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철로에 기차를 만들다!ㅣ총 길이 650km! 정거장도 운행시간도 없이 1,300여 개의 마을을 지나는 캄보디아 대나무 기차 '노리'ㅣ세계테마기행ㅣ

※ 이 영상은 2012년 4월 23일에 방송된 <세계테마기행 - 행복한 열대, 캄보디아 1부 행복으로 가는 길, 대나무 기차>의 일부입니다.
1920년대 프랑스 식민지 시절, 농작물 수탈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던 캄보디아의 철로는 크메르 루즈 정권 시절 발생한 내전을 거치며 무용지물이 되었다.
캄보디아의 역사를 이어놓은 듯한 이 황폐해진 철로 위에 활기를 불어넣은 것은 바로 캄보디아의 명물! 대나무 기차 ‘노리’이다.
하늘을 나는 양탄자라는 의미로 ‘끄라허’ 라고 불리기도 하는 노리의 최대 시속은 고작 40Km!
맞은편에 승객과 짐을 더 많이 태운 노리와 마주치면 선로를 양보해줘야 하기 때문에 목적지로 가는 정확한 시간도 가늠할 수 없다.
하지만 노리는 캄보디아인들의 미소와 저 마다의 이야기를가득 싣고 녹슨 철로 위를 달린다.
철도 개발 사업으로 몇 년 후면 사라지게 될 노리,여유롭고 느긋한 캄보디아 사람들의 성격을 고스란히 닮은 대나무 기차의 얼마 남지 않은 행복한 여정을 함께해 본다.
✔ 프로그램명 : 세계테마기행 - 행복한 열대, 캄보디아 1부 행복으로 가는 길, 대나무 기차
✔ 방송 일자 : 2012.04.23
#세계테마기행 #캄보디아 #동남아 #여행 #세계여행 #대나무기차 #노리

Пікірлер: 179

  • @EBSDocumentary
    @EBSDocumentary2 жыл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2년 4월 23일에 방송된 <세계테마기행 - 행복한 열대, 캄보디아 1부 행복으로 가는 길, 대나무 기차>의 일부입니다.

  • @SHKANG-is2xz

    @SHKANG-is2xz

    2 жыл бұрын

    11:56 지금은 사라졌나요?

  • @user-nr3yv7cn3m

    @user-nr3yv7cn3m

    2 жыл бұрын

    .

  • @iSungho

    @iSungho

    2 жыл бұрын

    @@SHKANG-is2xz 지금도 짧은 구간을 관광객 대상으로 운행합니다. 철로가 고르지 않아서 막상 타면 엄청 덜컹거리고 속도감이 장난 아닌데 롤러코스터같은 재미가 았어요 ㅋㅋ

  • @user-qx5ql2hn2v

    @user-qx5ql2hn2v

    Жыл бұрын

    이야~ 여긴 기차길옆 사는 사람들 나름 역세권이군요 ㅎㅎㅎ

  • @user-ov6ld2fh2o

    @user-ov6ld2fh2o

    9 ай бұрын

    1.건강하세요 건강하시고요 ,

  • @user-zw5nf8kd7t
    @user-zw5nf8kd7t2 жыл бұрын

    캄보디아 착한 국민들 평화를 빕니다

  • @user-s1ba1sekk1
    @user-s1ba1sekk1 Жыл бұрын

    처음에 놀이용으로만 쓰인다길래 아~ 이젠 산업용으로는 못 쓰고 놀이용으로만 쓰는구나 했는데 이름이 노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ansfamily5
    @hansfamily5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캄보디아 다녀온 소감은… 사람들이 참 순수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생활 수준은 우리보다 많이 어렵지만 그래도 행복하고 친절한 사람들… 참 정이 가더라구요.

  • @user-lb9qw7ru2m

    @user-lb9qw7ru2m

    Жыл бұрын

    전 성매매가 싼 곳이라고 기억하는데.. 그리고 다들 피부가 참 부드러웠어요

  • @dr.direwolf2867

    @dr.direwolf2867

    Жыл бұрын

    원래 자본주의가 들어와서 뿌리를 내리게 되면 인간의 욕심을 발동시키기 때문에 인간들이 순수성을 잃어버립니다. 한국도 이제는 잘 사는 나라인데 80년대 한국을 돌이켜보면 지금과는 달리 사람들이 순수했었죠.

