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alks] 비트겐슈타인의 삶과 철학: 철학적 탐구(이승종 교수)

이승종 교수(연세대학교 철학과)
사람의 삶의 형식과 자연사는 인간의 활동에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비트겐슈타인의 삶과 철학을 『철학적 탐구』(대우고전총서 41), 『비트겐슈타인 새로 읽기』(대우학술총서 638)의 저자인 이승종 교수가 설명해드립니다.
#대우재단 #비트겐슈타인 #철학 #철학적탐구 #대우학술총서 #대우고전총서 #이승종

Пікірлер: 12

  • @user-ui7xh9lv4i
    @user-ui7xh9lv4i12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 합니다~~^^

  • @booktube_afternoon
    @booktube_afternoon6 ай бұрын

    이승종 교수님을 여기에서 뵙다니.. ^^ 더 반갑습니다.

  • @cghan1318
    @cghan131818 күн бұрын

    철학적 태도가 중요한 것 같네요~

  • @ugwangho02
    @ugwangho02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교수님.

  • @theother-fl3ee
    @theother-fl3ee6 ай бұрын

    강신주 작가님보더 비트겐슈타인을 잘 설명해주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승종 교수님 영상이 더 좋네요. 감동적입니다.

  • @Rorty35

    @Rorty35

    6 ай бұрын

    강신주 박사 지도교수가 이승종 교수입니다.

  • @user-gb3wd4ox9v
    @user-gb3wd4ox9v4 ай бұрын

    일반인도 이해할수 있게 강의 하시는 게 너무 좋습니다.

  • @napoleon2628
    @napoleon26285 ай бұрын

    정확히 28년전 수업을 들었다. 목소리는 여전하신데 많이 늙으셨네 ... 연대철학과 최고의 명강의였다. 박동환 신규탁 이승종 문창옥 ...

  • @domddom3629
    @domddom36292 ай бұрын

    비트겐슈타인과 비슷한듯 닮으셨습니다 ㅎㅎ

  • @SouJungH
    @SouJungH2 ай бұрын

    비트겐쉬타인이 언어 철학자 아니었나요? 그런데 웬 뜬금없는 현상학? 후설과 무슨 상관이 있길레 현상학? 하긴 '언어 현상학'이라고? 이러면 후설의 '현상학'과는 의미가 다른 '현상학'이잖아? '사람의 얼굴을 한 자연주의' - 사람과 자연은 서로 다른 것인데, 어떻게 붙이지? 자연이 사람의 얼굴을 가지면, 이건 의인법인가? 트락타투스와 철학 탐구, 두 책의 요점, 그리고 그 사이의 변화 - 뭐 이런 설명은 전혀 없구만. 그리고 갑자기 비트겐쉬타인을 사람 얼굴 가진 자연주의자, 현상학자라고 하니 당황스럽네.

  • @user-wm3ke5qf4g
    @user-wm3ke5qf4g6 ай бұрын

    음질좀 개선해라... ㅡㅡ

  • @SouJungH
    @SouJungH2 ай бұрын

    한 때 영미를 휩쓴 언어철학, 분석철학, 우리나라도 1980년대에 풍미. 그러나 이젠 완전히 망해 버리고. 그러다 보니 비트겐쉬타인도 현상학자가 되는구만. 세월무상, 인생무상...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