 재고 무기를 감당할 여력이 안되고 방산 기업이 어려워 방산기업 살기기 위해 전쟁을 한 겁니다.

  • @user-yt8zg1di3f

    @user-yt8zg1di3f

    Ай бұрын

    지금에서야 러시아가 가해자처럼 보이지만 그 주변국들은 대부분 러시아에게 가해자였음. 폴란드, 몽골, 중앙아시아, 터키, 서유럽국가들 하나같이 전부, 러시아는 하나같이 복수를 위해 힘을 모았고 결국 수백년에 걸쳐 그들을 무너트리고 정복해나간 과정이 그 역사임.

  • @cella7503
    @cella7503 Жыл бұрын

    2013년 이후 왜 우크라이나가 친서방으로 확정되었는 지도 다뤄주셨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네요.

  • @dndnpdp20

    @dndnpdp20

    Жыл бұрын

    소련시절부터 러시아가 똥을 많이 싸서 민족감정이 굉장히 안좋음

  • @ralphgibson148
    @ralphgibson148 Жыл бұрын

    무르만스크가 어딘가 찾아보니..러시아 제일 꼭대기..핀란드 옆이고 핀란드 위치상으로도 맨 위쪽..다만 바다와 바로는 아니고 강가인것 같던데.. 그 위치가 얼지 않는다는게 신기하기도 하고..

  • @jinyoungan4830

    @jinyoungan4830

    Жыл бұрын

    멕시코 난류가 대서양 따라 거기까지 흘러서 그렇다고 하던데... 그래서 거긴 무르만스크 남쪽 내륙지역보다 더 따뜻하다더군요.

  • @user-ch4dw6xl3j

    @user-ch4dw6xl3j

    Жыл бұрын

    나이50이상 되는 사람들은 70년대말인가80년대에 소련 무르만스크에서 비행기 대형사망사고 뉴스를 들은기억이 난다.

  • @user-bn1bc3cx2h

    @user-bn1bc3cx2h

    Жыл бұрын

    @@user-ch4dw6xl3j kal 기 폭발 쏘련공군이 미사일 정조준 .전원사망

  • @user-cd9nu3re6n
    @user-cd9nu3re6n Жыл бұрын

    전쟁은 주기적으로 항상 있었지 않나요..생산력이 안되서 전쟁 권력과돈을위한 전쟁. 자원을 위한전쟁 체제유지를 위한 전쟁 앞으로도 어디서든 어느시간이든 전쟁은 쭈욱.

  • @Moonlight_Sonata_3rd
    @Moonlight_Sonata_3rd Жыл бұрын

    부동항과 관련된 내용이 제겐 다소 충격입니다. 역사를 배울 때의 기억과 정반대의 내용이네요. 직접 찾아서 하는 공부를 해야겠습니다

  • @sypark6300

    @sypark6300

    Жыл бұрын

    좀 더 진실된 사항을 아시고 싶으시면 박상후님이나 scott인간과 자유, 러시아학당님들의 영상을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 @user-sm9fv2ni1y

    @user-sm9fv2ni1y

    Жыл бұрын

    이거 국민학교때부터 배웠는데

  • @onefunnyman925
    @onefunnyman925 Жыл бұрын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명분 잘 들었습니다만 전쟁은 없어야 합니다.

  • @mapasan00

    @mapasan00

    Жыл бұрын

    나토는요?

  • @ursus-actors

    @ursus-actors

    Жыл бұрын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였고 이는 앞으로도 변치않을 진리다

  • @user-dj9vg1ej2q

    @user-dj9vg1ej2q

    Жыл бұрын

    나토는 선제침략한적이 없자나 치즈가 산으로가냐? 개념좀 챙겨

  • @user-uv9xz6lp2r

    @user-uv9xz6lp2r

    Жыл бұрын

    @@user-dj9vg1ej2q나토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듯 나토는 선제공격만 했습니다 프로파간다와 현실은 다른 법

  • @___whoops

    @___whoops

    Жыл бұрын

    ​@@user-dj9vg1ej2q나토의 수장인 미국이 역사내내 침략 약탈 학살을 끊임없이 해왔는데 선제침략이 없다고?