  • @hansfamily5

    @hansfamily5

    Жыл бұрын

    @@dr.direwolf2867 네 맞는 말씀이에요. 동감합니다. (이런 상황 보면서 아쉬움이 크다는 생각 종종 합니다)

  • @user-si8kp8ig4t

    @user-si8kp8ig4t

    Жыл бұрын

    @@dr.direwolf2867 60년 대초 나는 가난으로 겨우 연명하는 정도였었습니다. 고기는 제사명절 때나 맛 볼 정도였고, 상수도는 시골에는 보급이 안 된 곳이 있었고. 전기도 안들어 오고. 당시로 돌아가라면 절대 안 갈겁니다. 평화롭고 순수했었다고요? 자본주의가 그걸 없앴다고요? 한번 저 캄보디아 사람들처럼 1개월 만 살아 보시죠. 과거부터 부자로 살으신가보죠? 가난이 뭔지 아시나요? 배고프면 어떤생각이 나는지 아세요?

  • @yadontthink

    @yadontthink

    Жыл бұрын

    @@user-si8kp8ig4t 틀니딱딱이 급발진 ㅋㅋㅋ

  • @afterKorea
    @afterKorea Жыл бұрын

    이영상을보고 마음이 포근해졌습니다 캄보디아 가보고싶네요

  • @lee1919choi
    @lee1919choi2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노리 신나는 노리

  • @tbmoon
    @tbmoon Жыл бұрын

    역시 세계테마기행이 최고에요. 이번 여행자분도 참 좋았습니다.

  • @jae-koochang7420
    @jae-koochang74202 жыл бұрын

    IT,중요합니다... 자연도... 순수하여... 좋아요... 부럽습니다... 고맙습니다...

  • @Blackbear_ROK
    @Blackbear_ROK2 жыл бұрын

    캄보디아 여행가면 한번 경험해보고 싶은 감성노리이군요!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9 ай бұрын

    원래 캄보디아에 프놈펜에서 태국 국경으로 가는 노선 하나, 프놈펨에서 항구도시인 시아누크빌까지 가는 노선 하나, 이렇게 두 개의 철도 노선이 있다가 내전 이후 복구되지 못하고 방치되어서 운행을 못 하는 상태였는데, 2016년부터 2019년 사이에 복구를 마치고 지금은 다시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은 간선 철도망을 이용해 운행하는 노리는 사라졌고, 대신 관광 목적으로 새로 생겨난 별도의 전용 선로를 이용해 운행하는 노리가 남아있다는 것 같네요.

  • @user-ep6ox8fp5y
    @user-ep6ox8fp5y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방송 노리기차함타보고싶네

  • @BabTaiGi
    @BabTaiGi2 жыл бұрын

    잘봤어요 노리는 한번 타보고싶네요

  • @user-vw6kf8lc8s
    @user-vw6kf8lc8s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qk5lk8jr1r
    @user-qk5lk8jr1r Жыл бұрын

    어디든 돈이 없으면 사람들은 순수하드라 예전 우리도 그랬지.

  • @ceoman8
    @ceoman88 ай бұрын

    이렇게 여유롭게 사는게 행복 ㅎ

  • @Ima184mm
    @Ima184mm Жыл бұрын

    저 전차가 비록 우리 눈에는 아무것도 아닌것 처럼 보여도 저기 마을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엄청 소중한 교통 수단이겠네요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말씀을 예쁘게 하시는건 좋은데 내연기관 차량은 전차라고 하지 않습니다.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9 ай бұрын

    저 방송이 나온 후에 내전으로 운휴 상태였던 간선 철도를 완전히 복구해서 열차 운행을 재개했다는 정보가 있어서, 아마 지금은 사라졌울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SimpleLife77777
    @SimpleLife777772 жыл бұрын

