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둔근 활성화 운동 시, 안정성 비중을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신경외과 전문의 남준록 원장.

안녕하세요.
"치료에 대한 진실된 이야기"
치중진담입니다.
치중진담 채널은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나 치료사, 운동전문가를
위한 채널로 치료에 필요한 기초 지식이 없을 경우, 영상 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올바른 치료 방향을 잡기 위해 공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운영하는
채널이기에 능동적으로 공부하고 실습하기를 원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저희 채널이 별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Пікірлер: 33

  • @pabsports
    @pabsports2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무 중요하고 좋은 말씀 잘 보고 갑니다 :)

  • @user-bv6ln2zb4c
    @user-bv6ln2zb4c Жыл бұрын

    깔끔한 강의 감사합니다!

  • @user-qx7sf2md2b
    @user-qx7sf2md2b3 ай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soosoo-kkang
    @soosoo-kkang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emmakoo1414
    @emmakoo14145 ай бұрын

    도움 되는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 @physiopooh
    @physiopooh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ㅎ

  • @user-ct9rg1rs4p
    @user-ct9rg1rs4p2 жыл бұрын

    너무 많은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요가강사인데 늘 원장님 영상을 보고나면 프로그램계획하는데 좀더 심층적인 단계로 세울 수 있어서 수업이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susan022888
    @susan022888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해부학만 공부하다 치료사 관점으로 알려주어 더욱 좋은 정보를 알고 갑니다. 항상 영상 잘 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 @sungheelee9358
    @sungheelee93582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좋은 영상 오늘도 감사히 잘 봤습니다 원장님♥️

  • @user-xm4lk1rp5o
    @user-xm4lk1rp5o2 жыл бұрын

    되게 잘생기셨네요... 웬만한 배우들 뺨치시는...

  • @doyulkim-wc9rc
    @doyulkim-wc9rc9 ай бұрын

    취미로 운동하다 보디빌딩 생체 자격증까지 땄지만 제 몸도 어찌못하는데 타인의 몸을 만드는것은 쉬운것이 아님을 원장님 영상보며 느껴요. 제몸관리나 잘 해야겠쩌용.😊 ㅋ둔근 쥐어 짜세요. 익숙한 표현입니다. 유투브영상에 많이 나오니까요. 대둔근 활성화 운동도 이제 다르게 해보겠습니다. 1.부하 2.속도 3.움직임

  • @user-um7ib4yj8s
    @user-um7ib4yj8s2 жыл бұрын

    원장님께 진료 받기 너무 어렵네요 ㅠㅠ 골반불균형과 경추부 변형(쇄골에서 우측으로 밀림)을 동반한 체형이 엉망인 경우 호흡과 체간정렬이 많이 틀어져 있어 호흡 트레이닝을 하려고 누워도 천골이 반듯하게 닿지 않고 허리와 가슴이 뜨는 보상이 일어납니다. 이런 어려운 경우에 어디서부터 시작을 해야할지 시간 되시면 영상을 만들어 주실수 없을까요?

  • @user-js9jp8cu8b
    @user-js9jp8cu8b11 ай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 초등보건교사입니다. 선생님 아카데미에 참석하고 싶어 물리치로사가 되보려구요. 근골격 해부학 공부했고 뉴만 키네지올로지 독학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스터디는 보행시 사용되는 근육이라 대둔근 공부하고 있습니다. 물리치로사가 되서 아카데미를 들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일단 계속해봅니다. 오늘도 고맙습니다 ♡

  • @user-jx7gq4tn5c
    @user-jx7gq4tn5c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지난 영상중에 좌골신경통에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정형외과에서 주사를 허리에 세군대정도 맞으면 하루정도 괜찮았다가 다음날 또 통증이 있더라구요 그러던차에 허리랑 관련없는 좌골신경통일수도 있을거 같은데 좌골신경통도 허리4,5,6사이에 주사를 맞았을때 통증이 완화될수 있나요? 제 증상이 좌골신경통같은데 지금껏 방사통 치료를 한거 같아서요

  • @user-mh1ur7rq3y

    @user-mh1ur7rq3y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치중진담 관리자 입니다. 궁금하신 사항들은 이미 영상들을 제작해서 업로드 해놓았습니다. 통증의 원인은 1개가 아닐 가능성이 높으며, 치료는 주원인부터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주원인에 대한 판단은 환자의 몸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진단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주사나 약물 치료는 당장의 급성 통증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구조적 문제와 기능의 약화로 인한 만성통증이라면 근본적인 치료를 기대하기 힘듭니다. 이 때 어떤 형태로 치료를 접근해야 하는지 역시 이미 영상으로 제작하여 업로드 해놓았습니다. 다만 영상 하나만 보고 내용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기에 기본적인 이론지식과 해부학 등을 충분히 공부한 후에 현재의 증상에 해당하는 자료들을 카테고리별로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doyulkim-wc9rc
    @doyulkim-wc9rc9 ай бұрын