  • @chang-wookwon7607
    @chang-wookwon76079 ай бұрын

    류교수 님 아주대서 강사하시던 시절 강의 즐겨 들었었습니다~ 요즘 TV에 자주 나오셔서 반갑네요~^^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Ай бұрын

    이사람 친러친중파 유명한 사람임 ㅋㅋ 악마 푸틴에 세뇌당해서 살인마 옹호하능거 봐라 ㅋㅋ

  • @user-mw9gg2xq9s
    @user-mw9gg2xq9s Жыл бұрын

    유튜브로 이런 강의를 들을 수 있어 다행입니다. 유튜브의 잇점

  • @chumlee225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일요일 아침부터 재밌어서 깨춤추고 들었습니다

  •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Жыл бұрын

    핵심 : 강대국은 세력권이 있다.(세력권 = 나와바리)

  •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Жыл бұрын

    한국 = 중국 나와바리 중공 국치지도 보세요 침략이 정당화 된다고?

  • @langouste6544

    @langouste6544

    Жыл бұрын

    같은이유로 일본도 조선을...

  • @LeeEunTaek

    @LeeEunTaek

    Ай бұрын

    일본이 조선을 먹어야만 하는 이유가 대륙으로 나아가는 유일한 길이였던 것 아닐까요?

  • @user-kv8ew3zn4v
    @user-kv8ew3zn4v4 күн бұрын

    류교수 애기를 듣다 보니 러시아 와 우크라이나 전쟁은 확고한 것이네

  • @user-mu8tm6kf6b
    @user-mu8tm6kf6b Жыл бұрын

    여기에서 핵심은 제목에 나와있습니다 러시아가 전쟁을 하는이유 그래서 러시아 입장에서 이야기 하는듯합니다.

  • @ABC-kx5gy

    @ABC-kx5gy

    Ай бұрын

    저 분이 러시아 변호사는 아닐 테고(설마 친러파?), 러시아의 입장을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듯.

  • @FLASHkor

    @FLASHkor

    Ай бұрын

    '미국이 전쟁을 하는 이유: 자원을 뺏기위해' 반미정서 가득할때 나왔던 이야기거든요. 그런내용이기도하고요 제목만으로는 판단은 불가능합니다 친러라고 생각되진 않고요 러시아 입장에서의 시각을 표현한거라 봅니다 10:34 국제적으로 지탄받을일이라 분명히 말하거든요

  • @yoo-rilee1419
    @yoo-rilee1419 Жыл бұрын

    러시아는 부동항을 찾았던 적이 없고, 이미 있다는 것도 처음 들었습니다. 옛날에 블라디보스톡이 최초의 부동항이라고 배웠는데 완전히 잘못 배웠네요. 잘못 알고 있던 것을 교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lg1fq8xe7x

    @user-lg1fq8xe7x

    Жыл бұрын

    러시아는 항상 부동항을 찾았지요 그게 틀린말이 아녜요 역사를 잘보시면 답이 나와요

  • @littlefish..

    @littlefish..

    Жыл бұрын

    블라디보스톡도 완전한 부동항이 아니라고 하네요

  • @user-lg1fq8xe7x

    @user-lg1fq8xe7x

    Жыл бұрын

    @@littlefish.. 많은 시도를했지만 그때마다 영국한테 저지를 당해서 지금도 영국한테 감정이 않좋은거지요

  • @user-vl8vt9vu8b

    @user-vl8vt9vu8b

    Жыл бұрын

    블라디보스톡 자체가 부동항 아닙니다 완전 잘못 배웠구만요

  • @sangukhan6901

    @sangukhan6901

    Жыл бұрын

    세바스토폴도 크림전쟁으로 확보한것 아닌가용?

  • @unitedstatesofamerica3739
    @unitedstatesofamerica3739 Жыл бұрын

    류한수 교수님 진짜 설명 잘하셔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Ай бұрын

    이사람 친러친중파 유명한 사람임 ㅋㅋ 악마 푸틴에 세뇌당해서 살인마 옹호하능거 봐라 ㅋㅋ

  • @jskang6900
    @jskang6900 Жыл бұрын

    제 3자로 볼때, 류교수님은 러시아를 두둔하는 듯한 경향이 보임입니다. 러시아의 이익을 위해 타국을 침략하는 것은 21세기에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 할 수 없는데..