    노리를 일부구간은 관광용으로 운영해도 좋을 듯~~

  • @P01tava

    @P01tava

    Жыл бұрын

    @@otto_key 진짜 뭔 개소리노

  • @jmh1467
    @jmh14672 жыл бұрын

    요새 울나라에 관광용으로 발로 굴러서 가는것들 잇던데 그게 예전에 철도 고치는 분들이 타고다니던 거엿음 발로 굴루는게아니고 손으로 굴러서 갓지 목적지가면 들어서 철길옆으로 옴겨놓고 일햇음 우리도 가끔 얻어 탓던거 같음 힘은써야 쎄지거든 예전 울나라 시골사람들도 덩치는 작아도 힘이쎗음 쌀 한가마가 80키로인데 그거 둘러메고 뛰어다녓으니까

  • @user-iw1ib5lb2r
    @user-iw1ib5lb2r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어릴적에 동네에서 얼음을 사서.사용했고 빙수도 먹었죠

  • @user-iw1ib5lb2r
    @user-iw1ib5lb2r Жыл бұрын

    일생 처음보는군요 예전에 캄보디아에 갔을때도 몰랐군요. 육로로 버스로 다녔는데 주민들이 참 대단해요. 369

  • @user-fb3jy6kn5v
    @user-fb3jy6kn5v2 жыл бұрын

    사람은 주어진 어떤 환경에서도 주위의 열악하게 주어져도 어떻게든 그 환경에 맟추며 살아간다는 것, 있으면 있는대로. 없으면 없는대로 우리 인간은 그 환경에 맟춘다, 욕심이 없는그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 하는 하루를 살마 가는 생활일 뿐이다

  • @everkow21
    @everkow219 ай бұрын

    댕댕이들도 순한거 봐라 ㅎㅎ

  • @user-mu7hz1qi4e
    @user-mu7hz1qi4e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티비에서 본 거 같은데...또 보네요.

  • @HJjang-hs6cq
    @HJjang-hs6cq Жыл бұрын

    색다른 거 많이 보게 되네요 잘 보았습니다

  • @MrYonykim
    @MrYonykim3 күн бұрын

    와.. 국가기물불법점용 폼 미쳐따ㄷㄷ

  • @dummynator
    @dummynator Жыл бұрын

    다들 웃고있다

  • @jjajangyoon9610
    @jjajangyoon9610 Жыл бұрын

    경운기 엔진은 국가와 민족을 초월한 만능 공통 엔진

  • @Gordon-rb7nd

    @Gordon-rb7nd

    Жыл бұрын

    무식해보여도 튼튼하고...공구만 만질줄알면 혼자서 수리하기 쉽고 ..

  • @user-tw4hu4hx6x
    @user-tw4hu4hx6x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앙코르와트도 세우던 대 크메르 제국이 저렇게 몰락하다니 ㅠ

  • @user-mg1cn6tp9n
    @user-mg1cn6tp9n2 жыл бұрын

    재밌네

  • @OrionAlpha
    @OrionAlpha Жыл бұрын

    컨벤 데드리프트 ㄷㄷ 02:00

  • @user-do6en1dr5s
    @user-do6en1dr5s Жыл бұрын

    캄보디아사람들이 손재주가 좋은거 같다~ 자동차도 잘고치던데~~

  • @Hyuchan1002
    @Hyuchan10022 жыл бұрын

    상황에 맞는 기술이 따로 있지요

  • @wmf546
    @wmf5462 жыл бұрын

    60년대만 해도 우리나라 정겨웠음 지금은 정겹긴 개뿔 시부럴 서로 못뜯어먹어서 안달남

  • @사적돌
    @사적돌 Жыл бұрын

    브레이크도 달렸네유 와 나름 짱짱하네

  • @user-db1cu4ic2f
    @user-db1cu4ic2f2 жыл бұрын

    누릴게 많아지면 탐욕으로 물드는게 인간인지라~취할것도 잃을것도 없이사는 순박한 사람들~ 웃는얼굴이 한없이 순수해 보이는게 내 마음까지 기분이좋아지는느낌~ 저랬던 사람들이 요즘 한국으로 돈벌러와서 물욕에 눈을떠면서 인간의 탐욕이생겨 범죄를 저지러는걸보면 안타까운 마음마져든다!

