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포장 도로 12시간' 너무 오지라서 일 년에 딱 한 번! 한국말 잘하는 네팔 친구 고향 가는 날│현지인 따라 네팔 오지 여행│네팔 오지 마을 따라가기│세계테마기행│

※ 이 영상은 2010년 2월 25일에 방송된 <세계테마기행 - 네팔 세상의 가장자리에서 4부 네팔의 얼굴>의 일부입니다.
카트만두는 가히 ‘세상의 모든 풍경’이 뒤섞인 곳이라 해도 좋을 정도로 번잡하고 시끄러운 도시.
카트만두의 앗산 시장에 가면, 돈을 벌러 네팔 각지에서 상경해 포터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태국의 카오산 로드, 파키스탄 훈자와 더불어, 전 세계 장기여행자들의 베이스캠프로 유명한 타멜 거리에도, 꿈을 찾아 상경한 네팔의 청춘들이 있다.
게스트 하우스에서 일하며 1년에 한두 번 고향을 찾는다는 네팔인 친구와 함께 그의 고향집 방문에 동행한다.
카트만두에서 12시간을 비포장 도로를 덜컹거리며 달려야 도착하는 산골마을 마셀.
남자들은 대부분도시로 돈을 벌러 떠나 노인과 여자, 아이들뿐인 네팔 오지마을인데...
이곳 사람들의 삶을 통해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인 네팔사회의 현주소와 어려움 속에서도 소박한 꿈을 위해 열심히 살아가는 네팔인들의 삶을 만나본다.
✔ 프로그램명 : 세계테마기행 - 네팔 세상의 가장자리에서 4부 네팔의 얼굴
✔ 방송 일자 : 2010.02.25
#세계테마기행 #여행 #세계여행 #네팔 #오지 #시골 #고향 #사람 #휴먼 #드라마 #인생 #이야기

Пікірлер: 86

  • @user-vp9mu9uo2m
    @user-vp9mu9uo2m9 ай бұрын

    여행작가님, 얼굴도 잘 생기시고 마음씨도 너무 고우시네요. 오지에서 순박하게 살아가는 네팔분들처럼요.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mschoi2383
    @mschoi238310 ай бұрын

    문명의 이기라곤 찾아볼 수 없는 오지 산골에서 순박하게 살아가는 모습이 안쓰럽기도 하고 어쩌면 우리보다 저들의 행복지수가 더 높지 싶기도 하고 우리나라 60년대 같은 생활환경임에도 저들은 불만 없이 주어진 현실을 받아들이고 순응하며 착하게 살아가는 모습에 새삼 고개가 숙여집니다. 우리 어머니 아버지 세대들이 저런 환경에서 자식들을 위해 희생하며 오늘날 우리 대한민국이 성장한 배경이지요. 우리는 너무 과식하고 너무 편한 것만 추구하는 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됩니다. 다시 한번 선조들께 감사의 마음을 보내드리며 영상 끝까지 가슴 뭉클하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hwajakim4848
    @hwajakim4848 Жыл бұрын

    양심있는분들께 찬사를 보냅니다

  • @YouTube_leekhi37
    @YouTube_leekhi373 ай бұрын

    너무 정겹고~ 순박하고 좋은거 같아요!!! 아름 다운 네팔 사람들 모두 행복하길❤

  • @user-hp5zm3lm2q
    @user-hp5zm3lm2q Жыл бұрын

    지구상최고의용사들이다. 결코 없수이여기지 말라.

  • @seungkim9128
    @seungkim9128 Жыл бұрын

    네팔 전통주택이 부엌에 화덕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굴뚝이 없어요. 나무를 떼서 음식을 하는데 거기서 나오는 매캐한 연기를 그분들이 그대로 호흡기로 흡입 합니다. 요즘 nepal villege 유트브 보면서 너무 안타까운 장면들이 굴뚝이 없는 부엌에서 음식도 하고 또 그 자리에 이불 깔고 자는 루틴이더라구요. 2층 주택은 어린 아이가 올라가고 내려오기 위험하니까 대체로 1층 부엌에서 불떼고 먹고 자고 합니다.

  • @user-mu5pv7zy2r
    @user-mu5pv7zy2r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카메라에 담느라애쓰셨습니다.

  • @user-yx7vd1un5j
    @user-yx7vd1un5j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아궁이와 온돌을 가르쳐 주면 큰 도움이 될 듯 하네요.....