  • @user-lm4yb7bx9q

    @user-lm4yb7bx9q

    Жыл бұрын

    학자는 현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입장이지 이걸 두둔한다라고 생각이들면 다시 공부하시길...

  • @user-se6og9jg3i

    @user-se6og9jg3i

    Жыл бұрын

    @@user-lm4yb7bx9q하지만 우크라이나와 동유럽들이 왜 서방편에 서고 러시아를 등지는지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죠. 그래서 편향적이다라는 말이 나오는겁니다.

  • @AnakinSkyWalker-nd9ud
    @AnakinSkyWalker-nd9ud Жыл бұрын

    누구의 의견이 정확한 팩트를 전달하는 지는 모르지만, 교수의 근본적인 생각은 친러에 가깝고 반미에 의거한 주장인 듯...

  • @jhyoo5447
    @jhyoo5447 Жыл бұрын

    부동항이 한두개 있다고 더많이 갖기를 바라지 않았다는 논리는 뭐지..?

  • @uropa
    @uropa10 ай бұрын

    러시아에 오래 계셔서 좀 친러시아 쪽으로 얘기 하시는거 같은데 한나라의주권이지켜져야 되는건 이상이 아니라 원칙입니다 교수님 말씀대로 강대국 옆나라들은 강대국 영향권이 되는게 현실론이라면 우리나라도 중국이라는 강대국 옆이니 중국의 영향권이 되야 한다는 논리입니다

  • @xkfgogn

    @xkfgogn

    Ай бұрын

    우리는 이미 미국의 영향권인데...

  • @mrnobody5090

    @mrnobody5090

    Ай бұрын

    류한수 교수님은 영국유학했는데😂😂

  • @user-qe3sj7rc9l

    @user-qe3sj7rc9l

    Ай бұрын

    섣부른 판단! 취지는 알아야 한다는것! 박사님 취지는 말하지 않은 행간을 읽자는 것임! 셴놈이 작은놈에게 디질레 작은놈이 센놈에게 니가 나를 죽여? 그럼 나는 니 다리하나 끊고 디진다 그래야 센놈이 작은 놈을 못 건든다 필란드를 보시길

  • @user-cu8mn3hi9u

    @user-cu8mn3hi9u

    Ай бұрын

    주권 ㅋㅋㅋㅋ 애초에 약소국이 주권이 있었던 전례가없어 우리나라가 주권이있는데 핵 못개발하는이유도마찬가지

  • @Parabarabam

    @Parabarabam

    Ай бұрын

    미국한테 미사일 사거리 제한당하는 얘기하는거냐? 정신차려 이건 명나라에서 미국으로 나라만 바뀌고 사대주의는 현재진행형이라니까 씁

  • @user-sm4iz4nj8c
    @user-sm4iz4nj8c Жыл бұрын

    힘이 최고다는말

  • @EastSnow
    @EastSnowАй бұрын

    우크라이나 다음은 폴란드에요. 그 담은 독일이구요.

  • @csjeong2003

    @csjeong2003

    Ай бұрын

    러시아가 완충지대가 필요하다 말 같지않은소리 우크라 먹으면 폴란드요 그담은 독일이요

  • @user-qv3lt5ik3x

    @user-qv3lt5ik3x

    29 күн бұрын

    바보냐

  • @csjeong2003

    @csjeong2003

    28 күн бұрын

    @@user-qv3lt5ik3x 쓰레기 청소필요

  • @khmcs
    @khmcs10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우쿠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한다 하더라도 나토는 러시아(소련)의 침략을 방어를 위해 만들어진 조직으로 아는데.... 러시아가 먼저 도발 하지 않는 한 나토가 러시아를 먼저 칠 이유가 있을까요?