  • @jobwow3616
    @jobwow3616 Жыл бұрын

    우와 이런거 재밌다.

  • @dabiagoll7894
    @dabiagoll7894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예전과 비교할수없을 정도로 발전 됐습니다.

  • @user-tu7tn1gf1c
    @user-tu7tn1gf1c Жыл бұрын

    개구리, 메뚜기, 어릴 때 흔히 먹던 것인데 이젠 없네요

  • @hyeonslove
    @hyeonslove Жыл бұрын

    좋아요!!

  • @user-lb9if6hu6h
    @user-lb9if6hu6h Жыл бұрын

    17:17 한입 주라. 애 눈빠지겄다.

  • @Bronx2002
    @Bronx20022 жыл бұрын

    1960 년대 에 우리나라 도 똑같이 했음,, 지금부터 60년전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주민들이 아무렇게나 띡띡 조립한 차량이 철로에 굴러녔다고? 글쎄..

  • @donhyunkim5243
    @donhyunkim5243 Жыл бұрын

    재밌겠다

  • @lunascape5289
    @lunascape5289 Жыл бұрын

    행복한 당의 렬차

  • @Blues_m27
    @Blues_m279 ай бұрын

    노리를 들수 있다면 굳이 안기다리고 앞으로 들고가서 선로에 놓고 가면 되지 않을까요? 마주치는 노리가 지나가려면 어차피 다 치워줘야 하니 다같이 영차 ~ 하면 가능할거 같네요.

  • @user-nn1fz8jz9z
    @user-nn1fz8jz9z Жыл бұрын

    저 더운나라에 냉장고 없이 얼음으로 ...ㄷㄷ

  • @user-xc2ut8wf6m
    @user-xc2ut8wf6m2 жыл бұрын

    집에 언제가노. ㅎㅎ

  • @user-ov6xr6jw1z
    @user-ov6xr6jw1z Жыл бұрын

    앙코르왓 은 가봤는데.. 캄보디아 는 안가봤네?

  • @choi9254
    @choi92542 жыл бұрын

    10년전이니 지금은 노리가 없어졌겠네

  • @iSungho

    @iSungho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바탐방애 가시면 관광객 대상으로 짧은 구간은 운행합니다.

  • @user-of4vn6if9o
    @user-of4vn6if9o2 жыл бұрын

    10몇년전에 캄보디아 갔었는데.. 프놈펜 시엠린.. 인가.. 많이 변했겠죠?? 그때... 길에도 차가 많이 없었어요..

  • @IMFkores

    @IMFkores

    Жыл бұрын

    안변했어요

  • @gijunma1261
    @gijunma1261 Жыл бұрын

    의자도 만들고비올때 비 피할 수 있게 천막 같은 것도 씌우고 그럼 좋겠네

  • @user-ts8ug2gr7v
    @user-ts8ug2gr7v Жыл бұрын

    그대로 살다가 갈수밖에 없는 느림이고 답답함이기도하네요

  • @chung485
    @chung485 Жыл бұрын

    캄보디아. 1960년 대한민국..

  • @user-cg5yi7rz2r
    @user-cg5yi7rz2r9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60~70년대 느낌

  • @monellycoco8675
    @monellycoco8675 Жыл бұрын

    이게 가능하구나...

  • @kash-narhmak
    @kash-narhmak11 ай бұрын

    킬링필드 전까지만 해도 우리랑 수준이 비등비등한 나라였는데...

  • @javaxerjack
    @javaxerjack Жыл бұрын

    분명 같은 21세기인데도, 왠지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풍경 같네요. 그래도 역사적 불행을 많이 떨구어 낸듯 해서 다행입니다.

  • @user-zb4yj3cj2d
    @user-zb4yj3cj2d4 ай бұрын

    도기철도여 버ㅓ려진기찼길에처오트바이♡@(@*

  • @jobwow3616
    @jobwow3616 Жыл бұрын

    가난하니까 뚱뚱한 사람이 별루 없어서 잘생긴 남자 은근 보이네요.

  • @jhkim5305

    @jhkim5305

    8 ай бұрын

    자연스럽게 충분히 움직이는 환경이라서 비만이 없고 성격도 좋고!