    あら、お医者さんです。 どうしてこんなに詳しいんですか。 日本語勉強中なので日本語で書いてみました。❤

  • @pttop6500
    @pttop65002 жыл бұрын

    원장님 강의로 많은 도움과 반성을 하고 있는 치료사입니다 오늘 영상도 대둔근에 대한 심층적으로 공부할수 있어 아주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대둔근에 대해서 안정화를 위한 운동중 부하조절이 참 쉽지않았어요 그래서 원장님께서 어느 영상에 언급하시고 또 제가 생각나는 운동중에core strengthening 논문에 나오는 shalman exercise는 어떤지 원장님의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평소에 환자들에게 살만운동ㅎ을 많이 적용하는데 한번씩 대둔근에 힘이 들어간다고 얘기하시는 환자들을 가끔 본것같습니다 저는 사실 대둔근 활성화를 말씀하시는 안정화 운동성 관점을 무시하고 그냥 슬링으로 pelvic lift로만 하고 있는데 원장님 강의를 듣고 환자들에게는 뭔가 더 심층적으로 분리해어 접근해야겠다는 생각을 해서 감사하고 궁금한점 있어서 질문드렸습니다 늘 고맙습니다

  • @user-mh1ur7rq3y

    @user-mh1ur7rq3y

    2 жыл бұрын

    원장님은 아니지만 답변드립니자. Sahrmann exercise를 말씀하시는건가요? 해당운동을 할 때, 장골근보다 대요근이 우세패턴으로 사용될 때, 엉덩이에 힘이 들어간다는 표현을 환자들이 주로 합니다. 해당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은 환자의 몸상태에 비해서 운동부하가 높게 설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당 증상을 무시하거나 놓치고 운동을 지속할 경우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재활을 하고자하는 목표 근육의 기능평가 후 현재 기능상 적합한 부하를 설정하지 못할 경우 만족스러운 운동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목표했던 근육이 아닌 다른 근육이 더 활성화된다면 운동을 환자에게 제대로 적용하고 있는지 의심을 하고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pttop6500

    @pttop6500

    2 жыл бұрын

    @@user-mh1ur7rq3y 넵 감사합니다. 역시 타켓이 빗나갔군요 더.세심하게 햘 필요를 느끼고 많은 생각을 해야된다른걸 다시한번 반성합니다 또 하나를 알아가네요 고맙습니다

  • @user-ft1lv6gg8k
    @user-ft1lv6gg8k2 жыл бұрын

    상담받고 싶어서 작년부터 예약도전했었는데 ㅠ

  • @bhj608
    @bhj6082 жыл бұрын

    영상 주제와는 맞지 않지만.. 만성 요통 해결때문에 스스로 많이 공부중인 사람입니다. 질문 하나 드리고 싶은게 있는데 근육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사용되지 않는 부위에 유착이 생길 수 있다고 하는 영상을 봤는데 이게 트리거포인트가 되기도 한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런데 사용되지 않는 부위가 생기면 보상패턴으로 인해서 다른 근육을 끌어다 쓰게 되는데, 이 근육이 과사용되면 그것도 해당부위에 통증이 생기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저는 허리를 한번 삐끗한 이후에 허리를 과하게 보호하는 습관이 생겨서 이후에 표면기립근을 꽉잡아두고 생활하다가 자주 말하시는 국소코어 근육들의 기능이 많이 떨어졌다는걸 운동과정에서 많이 느끼게 됐는데요. 과사용이 되면 통증이 확실히 증가하지만, 편안한 휴식 상태에서도 계속 불편한 통증이 있습니다. 잡담이 길었는데, 국소코어가 사용되지 못해서 생기는 유착으로 인한 통증과 보상작용으로 인한 global muscle의 과사용으로 인한 통증은 서로 다른 특징이 있을까요? 아니면 어느경우든 어차피 국소코어의 기능활성화를 해야만 통증을 해결 할 수 있으니 나누는 의미가 없을까요? 관련지식이 전무한 사람이고, 제대로된 치료를 받을 상황도, 그런 장소도 없어서 스스로 계속 찾다보니 질문드리게 됐습니다. 항상 좋은 정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환자에게도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sowonlee3358

    @sowonlee3358

    5 ай бұрын

    저 너무 비슷한 상태세요 !!ㅠㅠ 저도 가만히 있어도 허리가 되게 아파요 가만히 누워 있어도요 혹시 어떻게 좋아지셨을까요...