  • @user-ox6cl5fb7t

    @user-ox6cl5fb7t

    10 ай бұрын

    맞아요 나도 들으면서 생각했지

  • @pim950

    @pim950

    Ай бұрын

    낫또와 러시아 사이의 완충지대가 우크라이나인데, 우크라이나가 낫또의 일부가 되어 미사일 기지를 만들어 러시아로 겨눈다면 러시아가 그걸 용납하겠음? 냉전 이후 바르샤바조약군은 없어졌지만, 응당 같이 없어져야 할 조직인 낫또가 버젓이 있는데 그건 어찌 설명할까요? 서방이 지속적으로 낫또 가입국가를 늘이면서 러시아를 압박하는 건 왜 간과하는지요?

  • @khmcs

    @khmcs

    Ай бұрын

    @@pim950 무슨 개소리야? 러시아가 도발하지 않으면 분쟁 일어날 일이 없는데 ~~ 만약 나토에서 러시아를 미사일로 공격할 생각이 있다면 우크라에 미사일 기지를 설치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미사일 공격을 할수 있는 것이다

  • @HipsterSecret
    @HipsterSecret3 күн бұрын

    우크라이나, 러시아에서 연수를 했었습니다. 저 전문가님이 말씀하신 말씀에도 맞는 말이 있으나, 제가 몇가지 더 첨부해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1.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애초부터 분쟁이 있었던 국가입니다. 2013년도 11월 경에 실업률과 부패 증가로 인한 유로마이단 시위가 일어납니다. 우크라이나 수도인 키예프의 마이단 광장에서 친러시아 정권과 부정부패 논란이 있었던 야누코비치 전 대통령 (현재는 러시아에 망명중)을 끌어내리고, 유럽 통합과 자유무역 협정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진 이후로 탄핵, 조기총선에서 친서방 대통령이 당선된 것에 대해 우크라이나에 거주하고 있었던 동부 러시아계 주민들이 반발했던 것입니다. 2. 크림반도 (현재 러시아 병합됨) 이외 돈바스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 합병에서의 러시아의 입장은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러시아계 주민들을 통제했고, 우크라이나에서의 러시아계 주민들은 통제받았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습니다. 3. 러시아의 대표적인 항구도시 중에 칼리닌그라드는 독일 - 소련 전쟁시 소련이 이 땅을 차지해 현재까지 러시아가 계승하고 있습니다.

  • @user-mm3gw2vd8l
    @user-mm3gw2vd8l21 күн бұрын

    聲東擊西 2개의 출처 성동격서 (聲東擊西) 뜻 소리 성, 동녘 동, 칠 격, 서녘 서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을 치다'라는 뜻으로 상대방을 교묘하게 속여 공략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그럴듯한 속임수를 써서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즉 동쪽을 치는 듯이 하면서 실제로는 서쪽을 치는 병법의 하나이다.

  • @user-ux4qm7pj7d
    @user-ux4qm7pj7d Жыл бұрын

    설명을 아주 잘 하십니다.

  • @busyhoneybee4517
    @busyhoneybee4517 Жыл бұрын

    무르만스크는 북극해에 있는 항이라서 부동항이 될 수가 없다. 러시아제국이 부동항이 필요해서 찾은 것은 사실이고. 왜냐하면 범선시대, 작은 기선시대는 두꺼운 얼음 얼은 항구가 정말로 큰 장애였다. 그런데 지금은? 범선시대의 단어인 부동항은 잊어라. 강력한 쇄빙선의 등장으로 블라디보스톡의 겨울 바다 얼음도 잠깐이면 깰 수 있게 되었다.

  • @user-wc3ei7ht2q

    @user-wc3ei7ht2q

    17 күн бұрын

    무르만스크는 난류인 멕시코 만류가 흘러 부동항입니다

  • @user-sp7tr2oc9t
    @user-sp7tr2oc9t Жыл бұрын

    전쟁할 힘으로 나라 발전에 힘을 썼으면 큰 어려움 없이 살 수 있을텐데... 러시아는 미국과 비교 불가라 봅니다.