  • @user-gk7fn4te7z
    @user-gk7fn4te7z2 жыл бұрын

    애들쳐다보는데 하니씩사주지?

  • @user-mk1rb4nb9m
    @user-mk1rb4nb9m Жыл бұрын

    와~ 저 얼음 시장에서 파는거... 존나 오랜만에 보네 우리도 90년대 초만 해도 시장에서 얼음 팔았었는데 학교가는길에 톱질에 갈려나온 얼음톱밥을 눈처럼 가지고놀던거 생각나네

  • @rebealthetruth

    @rebealthetruth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각테일로 팔고 하더군요

  • @kronik2200
    @kronik2200 Жыл бұрын

    21:05 ㅋㅋㅋㅋㅋ

  • @bhkoo3045
    @bhkoo3045 Жыл бұрын

    시간을 정해서 상행선, 하행선 나누면 좋을것 같은뎅~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노리 숫자 자체가 부족한데 그게 되나

  • @user-sg1ue9us8m
    @user-sg1ue9us8m Жыл бұрын

    08:50 어우야~ 아찔하구먼

  • @user-wo9qe9wo1i
    @user-wo9qe9wo1i Жыл бұрын

    세금이 잘 쓰인 EBS 굿

  • @orion23ssh
    @orion23ssh2 жыл бұрын

    빙수에 금속가루는 덤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영상은 평화롭고 좋은데 댓글에는 난독증이랑 보고싶은것만 보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한국은 물욕이 문제가 아니라 그냥 소통이 안되는 나라가 돼버렸네 ㅋ

  • @BTN-INDIYO

    @BTN-INDIYO

    Жыл бұрын

    말안되는 개소리 댓삭바람

  • @user-mi3sn9ey2t
    @user-mi3sn9ey2t10 ай бұрын

    얼음 돈주고 사서 집에가면 다녹겠음니다 ^^

  • @BPSonic
    @BPSonic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씨티100이 다 저기가있군요 ㅋㅋㅋㅋ

  • @gijunma1261
    @gijunma1261 Жыл бұрын

    2000년대까지 썼던 얼음 가는 기계 ㅋ

  • @user-ju4yj8sc9t
    @user-ju4yj8sc9t Жыл бұрын

    서스펜션 하나없으니 겁나아프겠다ㄷㄷ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저속으로 운행하고 분해/조립이 간단할 정도로 허술한 구조라서 오히려 충격이 많이 전달안될수도 있음

  • @ttpq6618
    @ttpq6618 Жыл бұрын

    철도는 프랑스가 깔아놓은거임?

  • @haharrr7018
    @haharrr70182 жыл бұрын

    기차가 없어. ㅠㅠ

  • @rowheartc5671
    @rowheartc5671 Жыл бұрын

    18:27 저 나라는 초교 교사를 저 나이에 하나보네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초등학교 교과과정이라는 것도 나라마다 다르니까 잘 배운 고등학생 정도면 초등학생 가르칠수 있죠

  • @Young_97
    @Young_97 Жыл бұрын

    1:50 공짜데드리프트

  • @saejongdaewang
    @saejongdaewang Жыл бұрын

    우리로 치면 비둘기호네...ㅋ

  •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Жыл бұрын

    지뢰를 밟아서 제거하는 롤러를 많이 사들여야겠네요

  • @rebealthetruth

    @rebealthetruth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아직도 나오고있죠... 진짜 저긴 아무대나 막 뿌렸다 하더군요

  •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Жыл бұрын

    @@rebealthetruth 이거보고 현지에서 싸게 만드는 마인롤러 만들고 싶어졌습니다

  • @orange08159
    @orange081592 жыл бұрын

    물소타는건 불안불안허다 ㄷㄷ 뒷발 채이면 그냥..