  • @user-vq8fs7xf4t
    @user-vq8fs7xf4t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영어책갖다주시고 좋은일 하시네요 ㅎ 저도 다른나라 가보진않았지만 다른나라 가게되면 힘든아이가 많은곳에 도움주고싶어요

  • @user-ie6gi8bx4n

    @user-ie6gi8bx4n

    Жыл бұрын

    그렇게살자요 저도 베트남 캄보디아 가보고 많이 반성했어요 아껴쓰고 많이 나눠야할것같았어요

  • @iFreeTraveler
    @iFreeTraveler3 ай бұрын

    네팔 여행~ 인간의 향기가 제대로 느껴지는 여행 같군요.

  • @user-vh1wr8bw8q
    @user-vh1wr8bw8q9 ай бұрын

    네팔 짱이네 ㅋㅋ 음식이 기가막히지 ㅎㅎ

  • @rachelseldestson7812
    @rachelseldestson7812 Жыл бұрын

    ❤훌륭하신 아버님❤

  • @soljungkim2656
    @soljungkim2656 Жыл бұрын

    일년에 1번 집에와서 3~4일 있다가 간다니 기가 찬다.ㅠ

  • @Hammer-bag

    @Hammer-bag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몇년고생 하면 본국에서 십몇년 벌을돈 벌어서 간다네.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비포장길이 최고 중 쵝고이징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성실. 하고 순 수한 들이라서

  • @bcho4274
    @bcho4274 Жыл бұрын

    꿀잼

  • @user-il7nc6hn6p
    @user-il7nc6hn6p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나라 이네요 🥰🥰🥰👍

  • @user-sb6dh3ml1p
    @user-sb6dh3ml1p Жыл бұрын

    건강한 에크를 보니 반갑군요. 에크는 몇 년 전까지도 교통사고 후유장애를 앓고 있었어요. 동승하신 분들 중 몇 분은 세상을 떠난 큰 사고였었지요. 예전 에크가 근무했던 네팔짱 게스트하우스 자리에 새로 지은 호탤에서 불편한 몸으로 열심히 일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어떻게 지내는지 모르겠군요. 3년 전 코로나 사태로 숙소 예약 취소한 뒤부터 연락을 못해서리.....

  • @user-cy6lv4mh9w

    @user-cy6lv4mh9w

    Жыл бұрын

    2010년 영상입니다

  • @user-dw3wk8hh9c

    @user-dw3wk8hh9c

    Жыл бұрын

    안타갑네요.

  • @user-dw3wk8hh9c

    @user-dw3wk8hh9c

    Жыл бұрын

    @Cosmica 참 성격도...

  • @Video-hr2ig

    @Video-hr2ig

    Жыл бұрын

    @Cosmica 누가 여기로 들어와서 글 적으라고 했어요?

  • @user-dw3wk8hh9c

    @user-dw3wk8hh9c

    Жыл бұрын

    @Cosmica 나는 근황이 궁금 했습니다. 모든 사람 생각이 전부 댁과 같을꺼라는거라는 착각부터 쫌 웃습네요.

  • @user-ny8vk8ee8t
    @user-ny8vk8ee8t9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1등방송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성실. 하고, 순수. 하고 소박한. 사람이라면

  • @beekang6708
    @beekang6708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70 년초, 저의 아버님 고향, 산골 비포장길 3 시간정도, 지금 단지 40분정도 걸립니다, 옛날 생각 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qxcv98

    @qxcv98

    Жыл бұрын

    @Cosmica 쩝…

  • @user-ie6gi8bx4n

    @user-ie6gi8bx4n

    Жыл бұрын

    @Cosmica 인정머리하고는~

  • @user-vq8fs7xf4t

    @user-vq8fs7xf4t

    Жыл бұрын

    @@user-ie6gi8bx4n 머리가 있는데 저런생각하겠어염.. 머리가 빈거졍

  • @Video-hr2ig

    @Video-hr2ig

    Жыл бұрын

    @Cosmica 그런 댁은 어쩌라고 글 다셨죠?

  • @Video-hr2ig

    @Video-hr2ig

    Жыл бұрын

    그렇죠.........어디건 저런 시절이 있었죠...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고냉지 음식 음향 최고죠 👍

  • @prembhattarai7653
    @prembhattarai7653 Жыл бұрын

    NEPAL♥️♥️

  • @user-dd5xz7vp7m
    @user-dd5xz7vp7m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은 추억이 되셨군요 💐

  • @user-zs8wh9ef2q
    @user-zs8wh9ef2q Жыл бұрын

    텐트 사갔어야 했네요. 아까비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태극기

  • @user-ie6gi8bx4n
    @user-ie6gi8bx4n Жыл бұрын

    에고 실한놈이라고 해도 먹을것이 없을듯해요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행북한 삶이 이럿것징ᆢ

  • @sangkang6294
    @sangkang6294 Жыл бұрын

    70년대 한국이네.