  • @kimchangho3651
    @kimchangho3651 Жыл бұрын

    부동항을 찾아 남진 동진한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팩트다. 그걸 꼭 문서로 남기고 선언해야 하나? ㅋㅋㅋ

  • @user-er6io4wf8j

    @user-er6io4wf8j

    Жыл бұрын

    그이유가 뭔지 모르나? ㅋㅋ 부동항을 확보하면 더이상 군사행동은 없다. 그건데 ㅋㅋ 리미트를 정한거야. 그럼 그걸 이용해서 상호조약을 할수있지

  • @user-po5fw3gs5g
    @user-po5fw3gs5gАй бұрын

    러시아에 대해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 @user-cc7jj9dn4d
    @user-cc7jj9dn4d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시각이시네. 천연자원 잘 팔아서 편안하게 살면 될텐데. 소련이 붕괴되었다고 아직 제국주의 물이 다 빠지진 않은듯. 러시아 군인들과 해외에서 같이 근무해본 경험상 젠틀하지는 않았음

  • @user-me1il4ep1r
    @user-me1il4ep1r Жыл бұрын

    중국.러시아.일본.미국에게 한국은 무엇일까요?

  • @user-ed1pk4zs2z
    @user-ed1pk4zs2z Жыл бұрын

    러시아 입장의 현실론과 이상론이 아니라 우크라인 아내를 두고 있으면서 러시아에서 연구한 인간적 고민이 있는,어디든 현실에 뿌리를 둔 고견이었으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 @rothgo5119
    @rothgo5119 Жыл бұрын

    한국도 마찬가지로 전쟁으로 돈 많이 발고 있는데.. 무기 많이 팔잖아요. 러샤에게는 미살과 우주 로켓 산업을 배워오구요. 지금은 돈 되면 친구 안 되면 적군 이런 식인 것 같아요.

  • @user-tx4bf5zx8f
    @user-tx4bf5zx8fАй бұрын

    말도안됨

  • @user-nv5mx6sq9g
    @user-nv5mx6sq9g2 ай бұрын

    류한수

  • @nomad7021
    @nomad7021 Жыл бұрын

    미국의 침공도 말씀좀 하시죠

  • @user-jw9bm9cu5z

    @user-jw9bm9cu5z

    Ай бұрын

    ㅋ 뭐가 있는데요?어따 미국이랑 비교를 해요.

  •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Жыл бұрын

    시대가 어느때인데 아직도 전쟁에 미쳐있냐 . 독재자관점이지

  • @mryu2733
    @mryu2733 Жыл бұрын

    러시아만 가보고 러시아편 변론만하내요 러시아 코앞에 이미 나토국으로 러시아에 싸여있는대 무슨 완충지대 우크라이나를 운운하는지 에스토니아 탈린 라트비아 리가에서 모스크바까지 거리는 안재봐요? 나토국 에스토니아 코앞이 상트페테르부르크인데

  • @Freedomstrength-ct3ol

    @Freedomstrength-ct3ol

    Жыл бұрын

    지리적으로는 맞긴한데, 에스토니아랑 라트비아 뒤에 요새화된 러시아령 칼라닌그라드가 있으니까 현실적인 위협이 되지는 않죠

  • @malibuhyun

    @malibuhyun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러샤대변인 하면 딱좋을듯.ㅋㅋㅋ 그냥 공산권은 허언증.주디만 열면 궤변이죠. 댓글들 보니까 정신나간 러샤빠들 열변 토하는거보면 토나옵니다. 러샤를 전쟁광이라고 하니까 그럼 미국은 더 전쟁광이다 이런식.ㅋㅋㅋ 말섞이기도 싫음. 전쟁의 과정.계기들은 생각도 안하고 그냥 지들 편한대로.ㅋㅋㅋ 사회에 인런 인간들 천지죠.

  • @user-zf2oe7vs3h

    @user-zf2oe7vs3h

    Жыл бұрын

    ​@@malibuhyun 러시아가 공산당이 아니라해도 하는짓거리는 소련시절에서 벗어나질못하고있어서 그럼ㅋㅋ 세뇌시키고 왜곡하는게 공산당특징이거든

  • @user-og9jq4nj9w

    @user-og9jq4nj9w

    Ай бұрын

    응 포경수술^^

  • @sup_ent
    @sup_ent Жыл бұрын

    2차세계대전 역저 많이 내신 교수님인데 유튜브 통해 얼굴로 첨 보네요

  • @nondam_4u
    @nondam_4u Жыл бұрын

    북극해도 녹았는데 부동항은 무슨...