  • @rebealthetruth

    @rebealthetruth

    Жыл бұрын

    일제때, 일본인 축산쪽 교구가 그랬죠... 조선의 소는 순하고 덩치가 크다. 했죠. 일본은 당시에도 물소를 썼고 물소가 사나워 싫으면 말로 밭을 갈았죠. 조선왕조 실록에도 흑우는 제사에 사용 할정도오 귀했는데, 고기 안먹던 일본이 흑우를 와규로 해서 자기들 것으로 둔갑 시키고, 후에는 해외산 흑우랑 교잡해서 조선의 흑우 근본을 없애버림

  • @aqus1
    @aqus1 Жыл бұрын

    가난하다고 착한거 아니고 순수하다고 착한거 아니다. 부자라고 나쁜거 아니고 약삭빠르다고 나쁜거 아니다. 방송만보고 그 나라 사람들에 대해 모든걸 판단하는 잘못된 생각은 하지맙시다.

  • @hokim8123
    @hokim8123 Жыл бұрын

    왜 다른방향 노리 짐 실을때 까지 기다리죠?? 다른쪽이 갈때까지 짐 내리고 비켜준다며... 그낭 짐내리고 반대쪽 노리 건너편에 다시 설치하고 가면 될것 같은데..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9:00 그렇게 합니다. 사람이 타있던 노리를 분해하고 짐실은 노리 건너편에 다시 조립해서 간다고 합니다.

  • @TonyChang2277
    @TonyChang2277 Жыл бұрын

    운치는있지만, 꽤나 위험해보이는데 우리나라 종운되는 RDC 무궁화호라도 폐차하지말고 저런곳에 운행시켜주면 좋겠다

  • @user-ve1hx9pt2n

    @user-ve1hx9pt2n

    9 ай бұрын

    예? 저기 수준보면 유지 및 운용할 경제적 여유조차 없는거 같은데. 역 시설은 또 어떻게 언제 만듬;; 선로도 저거보다 더 많이 만들어애 하는데

  • @__________a__________
    @__________a__________2 жыл бұрын

    18:26 잘못본줄알앗다.... 18살인대 잼민이 교사라니

  • @user-qo5tv1jc4g
    @user-qo5tv1jc4g2 жыл бұрын

    톱밥? 왕겨 아닌가?

  • @user-jy4tl9ez7n
    @user-jy4tl9ez7n Жыл бұрын

    대피선로라도 건설할수있다면 더 효율적이겠네

  • @user-ji1lx5sz3j
    @user-ji1lx5sz3j2 жыл бұрын

    오전엔 오른쪽으로만 갈수 있고 오후엔 왼쪽으로만 갈수 있도록 서로 약속하면 될텐데 ~~

  • @user-ul2hg3vk3v

    @user-ul2hg3vk3v

    2 жыл бұрын

    악되죠 하루거리가 아닌데 구간 구간 서로 가는 방향이 다른데 저기 사람들이 다 해보고 자리잡은 건데 ㅎ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철도오타쿠 아스퍼거들 이런데서는 제발 닥쳤으면 좋겠다

  • @user-bk6be4vm8y
    @user-bk6be4vm8y2 жыл бұрын

    우리 나라 키이티도좋지만 이런 설로 만들어 관광상품 마을과마을사이 이동 수단도 좋을듯 고 연비시대ㅠㅠ 태양 열이든 밧데니든 머든 가능하는걸루 아이템 괸찬지 않나요 ~~

  • @chanzzino

    @chanzzino

    Жыл бұрын

    관광상품은 레일바이크 로 불리며 명맥 유지중입니다. 우리나라처럼 교통이 잘 되어있는 국가에서 저런 이동수단은 오히려 민폐지요 그렇다고 따로 선로를 깔기엔 경제성이 도저히 나오지않고요. 굳이굳이 만든다 하더라도 이용료자체가 기존 철도와 비등하긴 커녕 훨씬 비쌀겁니다.(현재 레일바이크 참조) 한마디로 세금낭비지요. 저나라는 이미 철도 교통이 폭망하여 전무한 상태에 과거 식민시절 프랑스가 깔아놓은 선로를 이용하니 저런 경제성이 나오는것이지요. 뭐 안전성은 말 안해도 아시겠지요? 철도도 선로도 유지보수가 생명입니다. 향수는 그리움이기에 아름다울지도 모르겠습니다. 물건이나 수단에대한 그리움이 아닌 청춘에 대한 그리움이겠지요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일단 원댓 맞춤법만 봐도 고려할 가치가 전혀 없는 발상임

  • @Gordon-rb7nd

    @Gordon-rb7nd

    Жыл бұрын

    @@chanzzino 그렇죠 보기좋으라고 관광상품으로 투자했다가 효율성 안나오고 방치되서 세금낭비되는게 한둘이 아닌데...