  • @user-dw7us6rx5p
    @user-dw7us6rx5p Жыл бұрын

    청룡쇼바가 여기도 있네..

  • @ceosealemon
    @ceosealemon Жыл бұрын

    저 큰 카메라와 렌즈 참 무겁죠. 적어도 3~4kg될듯. 어휴 대단하넹.

  • @user-sl7cx1hj2i
    @user-sl7cx1hj2i Жыл бұрын

    1등

  • @user-ef8by5bw4o
    @user-ef8by5bw4o Жыл бұрын

    저는 60이 넘었는데 저 어렸을 때 부모님 세대에 저런 풍경을 봤어요 정겹습니다.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극저온. 에. 강,한 반도체 장비 로

  • @scottcello418
    @scottcello418 Жыл бұрын

    찢어지게 가난한 나라 네팔. 한국도 불과 몇십년전에 저랬었다.

  • @Rati0na1

    @Rati0na1

    Жыл бұрын

    몇십년전엔 똑같았는데 지금은 이렇게 달라진건 우리가 그만큼 열심히 잘했다는 뜻.. 뭐 그에 따른 문제도 있지만 문제가 없는 나라는 없으니

  • @user-cy6lv4mh9w

    @user-cy6lv4mh9w

    Жыл бұрын

    알았다

  • @user-me2ci3zl3g

    @user-me2ci3zl3g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아주 예전에도 사람이 버스 위에 탑승 하는 것은 못봤네요

  • @user-rp7gz9ro6l

    @user-rp7gz9ro6l

    Жыл бұрын

    지도자 잘만나 살만하니.주빨들이득세?다시.암흑의시대?로 무섭다 주빨들

  • @user-me2ci3zl3g

    @user-me2ci3zl3g

    Жыл бұрын

    @@warscream 저는 소달구지도 타봤지요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고냉지라. 반도체로

  • @user-yn4pr9ns7e
    @user-yn4pr9ns7e Жыл бұрын

    나마 쓰데

  • @julee4142
    @julee414210 ай бұрын

    세계 최고의 용병 구르카용병

  • @user-ve4yz6fz1i
    @user-ve4yz6fz1i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쌍팔년도가 아니라 쌍육년도 정도 되것는데

  • @leetaylor2360
    @leetaylor2360 Жыл бұрын

    내용이 따뜻하면서도 애틋하네요. 가스렌지보다, 로켓스토브 기술을 전수해주면 좋겠네요. 아주 적은 나뭇가지로도 파란 불꽃의 완전연소 고효율 스토브. 로켓스토브 발명자도 제3세계의 어려운 사람들이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특허등록포기하고 공개한 기술. 완전연소 시킨 후 연기도 실외로 뺄 수 있어서 좋고. 나도 오지여행해보고 싶다. 구들도 양양의 무운선생에게 배웠으니 그것도 해줄 수 있는데..

  • @user-jw2hv5hv7b
    @user-jw2hv5hv7b Жыл бұрын

    4륜구동이 유리하지

  • @user-xf1mo2xr8l
    @user-xf1mo2xr8l Жыл бұрын

    이상하다 한국사람들은 왜 꼭 상대가 하고싶지않은 질문을 할까 ?! ,,, 누가 고향의 집생각 가정이그립지 않을까 꼭 그런걸 묻는 저의가 뭔가 ?? 그렇게도 질문거리가 궁색 한가 쯧쯧쯔

  • @user-ki1zv5jj6s
    @user-ki1zv5jj6s11 ай бұрын

    네팔 오지 마

  • @user-jc5jv3ti3p
    @user-jc5jv3ti3p10 ай бұрын

    카메라감독이랑 피디 둘이사귀남??ㅋㅋㅋ

  • @user-jv5eq2nb2e

    @user-jv5eq2nb2e

    10 ай бұрын

    나도그생각햇엇는데 ㅎ

  • @user-me2ci3zl3g
    @user-me2ci3zl3g Жыл бұрын

    아니 버스는 가는데 왜 다른 차는 왜 가는거죠

  • @user-gn9qe4oi2v

    @user-gn9qe4oi2v

    Жыл бұрын

    일반 차량은 타이어 크기가 작아서 물웅덩이나 진흙탕에 빠지면 못빠져나가요 버스는 타이어 크기가 워낙에 커서 왠만한곳은 잘 빠져나갑니다.