  • @jongsulee434
    @jongsulee434 Жыл бұрын

    세력간의 균형을 맞추기위해 우크라이나를 침범한 것도 맞지만 러시아의 원조또한 우크라이나죠. 과거 키예프 루스 공화국.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모두 같은 한민족이었었죠. 이 과거 역사에 얽힌 문제도 분명 있을겁니다. 루스라는 것도 러시아의 러시. 벨라루스의 루스. 뭔가 복잡하게 얽힌 슬라브족 후예들의 싸움이 아닌가 싶습니다.

  • @donpark5976
    @donpark5976Ай бұрын

    올바르고 정확히 말씀하시기를,.ㅡ.ㅡ

  • @dmc3414
    @dmc3414 Жыл бұрын

    분쟁이 아니고 전쟁이고, 푸틴 대통령이 아니고 그냥 푸틴이라고 말했으면 좋겠네요. 하지만 쉬운 설명 잘 들었습니다

  • @johnlee9248
    @johnlee9248 Жыл бұрын

    미국이 자꾸 전쟁을 일으키는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 부탁합니다.

  • @pim950

    @pim950

    Ай бұрын

    석유, 무역로

  • @San-gr3vl
    @San-gr3vl11 ай бұрын

    유튜버들이랑 깊이가 다르다

  • @user-er5gd3gy3p
    @user-er5gd3gy3p Жыл бұрын

    애들도 알어!옛 소련의 영광이 그리운거지! 뭔 이유가 있겠니?필요하니까 빼앗으려고~~~

  • @shink4956
    @shink4956 Жыл бұрын

    러시아 입장에서의 강자의 논리 같아요. 넷플릭스의 ‘Winter on fire’를 보고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교묘한 지배에서 벗어나고픈 독립열망이 얼마나 절실한지를 알게되었습니다.

  • @Vidabello639

    @Vidabello639

    Жыл бұрын

    일제강점기시절 고종의 삽질이라는 명분이 컸다면 이건 일본의 입장인가요? 무슨 이분법으로 세상 사는 분이세요?

  • @Vidabello639

    @Vidabello639

    Жыл бұрын

    @GAMZA 젤렌스키 삽질과 푸틴의 야욕이 부른 환상의 콜라보지. 고종, 민비가 병크짓해서 조선말아먹은거랑 뭐가 다르냐?

  • @kanglee8722

    @kanglee8722

    Жыл бұрын

    @@Vidabello639 : 항일독립투사 행세하는 놈들을 알고보면 빨갱이새끼들이 무지하게 많더라. 너는 어떠지 ???

  • @joonyoon9378

    @joonyoon9378

    Жыл бұрын

    ​@@Vidabello639 넌 도대체 무슨말을 하려는 거냐? 저 윗분은 우크라이나를 옹호하는건데.. 너는 일본을 욕하는듯한 댓글을 단다면 러시아는 일본같은 침략국인데.. 도대체 넌 뭔 개솔이냐? 일본과같은 침략국 일본을 역하는거냐 아님 뭐래는거야??? 젤렌스키가 그럼 러시아가 쳐들어오게끔 행동했다는거냐? 너 그럼 내 앞에서 깐족대바. 내가 니네집 처들어갈께. 너가 깐족댔으니 불평하지말아라. 알았지? 뭔 개소릴하고있어. 너같은게 너같은 머리를 가지고 어떻게 세상을 살아가지?

  • @gopherPPoKKyu

    @gopherPPoKKyu

    Жыл бұрын

    @@Vidabello639 오히려 본인이 되도않는 프레임 씌우며 이분법적 접근을 한다는걸 알기나 할까요 ㅋㅋ 영상과 일절 관련없는 내용 언급하면서 우크라이나 입장(일본 입장)이냐고ㅎㅎ 영상에서조차 '러시아 입장에서 보면'이라는 표현을 밥먹듯이 쓰고 있습니다. 누가봐도 러시아 입장에서 설명하고 있는게 명백하고 제목조차 그 방향성으로 뽑혀있는데 설득력 쥐뿔도 없는 논거 들이밀면서 이상한 소리 하시네.