  • @user-jw6es3rr1v
    @user-jw6es3rr1v2 жыл бұрын

    자신이 안되면 안돼 안돼 제일 듣기 싫은 소리.....

  • @user-sh9ln1uv4l
    @user-sh9ln1uv4l5 ай бұрын

    Cambodia call Lori not norry

  • @user-fk8qn6gj3v
    @user-fk8qn6gj3v Жыл бұрын

    이런 다큐 볼때마다 저 현지인들의 베품에 대한 비용을 조금?은 지불하시는지 좀 넉넉하게 드리면 좋겠다 생각하는 1인 ^^;

  • @user-kw2rg8rk1g
    @user-kw2rg8rk1g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취재비는 주고 다니는건지.. 가난한 사람들인데...

  • @user-cn4ib2zy5l
    @user-cn4ib2zy5l2 жыл бұрын

    4:0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2 жыл бұрын

    저게 왜웃긴데?

  • @user-jf7uo8jw3s
    @user-jf7uo8jw3s2 жыл бұрын

    ^^☆☆☆☆☆^^

  • @jsj0113k
    @jsj0113k Жыл бұрын

    기차 노리

  • @user-iy8vl9nt2l
    @user-iy8vl9nt2l2 жыл бұрын

    홀짝제로 운행하지

  • @user-eg2lb9wt7u
    @user-eg2lb9wt7u9 ай бұрын

    행복치수6위 캄보디아 열대지방이고 욕심이없다. 덛드라 낮에더워 일도못한다. 그러니욕심 이없다. 집도 필요하도않다 비만피하면된다

  • @kanglee8722
    @kanglee8722 Жыл бұрын

    돈주고 오라해도 안갈란다 .

  • @cyt111
    @cyt1112 жыл бұрын

    10년이면강산도변한다는데 업글좀합시다

  • @xiantss

    @xiantss

    2 жыл бұрын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나여?.

  • @dharmadas9724
    @dharmadas97242 жыл бұрын

    Pm mm can

  • @letsbe942
    @letsbe9422 жыл бұрын

    저게 탱크바퀴라고??? 기계같은거 설명할땐 좀 알아보고 설명해야지 저게 무슨 탱크바퀴임?? 탱크바퀴 본적이 없으니 저런소릴 하지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몇분몇초에 언급됨?

  • @letsbe942

    @letsbe942

    Жыл бұрын

    @@yacht-responce 1분 25초에서 35초 사이 "내전 후 남은 탱크부품과 양수기의 엔진 그리고 오토바이의 엔진을 개조해서 만들었답니다" 이렇게 말함 저기서 보이는 탱크 부품은 하나도 없고 오토바이 엔진도 보이질 않고 양수기의 엔진은 보임 그리고 니가 돌려서 찾아보세요 ㅡ.ㅡ 찾아본다고 한참 돌려봣네 ....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Жыл бұрын

    @@letsbe942 불평해도 해주는 츤데레 좀 심쿵하네

  • @O_OSibalnom

    @O_OSibalnom

    Жыл бұрын

    바퀴는 따로 수리소에서 연마하는거 보니까 중간에 바퀴축만 전차 토션바로 만든듯함

  • @user-fu9ik1vb8x
    @user-fu9ik1vb8x4 ай бұрын

    힘을 전혀쓰질못하네 삐쩍마른 사람보다 ㅋ

  • @spin2902
    @spin2902 Жыл бұрын

    이게 바로 수신료의 가치지..방송국 돈으로 낚시하고 골프치고 놀면서 돈버는 방송들은 제발 사라져라..

  • @Prevent831
    @Prevent8312 жыл бұрын

    .불평한마디업네.ㅋㅋㅋ

  • @user-ip3cn8id3g

    @user-ip3cn8id3g

    9 ай бұрын

    누가 물어봤나요? 상식이 없네 계약직인가

Келес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