  • @bhj608

    @bhj608

    5 ай бұрын

    @@sowonlee3358 지금도 어느정도 불편하지만 어느정도는 통증이나 기능제한이 줄어들긴 했습니다. 이론적인 내용을 많이 아는것도 좋지만 너무 많은 추측을 스스로하게되고 그게 방해가 되는 경우가 꽤 많았습니다. 오히려 가장 큰 핵심은 두려움이 통증을 강하게 만든다 같습니다. 동작에 대한 두려움, 내 신체가 구조적인 문제가 있어서 약해졌다라는 생각 등등이 실제로 통증을 만든다는 연구결과가 많습니다. 짧게 답글에 다 쓸수가 없네요. Cognitive functiomal therapy 라는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어느정도 가닥이 잡히실 겁니다. 저도 아직 쉽게 허리가 뻣뻣해지고 무의식적인 긴장이 정상인보다 심하지만 분명히 조금씩 좋아지는 과정입니다.

  • @user-no8by2gl7n
    @user-no8by2gl7n2 жыл бұрын

    하 뭐 올리시는거마다 들어오게하시네...

  • @user-tw5rn7zk3v
    @user-tw5rn7zk3v Жыл бұрын

    고관절스쿼트시 하부섬유의 자극을 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user-mh1ur7rq3y

    @user-mh1ur7rq3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치중진담 관리자 입니다. 현재 몸상태에 맞는 부하(속도, 범위, 횟수 등)만 잘 맞춘다면 목표 근육을 우세하게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운동부하"와 관련된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시면 관련 영상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영상들을 참고하셔서 공부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warmandcozy36

    @warmandcozy36

    10 ай бұрын

    예전에 봤던 운동부하 영상들이 비공개로 바뀐거 같아요. 중둔근,대둔근,전거근 잘 봤었는데 까먹은 부분이 있어서 다시 찾아 보아도 안나오는거 같은데. 제가 못 찾은거 인지요. 만약 비공개로 전환 되었다면 볼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지도 궁굼합니다.

  • @user-mh1ur7rq3y

    @user-mh1ur7rq3y

    10 ай бұрын

    @@warmandcozy36 운동 영상 업로드 후에 주의사항 숙지도 하지 않고 동작만 대충보고 따라하면서 아파서 내원하는 환자가 증가하여 운동 영상 대부분 비공개 처리하고 오프라인 세미나를 통해서만 실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kknddhu7038
    @kknddhu70382 жыл бұрын

    김상혁닮음

  • @ost3510

    @ost3510

    Жыл бұрын

    ㅋㅋ 김상혁님 상위호환!

  • @Movelab-sg2xj
    @Movelab-sg2xjАй бұрын

    근육적인 관점 으로 접근하는 의사분도 있다니 놀랍습니다ㅎ 재활의학과도 아닌 신경과 이신데 말이죠👍 고견드리연 상부대둔근 ㅡ상부대둔근 안에 근섬유 1ㆍ 2형 하부대둔근ㅡ하부 대둔근 안에 근섬유 1ㆍ2형 이 맞지않을까요? 상부와 하부는 기능이 다른것이 가동성과 안정성을 나뉘는것은 아닌거 같습니다 대둔근이 2형근육이 다랑 크게 다르지 않는거 같습니다 고정성과 안정성을 혼돈하는 분들도 많아서 힘주고 버티는데 가동성이 안나오는건 고정성 유지하면서도 가동성 나오면 안정성 복횡근에 힘쥬그 버티면 고정성(정적안정성) 복횡근에 히을 유지해도 수축과 이완이 가능하면 안정성 물론 호흡과도 연관성이 많습니다 유산소성 운동 ㅡ즉 수추과 이완시 호흡을 하느냐 무산소성 운동 ㅡ수축과 이완시 호흡이 없는 상태 즉 움직임을 호흡로 조절하면서 근육을 컨트롤이 가능하는지와 움직임을 긴장성으로 힘을 주게되면 무산성이 되기도 합니다 구분은 수축후 유지시 릴렉스 호흡을 할수있는지 호흡이 거친지에따라 구분이 되고 강도 역시 같은 조건에서도 변하게 됩니다 영상들 보면서 많은 부분 공감되면서도 다른 의견이 있기에 댓글 달아 봅니다^^🙏

  • @user-uf5ri3xo7f
    @user-uf5ri3xo7f5 ай бұрын

    노인분들은 하나도 모르실겁니다! 모델을두고 운동하는걸 보여주시면 좋겟네여!^^

  • @user-mh1ur7rq3y

    @user-mh1ur7rq3y

    5 ай бұрын

    채널 정보를 안 보시고 댓글을 다신 듯 합니다. 치중진담 채널은 치료를 하고자 하는 의사, 치료사 등을 대상으로 치료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