  • @user-yn3ue1bi5o
    @user-yn3ue1bi5o Жыл бұрын

    가난 이 죄죠!

  • @user-jv5eq2nb2e
    @user-jv5eq2nb2e10 ай бұрын

    기러기아빠들

  • @blackholeabc3998
    @blackholeabc3998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살면 부부도 아니지 불싸한 사람들

  • @user-yx7vd1un5j
    @user-yx7vd1un5j Жыл бұрын

    70년대 초 국민학교 5-6학년시절 구파발에 합승타고 들어갔던 기억이 있는데 지금은 별천지죠... 외국의 독재자는 나라 발전은 개나 주고 지 주머니 채웠는데 그래도 우리나라는 박통이란 독재자가 우리나라 기간산업을 세워서 지금 대한민국 국적의 여권이 대우 받는 시대가 되었는데... 오죽 하면 등소평이 박통을 존경할까 ! 우리나라가 언제쯤 공과 사를 제대로 대우하는 분별력을 가질까 ! 저렇게 힘들게 사는 네팔 사람들을 보니 그런 생각이 듭니다.

  • @user-ie6gi8bx4n

    @user-ie6gi8bx4n

    Жыл бұрын

    공감되네요

  • @Video-hr2ig

    @Video-hr2ig

    Жыл бұрын

    그 대신 무수한 사람들 희생이 오로지 박통 덕분이라고 가려지는 게

  • @user-yx7vd1un5j

    @user-yx7vd1un5j

    Жыл бұрын

    @@Video-hr2ig 너무 그러지 마셈.박통이 필립핀 ㅂ마르코스와 같았으면 지금 우리나라는 어찌 되었을까 생각 좀 합시다. 경부고속도로에서 드러누운 김영삼. 김대중은 도대체 나라의 장래를 알고나 그런 것일까요. 반대를 위한 정치적 쑈를 한 자들이 아닙니까 ! 나도 유신교육의 피해자이지만 박통의 나라 살리려 애쓴 것은 인정합니다.

  • @leetaylor2360

    @leetaylor2360

    Жыл бұрын

    역사를 잘 분별하려면, 그 당연한 사고부터 다시 들여다 볼 줄 알아야합니다. 정확히는 미국의 원조프로그램이 엄청났지요. 아프리카 전체를 지원한 것 보다 우리나라 하나를 더 지원했으니까요. 그리고 경제개발계획들 세워주고, 차관 대주고, 그리고 박통이 그 돈을 손대지 못하게 했습니다. 너무 뻘짓을 해서. 그래서 쇼맨십 강한 박통이 TV에 나와서 각종 건설현장 다니면서 빛나는(?) 영도력을 보여줬지요. 계획과 자본 및 감리는 미국 고문단이 하는데, 국민들 인식은 박통의 영도력이라고 착각하게 만듦. 오죽하면 존경받는 미 상원의원 프레이저가 한국민이 불쌍하다고 그 유명한 프레이저보고서를 작성했을까요. ㅠㅠ 미국이 본 박통은 한심했습니다. 화폐개혁, 증권파동 보면서 일부러 경제 박살내서 공산화하려는 공산주의자로 의심했습니다. 남로당 출신이기도 했고, 경제계획이라고 세운게 농촌 돼지치기 였습니다. 그래서 차관대주면서 손 못대게 하고 고문단이 직접 집행한 것입니다. 이런 역사적팩트를 과연 알고 계셨을까요??

  • @user-uy8vr9hf6y

    @user-uy8vr9hf6y

    Жыл бұрын

    네 박통시절 생각납니다

  • @user-gl3qm6bq8c
    @user-gl3qm6bq8c Жыл бұрын

    여자들 희생이 너무 크다

  • @everydaypoesy3578
    @everydaypoesy3578 Жыл бұрын

    모자 좀 벗고하지 매너가 별로네..

  • @user-br4zg1bq8h
    @user-br4zg1bq8h Жыл бұрын

    난중국인들 보다 저들 대려와서 일시키는게 맞다고본다 중국인들은 아니다 진짜

  • @user-yb7vn6th5j
    @user-yb7vn6th5j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저시대 때는 50년대 틀림없을듯 하네요 누가 70년대라 하시는데 70년대 전 입니다

Келесі