  • @user-mz5wn6zu6q
    @user-mz5wn6zu6q Жыл бұрын

    강대국론을 인정하는 순간 세계는 또 다시 제국주의 시대로 갈 것입니다. 과거에 모든 제국주의 국가가 현재도 시대 상황이엿다고 , 식민지 국가에 사과를 하지않는것이 국제적 이론입니다 교수님의 강의의 뜻을 잘 못 인식하게 되면 결국 중국과 일본이 한반도에서 기득권을 인정해야 되는 실수를 할수 잇다는 내용으로 들리는군요 .

  • @hyj2206

    @hyj2206

    Жыл бұрын

    제국주의는 이미 진행중입니다. 물리적인 형태가 아닌 경제적,이념적인 형태일 뿐이죠. 미중대립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 @user-ub5mu7lt5z

    @user-ub5mu7lt5z

    Жыл бұрын

    거기에미국도포함되는것도아나

  • @somang8227

    @somang8227

    Жыл бұрын

    이미 그렇지 않나요...?

  • @niconicnicole

    @niconicnicole

    Жыл бұрын

    엄연히 있는걸 인정하지 않으면 어쩔건데

  • @user-yk2ud2wz7o

    @user-yk2ud2wz7o

    Жыл бұрын

    핀트가 너무 엇나가신거같은데... 인류 역사상 강대국론(이런 이름의 이론이 실제로 있는지 모르겠지만)은 부정 된 적이 없습니다. 수천년간 세계, 또는 최소한 특정지역을 지배하던 패권국가는 항상 존재했고, 지금은 미국이 그 역할을 하고 있는 것 뿐이죠. 미국이 착해서 마냥 지금처럼 세계경찰 역할 노릇 하고 있는게 아닙니다. 만약 북아메리카에 친러 친중 정권이 들어선다고 하면 미국도 어떻게든 정보자산 다 동원해서 막으려고 할거고, 만약 그 국가에 러시아나 중국의 군사기지가 들어온다고 한다면 군대 동원도 불사할걸요. 설령 그게 지금 우크라이나 전쟁처럼 타국의 주권행사를 막는다는 비판을 받더라도요

  • @user-or5vb3fo6y
    @user-or5vb3fo6y Жыл бұрын

    한쪽면만 보시는군요 제국주의적 시각 입니다 현재 세계는 자본주의로 재편되어 있고 여전히 많은 국가들이 자본주의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자본주의의 본질이 무엇인가 제국주의시대에 전쟁으로 식민지를 넓혀갔는데 식민지는 곧 노동력과 소비시장을 가져다 줍니다 무력의 대결 대신 기술개발과 노동 생산성 향상으로 싸우는 양상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런 사상의 변화는 군대가 침공을 위한 군대가 아닌 최소한의 방어를 위한 군대가 된것이죠 나토를 보면 알수 있는것입니다 이런 자본주의사상은 개인의 자유성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이슬람권 인도 중국 러시아등 개인의 자유가 축소된 곳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즉 그들이 만들어 놓은 세계관을 위험에 빠트리는 것으로 사상으로 여기고 있는것입니다 탈북민이 한국에서 가장 힘들어하는 것이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라고 한 것처럼 러시아 인들도 자유를 누리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푸틴을 지지하는것 고로 우러 전쟁의 본질은 러시아의 뒤떨어진 사고방식과 현대 세계관의 충돌임

  • @chrisnia356
    @chrisnia356Ай бұрын

    무르만스크가... 북극 꽁꽁얼어있는곳인데 부동항이되나요?

  • @user-ug7nh9ug6o
    @user-ug7nh9ug6o9 ай бұрын

    이런식의 이해라면 조선의 일본침략도 합리화 강건너 불구경씩 이해 ㅋㅋㅋ

  • @user-qd4lw1bv2c
    @user-qd4lw1bv2cАй бұрын

    한반도에 80배가아니고요.180배정도는 됩니다.교수님

  • @user-yj1vc8qb1h
    @user-yj1vc8qb1hАй бұрын

    그럼 러시아가 부동항을 찾기위한게 아니라면 뭐예요? 오해를 바로 잡아주시죠ㅜㅜ궁금해요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